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282A - 버스 하차 콜벨 - Google Patents

버스 하차 콜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282A
KR20240014282A KR1020220091842A KR20220091842A KR20240014282A KR 20240014282 A KR20240014282 A KR 20240014282A KR 1020220091842 A KR1020220091842 A KR 1020220091842A KR 20220091842 A KR20220091842 A KR 20220091842A KR 20240014282 A KR20240014282 A KR 20240014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housing
sound
call bell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지혜
한남경
Original Assignee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91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282A/ko
Publication of KR20240014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5/00Arrangements or devices on vehicles for entrance or exit control of passengers, e.g. turns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9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giving information to passengers inside th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에 탑승한 승객이 소지한 상태에서 하차 예정시에 버튼을 눌러서 다음 정류장에서 하차 예정임을 운전자에게 알리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 하차 콜벨로서, 일정한 내부 공간이 마련되며 상면에 개구 형성된 개구면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 형성된 상기 개구면에 상기 하우징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버튼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버튼부재를 누를시에 상기 버스에 설치된 하차벨에서 발생되는 소리와 동일한 소리가 발생되어 하차 예정임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하차음 발생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차음 발생부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하차 콜벨을 제공함으로써, 고령자나 노약자가 대중교통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여 고령자나 노약자의 안전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버스를 이용하는 전체 승객들 모두가 안전한 운행을 누릴 수 있다.

Description

버스 하차 콜벨{CALL BELL FOR BUS ALIGHT}
본 발명은 버스 하차 콜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령자나 노약자가 대중교통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여 고령자나 노약자의 안전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버스를 이용하는 전체 승객들 모두가 안전한 운행을 누릴 수 있는 버스 하차 콜벨에 관한 것이다.
버스는 지하철과 함께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이러한 버스에서 승객이 하차하기 위해서는 버스 내에 설치된 하차벨을 직접 손으로 눌러야하고, 운전자가 승객의 하차 표시를 하차벨로부터 인지하고 당해 정류장에서 정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버스 내부에 하차벨이 구비되어 있기는 하나 승객석 모든 자리에 설치된 것은 아니어서 출퇴근 시간과 같이 버스 내 사람이 많이 붐비거나 거동이 불편한 경우에는 하차 정류장에 이르기 전에 하차벨에 접근하지 못하여 정류장을 지나치게 되어 하차를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하차벨은 하차하고자 하는 정류장의 직전 정류장을 지나고 나서부터 하차 정류장에 도착 전까지의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내에 눌러야 하고, 미리 누를 수는 없는 문제가 있으며, 근거리에 하차벨이 없는 경우 자리에서 일어나서 하차벨을 눌러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고령자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흔들리는 버스 안에서 균형을 잡기가 쉽지 않아 하차벨을 신속하게 누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신체적인 활동 능력이 저하되어 하차를 하는데 젊은 사람에 비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원활한 버스의 이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령자나 노약자가 대중교통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여 고령자나 노약자의 안전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버스를 이용하는 전체 승객들 모두가 안전한 운행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버스 하차 콜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버스 하차 콜벨은, 버스에 탑승한 승객이 소지한 상태에서 하차 예정시에 버튼을 눌러서 다음 정류장에서 하차 예정임을 운전자에게 알리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 하차 콜벨로서, 일정한 내부 공간이 마련되며 상면에 개구 형성된 개구면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 형성된 상기 개구면에 상기 하우징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버튼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버튼부재를 누를시에 상기 버스에 설치된 하차벨에서 발생되는 소리와 동일한 소리가 발생되어 하차 예정임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하차음 발생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차음 발생부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일측에는 상기 버튼부재를 누를 경우에 상기 하차음 발생부에서 하차음을 발생시켰음을 알려주는 별도의 발광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차음 발생부에서는 상기 버튼부재를 누를 경우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음성메시지도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운전자는 하차시 정차 시간을 늘여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버튼부재는 상기 발광부재에서 발생되는 빛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투명재질이나 혹은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버튼부재의 전면에는 '시간이 필요해요' 라는 문구가 프린팅되고, 상기 하우징 전면의 일측에는 '시간이 필요해요' 라는 점자가 돌출되게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버스 하차 콜벨은 고령자나 노약자가 대중교통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여 고령자나 노약자의 안전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버스를 이용하는 전체 승객들 모두가 안전한 운행을 누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버스 하차 콜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하차 콜벨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하차 콜벨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하차 콜벨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하차 콜벨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버스 하차 콜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하차 콜벨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하차 콜벨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하차 콜벨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 하차 콜벨은, 버스에 탑승한 승객이 소지한 상태에서 하차 예정시에 버튼을 눌러서 다음 정류장에서 하차 예정임을 운전자에게 알리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 하차 콜벨로서, 일정한 내부 공간(110)이 마련되며 상면에 개구 형성된 개구면(120)이 구비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 형성된 상기 개구면(120)에 상기 하우징(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버튼부재(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10)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버튼부재(200)를 누를시에 상기 버스에 설치된 하차벨에서 발생되는 소리와 동일한 소리가 발생되어 하차 예정임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하차음 발생부(3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10)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차음 발생부(3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4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100)은 평탄한 하면을 구비하고 상면은 굴곡지게 형성된 부재로서 내부공간(110)을 구비하고, 상면의 중앙 영역에는 원형으로 절개 형성된 절개면(120)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0)은 가벼운 플라스틱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소지하는데 효과적이며, 후술할 발광부재(500)가 발광시에 발광부재(500)에서 발생되는 빛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은 투명재질이나 혹은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 전면의 일측에는 '시간이 필요해요' 라는 점자(130)가 돌출 형성되는데, 시력이 좋지 않는 탑승객의 경우에는 점자(130)를 손가락의 감각으로 읽음으로써 버튼부재(200)의 위치를 감지하여 하차시에 용이하게 버튼부재(200)를 누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버튼부재(200)는 하우징(100)의 개구 형성된 상기 개구면(120)에 상기 하우징(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버튼부재(200)는 사용자가 버튼부재(200)를 누를 경우에 하우징(00)의 내부로 일정 간격 인입된 수에 사용자가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버튼부재(200)도 하우징(100)과 마찬가지로 가벼운 플라스틱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소지하는데 효과적이며, 후술할 발광부재(500)가 발광시에 발광부재(500)에서 발생되는 빛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은 투명재질이나 혹은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부재(200)의 외면은 외부로 돌출되게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부재(200)의 전면에는 '시간이 필요해요' 라는 문구(210)가 프린팅되어 운전자는 젊은 승객이 하차하는데 정차하는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정차시간을 더 길게 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운전자는 버스의 내부에 구비된 하차벨이 발광하지 않는 상태에서 하차음이 울릴 경우에는 고령자나 노약자가 소지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하차 콜벨이 울렸음을 인지하고 이번 정류장에서는 고령자나 노약자가 하차함을 인지하여 정차 시간을 더 길게 한다.
하차음 발생부(300)는 고령자나 노약자가 버스에서 하차를 위하여 버튼부재(200)를 누르게 되면 버스에 설치된 하차벨에서 발생되는 소리와 동일한 소리가 발생되도록 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하차하고자 하는 승객이 있음을 인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차음 발생부(300)에서 발생되는 하차음은 다양한 소리가 가능하지만 다른 소리와 혼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기존의 하차벨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그리고, 하차음 발생부(300)에서는 버튼부재(200)를 누를 경우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음성메시지도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운전자는 고령자나 혹은 노약자가 하차해야 함을 인지하고 하차시 정차 시간을 늘여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배터리부(40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10) 일측에 구비되어 하차음 발생부(300)와 후술할 발광부재(5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배터리부(400)를 일회용 건전지로 구비될 수 있으며 건전지의 수명이 다하면 새로운 건전지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10) 일측에는 버튼부재(200)를 누를 경우에 하차음 발생부(300)에서 하차음을 발생시켰음을 알려주는 별도의 발광부재(500)가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별도의 발광부재(50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청각이 좋지 못한 사용자가 하차를 위하여 버튼부재(200)를 눌렸을 때에 빛이 발생되도록 하여 버튼부재(200)가 제대로 작동한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스 하차 콜벨을 사용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하차 콜벨을 이용하여 고령자나 노약자가 버스에서 하차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버스에 탑승한 고령자나 노약자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하차 콜벨을 소지하고 있다가 하차해야 할 버스 정류장이 다음 정류장이 되면 버스 하차 콜벨의 하우징(100)에 구비된 버튼부재(200)를 누르게 된다.
버튼부재(200)를 누르면 하차음 발생부(300)가 동작하여 버스에 설치되어 있는 하차벨에서 발생되는 하차음과 동일한 하차음이 발생되고, 하차음이 울린 이후에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음성메시지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발광부재(500)에서 불빛이 발생하여 청각이 좋지 않는 고령자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불빛을 확인하여 버스 하차 콜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 의하여 운전자는 다음 정류장에 하차하고자 하는 고령자나 노약자가 있음을 인지하고 다음 정류장에 도착하여 승객들이 하차시에는 정차 시간을 길게 배정함으로써 고령자나 노약자는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하차 콜벨은 고령자나 노약자가 대중교통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여 고령자나 노약자의 안전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버스를 이용하는 전체 승객들 모두가 안전한 운행을 누릴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내부 공간
120 : 절개면 130 : 점자
200 : 버튼부재 210 : 문구
300 : 하차음 발생부 400 : 배터리부
500 : 발광부재

Claims (5)

  1. 버스에 탑승한 승객이 소지한 상태에서 하차 예정시에 버튼을 눌러서 다음 정류장에서 하차 예정임을 운전자에게 알리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 하차 콜벨로서,
    일정한 내부 공간(110)이 마련되며 상면에 개구 형성된 개구면(120)이 구비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 형성된 상기 개구면(120)에 상기 하우징(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버튼부재(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10)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버튼부재(200)를 누를시에 상기 버스에 설치된 하차벨에서 발생되는 소리와 동일한 소리가 발생되어 하차 예정임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하차음 발생부(3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10)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차음 발생부(3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4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하차 콜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10) 일측에는 상기 버튼부재(200)를 누를 경우에 상기 하차음 발생부(300)에서 하차음을 발생시켰음을 알려주는 별도의 발광부재(5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하차 콜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차음 발생부(300)에서는 상기 버튼부재(200)를 누를 경우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음성메시지도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운전자는 하차시 정차 시간을 늘여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하차 콜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과 상기 버튼부재(200)는 상기 발광부재(500)에서 발생되는 빛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투명재질이나 혹은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하차 콜벨.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200)의 전면에는 '시간이 필요해요' 라는 문구(210)가 프린팅되고, 상기 하우징 전면의 일측에는 '시간이 필요해요' 라는 점자(130)가 돌출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하차 콜벨.
KR1020220091842A 2022-07-25 2022-07-25 버스 하차 콜벨 KR20240014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842A KR20240014282A (ko) 2022-07-25 2022-07-25 버스 하차 콜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842A KR20240014282A (ko) 2022-07-25 2022-07-25 버스 하차 콜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282A true KR20240014282A (ko) 2024-02-01

Family

ID=89859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842A KR20240014282A (ko) 2022-07-25 2022-07-25 버스 하차 콜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42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0692A (en) Intra-oral tracking device
JP7406844B2 (ja) トイレ用自動ドアシステム及び音声案内方法
US20080007418A1 (en) Proximity-triggered handrail cueing system with automatic attention capture
ATE167748T1 (de) Geländerstangensystem für sehbehinderte.
KR20180001512U (ko) 행사용 마스크
US6351903B1 (en) Medical alert key tag
KR20240014282A (ko) 버스 하차 콜벨
JP2007261746A (ja) ペット同伴者利用時のエレベータ運転装置
ES2901743T3 (es) Dispositivo de transporte
BR0108004A (pt) Método de aumento de estado de alerta por administração de um vomeroferina, e dispositivos de alarme de emissão de vomeroferina
JP2012116575A (ja)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ATE313943T1 (de) Sprachverbindungssystem zwischen menschen und tieren
JP6525250B2 (ja) ホイッスル
KR102514589B1 (ko) 시내버스용 핸즈프리 하차벨 시스템
JP3201670U (ja) 音声案内装置付白杖
KR200415491Y1 (ko) 하차 정거장 예보장치
JP3201482U (ja) ドットコード付視覚障害者誘導用ブロック
JP2008265993A (ja) エスカレーターの安全装置
ATE272568T1 (de) Sicherheitseinrichtung für fahrtreppe
KR102534316B1 (ko)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승강기 탑승시 및 이용시에 따른 안전과 편리성의 기술적 성능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Kohr Elevator surfing: a deadly new form of joyriding
JP3105980U (ja) 航空機旅客用シート
KR20090127384A (ko) 버스 정거장 알림 장치
JP2011162176A (ja) 車のブレーキとアクセルのふみ間違いを振動(バイブレーション)で運転者に知らせる装置
CN206266024U (zh) 一种新型电梯到站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