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888B1 -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888B1
KR102300888B1 KR1020200083391A KR20200083391A KR102300888B1 KR 102300888 B1 KR102300888 B1 KR 102300888B1 KR 1020200083391 A KR1020200083391 A KR 1020200083391A KR 20200083391 A KR20200083391 A KR 20200083391A KR 102300888 B1 KR102300888 B1 KR 102300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work
support plate
heavy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현
Original Assignee
이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현 filed Critical 이준현
Priority to KR1020200083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8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for tilting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는 베이스프레임, 중량작업물을 적치하여 수직상태와 수평상태 간을 전환 가능하도록 베이스프레임에 전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설치되며, 상호 직교상태에서 함께 전환 회전하여 중량작업물을 한 쪽으로부터 다른 한 쪽으로 적치 이전 가능하도록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각각을 전환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 및 중량작업물이 적치된 상태이고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가 상호 직교상태에서 수평한 지지플레이트를 회전 구동하여 중량작업물이 기울어져 기립한 지지플레이트에 경사 지지되도록 한 후 중량작업물의 작업상태가 전환되도록 회전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Heavy Workload Work Status Switching Device}
본 발명은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작업물에 대한 작업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는 올려진 중량작업물에 대한 각종 작업을 할 때 중량작업물이 가볍거나 크기가 작으면 손쉽게 방향을 전환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중량작업물이 무겁거나 부피가 큰 경우에는 작업자가 중량작업물의 방향을 전환하기 어려우므로 작업능률 저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작업 중 중량작업물을 수직상태와 수평상태로 놓이도록 작업상태를 90°전환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는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에 중량작업물을 배치하고 나란히 배치된 2개의 플레이트가 상호 직교상태에서 회전구동부에 의해 90°전환시켜 동작한다.
그러나 중량작업물이 플레이트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호 직교상태로 배치된 2개의 플레이트를 회전시키게 되면 중량작업물이 측방으로 지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중량작업물이 기울어지면서 중량작업물 측방의 플레이트에 부딪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플레이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는 중량작업물의 충격부하로 수명이 급격히 줄어든다. 또한, 중량작업물이 기울어지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구동을 위한 구성의 수명을 증가시키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중량작업물을 적치하여 수직상태와 수평상태 간을 전환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전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설치되며, 상호 직교상태에서 함께 전환 회전하여 상기 중량작업물을 한 쪽으로부터 다른 한 쪽으로 적치 이전 가능하도록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각각을 전환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중량작업물이 적치된 상태이고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가 상호 직교상태에서 수평한 지지플레이트를 회전 구동하여 상기 중량작업물이 기울어져 기립한 지지플레이트에 경사 지지되도록 한 후 상기 중량작업물의 작업상태가 전환되도록 상기 회전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가 직교하고 수평한 지지플레이트에 중량작업물이 적치된 상태에서 회전구동부를 구동하여 중량작업물이 기울어져 기립한 지지플레이트에 지지되도록 한 후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를 함께 회전시켜 중량작업물이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환되도록 하여 회전구동부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부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각각에 각각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량작업물이 경사상태와 기립상태 간을 이동 가능한 복수의 기동승강부; 및 상기 복수의 기동승강부 각각을 승강 구동하는 승강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가 상호 직교상태에서 상기 기동승강부를 승강 구동시켜 상기 중량작업물이 기울어져 기립한 지지플레이트에 경사 지지되도록 하면 수평한 플레이트에 기립하여 배치된 중량작업물을 기립한 지지플레이트로 기울여 경사진 상태에서 지지되게 하여 회전구동부의 부하를 감소시킴으로써 회전구동부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동승강부가 상기 중량작업물이 기울어져 기립한 지지플레이트에 경사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한 지지플레이트가 상기 중량작업물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수평한 플레이트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기동승강부가 하강 이동되도록 하면 중량작업물이 기울여져 기립한 지지플레이트에 경사진 상태에서 지지되게 할 수 있으며 수평한 지지플레이트를 회전 이동시켜 중량작업물을 지지하게 한 이후 한 쌍의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며 중량작업물의 작업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중량작업물이 경사 지지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작업물이 상기 기동승강부의 승강에 의해 기울어져 정상 경사 지지되는 정상압력범위를 저장하며, 상기 중량작업물이 상기 기동승강부의 승강에 의해 기립한 지지플레이트에 경사 지지되는 경우 상기 압력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압력이 상기 정상압력범위 미만이라면 감지되는 압력이 상기 정상압력범위가 되도록 상기 기동승강부를 승강방향으로 더 승강 이동시키도록 하면 중량작업물이 기립한 지지플레이트에 확실하게 경사 지지되어 안정된 이 후에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를 회전시키며 중량작업물의 작업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동승강부는, 상기 중량작업물을 리프팅하는 기동승강본체; 상기 기동승강본체와 상기 승강구동부를 연결하는 승강구동축; 및 상기 기동승강본체의 일측 말단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가지면 중량작업물이 기립한 지지플레이트측 방향의 역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가 직교하고 수평한 지지플레이트에 중량작업물이 적치된 상태에서 회전구동부를 구동하여 중량작업물이 기울어져 기립한 지지플레이트에 지지되도록 한 후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를 함께 회전시켜 중량작업물이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환되도록 하여 회전구동부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부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주요구성의 상세도.
도 3 내지 6은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의 동작도.
도 7은 승강구동부의 동작도.
도 8은 낙하방지 구성의 상세도.
도 9는 제어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주요구성의 상세도이며, 도 3 내지 5는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1)의 동작도이고, 도 6은 제어블록도이다.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1)는 중량작업물(2)를 수직상태와 수평상태로 중량작업물(2)의 위치를 반전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1)는 베이스프레임(10), 지지플레이트(20), 회전구동부(30), 기동승강부(40), 승강구동부(50), 압력감지부(60) 및 제어부(70)을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0)은 막대형상 또는 판상의 프레임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중앙에 후술할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0)가 수용되는 수용영역을 형성한다. 베이스프레임(10)은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0)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0)의 회전방향에 평행하게 대응한 판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플레이트(20)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베이스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0)는 상호 수평상태에서 나란히 배치된다. 지지플레이트(20)는 제1지지플레이트(21), 제1회전가이드부(22), 제1무게추장착부(23), 미끄럼방지부(24), 제2지지플레이트(25), 제2회전가이드부(26), 제2무게추장착부(27) 및 용기안착부(28)를 갖는다.
제1지지플레이트(21)는 베이스프레임(10)의 중앙 수용영역에 수용 배치되며 베이스프레임(10)의 수용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판면에 평행한 회전축선을 갖는 제1회전축(211)을 가지고 베이스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지지플레이트(21)는 중량작업물(2)이 기립하거나 누워서 올려질 수 있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지지플레이트(21)는 후술할 기동승강부(40)가 통과 가능하게 제1승강부통과공(212)이 형성된다.
제1회전가이드부(22)는 제1지지플레이트(21)의 하면 연부로부터 제1지지플레이트(21)의 회전 반경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회전가이드부(22)는 제1지지플레이트(21)의 회전 평면을 따라 평판형상을 갖고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0)의 회전방향에 평행하게 대응한 판상의 베이스프레임(10)을 따라 제1지지플레이트(21)가 회전되도록 안내한다.
제1무게추장착부(23)는 중량작업물(2)의 무게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무게추를 장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무게추장착부(23)는 제1지지플레이트(21)와 제1회전가이드부(22)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미끄럼방지부(24)는 제1지지플레이트(21) 상에 배치 결합되어 제1지지플레이트(21)의 회전 시 중량작업물(2)이 미끄러지는 것을 저지한다. 미끄럼방지부(24)는 막대형으로 마련되어 제1지지플레이트(21)의 판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턱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플레이트(25)는 베이스프레임(10)의 중앙 수용영역에 수용 배치되며 베이스프레임(10)의 수용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판면에 평행한 회전축선을 갖는 제2회전축(251)을 가지고 베이스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지지플레이트(25)는 중량작업물(2)이 기립하거나 누워서 올려질 수 있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지지플레이트(25)는 후술할 기동승강부(40)가 통과 가능하게 제2승강부통과공(252)이 형성된다.
제2회전가이드부(26)는 제2지지플레이트(25)의 하면 연부로부터 제2지지플레이트(25)의 회전 반경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회전가이드부(26)는 제2지지플레이트(25)의 회전 평면을 따라 평판형상을 갖고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0)의 회전방향에 평행하게 대응한 판상의 베이스프레임(10)을 따라 제2지지플레이트(25)가 회전되도록 안내한다.
제2무게추장착부(27)는 중량작업물(2)의 무게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무게추를 장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무게추장착부(27)는 제2지지플레이트(25)와 제2회전가이드부(26)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용기안착부(28)는 제2지지플레이트(25) 상에 배치 고정 결합되며 중량작업물(2)이 지지 안착되도록 한다. 용기안착부(28)는 중량작업물(2)이 수평상태가 되는 경우 중량작업물(2)이 제2지지플레이트(25)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을 가진다.
회전구동부(30)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0) 각각을 상호 수직상태와 수평상태가 되도록 회전 구동한다. 회전구동부(30)는 슬라이딩 이동레일,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회전모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회전구동부(30)는 제1지지플레이트(21)와 제2지지플레이트(25) 각각을 회전 구동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30)는 링크구조를 갖고 형성될 수도 있고, 회전모터 내지 실린더와 피스톤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으며, 회전구동부(30)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0)를 회전 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던 가능하다.
기동승강부(40)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0) 각각에 각각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기동승강부(40)는 기동승강본체(41), 승강구동축(42), 이탈방지부(43) 및 승강회전축(44)을 갖는다.
기동승강본체(41)는 판상으로 상면이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0) 각각의 판면보다 하부에서 제1승강부통과공(212)을 통과하여 상부로 이동되면서 중량작업물(2)을 리프팅시킨다.
승강구동축(42)은 기동승강본체(41)와 연결되어 기동승강본체(41)가 승강할 때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승강구동축(42)은 기동승강본체(41)와 후술할 승강구동부(50)를 연결한다.
이탈방지부(43)는 기동승강본체(41)의 일측 말단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이탈방지부(41)에 의해 중량작업물(2)이 수직한 플레이트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승강회전축(44)은 기동승강본체(41)와 승강구동축(42)은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0) 중 어느 하나의 판면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단, 승강회전축(44)은 스토퍼가 마련되어 기동승강본체(41)가 승강하는 경우 중량작업물(2)이 수직한 플레이트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기동승강본체(41)는 수직한 플레이트 측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구동부(5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한 쌍의 기동승강부(40) 각각을 승강 구동한다. 승강구동부(50)는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회전모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압력감지부(60)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0) 및 한 쌍의 기동승강부(40)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에 설치되어 중량작업물(2)이 지지되는 압력을 감지한다.
제어부(70)는 중량작업물(2)이 적치된 상태이고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0)가 상호 직교상태에서 수평한 지지플레이트(21)를 회전 구동하여 중량작업물(2)이 기울어져 기립한 지지플레이트(22)에 경사 지지되도록 한 후 중량작업물(2)의 작업상태가 전환되도록 회전구동부(30)를 제어한다.
제어부(70)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0)가 상호 직교상태에서 기동승강부(40)를 승강 구동시켜 중량작업물(2)이 기울어져 기립한 지지플레이트(22)에 경사 지지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70)는 기동승강부(40)가 중량작업물(2)이 기울어져 기립한 지지플레이트(22)에 경사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한 지지플레이트(21)가 중량작업물(2)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수평한 지지플레이트(21)의 회전에 대응하여 기동승강부(40)가 하강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70)는 중량작업물(2)이 기동승강부(40)의 승강에 의해 기울어져 정상 경사 지지되는 정상압력범위를 저장하며, 중량작업물(2)이 기동승강부(40)의 승강에 의해 기립한 지지플레이트(22)에 경사 지지되는 경우 압력감지부(60)에서 감지되는 압력이 정상압력범위 미만이라면 감지되는 압력이 정상압력범위가 되도록 기동승강부(40)를 승강방향으로 더 승강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3 내지 6은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1)의 동작도이다.
도 3 (a) 제1지지플레이트(21) 상에 중량작업물(2)이 수직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2지지플레이트(22)는 제1지지플레이트(21)에 대해서 수평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3 (b) 중량작업물(2)의 작업상태를 90도 전환시키려는 경우 제2지지플레이트(22)를 회전시켜 제1지지플레이트(21)에 대하여 직교상태가 되도록 한다.
도 4 (a) 기동승강부(40)를 승강시켜 중량작업물(2)이 기울어져 기립한 제2지지플레이트(22)에 경사 지지되도록 한다.
도 4 (b) 중량작업물(2)의 테두리는 제1지지플레이트(21)의 테두리에 대하여 평행하지 않고 비스듬하게 평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가 기동승강부(40)의 승강에 의해 중량작업물(2)의 테두리는 제1지지플레이트(21)의 테두리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제2지지플레이트(22)에 경사 지지된다.
도 5 (a) 기동승강부(40)에 의해 중량작업물(2)이 제2지지플레이트(22)에 경사 지지된 상태에서 제1지지플레이트(21)가 중량작업물(2)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회전된다.
도 5 (b) 제1지지플레이트(21)와 제2지지플레이트(22)에 의해 중량작업물(2)이 지지된 상태에서 함께 회전되어 중량작업물(2)의 작업상태가 전환되도록 한다. 단, 제2지지플레이트(22)가 수평한 상태가 되기 전까지 회전된다.
도 6 (a) 제2지지플레이트(22)가 수평한 상태가 되기 소정 각도 전에 기동승강부(40)가 중량작업물(2)이 회전되지 않고 지지된 상태에서 제2지지플레이트(22)를 수평한 상태가 되도록 회전된다. 이에 의해 중량작업물(2)의 작업상태가 완전하게 전환되기 전에 회전구동부(30)에 가해질 수 있는 중량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 (b) 기동승강부(40)가 중량작업물(2)의 측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한 상태에서 기동승강부(40)가 하강 이동되면서 중량작업물(2)이 수평한 상태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후 기립한 제1지지플레이트(21)가 제2지지플레이트(22)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가 되도록 회전된다.
도 7은 승강구동부(50)의 동작도이다.
승강구동부(50)는 제1승강구동부(51)와 제2승강구동부(52)로 이루어진다. 제1승강구동부(51)는 제1수평실린더(511), 제1수평피스톤(512), 제1승강회전실린더(513), 제1승강회전피스톤(514) 및 제1연결부(515)를 갖고, 제2승강구동부(52)는 제2수평실린더(521), 제2수평피스톤(522), 제2승강회전실린더(523), 제2승강회전피스톤(524) 및 제2연결부(525)를 갖는다.
도 7 (a) 제1지지플레이트(21)가 수평한 상태이고, 제2지지플레이트(25)는 수직한 상태이다.
도 7(b)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제1승강구동부(51)와 제2승강구동부(52)가 구동하여 제1지지플레이트(21)와 제2지지플레이트(22)가 수직한 상태와 수평한 상태로 회전되도록 한다.
도 8은 낙하방지 구성의 상세도이다.
승강구동부(50)에 의해 지지플레이트(21, 22)가 회전되는 중 정전 등으로 인하여 유압공급이 멈춘다거나 이상 작동 등으로 인하여 승강구동부(50)가 지지플레이트(21, 22)를 회전시키지 못하고 지지하지 못하는 비상의 경우에 중량작업물(2)을 지지하던 지지플레이트(21, 22)가 낙하하여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비상상황에도 중량작업물(2)을 지지하던 지지플레이트(21, 22)가 낙하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일방향회전부(80)를 갖는다.
일방향회전부(80)는 회전본체(81), 멈춤부(82), 멈춤탄성부(83) 및 멈춤홈(84)을 갖는다. 멈춤홈(84)은 회전본체(8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본체(81)는 회전축(211, 251)에 고정 지지된다. 멈춤부(82)와 멈춤탄성부(83)는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 지지되어 멈춤홈(84)을 따라 이동한다. 멈춤홈(84)은 일방향으로 멈춤부(82)가 가압하면서 이동 가능하나 타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의해 회전축(211, 251)이 회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중량작업물(2)을 지지하던 지지플레이트(21, 22)가 낙하하지 않는다.
상기의 실시 예 이 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기동승강부는 중량작업물이 수직한 플레이트의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의 말단연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 걸개부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중량작업물을 반전시키는 경우 중량작업물이 기울어지면서 수직한 플레이트에 주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에는 승강부통과공 대신에 승강부슬라이딩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동승강부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각각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승강구동부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걸개부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기동승강부의 걸개부에 의해 중량작업물의 하부를 파지할 수 있으므로 중량작업물이 기울어지면서 수직한 플레이트에 주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직한 플레이트를 중량작업물의 측부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회전구동부를 구동하여 반전시키며, 수직상태였던 지지플레이트가 수평상태가 되기 전까지 수평상태였던 지지플레이트를 수직한 상태보다 더 회전시켜 중량작업물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반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의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1)로 인하여, 수평상태의 플레이트에 기립하여 배치된 중량작업물(2)을 수직상태의 플레이트로 기울여 경사진 상태에서 지지되게 한 후 한 쌍의 플레이트(20)를 회전시켜 중량작업물(2)의 위치를 반전시킬 수 있으므로 회전구동부(30)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부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중량작업물(2)가 기립한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에 경사 지지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가 중량작업물(2)을 지지하도록 회전시키면서 중량작업물(2)가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에 지지되도록 기동승강부(40)가 하강 이동되게 하며 중량작업물(2)의 위치를 반전시키면 중량작업물(2)을 수직상태의 플레이트로 기울여 경사진 상태에서 지지되게 할 수 있으며 수평상태의 플레이트를 회전 이동시켜 중량작업물(2)을 지지하게 한 이후 한 쌍의 플레이트(20)를 회전시키며 중량작업물(2)의 위치를 반전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0) 및 한 쌍의 기동승강부(40)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에 설치되어 중량작업물(2)가 지지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60)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70)는 중량작업물(2)이 기동승강부(40)의 승강에 의해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0) 중 어느 하나에 경사져 정상 지지되는 정상압력범위를 저장하며, 중량작업물(2)이 기동승강부(40)의 승강에 의해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0) 중 어느 하나에 경사 지지되는 경우 압력감지부(60)에서 감지되는 압력이 정상압력범위 미만이라면 감지되는 압력이 정상압력범위가 되도록 기동승강부(40)를 승강방향으로 더 승강 이동시켜 중량작업물(2)이 수직상태의 플레이트에 확실하게 경사 지지되어 안정된 이 후에 한 쌍의 플레이트(20)를 회전시키며 중량작업물(2)의 위치를 반전시킬 수 있다.
이탈방지부(43)로 인하여 중량작업물(2)이 수직상태의 지지플레이트 방향의 역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동승강본체(41)와 승강구동축(42)은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0) 중 어느 하나의 판면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기동승강본체(41)가 기울어지는 중량작업물(2)의 바닥에 대응하여 지지할 수 있다.
1 :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 2 : 중량작업물
10 : 베이스프레임 20 : 지지플레이트
21 : 제1지지플레이트 22 : 제1회전가이드부
23 : 제1무게추장착부 24 : 미끄럼방지부
25 : 제2지지플레이트 26 : 제2회전가이드부
27 : 제2문게추장착부 28 : 용기안착부
30 : 회전구동부 40 : 기동승강부
41 : 기동승강본체 42 : 승강구동축
43 : 이탈방지부 44 : 승강회전축
50 : 승강구동부 60 : 압력감지부
70 : 제어부 211 : 제1회전축
212 : 제1승강부통과공 251 : 제2회전축
252 : 제2승강부통과공

Claims (5)

  1.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
    상기 중량작업물을 적치하여 수직상태와 수평상태 간을 전환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전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설치되며, 상호 직교상태에서 함께 전환 회전하여 상기 중량작업물을 한 쪽으로부터 다른 한 쪽으로 적치 이전 가능하도록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각각을 전환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중량작업물이 적치된 상태이고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가 상호 직교상태에서 수평한 지지플레이트를 회전 구동하여 상기 중량작업물이 기울어져 기립한 지지플레이트에 경사 지지되도록 한 후 상기 중량작업물의 작업상태가 전환되도록 상기 회전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각각에 각각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량작업물이 경사상태와 기립상태 간을 이동 가능한 복수의 기동승강부; 및
    상기 복수의 기동승강부 각각을 승강 구동하는 승강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가 상호 직교상태에서 상기 기동승강부를 승강 구동시켜 상기 중량작업물이 기울어져 기립한 지지플레이트에 경사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기동승강부가 상기 중량작업물이 기울어져 기립한 지지플레이트에 경사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한 지지플레이트가 상기 중량작업물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수평한 플레이트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기동승강부가 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중량작업물이 경사 지지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작업물이 상기 기동승강부의 승강에 의해 기울어져 정상 경사 지지되는 정상압력범위를 저장하며, 상기 중량작업물이 상기 기동승강부의 승강에 의해 기립한 지지플레이트에 경사 지지되는 경우 상기 압력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압력이 상기 정상압력범위 미만이라면 감지되는 압력이 상기 정상압력범위가 되도록 상기 기동승강부를 승강방향으로 더 승강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승강부는,
    상기 중량작업물을 리프팅하는 기동승강본체;
    상기 기동승강본체와 상기 승강구동부를 연결하는 승강구동축; 및
    상기 기동승강본체의 일측 말단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
KR1020200083391A 2020-07-07 2020-07-07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 KR102300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391A KR102300888B1 (ko) 2020-07-07 2020-07-07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391A KR102300888B1 (ko) 2020-07-07 2020-07-07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888B1 true KR102300888B1 (ko) 2021-09-13

Family

ID=7779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391A KR102300888B1 (ko) 2020-07-07 2020-07-07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8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6683A (ja) * 1992-11-18 1994-06-03 Denson Kk 重量物反転装置
KR20190023148A (ko) * 2017-08-28 2019-03-08 에스탱크엔지니어링(주) 구형탱크의 구형조각용 터닝장치
JP2019074411A (ja) * 2017-10-16 2019-05-16 中洲電機株式会社 検査補助装置及びワーク材の検査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6683A (ja) * 1992-11-18 1994-06-03 Denson Kk 重量物反転装置
KR20190023148A (ko) * 2017-08-28 2019-03-08 에스탱크엔지니어링(주) 구형탱크의 구형조각용 터닝장치
JP2019074411A (ja) * 2017-10-16 2019-05-16 中洲電機株式会社 検査補助装置及びワーク材の検査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0406A (ko) 직선붐 공중작업 플랫폼용 수축가능한 평형추
KR100804838B1 (ko) 진공흡착 이동장치
CN102229398A (zh) 一种集装箱吊具及起吊设备
CN106082023A (zh) 重心可调式堆高车
CN102367109A (zh) 全接触180度翻板机
KR102300888B1 (ko) 중량작업물 작업상태 전환장치
CN106429904A (zh) 自动平衡吊机
KR101761260B1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101101761B1 (ko) 접이식 이송수단을 구비한 리프트 테이블
JP5531399B2 (ja) 昇降体のロック装置
CN117162107A (zh) 一种泳池清洁机器人底座固定设备
EP4361046A1 (en) Automatic leveling device for conveying platform, and loader
CN110803620A (zh) 自动开闭式阳极焙烧夹具
CN109319661A (zh) 一种杆状构件吊装辅助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251804B1 (ko) 리프트 장치
JP2010155662A (ja) ジャッキ昇降装置
CN210527866U (zh) 一种可转动防倾斜的电表堆码机构
CN218602387U (zh) 一种晶圆清洗机自动升降倾斜进料机构
CN219991102U (zh) 一种电动机的抬升装置
CN221027198U (zh) 一种预制构件的吊装吊具结构
CN212655353U (zh) 吊运机构和吊机
CN212924268U (zh) 剪叉式低矮升降平台
CN209740500U (zh) 建筑工地用升降装置
CN212687466U (zh) 一种可倾斜升降平台
CN214192422U (zh) 剪叉式液压升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