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993A -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 - Google Patents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993A
KR20240010993A KR1020220088447A KR20220088447A KR20240010993A KR 20240010993 A KR20240010993 A KR 20240010993A KR 1020220088447 A KR1020220088447 A KR 1020220088447A KR 20220088447 A KR20220088447 A KR 20220088447A KR 20240010993 A KR20240010993 A KR 20240010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s
pair
support surface
floating assembly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동신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산업(주) filed Critical 동신산업(주)
Priority to KR1020220088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0993A/ko
Publication of KR20240010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튼튼하고 안전한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부력체와 발판의 체결이 용이하여 유지 보수가 쉬운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는, 배수홀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어지는 복수 개의 발판; 부력체에 구비되어 발판이 이어지는 부위에서 한 쌍의 발판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포함하며, 브래킷은, 부력체의 상면에 안착되는 하면을 갖는 고정부, 고정부의 상면에서 발판 쪽으로 연장되고 결속홀이 관통 형성된 연장부, 연장부의 상면에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포함하며, 한 쌍의 발판은, 배수홀과 결속홀을 연결하는 결속부재를 매개로 브래킷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FLOATING ASSEMBLY FOR FLOATING FISH CAGE}
본 개시(The Disclosure)는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가두리 양식장에서 사용되는 부유 구조물은 해수면에 뜨는 부유체와, 부유체의 상단에 고정되는 파이프와, 파이프의 상단에 고정되는 발판으로 구성되며, 전술한 구성들이 로프 등에 의해 결속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1216호는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연결구를 개시한다.
동 공보에 개시된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연결구는, 사각형태의 가두리 양식장용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해 다수의 파이프(10)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결 배치하는 연결구(100)로서, 상기 연결구(100)는 파이프(10)가 안착되게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고 U자형 안착부(112)가 구비되며 평행되게 구비된 한 쌍의 제1고정부(110)와; 파이프(10)가 관통되면서 안착되게끔 원통형 안착부(122)가 구비되며 평행되게 구비된 한 쌍의 제2고정부(120)를 포함한다.
전술한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연결구는, 원통 형상의 부유체에 파이프가 고정되므로 부유체와 파이프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길이가 긴 파이프가 서로 교차되어 결합되므로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10-2017-0001216 A (2017. 01. 04. 공개))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튼튼하고 안전한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부력체와 발판의 체결이 용이하여 유지 보수가 쉬운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는, 배수홀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어지는 복수 개의 발판; 부력체에 구비되어 발판이 이어지는 부위에서 한 쌍의 발판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의 브래킷은, 부력체의 상면에 안착되는 하면을 갖는 고정부, 고정부의 상면에서 발판 쪽으로 연장되고 결속홀이 관통 형성된 연장부, 연장부의 상면에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자용 부유 조립체의 한 쌍의 발판은, 배수홀과 결속홀을 연결하는 결속부재를 매개로 브래킷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의 지지면은, 발판이 이어지는 부위에서 한 쌍의 발판을 발판의 길이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면과 발판이 이어지는 부위에서 한 쌍의 발판을 발판의 너비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의 지지면은, T자 형상을 가지되, 제1 지지면의 길이가 제2 지지면의 길이보다 길며, 제1 지지면은, 길이 방향 일측이 한 쌍의 발판 중 어느 하나의 발판의 길이 방향 일측을 지지하고, 타측이 한 쌍의 발판 중 나머지 하나의 발판의 길이 방향 일측을 지지하고, 제2 지지면은, 너비 방향 일측이 한 쌍의 발판 중 어느 하나의 발판의 길이 방향 일단을 지지하고, 타측이 한 쌍의 발판 중 나머지 하나의 발판의 길이 방향 일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의 고정부는, 부력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밴드가 수용되는 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의 발판은,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인서트되는 제1 기둥프레임, 너비 방향 양단에 각각 인서트되는 제2 기둥프레임, 제1 기둥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제1 기둥프레임과 제2 기둥프레임을 결합시키는 판프레임, 판프레임에 발판의 너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결합홀 및 발판의 너비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제1 결합홀에 연통되는 제2 결합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
또한,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는, 제1 결합홀 또는 제2 결합홀에 대응되는 제3 결합홀이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발판이 이어지는 부위에서 한 쌍의 발판의 측면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의 연결판은, 그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그물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의 브래킷은, 하면이 부력체의 상면에 대응되고 부력체를 넓게 감싸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부력체와 브래킷의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결합이 용이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의 브래킷은, 상면이 발판이 이어지는 부위에서 발판의 길이 방향으로 발판을 지지하며, 발판의 내부에는 발판의 강성을 높이는 제1 기둥프레임과 제2 기둥프레임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는 오랜 시간동안 사용하여도 발판이 휘어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의 브래킷은, 일측에 밴드를 수용하는 밴드홈이 형성되어 부력체에 브래킷이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는, 브래킷의 결속홀과 발판의 배수홀을 연결하는 결속부재를 매개로 브래킷과 발판이 결합되고, 밴드를 매개로 브래킷과 부력체가 결합되므로 부력체와 브래킷과 발판의 체결이 용이하며, 유지 보수가 쉽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의 연결판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발판이 이어지는 부위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의 일부분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발판의 내부를 나타낸다.
도 5는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발판에 연결판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이하 '부유 조립체(10)'라 함]의 사시도인 도 1을 참조하면, 부유 조립체(10)는 수면 위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발판(100)이 소정 범위를 둘러싸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결합된다. 또한, 복수 개의 발판(100)에는 양식에 사용되는 그물(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부유 조립체(10)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도 2와 도 2의 분해도를 나타내는 도 3을 참조하면, 부유 조립체(10)는 발판(100, 100'), 브래킷(200, 200'), 연결판(300, 300'), 결속부재(400) 및 부력체(B)를 포함한다.
브래킷(200)은 로프(도면 미도시)와 같이 묶을 수 있는 부재를 매개로 부력체(B)에 결합된다. 브래킷(200, 200')은 한 쌍이 구비되어, 부력체(B)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발판(100, 100')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어지게 배치한 뒤, 결속부재(400)를 매개로 발판(100, 100')이 이어지는 부위가 브래킷(200, 200')의 상부에 결합된다. 발판(100, 100')의 너비 방향 측면에는 각각 연결판(300, 300')이 구비되어 발판(100, 100')의 일단이 서로 결합된다.
발판(100)은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홀(101)이 형성된다. 배수홀(101)은 발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거나 발판(100)의 내측에 바둑판 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101)은 일반적으로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나, 사람의 발이 빠지지 않는다면,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발판(100)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 4를 참조하면, 발판(100)은 내부에 제1 기둥프레임(110), 제2 기둥프레임(120) 및 판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판(100)의 너비 방향 측면에는 제2 결합홀(102)이 형성된다.
제1 기둥프레임(110)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이며, 발판(100)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인서트된다. 자세하게는, 제1 기둥프레임(110)은 발판(100)의 너비 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발판(100)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인서트되어 발판(100)의 강성을 높여주는 기능을 한다. 제1 기둥프레임(110)은 발판(100)의 강성을 높여주기 위해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기둥프레임(120)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바 형상이며, 발판(100)의 너비 방향 양단에 각각 인서트된다. 자세하게는, 제2 기둥프레임(120)은 발판(100)의 길이 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발판(100)의 너비 방향 양단에 각각 인서트되어 발판(100)의 강성을 높여주는 기능을 한다. 제2 기둥프레임(120)은 발판(100)의 강성을 높여주기 위해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판프레임(130)은 제1 기둥프레임(11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제1 기둥프레임(110)의 일단과 제2 기둥프레임(120)의 일단을 결합시키며, 내측에는 제1 결합홀(131)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판프레임(130)은 소정 면적을 가지는 판 형상일 수 있으며, 제1 기둥프레임(110)에 수직인 상태로 발판(100)의 모서리마다 구비될 수 있다. 판프레임(130)에는 제1 기둥프레임(110)의 일단과 제2 기둥프레임(120)의 일단이 결합되어, 제1 기둥프레임(110)과 제2 기둥프레임(120)이 연결된다.
또한, 판프레임(130)에는 복수 개의 제1 결합홀(1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판프레임(130)은 제1 기둥프레임(110)에 수직인 상태로 구비되므로, 제1 결합홀(131)은 제1 기둥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발판(100)에는 제1 결합홀(131)에 연통되는 제2 결합홀(102)이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제2 결합홀(102)은 발판(100)의 너비 방향 측면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제1 결합홀(131)에 연통된다.
브래킷(200)의 사시도인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브래킷(200)은 고정부(210)와 연장부(220)를 포함한다.
고정부(210)는 하면(211)이 부력체(B)의 상면을 넓게 감싸는 형상을 가져 부력체(B)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고정부(210)의 하면(211)은 부력체(B)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는, 부력체(B)가 원통 형상을 가지면 고정부(210)의 하면(211)은 이에 대응되게 곡면 형상을 가져 부력체(B)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부력체(B)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면 고정부(210)의 하면(211)은 이에 대응되게 ㄷ자 형상을 가져 부력체(B)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10)는 일측에 부력체(B)의 이탈을 방지하는 밴드가 수용되는 밴드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20)는 고정부(210)의 상면에서 발판(100)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결속홀(221)과 지지면(222)을 포함한다.
결속홀(221)은 연장부(220)에 관통 형성되고,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면(222)은 연장부(220)의 상면에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 발판(100, 100')이 이어지는 부위에서 발판(100, 100')을 지지한다. 지지면(222)은 제1 지지면(222a)과 제2 지지면(222b)을 포함한다.
제1 지지면(222a)은 발판(100, 100')이 이어지는 부위에서 한 쌍의 발판(100, 100')의 길이 방향으로 발판(100, 100')을 지지한다.
제2 지지면(222b)은 발판(100, 100')이 이어지는 부위에서 한 쌍의 발판(100, 100')의 너비 방향으로 발판(100, 100')을 지지한다.
자세하게는, 지지면(222)은 제1 지지면(222a)의 길이가 제2 지지면(222b)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성된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면(222a)의 길이 방향 일측이 발판(100)의 길이 방향 일측을 지지하고, 제1 지지면(222a)의 길이 방향 타측이 발판(100')의 길이 방향 일측을 지지하고, 제2 지지면(222b)의 너비 방향 일측이 발판(100)의 길이 방향 일단을 지지하고, 제2 지지면(222c)의 너비 방향 타측이 발판(100')의 길이 방향 일단을 지지하며, 결속홀(221)과 배수홀(101)을 연결하는 결속부재(400)를 매개로 발판(100, 100')이 지지면(222)에 지지된 뒤 고정된다.
발판(100, 100')에 연결판(300)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 7을 참조하면, 연결판(300)은 소정 면적을 가지는 판 형상일 수 있으며, 고무나 TPU와 같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판(300)은 제3 결합홀(310)과 그물고정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결합홀(310)은 연결판(300)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제1 결합홀(131) 또는 제2 결합홀(102)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물고정홀(320)은 연결판(3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물고정홀(320)은 그물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며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판(300)은 발판(100, 100')이 이어지는 부위에서 제1 결합홀(131), 제2 결합홀(102), 제3 결합홀(310)에 삽입되는 볼트를 매개로 일측이 발판(100)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발판(100')의 측면에 결합되어, 발판(100, 100')을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결속부재(400)는 브래킷(200)의 결속홀(221)과 발판(100)의 배수홀(101)을 연결하여 브래킷(200)과 발판(100)을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결속부재(400)는 끈, 로프, 케이블타이와 두 물체를 묶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가늘고 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부유 조립체(10)의 브래킷(200)은, 하면(211)이 부력체(B)의 상면에 대응되고 부력체(B)를 넓게 감싸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부력체(B)와 브래킷(200)의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결합이 용이하다.
또한, 전술한 부유 조립체(10)의 브래킷(200)은, 상면이 발판(100, 100')이 이어지는 부위에서 발판(100, 100')의 길이 방향으로 발판(100, 100')을 지지하며, 발판(100, 100')의 내부에는 발판(100, 100')의 강성을 높이는 제1 기둥프레임(110)과 제2 기둥프레임(120)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부유 조립체(10)는 오랜 시간동안 사용하여도 발판(100, 100')이 휘어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부유 조립체(10)의 브래킷(200)은, 일측에 밴드를 수용하는 밴드홈(212)이 형성되어 부력체(B)에 브래킷(200)이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전술한 부유 조립체(10)는, 브래킷(200)의 결속홀(221)과 발판(100)의 배수홀(101)을 연결하는 결속부재(400)를 매개로 브래킷(200)과 발판(100)이 결합되고, 밴드를 매개로 브래킷(200)과 부력체(B)가 결합되므로 부력체(B)와 브래킷(200)과 발판(100)의 체결이 용이하며, 유지 보수가 쉽다.
또한, 전술한 부유 조립체(10)의 연결판(300)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발판(100, 100')이 이어지는 부위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부유 조립체(1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할 때 사용된 표현(용어, 시각화된 이미지 등)들은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도구적인 목적에 의해 선택된 것에 불과하다.
또한, 여건상 본 개시는 제한된 수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고,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새로운 실시예들을 창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난 일부 표현에 의하여 제한되어선 안되고, 명세서의 전반에 내재된 본원적인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10...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
100... 발판
110... 제1 기둥프레임
120... 제2 기둥프레임
130... 판프레임
131... 제1 결합홀
101... 배수홀
102... 제2 결합홀
200... 브래킷
210... 고정부
211... 하면
212... 밴드홈
220... 연장부
221... 결속홀
222... 지지면
222a... 제1 지지면
222b... 제2 지지면
300... 연결판
310... 제3 결합홀
320... 그물고정홀
400... 결속부재
B... 부력체

Claims (7)

  1. 배수홀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어지는 복수 개의 발판;
    부력체에 구비되어 상기 발판이 이어지는 부위에서 한 쌍의 발판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부력체의 상면에 안착되는 하면을 갖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서 상기 발판 쪽으로 연장되고 결속홀이 관통 형성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상면에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발판은,
    상기 배수홀과 상기 결속홀을 연결하는 결속부재를 매개로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상기 발판이 이어지는 부위에서 상기 한 쌍의 발판을 발판의 길이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면과
    상기 발판이 이어지는 부위에서 상기 한 쌍의 발판을 발판의 너비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T자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제1 지지면의 길이가 상기 제2 지지면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제1 지지면은,
    길이 방향 일측이 상기 한 쌍의 발판 중 어느 하나의 발판의 길이 방향 일측을 지지하고, 타측이 상기 한 쌍의 발판 중 나머지 하나의 발판의 길이 방향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2 지지면은,
    너비 방향 일측이 상기 한 쌍의 발판 중 어느 하나의 발판의 길이 방향 일단을 지지하고, 타측이 상기 한 쌍의 발판 중 나머지 하나의 발판의 길이 방향 일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부력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밴드가 수용되는 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인서트되는 제1 기둥프레임, 너비 방향 양단에 각각 인서트되는 제2 기둥프레임, 상기 제1 기둥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기둥프레임과 상기 제2 기둥프레임을 결합시키는 판프레임, 상기 판프레임에 상기 발판의 너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결합홀 및 상기 발판의 너비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홀에 연통되는 제2 결합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홀 또는 상기 제2 결합홀에 대응되는 제3 결합홀이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발판이 이어지는 부위에서 상기 한 쌍의 발판의 측면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그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그물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
KR1020220088447A 2022-07-18 2022-07-18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 KR20240010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447A KR20240010993A (ko) 2022-07-18 2022-07-18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447A KR20240010993A (ko) 2022-07-18 2022-07-18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993A true KR20240010993A (ko) 2024-01-25

Family

ID=89721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447A KR20240010993A (ko) 2022-07-18 2022-07-18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099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216A (ko) 2015-06-26 2017-01-04 김효준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216A (ko) 2015-06-26 2017-01-04 김효준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4347B2 (en) Truss heave plate system for offshore platform
RU2587049C2 (ru) Амортизационное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лавучих конструкций
WO2014027960A1 (en) Floating structure and system
KR20240010993A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유 조립체
KR20120007987U (ko) 양식장용 플로트
KR200461271Y1 (ko) 부상구조물 발판
KR101240871B1 (ko) 조립식 부잔교
EP0429519A1 (en) FLOATING STRUCTURE.
KR102199116B1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구 유닛
JP4488934B2 (ja) 地下水槽充填材
KR960008683Y1 (ko) 조립식 부력체 구조물
US4175887A (en) Anti-swell protective device
JP5714447B2 (ja) 地下入口の止水装置
KR100594878B1 (ko) 가두리 양식장용 구조물
KR101364014B1 (ko) 세굴방지 및 호안블록
KR102617305B1 (ko) 수중 케이블보호용 콘크리트 매트리스 및 그 시공법
JP4584873B2 (ja) 雨水貯留浸透槽用の構成部材及び雨水貯留浸透槽
KR20170057819A (ko) 가두리 양식용 구조물
KR101211991B1 (ko) 세굴방지 및 호안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44753B1 (ko) 친환경 목재 옹벽
KR102231712B1 (ko) 목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KR101789466B1 (ko) 파도를 막아내는 해안설치형 거더
KR200373552Y1 (ko) 가두리 양식장 구축용 프레임 연결용 커넥터
JP4908937B2 (ja) 雨水貯留浸透槽
KR20130124697A (ko) 교체 가능한 조립식 가두리 양식 구조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