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233A - 휠베어링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휠베어링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233A
KR20240012233A KR1020220089948A KR20220089948A KR20240012233A KR 20240012233 A KR20240012233 A KR 20240012233A KR 1020220089948 A KR1020220089948 A KR 1020220089948A KR 20220089948 A KR20220089948 A KR 20220089948A KR 20240012233 A KR20240012233 A KR 20240012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member
wheel hub
wheel
bearing assembly
wheel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to KR1020220089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2233A/ko
Publication of KR20240012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05Hubs with ball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15Hubs for driven wheels
    • B60B27/0036Hubs for driven wheels comprising homokinetic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78Hubs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18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 F16C19/181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20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20/00Manufacturing or maintenance operations
    • B60B2320/10Assembling; disasse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20/00Manufacturing or maintenance operations
    • B60B2320/50Securing
    • B60B2320/52Securing to prevent loss
    • B60B2320/522Securing to prevent loss by locking was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80/00Bearings
    • B60B2380/10Type
    • B60B2380/12Ball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휠을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지지하는 휠베어링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 조립체는 휠장착 플랜지를 구비하는 휠허브와; 휠허브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내륜과; 차체측 장착 플랜지를 구비하는 외륜과; 휠허브 및 내륜을 외륜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전동체와; 휠허브에 결합되는 등속 조인트와; 휠허브와 등속조인트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륜은 휠허브의 차체측 단부를 소성 변형시켜 형성된 포밍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는 포밍부의 차체측 축방향 단면에 접촉하는 원판부와; 원판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장착부와; 장착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휠허브의 포밍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휠베어링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WHEEL BEARING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차량의 휠을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지지하는 휠베어링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휠허브와 등속조인트 사이에 와셔 부재를 재개해 휠허브와 등속조인트 사이의 접촉면에서 마찰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휠베어링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휠베어링은 차량의 휠을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지지하는 장치로, 차량의 구동륜에 장착되는 구동륜용 휠베어링과 차량의 종동륜에 장착되는 종동륜용 휠베어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 이용되고 있는 휠베어링 조립체(소위, 3세대 휠베어링 조립체)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베어링 조립체(10)는 휠이 장착되는 회전요소[예컨대, 휠허브(20) 및 내륜(30)]가 차체에 고정되는 비회전요소[예컨대, 외륜(40)]에 전동체(50)를 통해 연결되어 휠을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되며, 휠베어링의 일측에는 등속조인트(60)가 결합되어 구동장치에서 발생된 동력을 휠베어링(10)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등속조인트(60)는 통상적으로 외측부재(70; 아우터 레이스) 내에 구름부재(80; 예컨대, 볼 부재) 및 이를 지지하는 내측부재(이너 레이스)가 수용되고 이러한 내측부재에 구동장치에 연결된 중심축(90)이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부재(90)의 휠측 단부에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템부(75)가 형성되어 스템부(75)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이 휠허브(20)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과 맞물려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등속조인트(60)는 외측부재(70)의 휠측 축방향 단면이 휠허브(10)의 차체측 축방향 단면에 접촉하여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휠베어링 조립체는 작동시에 등속조인트(60)의 외측부재(60)와 휠허브(20)가 맞닿는 접촉면에서 마찰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휠허브와 등속조인트 사이에 와셔 부재를 개재해 휠허브와 등속조인트 사이의 접촉면에서 마찰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휠베어링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휠을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지지하는 휠베어링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 조립체는 휠장착 플랜지를 구비하는 휠허브와; 휠허브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내륜과; 차체측 장착 플랜지를 구비하는 외륜과; 휠허브 및 내륜을 외륜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전동체와; 휠허브에 결합되는 등속 조인트와; 휠허브와 등속조인트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륜은 휠허브의 차체측 단부를 소성 변형시켜 형성된 포밍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는 포밍부의 차체측 축방향 단면에 접촉하는 원판부와; 원판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장착부와; 장착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휠허브의 포밍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의 걸림부는 와셔 부재의 원주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의 걸림부는 와셔 부재를 휠허브의 포밍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와셔 부재의 끝단부를 소성 변형시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의 걸림부는 와셔 부재를 휠허브의 포밍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지그를 이용해 와셔 부재에 축방향 하중을 인가하면서 소성변형 핀으로 와셔 부재의 끝단부를 소성 변형시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그는 회전하면서 와셔 부재에 축방향 하중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의 걸림부는 2mm 이하의 변형량으로 소성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는 휠허브의 포밍부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가 장착부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휠허브의 포밍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는 금속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휠을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지지하는 휠베어링 조립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장착 플랜지를 구비하는 휠허브와, 휠허브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내륜과, 차체측 장착 플랜지를 구비하는 외륜과, 휠허브 및 내륜을 외륜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전동체를 포함하는 휠베어링을 준비하는 단계와; 원판부와, 원판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와셔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휠허브의 포밍부에 와셔 부재를 장착하는 단계와; 와셔 부재의 끝단부를 소성 변형시켜 와셔 부재의 끝단부에 걸림부를 형성함으로써, 와셔 부재를 휠허브의 포밍부에 걸림 결합시키는 단계와; 휠허브에 등속 조인트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의 걸림부는 와셔 부재의 원주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의 걸림부는 와셔 부재를 휠허브의 포밍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지그를 이용해 와셔 부재에 축방향 하중을 인가하면서 소성변형 핀으로 와셔 부재의 끝단부를 소성 변형시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그는 회전하면서 와셔 부재에 축방향 하중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의 걸림부는 2mm 이하의 변형량으로 소성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는 휠허브의 포밍부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가 장착부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휠허브의 포밍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는 금속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휠베어링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부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 조립체는 휠허브와 등속조인트의 외측부재가 사이에 와셔 부재를 개재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휠베어링 조립체의 작동시에 휠허브와 등속조인트 사이에서 마찰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 조립체는 와셔 부재가 휠허브의 소성 변경부에 걸림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등속조인트 조립 전에 와셔 부재가 장착된 상태로 휠베어링을 준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휠베어링 조립체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 조립체는 걸림부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 와셔 부재를 휠허브의 소성변형부에 장착한 다음 와셔 부재의 끝단부를 절곡시켜 와셔 부재를 휠허브의 소성변형부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와셔 부재를 휠허브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와셔 부재를 휠허브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 조립체는 와셔 부재의 끝단부에 걸림결합을 위한 절곡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와셔 부재와 휠허브 사이의 결합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휠베어링 조립체(3세대 구조의 휠베어링 조립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 조립체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 조립체에서 휠허브의 소성 변형부에 와셔 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 조립체에서 와셔 부재의 끝단부를 절곡하여 와셔 부재를 휠허브의 소성 변형부에 고정시키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 조립체에서 와셔 부재의 끝단부에 걸림부를 형성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지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축방향”은 휠베어링 조립체의 회전 중심축을 따라 연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반경방향”은 이러한 “축방향”에 수직하게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거나 회전 중심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원주방향”은 전술한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측에 “위치되어” 있다거나 “형성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측에 직접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거나 형성되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중간에 개재한 상태로 위치하거나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통해 지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다만, 아래의 설명에서 특정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 있더라도, 이는 그러한 구성요소가 해당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 조립체(100)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 조립체(100)는 통상의 차량용 휠베어링과 유사하게 회전요소[예컨대, 휠허브(200) 및 내륜(300)]가 비회전요소[예컨대, 외륜(400)]에 전동체(500)를 통해 결합되어 차량의 휠을 차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허브(200)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대략 원통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휠허브(200)의 일측 외주면에는 휠장착 플랜지(210; 허브 플랜지)가 구비될 수 있다. 휠장착 플랜지(210)는 휠허브(20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허브 볼트 등을 이용해 차량의 휠을 휠허브(200)에 장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휠허브(200)의 차체측 단부에는 내륜(300)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휠허브(200)의 외주면 일부에는 전동체의 궤도면(내측 궤도면)이 형성되어 전동체(500)를 반경방향 내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륜(300)은 휠허브(200)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내륜(300)의 외주면에는 전동체의 궤도면(내측 궤도면)이 형성되어 전동체(500)를 반경방향 내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내륜(300)은 휠허브(200)의 차체측 단부 부근에 마련된 안착부에 압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허브(200)의 차체측 단부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소성 변형시켜 형성된 포밍부(220)에 의해 휠허브(200) 상에 지지/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륜(400)은 외주면에 휠베어링 조립체를 차체에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차체측 장착 플랜지(410)를 구비하고, 내주면에 전동체(500)가 접촉하는 궤도면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륜(4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궤도면(외측 궤도면)은 휠허브(200) 및/또는 내륜(300)에 형성된 궤도면(내측 궤도면)과 협력해 이들 궤도면 사이에 구름요소인 전동체(500)를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체(500)는 휠베어링(100)의 회전요소[예컨대, 휠허브(200) 및/또는 내륜(200)]와 비회전요소[예컨대, 외륜(400)]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요소를 비회전요소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휠허브의 외주면 일부에 전동체를 지지하기 위한 일측 궤도면이 직접 형성되는 형태로 휠베어링이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은 반드시 이러한 구조로 한정되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휠허브에 2개의 내륜을 장착해 2개의 내륜을 통해 전동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등 다른 다양한 구조로 변형되어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허브(200)에는 등속조인트(미도시)가 구동장치에서 발생된 동력을 휠베어링(100)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등속조인트(미도시)는 통상의 차량용 휠베어링과 유사하게 외측부재 내에 구름부재 및 이를 지지하는 내측부재가 수용되고 이러한 내측부재에 구동장치에 연결된 중심축이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등속 조인트의 외측부재는 휠측 단부에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템부를 구비해 스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이 휠허브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과 맞물려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베어링(100)의 휠허브(200)와 등속조인트(미도시) 사이에는 와셔 부재(600)가 개재되어 휠허브(200)와 등속조인트 사이의 접촉면에서 마찰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600)은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600)는 포밍부(220)의 차체측 축방향 단면에 접촉하는 원판부(610)와; 원판부(610)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장착부(620)와; 장착부(620)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부(6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에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600)는 금속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원판부(610)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를 축방향 외측으로 절곡해 장착부(620)가 형성되고 장착부(620)의 축방향 외측 단부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해 걸림부(630)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600)의 걸림부(630)는 와셔 부재(600)의 원주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와셔 부재(600)가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에 안정적으로 걸림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600)의 걸림부(630)는 와셔 부재(600)를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에 장착한 상태에서 와셔 부재(600)의 끝단부를 소성 변형시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와셔 부재(600)는 도 4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부(610)와 장착부(620)가 구비된 상태로 형성되어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에 장착된 다음,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와셔 부재(600)의 끝단부를 소성 변형시켜 걸림부(630)를 형성함으로써 와셔 부재(600)가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이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600)의 걸림부(630)는 와셔 부재(600)를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에 장착한 상태에서 지그(710)를 이용해 와셔 부재(600)에 축방향 하중을 인가하면서 소성변형 핀(720)으로 와셔 부재(600)의 끝단부를 소성 변형시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그(710)는 걸림부(630)를 보다 원활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회전하면서 축방향 하중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600)의 걸림부(630)는 2mm 이하의 변형량(반경방향 변형량)으로 소성 변형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600)는 휠허브(200)의 포밍부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가 장착부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휠허브의 포밍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 조립체(100)는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 조립체(100)의 제조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휠베어링 조립체의 구성요소들의 기술구조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음)
- 휠장착 플랜지(210)를 구비하는 휠허브(200)와; 휠허브(200)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내륜(300)과; 차체측 장착 플랜지(410)를 구비하는 외륜(400)과; 휠허브(200) 및 내륜(300)을 외륜(400)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전동체(500)를 포함하는 휠베어링을 준비하는 단계
- 원판부(610)와; 원판부(610)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장착부(620)를 포함하는 와셔 부재(600)를 준비하는 단계
-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에 와셔 부재(600)를 장착하는 단계;
- 와셔 부재(600)의 끝단부를 소성 변형시켜 와셔 부재(600)의 끝단부에 걸림부(630)를 형성함으로써, 와셔 부재(600)를 상기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에 걸림 결합시키는 단계;
- 휠허브(200)에 등속 조인트를 조립하는 단계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 조립체(100)는 와셔 부재(600)가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에 걸림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즉, 와셔 부재(600)가 휠허브(20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등속조인트의 조립을 수행할 수 있음], 휠베어링 조립체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 부재(6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걸림부(630)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즉, 원판부(610) 및 장착부(620)만 구비된 상태]로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와셔 부재(600)를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에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와셔 부재(600)를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에 결합할 때 손상이 발생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휠베어링 조립체
200: 휠허브
210: 휠장착 플랜지
300: 내륜
400: 외륜
410: 차체측 장착 플랜지
500: 전동체
600: 와셔 부재
610: 원판부
620: 장착부
630: 걸림부

Claims (15)

  1. 차량의 휠을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지지하는 휠베어링 조립체(100)이며,
    휠장착 플랜지(210)를 구비하는 휠허브(200)와;
    상기 휠허브(200)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내륜(300)과;
    차체측 장착 플랜지(410)를 구비하는 외륜(400)과;
    상기 휠허브(200) 및 상기 내륜(300)을 상기 외륜(400)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전동체(500)와;
    상기 휠허브(200)에 결합되는 등속 조인트와;
    상기 휠허브(200)와 상기 등속조인트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 부재(600)를 포함하고,
    상기 내륜(300)은 상기 휠허브(200)의 차체측 단부를 소성 변형시켜 형성된 포밍부(22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와셔 부재(600)는 상기 포밍부(220)의 차체측 축방향 단면에 접촉하는 원판부(610)와; 상기 원판부(610)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장착부(620)와; 상기 장착부(620)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부(6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에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휠베어링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 부재(600)의 걸림부(630)는 상기 와셔 부재(600)의 원주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휠베어링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 부재(600)의 걸림부(630)는 상기 와셔 부재(600)를 상기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와셔 부재(600)의 끝단부를 소성 변형시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휠베어링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 부재(600)의 걸림부(630)는 상기 와셔 부재(600)를 상기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에 장착한 상태에서 지그(710)를 이용해 상기 와셔 부재(600)에 축방향 하중을 인가하면서 소성변형 핀(720)으로 상기 와셔 부재(600)의 끝단부를 소성 변형시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휠베어링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710)는 회전하면서 상기 와셔 부재(600)에 축방향 하중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휠베어링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 부재(600)의 걸림부(630)는 2mm 이하의 변형량으로 소성 변형되어 형성되는,
    휠베어링 조립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 부재(600)는 상기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가 상기 장착부(620)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에 결합되는,
    휠베어링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 부재(600)는 금속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휠베어링 조립체.
  9. 차량의 휠을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지지하는 휠베어링 조립체(100)의 제조방법이며,
    휠장착 플랜지(210)를 구비하는 휠허브(200)와; 상기 휠허브(200)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내륜(300)과; 차체측 장착 플랜지(410)를 구비하는 외륜(400)과; 상기 휠허브(200) 및 상기 내륜(300)을 상기 외륜(400)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전동체(500)를 포함하는 휠베어링을 준비하는 단계와;
    원판부(610)와; 상기 원판부(610)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장착부(620)를 포함하는 와셔 부재(600)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에 와셔 부재(600)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와셔 부재(600)의 끝단부를 소성 변형시켜 상기 와셔 부재(600)의 끝단부에 걸림부(63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와셔 부재(600)를 상기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에 걸림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휠허브(200)에 등속 조인트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휠베어링 조립체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 부재(600)의 걸림부(630)는 상기 와셔 부재(600)의 원주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휠베어링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 부재(600)의 걸림부(630)는 상기 와셔 부재(600)를 상기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에 장착한 상태에서 지그(710)를 이용해 상기 와셔 부재(600)에 축방향 하중을 인가하면서 소성변형 핀(720)으로 상기 와셔 부재(600)의 끝단부를 소성 변형시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휠베어링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710)는 회전하면서 상기 와셔 부재(600)에 축방향 하중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휠베어링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 부재(600)의 걸림부(630)는 2mm 이하의 변형량으로 소성 변형되어 형성되는,
    휠베어링 조립체.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 부재(600)는 상기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가 상기 장착부(620)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휠허브(200)의 포밍부(220)에 결합되는,
    휠베어링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 부재(600)는 금속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휠베어링 조립체.
KR1020220089948A 2022-07-20 2022-07-20 휠베어링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12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948A KR20240012233A (ko) 2022-07-20 2022-07-20 휠베어링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948A KR20240012233A (ko) 2022-07-20 2022-07-20 휠베어링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233A true KR20240012233A (ko) 2024-01-29

Family

ID=89717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948A KR20240012233A (ko) 2022-07-20 2022-07-20 휠베어링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22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40897A1 (ja) 車輪用軸受装置
JPH07323702A (ja) 自動車の車輪用軸受装置
US20220088962A1 (en) Wheel bearing assembly
JP2004340311A (ja) 車輪用軸受ユニット
JPH115404A (ja) 車輪支持用ハブユニット
KR20240012233A (ko) 휠베어링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51069B1 (ko) 차량용 휠의 구동력 전달장치
JP4943019B2 (ja) 車輪用軸受装置の製造方法
KR20240026800A (ko) 휠베어링 조립체
KR20160103564A (ko) 휠 베어링
KR20220136808A (ko) 휠베어링 조립체
KR20200120562A (ko) 휠베어링 조립체
KR20240012234A (ko) 차량용 휠베어링
KR20240064447A (ko) 차량용 휠베어링
JP4023129B2 (ja) 制動用回転部材及びホイール付転がり軸受ユニット
KR101899652B1 (ko) 트라이포드 타입 등속조인트를 구비하는 허브 일체형 등속 조인트 모듈
KR101826201B1 (ko) 너클 및 휠 베어링 조립체
JP2008002581A (ja) 駆動車輪用軸受ユニット
JP2002195254A (ja) 車輪軸受装置
KR20230172360A (ko) 휠베어링 조립체
JP4182166B2 (ja) 車輪支持構造
KR102592730B1 (ko) 차량용 휠베어링
KR20230172359A (ko) 휠베어링 조립체
JP2002172911A (ja) 車両用ハブユニット
KR20230172361A (ko) 휠베어링 조립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