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063A - 피부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가 증진된 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가 증진된 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8063A
KR20240008063A KR1020220084957A KR20220084957A KR20240008063A KR 20240008063 A KR20240008063 A KR 20240008063A KR 1020220084957 A KR1020220084957 A KR 1020220084957A KR 20220084957 A KR20220084957 A KR 20220084957A KR 20240008063 A KR20240008063 A KR 20240008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als
vegetable oil
oil
cosmetic composition
l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희정
신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블유지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블유지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블유지에스
Priority to KR1020220084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8063A/ko
Publication of KR20240008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06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성 오일에 건조한 목련 꽃잎, 해당화 꽃잎 및 매회 꽃잎의 혼합물을 침지한 후 12 ~ 72시간 동안 유지한 다음 분리한 피부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가 증진된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피부 미백 및 주름방지에 대한 식물성 오일의 in-vitro 효과를 증가시키고, 더 나아가 실질적인 피부 흡수를 촉진하여 in-vivo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방지 기능성 화장품의 상품화 내지 상업화를 가능하다.

Description

피부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가 증진된 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vegetable oil with enhanced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
본 발명은 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미백 및 주름방지에 대한 in-vitro 효과가 증진되고 더 나아가 피부 흡수가 향상되어 in-vivo 효과까지 우수한 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며, 내부의 수분 및 유용 성분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장벽기능, 체온조절, 배설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중요한 기관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면서 이러한 기능들이 점차 약화되고 피부의 노화가 진행된다. 특히, 피부 장벽의 기능을 수행하는 지질층의 지질 조성과 함량이 변화하면서 그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어 피부 수분 함량이 감소하게 되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기미, 주근깨, 색소 침착 및 다양한 피부 병변이 유발된다.
피부 주름 형성에 관련이 있는 결합 조직은 주로 콜라겐 섬유(collagen fiber), 세망섬유(reticular fiber), 엘라스틴 섬유(elastic fiber) 등의 섬유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피 조직 내에 있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서로 긴밀하게 관련되어 작용함으로써 피부의 유연성과 탄력을 유지하게 하는 중요한 섬유 조직이다.
콜라겐은 피부의 유연성을 주는 섬유 조직으로서 진피 조직의 약 70%를 차지하는 주요 구성 요소이다. 콜라겐 섬유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은 섬유아세포의 과립형질세망 내에서 양끝에 확장 펩타이드(polypeptide)를 가지고 있는 상태로 합성된 뒤, 3중 나선 구조로 조합된 프로콜라겐 형태로 세포 외로 분비된다.
이렇게 분비된 프로콜라겐은 특정 효소에 의해서 확장펩타이드가 절단되어 트로포콜라겐이 생성되고 이들은 세포외 기질에서 서로 조합되어 콜라겐 섬유가 합성된다. 이러한 콜라겐 섬유의 합성은 피부 노화가 진행되면서 급격히 감소하여, 또한, 외부환경에 의해 콜라겐 섬유가 변형되면서 피부에 주름이 많이 생성되고 깊어지게 된다. 이러한 콜라겐의 분해에는 콜라겐 분해 효소인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가 관여한다.
또한, 엘라스틴은 콜라겐과 마찬가지로 피부의 탄력성을 좌우하는 주요 섬유 조직으로서 그 양은 약 2% 정도로 콜라겐과 비교하여 적은 양이지만 표피를 지탱하는 연결망 조직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피부 탄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엘라스틴은 엘라스타아제(Elastase)라는 분해 효소에 의하여 분해되며, 18~19세까지는 섬유아세포에 의하여 계속 생성되지만 그 이후부터는 생성이 중단되고 이미 생성된 엘라스틴만으로 피부 탄력을 담당해야 하므로 엘라스틴이 한번 약화되면 그 탄력성을 회복하기가 매우 어렵다. 즉, 엘라스틴 섬유의 결핍과 응집, 엘라스타아제의 활성도의 현격한 증가는 피부 주름 생성의 주요 요인이므로, 엘라스틴을 분해할 수 있는 유일한 효소로서 이에 대한 저해는 피부 주름 개선을 근본적으로 줄여 줄 수 있다.
현재, 주름 개선 화장료로는 레티노이드, 아데노신, 동물 태반 유래 단백질, 클로렐라 추출물 등이 있다. 가장 잘 알려진 레티놀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엘라스타아제 효소를 저해하는 물질이지만 불안정하고 피부 적용 시에 자극, 발작 등의 안전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으며, 클로렐라 추출물 등은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또한,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UVA, UVB, UVC로 나눠지는데, UVB (290~320nm)는 주로 피부의 표피층까지 침투하여 멜라닌 (melanin) 합성을 자극하고, UVA(320~400nm)는 진피층까지 도달하여 활성산소의 생성을 유발하며 피부 각질세포 및 진피세포에 손상을 준다.
UV 등의 외부 스트레스는 피부 각질세포로부터 α-MSH와 같은 성장 호르몬과 함께 TGF-beta, PGE2 등을 분비하는데, 이러한 사이토카인류는 멜라노사이트에 존재하는 수용체에 결합하여 세포기능을 활성화 시키며 활성화된 멜라노사이트 (melanocyte)는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페놀류의 고분자 물질인 멜라닌을 합성하는데, 이러한 멜라닌은 외부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방어하는 기전의 일환으로 작용하게 된다.
멜라닌의 합성은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노좀 내에 존재하는 티로시나아제 (tyrosinase)의 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 티로시나아제는 L-티로신을 산화시켜 L-도파 (L-DOPA)를 만드는 티로신 하이드록시라제 (tyrosinehydroxylase)로 작용하며, 도파를 산화시켜 도파퀴논 (DOPAquinone)을 만드는 도파 산화제 (DOPA oxidase)로 작용하여 멜라닌을 합성하는 효소이다. 따라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피부 미백제 개발에는 타이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한편, 멜라노사이트가 활성화되어 멜라닌 세포 생합성 (melanogenesis)가 진행될 때, 아데닐 사이클라아제 (adenylate cyclase)의 활성이 증가하여 cAMP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농도가 증가한다. PKA(protein kinase A)는 cAMP-의존적 단백질 키나제 (protein kinase)로서 각종 효소의 활성을 조절하고, 세포증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KA의 활성 증가는 타이로시나제의 인산화와 활성 증가를 유발하며 이러한 과정은 멜라닌 합성 증가로 이어진다. 따라서, PKA 발현을 억제하는 경우 타이로시나제의 활성화를 방지를 통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게 된다.
미백 화장품의 원료로서 아스코르빈산, 하이드로퀴논, 코직산, 알부틴 및 일부의 화합물들이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있어 이용되고 있으나, 처방 중에서의 안정성이 떨어져 분해되어 착색되거나, 이취의 발생, 생체 레벨에서의 효능, 효과의 불분명 및 안전성 문제 등으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그리고 티로시나제의 억제 효과는 입증되었으나, 실제 생체 레벨과 유사한 실험에서는 그 효과가 낮게 나타난다. 따라서 생체 레벨과 유사한 멜라노사이트 세포 배양에 의한 저해 효과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하이드로퀴논은 발암성 물질로 규정되어 사용이 금지되고 있다. 코직산 및 아스코르빈산은 매우 불안정한 물질로서, 소량 함유한 화장료를 실온에서 수 주일 동안 보관하면 갈변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헤결하기 위하여 오래전부터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미백 효과 기능을 지닌 기존 원료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방제로 사용되고 있는 생약, 야채, 과일 등의 안전성이 뛰어난 식물 추출물로부터 비정상적인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를 가진 추출물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 왔다.
한약재를 이용한 미백 관련 연구 결과, 마황, 마황고 및 사백산의 미백 효과가 보고되었으며 (이상희, 麻黃 및 麻黃膏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01), 서시옥용산 등의 복합처방에 의한 미백효과도 보고되었다(손동석 외, 加減西施玉容散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15(2), pp 104-117, 2002).
또한, 식물성 오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특허 제10-2022-0049714호에는 대마 종실유(cannabis sativa seed oil)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을 개시하고 있으며,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특허 제10-2019-0036269호에는 황매실 종자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마 종실유 등과 같은 식물성 오일의 피부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에 대하여 in-vitro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법, 더 나아가 실질적인 피부 흡수를 촉진하여 in-vivo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지 못하여 식물성 오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이 제품화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특허 제10-2022-0049714호 2, 대한민국 특허공개 특허 제10-2019-0036269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부 미백 및 주름방지에 대한 in-vitro 효과가 증진되고 더 나아가 피부 흡수가 향상되어 in-vivo 효과까지 우수한 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물성 오일에
건조한 목련 꽃잎, 해당화 꽃잎 및 매회 꽃잎의 혼합물을
침지한 후 12 ~ 72시간 동안 유지한 다음
분리한 피부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가 증진된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대마 종실유, 해바라기 종실유, 호호바 오일, 홍화 오일, 아몬드 오일, 카놀라 오일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침지한 후에 식물성 오일을 40 내지 50℃로 가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 및 상기 건조한 꽃잎의 혼합물의 비율은 용량 비로 하여 5:1 내지 15: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건조한 꽃잎 혼합물이 건조 중량비율로 목련 꽃잎 10일 때, 해당화 꽃잎 5, 매화 꽃잎 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피부 미백 및 주름방지에 대한 식물성 오일의 in-vitro 효과를 증가시키고, 더 나아가 실질적인 피부 흡수를 촉진하여 in-vivo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방지 기능성 화장품의 상품화 내지 상업화를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건조 꽃잎을 이용하여 식물성 오일의 피부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를 현저하게 증가시켜 신규하고 진보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물성 오일에
건조한 목련 꽃잎, 해당화 꽃잎 및 매회 꽃잎의 혼합물을
침지한 후 12 ~ 72시간 동안 유지한 다음
분리한 피부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가 증진된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식물성 오일은 화장품에 사용되는 식물성 오일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게는 대마 종실유, 해바라기 종실유, 호호바 오일, 홍화 오일, 아몬드 오일, 카놀라 오일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대마 종실유는 삼씨 오일, 청삼 종실유, 햄프씨드 오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물성 오일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방법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청삼 종실유에 대한 제조방법의 예를 들면, 청삼 종실을 세척하는 세척단계; 세척된 청삼 종실을 탈피하는 탈피단계; 탈피된 청삼 종실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제거단계; 수분 제거된 청삼 종실을 착유하는 착유단계; 및 착유물을 정제하는 정제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건조한 목련 꽃잎, 해당화 꽃잎 및 매회 꽃잎의 혼합물은 식물성 오일 속에 침지되어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 성분이 오일 내로 이행이 되어 in-vitro 및 in-vivo에서 식물성 오일의 피부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를 현저하게 상승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성 오일 및 건조한 꽃잎의 혼합 비율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용량비로 하여 5:1 내지 15:1로 하여 처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상기 건조한 꽃잎 혼합물이 건조 중량비율로 목련 꽃잎 10일 때, 해당화 꽃잎 5, 매화 꽃잎 1일 때 피부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가 현저하게 증가된다.
또한, 꽃잎 내 함유되어 있는 유효 성분을 효율적으로 이행시키기 위하여 식물성 오일에 열을 가할 수 있는데, 본 발명자의 시험 결과 침지한 후에 식물성 오일을 40 내지 50℃로 가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 및 상기 건조한 꽃잎의 혼합물의 비율은 용량비로 하여 2:1 내지 4: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건조한 꽃잎 혼합물이 건조 중량비율로 목련 꽃잎 10일 때, 해당화 꽃잎 5, 매화 꽃잎 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오일 제조>
1. 실시예 1
건조한 목련 꽃잎, 해당화 꽃잎 및 매화 꽃잎을 10:5:1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에 청삼 종실유에 상기 건조 꽃잎 혼합물을 용량 비율 10:1로 침지한 다음에 용기에 넣고 밀봉한 후 48시간 동안 상온에서 보관한 다음 꽃잎을 제거하고 청삼 종실유를 수득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오일을 제조하였다.
2.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다만 침지하는 동안 식물성 오일의 온도를 45℃로 유지한 것에 차이가 있다.
3.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다만 건조한 목련 꽃잎, 해당화 꽃잎 및 매화 꽃잎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에 차이가 있다.
4. 실시예 4
건조한 목련 꽃잎, 해당화 꽃잎 및 매화 꽃잎을 10:5:1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에 해바라기 종실유에 상기 건조 꽃잎 혼합물을 용량 비율 10:1로 침지한 다음에 용기에 넣고 밀봉한 후 48시간 동안 상온에서 보관한 다음 꽃잎을 제거하고 청삼 종실유를 수득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오일을 제조하였다.
5. 실시예 5
실시예 5와 동일하며, 다만 침지하는 동안 식물성 오일의 온도를 45℃로 유지한 것에 차이가 있다.
6. 실시예 6
실시예 5와 동일하며, 다만 건조한 목련 꽃잎, 해당화 꽃잎 및 매화 꽃잎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에 차이가 있다.
<시험예 1: in-vitro 미백 효과 비교 시험>
1,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
실험방법
0.175M sodium phosphate buffer(pH 6.8) 0.5㎖에 기질액인 10mM L-DOPA 0.2㎖ 과 시료용액 0.1㎖을 96 well plate에 넣고 혼합한다. 혼합액에 mushroom tyrosinase (110 U/㎖) 0.2㎖을 첨가하여 25℃에서 2분간 반응시켜 반응액 중에 생성된 DOPA chrome을 475nm에서 측정한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낸다.
저해율(%)= 1-(시료첨가군의 흡광도/시료무첨가군의 흡광도) x 100
실험결과
tyrosinase는 피부 멜라닌 생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melanosome 내에서 tyrosine을 산화시켜 DOPA를 만드는 tyrosine hydroxylase로 DOPA를 산화시켜 DOPA quinone을 만드는 DOPA oxidase로서 작용하여 멜라닌 중합체를 합성하는데 중요한 효소로 작용하므로 tyrosinase 저해 활성을 통하여 미백효과를 알 수 있으며,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험은 실시예 1 및 2의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오일과 아무처리하지 않은 청삼 종실유와 해바라기 종실유를 비교예 1, 2로 하여 실시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Arbutin을 사용하였다.
Sample Concentration (㎍/㎖)
1000
실시예 1 92.6±0.7
실시예 2 94.8±0.6
실시예 3 88.9±1.8
실시예 4 92.1±0.7
실시예 5 94.8±0.8
실시예 6 87.6±0.7
비교예 1 41.6±0.6
비교예 2 44.8±0.7
Arbutin 84.6±0.8
표 1의 결과를 보면,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식물성 오일을 사용한 비교예 1 및 2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양성 대조군인 Arbutin과 비교하였을 때 낮은 수준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오일인 실시예는 Arbutin 보다 높은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건조한 목련 꽃잎, 해당화 꽃잎 및 매화 꽃잎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실시예 3 및 6은 다른 실시예보다 효과의 증가 폭이 작은 것으로 확인되어 꽃잎 혼합 비율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melanin 생합성 저해 활성 측정
실험방법
melanoma cell line인 B16F10 cell을 한국 세포주 은행 (Korean Cell Line Bank)으로부터 구입하였으며, 1% antibiotic (Gibco, USA)과 10%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Grand Island, USA)이 함유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으며, 2일에 한번씩 계대 배양을 실시하였다.
DMEM 배지로 배양된 B16F10 세포를 24 well plate에 2.0 X 104 cells/well로 접종한다.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 후 시료를 농도별로 준비한다. 각각의 농도별 시료와 cell에 자극하기 위하여 자극제인 α-MSH를 200nM로 혼합하여 첨가한다. 37℃, 5% CO2 incubator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배양액을 제거한 후 인산완충액(pH 7.4)으로 각 well을 세척한다. 1N NaOH를 100㎕ 씩 가하여 cell을 떼어낸 후 1.5㎖ tube에 옮겨준다. 80℃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melanin 생합성 저해는 시료 용액의 첨가구와 무 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낸다.
실험결과
표 1의 실험과 동일하게 설정하여 melanin 생합성 저해 활성 측정 결과는 표 2에 나타냈다.
sample Melanin contents (%)
α-MSH(-) -
α-MSH(+, 200nm) 100
α-MSH(+, 200nM) + 실시예 1 1000㎍/㎖ 85.1 ± 1.2
α-MSH(+, 200nM) + 실시예 2 1000㎍/㎖ 90.3 ± 1.3
α-MSH(+, 200nM) + 실시예 3 1000㎍/㎖ 78.2 ± 1.4
α-MSH(+, 200nM) + 실시예 4 1000㎍/㎖ 84.1 ± 1.2
α-MSH(+, 200nM) + 실시예 5 1000㎍/㎖ 89.9 ± 1.4
α-MSH(+, 200nM) + 실시예 6 1000㎍/㎖ 77.1 ± 1.3
α-MSH(+, 200nM) + 비교예 1 1000㎍/㎖ 35.2 ± 1.2
α-MSH(+, 200nM) + 비교예 2 1000㎍/㎖ 38.5 ± 1.4
상기 표 2의 결과를 보면 α-MSH 단독 처리군에 비교하였을 때 실시예 및 비교예 모두에서 멜라닌 합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실시예와 비교예를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오일을 사용한 실시예 가 비교예보다 약 2배 정도로 멜라닌 합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건조한 목련 꽃잎, 해당화 꽃잎 및 매화 꽃잎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실시예 3 및 6은 다른 실시예보다 효과의 증가 폭이 작은 것으로 확인되어 꽃잎 혼합 비율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2: in- vivo 미백 효과 비교 시험>
실험방법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색소침착 저해효과에 대한 in vivo 실험을 하였으며, 시험은 3D 인공피부모델을 이용하였다.
시험군을 정상대조군(정제수 도포), UV 조사대조군(UV + 정제수 도포), 양성대조군(UV + Arbutin 1000㎍/㎖ 도포), 실시예 도포군(UV + 실시예 1000㎍/㎖ 도포), 비교예 도포군(UV + 비교예 1000㎍/㎖ 도포)으로 설정하여 UV를 조사하기 3일 전부터 실험 종료 시까지 약물을 도포하였다.
UV 조사는 도포 30분 뒤에 남아있는 cream을 제거한 뒤 306 nm의 UVB를 방출하는 램프를 이용하여 실행하였으며, UV-meter로 자외선 양을 측정하여 100 mJ/cm, 150 mJ/cm, 200 mJ/cm로 조사량을 점차 증가시키면서 1일 1회각 5일씩 조사하였다.
도포 물질에 따른 색소침착 정도는 색차계를 사용하여 동일부위를 L value 중심으로 측정하였으며, 시료 도포 1일 전부터 시작하여 실험 종료 시까지 1일 1회 시행하였다.
실험결과
정제수를 바르고 UVB를 조사하지 않은 control 그룹과 정제수를 바르고 UVB를 조사한 UVB 그룹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색차계로 측정한 L* value(lightness value)를 하기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3으로 나타냈다.
<수학식>
sample L* value
정상대조군 1.4 ± 0.2
UV 조사대조군 -4.2 ± 0.3
양성대조군 0.1 ± 0.4
실시예 1 도포군 0.5 ± 0.2
실시예 2 도포군 0.6 ± 0.3
실시예 3 도포군 0.3 ± 0.3
실시예 4 도포군 0.4 ± 0.2
실시예 5 도포군 0.6 ± 0.2
실시예 6 도포군 0.3 ± 0.2
비교예 1 도포군 -2.9 ± 0.3
비교예 2 도포군 -2.8 ± 0.3
상기 표 3의 실험 결과, UV 조사대조군을 보면 UVB 조사 시 색소 침착으로 인하여 L* value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Arbutin 도포 시 UV 조사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어 색소 침착을 방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러나 정상대조군과는 조금 차이가 있어 완벽하게 색소 침착을 억제하지는 못한 것으로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는 UV 조사대조군과 비교하여 차이를 나타내어 어느 정도 미백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Arbutin 도포보다 저조한 효과를 보여 in-vivo 효과를 증진시킬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vivo 효과에서 문제를 보인 비교예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오일을 사용한 경우에는 색소 침착을 방지 효과가 확인된 양성대조군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 시험예 3: Elastase 저해 활성을 통한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방지 효능 평가>
시험용액 40㎕에 50mM Tris-HCl buffer (pH 8.6)에 녹인 proporcine pancreas elastase (2.5 U/㎖) 용액 40㎕을 가한 후 기질로 50mM Tris-HCl buffer (pH 8.6)에 녹인 N-succinyl-(L-Ala)3-p-nitroanilide (0.5mg/㎖)을 80㎕ 첨가하여 혼합하였으며.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oleanol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1과 2는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오일을 사용하였다.
Elastase 저해활성은 하기 계산식과 같이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Sample Concentration (100 ㎍/㎖)
실시예 1 85.3±0.6
실시예 2 90.9±0.7
실시예 3 77.5±0.5
실시예 4 84.5±0.7
실시예 5 89.9±0.6
실시에 6 74.3±0.5
비교예 1 58.2±0.6
비교예 2 58.5±0.5
양성대조군 70.6±0.5
인체의 중성구 과립구내에 존재하는 elastase는 동물 결합 조직의 불용성 탄성 섬유 단백질인 elastin을 분해시켜 피부의 진피조직의 그물망 구조 결합을 끊어줌으로써 피부 탄력 증진 감소 및 주름 생성의 주원인 효소로 알려져 있으며, 이의 활성을 억제하는 경우 피부 탄력 증진 유지 내지 회복, 피부 주름 생성을 방지할 수 있는데, 상기 표 4의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교예보다 현저하게 증가혔으며, 특히 양성 대조군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여 그 효과의 현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건조한 목련 꽃잎, 해당화 꽃잎 및 매화 꽃잎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실시예 3 및 6은 다른 실시예보다 효과의 증가 폭이 작은 것으로 확인되어 꽃잎 혼합 비율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4: Collagenase 저해 활성을 통한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방지 효능 평가>
콜라겐(Collagen)을 분해하는 효소인 콜라게나제의 활성 저해 효과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콜라게나제는 쥐의 이자에서 유래한 콜라게나제를 사용하였고, 콜라게나제의 기질로 합성 기질인 N-(3-[2-Furyl]acryloyl)-Leu-Gly-Pro-Ala을 사용하였다. 완충용액은 50mM Tricine, 10mM CaCl2·H2O, 400mM NaCl(pH7.5)이 녹아 있는 용액을 사용하였다. 합성 기질은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10mM의 농도로 녹인 후 최종적으로 75μM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콜라게나제는 4도의 차가운 3차 증류수를 이용하여 1unit/ml 농도로 녹인 후 최종적으로 0.05unit/ml이 되도록 완충 용액을 이용하여 희석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는 최종농도 100ppm에서 실험하였다. 이 때, 양성 대조군은 콜라게나제 저해 효과가 알려진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를 최종농도 100ppm이 되도록 설정하였다. 반응은 96-웰플레이트에서 진행하였으며,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1분 간격으로 34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간 대비 흡광도의 최대 기울기를 구하여 효소의 활성으로 정하여 콜라게나제 저해율을 계신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Sample Concentration (100 ㎍/㎖)
실시예 1 67.5±0.6
실시예 2 73.1±0.7
실시예 3 60.9±0.6
실시예 4 67.9±0.7
실시예 5 73.2±0.5
실시에 6 60.4±0.7
비교예 1 28.9±0.6
비교예 2 28.5±0.5
양성대조군 57.8±0.5
상기 표 2의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교예보다 현저하게 증가혔으며, 특히 양성 대조군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여 그 효과의 현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건조한 목련 꽃잎, 해당화 꽃잎 및 매화 꽃잎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실시예 3 및 6은 다른 실시예보다 효과의 증가 폭이 작은 것으로 확인되어 꽃잎 혼합 비율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피부 미백 및 주름방지에 대한 식물성 오일의 in-vitro 효과를 증가시키고, 더 나아가 실질적인 피부 흡수를 촉진하여 in-vivo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방지 기능성 화장품의 상품화 내지 상업화를 가능하다.

Claims (6)

  1. 식물성 오일에
    건조한 목련 꽃잎, 해당화 꽃잎 및 매회 꽃잎의 혼합물을
    침지한 후 12 ~ 72시간 동안 유지한 다음
    분리한 피부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가 증진된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대마 종실유, 해바라기 종실유, 호호바 오일, 홍화 오일, 아몬드 오일, 카놀라 오일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한 후에 식물성 오일을 40 내지 50℃로 가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 및 건조한 맨드라미꽃잎의 혼합 비율이 용량비로 하여 5:1 내지 1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한 꽃잎 혼합물이 건조 중량비율로 목련 꽃잎 10일 때, 해당화 꽃잎 5, 매화 꽃잎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6.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 연고, 립밤, 멀티밤,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 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클렌징 밤,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20220084957A 2022-07-11 2022-07-11 피부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가 증진된 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20240008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957A KR20240008063A (ko) 2022-07-11 2022-07-11 피부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가 증진된 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957A KR20240008063A (ko) 2022-07-11 2022-07-11 피부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가 증진된 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063A true KR20240008063A (ko) 2024-01-18

Family

ID=89716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957A KR20240008063A (ko) 2022-07-11 2022-07-11 피부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가 증진된 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806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269A (ko) 2017-09-27 2019-04-04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황매실 종자 에센셜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20049714A (ko) 2020-10-15 2022-04-22 바이오랩코리아 주식회사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269A (ko) 2017-09-27 2019-04-04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황매실 종자 에센셜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20049714A (ko) 2020-10-15 2022-04-22 바이오랩코리아 주식회사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516585A (ja) スキンケア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110054022A (ko) 미백제 및 항노화제, 그리고 피부 화장료
KR20160091301A (ko) 브라소카틀레야 마르셀라 코스 난초 추출물 및 피부 탈색제로서의 그의 용도
AU2021274083B2 (en) Extract of Moringa peregrina seed cake, method for obtaining same and use thereof in cosmetic or nutricosmetic compositions
EP3102181B1 (fr) Complexe actif pour un produit cosmétique contre le vieillissement cutané
KR100992088B1 (ko)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744889B1 (ko)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030064059A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1121008B1 (ko) 보습 및 진피 강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30243B1 (ko) 글루타치온, 미세침, 아세틸헥사펩타이드,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노화, 항산화 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403451B1 (ko) 펩타이드 복합체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0801A (ko) 식물 복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8869A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40853A (ko) 아세틸 헥사펩타이드-8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케어 조성물
KR100429590B1 (ko) 감태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240008063A (ko) 피부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가 증진된 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US8217074B2 (en) Use of sargachromenol
KR101884434B1 (ko) 한라송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05556B1 (ko) 색시프라가 캐스피토샤 바. 유니플로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색시프라가 캐스피토샤 바. 유니플로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926179B1 (ko) 해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01272B1 (ko) 백발억제 및 흑모유발 촉진용 조성물
KR20200021180A (ko) 국화, 알로에, 서양송악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57397B1 (ko) 다분자 콜라겐과 카카두 플럼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278071B1 (ko) 거제수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