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589A - 고양이 바이러스 감염 질병의 예방 또는 경감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고양이 바이러스 감염 질병의 예방 또는 경감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589A
KR20240010589A KR1020220086649A KR20220086649A KR20240010589A KR 20240010589 A KR20240010589 A KR 20240010589A KR 1020220086649 A KR1020220086649 A KR 1020220086649A KR 20220086649 A KR20220086649 A KR 20220086649A KR 20240010589 A KR20240010589 A KR 20240010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acid
accession number
calicivirus
number kctc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군
박유리
김은주
이혜정
현방훈
오수빈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Priority to KR1020220086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0589A/ko
Publication of KR20240010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58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125Picornaviridae, e.g. calicivir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245Herpetoviridae, e.g. herpes simplex 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00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7/00Viruses; Bacteriophages; Compositions thereof;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N7/04Inactivation or attenuation; Producing viral sub-units
    • C12N7/08Inactivation or attenuation by serial passage of 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25Virus
    • A61K2039/5252Virus inactivated (ki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host/recipient, e.g. newborn with maternal antibodies
    • A61K2039/552Veterinary vac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70Multivalent vacc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1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DNA viruses
    • C12N2710/00011Details
    • C12N2710/16011Herpesviridae
    • C12N2710/16711Varicellovirus, e.g. human herpesvirus 3, Varicella Zoster, pseudorabies
    • C12N2710/167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7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positive-sense
    • C12N2770/00011Details
    • C12N2770/16011Caliciviridae
    • C12N2770/160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n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칼리시 바이러스 또는 허피스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고양이 질병의 예방 또는 경감용 혼합 백신 조성물, 약학 조성물, 사료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백신 항원은 국내에서 순환하고 있는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칼리시 바이러스, 허피스 바이러스를 분리하여 계대한 국내-분리주 기반으로, 이를 활용한 백신은 국내에서 유행하는 고양이의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칼리시 바이러스 또는 허피스 바이러스의 감염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불활화 백신으로 제공하여 안전성이 보장되며, CRFK 세포에서 매우 높은 증식력을 나타내어 in vitro 증식을 통한 대량생산이 용이하다.

Description

고양이 바이러스 감염 질병의 예방 또는 경감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VIRAL INFECTIONS IN CATS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칼리시 바이러스 또는 허피스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고양이 질병의 예방 또는 경감용 혼합 백신 조성물, 약학 조성물, 사료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2015년 1월부터 2021년 5월까지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질병진단이 의뢰된 고양이 시료에서 진단된 병원체는 범백혈구감소증 감염이 가장 많이 진단되었으며, 두번째로 고양이 코로나 감염, 세번째가 칼리시 감염이며, 고양이 인플루엔자와 허피스 감염은 각각 3건 및 1건 진단되었다.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감염은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Feline panleukopenia virus: FPV)에 의해 발생한다. 고양이, 개, 너구리, 원숭이, 호랑이 및 야생의 육식동물에서 혈액이 섞인 설사를 일으키고, 감염된 동물의 50% 이상이 폐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양이 칼리시 감염은 칼리시 바이러스 (Feline calicivirus: FCV)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주로 타액이나 비말을 통하여 전파되며, 바이러스 입자가 작기 때문에 전파 속도가 빠르다. 1년생 이하 고양이에서는 2가지의 임상형으로 나누는데 첫 번째 임상형은 피부에 미란성 궤양으로 식욕부진, 발열, 황달 등이 나타나며, 두 번째 임상형은 폐렴 이후에 갑작스럽게 폐사를 나타낸다.
고양이 허피스 감염은 허피스바이러스 계통의 바이러스아과 알파-허피스바이러스(Alphaherpesvirinae)에 속하는 바리셀로바이러스(Varicellovirus) 속의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 (Feline herpesvirus: FHV)가 원인체이다. 허피스 바이러스에 감염된 고양이는 콧물과 눈물을 흘리고 폐렴과 결막염을 일으키며, 임신한 고양이는 가끔 유산이나 사산이 되기도 한다. 고양이 허피스감염증은 전세계적으로 보고되고 있고 고양이 외에 호랑이에서도 보고되고 있으며, 주로 모체이행 항체가 떨어지는 2-3개월령 고양이에서 많이 발생한다. 전파는 주로 감염된 고양이와의 접촉을 통해 일어나며, 3차 신경절에 잠복해 있다가 강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면역이 억압될 경우에 바이러스가 배출된다.
국내에서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칼리시 바이러스, 허피스 바이러스로 인한 고양이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불활화백신과 생백신 2종류가 기초백신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사용 중인 2종류의 백신은 외국에서 분리된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칼리시 바이러스, 허피스 바이러스를 기반으로 제조된 백신이다. 이러한 외국 분리주-기반의 백신은 국내에서 순환하고 있는 야외주와 유전적 상동성 관점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는데 칼리시 바이러스의 경우, 국내에서 분리한 칼리시 바이러스 전체 유전자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상동성이 20%까지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점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외국-분리주 기반의 백신이 국내에서 유행하고 있는 고양이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원성 및 효능에 한계를 나타낼수 있으며, 또한 최근 나고야 의정서로 인하여 유전자원에 대한 이익공유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국내-분리주 기반의 고양이 질병에 대한 백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 본 발명의 목적은 수탁번호 KCTC 18984P로 기탁된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5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6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및 수탁번호 KCTC 18987P로 기탁된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 를 포함하는, 고양이의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칼리시 바이러스 또는 허피스 바이러스 예방용 혼합 백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예방접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국내에서 순환하고 있는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칼리시 바이러스 및 허피스 바이러스를 분리하여 계대한 바이러스를 항원으로 이용하여 외국-분리주 기반 백신의 효능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내에서 유행하고 있는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칼리시 바이러스 또는 허피스 바이러스에 대해 면역원성이 우수한 백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4종 바이러스 변이주를 포함하는 고양이의 범백혈구감소증, 칼리시감염증 또는 허피스감염증 예방 또는 경감용 약학조성물, 사료조성물 또는 사료첨가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8984P로 기탁된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5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6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및 수탁번호 KCTC 18987P로 기탁된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 를 포함하는, 고양이의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칼리시 바이러스 또는 허피스 바이러스 예방용 혼합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탁번호 KCTC 18984P로 기탁된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101번째 아미노산이 이소류신(I), 231번째 아미노산이 이소류신(I) 및 562번 아미노산이 류신(L)일 수 있다.
상기 수탁번호 KCTC 18985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는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아미노산 서열에서 150번째 아미노산이 발린(V), 205번째 아미노산이 트레오닌(T), 427번째 아미노산이 아스파르트산(D) 및 667번째 아미노산이 이소류신(I)일 수 있다.
상기 수탁번호 KCTC 18986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는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아미노산 서열에서 48번째 아미노산이 시스테인(C), 241번째 아미노산이 이소류신(I), 245번째 아미노산이 글루타민(Q), 246번째 아미노산이 세린(S), 249번째 아미노산이 메티오닌(M), 252번째 아미노산이 타이로신(Y), 268번째 아미노산이 트레오닌(T), 273번째 아미노산이 아르기닌(R), 280번째 아미노산이 메티오닌(M), 285번째 아미노산이 트레오닌(T), 406번째 아미노산이 발린(V), 435번째 아미노산이 아스파르트산(D), 441번째 아미노산이 발린(V), 497번째 아미노산이 아스파르트산(D), 519번째 아미노산이 글루탐산(E)일 수 있다.
상기 수탁번호 KCTC 18987P로 기탁된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는 서열번호 7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이주는 모두 계대 배양 시 20 내지 60초 동안 자외선(UV)에 노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변이주는 모두 불활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탁번호 KCTC 18984P로 기탁된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 : 수탁번호 KCTC 18985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 수탁번호 KCTC 18986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 수탁번호 KCTC 18987P로 기탁된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는 4 : 1.5 : 1.5 : 2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 백신 조성물은 애주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주번트는 리하이드로겔, IMS1313, 몬타나이드 01 겔(Montanide 01 gel), ISA206, ISA70 및 카보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애주번트는 혼합 백신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w/v)%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8984P로 기탁된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5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6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및 수탁번호 KCTC 18987P로 기탁된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 를 포함하는, 고양이의 범백혈구감소증, 칼리시감염증 또는 허피스감염증 예방 또는 경감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구토, 탈수, 발열, 황달, 설사, 궤양, 장염, 비루, 안루, 구내염, 결막염, 피부염, 비염, 콧물, 기침, 재채기, 설염, 침울, 식욕저하 및 체중감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임상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8984P로 기탁된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5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6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및 수탁번호 KCTC 18987P로 기탁된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 를 포함하는, 고양이의 범백혈구감소증, 칼리시감염증 또는 허피스감염증 예방 또는 경감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8984P로 기탁된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5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6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및 수탁번호 KCTC 18987P로 기탁된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 를 포함하는, 고양이의 범백혈구감소증, 칼리시감염증 또는 허피스감염증 예방 또는 경감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 백신 조성물을 고양이과 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양이의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칼리시 바이러스 또는 허피스 바이러스 예방접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투여는 복강내 투여, 근육내 투여, 복막내 투여, 정맥내 투여, 피하내 투여, 경구 투여, 비강 투여, 경막 외 투여, 국소 투여 또는 침지 투여일 수 있다.
상기 고양이과 동물은 2개월령 내지 4개월령의 고양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백신 항원은 국내에서 순환하고 있는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칼리시 바이러스, 허피스 바이러스를 분리하여 계대한 국내-분리주 기반으로, 이를 활용한 백신은 국내에서 유행하는 고양이의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칼리시 바이러스 또는 허피스 바이러스의 감염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불활화 백신으로 제공하여 안전성이 보장되며, CRFK 세포에서 매우 높은 증식력을 나타내어 in vitro 증식을 통한 대량생산이 용이하다.
도 1은 FPV19D01-70P의 유전자를 증폭한 PCR 결과(a) 및 단백질의 아미노산 변이(b)를 나타낸 도이다. 1: FPVDF/FPVDR 프라이머 적용, 2: FPVSF1/FPVSR1 프라이머 적용, 3: FPVSF2/FPVSR2 프라이머 적용, 4: FPVSF3/FPVSR3 프라이머 적용.
도 2는 FCV17D03-50P 및 FCV17D283-80P의 유전자를 증폭한 PCR 결과(a), FCV17D03-50P 단백질의 아미노산 변이(b) 및 FCV17D283-80P 단백질의 아미노산 변이(c)를 나타낸 도이다. 1: FCVF/FCVR 프라이머를 적용한 FCV17D03-50P, 2: FCVF/FCVR 프라이머를 적용한 FCV17D283-80P.
도 3은 FHV191071-100P의 유전자를 증폭한 PCR 결과(a), 중간 반복 서열(inter repeat sequence: IRS) 영역에서의 염기 삽입(b) 및 중간 보완 4 유전자(inter complement 4 gene) 영역에서의 염기 삽입(c)을 나타낸 도이다. 1: FHVgDF1/FHVgDR1 프라이머 적용, 2: FHVgDFR2/FHVgDR2 프라이머 적용, 3: FHVgBF1/FHVgBR1 프라이머 적용, 4: FHVgBF2/FHVgBR2 프라이머 적용, 5: FHVgBF3/FHVgBR3 프라이머 적용.
도 4는 FPV19D01-1P 및 FPV19D01-70P의 바이러스 증식능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FCV17D03-1P 및 FCV17D03-50P의 바이러스 증식능, FCV17D283-1P 및 FCV17D283-80P의 바이러스 증식능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FHV191071-1P 및 FHV191071-100P의 바이러스 증식능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마우스에 접종한 리하이드로겔 함유 혼합 백신 및 카보폴 함유 혼합 백신의 4종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기니픽에 접종한 리하이드로겔 함유 혼합 백신 및 카보폴 함유 혼합 백신의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를 나타낸 도이다(화살표는 백신접종 표시). Weeks after vaccination - 0 : 접종 전, 2 : 1차 접종 2주차, 4 : 2차 접종 2주차, 6 : 2차 접종 4주차, 8 : 3차 접종 2주차.
도 9는 기니픽에 접종한 리하이드로겔 함유 혼합 백신 및 카보폴 함유 혼합 백신의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를 나타낸 도이다. (a) 칼리시 바이러스 FCV17D03주에 대한 항체가, (b) 칼리시 바이러스 FCV17D283주에 대한 항체가. Weeks after vaccination - 0 : 접종 전, 2 : 1차 접종 2주차, 4 : 2차 접종 2주차, 6 : 2차 접종 4주차, 8 : 3차 접종 2주차.
도 10은 기니픽에 접종한 리하이드로겔 함유 혼합 백신 및 카보폴 함유 혼합 백신의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를 나타낸 도이다. Weeks after vaccination - 0 : 접종 전, 2 : 1차 접종 2주차, 4 : 2차 접종 2주차, 6 : 2차 접종 4주차, 8 : 3차 접종 2주차.
도 11은 고양이에 접종한 카보폴 함유 혼합 백신의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를 나타낸 도이다. 0 : 접종 전, 4 : 2차 접종 2주차, 6 : 2차 접종 4주차.
도 12는 고양이에 접종한 카보폴 함유 혼합 백신의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를 나타낸 도이다. 0 : 접종 전, 4 : 2차 접종 2주차, 6 : 2차 접종 4주차.
도 13은 고양이에 접종한 카보폴 함유 혼합 백신의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를 나타낸 도이다. 0 : 접종 전, 4 : 2차 접종 2주차, 6 : 2차 접종 4주차.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 및 이하에 기술하는 실험 방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양태로, 수탁번호 KCTC 18984P로 기탁된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5P로 기탁된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6P로 기탁된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및 수탁번호 KCTC 18987P로 기탁된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 를 포함하는, 고양이의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칼리시 바이러스 또는 허피스 바이러스 예방용 혼합 백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는 FPV(Feline panleukopenia virus) 또는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는 FCV(Feline calici virus) 또는 칼리시 바이러스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는 FHV(Feline herpes virs) 또는 허피스 바이러스와 혼용되어 사용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백신은 국내 발생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 또는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 감염을 진단받은 고양이로부터 고병원성을 나타내는 바이러스 균주 FPV 1주, FCV 2주, FHV 1주를 분리하여여 계대배양한 상기 4종의 변이주를 백신의 항원으로 이용하였다. FCV 2주의 경우 교차중화시험에서 서로 교차가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여 기존 백신 제조에 있어 백신주로 1균주를 사용하는 것보다 2균주의 칼리시 바이러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혼합 백신의 면역원성을 평가한 결과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칼리시 바이러스 또는 허피스 바이러스에 대해 높은 혈구응집억제가 또는 중화항체가를 형성해 우수한 백신의 효능을 확인하였다. 상기 4종의 변이주는 계대 및 증식을 통해 최초 분리주와 비교하여 핵산 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에 변이가 발생하였는데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및 칼리시 바이러스의 경우 아미노산 서열의 변이로 인해 높은 바이러스 증식성을 나타내 증식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균학적 특성이 발휘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는 개 파보바이러스 (Canine parvovirus: CPV)와 유사하지만 개 파보바이러스는 두 개의 혈청형 (CPV1, CPV2)이 알려져 있는 반면,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는 VP2 캡시드 단백질이 중화항체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증식성이 좋은 FPV 1주를 70대 계대 후 16S rDNA 서열 분석으로 VP2 단백질 영역을 최초 분리주와 비교한 결과 3개의 아미노산 변이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아미노산 변이가 일어난 변이주의 VP2 단백질을 서열번호 2로 표시하고, 상기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를 'FPV19D01-70P'로 명명하였다.
FPV19D01-70P 변이주는 생명공학연구원 2022년 03월 15일에 생물자원센터(KCTC)에 기탁하여, 2022년 04월 5일자로 수탁번호 KCTC18984P를 부여받았다.
상기 수탁번호 KCTC 18984P로 기탁된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아미노산 서열에서 101번째 아미노산이 이소류신(I), 231번째 아미노산이 이소류신(I) 및 562번 아미노산이 류신(L)일 수 있다.
칼리시 바이러스의 전체 유전자는 7,300개의 염기로 이루어진 RNA바이러스로 4개의 open reading frame (ORF)을 가지고 있다. 이중 두번째 ORF는 VP1으로 성숙한 캡시드 단백질로 중화항체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증식성이 좋은 FCV 2주를 각각 50대 및 80대 계대 후 16S rDNA 서열 분석으로 VP1 단백질을 최초 분리주와 비교한 결과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4개의 아미노산 변이가 발생하고,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12개의 아미노산 변이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를 'FCV17D03-50P'로 명명하고, 상기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를 'FCV17D283-80P'로 명명하였다.
FCV17D03-50P 변이주 및 FCV17D283-80P 변이주는 2022년 03월 15일에 생물자원센터(KCTC)에 기탁하여, 2022년 04월 5일자로 각각 수탁번호 KCTC18985P 및 수탁번호 KCTC18986P를 부여받았다.
상기 수탁번호 KCTC 18985P로 기탁된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는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아미노산 서열에서 150번째 아미노산이 발린(V), 205번째 아미노산이 트레오닌(T), 427번째 아미노산이 아스파르트산(D) 및 667번째 아미노산이 이소류신(I)일 수 있다.
상기 수탁번호 KCTC 18986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는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아미노산 서열에서 48번째 아미노산이 시스테인(C), 241번째 아미노산이 이소류신(I), 245번째 아미노산이 글루타민(Q), 246번째 아미노산이 세린(S), 249번째 아미노산이 메티오닌(M), 252번째 아미노산이 타이로신(Y), 268번째 아미노산이 트레오닌(T), 273번째 아미노산이 아르기닌(R), 280번째 아미노산이 메티오닌(M), 285번째 아미노산이 트레오닌(T), 406번째 아미노산이 발린(V), 435번째 아미노산이 아스파르트산(D), 441번째 아미노산이 발린(V), 497번째 아미노산이 아스파르트산(D), 519번째 아미노산이 글루탐산(E)일 수 있다.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의 전체 유전자는 135,800개의 염기로 구성되며, 23개의 바이러스 구성 단백질을 가지고 있으며, 외피는 13개의 글리코 단백질을 가지고 있다. 13개의 글리코단백질 중에서 U58 (gE), UL44 (gC), UL23 (thymidine kinase; TK), 및 U53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4개가 잠재적 병원성 인자로 알려져 있고, UL27 (gB), US6 (gD) 단백질은 방어면역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증식성이 좋은 FHV 1주를 100대 계대 후 최초 분리주와 서열 비교를 하였을 때 gD 및 gB의 경우 상동성 100%로 확인되어 gD 및 gB 외의 유전적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최초 분리주 FH191701-1Pf의 염기서열과 비교하여 106,081bp ~ 115,506bp(중간 반복 서열(inter repeat sequence: IRS))에서 115개의 염기 삽입이 발생하고, 111,816bp ~ 112,206bp(중간 보완 4 유전자(inter complement 4 gene))에서 25개의 염기 결손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염기 삽입/결실이 발생한 변이주의 염기 서열을 총 115,741bp로 확인하고 서열번호 7로 표시하였다.
상기 서열번호 7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를 'FHV191071-100P'로 명명하고, 2022년 03월 15일에 생물자원센터(KCTC)에 기탁하여, 2022년 04월 5일자로 수탁번호 KCTC18987P를 부여받았다.
상기 아미노산 서열 및 핵산 서열의 변이는 바이러스주의 계대 및 증식의 과정에 동반된 자외선(UV) 조사로 인 한 것일 수 있다. 자외선 조사는 바이러스의 DNA나 RNA에 영향을 미치는데 염기서열 중에서 티민(thymine)이 두개 연속적으로 있는 경우 자외선에 노출하면 티민의 이량체(dimer)를 형성하여 다음 단계에 증식을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살바이러스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대 배양시 자외선 노출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초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초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백신 조성물" 또는 "백신"은 생체에 면역을 주는 항원성 물질을 함유한 생물학적인 제제로서,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을 위하여 생물체에 주입 또는 주사하여 항체를 형성시키는 면역원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항원성 물질은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단백질,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단백질 및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단백질일 수 있다.
상기 변이주는 CRFK 세포를 이용하여 증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의 경우 CRFK 세포에 동시에 접종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및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는 CRFK 세포가 배양되어 있는 조직배양용 플라스크에 각각의 바이러스를 접종한 뒤 D-MEM 배지를 추가하여 배양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는 5일간 배양하고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및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는 2일간 배양하고 수확하면 높은 함량의 바이러스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변이주는 모두 불활화 균체, 약독화된 균체 또는 사균체로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단백질은 상기 변이주 각각으로부터 통상적인 단백질 정제 또는 유전 공학적 재조합을 통해 항원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백신은 불활화 백신으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변이주는 모두 불활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불활화 백신은 병원체를 증식한 후 약품을 이용하여 병원성 미생물을 죽여서 만든 백신으로, 불활성화할 때 바이러스가 복제될 수 없게 하면서 생물체 표면에 존재하는 항원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불활화 백신은 주로 체액성 면역만을 유도하지만 안전성이 높아 백신 접종의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다가 백신으로서 응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변이주의 불활화는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불활성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르말린 처리에 의해 불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백신 조성물은 상기 수탁번호 KCTC 18984P로 기탁된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 : 수탁번호 KCTC 18985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 수탁번호 KCTC 18986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 수탁번호 KCTC 18987P로 기탁된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가 4 : 1.5 : 1.5 : 2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백신 조성물은 애주번트(Adjuva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주번트는 본 발명의 조성물과 함께 투여되어 면역 반응을 증강시킬수 있다.
전형적인 애주번트로는 프로인트 애주번트((Freund adjuvant), 알룸 화합물(aluminum compound), 무라밀 디펩타이드(muramyl dipeptide), 리포폴리싸카라이드(LPS), 모노포스포릴 리피드 A, 또는 쿠일 A, ISA70 에멀전 등이 있으나,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하이드로겔(Rehydragel), IMS1313, 몬타나이드 01 겔(Montanide 01 gel), ISA206, ISA70 및 카보폴(Carbopol 974 PNF 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리하이드로겔 또는 카보폴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애주번트는 혼합백신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w/v)%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w/v)%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애주번트는 백신 조성물과 동시에 투여되거나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백신 조성물은 안정화제, 항생제, 보존제 또는 첨가제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백신의 투여 경로에 다라 증류수, 완충용액 등과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당류나 아미노산류, 광물유, 식물유, 백반, 인산알루미늄, 벤토나이트, 실리카, 무라밀디펩티드(muramyl dipeptide) 유도체, 사이모신, 인터류킨 등이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백신 제조에 사용되는 공지이 물질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백신 조성물은 적당한 용적의, 예를 들어 약 10~500㎖ 부피의 바이알에 백신액을 분주한 다음, 밀봉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백신은 액상뿐만 아니라, 나누어 주입한 다음에 동결건조함으로써 건조 제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건조 제제는 사용 직전에 첨가한 감균액으로 건조물질을 완전하게 재용해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백신 조성물은 경구형 또는 비경구형 제제로 제조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경구형 제제인 주사액제로 제조하며, 진피 내, 근육 내, 복막 내, 정맥 내, 피하 내, 비강 또는 경막 외(eidural)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백신 조성물은 면역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면역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투여 대상의 상태, 투여 경로 및 투여 형태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험적인 유효량으로 투여 대상의 체중 1kg 당 0.1 내지 1 ㎖, 바람직하게는 체중 1kg당 0.2 ~ 0.4 ㎖을 2주 간격으로 2회 이상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하게 다양한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양태로, 상기 혼합 백신 조성물을 고양이과 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양이의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칼리시 바이러스 또는 허피스 바이러스 예방접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고양이과 동물은 고양이, 삵, 치타, 사자, 퓨마, 표범, 호랑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개월령 내지 4개월령의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복강내 투여, 근육내 투여, 복막내 투여, 정맥내 투여, 피하 내 투여, 경구 투여, 비강 투여, 경막 외 투여, 국소 투여 또는 침지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양태로, 수탁번호 KCTC 18984P로 기탁된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5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6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및 수탁번호 KCTC 18987P로 기탁된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 를 포함하는, 고양이의 범백혈구감소증, 칼리시감염증 또는 허피스감염증 예방 또는 경감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양이의 범백혈구감소증, 칼리시감염증 또는 허피스감염증은 각각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 또는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4종의 변이주를 포함하는 혼합 백신 조성물을 4개월령의 고양이에게 1차 및 2차로 접종하고 2차 접종 2주차에 ATCC에서 구입한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 및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를 공격 접종한 뒤 임상증상을 확인한 결과, 실험 고양이 모두 상기 바이러스 감염의 전형적인 증상인 설사나 비루, 구내염, 눈물 등의 증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임상관찰 실시 15일째에 부검한 후 육안적 부검소견을 확인한 결과 소장, 구강, 혀, 폐 등에 특이한 소견을 나타내지 않고 모두 정상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구토, 탈수, 발열, 황달, 설사, 궤양, 장염, 비루, 안루, 구내염, 결막염, 피부염, 비염, 콧물, 기침, 재채기, 설염, 침울, 식욕저하 및 체중감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임상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어 상기 범백혈구감소증, 칼리시감염증 또는 허피스감염증에 대한 예방 또는 증상의 경감, 치료에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당해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감염된 바이러스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수 있다. 또한,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에 순차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바이러스 감염병의 예방, 증상의 경감 또는 치료를 위해 단독으로 또는 수술 등의 외과적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양태로, 수탁번호 KCTC 18984P로 기탁된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5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6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및 수탁번호 KCTC 18987P로 기탁된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 를 포함하는, 고양이의 범백혈구감소증, 칼리시감염증 또는 허피스감염증 예방 또는 경감용 사료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제는 포유동물에게 꾸준히 급이할 경우 국내에서 순환하고 있는 고양이 범밸혈구감소증 바이러스,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 또는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병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4종의 변이주로 구성되는 바이러스 균주를 혼합배양한 조성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종래 공지된 사료 또는 사료 첨가제와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공지된 사료 또는 사료 첨가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부형제, 영양제, 방부제, 보존제, 항생제, 비타민 등의 미량 영양성분 등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첨가하는 함량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임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제는 종래의 사료 또는 사료첨가제와 순차적 또는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4종 바이러스주의 분리
1-1.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FPV) 1종의 분리
국내에서 유행하는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를 분리하기 위하여,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질병진단과에 질병진단을 위하여 의뢰된 시료 중에서 고양이의 소장 시료 60개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시료 1 g을 유발에 넣고, 0.5 g의 바다 모래 (sea sand)를 혼합하여 유제하였다. 이 유제액에 세포배양배지 (D-MEM) 5 ㎖를 넣어 10%의 조직 유제액을 만들고, 강렬하게 혼합한 다음 3,000 rpm에서 15분 원심 분리하였다. 시료의 상층액을 0.45 ㎛의 필터 디스크(filter disk)를 통과시켜 세균을 제거하였다. CRFK 세포(ATCC, CCL94)가 준비된 6 well plate를 인산완충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pH 7.2)으로 2회 세척한 후 시료 100 ㎕를 접종하고, 배지 2 ㎖를 추가하였다. 접종 후 1 시간을 배양하고, 접종 시료를 제거한 후 10% FBS가 함유된 신선한 배지 5 ㎖를 각 well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37℃ 이산화탄소 배양기에 넣고 7일 동안 배양하면서 현미경으로 날마다 관찰하였다. 60개의 시료에서 8개의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를 분리하고 그 중에서 높은 증식성을 나타내는 바이러스 1주를 선발하여 FPV19D01로 명명하였다.
1-2.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FCV) 2종의 분리
국내에서 유행하는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를 분리하기 위하여,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질병진단과에 질병진단을 위하여 의뢰된 고양이의 조직에서 시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시료로부터 상기 실시예 1-1의 바이러스 분리와 동일한 방법으로 칼리시 바이러스 5주를 분리하고 그 중에서 증식성이 좋은 2주를 선발하여 FCV17D03 및 FCV17D283로 명명하였다.
1-3.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FHV) 1종의 분리
국내에서 유행하는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를 분리하기 위하여, 2019년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질병진단과에 질병진단을 위하여 의뢰된 고양이의 조직에서 시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시료로부터 상기 실시예 1-1의 바이러스 분리와 동일한 방법으로 허피스 바이러스 2주를 분리하고 그 중에서 증식성이 좋은 1주를 선발하여 FHV191071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2. 4종 바이러스주의 계대 및 동정
2-1. 4종 바이러스주의 계대배양
CRFK 세포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분리한 FPV19D01, FCV17D03, FCV17D283 및 FHV191071 분리주를 계대배양하였다.
계대 시 자외선 조사를 동반하여 변이를 유도하였다. 자외선 조사는 바이러스의 DNA나 RNA에 영향을 미치는데 염기서열 중에서 티민(thymine)이 두개 연속적으로 있는 경우 자외선에 노출하면 티민의 이량체(dimer)를 형성하여 다음 단계에 증식을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살바이러스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자외선 노출의 적정 시간을 확인하였다.
하기 표 1을 살펴보면, FPV19D01 주는 자외선에 30초 및 60초 노출시켰을 때 바이러스의 함량이 약 10배씩 감소하고 FCV17D03주 및 FCV17D283 주는 자외선에 60초 노출시켰을 때 바이러스의 함량이 약 10배 감소하고, FHV191071 주는 자외선에 60초 노출하였을 때 약 100배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러스 함량(TCID50/mL)
자외선노출
시간 (초)
FPV19D01 FCV17D03 FCV17D283 FHV191071
0 7.5 9 8.9 8.5
30 6.3 8.6 8.6 7.5
60 5.5 8 7.9 6.5
따라서 자외선 노출 시간을 30초로 하여 각 분리주를 10-1부터 10-5까지 희석하여 6 well plate에서 계대배양하였다. 20대 계대까지는 CRFK 세포에서 10진 희석하여 최종 희석배수에서 세포변성효과(CPE)를 나타내는 well에서 상층액을 수집하고, 이후 21대부터 생물안전 캐비닛의 자외선 램프에 30초 노출시킨 후 10진 희석하여 바이러스를 증식시키고 CPE가 나타나는 최종 희석배수를 연속계대하였다.
구체적으로, FPV19D01주는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의 특성상 활발하게 증식하고 있는 세포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CRFK 세포와 동시에 접종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자외선 노출한 21대부터 최종 70대까지 연속계대하고 이 변이주를 FPV19D01-70P로 명명하였다.
FCV17D03주 및 FCV17D283주는 칼리시 바이러스의 특성상 짧은 시간에 증식이 잘 되기 때문에 CRFK 세포를 1일 전에 준비하고 다음 날 분리주를 접종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자외선 노출한 21대부터 최종 50대 및 80대까지 연속계대하고 각각의 변이주를 FCV17D03-50P 및 FCV17D283-80P로 명명하였다.
FHV191071주 또한 허피스 바이러스의 특성상 짧은 시간에 증식이 잘 되기 때문에 CRFK 세포를 1일 전에 준비하고 다음 날 분리주를 접종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자외선 노출한 21대부터 최종 100대까지 연속계대하고 이 변이주를 FHV191071-100P로 명명하였다.
상기 계대별 구체적인 처리내용을 표 2에 나타냈다.
계대수 계대세포 처리내용 접종 바이러스 계대 후 바이러스
1-20 CRFK cell -
21-70 CRFK cell UV 30초 노출 후 계대 FPV19D01 FPV19D01-70P
21-50 CRFK cell UV 30초 노출 후 계대 FCV17D03 FCV17D03-50P
21-80 CRFK cell UV 30초 노출 후 계대 FCV17D283 FCV17D283-80P
21-100 CRFK cell UV 30초 노출 후 계대 FHV191071 FHV191071-100P
2-2. FPV19D01-70P 변이주의 서열변이 분석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의 주요 면역원성 단백질인 VP2(Viral capsid peptide-2)의 아미노산 확인을 위해 표 3의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실시예 2-1에서 FPV19D01주를 70대 계대한 FPV19D01-70P 변이주의 유전자를 증폭하고 pGEM-T easy vector에 클로닝하여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냈다.
도 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FPV19D01-70P 변이주는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한 유전자 증폭에서 예상된 크기의 DNA를 나타내어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에 속한 것을 확인하였다. VP2 유전자를 2008년도에 분리하여 보고한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KS42주)와 상동성을 확인한 결과 염기서열의 상동성은 99.5%(1747/1755), 아미노산 상동성은 99.3%(581/585)으로 확인되었다.
도 1b를 살펴보면, FPV19D01주는 70대 계대 후에 VP2 단백질에서 3개의 아미노산의 변이가 일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FPV19D01-1P주의 VP2 아미노산 서열 중 101번째 아미노산인 트레오닌(T), 231번째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N), 562번 아미노산인 발린(V)이 FPV19D01-70P 변이주에서는 각각 이소류신(I), 이소류신(I) 및 류신(L)으로 변이된 것을 확인되었다. 상기 FPV19D01-70P 변이주의 VP2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 이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2로 표시하였다.
2-3. FCV17D03-50P 변이주 및 FCV17D283-80P 변이주의 서열변이 분석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의 주요 면역원성 단백질인 VP1(Viral capsid peptide-1)의 아미노산 확인을 위해 표 4의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실시예 2-1에서 FCV17D03주를 50대 계대한 FCV17D03-50P 및 80대 계대한 FCV17D283-80P의 유전자를 증폭하고 pGEM-T easy vector에 클로닝하여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냈다.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FCV17D03-50P 변이주 및 FCV17D283-80P 변이주는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한 유전자 증폭에서 예상된 크기의 DNA를 나타내어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에 속한 것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백신주로 보고한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 F9주와 상동성을 확인한 결과 FCV17D03-50P 변이주 VP1의 염기서열 상동성은 76.3% (1532/2007), 아미노산 상동성은 86.7%(581/670)으로 확인되었고, FCV17D283-80P 변이주 VP1의 염기서열 상동성은 75.8% (1525/2010), 아미노산 상동성은 84.3%(565/670)으로 확인되었다.
도 2b를 살펴보면, FCV17D03주는 50대 계대 후 VP1 단백질에서 4개의 아미노산의 변이가 일어났으며 구체적으로 FCV17D03-1P주의 VP1 아미노산 서열 중 150번째 알라닌(A), 205번째 알라닌(A), 427번째 아스파라긴(N) 및 667번째 트레오닌(T)이 FCV17D03-50P 변이주에서는 각각 발린(V), 트레오닌(T), 아스파르트산(D), 이소류신(I)으로 변이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FCV17D03-50P 변이주의 VP1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3, 이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4로 표시하였다.
또한 도 2c를 살펴보면, FCV17D03주는 80대 계대 후 VP1 단백질에서 15개의 아미노산의 변이가 일어났으며 FCV17D03-1P주의 VP1 아미노산 서열 중 48번째 타이로신(Y), 241번째 메티오닌(M), 245번째 아르기닌(R), 246번째 글리신(G), 249번째 발린(V), 252번째 시스테인(C), 268번째 알리닌(A), 273번째 글리신(G), 280번째 발린(V), 285번째 알라닌(A), 406번째 이소류신(I), 435번째 아스파라긴(N), 441번째 류신(L), 497번째 아스파라긴(N), 519번째 트레오닌(T)이 FCV17D283-80P 변이주에서는 각각 시스테인(C), 이소류신(I), 글루타민(Q), 세린(S), 메티오닌(M), 타이로신(Y), 트레오닌(T), 아르기닌(R), 메티오닌(M), 트레오닌(T), 발린(V), 아스파르트산(D), 발린(V), 아스파르트산(D), 글루탐산(E)으로 변이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FCV17D283-80P 변이주의 VP1 유전자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5, 이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6으로 표시하였다.
2-4. FHV191071-100P 변이주의 서열변이 분석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 최초 분리주 FHV191071주와 이를 100대 계대한 FHV191071-100P 변이주의 전체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하기 위해 FHV191071-1P주 및 FHV191071-100P 변이주의 DNA를 추출하여 ㈜세니젠에 whole genome sequence 서비스를 의뢰하였다. 구체적으로 gB 및 gD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비교하기 위하여, 표 5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FHV191071-100P 변이주의 유전자를 증폭하고, pGEM-T easy vector에 클로닝하여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냈다.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FHV191071-100P 변이주는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한 유전자 증폭에서 예상된 크기의 DNA를 나타내어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에 속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FHV191071-100P 변이주의 gD 및 gB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FHV191071-1P주의 유전자와 상동성을 확인한 결과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의 상동성은 100% 로 확인되어, gD 및 gB 이외의 유전자에서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체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도 3b를 살펴보면, 상기 FHV191071-100P 변이주의 전체 유전자 염기서열은 115,741bp를 확인할 수 있다. FHV191071-1P주와 비교하였을 때 FHV191071-100P 변이주 전체 유전자 중에서 중간 반복 염기서열 (inter repeat sequence: IRS)부위 중 106,271부터 115개의 염기가 삽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c에서 보는 것과 같이 중간 보완 4 유전자 (inter complement 4 gene)에서 25개의 염기가 결손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FHV191071-100P 변이주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서열번호 7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3. 4종 바이러스 변이주의 증식능 평가
3-1. FPV19D01-70P 변이주의 증식능 확인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의 최초 분리주 FPV19D01-1P주와 FPV19D01-70P 변이주의 증식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각각의 바이러스를 25㎠의 플라스크에서 CRFK 세포와 동시에 감염시키고 접종 후 5일 후에 수확한 후 측정한 FPV19D01-1P주 및 FPV19D01-70P 변이주의 바이러스 함량을 도 4에 나타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FPV19D01-1P주는 106.0 TCID50/㎖, FPV19D01-70P주는 107.8 TCID50/㎖의 바이러스 검출을 나타내어, FPV19D01-70P 변이주가 CRFK 세포에서 높은 함량의 바이러스를 나타내었다.
3-2. FCV17D03-50P 변이주 및 FCV17D283-80P 변이주의 교차중화시험 및 증식능 확인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에서 분리, 계대한 2종의 FCV17D03-50P 변이주 및 FCV17D283-80P 변이주는 서로 VP1의 염기서열 상동성은 76.5%(1538/2010), 아미노산 서열의 상동성은 85.9%(576/670)로 상당히 큰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유전적 상동성 차이가 혈청학적 차이로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FCV17D03-50P 변이주와 FCV17D283-80P 변이주를 이용하여 단일 불활화 백신을 각각 준비하였다. 6주령 마우스 4두에 FCV17D03-50P 변이주 및 FCV17D283-80P 변이주의 불활화 백신을 각각 2주 간격으로 2회 0.2 ml씩 근육으로 접종하고, 2차 접종 2주 후에 채혈한 후 중화시험을 실시하였다.
하기 표 6을 참고하면, FCV17D03-50P 변이주의 불활화 백신을 접종한 마우스는 FCV17D03-50P 변이주에 대하여 111.4배 (26.8)의 중화항체가를 나타냈으나, FCV17D289-80P 변이주에 대하여 중화항체가는 0배를 나타내었다. 반대로 FCV17D283-80P 변이주의 불활화 백신을 접종한 마우스는 FCV17D03-50P 변이주에 대해서는 0배의 중화항체가를 나타낸 반면, 17D283-80P 변이주에 대하여 157.6배 (27.3)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2종의 칼리시 바이러스에 대한 교차중화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고양이에서 칼리시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을 위하여 2종의 칼리시 바이러스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FCV17D03-50P 변이주 및 FCV17D283-80P 변이주와 최초 분리주 FCV17D03-1P주 및 FCV17D283-1P주의 증식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바이러스를 25㎠의 플라스크에서 준비한 CRFK 세포에 감염시키고 접종 후 2일 후에 수확하여 바이러스 함량을 확인하였다.
FCV17D03-1P주, FCV17D283-1P주, FCV17D03-50P 변이주 및 FCV17D283-80P 변이주의 바이러스 함량을 나타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리주 FCV17D03-1P주 및 FCV17D283-1P주는 각각 107.0 TCID50/㎖ 및 107.2 TCID50/㎖을 나타내고, FCV17D03-50P 변이주 및 FCV17D283-80P 변이주는 108.0 TCID50/㎖의 바이러스 검출을 나타내어, 최초 분리주 대비 변이주의 증식능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3. FHV191071-100P 변이주의 증식능 확인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의 최초 분리주 FHV191071-1P주 및 100대 계대한 FHV191071-100P 변이주의 증식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25㎠의 플라스크에 CRFK 세포를 준비한 후 FHV191071-1P주 및 FHV191071-100P 변이주를 각각 감염시키고, 접종 후 2일째에 수확하여 바이러스 함량을 확인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FHV191071-1P주 및 FHV191071-100P 변이주 각각 108.5 TCID50/㎖의 바이러스 검출을 나타내어 증식성에 변화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4종 변이주 혼합 백신 및 면역원성 평가
4-1. 4종 변이주 혼합 백신 제조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1종(FPV19D01-70P 변이주),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 2종(FCV17D03-50P 변이주 및 FCV17D283-80P 변이주) 및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 1종(FHV191071-100P 변이주)을 혼합한 백신의 제조에 앞서 불활화 단계를 거쳤다.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및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에 대해서는 포르말린을 0.15%가 되도록 37℃에서 48시간을 배양하고,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에 대해서는 포르말린 농도를 0.2%로 조정하여 첨가하였고 37℃에서 60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1 ㎖를 투석막에 넣고 PBS로 24시간 투석하였다.
투석한 바이러스들이 불활화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준비된 CRFK 세포에 0.1 ml씩 접종하고 5일간 배양한 결과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4종의 바이러스 변이주는 특이적인 세포 변성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세포를 고정하여 4종의 특이적인 항체를 이용하여 염색하였을 때 형광이 나타나지 않아 불활성화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불활화된 4종의 FPV19D01-70P 변이주, FCV17D03-50P 변이주, FCV17D283-80P 변이주 및 FHV191071-100 변이주를 항원으로 하고 2종의 애쥬번트, 카보폴(Carbopol 974 PNF polymer) 및 리하이드로겔(Rehydragel)을 이용하여 시험백신을 제조하였다.
애쥬번트로 카보폴을 이용한 경우, 카보폴 2 g을 증류수 94 ml에 넣고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70℃까지 상승시켜 완전히 녹였다. 이때 1 N NaOH 6 ml를 넣고 중화시켜서 겔을 형성시켰다. 이렇게 제작한 카보폴은 20 mg/ml에 해당하며 멸균시킨 후 상온에 준비한 다음, 카보폴:FPV19D01-70P 변이주:FCV17D03-50P 변이주:FCV17D283-80P 변이주:FHV191071-100 변이주 항원을 각각 10:40:15:15:20(%v/v)로 혼합하여 카보폴의 최종 농도가 2 mg/ml이 되도록 시험 혼합 백신을 제조하였다.
애쥬번트로 리하이드로겔을 함유한 시험백신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겔(Aluminum hydroxide gel; Rehydragel LV, CHEMTRADE LOGISTICS) 10% 를 준비하여,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겔:FPV19D01-70P 변이주:FCV17D03-50P 변이주: FCV17D283-80P 변이주:FHV191071-100P 변이주 항원을 각각 10:40:15:15:20(%v/v)로 혼합하여 시험 혼합 백신을 제조하였다.
4-2. 애쥬번트에 따른 항체가 확인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카보폴을 함유하는 시험 혼합 백신 및 리하이드로겔을 함유하는 시험 혼합 백신을 각각 마우스 5두에 0.5 ml씩 1차 근육 접종 후 2주 뒤에 동일한 양을 2차 근육 접종하였다. 2차 접종 2주 후에 마우스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4종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를 검사하였다. 항체가는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마우스와 비교하였다.
도 7을 살펴보면 리하이드로겔을 함유한 시험 혼합 백신을 접종한 마우스 혈청에서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FPV19D01주에 대한 혈구응집억제가는 10*24.6 (242배), 칼리시 바이러스 FCV17D03주에 대해서는 27.6 (194배), 칼리시 바이러스 FCV17D28주에 대해서는 27.5 (181배), 허피스 바이러스 FHV191071주에 대해서는 21.3 (2.5배)의 항체가를 나타내었다.
카보폴을 함유한 시험 혼합 백신을 접종한 마우스 혈청에서는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FPV19D01주에 대한 혈구응집억제가는 10*23.5 (113배), 칼리시 바이러스 FCV17D03주에 대하여는 27.4 (168.9배), 칼리시 바이러스 FCV17D28주에 대하여는 28.0 (256배), 허피스 바이러스 FHV191071주에 대하여는 22.4 (5.3배)의 항체가를 나타내었다.
추가로, 상기 카보폴을 함유하는 시험 혼합 백신 및 리하이드로겔을 함유하는 시험 혼합 백신을 각각 기니픽 5두에 1 ml씩 1차 근육 접종 후 2주 뒤에 동일한 양을 2차 근육 접종하고 2차 접종 2주 후에 3차 접종을 실시하였다. 그 다음 접종 전, 1차 접종 2주차, 2차 접종 2주차, 2차 접종 4주차 및 3차 접종 2주차에 기니픽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4종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를 검사하였다. 백신 미접종 대조군으로부터 채혈한 기니픽 혈청과 함께 비교하였다.
도 8을 살펴보면 리하이드로겔을 함유한 시험 혼합 백신을 접종한 기니픽 혈청에서 범백혈구감소증 FPV19D01주에 대한 혈구응집억제가는 2차 접종 2주차(x축 4), 2차 접종 4주차(x축 6) 및 3차 접종 2주차(x축 8)에 각각 10*25.6 (485배), 10*26.0 (640배) 및 10*26.4 (844.5배)로 상승하였다. 또한 카보폴을 함유한 시험 혼합 백신을 접종한 기니픽 혈청에서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FPV19D01주에 대한 혈구응집억제가는 2차 접종 2주차(x축 4), 2차 접종 4주차(x축 6) 및 3차 접종 2주차(x축 8)에 각각 10*26.4 (844배), 10*26.0 (640배) 및 10*26.8 (1,114배)로 상승하였다.
도 9a를 살펴보면 칼리시 바이러스 FCV17D03주에 대해서는 리하이드로겔을 함유한 시험 혼합 백신을 접종한 기니픽 혈청에서는 2차 접종 2주차(x축 4), 2차 접종 4주차(x축 6) 및 3차 접종 2주차(x축 8)에 각각 10*26.4 (84.4배), 10*25.2 (36.7배) 및 10*27.0 (128배)의 항체가를 나타냈고, 카보폴을 함유한 시험 혼합 백신을 접종한 기니픽 혈청에서는 2차 접종 2주차(x축 4), 2차 접종 4주차(x축 6) 및 3차 접종 2주차(x축 8)에 각각 10*25.2 (36.7배), 10*25.6 (48.5배) 및 10*27.5 (181배)의 항체가로 상승하였다.
도 9b를 살펴보면 칼리시 바이러스 FCV17D28주에 대해서는 리하이드로겔을 함유한 시험 혼합 백신을 접종한 기니픽 혈청에서는 2차 접종 2주차(x축 4), 2차 접종 4주차(x축 6) 및 3차 접종 2주차(x축 8)에 각각 10*23.6 (12.1배), 10*25.2 (36.7배) 및 10*26.0 (64배)의 항체가를 나타냈고, 카보폴을 함유한 시험 혼합 백신을 접종한 기니픽 혈청에서는 2차 접종 2주차(x축 4), 2차 접종 4주차(x축 6) 및 3차 접종 2주차(x축 8)에 각각 10*26.4 (84.5배), 10*25.8 (55.7배) 및 10*27.4 (168.9배)의 항체가로 상승하였다.
도 10을 살펴보면 허피스 바이러스 FHV191071주에 대해서는 리하이드로겔을 함유한 시험 혼합 백신을 접종한 기니픽 혈청에서는 2차 접종 2주차(x축 4), 2차 접종 4주차(x축 6) 및 3차 접종 2주차(x축 8)에 각각 10*21.2 (2.3배), 10*20.6 (1.5배) 및 10*22.6 (6.1배)의 항체가를 나타냈고, 카보폴을 함유한 시험 혼합 백신을 접종한 기니픽 혈청에서는 2차 접종 2주차(x축 4), 2차 접종 4주차(x축 6) 및 3차 접종 2주차(x축 8)에 각각 10*20.4 (1.3배), 10*20.4 (1.3배) 및 10*24.0 (16배)의 항체가로 상승하였다.
4-3. 4종 변이주 혼합 백신의 면역원성 평가
실시예 4-2를 통해 4종의 바이러스에 대해 항체가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카보폴을 함유하는 시험 혼합 백신을 선발하고 상기 혼합 백신의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칼리시 바이러스 및 허피스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원성을 평가하였다.
4 개월령 고양이 6두에 1 ml씩 1차로 피하 접종하고 2주 후에 2차 피하 접종을 실시하였다. 2차 접종 시행 후 42일간 임상을 관찰한 결과는 특이소견 없이 정상을 나타냈다. 접종 전(0, 파란색), 2차 접종 2주차(4, 주황색), 2차 접종 4주차(6, 검은색)에 혈액을 채취하였고, 수득한 혈청에서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에 대하여는 혈구응집억제가(도 11)를 측정하고, 2종의 칼리시 바이러스 및 허피스 바이러스에 대하여는 중화시험(도 12 및 도 13)을 수행하였다.
도 11을 살펴보면, 2차 접종 4주차(6, 검은색)의 혈청은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FPV19D01주에 대한 혈구응집억제가가 10*25.3 (393.9배)의 항체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12a 및 도 12b를 살펴보면 2차 접종 4주차(6, 검은색)의 혈청은 칼리시 바이러스 FCV17D03주 및 FCV17D283주에 대한 중화항체가가 각각 26.0 (55.7배), 27.7 (207.9배)로 나타났고,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2차 접종 4주차(6, 검은색)의 혈청은 허피스 바이러스 FHV191071주에 대한 중화항체가는 21.8(3.5배)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FPV19D01-70P 변이주, 칼리시 바이러스의 FCV17D03-50P 변이주 및 FCV17D283-80P 변이주 그리고 허피스 바이러스 FHV191071-100P 변이주 4종의 항원을 이용한 불활화 혼합 백신을 고양이에 접종하였을 경우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 또는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에 대해 중화항체를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4. 4종 변이주 혼합 백신의 접종 효능평가
실시예 4-3에서 카보폴을 함유하는 시험 혼합 백신을 2회 접종한 고양이 6두 중 1두는 백신접종에 따른 육안적 부검소견을 확인하기 위하여 부검하였다. 육안적 소견으로 소장, 폐, 간 등 모든 장기에서 정상을 나타내었다.
상기 고양이 6두 중 5두에 대하여는 2차 접종 후 2주차에 미국의 미생물 및 세포 은행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에서 구입한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ATCC VR-648),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ATCC VR-782) 및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ATCC VR-636)를 각각 107.3 TCID50/㎖ 함량으로 공격 접종하였다.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는 경구로, 칼리시 바이러스와 허피스 바이러스는 비강으로 0.5 ml씩 각각 투여하고 14일간 임상증상을 확인한 결과를 표 8에 나타냈다.
바이러스 관찰항목 공격 접종 후 임상증상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범백혈구
감소증
바이러스
(5두)
폐사 N N N N N N N N N N N N N N
침울 N N N N N N N N N N N N N N
구토 N N N N N N N N N N N N N N
탈수 N N N N N N N N N N N N N N
설사 N N N N N N N N N N N N N N
체중감소 N N N N N N N N N N N N N N
식욕저하 N N N N N N N N N N N N N N

칼리시
바이러스
(5두)
폐사 N N N N N N N N N N N N N N
침울 N N N N N N N N N N N N N N
궤양 N N N N N N N N N N N N N N
비루 N N N N N N N N N N N N N N
안루 N N N N N N N N N N N N N N
구내염 N N N N N N N N N N N N N N
식욕저하 N N N N N N N N N N N N N N
허피스
바이러스
(5두)
폐사 N N N N N N N N N N N N N N
침울 N N N N N N N N N N N N N N
설염 N N N N N N N N N N N N N N
비루 N N N N N N N N N N N N N N
기침 N N N N N N N N N N N N N N
재채기 N N N N N N N N N N N N N N
안루 N N N N N N N N N N N N N N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4종 변이주 혼합 백신을 접종한 고양이 5두는 모두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칼리시 바이러스, 허피스 바이러스 감염의 전형적인 증상인 설사나 비루, 구내염, 눈물 등의 증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공격 접종 후 14일까지 임상관찰을 실시하고 15일째에 모두 부검을 실시하였을 때 육안적 부검소견을 확인한 결과 소장, 구강, 혀, 폐 등에 특이한 소견을 나타내지 않고 모두 정상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 KCTC18984P 2022031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 KCTC18985P 2022031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 KCTC18986P 2022031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 KCTC18987P 20220315

Claims (20)

  1. 수탁번호 KCTC 18984P로 기탁된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5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6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및 수탁번호 KCTC 18987P로 기탁된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 를 포함하는,
    고양이의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칼리시 바이러스 또는 허피스 바이러스 예방용 혼합 백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탁번호 KCTC 18984P로 기탁된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혼합 백신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탁번호 KCTC 18984P로 기탁된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101번째 아미노산이 이소류신(I), 231번째 아미노산이 이소류신(I) 및 562번 아미노산이 류신(L)인 것인, 혼합 백신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탁번호 KCTC 18985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는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수탁번호 KCTC 18986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는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혼합 백신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탁번호 KCTC 18985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는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150번째 아미노산이 발린(V), 205번째 아미노산이 트레오닌(T), 427번째 아미노산이 아스파르트산(D) 및 667번째 아미노산이 이소류신(I)인 것인, 혼합 백신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탁번호 KCTC 18986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는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48번째 아미노산이 시스테인(C), 241번째 아미노산이 이소류신(I), 245번째 아미노산이 글루타민(Q), 246번째 아미노산이 세린(S), 249번째 아미노산이 메티오닌(M), 252번째 아미노산이 타이로신(Y), 268번째 아미노산이 트레오닌(T), 273번째 아미노산이 아르기닌(R), 280번째 아미노산이 메티오닌(M), 285번째 아미노산이 트레오닌(T), 406번째 아미노산이 발린(V), 435번째 아미노산이 아스파르트산(D), 441번째 아미노산이 발린(V), 497번째 아미노산이 아스파르트산(D), 519번째 아미노산이 글루탐산(E)인 것인, 혼합 백신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탁번호 KCTC 18987P로 기탁된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는 서열번호 7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혼합 백신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주는 모두 계대 배양 시 20 내지 60초 동안 자외선(UV)에 노출된 것인, 혼합 백신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주는 모두 불활화된 것인, 혼합 백신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수탁번호 KCTC 18984P로 기탁된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 : 수탁번호 KCTC 18985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 수탁번호 KCTC 18986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 수탁번호 KCTC 18987P로 기탁된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는 4 : 1.5 : 1.5 : 2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인, 혼합 백신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애주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혼합 백신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애주번트는 리하이드로겔(Rehydragel), IMS1313, 몬타나이드 01 겔(Montanide 01 gel), ISA206, ISA70 및 카보폴(Carbopol 974 PNF 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혼합 백신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애주번트는 혼합 백신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w/v)%로 포함되는 것인, 혼합 백신 조성물.
  14. 수탁번호 KCTC 18984P로 기탁된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5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6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및 수탁번호 KCTC 18987P로 기탁된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 를 포함하는,
    고양이의 범백혈구감소증, 칼리시감염증 또는 허피스감염증 예방 또는 경감용 약학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구토, 탈수, 발열, 설사, 궤양, 장염, 비루, 안루, 구내염, 결막염, 피부염, 비염, 콧물, 기침, 재채기, 설염, 침울, 식욕저하, 및 체중감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임상증상을 경감시키는 것인, 약학 조성물.
  16. 수탁번호 KCTC 18984P로 기탁된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5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6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및 수탁번호 KCTC 18987P로 기탁된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 를 포함하는,
    고양이의 범백혈구감소증, 칼리시감염증 또는 허피스감염증 예방 또는 경감용 사료 조성물.
  17. 수탁번호 KCTC 18984P로 기탁된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5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수탁번호 KCTC 18986P로 기탁된 칼리시 바이러스 변이주; 및 수탁번호 KCTC 18987P로 기탁된 허피스 바이러스 변이주; 를 포함하는,
    고양이의 범백혈구감소증, 칼리시감염증 또는 허피스감염증 예방 또는 경감용 사료 첨가제.
  18. 제1항의 혼합 백신 조성물을 고양이과 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양이의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칼리시 바이러스 또는 허피스 바이러스 예방접종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복강내 투여, 근육내 투여, 경구 투여, 비강 투여, 피하 투여, 국소 투여 또는 침지 투여인 것인, 예방접종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양이과 동물은 2개월령 내지 4개월령의 고양이인 것인, 예방접종 방법.
KR1020220086649A 2022-07-14 2022-07-14 고양이 바이러스 감염 질병의 예방 또는 경감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40010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649A KR20240010589A (ko) 2022-07-14 2022-07-14 고양이 바이러스 감염 질병의 예방 또는 경감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649A KR20240010589A (ko) 2022-07-14 2022-07-14 고양이 바이러스 감염 질병의 예방 또는 경감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589A true KR20240010589A (ko) 2024-01-24

Family

ID=89717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649A KR20240010589A (ko) 2022-07-14 2022-07-14 고양이 바이러스 감염 질병의 예방 또는 경감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05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62286B (zh) 猪伪狂犬病病毒基因缺失株、疫苗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Sedeik et al. Comparative efficacy of commercial inactivated Newcastle disease virus vaccines against Newcastle disease virus genotype VII in broiler chickens
KR0171434B1 (ko) 인체 로타바이러스, 백신 및 방법
US20220088187A1 (en) Recombinant non-pathogenic marek's disease virus constructs encoding multiple heterologous antigens
CN105018433B (zh) 猪伪狂犬病病毒基因缺失株、疫苗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240123057A1 (en) Recombinant Non-Pathogenic Marek's Disease Virus Constructs Encoding Infectious Laryngotracheitis Virus and Infectious Bursal Disease Virus Antigens
CN102221618B (zh) 猪瘟兔化弱毒标记疫苗毒株的构建及疫苗的制备方法
CN102727884A (zh) 猪繁殖与呼吸综合征、伪狂犬病二联活疫苗及其制备方法
CN113943714A (zh) 一种猫杯状病毒毒株及其应用
CN107828741B (zh) 伪狂犬病病毒双基因缺失弱毒株及其应用
CN113073083B (zh) 犬细小病毒弱毒株、及其制备的疫苗组合物和应用
CN105802921B (zh) 表达猪瘟病毒e2蛋白的重组伪狂犬病病毒变异株及其构建方法和应用
EP3960850A1 (en) Attenuated african swine fever virus with deleted gene and use of same as vaccine
KR102365045B1 (ko) 부유세포 배양에 적응된 O/ME-SA/Ind-2001 유전형 구제역 바이러스 백신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10589A (ko) 고양이 바이러스 감염 질병의 예방 또는 경감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9068905A2 (en) FELINE VACCINES CONFERRING EARLY PROTECTION
WO2014167582A2 (en) Vaccine composition for prophylaxis in ruminants
CN114921422A (zh) 一种犬源猫细小病毒分离株及其应用
JP5946453B2 (ja) 変異狂犬病ウイルス及びワクチン
KR100790801B1 (ko) 동물용 불활화 백신의 제조방법
WO2020115329A1 (en) A recombinant koi herpesvirus (khv) and a diva vaccine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a disease caused by khv
KR102365039B1 (ko) 부유세포 배양에 적응된 A/ASIA/Sea-97 유전형 구제역 바이러스 백신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6435B1 (ko) 신규한 가금 아데노바이러스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 아데노바이러스 다가백신
CN116286679B (zh) 一株经分离得到的猪流行性腹泻病毒变异株及其应用
KR102091372B1 (ko) 엔테로바이러스 71형 불활화 백신 및 이의 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