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342A - 음료용기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342A
KR20240010342A KR1020220087788A KR20220087788A KR20240010342A KR 20240010342 A KR20240010342 A KR 20240010342A KR 1020220087788 A KR1020220087788 A KR 1020220087788A KR 20220087788 A KR20220087788 A KR 20220087788A KR 20240010342 A KR20240010342 A KR 20240010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cooling
beverage
cooling device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구환
Original Assignee
지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구환 filed Critical 지구환
Priority to KR1020220087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0342A/ko
Publication of KR20240010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34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8Drinking gl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1Carbonators with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와 음료용기를 냉각시켜 적정 온도로 공급할 수 있는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복수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하단에 형성되며,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냉각부의 상단에서 음료용기를 냉각시키며, 냉각된 음료용기에 음료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음료의 첨가물이 투입되는 첨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음료용기 냉각 장치{Cooling Apparatus of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와 음료용기를 냉각시켜 적정 온도로 공급할 수 있는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일정 크기를 갖는 지지판체; 상기 지지판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체 위에 올려진 컵에 담긴 음료를 냉각하는 냉각소자; 상기 지지판체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판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상기 지지판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체 위에 올려진 상기 컵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판체 위에 상기 컵이 올려짐으로써 출력되는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받아 상기 냉각소자 및 상기 승강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병을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를 꽂아 급속 냉각시키는 냉각기 거치대로 이루어지며, 냉각기는 상부가 개방되어 다양한 크기의 병을 끼울 수 있는 넓은 병수용부를 형성한 원통형상의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벽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냉매팩과, 개방된 외통의 상단부에 나사식 고정캡으로 설치되는 냉기차단판을 포함하고, 냉각기 거치대는 열전도가 빠른 알루미늄 재질로서 일정한 길이를 가진 판체의 저면에 방열핀이 무수히 돌설되고 상면에는 상기 방열핀과 연통하는 공간부를 가진 냉각기의 병수용부가 꽂히는 다수개의 홀더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맥주 또는 음료수 캔을 순간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식음자가 맥주 또는 음료수를 바로 시원한 상태로 식음할 수 있도록 외벽의 안쪽은 음료용기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형성되고, 외벽과 음료용기 사이가 중공의 냉매흐름관으로 형성되며, 상단면 소정 위치에는 냉매배출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부에 있어 냉매를 보관하면서 몸체와 체결되어 냉매를 공급해 주는 냉매실과;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냉매실과 체결되도록 하고 냉매가 몸체로 유입되도록 냉매실의 분사노즐을 눌러주면서 음료용기를 지지해주는 분사체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급속냉각장치에 있어서, 음료용 용기를 올려놓는 단위플레이트와;상기 단위플레이트가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할 수 있도록 공간부를 갖으며 중앙으로 냉각봉이 관통하는 통공을 형성한 용기 삽입부의 하부의 외측으로 기어를 구비한 평판으로 이루어진 공전플레이트와; 상기 공전플레이트의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공전플레이트의 처짐 및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수단과; 상기 공전플레이트의 중앙을 관통하는 냉각봉이 일체로 구비되어 냉각봉과 일체로 형성되어 전극과 접지된 열교환판을 구비한 온도전달수단과; 상기 공전플레이트 저면과 열교환수단의 일면에 부착 설치되는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에 부착되면서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 설치되는 전극과; 상기 전극과 전극을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P형반도체금속 및 N형반도체금속과; 상기 용기의 온도 및 주변의 온도를 전달받아 이동파이프 내를 흐르는 냉매로 전달하는 열교환수단와; 이동파이프 내를 흐르는 냉매로 전달하는 열교환수단와; 상기 열교환수단을 통과하는 이동파이프에 의해 연결되며 응축기 및 팬이 부설된 라지에이터수단과; 상기 냉매를 이동파이프 내에 충입된 냉매를 저장 및 보충할 수 있는 냉매저장탱크와; 상기 냉매를 강제순환시키는 펌프 및 상기 각 부재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콘트롤박스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013-0133367 A (2013년12월09일) KR 10-2022-0030787 A (2022년03월11일) KR 20-0285175 Y1 (2002년07월30일) KR 10-2008-0057837 A (2008년06월25일)
본 발명은 음료와 음료용기를 냉각시켜 적정 온도로 공급할 수 있는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복수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하단에 형성되며,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부(200); 상기 냉각부(200)의 상단에서 음료용기를 냉각시키며, 냉각된 음료용기에 음료를 공급하는 공급부(300); 상기 공급부(300)의 상단에 형성되며, 음료의 첨가물이 투입되는 첨가부(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케이스(100); 냉각부(200); 공급부(300); 첨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되며,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140); 상기 프레임(140)의 외측에 형성되며, 내부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단열판(15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케이스(100); 냉각부(200); 공급부(300); 첨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되며, 음료 및 냉매의 온도 또는 용량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케이스(100); 냉각부(200); 공급부(300); 첨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냉각부(200)에 형성되며, 음료가 저장된 음료탱크(10)가 안착되는 안착판(210); 상기 안착판(210)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220); 상기 냉각장치(220)에 형성되며, 상기 공급부(300)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순환장치(2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케이스(100); 냉각부(200); 공급부(300); 첨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냉각장치(220)에 형성되며,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함체(221); 상기 냉각함체(221)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온기를 배출시키는 배출함체(222);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케이스(100); 냉각부(200); 공급부(300); 첨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공급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냉각부(200)에서 공급된 냉매에 음료용기가 수용되어 냉각되는 냉각챔버(310); 상기 냉각챔버(310)에서 슬라이딩되며, 냉매의 노출을 방지하는 보호장치(320); 상기 냉각챔버(3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음료가 공급되는 공급장치(3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케이스(100); 냉각부(200); 공급부(300); 첨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냉각챔버(310)에 형성되며, 음료용기가 삽입되는 삽입함체(311); 상기 삽입함체(311)에 형성되며, 냉매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12);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케이스(100); 냉각부(200); 공급부(300); 첨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보호장치(320)에 형성되며, 상기 음료용기가 수용되는 수용함체(321); 상기 수용함체(321)의 하단에 형성되며, 냉매의 상부에서 슬라이딩되는 이동판(322);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케이스(100); 냉각부(200); 공급부(300); 첨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공급장치(330)에 형성되며, 음료용기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공간(331); 상기 삽입공간(331)의 상부에 형성되며, 음료 및 첨가제가 공급되는 공급노즐(332);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케이스(100); 냉각부(200); 공급부(300); 첨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삽입공간의 하부에 형성되며, 음료용기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판(331a);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케이스(100); 냉각부(200); 공급부(300); 첨가부(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첨가부(400)에 형성되며, 복수의 첨가제가 각각 수용되는 카트리지(410); 상기 첨가부(4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410)의 하단이 체결되는 체결장치(4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음료용기를 급속으로 냉동하여 신속하게 음료를 적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냉매와 음료를 순환시켜 상시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가 모듈로 형성되어 사용 환경에 따라 공급장치의 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저온의 냉매에 의하여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장치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카트리지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종류의 카트리지를 간단히 음료에 혼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냉각챔버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급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모듈로 형성된 케이스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있어서, 복수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음료 및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부(200); 상기 냉각부(200)의 상단에서 음료용기를 냉각시키며, 냉각된 음료용기에 음료를 공급하는 공급부(300); 상기 공급부(300)의 상단에 형성되며, 음료의 첨가물이 투입되는 첨가부(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되며,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140);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40)의 외측에 형성되며, 내부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단열판(150);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1-3에 있어서, 음료는 알콜, 탄산음료, 쥬스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1-4에 있어서, 음료는 1 ℃로 냉각되고, 음료용기는 -30℃로 냉각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1-4에 있어서, 첨가물은 음료에 혼합되는 향신료, 분말, 탄산가스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맥주, 탄산음료, 쥬스와 같은 음료를 시원하게 마실 수 있도록 음료용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도 1을 참조하면, 맥주, 와인과 같은 알코올과 탄산음료, 주스 등을 적정 온도에서 시원하게 마실 수 있도록 컵, 병, 그릇 등의 음료용기를 급냉시키는 것으로 이동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100)가 형성된다. 이때, 케이스(100)는 수평과 수직으로 서로 조립 및 고정되어 형성되는 프레임(140)과 프레임(140)의 외측에 형성되는 단열판(150)이 형성된다. 단열판(150)은 프레임(140) 내부와 외부의 열교 현상을 차단하여 음료 및 음료용기를 냉각시키는 냉매의 온도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되는 단열판(150)은 내부의 장치들을 교환 및 수리하기 위하여 힌지에 의하여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하단에는 음료 및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부(200)가 형성되며, 냉각부(2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음료 및 냉매를 냉각시키나 본 발명에서는 공기를 응축, 증발시키는 과정을 통해 냉각시킨다.
그리고 냉각부(200)의 상단에는 공급부(300)가 형성되며, 공급부(300)는 냉각부(200)에서 냉각된 음료 및 냉매를 통해 음료용기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음료용기에 적정온도로 냉각된 음료를 공급한다. 이때, 냉각부(200)는 맥주 등의 음료는 1℃로 냉각하고, 음료용기는 -30℃로 냉각하여 음료용기에 음료가 공급되면 온도차에 의하여 살얼음이 발생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공급부(300)의 상단에는 음료에 혼합되어 다양한 맛 및 풍미를 발생시키는 향신료, 분말, 탄산가스 등을 첨가하는 첨가제가 저장 및 투입되는 첨가부(40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음료용기를 냉각시켜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적정 온도에서 시원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복수의 모듈로 형성되며, 서로 조립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냉각부(200)가 형성되는 제 1케이스(110); 상기 제 1케이스(110)와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급부(300)가 형성되는 제 2케이스(120); 상기 제 2케이스(120)와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첨가부(400)가 형성되는 제 3케이스(130);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케이스(100)와 결합되는 결합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1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케이스(100)는 지면에서 고정 및 이동하는 것으로 사용환경에 따라 음료 및 음료용기를 냉각 및 공급하는 수량에 따라 공급부(300)의 수량을 조절하도록 모듈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지면에 고정 및 이동하는 제 1케이스(110)가 형성되며, 제 1케이스(110)는 냉각부(200)가 형성되어 음료탱크(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안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케이스(110)의 상단에는 제 1케이스(110)와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 2케이스(120)가 형성되며, 제 2케이스(120)는 내부에 공급부(300)가 형성된다. 이때, 음료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많을 경우 제 2케이스(120)는 제 1케이스(110)의 상부에 복수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제 2케이스(120)의 수량에 따라 제 1케이스(110)의 크기가 조절된다. 그리고 제 2케이스(120)의 상단에는 첨가부(400)가 형성되는 제 3케이스(130)가 형성되는 것으로 제 1케이스(110), 제 2케이스(120), 제 3케이스(130)는 결합장치가 형성됨에 따라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1케이스(110), 제 2케이스(120), 제 3케이스(130)는 서로 분리되어 모듈로 형성된다. 이는 사용환경에 따라 냉각부(200), 공급부(300), 첨가부(400)의 수량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되며, 음료 및 냉매의 온도 또는 용량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공급부(300)에 형성되어 음료의 양 및 온도를 조작하는 조작장치(510);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510)에 형성되며, 음료탱크(10)의 양, 냉매의 온도, 용량, 중 선택된 하나를 표출하는 표출장치(5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5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음료 및 냉매의 온도 또는 용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500)는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어기판과 제어기판을 조작하여 음료의 양 및 온도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장치(510)가 형성된다. 조작장치(510)는 터치스크린, 버튼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조작장치(510)에 의하여 조작된 정보는 표출장치(520)에 표출되며, 표출장치(520)는 조작 정보와 함께 음료탱크(10)의 양, 냉매의 온도, 용량 등 다양한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200)에 형성되며, 음료가 저장된 음료탱크(10)가 안착되는 안착판(210); 상기 안착판(210)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220); 상기 냉각장치(220)에 형성되며, 상기 공급부(300)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순환장치(23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200)에 수용되며, 형성되며, 음료탱크(10)와 연결되는 가스탱크(20);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210)에 형성되며, 음료탱크(10) 및 가스탱크(20)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220)에 형성되며,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함체(221); 상기 냉각함체(221)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온기를 배출시키는 배출함체(222);를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순환장치(230)는 상기 냉각장치(220) 내부에 형성되며,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배관(22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냉각부(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냉각부(200)는 냉매를 냉각시켜 음료용기를 적정 온도로 -30℃로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냉각부(200)는 도 3을 참조하면, 음료가 저장된 음료탱크(10)와 음료탱크(10)와 연결되는 가스탱크(20)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가스탱크(20)는 음료탱크(10)와 함께 냉각부(200)에 수용되거나 외부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부(200)는 음료탱크(10) 및 가스탱크(20)가 안착되는 안착판(210)이 형성되며, 안착판(210)은 상부의 음료탱크(10) 및 가스탱크(20)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로 형성된다. 안착판(210)은 제어부(500)와 연동되어 음료탱크(10) 및 가스탱크(20)의 무게에 따라 음료 및 가스의 양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료탱크(10) 및 가스탱크(20)의 무게가 낮아짐에 따라 교체 시기를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안착판(210)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220)가 형성된다. 냉각장치(220)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함체(221)가 형성되며, 냉각함체(221)의 내부에는 순환장치(230)가 형성되어 냉매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순환장치(230)는 냉각장치(220) 내부에 지그재그, 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냉매가 공급부(300)에서 순환되어 적정 온도를 항상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냉각함체(221)의 외측에는 공기가 냉각됨에 따라 발생하는 온기를 배출시키는 배출함체(222)가 형성되며, 배출함체(222)는 펜이 형성되어 케이스(100) 외부로 온기를 배출하는 것이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냉각부(200)에서 공급된 냉매에 음료용기가 수용되어 냉각시키는 냉각챔버(310); 상기 냉각챔버(310)에서 슬라이딩되며, 냉매의 노출을 방지하는 보호장치(320); 상기 냉각챔버(3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음료가 공급되는 공급장치(33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냉각챔버(310)에 형성되며, 음료용기가 삽입되는 삽입함체(311);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삽입함체(311)에 형성되며, 냉매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12);을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삽입함체(311)에 형성되며,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보호장치(320)에 형성되며, 상기 음료용기가 수용되는 수용함체(321);를 포함한다.
(실시예 5-6)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5-5에 있어서, 상기 수용함체(321)의 하단에 형성되며, 냉매의 상부에서 슬라이딩되는 이동판(322);을 포함한다.
(실시예 5-7)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5-6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322)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322)을 개폐하는 개폐레일(323);을 포함한다.
(실시예 5-8)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5-6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322)에 형성되며, 음료용기를 인식하는 인식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급부(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공급부(300)는 냉각부(200)에서 공급된 냉매로 음료용기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음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급부(300)는 도 4를 참조하면, 냉각부(200)에서 냉각된 냉매가 저장되는 냉각챔버(310)가 형성되며, 냉각챔버(310)는 상부가 개방되어 병, 컵 등의 음료용기가 수용되는 것이다. 이때, 냉각챔버(310)는 음료용기가 삽입되는 삽입함체(311)가 형성되며, 삽입함체(311)의 내부는 수용공간(312)이 형성되어 순환장치(230)에 의하여 적정한 온도로 순환되는 냉매가 수용된다. 그리고 수용공간(312)의 상부는 개방됨에 따라 음료용기가 삽입되면 냉매에 의하여 음료용기가 냉각되는 것이다. 그리고 삽입함체(311)에는 냉매 또는 음료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센서가 형성되어 적정한 온도의 냉매가 순환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삽입함체(311)의 상부에는 보호장치(320)가 형성되며, 보호장치(320)는 음료용기가 수용되는수용함체(321)가 형성된다. 수용함체(321)는 공급부(3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전면은 유리, 플라스틱 등의 투명 재질의 도어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함체(321)의 하단에는 수용공간(312)이 형성되나 음료용기가 삽입되기 전에 이동판(322)에 의하여 수용공간(312)이 닫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저온의 냉매에 접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동판(322)은 양측의 개폐레일(323)에 의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수동으로 이동하거나 인식센서에 의하여 음료용기가 수용함체(321)에 수용되면 이동판(322)이 동력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급부(300)는 음료용기를 냉매에 수용시켜 저온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5-9)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5-4에 있어서, 상기 보호장치(320)에 형성되며, 냉각된 음료용기를 상기 공급장치(330)로 이동시키는 이동레일;을 포함한다.
(실시예 5-10)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5-9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의 상단에 형성되며, 음료용기를 지지하여 상기 공급장치(330)로 이동하는 지지판;을 포함한다.
(실시예 5-11)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5-9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며, 음료용기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보호장치(32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보호장치(320)는 음료용기가 냉매에의하여 냉각된 후 동력에 의하여 공급장치(330)로 이동하여 음료가 공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호장치(320)는 음료용기가 급속으로 냉각되면 사용자가 잡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냉매에 의하여 음료용기가 냉각된 후 이동레일에 의하여 이동한다. 이때, 이동레일은 벨트 등으로 형성되며, 지지판이 형성되어 음료용기가 지지된다. 그리고 이동레일은 공급장치(330)와 음료용기가 일치하도록 형성되면 이동을 멈추고 사용자가 음료용기를 배출하도록 한다.
또한, 지지판은 승강장치가 형성되어 수용공간(312)에 음료용기가 삽입되도록 하고 수용공간(312)에서 이동할때는 음료용기가 상승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승강장치는 양측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이동에 따라 음료용기가 승하강하도록 하거나 실린더에 의하여 자동으로 음료용기를 승하강할 수 있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있어서, 상기 공급장치(330)에 형성되며, 음료용기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공간(331); 상기 삽입공간(331)의 상부에 형성되며, 음료 및 첨가제가 공급되는 공급노즐(332);을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331)의 하부에 형성되며, 음료가 배수되는 배수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공급노즐(332)에 형성되며, 음료가 공급되는 음료노즐(333); 첨가제가 공급되는 첨가제노즐(334);을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음료노즐(333)은 상기 음료탱크(10)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5)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노즐(334)은 상기 첨가부(400)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6)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330)에 형성되며, 음료의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장치(33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급장치(33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공급장치(330)는 음료탱크(10)의 음료와 첨가부(400)의 첨가제가 공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급장치(330)는 도 5를 참조하면, 음료용기가 삽입되는 삽입공간(331)이 형성되며, 삽입공간(331)은 하부에 배수장치가 형성되어 음료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넘치거나 흐를 경우 음료가 배수되도록 한다. 이때, 배수장치는 케이스(100) 외부로 연장되는 배수관에 의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그리고 삽입공간(331)의 상부에는 음료 및 첨가제가 공급되는 공급노즐(332)이 형성되며, 공급노즐(332)은 음료가 공급되는 음료노즐(333)과 첨가제가 공급되는 첨가제노즐(334)이 형성된다. 이때, 음료노즐(333)은 음료가 맥주로 형성될 경우 양방향으로 조절되어 맥주와 크림이 각각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첨가제노즐(334)은 복수의 첨가제가 밸브에 의하여 조절되어 각각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음료노즐(333)과 첨가제노즐(334)은 하나의 공급노즐(332)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급노즐(332)이 하나로 형성될 경우 음료와 첨가제는 공급노즐(332)의 내측에서 혼합되어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료노즐(333)은 공급장치(3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절장치(335)에 의하여 1℃로 온도가 조절되는 것으로 조절장치(335)는 음료의 온도를 소폭 냉각시키거나 상승시켜 일정하게 조절하는 것이다.
(실시예 6-7)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331)의 하부에 형성되며, 음료용기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판(331a);을 포함한다.
(실시예 6-8)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6-7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판(331a)은 5 ~ 20도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9)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6-7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판(331a)은 동력에 의하여 각도가 가변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삽입공간(331)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삽입공간(331)에는 음료용기의 각도가 일단부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음료가 효과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삽입공간(331)의 하부 바닥에는 각도가 삽입공간(331)의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각도조절판(331a)이 형성되며, 각도조절판(331a)은 5 ~ 20도의 각도로 형성됨에 따라 맥주와 같이 수직으로 공급될 시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각도조절판(331a)은 힌지에 의하여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외부의 손잡이 등의 조작으로 각도가 가변되거나 동력에 의하여 각도가 가변될 수 있다. 이때, 각도조절판(331a)의 각도가 동력에 의하여 가변될 경우 음료용기의 각도는 음료가 공급되는 양에 따라 수평을 유지하도록 가변될 수 있다. 이는 음료의 탄산 및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음료가 보다 많은 양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음료용기 냉각 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있어서, 상기 첨가부(400)에 형성되며, 복수의 첨가제가 각각 수용되는 카트리지(410); 상기 첨가부(4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410)의 하단이 체결되는 체결장치(420);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410)는 상기 체결장치(420)에 나선결합, 억지끼움, 자력 중 선택된 하나로 체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7-2에 있어서, 상기 첨가부(400)에 형성되며, 상기 공급장치(330)로 첨가제를 전달하는 전달배관(430);을 포함한다.
(실시예 7-4) 본 발명의 음료용기 냉각 장치는 실시예 7-3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전달배관(430)에 각각 형성되며, 첨가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밸브(4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가부(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첨가부(400)는 케이스(100)의 상단에 형성되며, 복수의 첨가제가 각각 수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첨가부(400)는 도 5를 참조하면, 서로 다른 복수의 첨가제가 각각 수용되는 카트리지(410)가 형성되며, 카트리지(410)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케이스(100)에 체결된다. 이때, 체결장치(420)와 카트리지(410)는 나선결합, 억지끼움, 자석으로 형성되어 자력에 의하여 체결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카트리지(410)가 체결된 체결장치(420)와 공급장치(330)는 전달배관(430)으로 연결되어 첨가제가 전달되며, 전달배관(430)은 가이드밸브(440)가 각각 형성되어 제어부(50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공급장치(330)로 전달되는 것이다.
10: 음료탱크 20: 가스탱크
100: 케이스 110: 제 1케이스
120: 제 2케이스 130: 제 3케이스
140: 프레임 150: 단열판
200: 냉각부 210: 안착판
220: 냉각장치 221: 냉각함체
222: 배출함체 223: 냉각배관
230: 순환장치 300: 공급부
310: 냉각챔버 311: 삽입함체
312: 수용공간 320: 보호장치
321: 수용함체 322: 이동판
323: 개폐레일 330: 공급장치
331: 삽입공간 331a: 각도조절판(331a)
332: 공급노즐 333: 음료노즐
334: 첨가제노즐 335: 조절장치
400: 첨가부 410: 카트리지
420: 체결장치 430: 전달배관
440: 가이드밸브 500: 제어부
510: 조작장치 520: 표출장치

Claims (11)

  1. 복수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하단에 형성되며,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부(200);
    상기 냉각부(200)의 상단에서 음료용기를 냉각시키며, 냉각된 음료용기에 음료를 공급하는 공급부(300);
    상기 공급부(300)의 상단에 형성되며, 음료의 첨가물이 투입되는 첨가부(400);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냉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되며,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140);
    상기 프레임(140)의 외측에 형성되며, 내부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단열판(150);을 포함하는 음료용기 냉각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되며, 음료 및 냉매의 온도 또는 용량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냉각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200)에 형성되며, 음료가 저장된 음료탱크(10)가 안착되는 안착판(210);
    상기 안착판(210)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220);
    상기 냉각장치(220)에 형성되며, 상기 공급부(300)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순환장치(230);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냉각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220)에 형성되며,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함체(221);
    상기 냉각함체(221)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온기를 배출시키는 배출함체(222);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냉각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냉각부(200)에서 공급된 냉매에 음료용기가 수용되어냉각되는 냉각챔버(310);
    상기 냉각챔버(310)에서 슬라이딩되며, 냉매의 노출을 방지하는 보호장치(320);
    상기 냉각챔버(3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음료가 공급되는 공급장치(330);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냉각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냉각챔버(310)에 형성되며, 음료용기가 삽입되는 삽입함체(311);
    상기 삽입함체(311)에 형성되며, 냉매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12);을 포함하는 음료용기 냉각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호장치(320)에 형성되며, 상기 음료용기가 수용되는 수용함체(321);
    상기 수용함체(321)의 하단에 형성되며, 냉매의 상부에서 슬라이딩되는 이동판(322);을 포함하는 음료용기 냉각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330)에 형성되며, 음료용기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공간(331);
    상기 삽입공간(331)의 상부에 형성되며, 음료 및 첨가제가 공급되는 공급노즐(332);을 포함하는 음료용기 냉각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의 하부에 형성되며, 음료용기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판(331a);을 포함하는 음료용기 냉각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첨가부(400)에 형성되며, 복수의 첨가제가 각각 수용되는 카트리지(410);
    상기 첨가부(4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410)의 하단이 체결되는 체결장치(420);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냉각 장치.
KR1020220087788A 2022-07-15 2022-07-15 음료용기 냉각 장치 KR20240010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788A KR20240010342A (ko) 2022-07-15 2022-07-15 음료용기 냉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788A KR20240010342A (ko) 2022-07-15 2022-07-15 음료용기 냉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342A true KR20240010342A (ko) 2024-01-23

Family

ID=89713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788A KR20240010342A (ko) 2022-07-15 2022-07-15 음료용기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034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175Y1 (ko) 2002-04-16 2002-08-13 이수영 음료용기의 순간 냉각장치
KR20080057837A (ko) 2006-12-21 2008-06-25 (주) 룩스 음료용기의 급속냉각장치
KR20130133367A (ko) 2012-05-29 2013-12-09 김범진 컵 냉각장치
KR20220030787A (ko) 2020-09-03 2022-03-11 박종식 병의 저온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175Y1 (ko) 2002-04-16 2002-08-13 이수영 음료용기의 순간 냉각장치
KR20080057837A (ko) 2006-12-21 2008-06-25 (주) 룩스 음료용기의 급속냉각장치
KR20130133367A (ko) 2012-05-29 2013-12-09 김범진 컵 냉각장치
KR20220030787A (ko) 2020-09-03 2022-03-11 박종식 병의 저온 냉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6849B2 (en) Cooler and method for cooling beverage containers such as bottles and cans
US6010043A (en) Self-contained, portable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4958747A (en) Bottled water dispenser
US9670050B1 (en) Thermoelectric wine bag cooler/dispenser
US20180057337A1 (en) Mixed Drink Producing Apparatus With A Manipulation Device For Manipulating An Orientation Of A Jet Of A Liquid Of The Mixed Drink, Household Refrigeration Apparatus As Well As Method For Producing And Dispensing A Mixed Drink
US20230235953A1 (en) Beverage cooler
NL2000339C2 (nl) Inrichting voor het koelen en in gekoelde toestand houden van een met drank gevulde houder.
US104953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a fluid beverage below a beverage's freezing point
US20160025402A1 (en) Supercooling refrigerator
US7024882B2 (en) Cooler with ordered refilling
KR20190109103A (ko) 음료 냉각 장치
KR20240010342A (ko) 음료용기 냉각 장치
US3979024A (en) Ingredient temperature stabilization apparatus for post-mix beverage dispensing machines
KR102003804B1 (ko) 생맥주 냉각장치
US2721450A (en) Refrigerated cabinet for mixed drink dispensers
US20050022543A1 (en) Refrigerators with near-zero compartments
US20180057338A1 (en) Drink Producing Apparatus With A Decompression Chamber Chargeable With Ambient Air, Household Refrigeration Apparatus As Well As Method For Producing A Drink
GB2602487A (en) A rapid cooling apparatus
KR102141999B1 (ko) 아이스 테이블
CN213873398U (zh) 降温盒
GB2227824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drinks
US20180057336A1 (en) Drink producing apparatus with a dispensing container for liquid, in which a mixing device is disposed, as well as household refrige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oled drink
KR200328344Y1 (ko) 이동형 음료 및 주류 냉각장치
CN114929616A (zh) 饮料分配系统
JP2001039497A (ja) 飲料注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