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694A -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 장치, 기기,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 - Google Patents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 장치, 기기,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694A
KR20240007694A KR1020237045493A KR20237045493A KR20240007694A KR 20240007694 A KR20240007694 A KR 20240007694A KR 1020237045493 A KR1020237045493 A KR 1020237045493A KR 20237045493 A KR20237045493 A KR 20237045493A KR 20240007694 A KR20240007694 A KR 20240007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de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ai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5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슈앙치
Original Assignee
쩌지앙 길리 홀딩 그룹 씨오., 엘티디.
길리 오토모바일 리서치 인스티튜드(닝보)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쩌지앙 길리 홀딩 그룹 씨오., 엘티디., 길리 오토모바일 리서치 인스티튜드(닝보)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쩌지앙 길리 홀딩 그룹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40007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69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07Control means therefor for minimizing the humidity of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1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 B60H1/14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cooling an electric component, e.g. electric motors, electric circuits, fue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9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1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21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arrangements of electric heaters for heating an intermediate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2001/00949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cooling sources, e.g. second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44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humidity
    • B60H2001/324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humidity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5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7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mpress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85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n expansion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02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 장치(400), 기기(500),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승객실에 제습 수요가 있는 것이 검출될 때,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습 부하 및 외부 환경 온도를 획득하고; 그 다음 제습 부하, 외부 환경 온도 및 부하 임계값을 기초로, 제1 제습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되, 해당 제1 제습 모드는 제습 과정에 외부 열교환기를 통해 외부 환경의 열량을 흡수하여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하여 승온시키기 위한 것이고; 그렇다면, 열교환 박스 중 복수의 제1 기설정 위치 상의 공기 온도 및 열교환 매체의 전송 파이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설정 위치 상에서의 과냉도를 기초로, 제1 제습 모드의 제어 명령을 확정하고; 다시 제어 명령을 출력하여, 제1 목표 온도 및 제2 목표 온도가 동시에 제습 기능의 기설정 요구를 만족하도록 한다. 신에너지 자동차에 대해 제습을 수행하는 기술문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 장치, 기기,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
본 출원은 신에너지 자동차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 장치, 기기,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차량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신에너지 자동차는 미래 자동차 발전의 주요 추세가 되었다. 기존 자동차 분야에는 승객실 제어를 위한 많은 솔루션이 있지만, 신에너지 자동차에서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되며, 그 원인은 신에너지 자동차에 고출력 구동 모터와 대용량 배터리가 도입되어 기존 자동차 열 관리에 새로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차내 습도는 승객실 제어에 있어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서, 신에너지 자동차에서 차내 습도 제어를 구현하는 것은 신에너지 자동차의 승차감과 차량 시스템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어떻게 신에너지 자동차의 차내 습도를 제어할지는 본 출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이다.
본 출원의 목적은,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차량 외부 환경 중의 열량을 능동적으로 흡수하여 승객실 중의 공기로 이전하여, 제습 시 에어컨 공기 출구의 온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승객실의 온도를 하나의 적합한 범위 내로 유지하고, 제습 효과를 최적 범위 내로 유지하는 경우, 동시에 에너지도 절약하고, 더 이상 차량 자체 에너지를 사용하여 제습 과정에 보열할 필요가 없다.
제1 측면에서, 본 출원은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을 개시하는 바,
승객실에 제습 수요가 있는 것이 검출될 때,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습 부하 및 외부 환경 온도를 획득하되, 히트펌프 시스템은 외부 열교환기 및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단계;
제습 부하, 외부 환경 온도 및 부하 임계값을 기초로, 제1 제습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되, 제1 제습 모드는 제습 과정에 외부 열교환기를 통해 외부 환경의 열량을 흡수하여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하여 승온시키기 위한 것인 단계;
그렇다면, 공기 전송 열교환 박스 중 복수의 제1 기설정 위치 상의 공기 온도 및 열교환 매체의 전송 파이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설정 위치 상에서의 과냉도를 기초로, 제1 제습 모드의 제어 명령을 확정하되, 제1 기설정 위치는 공기 출구 및 제1 내부 열교환기가 있는 위치의 공기 출구측을 포함하는 단계;
제어 명령을 출력하여, 제1 목표 온도 및 제2 목표 온도가 동시에 제습 기능의 기설정 요구를 만족하도록 하되, 제1 목표 온도는 공기 출구 위치의 공기 온도를 포함하고, 제2 목표 온도는 제1 내부 열교환기가 있는 위치의 공기 출구측의 공기 온도인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 내용에 기반하여, 승객실의 습도가 최적 습도 범위를 초과하거나, 또는 인위적으로 제습 기능을 활성화시켰을 때, 우선 각 차량 탑재 센서를 통해 차내와 차외의 환경 온도를 획득하여, 현재 시각의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습 부하를 계산해 내고, 한편, 외부 환경 온도인 차외 온도가 현재 외부로부터 능동적으로 열량을 흡수하는 것이 적합한지 여부를 반영하고, 제습 부하가 부하 임계값을 초과하고, 외부 열량이 충분할 때, 히트펌프 시스템 상의 외부 열교환기를 통해 능동적으로 외부 환경 중의 열량을 흡수하고, 열교환 매체를 거쳐 승객실로 이전함으로써, 압축기의 제습 모드에서의 전력 출력을 절약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에너지 소모를 절약한다. 다만 이러한 과정에, 공기 출구 지점의 제1 목표 온도 및 제1 내부 열교환기(예컨대 증발기)가 있는 장착 위치의 공기 출구측의 공기 온도인 제2 목표 온도에 대한 제어는, 전체 히트펌프 시스템의 안정성과 안전성에 관련되고, 종래기술에서 두가지를 모두 고려하기 어렵고, 종종 히트펌프 시스템의 진동과 소음을 일으키지만, 본 출원은 열교환 박스에서 다단식 온도 모니터링과 폐 루프 조절을 수행하고, 관건적 위치 상의 열교환 매체 과냉도의 폐 루프 제어를 결합하고, 동시에 공기 출구의 기온과 증발기가 있는 장착 위치의 공기 출구측 공기 기온이 모두 각자의 안전 범위 내에 있도록 하여, 히트펌프 시스템이 외부 환경 열량을 흡수하여 부분 압축기의 출력 파워를 대체할 때 나타나는 안정성과 안전성 문제를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히트펌프 시스템은 제2 내부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제어 명령은 히트펌프 시스템 중의 각 통제 대상에 대해 각각 폐 루프 제어를 수행하는 폐 루프 제어 명령을 포함하고, 통제 대상의 역할은 열교환 매체가 전송 파이프라인에서 병렬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 유동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고, 병렬 순환 경로는 흡열 경로, 제냉 경로 및 보열 경로를 포함하고, 흡열 경로는 제냉 경로와 병렬 연결된 후 다시 보열 경로와 직렬 연결되고;
외부 열교환기는 흡열 경로 상에 위치하고, 제1 내부 열교환기는 제냉 경로 상에 위치하고, 제2 내부 열교환기는 보열 경로 상에 위치하고, 제2 내부 열교환기는 외부 열교환기가 흡수한 열량을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로 전달한다.
압축기를 병렬 순환 경로의 시작/종료점으로 하고, 병렬 연결된 흡열 경로와 제냉 경로가 압축기 지점에서 합류되어, 외부 열교환기와 제1 내부 열교환기의 공저압의 특성을 형성하고, 둘이 동시에 증발 흡열을 수행하고, 외부 열교환기가 흡수한 것은 외부 환경의 열량이고, 제1 내부 열교환기는 승객실 공기의 열량을 흡수하고, 승객실 공기 중의 수증기가 차가운 것을 만나 응결되어 석출되도록 하고, 제냉 제습의 목적을 달성하며, 나아가, 제2 내부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송풍기에 의해 제1 내부 열교환기로 불어가고 응축 제습된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하여 온도를 올림으로써, 제습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제1 내부 열교환기의 온도를 낮춰야 하고 최종적으로 제1 내부 열교환기에 결빙/결상하는 악영향을 방지한다.
일 구현 형태에서, 제1 기설정 위치는 공기 출구 지점 및 제1 내부 열교환기의 장착 위치의 공기 출구측을 포함하고, 대응되는 공기 온도는 제1 목표 온도 및 제3 목표 온도를 포함하고, 제3 목표 온도는 공기 출구측의 공기 온도이고, 제2 기설정 위치는 제2 내부 열교환기의 출력단을 포함하고, 대응되게, 과냉도는 출력단의 목표 과냉도를 포함하고;
열교환 박스 중 복수의 제1 기설정 위치 상의 공기 온도 및 열교환 매체의 전송 파이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설정 위치 상에서의 과냉도를 기초로, 제1 제습 모드의 제어 명령을 확정하는 단계는,
제1 목표 온도 및 제1 폐 루프 제어 모델을 기초로, 압축기의 제1 폐 루프 제어 명령을 확정하는 단계;
목표 과냉도 및 제2 폐 루프 제어 모델을 기초로, 제1 전자 팽창 밸브의 제2 폐 루프 제어 명령을 확정하되, 제1 전자 팽창 밸브는 제2 내부 열교환기의 출력단에 장착되는 단계;
제3 온도 및 제3 폐 루프 제어 모델을 기초로, 제2 전자 팽창 밸브의 제3 폐 루프 제어 명령을 확정하되, 제2 전자 팽창 밸브는 제1 내부 열교환기의 입력단에 장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압축기를 통해 공기 출구 온도에 대해 폐 루프 제어를 수행하며, 종래기술에서 압축기를 사용하여 제1 내부 열교환기가 있는 장착 위치의 공기 출구측의 온도인 제2 목표 온도를 제어하는 것과 비교하여, 본 출원은 압축기를 통해 공기 출구 온도인 제1 목표 온도를 제어하도록 변경하여 더욱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목표에 도달한다. 이때 제1 목표 온도와 제2 목표 온도를 동시에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술적 장애를 극복하고, 종래기술의 어느 한쪽에 치우침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의 진동 문제를 방지한다.
일 구현 형태에서, 열교환 박스 중 복수의 제1 기설정 위치 상의 공기 온도 및 열교환 매체의 전송 파이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설정 위치 상에서의 과냉도를 기초로, 제1 제습 모드의 제어 명령을 확정하는 단계 전에,
외부 환경 온도 및 기설정 제1 대응 관계를 기초로, 제2 전자 팽창 밸브가 동작하는 제1 하한값을 확정하되, 제2 전자 팽창 밸브는 제1 내부 열교환기의 입력단에 장착되는 단계;
승객실 온도, 내순환 백분비, 외순환 백분비 및 송풍기 풍량을 획득하는 단계;
기설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외부 환경 온도, 승객실 온도, 내순환 백분비, 외순환 백분비 및 송풍기 풍량을 기초로, 제2 전자 팽창 밸브가 동작하는 제1 상한값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1 상한값 및 제1 하한값의 역할은 외부 환경 온도가 제1 온도 범위를 초과 시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습 모드를 일시 중지하거나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1 제습 모드의 조절 능력을 제한하여 시스템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확보한다.
일 구현 형태에서, 공기 전송 열교환 박스 중 복수의 제1 기설정 위치 상의 공기 온도 및 열교환 매체의 전송 파이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설정 위치 상에서의 과냉도를 기초로, 제1 제습 모드의 제어 명령을 확정하는 단계 전에,
외부 환경 온도 및 기설정 제2 대응 관계를 기초로, 제1 전자 팽창 밸브가 동작하는 제2 상한값 및 제2 하한값을 확정하되, 제1 전자 팽창 밸브는 제2 내부 열교환기의 출력단에 장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2 상한값 및 제2 하한값의 역할은 외부 환경 온도가 제2 온도 범위를 초과 시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습 모드를 일시 중지하거나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1 제습 모드의 조절 능력을 제한하여 시스템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확보한다.
상술한 두 가지 구현 방식에서, 제1 전자 팽창 밸브 및/또는 제2 전자 팽창 밸브의 개방도의 상한과 하한을 제한하는 것은 외부 환경의 제한 하에, 히트펌프 시스템이 능동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열량이 외부 환경의 온도와 관련된 것이기에, 히트펌프 시스템이 동작 시 객관적인 제한을 무시하고, 전자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지속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시스템 진동을 일으켜, 심각한 소음을 일으키거나, 또는 과도한 개방도 파동 범위에 따라 전자 팽창 밸브가 어떤 때에는 현재 개방도와 제어 명령의 목표 개방도의 차이가 너무 클 때 조정 시간이 너무 길어 시스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상하한 범위를 초과한 후 전자 팽창 밸브의 조절 작용이 이미 실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기가 무효한 목표 개방도를 발송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한을 제한하여, 전체 히트펌프 시스템의 안정을 확보한다.
일 구현 형태에서,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 후에,
제1 전자 팽창 밸브의 개방도가 제2 하한값인 것이 검출되고, 기설정 시간 내에 제2 내부 열교환기의 출력단의 과냉도가 기설정 과냉도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제습 모드를 제2 제습 모드로 전환하고, 제2 제습 모드가 제습 과정에, 배터리 냉각 회로의 열량 또는 가열 기기의 열량을 이용하여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 승온을 수행하되, 제2 온도 임계값은 제1 온도 임계값보다 큰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구현 형태의 경우 제1 제습 모드가 이미 제습 요구를 만족하지 못하거나, 또는 외부 환경의 온도가 너무 낮아, 흡수한 열량이 부족하여, 반드시 차량 내부의 기타 발열 기기의 열량을 사용하여 압축기의 출력 파워를 보충해야 함을 표시한다.
일 구현 형태에서,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 후에,
압축기 입력단의 압력값을 획득하는 단계;
압력값이 제1 압력 임계값보다 작으면, 제1 전자 팽창 밸브의 제2 폐 루프 제어 명령의 출력을 일시 중지하고, 기설정 속도에 따라 제1 전자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증가하는 것으로 전환하고, 압력값이 제2 압력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에 제2 폐 루프 제어 명령의 출력을 회복하되, 제1 전자 팽창 밸브는 제2 내부 열교환기의 출력단에 장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저압단의 압력을 제어하여, 히트펌프 시스템 압력 불균형을 방지한다. 이는 종래기술의 병렬 제습을 사용한 방식은 시스템 진동을 쉽게 야기하기 때문이다.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진동을 감소하거나 또는 시스템 조절 능력을 초과하는 진동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고, 저압단 압력값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본 출원 발명인이 발견한 효과적인 진동 방지 조치이다. 제어 명령의 계산과 실행은 일정한 지연성이 있기 때문에, 저압단 압력값이 제1 압력 임계값보다 낮다는 것은, 이러한 지연에 따른 영향이 전체 시스템의 동작 상태가 제1 제습 모드에서의 시스템의 조절 능력을 초과하거나, 또는 폐 루프 조절이 너무 빨라 시스템 상태가 적시에 뒤따르지 못함을 초래할 수 있음을 표시하며, 이때, 폐 루프 제어를 일시 중지하고 저압단 압력이 회복될 때가지 대기한 후 다시 계속 조절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이 더욱 보장되도록 한다.
일 구현 형태에서,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 후에,
제1 내부 열교환기의 결상 보호 개시 명령에 응답하여, 제2 전자 팽창 밸브를 닫고, 동시에 제2 전자 팽창 밸브의 폐쇄 전의 제1 개방도값을 기록하고, 압축기의 회전 속도가 변하지 않도록 유지하되, 제2 전자 팽창 밸브는 제1 내부 열교환기의 입력단에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내부 열교환기의 결상 보호 폐쇄 명령에 응답하여, 제2 전자 팽창 밸브의 초기 개방도값을 제1 개방도값으로 설정하고, 제2 전자 팽창 밸브에 대한 폐 루프 제어를 회복한다.
제어 전략은 이론 상에서 안전한 것이지만, 실제 응용에서 각 제어 명령의 유효 시간과 실행 시 지연 특성의 모순과 같은 각종 사전에 예견할 수 없는 요소의 영향으로, 여전히 극단적인 경우에 제1 내부 열교환기에 결상 현상이 나타나며, 센서에 의해 결상을 검출한 후에, 즉시 결상 보호를 가동하고, 제1 내부 열교환기의 열교환을 중지하며, 성에가 제거될 때가지 대기한 후 계속 제습을 수행하여, 제1 내부 열교환기 결상/결빙에 따른 제1 내부 열교환기의 파손 위험 상황을 방지하고, 히트펌프 시스템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일 구현 형태에서, 제습 부하, 외부 환경 온도 및 부하 임계값을 기초로, 제1 제습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제습 부하가 부하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외부 환경 온도가 제1 온도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제1 제습 모드로의 진입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구현 형태에서, 제습 부하, 외부 환경 온도 및 부하 임계값을 기초로, 제1 제습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제습 부하가 부하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외부 환경 온도가 제2 온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제2 제습 모드로의 진입을 확정하고, 제2 제습 모드가 제습 과정에, 배터리 냉각 회로의 열량 또는 가열 기기의 열량을 이용하여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 승온을 수행하고, 제2 온도 임계값은 제1 온도 임계값보다 큰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제습 모드로의 진입을 확정하는 단계 후에,
냉각액 순환 시스템 중 배터리 냉각 회로의 수온을 획득하는 단계;
수온 및 공기 출구의 목표 토출 바람 온도를 기초로, 배터리 여열이 보열 요구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렇다면, 대응되는 전자 팽창 밸브를 제어하여 배터리 냉각 회로의 냉각액을 제1 내부 열교환기를 경과 한 후의 공기에 대해 가열하는 온풍 코어에 도입하되, 온풍 코어는 냉각액을 통해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 승온을 수행하기 위한 것인 단계;
그렇지 않다면, 가열 기기를 동작시켜 온풍 코어를 경과하는 냉각액에 대해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외부 환경이 충분한 열량을 제공하지 못할 경우, 차내의 발열 기기로부터 열량을 흡수하여 제습 보열하되, 우선적으로 배터리 냉각 또는 구동 모터 또는 엔진 냉각액 중의 여열을 선택 사용하여 보열을 수행하고, 열 에너지의 회수 관리를 구현하며, 여열이 여전히 만족할 수 없을 때, 자체의 에너지를 사용하여 가열하여, 제습 효과를 확보하는 상황에서, 가능한 한 에너지 소모를 감소하는 효과를 이루고, 이에 따라 더욱 많은 에너지를 차량 주행을 구동하는 데 사용하여 신에너지 차량의 주행 거리를 향상시킨다.
제2 측면에서, 본 출원은 제습 모드의 제어 장치를 개시하는 바,
획득모듈 및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제습 개시 명령에 응답하여,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습 부하 및 외부 환경 온도를 획득하되, 히트펌프 시스템은 외부 열교환기 및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처리모듈은,
제습 부하, 외부 환경 온도 및 부하 임계값을 기초로, 제1 제습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되, 제1 제습 모드는 제습 과정에 외부 열교환기를 통해 외부 환경의 열량을 흡수하여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하여 승온시키기 위한 것이고;
그렇다면, 열교환 박스 중 복수의 제1 기설정 위치 상의 공기 온도 및 열교환 매체의 전송 파이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설정 위치 상에서의 과냉도를 기초로, 제1 제습 모드의 제어 명령을 확정하고;
제어 명령을 출력하여, 제1 목표 온도 및 제2 목표 온도가 동시에 제습 기능의 기설정 요구를 만족하도록 하되, 제1 목표 온도는 공기 출구 위치의 공기 온도를 포함하고, 제2 목표 온도는 제1 내부 열교환기가 있는 위치의 공기 출구측의 공기 온도이다.
제3 측면에서, 본 출원은 전자기기를 개시하는 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와 통신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명령을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명령을 실행하여, 제1 측면 중 어느 하나의 가능한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을 구현한다.
제4 측면에서, 본 출원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개시하는 바,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컴퓨터 실행 명령이 저장되고, 컴퓨터 실행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측면 중 어느 하나의 가능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제5 측면에서,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개시하는 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측면 중 어느 하나의 가능한 방법을 구현한다.
제6 측면에서,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하는 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컴퓨터가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 시, 프로그램 코드는 제1 측면 중 어느 하나의 가능한 방법을 실행한다.
상술한 기술방안을 결합하여, 본 출원은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 장치, 기기,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며, 승객실에 제습 수요가 있는 것이 검출될 때,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습 부하 및 외부 환경 온도를 획득하되, 히트펌프 시스템은 외부 열교환기 및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그 다음 제습 부하, 외부 환경 온도 및 부하 임계값을 기초로, 제1 제습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되, 해당 제1 제습 모드는 제습 과정에 외부 열교환기를 통해 외부 환경의 열량을 흡수하여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하여 승온시키기 위한 것이고; 그렇다면, 열교환 박스 중 복수의 제1 기설정 위치 상의 공기 온도 및 열교환 매체의 전송 파이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설정 위치 상에서의 과냉도를 기초로, 제1 제습 모드의 제어 명령을 확정하고; 다시 제어 명령을 출력하여, 제1 목표 온도 및 제2 목표 온도가 동시에 제습 기능의 기설정 요구를 만족하도록 한다. 신에너지 자동차에 대해 제습을 수행하는 기술문제를 해결하고, 능동적으로 외부 환경의 열량을 흡수하여 제습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을 수행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기술효과를 이룬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차량 탑재 히트펌프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 모드의 제어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방안과 장점이 더욱 명확하도록, 아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물론,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는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초 상에서,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들이지 않고 획득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전부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청구범위 및 상술한 첨부 도면 중의 용어 "제1", "제2", "제3", "제4" 등(만약 존재한다면)은 유사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정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기재할 필요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예를 들어 여기에 도시 또는 기재된 것 이외의 기타 순서로 실시될 수 있도록, 이렇게 사용되는 데이터는 적합한 경우에 서로 호환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용어 "포함”과 "구비”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기기는 명확히 나열된 그러한 단계 또는 유닛에 한정될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것이거나, 이러한 과정, 방법, 제품 또는 기기의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본 출원에 관한 명사에 대해 해석한다.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정온도 계수) 가열기: PTC 세라믹 발열 소자 및 알루미늄관으로 이루어진다. 해당 유형의 PTC 발열체는 열 저항이 낮고, 열교환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으며, 자동 항온, 전력 절약형 전기 가열기이다. 돌출한 특점으로는 안전성능 상에서, 임의의 상황에서도 모두 전기 가열관 유형의 가열기의 표면이 "빨갛게 되는 것"과 같은 현상에 따른 화상, 화재 등 안전 리스크가 일어나는 것이 발생하지 않는다.
차내 승객실의 제습 원리는 수증기가 차가운 것을 만나 응축되어 물방울로 되는 것이다. 구체적인 과정은, 압축기를 통해 증압 후의 냉각제를 응축기로 수송하여 응축 방열한 후, 전자 팽창 밸브를 거쳐 냉각제를 증발기에 입력하고, 냉각제가 증발기 내에서 증발 흡열하여, 증발기 온도를 낮추고, 그 후 냉각제가 압축기로 돌아온다. 차량 탑재 송풍기는 차내 공기를 저온의 증발기로 불어 넣고, 차내 공기는 차가운 것을 만나, 그 내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석출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제냉 제습의 목적을 이룬다. 차량 탑재 에어컨의 제냉 역할로 인해, 차내 공기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내려가도록 하기에, 상술한 제습 과정의 제습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제습 효과를 유지하기 위하여, 차내 공기에 보열하는 방식을 통해, 차내 공기 온도가 상승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순환적으로 제습을 수행할 수 있다.
기존 자동차와 비교하여, 신에너지 자동차는 에너지 관리에 대한 요구가 더욱 높으며, 따라서 제습 과정에 어떻게 에너지를 절약할지는 신에너지 자동차가 어떻게 차내 습도 제어를 수행할지와 같은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영향 요소로 되었다.
본 출원의 발명 구상:
본 출원의 발명인은, 종래 자동차는 에어컨의 히트펌프 시스템을 통해 제냉한 후, 냉각액 순환 시스템의 PTC 가열기를 통해 보열하는 제습 방식으로서, 이의 에너지 소모는 보다 크고, 에너지 관리 요구가 보다 높은 신에너지 자동차의 경우, 에너지 절약 요구를 만족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출원의 발명인은 차내 공기에 대해 보열하는 열 소스는 에너지 절약의 돌파구임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외부 응축기를 통해 차외 환경으로부터 열량을 흡수하여 보열 열 소스의 근원 중 하나로 하여, 압축기가 동작하는 출력 파워의 일부를 대체하고, 이때 차외 환경으로부터 열량을 흡수하여 보열 목표를 구현하기 위해 히트펌프 시스템 중의 각 부재의 제어 방법을 변경해야 한다.
본 출원의 구체적인 응용 시나리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차량 탑재 히트펌프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탑재 히트펌프 시스템은, 압축기(101), 증발기(102), 내부 응축기(103), 외부 응축기(104), 송풍기(105), 전자 팽창 밸브(106), 전자 팽창 밸브(107), 단방향 차단 밸브(108), 솔레노이드 밸브(109), 솔레노이드 밸브(110) 및 공조 박스(12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송풍기(105)는 차내 공기를 흡입하여, 증발기(102)로 불고, 공기 중의 수증기가 차가운 것을 만나 응결되어 석출되어, 제습의 목적에 도달한다. 외부 응축기(104)는 본 출원에서 열교환 매체, 즉 냉매를 통해, 냉매가 증발 흡열하는 방식으로 차외 환경에서 열량을 흡수한 후, 내부 응축기(103)의 역할을 통해 공조 박스(120) 중의 냉각된 공기에 대해 보열 승온하며, 이렇게 순환하여, 차내에 대한 제습 목적을 구현한다. 증발기(102)와 외부 응축기(104)는 병렬 연결되고, 모두 증발하여 흡열하기에, 이 제습 모드는 병렬 제습 모드로 불리울 수도 있다. 하지만 병렬 제습 모드의 원리는 비록 간단하지만, 이 구체적인 제어 과정은 기존 PTC 가열기기로 공기를 가열하는 것보다 더욱 복잡하며, 왜냐 하면 외부 응축기(104)가 기존 공조 시스템에서 하는 역할은 응축 방열 역할이고, 본 출원 중 외부 응축기(104) 중의 냉매는 증발 흡열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기존의 제어 전략에 대해 획기적으로 수정하여, 이 기술적 장애를 극복해야 한다.
병렬 제습은 동시에 증발기 공기 출구측의 목표 공기 온도와 공기 출구의 목표 토출 바람 온도를 만족해야 하기 때문에, 만약 기존 방식에 따라 제어할 경우, 비록 압축기와 전자 팽창 밸브가 예를 들어 압축기가 공기 출구 온도를 제어하고, 증발기 앞의 전자 팽창 밸브가 증발기 공기 출구측 공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과 같은 각각 각자의 제어 목표가 있지만, 압축기가 공기 출구 온도를 제어할 때, 증발기 공기 출구측 공기 온도에 영향을 미치고; 전자 팽창 밸브가 증발기 공기 출구측 공기 온도를 제어할 때, 공기 출구 온도에 영향을 미친다. 압축기와 전자 팽창 밸브는 커플링이 존재하고, 만약 제어를 잘 하지 않으면 필연코 시스템 진동을 야기하고, 최종적으로 토출 바람 온도와 증발기 공기 출구측 공기 온도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없다.
아래 구체적인 실시예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 및 본 출원의 기술방안이 어떻게 상술한 기술문제를 해결하는 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 몇개 구체적인 실시예는 서로 결합될 수 있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개념 또는 과정에 대해 일부 실시예에서 중복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아래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의 구체적인 단계는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201, 승객실에 제습 수요가 있는 것이 검출될 때,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습 부하 및 외부 환경 온도를 획득한다.
본 단계에서, 승객실에 제습 수요가 있다는 것은, 승객실의 습도가 최적 습도 범위(예컨대 50%~70%)를 초과, 인위적으로 제습 기능을 활성화, 및 히트펌프 시스템에 대한 제어가 제습와 동일한 효과를 발생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차내의 습도 센서에 의해 차내 공기 습도가 70%보다 큰 것이 검출될 때, 차량 중앙 제어기가 자동으로 초기 개시 명령을 발송한다.
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습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제습 컨트롤을 터치할 때, 제습 개시 명령을 발송한다.
본 단계에서,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습 부하를 획득하는 단계는,
승객실 온도, 내순환 백분비, 외순환 백분비 및 송풍기 풍량을 획득하는 단계;
기설정 부하 모델을 이용하여, 제1 목표 온도의 기설정 표준값, 외부 환경 온도, 외순환 백분비, 승객실 온도, 내순환 백분비 및 송풍기 풍량을 기초로, 제습 부하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설정 부하 모델은 아래의 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습 부하 = (목표 토출 바람 온도 - 실제 진입 바람 온도) * 송풍기 풍량 * 공기 비열.
여기서, 실제 진입 바람 온도 = 외부 환경 온도 * 외순환 백분비 + 승객실 온도 * 내순환 백분비이다.
외부 환경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는,
차외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통해 차량의 현재 주행 환경의 공기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도로 기반 유닛 또는 빅데이터 플랫폼으로부터, 차량의 현재 포지셔닝 정보(예컨대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의 포지셔닝 정보)에 따라 현재 주행 위치가 속해 있는 기설정 지리 범위 내의 기온을 외부 환경 온도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S202, 제습 부하, 외부 환경 온도 및 부하 임계값을 기초로, 제1 제습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
본 단계에서, 제1 제습 모드는 제습 과정에 외부 열교환기를 통해 외부 환경의 열량을 흡수하여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하여 승온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습 부하가 부하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외부 환경 온도가 기설정 온도 임계값을 초과할 때, 즉 외부 환경이 충분한 보열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을 때, 제1 제습 모드에 진입한다.
본 실시예에서, 히트펌프 시스템은 외부 열교환기, 제1 내부 열교환기, 제2 내부 열교환기, 및 병렬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 유동하는 열교환 매체(냉각제, 냉매라고도 부름)를 포함한다.
병렬 순환 경로는 흡열 경로, 제냉 경로 및 보열 경로를 포함하고, 흡열 경로는 제냉 경로와 병렬 연결된 후 다시 보열 경로와 직렬 연결되고; 외부 열교환기는 흡열 경로 상에 위치하고, 제1 내부 열교환기는 제냉 경로 상에 위치하고, 제2 내부 열교환기는 보열 경로 상에 위치하고, 제2 내부 열교환기는 외부 열교환기가 외부 환경에서 흡수한 열량을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열교환기는 외부 응축기(104)이고, 제1 내부 열교환기는 증발기(102)이고, 제2 내부 열교환기는 내부 응축기(103)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열 경로는 A D 두 점 사이에 있고, 제냉 경로는 B D 두 점 사이에 있고, 보열 경로는 C D 두 점 사이에 있다. 흡열 경로 및 제냉 경로의 입력단과 보열 경로의 출력단은 서로 연결되고, 흡열 경로 및 제냉 경로의 출력단과 보열 경로의 입력단은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흡열 경로 및 제냉 경로의 열교환 매체인 냉매는 공저압인 것이다.
압축기(101)를 병렬 순환 경로의 시작/종료점으로 하고, 병렬 연결된 흡열 경로와 제냉 경로는 압축기(101) 지점에서 합류되어, 외부 열교환기와 제1 내부 열교환기의 공저압의 특성을 형성하고, 둘이 동시에 증발 흡열을 수행하고, 외부 열교환기가 흡수한 것은 외부 환경의 열량이고, 제1 내부 열교환기는 승객실의 공기의 열량을 흡수하여, 승객실의 공기 중의 수증기가 차가운 것을 만나 응결되어 석출되도록 하여, 제냉 제습의 목적을 달성하며, 나아가, 제2 내부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송풍기가 제1 내부 열교환기로 불어 응축 제습된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하여 온도를 상승시켜, 제습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제1 내부 열교환기 온도를 낮추어야 하고 최종적으로 제1 내부 열교환기에 결빙/결상하는 불리한 영향을 방지한다.
S203, 그렇다면, 열교환 박스 중 복수의 제1 기설정 위치 상의 공기 온도 및 열교환 매체의 전송 파이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설정 위치 상에서의 과냉도를 기초로, 제1 제습 모드의 제어 명령을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제1 기설정 위치는 공기 출구 지점 및 제1 내부 열교환기의 장착 위치의 공기 출구측을 포함하고, 대응되는 공기 온도는 제1 목표 온도 및 제2 목표 온도를 포함하고, 제1 목표 온도는 공기 출구 위치의 공기 온도를 포함하고, 제2 목표 온도는 제1 내부 열교환기가 있는 위치의 공기 출구측의 공기 온도이고, 제2 기설정 위치는 열교환 매체의 전송 파이프라인 중 제2 내부 열교환기의 출력단을 포함하고, 대응하게, 과냉도는 출력단의 목표 과냉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목표 온도 및 제1 폐 루프 제어 모델을 기초로, 압축기의 제1 폐 루프 제어 명령을 확정하고;
목표 과냉도 및 제2 폐 루프 제어 모델을 기초로, 제1 전자 팽창 밸브의 제2 폐 루프 제어 명령을 확정하되, 제1 전자 팽창 밸브는 제2 내부 열교환기의 출력단에 장착되고;
제3 온도 및 제3 폐 루프 제어 모델을 기초로, 제2 전자 팽창 밸브의 제3 폐 루프 제어 명령을 확정하되, 제2 전자 팽창 밸브는 제1 내부 열교환기의 입력단에 장착된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제1 폐 루프 제어 모델, 제2 폐 루프 제어 모델 및 제3 폐 루프 제어 모델의 유형은, PI(Proportion Integral) 비례 적분 모델, PID(Proportion Integral Differential) 비례 적분 미분 모델 등을 포함하고,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실제 응용 시나리오에 따라 적합한 모델 및 각 폐 루프 제어 모델의 제어 파라미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S204, 제어 명령을 출력하여, 제1 목표 온도 및 제2 목표 온도가 동시에 제습 기능의 기설정 요구를 만족하도록 한다.
본 단계에서, 제1 목표 온도는 열교환 박스의 공기 출구 지점에서의 공기 온도를 포함하고, 제2 목표 온도는 제1 내부 열교환기의 온도이다.
구체적으로, 압축기, 제1 전자 팽창 밸브 및 제2 전자 팽창 밸브로 각각 대응되는 폐 루프 제어 명령을 발송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팽창 밸브(109)와 전자 팽창 밸브(110)를 열고, 병렬 순환 경로를 개방한 후, 압축기(101)로 제1 폐 루프 제어 명령을 발송하고, 제1 전자 팽창 밸브인 전자 팽창 밸브(106)에 제2 폐 루프 제어 명령을 발송하고, 제2 전자 팽창 밸브인 전자 팽창 밸브(107)에 제3 폐 루프 제어 명령을 발송한다.
압축기(101)를 통해 공조 박스(120)의 공기 출구의 공기 온도를 제어하여, 공기 출구의 공기 온도가 목표 토출 바람 온도에 도달하도록 하고; 제1 전자 팽창 밸브인 전자 팽창 밸브(106)를 통해 제2 내부 열교환기인 내부 응축기(103)의 과냉도를 제어하여, 냉매가 보다 높은 효율 상태에서 동작하고 냉매가 흐르는 소음이 없도록 하며, 제2 전자 팽창 밸브인 전자 팽창 밸브(107)를 통해 증발기(102)의 공기 출구측의 공기 온도를 제어하여, 해당 온도가 목표 바람 온도에 도달하도록 한다. 3자가 종합 작용하여, 제1 목표 온도와 제2 목표 온도가 동시에 기설정 요구를 만족하도록 한다.
기설정 요구는 제1 목표 온도가 제1 기설정 목표값보다 낮지 말아야 하고, 제2 목표 온도가 제2 기설정 목표값보다 낮지 말아야 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목표 온도가 너무 낮으면 차내 공기 온도가 너무 빨리 내려가, 후속 응축 제습 효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원인은 공기 온도가 내려가면 증발기(102)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낮추어 응축 제습의 역할을 구현해야 하며, 하지만 증발기(102)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내려가면 결상 또는 결빙 문제를 일으켜, 증발기(102)가 파손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습이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반드시 동시에 제1 목표값과 제2 목표값을 제어해야 한다. 양자는 불가분의 커플링 관계를 가진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어 스레드를 설치하고, 압축기, 제1 전자 팽창 밸브 및 제2 전자 팽창 밸브에 대해 각각 단독 폐 루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 내용에 기반하여, 승객실의 습도가 최적 습도 범위를 초과하거나, 또는 인위적으로 제습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히트펌프 시스템에 대한 제어가 제습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할 때, 우선 각 차량 탑재 센서를 통해 차내와 차외의 환경 온도를 획득하여, 현재 시각의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습 부하를 계산해 내고, 한편, 외부 환경 온도인 차외 온도가 현재 외부로부터 능동적으로 열량을 흡수하는 것이 적합한지 여부를 반영하였고, 제습 부하가 부하 임계값을 초과하고, 외부 열량이 충분할 때, 히트펌프 시스템 상의 외부 열교환기를 통해 능동적으로 외부 환경 중의 열량을 흡수하고, 열교환 매체를 거쳐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로 이전하여, 제냉 제습으로 나타나는 승객실 온도 감소의 부작용이 평형 또는 개선되도록 하고, 최적 제습 효과를 유지하는 목적에 도달한다. 동시에, 외부 환경의 자연 열량을 사용하여 압축기의 부분 출력 파워를 대체하여, 차량의 에너지 소모도 절약한다. 다만 이러한 과정에서, 공기 출구 지점의 제1 목표 온도 및 제1 내부 열교환기(예컨대 증발기)의 온도인 제2 목표 온도의 제어는, 전체 히트펌프 시스템의 안정성과 안전성에 관련되며, 종래기술에서 양자를 동시에 돌볼 수 없고, 종종 히트펌프 시스템의 진동과 소음을 일으키지만, 본 출원은 열교환 박스 중에서 다단식 온도 모니터링과 폐 루프 조절을 수행하고, 다시 관건 위치 상에서 열교환 매체 과냉도의 폐 루프 제어를 결합하여, 동시에 공기 출구 온도와 증발기 온도가 모두 각자의 안전 범위 내에 있도록 하고, 히트펌프 시스템이 외부 환경 열량을 흡수하여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 온도를 보충할 때 나타나는 안정성 및 안전성 문제를 방지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승객실에 제습 수요가 있는 것이 검출될 때,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습 부하 및 외부 환경 온도를 획득하되, 히트펌프 시스템은 외부 열교환기 및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그 다음 제습 부하, 외부 환경 온도 및 부하 임계값을 기초로, 제1 제습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되, 해당 제1 제습 모드는 제습 과정에 외부 열교환기를 통해 외부 환경의 열량을 흡수하여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하여 승온시키기 위한 것이고; 그렇다면, 열교환 박스 중 복수의 제1 기설정 위치 상의 공기 온도 및 열교환 매체의 전송 파이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설정 위치 상에서의 과냉도를 기초로, 제1 제습 모드의 제어 명령을 확정하고; 다시 제어 명령을 출력하여, 제1 목표 온도 및 제2 목표 온도가 동시에 제습 기능의 기설정 요구를 만족하도록 한다. 신에너지 자동차에 대해 제습을 수행하는 기술문제를 해결하고, 능동적으로 외부 환경의 열량을 흡수하여 제습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을 수행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기술효과를 이룬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301, 승객실에 제습 수요가 있는 것이 검출될 때, 외부 환경 온도, 승객실 온도, 내순환 백분비, 외순환 백분비 및 송풍기 풍량을 획득한다.
본 단계의 상세 해석은 단계(S201)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S302, 기설정 부하 모델을 이용하여, 제1 목표 온도의 기설정 표준값, 외부 환경 온도, 외순환 백분비, 승객실 온도, 내순환 백분비 및 송풍기 풍량을 기초로, 제습 부하를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먼저 송풍기가 승객실 중의 공기를 제1 내부 열교환기로 불어갈 때의 실제 진입 바람 온도를 구한다. 실제 진입 바람 온도 = 외부 환경 온도 * 외순환 백분비 + 승객실 온도 * 내순환 백분비.
설명해야 할 바로는, 차량 내 에어컨을 가동할 때, 공기의 순환 방식은 내순환과 외순환을 포함한다. 내순환은 송풍기가 차내, 즉 승객실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 박스, 즉 공조 박스(120)에 불어 넣어, 공기가 열교환 박스에서 각 열교환기를 거쳐 감온 및/또는 승온 후, 공기 출구로부터 차내, 즉 승객실로 되돌아 오는 것을 말하며, 이렇게 내순환을 이룬다.
하지만 외순환은 송풍기가 차외, 즉 외부 환경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 박스에 불어 넣어, 공기가 열교환 박스 중 각 열교환기를 거쳐 감온 및/또는 승온 후, 공기 출구로부터 차내, 즉 승객실에 불어 넣는 것을 말한다.
차내에 운전자와 승객 등 사용자가 존재하기에, 호흡 작용은 차내 산소를 소모하고,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지도록 할 것이며, 만약 장시간 내순환하면, 사용자의 산소 부족을 일으키기에, 내순환과 외순환에 순환 비율을 분배하여, 산소 부족 현상의 발생을 방지해야 한다.
이는 제습 부하를 확정할 때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해 먼저 실제 진입 바람 온도도 계산해야 하도록 한다.
그 다음, 서로 다른 제습 모드에 설계된 공기 출구의 토출 바람 온도가 서도 다르기에, 제습 부하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초래하며, 따라서, 제1 제습 모드의 초기 설계 요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기설정 공기 출구의 목표 토출 바람 온도를 통해, 제습 부하를 계산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습 부하의 계산 모델은 아래와 같다.
제습 부하 = (목표 토출 바람 온도 - 실제 진입 바람 온도) * 송풍기 풍량 * 공기 비열.
S303, 제습 부하, 외부 환경 온도 및 부하 임계값을 기초로, 제1 제습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
본 단계에서, 제습 부하가 부하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외부 환경 온도가 제1 온도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제1 제습 모드로의 진입을 확정하고, 즉 단계(S304)를 실행하고;
제습 부하가 부하 임계값보다 작고, 외부 환경 온도가 제2 온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제2 제습 모드로의 진입을 확정하고, 즉, 단계(S315)를 실행한다.
제1 제습 모드는 제습 과정에 외부 열교환기를 통해 외부 환경의 열량을 흡수하여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하여 승온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2 제습 모드는 제습 과정에, 배터리 냉각 회로의 열량 및/또는 가열 기기의 열량을 사용하여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 승온시키기 위한 것이고, 제2 온도 임계값은 제1 온도 임계값보다 크다. 제1 제습 모드에서 이미 제습 요구를 만족할 수 없거나, 또는 외부 환경의 온도가 너무 낮아, 흡수한 열량이 제냉 제습 시 내려간 온도를 보충하는데 충분하지 않으면, 반드시 자동차 내부 기타 발열 기기의 열량을 사용하여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보충해야 한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제2 온도 임계값은 제1 온도 임계값보다 크다. 즉, 제습 모드 전환을 수행할 때, 외부 환경 온도에 대해 히스테리시스 처리를 수행해야 하며, 이때, 제2 온도 임계값 = 제1 온도 임계값 + 기설정 온도 차이 이다. 선택적으로, 기설정 온도 차이는 5섭시도 이다.
선택적으로, 부하 임계값은 압축기의 최소 회전수에서의 소모 파워, 또는 기설정 수정 알고리즘을 통해 압축기의 최소 회전수에서의 소모 파워에 대해 수정한 수정값을 포함한다.
S304, 외부 환경 온도 및 기설정 제1 대응 관계를 기초로, 제2 전자 팽창 밸브가 동작하는 제1 하한값을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제2 전자 팽창 밸브는 제1 내부 열교환기의 입력단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부 열교환기는 증발기(102)이고, 제2 전자 팽창 밸브는 증발기(102) 전의 전자 팽창 밸브인 전자 팽창 밸브(107)이다.
S305, 기설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외부 환경 온도, 승객실 온도, 내순환 백분비, 외순환 백분비 및 송풍기 풍량을 기초로, 제2 전자 팽창 밸브가 동작하는 제1 상한값을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먼저 영향 인자의 값을 계산하고, 아래와 같다.
영향 인자 = (외부 환경 온도 * 외순환 백분비 + 승객실 온도 * 내순환 백분비) * 송풍기 풍량
상술한 영향 인자의 계산 결과 및 영향 인자에 대응되는 매핑 관계를 기초로, 대응되는 제2 전자 팽창 밸브가 동작하는 제1 상한값을 확정한다.
S306, 외부 환경 온도 및 기설정 제2 대응 관계를 기초로, 제1 전자 팽창 밸브가 동작하는 제2 상한값 및 제2 하한값을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제1 전자 팽창 밸브는 제2 내부 열교환기의 출력단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팽창 밸브는 전자 팽창 밸브(106)이고, 제2 내부 교환기는 내부 응축기(103)이며, 내부 응축기(103)의 출력단 상에 냉매의 환류를 방지하는 단방향 차단 밸브(108)가 장착된다.
단계(S304-S306)에서, 제1 전자 팽창 밸브 및/또는 제2 전자 팽창 밸브의 개방도의 상한과 하한을 제한하는 이유는, 외부 환경의 제한 하에, 히트펌프 시스템이 능동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열량이 외부 환경의 온도와 관련되며, 히트펌프 시스템이 동작 시 객관적인 제한을 무시하여, 전자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지속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시스템 진동을 일으켜, 심각한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지나치게 큰 개방도 파동 범위로 인해 전자 팽창 밸브가 일부 시각에 현재 개방도와 제어 명령의 목표 개방도 사이의 차이가 지나치게 클 때, 조정 시간이 너무 길고, 시스템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상하한의 범위를 초과한 후 전자 팽창 밸브의 조절 작용이 이미 실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기가 무효한 목표 개방도를 발송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의 상하한을 한정하여, 전체 히트펌프 시스템의 안정을 유지한다.
S307, 제1 목표 온도 및 제1 폐 루프 제어 모델을 기초로, 압축기의 제1 폐 루프 제어 명령을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제1 목표 온도는 열교환 박스의 공기 출구 지점에서의 공기 온도를 포함한다.
S308, 목표 과냉도 및 제2 폐 루프 제어 모델을 기초로, 제1 전자 팽창 밸브의 제2 폐 루프 제어 명령을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목표 과냉도는 열교환 매체인 냉매의 제2 내부 열교환기의 출력단에서의 과냉도를 포함한다.
S309, 제3 온도 및 제3 폐 루프 제어 모델을 기초로, 제2 전자 팽창 밸브의 제3 폐 루프 제어 명령을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제3 온도는 제1 내부 열교환기의 열교환 박스에서의 장착 위치의 공기 출구측의 공기 온도를 포함한다.
S310, 압축기, 제1 전자 팽창 밸브 및 제2 전자 팽창 밸브에 각각 제1 폐 루프 제어 명령, 제2 폐 루프 제어 명령 및 제3 폐 루프 제어 명령을 출력하고, 제1 목표 온도 및 제2 목표 온도가 동시에 제습 기능의 기설정 요구를 만족하도록 한다.
본 단계에서, 제2 목표 온도는 제1 내부 열교환기의 온도이다.
단계(S307~S310)에서, 압축기를 통해 공기 출구 온도에 대해 폐 루프 제어를 수행하며, 종래기술에서 압축기를 사용하여 제1 내부 열교환기가 있는 장착 위치의 공기 출구측의 온도인 제2 목표 온도를 제어하는 것과 비교하여, 본 출원은 압축기를 통해 공기 출구 온도인 제1 목표 온도를 제어하도록 변경하여 더욱 용이하게 안정적 제어 목표에 도달한다. 이때 제1 목표 온도와 제2 목표 온도를 동시에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적 장애를 극복하고, 종래기술의 어느 한쪽에 치우침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의 진동 문제를 방지한다.
S311, 압축기 입력단의 압력값을 획득한다.
본 단계에서, 제1 제습 모드를 실행할 때, 병렬 연결된 보열 경로와 냉각 경로 중의 열교환 매체는 증발 후 공저압값을 가지며, 압축기의 입력단에 압력 센서를 장착하여 실시간으로 이 압력값에 대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S312, 압력값이 제1 압력 임계값보다 작으면, 제1 전자 팽창 밸브의 제2 폐 루프 제어 명령의 출력을 일시 중지하고, 기설정 속도에 따라 제1 전자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증가하는 것으로 전환하고, 압력값이 제2 압력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제2 폐 루프 제어 명령의 출력을 회복한다.
본 단계에서, 압축기 저압단의 압력값이 제1 압력 임계값보다 작으면, 제1 전자 팽창 밸브의 과냉도의 폐 루프 제어를 일시 중지하고, 기설정 속도(예컨대 0.1%/S)로 제1 전자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증가하는 것으로 전환하고, 동시에 실시간으로 압력값이 제2 압력 임계값으로 회복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만약 회복되었으면, 제1 전자 팽창 밸브에 대한 폐 루프 제어를 계속 실행한다.
저압단의 압력을 제어하여, 히트펌프 시스템 압력 불균형을 방지하고, 이는 병렬 제습을 사용하는 방식이 쉽게 시스템 진동을 일으키기에,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진동을 감소하거나 또는 시스템 조절 능력을 초과하는 진동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고, 저압단 압력값을 모니터링 하는 것은 본 출원 발명인이 발견한 효과적인 진동 방지 조치이다. 제어 명령의 계산과 실행은 일정한 지연성이 있기에, 저압단 압력값이 제1 압력 임계값보다 낮을 때, 이러한 지연은 전체 시스템의 동작 상태가 제1 제습 모드에서의 시스템의 조절 능력을 초과하거나, 또는 폐 루프 조절이 너무 빨라 시스템 상태가 적시에 뒤따르지 못함을 초래할 수 있음을 표시하며, 이때, 폐 루프 제어를 일시 중지하고 저압단 압력이 회복될 때가지 대기한 후 다시 계속 조절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이 더욱 보장되도록 한다.
S313, 제1 내부 열교환기의 결상 보호 개시 명령에 응답하여, 제2 전자 팽창 밸브를 닫고, 동시에 제2 전자 팽창 밸브의 폐쇄 전의 제1 개방도값을 기록하고, 압축기의 회전 속도가 변하지 않도록 유지하되, 제2 전자 팽창 밸브는 제1 내부 열교환기의 입력단에 장착된다.
S314, 제1 내부 열교환기의 결상 보호 폐쇄 명령에 응답하여, 제2 전자 팽창 밸브의 초기 개방도값을 제1 개방도값으로 설정하고, 제2 전자 팽창 밸브에 대한 폐 루프 제어를 회복한다.
단계(S313와 S314)의 경우, 비록 제1 제습 모드의 제어 전략은 이론 상에서 안전한 것이지만, 실제 과정에서 사전에 예견할 수 없는 각 요소의 영향으로 인해, 예컨대 각 제어 명령의 유효 시간과 실행 시 지연 특성의 모순으로 인해, 여전히 극단적인 경우에 제1 내부 열교환기에 결상 현상이 나타나며, 센서에 의해 결상을 검출한 후에, 즉시 결상 보호를 가동하고, 제1 내부 열교환기의 열교환을 중지하며, 성에가 제거될 때가지 대기한 후 계속 제습을 수행하여, 제1 내부 열교환기 결상/결빙에 따른 제1 내부 열교환기의 파손 위험 상황을 방지하고, 히트펌프 시스템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S312~S31과 S307~S310는 선후 순서 요구가 없으며, 병행 스레드로 컨트롤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아래의 단계는 제2 제습 모드 중의 단계이다.
S315, 냉각액 순환 시스템 중 배터리 냉각 회로의 수온을 획득한다.
본 단계에서, 차량 탑재 열관리 시스템은 히트펌프 시스템 외에 동력 배터리, 모터, 엔진 등 동력 기기에 대해 열관리를 수행하는 냉각액 순환 시스템도 더 있다. 동력 기기가 동작할 때 대량의 열량을 발생하기에, 일반적으로 냉각액 순환 시스템으로 이에 대 냉각하고, 열량을 외부 환경에 배출한다. 냉각액 파이프라인 상의 기설정 위치의 온도 센서를 통해 배터리 냉각 회로의 수온을 획득할 수 있다.
S316, 수온 및 공기 출구의 목표 토출 바람 온도를 기초로, 배터리 여열이 보열 요구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단계에서, 수온 및 공기 출구의 목표 토출 바람 온도 이 둘을 비교한 온도 차이로부터, 열전달 방향을 알 수 있으며, 다시 냉각액 비열 용량을 기초로, 배터리 냉각 회로 중의 열량이 제습 보열에 요구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얻을 수 있다. 그렇다면, 단계(S317)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S318)을 실행한다.
S317, 대응되는 전자 팽창 밸브를 제어하여 배터리 냉각 회로의 냉각액을 승객실에 대해 가열하는 온풍 코어 상에 도입한다.
본 실시예에서, 온풍 코어는 냉각액으로 승객실에 대해 보열 승온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온풍 코어는 열교환 박스에 장착될 수 있고, 공기 출구 앞에서 공기에 대해 가열한다.
S318, 가열 기기를 가동하여, 온풍 코어를 흘러 경과하는 냉각액에 대해 가열한다.
본 단계에서, 가열 기기는 PTC 가열기를 포함하고, PTC 가열기를 통해 냉각액을 가열한 후, 냉각액이 온풍 코어를 흘러 경과할 때, 열교환 박스 중의 공기에 대해 가열한다.
단계(S315-S318)에 있어서, 외부 환경이 충분한 열량을 제공하지 못할 경우, 차내의 발열 기기로부터 열량을 흡수하여 제습 보열하되, 우선적으로 배터리 냉각 또는 구동 모터 또는 엔진 냉각액 중의 여열을 선택 사용하여 보열을 수행하여, 열 에너지의 회수 관리를 구현하고, 여열이 여전이 만족할 수 없을 때, 자체의 에너지를 사용하여 가열하여, 제습 효과의 확보를 구현하는 경우, 가능한 한 에너지 소모를 감소하는 효과를 이루고, 이에 따라 더욱 많은 에너지를 차량 주행을 구동하는데 사용하여 신에너지 자동차의 주행 거리를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승객실에 제습 수요가 있는 것이 검출될 때,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습 부하 및 외부 환경 온도를 획득하되, 히트펌프 시스템은 외부 열교환기 및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그 다음 제습 부하, 외부 환경 온도 및 부하 임계값을 기초로, 제1 제습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되, 해당 제1 제습 모드는 제습 과정에 외부 열교환기를 통해 외부 환경의 열량을 흡수하여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하여 승온시키기 위한 것이고; 그렇다면, 열교환 박스 중 복수의 제1 기설정 위치 상의 공기 온도 및 열교환 매체의 전송 파이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설정 위치 상에서의 과냉도를 기초로, 제1 제습 모드의 제어 명령을 확정하고; 다시 제어 명령을 출력하여, 제1 목표 온도 및 제2 목표 온도가 동시에 제습 기능의 기설정 요구를 만족하도록 한다. 신에너지 자동차에 대해 제습을 수행하는 기술문제를 해결하고, 능동적으로 외부 환경의 열량을 흡수하여 제습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을 수행하고, 에너지 절약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기술효과를 이룬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 모드의 제어 장치의 구조도이다. 해당 이미지 처리장치(400)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양자의 결합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이미지 처리장치(400)는, 획득모듈(401); 및 처리모듈(402)을 포함하고,
획득모듈(401)은 승객실에 제습 수요가 있는 것이 검출될 때,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습 부하 및 외부 환경 온도를 획득하되, 히트펌프 시스템은 외부 열교환기 및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처리모듈(402)은,
제습 부하, 외부 환경 온도 및 부하 임계값을 기초로, 제1 제습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되, 제1 제습 모드는 제습 과정에 외부 열교환기를 통해 외부 환경의 열량을 흡수하여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하여 승온시키기 위한 것이고;
그렇다면, 공기 전송 열교환 박스 중 복수의 제1 기설정 위치 상의 공기 온도 및 열교환 매체의 전송 파이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설정 위치 상에서의 과냉도를 기초로, 제1 제습 모드의 제어 명령을 확정하되, 제1 기설정 위치는 공기 출구 및 제1 내부 열교환기가 있는 위치의 공기 출구측을 포함하고;
제어 명령을 출력하여, 제1 목표 온도 및 제2 목표 온도가 동시에 제습 기능의 기설정 요구를 만족하도록 하되, 제1 목표 온도는 공기 출구 위치의 공기 온도를 포함하고, 제2 목표 온도는 제1 내부 열교환기가 있는 위치의 공기 출구측의 공기 온도이다.
일 가능한 설계에서, 제어 명령은 히트펌프 시스템 중의 각 통제 대상에 대해 각각 폐 루프 제어를 수행하는 폐 루프 제어 명령을 포함하고, 통제 대상의 역할은 열교환 매체가 전송 파이프라인에서 병렬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 유동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고, 병렬 순환 경로는 흡열 경로, 제냉 경로 및 보열 경로를 포함하고, 흡열 경로는 제냉 경로와 병렬 연결된 후 다시 보열 경로와 직렬 연결되고; 외부 열교환기는 흡열 경로 상에 위치하고, 제1 내부 열교환기는 제냉 경로 상에 위치하고, 히트펌프 시스템은 제2 내부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제2 내부 열교환기는 보열 경로 상에 위치하고, 제2 내부 열교환기는 외부 열교환기가 흡수한 열량을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로 전달한다.
일 가능한 설계에서, 제1 기설정 위치는 공기 출구 지점 및 제1 내부 열교환기의 장착 위치의 공기 출구측을 포함하고, 대응되는 공기 온도는 제1 목표 온도 및 제3 목표 온도를 포함하고, 제3 목표 온도는 공기 출구측의 공기 온도이고, 제2 기설정 위치는 제2 내부 열교환기의 출력단을 포함하고, 대응되게, 과냉도는 출력단의 목표 과냉도를 포함하고;
대응되게, 처리모듈(402)은, 제1 목표 온도 및 제1 폐 루프 제어 모델을 기초로, 압축기의 제1 폐 루프 제어 명령을 확정하고;
목표 과냉도 및 제2 폐 루프 제어 모델을 기초로, 제1 전자 팽창 밸브의 제2 폐 루프 제어 명령을 확정하되, 제1 전자 팽창 밸브는 제2 내부 열교환기의 출력단에 장착되고;
제3 온도 및 제3 폐 루프 제어 모델을 기초로, 제2 전자 팽창 밸브의 제3 폐 루프 제어 명령을 확정하되, 제2 전자 팽창 밸브는 제1 내부 열교환기의 입력단에 장착된다.
일 가능한 설계에서, 획득모듈(401)은, 승객실 온도, 내순환 백분비, 외순환 백분비 및 송풍기 풍량을 획득하고;
처리모듈(402)은, 기설정 부하 모델을 이용하여, 제1 목표 온도의 기설정 표준값, 외부 환경 온도, 외순환 백분비, 승객실 온도, 내순환 백분비 및 송풍기 풍량을 기초로, 제습 부하를 확정한다.
일 가능한 설계에서, 처리모듈(402)은 또한, 외부 환경 온도 및 기설정 제1 대응 관계를 기초로, 제2 전자 팽창 밸브가 동작하는 제1 하한값을 확정하되, 제2 전자 팽창 밸브는 제1 내부 열교환기의 입력단에 장착되고;
획득모듈(401)은 또한, 승객실 온도, 내순환 백분비, 외순환 백분비 및 송풍기 풍량을 획득하고;
처리모듈(402)은 또한, 기설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외부 환경 온도, 승객실 온도, 내순환 백분비, 외순환 백분비 및 송풍기 풍량을 기초로, 제2 전자 팽창 밸브가 동작하는 제1 상한값을 확정하고; 제1 상한값 및 제1 하한값은 외부 환경 온도가 제1 온도 범위를 초과 시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습 모드를 일시 중지하거나 전환한다.
일 가능한 설계에서, 처리모듈(402)은 또한, 외부 환경 온도 및 기설정 제2 대응 관계를 기초로, 제1 전자 팽창 밸브가 동작하는 제2 상한값 및 제2 하한값을 확정하되, 제1 전자 팽창 밸브는 제2 내부 열교환기의 출력단에 장착되고; 제2 상한값 및 제2 하한값은 외부 환경 온도가 제2 온도 범위를 초과할 때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습 모드를 일시 중지하거나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일 가능한 설계에서, 처리모듈(402)은 또한,
제1 전자 팽창 밸브의 개방도가 제2 하한값이고, 기설정 시간 내에 제2 내부 열교환기의 출력단의 과냉도가 기설정 과냉도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음이 검출될 경우, 제습 모드를 제2 제습 모드로 전환하고, 제2 제습 모드는 제습 과정에 배터리 냉각 회로의 열량 또는 가열 기기의 열량을 사용하여 승객실에 대해 보열 승온을 수행하고, 제2 온도 임계값은 제1 온도 임계값보다 크다.
일 가능한 설계에서, 획득모듈(401)은 또한, 압축기 입력단의 압력값을 획득하고;
처리모듈(402)은 또한, 압력값이 제1 압력 임계값보다 작으면, 제1 전자 팽창 밸브의 제2 폐 루프 제어 명령의 출력을 일시 중지하고, 기설정 속도에 따라 제1 전자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증가하는 것으로 전환하고, 압력값이 제2 압력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에 제2 폐 루프 제어 명령의 출력을 회복하되, 제1 전자 팽창 밸브는 제2 내부 열교환기의 출력단에 장착된다.
일 가능한 설계에서, 처리모듈(402)은 또한, 제1 내부 열교환기의 결상 보호 개시 명령에 응답하여, 제2 전자 팽창 밸브를 닫고, 동시에 제2 전자 팽창 밸브의 폐쇄 전의 제1 개방도값을 기록하고, 압축기의 회전 속도가 변하지 않도록 유지하되, 제2 전자 팽창 밸브는 제1 내부 열교환기의 입력단에 장착된다.
일 가능한 설계에서, 처리모듈(402)은 또한, 제1 내부 열교환기의 결상 보호 폐쇄 명령에 응답하여, 제2 전자 팽창 밸브의 초기 개방도값을 제1 개방도값으로 설정하고, 제2 전자 팽창 밸브에 대한 폐 루프 제어를 회복한다.
일 가능한 설계에서, 처리모듈(402)은, 제습 부하가 부하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외부 환경 온도가 제1 온도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제1 제습 모드로의 진입을 확정한다.
일 가능한 설계에서, 처리모듈(402)은, 제습 부하가 부하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외부 환경 온도가 제2 온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제2 제습 모드로의 진입을 확정하고, 제2 제습 모드가 제습 과정에, 배터리 냉각 회로의 열량 또는 가열 기기의 열량을 이용하여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 승온을 수행하고, 제2 온도 임계값은 제1 온도 임계값보다 크다.
일 가능한 설계에서, 획득모듈(401)은 또한, 냉각액 순환 시스템 중 배터리 냉각 회로의 수온을 획득하고;
처리모듈(402)은 또한,
수온 및 공기 출구의 목표 토출 바람 온도를 기초로, 배터리 여열이 보열 요구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렇다면, 대응되는 전자 팽창 밸브를 제어하여 배터리 냉각 회로의 냉각액을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대해 가열하는 온풍 코어에 도입하되, 온풍 코어는 냉각액으로 승객실에 대해 보열 승온하기 위한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가열 기기를 동작시켜 온풍 코어를 경과하는 냉각액에 대해 가열한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상술한 임의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할 수 있고, 그 구체적인 구현 원리, 기술특징, 전문 명사 해석 및 기술효과는 유사하기에, 여기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전자기기(5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01)와 메모리(5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은 하나의 프로세서를 예로 한 전자기기이다.
메모리(502)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조작 명령을 포함한다.
메모리(502)는 고속 RAM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메모리와 같은 비 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501)는 메모리(502)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각 방법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프로세서(501)는 하나의 중앙프로세서(central processing unit, CPU로 약칭), 또는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으로 약칭), 또는 본 출원의 실시예를 실시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복수의 집적회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메모리(502)는 독립적인 것일 수 있고, 프로세서(501)와 함께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502)가 프로세서(501)에 대해 독립된 소자일 때, 상기 전자기기(500)는,
상기 프로세서(501) 및 상기 메모리(502)를 연결하기 위한 버스(5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스는 공업 표준 체계 구조(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ISA로 약칭) 버스, 외부 기기 인터커넥트(Peripheral Component, PCI로 약칭) 버스 또는 확장 공업 표준 체계 구조(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EISA로 약칭) 버스 등 일 수 있다. 버스는 주소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하나의 버스 또는 한가지 유형의 버스만 있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구체적으로 구현 시, 메모리(502)와 프로세서(501)가 하나의 칩에 집적되어 구현되면, 메모리(502)와 프로세서(501)는 내부 포트를 통해 통신을 완성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더 제공하며,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U 디스크, 이동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프로그램 명령이 저장되고, 프로그램 명령은 상술한 각 방법 실시예의 방법을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는 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각 방법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하는 바,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각 방법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한다.
이상의 것은 단지 본 출원의 구체적이 실시형태일 뿐,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변경과 대체를 쉽게 생각해 낼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18)

  1.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승객실에 제습 수요가 있는 것이 검출될 때,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습 부하 및 외부 환경 온도를 획득하되,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외부 열교환기 및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습 부하, 상기 외부 환경 온도 및 부하 임계값을 기초로, 제1 제습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제1 제습 모드는 제습 과정에 상기 외부 열교환기를 통해 외부 환경의 열량을 흡수하여 상기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 승온을 수행하는 단계;
    그렇다면, 열교환 박스 중 복수의 제1 기설정 위치 상의 공기 온도 및 열교환 매체의 전송 파이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설정 위치 상에서의 과냉도를 기초로, 상기 제1 제습 모드의 제어 명령을 확정하되, 상기 제1 기설정 위치는 공기 출구 및 상기 제1 내부 열교환기가 있는 위치의 공기 출구측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명령을 출력하여, 제1 목표 온도 및 제2 목표 온도가 동시에 제습 기능의 기설정 요구를 만족하도록 하되, 상기 제1 목표 온도는 상기 공기 출구의 공기 온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목표 온도는 상기 공기 출구측의 공기 온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습 모드에서,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 중 각 통제 대상에 대해 각각 폐 루프 제어를 수행하는 폐 루프 제어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통제 대상의 역할은 상기 열교환 매체가 상기 전송 파이프라인에서 병렬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 유동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병렬 순환 경로는 흡열 경로, 제냉 경로 및 보열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흡열 경로와 상기 제냉 경로를 병렬 연결한 후 다시 상기 보열 경로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외부 열교환기는 상기 흡열 경로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내부 열교환기는 상기 제냉 경로 상에 위치하고,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제2 내부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내부 열교환기는 상기 보열 경로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내부 열교환기는 상기 외부 열교환기가 흡수한 열량을 상기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설정 위치는 상기 제2 내부 열교환기의 출력단을 포함하고, 대응되게, 상기 과냉도는 상기 출력단의 목표 과냉도를 포함하고;
    열교환 박스 중 복수의 제1 기설정 위치 상의 공기 온도 및 열교환 매체의 전송 파이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설정 위치 상에서의 과냉도를 기초로, 상기 제1 제습 모드의 제어 명령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목표 온도 및 제1 폐 루프 제어 모델을 기초로, 압축기의 제1 폐 루프 제어 명령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과냉도 및 제2 폐 루프 제어 모델을 기초로, 제1 전자 팽창 밸브의 제2 폐 루프 제어 명령을 확정하되, 상기 제1 전자 팽창 밸브는 상기 제2 내부 열교환기의 출력단에 장착되는 단계;
    상기 제2 온도 및 제3 폐 루프 제어 모델을 기초로, 제2 전자 팽창 밸브의 제3 폐 루프 제어 명령을 확정하되, 상기 제2 전자 팽창 밸브는 상기 제1 내부 열교환기의 입력단에 장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습 부하를 획득하는 단계는,
    승객실 온도, 내순환 백분비, 외순환 백분비 및 송풍기 풍량을 획득하는 단계;
    기설정 부하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목표 온도의 기설정 표준값, 상기 외부 환경 온도, 상기 외순환 백분비, 상기 승객실 온도, 상기 내순환 백분비 및 상기 송풍기 풍량을 기초로, 상기 제습 부하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전송 열교환 박스 중 복수의 제1 기설정 위치 상의 공기 온도 및 열교환 매체의 전송 파이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설정 위치 상에서의 과냉도를 기초로, 상기 제1 제습 모드의 제어 명령을 확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외부 환경 온도 및 기설정 제1 대응 관계를 기초로, 제2 전자 팽창 밸브가 동작하는 제1 하한값을 확정하되, 상기 제2 전자 팽창 밸브는 상기 제1 내부 열교환기의 입력단에 장착되는 단계;
    승객실 온도, 내순환 백분비, 외순환 백분비 및 송풍기 풍량을 획득하는 단계;
    기설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환경 온도, 상기 승객실 온도, 상기 내순환 백분비, 상기 외순환 백분비 및 상기 송풍기 풍량을 기초로, 상기 제2 전자 팽창 밸브가 동작하는 제1 상한값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전송 열교환 박스 중 복수의 제1 기설정 위치 상의 공기 온도 및 열교환 매체의 전송 파이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설정 위치 상에서의 과냉도를 기초로, 상기 제1 제습 모드의 제어 명령을 확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외부 환경 온도 및 기설정 제2 대응 관계를 기초로, 제1 전자 팽창 밸브가 동작하는 제2 상한값 및 제2 하한값을 확정하되, 상기 제1 전자 팽창 밸브는 상기 제2 내부 열교환기의 출력단에 장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1 전자 팽창 밸브의 개방도가 상기 제2 하한값인 것이 검출되고, 기설정 시간 내 상기 제2 내부 열교환기의 출력단의 과냉도가 기설정 과냉도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제습 모드를 제2 제습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제습 모드가 제습 과정에, 배터리 냉각 회로의 열량 또는 가열 기기의 열량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 승온을 수행하되, 상기 제2 온도 임계값은 상기 제1 온도 임계값보다 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 후에,
    압축기 입력단의 압력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압력값이 제1 압력 임계값보다 작으면, 제1 전자 팽창 밸브의 제2 폐 루프 제어 명령의 출력을 일시 중지하고, 기설정 속도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팽창 밸브의 개방도를 증가하는 것으로 전환하고, 상기 압력값이 제2 압력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에 상기 제2 폐 루프 제어 명령의 출력을 회복하되, 상기 제1 전자 팽창 밸브는 상기 제2 내부 열교환기의 출력단에 장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내부 열교환기의 결상 보호 개시 명령에 응답하여, 제2 전자 팽창 밸브를 닫고, 동시에 상기 제2 전자 팽창 밸브의 폐쇄 전의 제1 개방도값을 기록하고, 압축기의 회전 속도가 변하지 않도록 유지하되, 상기 제2 전자 팽창 밸브는 상기 제1 내부 열교환기의 입력단에 장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팽창 밸브를 닫고, 압축기의 회전 속도가 변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내부 열교환기의 결상 보호 폐쇄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팽창 밸브의 초기 개방도값을 상기 제1 개방도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전자 팽창 밸브에 대한 폐 루프 제어를 회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부하, 상기 외부 환경 온도 및 부하 임계값을 기초로, 제1 제습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습 부하가 상기 부하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외부 환경 온도가 제1 온도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제1 제습 모드로의 진입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부하, 상기 외부 환경 온도 및 부하 임계값을 기초로, 제1 제습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습 부하가 상기 부하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외부 환경 온도가 제2 온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제2 제습 모드로의 진입을 확정하고, 상기 제2 제습 모드가 제습 과정에, 배터리 냉각 회로의 열량 또는 가열 기기의 열량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 승온을 수행하되, 상기 제2 온도 임계값은 상기 제1 온도 임계값보다 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습 모드로의 진입을 확정하는 단계 후에,
    냉각액 순환 시스템 중 배터리 냉각 회로의 수온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수온 및 공기 출구의 목표 토출 바람 온도를 기초로, 배터리 여열이 보열 요구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렇다면, 대응되는 전자 팽창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 냉각 회로의 냉각액을 온풍 코어로 도입하되, 상기 온풍 코어는 상기 냉각액을 통해 상기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 승온을 수행하기 위한 것인 단계;
    그렇지 않으면, 가열 기기를 가동하여, 상기 온풍 코어를 흐르는 냉각액에 대해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획득모듈; 및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모듈은 승객실에 제습 수요가 있는 것이 검출될 때,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습 부하 및 외부 환경 온도를 획득하되,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외부 열교환기 및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모듈은,
    상기 제습 부하, 상기 외부 환경 온도 및 부하 임계값을 기초로, 제1 제습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제1 제습 모드는 제습 과정에 상기 외부 열교환기를 통해 외부 환경의 열량을 흡수하여 상기 제1 내부 열교환기를 흘러 경과한 후의 공기에 대해 보열하여 승온시키기 위한 것이고;
    그렇다면, 공기 전송 열교환 박스 중 복수의 제1 기설정 위치 상의 공기 온도 및 열교환 매체의 전송 파이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설정 위치 상에서의 과냉도를 기초로, 상기 제1 제습 모드의 제어 명령을 확정하되, 상기 제1 기설정 위치는 공기 출구 및 상기 제1 내부 열교환기가 있는 위치의 공기 출구측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출력하여, 제1 목표 온도 및 제2 목표 온도가 동시에 제습 기능의 기설정 요구를 만족하도록 하되, 상기 제1 목표 온도는 상기 공기 출구 지점의 공기 온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목표 온도는 상기 공기 출구측의 공기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모드의 제어 장치.
  15.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명령을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6.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컴퓨터 실행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실행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17.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8.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컴퓨터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 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제1항 내지 제13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37045493A 2021-10-29 2021-10-29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 장치, 기기,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 KR202400076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127729 WO2023070606A1 (zh) 2021-10-29 2021-10-29 除湿模式的控制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694A true KR20240007694A (ko) 2024-01-16

Family

ID=8615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5493A KR20240007694A (ko) 2021-10-29 2021-10-29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 장치, 기기,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44910A4 (ko)
KR (1) KR20240007694A (ko)
CN (1) CN117561176A (ko)
WO (1) WO2023070606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26071A (zh) * 2008-10-20 2010-06-09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具有湿度调节的车载空调
JP2011068156A (ja) * 2009-09-22 2011-04-07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CN108656895A (zh) * 2018-04-28 2018-10-1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空调调节方法
CN110789290B (zh) * 2018-08-01 2023-04-07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用热泵系统的空调箱及其通风策略
JP2020082912A (ja) * 2018-11-20 2020-06-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CN110774860A (zh) * 2019-10-23 2020-02-11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热管理系统的控制方法及电动汽车
CN113085485A (zh) * 2021-04-29 2021-07-09 吉林大学 一种纯电动汽车用整车集成化热管理系统
CN113022261B (zh) * 2021-04-29 2022-09-16 上海加冷松芝汽车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车用热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44910A4 (en) 2024-05-29
CN117561176A (zh) 2024-02-13
EP4344910A1 (en) 2024-04-03
WO2023070606A1 (zh)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5325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5860360B2 (ja) 電動車両用熱管理システム
JP6192435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6710061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WO2019039153A1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7221639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4142551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9138707A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18177219A (ja) 車両用熱管理装置
US11203251B2 (en)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CN103994540A (zh) 车辆用空气调节装置
WO2020235263A1 (ja) 車両搭載機器の温度調整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用空気調和装置
WO2017179597A1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WO2017208834A1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20240123789A1 (en) Vehicle heat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device, medium, and program product
JP6997567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CN111629919A (zh) 车辆用空气调节装置
WO2018110211A1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14225981A (ja) 車両の制御装置、熱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車両の制御方法
KR10169396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난방시스템 및 하이브리드 차량용 난방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40007694A (ko) 제습 모드의 제어 방법, 장치, 기기,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
JP2014223866A (ja) 車両用空調装置、及び車両用空調装置の制御方法
WO2017150735A1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7233953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7387520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