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517A - 전력 반도체 소자, 이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반도체 소자, 이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517A
KR20240011517A KR1020220089043A KR20220089043A KR20240011517A KR 20240011517 A KR20240011517 A KR 20240011517A KR 1020220089043 A KR1020220089043 A KR 1020220089043A KR 20220089043 A KR20220089043 A KR 20220089043A KR 20240011517 A KR20240011517 A KR 20240011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power semiconductor
trench
semiconductor device
gat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환
우혁
박태영
이주환
강민기
조선형
김태양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9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517A/ko
Publication of KR20240011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9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controlled by field-effect, e.g. bipolar static induction transistors [BSIT]
    • H01L29/7393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s, i.e. IGBT; IGT; COMFET
    • H01L29/7395Vertical transistors, e.g. vertical IGBT
    • H01L29/7396Vertical transistors, e.g. vertical IGBT with a non planar surface, e.g. with a non planar gate or with a trench or recess or pillar in the surface of the emitter, base or collector region for improving current density or short circuiting the emitter and base regions
    • H01L29/7397Vertical transistors, e.g. vertical IGBT with a non planar surface, e.g. with a non planar gate or with a trench or recess or pillar in the surface of the emitter, base or collector region for improving current density or short circuiting the emitter and base regions and a gate structure lying on a slanted or vertical surface or formed in a groove, e.g. trench gate IGB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0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56Disposition, e.g. buried gate electrode
    • H01L29/4236Disposition, e.g. buried gate electrode within a trench, e.g. trench gate electrode, groove gat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7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ng layer, e.g. the length, the sectional shape or the lay-out
    • H01L29/4237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ng layer, e.g. the length, the sectional shape or the lay-out characterised by the length or the sectional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234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 H01L29/66325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controlled by field-effect, e.g.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 [IGBT]
    • H01L29/66333Vertical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
    • H01L29/66348Vertical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 with a recessed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의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향해 리세스(recess) 되도록 배치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이 배치되는 트렌치 및 상기 제1 면 각각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이미터 영역; 상기 제2 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도전형의 반대 도전형인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콜렉터 영역; 및 상기 트렌치의 바닥면을 감싸면서 상기 트렌치의 신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면을 향해 신장되고, 상기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플로팅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은 T자 형태(T-shape)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반도체 소자, 이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 및 이의 제조 방법{Power semiconductor device, power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전력 반도체 소자, 이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 반도체 소자는 고전압과 고전류 환경에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전력 반도체 소자는 고전력 스위칭(즉, 고전압과 고전류 환경에서의 스위칭 동작)이 필요한 분야(예컨대, 인버터 소자)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전력 반도체 소자의 예로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전력 모스펫(Power MOSFET)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전력 반도체 소자에 대해 고전압에 대한 내압 특성이 기본적으로 요구되며, 최근에는 추가적으로 고속 스위칭 동작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20140057630호(2014.05.13. 공개)
본 발명은 고전압에 대한 내압 특성을 확보하면서, 동작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전력 반도체 소자, 이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의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향해 리세스(recess) 되도록 배치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이 배치되는 트렌치 및 상기 제1 면 각각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이미터 영역; 상기 제2 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도전형의 반대 도전형인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콜렉터 영역; 및 상기 트렌치의 바닥면을 감싸면서 상기 트렌치의 신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면을 향해 신장되고, 상기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플로팅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은 T자 형태(T-shape)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제1 드리프트 영역을 에피택셜 성장(epitaxial growth)을 통해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드리프트 영역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1 도전형의 반대 도전형인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플로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드리프트 영역의 상부에 상기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제2 드리프트 영역을 에피택셜 성장을 통해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드리프트 영역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이미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미터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플로팅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식각되도록 에칭(etching)을 통해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렌치의 내부에 전도성 물질을 갭필(gap-fill)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은 T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반도체 소자, 이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내압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받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반도체 칩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력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셀 영역의 일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셀 영역의 일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 또는 도 4의 셀 영역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k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해당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의 크기는 설명을 위해 과장되었고,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구조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한 구성이 다른 구성 상(on)에 있다고 지칭할 때, 그것은 다른 구성의 바로 상부 트렌치에 있거나 또는 그 사이에 다른 개재된 구성이 또한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반면에, 한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위에(directly on)” 있다라고 지칭할 때는 중간 개재 구성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반도체 소자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반도체 소자(10)는 고전압과 고전류의 환경에서 스위치로 동작 가능한 소자로서, 예를 들어 인버터(inverter)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반도체 소자(10)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력 반도체 소자(10)는 다른 종류의 전력 트랜지스터(예컨대, 실리콘 카바이드 기반의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개시에서는 전력 반도체 소자(10)가 IGBT 로 구현됨을 전제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IGBT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이미터(emitter)와 콜렉터(collector)에 MOSFET의 게이트(gate)가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력 반도체 소자(10)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내압 특성과 MOSFET의 상대적으로 빠른 스위칭 속도를 함께 가질 수 있다.
IGBT는 게이트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게이트-이미터 간 전압(Vge)이 변화되어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자기 소호형 소자일 수 있다. 여기서, 자기 소호형 소자는 외부에 의존하지 않고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 제어 능력으로 두 단자(즉, 이미터 및 콜렉터) 사이에 전류를 흐르게 하거나, 흐르지 않게 할 수 있는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IGBT는 게이트에 연결되는 게이트 단자(G), 이미터에 연결되는 이미터 단자(E) 및 콜렉터에 연결되는 콜렉터 단자(C)를 포함할 수 있다. IGBT는 게이트 단자(G)로 입력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됨으로써, 이미터 단자(E)와 콜렉터 단자(C) 사이에 전류를 흐르게 하거나 흐르지 않게 할 수 있다. 게이트 단자(G)는 구동 전압을 전달하는 드라이버 회로(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고, 이미터 단자(E)와 콜렉터 단자(C)는 부하(미도시)에 연결되어 스위칭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력 반도체 소자(10)는 이미터 단자(E)와 콜렉터 단자(C) 사이에 연결되는 환류 다이오드(D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류 다이오드(Df)는 IGBT의 온 동작으로 인해 이미터 또는 콜렉터에 축적된 캐리어(정공 또는 전자)가 IGBT의 오프 동작에서 다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루프(loop)를 제공할 수 있다. 환류 다이오드(Df)는 이러한 루프를 제공함으로써 임펄스 전압을 방지할 수 있어 IGBT 또는 전력 반도체 소자(10)에 연결된 부하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력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반도체 칩(20)은 도 1의 전력 반도체 소자(10)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일 수 있다. 전력 반도체 칩(20)은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의 전력 반도체 소자(10)를 포함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전력 반도체 소자들(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력 반도체 칩(20)은 셀 영역(cell region, 100) 및 주변 영역(peripheral region, 200)을 포함할 수 있다.
셀 영역(100)은 적어도 하나의 전력 반도체 소자(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반도체 소자(10)의 배치 형태는 도 3의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 또는 도 4의 클로즈드 타입(closed type)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형태에 대해서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셀 영역(100)은 적어도 하나의 전력 반도체 소자(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셀 영역(100)은 전력 반도체 소자(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면서 소정의 비로 축소된 구조를 갖는 전류 센싱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류 센싱 트랜지스터는 전력 반도체 소자(10)의 IGBT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병렬로 연결시 전류 센싱 트랜지스터의 일 단자와 IGBT의 일 단자 사이에는 소정의 저항이 연결될 수 있다. 전류 센싱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류(예컨대, 이미터 단자 또는 콜렉터 단자의 출력 전류)는 전력 반도체 소자(10)의 출력 전류와 소정의 비에 연관된 비율을 가지며, 이러한 비율을 통해 전류 센싱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류는 전력 반도체 소자(10)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모니터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셀 영역(100)은 전력 반도체 소자(1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력 반도체 소자(1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온도 센서는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전류를 출력하는 정션 다이오드(junction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션 다이오드의 전류는 전력 반도체 소자(10)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주변 영역(200)은 셀 영역(100)을 둘러싸면서 셀 영역(100)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주변 영역(200)은 외부 회로(예를 들어, 구동 회로, 부하, 테스트 회로 등)와 셀 영역(10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자들은 IGBT의 게이트 단자(G), 이미터 단자(E) 및 콜렉터 단자(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자들은 셀 영역(100)에 포함될 수 있는 전류 센싱 트랜지스터 및/또는 온도 센서의 각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셀 영역의 일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셀 영역(100)의 일부(300)가 도시되어 있다. 셀 영역(100)은 셀 영역(100)의 일부(300)를 단위로 셀 영역(100)의 일부(300)가 상하좌우 각각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셀 영역(100)의 일부(300)는 게이트 전극(120), 게이트 절연막(122), 이미터 영역(130) 및 이미터 전극(132)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20)은 도 1의 IGBT의 게이트에 해당하고, 게이트 절연막(122)은 게이트 전극(120)을 다른 구성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미터 영역(130)과 이미터 전극(132)은 도 1의 IGBT의 이미터에 해당할 수 있다.
셀 영역(100)의 일부(300)는 셀 영역(100)의 수직 단면에서 특정 높이에 대응하는 평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의 IGBT의 콜렉터에 해당하는 구성은 셀 영역(100)의 일부(300)와는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게이트 전극(120), 게이트 절연막(122), 이미터 영역(130) 및 이미터 전극(132) 각각의 구체적인 구조, 기능 및 재질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에서는 게이트 전극(120), 게이트 절연막(122), 이미터 영역(130) 및 이미터 전극(132)의 평면 상에서의 배치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게이트 전극(120)은 일 방향(도 3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신장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22)은 게이트 전극(120)의 좌우 양측에 접하면서 일 방향을 따라 게이트 전극(120)과 나란하게 신장될 수 있다.
이미터 영역(130)은 게이트 전극(120)의 좌측에 배치된 게이트 절연막(122) 또는 게이트 전극(120)의 우측에 배치된 게이트 절연막(122)에 접하면서 일 방향을 따라 게이트 전극(120)과 나란하게 신장될 수 있다. 즉, 게이트 전극(120)과 이미터 영역(130)의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막(122)이 배치되며, 게이트 전극(120)과 이미터 영역(130)은 게이트 절연막(122)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20), 게이트 전극(120)의 좌우로 배치된 게이트 절연막(122)과 이미터 영역(130)으로 구성된 단위 셀은 일 방향에 수직하는 타 방향(도 3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좌측에 배치된 단위 셀의 좌우로 단위 셀에 접하도록 이미터 전극(13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우측에 배치된 단위 셀의 좌우로 단위 셀에 접하도록 이미터 전극(132)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타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단위 셀들 사이에는 이미터 전극(132)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단위 셀이 줄무늬 형태를 가진다는 점에서, 전력 반도체 소자(10)의 배치 형태는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셀 영역의 일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2의 셀 영역(100)의 일부(400)가 도시되어 있다. 셀 영역(100)은 셀 영역(100)의 일부(400)를 단위로 셀 영역(100)의 일부(400)가 상하좌우 각각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셀 영역(100)의 일부(400)는 배치 형태를 제외하고는 도 3에서 설명된 셀 영역(100)의 일부(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게이트 전극(120)은 사각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22)은 게이트 전극(120)의 좌우 양측에 접하면서 게이트 전극(120)과 나란하게 신장될 수 있다.
이미터 영역(130)은 게이트 전극(120)의 일측에 배치된 게이트 절연막(122) 또는 게이트 전극(120)의 타측에 배치된 게이트 절연막(122)에 접하면서 게이트 전극(120)과 나란하게 신장될 수 있다. 즉, 게이트 전극(120)과 이미터 영역(130)의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막(122)이 배치되며, 게이트 전극(120)과 이미터 영역(130)은 게이트 절연막(122)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20), 게이트 전극(120)의 양측으로 배치된 게이트 절연막(122)과 이미터 영역(130)으로 구성된 단위 셀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서 단위 셀의 내측과 외측 각각에는 단위 셀에 접하도록 이미터 전극(132)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서 단위 셀이 링 형태를 가진다는 점에서, 전력 반도체 소자(10)의 배치 형태는 클로즈드 타입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스트라이프 타입은 상대적으로 높은 채널 밀도(이미터-콜렉터 간 채널의 밀도)를 구현할 수 있어 IGBT의 정특성 측면에서 유리하며, 도 4에 도시된 클로즈드 타입은 기생 캐패시턴스의 크기 및 비율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IGBT의 스위칭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IGBT의 용도 및 요구 사양에 따라 스트라이프 타입 또는 클로즈드 타입이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셀 영역(100)은 스트라이프 타입과 클로즈드 타입이 합쳐진 형태인 레더(ladder) 타입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레더 타입은 게이트 전극(120) 등이 스트라이프 타입과 같이 일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신장되되, 게이트 전극(120) 등이 일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신장되어 스트라이프 타입에 해당하는 게이트 전극(120) 등을 서로 잇는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레더 타입은 스트라이프 타입과 클로즈드 타입의 장점을 함께 가질 수 있다.
도 5는 도 3 또는 도 4의 셀 영역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의 제1 라인(A-A') 또는 도 4의 제2 라인(B-B')을 따라 셀 영역(100)을 절단한 단면(500)이 도시되어 있으며, 제1 라인(A-A') 또는 제2 라인(B-B')은 도 5에서 제3 라인(C-C')에 해당할 수 있다.
단면(500)은 반도체 기판(110), 반도체 기판(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콜렉터 전극(112), 적어도 일부가 반도체 기판(110)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게이트 절연막(122)과 이미터 전극(132)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10)은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물질층(예컨대, 에피택셜층(epitaxial layer))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기판(110)은 실리콘, 게르마늄, 실리콘-게르마늄 등의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10)은 제3 라인(C-C')으로부터 콜렉터 전극(112)의 하단에 이르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10)은 콜렉터 영역(collector region, 114), 드리프트 영역(drift region, 116), 웰 영역(well region, 118), 게이트 전극(gate electrode, 120), 게이트 절연막(gate insulating film, 122)의 일부, 이미터 영역(emitter region, 130), 이미터 전극(emitter electrode, 132)의 일부, 및 플로팅 영역(floating region, 150)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10)은 상면(또는 제1 면) 및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또는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콜렉터 영역(114)은 제2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전형은 P형 또는 N형 일 수 있고, 제2 도전형은 제1 도전형의 반대 도전형일 수 있다. 콜렉터 영역(114)은 반도체 기판(110)의 하면에 접하면서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콜렉터 영역(114)은 하부의 콜렉터 전극(112)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콜렉터 전극(112)은 도 1의 콜렉터 단자(C)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폴리실리콘(polysilicon), 금속(metal), 금속 질화물, 금속 실리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콜렉터 영역(114)과 콜렉터 전극(112)은 도 1의 IGBT의 콜렉터에 해당할 수 있다.
드리프트 영역(116)은 제1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형은 P형 또는 N형 일 수 있고, 제1 도전형은 제2 도전형의 반대 도전형일 수 있다. 드리프트 영역(116)은 콜렉터 영역(114)과 이미터 영역(130) 간의 전하(정공 및 전자)의 수직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드리프트 영역(116)은 콜렉터 영역(114)의 상부에 배치되고, 플로팅 영역(150) 및 트렌치(TH) 각각의 측면에 접하면서 트렌치(TH)의 신장 방향(도 5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웰 영역(118)은 제2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웰 영역(118)은 드리프트 영역(116)과 이미터 영역(130)의 사이 및 드리프트 영역(116)과 이미터 전극(1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웰 영역(118)은 내부에 각각 게이트 전극(120)과 게이트 절연막(122)이 배치되는 서로 인접하는 트렌치들(trench, TH)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웰 영역(118)은 드리프트 영역(107), 게이트 절연막(122), 이미터 영역(130) 및 이미터 전극(132)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트렌치(TH)는 반도체 기판(110)의 일 면으로부터 반도체 기판(110)의 타 면을 향해 소정의 깊이로 리세스(recess)된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 웰 영역(118)의 하면까지의 깊이는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 트렌치(TH)의 하면까지의 깊이보다 얕을 수 있다.
게이트 전극(120)은 전도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폴리실리콘, 금속, 금속 질화물, 금속 실리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20)은 트렌치(TH) 내부에서 게이트 절연막(122)과 접하면서 트렌치(TH) 내부를 충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전극(120)은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 반도체 기판(110)의 하면을 향해 소정의 깊이로 리세스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게이트 전극(120)은 상부의 폭와 하부의 폭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게이트 전극(120)은 트렌치(TH)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라인(ML)을 기준으로, 중간 라인(ML)의 상측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120)의 폭은 중간 라인(ML)의 하측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12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전극(120)은 T자 형태(T-shape)를 가질 수 있다. 중간 라인(ML)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 영역(118)의 하단과 플로팅 영역(150)의 상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게이트 전극(120)은 도 1의 IGBT의 게이트에 해당할 수 있고, 도 1의 게이트 단자(G)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22)은 절연 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게르마늄 산화물, 게르마늄 질화물, 하프늄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22)은 트렌치(TH)의 표면을 따라 트렌치(TH)의 내부에 게이트 전극(120)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122)은 반도체 기판(110)의 외부로 연장되어 게이트 전극(120) 및 이미터 영역(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10)의 외부로 연장되는 게이트 절연막(122)은 층간 절연막으로 불릴 수 있다.
트렌치(TH)의 내부에 위치하는 게이트 절연막(122)은 크게 3개의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 첫번째 영역은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 중간 라인(ML)까지 트렌치(TH)의 측면에 접하면서 신장되는 영역으로서, 제1 게이트 절연막으로 정의될 수 있다. 두번째 영역은 중간 라인(ML)으로부터 트렌치(TH)의 측면의 하단까지 트렌치(TH)의 측면에 접하면서 신장되는 영역으로서, 제2 게이트 절연막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세번째 영역은 제2 게이트 절연막과 이어지도록 트렌치(TH)의 바닥면에 접하면서 신장되는 영역으로서, 제3 게이트 절연막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절연막의 제1 두께(T1)는 제2 게이트 절연막의 제2 두께(T2) 또는 제3 게이트 절연막의 제3 두께(T3)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두께(T1~T3) 각각은 제1 내지 제3 게이트 절연막 각각이 접하는 트렌치(TH)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 대한 두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중간 라인(ML)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제1 게이트 절연막은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및 제3 게이트 절연막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22)은 게이트 전극(120)을 드리프트 영역(116), 웰 영역(118), 이미터 영역(130), 이미터 전극(132) 및 플로팅 영역(150) 각각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미터 영역(130)은 제1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터 영역(130)에서의 제1 도전형의 불순물 도핑 농도는 드리프트 영역(116)에서의 제1 도전형의 불순물 도핑 농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이미터 영역(130)은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에 접하면서 트렌치(TH)의 게이트 절연막(122)과 이미터 전극(132)의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122)(또는 트렌치(TH))과 이미터 전극(132) 각각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미터 영역(130)의 하면은 웰 영역(118)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미터 영역(130)은 게이트 전극(120)의 일측 및 타측(또는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미터 전극(132)은 전도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폴리실리콘, 금속, 금속 질화물, 금속 실리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터 전극(132)은 반도체 기판(110)의 외부로 돌출된 게이트 절연막(122), 웰 영역(118) 및 이미터 영역(130)에 접하면서 반도체 기판(110)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미터 전극(132)은 웰 영역(118)에 대해서는 콘택(contact)으로 기능하고, 이미터 영역(130)에 대해서는 이미터 영역(130)과 도 1의 이미터 단자(E)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미터 영역(130)과 이미터 전극(132)은 도 1의 IGBT의 이미터에 해당할 수 있다.
플로팅 영역(150)은 제2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플로팅 영역(150)은 외부로부터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플로팅된 영역일 수 있다.
플로팅 영역(150)은 트렌치(TH)의 바닥면을 감싸면서 트렌치(TH)의 신장 방향(도 5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콜렉터 영역(114)을 향해 신장될 수 있다.
플로팅 영역(150)은 트렌치(TH)의 바닥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 있도록 트렌치(TH)의 폭(W')보다 넓은 폭(W)을 가질 수 있다. 만일 플로팅 영역(150)이 포함되지 않을 경우, IGBT의 동작시 트렌치(TH)의 바닥면에 전계가 집중되어 최대 전기장이 트렌치(TH)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22)의 두께는 약 수백 nm에 불과하므로, 트렌치(TH)의 바닥면에 전계가 집중됨에 따라 IGBT의 항복 전압이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항복 전압의 저하는 IGBT의 정상적인 스위칭 동작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와 같이 플로팅 영역(150)이 트렌치(TH)의 바닥면을 전체적으로 감싸게 되면, 트렌치(TH)의 바닥면에 전계가 집중되지 않고 플로팅 영역(150)의 바닥면에 전계가 집중되어(charge sharing) 최대 전기장이 플로팅 영역(150)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IGBT의 항복 전압의 저하는 발생하지 않고 IGBT의 스위칭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즉, 플로팅 영역(150)으로 인해 IGBT는 고전압 환경에서도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내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트렌치(TH)의 바닥면에 접하는 게이트 절연막(122), 즉 제3 게이트 절연막은 제1 게이트 절연막에 비해 두꺼운 제3 두께(TH)를 가지므로, 트렌치(TH)의 바닥면으로 전계가 집중되는 현상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트렌치(TH)의 바닥면으로부터 트렌치(TH)의 측면으로 이어지는 부분에 각진 영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트렌치(TH)의 바닥면은 전체적으로 라운드(rounded)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만일 트렌치(TH)의 하부에 각진 영역이 존재할 경우, 각진 영역에 전계가 집중됨에 따라 IGBT의 항복 전압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트렌치(TH)는 내압 특성의 향상을 위해 전체적으로 라운드된 형상의 바닥면을 가질 수 있다.
플로팅 영역(150)의 폭(W)은 트렌치(TH)의 폭(W')보다는 크나, 트렌치(TH)의 바닥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 있는 정도의 차이만을 갖도록 결정될 수 있다. 즉, 플로팅 영역(150)의 폭(W)은 트렌치(TH)의 폭(W')과 매우 근사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렌치(TH)와 트렌치(TH)의 하부를 감싸는 플로팅 영역(150)으로 구성된 하나의 단위는 상대적으로 좁은 폭(W)을 가질 수 있고, 서로 인접하는 게이트 전극들(120) 간의 간격(pitch)을 줄일 수 있어 셀 영역(100)의 소자 밀도(element density)를 높일 수 있다.
IGBT의 동작시 서로 인접하는 게이트 전극들(120) 사이 및 서로 인접하는 플로팅 영역들(150) 사이의 드리프트 영역(116)에는 콜렉터 및 이미터 간의 전하 이동 경로가 형성되는데, 서로 인접하는 게이트 전극들(120) 사이 및 서로 인접하는 플로팅 영역들(150) 사이의 간격을 과도하게 좁히게 되면 전하 이동 경로의 면적도 좁아지게 되어 IGBT의 ON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특히, 서로 인접하는 플로팅 영역들(150) 사이의 간격을 과도하게 좁히게 되면, 플로팅 영역(150)과 드리프트 영역(116) 간의 접합으로 형성되는 공핍 영역으로 인해 전하 이동 경로의 면적은 더욱 좁아질 수 있다. IGBT의 ON 저항의 증가는 IGBT의 스위칭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서로 인접하는 게이트 전극들(120) 사이 및 서로 인접하는 플로팅 영역들(150) 사이의 드리프트 영역(116)(즉, 플로팅 영역(150)의 하단을 지나면서 반도체 기판(150)의 일면에 평행한 가상의 직선의 상측의 드리프트 영역)에서의 제1 도전형의 불순물 도핑 농도를 플로팅 영역들(150) 하부의 드리프트 영역(116) (즉, 플로팅 영역(150)의 하단을 지나면서 반도체 기판(150)의 일면에 평행한 가상의 직선의 하측의 드리프트 영역)에서의 제1 도전형의 불순물 도핑 농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임으로써 IGBT의 ON 저항을 낮출 수 있다.
플로팅 영역(150)은 트렌치(TH)의 신장 방향을 따라 플로팅 영역(150)의 상단로부터 플로팅 영역(150)의 하단에 이르는 길이(L)를 가질 수 있다. 플로팅 영역(150)의 상단은 반도체 기판(110)의 상면으로부터의 깊이가 트렌치(TH)의 하단보다 얕고 웰 영역(118)의 하단보다 깊을 수 있다. 또한, 플로팅 영역(150)의 하단은 반도체 기판(110)의 하면으로부터의 깊이가 콜렉터 영역(114)의 상단보다 깊을 수 있다. 즉, 플로팅 영역(150)의 하단과 콜렉터 영역(114)의 상단은 소정 거리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플로팅 영역(150)의 길이(L)는 플로팅 영역(150)의 폭(W)보다 클 수 있고, 가능한 큰 값을 갖도록 결정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20)과 게이트 전극(120)의 좌우로 배치된 웰 영역(118) 사이의 계면에서 게이트-이미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e)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120)과 게이트 전극(120)의 좌우로 배치된 드리프트 영역(116) 사이의 계면에서, 그리고 플로팅 영역(150)의 바닥면과 드리프트 영역(116) 사이의 계면에서 게이트-콜렉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c)가 발생할 수 있다.
IGBT의 스위칭 동작 안정성은 게이트-이미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e)와 게이트-콜렉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c) 간의 커패시턴스 비율(Cge/Cgc)에 의존할 수 있으며, 커패시턴스 비율(Cge/Cgc)이 높을수록 스위칭 동작 안정성은 증가할 수 있다. 즉, 게이트-이미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e)가 높아질수록, 또는 게이트-콜렉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c)가 낮아질수록 스위칭 동작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IGBT의 전체 게이트-이미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e)는 게이트 전극(120)과 좌측의 웰 영역(118) 사이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기생 캐패시턴스와, 게이트 전극(120)과 우측의 웰 영역(118) 사이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기생 캐패시턴스의 합일 수 있다. 즉, 게이트 전극(120)의 좌우 각각에 이미터 영역(130)이 존재하므로, 어느 일방에만 이미터 영역(130)이 존재할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게이트-이미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e)가 발생할 수 있다.
게이트-이미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e)를 높아질수록 스위칭 동작 안정성은 높아질 수 있으나, 스위칭 속도는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게이트-이미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e)가 적정한 값을 갖도록 게이트 절연막(122)의 두께, 웰 영역(118) 및 이미터 영역(130)의 도핑 농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게이트 전극(120)과 웰 영역(118)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게이트 절연막은 상대적으로 얇은 제1 두께(T1)를 가짐으로써, 게이트-이미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e)가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IGBT의 전체 게이트-콜렉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c)는 게이트 전극(120)과 좌우측의 드리프트 영역(116) 사이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기생 캐패시턴스와, 플로팅 영역(150)의 바닥면과 드리프트 영역(116) 사이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기생 캐패시턴스의 합일 수 있다. 물론 다른 영역에서도 기생 캐패시턴스는 발생할 수 있으나, 주된 기생 캐패시턴스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플로팅 영역(150)의 바닥면과 드리프트 영역(116) 사이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기생 캐패시턴스의 크기는 게이트 전극(120)의 바닥면으로부터 플로팅 영역(150)의 바닥면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작아질 수 있다. 즉, 플로팅 영역(150)의 상단 깊이가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플로팅 영역(150)의 길이(L)가 증가할수록 IGBT의 게이트-콜렉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c)는 작아질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120)과 좌우측의 드리프트 영역(116) 사이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기생 캐패시턴스의 크기는 게이트 전극(120)과 드리프트 영역(116)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플로팅 영역(150)이 형성되는 깊이를 조절하거나, 제2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게이트-콜렉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c)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와 같은 트렌치 타입의 게이트 구조를 갖는 전력 반도체 소자에서, 트렌치(TH)의 계면에 캐리어(예컨대, 정공)가 과다 축적될 경우 NGC(negative gate capacitance) 현상이 발생하면서 변위 전류(displacement current)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변위 전류는 IGBT의 스위칭 동작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으며, 게이트-콜렉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c)의 크기에 비례하는 특성을 가진다.
본 개시에 따르면, 플로팅 영역(150)이 형성되는 깊이를 조절하거나, 제2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게이트-콜렉터 간 기생 캐패시턴스(Cgc)를 조절하여 필요한 스위칭 동작 안정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k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k를 참조하면, S10 단계에서 콜렉터 전극(112) 및 콜렉터 영역(114)의 상부에 드리프트 영역(116')이 적층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드리프트 영역(116')은 도 5에 도시된 드리프트 영역(116)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드리프트 영역(116')은 에피택셜 성장(epitaxial growth)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S10 단계에서 드리프트 영역(116')의 하부에 콜렉터 전극(112) 및 콜렉터 영역(114)이 이미 형성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고 설명되나, 콜렉터 전극(112) 및 콜렉터 영역(114) 중 적어도 하나는 S10 단계의 이후에 형성될 수도 있다.
S20 단계에서, 드리프트 영역(116')의 상부에 플로팅 영역(150)을 정의하는 포토 레지스트 패턴(photoresist pattern)을 배치하고, 드리프트 영역(116')의 상부로부터 제2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을 주입하여 플로팅 영역(150)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을 주입하는 에너지는 플로팅 영역(150)의 길이(L)가 미리 정해진 커패시턴스 비율(Cge/Cgc)을 만족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S30 단계에서, 드리프트 영역(116')의 상부(즉, 경계(BD)의 상측)에 에피택셜 성장을 통해 제1 도전형을 갖는 에피택셜층이 추가됨으로써 드리프트 영역(11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드리프트 영역(116)은 플로팅 영역(150)의 형성 전에 형성되는 드리프트 영역(116')(또는 경계(BD)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1 드리프트 영역)과, 플로팅 영역(150)의 형성 후에 형성되는 드리프트 영역(또는 경계(BD)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드리프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드리프트 영역(116)을 전체적으로 먼저 형성한 후 에칭, 포토 레지스트, 연마 등의 공정을 통해 드리프트 영역(116)의 내부에 위치하는 플로팅 영역(150)을 형성하지 않고, 드리프트 영역(116)을 위한 에피택셜 성장의 중간에 플로팅 영역(150)의 주입 공정을 삽입함으로써, 일반적인 주입 장비로는 형성할 수 없는 깊이까지 플로팅 영역(150)을 형성할 수 있다.
S40 단계에서, 드리프트 영역(116)의 상부에 전체적으로 제2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을 주입하여 웰 영역(118)을 형성한 뒤, 드리프트 영역(116)의 상부에 이미터 영역(130)을 정의하는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배치하고, 드리프트 영역(116)의 상부로부터 제1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을 주입하여 이미터 영역(130)을 형성할 수 있다.
S50 단계에서, 웰 영역(118) 및 이미터 영역(130)의 상부에 트렌치(TH)를 정의하는 에칭 마스크(etching mask)를 배치하고, 에칭을 통해 웰 영역(118) 및 이미터 영역(130)을 관통하는 트렌치(TH)를 형성할 수 있다. 트렌치(TH)는 플로팅 영역(15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플로팅 영역(150)의 적어도 일부를 식각할 수 있는 깊이와 플로팅 영역(150)의 폭(W)보다 좁은 폭(W')으로 형성될 수 있다.
S60 단계에서, 트렌치(TH), 웰 영역(118) 및 이미터 영역(130)의 상부에 전체적으로 절연 물질을 소정의 높이로 증착하여 게이트 절연막(122'')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높이는 도 5에서 트렌치(TH)의 하단으로부터 중간 라인(ML)까지의 높이에 해당할 수 있다.
S70 단계에서, 트렌치(TH) 내에 위치한 게이트 절연막(122'')을 소정의 폭과 깊이로 식각하여 게이트 절연막(12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폭과 깊이는 도 5에서 중간 라인(ML)의 하측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폭과 깊이일 수 있다.
S80 단계에서, 트렌치(TH) 내부에 게이트 전극(120)을 갭필(gap-fill)하고, 연마 공정을 통해 반도체 기판(110)의 상부를 평탄화할 수 있다.
S90 단계에서, 반도체 기판(110)의 상부에 상부 절연층(124)을 도포할 수 있다. 상부 절연층(124)은 앞서 설명된 게이트 절연막(122')과 동일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S100 단계에서, 상부 절연층(124)의 상부에 에칭 마스크를 배치하고, 에칭을 통해 빈 공간인 중공(vacancy, VC)을 형성할 수 있다. 에칭 마스크의 위치 및 에칭 깊이는 에칭에 의해 이미터 영역(130)이 노출될 수 있도록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에칭을 통해 이미터 영역(130) 및 웰 영역(118)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122')과 에칭된 상부 절연층(124)은 일체로 도 5에 도시된 게이트 절연막(122)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게이트 절연막(122)의 상부 및 중공(VC)에 전도성을 갖는 물질이 갭필 및 도포됨으로써 이미터 전극(132)이 형성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전력 반도체 소자(10)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반도체 기판의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향해 리세스(recess) 되도록 배치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이 배치되는 트렌치 및 상기 제1 면 각각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이미터 영역;
    상기 제2 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도전형의 반대 도전형인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콜렉터 영역; 및
    상기 트렌치의 바닥면을 감싸면서 상기 트렌치의 신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면을 향해 신장되고, 상기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플로팅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은 T자 형태(T-shape)를 갖는 전력 반도체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라인의 상측에 배치되는 게이트 전극의 폭은, 상기 중간 라인의 하측에 배치되는 게이트 전극의 폭보다 큰 전력 반도체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중간 라인까지 상기 트렌치의 측면과 상기 게이트 전극에 접하면서 신장되는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중간 라인으로부터 상기 트렌치의 측면의 하단까지 상기 트렌치의 측면과 상기 게이트 전극에 접하면서 신장되는 제2 게이트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는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보다 작은 전력 반도체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과 이어지도록 상기 트렌치의 바닥면에 접하면서 신장되는 제3 게이트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는 상기 제3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보다 작은 전력 반도체 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방향에 따른 상기 플로팅 영역의 길이는 상기 플로팅 영역의 폭보다 더 큰 전력 반도체 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영역의 폭은 상기 트렌치의 폭보다 더 큰 전력 반도체 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플로팅 영역의 상단의 깊이는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트렌치의 하단의 깊이보다 얕은 전력 반도체 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영역의 하단과 상기 콜렉터 영역의 상단은 소정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는 전력 반도체 소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터 영역은 상기 게이트 전극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되는 전력 반도체 소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 영역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플로팅 영역 및 상기 트렌치 각각의 측면에 접하면서 상기 신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드리프트 영역을 더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소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터 영역에서의 상기 제1 도전형의 불순물 도핑 농도는 상기 드리프트 영역에서의 상기 제1 도전형의 불순물 도핑 농도보다 높은 전력 반도체 소자.
  12. 제1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줄무늬 형태 또는 링 형태로 배치되는 전력 반도체 소자.
  13. 제1항의 전력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셀 영역; 및
    상기 게이트 전극, 상기 이미터 영역 및 상기 콜렉터 영역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게이트 단자, 이미터 단자 및 콜렉터 단자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
  14.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제1 드리프트 영역을 에피택셜 성장(epitaxial growth)을 통해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드리프트 영역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1 도전형의 반대 도전형인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플로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드리프트 영역의 상부에 상기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제2 드리프트 영역을 에피택셜 성장을 통해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드리프트 영역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이미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미터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플로팅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식각되도록 에칭(etching)을 통해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렌치의 내부에 전도성 물질을 갭필(gap-fill)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은 T자 형태를 갖는 전력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220089043A 2022-07-19 2022-07-19 전력 반도체 소자, 이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40011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043A KR20240011517A (ko) 2022-07-19 2022-07-19 전력 반도체 소자, 이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043A KR20240011517A (ko) 2022-07-19 2022-07-19 전력 반도체 소자, 이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517A true KR20240011517A (ko) 2024-01-26

Family

ID=89714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043A KR20240011517A (ko) 2022-07-19 2022-07-19 전력 반도체 소자, 이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151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7630A (ko) 2011-09-28 2014-05-13 도요타 지도샤(주) Igbt 와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7630A (ko) 2011-09-28 2014-05-13 도요타 지도샤(주) Igbt 와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4130B2 (en) Semiconductor device
US8178947B2 (en) Semiconductor device
US11264475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gate electrode formed in a trench structure
US20220216331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designing thereof
KR20240011517A (ko) 전력 반도체 소자, 이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101373B2 (e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30129764A (ko) 전력 반도체 소자, 이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51275A (ko) 전력 반도체 소자, 이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51276A (ko) 전력 반도체 소자, 이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50663A (ko) 전력 반도체 소자, 이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칩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20384577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designing thereof
US11569360B2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and power semiconductor chip
KR102437047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전력 반도체 칩
KR102437048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전력 반도체 칩
KR102321272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7243795B2 (ja) 半導体装置
US20240047563A1 (en) Semiconductor device
JP7016437B2 (ja) 半導体スイッチング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42833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79262A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전력 반도체 칩
KR20210056147A (ko) 전력 반도체 소자
KR20230128846A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전력 반도체 칩
KR20230134324A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28847A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전력 반도체 칩
JP2023039138A (ja) 絶縁ゲート型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