KR20240016947A - D-타가토오스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 및 내우성이 증강된 조성물 - Google Patents

D-타가토오스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 및 내우성이 증강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947A
KR20240016947A KR1020237037893A KR20237037893A KR20240016947A KR 20240016947 A KR20240016947 A KR 20240016947A KR 1020237037893 A KR1020237037893 A KR 1020237037893A KR 20237037893 A KR20237037893 A KR 20237037893A KR 20240016947 A KR20240016947 A KR 20240016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disease control
plant disease
control composition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7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아키 오하라
토모유키 키타노
타케시 후쿠모토
니이하 사사쿠라
케이타 오카모토
카즈키 노무라
Original Assignee
미츠이 가가쿠 크롭 앤 라이프 솔루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이 가가쿠 크롭 앤 라이프 솔루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이 가가쿠 크롭 앤 라이프 솔루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16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9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 A01N3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containing aliphatically bound aldehyde or keto group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cet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3/00Fungic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D-타가토오스의 효력 증강 및 내우성(耐雨性)이 향상된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사용한 식물 병해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D-타가토오스를 유효 성분으로 하고,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이며, 식물 병해, 특히 균류에 의한 병해, 세균에 의한 병해에 유효하다.

Description

D-타가토오스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 및 내우성이 증강된 조성물
본 발명은, D-타가토오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조성물에,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배합함으로써, 유효 성분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 및 내우성(耐雨性)이 증강된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그 조성물을 사용한 식물 병해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약은, 농업 생산에 있어서 농작물의 병해충 및 잡초를 방제하고, 농작업의 생력화(省力化)나 농업 생산물의 품질이나 수확량을 안정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안심 안전한 농업 생산물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현재의 농업에는 불가결한 것이다. 농약에는, 제초제, 살충제, 살균제, 식물 성장 조정제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병해 방제를 목적으로 한 살균제, 즉, 식물 병해 방제제가 사용되고 있지만, 동일한 작용성을 가지는 살균제를 특정의 식물 병해를 대상으로 빈번하고 과잉으로 사용함으로써, 대상의 식물 병원균이 살균제에 대하여 내성화하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한편에서는 요즈음, 저농약 작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화학 합성된 농약에 의한 환경 영향의 저감화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도 고조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하, 종래의 화학 합성된 농약과 비교하여 환경에 대한 영향이 적고, 각종 병해에 대해 넓은 스펙트럼을 가지고, 또한, 기존의 살균제가 효과가 없어진 내성균에 대해서도 효과가 높은 식물 병해 방제제 및 식물 병해 방제 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D-타가토오스는, 케토오스로 분류되는 단당이며, 자연계에 미량으로밖에 존재하지 않는 희소당으로서 분류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또한, Food and Drug Administration(FDA), World Health Organization(WHO)로부터 안전성이 높다고 선언되어 있으며(비특허문헌 2, 3),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로서 사용되고 있다.
D-타가토오스는, 식물 병해 방제제로서 유효하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1, 비특허문헌 4). 예를 들면, 노균병(露菌病)균(오이 노균병균, 포도 노균병균, 양배추 노균병균 등), 백분병균(오이 백분병균 등), 녹병균류(밀녹병 등) 등의 절대 기생균에 의한 병해, 토마토 역병균 및 피시움 병균 등의 난균(卵菌)류에 의한 병해에 대해 방제 효과를 나타내고, 식물 병해 방제제로서 유용하다는 것이 밝혀졌다(특허문헌 3, 비특허문헌 4). 또한, 특정의 살균제 성분과 조합함으로써, 여러 가지의 식물 병해에 대하여, 상승(相乘)적인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밝혀졌다(특허문헌 3).
D-타가토오스를 포함하는 단당에 대해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아미노산, 아미노당, 이당 알코올 또는 염류와 조합함으로써, 단당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가 현저하게 증강될 수 있는 점, 식물 병해 방제제로서 유효한 점이 밝혀졌다(특허문헌 2).
농약으로서 사용되는 약제의 효력 증강을 위해서 오일 성분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농약은 통상 지용성의 화합물이며, 오일 성분에 분산시킴으로써, 살포시의 전착력(展着力), 엽면(葉面) 침투성, 국소적인 이행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그러나, 오일 성분과의 궁합에 따라서는 작물에 약해(藥害)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OD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예는 적다. 특히, 유성 현탁제재 (Oil Dispersion: OD제)에서는, 오일과 계면활성제의 혼용에 의한 유화성이 중요하고, 오일과 특정의 계면활성제의 조합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한편, D-타가토오스는 수용성이 매우 높은 화합물이며, 수용액 중에서는 α-피라노스, β-피라노스, α-후라노스, β-후라노스, 및 직쇄 구조의 평형 상태로 존재한다. 화학 합성된 농약도 포함하여, 수용성이 높은 화합물과 오일 성분의 혼용에 의한, 효력 증강의 영향은 밝혀지지 않았다.
[특허문헌 1] WO2010/021121 [특허문헌 2] WO2014/142074
[비특허문헌 1] International Society of Rare Sugars. http://www.isrs.kagawa-u.ac.jp/definition.html(2002). [비특허문헌 2] Rulis, A.M.Agency response letter GRAS notice No. GRN 000078. Washington, DC: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Office of Food Additive Safety. http://pages.citebite.com/e2f2x0h3y0tjw(2001). [비특허문헌 3]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sixty-third meeting. Summary and conclusions. http://www.fao.org/3/a-at878e.PDF(2004). [비특허문헌 4] The rare sugar D-Tagatose protects plants from downy mildews and is a safe fungicidal agrochemical. Commun Biol. 2020 Aug 5; 3(1): 423.
D-타가토오스를 포함하는 단당이,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아미노산, 아미노당, 이당 알코올 또는 염류와 조합함으로써, 단당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를 현저하게 증강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특허문헌 2). 그러나, 오일 성분과 계면활성제의 혼용에 의한 효력의 증강, 내우성의 향상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다.
D-타가토오스와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효력 증강이나, 안정성, 유화성, 및 내우성의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해당 오일 성분과 해당 계면활성제 등의 조합은 검토 사례가 없고, 밝혀지지 않았다.
D-타가토오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조성물과, 오일 성분과, 계면활성제 등의 정원 혼용에 의한 효력 증강이나 내우성 향상에 대해서는 검토 사례가 없고, 밝혀지지 않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D-타가토오스의 효력 증강 및 내우성이 향상된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사용한 식물 병해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D-타가토오스와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 등의 조합에 대해 여러 가지 검토를 실시한 결과, D-타가토오스와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조합함으로써, 여러 가지의 식물 병해에 대하여 단독 성분으로는 예상할 수 없을 정도로 D-타가토오스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를 증강시킬 수 있는 점, 또한, 식물에 약해를 나타내지 않고, 내우성을 증강시킬 수 있는 점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 1) 내지 (발명 14)의 조성물에 관련되는 것이다.
(발명 1)
D-타가토오스와, 오일 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와,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발명 2)
상기 오일 성분이, 유지, 광물유, 및 정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상기 발명 1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발명 3)
상기 유지가 식물성 유지인, 상기 발명 2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발명 4)
상기 광물유가 유동 파라핀인, 상기 발명 2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발명 5)
상기 정유가, 오렌지유, 베르가못유, 및 라벤더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상기 발명 2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발명 6)
상기 식물성 유지가, 대두유, 유채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마카다미아너트유, 해바라기유, 올리브유, 야자유, 및 식물유 유래의 지방산 메탈에스터화유(Methylated Seed Oil)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상기 발명 3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발명 7)
상기 계면활성제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상기 발명 1~6 중 어느 하나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발명 8)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 폴리옥시알킬렌소르바이트 지방산 에스터,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 글라이세린 지방산 에스터, 자당 지방산 에스터, 및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 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상기 발명 7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발명 9)
상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리그닌설폰산염,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폴리카복실산염, α-올레핀설폰산염, 알킬황산염, 설포석신산염, 및 아릴설폰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상기 발명 7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발명 9a)
상기 계면활성제가, 이하의 표:
에 기재된 No. 1~45의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상기 발명 1~6 중 어느 하나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발명 10)
균류병 및 세균병에 대한 식물 병해 방제제인, 상기 발명 1~9 및 9a 중 어느 하나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발명 11)
상기 발명 1~9, 9a, 및 10 중 어느 하나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식물에 시용(施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병해 방제 방법.
(발명 12)
식물에 대한 시용이,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식물체와 접촉시킴으로써, 혹은 재배 토양 또는 수경 배양액에 함유시킴으로써 식물의 뿌리 또는 땅속줄기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한, 상기 발명 11의 식물 병해 방제 방법.
(발명 13)
재배 토양 또는 수경 배양액에 대한 시용은, 토양의 경우,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의 토양 표면에 대한 처리, 토양에 대한 관주(灌注), 또는 토양에 대한 혼화(混和)이며, 수경 배양액의 경우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수경 배양액에 희석하는, 상기 발명 11의 식물 병해 방제 방법.
(발명 14)
식물 병해 방제제로서의, D-타가토오스와, 오일 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와,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사용.
D-타가토오스와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은, D-타가토오스만과 비교하여, 각종 식물 병해에 대해 보다 증강된 식물 병해 방제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식물에 대해 약해를 나타내지 않고, 내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 효과는, 동업자여도 예상조차 할 수 없었던 사실이다.
다음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각종의 용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D-타가토오스」란, 다당류나 희소 당류의 구성 요소인 단당이며, 화학 구조 및 관능기에 따라, 육탄당, 케토오스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는 고형 분말이지만, 이성화당을 이성화함으로써 제조되는 D-타가토오스를 함유하는 시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오일 성분」이란, 천연가스, 석탄 등의 지하자원 유래의 탄화수소 화합물 혹은 불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인 「광물유」, 식물이 산생(産生)하는 휘발성의 기름인 「정유」, 동식물 유래의 지방산인 글라이세린에스터인 「유지」를 가리킨다. 「유지」로서, 「동물성 유지」와 「식물성 유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계면활성제」란, 유화, 가용화, 분산, 기포(起泡), 젖음성 등을 목적으로 하여 오일 성분에 첨가하는 것이며, 「계면활성제」로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식물 병해」란, 병원체에 의해 농작물, 화훼, 화목(花木), 수목 등의 식물에 시듦, 입고(立枯), 황화(黃化), 위축(萎縮), 도장(徒長) 등의 전신적인 이상한 병적 증상, 반점, 잎 마름, 모자이크, 잎 말림, 줄기 마름, 뿌리 썩음, 뿌리혹, 혹 등의 부분적인 병적 증상, 즉, 식물이 병이 드는 것을 나타낸다. 「식물 병해」를 일으키는 병원체로서, 주로, 균류, 세균, 스피로플라스마, 파이트플라스마,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기생성 고등 식물, 선충을 들 수 있고, 특히, 균류에 의해 발생되는 병해가 「균류병」, 세균에 의해 발생되는 병해가 「세균병」이다.
「균류병」은, 식물 병해를 일으키는 병원체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균류병을 일으키는 균류(병원체)로서, 플라스모디오포라균류, 난균류, 접합 균류, 자낭균류, 담자균류 및 불완전 균류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라스모디오포라균류로서 뿌리혹병균, 감자분상(粉狀) 창가병균, 사탕무 초근병균(草根病菌), 난균류로서 역병균(疫病菌), 노균병, Pythium속균, Aphanomyces속균, 접합 균류로서 Rhizopus속균, 자낭균류로서 복숭아 잎오갈병균(縮葉病菌), 옥수수 참깨 엽고병균(葉枯病菌), 벼 도열병균, 흰가루병균, 탄저병균, 붉은 곰팡이 병균, 모키다리 병균, 균핵 병균, 담자균류로서 녹병균류, 깜부기병균류, 자문우병균, 떡병균, 문고병균, 불완전 균류로서 회색 곰팡이병균, Alternaria속균, Fusarium속균, Penicillium속균, Rhizoctonia속균, 백견병균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균병」은, 식물 병해를 일으키는 병원체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다. 세균병을 일으키는 세균(병원체)으로서, 그람음성세균을 포함하는 프로테오박테리아문, 그람양성세균을 포함하는 액티노박테리아문 및 퍼미큐테스문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테오박테리아문 중, α-프로테오박테리아로서 Rhizobium속균, Ca. Liberibacter속균, β-프로테오박테리아로서 Acidovarax속균, Burkholderia속균, Ralstonia속균, γ-프로테오박테리아로서, Pseudomonas속균, Xanthomonas속균, Erwinia속균, 액티노박테리아문으로서 Streptomyces속균, Clavibacter속균, Curtobacterium속균, 퍼미큐테스문으로서 Bacillus속균, Clostridium속균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식물」이란, 1개소에 고정되고, 공기나 물로부터 양분을 취해 살아가는 것이며, 광합성을 하여 생활하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벼, 밀, 보리, 옥수수, 포도, 사과, 배, 복숭아, 앵두, 감, 감귤, 대두, 강낭콩, 딸기, 감자, 양배추, 양상추, 토마토, 오이, 가지, 수박, 사탕무, 시금치, 청대 완두, 호박, 사탕수수, 담배, 피망, 고구마, 토란, 곤약, 면, 해바라기, 튤립, 국화, 잔디 등의 농원예 작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식물체」란, 상기 「식물」을 구성하는 모든 부위를 총칭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줄기, 잎, 뿌리, 종자, 꽃, 과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종자」란, 어린 식물이 발아(發芽)하기 위한 영양분을 비축하고 농업상 번식에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옥수수, 대두, 면(綿), 벼, 사탕무, 밀, 보리, 해바라기, 토마토, 오이, 가지, 시금치, 청대 완두, 호박, 사탕수수, 담배, 피망 및 유채 등의 종자나 토란, 감자, 고구마, 곤약 등의 종우(種芋), 식용백합, 튤립 등의 구근(球根)이나 염교 등의 종구(種球) 등, 또한 유전자 등을 인공적으로 조작함으로써 만들어진 식물이고 자연계에 원래 존재하는 것이 아닌 유전자 조작 작물, 예를 들면 제초제 내성을 부여한 대두, 옥수수, 면 등, 한랭지 적응한 벼, 담배 등, 살충 물질 생산능을 부여한 옥수수, 면 등의 종자, 감자의 덩이줄기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이란, 각종 병원체에 의해, 시듦, 입고, 황화, 위축, 도장 등의 전신적인 이상한 병적 증상, 반점, 잎 마름, 모자이크, 잎 말림, 줄기 마름, 뿌리 썩음, 뿌리혹, 혹 등의 부분적인 병적 증상을 나타내고, 「식물」이 병드는 경우에 있어서, 「식물 병해」를 방제하는 조성물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D-타가토오스와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유효 성분인 D-타가토오스 외에, 필요에 따라서 다른 당류, 단당, 올리고당으로부터 다당, 중성당, 산성당, 아미노당, 당 알코올 또한 그들의 이성체, 그 이외에 하기의 당류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당류를 함유할 수 있다. D 및 L-알도오스로서 글루코오스, 만노오스, 알로오스, 알트로오스, 탈로오스, 갈락토오스, 이도오스, 글로오스, 리보오스, 릭소오스, 자일로오스, 아라비노오스, 에리트로스, 트레오스, 글리세르알데하이드, D 및 L-케토오스로서, 프룩토오스, 프시코오스, 소르보오스, 크실룰로오스, 리브로오스, 에리트룰로오스,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D 및 L-폴리톨로서, 글루시톨, 만니톨, 알트리톨, 탈리톨, 이디톨, 글리톨, 알리톨, 갈락티톨, 아라비톨, 자일리톨, 리비톨, 에리트리톨, 글라이세린, 말티톨, 락티톨, 이노시톨, 쿠에르시톨, 이당류로서, 수크로오스, 말토오스, 락토오스, 셀로비오스, 트레할로오스, 팔라티노오스, 삼당류로서 라피노오스, 파노오스, 멜레치토오스, 겐티아노오스, 사당류로서 스타키오스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임의의 「오일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물유로서, 유동 파라핀, 파라핀, 아이소파라핀, 바셀린, 세레신 등의 파라핀계 용매, 나프텐계 용매, 자일렌, 알킬벤젠, 나프탈렌, 알킬나프탈렌, 페닐자일릴에테인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유로서, 오렌지유, 테레빈유, 박하유, 베르가못유, 라벤더유, 레몬유, 티트리유, 클로브유, 코리안다유, 시트로넬라유, 타임유, 장미유, 베티버유, 홉유, 레몬그라스유, 로즈메리유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지로서, 동물성 유지 및 식물성 유지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물성 유지로서, 어유(魚油)(고래기름, 상어기름, 간유 등), 소기름, 돼지기름, 유지(乳脂)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물성 유지로서, 올리브유, 팜유, 피마자유, 대두유, 유채유, 마카다미아너트유, 옥수수유, 해바라기유, 야자유, 카카오유, 호호바유, 아마인유, 미강유, 면실유, 참기름, 낙화생유, 배아유, 안젤리카유, 에키움유, 에티오화유, 시어버터, 자트로파 오일, 동백유, 님유, 바바스유, 포도씨유, 헤이즐넛유, 요오드화유, 동유(桐油), 자소유, 호두기름, 잎기름, 해조류기름, 겨자유, 샐러드유, 불포화 지방산, 및 식물 유지방 유래의 지방산 메틸에스터화유 (Methylated Seed Oil)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물 병해 방제 효과의 증강이나 내우성 향상의 점에서, 광물유, 유지(특히 식물성 유지), 정유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물 유지 유래의 지방산 메틸에스터화유(Methylated Seed Oil, 이하 「MSO」라고도 한다)」는, 식물 유지에 함유되는 지방산이 메틸에스터화 또는 에스터화된 것을 말하고, 예를 들면, 식물 유지의 유래로서, 전술의 대두유, 유채유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에 함유되는 지방산이 메틸에스터화 또는 에스터화된 기름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메틸에스터화 유채유 및 에스터화 유채유, 메틸에스터화 대두유 및 에스터화 대두유, 메틸에스터화 코코넛유 및 에스터화 코코넛유를 들 수 있다. MSO의 구체예로서 Drexel사의 MES-100, Stepan사의 STEPAN C-25, STEPAN C-42, STEPAN C-65, STEPOSOL ME, STEPOSOL SB, STEPOSOL ROE-W, 닛신오일리오그룹 주식회사의 RCM-101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일 성분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유동성을 가지는 것이고, 식물 병해 방제 효과의 증강이나 내우성의 향상의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동 파라핀, 오렌지유, 베르가못유, 라벤더유, 대두유, 유채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마카다미아너트유, 해바라기유, 올리브유, MSO, 및 야자유를 들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유동 파라핀, 대두유, 및 MSO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의 오일 성분을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계면활성제로서, 임의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세틸렌글라이콜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및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POE에터 타입 비이온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POE올레일에터, POE알킬에터(C12-14. 2급), POE알킬에터(C12-C13) 등),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에터 등〕,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아마이드 등), 알킬폴리글라이코사이드(데실폴리글라이코사이드 등),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놀, 폴리옥시알킬렌스티릴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벤질페닐에터, 폴리옥시알킬렌벤질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터포르말린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다이알킬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포르말린 축합물 등), 글라이세린 지방산 에스터(글라이세린모노팔미테이트, 글라이세린모노 혹은 다이스테아레이트, 글라이세린모노베헤네이트, 글라이세린모노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글라이세린모노 혹은 다이올리에이트, 글라이세린모노 혹은 다이카프릴레이트, 글라이세린모노 혹은 다이카프레이트, 글라이세린모노 혹은 다이라우레이트, 글라이세린모노 혹은 다이스테아레이트, 글라이세린모노 혹은 다이팔미테이트, 글라이세린모노 혹은 다이베헤네이트, 글라이세린다이아세트모노라우레이트, 글라이세린다이아세트모노올리에이트 등의 지방산 모노 혹은 다이글리세라이드; 아세트산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시트르산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석신산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락트산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다이아세틸 주석산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등의 글라이세린 유기산 지방산 에스터;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라이드; 중쇄 지방산 트라이글리세라이드; 등), 폴리글라이세린 지방산 에스터(다이글라이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다이글라이세린모노라우레이트, 다이글라이세린모노미리스테이트, 다이글라이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다이글라이세린모노올리에이트, 테트라글라이세린스테아레이트, 데카글라이세린라우레이트, 폴리글라이세린폴리리시놀레이트 등), 프로필렌글라이콜 지방산 에스터(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라우레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팔미테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올레에이트 등), 폴리옥시알킬렌소르바이트 지방산 에스터〔폴리옥시에틸렌소르바이트 지방산 에스터(POE소르바이트 지방산 에스터),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바이트테트라올리에이트 등〕,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솔비탄트라이스테아레이트, 솔비탄모노올레에이트 등),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 에스터(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트라이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트라이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헥사올레에이트 등), 자당 지방산 에스터(자당 모노 혹은 다이카프레이트, 자당 모노 혹은 다이라우레이트 등),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터(폴리옥시에틸렌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다이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수지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다이에스터 등),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 알킬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에터, 알킬페닐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에터 등),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비스페닐에터, 지방산 다이에탄올아마이드, 및 알킬이미다졸린을 들 수 있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특히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에터(POE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에터(POE 피마자유)〕, 폴리옥시알킬렌소르바이트 지방산 에스터〔특히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바이트 지방산 에스터(POE 소르바이트 지방산 에스터)〕,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 글라이세린 지방산 에스터, 자당 지방산 에스터 및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 에스터(POE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 POE 에터 타입 비이온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계면활성제로서, 임의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그닌설폰산염(리그닌설폰산나트륨 등), 아릴설폰산염(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등의 알킬벤젠설폰산염; 알킬나프탈렌설폰산나트륨, 모노알킬나프탈렌설폰산나트륨 혹은 다이알킬나프탈렌설폰산나트륨 등의 알킬나프탈렌설폰산염; 등),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나프탈렌설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나트륨염 등의 나프탈렌설폰산 포르말린 축합물염; 알킬나프탈렌설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나트륨염 등의 알킬나프탈렌설폰산 포르말린 축합물염; 페놀설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나트륨염 등의 페놀설폰산 포르말린 축합물염; 등), α-올레핀설폰산염(α-올레핀설폰산나트륨 등), 알킬설폰산염(알킬설폰산나트륨 등), 알킬다이페닐에터다이설폰산염(알킬다이페닐에터다이설폰산나트륨 등),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설폰산염(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설폰산나트륨 등),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설포석신산 하프에스터, 알킬황산염(라우릴황산나트륨 등), 설포석신산염(다이알킬설포석신산염, 예를 들면, 다이알킬설포석신산나트륨 등),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황산염(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터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터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벤질페닐에터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스티릴페닐에터황산염 등),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황산염(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터황산염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황산염; 등),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 황산염(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황산나트륨 등),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아세트산염(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터아세트산나트륨염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아세트산염; 등),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인산염(폴리옥시에틸렌스타이렌화 페닐에터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터인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벤질페닐에터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인산염 등),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인산염(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터인산모노에탄올아민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터인산 에스터 등),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인산염(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인산나트륨 등), 알킬인산 에스터(알킬인산, 알킬인산나트륨 등), 메틸타우린산염(올레일메틸타우리드나트륨 등), 폴리카복실산염(폴리카복실산나트륨, 알킬렌말레산 공중합체 나트륨, 말레산 아이소뷰틸렌코폴리머, 아크릴산 말레산 공중합체 나트륨, 폴리카복실산나트륨·다이스티릴페닐에터황산염 암모늄염 등), 및 지방산염(반경화 우지 지방산 소다 비누 등)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리그닌설폰산염, 아릴설폰산염,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폴리카복실산염, α-올레핀설폰산염, 알킬황산염, 및 설포석신산염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설포석신산염, 알킬황산염, 및 아릴설폰산염 등을 들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다이알킬설포석시네이트, 라우릴황산나트륨, 및 알킬벤젠설폰산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계면활성제로서, 임의의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및/또는 임의의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헵타메틸트라이실록세인, 테트라실록세인, 또는 글라이세린 지방산 에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계면활성제로서, 전술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음이온계/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블렌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은, 상기의 D-타가토오스,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만을 함유해도 되지만, 필요에 따라서, 농업용 제재에 통상 배합되는 용제, 침강 방지제, 소포제, 동결 방지제, 산화 방지제, 분산 안정제, 방미제(防黴劑), 증점제를 첨가할 수 있다.
용제로서는, N-메틸피롤리돈, N-뷰틸피롤리돈, 1,3-다이메틸-2-이미다졸리디논과 같은 함질소 화합물류,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에틸헥사놀와 같은 알코올류, 1,4-다이옥세인, 다이에틸에터,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같은 에터류, 아세톤, 에틸메틸케톤과 같은 케톤류, 락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벤질과 같은 에스터류 등을 들 수 있다.
침강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소수성 흄드실리카, 유기 벤토나이트, 벤토나이트, 알루미늄 마그네슘 규산 등을 들 수 있다.
소포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이소옥타데카놀와 같은 알코올류, 메틸화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동결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라이콜, 다이에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글라이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류 등을 들 수 있다.
방미제로서는, 벤조산나트륨, 소르빈산칼륨, 1,2-벤즈아이소싸이아졸린-3-온, 에틸파라벤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로서는, 스테아린산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성분은 이상의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은, 배합 성분의 종류, 제제(製劑) 형태, 시용 장면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예를 들면, D-타가토오스는 1~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40중량부이며, 오일 성분은 10~98.89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93.9중량부이며, 계면활성제는 0.01~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20중량부이다.
또한, 계면활성제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경우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0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1~20중량부이며, 계면활성제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인 경우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1~5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의 D-타가토오스와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외에, D-타가토오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동시에 또는 따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로 사용하는 경우, D-타가토오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어느 하나를 먼저 사용한 후에, 다른 한쪽의 조성물을 사용해도 되고, 어느 쪽을 먼저 사용할지는 임의이다. 혹은, D-타가토오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조성물, 오일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동시에 또는 따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로 사용하는 경우, 이들 조성물의 사용 순서는 임의이다. 시판의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전착제(展着劑)의 혼용도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은, D-타가토오스의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 및 내우성을 향상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D-타가토오스와, 오일 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와,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동시, 또는 따로, 식물체에 시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내우성 향상의 점에서, D-타가토오스를 포함하는 제재(예를 들면, 실시예에서 사용된 타가토오스 수화제(水和劑) 처방)와,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예를 들면, 시판의 농약 또는 전착제 등)을, 함유되는 D-타가토오스와 오일 성분의 비가 1:0.1~10, 바람직하게는 1:0.5~3,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1, 특히 바람직하게는 1:0.5 또는 1:1이 되도록 혼합한다. 특히 해당 조성물이, 오일 성분으로서, 유동 파라핀, 또는 에스터화 혹은 메틸에스터화한 식물 유지(예를 들면, 메틸에스터화 유채유 또는 에스터화 유채유 등의 MSO)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시판 농약 및 전착제로서, Melo(등록상표), Mero(등록상표), Tipo(등록상표), Vazyl/Oleo(등록상표), Vegol(등록상표), Puresspray(등록상표), Puperior70 Oil(등록상표), Parka(등록상표), Enspray99(등록상표), Iharol(등록상표), Prime Oil(등록상표), Agri-Dex(등록상표), Crop Oil Concentrate(등록상표), Drop Zone(등록상표), FSCOC Supreme, Herbimax, Peptoil, Superb HC, Destiny, Dyne-Amic, FS MSO Ultara, Meth Oil, MSO/MVO, Prime Oil EV, Rivet, Soy Dex Plus, Vegetable Oil, Vegetoil, Superb HC, Biotrol, Oil Chemag extend, Chemtrol, Codacide(등록상표), Ecotrol, Endorse, Envoy, Intac, Miller exit, Nexustmspray Adjuvant, Nuturf(등록상표) Driftex, ProCanoil spray oil, Protec(등록상표) oil, Rutec Control Oil, Sacoa Xseed, Simplot Oilon, Smart Crop spray oil, Spalding canola oil spray oil conc, Spraytech oil, Stoller natur'l oil, Supa stik, Synertrol(등록상표), Xtend Plant oil, Activoil, Adigor(등록상표), Bolster, Dasher, effectivoil, Fastuptm, Glysarin704, Hasten(등록상표), Impel, Infiltrator, kwickin(등록상표), Phase Dispersant Penetrant, Plantocrop, Promax, Pronto, Protec(등록상표) Plus, Racer ultra, Rapid oil, Rocket(등록상표), Swift, Synertrol(등록상표) excel, Trio sterycon oil700, 4-Farmers speedy, 서프오일 유제, 쿠미아이어택 오일, 하베스트 오일, 머신유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D-타가토오스와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사용한 식물 병해 방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의 시용 방법으로서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종자 등의 식물체와 접촉시키거나, 혹은 재배 토양 또는 수경 배양액 등에 함유시킴으로써 식물의 뿌리 또는 땅속줄기 등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한 방법, 즉 구체적으로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의 식물 개체에 대한 경엽(莖葉) 살포 처리, 묘상(苗箱) 처리, 토양 표면으로의 살포 처리, 토양 표면으로의 살포 처리 후의 토양 혼화, 토양 중으로의 주입 처리, 토양 중으로의 주입 처리 후의 토양 혼화, 토양 관주 처리, 토양 관주 처리 후의 토양 혼화, 수경 배양액으로의 희석, 식물 종자로의 분사 처리, 식물 종자로의 도말(塗沫) 처리, 식물 종자로의 침지(浸漬) 처리 또는 식물 종자로의 분의(粉衣) 처리 등을 들 수 있지만, 통상 당업자가 이용하는 어떤 시용 방법으로도 충분한 효력을 발휘한다.
즉, 본 발명은,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식물에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병해 방제 방법; 해당 방법으로서, 식물로의 시용이,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식물체와 접촉시키거나, 혹은 재배 토양 또는 수경 배양액에 함유시킴으로써 식물의 뿌리 또는 땅속줄기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한, 식물 병해 방제 방법; 및 해당 방법으로서, 재배 토양으로의 시용이,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의 토양 표면으로의 처리, 토양으로의 관주, 또는 토양으로의 혼화이며, 수경 배약액으로의 시용이,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수경 배양액에 희석하는, 식물 병해 방제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의 시용량 및 시용 농도는, 대상 작물, 대상 병해, 병해의 발생 정도, 화합물의 제형, 시용 방법 및 각종 환경조건 등에 따라 변동되지만, 살포 또는 관주하는 경우에는 D-타가토오스의 처리량으로서 헥타르 당 50∼1,000,000g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헥타르당 100∼500,000g이다. 또한, 종자 처리의 경우의 사용량은, D-타가토오스의 처리량으로서 종자 1kg당 0.001∼50g, 바람직하게는 0.01∼10g이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식물 개체로의 경엽 살포 처리, 토양 표면으로의 살포 처리, 토양 중으로의 주입 처리, 토양 관주 처리하거나, 수경 배양액에 희석하거나 하는 경우는, 적당한 담체에 적당한 농도로 희석한 후, 처리 등을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식물 종자에 접촉시키는 경우는, 적당한 농도로 희석한 후, 식물 종자에 침지, 분의(粉衣), 분사, 도말 처리하여 사용해도 된다. 분의·분사·도말 처리하는 경우의 제제 사용량은, 통상, D-타가토오스의 처리량으로서, 건조 식물 종자 중량의 0.05∼50%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0.1∼30%가 적당하지만, 이러한 사용량은, 이들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제의 형태나 처리 대상이 되는 식물 종자의 종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은, 하기의 종류의 식물 병해에 대하여 유효하다. 이하에 구체적 병해 및 그 병원균을 나타내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벼의 도열병(Magnaporthe grisea), 문고병(Thanatephorus cucumeris), 갈색 균핵병(Ceratobasidium setariae), 갈색소립균핵병(Waitea circinata), 갈색문고병(Thanatephorus cucumeris), 구상(球狀)균핵병(Sclerotium hydrophilum), 적색 균핵병(Wairea circinata), 흑종병(Entyloma dactylidis), 소구(小球)균핵병(Magnaporthe salvinii), 회색균핵병(Ceratobasidium cornigerum), 참깨엽고병(Cochliobolus miyabeanus), 조엽고병(條葉枯病)(Sphaerulina oryzina), 모키다리병(Gibberella fujikuroi), 모잘록병(Pythium spp., Fusarium spp., Trichoderma spp., Rhizopus spp., Rhizoctonia solani, Mucor sp.), 모썩음병(Pythium spp., Achlya spp., Dictyuchus spp.), 벼누룩병(Claviceps virens), 먹깜부기병(Tilletia barclayana), 이삭마름병(Curvularia spp., Alternaria spp.), 누른오갈병(黃化萎縮病)(Sclerophthora macrospora), 백고엽병(Xanthomonas oryzae pv. oryzae), 갈조병(褐條病)(Acidovorax avenae subsp. avenae), 내영갈변병(Erwinia ananas), 모입고세균병(Burkholderia plantarii), 세균성벼알마름병(Burkholderia glumae), 엽초갈변병(Pseudomonas fuscovaginae), 달무리무늬병(Pseudomonas syringae pv. oryzae), 그루썩음병(Erwinia chrysanthemi), 황위병(黃萎病)(Phytoplasma oryzae), 줄무늬잎마름병(Rice stripe tenuivirus), 오갈병(Rice dwarf reovirus);
보리류의 흰가룻병(Blumeria graminis f. sp. hordei; f. sp. tritici), 녹병(Puccinia striiformis, Puccinia graminis, Puccinia recondita, Puccinia hordei), 줄무늬병(Pyrenophora graminea), 그물무늬병(Pyrenophora teres), 붉은 곰팡이병(Gibberella zeae, Fusarium culmorum, Fusarium avenaceum, Monographella nivalis), 설부병(雪腐病)(Typhula incarnata, Typhula ishikariensis, Monographella nivalis), 겉깜부기병(Ustilago nuda), 비린깜부기병(Tilletia caries, Tilletia controversa), 안문병(眼紋病)(Pseudocercosporella herpotrichoides), 그루썩음병(Ceratobasidium gramineum), 운형병(雲形病)(Rhynchosporium secalis), 엽고병(Septoria tritici), 부고병(Phaeosphaeria nodorum), 모잘록병(Fusarium spp., Pythium spp., Rhizoctonia spp., Septoria spp., Pyrenophora spp.), 입고병(Gaeumannomyces graminis), 탄저병(Colletotrichum graminicola), 맥각병(麥角病)(Claviceps purpurea), 반점병(Cochliobolus sativus), 흑절병(黑節病)(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옥수수의 붉은 곰팡이병(Gibberella zeae 등), 모잘록병(Fusarium avenaceum, Penicillium spp, Pythium spp., Rhizoctonia spp.), 녹병(Puccinia sorghi), 참깨엽고병(Cochliobolus heterostrophus), 깜부기병(Ustilago maydis), 탄저병(Colletotrichum graminicola), 북방반점병(Cochliobolus carbonum), 갈조병(Acidovorax avenae subsp. avenae), 조반세균병(Burkholderia andropogonis), 도복세균병(Erwinia chrysanthemi pv. zeae), 위조세균병(Erwinia stewartii); 포도의 노균병(Plasmopara viticola), 녹병(Physopella ampelopsidis), 흰가루병(Uncinula necator), 흑당병(Elsinoe ampelina), 만부병(Glomerella cingulata, Colletotrichum acutatum), 흑부병(Guignardia bidwellii), 시들음병(Phomopsis viticola), 매점병(Zygophiala jamaicensis), 회색 곰팡이병(Botrytis cinerea), 아고병(Diaporthe medusaea), 자문우병(Helicobasidium mompa), 백문우병(Rosellinia necatrix),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vitis);
사과의 흰가룻병(Podosphaera leucotricha), 검은별무늬병(Venturia inaequalis), 반점 낙엽병(Alternaria mali), 붉은별무늬병(Gymnosporangium yamadae), 모닐리아병(Monilinia mali), 갈색종양(Valsa ceratosperma), 륜문병(Botryosphaeria berengeriana), 탄저병(Colletotrichum acutatum, Glomerella cingulata), 매점병(Zygophiala jamaicensis), 매반병(Gloeodes pomigena), 흑점병(Mycosphaerella pomi), 자문우병(Helicobasidium mompa), 백문우병(Rosellinia necatrix), 동고병(Phomopsis mali, Diaporthe tanakae), 갈반병(Diplocarpon mali), 화상병(Erwinia amylovora),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 모근병(Agrobacterium rhizogenes); 배의 흑반병(Alternaria kikuchiana), 검은별무늬병(Venturia nashicola), 붉은별무늬병(Gymnosporangium asiaticum), 륜문병(Botryosphaeria berengeriana f. sp. piricola), 동고병(Phomopsis fukushii), 지고세균병(Erwinia sp.),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 적갈색 동고병(Erwinia chrysanthemi pv. chrysanthemi), 화부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서양배의 역병(Phytophthora cactorum, Phytophthora syringae), 지고세균병(Erwinia sp.); 복숭아의 검은별무늬병(Cladosporium carpophilum), 호모프시스 부패병(Phomopsis sp.), 역병(Phytophthora sp.), 탄저병(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축엽병(Taphrina deformans), 천공 세균병(Xhanthomonas campestris pv. pruni),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 앵두의 탄저병(Glomerella cingulata), 유과균핵병(Monilinia kusanoi), 회성병(Monilinia fructicola),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 수지 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감의 탄저병(Glomerella cingulata), 낙엽병(Cercospora kaki; Mycosphaerella nawae), 흰가룻병(Phyllactinia kakikora),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 감귤의 흑점병(Diaporthe citri), 초록 곰팡이병(Penicillium digitatum), 푸른곰팡이병(Penicillium italicum), 창가병(Elsinoe fawcettii), 갈색부패병(Phytophthora citrophthora), 궤양병(Xhanthomonas campestris pv. citri), 갈반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그리닝병(Liberibactor asiaticus),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
토마토, 오이, 콩류, 딸기, 감자, 양배추, 가지, 양상추 등의 회색 곰팡이병(Botrytis cinerea); 토마토, 오이, 콩류, 딸기, 감자, 유채씨(菜種), 양배추, 가지, 양상추 등의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토마토, 오이, 콩류, 무, 수박, 가지, 유채씨, 피망, 시금치, 사탕무 등 각종 야채의 모잘록병(Rhizoctonia spp., Pythium spp., Fusarium spp., Phythophthora spp., Sclerotinia sclerotiorum 등); 가지과 식물의 풋마름병(Ralstonia solanacearum); 참외류의 노균병(Pseudoperonospora cubensis), 흰가룻병(Sphaerotheca fuliginea), 탄저병(Colletotrichum orbiculare), 덩굴마름병(Didymella bryoniae), 시들음병(Fusarium oxysporum), 역병(Phytophthora parasitica, Phytophthora melonis, Phytophthora nicotianae, Phytophthora drechsleri, Phytophthora capsici 등), 갈반세균병(Xhanthomonas campestris pv. cucurbitae), 연부병(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반점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lachrymans), 연고세균병(Pseudomonas marginalis pv. marginalis), 암종병(Streptomyces sp.), 모근병(Agrobacterium rhizogenes),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토마토의 륜문병(Alternaria solani), 잎곰팡이병(Fulvia fulva), 역병(Phytophthora infestans), 위조병(Fusarium oxysporum), 근부병(Pythium myriotylum, Pythium dissotocum), 탄저병(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궤양병(Clavibacter michiganensis), 줄기세균병(Pseudomonas corrugata), 흑반세균병(Pseudomonas viridiflava), 연부병(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잎혹병(Crynebacterium sp.), 위황병(Phytoplasma asteris), 누른오갈병(Tabaco leaf curl subgroup III geminivirus); 가지의 흰가룻병(Sphaerotheca fuliginea 등), 그을음곰팡이병(Mycovellosiella nattrassii), 역병(Phytophthora infestans), 갈색부패병(Phytophthora capsici), 갈반세균병(Pseudomonas cichorii), 줄기세균병(Pseudomonas corrugata), 경부세균병(Erwinia chrysanthemi), 연부병(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반점세균병(Pseudomonas sp.);
유채씨의 흑반병(Alternaria brassicae), 흑부병(Xh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 흑반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maculicola), 연부병(Erwinia carotovora); 십자화과 야채의 흑반병(Alternaria brassicae 등), 백반병(Cercosporella brassicae), 근후병(Phoma lingam), 뿌리혹병(Plasmodiophora brassicae), 노균병(Peronospora parasitica), 흑부병(Xh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 흑반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maculicola), 연부병(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양배추의 그루썩음병(Thanatephorus cucumeris), 위황병(Fusarium oxysporum); 배추의 고부병(Rhizoctonia solani), 황화병(Verticillium dahliae); 파의 녹병(Puccinia allii), 흑반병(Alternaria porri), 백견병(Sclerotium rolfsii), 백색역병(Phytophthora porri), 흑부균핵병(Sclerotium cepivorum); 양파의 궤양병(Curtobacterium flaccumfaciens), 연부병(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반점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부패병(Erwinia rhapontici), 인편(鱗片)부패병(Burkholderia gladioli), 위황병(Phytoplasma asteris); 마늘의 연부병(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춘부병(Pseudomonas marginalis pv. marginalis); 대두의 자반병(Cercospora kikuchii), 흑당병(Elsinoe glycines), 흑점병(Diaporthe phaseolorum), 리족토니아 근부병(Rhizoctonia solani), 줄기역병(Phytophthora sojae), 노균병(Peronospora manshurica), 녹병(Phakopsora pachyrhizi), 탄저병(Colletotrichum truncatum등), 엽소병(Xhanthomonas campestris pv. glycines), 반점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glycinea);
강낭콩의 탄저병(Colletotrichum lindemuthianum), 풋마름병(Ralstonia solanacearum), 달무리무늬병(Pseudomonas syringae pv. phaseolicola), 갈반세균병(Pseudomonas viridiflava), 엽소병(Xhanthomonas campestris pv. phaseoli); 땅콩의 흑삽병(Mycosphaerella berkeleyi), 갈반병(Mycosphaerella arachidis), 풋마름병(Ralstonia solanacearum); 완두의 흰가룻병(Erysiphe pisi), 노균병(Peronospora pisi), 덩굴마름 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pisi), 덩굴썩음 세균병(Xhanthomonas campestris pv. pisi); 잠두의 노균병(Peronospora viciae), 역병(Phytophthora nicotianae); 감자의 하역병(Alternaria solani), 흑반점병(Thanatephorus cucumeris), 역병(Phytophthora infestans), 은빛비듬병(Helminthosporium solani), 건부병(Fusarium oxysporum, Fusarium solani), 분상창가병(Spongospora subterranea), 풋마름병(Ralstonia solanacearum), 흑각병(Erwinia carotovora subsp. atroseptica), 창가병(Streptomyces scabies, Streptomyces acidiscabies), 연부병(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점성부패병(Crostridium spp.), 륜부병(Clavibacter michiganensis subsp. sepedonicus); 고구마의 입고병(Streptomyces ipomoeae); 사탕무의 갈반병(Cercospora beticola), 노균병(Peronospora schachtii), 흑근병(Aphanomyces cochioides), 뱀눈병(Phoma betae),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 창가병(Streptomyces scabies), 반점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aptata);
당근의 흑엽고병(Alternaria dauci), 혹병(Rhizobacter dauci),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 스트렙토미세스 창가병(Streptomyces spp.), 연부병(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딸기의 흰가룻병(Sphaerotheca aphanis var. aphanis), 역병(Phytophthora nicotianae 등), 탄저병(Glomerella cingulata 등), 과실부패병(Pythium ultimum), 풋마름병(Ralstonia solanacearum), 각반세균병(Xhanthomonas campestris), 아고세균병(Pseudomonas marginalis pv. marginalis); 차의 망병병(Exobasidium reticulatum), 흰별무늬병(Elsinoe leucospila), 탄저병(Colletotrichum theae-sinensis), 륜반병(Pestalotiopsis longiseta), 적소병(Pseudomonas syringae pv. theae), 궤양병(Xhanthomonas campestris pv. theicola), 빗자루병(Pseudomonas sp.); 담배의 붉은별무늬병(Alternaria alternata), 흰가룻병(Erysiphe cichoracearum), 탄저병(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역병(Phytophthora nicotianae), 야화병(Pseudomonas syringae pv. tabaci), 노란무리 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mellea), 공동(空洞)병(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입고병(Ralstonia solanacearum),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o mosaic virus); 목화의 입고병(Fusarium oxysporum); 해바라기의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각점병(Xhanthomonas campestris pv. malvacearum), 공동병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반점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helianthi); 장미의 검은별무늬병(Diplocarpon rosae), 흰가룻병(Sphaerotheca pannosa등), 역병(Phytophthora megasperma), 노균병(Peronospora sparsa),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 국화의 갈반병(Septoria obesa), 백녹병(Puccinia horiana), 역병(Phytophthora cactorum), 반점세균병(Pseudomonas cichorii), 연부병(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 모근병(Agrobacterium rhizogenes), 녹화병(Phytoplasma aurantifolia); 잔디의 브라운 패치병(Rhizoctonia solani), 달라스팟병(Sclerotinia homoeocarpa), 커브라리아 엽고병(Curvularia sp.), 녹병(Puccinia zoysiae), 헬민토스포리움 엽고병(Cochliobolus sp.), 운형병(Rhynchosporium secalis), 입고병(Gaeumannomyces graminis), 탄저병(Colletotrichum sp.), 설부갈색소립균핵병(Typhula incarnata), 설부흑색소립균핵병(Typhula ishikariensis), 설부대립균핵병(Myriosclerotinia borealis), 페어리링병(Marasmius oreades 등), 피시움병(Pythium aphanidermatum 등), 도열병(Pyricularia grisea).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은, 각종 노균병, 역병 등의 난균류에 의한 병해, 각종 흰가룻병, 각종 녹병, 회색 곰팡이병, 사과 검은별무늬병 등의 방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오이 흰가룻병(Cucumber Powdery Mildew), 포도 노균병(Vine Downy Mildew), 포도 흰가룻병(Vine Powdery Mildew), 토마토 회색 곰팡이병(Tomato Gray Mold), 토마토 역병(Late Blight), 사과 검은별무늬병(Apple Scab), 또는 대두 녹병(Soybeen Rust)의 방제에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오이 흰가룻병, 포도 노균병, 포도 흰가룻병, 또는 토마토 역병의 방제에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다른 농약, 예를 들면, 살균제, 살충제, 살진드기제, 살선충제, 제초제 및 식물 성장 조절제 등의 농약, 미생물 농약, 전착제, 토양개량제 또는 비효(肥效) 물질과 혼용 또는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과 조합하여 처리되는 살균제로서는, 예를 들면, 페닐아마이드계 살균제, 유사(有絲) 핵분열 및 세포분열 저해제(MBC 살균제), 석신산 탈수소 산소 저해제(SDHI제), 퀴논 외부 저해제(QoI제), 퀴논 내부 저해제(QiI살제), 산화적 인산화 탈공역 저해제, 퀴논 외부 스티그마테린 결합 서브사이트 저해제(QoSI제), 아미노산 생합성 저해제, 단백질 생합성 저해제, 시그널 전달 저해제, 지질 및 세포막 생합성 저해제, 탈메틸화 저해제(DMI제), 아민계 살균제, 스테롤 생합성의 C4위 탈메틸화에 있어서의 3-케토 환원 효소 저해제, 스테롤 생합성의 스쿠알렌에폭시다아제 저해제, 세포벽 생합성 저해제,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 숙주 식물 저항성 유도제, 다이싸이오카바메이트계 살균제, 프탈이미드계 살균제, 구아니딘계 살균제, 다작용점 접촉 활성형 살균제, 그 밖의 살균제 등을 들 수 있다. 조합하여 처리되는, 살충제, 살진드기제, 살선충제로서는, 예를 들면, 카바메이트계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hE) 저해제, 유기 인계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hE) 저해제, GABA 작동성 염소이온 채널 블로커, 나트륨 채널 모듈레이터,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nAChR) 경합적 모듈레이터,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nAChR) 알로스테릭 모듈레이터, 글루타민산 작동성 염소이온 채널(GluCl) 알로스테릭 모듈레이터, 유약(幼若) 호르몬 유사제, 비특이적(멀티사이트) 저해제, 진드기류 성장 저해제, 미토콘드리아 ATP 합성 효소 저해제, 플로톤 구배(句配)를 교란하는 산화적 인산화 탈공역제,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nAChR) 채널 블로커, 키틴 생합성 저해제 타입 0, 키틴 생합성 저해제 타입 1, 파리목 곤충 탈피 저해제, 탈피 호르몬(에크디손) 수용체 아고니스트,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 복합체 III 저해제,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 복합체 I 저해제(METI), 전위 의존성 나트륨 채널 블로커, 아세틸 CoA 카복실라아제 저해제,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 복합체 IV 저해제,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 복합 II 저해제, 리아노딘 수용체 모듈레이터, 현음 기관 모듈레이터 표적 부위 미특정, 그 밖의 제(劑) 등을 들 수 있다.
상술의 살균제, 살충제, 살진드기제, 또는 살선충제는, 1종 또는 그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살균제로서는, 예를 들면, 베날락실(Benalaxyl), 베날락실 M 또는 키라락실(Benalaxyl-M 또는 Kiralaxyl), 푸랄락실(Furalaxyl), 메탈락실(Metalaxyl), 메탈락실 M 또는 메페녹삼(Metalaxyl-M 또는 Mefenoxam), 옥사딕실(Oxadixyl), 오푸라스(Ofurace), 히멕사졸(Hymexazol), 옥틸리논(Octhilinone), 부피리메이트(Bupirimate), 다이메티리몰(Dimethirimol), 에티리몰(Ethirimol), 옥솔린산(Oxolinic acid) 등의 핵산 대사 저해제;
베노밀(Benomyl), 카벤다짐(Carbendazim), 푸베리다졸(Fuberidazole), 싸이아벤다졸(Thiabendazole), 싸이오파네이트(Thiophanate), 싸이오파네이트메틸(Thiophanate-methyl), 다이에토펜카브(Diethofencarb), 족사마이드(Zoxamide), 에타복삼(Ethaboxam), 펜시큐론(Pencycuron), 플루오피콜라이드(Fluopicolide), 플루오피모마이드(Fluopimomide), 페나마크릴(Phenamacril), 메트라페논(Metrafenone), 피리오페논(Pyriofenone) 등의 유사 핵분열 및 세포 분열 저해제;
다이플루메트림(diflumetorim), 톨펜피라드(tolfenpyrad), 페나자퀸(fenazaquin) 등의 NADH 산화 환원 효소 저해제;
베노다닐(Benodanil), 벤조빈디플루피르(Benzovindiflupyr), 빅사펜(Bixafen), 보스칼리드(Boscalid), 카복신(Carboxin), 펜퓨람(Fenfuram), 플루오피람(Fluopyram), 플루톨라닐(Flutolanil), 플록사피록사드(Fluxapyroxad), 푸라메트피르(Furametpyr), 이소페타미드(Isofetamid), 이소피라잠(Isopyrazam), 메프로닐(Mepronil), 옥시카복신(Oxycarboxin), 펜싸이오피라드(Penthiopyrad), 펜플루펜(Penflufen), 피디플루메트펜(Pydiflumetofen), 세닥산(Sedaxane), 티플루자마이드(Thifluzamide), 피라다이플루미드(Pyraziflumid), 아이소플루시프람(Isoflucypram), 플루인다피르(Fluindapyr), 인피르플룩삼(Inpyrfluxam), 피라프로포인(Pyrapropoyne), 사이클로부트리플루람(Cyclobutrifluram) 등의 석신산 탈수소 산소 저해제(SDHI제);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 쿠목시스트로빈(Coumoxystrobin), 디목시스트로빈(Dimoxystrobin), 에녹사스트로빈(Enoxastrobin), 파목사돈(Famoxadone), 페나미돈(Fenamidone), 페나민스트로빈(Fenaminstrobin), 플루페녹시스트로빈(Flufenoxystrobin), 플루옥사스트로빈(Fluoxastrobin), 크레속심-메틸(Kresoxim-methyl), 만데스트로빈(Mandestrobin), 메토미노스트로빈(Metominostrobin), 오리사스트로빈(Orysastrobin), 피콕시스트로빈(Picoxystrobin), 피라클로스트로빈(Pyraclostrobin), 피라메토스트로빈(Pyrametostrobin), 피라옥시스트로빈(Pyraoxystrobin), 피리벤카브(Pyribencarb), 트리클로피리카브(Triclopyricarb), 트리플록시스트로빈(Trifloxystrobin), 메틸테트라프롤(Metyltetraprole) 등의 퀴논 외부 저해제(QoI제):
사이아조파미드(Cyazofamid), 아미설브롬(Amisulbrom) 펜피콕사미드(Fenpicoxamid), 플로릴피콕사미드(Florylpicoxamid) 등의 퀴논 내부 저해제(QiI제):
비나파크릴(Binapacryl), 멥틸디노캅(Meptyldinocap), 디노캅(Dinocap), 플루아지남(Fluazinam), 페림존(Ferimzone), 등의 산화적 인산화 탈공역 저해제;
아세트산 트라이페닐 주석(fentin acetate), 염화 트라이페닐 주석(fentin chloride), 수산화 트라이페닐 주석(fentin hydroxide) 등의 산화적 인산화, ATP 합성 효소 저해제;
실티오팜(Silthiofam) 등의 ATP 수송 저해제;
아메톡트라딘(Ametoctradin) 등의 퀴논 외부 스티그마테린 결합 서브사이트 저해제(QoSI제);
사이프로디닐(Cyprodinil), 메파니피림(Mepanipyrim), 피리메타닐(Pyrimethanil) 등의 아미노산 생합성 저해제;
블라스티시딘S(Blasticidin-S),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카스가마이신(Kasugamycin), 옥시테트라사이클린(Oxytetracycline) 등의 단백질 생합성 저해제;
퀴녹시펜(Quinoxyfen), 프로퀴나지드(Proquinazid), 펜피클로닐(Fenpiclonil), 플루디옥소닐(Fludioxonil), 클로졸리네이트(Chlozolinate), 다이메타클론(Dimethachlone), 이프로디온(Iprodione), 프로시미돈(procymidone), 빈클로졸린(Vinclozolin) 등의 시그널 전달 저해제;
에디펜포스(Edifenphos), 이프로벤포스(Iprobenfos), 아이소프로티올란(Isoprothiolane), 피라조포스(Pyrazophos), 바이페닐(Biphenyl), 클로로네브(Chloroneb), 디클로란(Dicloran), 퀸토젠(Quintozene; PCNB), 테크나젠(Tecnazene; TCNB), 톨클로포스메틸(Tolclofos-methyl), 에트리디아졸(Echlomezol or etridiazole), 요오드카브(Iodocarb), 프로파모카브(Propamocarb), 프로티오카브(Prothiocarb) 등의 지질 및 세포막 생합성 저해제;
나타마이신(Natamycin; pimaricin) 등의 에르고스테롤 결합 저해제;
옥사티아피프롤린(Oxathiapiprolin), 플루옥사피프롤린(fluoxapiprolin) 등의 옥시스테롤 결합 단백질 저해제;
아자코나졸(Azaconazole), 비테르타놀(Bitertanol), 브로무코나졸(Bromuconazole), 시프로코나졸(Cyproconazole), 다이페노코나졸(Difenoconazole), 다이니코나졸(Diniconazole), 다이니코나졸M(Diniconazole-M), 에폭시코나졸(Epoxiconazole), 에타코나졸(Etaconazole), 페나리몰(Fenarimol), 펜부코나졸(Fenbuconazole), 플루퀸코나졸(Fluquinconazole), 퀸코나졸(Quinconazole), 플루실라졸(Flusilazole), 플루트리아폴(Flutriafol), 헥사코나졸(Hexaconazole), 이마잘릴(Imazalil), 이미벤코나졸(Imibenconazole), 이프코나졸(Ipconazole), 메트코나졸(Metconazole), 미클로부타닐(Myclobutanil), 누아리몰(Nuarimol), 옥스포코나졸(Oxpoconazole), 옥스포코나졸푸말산염(Oxpoconazole fumarate), 페푸라조에이트(Pefurazoate), 펜코나졸(Penconazole), 프로클로라즈(Prochloraz), 프로피코나졸(Propiconazole), 프로싸이오코나졸(Prothioconazole), 피리페녹스(Pyrifenox), 피리속사졸(Pyrisoxazole), 시메코나졸(Simeconazole), 테부코나졸(Tebuconazole), 테트라코나졸(Tetraconazole), 트리아디메폰(Triadimefon), 트리아디메놀(Triadimenol), 트리플루미졸(Triflumizole), 트리포린(Triforine), 트리티코나졸(Triticonazole), 메펜트리플루코나졸(Mefentrifluconazole), 이프펜트리플루코나졸(Ipfentrifluconazole) 등의 탈메틸화 저해제(DMI제);
알디모르프(Aldimorph), 도데모르프(Dodemorph), 펜프로피모르프(Fenpropimorph), 트리데모르프(Tridemorph), 펜프로피딘(Fenpropidin), 피페랄린(Piperalin), 스피록사민(Spiroxamine) 등의 아민계 살균제;
펜헥사미드(Fenhexamid), 펜피라자민(Fenpyrazamine) 등의 스테롤 생합성의 C4위 탈메틸화에 있어서의 3-케토 환원 효소 저해제;
피리부티카브(Pyributicarb), 나프티핀(Naftifine), 테르비나핀(Terbinafine) 등의 스테롤 생합성의 스쿠알렌에폭시다제 저해제;
폴리옥신류(Polyoxins), 디메트모르프(Dimethomorph), 플루모르프(Flumorph), 피리모르프(Pyrimorph), 벤티아발리카브(Benthiavalicarb), 벤티아발리카브아이소프로필(Benthivalicarb-isopropyl), 이프로발리카브(Iprovalicarb), 만디프로파미드(Mandipropamid), 발리페날레이트(Valifenalate) 등의 세포벽 생합성 저해제;
프탈라이드(Phthalide or fthalide), 피로퀼론(Pyroquilone), 트라이사이클라졸(Tricyclazole), 카르프로파미드(Carpropamid), 디클로사이메트(Diclocymet), 페녹사닐(Fenoxanil), 톨프로카브(Tolprocarb) 등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
아시벤조랄S메틸(Acibenzolar-S-methyl), 프로베나졸(Probenazole), 티아디닐(Tiadinil), 아이소티아닐(Isotianil), 라미나린(Laminarin), 다이클로벤티아족스(dichlobentiazox), 포세틸알루미늄(Fosetyl-Al) 등의 숙주 식물 저항성 유도제;
만코제브, 만제브(Mancozeb or Manzeb), 만네브(Maneb), 메티람(Metiram), 프로피네브(Propineb), 티우람(Thiram), 싸이아졸 아연(zinc thiazole), 지네브(Zineb), 지람(Ziram), 페르밤(Ferbam) 등의 다이싸이오카바메이트계 살균제;
캡탄(Captan), 캡타폴(Captafol), 폴페트(Folpet), 플루오로폴페트(Fluorofolpet) 등;
프탈이미드계 살균제:
구아자틴(Guazatine), 이미녹타딘(Iminoctadine), 이미녹타딘알베실산염(Iminoctadine albesilate), 이미녹타딘삼아세트산염(Iminoctadine triacetate) 등의 구아니딘계 살균제;
클로로탈로닐(Chlorothalonil), 다이클로플루아니드(Dichlofluanid), 톨릴플루아니드(Tolylfluanid), 염기성 염화구리(copper oxychloride), 수산화 제2 구리(copper(II) hydroxide), 염기성 황산구리(copper hydroxide sulfate), 유기 구리화합물(organocopper compound), 도데실벤젠설폰산 비스에틸렌다이아민 구리착염[II](dodecylbenzenesulphonic acid bisethylenediamine copper [II] salt, DBEDC), 황(sulphur), 플루오로이미드(Fluoroimide), 아닐라진(Anilazine), 다이티아논(Dithianon), 퀴노메티오네이트(Chinomethionat 또는 Quinomethionate), 메타설포카브(Methasulfocarb) 등의 다작용점 접촉 활성형 살균제;
루우핀 묘목의 자엽(子葉)으로부터의 추출물(BLAD), 감귤류 추출물(Extract from Swinglea glutinosa), 차 추출물(Extract from Melaleuca alternifolia), 식물 오일 혼합물(Eugenol, Geraniol, Thymol) 등의 식물 추출물;
테클로프탈람(Tecloftalam), 트리아족사이드(Triazoxide), 플루설파마이드(Flusulfamide), 다이클로메진(Diclomezine), 시플루페나미드(Cyflufenamid), 도딘(Dodine), 플루티아닐(Flutianil), 테부플로퀸(Tebufloquin), 발리다마이신류(Validamycins), 시목사닐(Cymoxanil), 피카뷰트라족스(Picarbutrazox), 퀴노푸멜린(Quinofumelin), 아미노피리펜(Aminopyrifen), 피리다클로메틸(Pyridachlometyl), 이프플루페노퀸(Ipflufenoquin), 다이피메티트론(dipymetitrone), 플루페녹사디아잠(Flufenoxadiazam), 플루메틸술포림(Flumetylsulforim), 플루옥시티오코나졸(Fluoxytioconazole), 메타릴피콕사미드(Metarylpicoxamid), 세복틸아민(Seboctylamine), 클로로인코나지드(Chloroinconazide), 플루베네테람(Flubeneteram), 아인산(phosphorous acid), 아인산의 나트륨염(sodium phosphite), 아인산의 암모늄염(ammonium phosphite), 아인산의 칼륨염(potassium phosphite) 등의 그 밖의 살균제;
Trichoderma atroviride strain I-1237, strain LU132, strain SC1, strain SKT-1, strain 77B, Trichoderma asperellum strain T34 strain kd Trichoderma harzianum strain T-22 Trichoderma virens strain G-41 등의 Trichoderma spp.;
Gliocladium catenulatum strain J1446 Clonostachys rosea strain CR-7 등의 Clonostachys spp.;
Coniothyrium minitans strain CON/M/91-08, Talaromyces flavus strain SAY-Y-94-01, Saccharomyces cerevisae strain LAS02
Bacillus amyloliquefaciens strain QST713, strain FZB24, strain MBI600, strain D747, strain F727, strain AT-332, Bacillus subtilis strain AFS032321, strain Y1336, strain HAI-0404 등의 Bacillus spp.;
Pseudomonas chlororaphis strain AFS009, Streptomyces griseovirides strain K61, Streptomyces lydicus strain WYEC108 등의 미생물 살균제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살충제로서는, 알라니카브(alanycarb), 알디카브(aldicarb), 벤디오카브(bendiocarb), 벤푸라카브(benfuracarb), 뷰토카르복심(butocarboxim), 뷰톡시카르복심(butoxycarboxim), 카바릴(carbaryl), 카보퓨란(carbofuran), 카보설판 (carbosulfan), 에티오펜카브(ethiofencarb), 페노부카브(fenobucarb), 포메타네이트(formetanate), 프라티오카브(furathiocarb), 아이소프로카브(isoprocarb), 메티오카브(methiocarb), 메토밀(methomyl), 메톨카브(metolcarb), 옥사밀(oxamyl), 피리미카브(pirimicarb), 프로폭서(propoxur), 티오디카브(thiodicarb), 티오파녹스(thiofanox), 트리아자메이트(triazamate), 트리메타카브(trimethacarb), XMC (3,5-xylyl methylcarbamate), 키시릴카브 등의 카바메이트계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E) 저해제;
아세페이트(acephate), 아자메티포스(azamethiphos), 아진포스에틸(azinphos-ethyl), 아진포스메틸(azinphos-methyl), 카두사포스(cadusafos), 클로르에톡시포스(chlorethoxyfos), 클로르펜빈포스(chlorfenvinphos), 클로르메포스(chlormephos),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클로르피리포스메틸(chlorpyrifos-methyl), 쿠마포스(coumaphos), 시아노포스(cyanophos), 데메톤 S-메틸(demeton-S-methyl), 디아지논(diazinon), 디클로르보스(dichlorvos), 디크로토포스(dicrotophos), 디메토에이트(dimethoate), 디메틸빈포스(dimethylvinphos), 디설포톤(disulfoton), 에틸파라니트로페닐티오노벤젠포스포네이트(O-ethyl O-4-nitrophenyl phenylphosphonothioate), 에티온(ethion), 에트프로포스(ethoprophos), 팜플루, 페나미포스(fenamiphos), 페나이트로티온(fenitrothion), 펜티온(fenthion), 포스티아제이트(fosthiazate), 헵테노포스(heptenophos), 이미시아포스(imicyafos), 이소펜포스(isofenphos), 이소프로필=O-(메톡시아미노싸이오포스포릴)살리실레이트, 이속사티온(isoxathion), 말라티온(malathion), 메카밤(mecarbam), 메타미드포스(methamidophos), 메티다티온(methidathion), 메빈포스(mevinphos), 모노크로토포스(monocrotophos), 날레드(naled), 오메토에이트(omethoate), 옥시데메톤메틸(oxydemeton-methyl), 파라티온(parathions), 파라티온메틸(parathion-methyl), 펜토에이트(phenthoate), 포레이트(phorate), 포살론(phosalone), 포스메트(phosmet), 포스파미돈(phosphamidon), 폭심(phoxim), 피리미포스메틸(pirimiphos-methyl), 프로페노포스(profenofos), 프로페탐포스(propetamphos), 프로티오포스(prothiofos), 피라클로포스(pyraclofos), 피리다펜티온(pyridaphenthion), 퀴날포스(quinalphos), 설포텝(sulfotep), 테부피림포스(tebupirimfos), 테메포스(temephos), 터부포스(terbufos), 테트라클로르빈포스(tetrachlorvinphos), 티오메톤(thiometon), 트리아조포스(triazophos), 트리크롤폰(trichlorfon), 바미도티온(vamidothion) 등의 유기 인계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hE) 저해제;
클로르덴(chlordane), 엔도설판(endosulfan) 등의 환상 다이엔 유기 염소계 GABA 작동성 염화물 이온 채널 블로커;
에티프롤(ethiprole), 피프로닐(fipronil) 등의 페닐피라졸계 (피프롤계) GABA 작동성 염화물 이온 채널 블로커;
아크리나트린(acrinathrin), 알레트린(allethrin), 비펜트린(bifenthrin), 비오알레트린(bioallethrin), 비오레스메트린(bioresmethrin), 사이클로프로트린(cycloprothrin), 시플루트린(cyfluthrin), 시할로트린(cyhalothrin), 시페르메트린(cypermethrin), 시페노트린(cyphenothrin[(1R)-trans-isomer]), 델타메트린(deltamethrin), 엔펜트린(empenthrin[(EZ)-(1R)-isomer]), 에스펜발레레이트 (esfenvalerate), 에토펜프록스(ethofenprox), 펜프로파트린(fenpropathrin), 펜발레레이트(fenvalerate), 플루시트리네이트(flucythrinate), 플루메트린(flumethrin), 플루발리네이트(tau-fluvalinate), 할펜프록스(halfenprox), 이미프로트린(imiprothrin), 카데트린(kadethrin), 페르메트린(permethrin), 페노트린(phenothrin[(1R)-trans-isomer]), 프랄레트린(prallethrin), 피레트린(pyrethrin), 레스메트린(resmethrin), 실라플루오펜(silafluofen), 테플루트린(tefluthrin), 테트라메트린(tetramethrin), 테트라메트린[(1R)-이성체](tetramethrin[(1R)-isomer]), 트랄로메트린(tralomethrin), 트란스플루트린(transfluthrin) 등의 피레스로이드계 나트륨 채널 모듈레이터;
DDT(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 메톡시크롤(methoxychlor) 등의 DDT, 메톡시크롤 나트륨 채널 모듈레이터;
아세타미프리드(acetamiprid), 클로티아니딘(clothianidin), 디노테퓨란(dinotefuran),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니텐피람(nitenpyram), 티아클로프리드(thiacloprid), 티아메톡삼(thiamethoxam) 등의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nAChR) 경합적 모듈레이터;
니코틴(nicotine), 황산니코틴(nicotine sulfate) 등의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nAChR) 경합적 모듈레이터;
설폭사플로르(sulfoxaflor) 등의 설폭시이민계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nAChR) 경합적 모듈레이터;
플루피라디퓨론(flupyradifurone) 등의 뷰테노라이드계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nAChR) 경합적 모듈레이터;
트리플루메조피림(triflumezopyrim) 등의 메소이온계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nAChR) 경합적 모듈레이터;
플루피리민(flupyrimin) 등의 피리디리덴계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nAChR) 경합적 모듈레이터;
스피네토람(spinetoram), 스피노사드(spinosad) 등의 스피노신계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nAChR) 알로스테릭 모듈레이터;
아바멕틴(abamectin), 에마멕틴 벤조산염(emamectin benzoate), 레피멕틴(lepimectin), 밀베멕틴(milbemectin) 등의 글루타민산 작동성 염소이온 채널(GluCl) 알로스테릭 모듈레이터;
하이드로푸렌(hydroprene), 키노프렌(kinoprene), 메토프렌(methoprene), 페녹시카브(fenoxycarb), 피리프록시펜(pyriproxyfen) 등의 유약 호르몬 유사제;
브롬화메틸(methyl bromide), 그 밖의 할로겐화 알킬류, 클로로피크린(chloropicrin), 크리올라이트(cryolite), 불화설푸릴(sulfuryl fluoride), 붕사(borax), 붕산(boric acid), 옥타붕산이나트륨염(disodium octaborate), 붕산나트륨염(sodium metaborate), 메타붕산나트륨염(meta-sodium metaborate), 토주석(吐酒石)(artar emetic), 다조메트(dazomet), 카밤나트륨염(metham sodium) 등의 그 밖의 비특이적(멀티사이트) 저해제;
피메트로진(pymetrozine), 피리플루퀴나존(pyrifluquinazon), 아피도피로펜(Afidopyropen) 등의 현음기관 TRPV 채널 모듈레이터;
클로펜테진(clofentezine), 디플로비다진(diflovidazin), 헥시티아족스(hexythiazox), 에톡사졸(etoxazole) 등의 CHS1에 작용하는 진드기류 성장 저해제;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Israelensis,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Tenebrionis, B.t. 작물에 포함되는 단백질: Cry1Ab, Cry1Ac, Cry1Fa, Cry1A. 105, Cry2Ab, Vip3A, mCry3A, Cry3Ab, Cry3Bb, Cry34Ab1/Cry35Ab1 등의 미생물 유래 곤충 중장(中腸) 내막 파괴제;
디아펜티우론(diafenthiuron), 아조사이클로틴(azocyclotin), 시헥사틴(cyhexatin), 펜부타틴옥사이드(fenbutatin oxide), 프로파자이트(propargite), 테트라디폰(tetradifon) 등의 미토콘드리아 ATP 합성 효소 저해제;
클로르페나필(chlorfenapyl), DNOC (dinitro-ortho-cresol),설플루라미드(sulfluramid) 등의 프로톤 구배를 교란하는 산화적 인산화 탈공역제;
벤설탑(bensultap), 카르탑 염산염(cartap hydrochloride), 싸이오사이클램(thiocyclam), 싸이오설탑 나트륨염(Thiosultap-sodium) 등의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nAChR) 채널 블로커;
비스트리플루론(bistrifluron), 클로르플루아주론(chlorfluazuron), 다이플루벤즈론(diflubenzuron), 플루사이클록수론(flucycloxuron), 플루페녹수론(flufenoxuron), 헥사플루무론(hexaflumuron), 루페누론(lufenuron), 노발루론(novaluron), 노비플루무론(noviflumuron), 테플루벤즈론(teflubenzuron), 트리플루무론(triflumuron) 등의 CHS1에 작용하는 키틴 생합성 저해제;
뷰프로페진(buprofezin) 등의 키틴 생합성 저해제 타입 1;
시로마진(cyromazine) 등의 파리눈 곤충 탈피 저해제;
크로마페노지드(chromafenozide), 할로페노지드(halofenozide), 메톡시페노지드(methoxyfenozide), 테부페노지드(tebufenozide) 등의 탈피 호르몬(엑다이손) 수용체 아고니스트;
아미트라즈(amitraz) 등의 옥토파민 수용체 아고니스트;
하이드라메틸논(hydramethylnon), 아세퀴노실(acequinocyl), 플루아크리피림(fluacrypyrim), 비페나제이트(bifenazate) 등의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 복합체 III 저해제;
페나자퀸(fenazaquin), 펜피록시메이트(fenpyroximate), 피리다벤(pyridaben), 피리미디펜(pylimidifen), 테부펜피라드(tebufenpyrad), 톨펜피라드(tolfenpyrad), 로테논(rotenone) 등의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 복합체 I 저해제;
인독사카브(indoxacarb), 메타플루미존(metaflumizone) 등의 전위(電位) 의존성 나트륨 채널 블로커;
스피로디클로펜(spirodiclofen), 스피로메시펜(spiromesifen), 스피로피디온(spiropidion), 스피로테트라마트(spirotetramat) 등의 아세틸 CoA 카복실라아제 저해제;
인화알루미늄 (aluminum phosphide), 인화칼슘 (calcium phosphide), 인화수소(phosphine), 인화아연(zinc phosphide), 시안화칼슘(calcium cyanide), 시안화나트륨(sodium cyanide), 시안화칼륨 (potassium cyanide) 등의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 복합체 IV 저해제;
시에노피라펜(cyenopyrafen), 시플루메토펜(cyflumetofen), 피플루부미드(pyflubumide) 등의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 복합체 II저해제;
클로란트라닐리프롤(chlorantraniliprole), 시안트라닐리프롤(cyantraniliprole), 시클라닐리프롤(cyclaniliprole), 플루벤지아마이드(flubendiamide), 테트라닐리프롤(tetraniliprole) 등의 리아노딘 수용체 모듈레이터;
플로니카미드(flonicamid) 등의 음(音)기관 모듈레이터 표적 부위 미특정;
브로플라닐라이드(broflanilide), 플룩사메타미드(fluxametamide), 아이소사이클로세람(isocycloseram) 등의 GABA 작동성 염화물 이온 채널 알로스테릭 모듈레이터;
코들링 나방 Cydia pomonella GV, 타우마토티비아 류코트레타 Thaumatotibia leucotreta GV, 안티카르시아 겜마탈리스 Anticarsia gemmatalis MNPV, 왕담배 나방 Helicoverpa armigera NPV 등의 바큘로바이러스;
GS-오메가/카파 HXTX-Hv1a 펩티드 등의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nAChR) 알로스테릭 모듈레이터 -부위 II;
아시노나피르(acynonapyr) 등의 칼슘 활성화 칼륨 채널 (KCa2) 모듈레이터;
플로메토퀸(flometoquin) 등의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 복합체 III 저해제;
표적 부위 미특정;
아자디라크틴(azadirachtin), 벤족시메이트(benzoximate), 페니소브로몰레이트(phenisobromolate), 퀴노메티오네이트(chinomethionat), 디코폴(dicofol), 석회 황합제 (CaSx), 만제브 (manzeb), 피리달릴(pyridalyl), 황 (sulfur), 브로모프로필레이트(bromopropylate), 버크홀데리아속균 올바키아·피피엔티스(Zap) (Burkholderia spp, Wolbachia pipientis (Zap)), 미국형개 추출물 (Chenopodium ambrosioides near ambrosioides extract), 글라이세린 또는 프로페인다이올을 가진 지방산 모노에스터 "(Fatty acid monoesters with glycerol or propanediol)", 님오일 (Neem oil), 베아우베리아·바시아나주(Beauveria bassiana strains), 메타리지움·아니소플리에주(F52) Metarhizium anisopliae strain F52), 파에실로마이세스·푸모소로세우스·아포프카주(97) (Paecilomyces fumosoroseus Apopka strain 97), 규조토(diatomite), 디시크라닐(dicyclanil), 디노부톤(dinobuton), 디노캅(dinocap), 시안화수소 (hydrogen cyanide), 요오드화메틸(methyl iodide), 카란진(karanjin), 염화수은 (mercury chloride), 메틸아이소싸이오시아네이트(methyl isothiocyanate), 펜타클로로페놀(pentachlorophenol), 포스핀(phosphine), 피페로닐뷰톡사이드(piperonyl butoxide), 폴리나크틴 복합체(polynactins), 사바딜라(sabadilla), 설코퓨론염(sulcofuron-sodium), 트리부포스(tribufos), 알드린(aldrin), 아미디티온(amidithion), 아미도티오에이트(amidothioate), 아미노카브(aminocarb), 아미톤(amiton), 아라마이트(aramite), 아티다티온(athidathion), 아조토에이트(azothoate), 폴리설피드바륨(barium polysulphide), 벤클로티아즈(benclothiaz), 5-(1,3-벤조다이옥솔-5-일)-3-헥실사이클로헥사-2-에논(5-(1,3-benzodioxole-5-yl)-3-hexylcyclohexa-2-enone), 1,1-비스(4-클로로페닐)-2-에톡시에탄올(1, 1-bis(4-chlorophenyl)-2-ethoxyethanol), 부토네이트(butonate), 부토피로녹실(butopyronoxyl), 2-(2-뷰톡시에톡시)에틸싸이오시아네이트(2-(2-butoxyethoxy) ethyl thiocyanate), 칸페클로르(camphechlor), 클로르벤시드(chlorbenside), 클로르데콘(chlordecone), 클로르다이메폼(chlordimeform), 클로르페네톨(chlorfenethol), 클로르펜손(chlorfenson), 플루아주론(fluazuron), 메타알데하이드(metaldehyde), 비알라포스(bialaphos), 염산레바미졸(levamisol), 아미도플루메트(amidoflumet), 피라플루프롤(pyrafluprole), 피리프롤(pyriprole), 트랄로피릴(tralopyril), 플루피라조포스(flupyrazofos), 디오페놀란(diofenolan), 클로로벤질레이트(chlorobenzilate), 플루펜진(flufenzine), 벤조메이트(benzomate),
플루페네림(flufenerim), 알벤다졸(albendazole), 옥시벤다졸(oxibendazole), 펜벤다졸(fenbendazole), 메탐·나트륨(metam-sodium), 1,3-다이클로로프로펜(1,3-dichloropropene), 에틸렌다이브로마이드(ethylene dibromide),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 비스(2-클로로에틸)에터(bis(2-chloroethyl) ether), 1-브로모-2-클로로에테인(1-bromo-2-chloroethane), 3-브로모-1-클로로프로파-1-엔(3-bromo-1-chloroprop-1-ene), 브로모시크렌(bromocyclen), 이황화탄소 (carbon disulfide), 사염화탄소(tetrachloromethane), 네마덱틴(nemadectin), 시미아졸(cymiazole), 사이토키닌(cytokinin), 2-(옥틸싸이오)에탄올 (2-(octylthio) ethanol), 올레인산칼륨 (potassium oleate), 올레인산나트륨 (sodium oleate), 머신유(machine oil), 타르유(tar oil), 아나바신(anabasine), 타르타르산모란텔(morantel tartrate), 제충국(除蟲菊)(Pyrethrum), 유채유(rape seed oil), 대두 렉틴(soybean lecithin), 전분(starch), 하이드록시프로필 전분 (hydroxypropylstarch), 지방산 글리세라이드(decanoyloctanoylglycerol), 규조토(diatomite), TPIC(tripropyl isocyanurate), D-D(1,3-Dichloropropene), 퍼옥소카보네이트(peroxocarbonate), MB-599(verbutin), 비스(2,3,3,3-테트라클로로프로필)에터(bis(2, 3, 3, 3-tetrachloropropyl) ether), DCIP(bis(2-chloro-1-methylethyl) ether), ENT-8184(N-(2-Ethylhexyl) bicyclohept-5-ene-2, 3-dicarboximide), Bayer 22408(O, O-diethyl O-naphthalimido phosphorothioate), Bayer 32394(tris(1-dodecyl-3-methyl-2-phenylbenzimidazolium)hexacyanoferrate), 다이클로로메조티아즈(dicloromezotiaz), 플루아자인돌리진(fluazaindolizine), 사이할로다이아마이드(cyhalodiamide), 티옥사자펜(tioxazafen), 플루헥사폰(fluhexafon), 플루랄라네르(fluralaner), 테트라클로란트라닐리프롤(tetrachlorantraniliprole), 사로랄네르(sarolaner), 로틸라네르(lotilaner), 티골라너(tigolaner), 시클록사프리드(cycloxaprid), 플루엔설폰(fluensulfone), 벤즈피리목산(benzpyrimoxan), 티클로피라조플로르(tyclopyrazoflor), 옥사조술필(oxazosulfyl), 딤프로피리다즈(dimpropyridaz), 사이프로플라닐리드(cyproflanilide), 니코플루프롤(nicofluprole), 사이클로부트리플루람(cyclobutrifluram), 사이클록시리딘(cycloxylidin), 파이총딩(paichongding), 구아디피르(guadipyr), 시에트피라펜(cyetpyrafen), 플루펜티오페녹스(flupentiofenox), 피리미노스트로빈(pyriminostrobin), 클로로프랄레트린(chloroprallethrin), 카파-비펜트린(kappa-bifenthrin), 카파-테플루트린(kappa-tefluthrin), 헵타플루트린(heptafluthrin), 스피로부디펜(spirobudifen), 티오란트라닐리프롤(tiorantraniliprole), 트리플루엔푸로네이트(trifluenfuronate), 인다자피록사메트(indazapyroxamet), 펜메조디티아즈(fenmezoditiaz), 플루클로르디닐리프롤(fluchlordiniliprole), 스피독사마트(spidoxamat)
실시예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의 상세를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및 시험예에 사용한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표 1]
[표 2-1]
[표 2-2]
[표 2-3]
[표 2-4]
또한,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있어서, 「부(部)」는, 「질량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1]
D-타가토오스(40부), 오일 성분으로서 대두유(52.5부) 및 계면활성제로서 소르폴 4320(7.5부)를 유발에서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여,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의 시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23]
D-타가토오스,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표 3에 기재된 조성으로 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실시예 23의 시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4]
D-타가토오스(40.6부), 오일 성분으로서 대두유(51.86부), 계면활성제로서 에마르 10PT(0.13부) 및 소르폴 CA-15(7.41부)를 유발에서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여,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4의 시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25~43]
D-타가토오스,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표 4에 기재된 조성으로 하고,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5~실시예 43의 시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44]
D-타가토오스(40.6부), 오일 성분으로서 대두유(51.9부) 및 계면활성제로서 뉴카르겐 110(7.5부)를 유발에서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여,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44의 시험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 45~64]
D-타가토오스,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표 5에 기재된 조성으로 하고, 실시예 44와 동일하게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45~실시예 64의 시험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 65]
D-타가토오스(40.6부), 오일 성분으로서 대두유(53.57부), 계면활성제로서 뉴카르겐 110(5.0부) 및 뉴카르겐 EP-60P(0.83부)를 유발에서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여,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65의 시험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실시예 66~실시예 162]
D-타가토오스,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표 6에 기재된 조성으로 하고, 실시예 65와 동일하게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66~실시예 162의 시험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실시예 163]
D-타가토오스(40.0부), 오일 성분으로서 유동 파라핀(52.5부) 및 계면활성제로서 소르폴 4273(7.5부)를 유발에서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여,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63의 시험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실시예 164~실시예 232]
D-타가토오스,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표 7에 기재된 조성으로 하고, 실시예 163과 동일하게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64~실시예 232의 시험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실시예 233]
D-타가토오스(40.6부) 및 오일 성분으로서 유동 파라핀(59.4부)을 유발에서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여,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33의 시험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실시예 234~328]
D-타가토오스,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표 8에 기재된 조성으로 하고, 실시예 233과 동일하게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34~실시예 328의 시험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식물 병해 방제 시험의 평가 방법[시험예 1~7]
본 시험예에서는, 오이 흰가룻병(CPM), 포도 노균병(VDM), 포도 흰가룻병(VPM), 토마토 회색 곰팡이병(TGM), 토마토 역병(LB), 사과 검은별무늬병(AS), 대두 녹병(SbR)에 대한 방제 시험을 실시했다. 이하에 시험 방법의 상세를 나타냈다.
(오이 흰가룻병: CPM/Cucumber Powdery Mildew)
공시 식물(오이 품종: 사가미(相模) 반백절성)을 파종 후, 본잎이 1매 전엽(展葉)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물로 희석한 희석액(2.5ml/포트)을 살포했다. 살포 1일 후의 모종에, 1.0×105개/ml의 오이 백분병균(Podosphaera xanthii)의 분생자(分生子) 현탁액을 분무 접종한 후, 7일 후에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포도 노균병: VDM/Vine Downy Mildew)
공시 식물(포도 품종: 네오머스캣)을 파종 후, 본잎이 3~4매 전엽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물로 희석한 희석액(2.5ml/포트)을 살포했다. 살포 1일 후의 모종에, 1.0×104개/ml의 포도 노균병(Plasmopara viticola)의 유주자낭 현탁액을 분무 접종한 후, 실온이 20℃인 접종실에 24시간 방치하고, 발병을 촉구했다. 접종 10일 후에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포도 흰가룻병: VPM/Vine Powdery Mildew)
공시 식물(포도 품종: 네오머스캣)를 파종 후, 본잎이 3~4매 전엽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물로 희석한 희석액(2.5ml/포트)을 살포했다. 살포 1일 후의 모종에, 1.0×105개/ml의 포도 백분병균(Uncinula necator)의 분생자 현탁액을 분무 접종한 후, 실온이 20℃인 접종실에 24시간 방치하고, 발병을 촉구했다. 접종 10일 후에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토마토 회색 곰팡이병: TGM/Tomato Gray Mold)
공시 식물(토마토 품종: 대형 복수)을 파종 후, 본잎이 3매 전엽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물로 희석한 희석액(2.5ml/포트)을 살포했다. 살포 1일 후의 모종에, 1.0×105개/ml의 토마토 회색 곰팡이 병균(Botrytis cinerea)의 분생자를 분무 접종한 후, 실온이 23℃인 접종실에 48시간 방치하고, 발병을 촉구했다. 접종 2일 후에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토마토 역병: LB/Late Blight)
공시 식물(토마토 품종 :대형 복수)을 파종 후, 본잎이 3매 전엽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물로 희석한 희석액(2.5ml/포트)을 살포했다. 살포 1일 후의 모종에, 1.0×103개/ml의 토마토 역병균(Phytophthora infestans)의 유주자낭 현탁액을 분무 접종한 후, 실온이 20℃인 접종실에 24시간 방치하고, 발병을 촉구했다. 접종 7일 후에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사과 검은별무늬병: AS/Apple Scab)
공시 식물(사과 품종: 왕림)을 파종 후, 본잎이 4~5매 전엽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정수로 희석한 희석액(2.5ml/포트)을 살포했다. 살포 1일 후의 모종에, 1.0×105개/ml의 사과 검은별무늬병균(Venturia inaequalis)의 분생자 현탁액을 분무 접종한 후, 실온이 20℃인 접종실에 24시간 방치하고, 발병을 촉구했다. 접종 10일 후에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대두 녹병: SbR/Soybeen Rust)
공시 식물(대두 품종: 엔레이)을 파종 후, 본잎이 2매 전엽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정수로 희석한 희석액(2.5ml/포트)을 살포했다. 살포 1일 후의 모종에, 1.0×105개/ml의 대두 녹병균(Phakopsora pachyrhizi)의 하포자 현탁액을 분무 접종한 후, 실온이 20℃인 접종실에 24시간 방치하고, 발병을 촉구했다. 접종 7일 후에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이상의 방법으로 평가한 병해 방제 시험에 대하여, 이하를 지표로 하여 발병 정도를 평가했다. 또한, 방제가(防除價)는 발병 정도로부터 산출했다.
[발병 정도]
0: 무(無)발병
0.1: 발병 면적이 3% 정도
0.3: 발병 면적이 10% 정도
0.8: 발병 면적이 25% 정도
1.5: 발병 면적이 50% 정도
2: 발병 면적이 70% 정도
3: 발병 면적이 95% 정도
[방제가]
방제가=100{1-(n/N)}
N=무처리구(無處理區)의 발병 정도, n=각 구(區)의 발병 정도
또한, 시험 미실시의 것은 nt라고 기재하고, 시험 불성립이었던 것은 -라고 기재했다.
D-타가토오스 수화제 처방(시험예 1~6에서는, WO2014/142074에 기재된, D-타가토오스 80%, 뉴카르겐 SX-C 0.25%, 에마르 10PT 0.25%, 모르웨트 D425 5%를 포함하는 처방의 것을 사용했다; 시험예 7에서는, WO2014/142074에 기재된, D-타가토오스 24%, 뉴카르겐 SX-C 0.25%, 에마르 10PT 5%, 모르웨트 D425 5%를 포함하는 처방의 것을 사용했다)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처방에 의한 방제가의 향상의 정도를 이하의 지표(방제가 지수)로서 평가했다.
0: D-타가토오스 수화제 처방에 비하여, 방제가가 그 이하
1: D-타가토오스 수화제 처방에 비하여, 약효의 향상이 보였다(1 이상 10 미만의 향상)
2: D-타가토오스 수화제 처방에 비하여, 높은 약효의 향상이 보였다(10 이상의 향상)
내우성 시험의 평가 방법
[시험예 1~7]
오이 흰가룻병(CPM), 포도 노균병(VDM), 포도 흰가룻병(VPM), 토마토 역병(LB)에 대한 내우성 시험을 실시했다. 이하에 시험 방법의 상세를 나타냈다.
(오이 흰가룻병 내우성 시험: CPM RF/Cucumber Powdery Mildew Rain Fastness)
공시 식물(오이 품종:사가미 반백절성)을 파종 후, 본잎이 1매 전엽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물로 희석한 희석액(2.5ml/포트)을 살포했다. 살포 1일 후의 모종에, 20mm의 강우(降雨)를 실시한 후, 1.0×105개/ml의 오이 백분병균(Sphaerotheca cucurbitae)의 분생 포자 현탁액을 분무 접종했다. 7일 후에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포도 노균병: VDM RF/Vine Downy Mildew Rain Fastness)
공시 식물(포도 품종: 네오머스캣)을 파종 후, 본잎이 3~4매 전엽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물로 희석한 희석액(2.5ml/포트)을 살포했다. 살포 1일 후의 모종에, 20mm의 강우를 실시한 후, 1.0×103개/ml의 포도 노균병균(Plasmodpara viticola)의 유주자낭 현탁액을 분무 접종한 후, 실온이 20℃인 접종실에 24시간 방치하고, 발병을 촉구했다. 접종 10일 후에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포도 흰가룻병: VPM RF/Vine Powdery Mildew Rain Fastness)
공시 식물(포도 품종: 네오머스캣)을 파종 후, 본잎이 3~4매 전엽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물로 희석한 희석액(2.5ml/포트)을 살포했다. 살포 1일 후의 모종에, 20mm의 강우를 실시한 후, 1.0×105개/ml의 포도 흰가룻병균(Uncinula necator)의 유주자낭 현탁액을 분무 접종했다. 접종 10일 후에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토마토 역병: LB RF/Late Blight Rain Fastness)
공시 식물(토마토 품종: 대형 복수)을 파종 후, 본잎이 3매 전엽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물로 희석한 희석액(2.5ml/포트)을 살포했다. 살포 1일 후의 모종에, 1.0×103개/ml의 토마토 역병균(Phytophthora infestans)의 유주자낭 현탁액을 분무 접종한 후, 실온이 20℃인 접종실에 24시간 방치하고, 발병을 촉구했다. 접종 7일 후에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D-타가토오스,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의 오이 흰가룻병, 포도 노균병, 포도 흰가룻병에 대한 내우성은 이하의 지표로 평가했다.
D-타가토오스 수화제 처방(시험예 1~6에서는, WO2014/142074에 기재된, D-타가토오스 80%, 뉴카르겐 SX-C 0.25%, 에마르 10PT 0.25%, 모르웨트 D425 5%를 포함하는 처방의 것을 사용했다; 시험예 7에서는, WO2014/142074에 기재된, D-타가토오스 24%, 뉴카르겐 SX-C 0.25%, 에마르 10PT 5%, 모르웨트 D425 5%를 포함하는 처방의 것을 사용했다)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처방에 의한 내우성의 향상의 정도를 이하의 지표(방제가 지수)로서 평가했다.
0: D-타가토오스 수화제 처방과 동등 레벨의 내우성
1: D-타가토오스 수화제 처방에 비하여, 내우성이 향상(방제가가 1 이상)
[시험예 1] D-타가토오스, 오일 성분, 복수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의 평가
실시예에서 조제된 D-타가토오스, 오일 성분(대두유 또는 유동 파라핀), 복수의 계면활성제(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의 오이 흰가룻병 등의 병해에 대한 약효 및 내우성을 평가했다. 식물 병해 방제 시험 및 내우성 시험의 평가 방법에 기재한, D-타가토오스 수화제 처방과 비교한 방제가의 향상의 정도 및 내우성의 향상의 정도를 지표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1]
[표 3-2]
D-타가토오스, 오일 성분(대두유 또는 유동 파라핀), 복수의 계면활성제(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는, 오이 흰가룻병, 포도 노균병, 토마토 회색 곰팡이병, 포도 흰가룻병, 토마토 역병, 사과 검은별무늬병, 대두 녹병에 대하여, D-타가토오스 수화제 처방과 비교하여, 현저한 약효 및 내우성의 향상을 나타냈다.
[시험예 2] D-타가토오스, 대두유,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의 평가
실시예에서 조제된 D-타가토오스, 대두유,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의 오이 흰가룻병 등의 병해에 대한 약효 및 내우성을 평가했다. 시험예 1과 동일하게, 방제가의 향상의 정도, 내우성의 향상의 정도를 지표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4-1]
[표 4-2]
D-타가토오스, 대두유,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는, 오이 흰가룻병, 포도 노균병, 토마토 회색 곰팡이병, 포도 흰가룻병, 토마토 역병, 사과 검은별무늬병, 대두 녹병에 대하여, D-타가토오스 수화제 처방과 비교하여, 현저한 약효 및 내우성의 향상을 나타냈다.
[시험예 3] D-타가토오스, 대두유, 계면활성제(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의 평가
실시예에서 조제된 D-타가토오스, 대두유, 계면활성제(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의 오이 흰가룻병 등의 병해에 대한 약효 및 내우성을 평가했다. 시험예 1과 동일하게, 방제가의 향상의 정도, 내우성의 향상의 정도를 지표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표 5-1]
[표 5-2]
D-타가토오스, 대두유, 계면활성제(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는, 오이 흰가룻병, 포도 노균병, 토마토 회색 곰팡이병, 포도 흰가룻병, 토마토 역병, 사과 검은별무늬병, 대두 녹병에 대하여, D-타가토오스 수화제 처방과 비교하여, 현저한 약효 및 내우성의 향상을 나타냈다.
[시험예 4] D-타가토오스, 대두유, 각종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의 평가
실시예에서 조제된 D-타가토오스, 대두유, 각종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의 오이 흰가룻병 등의 병해에 대한 약효 및 내우성을 평가했다. 시험예 1과 동일하게, 방제가의 향상의 정도, 내우성의 향상의 정도를 지표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표 6-1]
[표 6-2]
[표 6-3]
[표 6-4]
[표 6-5]
[표 6-6]
D-타가토오스, 대두유, 각종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는, 오이 흰가룻병, 포도 노균병, 토마토 회색 곰팡이병, 포도 흰가룻병, 토마토 역병, 사과 검은별무늬병, 대두 녹병에 대하여, D-타가토오스 수화제 처방과 비교하여, 현저한 약효 및 내우성의 향상을 나타냈다.
[시험예 5] D-타가토오스, 유동 파라핀, 계면활성제(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의 평가
실시예에서 조제된 D-타가토오스, 유동 파라핀, 계면활성제(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의 오이 흰가룻병 등의 병해에 대한 약효 및 내우성을 평가했다. 시험예 1과 동일하게, 방제가의 향상의 정도, 내우성의 향상의 정도를 지표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표 7-1]
[표 7-2]
[표 7-3]
[표 7-4]
D-타가토오스, 유동 파라핀, 계면활성제(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는, 오이 흰가룻병, 포도 노균병, 토마토 회색 곰팡이병, 포도 흰가룻병, 토마토 역병, 사과 검은별무늬병, 대두 녹병에 대하여, D-타가토오스 수화제 처방과 비교하여, 현저한 약효 및 내우성의 향상을 나타냈다.
[시험예 6] D-타가토오스, 각종 오일 성분, 계면활성제(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의 평가
실시예에서 조제된 D-타가토오스, 각종 오일 성분, 계면활성제(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의 오이 흰가룻병 등의 병해에 대한 약효 및 내우성을 평가했다. 시험예 1과 동일하게, 방제가의 향상의 정도, 내우성의 향상의 정도를 지표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표 8-1]
[표 8-2]
[표 8-3]
[표 8-4]
[표 8-5]
[표 8-6]
D-타가토오스, 각종 오일 성분, 계면활성제(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제는, 오이 흰가룻병, 포도 노균병, 토마토 회색 곰팡이병, 포도 흰가룻병, 토마토 역병, 사과 검은별무늬병, 대두 녹병에 대하여, D-타가토오스 수화제 처방과 비교하여, 현저한 약효 및 내우성의 향상을 나타냈다.
[시험예 7] D-타가토오스 수화제 처방과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시판 전착제와의 마당 혼용으로 얻어진 식물 병해 방제제의 평가
D-타가토오스 수화제 처방과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시판 전착제와의 마당 혼용으로 얻어진 식물 병해 방제제의 오이 흰가룻병 등의 병해에 대한 약효 및 내우성을 평가했다. 시험예 1과 동일하게, 방제가의 향상의 정도, 내우성의 향상의 정도를 지표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표 9]
오이 흰가룻병, 포도 노균병, 포도 흰가룻병, 토마토 역병을 지표로 한 내우성 시험의 결과, D-타가토오스 수화제 처방과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시판 전착제를 1:1 또는, 1:0.5의 비율로 혼용한 결과, 에스터화 또는 메틸에스터화한 식물 유지를 포함하는 전착제, 혹은 유동 파라핀을 포함하는 전착제와의 혼용에 의해, 현저한 내우성의 향상이 인정되었다.
본 발명은, 오일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D-타가토오스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가 증강된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그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사용한 식물 병해 방제 방법, 및 D-타가토오스의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 및/또는 내우성을 증강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은, 경엽 살포제, 토양 처리제, 혹은 종자 처리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숙주 식물에 약해를 주는 일 없이, 여러 가지의 식물 병해를 방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3)

  1. D-타가토오스와, 오일 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와,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 성분이, 유지, 광물유, 및 정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지가 식물성 유지인,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물유가 유동 파라핀인,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유가, 오렌지유, 베르가못유, 및 라벤더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유지가, 대두유, 유채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마카다미아너트유, 해바라기유, 올리브유, 야자유, 및 식물유 유래의 지방산 메틸에스터화유(Methylated Seed Oil)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 폴리옥시알킬렌소르바이트 지방산 에스터,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 글라이세린 지방산 에스터, 자당 지방산 에스터, 및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리그닌설폰산염,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폴리카복실산염, α-올레핀설폰산염, 알킬황산염, 설포석신산염, 및 아릴설폰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균류병 및 세균병에 대한 식물 병해 방제제인,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식물에 시용(施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병해 방제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식물에 대한 시용이,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식물체와 접촉시킴으로써, 혹은 재배 토양 또는 수경 배양액에 함유시킴으로써 식물의 뿌리 또는 땅속줄기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한, 식물 병해 방제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재배 토양 또는 수경 배양액에 대한 시용은, 토양의 경우,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의 토양 표면에 대한 처리, 토양에 대한 관주(灌注), 또는 토양에 대한 혼화(混和)이며, 수경 배양액의 경우는,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을 수경 배양액에 희석하는, 식물 병해 방제 방법.
KR1020237037893A 2021-06-02 2022-06-01 D-타가토오스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 및 내우성이 증강된 조성물 KR202400169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93226 2021-06-02
JPJP-P-2021-093226 2021-06-02
PCT/JP2022/022264 WO2022255398A1 (ja) 2021-06-02 2022-06-01 D-タガトースの植物病害防除効果及び耐雨性が増強された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947A true KR20240016947A (ko) 2024-02-06

Family

ID=8432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7893A KR20240016947A (ko) 2021-06-02 2022-06-01 D-타가토오스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 및 내우성이 증강된 조성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4349169A1 (ko)
JP (1) JPWO2022255398A1 (ko)
KR (1) KR20240016947A (ko)
CN (1) CN117279508A (ko)
AR (1) AR126041A1 (ko)
AU (1) AU2022285370A1 (ko)
BR (1) BR112023025124A2 (ko)
CA (1) CA3220469A1 (ko)
CL (1) CL2023003523A1 (ko)
IL (1) IL308893A (ko)
MX (1) MX2023014432A (ko)
TW (1) TW202312877A (ko)
WO (1) WO202225539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1121A1 (ja) 2008-08-18 2010-02-25 三井化学アグロ株式会社 D-タガトース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植物病害の防除剤および防除方法
WO2014142074A1 (ja) 2013-03-13 2014-09-18 三井化学アグロ株式会社 単糖の植物病害防除効果を増強する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6092A1 (fr) * 1996-06-07 1997-12-11 Nippon Soda Co., Ltd. Composition chimique a usage agricole a resistance amelioree aux gouttes de pluie
FR2812173B1 (fr) * 2000-07-28 2003-01-03 Aventis Cropscience Sa Association fongicide a base d'huile d'origine vegetale
JP4350363B2 (ja) * 2002-12-10 2009-10-21 北興化学工業株式会社 耐雨性の改良された農薬製剤組成物
TWI281852B (en) * 2003-07-18 2007-06-01 Mitsui Chemicals Inc Fungicidal aqueous suspension formulation for foliage application
JP2011219406A (ja) * 2010-04-08 2011-11-04 Nisshin Kagaku Kenkyusho:Kk 農薬用展着剤組成物および耐雨性の改良された農薬施用方法
JP5766409B2 (ja) * 2010-05-31 2015-08-19 東邦化学工業株式会社 水系農薬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1121A1 (ja) 2008-08-18 2010-02-25 三井化学アグロ株式会社 D-タガトース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植物病害の防除剤および防除方法
WO2014142074A1 (ja) 2013-03-13 2014-09-18 三井化学アグロ株式会社 単糖の植物病害防除効果を増強する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International Society of Rare Sugars. http://www.isrs.kagawa-u.ac.jp/definition.html(2002).
[비특허문헌 2] Rulis, A.M.Agency response letter GRAS notice No. GRN 000078. Washington, DC: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Office of Food Additive Safety. http://pages.citebite.com/e2f2x0h3y0tjw(2001).
[비특허문헌 3]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sixty-third meeting. Summary and conclusions. http://www.fao.org/3/a-at878e.PDF(2004).
[비특허문헌 4] The rare sugar D-Tagatose protects plants from downy mildews and is a safe fungicidal agrochemical. Commun Biol. 2020 Aug 5; 3(1): 42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12877A (zh) 2023-04-01
BR112023025124A2 (pt) 2024-02-27
AR126041A1 (es) 2023-09-06
MX2023014432A (es) 2023-12-15
AU2022285370A1 (en) 2023-11-30
EP4349169A1 (en) 2024-04-10
JPWO2022255398A1 (ko) 2022-12-08
CA3220469A1 (en) 2022-12-08
WO2022255398A1 (ja) 2022-12-08
IL308893A (en) 2024-01-01
CN117279508A (zh) 2023-12-22
CL2023003523A1 (es) 2024-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87460B (zh) 用于有益于植物生长和防治植物害虫的苏云金芽孢杆菌rti545组合物和使用方法
JP6375278B2 (ja) アゾ環式アミドの固体形態
ES2566005T3 (es) Composición de control de organismos nocivos, y método de control de organismos nocivos
KR102324523B1 (ko)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그것을 시용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UA120040C2 (uk) Інсектицидно активні суміші, які містять сполуку карбоксаміду
TW202034771A (zh) 解澱粉芽孢桿菌fcc1256組合物及控制植物病原之方法
KR102659381B1 (ko) 벼에서 벼 해충을 방제하는 방법
WO2018101223A1 (ja) 植物病害の防除能を有する微生物
US11185076B2 (en) Composition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applying the same
RU2735252C2 (ru)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эффектов борьбы с болезнями растений фунгицида арилфенилкетона и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болезнями растений
RU2739947C2 (ru)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эффектов борьбы изофетамида с болезнями растений и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болезнями растений
KR20110041482A (ko)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JP2023165893A (ja) 殺菌性化合物を有効成分とする薬害軽減剤、並びに該薬害軽減剤と除草性化合物を含む薬害軽減された除草性組成物
KR20240016947A (ko) D-타가토오스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 및 내우성이 증강된 조성물
JP7443339B2 (ja) 効力の増強された農薬組成物
EP4053107A1 (en) Crystal of 3-(difluoromethyl)-1-methyl-n-(1,1,3-trimethyl-2,3-dihydro-1h-inden-4-yl)-1h-pyrazole-4-carboxamide
WO2022017836A1 (en) Fung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r)-2-[4-(4-chlorophenoxy)-2-(trifluoromethyl)phenyl]-1- (1,2,4-triazol-1-yl)propan-2-ol
JP7156659B2 (ja) 植物病害防除剤
EP4295683A1 (en) Agrochemical formulations comprising crystalline form a of 4-[(6-chloro-3-pyridylmethyl)(2,2-difluoroethyl)amino]furan-2(5h)-one
WO2023237444A1 (en) Agrochemical formulations comprising crystalline form a of 4-[(6-chloro-3-pyridylmethyl)(2,2-difluoroethyl)amino]furan-2(5h)-one
US20240156090A1 (en) Suspension concentrate acylhydrazone apyrase inhibitor formulation
US20240156091A1 (en) Water dispersible granule acylhydrazone apyrase inhibitor formulation
KR20210073518A (ko) 유성 현탁 농약 조성물
TW202317530A (zh) 雜環化合物及含有其之組成物之抗藥性有害節肢動物防除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