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5572A - 헤어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헤어 드라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15572A KR20240015572A KR1020230088177A KR20230088177A KR20240015572A KR 20240015572 A KR20240015572 A KR 20240015572A KR 1020230088177 A KR1020230088177 A KR 1020230088177A KR 20230088177 A KR20230088177 A KR 20230088177A KR 20240015572 A KR20240015572 A KR 202400155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p
- hair dryer
- main body
- housing
- concav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VYQRBKCKQCRYEE-UHFFFAOYSA-N ctk1a7239 Chemical compound C12=CC=CC=C2N2CC=CC3=NC=CC1=C32 VYQRBKCKQCRYEE-UHFFFAOYSA-N 0.000 abstract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761 scalp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4384 Alopec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6 Polyaceta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963 hair lo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6 hair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120 nichrom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68 polycarbonat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31 polycarbonat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과제] 굴곡부를 가늘게 할 수 있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체부(30) 및 그립부(40)를 구비하고, 그립부(40)는 본체부(3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면(16)에 직교하는 축(2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접힌 상태와 열린 상태로 굴곡되는 헤어 드라이어(10)로서, 헤어 드라이어(10)의 굴곡부(24)는, 본체부(30) 및 그립부(40) 중 일방의 하우징에 고정됨과 아울러 볼록부(52)를 가지는 제1 부재(50)와, 본체부(30) 및 그립부(40) 중 타방의 하우징에 고정됨과 아울러 오목부(62)를 가지는 제2 부재(60)를 가지고, 제1 부재(50) 및 제2 부재(60)는, 슬라이드면(16)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되고, 제1 부재(50) 및 제2 부재(60) 중 적어도 일방은, 접힌 상태와 열린 상태와의 사이를 이행할 때에 탄성 변형되고, 볼록부(52) 및 오목부(62)는 접힌 상태와 열린 상태에 있어서 감합되어, 그립부(40)의 회전을 규제한다.
[해결 수단] 본체부(30) 및 그립부(40)를 구비하고, 그립부(40)는 본체부(3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면(16)에 직교하는 축(2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접힌 상태와 열린 상태로 굴곡되는 헤어 드라이어(10)로서, 헤어 드라이어(10)의 굴곡부(24)는, 본체부(30) 및 그립부(40) 중 일방의 하우징에 고정됨과 아울러 볼록부(52)를 가지는 제1 부재(50)와, 본체부(30) 및 그립부(40) 중 타방의 하우징에 고정됨과 아울러 오목부(62)를 가지는 제2 부재(60)를 가지고, 제1 부재(50) 및 제2 부재(60)는, 슬라이드면(16)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되고, 제1 부재(50) 및 제2 부재(60) 중 적어도 일방은, 접힌 상태와 열린 상태와의 사이를 이행할 때에 탄성 변형되고, 볼록부(52) 및 오목부(62)는 접힌 상태와 열린 상태에 있어서 감합되어, 그립부(40)의 회전을 규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본체부와 그립부와의 연결 부분을 굴곡시켜 컴팩트하게 접을 수 있는 헤어 드라이어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
상기와 같은 헤어 드라이어에 있어서 굴곡부를 가늘게 하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굴곡부를 가늘게 할 수 있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어는, 본체부 및 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면에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접힌 상태와 열린 상태로 굴곡되는 헤어 드라이어로서, 상기 헤어 드라이어의 굴곡부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그립부 중 일방의 하우징에 고정됨과 아울러 볼록부를 가지는 제1 부재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그립부 중 타방의 하우징에 고정됨과 아울러 오목부를 가지는 제2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되고,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접힌 상태와 상기 열린 상태와의 사이를 이행할 때에 탄성 변형되고,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는 상기 접힌 상태 및 상기 열린 상태에 있어서 감합(嵌合, 끼워 맞춤)되어, 상기 그립부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슬라이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헤어 드라이어의 굴곡부를 가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헤어 드라이어로서,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헤어 드라이어로서,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열린 상태의 헤어 드라이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헤어 드라이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열린 상태의 굴곡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열린 상태의 굴곡부에 있어서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부재, 제2 부재, 본체 하우징 및 그립 하우징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열린 상태의 굴곡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5의 A-A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감합 상태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감합 상태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도 9와는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1은 감합 상태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감합 상태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3은 열린 상태의 굴곡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5의 B-B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2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12의 C-C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헤어 드라이어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제2 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헤어 드라이어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4에 있어서의 헤어 드라이어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제2 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0은 제어부에 의한 제1 제어 및 제2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각 사용 모드에 있어서의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헤어 드라이어로서,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열린 상태의 헤어 드라이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헤어 드라이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열린 상태의 굴곡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열린 상태의 굴곡부에 있어서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부재, 제2 부재, 본체 하우징 및 그립 하우징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열린 상태의 굴곡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5의 A-A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감합 상태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감합 상태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도 9와는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1은 감합 상태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감합 상태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3은 열린 상태의 굴곡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5의 B-B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2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12의 C-C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헤어 드라이어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제2 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헤어 드라이어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4에 있어서의 헤어 드라이어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제2 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0은 제어부에 의한 제1 제어 및 제2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각 사용 모드에 있어서의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이하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면은 상기 그립부의 연장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교차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헤어 드라이어를 접힌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와 그립부는 U자형이 된다. 사용자는 본체부와 그립부와의 사이의 U자 부분에 손을 걸어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모두 링 모양을 이루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중심부는 상기 슬라이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내주(內周)측에 전선을 라우팅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외주(外周)측에 전선을 라우팅하는 경우보다도, 헤어 드라이어의 굴곡부를 가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어의 상기 제1 부재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위치와, 상기 일방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볼록측 고정부의 위치는,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부재에 걸리는 힘을 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볼록부와의 접촉에 의해서 탄성 변위하는 변위부와, 상기 타방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오목측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오목측 고정부는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변위부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변위부는 오목측 고정부에 의해 양단 지지되기 때문에,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토크를 크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타방의 하우징은 상기 변위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변위부는, 하우징의 베이스부에 지지되기 때문에, 오목부를 가지는 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토크를 크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볼록부는 경사면을 따라서 이동하기 때문에, 그립부를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경사면과 인접한 위치에 제2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면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상기 슬라이드면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2 경사면의 경사 각도보다도 가파른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접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필요한 토크는, 접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로 하기 위해서 필요한 토크보다도 크다. 따라서, 접힌 상태 및 열린 상태를 부주의하게 해제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어는 상기 그립부를 제1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접힌 상태로부터 상기 열린 상태가 되고,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열린 상태로부터 상기 접힌 상태가 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의 하우징 및 상기 그립부의 하우징은, 상기 열린 상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부와, 상기 접힌 상태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그립부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체부의 하우징 및 그립부의 하우징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의 배선이 과도하게 꼬여 버리는 것에 의한 배선의 빠짐이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 1~도 14,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헤어 드라이어(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30), 그립부(40) 및 조작부(1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립부(40)는 본체부(30)보다도 가늘어 잡기 쉬운 형상이다. 본체부(30)의 선단에는, 바람의 취출구(11)가 마련되어 있다. 취출구(11)에는, 각종의 노즐(13)을 착탈할 수 있다. 도 1~도 3에는, 노즐(13)을 장착한 상태의 헤어 드라이어(10)를 나타내고, 도 4에는, 노즐(13)을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헤어 드라이어(10)를 나타낸다.
본체부(30)의 취출구(11)와는 반대측의 단에는, 공기의 흡기구(12)가 마련되어 있다. 흡기구(12)는 메쉬 필터에 의해서 덮여 있다. 메쉬 필터는 본체부(30)의 단면 전체와, 단면의 취출구(11)측으로 이어져 있는 둘레면 전체에 구멍을 가지고 있고, 광범위하게 공기를 흡입하도록 되어 있다. 메쉬 필터는 미세한 그물코 모양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나 모발이 인입되기 어려워져 있다.
그립부(40)는 슬라이드면(16)에 직교하는 회전축(27)(도 5 및 도 6 참조)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헤어 드라이어(10)는 그립부(40)의 회전에 의해서, 열린 상태(도 1 참조)와 접힌 상태(도 2 참조)가 된다.
헤어 드라이어(10)를 열린 상태에 있어서, 그립부(40)는 본체부(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도 1 참조). 헤어 드라이어(10)를 접힌 상태에 있어서, 그립부(40)는 본체부(30)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연출(延出)되어 있다. 헤어 드라이어(10)를 접힌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30)와 그립부(40)와의 사이에는, 그립부(40)의 굵기와 동일한 정도의 공간(17)이 비어 있다. 이 공간(17)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집어 넣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사용자는 본체부(30)와 그립부(40)와의 사이의 U자 부분에 손을 걸어 사용할 수 있다.
슬라이드면(16)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립부(40)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교차되어 있다. 슬라이드면(16)은, 측면시에 있어서, 도 1의 좌측으로부터 도 1의 우측을 향해 도 1의 하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각 도면에 있어서 슬라이드면(16)에 직교하는 방향을 Y축으로 나타내고, 슬라이드면(16)에 평행한 방향을 X축 및 Z축으로 나타낸다. X축의 정방향측은 전측, X축의 부방향측은 후측, Y축의 정방향측은 상측, Y축의 부방향측은 하측, Z축의 정방향측은 좌측, Z축의 부방향측은 우측을 나타낸다. Y축은 회전축(27)과 평행이다.
본체부(3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풍부(18), 가열부(19), 이오나이저(ionizer)(도시하지 않음), 제1 온도 센서(28), 제2 온도 센서(29) 및 제어부(21)와, 이것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 하우징(32)을 가지고 있다.
송풍부(18)는 본체 하우징(32)의 취출구(11)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송풍부(18)는 소형이고 경량인 브러시리스 DC 모터를 가지고 있다. 모터는 100,000rpm 이상의 고회전수로 구동한다. 이것에 의해, 송풍부(18)로부터 빠르고 높은 압력의 바람을 보낼 수 있다.
가열부(19)는 송풍부(18)보다도 취출구(11)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열부(19)는 송풍부(18)로부터 보내지는 바람을 가열한다. 가열부(19)는 발열체로서 예를 들면 니크롬선 등의 전열선을 가지고 있다. 발열체의 최대 소비 전력은, 1000W±5%이며, 발열체의 발열량은 소비 전력에 비례한다.
이오나이저는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한다. 마이너스 이온은 취출구(11)로부터 송풍되는 바람에 실려 사용자의 모발에 닿아, 모발의 정전기를 억제한다. 취출구(11)에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라믹이 코팅되어 있다.
제1 온도 센서(28) 및 제2 온도 센서(29)는, 예를 들면 NTC 서미스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온도 센서(28)는 송풍부(18)와 가열부(19)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온도 센서(28)는 제어부(21)의 제어 기판(21S)에 탑재되어 있다. 제1 온도 센서(28)는 흡기구(12)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외기온)를 계측하고 있다.
제2 온도 센서(29)는 본체부(30)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제2 온도 센서(29)는 본체부(30)의 선단부의 내부 온도를 계측하고 있다.
본체 하우징(32)은 풍동(風洞)부(38)를 가지고 있다. 풍동부(38)는 본체 하우징(32)의 선단부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풍동부(38)는 통 모양을 이루고 있다. 풍동부(38)는 테이퍼 형상이다. 풍동부(38)의 내주면에는, 선단을 향해 내주측으로 완만하게 기울어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풍동부(38)에 의해서, 모터가 만들어내는 바람의 속도 및 압력을 높일 수 있다.
본체부(30)에는, 돌출부(31)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31)는 본체부(30)의 일부이며 그립부(40)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31)의 밑부분은 묶여 있다(도 1 및 도 3 참조).
그립부(4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C 기판(22) 등을 수용 가능한 그립 하우징(41)을 가지고 있다. 그립부(40)는 후술하는 연결부(25)에 의해서 돌출부(31)에 연결되어 있다. 돌출부(31)의 외주면과 그립부(40)의 외주면은, 높이가 같은 면으로 되어 있다.
그립부(40)의 연장 방향의 중간부는, 연장 방향의 양단보다도 약간 굵어져 있다(도 1 및 도 3 참조). 그립부(40)의 돌출부(31)와 반대측의 단에는, 전원 코드(15)가 연장되어 있다.
본체 하우징(32) 및 그립 하우징(41)은 모두 합성 수지제이며,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본체 하우징(32)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본체 하우징(32L) 및 우측 본체 하우징(32R)을 가지고 있다. 그립 하우징(41)은 좌측 그립 하우징(41L) 및 우측 그립 하우징(41R)을 가지고 있다. 좌측 본체 하우징(32L) 및 우측 본체 하우징(32R), 그리고 좌측 그립 하우징(41L) 및 우측 그립 하우징(41R)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에 맞춤면(23)을 가지고 있다. 좌측 본체 하우징(32L) 및 우측 본체 하우징(32R), 그리고 좌측 그립 하우징(41L) 및 우측 그립 하우징(41R)은, 외면의 디자인(조작부(14)의 유무 등)을 제외하고, 맞춤면(23)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다.
조작부(14)는 제1 조작부(14F), 제2 조작부(14S) 및 제3 조작부(14T)를 가지고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14)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헤어 드라이어(10)의 기동, 정지, 풍량의 조절, 바람의 온도의 조절, 및 사용 모드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헤어 드라이어(10)의 풍량은, 강약 2단계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는, 헤어 드라이어(10)의 풍량은, 강한 바람을 불어 내는 「HIGH 모드」와, 약한 바람을 불어 내는 「LOW 모드」로 전환된다. 풍량은 송풍부(18)의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제어된다. 「HIGH 모드」에 있어서, 풍량은 0.9m3/s, 풍속은 20~26m/s이다. 「LOW 모드」에 있어서, 풍량은 0.6m3/s, 풍속은 12~18m/s이다.
헤어 드라이어(10)의 바람의 온도는, 고저 2단계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는, 헤어 드라이어(10)의 바람의 온도는, 온풍을 불어 내는 「HOT 모드」와, 냉풍을 불어 내는 「COOL 모드」로 전환된다. 헤어 드라이어(10)의 바람의 온도는, 가열부(19)의 발열체에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제어된다. 「COOL 모드」는 발열체로의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상온의 바람을 취출구(11)로부터 송풍한다.
헤어 드라이어(10)의 「HOT 모드」에 있어서, 사용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헤어 드라이어(10)의 사용 모드는 「표준 모드」, 「제1 모드」, 및 「제2 모드」로 전환된다. 「표준 모드」는 80℃~90℃의 온풍을 불어 낸다. 「제1 모드」는 제1 설정 온도 이하의 온풍을 불어 낸다. 「제2 모드」는 제2 설정 온도 이하의 온풍을 불어 낸다. 제1 설정 온도 및 제2 설정 온도는, 「표준 모드」의 바람의 온도보다도 낮다. 제1 설정 온도 및 제2 설정 온도는, 서로 다르다. 구체예로서, 제1 설정 온도는, 사용자의 모발의 표면 온도가 50℃가 되도록 상정된 온도이다. 「제1 모드」는 두피 및 모발 뿌리를 말리는데 적합한 모드이다. 제2 설정 온도는 사용자의 모발의 표면 온도가 60℃가 되도록 상정된 온도이다. 「제2 모드」는 모발 끝을 말리는데 적합한 모드이다.
제1 조작부(14F)는 그립부(40)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조작부(14F)의 조작에 의해서, 헤어 드라이어(10)의 기동, 정지, 온풍, 냉풍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조작부(14F)의 조작에 의해서, 「전원 OFF」→「COOL 모드」→「HOT 모드」로 순서대로 전환된다. 제1 조작부(14F)는 헤어 드라이어(10)를 열린 상태에서는, 그립부(40) 중 토출구(11)측의 면에 배치되고, 헤어 드라이어(10)를 접힌 상태에서는, 그립부(40) 중 본체부(30)와 반대측의 면에 배치된다(도 1 및 도 2 참조).
제2 조작부(14S) 및 제3 조작부(14T)는, 본체부(30)에 마련되어 있다. 제2 조작부(14S)의 조작에 의해서, 헤어 드라이어(10)의 풍량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조작부(14S)의 조작에 의해서, 「HIGH 모드」→「LOW 모드」로 순서대로 전환한다.
제3 조작부(14T)의 조작에 의해서, 헤어 드라이어(10)의 사용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3 조작부(14T)의 조작에 의해서, 「표준 모드」→「제1 모드」→「제2 모드」로 순서대로 전환한다. 제2 조작부(14S) 및 제3 조작부(14T)는, 본체부(30)의 우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헤어 드라이어(10)는 굴곡부(24)에서 굴곡되어, 열린 상태와 접힌 상태가 된다. 굴곡부(24)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면(16), 연결부(25), 스토퍼부(26), 제1 부재(50) 및 제2 부재(60)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면(16)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측 슬라이드부(33)와, 그립측 슬라이드부(42)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본체측 슬라이드부(33)는 돌출부(31)의 하단을 막는 벽이다. 그립측 슬라이드부(42)는 그립 하우징(41)의 상단을 막는 벽이다.
연결부(25)는 본체측 연결부(34)와 그립측 연결부(43)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본체측 연결부(34)는 본체측 슬라이드부(33)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체측 연결부(34)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한 원통 모양을 이루고 있다. 본체측 연결부(34)의 하단에는, 외주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3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립측 연결부(43)는 그립측 슬라이드부(42)에 마련되어 있다. 그립측 슬라이드부(42)에는, 연결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구멍(44)은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한 원형 모양이다. 본체측 연결부(34)는 연결구멍(44)에 감합되고, 플랜지부(35)는 연결구멍(44)의 주연부에 하측으로부터 걸린다. 그립측 슬라이드부(42) 중 연결구멍(44)의 주연부는, 그립측 연결부(43)이다. 이것에 의해서 그립부(40)와 본체부(30)는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부재(50) 및 제2 부재(6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되어 있다. 제1 부재(50) 및 제2 부재(60)는, 그립부(40)의 상단부에 수용되어 있다. 제1 부재(50)는 본체 하우징(32)에 고정되어 있다. 제2 부재(60)는 그립 하우징(41)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부재(50) 및 제2 부재(60)는 모두 합성 수지제이며, 폴리아세탈 수지 등으로 성형되어 있다. 제1 부재(50) 및 제2 부재(60)는, 모두 링 모양을 이루고 있다(도 7 참조). 제1 부재(50) 및 제2 부재(60)의 중심부는, Y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제1 부재(50) 및 제2 부재(60)의 중심부에는, 전선(W)이 배치되어 있다(도 5 참조). 전선(W)은 제1 부재(50) 및 제2 부재(60)의 중심부를 통과하여, 본체부(30)측과 그립부(40)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부재(50)는 본체측 연결부(34)에 고정되어 있다(도 7 참조). 본체측 연결부(34)의 하면에는, 제1 부재(50)를 고정하는 본체측 고정부(36)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측 고정부(36)는 본체측 연결부(34)의 하면에 있어서 상측으로 패여 있다. 본체측 고정부(36)는 좌측 본체 하우징(32L)과 우측 본체 하우징(32R)에 2개씩 마련되어 있다. 도 7에는, 좌측 본체 하우징(32L)만을 나타내고 있다.
제2 부재(60)는 그립부(4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립부(40)의 상단부에는, 제2 부재(60)를 고정하는 그립측 고정부(4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립측 고정부(45)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한 쌍의 측벽(46), 및 하벽(47)을 가지고 있다. 측벽(46) 및 하벽(47)은, 그립 하우징(41)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립측 고정부(45)는 좌측 그립 하우징(41L) 및 우측 그립 하우징(41R) 모두에 마련되어 있다(도 13 참조).
헤어 드라이어(1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립부(40)를 제1 방향(R1)으로 회전함으로써, 접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가 되고, 제1 방향(R1)과는 반대인 제2 방향(R2)으로 회전함으로써, 열린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가 된다. 제1 방향(R1)은 하측에서 보아 시계 방향이다. 제2 방향(R2)은 하측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이다. 그립부(40)의 회전은, 스토퍼부(26)에 의해서 최대 180도로 제한되어 있다.
스토퍼부(26)는 본체측 스토퍼부(37)와 그립측 스토퍼부(48)를 가지고 있다. 본체측 스토퍼부(37)는 본체측 연결부(34)에 1개 마련되어 있다. 본체측 스토퍼부(37)는 플랜지부(35)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외주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립측 스토퍼부(48)는 그립부(40)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있다(도 6 참조). 그립측 스토퍼부(48)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그립 하우징(41L) 및 우측 그립 하우징(41R) 모두에 마련되어 있다. 헤어 드라이어(10)가 열린 상태에서는, 본체측 스토퍼부(37)와 좌측 그립 하우징(41L)의 그립측 스토퍼부(48)가 닿는 것에 의해서, 그립부(40)의 제1 방향(R1)으로의 회전은 제한된다. 헤어 드라이어(10)가 접힌 상태에서는, 본체측 스토퍼부(37)와 우측 그립 하우징(41R)의 그립측 스토퍼부(48)가 닿는 것에 의해서, 그립부(40)의 제2 방향(R2)으로의 회전은 제한된다. 본체측 스토퍼부(37)와, 좌측 그립 하우징(41L)의 그립측 스토퍼부(48)는, 제1 스토퍼부를 구성한다. 본체측 스토퍼부(37)와, 우측 그립 하우징(41R)의 그립측 스토퍼부(48)는, 제2 스토퍼부를 구성한다.
제1 부재(50)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상부(環狀部)(51)와, 볼록부(52)와, 볼록측 고정부(53)를 가지고 있다. 환상부(51)의 두께 치수는 대체로 일정하다. 환상부(51)의 상면과 하면은 대략 평행이다.
볼록부(52)는 환상부(51)의 하면에 마련되어,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볼록부(52)는 2개 마련되어 있다. 2개의 볼록부(52)는 회전축(27)을 기준으로 180도 반대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도 11 참조). 2개의 볼록부(52)는 회전축(27)을 기준으로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볼록측 고정부(53)는 환상부(51)의 상면에 마련되어,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볼록측 고정부(53)는 4개 마련되어 있다(도 11 참조). 볼록측 고정부(53)는 각각 각기둥 모양을 이루고 있다. 볼록측 고정부(53)는 본체측 고정부(36)에 감합된다. 이것에 의해, 제1 부재(50)는 슬라이드면(16)에 평행한 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
볼록부(52)의 위치와, 볼록측 고정부(53)의 위치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이후, 간단하게 둘레 방향이라고 함.)으로 어긋나 있다. 볼록부(52) 및 볼록측 고정부(53)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등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볼록부(52) 및 볼록측 고정부(53)는 환상부(51) 중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 방향(이후, 간단하게 지름 방향이라고 함.)에 있어서 중심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부재(60)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상부(61)와, 오목부(62)와, 변위부(63)와, 오목측 고정부(64)를 가지고 있다. 환상부(61)는, 평면시에 있어서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한 환상을 이루고 있다(도 11 참조). 환상부(61)의 외경 치수는, 제1 부재(50)의 환상부(51)의 외경 치수보다도 작다. 환상부(61)의 내경 치수는, 환상부(51)의 내경 치수보다도 크다. 평면시에 있어서, 환상부(61)의 전체는, 환상부(51)와 겹쳐 있다. 환상부(61)의 폭치수(61W)는, 환상부(51)의 폭치수(51W)보다도 작다(도 12 참조). 환상부(61)의 폭치수(61W) 및 환상부(51)의 폭치수(51W)는 모두 지름 방향의 치수이다.
오목부(62)는 2개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62)는 둘레 방향으로 늘어선 2개의 산부(65)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62)는 인접하는 산부(65)의 꼭대기부(66)로부터 오목부(62)의 최하점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67)을 가지고 있다. 오목부(62)의 최하점의 양측의 경사면(67)은, 오목부(62)의 최하점을 기준으로 대칭이며, 동등한 경사 각도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62)의 깊이 치수는, 볼록부(52)의 돌출 치수로 동등하다. 2개의 오목부(62)는 2개의 볼록부(52)와 대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오목부(62)는, 회전축(27)을 중심으로 180도 반대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도 13 참조). 2개의 오목부(62)는 회전축(27)을 중심으로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오목부(62)의 둘레 방향의 치수는, 평면시에 있어서,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을 향해 점차 작게 되어 있다.
볼록부(52)와 오목부(62)가 감합된 상태(감합 상태라고 칭함.)에 있어서, 제1 부재(50)와 제2 부재(60)는 상대적인 회전이 제한된다. 감합 상태에 있어서, 볼록부(52) 및 오목부(62)의 둘레 방향의 양단은 동시에 닿아 있다. 이것에 의해, 감합 상태에 있어서 볼록부(52)와 오목부(62)의 둘레 방향의 덜컹거림은 방지된다. 볼록부(52) 및 오목부(62)는, 제1 부재(50) 및 제2 부재(60)의 회전 방향으로 2개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한 토크를 크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토크의 크기는, 500~1500Nmm인 것이 바람직하고, 600~1200N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변위부(63)는 환상부(61) 중 오목부(62) 및 오목측 고정부(64)를 제외한 부분이다. 변위부(63)는 접힌 상태와 열린 상태와의 사이를 이행할 때(이행 상태라고 칭함.)에, 볼록부(52)와의 접촉에 의해서 하측으로 탄성 변위된다. 변위부(63)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의 양단을 오목측 고정부(64)에 의해서 지지 고정되어 있다. 변위부(63)는 둘레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완만하게 낮아지는 만곡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변위부(63)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는 산부(65)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변위부(63)는 경사면(67)과 인접한 위치에 제2 경사면(68)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면(16)을 기준으로 하는 경사면(67)의 경사 각도는, 슬라이드면(16)을 기준으로 하는 제2 경사면(68)의 경사 각도보다도 가파르다.
변위부(63)의 최하점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69)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69)는 외주측으로 돌출되어 있다(도 12 참조). 돌기(69)의 선단은, 제1 부재(50)의 환상부(51)의 외주면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돌기(69)를 포함하는 변위부(63)의 최하점의 상하 양면은, 슬라이드면(16)과 평행이다(도 9 참조). 돌기(69)는 그립 하우징(41)에 마련된 베이스부(49)에 지지된다(도 5 및 도 13 참조).
베이스부(49)는, 도 5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립 하우징(41)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베이스부(49)는 2개의 돌기(69)에 대응하여, 전측과 후측에 마련되어 있다. 전후의 베이스부(49)는 모두, 좌측 그립 하우징(41L) 및 우측 그립 하우징(41R) 모두로부터 연장되어, 이어져 있다(도 13 참조). 베이스부(49)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제2 부재(60)는 베이스부(49)에 지지된 상태에서 지름 방향으로 변형한다. 제2 부재(60)는 양단 지지가 됨으로써, 제2 부재(60)가 변형할 때에 걸리는 힘이 2개소로 분산되기 때문에, 제2 부재(60)의 내구성을 향상하면서, 토크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전측의 베이스부(49)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립 하우징(41)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측의 베이스부(49)는, 슬라이드면(16)과 평행한 벽면을 가지는 벽 모양이다. 후측의 베이스부(49)는 상측으로 솟아 있다. 후측의 베이스부(49)는, 회전축(27)과 평행한 벽면을 가지는 벽 모양이다. 전후의 베이스부(49)는 모두 얇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그립 하우징(41)의 해당 부분이 두꺼워지는 것을 막아, 싱크 마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오목측 고정부(64)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에 있어서 변위부(63)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오목측 고정부(64)는 각각 외주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오목측 고정부(64)는 오목부(62)의 바로 아래 위치하고 있다(도 9 참조). 오목측 고정부(64)는 둘레 방향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긴 블록 모양을 이루고 있다. 오목측 고정부(64)의 둘레 방향의 양면은 평행이다. 오목측 고정부(64)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립측 고정부(45)의 측벽(46)의 사이에 감합한다. 이것에 의해, 제2 부재(60)는 슬라이드면(16)에 평행한 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
제2 부재(60)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름 방향의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을 향해 하향으로 기울어진 내향 경사면(71)을 가지고 있다. 내향 경사면(71)은 제2 부재(60)의 상면의 전체 둘레에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드면(16)을 기준으로 하는 내향 경사면(71)의 경사 각도는, 둘레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내향 경사면(71)의 경사 각도는, 산부(65)의 꼭대기부(66)의 위치에서 가장 크다. 내향 경사면(71)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토크를 크게 할 수 있다.
제어부(2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기판(21S)과, 제어 기판(21S)에 실장된 복수 개의 전자 부품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 기판(21S)은 본체 하우징(32)에 고정되어 있다. 전자 부품은 EEPROM, RAM 등의 기억 부품이나 마이크로 컴퓨터 등이다. 기억 부품은 각종의 사용 모드를 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각종의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는 기억 부품에 기억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각종의 사용 모드에 대응하여 송풍부(18)나 가열부(19)를 제어한다. 제어부(21)는 제2 온도 센서(29)에 의해서 본체부(30)의 전단부의 내부 온도를 계측하고, 고온(예를 들면 105℃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이상 온도라고 판단하여, 가열부(19)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제어부(21)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HOT 모드」에 있어서 제1 제어 및 제2 제어를 적절히 실행한다. 제1 제어 및 제2 제어는 각각, 외기온(T), 풍량 및 사용 모드에 따라 프로그램되어 있다. 외기온(T)은 제1 온도 센서(28)에 의해서 계측된다. 풍량 및 사용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다. 제1 제어 및 제2 제어는, 온도(T1, T2)를 기준으로 하여 제어한다. 온도(T1, T2)는 풍량이 큰 경우보다도 작은 경우에 있어서 낮게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LOW 모드」에 있어서 T1=20℃, T2=35℃이고, 「HIGH 모드」에 있어서 T1=25℃, T2=40℃이다. 「HIGH 모드」인 경우, 풍속이 빠르기 때문에 가열부(19)에서 바람이 따뜻하게 되는 시간이 짧다. 「LOW 모드」인 경우, 풍속이 늦기 때문에 가열부(19)에서 바람이 따뜻하게 되는 시간이 길다. 이것들을 고려하여, 「HIGI 모드」 및 「LOW 모드」의 기준 온도를 상이한 온도로 설정하고 있다.
제1 제어는 발열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제1 제어는 온 듀티비(Duty라고 칭함.)에 따라서 발열체의 출력을 변경한다. Duty는 발열체로의 통전의 온 오프 1주기에 차지하는 온 기간 τ의 비율이다. Duty는 외기온(T) 및 풍량에 대응하여 미리 기억되어 있다. Duty는 각 사용 모드에 있어서 온도(T1)를 경계로 하여, 외기온(T)이 높을 때보다 낮을 때의 쪽을 크게 설정하고 있다.
Duty는 풍량이 큰(강한) 경우에 크고, 작은(약한) 경우에 작다. 풍량이 큰 경우, 송풍부(18)로부터 송출된 바람은 가열부(19)를 단시간에 통과한다. Duty를 크게 하는 것에 의해서, 바람의 온도를 각 사용 모드의 목표 온도까지 올릴 수 있다. 풍량이 작은 경우, 송풍부(18)로부터 송출된 바람은 가열부(19)의 통과에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Duty를 작게 하는 것에 의해서, 온풍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제어는 온풍 운전과 냉풍 운전을 전환하는 것이다. 제2 제어는 온풍 운전 시간(Th) 및 냉풍 운전 시간(Tc)에 따라서 온풍 운전과 냉풍 운전을 전환한다. 온풍 운전과 냉풍 운전과의 전환은 반복된다. 온풍 운전 시간(Th) 및 냉풍 운전 시간(Tc)은, 외기온(T) 및 풍량에 대응하여 미리 기억되어 있다.
온풍 운전 시간(Th) 및 냉풍 운전 시간(Tc)은, 각 사용 모드에 있어서 온도(T2)를 경계로 하여 다르다. 각 사용 모드에 있어서 외기온(T)이 온도(T2)보다 낮은 경우의 온풍 운전 시간(Th)은, 냉풍 운전 시간(Tc)보다도 길다. 외기온(T)이 온도(T2)보다 높은 경우의 온풍 운전 시간(Th)과 냉풍 운전 시간(Tc)은 동등하다.
각 사용 모드에 있어서의 제어의 일례를 설명한다. 「표준 모드」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제1 제어를 실행하고, 제2 제어를 실행하지 않는다. 풍량 「LOW 모드」인 경우, Duty=2/3이다. 풍량 「HIGH 모드」인 경우, Duty=1이다.
두피 및 모발 뿌리를 말리는데 적합한 「제1 모드」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제1 제어 및 제2 제어를 실행한다. 풍량 「LOW 모드」인 경우, T<T1에 있어서 Duty=1/2, Th=2s, Tc=1s이고, T1<T<T2에 있어서 Duty=1/3, Th=2s, Tc=1s이고, T2<T에 있어서 Duty=1/3, Th=2s, Tc=2s이다. 풍량 「HIGH 모드」인 경우, T<T1에 있어서 Duty=2/3, Th=2s, Tc=1s이고, T1<T<T2에 있어서 Duty=1/2, Th=2s, Tc=1s이고, T2<T에 있어서 Duty=1/2, Th=2s, Tc=2s이다.
모발 끝을 말리는데 적합한 「제2 모드」에 있어서, 제어부(21)는 제1 제어 및 제2 제어를 실행한다. 풍량 「LOW 모드」인 경우, T<T1에 있어서 Duty=2/3, Th=2s, Tc=1s이고, T1<T<T2에 있어서 Duty=1/2, Th=2s, Tc=1s이고, T2<T에 있어서 Duty=1/2, Th=2s, Tc=2s이다. 풍량 「HIGH 모드」인 경우, T<T1에 있어서 Duty=1, Th=2s, Tc=1s이고, T1<T<T2에 있어서 Duty=3/4, Th=2s, Tc=1s이고, T2<T에 있어서 Duty=3/4, Th=2s, Tc=2s이다.
Duty의 분모를 4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플릭커 현상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헤어 드라이어(10)의 사용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헤어 드라이어(10)를 접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하는 경우, 그립부(40)를 제1 방향(R1)으로 회전시킨다. 그립부(40)에 가해진 회전력에 의해서, 오목부(62)의 경사면(67)과 볼록부(52)는 강하게 서로 닿는다. 경사면(67)의 경사 각도는 비교적 힘들기 때문에, 감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큰 토크를 필요로 한다. 토크의 증가에 따라, 오목부(62)는 볼록부(52)로부터 이탈하고, 변위부(63)는 볼록부(52)에 닿는 것에 의해서 하측으로 탄성 변위된다. 돌기(69)는 베이스부(49)에 닿아 지지된다. 제2 경사면(68)과 볼록부(52)가 접촉된 상태에서, 제2 부재(60)는 회전한다. 제2 경사면(68)의 경사는 비교적 완만하므로, 제2 부재(60)는 부드럽게 회전한다. 헤어 드라이어(10)가 열린 상태가 되기 직전, 산부(65)는 볼록부(52)에 닿고, 변위부(63)의 탄성 변위량은 증가하며, 돌기(69)는 베이스부(49)에 지지된다. 그 후, 산부(65)는 볼록부(52)를 타고 넘고, 오목부(62)는 볼록부(52)의 위치에 이르고, 변위부(63)는 탄성 복귀하여, 감합 상태가 된다. 동시에, 헤어 드라이어(10)는 열린 상태가 되어 해당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그립부(40)를 더 제1 방향(R1)으로 회전시키려고 했을 경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그립 하우징(41L)의 그립측 스토퍼부(48)는, 본체측 스토퍼부(37)에 닿아, 그 이상의 회전을 제한한다.
헤어 드라이어(10)를 열린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하는 경우, 그립부(40)를 제2 방향(R2)으로 회전시킨다. 제2 부재(60)는 접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행 상태에 있어서 탄성 변위된다. 볼록부(52) 및 오목부(62)는, 접힌 상태가 되면 감합되어, 그립부(40)의 회전을 멈춘다. 여기서, 그립부(40)를 더 제2 방향(R2)으로 회전시키려고 했을 경우, 우측 그립 하우징(41R)의 그립측 스토퍼부(48)는, 본체측 스토퍼부(37)에 닿아, 그 이상의 회전을 제한한다.
접힌 상태의 헤어 드라이어(10)는 컴팩트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접힌 상태의 헤어 드라이어(10)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곳에 바람을 맞히기 쉬워진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접힌 상태의 헤어 드라이어(10)의 공간(17)에 손을 넣어, 본체부(30)를 잡는다. 사용자는 열린 상태의 그립부(40)보다도 취출구(11)에 가까운 곳을 잡음으로써, 취출구(11)를 정확하게 원하는 방향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헤어 드라이어(10)는 본체부(30) 및 그립부(4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립부(40)는 슬라이드면(16)에 직교하는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헤어 드라이어(10)는 그립부(40)의 회전에 의해서 접힌 상태와 열린 상태로 굴곡된다. 헤어 드라이어(10)의 굴곡부(24)는, 제1 부재(50)와, 제2 부재(60)를 가지고 있다. 제1 부재(50)는 본체 하우징(32)에 고정됨과 아울러 볼록부(52)를 가지고 있다. 제2 부재(60)는 그립 하우징(41)에 고정됨과 아울러 오목부(62)를 가지고 있다. 제1 부재(50) 및 제2 부재(60)는, 슬라이드면(16)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되어 있다. 제1 부재(50) 및 제2 부재(60) 중 적어도 일방은, 접힌 상태와 열린 상태와의 사이를 이행할 때에 탄성 변형된다. 볼록부(52) 및 오목부(62)는 접힌 상태 및 열린 상태에 있어서 감합되어, 그립부(40)의 회전을 규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부재(50) 및 제2 부재(60)는, 슬라이드면(16)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2개의 링 모양 부재를 지름 방향의 내측과 외측에 배치하는 경우, 굴곡부의 지름 방향의 치수는 커지기 쉽다. 그렇지만, 헤어 드라이어(10)의 제1 부재(50) 및 제2 부재(60)는, 슬라이드면(16)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굴곡부(24)의 지름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헤어 드라이어(10)의 굴곡부(24)를 가늘게 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면(16)은 그립부(40)의 연장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교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헤어 드라이어(10)를 접힌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30)와 그립부(40)는 U자형이 된다. 사용자는, 본체부(30)와 그립부(40)와의 사이의 U자 부분에 손을 걸어 사용할 수 있다.
또, 제1 부재(50) 및 제2 부재(60)는 모두 링 모양을 이루고 있다. 제1 부재(50) 및 제2 부재(60)의 중심부는 슬라이드면(16)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부재(50) 및 제2 부재(60)의 내주측에 전선(W)을 라우팅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부재(50) 및 제2 부재(60)의 외주측에 전선(W)을 라우팅하는 경우보다도, 헤어 드라이어(10)의 굴곡부(24)를 가늘게 할 수 있다.
또, 제1 부재(50)에 있어서, 볼록부(52)의 위치와 볼록측 고정부(53)의 위치는,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부재(50)에 걸리는 힘을 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부재(5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2 부재(60)는 변위부(63)와 오목측 고정부(64)를 가지고 있다. 오목측 고정부(64)는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변위부(63)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변위부(63)는 오목측 고정부(64)에 의해서 양단 지지되기 때문에, 제2 부재(60)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토크를 크게 할 수 있다.
또, 그립 하우징(41)은 변위부(63)를 지지하는 베이스부(49)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변위부(63)는 하우징의 베이스부(49)에 지지되기 때문에, 오목부(62)를 가지는 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토크를 크게 할 수 있다.
또, 오목부(62)는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67)을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볼록부(52)는 경사면(67)을 따라서 이동하기 때문에, 그립부(40)를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다.
또, 제2 부재(60)는 경사면(67)과 인접한 위치에 제2 경사면(68)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면(16)을 기준으로 하는 경사면(67)의 경사 각도는, 슬라이드면(16)을 기준으로 하는 제2 경사면(68)의 경사 각도보다도 가파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필요한 토크는, 접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로 하기 위해서 필요한 토크보다도 크다. 따라서, 접힌 상태 및 열린 상태를 부주의하게 해제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헤어 드라이어(10)는 그립부(40)를 제1 방향(R1)으로 회전함으로써 접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가 되고, 제1 방향(R1)과는 반대인 제2 방향(R2)으로 회전함으로써 열린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가 된다. 본체 하우징(32) 및 그립 하우징(41)은, 열린 상태로부터 제1 방향(R1)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부(좌측 그립 하우징(41L)의 그립측 스토퍼부(48) 및 본체측 스토퍼부(37))와, 접힌 상태로부터 제2 방향(R2)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부(우측 그립 하우징(41R)의 그립측 스토퍼부(48) 및 본체측 스토퍼부(37))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그립부(4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본체 하우징(32) 및 그립 하우징(41)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의 전선(W)의 과도한 꼬임을 막아, 전선(W)의 빠짐이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헤어 드라이어(10)의 제어부(21)는, 외기온(T) 및 풍량에 기초하여, 제1 제어 및 제2 제어를 조합하여 대상물(두피, 모발 뿌리, 모발 끝 등)로의 온도 제어를 행한다. 제1 제어는 Duty에 의해서 발열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제2 제어는 온풍 운전과 냉풍 운전을 전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대상물의 온도를 좁은 온도 범위에서 설정할 수 있다. 외기온(T)이 고온인 경우, 모발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기 쉽거나, 외기온(T)이 저온인 경우, 모발의 온도도 차가워 온도가 오르기까지 시간이 걸리거나 하기 때문에, 대상물을 원하는 온도로 하기 위해서는, 외기온(T)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풍량이 큰 경우, 송풍부(18)로부터 송출된 바람은 가열부(19)를 단시간에 통과하기 때문에, 바람의 온도가 올라가기 힘들다. 풍량이 작은 경우, 송풍부(18)로부터 송출된 바람은 가열부(19)의 통과에 긴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온풍의 온도가 오르기 쉽다. 그 때문에, 대상물을 원하는 온도로 하기 위해서는, 풍량에 대해서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1 제어에만 의해서 온도 제어를 행하는 경우, 대상물의 설정 온도를 미세하게 제어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Duty에 의해서 발열체의 출력을 미세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Duty의 분모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면, 플릭커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Duty에 의한 대상물의 설정 온도의 세밀한 제어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제2 제어에만 의해서 온도 제어를 행하는 경우, 대상물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Duty를 변화시키지 않고 온풍 운전을 계속하는 경우, 대상물의 온도는 급격하게 상승하기 쉽다. 대상물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냉풍 운전의 시간을 길게 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면, 바람의 온도 변화의 상하폭이 커져, 대상물의 원하는 온도로부터의 흔들림이 커져 버리기 때문에, 사용시의 체감이 나빠져 버리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제어부(21)는 Duty에 의해서 발열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1 제어와, 온풍 운전과 냉풍 운전을 전환하는 제2 제어를 조합하여 행한다. 이것에 의해서, 플릭커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사용시의 체감을 나쁘게 하지 않고, 대상물의 온도를 미세하게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1)의 제어에 의해서, 좁은 온도 범위, 구체적으로는 목표 온도값의 ±5℃ 정도로, 대상물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 대상물의 원하는 온도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재빠르게 원하는 온도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온도를 급격하게 올리고 싶은 경우는 제1 제어에 의해서 대응을 행하고, 온도를 급격하게 낮추고 싶은 경우는 제2 제어에 의해서 대응을 행한다고 하는 제어도 가능해진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2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제1 부재(100) 및 제2 부재(101)를 도 15 및 도 16에 의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본체부(30) 및 그립부(4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립부(4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드면(16)에 직교하는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1 부재(100) 및 제2 부재(101)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드면(16)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되어 있다. 제1 부재(100) 및 제2 부재(101)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모두 링 모양을 이루고 있다.
제1 부재(100)는 그립 하우징(41)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부재(100)는 환상부(51)와, 볼록부(52)와, 볼록측 고정부(53)를 가지고 있다.
볼록부(52)는 환상부(51)의 상면에 마련되어, 일단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볼록부(52)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2개 마련되어 있다(도 16 참조). 볼록부(52)는, 평면시에 있어서,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된 꼭대기부(102)를 가지고 있다. 볼록부(52)의 폭치수(둘레 방향의 치수)는, 평면시에 있어서, 꼭대기부(102)를 향해 점차 작게 되어 있다. 볼록부(52)의 둘레면은, 평면시에 있어서, 만곡되어 있다.
볼록측 고정부(53)는 환상부(51)의 하면에 마련되어,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볼록부(52)의 위치와, 볼록측 고정부(53)의 위치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둘레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제2 부재(101)는 본체 하우징(32)에 고정되어 있다. 제2 부재(101)는 환상부(61)와, 받침부(103)와, 오목부(62)와, 오목측 고정부(64)를 가지고 있다. 환상부(61)의 두께 치수는 대체로 일정하다. 받침부(103)는 환상부(61)의 하면에 마련되어 있다. 받침부(103)는 일단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받침부(103)는 2개 마련되어 있다(도 16 참조). 2개의 받침부(103)는 회전축(27)을 중심으로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다.
2개의 오목부(62)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2개의 볼록부(52)와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62)는 2개의 받침부(103)의 외주측에 1개씩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2)는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패인 형상이다. 오목부(62)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2개의 경사면(67)을 가지고 있다.
받침부(103)의 외주면은, 오목부(62)와 인접한 안내면(104)을 가지고 있다. 안내면(104)은 오목부(62)를 향해 볼록부(52)를 안내하도록 경사져 있다.
그립부(40)를 제1 방향(R1) 또는 제2 방향(R2)으로 회전시키면, 볼록부(52)와 받침부(103)가 서로 닿는 것에 의해서, 제1 부재(100) 및 제2 부재(101)는 탄성 변형하여, 볼록부(52)와 오목부(62)가 감합 상태가 되거나, 감합 해제되거나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1 부재(100) 및 제2 부재(101)는, 슬라이드면(16)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헤어 드라이어의 굴곡부(24)를 가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3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11)를 도 17에 의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본체부(30) 및 그립부(4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립부(4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드면(16)에 직교하는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11)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드면(16)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되어 있다.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11)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모두 링 모양을 이루고 있다.
제1 부재(110)는 그립 하우징(41)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부재(110)는 환상부(51)와, 볼록부(52)와, 볼록측 고정부(53)를 가지고 있다. 환상부(51)의 두께 치수는 대체로 일정하다.
볼록부(52)는 환상부(51)의 상면에 마련되어, 일단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볼록부(52)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2개 마련되어 있다. 볼록부(52)의 상면은, 측면시에 있어서, 원호 모양으로 만곡되어 있다.
볼록측 고정부(53)는 환상부(51)의 하면에 마련되어,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볼록부(52)의 위치와, 볼록측 고정부(53)의 위치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둘레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제2 부재(111)는 본체 하우징(32)에 고정되어 있다. 제2 부재(111)는 환상부(61)와, 오목부(62)와, 오목측 고정부(64)를 가지고 있다. 환상부(61)의 두께 치수는 대체로 일정하다. 오목부(62)는 환상부(61)의 하면에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62)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2개의 산부(65)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2)는, 산부(65)의 사이에 있어서 상측으로 패인 형상이다. 오목부(62)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2개의 경사면(67)을 가지고 있다. 2개의 경사면(67)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동등한 경사 각도를 가지고 있다. 2개의 오목부(62)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2개의 볼록부(52)와 대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산부(65)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오목부(62)와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게 제2 경사면(68)을 가지고 있다. 제2 경사면(68)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경사면(67)보다도 완만한 경사 각도를 가지고 있다.
그립부(40)를 제1 방향(R1) 또는 제2 방향(R2)으로 회전시키면, 볼록부(52)와 산부(65)가 서로 닿는 것에 의해서,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11)는 탄성 변형되어, 볼록부(52)와 오목부(62)가 감합 상태가 되거나, 감합 해제되거나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11)는, 슬라이드면(16)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헤어 드라이어의 굴곡부(24)를 가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4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제1 부재(120) 및 제2 부재(121)를 도 18 및 도 19에 의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본체부(30) 및 그립부(4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립부(4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드면(16)에 직교하는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1 부재(120) 및 제2 부재(121)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드면(16)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되어 있다. 제1 부재(120) 및 제2 부재(121)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모두 링 모양을 이루고 있다.
제1 부재(120)는 그립 하우징(41)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부재(120)는 환상부(51)와, 볼록부(52)와, 볼록측 고정부(53)를 가지고 있다. 환상부(51)의 두께 치수는 대체로 일정하다.
볼록부(52)는 환상부(51)의 상면에 마련되어, 일단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볼록부(52)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2개 마련되어 있다. 볼록부(52)는, 반구형의 돔 모양을 이루고 있다. 볼록부(52)의 상면은, 측면시에 있어서, 원호 모양으로 만곡되어 있다. 볼록부(52)는, 평면시에 있어서, 원형 모양을 이루고 있다(도 19 참조).
볼록측 고정부(53)는 환상부(51)의 하면에 마련되어,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볼록부(52)의 위치와, 볼록측 고정부(53)의 위치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둘레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제2 부재(121)는 본체 하우징(32)에 고정되어 있다. 제2 부재(121)는 환상부(61)와, 오목부(62)와, 오목측 고정부(64)를 가지고 있다. 환상부(61)의 두께 치수는 대체로 일정하다.
오목부(62)는 환상부(61)의 하면에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62)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한 2개의 산부(65)의 내주측에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산부(65)는 환상부(61)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62)는 외주측으로 패여 있다. 오목부(62)는, 평면시, 원호 모양을 이루고 있다. 오목부(62)는 2개의 경사면(67)을 가지고 있다. 2개의 경사면(67)은 이어져 원호를 형성하고 있다. 2개의 오목부(62)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2개의 볼록부(52)와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산부(65)는 안내면(122)을 가지고 있다. 안내면(122)은 볼록부(52)를 오목부(62)에 안내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안내면(122)은, 평면시, 원호 모양이다.
그립부(40)를 제1 방향(R1) 또는 제2 방향(R2)으로 회전시키면, 볼록부(52)와 산부(65)가 서로 닿는 것에 의해서 제1 부재(120) 및 제2 부재(121)는 탄성 변형되어, 볼록부(52)와 오목부(62)가 감합 상태가 되거나, 감합 해제되거나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1 부재(120) 및 제2 부재(121)는, 슬라이드면(16)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헤어 드라이어의 굴곡부(24)를 가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부(49)는 그립 하우징(4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베이스부는 그립 하우징과 별체로 형성하여, 그립 하우징에 장착해도 된다.
(2)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1개의 오목부(62)에 형성된 2개의 경사면(67)의 경사 각도는 동등하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1개의 오목부에 형성된 2개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달라도 된다. 이 경우, 평면시에 있어서, 회전축을 통과하는 대각선 상에 배치되는 2개의 오목부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를 동등하게 해도 된다.
(3)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그립부의 회전은 최대 180도로 제한되어 있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그립부의 회전은 180도와는 다른 각도로 제한해도 되고,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4)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부재(50)의 환상부(51) 및 제2 부재(60)의 환상부(61)는 모두 전체 둘레에 있어서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제1 부재의 환상부 및 제2 부재의 환상부 중 어느 일방 혹은 양방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 끊어진 곳이 있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어느 환상부의 둘레 방향의 일부가 잘라지고, 중심부는 지름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어도 된다.
(5)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환상부(61)의 전체는, 환상부(51)와 겹쳐 있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제2 부재의 환상부의 일부는, 제1 부재의 환상부와 겹쳐 있지 않아도 된다. 또, 제1 부재의 환상부의 전체가, 제2 부재의 환상부와 겹쳐 있어도 된다.
(6)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풍량이나 바람의 온도 등에 관련된 수치를 예시했지만, 이것들은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7)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Duty, 온풍 운전 시간(Th), 냉풍 운전 시간(Tc)의 구체적인 수치를 예시했지만, 이것들은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8)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드면(16)은 그립부(40)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교차되어 있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슬라이드면은, 그립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평행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면은, XY 평면에 평행이어도 되고, 그립부의 회전축은, Z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회전축이 연장 방향으로 겹쳐지는 배치로, 그립부의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배치해도 된다.
R1…제1 방향
R2…제2 방향
10…헤어 드라이어
16…슬라이드면
24…굴곡부
27…회전축(축)
30…본체부
37…본체측 스토퍼부
40…그립부
48…그립측 스토퍼부
49…베이스부
50, 100, 110, 120…제1 부재
52…볼록부
53…볼록측 고정부
60, 101, 111, 121…제2 부재
62…오목부
63…변위부
64…오목측 고정부
67…경사면
68…제2 경사면
R2…제2 방향
10…헤어 드라이어
16…슬라이드면
24…굴곡부
27…회전축(축)
30…본체부
37…본체측 스토퍼부
40…그립부
48…그립측 스토퍼부
49…베이스부
50, 100, 110, 120…제1 부재
52…볼록부
53…볼록측 고정부
60, 101, 111, 121…제2 부재
62…오목부
63…변위부
64…오목측 고정부
67…경사면
68…제2 경사면
Claims (9)
- 본체부 및 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면에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접힌 상태와 열린 상태로 굴곡되는 헤어 드라이어로서,
상기 헤어 드라이어의 굴곡부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그립부 중 일방의 하우징에 고정됨과 아울러 볼록부를 가지는 제1 부재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그립부 중 타방의 하우징에 고정됨과 아울러 오목부를 가지는 제2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되고,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접힌 상태와 상기 열린 상태와의 사이를 이행할 때에 탄성 변형되고,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는, 상기 접힌 상태 및 상기 열린 상태에 있어서 감합되어, 상기 그립부의 회전을 규제하는, 헤어 드라이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면은 상기 그립부의 연장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교차하고 있는, 헤어 드라이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모두 링 모양을 이루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중심부는 상기 슬라이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헤어 드라이어.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위치와, 상기 일방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볼록측 고정부의 위치는,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헤어 드라이어.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볼록부와의 접촉에 의해서 탄성 변위하는 변위부와, 상기 타방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오목측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오목측 고정부는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변위부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는, 헤어 드라이어.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타방의 하우징은, 상기 변위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가지고 있는, 헤어 드라이어.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있는, 헤어 드라이어.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경사면과 인접한 위치에 제2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면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상기 슬라이드면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2 경사면의 경사 각도보다도 가파른, 헤어 드라이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를 제1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접힌 상태로부터 상기 열린 상태가 되고,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열린 상태로부터 상기 접힌 상태가 되는 것이고,
상기 본체부의 하우징 및 상기 그립부의 하우징은, 상기 열린 상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부와, 상기 접힌 상태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부를 가지고 있는, 헤어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2119859A JP2024017312A (ja) | 2022-07-27 | 2022-07-27 | ヘアドライヤー |
JPJP-P-2022-119859 | 2022-07-2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5572A true KR20240015572A (ko) | 2024-02-05 |
Family
ID=89631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88177A KR20240015572A (ko) | 2022-07-27 | 2023-07-07 | 헤어 드라이어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24017312A (ko) |
KR (1) | KR20240015572A (ko) |
CN (1) | CN117461938A (ko) |
TW (1) | TW202404502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67315A (ja) | 2009-09-25 | 2011-04-07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髪ケア装置 |
-
2022
- 2022-07-27 JP JP2022119859A patent/JP2024017312A/ja active Pending
-
2023
- 2023-07-06 TW TW112125322A patent/TW202404502A/zh unknown
- 2023-07-07 KR KR1020230088177A patent/KR20240015572A/ko unknown
- 2023-07-26 CN CN202310923465.3A patent/CN117461938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67315A (ja) | 2009-09-25 | 2011-04-07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髪ケア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4017312A (ja) | 2024-02-08 |
TW202404502A (zh) | 2024-02-01 |
CN117461938A (zh) | 2024-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8441457B2 (en) | Digitally controlled hair dryer | |
US4904847A (en) | Hair dryer having adjustable height and air flow | |
US20080216339A1 (en) | Wireless Blow Dryer | |
US11678777B2 (en) | Dryer | |
JP2018033956A (ja) | 手持ち式電気器具 | |
KR20240015572A (ko) | 헤어 드라이어 | |
KR20220002054A (ko) | 디지털 터치스크린 방식의 헤어 드라이어와 이를 위한 고효율 전원공급장치 | |
CN217446941U (zh) | 一种出风结构及吹风机 | |
JP6982509B2 (ja) | ヘアードライヤー | |
KR101528054B1 (ko) | 구조가 개선된 고데기 | |
JP7545798B2 (ja) | ヘアドライヤ | |
JP4044162B2 (ja) | ハンディ型機能器具の保持台 | |
JP7476400B2 (ja) | ドライヤー | |
KR200277188Y1 (ko) | 열전발열체를 이용한 로터리식 헤어 드라이기 | |
CN111374425B (zh) | 吹风机 | |
JP2013090727A (ja) | スイッチ機構及び整毛装置 | |
KR20240047056A (ko) | 헤어 드라이어 | |
KR20240047058A (ko) | 헤어 드라이어 | |
JP2024022907A (ja) | ドライヤ | |
KR20240047059A (ko) | 헤어 드라이어 | |
KR20240047055A (ko) | 헤어 드라이어 | |
RU2822265C2 (ru) | Парикмахерский прибор с поворотной головкой | |
CN210783275U (zh) | 手持吹风设备 | |
KR20240047057A (ko) | 헤어 드라이어 | |
JP2024126080A (ja) | ヘアドライ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