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316A -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316A
KR20240009316A KR1020220137544A KR20220137544A KR20240009316A KR 20240009316 A KR20240009316 A KR 20240009316A KR 1020220137544 A KR1020220137544 A KR 1020220137544A KR 20220137544 A KR20220137544 A KR 20220137544A KR 20240009316 A KR20240009316 A KR 20240009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image sensor
frame
lower frame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동준
이승학
김민욱
추경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8/296,90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022817A1/en
Priority to EP23176059.6A priority patent/EP4307698A1/en
Priority to JP2023091868A priority patent/JP2024012095A/ja
Priority to CN202310835387.1A priority patent/CN117412172A/zh
Publication of KR20240009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3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위치하며, 이미지 센서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액츄에이터 및 제2 액츄에이터;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의 가이드 볼;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는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Image sensor actuator,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for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지 센서를 회전시킬 수 있는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의 발달로, 다양한 전자 장치가 우리 생활에 밀착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기능 및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넓은 시인성 확보와 조작의 편의성을 위한 대화면 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주변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미지 센서를 회전시킬 수 있는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은 부피로 수평 이동 및 회전 이동을 구현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력이 인가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도 이미지 센서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위치하며, 이미지 센서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액츄에이터 및 제2 액츄에이터;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의 가이드 볼;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상의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액츄에이터 및 제2 액츄에이터;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액츄에이터 및 제4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의 가이드 볼; 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볼을 수용하는 하부 수용공을 제공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하부 수용공 상의 상부 수용공을 제공하되, 상기 상부 수용공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제1 길이 및 상기 상부 수용공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제2 길이의 각각은, 상기 가이드 볼의 직경보다 커, 상기 가이드 볼은 상기 상부 수용공 내에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의 각각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를 이동시키는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및 상기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상의 AF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상의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액츄에이터;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의 가이드 볼;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츄에이터의 중심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은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를 이용해, 이미지 센서를 제1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 상기 이미지 센서를 상기 제1 방향에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 및 상기 이미지 센서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의 각각에 교차되는 제3 방향을 축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것; 을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위치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액츄에이터 및 제2 액츄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를 상기 제3 방향을 축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제1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2 액츄에이터의 각각에 다른 크기의 파워를 인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에 따르면, 작은 부피로 수평 이동 및 회전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에 따르면, 전력이 인가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도 이미지 센서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를 나타낸 상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X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I-I'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Y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이미지 센서를 수평 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이미지 센서를 수평 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이미지 센서를 회전 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전자 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D1을 제1 방향, 제1 방향(D1)에 교차되는 D2를 제2 방향,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의 각각에 교차되는 D3를 제3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의 각각은 수평 방향이라 칭할 수도 있다. 또한, 제3 방향(D3)은 수직 방향이라 칭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카메라 모듈(M)이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M)은 외부로부터 광 신호를 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일련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M)은 전자 장치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M)은 스마트폰 및/또는 노트북 등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17을 참고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카메라 모듈(M)은 이미지 센서(IMS, 도 3 참고),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B) 및 AF(Auto Focus) 장치(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MS)는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미지 센서(IMS)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MOS Imag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MS)가 변환한 전기적 신호는, 전자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MS)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B)는 이미지 센서(IMS)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B)는 이미지 센서(IMS)를 수평 방향으로 평행 이동 시킬 수 있다. 또는,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B)는 이미지 센서(IMS)를 제3 방향(D3)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B)는 카메라 모듈(M)의 움직임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미지 센서(IMS)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M)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카메라 모듈(M)의 움직임을 보상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M)의 움직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미지 센서(IMS)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 센서(IMS)의 떨림이 보정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B)는 광학식 손떨림 보정 장치(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B)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AF 장치(A)는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B) 상에 위치할 수 있다. AF 장치(A) 내에 렌즈가 배치될 수 있다. AF 장치(A)는 렌즈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AF 장치(A)는 렌즈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AF 장치(A)는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 메커니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를 나타낸 상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B)는 하부 프레임(1), 상부 프레임(3), 액츄에이터, 고정 자석(52), 가이드 볼(BA), 요크(7) 및 커버(9)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은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프레임(1)은 전자 장치(P, 도 17 참고)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은 이미지 센서(IMS)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혹은, 하부 프레임(1)의 일부는 이미지 센서(IMS)를 평면적 관점에서 둘러쌀 수 있다. 하부 프레임(1)은 하부 수용공(113h)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 수용공(113h)에 가이드 볼(BA)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은 볼 가이드 구조체(11) 및 기판(13)을 포함할 수 있다.
볼 가이드 구조체(11)는 볼 가이드 몸체(111) 및 수용 블록(113)을 포함할 수 있다. 볼 가이드 몸체(111)는 사각 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용 블록(113)은 하부 수용공(113h)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하부 수용공(113h)은 수용 블록(113)에 제공될 수 있다. 하부 수용공(113h)은 수용 블록(113)의 상면에서 밑으로 일정 깊이 함입된 구멍일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수용 블록(113)은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용 블록(113)은 4개가 제공될 수 있다. 4개의 수용 블록(113)은 서로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수용공(113h)도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 편의 상 수용 블록(113)과 하부 수용공(113h)은 단수로 서술하도록 한다.
기판(13)은 볼 가이드 구조체(11) 밑에 결합될 수 있다. 기판(13)은 기판 틀(131) 및 연결 기판(133)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 틀(131)은 사각 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판 틀(131)은 볼 가이드 구조체(1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 틀(131)은 볼 가이드 구조체(11)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기판 틀(131)은 연장 수용공(131h)을 제공할 수 있다. 연장 수용공(131h)은 하부 수용공(113h) 밑에 위치할 수 있다. 연장 수용공(131h)은 하부 수용공(113h)에 연결될 수 있다. 연장 수용공(131h)은 기판 틀(131)을 상하로 관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연결 기판(133)은 기판 틀(131)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기판(133)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볼 가이드 구조체(11)가 기판(13)과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고 서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볼 가이드 구조체(11)와 기판(13)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혹은, 기판(13)이 생략될 수도 있다. 혹은, 볼 가이드 구조체(11)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판(13)에 하부 수용공(113h)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부 프레임(3)은 하부 프레임(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3)은 이미지 센서(IMS)를 지지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3)은 하부 프레임(1)에 대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3)은 하부 프레임(1)에 대해 제1 방향(D1)으로 평행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혹은, 상부 프레임(3)은 하부 프레임(1)에 대해 제2 방향(D2)으로 평행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3)은 하부 프레임(1)에 대해 회전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MS)는 상부 프레임(3)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IMS)는 상부 프레임(3)과 함께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3)은 상부 수용공(33h, 도 8 참고)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 수용공(33h)에 가이드 볼(BA)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3)은 상부 프레임 몸체(31), 볼 수용 부재(33) 및 IRCF(Infrared Ray Color Filter, 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 몸체(31)는 사각 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프레임 몸체(31)는 상부 중심공(31h)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 중심공(31h)은 이미지 센서(IMS)를 노출시킬 수 있다.
볼 수용 부재(33)는 상부 프레임 몸체(31)에 결합될 수 있다. 볼 수용 부재(33)는 상부 수용공(33h, 도 8 참고)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부 수용공(33h)은 볼 수용 부재(33)에 제공될 수 있다. 상부 수용공(33h)은 볼 수용 부재(33)의 하면으로부터 위로 일정 깊이 함입된 구멍일 수 있다. 상부 수용공(33h)은 하부 수용공(113h)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볼 수용 부재(33)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볼 수용 부재(33)는 4개가 제공될 수 있다. 4개의 볼 수용 부재(33)는 서로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수용공(33h)도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 편의 상 볼 수용 부재(33)와 상부 수용공(33h)은 단수로 서술하도록 한다.
IRCF(35)는 상부 프레임 몸체(31)에 결합될 수 있다. IRCF(35)는 상부 중심공(31h)에 배치될 수 있다. IRCF(35)는 이미지 센서(IM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IRCF(35)는 적외선을 필터링할 수 있다. 즉, IRCF(35)는 이미지 센서(IMS)에 유입되는 적외선을 필터링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상부 프레임(3)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는 상부 프레임(3)을 하부 프레임(1)에 대해 제1 방향(D1)으로 평행 이동시킬 수 있다. 혹은, 액츄에이터는 상부 프레임(3)을 하부 프레임(1)에 대해 제2 방향(D2)으로 평행 이동시킬 수 있다. 혹은, 액츄에이터는 상부 프레임(3)을 하부 프레임(1)에 대해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3)과 하부 프레임(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VCM(Voice Coil Motor)일 수 있다. 이 경우, 액츄에이터는 자석 및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석은 상부 프레임(3)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석은 상부 프레임 몸체(31)의 하면 상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코일은 하부 프레임(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은 기판 틀(131)의 상면 상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액츄에이터(51), 제2 액츄에이터(53), 제3 액츄에이터(55) 및 제4 액츄에이터(57)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액츄에이터(51)는 상부 프레임(3)을 하부 프레임(1)에 대해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액츄에이터(51)는 제1 자석(511) 및 제1 코일(5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석(511)은 상부 프레임(3)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1 코일(513)은 하부 프레임(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1 자석(511)은 제1 코일(51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자석(511)은 제1 코일(513)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즉, 제1 코일(513)에 전력이 인가되면, 제1 자석(511)이 제1 코일(513)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2 액츄에이터(53)는 상부 프레임(3)을 하부 프레임(1)에 대해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액츄에이터(53)는 제2 자석(531) 및 제2 코일(5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자석(531)은 상부 프레임(3)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2 코일(533)은 하부 프레임(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2 자석(531)은 제2 코일(53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자석(531)은 제2 코일(533)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즉, 제2 코일(533)에 전력이 인가되면, 제2 자석(531)이 제2 코일(533)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3 액츄에이터(55)는 상부 프레임(3)을 하부 프레임(1)에 대해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3 액츄에이터(55)는 제3 자석(551) 및 제3 코일(5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자석(551)은 상부 프레임(3)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3 코일(553)은 하부 프레임(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3 자석(551)은 제3 코일(55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자석(551)은 제3 코일(553)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즉, 제3 코일(553)에 전력이 인가되면, 제3 자석(551)이 제3 코일(553)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4 액츄에이터(57)는 상부 프레임(3)을 하부 프레임(1)에 대해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4 액츄에이터(57)는 제4 자석(571) 및 제4 코일(5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자석(571)은 상부 프레임(3)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4 코일(573)은 하부 프레임(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4 자석(571)은 제4 코일(57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자석(571)은 제4 코일(573)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즉, 제4 코일(573)에 전력이 인가되면, 제4 자석(571)이 제4 코일(573)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고정 자석(52)은 상부 프레임(3)과 하부 프레임(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자석(52)은 상부 프레임 몸체(31)의 하면 상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고정 자석(52)은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고정 자석(521) 및 제2 고정 자석(523)이 제공될 수 있다. 고정 자석(52)과 요크(7) 사이에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가 작동하지 아니한 시점에서, 고정 자석(52)과 요크(7) 간의 인력에 의해 상부 프레임(3)이 하부 프레임(1) 상의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볼(BA)은 상부 프레임(3)과 하부 프레임(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볼(BA)의 일부는 상부 수용공(33h)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볼(BA)의 다른 일부는 하부 수용공(113h)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볼(BA)은, 상부 프레임(3)이 하부 프레임(1)에 대해 이동할 때, 상부 프레임(3)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가이드 볼(BA)은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이드 볼(BA)은 4개가 제공될 수 있다. 4개의 가이드 볼(BA)은 서로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 편의 상 가이드 볼(BA)은 단수로 기술하도록 한다. 가이드 볼(BA)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요크(7)는 하부 프레임(1)을 지지할 수 있다. 요크(7)는 하부 프레임(1)의 밑에 결합될 수 있다. 요크(7)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요크(7)와 고정 자석(52) 간에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커버(9)는 상부 프레임(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9)는 상부 프레임(3) 등을 보호할 수 있다. 커버(9)는 커버 홀(9h)을 제공할 수 있다. 커버 홀(9h)은 이미지 센서(IMS)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미지 센서(IMS)는 센서 칩(SC) 및 센서 기판(G)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칩(SC)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MOS Imag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기판(G)은 센서 칩(SC)을 지지할 수 있다. 센서 기판(G)은 센서 칩(SC)을 평면적 관점에서 둘러쌀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X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I-I'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Y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액츄에이터(51)의 중심(C2)은, 이미지 센서(IMS)의 중심(C1)으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 액츄에이터(51)의 제1 방향(D1)으로의 축(AX2)은, 이미지 센서(IMS)의 제1 방향(D1)으로의 축(AX1)으로부터 일정 거리(d)만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액츄에이터(51)가 상부 프레임(3)을 제1 방향(D1)으로 밀면, 상부 프레임(3)에 회전 모멘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1 액츄에이터(51)와 제2 액츄에이터(53)는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3 액츄에이터(55)는 제1 액츄에이터(51) 및 제2 액츄에이터(53)의 각각으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액츄에이터(55)와 제4 액츄에이터(57)는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6,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부 수용공(33h)과 하부 수용공(113h)은 평면적 관점에서 중첩될 수 있다. 상부 수용공(33h) 및/또는 하부 수용공(113h) 내에 가이드 볼(BA)이 삽입될 수 있다.
상부 수용공(33h)의 제1 방향(D1)으로의 길이는 제1 길이(L1)라 칭할 수 있다. 제1 길이(L1)는 예를 들어 약 1.0mm 내지 약 1.6mm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길이(L1)는 약 1.3mm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부 수용공(33h)의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는 제2 길이(L2)라 칭할 수 있다. 제2 길이(L2)는 예를 들어 약 1.0mm 내지 약 1.6mm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길이(L2)는 약 1.3mm일 수 있다. 제2 길이(L2)는 제1 길이(L1)와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수용공(33h)은 평면적 관점에서 정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들에서, 상부 수용공(33h)의 평면적 관점에서의 면적은, 하부 수용공(113h)의 평면적 관점에서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볼(BA)의 직경(L3)은, 제1 길이(L1)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볼(BA)은 상부 수용공(33h) 내에서 제1 방향(D1)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가이드 볼(BA)의 직경(L3)은, 제2 길이(L2)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볼(BA)은 상부 수용공(33h) 내에서 제2 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제1 길이(L1)는 가이드 볼(BA)의 직경(L3)의 약 1.1배 내지 약 1.5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길이(L1)는 가이드 볼(BA)의 직경(L3)의 약 1.3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S)이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S)은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 카메라 모듈(M, 도 1 참고)을 구동하는 방법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S)은 이미지 센서를 제1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S1), 이미지 센서를 제2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S2), 이미지 센서를 회전 이동시키는 것(S3) 및 이미지 센서를 일정 위치에 고정하는 것(S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이미지 센서를 제1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S1), 이미지 센서를 제2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S2), 이미지 센서를 회전 이동시키는 것(S3) 및 이미지 센서를 일정 위치에 고정하는 것(S4)을 순차적으로 나열하였으나, 그 구동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0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도 9의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S)을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이미지 센서를 수평 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2 및 도 9를 참고하면, 이미지 센서를 제2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S2)은, 제3 액츄에이터(55) 및/또는 제4 액츄에이터(57)를 이용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액츄에이터(55)가 볼 수용 부재(33)를 제2 방향(D2) 및/또는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때 제3 자석(551)이 제3 코일(553) 상에서 제2 방향(D2) 및/또는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프레임(3)이 하부 프레임(1)에 대해 제2 방향(D2) 및/또는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 액츄에이터(51) 및/또는 제2 액츄에이터(53)는, 볼 수용 부재(33)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지 아니하도록 힘을 가할 수도 있다.
상부 프레임(3)의 이동은, 가이드 볼(BA)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이드 볼(BA)의 일측이 상부 수용공(33h)을 정의하는 내측면 및/또는 하부 수용공(113h)을 정의하는 내측면에 접촉하면, 상부 프레임(3)의 이동이 멈출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는 이미지 센서를 수평 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4 및 도 9를 참고하면, 이미지 센서를 제1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S1)은 제1 액츄에이터(51) 및/또는 제2 액츄에이터(53)를 이용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액츄에이터(51)가 볼 수용 부재(33)를 제1 방향(D1) 및/또는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때 제1 자석(511)이 제1 코일(513) 상에서 제1 방향(D1) 및/또는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프레임(3)이 하부 프레임(1)에 대해 제1 방향(D1) 및/또는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3 액츄에이터(55) 및/또는 제4 액츄에이터(57)는, 볼 수용 부재(33)가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지 아니하도록 힘을 가할 수도 있다.
상부 프레임(3)의 이동은, 가이드 볼(BA)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이드 볼(BA)의 일측이 상부 수용공(33h)을 정의하는 내측면 및/또는 하부 수용공(113h)을 정의하는 내측면에 접촉하면, 상부 프레임(3)의 이동이 멈출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은 이미지 센서를 회전 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16 및 도 9를 참고하면, 이미지 센서를 회전 이동시키는 것(S3)은, 제1 액츄에이터(51) 및 제2 액츄에이터(53)의 각각에 다른 크기의 파워를 인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액츄에이터(51)에 인가되는 파워보다, 제2 액츄에이터(53)에 인가되는 파워가 클 수 있다. 또한, 제3 액츄에이터(55)에 인가되는 파워보다, 제4 액츄에이터(57)에 인가되는 파워가 클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프레임(3)은 하부 프레임(1)에 대해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프레임(3)은 하부 프레임(1)에 대해 제3 방향(D3)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3)은 이미지 센서(IMS)의 중심(C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3)의 회전에 따라, 이미지 센서(IMS)도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도 9 및 도 4를 참고하면, 이미지 센서를 일정 위치에 고정하는 것(S4)은 요크(7)와 고정 자석(52) 간에 인력에 의해, 상부 프레임(3)이 요크(7) 상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에 파워가 인가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요크(7)와 고정 자석(52) 간에 인력에 의해, 상부 프레임(3)이 요크(7) 상의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전자 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카메라 모듈(M)이 전자 장치(P)에 적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P)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모듈(M)은 하우징(PB)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 모듈(M)은 다른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에 의하면, 이미지 센서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를 수평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를 다양한 방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떨림이 발생하더라도, 이미지 센서의 떨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에 의하면, 단층(layer)의 가이드 볼만으로, 3가지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즉, 3가지의 움직임을 위해, 여러 종류의 가이드 볼이 요구되지 아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 전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에 의하면, 이미지 센서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츄에이터에 전력이 인가되지 아니한 상황에서, 고정 자석과 요크와의 인력을 이용해 이미지 센서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가 임의로 이동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M: 카메라 모듈
A: AF 장치
B: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1: 하부 프레임
11: 볼 가이드 구조체
113h: 하부 수용공
13: 기판
131h: 연장 수용공
3: 상부 프레임
31: 상부 프레임 몸체
33: 볼 수용 부재
33h: 상부 수용공
35: IRCF
IMS: 이미지 센서
51: 제1 액츄에이터
53: 제2 액츄에이터
55: 제3 액츄에이터
57: 제4 액츄에이터
52: 고정 자석
BA: 가이드 볼
7: 요크
9: 커버

Claims (20)

  1.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위치하며, 이미지 센서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액츄에이터 및 제2 액츄에이터;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의 가이드 볼;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는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츄에이터, 상기 제2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3 액츄에이터의 각각은:
    상기 하부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코일; 및
    상기 상부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자석; 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1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1 액츄에이터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4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4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요크(Yoke)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요크는 금속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볼 가이드 구조체; 및
    상기 볼 가이드 구조체 밑에 결합되는 기판; 을 포함하되,
    상기 볼 가이드 구조체는 상기 가이드 볼을 수용하는 하부 수용공을 제공하는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볼을 수용하는 상부 수용공을 제공하되,
    상기 상부 수용공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길이 및 상기 상부 수용공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의 각각은, 상기 가이드 볼의 직경보다 큰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8.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상의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액츄에이터 및 제2 액츄에이터;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액츄에이터 및 제4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의 가이드 볼; 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볼을 수용하는 하부 수용공을 제공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하부 수용공 상의 상부 수용공을 제공하되,
    상기 상부 수용공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제1 길이 및 상기 상부 수용공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제2 길이의 각각은, 상기 가이드 볼의 직경보다 커, 상기 가이드 볼은 상기 상부 수용공 내에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의 각각으로 이동 가능한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와 상기 제2 길이는 동일한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가이드 볼의 상기 직경의 1.1배 내지 1.5배인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는 1.0mm 내지 1.6mm인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용공의 평면적 관점에서의 면적은, 상기 하부 수용공의 평면적 관점에서의 면적과 동일한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의 고정 자석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 자석은, 상기 제1 액츄에이터, 상기 제2 액츄에이터, 상기 제3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4 액츄에이터의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요크(Yoke)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요크는 금속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 자석과 인력을 형성하는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15.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를 이동시키는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및
    상기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상의 AF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상의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액츄에이터;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의 가이드 볼;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츄에이터의 중심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카메라 모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볼은 복수 개가 제공되되,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볼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볼을 수용하는 하부 수용공을 제공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하부 수용공 상의 상부 수용공을 제공하되,
    상기 상부 수용공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제1 길이 및 상기 상부 수용공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제2 길이의 각각은, 상기 가이드 볼의 직경보다 큰 카메라 모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2 액츄에이터의 각각은:
    상기 하부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코일; 및
    상기 상부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자석;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이미지 센서를 노출시키는 상부 중심공을 제공하는 상부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상부 중심공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에 결합되는 IRCF(Infrared Ray Color Filter); 를 포함하되,
    상기 자석은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의 하면 상에 고정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20.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를 이용해, 이미지 센서를 제1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
    상기 이미지 센서를 상기 제1 방향에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 및
    상기 이미지 센서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의 각각에 교차되는 제3 방향을 축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것; 을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위치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액츄에이터 및 제2 액츄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를 상기 제3 방향을 축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제1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2 액츄에이터의 각각에 다른 크기의 파워를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
KR1020220137544A 2022-07-13 2022-10-24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 KR2024000931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296,904 US20240022817A1 (en) 2022-07-13 2023-04-06 Image sensor stabilization
EP23176059.6A EP4307698A1 (en) 2022-07-13 2023-05-30 Image sensor stabilization
JP2023091868A JP2024012095A (ja) 2022-07-13 2023-06-02 イメージセンサースタビライザー、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駆動方法
CN202310835387.1A CN117412172A (zh) 2022-07-13 2023-07-07 图像传感器稳定器和包括该图像传感器稳定器的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86491 2022-07-13
KR1020220086491 2022-07-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316A true KR20240009316A (ko) 2024-01-22

Family

ID=8971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544A KR20240009316A (ko) 2022-07-13 2022-10-24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93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0126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which include same
US20220014678A1 (en) Lens drive apparatus, camera module and camera
CN106101494B (zh) 透镜移动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相机模块和光学设备
KR101555904B1 (ko) 카메라 모듈
US10928607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TW201518800A (zh) 攝影模組以及包含該模組的可攜式電子裝置
KR102340275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2168727B1 (ko) 흔들림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TWM545928U (zh) 雙鏡頭攝像模組
KR20200023922A (ko)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102319601B1 (ko) 카메라 모듈
US11683587B2 (en) Camera device with optical image stabilization
TW202134765A (zh) 光學圖像穩定化攝像裝置
KR20240009316A (ko) 이미지 센서 스태빌라이져,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
JP2024012095A (ja) イメージセンサースタビライザー、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駆動方法
KR101779816B1 (ko) 틸트 성능이 개선된 af액추에이터
CN217902154U (zh) 光学系统
KR102416241B1 (ko) 카메라 모듈
TWI811683B (zh) 兼具影像補償與自動對焦功能的攝像裝置
CN114257725A (zh) 摄像结构
KR20220136830A (ko) 반사부재 구동 장치
KR20230109081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장치
JP2023540864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光学機器
KR20230109082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