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421A - 리프터 - Google Patents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421A
KR20240011421A KR1020220088850A KR20220088850A KR20240011421A KR 20240011421 A KR20240011421 A KR 20240011421A KR 1020220088850 A KR1020220088850 A KR 1020220088850A KR 20220088850 A KR20220088850 A KR 20220088850A KR 20240011421 A KR20240011421 A KR 20240011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er
support
load
cylinder
rota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원
Original Assignee
(주)케이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팩 filed Critical (주)케이팩
Priority to KR1020220088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421A/ko
Publication of KR20240011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91Asymmetric linkages, i.e. Y-configu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리프터가 개시된다.
본 명세서의 리프터는 3점을 기준으로 하중물을 지지한다. 여기서 하중물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의 방향은 실린더를 하강하는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인 리프터는 하중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프터{LIFTER}
본 발명은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강한 하중이 가해져도 위치가 변형되지 않으며 안정적으로 하중물을 지지할 수 있는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프터는 상승 또는 하강을 하면서 무거운 무게를 가지는 중량물을 상승 또는 하강 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리프터가 수용할 수 있는 무게나 사이즈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수용 가능한 무게를 리프터에 연결하여 동작시킨다. 그러나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동작 시 또는 기타 다른 이유로 인하여 리프터에 추가적인 하중이 가해지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 경우 리프터에 의하여 특정한 위치까지 이동되어야 하는 중량물이 특정한 위치에 도달하지 않게 이동되거나 또는 중량물의 평형이 흩트려져 상승 높이가 낮은 방향으로 중량물이 리프터에 이탈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65599호는 복수의 공압실린더를 하나의 제어 장치를 통해서 동시적으로 상승시키는 리프팅 방법에 대해서 개시한다.
상기 특허는 공압실린더를 활용하여 하중물을 들어올리는 방식이다. 그런데 동일한 모델이라 하더라도 리프터는 동일한 상승 속도를 가지지 않고, 상승 속도의 편차가 발생한다. 또한, 협업시에는 각각의 리프터들이 담당하는 하중이 서로 동일할 수 없어, 동일한 크기의 공기의 압력을 공급하더라도 상승 속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상승 속도의 차이가 발생하면, 관리자는 육안으로 상승을 멈춘 후에 중량물이 평형하게 되도록 해당 리프터의 수동 조작을 수행해야 하며, 이러한 방법은 작업 속도를 더디게 하고 노동력을 많이 발생시키며, 또한 작업 안정성을 저하하는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복수의 리프터를 활용하는 방식은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는데 근원적 해결 방식이 되지 못한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무거운 하중을 가지는 중량물을 들어올릴 수 있는 리프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추가적인 하중이 가해져도 중량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리프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프터는 상승 또는 하강되는 축을 포함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축에 연결되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부 및 일측이 상기 이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하중물을 지지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각도가 변경되어 타측의 하중물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하여 직선으로 이동되며 회동 가능한 베어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어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연결부와, 일측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고정되는 회동고정부 및 타측에 상기 하중물이 연결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동고정부의 중심에서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가상의 선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의 중심을 지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제1회전지지부와 상기 제1회전지지부와 이격되며 회전 가능한 제2회전지지부와 상기 제1회전지지부와 상기 제2회전지지부를 연결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지지부는 상기 하중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하중물을 상승 또는 하강 시 연결부가 회전 운동을 하면서 하중물을 들어올리므로, 무거운 하중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프터가 하중물을 들어 올렸을 때 회동고정부의 중심과 지지부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게 설계되어져 추가적인 하중이 가해져도 연결부가 안정적으로 하중물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프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프터의 실린더 및 이동부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프터의 연결부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프터의 연결부의 회동고정부의 중심과 지지부의 중심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프터의 동작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프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프터의 실린더 및 이동부의 분해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프터의 연결부의 분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프터의 연결부의 회동고정부의 중심과 지지부의 중심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프터의 동작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프터를 살펴보면 본 발명은 실린더(100), 이동부(200),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실린더(100)는 실린더(100)의 축(110)이 상승 또는 하강이 될 수 있다. 실린더(100)의 축(110)에는 이동부(2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동부(200)는 실린더(100) 축(110)의 움직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200)는 베어링부(240)를 포함한다. 베어링부(240)는 연결부(30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부(300)는 이동부(200)에 연결되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부(300)의 일측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연결부(300)는 이동부(200)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틸트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300)에는 하중물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결부(300)의 움직임에 따라 하중물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인 리프터의 각 구성을 구성별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2를 참고하여 실린더(100)와 이동부(200)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실린더(100)는 바닥에 하측면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축(110)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00)는 일례로 공압에 의하여 축(110)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이동부(200)는 바닥플레이트(210), 가이드부(220), 리프트프레임(230), 베어링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플레이트(210)는 가운데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린더(100)의 상측과 맞닿아 연결될 수 있다. 바닥플레이트(210)는 평평하게 형성되며 가운데 홀을 통하여 실린더(100)의 축(110)이 이동될 수 있다. 바닥플레이트(210)의 홀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 또는 어느 일면에는 가이드부(220)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220)는 세로방향을 따라서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형성된다. 가이드부(220)는 상단에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는 베어링부(240)가 실린더(100)의 축(110)에 의하여 이동되는 경우 베어링부(240)와 맞닿아 베어링부(240)의 최고 이동 지점을 가이드할 수 있다.
리프트프레임(230)은 실린더(100)의 축(110)과 연결되어 있다. 리프트프레임(230)은 실린더(100)와 연결되어 실린더(100)의 축(110)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을 할 수 있다. 리프트프레임(230)은 양측 또는 적어도 일측에 베어링부(24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베어링부(240)는 리프트프레임(230)의 양측에 위치될 수 있다. 베어링부(240)는 리프트프레임(2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베어링부(240)는 리프트프레임(230)에 연결되되, 이동시 가이드부(220)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실린더(100)의 축(110)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경우 베어링부(240)는 가이드부(220)의 측면을 따라서 직선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부(240)는 설정된 높이 이상 상승하게 되면 가이드부(220)의 플랜지부와 맞닿을 수 있다. 또한, 베어링부(240)는 설정된 높이 이하로 하강하게 되면 바닥플레이트(210)와 맞닿을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200)의 베어링부(240)에는 연결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통하여 연결부(300)를 살펴보면, 연결부(300)는 프레임부(310), 회동연결부(320), 회동고정부(330), 지지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310)는 적어도 세 개의 지점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프레임부(310)는 연결된 지점에 따라 회동연결부(320), 회동고정부(330), 지지부(340)라고 명명될 수 있다.
여기서 회동연결부(320)는 베어링부(240)와 연결된 부분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부(310)의 하측은 회동고정부(330)로 회동은 가능하지만 그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확인될 수 있듯이, 고정플레이트(400)에 회동고정부(330)는 회동 가능하지만, 움직이지 않도록 연결될 수 있다.
회동고정부(330)와 대칭되는 위치에는 지지부(340)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340)는 하중물이 상측에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동부(200)의 이동에 따라 연결부(300)가 회동되며, 하중물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도 5의 (a)를 참고하면 확인될 수 있듯이 실린더(100)가 하강된 경우, 이동부(200)의 리프트프레임(230)은 그에 대응되어 하강하고 베어링부(240) 역시 하강한다. 여기서 이동부(200)의 회동고정부(330)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회동연결부(320)는 베어링부(24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베어링부(240)의 하강 위치에 대응되어 프레임부(310)가 내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러면 그에 대응하여 지지부(340)도 설정된 각도로 위치될 수 있다. 그러면 지지부(340)에 연결된 하중물은 하강할 수 있다.
반대로 도 5의 (b)를 참고하면 확인될 수 있듯이 실린더(100)가 상승된 경우, 이동부(200)의 리프트프레임(230)은 그에 대응되어 상승하고, 베어링부(240)는 가이드부(220)의 플랜지부에 맞닿게 된다. 여기서, 이동부(200)의 회동고정부(330)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회동연결부(320)는 베어링부(24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베어링부(240)의 상승 위치에 대응되어 프레임부(310)가 외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러면 그에 대응하여 지지부(340)도 설정된 각도로 회동될 수 있다. 그러면 지지부(340)에 연결된 하중물은 상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본 발명은 하중물을 상승,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지지부(34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지지부(340)는 제1회전지지부(341), 지지바(342), 제2회전지지부(343), 가로바(344), 세로바(3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지지부(341)는 프레임부(310)와 연결되고, 지지바(342)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1회전지지부(341)는 프레임부(310)와 지지바(34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지지바(342)는 제1회전지지부(341)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제2회전지지부(343)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바(342)는 제1회전지지부(341), 제2회전지지부(343)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회전지지부(343)는 지지바(342)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회전지지부(343)는 가로바(344) 또는 세로바(345)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바(344)에 제2회전지지부(34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가로바(344)와 세로바(345)는 단부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바(344) 또는 세로바(345) 중 어느 하나는 리프터가이드바(500 - 도 1 참조)가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가로바(344)에 블록이 형성되고, 블록에 리프터가이드바(500)가 인입되어 있음) 그러므로 가로바(344)와 세로바(345)는 제2회전지지부(343)의 이동에 따라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바(344)와 세로바(345) 중 어느 하나에는 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40)의 동작만을 도 5를 통하여 살펴보면 도 5의 (a)에서 확인될 수 있듯이 실린더(100)의 축(110)이 하강하면 제1회전지지부(341)는 그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바(342)는 내측으로 회동될 수 있고, 내측으로 회동되어 세로길이가 짧아진만큼 제2회전지지부(343)를 통하여 연결된 가로바(344) 및 세로바(345)도 그에 대응하여 하강될 수 있다. 여기서 가로바(344)와 세로바(345)는 리프터가이드바(500)와 연결된바,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도 5의 (b)와 같은 경우, 실린더(100)의 축(110)이 상승하면 제1회전지지부(341)는 그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바(342)는 외측으로 회동될 수 있고, 세로길이가 그에 대응되어 길어질 수 있다. 그에 대응되어 제2회전지지부(343)와 연결된 가로바(344) 및 세로바(345)도 그에 대응하여 상승할 수 있다. 여기서 가로바(344)와 세로바(345)는 리프터가이드바(500)와 연결된바, 역시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통하여 본 발명이 하중물을 보다 강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유를 살펴보겠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부(300)는 회동고정부(330)의 중심보다 지지부(340)(보다 정확하게는 제1회전지지부(341))의 중심이 외측으로 이동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강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제1회전지지부(341)의 중심과 회동고정부(330)의 중심이 일치되지 않기 때문이다.
일례로 도 5의 (b)와 같이 실린더(100)가 상승된 경우를 가정하고, 그에 추가적인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보겠다. 여기서 하중은 하측으로 가해지는데, 이때 하중으로 인하여 가해지는 힘의 방향은 실린더(100)가 하강되는 방향이 아닌 하강이 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즉, 실린더(100)가 하강이 되려면, 제1회전지지부(341)는 도 4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힘이 인가되어야 하나, 지지바(342)와 제2회전지지부(343)의 위치로 인하여 외측으로 힘이 인가된다. 그러므로 이 힘은 실린더(100)가 하강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지 못하고 오히려 하중물을 더욱 강하게 지지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므로 본 발명은 추가적인 하중이 인가된다고 하더라도 이를 강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실린더
110 : 실린더의 축
200 : 이동부
210 : 바닥플레이트
220 : 가이드부
230 : 리프트프레임
240 : 베어링부
300 : 연결부
310 : 프레임부
320 : 회동연결부
330 : 회동고정부
340 : 지지부
341 : 제1회전지지부
342 : 지지바
343 : 제2회전지지부
344 : 가로바
345 : 세로바
400 : 고정플레이트
500 : 리프터가이드바

Claims (5)

  1. 상승 또는 하강되는 축을 포함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축에 연결되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부; 및
    일측이 상기 이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하중물을 지지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각도가 변경되어 타측의 하중물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리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하여 직선으로 이동되며 회동 가능한 베어링부를 포함하는 리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어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연결부와, 일측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고정되는 회동고정부 및 타측에 상기 하중물이 연결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리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동고정부의 중심에서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가상의 선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의 중심을 지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제1회전지지부와 상기 제1회전지지부와 이격되며 회전 가능한 제2회전지지부와 상기 제1회전지지부와 상기 제2회전지지부를 연결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지지부는 상기 하중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터.
KR1020220088850A 2022-07-19 2022-07-19 리프터 KR20240011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850A KR20240011421A (ko) 2022-07-19 2022-07-19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850A KR20240011421A (ko) 2022-07-19 2022-07-19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421A true KR20240011421A (ko) 2024-01-26

Family

ID=89714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850A KR20240011421A (ko) 2022-07-19 2022-07-19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14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0406A (ko) 직선붐 공중작업 플랫폼용 수축가능한 평형추
JP4333720B2 (ja) 移載装置における昇降台の取付構造
US3424488A (en) Modified x-frame lifting apparatus
JP2002137895A (ja) 精密制御用フリーリンク装置
KR100930465B1 (ko) 팔레트 위치결정장치
KR20240011421A (ko) 리프터
KR101101761B1 (ko) 접이식 이송수단을 구비한 리프트 테이블
CN215854760U (zh) 船用双臂架式起重机
CN213202180U (zh) 转台、移动式配重机构及起重机
CN105621242A (zh) 一种移动式检修吊架
JP4863045B2 (ja) 金型反転フック並びに金型反転基台
CN210795639U (zh) 剪叉式升降台
JP5131787B2 (ja) 自動搬送車
KR101142756B1 (ko)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지지 및 승하강장치
KR101851804B1 (ko) 기판 반송용 로봇구조
JP6629379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天井、かご天井据付用治具、及びかご天井据付方法
KR100217546B1 (ko) 지게차를 이용한 승강장치
CN217051353U (zh) 一种工程机械支撑横梁
CN218024223U (zh) 平层装置、堆垛机及预制构件生产线
NL2030893B1 (en) A vessel
KR102300888B1 (ko)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
CN220618047U (zh) 一种提升机轿厢用的悬停机构
CN221051514U (zh) 一种扩展台面提升装置及振动台
KR101185082B1 (ko) 버스용 시트 리프터
CN217498569U (zh) 一种升降平台及激光喷码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