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407A - 부체 - Google Patents
부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16407A KR20240016407A KR1020247000039A KR20247000039A KR20240016407A KR 20240016407 A KR20240016407 A KR 20240016407A KR 1020247000039 A KR1020247000039 A KR 1020247000039A KR 20247000039 A KR20247000039 A KR 20247000039A KR 20240016407 A KR20240016407 A KR 202400164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ct
- ammonia
- compartment
- floating body
- damper
- Prior art date
Links
- 240000000731 Fagus sylvatica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2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2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6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8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8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2 gaseous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8 plum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54—Nitrogen compounds
- B01D53/58—Ammoni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6—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engine roo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8—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hol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10—Inorganic absorbents
- B01D2252/102—Ammoni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10—Inorganic absorbents
- B01D2252/103—Water
- B01D2252/1035—Sea wa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66—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use in transport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부체는, 부체 본체와, 상기 부체 본체에 마련되어, 암모니아 관련 기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구획과, 상기 구획에 접속되어 상기 구획의 내부와 상기 구획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덕트와, 상기 덕트를 통하여 상기 구획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구획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과, 암모니아를 흡수 가능한 흡수액을 공급하는 흡수액 공급 라인과, 상기 구획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덕트를 통하여 상기 배기팬에 의하여 배출된 공기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상기 흡수액 공급 라인에 의하여 공급된 상기 흡수액에 흡수시켜 제거 가능한 암모니아 제거부와, 적어도 상기 암모니아 제거부에서 상기 암모니아를 흡수시킨 상기 흡수액을, 상기 부체 본체가 떠있는 주위의 수중으로 방출하는 흡수액 방출 라인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부체(浮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1년 7월 8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21-113523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국제적인 탈탄소 연료에 관한 기운이 높아지고 있으며, 석탄 화력 발전소에서의 암모니아 혼소(混燒) 보일러 도입 등이 검토되고 있다. 부체에 있어서도, 주기(主機)의 연료로서 암모니아를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발전소용 연료로서의 암모니아를 운반하는 경우나, 주기의 연료로서 암모니아를 이용하는 경우에, 암모니아를 취급하는 기기를 수용하는 기기실 등의 구획에서는,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암모니아 누설이 발생한 경우, 이 누설된 암모니아가 기화되어 구획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상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기실의 경우, 살수에 의하여 암모니아를 제거하려고 하면 기기실에 수용된 기기가 침수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구획 내에 연통하는 밀폐된 덕트를 마련하여, 이 덕트 내에서 물을 살포하고, 덕트 내에서 암모니아를 물에 흡수시켜 구획 내를 부압(負壓)함으로써, 구획 외부로의 암모니아의 누출을 방지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암모니아 제외 방법에서는, 구획 외부로의 암모니아의 누출이 방지되지만, 구획 내에는 암모니아가 잔류한다. 그 때문에, 암모니아가 누출된 구획 내에 작업자가 들어가 버리면, 구획 내에 누출된 암모니아에 작업자가 접촉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개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구획 내의 기기를 침수시키지 않고 작업자가 암모니아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부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성을 채용한다.
본 개시에 관한 부체는, 부체 본체와, 상기 부체 본체에 마련되어, 암모니아 관련 기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구획과, 상기 구획에 접속되어 상기 구획의 내부와 상기 구획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덕트와, 상기 덕트를 통하여 상기 구획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구획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과, 암모니아를 흡수 가능한 흡수액을 공급하는 흡수액 공급 라인과, 상기 구획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덕트를 통하여 상기 배기팬에 의하여 배출된 공기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상기 흡수액 공급 라인에 의하여 공급된 상기 흡수액에 흡수시켜 제거 가능한 암모니아 제거부와, 적어도 상기 암모니아 제거부에서 상기 암모니아를 흡수시킨 상기 흡수액을, 상기 부체 본체가 떠있는 주위의 수중으로 방출하는 흡수액 방출 라인을 구비한다.
상기 양태의 부체에 의하면, 구획 내의 기기를 침수시키지 않고 작업자가 암모니아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부체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모니아 제거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상기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모니아 제거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2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7은 상기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2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9는 상기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모니아 제거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2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2는 상기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모니아 제거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도 2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스크러버의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모니아 제거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상기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모니아 제거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2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7은 상기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2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9는 상기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모니아 제거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2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2는 상기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모니아 제거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도 2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스크러버의 확대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부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부체의 측면도이다.
(부체의 구성)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부체(1)는, 부체 본체(2)와, 상부 구조(4)와, 연소 장치(8)와, 암모니아 탱크(10)와, 배관 계통(20)과, 구획(30)과, 암모니아 제거 시스템(4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부체(1)는, 주기 등에 의하여 항행(航行) 가능한 선박을 일례로서 설명한다. 부체(1)의 선종(船種)은, 특정 선종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체(1)의 선종으로서는, 액화 가스 운반선, 페리, RORO선, 자동차 운반선, 여객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부체 본체(2)는, 그 외각(外殼)을 이루는 한 쌍의 현측(5A, 5B)과 선저(船底)(6)를 갖고 있다. 현측(5A, 5B)은, 좌우 현측을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현측 외판을 구비한다. 선저(6)는, 이들 현측(5A, 5B)을 접속하는 선저 외판을 구비한다. 이들 한 쌍의 현측(5A, 5B) 및 선저(6)에 의하여, 부체 본체(2)의 외각은, 선수미(船首尾) 방향(F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U자상을 이루고 있다.
부체 본체(2)는, 가장 상층에 배치되는 전통(全通) 갑판인 상갑판(7)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부 구조(4)는, 이 상갑판(7)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부 구조(4) 내에는, 거주구(居住區) 등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부체(1)에서는, 예를 들면, 상부 구조(4)보다 선수미 방향(FA)의 선수(船首)(3a) 측에, 화물을 탑재하는 카고 스페이스(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연소 장치(8)는,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상기의 부체 본체(2) 내에 마련되어 있다. 연소 장치(8)로서는, 부체(1)를 추진시키기 위한 주기에 이용되는 내연 기관, 선내에 전기를 공급하는 발전 설비에 이용되는 내연 기관, 작동 유체로서의 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연소 장치(8)는, 연료로서 암모니아(이하, 연료 암모니아라고 칭한다)를 이용하고 있다.
암모니아 탱크(10)는, 연료 암모니아로서의 액화 암모니아를 저류하고 있다. 이 암모니아 탱크(10)는, 상부 구조(4)보다 선미(船尾)(3b) 측의 상갑판(7)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암모니아 탱크(10)의 배치는 일례이며, 상부 구조(4)보다 선미(3b) 측의 상갑판(7) 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배관 계통(20)은, 연소 장치(8)와 암모니아 탱크(10)를 접속하고 있다.
구획(30)은, 암모니아 관련 기기를 수용하는 구획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획(30)은, 상부 구조(4)보다 선수(3a) 측의 상갑판(7) 상에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배관 계통(20)은, 이 구획(30) 내를 경유하여 연소 장치(8)와 암모니아 탱크(10)를 접속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암모니아 관련 기기란, 암모니아를 취급하는 기기 전반을 의미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연료 암모니아를 취급하는 암모니아 연료 기기나, 화물로서의 암모니아를 취급하는 암모니아 화물 기기를 들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암모니아 연료 기기가 수용되어 있는 구획(30)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암모니아 화물 기기가 수용되어 있는 구획(30)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구획(30)은, 연료 공급 장치실이며, 배관 계통(20)의 일부를 구성하는 암모니아 연료 기기를 수용하고 있다. 연료 공급 장치실에 수용되는 암모니아 연료 기기로서는, 예를 들면 암모니아 탱크(10)로부터 연소 장치(8)로 암모니아를 압송하는 펌프나, 연소 장치(8)로 보내지는 암모니아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전동 밸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암모니아 연료 기기를 수용하는 구획(30)은,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실에 한정되지 않는다. 암모니아 연료 기기를 수용하는 구획(30)은, 예를 들면, 암모니아 연료 조압(調壓) 밸브실, 암모니아 연료 도입실(환언하면, 벙커 스테이션) 등이어도 된다.
(암모니아 제거 시스템의 구성)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모니아 제거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암모니아 제거 시스템(40)은, 덕트(41)와, 배기팬(42)과, 흡수액 공급 라인(43)과, 스크러버(암모니아 제거부)(44)와, 흡수액 방출 라인(45)과, 구획 내 센서(46)와, 방출 라인 센서(47)와, 제어 장치(48)를 구비하고 있다.
덕트(41)는, 구획(30)에 접속되어 있다. 덕트(41)는, 구획(30)의 내부와 구획(30)의 외부를 연통시키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덕트(41)는, 구획(30)에 접속되는 제1 단부(41a)와, 스크러버(44)에 접속되는 제2 단부(41b)를 갖고 있으며, 구획(30)의 내부 공간과, 스크러버(44)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고 있다. 즉, 이 덕트(41)는, 제1 단부(41a)로부터 유입된 구획(30) 내의 공기를, 제2 단부(41b)로부터 스크러버(44) 내로 유도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덕트(41)는, 제1 단부(41a) 및 제2 단부(41b) 이외로부터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기팬(42)은, 덕트(41)를 통하여 구획(30)의 내부의 공기를 구획(30)의 외부로 배출한다. 본 실시형태의 배기팬(42)은, 덕트(41)의 제1 단부(41a)로부터 제2 단부(41b)를 향하여 송풍함으로써, 구획(30)의 내부의 공기를, 구획(30)의 외부인 스크러버(44)로 배출한다. 배기팬(42)은, 덕트(41)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배기팬(42)은, 풍량을 조절 가능한 가변속팬이며, 후술하는 제어 장치(48)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기팬(42)은, 제1 단부(41a) 부근의 덕트(41)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배기팬(42)의 배치는, 상기 배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흡수액 공급 라인(43)은, 암모니아를 흡수 가능한 흡수액을 공급한다. 흡수액으로서는, 해수, 청수(淸水), 및, 이들 해수, 청수를 산성이 되도록 처리한 것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흡수액 공급 라인(43)은, 흡수액을 압송하기 위한 펌프(49)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액 공급 라인(43)은, 흡수액으로서 부체 본체(2)가 떠있는 주위의 물(예를 들면, 해수)을 공급하고 있다.
스크러버(44)는, 구획(3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구획(30)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스크러버(44)는, 배기팬(42)에 의하여 덕트(41)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흡수액 공급 라인(43)에 의하여 공급된 흡수액에 흡수시켜 제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구획(30) 내의 공기에 기화된 암모니아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스크러버(44)는, 덕트(41)를 통하여 보내진 암모니아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암모니아를 제거한다.
스크러버(44)는, 상기 흡수액을 분무하는 노즐부(50)를 갖고 있다. 이 노즐부(50)는, 스크러버(44)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노즐부(50)로부터 분무된 흡수액은, 자체중량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덕트(41)를 통하여 스크러버(44)에 공급된 공기와 접촉한다. 이 접촉에 의하여, 공기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는, 흡수액에 흡수되어 스크러버(44)의 하부에 저류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덕트(41)의 제2 단부(41b)는, 노즐부(50)보다 하방에서 스크러버(44)에 접속되어 있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제2 단부(41b)의 위치는, 내부 공간의 하부에 저류된 흡수액의 액면보다 하방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위치에 제2 단부(41b)를 접속함으로써, 덕트(41)로부터 스크러버(44)로 유입되는 공기가, 저류된 흡수액 중에 기포로서 방출된다. 그 때문에, 공기에 포함되는 암모니아가, 스크러버(44)의 내부 공간의 하부에 저류된 흡수액에 흡수된다. 그리고, 흡수액 중에 방출된 공기의 기포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액면에 도달하여 기상으로 방출되면, 노즐부(50)에 의하여 분무된 흡수액과 접촉하여, 공기에 포함되는 남은 암모니아가 흡수되게 된다.
흡수액 방출 라인(45)은, 스크러버(44)로 암모니아를 흡수시킨 흡수액을, 부체 본체(2)가 떠있는 주위의 수중으로 방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액 방출 라인(45)은, 스크러버(44)에 접속되는 제1 단부(45a)와, 부체 본체(2)의 경하(輕荷) 흘수선보다 하방의 현측(5A, 5B)이나 선저(6)에 접속되는 제2 단부(45b)를 갖고 있다. 이 흡수액 방출 라인(45)의 제1 단부(45a)는, 스크러버(44) 중 가장 하방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크러버(44)의 내압은, 배기팬(42)의 송풍에 의하여 높아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압력을 이용하여, 스크러버(44)의 하부에 저류된 암모니아를 흡수한 흡수액을,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통하여 부체 본체(2)의 외부의 수중으로 방출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통하여 부체 본체(2)의 외부의 수중으로 방출되는 것은, 스크러버(44)의 하부에 저류된 흡수액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크러버(44) 내의 흡수액과 함께, 스크러버(44) 내의 공기도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통하여 부체 본체(2)의 외부의 수중으로 방출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스크러버(44)는, 대기 방출 라인(57)과, 개폐 댐퍼(58)를 구비하고 있다. 대기 방출 라인(57)은, 예를 들면, 부체 본체(2)에 마련된 벤트 파이프(도시하지 않음) 등에 접속되고, 덕트(41)를 통하여 스크러버(44)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대기로 방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개폐 댐퍼(58)는, 대기 방출 라인(57)을 개폐한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크러버(44)의 개폐 댐퍼(58)는, 상폐(常閉)로 되어 있다. 이 개폐 댐퍼(58)는, 예를 들면, 메인터넌스 등에 의하여 후술하는 환기용 배기팬(56)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개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환기용 배기팬(56)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환기용 배기 덕트(54) 대신에 대기 방출 라인(57)을 이용하여 구획(30)의 환기를 행할 수 있다.
구획 내 센서(46)는, 구획(30)의 내부의 공기에 포함되는 암모니아(구체적으로는, 암모니아의 농도)를 검출한다. 본 실시형태의 구획 내 센서(46)는, 검출 결과의 정보를 제어 장치(48)로 출력한다.
방출 라인 센서(47)는,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암모니아(구체적으로는, 암모니아의 농도)를 검출한다. 본 실시형태의 방출 라인 센서(47)는, 상기 구획 내 센서(46)와 동일하게, 검출 결과의 정보를 제어 장치(48)로 출력한다. 또한, 작업자에게 검출된 암모니아의 농도를 알리기 위하여,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 및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를 마련해도 된다.
여기에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구획(30)에는, 구획(30) 내를 환기하기 위한 환기용 급기 덕트(53)와, 환기용 배기 덕트(5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환기용 급기 덕트(53)에는 환기용 급기 댐퍼(55)가 장착되고, 환기용 배기 덕트(54)에는 환기용 배기팬(56) 및 환기용 배기 댐퍼(59)가 장착되어 있다. 환기용 급기 덕트(53)와 환기용 배기 덕트(54)는, 모두 구획(30)의 내부와 부체 본체(2)의 외부를 연통하고 있다. 환기용 급기 댐퍼(55)는, 환기용 급기 덕트(53)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환기용 급기 덕트(53)는, 제어 장치(48)에 의하여 제어된다. 환기용 배기팬(56)은, 환기용 배기 덕트(54), 환기용 배기 댐퍼(59)를 통하여 구획(30) 내의 공기를 송출한다. 환기용 배기 댐퍼(59)는, 환기용 배기 덕트(54)를 흐르는 유체(기체)의 유량을 조절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환기용 급기 덕트(53)는, 구획(30)의 천장에 접속된 덕트(41)의 제1 단부(41a)의 위치에 대하여 구획(30)의 하부의 반대 측(환언하면, 상하에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이로써, 구획(30) 내의 공기가 효율적으로 덕트(41)로부터 구획(30) 외부로 배출 가능해진다. 환기용 배기팬(56)의 정지만으로 환기용 배기 덕트(54)의 공기의 흐름을 정지할 수 없는 경우는, 환기용 배기 덕트(54)를 개폐하는 환기용 배기 댐퍼(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하여 환기용 배기팬(56)의 정지와 함께, 환기용 배기 덕트(54)를 폐색하도록 해도 된다.
(제어 장치의 구성)
제어 장치(48)는, 암모니아 제거 시스템(40)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48)는,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제어 장치(48)는, 이 판정에 의하여,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배기팬(42)을 작동시킨다. 한편, 제어 장치(48)는,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배기팬(42)을 정지 상태로 한다. 또한, 제어 장치(48)는,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구획(30) 내에서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배기팬(42)을 작동시킴과 함께,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배기팬(42)의 풍량을 조절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제어 장치(48)는, 구획(30) 내에서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펌프(49)를 정지 상태로 하고, 흡수액 공급 라인(43)에 의한 흡수액의 공급을 정지 상태로 하는 한편, 구획(30) 내에서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펌프(49)를 구동하여 흡수액 공급 라인(43)에 의하여 스크러버(44)에 흡수액을 공급한다.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48)는, CPU(61)(Central Processing Unit), ROM(62)(Read Only Memory), RAM(63)(Random Access Memory), HDD(64)(Hard Disk Drive), 신호 송수신 모듈(65)을 구비하는 컴퓨터이다. 신호 송수신 모듈(65)은, 구획 내 센서(46),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신호를 수신한다. 또, 신호 송수신 모듈(65)은, 배기팬(42), 펌프(49) 등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상기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48)의 CPU(61)는 미리 HDD(64)나 ROM(62)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신호 수신부(71), 배기팬 제어부(72), 펌프 제어부(73), 환기용 배기 댐퍼 제어부(75), 환기용 급기 댐퍼 제어부(76), 환기용 배기팬 제어부(77), 지령 신호 출력부(78)의 각 기능 구성을 실현한다.
신호 수신부(71)는, 신호 송수신 모듈(65)을 통하여, 구획 내 센서(46), 방출 라인 센서(47)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수신한다.
배기팬 제어부(72)는, 신호 수신부(71)에서 수신한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신호 및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배기팬(42)의 작동, 정지, 및 풍량을 제어한다.
펌프 제어부(73)는, 구획 내 센서(46) 및 방출 라인 센서(47) 중 편방(片方) 또는 양방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펌프(49)의 작동 및 정지를 제어한다. 또한, 펌프(49)의 정지는, 작업자에 의한 수동으로 행하도록 해도 된다.
환기용 급기 댐퍼 제어부(76)는,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환기용 급기 댐퍼(55)의 개도(開度)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환기용 급기 댐퍼 제어부(76)는, 구획(30) 내에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구획(30) 내가 부압으로 유지되도록 환기용 급기 댐퍼(55)의 개도를 제어한다.
환기용 배기팬 제어부(77)는,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환기용 배기팬(56)의 작동 및 정지를 제어한다. 환기용 배기 댐퍼 제어부(75)는,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환기용 배기 댐퍼(59)의 개도(예를 들면, 개폐)를 제어한다.
지령 신호 출력부(78)는, 배기팬 제어부(72), 펌프 제어부(73), 환기용 배기 댐퍼 제어부(75), 환기용 급기 댐퍼 제어부(76), 환기용 배기팬 제어부(77)에 의한 각 제어를 실현하기 위하여 배기팬(42), 펌프(49), 환기용 급기 댐퍼(55), 환기용 배기팬(56)의 각각에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장치의 동작)
도 5는,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모니아 제거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다음으로, 상술한 부체(1)의 구획(30) 내의 암모니아를 제거할 때의 제어 장치(48)의 동작에 대하여 도 5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제어 장치(48)의 배기팬 제어부(72) 및 펌프 제어부(73)는,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구획(30) 내의 암모니아 농도가 소정의 제1 임곗값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01). 구획(30) 내의 암모니아 농도가 제1 임곗값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구획(30) 내에 암모니아 누설이 없기 때문에, 배기팬(42)과 펌프(49)를 정지 상태로 한다(스텝 S05). 한편, 구획(30) 내의 암모니아 농도가 제1 임곗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구획(30) 내에 암모니아 누설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팬 제어부(72)는, 배기팬(42)의 작동을 개시하고, 펌프 제어부(73)는, 펌프(49)의 작동을 개시한다(스텝 S02). 이로써, 구획(30) 내의 공기와 흡수액이 각각 스크러버(44)에 공급되고, 공기 내의 암모니아가 흡수액에 흡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구획(30) 내의 암모니아 농도가 제1 임곗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환기용 배기팬(56)을 정지 상태로 하고, 환기용 배기 댐퍼(59)를 폐색시켜, 구획(30) 내가 소정의 부압으로 유지되도록 환기용 급기 댐퍼(55)의 개도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48)의 배기팬 제어부(72)는,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흡수액의 암모니아 농도가 제2 임곗값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03). 이 판정에서는,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통하여 부체 본체(2)의 외부로 방출되는 흡수액의 암모니아 농도가, 예를 들면, 해양 방출에 관한 규칙을 충족시키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있다. 이 판정의 결과,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흡수액의 암모니아 농도가 제2 임곗값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 스텝 S01로 되돌아간다(리턴). 한편,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흡수액의 암모니아 농도가 제2 임곗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배기팬(42)의 풍량을 소정량만큼 저하시켜, 스텝 S03으로 되돌아간다. 즉,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흡수액의 암모니아 농도가 소정 미만이 될 때까지, 배기팬(42)의 풍량이 저하된다.
(작용 효과)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부체(1)는, 부체 본체(2)와, 부체 본체(2)에 마련되어, 암모니아 관련 기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구획(30)과, 구획(30)에 접속되어 구획(30)의 내부와 구획(3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덕트(41)와, 덕트(41)를 통하여 구획(30)의 내부의 공기를 구획(3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42)과, 암모니아를 흡수 가능한 흡수액을 공급하는 흡수액 공급 라인(43)과, 구획(30)의 외부에 배치되어, 덕트(41)를 통하여 배기팬(42)에 의하여 배출된 공기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흡수액 공급 라인(43)에 의하여 공급된 흡수액에 흡수시켜 제거 가능한 스크러버(44)와, 적어도 스크러버(44)로 암모니아를 흡수시킨 흡수액을, 부체 본체(2)가 떠있는 주위의 수중으로 방출하는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구획(30) 내에 누설하여 기화된 암모니아를 포함하는 공기를, 덕트(41)를 통하여 스크러버(44)에 도입하여 암모니아를 제거할 수 있다. 또, 스크러버(44)로 암모니아를 흡수한 흡수액은,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통하여 수중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흡수액에 포함된 암모니아가 다시 기화되어 대기 중에 방출되어 작업자에게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암모니아를 흡수한 흡수액이 부체 본체(2)의 내부에 남지 않기 때문에, 암모니아를 흡수한 흡수액과 작업자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구획(30) 내의 기기를 침수시키지 않고 작업자가 암모니아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부체(1)는, 구획(30)의 내부의 공기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검출 가능한 구획 내 센서(46)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구획(30) 내에 있어서의 암모니아의 누설을 검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구획(30) 내에서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한 경우에만 배기팬(42)을 동작시켜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져,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부체(1)는,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검출 가능한 방출 라인 센서(47)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암모니아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구획(30)으로부터 스크러버(44)에 도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저감시켜, 흡수액 방출 라인(45)에 의하여 배출되는 유체의 암모니아 농도가 규제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부체(1)의 배기팬(42)은, 풍량을 조절 가능한 가변속팬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예를 들면,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암모니아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암모니아 농도에 따라 배기팬(42)의 풍량을 저감시키면,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유체의 암모니아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부체(1)는,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배기팬(42)을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48)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어 장치(48)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구획(30) 내에 누설된 암모니아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제어 장치(48)는, 또한, 상기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배기팬(42)을 작동시킴과 함께,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배기팬(42)의 풍량을 조절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어 장치(48)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암모니아의 농도가 규제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제어 장치(48)는, 구획(30)의 내부의 공기를, 부체 본체(2)의 외부로 방출하는 환기용 배기팬(56) 및 환기용 배기 댐퍼(59)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환기용 배기팬(56)에 의하여 구획(30) 내의 환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체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이 제2 실시형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덕트(41)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수법이 상이할 뿐이다. 그 때문에,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2에 상당하는 도이다.
제2 실시형태의 부체(1)는, 부체 본체(2)와, 상부 구조(4)와, 연소 장치(8)와, 암모니아 탱크(10)와, 배관 계통(20)과, 구획(30)과, 암모니아 제거 시스템(240)을 구비하고 있다.
(암모니아 제거 시스템의 구성)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모니아 제거 시스템(240)은, 덕트(41)와, 배기팬(242)과, 흡수액 공급 라인(43)과, 스크러버(암모니아 제거부)(44)와, 흡수액 방출 라인(45)과, 구획 내 센서(46)와, 방출 라인 센서(47)와, 순환 덕트(81)와, 덕트 댐퍼(82)와, 순환 덕트 댐퍼(83)와, 제어 장치(248)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팬(242)은, 덕트(41)를 통하여 구획(30)의 내부의 공기를 구획(30)의 외부를 향하여 배출한다. 배기팬(242)은, 덕트(41) 중 제1 단부(41a)에 가까운 측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배기팬(242)은, 정상 운전 시에 일정한 유량을 유지하는 정속(定速) 회전의 팬이다. 이 배기팬(242)의 작동 및 정지의 전환 제어는, 제어 장치(248)에 의하여 행해진다.
순환 덕트(81)는, 구획(30)과 스크러버(44)를 연통시키는 덕트(41)에 분기 접속되어 있다. 순환 덕트(81)는, 덕트(41)를 흐르는 공기를 구획(30)으로 되돌리는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순환 덕트(81)는, 배기팬(242)과 스크러버(44)의 사이의 덕트(41)로부터 분기되어 있다.
덕트 댐퍼(82)는, 덕트(41)에 마련되어 있다. 덕트 댐퍼(82)는, 덕트(41) 내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덕트 댐퍼(82)는, 순환 덕트(81)의 분기점 P1보다 스크러버(44)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덕트 댐퍼(82)는, 제어 장치(248)에 의하여 제어된다.
순환 덕트 댐퍼(83)는, 순환 덕트(81)에 마련되어 있다. 순환 덕트 댐퍼(83)는, 순환 덕트(81) 내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순환 덕트 댐퍼(83)는, 제어 장치(248)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어 장치의 구성)
제어 장치(248)는, 암모니아 제거 시스템(240)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248)는,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제어 장치(248)는, 이 판정에 의하여,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배기팬(242)을 작동시키지 않고 정지 상태로 한다. 또한, 배기팬(242)은, 상시 작동시키도록 해도 되고, 이 경우,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 덕트 댐퍼(82)를 폐색 상태로 함과 함께 순환 덕트 댐퍼(83)를 개방 상태로 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제어 장치(248)는, 상기 판정에 의하여,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 배기팬(242) 및 펌프(49)를 작동 상태로 한다. 또한, 제어 장치(248)는,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덕트 댐퍼(82) 및 순환 덕트 댐퍼(83)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248)는,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덕트 댐퍼(82)와 순환 덕트 댐퍼(83)에 의하여, 덕트(41)에 흐르는 공기의 유량과, 순환 덕트(81)에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한다. 바꾸어 말하면, 배기팬(242)에 의하여 보내지는 공기 중, 일부를 구획(30)으로 되돌림으로써, 스크러버(44)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한다. 또한, 이 제2 실시형태의 제어 장치(248)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7은, 상기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248)의 CPU(61)는 미리 HDD(64)나 ROM(62)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신호 수신부(71), 배기팬 제어부(272), 펌프 제어부(73), 환기용 배기 댐퍼 제어부(75), 환기용 급기 댐퍼 제어부(76), 환기용 배기팬 제어부(77), 지령 신호 출력부(278), 덕트 댐퍼 제어부(79), 순환 덕트 댐퍼 제어부(80)의 각 기능 구성을 실현한다. 또한, 신호 수신부(71), 펌프 제어부(73), 환기용 배기 댐퍼 제어부(75), 환기용 급기 댐퍼 제어부(76), 환기용 배기팬 제어부(77)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제어 장치(48)와 동일하다.
배기팬 제어부(272)는, 신호 수신부(71)에서 수신한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신호 및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배기팬(242)의 작동 및 정지를 제어한다.
덕트 댐퍼 제어부(79)는,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덕트 댐퍼(82)의 개도를 제어한다.
순환 덕트 댐퍼 제어부(80)는, 덕트 댐퍼 제어부(79)에 의한 덕트 댐퍼(82)의 개도와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결과 중 편방 혹은 양방에 따라, 순환 덕트 댐퍼(83)의 개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덕트(41)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이 덕트 댐퍼(82)의 개도에 따른 유량이 되도록, 순환 덕트 댐퍼 제어부(80)는, 순환 덕트 댐퍼(83)의 개도를 제어한다.
지령 신호 출력부(278)는, 배기팬 제어부(272), 펌프 제어부(73), 환기용 배기 댐퍼 제어부(75), 환기용 급기 댐퍼 제어부(76), 환기용 배기팬 제어부(77), 덕트 댐퍼 제어부(79), 순환 덕트 댐퍼 제어부(80)에 의한 각 제어를 실현하기 위하여 배기팬(42), 펌프(49), 환기용 배기 댐퍼(59), 환기용 급기 댐퍼(55), 환기용 배기팬(56), 덕트 댐퍼(82), 순환 덕트 댐퍼(83)의 각각에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 장치(248)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스텝 S04에 있어서, 덕트 댐퍼(82)와 순환 덕트 댐퍼(83)의 각각의 개도를 변화시켜 덕트(41)를 통하여 스크러버(44)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점에서만 상이하기 때문에,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작용 효과)
상기 제2 실시형태의 부체(1)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의 부체(1)와 동일하게, 구획(30) 내에 누설하여 기화된 암모니아를 포함하는 공기를, 덕트(41)를 통하여 스크러버(44)에 도입하여 암모니아를 제거할 수 있다. 또, 스크러버(44)로 암모니아를 흡수한 흡수액은,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통하여 수중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흡수액에 포함된 암모니아가 다시 기화되어 대기 중에 방출되어 작업자에게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암모니아를 흡수한 흡수액이 부체 본체(2)의 내부에 남지 않기 때문에, 암모니아를 흡수한 흡수액과 작업자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구획(30) 내의 기기를 침수시키지 않고 작업자가 암모니아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형태의 부체(1)는, 덕트(41)에 분기 접속되어 덕트(41)를 흐르는 공기를 구획(30)으로 되돌리는 순환 덕트(81)와, 덕트(41)에 마련되어 덕트(41) 내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 가능한 덕트 댐퍼(82)와, 순환 덕트(81)에 마련되어 순환 덕트(81) 내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 가능한 순환 덕트 댐퍼(83)를 더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배기팬(242)이, 일정한 유량을 유지하는 정속팬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배기팬(242)의 풍량을 조절 불가능한 경우이더라도, 덕트(41)로부터 스크러버(44)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암모니아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순환 덕트(81)에 의하여 구획(30)으로 되돌아가는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켜, 스크러버(44)에 도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배기팬(242)으로서 정속팬을 이용하면서, 흡수액 방출 라인(45)에 의하여 배출되는 유체의 암모니아 농도가 규제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형태의 부체(1)는, 구획 내 센서(46) 및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덕트 댐퍼(82) 및 순환 덕트 댐퍼(83)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248)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 장치(248)는,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덕트 댐퍼(82)와 순환 덕트 댐퍼(83)에 의하여, 덕트(41)에 흐르는 공기의 유량과, 순환 덕트(81)에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스크러버(44)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배기팬(242)이 정속팬이더라도, 제어 장치(248)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암모니아의 농도가 규제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체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이 제3 실시형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배기팬을, 환기용 배기팬으로서 겸용하는 구성인 점에서만 상이하다. 그 때문에, 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2에 상당하는 도이다.
제3 실시형태의 부체(1)는, 부체 본체(2)와, 상부 구조(4)와, 연소 장치(8)와, 암모니아 탱크(10)와, 배관 계통(20)과, 구획(30)과, 암모니아 제거 시스템(340)을 구비하고 있다. 구획(30)에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획(30) 내를 환기하기 위한 환기용 급기 덕트(53)가 접속되어 있고, 이 환기용 급기 덕트(53)에 환기용 급기 댐퍼(55)가 마련되어 있다.
(암모니아 제거 시스템의 구성)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모니아 제거 시스템(340)은, 덕트(41)와, 배기팬(42)과, 흡수액 공급 라인(43)과, 스크러버(암모니아 제거부)(44)와, 흡수액 방출 라인(45)과, 구획 내 센서(46)와, 방출 라인 센서(47)와, 환기용 배기 덕트(354)와, 덕트 댐퍼(82)와, 배기 덕트 댐퍼(85)와, 제어 장치(348)를 구비하고 있다.
덕트(41)는, 제1 실시형태의 덕트(41)와 동일한 구성이며, 구획(30)에 접속되는 제1 단부(41a)와, 스크러버(44)에 접속되는 제2 단부(41b)를 갖고 있다. 덕트(41)는, 구획(30)의 내부 공간과, 스크러버(44)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고 있다.
배기팬(42)은, 제1 실시형태의 배기팬(42)과 동일한 구성이다. 배기팬(42)은, 제어 장치(348)에 의하여 풍량을 조절 가능한 가변속팬이다. 배기팬(42)은, 덕트(41) 중 구획(30)에 가까운 측인 제1 단부(41a) 근방에 배치되고, 덕트(41)를 통하여 구획(30)의 내부의 공기를 구획(30)의 외부로 배출한다.
환기용 배기 덕트(354)는, 덕트(41)에 분기 접속되어 있다. 환기용 배기 덕트(354)는, 덕트(41) 내의 유로와 부체 본체(2)의 외부를 연통하고, 덕트(41)를 흐르는 공기를 부체 본체(2)의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환기용 배기 덕트(354)는, 환기용 급기 덕트(53) 및 덕트(41)와 함께, 구획(30) 내를 환기하기 위한 유로를 구성하고 있다.
덕트 댐퍼(82)는, 제2 실시형태의 덕트 댐퍼(82)와 동일한 구성이며, 덕트(41)에 마련되어, 덕트(41) 내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덕트 댐퍼(82)는, 덕트(41)와 환기용 배기 덕트(354)의 분기점 P2보다 스크러버(44)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덕트 댐퍼(82)는, 제어 장치(348)에 의하여 제어된다.
배기 덕트 댐퍼(85)는, 환기용 배기 덕트(354)에 마련되어 환기용 배기 덕트(354) 내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배기 덕트 댐퍼(85)는, 제어 장치(348)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어 장치의 구성)
제어 장치(348)는, 암모니아 제거 시스템(340)을 제어한다. 제어 장치(348)는,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제어 장치(348)는, 이 판정에 의하여,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배기팬(42)의 풍량을 환기용 풍량으로 한다. 또한 제어 장치(348)는, 덕트 댐퍼(82)를 폐색 상태로 함과 함께 배기 덕트 댐퍼(85)를 개방 상태로 한다.
제어 장치(348)는, 상기 판정에 의하여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 펌프(49)를 작동 상태로 하고, 덕트 댐퍼(82)를 개방 상태로 함과 함께 배기 덕트 댐퍼(85)를 개방 상태로 한다. 또한, 이 제3 실시형태의 제어 장치(348)는,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배기팬(42)의 풍량을 조절함으로써, 스크러버(44)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한다. 또한, 이 제3 실시형태의 제어 장치(348)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9는, 상기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348)의 CPU(61)는 미리 HDD(64)나 ROM(62)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신호 수신부(71), 배기팬 제어부(372), 펌프 제어부(73), 환기용 급기 댐퍼 제어부(76), 지령 신호 출력부(378), 덕트 댐퍼 제어부(79), 배기 덕트 댐퍼 제어부(86)의 각 기능 구성을 실현한다. 또한, 신호 수신부(71), 펌프 제어부(73), 환기용 급기 댐퍼 제어부(76)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제어 장치(48)와 동일한 구성이다.
배기팬 제어부(372)는, 신호 수신부(71)에서 수신한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신호 및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배기팬(42)의 풍량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배기팬 제어부(372)는,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구획(30) 내에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구획(30) 내에 있어서의 통상의 환기를 행하는 풍량(이하, 환기 풍량이라고 함)으로 배기팬(42)을 작동시킨다. 한편, 배기팬 제어부(372)는, 구획(30) 내에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 구획(30) 내의 공기를 스크러버(44)로 보내기 위한 풍량(이하, 제거 풍량이라고 칭함)으로 배기팬(42)을 작동시킨다.
덕트 댐퍼 제어부(79)는,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덕트 댐퍼(82)의 개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덕트 댐퍼 제어부(79)는,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구획(30) 내에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 덕트 댐퍼(82)를 개방 상태(예를 들면, 완전 개방)로 한다. 한편, 구획(30) 내에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덕트 댐퍼(82)를 폐색 상태(예를 들면, 완전 폐쇄)로 한다.
배기 덕트 댐퍼 제어부(86)는,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배기 덕트 댐퍼(85)의 개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배기 덕트 댐퍼 제어부(86)는,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구획(30) 내에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 배기 덕트 댐퍼(85)를 완전 폐쇄 상태로 한다. 한편, 구획(30) 내에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배기 덕트 댐퍼(85)를 개방 상태(예를 들면, 완전 개방)로 한다.
지령 신호 출력부(378)는, 신호 수신부(71), 배기팬 제어부(372), 펌프 제어부(73), 환기용 급기 댐퍼 제어부(76), 지령 신호 출력부(378), 덕트 댐퍼 제어부(79), 배기 덕트 댐퍼 제어부(86)에 의한 각 제어를 실현하기 위하여 배기팬(42), 펌프(49), 환기용 급기 댐퍼(55), 덕트 댐퍼(82), 배기 덕트 댐퍼(85)의 각각에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장치의 동작)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모니아 제거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다음으로, 상술한 부체(1)의 구획(30) 내의 암모니아를 제거할 때의 제어 장치(348)의 동작에 대하여 도 10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제어 장치(348)의 배기팬 제어부(72), 펌프 제어부(73), 덕트 댐퍼 제어부(79), 배기 덕트 댐퍼 제어부(86)는,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구획(30) 내의 암모니아 농도가 소정 제1 임곗값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01). 구획(30) 내의 암모니아 농도가 제1 임곗값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구획(30) 내에 암모니아 누설이 없기 때문에, 덕트 댐퍼 제어부(79)는, 덕트 댐퍼(82)를 폐색 상태로 하고, 배기 덕트 댐퍼 제어부(86)는, 배기 덕트 댐퍼(85)를 개방 상태로 한다(스텝 S13). 또, 배기팬 제어부(72)는, 배기팬(42)을 환기 풍량으로 작동시킴과 함께, 펌프 제어부(73)는 펌프(49)를 정지 상태로 한다(스텝 S14). 또한, 이때, 환기용 급기 댐퍼 제어부(76)는, 환기용 급기 댐퍼(55)를 개방 상태로 한다. 이로써, 구획(30) 내가 환기된다. 그 후, 스텝 S01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 S01에 의하여, 구획(30) 내의 암모니아 농도가 소정의 제1 임곗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구획(30) 내에 암모니아가 누설되어 있기 때문에, 덕트 댐퍼 제어부(79)는, 덕트 댐퍼(82)를 개방 상태로 하고, 배기 덕트 댐퍼 제어부(86)는, 배기 덕트 댐퍼(85)를 폐색 상태로 한다(스텝 S11). 또, 배기팬 제어부(72)는, 배기팬(42)을 제거 풍량으로 작동시킴과 함께, 펌프 제어부(73)는 펌프(49)를 작동시킨다(스텝 S12). 또한, 이때, 환기용 급기 댐퍼 제어부(76)는, 환기용 급기 댐퍼(55)의 개도를 조절하여 구획(30) 내를 소정의 부압으로 유지한다. 이로써, 구획(30) 내의 공기가 스크러버(44) 내로 보내진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348)의 배기팬 제어부(72)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흡수액의 암모니아 농도가 제2 임곗값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03). 이 판정에서는,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통하여 부체 본체(2)의 외부로 방출되는 흡수액의 암모니아 농도가, 예를 들면, 해양 방출에 관한 규칙을 충족시키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있다. 이 판정의 결과,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흡수액의 암모니아 농도가 제2 임곗값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는, 스텝 S01로 되돌아간다. 한편,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흡수액의 암모니아 농도가 제2 임곗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배기팬(42)의 풍량을 소정량만큼 저하시켜, 스텝 S03으로 되돌아간다. 즉,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흡수액의 암모니아 농도가 소정 미만이 될 때까지, 배기팬(42)의 풍량이 저하된다.
(작용 효과)
상기 제3 실시형태의 부체(1)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의 부체(1)와 동일하게, 구획(30) 내에 누설하여 기화된 암모니아를 포함하는 공기를, 덕트(41)를 통하여 스크러버(44)에 도입하여 암모니아를 제거할 수 있다. 또, 스크러버(44)로 암모니아를 흡수한 흡수액은,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통하여 수중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흡수액에 포함된 암모니아가 다시 기화되어 대기 중에 방출되어 작업자에게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암모니아를 흡수한 흡수액이 부체 본체(2)의 내부에 남지 않기 때문에, 암모니아를 흡수한 흡수액과 작업자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구획(30) 내의 기기를 침수시키지 않고 작업자가 암모니아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3 실시형태의 부체(1)는, 환기용 배기 덕트(354)와, 덕트 댐퍼(82)와, 배기 덕트 댐퍼(85)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구획(30) 내와 선외를 연통하는 유로와, 구획(30) 내와 스크러버(44) 내를 연통하는 유로를, 전환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들 전환하여 이용하는 2개의 유로의 공용 부분에 배기팬(42)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배기팬(42)을 이용하여, 구획(30) 내를 환기하거나, 구획(30) 내의 공기를 스크러버(44)로 보내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환기용 팬과, 암모니아 제거용 팬을 개별적으로 마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 개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개시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체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이 제4 실시형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환기용 배기 덕트(54) 및 환기용 배기팬(56)을 생략한 것이다. 그 때문에, 이 제4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암모니아 제거 시스템의 구성)
도 11은, 본 개시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2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의 암모니아 제거 시스템(40)은, 덕트(41)와, 배기팬(42)과, 흡수액 공급 라인(43)과, 스크러버(44)와, 흡수액 방출 라인(45)과, 구획 내 센서(46)와, 방출 라인 센서(47)와, 제어 장치(448)를 구비하고 있다.
또, 구획(30)에는, 구획(30) 내를 환기하기 위한 환기용 급기 덕트(5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환기용 급기 덕트(53)에는 환기용 급기 댐퍼(55)가 장착되어 있다.
(제어 장치의 구성)
제어 장치(448)는, 구획(30) 내의 공기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스크러버(44)에 의하여 제거하는 점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제어 장치(48)와 동일한 구성이다. 한편, 제어 장치(448)는,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개폐 댐퍼(58)를 개폐 제어한다. 즉 제어 장치(448)는, 개폐 댐퍼(58)를 개방하여 덕트(41), 스크러버(44) 및 대기 방출 라인(57)을 통하여 구획(30) 내의 공기를 부체 본체(2)의 외부로 배출 가능한 상태와, 개폐 댐퍼(58)를 폐색하여, 구획(30) 내의 공기를 스크러버(44) 내로 유입시켜 암모니아를 제거하고, 흡수액 방출 라인(45)으로부터 배출하는 상태를 전환한다.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12는, 상기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448)의 CPU(61)는 미리 HDD(64)나 ROM(62)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신호 수신부(71), 배기팬 제어부(72), 펌프 제어부(73), 환기용 급기 댐퍼 제어부(76), 지령 신호 출력부(478), 개폐 댐퍼 제어부(87)의 각 기능 구성을 실현한다.
개폐 댐퍼 제어부(87)는,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개폐 댐퍼(58)의 개폐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개폐 댐퍼 제어부(87)는,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구획(30) 내에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개폐 댐퍼(58)를 폐색 상태로 한다. 한편, 개폐 댐퍼 제어부(87)는, 구획(30) 내에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 개폐 댐퍼(58)를 개방 상태로 한다.
지령 신호 출력부(478)는, 배기팬 제어부(72), 펌프 제어부(73), 환기용 급기 댐퍼 제어부(76), 개폐 댐퍼 제어부(87)에 의한 각 제어를 실현하기 위하여 배기팬(42), 펌프(49), 환기용 급기 댐퍼(55), 개폐 댐퍼(58)의 각각에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장치의 동작)
도 1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모니아 제거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다음으로, 상술한 부체(1)의 구획(30) 내의 암모니아를 제거할 때의 제어 장치(448)의 동작에 대하여 도 13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제어 장치(448)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3 실시형태의 도 10에 나타내는 플로 차트에 있어서의 스텝 S11이 스텝 S21로 치환되고, 스텝 S13이 스텝 S23으로 치환된 것뿐이다.
먼저, 제어 장치(448)의 배기팬 제어부(72), 펌프 제어부(73), 덕트 댐퍼 제어부(79), 개폐 댐퍼 제어부(87)는,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구획(30) 내의 암모니아 농도가 소정의 제1 임곗값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01). 구획(30) 내의 암모니아 농도가 제1 임곗값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구획(30) 내에 암모니아 누설이 없기 때문에, 개폐 댐퍼 제어부(87)는, 개폐 댐퍼(58)를 개방 상태로 한다(스텝 S23). 또, 배기팬 제어부(72)는, 배기팬(42)을 환기 풍량으로 작동시킴과 함께, 펌프 제어부(73)는 펌프(49)를 정지 상태로 한다(스텝 S14). 또한, 이때, 환기용 급기 댐퍼 제어부(76)는, 환기용 급기 댐퍼(55)를 개방 상태로 한다. 이로써, 환기용 급기 덕트(53), 덕트(41), 스크러버(44), 및 대기 방출 라인(57)을 통하여, 구획(30) 내가 환기된다. 그 후, 스텝 S01로 되돌아간다. 또한, 스텝 S14에서는, 펌프 제어부(73)는, 펌프(49)를 정지시키지 않고 작동을 계속시키고 있어도 된다.
한편, 스텝 S01에 의하여, 구획(30) 내의 암모니아 농도가 소정의 제1 임곗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구획(30) 내에 암모니아가 누설되어 있기 때문에, 덕트 댐퍼 제어부(79)는, 개폐 댐퍼(58)를 폐색 상태로 한다(스텝 S21). 또, 배기팬 제어부(72)는, 배기팬(42)을 제거 풍량으로 작동시킴과 함께, 펌프 제어부(73)는 펌프(49)를 작동시킨다(스텝 S12). 또한, 이때, 환기용 급기 댐퍼 제어부(76)는, 환기용 급기 댐퍼(55)의 개도를 조절하여 구획(30) 내를 소정의 부압으로 유지한다. 이로써, 구획(30) 내의 공기가 스크러버(44) 내로 보내지지만, 대기 방출 라인(57)을 통하여 대기로 방출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스텝 S03 및 스텝 S04의 설명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작용 효과)
상기 제4 실시형태의 부체(1)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의 부체(1)와 동일하게, 구획(30) 내에 누설하여 기화된 암모니아를 포함하는 공기를, 덕트(41)를 통하여 스크러버(44)에 도입하여 암모니아를 제거할 수 있다. 또, 스크러버(44)로 암모니아를 흡수한 흡수액은,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통하여 수중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흡수액에 포함된 암모니아가 다시 기화되어 대기 중에 방출되어 작업자에게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암모니아를 흡수한 흡수액이 부체 본체(2)의 내부에 남지 않기 때문에, 암모니아를 흡수한 흡수액과 작업자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구획(30) 내의 기기를 침수시키지 않고 작업자가 암모니아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4 실시형태의 제어 장치(448)는, 개폐 댐퍼(58)를 개폐 제어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하나의 배기팬(42)을 이용하여, 대기 방출 라인(57)을 환기용 배기 덕트 대신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환기용 배기 덕트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환기용 팬과, 암모니아 제거용 팬을 개별적으로 마련하거나, 환기용 배기 덕트를 마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 개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구획(30) 내를 환기하거나, 구획(30) 내의 공기를 스크러버(44)로 보내 암모니아를 제거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한 경우에, 암모니아를 포함하는 공기가 작업자와 접촉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각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
다음으로,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변형예를 도 14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이 제1 변형예는, 흡수액의 공급에 관한 구성이 상술한 각 실시형태와 상이할 뿐이기 때문에, 각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함과 함께,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1 실시형태에 본 변형예를 적용한 경우를 일례로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도 2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암모니아 제거 시스템(40)은, 덕트(41)와, 배기팬(42)과, 흡수액 공급 라인(43)과, 스크러버(44)와, 흡수액 방출 라인(45)과, 구획 내 센서(46)와, 방출 라인 센서(47)와, 제어 장치(48)와, 열교환기(88)를 구비하고 있다.
열교환기(88)는, 흡수액 공급 라인(43) 내를 흐르는 흡수액과, 외부의 열매체를 열교환하여, 흡수액을 가열 또는 냉각한다. 본 변형예의 열교환기(88)는, 예를 들면, 연료 암모니아의 냉열을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하여, 연료 암모니아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 등의 열매체와, 흡수액을 열교환하여, 흡수액의 액온을 저하시키고 있다. 여기에서, 흡수액이 온도 상승에 의하여 암모니아의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인 경우에는, 상기 열교환기(88)를 이용하여 흡수액을 가열하도록 해도 된다.
따라서, 본 제1 변형예에 의하면, 흡수액에 의한 암모니아의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펌프(49)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각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
다음으로,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변형예를 도 15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이 제2 변형예는, 스크러버의 구성이 상술한 각 실시형태와 상이할 뿐이기 때문에, 각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함과 함께,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스크러버의 확대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스크러버(244)는, 상술한 스크러버(44)와 동일하게, 구획(3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스크러버(244)는, 덕트(41)를 통하여 구획(3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흡수액 공급 라인(43)에 의하여 공급된 흡수액에 흡수시켜 제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스크러버(244)는, 스크러버 케이싱(91)과, 저액부(貯液部)(92)와, 노즐부(50)와, 내부 흡수액 공급 라인(93)을 구비하고 있다.
스크러버 케이싱(91)은, 스크러버(244)의 내부 공간(95)을 구획형성하고 있다.
저액부(92)는, 적어도 내부 공간(95)의 일부에 흡수액을 저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제2 변형예의 저액부(92)는, 스크러버 케이싱(91)과 함께, 흡수액을 저류하는 저류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 저액부(92)는, 그 상부로부터 흡수액을 오버플로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있고, 오버플로된 흡수액은, 흡수액 방출 라인(45)에 의하여 스크러버 케이싱(91)의 외부로 배출된다. 저액부(92)의 액면보다 하방에는, 덕트(41)가 접속되어 있고, 덕트(41)를 통하여 보내진 공기가 저액부(92)에 저류된 흡수액의 내부로 방출되어, 기포로서 상방을 향한다. 그리고, 저액부(92)의 액면에 도달한 공기는, 액면으로부터 내부 공간(95) 내로 방출되도록 되어 있다.
내부 흡수액 공급 라인(93)은, 노즐부(50) 및 저액부(92)에 흡수액을 공급한다. 내부 흡수액 공급 라인(93)은, 노즐부(50)로 흡수액을 공급하는 주(主)라인(93A)과, 주라인(93A)으로부터 분기하여 저액부(92)로 도달하는 분기 라인(93B)을 갖고 있다.
노즐부(50)는, 내부 공간(95)의 상부에 마련되어 흡수액을 분무한다. 노즐부(50)로부터 분무된 흡수액은, 자체중량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저액부(92)를 통하여 내부 공간(95)에 공급된 공기와 접촉한다. 이 접촉에 의하여, 공기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는, 흡수액에 흡수되어 내부 공간(95)의 하부로 도달하고, 상기 오버플로한 흡수액과 함께, 흡수액 방출 라인(45)으로부터 배출된다.
또, 제2 변형예에 있어서는, 희석수 라인(96)을 구비하고 있다. 이 희석수 라인(96)은, 희석수(예를 들면, 해수나 청수)를 희석수 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보내 흡수액 방출 라인(45)에 합류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 희석수 펌프(도시하지 않음)는, 가변 유량 타입의 펌프이며, 예를 들면, 제어 장치(48, 248, 348, 448)에 의하여 제어되고,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결과에 따른 유량의 희석수를 흡수액 방출 라인(45)에 합류시킨다. 여기에서, 희석수의 유량은, 흡수액 방출 라인(45)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출 암모니아 농도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출 암모니아 농도는, 희석수의 유량과 암모니아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암모니아 농도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또한,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희석수 라인(96)은, 적절하게 마련하면 되고, 생략해도 된다. 이 희석수 라인(96)의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희석분의 유량을 펌프(49)에 갖게 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펌프(49)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희석수 펌프(도시하지 않음)는, 가변 유량 타입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최대 유량으로 일정 유량을 공급할 수 있는 타입의 펌프여도 된다.
또, 제2 변형예에서는, 암모니아 센서로서, 흡수액 방출 라인(45)에 마련된 방출 라인 센서(47)를 일례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내부 공간(95) 중 저액부(92)를 제외한 공간에 마련된 내부 공간 센서(97)를 이용해도 된다.
또,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스크러버(244)는, 스크러버 케이싱(91)의 내부에 저액부(92)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저액부(92)는, 스크러버 케이싱(91)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저액부(92)의 오버플로관을 스크러버 케이싱(91)에 접속하고, 저액부(92)의 기상과 스크러버 케이싱(91)의 기상을 배관 등에 의하여 연통시키면 된다.
상기 제2 변형예에 의하면, 덕트(41)를 통하여 보내진 공기를, 반드시 흡수액에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암모니아를 충분히 제거할 수 없는 공기가 흡수액 방출 라인(45)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에서는, 대기 방출 라인(57), 개폐 댐퍼(58)를 생략해도 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액 방출 라인(45)에 방출 라인 센서(47)를 마련하고,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덕트(41)에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흡수액 방출 라인(45)으로부터 방출되는 유체의 암모니아 농도가 미리 충분히 낮아지도록 설계되어 있는 등으로, 흡수액 방출 라인(45)으로부터 방출되는 유체의 암모니아 농도가 규제값을 초과할 가능성이 없는 경우, 방출 라인 센서(47)를 생략하여,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결과에 근거한 제어를 행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 방출 라인 센서(47)를 마련한 경우이더라도,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결과는, 스크러버(44)에 의한 암모니아 제거가 행해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만 이용해도 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48, 248, 348, 448)에 의하여, 구획(30) 내에서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자동적으로 스크러버(44)에 의하여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 제어 장치(48, 248, 348, 448)를 생략하고, 작업자가, 예를 들면,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를 표시 장치에 의하여 육안으로 보며, 배기팬(42, 242)을 조작하는 등, 구획(30) 내의 암모니아를 제거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액 공급 라인(43)을 통하여 스크러버(44)에 흡수액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용의 펌프(49)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를 설명했다. 그러나, 흡수액을 공급하는 펌프(49)는, 부체 본체(2)에 마련된 다른 해수 또는 청수 펌프와 겸용해도 된다.
또한, 펌프(49)는,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작동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 정지 상태로 하고 있었지만, 상시 작동 상태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는, 연소 장치(8)의 배열(排熱)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연소 장치(8) 이외의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에너지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에서는, 희석수 라인(96)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이 제2 변형예의 희석수 라인(96)은, 적절히 제1 실시형태 내지 제4 실시형태, 및 제1 변형예에 대하여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제1, 제2 실시형태에서는, 환기용 급기 덕트(53), 환기용 배기팬(56), 환기용 배기 댐퍼(59), 환기용 배기 댐퍼 제어부(75), 환기용 급기 댐퍼 제어부(76), 및, 환기용 배기팬 제어부(77)를 각각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들 구성은, 적절히 생략해도 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48, 248, 348, 448)로서, 컴퓨터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를 일례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예를 들면, 릴레이 회로 등의 하드웨어에 의하여 제어 장치(48, 248, 348, 448)의 기능 구성을 실현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하여 제어 장치(48, 248, 348, 448)의 기능 구성을 실현하거나 해도 된다.
<부기(付記)>
실시형태에 기재된 부체(1)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
(1) 제1 형태에 의하면 부체(1)는, 부체 본체(2)와, 상기 부체 본체(2)에 마련되어, 암모니아 관련 기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구획(30)과, 상기 구획(30)에 접속되어 상기 구획(30)의 내부와 상기 구획(3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덕트(41)와, 상기 덕트(41)를 통하여 상기 구획(30)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구획(3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42, 242)과, 암모니아를 흡수 가능한 흡수액을 공급하는 흡수액 공급 라인(43)과, 상기 구획(30)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덕트(41)를 통하여 상기 배기팬(42, 242)에 의하여 배출된 공기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상기 흡수액 공급 라인(43)에 의하여 공급된 상기 흡수액에 흡수시켜 제거 가능한 암모니아 제거부(44)와, 상기 암모니아 제거부(44)에서 상기 암모니아를 흡수시킨 상기 흡수액과, 상기 암모니아가 제거된 상기 공기를, 상기 부체 본체(2)가 떠있는 주위의 수중으로 방출하는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구비한다.
암모니아 제거부(44)의 예로서는, 스크러버를 들 수 있다.
이로써, 구획(30) 내에 누설하여 기화된 암모니아를 포함하는 공기를, 덕트(41)를 통하여 암모니아 제거부(44)에 도입하여 암모니아를 제거할 수 있다. 또, 암모니아 제거부(44)에서 암모니아를 흡수한 흡수액은,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통하여 수중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흡수액에 포함된 암모니아가 다시 기화되어 대기 중에 방출되어 작업자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암모니아를 흡수한 흡수액이 부체 본체(2)의 내부에 남지 않기 때문에, 암모니아를 흡수한 흡수액과 작업자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구획(30) 내의 기기를 침수시키지 않고 작업자가 암모니아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 제2 양태에 관한 부체(1)는, (1)의 부체(1)이며, 상기 구획(30)의 내부의 공기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검출 가능한 구획 내 센서(46)를 구비한다.
이로써,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구획(30) 내에 있어서의 암모니아의 누설을 검출할 수 있다. 이로써, 구획(30) 내에서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한 경우에만 배기팬(42)을 동작시켜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져,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3) 제3 양태에 관한 부체(1)는, (2)의 부체(1)이며, 상기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검출 가능한 방출 라인 센서(47)를 구비한다.
이로써, 예를 들면,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암모니아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구획(30)으로부터 스크러버(44)에 도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저감시켜, 흡수액 방출 라인(45)에 의하여 배출되는 유체의 암모니아 농도가 규제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4) 제4 양태에 관한 부체(1)는, (3)의 부체(1)이며, 상기 배기팬(42)은, 풍량을 조절 가능한 가변속팬이다.
이로써, 예를 들면,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암모니아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암모니아 농도에 따라 배기팬(42)의 풍량을 저감시키면,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유체의 암모니아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5) 제5 양태에 관한 부체(1)는,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부체(1)이며, 상기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상기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배기팬(42, 242)을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48, 248, 348, 448)를 구비한다.
이로써, 제어 장치(48, 248, 348, 448)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구획(30) 내에 누설된 암모니아를 제거할 수 있다.
(6) 제6 양태에 관한 부체(1)는, (5)의 부체(1)이며, 상기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상기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배기팬(42, 242)을 작동시킴과 함께, 상기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배기팬(42, 242)의 풍량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48, 248, 348, 448)를 구비한다.
이로써, 자동적으로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암모니아의 농도가 규제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7) 제7 양태에 관한 부체(1)는, (3)의 부체(1)이며, 상기 덕트(41)에 분기 접속되어 상기 덕트(41)를 흐르는 상기 공기를 상기 구획(30)으로 되돌리는 순환 덕트(81)와, 상기 덕트(41)에 마련되어 상기 덕트(41) 내를 흐르는 상기 공기의 유량을 조절 가능한 덕트 댐퍼(82)와, 상기 순환 덕트(81)에 마련되어 상기 순환 덕트(81) 내를 흐르는 상기 공기의 유량을 조절 가능한 순환 덕트 댐퍼(83)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팬(242)은, 일정한 유량을 유지하는 정속팬이다.
이로써, 배기팬(242)의 풍량을 조절 불가능한 경우이더라도, 덕트(41)로부터 스크러버(44)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암모니아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구획(30)으로부터 스크러버(44)에 도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저감시켜, 흡수액 방출 라인(45)에 의하여 배출되는 유체의 암모니아 농도가 규제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8) 제8 양태에 관한 부체(1)는, (7)의 부체(1)이며, 상기 구획 내 센서 및 상기 방출 라인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덕트 댐퍼 및 상기 순환 덕트 댐퍼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구획 내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덕트 댐퍼를 폐색 상태로 함과 함께, 상기 순환 덕트 댐퍼를 개방 상태로 하는 한편, 상기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방출 라인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덕트 댐퍼와 상기 순환 덕트 댐퍼에 의하여, 상기 덕트에 흐르는 상기 공기의 유량과, 상기 순환 덕트에 흐르는 상기 공기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암모니아 제거부로 유입되는 상기 공기의 유량을 조절한다.
이로써, 배기팬(242)이 정속팬이더라도, 제어 장치(248)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암모니아의 농도가 규제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9) 제9 양태에 관한 부체(1)는,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부체(1)이며, 상기 구획(30)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부체 본체(2)의 외부로 방출하는 환기용 배기팬(56)을 구비한다.
이로써,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환기용 배기팬(56)에 의하여 구획(30) 내의 환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0) 제10 양태에 관한 부체(1)는, (1)의 부체(1)이며, 상기 덕트(41)에 분기 접속되어 상기 덕트(41)를 흐르는 상기 공기를 상기 부체 본체(2)의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용 배기 덕트(354)와, 상기 덕트(41)에 마련되어 상기 덕트(41) 내를 흐르는 상기 공기의 유량을 조절 가능한 덕트 댐퍼(82)와,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354)에 마련되어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354) 내를 흐르는 상기 공기의 유량을 조절 가능한 배기 덕트 댐퍼(85)를 구비한다.
이로써, 덕트(41)와 환기용 배기 덕트(354)에 의하여 구성되어 구획(30) 내와 선외를 연통하는 유로와, 덕트(41)에 의하여 구성되어 구획(30) 내와 스크러버(44) 내를 연통하는 유로를, 전환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들 전환하여 이용하는 2개의 유로의 공용 부분에 배기팬(42)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배기팬(42)을 이용하여, 구획(30) 내를 환기하거나, 구획(30) 내의 공기를 스크러버(44)로 보내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환기용 팬과, 암모니아 제거용 팬을 개별적으로 마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 개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11) 제11 양태에 관한 부체(1)는, (10)의 부체(1)이며, 상기 구획(30)의 내부의 공기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검출 가능한 구획 내 센서(46)를 구비한다.
이로써,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구획(30) 내에서의 암모니아의 누설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덕트(41)에 의하여 구성되어 구획(30) 내와 스크러버(44) 내를 연통하는 유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작업자가 암모니아에 접촉하는 것을 보다 더 억제할 수 있다.
(12) 제12 양태에 관한 부체(1)는, (11)의 부체(1)이며, 상기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덕트 댐퍼(82) 및 상기 배기 덕트 댐퍼(85)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348)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348)는, 상기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덕트 댐퍼(82)를 폐색 상태로 함과 함께 상기 배기 덕트 댐퍼(85)를 개방 상태로 하는 한편, 상기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덕트 댐퍼(82)를 개방 상태로 함과 함께 상기 배기 덕트 댐퍼(85)를 폐색 상태로 한다.
이로써, 자동적으로 구획(30) 내에 누설된 암모니아를 제거할 수 있다.
(13) 제13 양태에 관한 부체(1)는, (12)의 부체(1)이며, 상기 배기팬(42)은, 풍량을 조절 가능한 가변속팬이다.
이로써, 예를 들면,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암모니아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암모니아 농도에 따라 배기팬(42)의 풍량을 저감시키면,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유체의 암모니아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14) 제14 양태에 관한 부체(1)는, (13)의 부체(1)이며, 상기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검출 가능한 방출 라인 센서(47)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348)는, 상기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배기팬(42)의 풍량을 조절한다.
이로써, 자동적으로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암모니아의 농도가 규제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15) 제15 양태에 관한 부체(1)는, (2)의 부체(1)이며, 상기 암모니아 제거부(44)는, 상기 덕트(41)를 통하여 상기 암모니아 제거부(44)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공기를 대기로 방출 가능한 대기 방출 라인(57)과, 상기 대기 방출 라인(57)을 개폐하는 개폐 댐퍼(58)를 구비한다.
이로써, 대기 방출 라인(57)을 환기용 배기 덕트 대신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환기용 팬과, 암모니아 제거용 팬을 개별적으로 마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 개수를 저감시키면서, 구획(30) 내를 환기하거나, 구획(30) 내의 공기를 스크러버(44)로 보내 암모니아를 제거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한 경우에, 암모니아를 포함하는 공기가 작업자와 접촉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16) 제16 양태에 관한 부체(1)는, (15)의 부체(1)이며, 상기 구획 내 센서(4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개폐 댐퍼(58)를 개폐 제어하는 제어 장치(448)를 구비한다.
이로써, 자동적으로 구획(30) 내에 누설된 암모니아를 제거할 수 있다.
(17) 제17 양태에 관한 부체(1)는, (16)의 부체(1)이며, 상기 흡수액 방출 라인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검출 가능한 방출 라인 센서(47)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팬(42)은, 풍량을 조절 가능한 가변속팬이며, 상기 제어 장치(448)는, 상기 방출 라인 센서(47)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배기팬(42)의 풍량을 조절한다.
이로써, 자동적으로 흡수액 방출 라인(45)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암모니아의 농도가 규제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18) 제18 양태에 관한 부체(1)는,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의 부체(1)이며, 상기 흡수액을 가열 또는 냉각 가능한 열교환기(88)를 구비한다.
이로써, 흡수액에 의한 암모니아의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펌프(49)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1…부체
2…부체 본체
3a…선수
3b…선미
4…상부 구조
5A, 5B…현측
6…선저
7…상갑판
8…연소 장치
10…암모니아 탱크
20…배관 계통
30…구획
40, 240…암모니아 제거 시스템
41…덕트
42, 242…배기팬
43…흡수액 공급 라인
44, 244…스크러버
45…흡수액 방출 라인
46…구획 내 센서
47…방출 라인 센서
48, 248, 348, 448…제어 장치
49…펌프
50…노즐부
53…환기용 급기 덕트
54, 354…환기용 배기 덕트
55…환기용 급기 댐퍼
56…환기용 배기팬
57…대기 방출 라인
58…개폐 댐퍼
59…환기용 배기 댐퍼
61…CPU
62…ROM
63…RAM
64…HDD
65…신호 송수신 모듈
71…신호 수신부
72, 272…배기팬 제어부
73…펌프 제어부
75…환기용 배기 댐퍼 제어부
76…환기용 급기 댐퍼 제어부
77…환기용 배기팬 제어부
78, 278, 378…지령 신호 출력부
79…덕트 댐퍼 제어부
80…순환 덕트 댐퍼 제어부
81…순환 덕트
82…덕트 댐퍼
83…순환 덕트 댐퍼
85…배기 덕트 댐퍼
86…배기 덕트 댐퍼 제어부
87…개폐 댐퍼 제어부
88…열교환기
91…스크러버 케이싱
92…저액부
93…내부 흡수액 공급 라인
93A…주라인
93B…분기 라인
95…내부 공간
97…내부 공간 센서
2…부체 본체
3a…선수
3b…선미
4…상부 구조
5A, 5B…현측
6…선저
7…상갑판
8…연소 장치
10…암모니아 탱크
20…배관 계통
30…구획
40, 240…암모니아 제거 시스템
41…덕트
42, 242…배기팬
43…흡수액 공급 라인
44, 244…스크러버
45…흡수액 방출 라인
46…구획 내 센서
47…방출 라인 센서
48, 248, 348, 448…제어 장치
49…펌프
50…노즐부
53…환기용 급기 덕트
54, 354…환기용 배기 덕트
55…환기용 급기 댐퍼
56…환기용 배기팬
57…대기 방출 라인
58…개폐 댐퍼
59…환기용 배기 댐퍼
61…CPU
62…ROM
63…RAM
64…HDD
65…신호 송수신 모듈
71…신호 수신부
72, 272…배기팬 제어부
73…펌프 제어부
75…환기용 배기 댐퍼 제어부
76…환기용 급기 댐퍼 제어부
77…환기용 배기팬 제어부
78, 278, 378…지령 신호 출력부
79…덕트 댐퍼 제어부
80…순환 덕트 댐퍼 제어부
81…순환 덕트
82…덕트 댐퍼
83…순환 덕트 댐퍼
85…배기 덕트 댐퍼
86…배기 덕트 댐퍼 제어부
87…개폐 댐퍼 제어부
88…열교환기
91…스크러버 케이싱
92…저액부
93…내부 흡수액 공급 라인
93A…주라인
93B…분기 라인
95…내부 공간
97…내부 공간 센서
Claims (18)
- 부체 본체와,
상기 부체 본체에 마련되어, 암모니아 관련 기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구획과,
상기 구획에 접속되어 상기 구획의 내부와 상기 구획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덕트와,
상기 덕트를 통하여 상기 구획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구획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과,
암모니아를 흡수 가능한 흡수액을 공급하는 흡수액 공급 라인과,
상기 구획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덕트를 통하여 상기 배기팬에 의하여 배출된 공기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상기 흡수액 공급 라인에 의하여 공급된 상기 흡수액에 흡수시켜 제거 가능한 암모니아 제거부와,
적어도 상기 암모니아 제거부에서 상기 암모니아를 흡수시킨 상기 흡수액을, 상기 부체 본체가 떠있는 주위의 수중으로 방출하는 흡수액 방출 라인을 구비하는 부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의 내부의 공기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검출 가능한 구획 내 센서를 구비하는 부체.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수액 방출 라인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검출 가능한 방출 라인 센서를 구비하는 부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은, 풍량을 조절 가능한 가변속팬인 부체. -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내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상기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배기팬을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부체. -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획 내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상기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배기팬을 작동시킴과 함께, 상기 방출 라인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배기팬의 풍량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부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 분기 접속되어 상기 덕트를 흐르는 상기 공기를 상기 구획으로 되돌리는 순환 덕트와,
상기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덕트 내를 흐르는 상기 공기의 유량을 조절 가능한 덕트 댐퍼와,
상기 순환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순환 덕트 내를 흐르는 상기 공기의 유량을 조절 가능한 순환 덕트 댐퍼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팬은, 일정한 유량을 유지하는 정속팬인 부체.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획 내 센서 및 상기 방출 라인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덕트 댐퍼 및 상기 순환 덕트 댐퍼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구획 내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방출 라인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덕트 댐퍼와 상기 순환 덕트 댐퍼에 의하여, 상기 덕트에 흐르는 상기 공기의 유량과, 상기 순환 덕트에 흐르는 상기 공기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암모니아 제거부로 유입되는 상기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부체.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부체 본체의 외부로 방출하는 환기용 배기팬을 구비하는 부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 분기 접속되어 상기 덕트를 흐르는 상기 공기를 상기 부체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용 배기 덕트와,
상기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덕트 내를 흐르는 상기 공기의 유량을 조절 가능한 덕트 댐퍼와,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환기용 배기 덕트 내를 흐르는 상기 공기의 유량을 조절 가능한 배기 덕트 댐퍼를 구비하는 부체.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구획의 내부의 공기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검출 가능한 구획 내 센서를 구비하는 부체.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구획 내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덕트 댐퍼 및 상기 배기 덕트 댐퍼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덕트 댐퍼를 폐색 상태로 함과 함께 상기 배기 덕트 댐퍼를 개방 상태로 하는 한편,
상기 암모니아의 누설이 발생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덕트 댐퍼를 개방 상태로 함과 함께 상기 배기 덕트 댐퍼를 폐색 상태로 하는 부체.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은, 풍량을 조절 가능한 가변속팬인 부체.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흡수액 방출 라인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검출 가능한 방출 라인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방출 라인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배기팬의 풍량을 조절하는 부체.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암모니아 제거부는,
상기 덕트를 통하여 상기 암모니아 제거부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공기를 대기로 방출 가능한 대기 방출 라인과,
상기 대기 방출 라인을 개폐하는 개폐 댐퍼를 구비하는 부체.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개폐 댐퍼를 개폐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부체.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흡수액 방출 라인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검출 가능한 방출 라인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팬은, 풍량을 조절 가능한 가변속팬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방출 라인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배기팬의 풍량을 조절하는 부체.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액을 가열 또는 냉각 가능한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1-113523 | 2021-07-08 | ||
JP2021113523A JP2023009884A (ja) | 2021-07-08 | 2021-07-08 | 浮体 |
PCT/JP2022/018012 WO2023281896A1 (ja) | 2021-07-08 | 2022-04-18 | 浮体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6407A true KR20240016407A (ko) | 2024-02-06 |
Family
ID=84801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00039A KR20240016407A (ko) | 2021-07-08 | 2022-04-18 | 부체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4368488A4 (ko) |
JP (1) | JP2023009884A (ko) |
KR (1) | KR20240016407A (ko) |
CN (1) | CN117580761A (ko) |
WO (1) | WO2023281896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56939B2 (ja) | 2005-05-16 | 2009-11-04 | 株式会社前川製作所 | 漏洩アンモニア除害方法及び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78789B2 (ja) * | 1998-11-16 | 2000-08-21 | 株式会社前川製作所 | アンモニア冷媒を使用した船舶用冷凍/空調装置 |
JP2006026555A (ja) * | 2004-07-16 | 2006-02-02 | Hachiyo Engneering Kk | アンモニアガスの除害システム |
JP2010210129A (ja) * | 2009-03-09 | 2010-09-24 | Toyo Eng Works Ltd | 冷却システム |
JP5839791B2 (ja) * | 2010-10-14 | 2016-01-06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舶用scr還元剤供給システム |
WO2018078720A1 (ja) * | 2016-10-25 | 2018-05-03 | 今治造船株式会社 | ガス配管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船舶 |
KR20210069972A (ko) * | 2019-12-04 | 2021-06-14 | 에이치에스디엔진 주식회사 | 암모니아 공급 시스템 |
JP2021113523A (ja) | 2020-01-20 | 2021-08-05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吸気系ダクトの組付け構造 |
CN111392019B (zh) * | 2020-03-27 | 2022-04-08 | 大连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 一种清洁排放的船舶动力系统 |
CN112696289B (zh) * | 2020-12-28 | 2024-07-26 | 大连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 一种船用液氨燃料供给及燃料回收利用系统 |
-
2021
- 2021-07-08 JP JP2021113523A patent/JP2023009884A/ja active Pending
-
2022
- 2022-04-18 CN CN202280046687.5A patent/CN117580761A/zh active Pending
- 2022-04-18 WO PCT/JP2022/018012 patent/WO202328189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4-18 EP EP22837317.1A patent/EP4368488A4/en active Pending
- 2022-04-18 KR KR1020247000039A patent/KR20240016407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56939B2 (ja) | 2005-05-16 | 2009-11-04 | 株式会社前川製作所 | 漏洩アンモニア除害方法及び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368488A4 (en) | 2024-10-02 |
EP4368488A1 (en) | 2024-05-15 |
CN117580761A (zh) | 2024-02-20 |
WO2023281896A1 (ja) | 2023-01-12 |
JP2023009884A (ja) | 2023-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6581B1 (ko) |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 |
JP5839791B2 (ja) | 舶用scr還元剤供給システム | |
KR102077894B1 (ko) |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 |
WO2022210301A1 (ja) | 船舶 | |
CN111232178A (zh) | 一种利用lng船舶机舱热空气的干隔舱保温系统 | |
KR20240016407A (ko) | 부체 | |
KR20100029418A (ko) | 선박 냉각 시스템 | |
JP2003252295A (ja) | 船舶における機関室への通風装置 | |
KR20140102857A (ko) | 선박용 엔진 냉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
KR20140044090A (ko) | 외기독립추진 시스템이 탑재된 잠수함 | |
WO2023032347A1 (ja) | 浮体 | |
WO2023084962A1 (ja) | 浮体 | |
KR20180131285A (ko) | 진공압을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 |
JP2024010807A (ja) | 浮体 | |
KR20220163867A (ko) | 연료 전지선 | |
KR20240055379A (ko) | 부유식 구조물 | |
KR20240043010A (ko) | 암모니아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20240043004A (ko) | 암모니아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20180121235A (ko) | 압축공기를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 |
KR20210025345A (ko) | 배터리 룸 관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구조물 | |
KR20180121234A (ko) | 보조탱크를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