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5652A -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5652A
KR20240015652A KR1020237042458A KR20237042458A KR20240015652A KR 20240015652 A KR20240015652 A KR 20240015652A KR 1020237042458 A KR1020237042458 A KR 1020237042458A KR 20237042458 A KR20237042458 A KR 20237042458A KR 20240015652 A KR20240015652 A KR 20240015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 top
housing
top member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2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나코 키무라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15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65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01H13/706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sm between keys and layered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ergonomic functions, e.g. for miniature keyboards; characterised by operational sensory functions, e.g. sound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Liquid Crystal Substanc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전자 기기(10)는, 하우징의 제1 단부측으로부터 제2 단부측에 걸쳐서 배치되고, 조작면(14ta1, 14ta2)을 갖는 키 탑 부재(14a1, 14a2)를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조작부 중 제1 단부측에 배치된 제1 조작부에 대응하는 키 탑 부재(14a1)의 하단부로부터 조작면까지의 높이(Ta1)는, 복수의 조작부 중 제2 단부측에 배치된 제2 조작부에 대응하는 키 탑 부재(14a2)의 하단부로부터 조작면까지의 높이(Ta2)보다 높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산기(전탁)라고 불리는 전자 기기에는, 하우징 상면에 디스플레이와 키 입력부가 설치되어 있다. 키 입력부에는 복수의 키가 행렬(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키 입력부에는 각각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수치 키, 연산 키, 기능 키 등이 제공된다.
통상, 계산기와 같이 소형의 전자 기기의 경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키 입력에 따른 처리 결과를 시각적으로 인식하면서, 키 입력부의 복수의 키에 대하여 한 손으로 조작이 행해진다.
전자 기기에서는, 키 입력부에 배치된 키에 대하여 정확하게 빨리 치고, 장시간의 사용으로도 피곤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신체적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복수의 키를 계단 형상으로 한 키보드 구조(스텝 스컬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60-141035호(실용신안출원 실원59-29404호의 마이크로 필름)에서는, 키가 단차를 갖도록 구성하는 경우, 키(누름 버튼 스위치)를 지지하는 탄성 시트의 형상을 키의 위치에 따라서 변형(굴곡)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와 같이, 키를 지지하는 탄성 시트의 구성을 키마다 변형시키면, 키마다 조작성(클릭감)이 달라지기 때문에, 키를 누를 때 사용자가 위화감을 느낄 수 있다.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60-14103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높이가 각각 다르더라도 조작성의 차이가 저감된 복수의 조작부를 갖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는, 하우징의 제1 단부측으로부터 제2 단부측에 걸쳐 배치되고, 조작면을 갖는 키 탑(key top)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작부 중 상기 제1 단부측에 배치된 제1 조작부에 대응하는 상기 키 탑 부재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조작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복수의 조작부 중 상기 제2 단부측에 배치된 제2 조작부에 대응하는 상기 키 탑 부재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조작면까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이가 각각 다르더라도 조작성의 차이가 저감된 복수의 조작부를 갖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의 하측면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의 우측면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도 1에 도시된 A-A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의 제1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고무 키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도 1에 도시된 A-A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의 제2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도 1에 도시된 A-A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의 제3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도 1에 도시된 A-A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의 제4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도 1에 도시된 A-A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의 제5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도 1에 도시된 A-A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의 제6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의 도 1에 도시된 A-A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의 제7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1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10)의 평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10)의 하측면 측에서 본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10)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10)의 우측면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의 하우징 상면에는 키 입력부(11)와 표시부(12)가 설치된다. 키 입력부(11)에는 복수의 키(14), 셀렉터 스위치(15) 등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키(14)는, 예를 들면, 수치 키, 연산 키, 기능 키 등을 포함한다. 수치 키는, 예를 들면 [00] [0]~[9]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를 포함한다. 연산 키에는, 사칙 연산에 의한 통상 계산에 사용하는, 예를 들면 [+](가산) 키, [-](감산) 키, [×](곱셈) 키, [÷](나눗셈) 키, [=] (연산 실행)의 각각에 대응하는 키가 있다. 기능 키에는, 예를 들면, 올 클리어 키([AC] 키), 클리어 키([C] 키), 복수의 메모리 키([MRC][M-][M+]), 루트 키([√] 키), [%] 키 등이 있다.
셀렉터 스위치(15)는, 예를 들면 라운드 셀렉터, 소수점 셀렉터 등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의 하우징 상면의 외형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상면에는 상부측(하우징 상면의 상변측)에 표시부(12)가 마련되고, 하부측(하우징 상면의 하변측)에는 키 입력부(11)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12)는, 하우징 상면의 제1 영역(상부측)인 제1 하우징 면(12a)에 디스플레이(16)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16)는, 예를 들면,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표시면을 갖고, 하우징의 제1 단부측(도 1의 좌변측)으로부터 제1 단부측에 대향하는 제2 단부측(도 1의 우변측)에 걸쳐 배치된다.
키 입력부(11)는, 하우징 상면의 제2 영역(하부측)의 제2 하우징 면(11a)에 복수의 키(14)(조작부)가, 하우징의 제1 단부측으로부터 제2 단부측에 걸쳐서 배치된다. 복수의 키(14)는 각각의 키 탑에 조작면(14t)을 갖는다. 복수의 키(14)는, 예를 들어 하우징 상면의 상변/하변과 평행한 방향을 행 방향, 하우징 상면의 좌변/우변과 평행한 방향을 열 방향으로 하여, 각각 소정의 간격(키 피치)을 두고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10)에서는, 키 입력부(11)의 제2 하우징 면(11a)은 제1 단부측으로부터 제2 단부측의 방향, 즉, 복수의 키(14)가 배열된 행 방향으로, 탑재면(하우징의 바닥면)이 이루는 경사각이 제1 경사각(각도 θ)이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표시부(12)의 제1 하우징 면(12a)은, 탑재면(하우징 바닥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혹은 대략 수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제1 단부측으로부터 제2 단부측 방향, 즉 복수의 키(14)가 배열된 행 방향의 하우징 바닥면이 이루는 경사각이, 제1 경사각(각도 θ)과 다른 제2 경사각이 되도록 형성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의 제2 하우징 면(11a)은 하우징의 바닥면(13)에 대하여 키(14)가 배열된 행 방향으로 각도 θ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각도 θ는, 예를 들면 1°~9°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도 θ는, 예를 들면 1°~3°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전자 기기(10)의 구성은,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 입력부(11)의 제2 하우징 면(11a)이 우 경사(좌변측이 우변측보다 높다)지게 한 예를 보여준다. 즉, 제1 단부측(좌변측)에 배치된 키(14)(제1 조작부)에 있어서의 조작면(14t)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단부측(우변측)에 배치된 키(14)(제2 조작부)에 있어서의 조작면(14t)의 적어도 일부보다, 탑재면(하우징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부측에 배치된 키(14)에 있어서의 조작면(14t)의 중심부(제1 중심부)는, 제2 단부측에 배치된 키(14)에 있어서의 조작면(14t)의 중심부(제2 중심부)보다 탑재면(하우징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 기기(10)의 사용자가 오른손에 의해 조작하는 경우(오른손잡이인 사용자), 복수의 키(14)에 대하여 조작성이 좋고, 사용자가 피곤하지 않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의 사용자가 왼손에 의해 조작하는 것(왼손잡이인 사용자)을 상정하여, 키 입력부(11)의 제2 하우징 면(11a)을 좌 경사지게 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2 단부측(우변측)에 배치된 키(14)에 있어서의 조작면(14t)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단부측(좌변측)에 배치된 키(14)에 있어서의 조작면(14t)의 적어도 일부보다, 탑재면(하우징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한다.
한편, 표시부(12)의 표시면은, 제1 단부측이 제2 단부측보다도, 탑재면(하우징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아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예에서는, 표시부(12)의 제1 단(좌변)과 제2 단(우변)을 동일한 높이로 하고, 하우징 상면의 상변 측을 키 입력부(11)와 표시부(12)의 경계부보다 높게 되도록, 복수의 키(14)가 배열된 열 방향(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의 하우징은 키 입력부(11)와 표시부(12)의 경계부에서 굴곡되어, 하우징 상면의 상변측의 위치를 높게 한다. 이에 의해, 표시부(12)의 제1 하우징 면(12a)이 복수의 키(14)가 배열된 열 방향으로 경사져, 디스플레이(16)의 표시면의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복수의 키(14)(조작부)의 구성예(제1 내지 제7 구성예)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 제1 구성예
도 5는 도 1에 도시된 A-A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A-A 선 상에 배열된 복수의 키(14) 중 인접한 2 개의 키(14)만을 도시한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도 5, 도 7 내지 도 12는, 전자 기기(10)에 설치된 복수의 키(14)(조작부)의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변형하여 기재하고 있기 때문에, 도 1 내지 도 4에 기재된 구성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예에서는, 전자 기기(10)의 하우징 내의 바닥부에 있어서, 기판(22)이 하우징 바닥면(13)과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기판(22)은 복수의 키(14)를 하우징 내부에서 지지한다.
키(14)는, 예를 들면 고무 키(21a)와 키 탑(14a1, 14a2)(키 탑 부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 탑(14a1, 14a2)(키 탑 부재)은, 예를 들면 수지로 형성된다. 기판(22)의 상면에는 고무 키(21a)가 배치된다. 고무 키(21a)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형성된다. 고무 키(21a)에는, 복수의 키(14)의 키 탑(14a1, 14a2)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돔 형상의 고무 키 탑(21a1, 21a2)(고무 부재)이 형성된다.
고무 키 탑(21a1, 21a2)은 각각 키 탑(14a1, 14a2)의 하단부가 장착되는 장착부(21a11, 21a21)와, 장착부(21a11, 21a21)와 기판(24)을 이간시킨 상태에서 지지하는 지지부(21a12, 21a22)로 형성된다.
장착부(21a11, 21a22)는, 각각의 상부에 장착된 키 탑(14a1, 14a2)이 눌려졌을 때에 조작성을 갖게 하기 위해, 통상시에는 지지부(21a12, 21a22)에 의해 기판(24)과 이간되어 지지되고, 눌려졌을 때, 기판(24)과 접촉될 때까지 압입된다.
고무 키 탑(21a1, 21a2)은 키 탑(14a1, 14a2)이 눌려졌을 때의 조작성(클릭 감)이 동일하도록 공통화된다. 즉, 고무 키 탑(21a1, 21a2)은 동일한 재료(소재), 동일한 형상,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고, 질량 등이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말하는 클릭감이란, 사용자가 키 탑(14a1, 14a2)을 누르고, 고무 키 탑(21a1, 21a2)이 눌려졌을 때에 발생하는 반발력(탄성력)을 사용자가 인식했을 때 기억하는 감각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무 키(21a)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키(21a)는 도 1에 도시된 키 입력부(11)의 제2 하우징 면(11a)에 배열된 복수의 키(14)에 맞춘 위치에 복수의 고무 키 탑을 구비한다. 도 6은 A-A 선 상에 배열된 2개의 키(14)의 키 탑(14a1, 14a2)이 장착된 고무 키 탑(21a1, 21a2)을 포함한다.
고무 키 탑(21a1, 21a2)은 장착부(21a11, 21a22)를 통해 각각에 대응하는 키 탑(14a1, 14a2)이 키 스트로크 방향 (슬라이딩 방향)이 하우징 바닥면(13)(하우징 탑재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이 되도록 장착된다.
고무 키 탑(21a1, 21a2)(장착부(21a11, 21a22))의 바닥부에는 도전성 부재가 설치되고, 키 탑(14a1, 14a2)의 가압에 의해 고무 키 탑(21a1, 21a2)이 눌려졌을 때 키 누름을 검출하기 위해 기판(22)에 배선된 전극과 접촉한다.
키 탑(14a1, 14a2)은 제1 단(키 탑(14a1) 측)으로부터 제2 단(키 탑(14a2) 측)의 범위에서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바닥면(하단부)으로부터 조작면까지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도 5에서는, 키 입력부(11)의 제2 하우징 면(11a)이 오른쪽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제1 단부측에 배치된 키탑(14a1)의 바닥면으로부터 조작면(14ta1)까지의 높이 Ta1은, 제2 단부측에 배치된 키 탑(14a2)의 바닥면으로부터 조작면(14ta2)까지의 높이 Ta2보다 높게 구성된다.
따라서, 제2 하우징 면(11a)으로부터 조작면(14ta1, 14ta2)까지의 높이를 동일하게하고, 하우징 바닥면(13)(하우징 탑재면)으로부터 조작면(14ta1, 14ta2)까지의 높이를, 제2 하우징 면(11a)의 경사각 θ에 따라 계단 형상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2개의 키 탑(14a1, 14a2)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제1 단부측으로부터 제2 단부측에 걸쳐 배치되는 복수의 키 탑을 키 탑(14a1, 14a2)과 유사하게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키 탑의 조작면이 경사각 θ에 따라 계단 형상으로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키 탑의 조작면의 높이의 차이는 일정하다.
제2 하우징 면(11a)(하우징 상면)에는 복수의 키(14)에 각각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는 개구면이 하우징 바닥면(13)(하우징 탑재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연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키 탑(14a1, 14a2)은 각각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여, 통상시에는, 각각의 조작면(14ta1, 14ta2)이 제2 하우징 면(11a)보다 높은 위치가 되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키 탑(14a1, 14a2)의 측면과 개구부의 개구면은 대략 평행하게 약간의 간극을 두고 상대한다(서로 마주한다).
또한, 제2 하우징 면(11a)(하우징 상면)의 개구부로부터 키 탑(14a1, 14a2)의 슬라이딩 방향, 즉 하우징 바닥면(13)(하우징 탑재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리브(31a1, 31a2)(슬라이딩 보조 부재)가 형성된다. 리브(31a1, 31a2)의 키 탑(14a1, 14a2)과 상대하는 측면과 키 탑(14a1, 14a2)은 대략 평행하게 약간의 간극을 두고 상대한다. 리브(31a1, 31a2)는 개구부로부터 키 탑(14a1, 14a2)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키 탑(14a1, 14a2)의 슬라이딩 시에 약간의 간극의 범위에서 키 탑(14a1, 14a2)의 흔들거림을 억제한다.
제2 하우징 면(11a)(하우징 상면)이 각도 θ로 경사지고, 장착부(21a11, 21a22)의 하우징 바닥면(13)으로부터의 높이는 동일(수평)하다. 따라서, 리브(31a1, 31a2)는 제2 하우징 면(11a)의 이면측(하우징 내측)으로부터 키 탑(14a1, 14a2)의 바닥부에 형성된 고리부에 근접한 위치(또는 비 조작시 접촉하는 위치)까지의 길이가, 제1 단부측(키 탑(14a1) 측)이 제2 단부측(키 탑(14a2) 측)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리브(31a1, 31a2)의 길이는 키 탑(14a1, 14a2)이 슬라이딩하는 방향(하우징 바닥면(13)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키 탑(14a1, 14a2)의 높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키 탑(14a1, 14a2)은 각각의 리브(31a1, 31a2)에 의해 흔들거림이 억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탑(14a1, 14a2)의 조작면(14ta1, 14ta2)(상면)은 각각 바닥면(13)과 병행하도록 형성된다. 즉, 전자 기기(10)가 수평한 장소에 놓인 경우, 키 탑(14a1, 14a2)의 조작면(14ta1, 14ta2)은 각각 수평이 된다. 또한, 제1 단부측의 키 탑(14a1)으로부터 제2 단부측 방향의 키 탑(14a2)의 순서로 각각의 높이(L1, L2)가 순차적으로 낮아진다.
키 탑(14a1, 14a2)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무 키 탑(21a1, 21a2)의 가동 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스트로크 길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바닥면(13)에 대한 높이 (L1, L2)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 면(11a)의 경사각(θ)에 따라 계단 형상이 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1)는, 키 입력부(11)의 제2 하우징 면(11a)을 바닥면(13)에 대하여, 키(14)의 행 방향으로 각도 θ로 경사지게 하고, 제1 단부측에 배치된 키(14)에 있어서의 조작면(14t)을, 제2 단부측에 배치된 키(14)에 있어서의 조작면(14t)보다 높게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키(14)에 대하여 조작성이 좋고, 사용자가 피곤하지 않게 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키(14)에 있어서 고무 키(21a)(고무 키 탑(21a1, 21a2))의 구성(재질/형상(질량))을 공통화하고, 키 탑(14a1, 14a2)의 바닥면으로부터 조작면(14ta1, 14ta2)까지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하우징 바닥면(13)으로부터 키 탑(14a1, 14a2)의 조작면(14ta1, 14ta2)까지의 높이를 변경하면서 조작성의 차이를 저감할 수 있다.
(2) 제2 구성예
도 7은 도 1에 도시된 A-A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구성예는 기본적으로 제1 구성예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즉, 키(14)는, 예를 들면, 고무 키(21b)와 키 탑(14b1, 14b2)(키 탑 부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 탑(14b1, 14b2)(키 탑 부재)은, 예를 들면 수지로 형성된다. 기판(22)의 상면에는 고무 키(21b)가 배치된다. 고무 키(21b)는 상술한 고무 키(21a)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형성된다. 고무 키(21b)에는 복수의 키(14)의 키 탑(14b1, 14b2)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돔 형상의 고무 키 탑(21b1, 21b2)(고무 부재)이 형성되어 있다.
고무 키 탑(21b1, 21b2)은 제1 구성예(도 5)의 고무 키 탑(21a1, 21a2)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한, 리브(31b1, 31b2)에 대해서도, 제1 구성예(도 5)의 리브(31a1, 31a2)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키 탑(14b1, 14b2)은 제1 구성예와 마찬가지로 제1 단부측에 배치된 키 탑(14b1)의 바닥면으로부터 조작면(14tb1)까지의 높이(Tb1)가, 제2 단부측에 배치된 키 탑(14b2)의 바닥면으로부터 조작면(14tb2)까지의 높이(Tb2)보다도 높게 구성된다.
제2 구성예의 키 탑(14b1, 14b2)은 부재의 중간 빼기량을 키마다 변경하여 형성된다. 키 탑(14b1, 14b2)은 제1 구성예와 마찬가지로 제1 단(키 탑(14a1) 측)으로부터 제2 단(키 탑(14a2) 측)의 범위에서 배치된 위치에 따라, 바닥면으로부터 조작면까지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고, 제1 단부측의 키 탑(14b1) 쪽이 키 탑(14b2)보다 높다. 따라서, 부재의 중간 빼기를 하지 않으면, 키 탑(14b1) 쪽이 질량이 커진다.
제2 구성예에서는, 바닥면으로부터 조작면까지의 높이에 따라, 높을수록 부재의 중간 빼기량을 크게 함으로써, 제1 단으로부터 제2 단의 범위에 배치된 복수의 키 탑의 질량을 거의 동일하게 한다. 도 7에 도시한 예에서는, 예를 들면 키 탑(14b1)에서는, 내부의 지지 부재(41b1)를 남기고 중간 빼기를 하고, 키 탑(14b2)에서는, 키 탑(14b1)보다 많은 지지 부재(41b2)를 남기고 중간 빼기를 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키(14)에 있어서의 고무 키(21b)의 구성(재질/형상(질량))을 공통화함으로써 복수의 키(14)에 대한 조작성의 일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키 탑(14b1, 14b2)의 중간 빼기를 조정함으로써 키 탑 자체의 질량을 키 탑(14b1)과 키 탑(14b2)에서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고, 고무 키(21b)(고무 키 탑(21b1, 21b2))로의 부하를 경감시켜,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3) 제3 구성예
도 8은 도 1에 도시된 A-A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 구성예는 기본적으로 제1 구성예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즉, 키(14)는 제1 구성예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고무 키(21d)와 키 탑(14d1, 14d2)(키 탑 부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 탑(14d1, 14d2)(키 탑 부재)은, 예를 들면 수지로 형성된다. 기판(22)의 상면에는 고무 키(21d)(고무 부재)가 배치된다. 고무 키(21d)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고무 키(21d)에는 복수의 키(14)의 키 탑(14d1, 14d2)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돔 형상의 고무 키 탑(21d1, 21d2)(고무 부재)이 형성된다.
고무 키 탑(21d1, 21d2)은 제1 구성예(도 5)의 고무 키 탑(21a1, 21a2)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키 탑(14d1, 14d2)은 제1 구성예와 마찬가지로 제1 단부측에 배치된 키 탑(14d1)의 바닥면으로부터 조작면(14td1)까지의 높이 Td1이 제2 단부측에 배치된 키 탑(14d2) 의 바닥면으로부터 조작면(14td2)까지의 높이 Td2보다 높게 구성된다.
또한, 제3 구성예의 제2 하우징 면(11b)에는, 제1 구성예와 같은 리브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3 구성예에서는, 복수의 키(14)의 키 탑(14d1, 14d2)의 내측에서 그리고 고무 키 탑(21d1, 21d2)(고무 부재)의 측면이 되는 위치에, 키 탑(14d1, 14d2)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34d1, 34d2)가 형성된다. 지지 부재(34d1, 34d2)는, 예를 들면 하우징과 일체화되어 형성되고, 예를 들면 고무 키(21d)의 위로부터 하우징 바닥면(13)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키 탑(14d1, 14d2)의 내측에는 지지 부재(34d1, 34d2)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지지 부재 수용부(43d1, 43d2)를 형성하는 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 수용부(43d1, 43d2)는, 예를 들면 키 탑(14d1, 14d2)의 외주부와 키 탑(14d1, 14d2)의 축 사이에 공간을 두고, 지지 부재(34d1, 34d2)를 공간 내에서 지지한다. 키 탑(14d1, 14d2)의 축은, 예를 들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원통형 부분의 하단부(바닥면)에 고무 키 탑(21d1, 21d2)(고무 부재)이 장착된다.
키 탑(14d1, 14d2)의 외주부 하단에는, 플랜지부(42d1, 42d2)가 형성되어 있다. 키 탑(14d1, 14d2)의 외주부의 조작면(14td1, 14td2)으로부터의 길이는, 플랜지부(42d1, 42d2)가 제2 하우징 면(11a)의 이면(하우징 내측)에 근접하는 위치(또는 비조작시에 접촉하는 위치)가 되도록 형성된다.
지지 부재 수용부(43d1, 43d2)(공간)의 길이는, 키 탑(14d1, 14d2)의 높이(Td1, Td2)에 따라, 예를 들면 최대한의 길이(조작면(14td1)까지에 가까운)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 부재(34d1, 34d2)의 길이도, 키 탑(14d1, 14d2)의 높이(Td1, Td2)에 따라, 키 탑(14d1, 14d2)이 지지 부재 수용부(43d1, 43d2)(공간)에 있어서 슬라이딩 가능한 범위에서, 예를 들면 최대한의 길이로 형성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지지 부재 수용부(43d1) 쪽이 지지 부재 수용부(43d2)보다 길고, 지지 부재(34d1) 쪽이 지지 부재(34d2)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지지 부재 수용부(43d1, 43d2)와 지지 부재(34d1, 34d2)에 의해 키 탑(14d1, 14d2)이 슬라이딩(누름에 의한 스트로크)될 때에 최대한 길게 키 탑(14d1, 14d2)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키 탑(14d1, 14d2)의 흔들거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4) 제4 구성예
도 9는 도 1에 도시된 A-A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4 구성예는 기본적으로 제1 구성예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즉, 키(14)는 제1 구성예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고무 키(21e)와 키 탑(14e1, 14e2)(키 탑 부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 탑(14e1, 14e2)(키 탑 부재)은, 예를 들면 수지로 형성된다. 기판(22)의 상면에는 고무 키(21e)가 배치된다. 고무 키(21e)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형성된다. 고무 키(21e)에는, 복수의 키(14)의 키 탑(14e1, 14e2)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돔 형상의 고무 키 탑(21e1, 21e2)(고무 부재)이 형성되어 있다.
고무 키 탑(21e1, 21e2)은 제1 구성예(도 5)의 고무 키 탑(21a1, 21a2)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키 탑(14e1, 14e2)은 제1 구성예와 마찬가지로, 제1 단부측에 배치된 키 탑(14d1)의 바닥면으로부터 조작면(14te1)까지의 높이 Te1이 제2 단부측에 배치된 키 탑(14e2)의 바닥면으로부터 조작면(14te2)까지의 높이 Te2보다 높게 구성된다.
제4 구성예의 제2 하우징 면(11b)에는 제1 구성예와 같은 리브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제3 구성예와 동일). 제4 구성예에서는, 키 탑(14e1, 14e2)의 바닥부에 키 탑(14e1, 14e2)의 각각에서 높이(두께)가 다른 플랜지부(45e1, 45e2)가 형성된다.
즉, 제2 하우징 면(11b)(하우징 상면)이 각도 θ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키 탑(14e1, 14e2)의 바닥면으로부터 제2 하우징 면(11b)의 이면(하우징 내측)까지의 높이가 다르다. 플랜지부(45e1, 45e2)의 두께는, 키 탑(14e1, 14e2)의 바닥면으로부터 제2 하우징 면(11b)의 이면(하우징 내측)까지의 높이에 따라, 플랜지부(45e1, 45e2)의 상면이 제2 하우징 면(11b)의 이면(하우징 내측)과 상대하는 위치, 즉, 근접하는 위치 또는 비 조작시에 접촉하는 위치까지의 높이가 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키 탑(14e1)에 형성된 플랜지부(45e1)의 높이 Te11은 키 탑(14e2)에 형성된 플랜지부(45e2)의 높이 Te21보다 높게(두껍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구성예와 같이, 제2 하우징 면(11a)(하우징 상면)의 개구부에 리브를 형성하지 않아도 키 탑(14e1, 14e2)을 제2 하우징 면(11b)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흔들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5) 제5 구성예
제1 구성예 내지 제4 구성예에서는, 복수의 키(14)에 있어서 고무 키(고무 키 탑)의 구성(재질/형상(질량))을 공통화하고, 키 탑의 바닥면으로부터 조작면까지의 높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하우징 바닥면(13)으로부터 키 탑의 조작면까지의 높이를 다르게 하지만, 제5 구성예 내지 제7 구성예에서는 스페이서를 배치함으로써, 하우징 바닥면(13)으로부터 키 탑의 조작면까지의 높이를 변경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A-A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5 구성예는 기본적으로 제4 구성예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즉, 키(14)는 제4 구성예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고무 키(21f)와 키 탑(14f1, 14f2)(키 탑 부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 탑(14f1, 14f2)(키 탑 부재)은, 예를 들면 수지로 형성된다. 기판(22)의 상면에는 고무 키(21f)가 배치된다. 고무 키(21f)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고무 키(21f)에는, 복수의 키(14)의 키 탑(14f1, 14f2)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돔 형상의 고무 키 탑(21f1, 21f2)(고무 부재)이 형성되어 있다.
고무 키 탑(21f1, 21f2)은 제1 구성예(도 5)의 고무 키 탑(21a1, 21a2)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제 5 구성예에서는, 하우징 바닥면(13)으로부터 키 탑(14f1, 14f2)의 조작면까지의 높이(L1, L2)를 제1 구성예와 마찬가지로 계단 형상으로 하기 위해, 키 탑(14f1, 14f2)은 각각 높이가 다른 스페이서 (51f1, 52f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키 탑(14f1, 14f2)의 스페이서(51f1, 52f2)를 포함하지 않는 높이(Tf1, Tf2)는 동일하지만, 스페이서(51f1, 52f2)의 높이(Tf11, Tf21)는 높이 L1, L2의 차이에 따른 높이 차이가 제공된다.
따라서, 키 탑(14f1)의 하단부로부터 조작면(14f1)까지의 높이는 (Tf1 + Tf11)이 되고, 키 탑(14f2)의 하단부로부터 조작면(14f2)까지의 높이는 (Tf2 + Tf12)이 되어, 제1 단부측에 배치된 키 탑(14f21)쪽이 제2 단부측에 배치된 키 탑(14f2)보다 높아진다. 즉, 제5 구성예에서, 키(14)(조작부)의 하단부는 스페이서(51f1, 52f2)의 하단부를 나타낸다.
스페이서(51f1, 52f2)는, 예를 들면 탄력성이 없는 부재, 예를 들면 수지 등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키 탑(14f1, 14f2)이 눌려지고, 고무 키 탑(21f1, 21f2)의 바닥면이 기판(22)과 접촉했을 때의 조작성은, 키 탑(14f1)과 키 탑(14f2)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복수의 키(14)에 있어서, 키 탑(14f1, 14f2)을 각각 높이가 다른 스페이서(51f1, 52f2)를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하우징 바닥면(13)으로부터 키 탑(14f1, 14f2)의 조작면까지의 높이를 변경하면서, 고무 키(21f)와 키 탑(14f1, 14f2)을 공통화하여 부품의 생산 비용을 억제하는 동시에, 조작성의 차이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5 구성예에서는, 전술한 제1 구성예 내지 제4 구성예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 5 구성예와 마찬가지로 키 탑을 각각 높이가 다른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조작면까지의 높이가 다르도록 해도 좋다.
(6) 제6 구성예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A-A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6 구성예는 기본적으로 제4 구성예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즉, 키(14)는 제4 구성예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고무 키(21g)와 키 탑(14g1, 14g2)(키 탑 부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 탑(14g1, 14g2)(키 탑 부재)은, 예를 들면 수지로 형성된다. 기판(22)의 상면에는 고무 키(21g)가 배치된다. 고무 키(21g)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형성된다. 고무 키(21g)에는, 복수의 키(14)의 키 탑(14g1, 14g2)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돔 형상의 고무 키 탑(21g1, 21g2)(고무 부재)이 형성된다.
제6 구성예의 고무 키 탑(21g1, 21g2)은 장착부(21g11, 21g21)에 스페이서(52g1, 52g2)가 내포되도록 형성된다. 스페이서(52g1, 52g2)는, 고무 키(21g)와 개별적으로 형성하여 접착 등을 하는 것이 아니라, 고무 키(21g)의 성형시에 내포된다.
고무 키 탑(21g1, 21g2)은 스페이서(52g1, 52g2)를 제외하면, 제1 구성예(도 5)의 고무 키 탑(21a1, 21a2)과 질량이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스페이서(52g1, 52g2)는 각각 키 탑(14g1, 14g2)의 구성에 포함되는 것으로한다. 즉, 제6 구성예에서, 조작부(14)의 하단부는 스페이서(52g1, 52g2)의 하단부를 나타낸다.
제6 구성예에서는, 하우징 바닥면(13)으로부터 키 탑(14g1, 14g2)의 조작면까지의 높이(L1, L2)를 제1 구성예와 마찬가지로 계단 형상으로 하기 위해, 스페이서 (52g1)의 높이(Tg11)와 스페이서(52g2) 의 높이(Tg21)는 높이 L1, L2의 차에 따른 높이의 차가 제공된다.
스페이서(51g1, 52g2)는, 예를 들면 탄력성이 없는 부재, 예를 들어 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스페이서(52g1, 52g2)를 제외한 고무 키(21g)(고무 키 탑(21g1, 21g2))의 구성을 공통화하고 있다. 따라서, 키 탑(14g1, 14g2)이 눌려지고, 고무 키 탑(21g1, 21g2)의 바닥면이 기판 (22)과 접촉했을 때의 조작성에, 키 탑(14g1)과 키 탑(14g2)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복수의 키(14)에 있어서, 고무 키 탑(21g1, 21g2)에, 각각 높이가 다른 스페이서(51g1, 52g2)를 내포시킴으로써, 하우징 바닥면(13)으로부터 키 탑(14g1, 14g2)의 조작면까지의 높이를 바꾸면서, 스페이서(52g1, 52g2)를 제외한 고무 키(21g)와 키 탑(14g1, 14g2)을 공통화하여 부품의 생산 비용을 억제하는 동시에, 조작성의 차이를 저감할 수 있다.
(7) 제7 구성예
도 12는 도 1에 나타낸 A-A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7 구성예는 기본적으로 제5 구성예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즉, 키(14)는, 예를 들면 고무 키(21h)와 키 탑(14h1, 14h2)(키 탑 부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 탑(14h1, 14h2)(키 탑 부재)은, 예를 들면 수지로 형성된다.
제7 구성예에서는, 제1 단부측에 배치된 키 탑(14h1)의 바닥면으로부터 조작면까지의 높이 Th1과, 제2 단부측에 배치된 키 탑(14h2)의 바닥면으로부터 조작면까지의 높이 Th2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제7 구성예에서는, 고무 키(21h)(고무 키 탑(21h1, 21h2))의 구성(재질/형상(질량))을 공통화할 뿐만 아니라, 키 탑(14h1, 14h2)을 공통화한다.
제7 구성예에서는, 전자 기기(10)의 하우징의 바닥부에, 예를 들면 플렉서블 기판으로 형성되는 기판(220)이 설치되어 있다. 기판(220)은 복수의 키(14)를 하우징 내부에서 지지한다.
하우징의 바닥부는 제1 단부측으로부터 제2 단부측 방향으로, 복수의 키(14)가 배치되는 영역에 맞춰서 계단 형상, 즉, 제1 단부측의 영역(제1 영역) 쪽이 제2 단부측의 영역(제2 영역)보다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7 구성예에서는, 하우징 바닥면(13)으로부터 키 탑(14h1, 14h2)의 조작면까지의 높이(L1, L2)를 제1 구성예와 마찬가지로 계단 형상으로 하기 위해, 하우징 내의 바닥부를 계단 형상으로 하고 있다. 하우징 바닥면(13)으로부터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높이는, 높이 L1, L2의 차에 따른 높이의 차가 제공된다.
기판(220)은 플렉서블 기판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 내의 바닥부에, 바닥부의 형상에 맞추어 배치된다. 따라서, 하우징 바닥면으로부터 기판(220)까지의 높이는, 제1 단부측의 영역(220h1)(높이 Lh1) 쪽이 제2 단부측의 영역(220h2)(높이 Lh2)보다 높아진다(Lh1 > Lh2).
기판(220)의 상면에는 고무 키(21h)가 배치된다. 고무 키(21h)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고무 키(21h)에는 복수의 키(14)의 키 탑(14h1, 14h2)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돔 형상의 고무 키 탑(21h1, 21h2)(고무 부재)이 형성된다. 즉, 고무 키 탑(21h1)(키 탑(14h1))은 제1 단부측의 영역(제1 영역)(220h1)에 배치되고, 고무 키 탑(21h2)(키 탑(14h2))은 제2 단부측의 제1 영역보다 낮은 영역(제2 영역)(220h2)에 배치된다.
고무 키 탑(21h1, 21h2)은 제1 구성예(도 5)의 고무 키 탑(21h1, 21h2)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고무 키(21h)(고무 키 탑(21h1, 21h2))와 키 탑(14h1, 14h2)의 구성을 공통화함으로써, 조작성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하우징의 바닥을 키(14)를 배치하는 영역마다 계단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하우징 바닥면(13)으로부터 키탑(14h1, 14h2)의 조작면까지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제7 구성예에서는, 제5 구성예 또는 제6 구성예의 고무 키(고무 키 탑) 및 키 탑의 구성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원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는 다양한 단계의 발명을 포함하며, 개시된 복수의 구성 요건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다양한 발명이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 나타낸 전체 구성 요건으로부터 몇 개의 구성 요건이 삭제되거나, 몇 개의 구성 요건이 조합되어도,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란에서 설명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고, 발명의 효과 란에 기재된 효과가 얻어지는 경우에는, 이 구성 요건이 삭제되거나 조합된 구성이 발명으로서 추출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이가 각각 다르더라도 조작성의 차이가 저감된 복수의 조작부를 갖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0...전자 기기
11...키 입력부
12...표시부
13...바닥면
14...키
16...디스플레이

Claims (10)

  1. 하우징의 제1 단부측으로부터 제2 단부측에 걸쳐서 배치되고, 조작면을 갖는 키 탑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작부 중 상기 제1 단부측에 배치된 제1 조작부에 대응하는 상기 키 탑 부재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조작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복수의 조작부 중 상기 제2 단부측에 배치된 제2 조작부에 대응하는 상기 키 탑 부재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조작면까지의 높이보다 높은,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키 탑 부재를 지지하는 고무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무 부재의 형상 및 치수 및 재료는, 상기 제1 조작부와 제2 조작부에서 공통화되어 있는,
    전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측의 방향으로 하우징 상면이 탑재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상면에 상기 키 탑 부재를 상기 탑재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상면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키 탑 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기 키 탑 부재가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딩 보조 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보조 부재의 상기 슬라이딩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1 조작부 및 상기 제2 조작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키 탑 부재의 높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전자 기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부의 상기 키 탑 부재의 중간 빼기량이 상기 제2 조작부의 상기 키 탑 부재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되는,
    전자 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부에 있어서의 상기 키 탑 부재의 내측에서 그리고 상기 고무 부재의 측면이 되는 위치에, 상기 키 탑 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1 조작부와 상기 제2 조작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키 탑 부재의 높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전자 기기.
  6.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측의 방향으로 하우징 상면이 소정 각도로 탑재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상면에 상기 키 탑 부재를 상기 탑재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조작부 및 상기 제2 조작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키 탑 부재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상면의 하우징 내측과 상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조작부와 상기 제2 조작부의 상기 키 탑 부재의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상면의 하우징 내측과 상대하는 위치까지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전자 기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탑 부재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의 두께가, 상기 제2 조작부보다 상기 제1 조작부 쪽이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키 탑 부재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조작면까지의 높이가, 상기 제2 조작부보다 상기 제1 조작부 쪽이 높게 형성되는,
    전자 기기.
  8. 하우징의 제1 단부측으로부터 제2 단부측에 걸쳐서 배치되고, 조작면을 갖는 키 탑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부와,
    상기 복수의 조작부가 배치되는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작부 중 상기 제1 단부측에 배치된 제1 조작부에 대응하는 상기 키 탑 부재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조작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복수의 조작부 중 상기 제2 단부측에 배치된 제2 조작부에 대응하는 상기 키 탑 부재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조작면까지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조작부는 상기 기판의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조작부는 상기 기판의 제2 영역에 배치되며,
    하우징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기판까지의 높이는 상기 제1 영역 쪽이 상기 제2 영역보다 높도록 형성되는,
    전자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키 탑 부재를 지지하는 고무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무 부재의 형상 및 치수 및 재료는 상기 제1 조작부와 상기 제2 조작부에서 공통화되어 있는,
    전자 기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만곡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기판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자 기기.
KR1020237042458A 2022-03-16 2023-02-10 전자 기기 KR202400156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41402 2022-03-16
JP2022041402A JP7315055B1 (ja) 2022-03-16 2022-03-16 電子機器
PCT/JP2023/004588 WO2023176230A1 (ja) 2022-03-16 2023-02-10 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652A true KR20240015652A (ko) 2024-02-05

Family

ID=8742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2458A KR20240015652A (ko) 2022-03-16 2023-02-10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88230A1 (ko)
JP (3) JP7315055B1 (ko)
KR (1) KR20240015652A (ko)
CN (1) CN117529790A (ko)
TW (1) TWI840164B (ko)
WO (1) WO202317623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1035A (ja) 1983-12-28 1985-07-26 Nec Corp 対向する2局間の送信電力制御方式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9130U (ko) * 1978-12-13 1980-06-19
JPS5929404U (ja) 1982-08-17 1984-02-2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クリツプ
JPS60187431U (ja) * 1984-05-23 1985-12-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キ−ボ−ド構造
JPS6372011A (ja) * 1986-09-13 1988-04-01 ソニー株式会社 操作釦取付け装置
JP2000207986A (ja) 1999-01-20 2000-07-28 Casio Comput Co Ltd スイッチ構造
JP4597041B2 (ja) 2005-11-21 2010-12-15 株式会社リコー 操作パネル及び画像形成装置
TWM396438U (en) * 2010-08-27 2011-01-11 Silitech Technology Corp Keypress structure having keypress and touch functions
WO2012115125A1 (ja) 2011-02-23 2012-08-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入力装置
JP5477309B2 (ja) 2011-02-24 2014-04-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入力装置
JP5935408B2 (ja) 2012-03-13 2016-06-15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操作装置
WO2014042231A1 (en) 2012-09-14 2014-03-20 Pola Pharma Inc. Crystal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crystal
WO2015022966A1 (ja) 2013-08-15 2015-02-19 旭硝子株式会社 低散乱シリカガラスおよびシリカガラスの熱処理方法
TWI725672B (zh) * 2019-03-15 2021-04-21 達方電子股份有限公司 按鍵及其鍵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1035A (ja) 1983-12-28 1985-07-26 Nec Corp 対向する2局間の送信電力制御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40164B (zh) 2024-04-21
JP7315055B1 (ja) 2023-07-26
TW202347079A (zh) 2023-12-01
JP2024138151A (ja) 2024-10-07
US20240188230A1 (en) 2024-06-06
JP7533713B2 (ja) 2024-08-14
CN117529790A (zh) 2024-02-06
JP2023136009A (ja) 2023-09-29
JP2023138506A (ja) 2023-10-02
WO2023176230A1 (ja)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2821B1 (en) Key switch, keyboard and key-switch assembling jig
US6821036B2 (en) Keyboard allowing for simple, cost-effective production
US6103979A (en) Keyboard having plurality of keys therein, each key establishing different electric contacts
US8618429B2 (en) Keypad assembly, and image forming device and data processor incorporating the same
US8008593B2 (en) Switch for seesaw key
KR20130043050A (ko) 키보드 모듈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3096995A (zh) 键盘装置
KR20240015652A (ko) 전자 기기
US20060119581A1 (en) Keyboard improvements
KR100743139B1 (ko) 5방향 키 조작 장치
JPH03214522A (ja) ドームシート
TW202431066A (zh) 電子機器
JP7172487B2 (ja) キー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
US20110285630A1 (en) Electronic apparatus
EP2518593B1 (en) Keypad having a curved shape
US10559436B2 (en) Keyframe module for an input device
WO2023021828A1 (ja) 電子機器
TWI536418B (zh) The instruction of the thin keyboard triggers the structure
US20160284489A1 (en) Ultra-Thin Self-Balancing Flexible Key Switch for a Keyboard
US20220357802A1 (en) Electrical key support membrane
CN102956389A (zh) 键盘的支撑板结构及其连杆支撑结构
JPH1049275A (ja) キーボード
JP2016148987A (ja) 薄型キーボードのコマンドトリガ構成
CN105990061A (zh) 薄型键盘的按压结构
CN105118720A (zh) 具有支撑功能的弹性元件及其按键与键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