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668A - 식품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668A
KR20240016668A KR1020220094702A KR20220094702A KR20240016668A KR 20240016668 A KR20240016668 A KR 20240016668A KR 1020220094702 A KR1020220094702 A KR 1020220094702A KR 20220094702 A KR20220094702 A KR 20220094702A KR 20240016668 A KR20240016668 A KR 20240016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oking
suction
supply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한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to KR1020220094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668A/ko
Publication of KR20240016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23L5/12Processes other than deep-frying or float-frying using cooking oil in direct contact with the foo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6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horizontal turn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3Tongs; Devices for picking, holding or rotating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조리부와, 조리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조리부에 조리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조리부에서 조리되는 조리대상물을 눌러주어 조리대상물을 펼쳐주는 성형부와, 공압에 의해 조리부의 오일을 회수하고, 필터링된 오일을 조리부로 재공급하는 회수처리부;를 포함하여, 조리대상물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 제조장치{MANUFACTURING DEVICE FOR FOOD}
본 발명은 식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화공정을 통해 기름을 두르고 가열하여 식품을 대량 조리할 수 있는 식품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煎)은 우리 민족의 전통식품으로, 주재료에 따라 녹두전을 비롯하여 호박전, 부추전, 김치전, 해물파전, 고기전, 감자전, 버섯전 등이 있다. 이러한 전의 조리방법은 주재료를 일정규격으로 썰어서 밀가루와 물로 반죽하고, 반죽을 프라이팬에 정량씩 넣고 펼쳐서 윗면과 아랫면을 뒤집어서 조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은 조리와 동시에 먹게 되는데, 가정에서 전을 조리하기 위해 재료의 준비과정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모되고, 조리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장기보관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6681호(2019.04.02. 등록, 발명의 명칭 : 터널형 식품 구이 제조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화공정을 통해 기름을 두르고 가열하여 식품을 대량 조리할 수 있는 식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는: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조리부; 상기 조리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부에 조리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조리부에서 조리되는 상기 조리대상물을 눌러주어 상기 조리대상물을 펼쳐주는 성형부; 및 공압에 의해 상기 조리부의 오일을 회수하고, 필터링된 오일을 상기 조리부로 재공급하는 회수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리부는 조리구동부; 상기 조리구동부에 의해 회전되고,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조리판부; 및 상기 조리판부를 가열하는 조리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조리대상물이 저장되는 공급저장부; 상기 공급저장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공급연결부; 상기 공급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조리대상물을 배출하는 공급배출부; 및 상기 조리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배출부를 지지하는 공급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수처리부는 공압에 의해 상기 조리부의 오일을 흡입하는 처리흡입부; 상기 처리흡입부에 연결되어 오일을 안내하는 처리라인부; 및 상기 처리라인부에 형성되고, 오일을 필터링하는 처리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흡입부는 상기 조리부에 안착되는 흡입안착부; 상기 흡입안착부와 상기 처리라인부를 연결하는 흡입연결부; 상기 흡입연결부를 감싸는 흡입커버부; 및 상기 흡입커버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흡입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에어가 상기 흡입연결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조리부의 오일을 상기 처리라인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재생부는 상기 처리라인부에 연결되고, 제1챔버부와 제2챔버부가 구획되어 번갈아 오일의 유입 및 유출을 유도하는 재생구동부; 상기 처리라인부에 연결되고, 상기 재생구동부에서 제공되는 오일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재생필터부; 상기 처리라인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리부의 오일을 상기 제1챔버부로 안내하거나, 상기 제1챔버부의 오일을 상기 재생필터부로 안내하는 제1밸브부; 및 상기 처리라인부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필터부의 오일을 상기 제2챔버부로 안내하거나, 상기 제2챔버부의 오일을 상기 조리부로 안내하는 제2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는: 상기 조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추가조리부; 및 상기 조리부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을 상기 추가조리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는 조리부가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여 조리 공간을 줄이고, 조리대상물이 성형부에 의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며, 회수처리부에서 오일을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흡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재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치변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치변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에 추가조리부가 추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컨베이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1)는 조리부(10)와, 공급부(20)와, 성형부(30)를 포함하고, 회수처리부(40)를 더 포함한다.
조리부(10)는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100)을 조리한다. 일예로, 조리부(10)는 원판 형상을 하여 회전되면서 전과 같은 조리대상물(100)을 조리할 수 있으므로, 설비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다.
공급부(20)는 조리부(10)의 상방에 배치되고, 조리부(10)에 조리대상물을 공급한다. 일예로, 공급부(20)에서 공급되는 조리대상물(100)은 각종 육류와 해물 및 야채가 선택적으로 포함되고, 밀가루와 물이 혼합된 반죽이 될 수 있다.
성형부(30)는 에어를 분사하면서 조리부(10)에서 조리되는 조리대상물(100)을 눌러주어 조리대상물(100)을 펼쳐준다. 일예로, 공급부(20)에서 배출되는 조리대상물(100)이 조리부(10)에서 조리되면서 성형부(30)를 통과하면 두께와 형상이 일정하게 성형될 수 있다.
회수처리부(40)는 공압에 의해 조리부(10)의 오일을 회수하고, 필터링된 오일을 조리부(10)로 재공급한다. 일예로, 조리부(10)에는 조리대상물(100)을 조리하기 위한 오일이 저장되고, 저장된 오일 중 일부는 조리대상물(100)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과 함께 회수처리부(40)로 수거된 후, 필터링되어 조리부(10)에 재공급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1)는 후공정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공정부(90)는 조리부(10)에서 조리 완료된 조리대상물(100)을 후공정으로 안내한다. 일예로, 후공정부(90)는 조리대상물(100)을 포장 공정 또는 급속 냉동 공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10)는 조리구동부(11)와, 조리판부(12)와, 조리가열부(13)를 포함한다.
조리판부(12)는 조리구동부(11)에 의해 회전되고, 조리대상물(100)이 안착된다. 일예로, 조리구동부(11)는 전원이 인가되면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가 될 수 있다.
조리판부(12)는 조리구동부(11)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판부(12)는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조리판부(12)는 조리구동부(11)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원판 형상의 조리판결합부(121)와, 조리판결합부(121)의 가장자리에 조립되어 조리대상물(100)이 안착되는 조리판연장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가열부(13)는 조리판부(12)를 가열한다. 일예로, 조리가열부(13)는 조리판연장부(122)의 저면에 배치되어 조리판연장부(122)를 가열할 수 있다. 조리가열부(13)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조리판부(12)를 가열하는 열선이 될 수 있다. 그 외, 조리가열부(13)는 조리판연장부(122)의 하방에 고정 설치되고, 연료로 점화되는 버너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10)는 조리오일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오일부(14)는 조리판부(12)에 오일을 제공한다. 일예로, 조리오일부(14)는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저장부(141)와, 오일저장부(141)와 연결되어 오일을 안내하는 오일안내부(142)와, 오일안내부(142)와 연결되고 조리판연장부(122)에 오일을 배출하는 오일배출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조리구동부(11)에는 조리공급부(19)가 구비되고, 조리가열부(13)에 연결된 조리단자부(18)는 조리판부(12)와 함께 회전되면서 조리공급부(19)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조리공급부(19)는 원형으로 복수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조리단자부(18)는 회전되면서 조리공급부(19)와 순차로 접속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리공급부(19)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회전되는 조리가열부(13)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20)는 공급저장부(21)와, 공급연결부(22)와, 공급배출부(23)와, 공급지지부(24)를 포함한다.
공급저장부(21)에는 조리대상물(100)이 저장된다. 일예로, 공급저장부(21)는 조리부(10)의 상방에 배치되되,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공급저장부(21)는 상측이 개방된 형상을 하여 작업자가 추가로 조리대상물(100)을 공급할 수 있다. 그 외, 공급저장부(21)는 이동 가능하고, 제1조리부(10)에 근접되도록 지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공급연결부(22)는 공급저장부(21)에 연결된다. 일예로, 공급연결부(22)는 공급저장부(21)에 연결되어 조리대상물(100)을 안내하는 호스가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공급배출부(23)는 각각의 공급연결부(22)에 연결되고, 조리대상물(100)을 배출한다. 일예로, 공급배출부(23)는 배출판부(231)와, 배출판부(231)에 결합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조리대상물(100)이 저장되는 배출실린더부(232)와, 배출실린더부(232)에서 연장되고 공급연결부(22)와 연결되는 배출연결부(233)와, 배출판부(231)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하 이동되면서 배출실린더부(232)에 삽입되는 배출피스톤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피스톤부(234)가 상승하거나 길이가 줄어들면, 배출실린더부(232)에 공간이 형성되어 배출실린더부(232)로 설정량의 조리대상물(100)이 공급되어 대기할 수 있다. 배출피스톤부(234)가 하강하거나 길이가 늘어나면, 배출실린더부(232)의 하단부의 개구된 배출구로 조리대상물(100)이 배출되어 조리부(10)에 공급될 수 있다.
공급지지부(24)는 조리부(10)의 상방에 배치되고, 공급배출부(23)를 지지한다. 일예로, 공급지지부(24)는 지면이나 설비와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고정부(241)와, 지지고정부(241)에 지지되고 배출판부(231)를 지지하는 지지판부(242)와, 지지판부(242)의 상방에 배치되는 지지압박부(243)와, 지지판부(242)와 지지압박부(243)를 체결하는 지지체결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결부(244)는 지지판부(242)와 지지압박부(243)를 결합하도록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볼트부(2441)와, 지지판부(242)와 지지압박부(243) 사이에 배치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체결복원부(244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부(242)와 지지압박부(243) 사이에는 배출판부(231)가 삽입되고, 지지압박부(243)의 가압에 의해 배출판부(231)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공급배출부(23)의 세척이나 수리가 필요한 경우, 체결볼트부(2441)를 일부 풀어주면 체결복원부(2442)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압박부(243)가 상승하여 배출판부(231)를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30)는 성형조절부(31)와, 성형이동부(32)와, 성형틀부(33)와, 성형공급부(34)와, 성형판부(35)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성형조절부(31)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일예로, 성형조절부(31)는 모터 또는 유압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조리부(10)의 상방에 배치되도록 고정물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성형이동부(32)는 성형조절부(31)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된다. 일예로, 성형이동부(32)는 조리판연장부(122)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성형틀부(33)는 성형이동부(32)에 결합된다. 일예로, 성형틀부(33)는 성형이동부(32)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결합될 수 있다. 성형틀부(33)는 공급배출부(23)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다. 성형틀부(33)는 성형이동부(32)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성형틀부(331)와, 제1성형틀부(331)에 결합되는 제2성형틀부(332)와, 제2성형틀부(33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3성형틀부(333)와, 제3성형틀부(333)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제2성형틀부(332) 또는 제3성형틀부(333)에 결합되는 제4성형틀부(334)와, 제4성형틀부(334)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성형판부(35)를 일부 지지하는 제5성형틀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성형틀부(332)에는 성형공급부(34)와 연결되기 위한 포트(336)가 형성될 수 있다. 제4성형틀부(334)는 제2성형틀부(332)와 볼트 결합되거나, 자체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3성형틀부(333)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5성형틀부(335)는 제4성형틀부(334)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4성형틀부(334)의 내측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성형공급부(34)는 성형틀부(33)에 에어를 공급한다. 일예로, 성형공급부(34)는 공압을 생성하는 제1성형공급부(341)와, 성형공급부(341)와 성형틀부(33)를 연결하는 제2성형공급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성형판부(35)는 각각의 성형틀부(33)에 장착되고, 성형틀부(33)에 공급되는 에어를 배출하며, 조리대상물(100)을 압박한다. 일예로, 성형판부(35)는 성형틀부(33)의 하부에 장착되고, 성형이동부(32)가 하강할 때 조리부(10)에서 조리중인 조리대상물(100)을 눌러줄 수 있다. 이때, 성형판부(35)는 소결합금으로 제작되어 통기성을 확보하므로, 성형판부(35)를 통과하는 공기로 인해 성형판부(35)에 조리대상물(100)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흡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재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처리부(40)는 처리흡입부(41)와, 처리라인부(42)와, 처리재생부(43)를 포함한다.
처리흡입부(41)는 공압에 의해 조리부(10)의 오일을 흡입한다. 일예로, 처리흡입부(41)는 조리판연장부(122)에 밀착되어 조리판연장부(122)에 존재하는 오염된 오일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공압만을 이용하므로, 펌프 사용에 의한 설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처리라인부(42)는 처리흡입부(41)에 연결되어 오일을 안내하고, 처리재생부(43)는 처리라인부(42)에 형성되어 오일을 필터링한다. 일예로, 처리라인부(42)는 일단부가 처리흡입부(4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조리부(10)의 상방에 배치되어 조리부(10)에서 회수된 오일이 조리부(10)로 재공급될 수 있도록 오일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흡입부(41)는 흡입안착부(411)와, 흡입연결부(412)와, 흡입커버부(413)와, 흡입공급부(414)를 포함한다.
흡입안착부(411)는 조리부(10)에 안착된다. 일예로, 흡입안착부(411)는 오일을 안내하도록 파이프 형상을 하는 제1흡입안착부(4111)와, 제1흡입안착부(4111)의 저면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되어 오일 흡입 공간을 제공하는 제2흡입안착부(411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연결부(412)는 흡입안착부(411)와 처리라인부(42)를 연결한다. 일예로, 흡입연결부(412)는 하부가 제1흡입안착부(4111)와 연통되고 파이프 형상을 하는 제1흡입연결부(4121)와, 제1흡입연결부(4121)의 외주면에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흡입연결부(4122)와, 제2흡입연결부(4122)에서 제1흡입연결부(4121)를 경사지게 관통하여 통로를 형성하는 제3흡입연결부(4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흡입연결부(4123)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커버부(413)는 흡입연결부(412)를 감싼다. 일예로, 흡입커버부(413)는 제1흡입연결부(412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제2흡입연결부(4122)를 밀폐시킬 수 있다.
흡입공급부(414)는 흡입커버부(413)에 에어를 공급한다. 일예로, 흡입공급부(414)는 공압을 생성하는 제1흡입공급부(4141)와, 제1흡입공급부(4141)와 흡입커버부(413)를 연결하는 제2흡입공급부(414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공급부(414)에서 공급되는 에어는 흡입연결부(412)를 통과하면서 조리부(10)의 오일을 처리라인부(42)로 이동시킨다. 즉, 흡입공급부(414)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제2흡입연결부(4122)로 유입되고, 제3흡입연결부(4123)를 통과하면서 처리라인부(42)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흡입연결부(412)의 내부에는 압력편차가 발생하고, 이러한 압력편차를 해소하기 위해 흡입안착부(411)에서 흡입력이 생성되어 오일을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재생부(43)는 재생구동부(45)와, 재생필터부(46)와, 제1밸브부(47)와, 제2밸브부(48)를 포함한다.
재생구동부(45)는 처리라인부(42)에 연결되고, 제1챔버부(91)와 제2챔버부(92)가 구획되어 번갈아 오일의 유입 및 유출을 유도한다. 일예로, 재생구동부(45)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구동실린더부(451)와, 구동실린더부(451)에 내장되어 이동 가능하고, 구동실린더부(451)의 내부를 제1챔버부(91)와 제2챔버부(92)로 구획하는 구동구획부(452)와, 구동구획부(452)에 연결되고 길이가 가변되어 구동구획부(452)를 이동시키는 구동조절부(453)를 포함할 수 있다.
재생필터부(46)는 처리라인부(42)에 연결되고, 재생구동부(45)에서 제공되는 오일에서 이물질을 걸러낸다. 일예로, 재생필터부(46)는 필터하우징부(461)와, 필터하우징부(461)의 상부에 형성되고, 유입되는 오일 중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걸름부(462)와, 필터하우징부(461)의 하부에 형성되고 필터걸름부(462)를 통과한 오일이 저장되는 필터저장부(4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밸브부(47)는 처리라인부(42)에 형성되고, 조리부(10)의 오일을 제1챔버부(91)로 안내하거나, 제1챔버부(91)의 오일을 재생필터부(46)로 안내한다.
그리고, 제2밸브부(48)는 처리라인부(42)에 형성되고, 재생필터부(46)의 오일을 제2챔버부(92)로 안내하거나, 제2챔버부(92)의 오일을 조리부(10)로 안내한다.
한편, 처리라인부(42)는 일단부가 처리흡입부(41)의 제1흡입연결부(412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밸브부(47)에 연결되는 제1라인부(421)와, 제1밸브부(47)와 제1챔버부(91)를 연결하는 제2라인부(422)와, 제1밸브부(47)와 재생필터부(46)를 연결하는 제3라인부(423)와, 재생필터부(46)와 제2밸브부(48)를 연결하는 제4라인부(424)와, 제2밸브부(48)와 제2챔버부(92)를 연결하는 제5라인부(425)와, 제2챔버부(92)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조리부(10)의 상방에 타단부가 배치되는 제6라인부(4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라인부(421)는 조리 종료 지점에 배치되고 제6라인부(426)는 조리 시작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치변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치변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1)는 위치변환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변환부(50)는 조리부(10)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조리되는 조리대상물(100)을 뒤집을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위치변환부(50)는 변환회전부(51)와 변환덕트부(52)를 포함할 수 있다(도 11 참조). 이러한 위치변환부(50)는 조리대상물(100)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형성되어 조리대상물(100)을 뒤집을 수 있다.
즉, 변환회전부(51)는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제공하고, 변환덕트부(52)는 변환회전부(51)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변환덕트부(52)는 일측이 개구된 덕트 형상을 하고, 초기에 이동되는 조리대상물(100)이 삽입 가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리대상물(100)이 변환덕트부(52)에 삽입되면, 변환회전부(51)에 의해 변환덕트부(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리대상물(100)이 뒤집힌 상태로 낙하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위치변환부(50)는 변환지지부(55)와, 변환축부(56)와, 변환판부(57)를 포함할 수 있다(도 12 참조). 이러한 위치변환부(50)는 조리대상물(100)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축이 형성되어 조리대상물(100)을 뒤집을 수 있다.
즉, 변환지지부(55)는 조리대상물(100)의 상방에 배치되고, 필요에 따라 구동되어 조리대상물(100)을 향하여 이동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변환축부(56)는 변환지지부(55)에 장착되고, 변환판부(57)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예로, 변환지지부(55)의 이동으로 변환판부(57)가 조리대상물(100)을 받쳐주면, 변환지지부(55)가 원위치로 이동되고, 변환축부(56)에 의해 변환판부(57)가 회전되면 조리대상물(100)이 뒤집혀 낙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에 추가조리부가 추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1)는 추가조리부(60)와 이동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조리부(60)는 조리부(10)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100)을 조리한다. 일예로, 추가조리부(60)는 조리부(10)와 구조가 동일하여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부(70)는 조리부(10)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100)을 추가조리부(60)로 이동시킨다. 즉, 조리부(10)에서 1차 조리 완료된 조리대상물(100)은 이동부(70)를 통해 추가조리부(60)로 이동되어 2차 조리된 다음, 후공정부(90)를 통해 후공정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위치변환부(50)는 조리부(10)와 추가조리부(6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동부(70)는 조리부(10)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100)을 뒤집어 추가조리부(60)로 공급한다. 일예로, 이동부(70)는 조리부(10)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100)을 추가조리부(60)로 실어 나르되, 이동부(70)에서 조리대상물(100)이 낙하되면서 뒤집힌 상태로 추가조리부(60)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70)는 이동컨베이어부(71)와, 이동유도부(72)를 포함한다.
이동컨베이어부(71)는 조리부(10)와 추가조리부(60)의 상방에 배치되고, 조리부(10)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100)이 추가조리부(60)에 뒤집혀 낙하되도록 유도한다. 일예로, 이동컨베이어부(71)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면서 조리대상물(100)을 옮길 수 있다. 이러한 이동컨베이어부(71)의 단부는 추가조리부(60)와 이격되므로, 이동컨베이어부(71)에서 낙하되는 조리대상물(100)이 뒤집혀서 추가조리부(60)에 안착될 수 있다.
이동유도부(72)는 조리부(10)에서 이동되는 조리대상물(100)을 이동컨베이어부(71)로 유도한다. 일예로, 조리부(10)의 상방에 이동컨베이어부(71)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조리부(10)에 안착된 조리대상물(100)은 이동유도부(72)에 의해 조리부(10)에서 이격되어 이동컨베이어부(71)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컨베이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컨베이어부(71)는 이동롤러부(711)와, 이동벨트부(712)와, 이동모터부(713)를 포함한다.
이동롤러부(711)는 한 쌍이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일예로, 이동롤러부(711)는 미도시된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이동롤러부(711) 중 어느 하나는 조리부(10)의 상방에 배치되고, 이동롤러부(711) 중 다른 하나는 추가조리부(6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조리부(10)의 상방에 배치되는 이동롤러부(711) 보다 추가조리부(60)의 상방에 배치되는 이동롤러부(711)가 더 고점에 위치될 수 있다.
이동벨트부(712)는 이동롤러부(711)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된다. 일예로, 이동벨트부(712)는 탄성을 갖는 고무벨트가 될 수 있으며, 열전도성이 우수한 체인벨트가 될 수 있다.
이동모터부(713)는 이동롤러부(711)를 회전시킨다. 일예로, 이동롤러부(711) 중 어느 하나는 이동모터부(713)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컨베이어부(71)는 이동조절부(7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조절부(714)는 이동롤러부(711)를 지지하고, 이동벨트부(712)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이동조절부(714)는 추가조리부(60)의 상방에 배치되는 이동롤러부(711)를 지지하되, 자체 길이가 가변되거나 회전을 유도하여 이동롤러부(7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조리대상물(100)의 크기나 두께에 따라 낙하지점이 조절되면 조리대상물(100)은 뒤집혀 추가조리부(60)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도부(72)는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100)을 들어 올린다. 일예로, 이동유도부(72)는 이동유도회전부(721)와, 이동유도막대부(722)와, 이동유도접촉부(7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유도회전부(721)는 이동컨베이어부(71)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동유도막대부(722)는 이동유도회전부(721)와 연동되고, 이동유도접촉부(723)는 이동유도막대부(722)의 단부에 형성되어 조리대상물(100)과 접촉될 수 있다. 일예로, 이동유도막대부(722)는 링 형상을 하여 이동유도회전부(721)에 장착되는 제1막대부(7221)와, 제1막대부(7221)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2막대부(7222)와, 제2막대부(7222)에 결합되고 조리부(10)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제3막대부(7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유도접촉부(723)는 제3막대부(7223)의 단부에 복수개가 돌출되고, 미조리된 조리대상물(100)의 상부를 찍어 올리므로 추후 조리대상물(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유도회전부(721)가 회전되면 이동유도접촉부(723)가 조리대상물(100)의 상방에서 포크와 같이 조리대상물(100)을 찍어서 이동컨베이어부(71)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육류, 해물류, 야채류, 밀가루, 물 등이 선택적으로 혼합된 조리대상물(100)을 공급저장부(21)에 투입하면, 조리대상물(100)은 공급연결부(22)를 통해 공급배출부(23)로 설정량 유입된 후 조리부(10)로 배출된다. 이때, 각각의 공급배출부(23)는 공급지지부(24)에 장착되고, 공급지지부(24)의 볼트 조임력을 느슨하게 하면 공급배출부(23)를 분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공급배출부(23)를 편리하게 분리하거나 결합하므로, 공급배출부(23)의 세척이나 교체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조리부(10)는 회전되면서 안착된 조리대상물(100)을 조리하는데, 성형부(30)는 상하 이동되면서 조리대상물(100)을 가압하여, 조리대상물(100)의 두께가 일정하도록 유도한다. 이때, 성형부(30)를 통해 에어가 분사되므로, 성형부(30)와 조리대상물(100)과의 접촉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성형부(30)에 의해 두께가 균일해진 조리대상물(100)은 조리부(10)를 통해 이동되고, 이동부(70)에 의해 추가조리부(60)로 이동되어 조리된다. 추가조리부(60)에 의해 조리 완료된 조리대상물(100)은 후공정부(90)에서 급속냉동 및 포장되어 제품화된다.
한편, 처리흡입부(41)는 조리부(10)에서 조리되고 오염된 오일을 흡입한다. 이때, 처리흡입부(41)는 공압에 의해 오일을 흡입하므로, 별도의 펌프 사용이 생략되어 이물질에 의한 설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처리흡입부(41)를 통해 흡입된 오일은 처리라인부(42)를 통해 조리부(10)로 재공되는데, 처리라인부(42)에 형성되는 처리재생부(43)는 오염된 오일을 거러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1)는 조리부(10)가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100)을 조리하여 조리 공간을 줄이고, 조리대상물(100)이 성형부(30)에 의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며, 회수처리부(40)에서 오일을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조리부 20 : 공급부
21 : 공급저장부 22 : 공급연결부
23 : 공급배출부 24 : 공급지지부
30 : 성형부 31 : 성형조절부
32 : 성형이동부 33 : 성형틀부
34 : 성형공급부 35 : 성형판부
40 : 회수처리부 41 : 처리흡입부
42 : 처리라인부 43 : 처리재생부
45 : 재생구동부 46 : 재생필터부
47 : 제1밸브부 48: 제2밸브부
50 : 위치변환부 60 : 추가조리부
70 : 이동부 71 : 이동컨베이어부
72 : 이동유도부

Claims (7)

  1.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조리부;
    상기 조리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부에 조리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조리부에서 조리되는 상기 조리대상물을 눌러주어 상기 조리대상물을 펼쳐주는 성형부; 및
    공압에 의해 상기 조리부의 오일을 회수하고, 필터링된 오일을 상기 조리부로 재공급하는 회수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조리구동부;
    상기 조리구동부에 의해 회전되고,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조리판부; 및
    상기 조리판부를 가열하는 조리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조리대상물이 저장되는 공급저장부;
    상기 공급저장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공급연결부;
    상기 공급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조리대상물을 배출하는 공급배출부; 및
    상기 조리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배출부를 지지하는 공급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처리부는
    공압에 의해 상기 조리부의 오일을 흡입하는 처리흡입부;
    상기 처리흡입부에 연결되어 오일을 안내하는 처리라인부; 및
    상기 처리라인부에 형성되고, 오일을 필터링하는 처리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흡입부는
    상기 조리부에 안착되는 흡입안착부;
    상기 흡입안착부와 상기 처리라인부를 연결하는 흡입연결부;
    상기 흡입연결부를 감싸는 흡입커버부; 및
    상기 흡입커버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흡입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에어가 상기 흡입연결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조리부의 오일을 상기 처리라인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재생부는
    상기 처리라인부에 연결되고, 제1챔버부와 제2챔버부가 구획되어 번갈아 오일의 유입 및 유출을 유도하는 재생구동부;
    상기 처리라인부에 연결되고, 상기 재생구동부에서 제공되는 오일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재생필터부;
    상기 처리라인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리부의 오일을 상기 제1챔버부로 안내하거나, 상기 제1챔버부의 오일을 상기 재생필터부로 안내하는 제1밸브부; 및
    상기 처리라인부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필터부의 오일을 상기 제2챔버부로 안내하거나, 상기 제2챔버부의 오일을 상기 조리부로 안내하는 제2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회전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추가조리부; 및
    상기 조리부에서 조리된 조리대상물을 상기 추가조리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KR1020220094702A 2022-07-29 2022-07-29 식품 제조장치 KR20240016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702A KR20240016668A (ko) 2022-07-29 2022-07-29 식품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702A KR20240016668A (ko) 2022-07-29 2022-07-29 식품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668A true KR20240016668A (ko) 2024-02-06

Family

ID=8985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702A KR20240016668A (ko) 2022-07-29 2022-07-29 식품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6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1990A (ko) 도넛츠 제조장치
EP3024334A2 (en) Moulding food products from a pumpable foodstuff mass
CN116784394A (zh) 一种青砖茶生产方法
KR20240016668A (ko) 식품 제조장치
KR20240016667A (ko) 식품 제조장치
TWI708581B (zh) 全自動化烹調系統
CN112425747A (zh) 一种食品加工用薯条生产设备
KR101934351B1 (ko) 또띠아 제조장치
CN104738208B (zh) 喷涂式豆棒卷制机
KR101912929B1 (ko) 누룽지 생산장치
CN108739904B (zh) 一种可自动上下料的烧饼烘烤机
KR20240016666A (ko) 식품 제조장치
KR20230169707A (ko) 식품 제조장치
KR20220106516A (ko) 식품 제조장치
KR20220106513A (ko) 식품 제조장치
KR20220106517A (ko) 식품 제조장치
KR20220106515A (ko) 식품 제조장치
KR20220106514A (ko) 식품 제조장치
US2186767A (en) Doughnut-making machine
CN111167548B (zh) 一种小麦冷制粉碾磙加工设备
CN204653590U (zh) 喷涂式豆棒卷制机
CN210492380U (zh) 全自动煎饼叠切机
CN104026433B (zh) 制做都卷子机
CN116554956A (zh) 一种食用油压榨工艺
CN114847473B (zh) 一种粉面合一面饼生产设备及工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