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685A -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685A
KR20240009685A KR1020220086896A KR20220086896A KR20240009685A KR 20240009685 A KR20240009685 A KR 20240009685A KR 1020220086896 A KR1020220086896 A KR 1020220086896A KR 20220086896 A KR20220086896 A KR 20220086896A KR 20240009685 A KR20240009685 A KR 20240009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al estate
unit
buyer
s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상
김재준
Original Assignee
김민상
김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상, 김재준 filed Critical 김민상
Priority to KR1020220086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685A/ko
Publication of KR20240009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68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이 제공된다.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은, 매수인 단말로부터 매수인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매수인 단말 연동부와, 매도인 단말로부터 매도인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매도인 단말 연동부와, 공인중개사 단말로부터 공인중개사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공인중개사 단말 연동부와, 매수인 단말 연동부, 매도인 단말 연동부 및 공인중개사 단말과 각각 연결되는 매칭제시부 및 매도인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제1 차 정보와 제2 차 정보로 구별하여 매수인에게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매칭제시부는, 매수인의 정보와 매도인에 대한 정보 및 공인중개사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매수인과 매도인의 계약을 매칭시키며, 계약을 서포트 할 공인중개사를 매칭시킨다.

Description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Real estate direct transaction system}
본 발명은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에 매도인이 관련 물건 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수수료를 할인 받고, 매수인은 매도인의 신뢰도 높은 정보 제공받아 계약을 체결함과 동시에, 계약서 작성, 거래 신고 등은 전문적인 공인중개사가 서포트 해줄 수 있는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부동산 중개 서비스는 공인중개사가 서비스시스템에 비용을 지급하고 물건을 광고하는 방식으로 높은 수수료와 허위매물, 과장된 정보와 광고로 부동산 중개업의 서비스 품질하락과 인식저하, 높은 수수료의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대해서 온라인 동산 직거래 서비스가 등장하였으나, 온라인 부동산 직거래 서비스(피터팬 등)는 인터넷카페, 홈페이지 등에 매도인(임대인)이 직접 게시한 물건정보를 확인하여 매수인(임차인)이 직접 연락을 시도하는 방식으로, 접근이 조심스럽고 물건정보의 규격화도 어려운 등의 사정으로 직거래가 활성화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매도인(임대인) 입장에서도 개인정보(주소, 연락처 등)가 큰 제약 없이 노출되는 위험성이 있으며 연락하는 매수인(임차인)에 대한 신원확인 등의 어려움으로 물건등록을 꺼리는 요인도 발생되고, 신뢰할 수 없는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입력된 물건과 실제 물건이 달라 발생되는 문제점과, 매도인과 매수인의 직거래에 따른 거래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계약서 작성 및 거래 신고 등의 업무를 비전문가인 개인이 진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 부동산 직거래에서 발생되는 신뢰성 저하 및 전문성 부족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은, 매수인 단말로부터 매수인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매수인 단말 연동부와, 매도인 단말로부터 매도인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매도인 단말 연동부와, 공인중개사 단말로부터 공인중개사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공인중개사 단말 연동부와, 상기 매수인 단말 연동부, 상기 매도인 단말 연동부 및 상기 공인중개사 단말과 각각 연결되는 매칭제시부 및 상기 매도인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제1 차 정보와 제2 차 정보로 구별하여 상기 매수인에게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제시부는, 상기 매수인의 정보와 상기 매도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공인중개사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매수인과 매도인의 계약을 매칭시키며, 상기 계약을 서포트 할 공인중개사를 매칭시킨다.
상기 매수인 단말에 매수인의 인적사항을 요청하는 인적사항 요청부와,
상기 매수인의 인적사항을 전달받고, 상기 매수인 단말에 상기 제2 차 정보 열람을 위한 동의서를 제공하는 동의서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 정보는 부동산 전용면적, 위치, 희망매도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차 정보는 매도자에 대한 정보 또는 공인중개사에 대한 정보, 부동산에 대한 사진에 대한 정보, 전용면적에 대한 정보, 부동산 위치에 대한 정보, 방/화장실/주차대수에 대한 정보, 희망매도가에 대한 정보 및 수수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제시부는, 상기 매수인이 선호하는 위치와 상기 매도인의 부동산의 위치를 분석하고, 상기 매도인의 부동산의 위치를 선호하는 상기 매수인을 분석하여 상기 매도인에게 분석자료를 전달하는 위치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제시부는, 상기 매수인이 원하는 매수가와 상기 매도인의 부동산의 매도가를 분석하여 상기 매수인의 매수가 범위에 해당하는 상기 매도인의 부동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매수인에게 전달하는 매도가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제시부는, 상기 매수인과 상기 매도인의 계약을 매칭시키는 계약 매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제시부는, 상기 매수인과 상기 매도인의 계약을 서포트 할 공인중개사를 매칭시키는 공인중개사 매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제시부는, 상기 매수인과 상기 매도인의 계약의 진행여부를 확인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제시부는, 상기 공인중개사가 상기 매수인과 상기 매도인의 계약을 완료시키고 지급받는 수수료를 산정하는 수수료 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의서 전달부는 매수인의 동의서가 접수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 동의서 접수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차 정보 및 제2 차 정보 중 제1 차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를 모자이크 처리하여 매수인에게 제공하되, 상기 동의서 전달부로부터 상기 동의서 접수 데이터를 전달받은 후, 상기 모자이크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제2 차 정보를 매수인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에 의하면,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에 매도인이 관련 물건 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수수료를 할인 받고, 매수인은 매도인의 신뢰도 높은 정보 제공받아 계약을 체결함과 동시에, 계약서 작성, 거래 신고 등은 전문적인 공인중개사가 서포트 해줄 수 있게 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의 연동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의 제2 분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의 매칭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매수인 단말 연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매도인 단말 연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인중개사 단말 연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제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의 연동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의 제2 분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의 매칭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매수인 단말 연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매도인 단말 연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인중개사 단말 연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제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10)은, 매수인 단말(100)과, 네트워크(200), 매도인 단말(300), 공인중개사 단말(500) 및 AI를 이용한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400)을 포함할 수 있다.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을 통한 부동산 거래는, 매매, 전세, 월세, 단기임대, 장기임대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매매를 일 예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10)을 통해 노출되는 부동산에 대한 정보는 매도인 명의로 노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10)을 통해 노출되는 부동산에 대한 정보는 공인중개사 명의로 노출될 수도 있다.
여기서, 부동산은 아파트, 연립주택, 오피스텔, 주상복합 등 다양한 주거 공간 및 사무용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부동산의 위치는 대한민국에 위치하는 부동산뿐만 아니라, 해외에 위치하는 부동산도 포함될 수 있다.
매수인 단말(100)은 복수의 매수인들(100-1,100-2,..100-M)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매수인들(100-1,100-2,..100-M)은 각각 개별 매수인으로 부동산을 매수하려는 개인 또는 법인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매도인 단말(300)은 복수의 매도인들(300-1,300-2,..300-N)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매도인들(300-1,300-2,..300-N)은 각각 개별 매도인으로 부동산을 매도하려는 개인 또는 법인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인중개사 단말(500)은 복수의 공인중개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10)에 등록된 공인중개사 POOL에 포함된 공인중개사 일 수 있다. 복수의 공인중개사는 나이, 경력, 성별, 거주지 등 다양한 요인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공인중개사는 공인중개사 자격증을 보유한 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업한 공인중개사, 소속 공인중개사뿐만 아니라, 공인중개사 시험에 합격하여 공인중개사 자격증을 보유한 채로 개업 등을 하지 않은 자도 포함되는 개념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10)에 등록된 공인중개사 POOL에는 중개법인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동산 중개를 목적으로 설립된 중개법인이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10)의 공인중개사 POOL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매수인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40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매수인들(100-1,100-2,..100-M)은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400)에 직접 자신이 희망하는 물건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자신이 희망하는 물건의 정보란 전술한 바와 같이, 매수하고자 하는 부동산에 대한 정보(희망지역, 가격대, 연락처, 이메일, 전용면적, 방/화장실/주차의 수, 희망매수가, 부동산 유형 등)를 의미한다. 여기서, 부동산 유형이란 매매, 전세, 월세, 사무실임대 등 다양한 형태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세인 경우 보증금, 월세인 경우 보증금 및 월세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매도인 단말(3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40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매도인들(300-1,300-2,..300-N)은 단말을 통하여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4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매도인들(300-1,300-2,..300-N)은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400)에 직접 자신의 부동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자신의 부동산에 대한 정보는 매도하고자 하는 아파트에 대한 정보(세대주명, 주소, 연락처, 이메일, 아파트 취득일, 아파트에 관한 사진, 전용면적, 방/화장실/주차의 수, 희망매도가, 부동산 유형 등) 또는 전세 및 임대하고자 하는 아파트에 대한 정보(세대주명, 주소, 연락처, 이메일, 아파트 취득일, 아파트에 관한 사진, 전용면적, 방/화장실/주차의 수, 전세/보증금/월세 등)를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400)은 매매, 전세, 월세, 단기임대, 장기임대 등 다양한 형태의 부동산 유형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부동산 유형에 따라 추가적인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세인 경우 보증금, 월세인 경우 보증금 및 월세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공인중개사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40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공인중개사들은 근무가능 지역, 시간, 성별, 나이, 근무경력 등에 대한 정보를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400)에 입력할 수 있다.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매수인 단말(100), 매도인 단말(300), 공인중개사 단말(500)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매수인 단말(100), 매도인 단말(300) 및 공인중개사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매수인 단말(100), 매도인 단말(300) 및 공인중개사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매수인 단말(100), 매도인 단말(300) 및 공인중개사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400)은, 매도를 원하는 부동산 물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400)은, 매수인 단말(100)로부터 매수 요청을 수신하고, 매수인의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정보에 적합한 매도인들에 대한 정보를 매수인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400)은, 매도인 단말(300)로부터 매도 요청을 수신하고, 매도인의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정보에 적합한 매수인들에 대한 정보를 매도인 단말(3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400)은, 공인중개사 단말(300)로부터 계약 서포트 요청을 수신하고, 공인중개사의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정보에 적합한 부동산 계약에 대한 정보를 공인중개사 단말(3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계약 서포트는 매도인과 매수인의 직거래 계약 체결 후에 발생되는 계약서작성 대행 및 거래신고 대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400)은, 표시부(410), 동의서 전달부(415), 인적사항 요청부(417), 제1 분석부(420), 제2 분석부(430), 매칭부(450), 서버 저장부(460) 및 서버 통신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부(410)는 매수인에게 제공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410)는 매수인에게 제공될 정보를 제1 차 정보와 제2 차 정보로 구별하여 매수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1 차 정보는 매도자가 입력한 정보 중 일부에 대한 정보이며, 제2 차 정보는 제1 차 정보 외에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 정보는 부동산 전용면적, 위치, 희망매도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차 정보는 매도자에 대한 정보 또는 공인중개사에 대한 정보, 부동산에 대한 사진에 대한 정보, 전용면적에 대한 정보, 부동산 위치에 대한 정보, 방/화장실/주차대수에 대한 정보, 희망매도가에 대한 정보 및 수수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부(410)는 매도인이 입력한 정보 중 제1 차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를 모자이크 처리하여 매수인에게 제공할 수도 있으며, 후술할 동의서 접수 데이터가 동의서 전달부(415)로부터 전달되면, 모자이크 제거하는 방식으로 제2 차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동의서 전달부(415)는 매수인 단말(100)에 추가정보(제2 차 정보) 열람을 위한 동의서를 전달할 수 있다. 동의서 전달부(415)는 매수인에게 동의서를 전달하고, 매수인은 매수인 단말(100)을 통하여 추가정보 열람을 위한 동의서에 동의할 수 있다. 매수인이 동의한 동의서는 동의서 전달부(415) 및 서버 저장부(460)에 전달될 수 있다. 동의서 전달부(415)는 매수인의 동의서가 접수되는 경우 표시부(410)에 동의서 접수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의서는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400)에서 매칭시키는 공인중개사 이용여부에 대한 동의, 열람한 매도인에 대한 정보의 타용도 사용금지 등의 사항들이 포함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적사항 요청부(417)는 매수인 단말(100)에 동의서를 제공하기 위하여 매수인의 인적사항을 요청하는 인적사항 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매수인은 매수인 단말(100)을 통하여, 인적사항을 입력하고, 인적사항 요청부(417)는 입력받은 인적사항을 동의서 전달부(415)로 전달할 수 있으며, 동의서 전달부(415)는 전달받은 인적사항을 바탕으로 동의서를 작성하여 매수인 단말(10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인적 사항이랑 매수인의 성명, 연락처, 주소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의서를 통한 정보 공개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매도인의 정보 및 부동산에 대한 정보가 무분별하게 공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정보 전달을 위하여, 표시부(410)는 매수인이 구비한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에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부(410)는 매수인이 입력한 정보와 유사한 부동산에 대한 정보를 선별하여 매수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매수인들(100-1,100-2,..100-M)은 단말을 통하여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4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매수인들(100-1,100-2,..100-M)은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400)에 직접 자신이 희망하는 물건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매수인들(100-1,100-2,..100-M)은 매수 희망지역에 대한 정보, 가격대에 대한 정보, 방/화장실/주차대수에 대한 정보, 전용면적/공급면적에 대한 정보, 사용 승인일에 대한 정보, 선호하는 층/향에 대한 정보, 세대수에 대한 정보, 연락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는 정보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표시부는 정보저장부로부터 복수의 매수인들(100-1,100-2,..100-M) 각각이 입력한 정보와 매칭되거나, 유사한 정보를 선별하여 복수의 매수인들(100-1,100-2,..100-M) 각각의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매칭된 부동산에 대한 제1 차 정보만을 매수인 단말에 전달하게 된다.
표시부(410)는 매도인에게 수수료 인하율 및 수수료 인하율이 적용된 할인 수수료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수료 인하율 및 수수료 인하율이 적용된 할인 수수료에 대한 정보를 정보저장부로부터 전달받고 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410)는 매도인이 구비한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수수료는 광고 수수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400)에 매도인의 매물에 대한 정보를 매도인 명의로 업로드하여 노출시키기 위한 광고수수료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매도인의 매물에 대하여 공인중개사가 매칭되고,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400)에 공인중개사 이름으로 부동산에 대한 정보가 업로드 되는 경우 수수료는 중개수수료로 적용될 수도 있다.
제1 분석부(420) 및 제2 분석부(430)는 복수의 매도인들(300-1,300-2,..300-N) 각각이 후술할 제2 입력부(452A)에 입력한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분석하여 수수료 할인율을 산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분석부(420) 및 제2 분석부(430) 중 어느 하나는 사람에 의해서 복수의 매도인들(300-1,300-2,..300-N) 각각이 입력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에 의해서 복수의 매도인들(300-1,300-2,..300-N) 각각이 입력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이하, 제1 분석부(420)는 사람에 의해서 정보가 분석이 이루어고, 제2 분석부(430)는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에 정보가 분석되는 경우를 일 예시로 설명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매도인들(300-1,300-2,..300-N) 각각이 입력한 정보는 제1 분석부(420)와 제2 분석부(430)에 정보의 유형별로 나누어져 분석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매도인들(300-1,300-2,..300-N) 각각이 입력한 정보는 제1 분석부(420)에서 1차적으로 분석이 이루어지고, 제1 분석부(420)의 분석 결과를 제2 분석부(430)에 재분석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매도인들(300-1,300-2,..300-N) 각각이 입력한 정보는 제1 분석부(420) 및 제2 분석부(430) 각각에서 개별적으로 분석하여 각각 분석결과를 산출할 수도 있다.
제2 분석부(4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의 신뢰성 분석부(431), 매도인의 신뢰성 분석부(432), 매도가의 적정성 분석부(433), 수수료 인하율 산출부(4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의 신뢰성 분석부(431)는 복수의 매도인들(300-1,300-2,..300-N) 각각이 입력한 물건에 대한 정보의 진위여부 및 신뢰성 등급을 판단할 수 있다.
입력된 정보가 물건의 사진 정보인 경우를 일 예시로 설명하면, 정보의 신뢰성 분석부(431)는 사전에 학습된 데이터를 통해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이 상기 촬영된 사진이 직접 촬영한 것인지 도용한 사진인지에 대한 진위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엔진으로는 TensorFlow가 사용될 수 있고, Inception v3 모델이 사용될 수 있다. 입력된 사진 정보의 진위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정답을 알고 있는 훈련데이터를 이용한 머신러닝 모델을 학습시키는 방식인 지도학습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 모델의 구조, 가중치, 파라미터, 데이터 셋 등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매도인이 입력한 사진에 대한 정보는 정보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고, 다양한 소스코드에 의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정보의 신뢰성 분석부(431)는 1차적으로 매도인이 입력한 사진과 정보 저장부에 축적된 사진을 비교하여, 유사도가 크게 차이가 날 경우에는 매도인이 입력한 사진이 직접 촬영한 사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매도인이 입력한 사진과 정보 저장부에 축적된 사진을 비교하여, 유사도가 90% 내지 100%인 경우에는, 매도인이 입력한 사진이 도용한 사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매도인이 입력한 사진과 정보 저장부에 축적된 사진을 비교하여, 유사도가 1% 내지 89%인 경우에는, 매도인이 입력한 사진이 직접 촬영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용 사진을 판별함에 있어서 유사도 기준을 높게 설정한 것은 아파트의 경우 실내구조의 유사성이 높기 때문에 직접 촬영한 경우에도 유사성 요소가 상당수 검출되기 때문이다.
정보의 신뢰성 분석부(431)는 소정의 유사도 기준 값을 설정할 수 있고, 1차적으로 판단된 결과에 대하여 소정의 유사도 기준 값과 비교하여 진위 여부를 재판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유사도 기준 값은 사진의 종류, 촬영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정보의 신뢰성 분석부(431)는, 1차적으로 매도인이 입력한 사진이 직접 촬영한 사진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매도인이 입력한 사진과 정보 저장부에 축적된 사진을 비교하여, 신뢰성 등급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도인이 입력한 사진의 수, 입력한 사진의 해상도, 입력한 사진에 나타난 정보 등을 분석하여 신뢰성 등급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신뢰성 등급을 판단하는 요소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정보의 신뢰성 분석부(431)는 사진 외에도 입력된 주소, 연락처, 이메일 등 다양한 정보의 신뢰성을 분석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신뢰성 등급은 상, 중, 하로 구분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신뢰성 등급은 1 내지 10 등급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매도인의 신뢰성 분석부(432)는 매도인의 종래에 입력한 정보를 수집하여 매도인에 대한 신뢰성 등급을 판단할 수 있다. 매도인의 신뢰성 분석부(432)는 매도인이 종래에 입력한 정보들이 학습된 데이터를 통해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이 매도인의 신뢰성 등급을 판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신뢰성 등급은 상, 중, 하로 구분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신뢰성 등급은 1 내지 10 등급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매도가의 적정성 분석부(433)는 복수의 매도인들(300-1,300-2,..300-N) 각각이 입력한 물건에 대한 매도가의 적정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매도가의 적정성 분석부(433)는 매도인의 물건에 대한 학습된 데이터를 통해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이 매도인(20)의 희망 매도가와 실거래가 등을 비교하여 적정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매도가의 적정성 분석부(433)는 복수의 매도인들(300-1,300-2,..300-N) 각각이 입력한 물건에 채무현황, 채무순위, 전세권 설정, 임대차 물건 등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매도가의 적정성 여부를 등급으로 산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매도가의 적정성 등급은 상, 중, 하로 구분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매도가의 적정성 등급은 1 내지 10 등급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수료 인하율 산출부(434)는 정보의 신뢰성 등급, 매도인의 신뢰성 등급, 매도가의 적정성 등급에 따라 수수료 인하율을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수수료 인하율 산출부(434)는 인하율 적용 전 수수료를 산출하고, 상기 수수료 인하율을 적용하여 할인된 수수료를 산출할 수 있다. 수수료 인하율 산출부(434)는 산출된 수수료 인하율 및 할인된 수수료를 제2 결제부(452B), 정보저장부 및 표시부(41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매칭부(450)는 매수인 단말(100)과 연동되는 매수인 단말 연동부(451)와, 매도인 단말(300)과 연동되는 매도인 단말 연동부(452)와, 공인중개사 단말(500)과 연동되는 공인중개사 단말 연동부(453)와, 매수인 단말 연동부(451), 매도인 단말 연동부(452) 및 공인중개사 단말 연동부(453)를 매칭시키는 매칭제시부(4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매수인 단말 연동부(451)는 제1 입력부(451A)와, 제1 결제부(451B), 제1 데이터 베이스부(451C), 제1 정보제공부(451D) 및 제1 전송부(45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부(451A)는 매수인 단말(100)에 부동산 매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입력부(451A)는 매수인 단말(100)을 통하여 입력된 부동산 매수에 대한 정보를 제1 결제부(451B), 제1 데이터 베이스부(451C) 및 제1 전송부(451D)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매수인 단말(100)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는 매수 희망지역에 대한 정보, 가격대에 대한 정보, 방/화장실/주차대수에 대한 정보, 전용면적/공급면적에 대한 정보, 사용 승인일에 대한 정보, 선호하는 층/향에 대한 정보, 세대수에 대한 정보, 연락처에 대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입력부(451A)는 부동산 매수에 대한 정보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매수인 단말(100)에 부동산 매수에 대한 정보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입력부(451A)는 전술한 인적사항 요청부(417)에서 요청하는 인적사항 및 동의서 전달부(415)에서 전달받은 동의서에 동의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입력부(451A)는 회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회원 인증 서비스는 매수인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 받아 이를 수집하고, 로그인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입력부(451A)는 페이스북(Face book)이나 트위터(Twitter) 등과 같은 SNS와 연계하여 SNS 정보를 로그인 정보로 활용할 수도 있다.
제1 결제부(451B)는 매도자와 매수자가의 직거래가 체결된 후 공인중개사에게 계약서작성 대행 및 거래신고 대행에 따른 수수료를 산정하고, 매수인 단말(100)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매수인 단말(100)에 결제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제부(451B)는 제1 입력부(451A)에 입력된 부동산 매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중개행위에 따른 수수료를 산정하고, 매수인 단말(100)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결제부(451B)는 계약체결이 완료되고 수수료가 결제되는 경우, 매수인 단말(100)에 결제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베이스부(451C)는 제1 입력부(451A)에 입력된 부동산 매수에 대한 정보 및 결제 정보, 매수인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을 저장,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 베이스부(451C)는 매수인 단말(100)을 통하여 수정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저장된 정보 등을 수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매수인은 매수인 단말(100)을 통하여 제1 데이터 베이스부(451C)에 접근이 가능하고, 수수료 정보 및 결제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데이터 베이스부(451C)에는 매수인의 부동산 매수에 대한 정보가 축적 및 저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데이터 베이스부(451C)는 제1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장부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착탈가능한 형태의 저장 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저장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알려진 바와 같이 블록에 데이터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 수많은 컴퓨터에 동시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이다.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부른다.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모든 거래 참여자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나 변조를 할 수 없는 이점이 있다.
제1 저장부는 제1 입력부(451A), 제1 결제부(451B)로부터 매수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블록체인 방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방식으로 저장된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업데이트 이벤트에 매칭되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블록체인 업데이트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1 저장부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저장부는 블록체인 저장 과정, 블록체인 업데이트 과정, 정보 활용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블록체인 저장 과정은, 제1 저장부가, 획득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블록체인 방식으로 저장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제1 저장부가 제1 입력부(451A), 제1 결제부(451B)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해달라는 요청신호인 블록체인 컨펌을 발생시키면, 블록체인 노드는, 해당 블록체인 컨펌 요청에 따라서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인접 노드에 전파하여 블록체인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제1 입력부(451A), 제1 결제부(451B)로부터 획득한 정보라 함은, 영어 학습에 대한 서비스 요청 정보 및 결제 정보,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대한 정보, 로그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정보 중 일부만을 블록체인 방식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블록체인 업데이트 과정은, 블록체인 방식으로 저장된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업데이트 이벤트에 매칭되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블록체인 업데이트 저장이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이를 위하여 블록체인 업데이트 과정은, 블록체인 방식으로 저장된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업데이트 이벤트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정보에 대한 블록체인 업데이트 컨펌을 블록체인 노드에 요청하는 블록체인 업데이트 컨펌 요청 과정과, 블록체인 업데이트 컨펌이 요청되는 경우, 블록체인 노드가, 블록체인 업데이트 컨펌에 기반한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인접 노드에 전파하여 블록체인 업데이트 컨펌을 완료하고, 블록체인 업데이트 컨펌의 완료를 통보하는 블록체인 업데이트 컨펌 완료 통보 과정을 가지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저장부는 업데이터 요청, 업데이터 컨펌 및 업데이터 컨펌 완료를 지시하는 블록체인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보제공부(451D)는 제1 데이터 베이스부(451C)에 입력된 매수인의 정보를 바탕으로 매수인에게 유용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수인의 입력한 부동산 정보 등을 분석하여 매수인의 매수 패턴 / 선호하는 부동산 타입 / 매수인이 선호하는 부동산에 대한 최근 시세 변동 내역에 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제1 전송부(451D)는 제1 데이터 베이스부(451C) 및 제1 정보제공부(451D)에서 제공되는 정보들을 매칭제시부(454)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매도인 단말 연동부(452)는 제2 입력부(452A)와, 제2 결제부(452B), 제2 데이터 베이스부(452C), 제2 정보제공부(452D), 제2 전송부(452E)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입력부(452A)는 매도인 단말(300)에 부동산 매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입력부(452A)는 매도인 단말(300)을 통하여 매도하고자 하는 아파트에 세대주명, 주소, 연락처, 이메일, 아파트 취득일, 아파트에 관한 사진, 전용면적, 방/화장실/주차의 수, 희망매도가 등 또는 전세 및 임대하고자 하는 아파트에 대한 세대주명, 주소, 연락처, 이메일, 아파트 취득일, 아파트에 관한 사진, 전용면적, 방/화장실/주차의 수, 전세/보증금/월세 등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된 정보를 제1 분석부(420), 제2 분석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입력부(452A)는 회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회원 인증 서비스는 매도인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 받아 이를 수집하고, 로그인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제2 결제부(452B)는 수수료 인하율 산출부(434)로부터 전달받은 수수료 인하율 및 할인된 수수료를 매도인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제부(452B)는 계약 완료 후 또는 부동산 매도를 철회하는 경우 매도인이 수수료 결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결제가 완료된 경우 결제완료 메시지를 매도인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베이스부(452C)는 입력된 매도인에 대한 정보 및 산정된 수수료 정보, 매도인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 수수료 인하율 및 할인된 수수료 등을 저장,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매도인들은 매도인 단말(300)을 통하여 제2 데이터 베이스부(452C)에 접근이 가능하고, 자신의 결제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데이터 베이스부(452C)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저장부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착탈가능한 형태의 저장 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저장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록체인의 구성 및 업데이트 과정은, 제1 저장부와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정보제공부(452D)는 제2 데이터 베이스부(452C)에 입력된 매도인에 대한 정보, 수수료 인하율 및 할인된 수수료를 바탕으로 유용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매도인과의 비교데이터 등을 산출하여 경쟁력 지수 데이터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데이터는 제2 전송부(452E)를 통하여 매도인 단말(300)에 전송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공인중개사 단말 연동부(453)는 제3 입력부(453A)와, 제3 결제부(453B), 제3 데이터 베이스부(453C), 제3 정보제공부(453D), 제3 전송부(453E)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입력부(453A)는 공인중개사 단말(500)에 공인중개사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입력부(453A)는 공인중개사 단말(500)을 통하여 근무가능 지역, 근무 가능 시간, 성별, 나이, 근무경력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입력부(453A)는 회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회원 인증 서비스는 매도인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 받아 이를 수집하고, 로그인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제3 결제부(453B)는 후술할 수수료 산정부(454F)로부터 전달받은 수수료를 공인중개사 단말(500)에 전송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결제부(453B)는 해당 계약과 관련된 수수료를 공인중개사가 승인하는 경우, 승인완료 메시지를 매도인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계약 완료 후 해당 수수료에 대한 비용을 공인중개사에게 지급할 수 있다. 공인중개사에게 지급되는 수수료는 계약서작성 대행 및/또는 계약신고 대행에 대한 수수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인중개사에게 지급되는 수수료는 공인중개사가 매도인과 매수인의 부동산 계약을 중개하는 경우 중개수수료 일 수도 있다. 즉, 공인중개사는 매도인과 매수인 사이에 직거래가 성사된 후 매칭되어 계약서작성 대행 및/또는 계약신고 대행 업무를 수행할 수도 있고, 매도인과 매수인을 거래를 중개하여 계약을 체결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매도인과 매수인을 거래를 중개하여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계약 체결 후 해당 계약에 대한계약서작성 대행 및/또는 계약신고 대행 업무 역시 수행할 수도 있다.
제3 데이터 베이스부(453C)는 입력된 공인중개사에 대한 정보 및 산정된 용역 수수료에 대한 정보, 공인중개사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 계약 체결 이력 등을 저장,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공인중개사들은 공인중개사 단말(500)을 통하여 제3 데이터 베이스부(453C)에 접근이 가능하고, 자신의 수수료 지급 내역에 대한 정보, 자신이 수행한 계약, 현재 자신에게 배정된 계약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데이터 베이스부(453C)는 제3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저장부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착탈가능한 형태의 저장 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저장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록체인의 구성 및 업데이트 과정은, 제1 저장부와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3 정보제공부(453D)는 제3 데이터 베이스부(453C)에 입력된 공인중개사에 대한 정보, 용역 수수료, 계약 체결 내역을 바탕으로 유용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공인중개사와의 비교데이터 등을 산출하여 경쟁력 지수 데이터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데이터는 제3 전송부(453E)를 통하여 공인중개사 단말(500)에 전송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서버 저장부(460)는 동의서 전달부(415), 인적사항 요청부(417), 제1 데이터 베이스부(451C), 제2 데이터 베이스부(452C), 제3 데이터 베이스부(453C) 및 매칭제시부(454) 각각에 저장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저장부(460)에는 각 부동산에 대한 시세, 위치, 편의시설 등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서버 통신부(470)는 서버 저장부(460)에 각 부동산에 대한 시세, 위치, 편의시설 등에 대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를 매수인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470)는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수신 받아 서버 저장부(460)로 전송할 수 있다.
매칭제시부(454)는 매수인과 매도인에 대한 계약 매칭과, 해당 계약과 적합한 공인중개사를 매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제시부(454)는 복수의 매수인들(100-1,100-2,..100-M)과 복수의 매도인들(300-1,300-2,..300-N)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적합한 매수인과 매도인을 매칭시킬 수 있다. 또한, 해당 계약을 분석하여 공인중개사 POOL에서 적합한 공인중개사를 매칭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매칭제시부(454)는 매수인 1명과 매도인 1명을 매칭시킬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매칭제시부(454)는 매수인 1명과 매도인 2명 이상을 매칭시킬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매칭제시부(454)는 매수인 2명 이상과 매도인 1명을 매칭 시킬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매칭제시부(454)는 매수인 2명 이상과 매도인 2명 이상을 매칭 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매칭제시부(454)는 계약 1건과 공인중개사 1명을 매칭시킬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매칭제시부(454)는 계약 1건과 공인중개사 2명 이상을 매칭시킬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매칭제시부(454)는 계약 2건 이상과 공인중개사 1명을 매칭 시킬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매칭제시부(454)는 계약 2건 이상과 공인중개사 2명 이상을 매칭 시킬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매칭제시부(454)는 위치 분석부(454A), 매도가 분석부(454B), 계약 매칭부(454C), 공인중개사 매칭부(454D), 모니터링부(454E), 수수료 산정부(454F), 공인중개사 평가부(454G)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분석부(454A)는 매수인이 선호하는 위치와 매도인의 부동산의 위치를 분석하여 매도인의 부동산의 위치를 선호하는 매수인을 분석하여 매도인에게 분석자료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매수인이 선호하는 부동산 위치에 대응하는 매도인의 부동산을 분석하여 매수인에게 분석자료를 전달할 수 있다.
매도가 분석부(454B)는 매수인이 원하는 매수가와 매도인의 부동산의 매도가를 분석하여 매수인의 매수가 범위에 해당하는 매도인의 부동산에 대한 정보를 매수인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는 해당 부동산에 대한 제1 차 정보만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매도인이 원하는 매도가와 매수인의 부동산의 매수가를 분석하여 매도인이 원하는 매도가와 매칭되는 매수인에 대한 정보를 매도인에게 전달할 수 있다.
매칭제시부(454)는 위치 분석부(454A)와 매도가 분석부(454B)를 통하여 제1 차 계약 체결 범위를 설정한다. 즉, 위치와 매도가가 일치하는 매수인들과 매도인들을 추출하여 제1 차 계약 체결 범위를 설정한다. 제1 차 계약 체결 범위는 다수의 매수인과 다수인 매도인을 포함할 수 있다.
계약 매칭부(454C)는 제1 차 계약 체결 범위에 포함된 매수인들과 매도인들에 대한 정보를 제1 데이터 베이스부(451C), 제2 데이터 베이스부(452C)로부터 전달받고, 제2 차 계약 체결 범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매수인들의 매수 희망지역에 대한 정보, 가격대에 대한 정보, 방/화장실/주차대수에 대한 정보, 전용면적/공급면적에 대한 정보, 사용 승인일에 대한 정보, 선호하는 층/향에 대한 정보, 세대수에 대한 정보, 연락처에 대한 정보와 매도인들의 매도하고자 하는 아파트에 세대주명, 주소, 연락처, 이메일, 아파트 취득일, 아파트에 관한 사진, 전용면적, 방/화장실/주차의 수, 희망매도가 등 또는 전세 및 임대하고자 하는 아파트에 대한 세대주명, 주소, 연락처, 이메일, 아파트 취득일, 아파트에 관한 사진, 전용면적, 방/화장실/주차의 수, 전세/보증금/월세 정보를 분석하여 제2 차 계약 체결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제2 차 계약 체결 범위는 1인의 매도인과 다수의 매수인으로 범위를 좁히는 단계이다.
계약 매칭부(454C)는 제2 차 계약 체결 범위에 해당되는 다수의 매수인의 매칭률에 따른 순위를 설정하고, 매칭률이 가장 높은 1순위 매수인부터 순차적으로 계약 여부에 대한 청약을 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매도인 1인과 매수인 1인을 매칭시킨다.
공인중개사 매칭부(454D)는 계약 매칭부(454C)로부터 매칭된 계약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해당 계약을 서포트 할 공인중개사를 매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인중개사 매칭부(454D)는 제3 데이터 베이스부(453C)로부터 공인중개사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매칭된 계약과의 적합한 공인중개사를 1차 선별할 수 있다. 여기서, 공인중개사에 대한 정보는 근무가능 지역, 근무 가능 시간, 성별, 나이, 근무경력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차 선별된 공인중개사들은 적어도 2인 이상일 수 있으며, 1차 선별된 공인중개사들 중에 매칭률이 높은 공인중개사부터 순차적으로 계약을 배정에 대한 승인여부를 요청할 수 있다. 공인중개사의 승인을 통하여 계약과 공인중개사가 매칭될 수 있다. 매칭률이 높은 공인중개사가 승인을 거절하는 경우 후순위 공인중개사에게 계약 배정에 대한 승인여부를 요청한다.
여기서, 공인중개사의 매칭률은 1. 근무가능 지역과 계약 부동산위 위치의 근접 여부, 2. 근무가능 시간대와 매도인 매수인의 일정(현장방문, 계약 체결일 등)의 일치여부, 3. 근무경력, 4. 공인중개사 POOL에 등록된 공인중개사들 중에서 월 한도 수수료 중 기지급된 수수료의 비율을 고려하여 매칭률이 정해질 수 있다. 기준 4의 경우 공인중개사 POOL에 등록된 공인중개사들에게 일정 수준의 수익을 보장하기 위하여, 각각의 공인중개사의 월 한도 수수료를 정하고, 해당 월에 지급된 용역 수수료가 적은 공인중개사에게 매칭률의 가점을 주기 위함이다.
월 한도 수수료는 근무 경력, 계약 체결 횟수 및 공인중개사 평가부의 평가에 따라 각각의 공인중개사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니터링부(454E)는 계약체결의 각각의 단계가 잘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된 공인중개사는 매수인 또는 매도인과 만나는 경우 모니터링부(454E)에 일정을 기입하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 또한, 현장방문, 계약체결일 확정, 계약체결 완료 등의 단계 각각에 대하여 모니터링부(454E)에 일정을 기입하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를 통하여, 부동산 거래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니터링부(454E)는 공인중개사가 매도인과 매수인이 직거래가 체결된 후 계약서작성 대행 및/또는 거래신고 대행을 진행하는 경우, 계약서작성여부 및 거래신고 완료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된 공인중개사는 해당 거래에 대한 계약서작성 및 거래신고에 대하여 모니터링부(454E)에 일정을 기입하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수료 산정부(454F)는 공인중개사가 해당 계약을 완료를 서포트하고 지급받는 수수료이며, 이는 계약 부동산 금액의 일정 비율로 지급받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수료는 공인중개사 POOL에 등록된 공인중개사들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인중개사 POOL에 등록된 공인중개사들 각각의 근무경력, 근무가능 지역 및 시간대, 공인중개사 평가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공인중개사 평가부(454G)는 공인중개사가 배당 받은 업무가 완료된 경우, 해당 계약에 대한 매수인 및 매도인의 공인중개사에 대한 평가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할 수 있다. 매수인 및 매도인의 공인중개사에 대한 평가 항목은 다양한 카테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만족도, 친절성, 전문성, 시간 준수성 등 다양한 항목에 대하여 공인중개사의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공인중개사 평가부(454G)의 공인중개사 평가 자료는 공인중개사의 수수료 산정에 반영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100: 매수인 단말
200: 네트워크
300: 매수인
400: 부동산 직거래 플랫폼
500: 공인중개사 단말

Claims (10)

  1. 매수인 단말로부터 매수인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매수인 단말 연동부;
    매도인 단말로부터 매도인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매도인 단말 연동부;
    공인중개사 단말로부터 공인중개사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공인중개사 단말 연동부;
    상기 매수인 단말 연동부, 상기 매도인 단말 연동부 및 상기 공인중개사 단말과 각각 연결되는 매칭제시부; 및
    상기 매도인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제1 차 정보와 제2 차 정보로 구별하여 상기 매수인에게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제시부는, 상기 매수인의 정보와 상기 매도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공인중개사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매수인과 매도인의 계약을 매칭시키며, 상기 계약을 서포트 할 공인중개사를 매칭시키는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수인 단말에 매수인의 인적사항을 요청하는 인적사항 요청부와,
    상기 매수인의 인적사항을 전달받고, 상기 매수인 단말에 상기 제2 차 정보 열람을 위한 동의서를 제공하는 동의서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 정보는 부동산 전용면적, 위치, 희망매도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차 정보는 매도자에 대한 정보 또는 공인중개사에 대한 정보, 부동산에 대한 사진에 대한 정보, 전용면적에 대한 정보, 부동산 위치에 대한 정보, 방/화장실/주차대수에 대한 정보, 희망매도가에 대한 정보 및 수수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제시부는,
    상기 매수인이 선호하는 위치와 상기 매도인의 부동산의 위치를 분석하고, 상기 매도인의 부동산의 위치를 선호하는 상기 매수인을 분석하여 상기 매도인에게 분석자료를 전달하는 위치 분석부를 포함하는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제시부는,
    상기 매수인이 원하는 매수가와 상기 매도인의 부동산의 매도가를 분석하여 상기 매수인의 매수가 범위에 해당하는 상기 매도인의 부동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매수인에게 전달하는 매도가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제시부는,
    상기 매수인과 상기 매도인의 계약을 매칭시키는 계약 매칭부를 더 포함하는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제시부는,
    상기 매수인과 상기 매도인의 계약을 서포트 할 공인중개사를 매칭시키는 공인중개사 매칭부를 더 포함하는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제시부는,
    상기 매수인과 상기 매도인의 계약의 진행여부를 확인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제시부는,
    상기 공인중개사가 상기 매수인과 상기 매도인의 계약을 완료시키고 지급받는 수수료를 산정하는 수수료 산정부를 더 포함하는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의서 전달부는 매수인의 동의서가 접수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 동의서 접수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차 정보 및 제2 차 정보 중 제1 차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를 모자이크 처리하여 매수인에게 제공하되, 상기 동의서 전달부로부터 상기 동의서 접수 데이터를 전달받은 후, 상기 모자이크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제2 차 정보를 매수인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KR1020220086896A 2022-07-14 2022-07-14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KR20240009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896A KR20240009685A (ko) 2022-07-14 2022-07-14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896A KR20240009685A (ko) 2022-07-14 2022-07-14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685A true KR20240009685A (ko) 2024-01-23

Family

ID=89713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896A KR20240009685A (ko) 2022-07-14 2022-07-14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96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18433A1 (en) Real estate marketplace method and system
US6671674B1 (en) Computer-based auction and sale system
US8160951B2 (en) Trading system and method for institutional athletic and education programs
US90377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product development
US201101535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product development
US200600310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wireless spectrum rights
US89777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product development
JP2018538639A5 (ko)
CA28421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marketing channels in an ip marketplace
US20120316996A1 (en) Method for managing an online market and online market management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200012543A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 및 유통 참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70141166A (ko) 입찰 전문가와 입찰 참여자의 매칭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9906A (ko) 블록체인 기반 중개 시스템
KR101867264B1 (ko) 투자 모집 기반 대출 금융 서비스의 투자자 및 수혜자 금원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19311A (ko) 부동산 물건 공유를 이용한 인터넷 부동산중개방법
US20110093317A1 (en) Combinatorial portfolio aggregations in electronic trade
KR20220009791A (ko) Ai를 이용한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JP6659262B2 (ja) 不動産仲介装置及び不動産仲介方法
KR102516956B1 (ko) 인플루언서와 업체를 매칭시키는 플랫폼 시스템
KR101970387B1 (ko) 투자 모집 기반 대출 금융 서비스의 투자 및 비즈니스 협력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WO2019159322A1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JP2021503638A (ja) オンラインオークション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7445648B2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40009685A (ko)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KR100774261B1 (ko) 보상 처리가 가능한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