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5215A -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 이를 포함하는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 이를 포함하는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5215A
KR20240015215A KR1020220092612A KR20220092612A KR20240015215A KR 20240015215 A KR20240015215 A KR 20240015215A KR 1020220092612 A KR1020220092612 A KR 1020220092612A KR 20220092612 A KR20220092612 A KR 20220092612A KR 20240015215 A KR20240015215 A KR 20240015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lastic sheet
tactile
manufacturing
rough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홍열
이강규
이경민
구본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마이크로웍스솔루션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마이크로웍스솔루션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마이크로웍스솔루션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2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5215A/ko
Publication of KR20240015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21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9/00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 상에 배치되고, 열 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촉감 구현층을 포함하고, 상기 촉감 구현층에서, ASTM D1894에 의해서 측정되는 동적 마찰계수가 0.4이상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 이를 포함하는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PLASTIC SHEET FOR MANUFACTURING EXTERIOR PARTS, HOUS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실시예는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 이를 포함하는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 분야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 목적, 휴대성, 편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며, 특히 소비자들이 디스플레이의 용도에 따른 디자인을 중시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디자인이 연구되고 있다. 최근 전기전자 분야에서 각광받는 디자인은 금속성 디자인이며, 최근 출시되는 모바일, 통신 전자기기 등의 색상, 외형 등에 금속성 디자인이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금속은 고유의 광택, 우수한 휘도 등에 의해 디자인 측면에서는 각광받는 소재이나, 전파를 차단하고 중량이 무겁고 제작 비용이 높다는 등의 단점을 갖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금속 대신 글래스, 가죽 또는 투명 플라스틱을 외장재로 사용한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고 있다. 글래스나 플라스틱 재질은 금속 대비 제작 비용이 적게 들고 중량감이 낮다는 장점이 있으나, 강도가 낮고 특히 충격에 약하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재질로 제작된 디스플레이의 디자인 개선을 위해 색을 구현하면서 동시에 강도를 높이고 충격에 대한 보강 및 파손시의 안전까지 고려하는 비산방지 필름을 적용하는 방법이 연구 및 적용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110325호는 투명필름 및 아조(azo)계 염료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비산방지 필름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96860호는 400~700nm에서 최대 흡수율을 갖는 유색염료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은 필름의 투명성, 내구성 등과 관련된 물성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디자인, 특히 시야각에 따른 다양한 색상 구현과 관련해서는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실시예는 향상된 촉감 및 외관을 가지고, 향상된 기계적 물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시트, 이를 포함하는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 상에 배치되고, 열 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촉감 구현층을 포함하고, 상기 촉감 구현층에서, ASTM D1894에 의해서 측정되는 동적 마찰계수가 0.4이상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감 구현층에서, ASTM D1894에 의해서 측정되는 정적 마찰계수가 0.4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는 상기 지지층 아래에 배치되는 균형 보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감 구현층의 접촉각은 70˚ 내지 12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p 조도는 10㎛ 내지 40㎛이고, Rv 조도는 5㎛ 내지 30㎛이고, Rz 조도는 15㎛ 내지 60㎛이고, Ra 조도는 0.5㎛ 내지 7㎛이고, Rq 조도는 1㎛ 내지 8㎛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에 있어서, 헤이즈가 50%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에 있어서, 상기 촉감 구현층을 통하여 압력이 가해질 때, 굴곡 강도가 200gf 초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에 있어서, 상기 촉감 구현층을 통하여 광택도가 측정될 때, 60˚광택도가 5 GU 내지 20 GU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감 구현층의 표면 에너지가 20mN/m를 초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용 하우징 장치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의 일면에 접착되고, 열 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촉감 구현층을 포함하고, 상기 촉감 구현층에서, ASTM D1894에 의해서 측정되는 동적 마찰계수가 0.4이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부품; 및 상기 전자 부품을 수용하는 하우징 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부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의 일면에 접착되고, 열 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촉감 구현층을 포함하고, 상기 촉감 구현층에서, ASTM D1894에 의해서 측정되는 동적 마찰계수가 0.4이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는 촉감 구현층을 포함한다. 상기 촉감 구현층은 적절한 동적 마찰 계수 및 정적 마찰 계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촉감 구현층은 적절한 접촉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은 적절한 표면 에너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은 적절한 Rp 조도, 적절한 Rv 조도, 적절한 Rz 조도, 적절한 Ra 조도 및 적절한 Rq 조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는 가죽 촉감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촉감 구현층은 적절한 표면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촉감 구현층을 만질 때, 가죽 촉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촉감 구현층은 적절한 헤이즈, 적절한 광 투과도 및 적절한 광택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는 가죽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는 적절한 굴곡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가 전자 장치용 하우징 장치에 사용될 때, 상기 하우징 장치는 내부에 배치된 전자 부품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일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일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 기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은 실시예에 따른 커버 플레이트의 일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이해를 돕기 위해 크기나 간격 등이 과장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내용은 도시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될 경우, 이들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갖거나 갖지 않는 경우가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일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200)는 기재(210), 촉감 구현층(220) 및 접합층(230)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는 상기 촉감 구현층 및 상기 접착층을 지지한다. 상기 기재는 상기 촉감 구현층 및 상기 접착층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층일 수 있다.
상기 기재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환형 올레핀 중합체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를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약 90wt% 이상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를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약 95wt% 이상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를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약 97wt% 이상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를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약 98wt% 이상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전자 부품을 보호하기 위해서, 높은 기계적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재의 인장 강도는 약 50MPa 내지 약 80MPa일 수 있다.
상기 기재의 신율은 약 80% 내지 약 160%일 수 있다.
상기 기재의 인장 탄성율은 약 2.0GPa 내지 약 4GPa일 수 있다.
상기 인장 강도, 상기 신율 및 상기 인장 탄성율은 ASTM D358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상기와 같은 향상된 기계적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전자 부품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는 높은 내화학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기재의 표면에 접착제의 코팅 공정에서, 상기 기재의 표면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향상된 광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재의 전광선 투과율은 약 5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기재의 전광선 투과율은 약 7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기재의 전광선 투과율은 약 75% 내지 약 99%일 수 있다. 상기 기재의 전광선 투과율은 약 80% 내지 약 99%일 수 있다.
상기 기재의 헤이즈는 약 20% 이하일 수 있다. 약 0.1% 내지 약 20%일 수 있다. 상기 기재의 헤이즈는 약 0.1% 내지 약 10%일 수 있다. 상기 기재의 헤이즈는 약 0.1% 내지 약 7%일 수 있다.
상기 전광선 투과율 및 상기 헤이즈는 ASTM D 1003 등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약 100㎛ 내지 약 1000㎛일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약 200㎛ 내지 약 750㎛일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약 300㎛ 내지 약 600㎛일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가 상기와 같은 범위를 가지기 때문에,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는 내부의 전자 부품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은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된다. 상기 촉감 구현층은 상기 기재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은 상기 접착층을 통하여, 상기 기재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은 상기 접착층에 직접 접착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기재에 직접 접착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촉감 구현층은 상기 기재에 직접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은 열 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은 열 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은 파단 시의 인장강도는 50 MPa 이상 80 MPa 이하, 55 MPa 이상 75 MPa 이하, 60 MPa 이상 70 MPa 이하, 55 MPa 이상 62.5 MPa 이하, 또는 65 MPa 이상 72.5 MPa 이하일 수 있다. 파단 시의 인장강도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은 외력에 대한 충격 흡수 및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은 100 %의 연신율에서 인장강도가 7.5 MPa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은 100 %의 연신율에서 인장강도가 2.5 MPa 이상 7.5 MPa 이하, 또는 3 MPa 이상 6 MPa 이하일 수 있다. 100 %의 연신율에서 인장강도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은 가공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은 폴리 우레탄 수지,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은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7.5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은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8 중량부 이상 14 중량부 이하, 또는 10 중량부 이상 13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2 이상 6 이하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Evonik 社의 2관능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인 H12MDI, AsahiKASEI 社의 6관능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인 MHG-80B, AsahiKASEI 社의 6관능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인 MFA-100, 및 AsahiKASEI 社의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인 TKA-1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는, 수평균분자량이 1,800 g/mol 이상 2,200 g/mol 이하인 폴리올; 탄소수 4 이상 10 이하의 디올을 포함하는 사슬 연장제; 및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는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와 하드 세그먼트(hard segment)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의 소프트 세그먼트는 상기 폴리올과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부터 유래된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의 하드 세그먼트는 상기 사슬 연장제와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부터 유래된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수평균분자량은 1,800 g/mol 이상 2,200 g/mol 이하, 1,950g/mol 이상 2,050 g/mol 이하, 또는 1,900 g/mol 이상 2,100 g/mol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수평균분자량이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내구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의 수평균분자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신율이 감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2개의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디올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은 폴리카보네이트디올, 폴리카프로락톤디올, 폴리에스터디올 및 폴리이서디올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상기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이상 7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상기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55 중량% 이상 72.5 중량% 이하, 65 중량% 이상 71 중량% 이하, 또는 68 중량% 이상 74.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 내의 상기 폴리올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파단 시의 인장강도가 높은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에 포함되는 하드 세그먼트의 함량이 과도하게 많아지는 것을 억제하여,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가공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사슬 연장제는 탄소수 4 이상 10 이하의 디올, 또는 탄소수 4 이상 6 이하의 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범위의 탄소수를 가지는 디올을 포함하는 사슬 연장제는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사슬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슬 연장제는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오펜틸글리콜, 1,10-데칸디올, 1,1-시클로헥산디메탄올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슬 연장제의 함량은 상기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5 중량% 이상 15 중량%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5 중량% 이상 8 중량% 이하, 또는 6 중량% 이상 7.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2 이상 6 이하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2 개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isophorone diisocyanate), 메틸렌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xylene diisocyanate), 나프탈렌-1,5-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시클로헥산디이소아네이트(cyclohexane diisocyan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은 상기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이상 37.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은 상기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이상 27.5 중량% 이하, 또는 21.5 중량% 이상 2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로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촉매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dibutyl tin dilaurate; DBTDL)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매의 함량은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중량부 이상 0.02 중량부 이하, 또는 0.008 중량부 이상 0.01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40,000 g/mol 이상 70,000 g/mol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인장강도 및 내구성 등의 물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 톨루엔, 크실렌,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메틸셀로솔브) 및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에틸셀로솔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의 함량은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코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은 20 % 이상 70 % 이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30 % 이상 60 % 이하, 40 % 이상 55 %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고형분”은 용액 전체에서 용제를 제외한 용질 또는 고형물을 의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이란 상기 유기용제를 제외한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촉매 등의 첨가제를 총칭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두께는 10 ㎛ 이상 25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두께는 20 ㎛ 이상 200 ㎛ 이하, 또는 30 ㎛ 이상 18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열 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폴리 우레탄 수지,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추가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 상에 도포된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100 ℃ 이상 150 ℃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40 ℃ 이상 80 ℃ 이하의 온도에서 12 시간 이상 48 시간 이하의 시간 동안 추가 경화할 수 있다.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열처리하여 형성된 폴리 우레탄 수지층은 반경화 상태로, 이를 추가 경화시켜, 최종적으로 경화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은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은 롤러 등에 의해서 열 및 압력이 가해지고, 상기 롤러의 표면의 패턴이 상기 열 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일 면에 전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열 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일 면에 상기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이 상기 기재에 접착될 때, 상기 요철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요철이 형성된 면이 상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열 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이 상기 기재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 기재의 상면에 직접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 촉감 구현층 아래에 직접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접착성 수지 및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성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자외선에 의해 황변되지 않고 UV 흡수제의 분산성이 양호한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성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알키드 수지 또는 아미노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접착성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혹은 2종 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수지로, 광학 특성, 내후성 및 기재와의 밀착성 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아크릴 단량체 및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가 각각 1종 이상 중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 단량체의 예로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퍼프릴(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클로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 α-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 α-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α-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부틸 α-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 단량체의 예로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트)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트)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및 이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는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접착성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화제로 자외선에 의해 황변되지 않는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에폭시 경화제 및 아지리딘 경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제는 상기 점착층 전체를 기준으로 약 0.2wt% 내지 약 0.5 wt%, 약 0.3wt% 내지 약 0.5 wt%, 약 0.3wt% 내지 약 0.45 wt% 또는 약 0.35wt% 내지 약 0.45 wt%로 상기 점착층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점착력 저하 또는 내열 및 내습 환경에서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접착층은 염료 및/또는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촉감 구현층과 함께,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은 안료분산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안료분산체의 함량은 상기 접착층 또는 이의 제조를 위한 접착층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약 1wt% 내지 약 30wt%, 약 5wt% 내지 약 20wt%, 약 0.1wt% 내지 약 10 wt% 또는 약 0.2wt% 내지 약 5 wt%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산화방지제, 광 안정제, 광 개시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 개시제는 벤조페논(benzophenone)계, 티옥산톤(thioxanthone)계, α-하이드록시 케톤(α-hydroxy ketone)계, 케톤(ketone)계, 페닐 글리옥실레이트(phenyl glyoxylate)계 및 아크릴 포스파인 옥사이드(acryl phosphine oxide)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약 -40℃ 이상의 유리전이 온도, 구체적으로 약 -40℃ 내지 약 -15℃ 또는 약 -30℃ 내지 약 -15℃의 유리전이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상기의 범위와 같은 유리전이 온도를 가지기 때문에, 눌림 등과 같은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를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약 10㎛ 내지 약 30㎛, 약 15㎛ 내지 약 25㎛, 약 15㎛ 내지 약 20㎛, 또는 약 15㎛ 내지 약 17㎛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는 눌림 등과 같은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한 불량을 방지하고 점착력을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일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는 균형 보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기재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기재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기재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 및 상기 기재 사이에 제 2 접착층(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일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일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이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균형 보강층은 하드코팅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일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접착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하드코팅층은 상기 제 2 접착층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제 2 접착층과 높은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약 7 ㎏f/㎟ 내지 약 40㎏f/㎟의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약 8 ㎏f/㎟ 내지 약 35㎏f/㎟의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폭 방향으로 약 7 ㎏f/㎟ 내지 약 40㎏f/㎟의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폭 방향으로 약 8 ㎏f/㎟ 내지 약 35㎏f/㎟의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약 200 ㎏f/㎟ 내지 약 400㎏f/㎟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약 250 ㎏f/㎟ 내지 약 350㎏f/㎟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약 250 ㎏f/㎟ 내지 약 270㎏f/㎟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폭 방향으로 약 200 ㎏f/㎟ 내지 약 400㎏f/㎟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폭 방향으로 약 250 ㎏f/㎟ 내지 약 350㎏f/㎟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폭 방향으로 약 250 ㎏f/㎟ 내지 약 270㎏f/㎟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약 30% 내지 약 150%의 파단 신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약 30% 내지 약 130%의 파단 신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약 40% 내지 약 120%의 파단 신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약 30% 내지 약 150%의 파단 신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약 30% 내지 약 130%의 파단 신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약 40% 내지 약 120%의 파단 신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폭 방향으로 약 30% 내지 약 150%의 파단 신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폭 방향으로 약 30% 내지 약 130%의 파단 신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은 상기 폭 방향으로 약 40% 내지 약 120%의 파단 신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모듈러스, 상기 파단 신도 및 상기 인장 강도는 KS B 5521에 따라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러스, 상기 인장 강도 및 상기 파단 신도는 ASTM D882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의 두께는 약 80㎛ 내지 약 300㎛일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의 두께는 약 100㎛ 내지 약 300㎛일 수 있다. 상기 균형 보강층의 두께는 약 120㎛ 내지 약 250㎛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은 동적 마찰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동적 마찰계수는 약 0.4 초과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동적 마찰계수는 약 0.45 초과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동적 마찰계수는 약 0.5 초과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동적 마찰계수는 약 0.55 초과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동적 마찰계수의 최대값은 약 3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정적 마찰계수는 약 0.4 초과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정적 마찰계수는 약 0.5 초과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정적 마찰계수는 약 0.6 초과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정적 마찰계수는 약 0.7 초과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동적 마찰계수의 최대값은 약 5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동적 마찰계수 및 정적 마찰 계수는 ASTM D 1894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은 접촉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접촉각은 약 70˚ 내지 약 120˚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접촉각은 약 75˚ 내지 약 115˚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접촉각은 약 70˚ 내지 약 90˚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접촉각은 약 100˚ 내지 약 120˚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접촉각은 약 100˚ 내지 약 115˚일 수 있다.
상기 접촉각은 ASTM D5946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은 표면 에너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표면 에너지는 약 20mN/m을 초과할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표면 에너지는 약 25mN/m을 초과할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표면 에너지는 약 30mN/m을 초과할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표면 에너지는 약 35mN/m을 초과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에너지는 아크로테스트(Acrotest)사의 다인펜(dyne pen)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은 Rp 조도, Rv 조도, Rz 조도, Ra 조도 및 Rq 조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에서, Rp 조도는 약 10㎛ 내지 약 40㎛이고, Rv 조도는 약 5㎛ 내지 약 30㎛이고, Rz 조도는 약 15㎛ 내지 약 60㎛이고, Ra 조도는 약 0.5㎛ 내지 약 7㎛이고, Rq 조도는 약 1㎛ 내지 약 8㎛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p 조도는 약 10㎛ 내지 약 40㎛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p 조도는 약 5㎛ 내지 약 15㎛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p 조도는 약 15㎛ 내지 약 30㎛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p 조도는 약 25㎛ 내지 약 40㎛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p 조도는 약 10㎛ 내지 약 20㎛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v 조도는 약 5㎛ 내지 약 30㎛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v 조도는 약 3㎛ 내지 약 7㎛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v 조도는 약 15㎛ 내지 약 26㎛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v 조도는 약 5㎛ 내지 약 15㎛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v 조도는 약 17㎛ 내지 약 30㎛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z 조도는 약 15㎛ 내지 약 60㎛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z 조도는 약 15㎛ 내지 약 25㎛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z 조도는 약 35㎛ 내지 약 60㎛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z 조도는 약 15㎛ 내지 약 40㎛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a 조도는 약 0.5㎛ 내지 약 7㎛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a 조도는 약 0.5㎛ 내지 약 1.5㎛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a 조도는 약 1㎛ 내지 약 4㎛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a 조도는 약 3㎛ 내지 약 7㎛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q 조도는 약 1㎛ 내지 약 8㎛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q 조도는 약 1㎛ 내지 약 2㎛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q 조도는 약 5㎛ 내지 약 8㎛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q 조도는 약 3㎛ 내지 약 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에서, Rz 조도 대비 Ra 조도의 비율은 0.05 내지 0.5일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에서, Rz 조도 대비 Ra 조도의 비율은 0.1 내지 0.3일 수 있다.
상기 Rp 조도, Rv 조도, Rz 조도, Ra 조도 및 Rq 조도는 비접촉식 조도계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촉각 구현층은 상기와 같은 조도를 가지기 때문에, 가죽 촉감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는 전광선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전광선 투과율은 약 85% 이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전광선 투과율은 약 87% 이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전광선 투과율은 약 90% 이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는 헤이즈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헤이즈는 약 50% 이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헤이즈는 약 60% 이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헤이즈는 약 70% 이상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헤이즈는 약 5%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헤이즈는 약 4%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는 광택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는 20˚ 광택도, 60˚ 광택도 및 85˚ 광택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20˚ 광택도는 약 100GU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20˚ 광택도는 약 95GU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20˚ 광택도는 약 10GU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20˚ 광택도는 약 5GU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20˚ 광택도는 약 80 내지 약 100GU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60˚ 광택도는 약 120GU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60˚ 광택도는 약 115GU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60˚ 광택도는 약 20GU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60˚ 광택도는 약 5GU 내지 약 20GU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85˚ 광택도는 약 110GU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85˚ 광택도는 약 105GU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85˚ 광택도는 약 15GU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85˚ 광택도는 약 0.5GU 내지 약 10GU일 수 있다.
상기 광택도는 BYK사의 AG-4563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는 굴곡강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굴곡 강도는 약 150gf 초과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굴곡 강도는 약 200gf 초과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굴곡 강도는 약 250gf 초과할 수 있다.
상기 굴곡 강도는 상기 촉감 구현층에 압력이 가해져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굴곡 강도는 ASTM D790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는 컬(curl)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컬은 약 5㎜ 미만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컬은 약 4㎜ 미만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컬은 약 3㎜ 미만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컬은 약 2㎜ 미만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의 컬은 약 1㎜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컬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가 약 10㎝×10㎝의 크기로 절단되고, 평평한 바닥에 놓여진 후, 상기 컬은 모서리 중 가장 큰 높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 기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 디스플레이부(120), 구동부(150) 및 배터리(16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배터리와 같은 전자 부품을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배터리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하우징은 프레임부(111) 및 후면 커버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후면 커버부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배터리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후면 커버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된다. 상기 후면 커버부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을 덮는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외부에 영상 및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영상 및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윈도우는 투명하다. 이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영상을 외부로 보여줄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전면 커버부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투과부 및 비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의 영상이 표시되기 위해서, 광을 투과할 수 있는 영역이다. 또한, 상기 비투과부는 상기 투과부 주위에 배치되고, 광을 차단할 수 있는 영역이다.
상기 비투과부는 유리 플레이트 등과 같은 투명 플레이트 및 실시예에 따른 데코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플레이트에 실시예에 따른 데코시트가 점착되어, 상기 비투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윈도우에 점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패널 또는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광학 투명 접착제에 의해서 점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 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부는 프로세서, 통신 모듈, 각종 인터페이스 및 전력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칩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칩들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이다.
도 4은 실시예에 따른 커버 플레이트의 일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 커버부(112)는 커버 플레이트(201) 및 데코시트(25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데코시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데코시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내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코 시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내부면에 점착될 수 있다. 상기 데코시트에 포함된 점착층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내부면에 직접 점착될 수 있다.
상기 데코시트는 패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층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패턴층은 성형물일 수 있다. 상기 패턴층은 특정 문양을 구현하기 위해서, 반복되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턴층은 프리즘 패턴, 렌티큘라 렌즈 패턴 또는 반구형 패턴 등과 같은 광학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패턴은 입사되는 광을 적절하게 반사 및/또는 굴절시켜서, 심미적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패턴층은 입사되는 광을 규칙적인 패턴으로 반사 및/또는 굴절시켜서, 실시예에 따른 데코시트의 미감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패턴층은 단일층 또는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층은 적절한 반사 및/또는 굴절을 구현하기 위해서, 인접하는 층들과의 굴절율 매칭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패턴층은 인접하는 층들과의 굴절율 차이를 적절하게 가질 수 있다.
상기 패턴층은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인몰드 사출 성형 후, UV 경화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턴층은 우레탄아크릴계 올리고머, 아민계 모노머 및 카르복실계 모노머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중합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층은 상기 우레탄아크릴계 올리고머, 상기 아민계 모노머 및 상기 카르복실계 모노머가 인몰드 내에서 UV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층의 두께는 약 10㎛ 내지 약 20㎛, 약 10㎛ 내지 약 17㎛ 또는 약 15㎛ 내지 약 17㎛일 수 있다.
상기 데코시트는 기본 외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외관층은 상기 데코시트의 기본 외관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본 외관층은 기본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외관층은 기본 질감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외관층은 인쇄층 및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잉크 등을 포함하여, 광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고, 반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은 광을 차단하는 소재를 포함하여 반사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쇄층은 후방으로 빛이 새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약 1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약 5%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데코시트는 상기 인쇄층을 포함하여, 약 550㎚의 파장에 대해서, 약 10% 이하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은 문자 또는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상기 데코시트에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한 사진, 패턴, 다양한 색상 또는 문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의 두께는 약 10㎛ 내지 약 50㎛ 또는 약 15㎛ 내지 약 20㎛일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잉크가 상기 패턴층 상에 여러 번 코팅되어, 상기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상기 데코시트의 반사율을 극대화하거나, 실시예에 따른 데코시트에 금속 질감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상기 패턴층 및 상기 인쇄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상기 패턴층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무기물이 증착된 무기 증착층일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Nb, Si, Ti, In, Ag 및 Sn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1종 이상의 무기물이 비전도성 진공증착(non-conductive vacuum metalizing; NCVM)되는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반사 효과 뿐만 아니라, 무기물 증착에 의한 금속 광택 효과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사층 및/또는 상기 인쇄층은 상기 패턴층에 포함된 패턴을 평탄화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실시예에 따른 데코시트는 상기 패턴층에 포함된 요철을 평탄화시키기 위한 평탄화층을 더 포함할 수 잇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데코시트는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배터리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두께는 약 300㎛ 내지 약 1000㎛일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두께는 약 400㎛ 내지 약 700㎛일 수 있다.
상기 데코시트는 상기 후면 커버의 외관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데코시트에 의해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관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데코시트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원하는 디자인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코시트는 상기 후면 커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데코시트에 의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는 촉감 구현층을 포함한다. 상기 촉감 구현층은 적절한 동적 마찰 계수 및 정적 마찰 계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촉감 구현층은 적절한 접촉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은 적절한 표면 에너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촉감 구현층은 적절한 Rp 조도, 적절한 Rv 조도, 적절한 Rz 조도, 적절한 Ra 조도 및 적절한 Rq 조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는 가죽 촉감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촉감 구현층은 적절한 표면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촉감 구현층을 만질 때, 가죽 촉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촉감 구현층은 적절한 헤이즈, 적절한 광 투과도 및 적절한 광택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는 가죽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는 적절한 굴곡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가 전자 장치용 하우징 장치에 사용될 때, 상기 하우징 장치는 내부에 배치된 전자 부품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약 380㎛ 두께를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에 약 15㎛의 두께로 접착제(UV 타입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SUT-3351E, 신성화인켐)가 코팅되었다. 상기 코팅된 접착제 상에 약 300㎛의 두께를 가지는 열 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EXCELLON-HQ, 한국 유화, 엠보 타입)이 배치되고, 자외선에 의해서 상기 코팅된 접착제가 경화되었다.
실시예 2
약 300㎛ 두께를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에 약 15㎛의 두께로 접착제(UV 타입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SUT-3351E, 신성화인켐)가 코팅되었다. 상기 코팅된 접착제 상에 약 300㎛의 두께를 가지는 열 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EXCELLON-NY, 한국 유화, 엠보 타입)이 배치되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하면에도 상기 접착제가 코팅되고, 약 50㎛ 두께를 가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TU 94, SKC)이 상기 하면에 코팅된 접착제에 배치되었다. 이후, 상기 코팅된 접착제는 자외선에 의해서 경화되었다.
실시예 3
약 300㎛ 두께를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에 약 15㎛의 두께로 접착제(UV 타입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SUT-3351E, 신성화인켐)가 코팅되었다. 상기 코팅된 접착제 상에 약 300㎛의 두께를 가지는 열 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astromax, 아펠사 제품)이 배치되었다. 이후, 상기 코팅된 접착제가 자외선에 의해서 경화되었다.
약 33 중량부의 지방족 3관능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U3000, 미원사), 약 47중량부의 1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Miramer M144, PHEA-4, 미원사), 약 18중량부의 3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Miramer M300, TMPTA, 미원사) 및 약 2중량부의 광 개시제(Irgacure 907 1.5 중량부, Irgacure TPO 0.5 중량부)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접합력 향상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이 준비되었다.
이후, 상기 조성물은 약 100㎛의 두께를 가지는 PET 필름(TU 94, SKC사 제품)에 약 5㎛의 두께로 코팅되었다. 이후, 상기 코팅된 조성물에 자외선이 조사되고, 경화되어, 상기 하드코팅층이 상기 PET 필름 상에 형성되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하면에도 상기 접착제가 코팅되고, 상기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PET필름이 상기 하면에 코팅된 접착제에 배치되었다. 이후, 상기 코팅된 접착제는 자외선에 의해서 경화되었다.
실시예 4 내지 9
하기의 표 1에서와 같이, 층 구조 및 열 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thermoplastic film, TPU)의 종류가 달라졌다. 나머지 공정은 실시예 1 내지 3이 참조되었다.
구분 층 구조(접착층 생략) TPU 필름
실시예 1 TPU(300㎛)/PC(380㎛) EXCELLON-HQ, 한국 유화, 투명 타입
실시예 2 TPU(200㎛)/PC(300㎛)/PET(50㎛) EXCELLON-NY, 한국 유화, 엠보 타입
실시예 3 TPU(200㎛)/PC(300㎛)/HC(5㎛)/PET(100㎛) astromax, 아펠사 제품, 엠보 타입
실시예 4 TPU(200㎛)/PC(500㎛) astromax, 아펠사 제품, 엠보 타입
실시예 5 TPU(200㎛)/PC(300㎛)/PET(75㎛) astromax, 아펠사 제품, 엠보 타입
실시예 6 TPU(200㎛)/PC(300㎛)/PET(100㎛) astromax, 아펠사 제품, 엠보 타입
실시예 7 TPU(200㎛)/PC(300㎛)/PET(125㎛) astromax, 아펠사 제품, 엠보 타입
실시예 8 TPU(200㎛)/PC(300㎛)/PET(188㎛) astromax, 아펠사 제품, 엠보 타입
실시예 9 TPU(200㎛)/PC(300㎛)/PET(250㎛) astromax, 아펠사 제품, 엠보 타입
실시예 10 TPU(200㎛)/PC(300㎛)/HC(1㎛)/PET(100㎛) astromax, 아펠사 제품, 엠보 타입
실시예 11 TPU(200㎛)/PC(300㎛)/HC(6㎛)/PET(100㎛) astromax, 아펠사 제품, 엠보 타입
실험예
1. 컬 테스트
실시예들에서 제조된 시트는 약 10㎝×10㎝의 정사각형으로 절단되고, 약 80℃의 온도에서, 약 1시간 동안 방치된 후, 평탄한 면에 배치된다. 이후, 상기 평탄한 면으로부터 4개의 모서리까지의 높이가 측정된다. 이때, 가장 큰 높이가 컬로 도출된다.
2. 마찰 계수
마찰 계수는 마찰계수 측정 장비(FPT-F1, Labthink사 제품)에 의해서, ASTM D 1894에 따라서, 측정되었다.
3. 접촉각
접촉각은 접촉각 측정 장비(Kyowa사 제품)에 의해서, ASTM D5946에 따라서, 측정되었다.
4. 표면 에너지
표면 에너지는 측정 장비(dyne pen, Acrotest사 제품)에 의해서 측정되었다.
5. 표면 조도
표면 조도는 비접촉식 조도 측정 장비(Keyence사 제품, X400)에 의해서 측정되었다.
6.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는 헤이즈 미터(NDH2000N)에 의해서, JIS K7361에 따라서 측정되었다.
7. 굴곡 강도
상기 TPU를 누르는 방향으로, 굴곡 강도 측정 장비(AGS-X 500NX)에 의해서 측정되었다.
8. 광택도
20˚광택도, 60˚광택도 및 85˚ 광택도가 광택도 측정 장비(AG-4563 micro-TRI-gloss, BYK사)에 의해서 측정되었다.
구분
실시예 1 1㎜ 미만
실시예 2 1㎜ 미만
실시예 3 1㎜ 미만
실시예 4 1㎜ 미만
실시예 5 1.5㎜
실시예 6 1.5㎜
실시예 7 2㎜
실시예 8 2㎜
실시예 9 2㎜
실시예 10 1㎜ 미만
실시예 11 2.5㎜
구분 굴곡 강도(gf)
실시예 1 338
실시예 3 267
실시예 6 252
실시예 10 254
실시예 11 281
구분 정적 마찰 계수 동적 마찰 계수 접촉각(˚) 표면 에너지
(mN/m)
실시예 1 0.958 0.599 80.4 40
실시예 2 0.899 0.838 104 38
실시예 3 0.890 0.656 112 32
구분 전광선 투과율
(%)
헤이즈
(%)
실시예 1 92.1 1.14
실시예 2 98.7 87.9
실시예 3 97.8 82.7
구분 20˚광택도(GU) 60˚광택도(GU) 85˚광택도(GU)
실시예 1 89.9 0.6 1.4
실시예 2 107 7.8 11.9
실시예 3 100 6.4 2.6
구분 Rp 조도(㎛) Rv 조도(㎛) Rz 조도(㎛) Ra 조도(㎛) Rq 조도(㎛)
실시예 2 22.4 22.66 45.90 2.66 3.99
실시예 3 30.14 22.74 52.88 5.37 6.69
실시예들에 따른 외장재용 플라스틱 시트들은 가죽 촉감을 구현하였고, 향상된 외관 및 기계적 물성을 가졌다.
기재(210)
액정층(220)
접합력 향상층(230)
점착층(240)
패턴층(260)
기본 외관층(280)

Claims (12)

  1.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 상에 배치되고, 열 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촉감 구현층을 포함하고,
    상기 촉감 구현층에서, ASTM D1894에 의해서 측정되는 동적 마찰계수가 0.4이상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 구현층에서, ASTM D1894에 의해서 측정되는 정적 마찰계수가 0.4이상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 아래에 배치되는 균형 보강층을 더 포함하는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 구현층의 접촉각은 70˚ 내지 120˚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의 Rp 조도는 10㎛ 내지 40㎛이고, Rv 조도는 5㎛ 내지 30㎛이고, Rz 조도는 15㎛ 내지 60㎛이고, Ra 조도는 0.5㎛ 내지 7㎛이고, Rq 조도는 1㎛ 내지 8㎛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헤이즈가 50% 이상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 구현층을 통하여 압력이 가해질 때, 굴곡 강도가 200gf 초과하는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60˚광택도가 5 GU 내지 20 GU인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 구현층의 표면 에너지가 20mN/m를 초과하는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 구현층의 상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
  11.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의 일면에 접착되고, 열 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촉감 구현층을 포함하고,
    상기 촉감 구현층에서, ASTM D1894에 의해서 측정되는 동적 마찰계수가 0.4이상인 전자 장치용 하우징 장치.
  12. 전자 부품; 및
    상기 전자 부품을 수용하는 하우징 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부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의 일면에 접착되고, 열 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촉감 구현층을 포함하고,
    상기 촉감 구현층에서, ASTM D1894에 의해서 측정되는 동적 마찰계수가 0.4이상인 전자 장치.
KR1020220092612A 2022-07-26 2022-07-26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 이를 포함하는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15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612A KR20240015215A (ko) 2022-07-26 2022-07-26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 이를 포함하는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612A KR20240015215A (ko) 2022-07-26 2022-07-26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 이를 포함하는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215A true KR20240015215A (ko) 2024-02-05

Family

ID=89904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612A KR20240015215A (ko) 2022-07-26 2022-07-26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 이를 포함하는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52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463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470465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862252B1 (ko) 플렉시블 플라스틱 필름
CN112969325B (zh) 壳体组件、其制备方法及电子设备
WO2017170246A1 (ja) 成形加飾用積層フィルム
KR101738493B1 (ko) 비산방지 필름
KR101953367B1 (ko)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
JP2012183822A (ja) 光学ディスプレイ用透明積層体
JPH0616851A (ja) 耐擦傷性防眩フィルム、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81228B1 (ko) 외장용 전사 필름, 외장용 전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인몰드 사출 성형품
KR102097604B1 (ko) 곡면부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한 데코레이션 필름
US9526166B2 (en) Bezel structure for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7297156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成形体、なら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KR101791232B1 (ko) 플라스틱 필름 적층체
KR102169467B1 (ko) 고연신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205345A (ja) 樹脂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方法
KR101749722B1 (ko)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15215A (ko) 외장재 제조용 플라스틱 시트, 이를 포함하는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798759B1 (ko) 곡면부를 가진 휴대기기에 부착되는 보호시트 모듈, 이를 이용한 보호시트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보호시트
CN114214022B (zh) 光固化胶、壳体和电子设备
KR20190068494A (ko)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
KR20180029599A (ko) 윈도우용 데코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4128922A (ja) 加飾成型品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て製造される加飾成型品
KR101629941B1 (ko) 터치 패널
CN112512790B (zh) 使用表面处理的可剥离层的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