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556A - 광학 검사용 조명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검사용 조명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556A
KR20240011556A KR1020220089150A KR20220089150A KR20240011556A KR 20240011556 A KR20240011556 A KR 20240011556A KR 1020220089150 A KR1020220089150 A KR 1020220089150A KR 20220089150 A KR20220089150 A KR 20220089150A KR 20240011556 A KR20240011556 A KR 20240011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inspection
guide
guide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민
Original Assignee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9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556A/ko
Publication of KR20240011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1Sources
    • G01N2201/06166Line selective sou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3Illuminating optical parts
    • G01N2201/0638Refractive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이 굴곡진 경우에 제품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양을 일정하게 하여 정확한 검사가 가능한 광학 검사용 조명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검사용 조명은, 빛을 비추고자 하는 물체 상부에 배치되며 투광성 소재로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을 향하여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으로 빛을 입사시키는 광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빛을 상기 물체 측으로 굴절시키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광학 검사용 조명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 {Diffuse reflection removal lighting and inspec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품 표면을 검사하는 광학 검사용 조명 및 광학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며, 제품을 조명을 비추고, 제품에 반사된 빛을 촬영하여 이물질 또는 크랙 여부를 검출하는 광학 검사용 조명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판 제조 공정 또는 취급 과정에서 기판 표면에 이물질이 포함되거나,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검출해 내기 위해 작업자의 육안 검사 또는 자동화된 광학 검사를 하고 있다. 자동화된 광학 검사를 위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전자 영상 카메라를 사용한다.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여 제품의 상면을 스캔하고, 스캔된 이미지에 이물질 또는 크랙이 촬영되었는지를 검사한다.
도 1은 종래 광학 검사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를 참고하면 도 1 (a)와 같이 종래 광학 검사 장치는 제품(1) 상부에 카메라(2)가 제품을 촬영하도록 배치되고, 카메라의 시야각을 가리지 않는 범위에서 조명(3)을 이용하여 물체를 비춘다. 카메라 시야각 확보를 위해 조명을 직접 비추는 것이 어려운 경우, 반사경(4)을 이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정해진 각도로 빛이 제품에 입사된다.
그런데 도 1 (b)와 같이 제품 표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 제품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세기가 지점마다 달라지게 된다. 즉 난반사가 발생하여, 카메라 렌즈에 입사되는 광량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 (c)와 같이 제품 표면과 조명의 각도 차에 의해 특정 방향의 굴곡면(S)은 밝게 보이고, 다른 부분은 어둡게 보이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촬영된 이미지의 정확성이 감소하고, 그 이미지를 이용하여 불량을 검출해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이 경우 에칭(Etching) 공법을 통해 생산된 제품의 표면 검사는 가능하지만, 스탬프(Stamped) 공법 등을 통해 생산된 제품은 표면의 단차로 인해 검사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나아가 일부 메탈 서브스트레이트(metal substrate) 제품 가공법 특성상 매끄럽지 않고 경사가 있어, 이 부분에 난반사가 발생하여 검사 시 검사영역을 제한하게 되고 과검을 유발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64101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표면이 굴곡진 경우에 제품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양을 일정하게 하여 정확한 검사가 가능한 광학 검사용 조명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광학 검사용 조명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검사용 조명은, 빛을 비추고자 하는 물체 상부에 배치되며 투광성 소재로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을 향하여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으로 빛을 입사시키는 광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빛을 상기 물체 측으로 굴절시키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광원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설치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부는, 상기 광원부의 상방 및 하방으로 퍼지는 빛을 차단하며, 일 측면이 개구 형성되는 함체 형상이고, 내측에 상기 광원부가 설치되며, 상기 개구 형성된 일 측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면에 복수의 홈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은 내측에 꼭짓점 또는 모서리를 가지도록 각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홈은 종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홈은 종단면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홈은 상기 가이드부 상면을 따라 장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홈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 조명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광학 검사용 조명을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는, 상기 가이드부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물체의 표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를 더 포함하는 광학 검사용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검사용 조명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는, 기판 표면에 굴곡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제품 표면에서 반사되어 카메라에 입사되는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기판 표면을 밝기를 고르게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산 방법에 무관하게 자동 광학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제품의 검사 영역이 제한되지 않아 광학 검사 자동화 기술의 적용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과검사를 방지하여 생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광학 검사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 광학 검사용 조명의 제1실시예를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광학 검사용 조명의 제2실시예를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광학 검사용 조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광학 검사용 조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광학 검사용 조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광학 검사용 조명을 사용하기 전 후의 제품 촬영 이미지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광학 검사용 조명(300)의 제1실시예를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광학 검사용 조명(300)의 제2실시예를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광학 검사용 조명(300)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광학 검사용 조명(300)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광학 검사용 조명(300)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검사용 조명(300)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는, 표면이 굴곡진 제품(100) 검사 시 난반사로 인해 카메라(200) 렌즈에 입사되는 광량에 차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량을 고르게 함으로써 검사 적용 범위를 확대시키고 검사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검사 대상이 되는 물체인 제품(100)의 표면을 촬영하여 이물질 또는 크랙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제품(100)은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며, 그 예로 기판을 들 수 있다. 기판은 커버 글래스 기판, 베어 글래스 기판, 프린트된 글래스 기판, 터치 스크린 패널, LCD 용 유리 기판, OLED 유리 기판 등 투과성 기판 또는 실리콘 또는 메탈로 이루어지는 비투과성 기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투과성 기판의 경우 제품(100)의 내부까지도 검사가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광학 검사 장치를 설명하면서, 이에 포함되는 광학 검사용 조명을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 광학 검사 장치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200)는 제품(100)을 촬영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품(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제품(100) 표면을 촬영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특히 제품(100)이 트레이 등에 안착되어 있는 경우, 제품(100)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제품(100)을 비추도록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200)에는 후술하는 광원부(310)에 의해 조사된 광이 렌즈를 통해 입사되며, 카메라(200)는 입사되는 광을 이미지센서로 센싱하여 제품(100)의 표면 또는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입사된 광량의 차이로 인한 그레이 레벨(Gray-level)의 차이를 이용하여, 획득된 이미지에서 제품(100)의 표면 또는 내부에 존재할 수 있는 불량 요인을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200)에는 라인 카메라(line camera)가 이용될 수 있으며, 에어리어 카메라(area camera) 등 기판 검사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이미지 캡쳐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 광학 검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광학 검사용 조명(300)은,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310), 광원부(31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제품(100) 측으로 굴절시키는 가이드부(330), 및 광원부(310)와 가이드부(330)를 연결하는 설치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가이드부(330)는, 제품(100)과 카메라(200) 사이에 배치되며, 검사하고자 하는 제품(100)의 표면과 대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품(100)이 안착되어 있는 경우 제품(10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330)는 투광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330)는 패널 또는 납작한 직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330)는 PMMA 수지로 제조되는 투명 아크릴 패널을 들 수 있다. 가이드부(330)를 통해 입사되는 빛은 가이드부(330) 내부로 확산되어 가이드부(330) 외측 사방으로 굴절되기 때문에, 가이드부(330)는 빛을 고르게 분산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가이드부(330)는 패널 또는 납작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면 및 하면을 정의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상면은 카메라(200)를 향하는 면, 하면은 제품(100)을 향하는 면을 의미한다. 입사된 광은 가이드부(330)의 상면에서 반사되어 제품(100)을 향해 굴절될 수 있다.
가이드부(330)의 제1실시예로서, 제1가이드(331)는 도 2의 도시 및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 또는 납작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면 및 하면은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30)의 제2실시예로서, 제2가이드(332)는 도 3의 도시 및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 또는 납작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면에 홈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홈이 형성되는 일면은 상면이 되는 것이 제품(100) 측으로 빛을 굴절시기키기에 바람직하다.
나아가 제2가이드(332)는 홈의 내측에 꼭짓점 또는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홈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굴절에 기여할 수 있으나, 꼭짓점 또는 모서리가 형성되는 구조에서 빛이 더욱 다양한 각도로 굴절될 수 있다. 특히 제2가이드(332)는 도시된 것과 같이 종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사각홈(332a)이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사다리꼴 형상을 기준으로 빛이 사각홈(332a)의 측면, 하면 및 꼭지점 또는 모서리 부분에서 다양한 각도로 굴절될 수 있다.
가이드부(330)의 제3실시예로서, 제3가이드(333)는 도 4의 도시 및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 또는 납작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가이드(332)와 마찬가지로 일면에 홈이 요입형성될 수 있다. 홈이 형성되는 일면은 상면이 되는 것이 제품(100) 측으로 빛을 굴절시키기에 바람직하다.
나아가 제3가이드(333)는 제2가이드(332)와 마찬가지로 홈의 내측에 꼭짓점 또는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형성되어 및을 더욱 다양한 각도로 굴절시킬 수 있다. 특히 제3가이드(333)는 도시된 것과 같이 종단면 형상이 삼각형 형상인 삼각홈(333a)이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삼각형 형상을 기준으로 빛이 빗면 및 꼭지점 또는 모서리 부분에서 다양한 각도로 굴절될 수 있다.
한편 제2가이드(332) 및 제3가이드(333)의 경우, 사각홈(332a) 또는 삼각홈(333a)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5와 같이 복수의 사각홈(332a) 또는 삼각홈(333a)이 제2가이드(332) 또는 제3가이드(333)의 상면을 따라 장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각홈(332a) 또는 삼각홈(333a)은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되게 되고 따라서 제2가이드(332) 또는 제3가이드(333)의 상면이 골과 산이 반복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6과 같이 복수의 사각홈(332a) 또는 삼각홈(333a)이 제2가이드(332) 또는 제3가이드(333)의 상면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사각홈(332a) 또는 삼각홈(333a)은 기둥 또는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되게 되고, 따라서 제2가이드(332) 또는 제3가이드(333)의 상면에 도트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 을 참고하여 광원부(310) 및 설치부(320)를 이어서 설명한다.
광원부(310)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빛을 가이드부(330)에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로, 광원부(310)는 기판(311)과, 기판(311) 상에 설치되는 LED 램프(312)를 포함하는 조명일 수 있다. 광원부(310)는 가이드부(3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더욱 상게하게는 가이드부(330)의 측부에 가이드부(330) 측면을 향하여 빛이 조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광원부(310)는 가이드부(330)의 측면을 따라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 개 설치되거나, 측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 조명일 수 있다.
빛은 광원부(310)로부터 조사되어 가이드부(330)의 측면으로 입사한 후 가이드부(330)의 내측으로 반사되거나 가이드부(330)의 외측으로 굴절되어 진행한다. 이 중 제품(100)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은 다시 가이드부(330)를 통과하여 카메라(200) 렌즈에 입사될 수 있다. 빛이 가이드부(330)를 통과하면서 수많은 방향으로 반사 및 굴절되기 때문에, 제품(100) 굴곡에 따라 빛이 집중되어 입사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설치부(320)는 광원부(310)와 가이드부(330)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설치부(320)는 광원부(310)의 상방 및 하방으로 퍼지는 빛을 차단하고, 광원부(310)의 빛이 가이드부(330)로 입사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설치부(320)는 광원부(310)와 가이드부(330) 사이를 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설치부(320)는 도면과 같이 일 측이 개구 형성되는 함체 형상이고, 내측에 광원부(31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된 측이 가이드부(330)의 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 설치부(320)를 포함함으로써 가이드부(330)로 입사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광원부(310)와 가이드부(330)를 포함하는 하나의 모듈로 광학 검사용 조명(300)을 생산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광학 검사용 조명(300)을 사용하기 전 후의 제품(100) 촬영 이미지이다.
도 7 (a)의 종래 광학 검사용 조명(300)을 사용하여 촬영한 이미지의 경우, 제품(100) 표면 굴곡에 따른 광량 차이에 따라 일부 방향의 굴곡면(S)이 매우 밝게 촬영되어 있다. 이 경우 그레이 레벨을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워, 해당 부분에 이물질이나 크랙이 있더라도 검출해내기가 쉽지 않다. 또한 굴곡이 형성된 제품(100)에 광학 검사 자동화 기술을 적용하기가 어렵다.
반면에 도 7 (b)의 본 발명 광학 검사용 조명(300)을 사용하는 경우, 제품(100) 표면에 굴곡이 있더라도, 빛이 고르게 반사되어 입사하기 때문에 제품(100) 면에 따른 광량 차이가 매우 적다. 따라서 왜곡이 적고 정확도가 높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굴곡면에 이물질이나 크랙이 있는 경우에도 검출이 용이하며, 다양한 제품(100)에 광학 검사 자동화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이 있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제품 200 카메라
300 광학 검사용 조명 310 광원부
311 기판 312 램프
320 설치부 330 가이드부
331 제1가이드 332 제2가이드
332a 사각홈 333 제3가이드
333a 삼각홈 S 굴곡면

Claims (12)

  1. 빛을 비추고자 하는 물체 상부에 배치되며 투광성 소재로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을 향하여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으로 빛을 입사시키는 광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빛을 상기 물체 측으로 굴절시키는 광학 검사용 조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설치부; 를 더 포함하는 광학 검사용 조명.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광원부의 상방 및 하방으로 퍼지는 빛을 차단하며, 일 측면이 개구 형성되는 함체 형상이고, 내측에 상기 광원부가 설치되며, 상기 개구 형성된 일 측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광학 검사용 조명.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는 광학 검사용 조명.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면에 복수의 홈이 요입 형성되는 광학 검사용 조명.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내측에 꼭짓점 또는 모서리를 가지도록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광학 검사용 조명.
  7.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홈은 종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광학 검사용 조명.
  8.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홈은 종단면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광학 검사용 조명.
  9.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홈은 상기 가이드부 상면을 따라 장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광학 검사용 조명.
  10.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홈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광학 검사용 조명.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 조명인 광학 검사용 조명.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물체의 표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를 더 포함하는 광학 검사용 조명을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
KR1020220089150A 2022-07-19 2022-07-19 광학 검사용 조명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 KR20240011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150A KR20240011556A (ko) 2022-07-19 2022-07-19 광학 검사용 조명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150A KR20240011556A (ko) 2022-07-19 2022-07-19 광학 검사용 조명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556A true KR20240011556A (ko) 2024-01-26

Family

ID=89714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150A KR20240011556A (ko) 2022-07-19 2022-07-19 광학 검사용 조명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155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4101A (ko) 2012-11-19 2014-05-28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링크 방식 터렛공구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4101A (ko) 2012-11-19 2014-05-28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링크 방식 터렛공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4507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machine vision using diffuse structured light
EP0501683A2 (en) Technique for enhanced two-dimensional imaging
US201103102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defect of a substrate
JP2002054905A (ja) 透明液体検査装置、および透明液体検査方法、および透明液体塗布方法
US10887500B2 (en) Optical inspection system
KR101733197B1 (ko) 멀티 광학 비전 장치
US20090290781A1 (en) Illuminating device for cylindrical objects, surface inspection method implemented therewith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6859627B2 (ja) 外観検査装置
JP2011117928A (ja) 基板の内部欠陥検査装置および方法
KR20180116154A (ko) 커버 글라스 검사 장치
JP6908123B2 (ja) 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方法
Lu et al. AOI techniques for surface defect inspection
JP4748133B2 (ja) 検査装置
EP21325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lluminating film for automated inspection
CN205103181U (zh) 一种透明片状产品外观缺陷成像系统
TWI691714B (zh) 檢查裝置及檢查方法
JP6782449B2 (ja) 表面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006983B1 (ko) 패널 검사장치
CN205562358U (zh) 检验对象的系统
JP2012237585A (ja) 欠陥検査方法
KR20240011556A (ko) 광학 검사용 조명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
KR101380653B1 (ko) 비전검사장비의 비전검사방법
JP7448808B2 (ja) 表面検査装置及び表面検査方法
KR20200055208A (ko) 유리기판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2199314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