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3315A - Anti noise resonato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nti noise resonato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3315A
KR20240013315A KR1020220090686A KR20220090686A KR20240013315A KR 20240013315 A KR20240013315 A KR 20240013315A KR 1020220090686 A KR1020220090686 A KR 1020220090686A KR 20220090686 A KR20220090686 A KR 20220090686A KR 20240013315 A KR20240013315 A KR 20240013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resonator
resonance
ceiling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6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명원
Original Assignee
(주)새론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론건설 filed Critical (주)새론건설
Priority to KR1020220090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3315A/en
Priority to PCT/KR2023/005932 priority patent/WO2024019277A1/en
Publication of KR20240013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315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27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creens ; Arrangements of sound-absorbing elements, e.g. baff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2001/8263Mounting of acoustical elements on supporting structure, e.g. framework or wall surfa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Rooms, e.g. ANC inside a room, office, concert hall or automobile cabi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14Architectures, e.g. special construction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 공명기 설치 방법은, 천장 또는 내벽에 흡음을 위한 복수 개의 흡음홀을 형성하는 흡음홀 형성 단계 및 공명을 위한 공명부재들을 구비한 공명부를 상기 천장 또는 내벽의 흡음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하는 공명부 장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installing a noise prevention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ming a sound-absorbing hole in a ceiling or an inner wall, forming a plurality of sound-absorbing holes for sound absorption, and forming a resonance part with resonance members for resonance in the sound-absorbing hole in the ceiling or inner wall. It may include the step of mounting the resonance uni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

Description

소음 방지 공명기 및 이의 설치 방법{ANTI NOISE RESONATO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Noise prevention resonato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ANTI NOISE RESONATO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음 방지 공명기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방식에 의해 공명부를 천장 또는 내벽의 내측 공간에 설치할 수 있으며, 주름진 구조를 가짐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공명부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음파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공명되는 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소음 방지 공명기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ise prevention resonator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resonator can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eiling or inner wall by a simple method, and a plurality of resonators can be installed using a corrugated structure and an adjustable length. It relates to a noise prevention resonator that can prevent noise generation by generating sound waves that selectively resonate with dog sound waves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마감재로는 목재 합판, 석고 보드 및 합성수지재, 금속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마감용 패널은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가벼운 금속으로 주로 제작되며, 관상의 기저부와, 기저부의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사방으로 연장된 측벽부를 구비한다.In general, wood plywood, gypsum board, synthetic resin materials, and metal are mainly used as finishing materials for buildings. Conventional finishing panels are mainly made of synthetic resin or light metal such as aluminum, and have a tubular base and side walls extending in all directions from the edges of the base.

이처럼, 종래의 천장 패널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된 패널 지지부재에 장착된 클립 내에 측벽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천장 패널은 설치된 실내에서 발생되는 음성 및 다른 여러 소음을 흡수하지 못하고 대부분 반사시킴으로써 실내의 소음을 가중시키는 한계가 있었다. In this way, the side wall portion of a conventional ceiling panel can be inserted and fixed into a clip mounted on a panel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building. However, these ceiling panels have the limitation of aggravating indoor noise by reflecting most of them rather than absorbing voices and other noises generated in the installed room.

이에 이러한 소음을 없애거나 줄이기 위해서, 다양한 흡음재가 사용되고 있다. 흡음재의 용도는 일반적으로 건축용, 공업용으로 구분되며, 대부분 다른 재료와 조합, 병용되어 보조 역할을 하게 되는 구성재료와 함께 사용된다. Accordingly, in order to eliminate or reduce such noise, various sound-absorbing materials are being used. The uses of sound-absorbing materials are generally divided into architectural and industrial purposes, and they are mostly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materials and with component materials that play an auxiliary role.

여기서, 흡음재를 소음 방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흡음율을 선정 기준으로 하여 소음 특성, 사용 장소 및 사용 조건 등을 고려해야만 한다. Here, when using a sound-absorbing material to prevent noise, the sound absorption rate must be used as a selection criterion, and noise characteristics, use location, and use condition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이러한 흡음재에는 다공질 흡음재, 공명형 흡음재, 판진동형 흡음재 등이 있다. 이 중 공명형 흡음재는, 소리의 공명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부연하면, 소음 발생원의 소정 위치에 발생 소음의 주주파수대에서 공명이 되는 공명형 흡음재를 설치함으로써 발생 소음과 공명되는 음파 간의 위상차에 의해서 파동 간섭을 이용하여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다. These sound-absorbing materials include porous sound-absorbing materials, resonance-type sound-absorbing materials, and plate vibration-type sound-absorbing materials. Among these, resonance-type sound-absorbing materials utilize the resonance phenomenon of sound. To elaborate, by installing a resonant sound-absorbing material that resonates in the main frequency band of the generated noise at a predetermined location of the noise source, the noise can be canceled out using wave interference due to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ted noise and the resonating sound wave.

하지만, 종래의 공명형 흡음재에 있어서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소리의 음파를 상쇄시키는 데에는 효과가 있지만, 여러 개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파의 소음에 대해서는 제대로 대응되지 않아서 소음 감소를 충분히 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However, conventional resonance sound-absorbing materials are effective in canceling out sound waves of one or two or more frequencies, but do not properly respond to sound waves of multiple frequencies, so they do not sufficiently reduce noise. There was.

특히, 층간소음을 방지하는 핵심은 저주파수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종래의 공명형 흡음재는 저주파수 중량충격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었다. In particular, the key to preventing interfloor noise is to reduce low-frequency weight impact sounds, but conventional resonance-type sound absorbing materials were unable to effectively prevent low-frequency weight impact sounds.

따라서, 고정된 주파수 외 다른 주파수 대역까지 커버할 수 있어 소음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소음 방지 공명 장치 및 그의 설치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noise-prevention resonance devic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that can cover frequency bands other than the fixed frequency and thus reliably prevent noise generation.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 등록번호 10-11830831호(발명의 명칭: 흡음 천장 패널) 등이 있다. Related prior art include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830831 (title of the invention: Sound-absorbing ceiling panel).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한 방식에 의해 공명부를 천장 또는 내벽의 내측 공간에 설치할 수 있으며, 주름진 구조를 가짐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공명부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음파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공명되는 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소음 방지 공명기 및 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onance unit can be installed in a simple manner in the inner space of the ceiling or inner wall, and the resonance unit with a corrugated structure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is used to generate sound waves that selectively resonate with a plurality of sound waves, thereby reducing noise. Provides a noise prevention resonator and its installation method that can prevent noise gener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 공명기 설치 방법은, 천장 또는 내벽에 흡음을 위한 복수 개의 흡음홀을 형성하는 흡음홀 형성 단계 및 공명을 위한 공명부재들을 구비한 공명부를 상기 천장 또는 내벽의 흡음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하는 공명부 장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installing a noise prevention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ming a sound-absorbing hole in a ceiling or an inner wall, forming a plurality of sound-absorbing holes for sound absorption, and forming a resonance part with resonance members for resonance in the sound-absorbing hole in the ceiling or inner wall. It may include the step of mounting the resonance uni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명부는, 복수 개의 음파와 선택적으로 공명되는 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복수 개의 음파 중 선택된 음파를 제거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sonan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a sound wave that selectively resonates with a plurality of sound waves and remove a sound wave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ound wav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명부는, 주름진 관 형상으로 마련되어 주름진 정도에 따라 복수 개의 음파와 선택적으로 공명되는 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복수 개의 음파 중 선택된 음파를 제거하는 복수 개의 공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onan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sonance members that are provided in the shape of a corrugated tube and generate sound waves that selectively resonate with a plurality of sound wav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wrinkles to remove a sound wave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ound waves. You ca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흡음홀은 패턴으로 상기 천장 또는 내벽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열을 따라 관통되는 흡음홀들과 다음의 일 열을 따라 관통되는 흡음홀들이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und-absorbing ho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ceiling or inner wall in a pattern, and the sound-absorbing holes penetrating along one row and the sound-absorbing holes penetrating along the next row may be formed alternately.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흡음홀은 천장 또는 내벽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바둑판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ound-absorb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hrough the ceiling or inner wall, and may be formed in a checkerboard pattern.

또한 상기 공명부 장착 단계 시, 주름을 통해 길게 펴진 상기 공명부재들이 상기 천장에서 직선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결합되고, 이에 교차되도록 주름을 통해 오므라진 상기 공명부재들이 상기 천장에서 직선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step of mounting the resonance unit, the resonance members stretched out through the wrinkles are arranged and combined along a straight line on the ceiling, and the resonance members shrunk through the wrinkles to intersect them are arranged along a straight line on the ceiling. can be combined

또한 상기 공명부 장착 단계 시, 주름을 통해 길게 펴진 상기 공명부재들과, 주름을 통해 오므라진 상기 공명부재들이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during the step of installing the resonance unit, the resonance members stretched out through the wrinkles and the resonance members shrunk through the wrinkles may be alternately arranged.

또한 상기 공명부 장착 단계 전에, 상기 천장 또는 내벽의 내측 공간에 상기 공명부를 장착하기 위한 가이드홀을 준비하는 가이드홀 준비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before the step of mounting the resonator unit, a guide hole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guide hole for mounting the resonator unit in the inner space of the ceiling or inner wall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공명부 장착 단계 후에, 상기 가이드홀을 차단하는 가이드홀 차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resonator mounting step, a guide hole blocking step of blocking the guide hole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가이드홀 차단 단계 후에, 상기 천장 또는 내벽의 외면에 심미감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통풍 시트를 부착하는 통풍 시트 부착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guide hole blocking step, a ventilation sheet attachment step of attaching a ventilation shee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eiling or inner wall to prevent aesthetic deterior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 공명기는, 흡음을 위한 복수 개의 흡음홀이 형성되어 있는 천장 또는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명부는, 주름진 관 형상으로 마련되어 주름진 정도에 따라 복수 개의 음파와 선택적으로 공명되는 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복수 개의 음파 중 선택된 음파를 제거하는 복수 개의 공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noise prevention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sonating par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a ceiling or inner wall in which a plurality of sound-absorbing holes for sound absorption are formed, and the resonating part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corrugated tube to adjust the degree of corrugation. Accordingly,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sonance members that generate sound waves that selectively resonate with a plurality of sound waves and remove a sound wave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ound wav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명부재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주름진 관 타입으로 마련되는 공명몸체 및 상기 공명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천장 또는 내벽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onanc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mpty space formed inside, is provided with a resonance body provided in a corrugated tube type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and one end of the resonance body, and is coupled to the ceiling or inner wall. It may include binding protrus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천장 또는 내벽에 형성된 상기 흡음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upling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movably fitted into the sound-absorbing hole formed in the ceiling or inner wall.

또한 상기 천장 또는 내벽에 형성된 상기 흡음홀에 가이드관이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관이 상기 결합돌기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Additionally, a guide tube may be inserted into the sound-absorbing hole formed in the ceiling or inner wall, and the guide tube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방식에 의해 공명부를 천장 또는 내벽의 내측 공간에 설치할 수 있으며, 주름진 구조를 가짐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공명부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음파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공명되는 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onator can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eiling or inner wall in a simple manner, and a resonator with a corrugated structure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is used to generate sound waves that selectively resonate with a plurality of sound waves. This can prevent noise generation.

또한,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공명부재의 길이 조절을 통해 소음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제조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noise can be preven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esonance member having a single structure,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compared to the prior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 공명기가 천장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명부의 두 가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명부재가 천장의 흡음홀에 결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변형예이다.
도 5는 도 1의 소음 방지 공명기의 설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설치 방법의 각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 공명기가 천장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noise prevention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ceiling.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wo states of the resonance unit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resonance member shown in Figure 2 being coupled to a sound-absorbing hole in the ceiling.
Figure 4 is a modified example of Figure 3.
Figure 5 is a flowchart of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noise prevention resonator of Figure 1.
Figure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each step of the installation method of Figure 5.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noise prevention reson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ceiling.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ut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are within the scope of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 공명기가 천장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명부의 두 가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명부재가 천장의 흡음홀에 결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변형예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noise prevention resonator mounted on the cei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wo states of the resonator shown in Figure 1, and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wo states. This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resonance member shown in FIG. 2 being coupled to a sound-absorbing hole in the ceiling, and FIG. 4 is a modified example of FIG. 3.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 공명기(100)는, 흡음을 위한 복수 개의 흡음홀(110h)이 패터닝되어 있는 천장(110)(또는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명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noise-prevention reson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eiling 110 (or inner wall) on which a plurality of sound-absorbing holes 110h for sound absorption are patterned. It may include a resonance unit 120.

여기서 공명부(120)는, 천장(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소음의 복수 개의 음파와 선택적으로 공명되는 음파를 발생시켜 복수 개의 음파 중 선택된 음파를 제거하는 복수 개의 공명부재(120a, 120b)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resonance unit 120 is a plurality of resonance members 120a and 120b that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ceiling 110 and generate sound waves that selectively resonate with a plurality of sound waves of noise to remove a selected sound wave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waves. may include.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고정된 주파수 외 다른 주파수 대역까지 커버할 수 있어 소음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소음에는 여러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음파들이 포함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공명부(120)의 경우 각각의 음파에 공명되는 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어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over frequency bands other than the fixed frequency, thereby reliably preventing noise generation. In other words, noise may include sound wave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and in the case of the resonance unit 120 of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generate sound waves that resonate with each sound wave, thereby minimizing noise generation.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천장(110)에는, 도 1에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두께 방향으로 흡음을 위한 흡음홀(110h)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bing each configuration, first, in the ceiling 110 of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and 6, a sound-absorbing hole 110h for sound absorption may be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이러한 흡음홀(110h)으로 소음의 음파가 인입되면서 흡수될 수 있다. 흡음홀(110h)은 원통 형상의 홀이며, 비교적 높은 주파수 영역을 가지는 음파의 흡음율이 우수하다. 예를 들면, 천장(110)의 흠읍홀(110h)을 통해 낮은 주파수 영역의 음파가 흡음될 수 있고, 따라서 이 주파수 영역의 음파를 제거함으로써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As sound waves of noise enter this sound-absorbing hole (110h), they can be absorbed. The sound-absorbing hole 110h is a cylindrical hole and has excellent sound absorption of sound waves in a relatively high frequency range. For example, sound waves in a low frequency range can be absorbed through the hole 110h of the ceiling 110, and thus noise generation can be prevented by removing sound waves in this frequency range.

이러한 흡음홀(110h)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개 구비되어 천장(110) 전체의 영역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흡음홀(110h)은 복수 개의 열로 배치될 수 있는데, 상호 인접한 열과는 교차하도록, 다시 말해, 하나의 열의 두 개의 흡음홀(110h)들 사이에 인접한 다른 열의 하나의 흡음홀(110h)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에 도시된 천장(110a)의 패터닝 구조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6, a plurality of sound-absorbing holes 110h may be provided and formed in a certain pattern over the entire ceiling 110. As shown in FIG. 1, the plurality of sound-absorbing holes 110h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so as to intersect with adjacent rows, that is, between the two sound-absorbing holes 110h of one row of the other adjacent row. I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sound-absorbing hole (110h) is disposed. This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patterning structure of the ceiling 110a shown in FIG. 6.

또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천장(110b)에서 복수 개의 흡음홀(110h)은 바둑판 패턴(격자 패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흡음홀(110h)이 천장(110b)의 일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도록 복수 개 배치되고, 또 이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흡음홀(110h)이 서로 평행하도록 복수 개 배치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흡음홀(110h)들의 패턴은 바둑판 패턴일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sound-absorbing holes 110h in the ceiling 110b may be provided in a checkerboard pattern (grid pattern). That is, a plurality of sound-absorbing holes 110h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one direction of the ceiling 110b, and a plurality of sound-absorbing holes 110h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thereby providing overall sound absorption. The pattern of the holes 110h may be a checkerboard pattern.

다만, 복수 개의 흡음홀(110h)들의 배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패턴의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However,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sound-absorbing holes 110h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natural that the arrangement structure may have a different pattern.

이렇듯, 천장(110)에 흡음홀(110h)을 형성함으로써 소음 내의 소정 음파를 흡음함으로써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In this way, by forming the sound-absorbing hole 110h in the ceiling 110, noise generation can be reduced by absorbing certain sound waves within the noise.

한편, 본 실시예의 공명부(120)는, 여러 음파를 가지는 소음의 각 음파와 선택적으로 공명되는 음파를 발생시켜 음파를 제거할 수 있다. 이를 본 실시예의 공명부(12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주름진 관 형상으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공명부재(120a, 120b)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esonance unit 120 of this embodiment can remove sound waves by generating sound waves that selectively resonate with each sound wave of noise having multiple sound waves. The resonance unit 12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sonance members 120a and 120b provided in the shape of a corrugated tube, as shown in FIGS. 1 and 2.

각각의 공명부재(120a, 120b)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면서 길이 방향을 따라 규칙적인 주름이 구비됨으로써 주름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펴거나 또는 짧게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소음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음파에 대해서 공명부재(120a, 120b)들이 대응될 수 있는 것이다. Each resonance member (120a, 120b) has an overall cylindrical shape and is provided with regular wrinkl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it can be stretched or short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wrinkles. Through this, the resonance members 120a and 120b can respond to a plurality of sound waves included in the noise.

예를 들면, 일 대역의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음파에 대해서 도 2의 길게 마련된 공명부재(120a)가 공명되는 음파를 발생시켜 제1 음파를 제거할 수 있고, 또는 다른 대역의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음파에 대해서 도 2의 짧게 마련된 공명부재(120b)가 공명되는 음파를 발생시켜 제2 음파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For example, with respect to a first sound wave having a frequency of one band, the long resonance member 120a of FIG. 2 may generate a resonant sound wave to remove the first sound wave, or a second sound wave having a frequency of another band may be removed. With respect to sound waves, the short resonance member 120b of FIG. 2 generates a sound wave that resonates, thereby eliminating the second sound wave.

마찬가지로 다른 대역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파들 역시 공명부재(120a, 120b)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이에 대응되는 공명되는 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음파를 제거할 수 있다. Likewise, sound waves having frequencies in other bands can also generate corresponding resonant sound waves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lengths of the resonance members 120a and 120b, and through this, the corresponding sound waves can be removed.

본 실시예의 공명부재(120a, 120b)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주름 부분(123)을 구비한 관 타입으로 마련되는 공명몸체(121)와, 공명몸체(121)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천장(110)에 결합되는 결합돌기(125)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resonance members 120a and 120b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a resonance body 121 provided in the form of a tube with an empty space formed inside and a corrugated portion 123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I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resonance body 121 and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125 coupled to the ceiling 110.

전술한 것처럼, 공명몸체(121)는 주름진 형상의 주름 부분(123)에 의해 펴거나 오므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거하고자 하는 음파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음파에 공명되는 음파를 발생시켜 해당 음파를 제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sonating body 121 can be expanded or retracted by the wrinkled portion 123 of a wrinkled shape, thereby selecting the sound wave to be removed, and generating a sound wave that resonates with the selected sound wave to remove the corresponding sound wave. It can be removed.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공명몸체(121)에는, 공명을 위한 공명홀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음파가 공명홀에 의해 공명몸체(121) 내로 인입되어 해당 음파가 공명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Although not shown, the resonance body 121 may be provided with a resonance hole for resonance, and the sound wave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sonance body 121 by the resonance hole and the sound wave may be removed by resonance.

부연하면, 전술한 공명부(120)의 각 공명부재(120a, 120b)들의 공명 주파수는, 예를 들면 공명몸체(121)의 부피, 공명몸체(121)의 주름 정도 또는 공명홀의 직경 또는 깊이 등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To elaborate, the resonance frequency of each resonance member (120a, 120b) of the above-described resonance unit 120 is, for example, dependent on the volume of the resonance body 121, the degree of wrinkles of the resonance body 121, or the diameter or depth of the resonance hole, etc. It can be decided by

종래의 경우, 이를 위해 공명부를 이루는 몸체의 크기를 다 제각각 제작해야 하는 복잡함이 있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각각의 공명부재(120a, 120b)를 주름을 이용하여 펴거나 오므림으로써 각 공명부재(120a, 120b)의 공명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구조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 각 음파의 제거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In the conventional case, for this purpose, there was a complexity of having to manufacture the bodies forming the resonance part in different sizes.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resonance member (120a, 120b) having the same structure was stretched or shrunk using wrinkles to form each body. Since the resonance frequencies of the resonance members 120a and 120b can be adjuste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compared to the prior art, and each sound wave can be removed more reliably.

이러한 공명부재(120a, 120b)의 공명몸체(121)는,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결합돌기(125)를 이용해서 천장(110)에 결합될 수 있는데, 결합돌기(125)는 천장(110)에 구비되는 흡음홀(110h)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짐으로써 흡음홀(110h)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천장(110)에 별도의 결합홀(미도시)이 구비되어 결합돌기(125)가 결합홀에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The resonance body 121 of these resonance members 120a and 120b can be coupled to the ceiling 110 using a coupling protrusion 125,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3,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5 is connected to the ceiling. By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sound-absorbing hole (110h) provided in (110), it can be fitted into the sound-absorbing hole (110h).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separate coupling hole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ceiling 11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5 may be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뿐만 아니라,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천장(110)에 형성된 흡음홀(110h) 또는 결합홀에 별도의 가이드관(115)이 삽입될 수 있고, 이러한 가이드관(115)에 결합돌기(125)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In addition,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4, a separate guide tube 115 can be inserted into the sound-absorbing hole 110h or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eiling 110, and a coupling protrusion ( It is natural that 125) can be detachably combined.

이러한 공명부재(120a, 120b)들은 천장(110)의 내측 공간에 여러 구조로 배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주름을 통해 길게 펴진 공명부재(120a)들이 천장(110)에서 직선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이에 교차되도록 주름을 통해 오므라진 공명부재(120b)들이 천장(110)에서 직선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교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se resonance members 120a and 120b may be arranged in various structures in the inner space of the ceiling 1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resonance members 120a stretched out through wrinkles are positioned on the ceiling 110. The resonance members 120b, which are arranged along a straight line and folded through wrinkles to intersect them, may have a cross structure in which they are arranged along a straight line on the ceiling 110.

도 1에서는 2개의 길이를 가진 공명부재(120a, 120b)들이 배치되는 것에 대해서 도시하였고 또 이에 대해서 상술했지만, 더 길게 펴진 공명부재 또는 더 짧게 오므라진 공명부재들이 천장(110)에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In Figure 1, the arrangement of the resonance members 120a and 120b having two lengths is shown and described in detail, but the longer extended resonance members or the shorter retracted resonance members can be appropriately placed on the ceiling 110. It is natural that it can be done.

한편, 이하에서는 전술한 소음 방지 공명기의 설치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hereinafter,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noise prevention resonat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도 1의 소음 방지 공명기의 설치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설치 방법의 각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5 is a flow chart of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noise prevention resonator of Figure 1, and Figure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each step of the installation method of Figure 5.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소음 방지 공명기(100)의 설치 방법은, 흡음홀 형성 단계(S100)와, 가이드홀 준비 단계(S200)와, 공명부 장착 단계(S300)와, 가이드 차단 단계(S400) 그리고 통풍 시트 부착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5,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noise prevention resonator 10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sound-absorbing hole forming step (S100), a guide hole preparation step (S200), a resonator mounting step (S300), and a guide blocking step. (S400) and may include a ventilation sheet attachment step (S500).

각각의 단계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흡음홀 형성 단계(S100) 시, 천장(110) 또는 내벽에 흡음을 위한 복수 개의 흡음홀(110h)을 가공하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When each step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first, in the sound-absorbing hole forming step (S100) of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sound-absorbing holes (110h) for sound absorption are processed on the ceiling 110 or the inner wall to form a pattern. You can.

본 실시예의 가이드홀 준비 단계(S200) 시, 공명부(120)를 장착하기 위한 가이드홀(10h)을 천장(110) 또는 내벽에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홀(10h)을 통해, 작업자는 천장(110)의 내측 공간으로 접근할 수 있고, 다음의 공명부 장착 단계(S300)에서 공명부(120)를 천장(110)의 내측 공간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천장(110)In the guide hole preparation step (S200) of this embodiment, a guide hole 10h for mounting the resonator 120 may be formed in the ceiling 110 or the inner wall. Through the guide hole 10h, the worker can access the inner space of the ceiling 110, and the resonator 120 can be mounted on the inner space of the ceiling 110 in the next resonator mounting step (S300). There is. Ceiling(110)

그런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천장에 이미 설치된 조명 기구를 탈거하고 이로 인해 생긴 홀을 가이드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of course, for example, a lighting fixture already installed on the ceiling can be removed and the resulting hole can be used as a guide hole.

한편, 본 실시예의 공명부 장착 단계(S300) 시, 공명을 위한 공명부재(120a, 120b)들을 구비한 공명부(120)를 천장(110)의 내측 공간에 장착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공명부 장착 단계(S300) 시 천장(110)에 장착되는 공명부재(120a, 120b)들은 주름진 정도에 따라 복수 개의 음파와 선택적으로 공명되는 음파를 발생시켜 복수 개의 음파 중 선택된 음파를 제거하여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resonator installation step (S300) of this embodiment, the resonator unit 120 provided with resonance members 120a and 120b for resonance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eiling 110. As described above, during the resonance unit mounting step (S300), the resonance members 120a and 120b mounted on the ceiling 110 generate sound waves that selectively resonate with a plurality of sound wav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wrinkles, thereby generating a sound wave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ound waves. You can prevent noise by removing it.

본 실시예의 가이드 차단 단계(S400) 시, 가이드홀(10h)을 차단하며 이를 통해 본 실시예의 소음 방지 공명기(100)의 설치를 우선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 In the guide blocking step (S400) of this embodiment, the guide hole (10h) is blocked, and through this, the installation of the noise prevention resonator 100 of this embodiment can be completed preferentially.

한편 본 실시예의 통풍 시트 부착 단계(S500) 시, 천장에 홀이 뚫린 부분이 외관상 심미감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풍 시트(미도시)를 천장(110) 또는 내벽의 외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통풍 시트의 경우, 소음의 출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음이 공명부(120)에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소음 방지를 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ventilation sheet attaching step (S500) of this embodiment, a ventilation sheet (not shown) may be attached to the ceiling 110 or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wall to prevent the holed part of the ceiling from spoiling the aesthetics of the exterior. In the case of a ventilated seat, since noise can freely enter and exit, noise can be smoothly transmitted to the resonance unit 120, thereby preventing nois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방식에 의해 공명부를 천장 또는 내벽의 내측 공간에 설치할 수 있으며, 주름진 구조를 가짐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공명부(120)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음파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공명되는 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As s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onator can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eiling or inner wall in a simple manner, and the resonator 120, which has a corrugated structure and can be adjusted in length, can be used to transmit a plurality of sound waves. Noise generation can be prevented by generating sound waves that resonate selectively.

아울러,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공명부재(120a, 120b)의 길이 조절을 통해 소음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제조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noise can be preven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esonance members 120a and 120b having a single structure,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compared to the prior art.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 공명기에 대해서 설명하되 전술한 일 실시예의 흡음 장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Meanwhile, hereinafter, a noise prevention reson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description of parts that substantially correspon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ound absorption devic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 공명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Figure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noise prevention reson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공명형 흡입 장치의 공명부는 복수 개의 공명부재(220a, 220b)들을 포함하는데, 복수 개의 공명부재(220a, 220b)는 길게 펴진 공명부재(220a)들과, 짧게 오므라진 공명부재(220b)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the resonance part of the resonance type suction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resonance members 220a and 220b, where the plurality of resonance members 220a and 220b include long extended resonance members 220a and short retracted resonance members 220a. It may be composed of true resonance members 220b.

그리고, 길게 펴진 공명부재(220a)들과, 짧게 오므라진 공명부재(220b)들이 천장(210)의 내측 공간에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길게 펴진 공명부재(220a) 다음에 짧게 오므라진 공명부재(220b)들이 배치되고 그 다음에는 다시 길게 펴진 공명부재(220a)가 배치됨으로써 천장(210)에서 길게 펴진 공명부재(220a)들과 짧게 오므라진 공명부재(220b)들이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ng extended resonance members 220a and the short retracted resonance members 220b may be arranged alternately in the inner space of the ceiling 210. As shown in FIG. 5, after the long extended resonance members 220a Shortly constricted resonance members 220b are arranged, and then elongated resonance members 220a are arranged again, so that the elongated resonance members 220a and the short constricted resonance members 220b are staggered on the ceiling 210. can be placed.

다만, 공명부재(220a, 220b)들의 배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resonance members 220a and 220b is not limited to this.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equivalents to the claims of this paten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Transform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소음 방지 공명기
110: 천장
110h: 흡음홀
115: 가이드관
120: 공명부
120a: 길게 펴진 공명부재
120b: 짧게 오므라진 공명부재
121: 공명몸체
123: 주름 부분
125: 결합돌기
100: Anti-noise resonator
110: ceiling
110h: sound absorption hole
115: Guide hall
120: resonance unit
120a: Elongated resonance member
120b: short constricted resonance member
121: resonance body
123: Wrinkle area
125: Combined protrusion

Claims (14)

천장 또는 내벽에 흡음을 위한 복수 개의 흡음홀을 형성하는 흡음홀 형성 단계; 및
공명을 위한 공명부재들을 구비한 공명부를 상기 천장 또는 내벽의 흡음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하는 공명부 장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 공명기 설치 방법.
A sound-absorbing hole forming step of forming a plurality of sound-absorbing holes for sound absorption on the ceiling or inner wall;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noise-preventing resonator, comprising the step of mounting a resonator equipped with resonating members for resonanc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ound-absorbing hole in the ceiling or inner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부는, 복수 개의 음파와 선택적으로 공명되는 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복수 개의 음파 중 선택된 음파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 공명기 설치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A method of installing a noise prevention resonator, wherein the resonator generates a sound wave that selectively resonates with a plurality of sound waves and removes a sound wave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ound wav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부는, 주름진 관 형상으로 마련되어 주름진 정도에 따라 복수 개의 음파와 선택적으로 공명되는 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복수 개의 음파 중 선택된 음파를 제거하는 복수 개의 공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소음 방지 공명기 설치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esonato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resonance members that are provided in the shape of a corrugated tube and generate sound waves that selectively resonate with a plurality of sound wav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wrinkles, thereby removing a sound wave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ound wav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홀은 패턴으로 상기 천장 또는 내벽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열을 따라 관통되는 흡음홀들과 다음의 일 열을 따라 관통되는 흡음홀들이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 공명기 설치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ound-absorbing holes may be formed through the ceiling or inner wall in a pattern, and the sound-absorbing holes penetrating along one row and the sound-absorbing holes penetrating along the next row are formed alternately. A method of installing a noise-preventing resonato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홀은 패턴으로 상기 천장 또는 내벽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바둑판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 공명기 설치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ound-absorbing hole may be formed in a pattern penetrating the ceiling or inner wall, and is formed in a checkerboard patter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부 장착 단계 시, 주름을 통해 길게 펴진 상기 공명부재들이 상기 천장에서 직선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결합되고, 이에 교차되도록 주름을 통해 오므라진 상기 공명부재들이 상기 천장에서 직선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 공명기 설치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3,
In the step of mounting the resonance unit, the resonance members stretched out through the wrinkles are arranged and combined along a straight line on the ceiling, and the resonance members contracted through the wrinkles to intersect them are arranged and combined along a straight line on the ceiling. A method of installing a noise-prevention reson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부 장착 단계 시, 주름을 통해 길게 펴진 상기 공명부재들과, 주름을 통해 오므라진 상기 공명부재들이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 공명기 설치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3,
A method of installing a noise-preventing resonator, characterized in that, during the resonator installation step, the resonance members stretched out through the wrinkles and the resonance members shrunk through the wrinkles are arranged alternat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부 장착 단계 전에, 상기 천장 또는 내벽의 내측 공간에 상기 공명부를 장착하기 위한 가이드홀을 준비하는 가이드홀 준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 공명기 설치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Before the step of mounting the resonator, the method of installing a noise-preventing resonator further comprises a guide hole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guide hole for mounting the resonator in an inner space of the ceiling or inner wal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부 장착 단계 후에, 상기 가이드홀을 차단하는 가이드홀 차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 공명기 설치 방법.
According to clause 8,
A method of installing a noise-preventing reson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uide hole blocking step of blocking the guide hole after the resonator mounting step.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 차단 단계 후에, 상기 천장 또는 내벽의 외면에 심미감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통풍 시트를 부착하는 통풍 시트 부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 공명기 설치 방법.
According to clause 9,
After the guide hole blocking step, the method of installing a noise-preventing resonator further comprises a ventilation sheet attachment step of attaching a ventilation shee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eiling or inner wall to prevent aesthetic deterioration.
흡음을 위한 복수 개의 흡음홀이 형성되어 있는 천장 또는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명부는, 주름진 관 형상으로 마련되어 주름진 정도에 따라 복수 개의 음파와 선택적으로 공명되는 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복수 개의 음파 중 선택된 음파를 제거하는 복수 개의 공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 공명기.
It includes a resonance uni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a ceiling or inner wall having a plurality of sound-absorbing holes for sound absorption,
The resonance unit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corrugated tube and generates sound waves that selectively resonate with a plurality of sound wav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wrinkle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resonance members that remove selected sound wave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waves. A noise-prevention resonat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부재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주름진 관 타입으로 마련되는 공명몸체; 및
상기 공명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천장 또는 내벽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 공명기.
According to clause 11,
The resonance member is,
A resonance body formed in an empty space inside and provided in a corrugated tube type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and
A noise-preventing resonator provided at one end of the resonating body and comprising a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ceiling or inner wal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천장 또는 내벽에 형성된 상기 흡음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 공명기.
According to clause 12,
A noise-prevention reson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is removably fitted into the sound-absorbing hole formed in the ceiling or inner wal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또는 내벽에 형성된 상기 흡음홀에 가이드관이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관이 상기 결합돌기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방지 공명기.
According to clause 12,
A noise-prevention resonator,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tube is inserted into the sound-absorbing hole formed in the ceiling or inner wall, and the guide tube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KR1020220090686A 2022-07-22 2022-07-22 Anti noise resonato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20240013315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686A KR20240013315A (en) 2022-07-22 2022-07-22 Anti noise resonato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PCT/KR2023/005932 WO2024019277A1 (en) 2022-07-22 2023-05-02 Noise prevention resonato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686A KR20240013315A (en) 2022-07-22 2022-07-22 Anti noise resonato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315A true KR20240013315A (en) 2024-01-30

Family

ID=89618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686A KR20240013315A (en) 2022-07-22 2022-07-22 Anti noise resonato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3315A (en)
WO (1) WO2024019277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3866A (en) * 1992-06-03 1993-1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ound absorber
JPH10102621A (en) * 1996-09-25 1998-04-21 Bridgestone Corp Resonance sound absorbing mechanism
FR3047600B1 (en) * 2016-02-08 2018-02-02 Universite Paris-Sud ACOUSTIC ABSORBER, ACOUSTIC WALL AND METHOD OF DESIGN AND MANUFACTURE
JP6377868B1 (en) * 2017-07-05 2018-08-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Silencer system
KR102068529B1 (en) * 2018-07-12 2020-01-21 정광민 Resonance type variable sound absorb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9277A1 (en)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0131B2 (en) Sound-damping arrangement for an engine nacelle and engine nacelle comprising such an arrangement
ES2609411T3 (en) Acoustic absorber
PT806030E (en) ACOUSTIC ABSORBING LAMBDA / 4
US4842097A (en) Sound absorbing structure
HU220923B1 (en) Acoustical structure for building
KR101112444B1 (en) Sound absorption block and a fabricated soundproof panel using thereof
JPH0271300A (en) Sound absorbing body and sound absorbing duct using this body
EP3839940B1 (en) Silencing system
RU2059772C1 (en) Acoustic panel
RU2411329C2 (en) Sound-absorbing elements of premises
KR20240013315A (en) Anti noise resonato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JPH06158751A (en) Acoustic absorber
JPH08170516A (en) Muffler
JPH0978539A (en) Sound absorbing tube and sound absorbing structure fitted with it
JP2005146650A (en) Sound absorbing structure
KR101244432B1 (en) Damping and noise stud for use of light wall structure
KR200441754Y1 (en) Silencer for Far-Infrared heater
KR102644223B1 (en) Sound proof wall of resonance type using side branch sound proof panel and attachable sound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JPS595783Y2 (en) Silencer ventilation system for buildings
JP3209661B2 (en) Resonance type sound absorbing plate
RU2334062C2 (en) Cubic custom-made acoustic absorber
CN114278459B (en) Aeroengine, noise reduction lining and acoustic lining pore plate thereof
KR20050109035A (en) A soundproof wall
JP5225638B2 (en) SOUND ABSORBING STRUCTURE FOR BUILDING, BUILDING WITH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OUND ABSORBING STRUCTURE
RU219742U1 (en) Lightweight sound absorbing pan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