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313A - 시링 산(Syringic acid)을 표준물질로 함유하는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기능성 필름 소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시링 산(Syringic acid)을 표준물질로 함유하는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기능성 필름 소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313A
KR20240007313A KR1020240002099A KR20240002099A KR20240007313A KR 20240007313 A KR20240007313 A KR 20240007313A KR 1020240002099 A KR1020240002099 A KR 1020240002099A KR 20240002099 A KR20240002099 A KR 20240002099A KR 20240007313 A KR20240007313 A KR 20240007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k extract
humidity
pine bark
antioxidant
antibac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2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우
강민호
박채원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40002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7313A/ko
Publication of KR20240007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31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08K5/134Phenols containing este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C08L101/14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water soluble or water swellable, e.g. aqueous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14Water soluble or water swellable polymers, e.g. aqueous g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산화, 항균 및 항습 효과가 우수한 필름 소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은 활성산소종(예를 들면, DPPH 및 ABTS 라디칼)을 직접 제거하고, 환원력 효과를 가지며,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손상된 DNA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등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고, 효과적으로 미생물을 제거하여 강력한 항균 효과를 가지고, 습기를 제거하는 항습 효과를 가짐으로써, 필름 소재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코팅 조성물 등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고,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필름 또는 코팅 조성물은 세포 독성이 없어 인체에 무해하고, 상술한 항균 효과 및 항습 효과로 인하여 미생물 또는 습기에 영향을 받을 염려가 있는 식품의 포장재 또는 코팅재, 나아가, 가구, 전자제품, 주방용품 등의 보호 필름 또는 코팅재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시링 산(Syringic acid)을 표준물질로 함유하는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기능성 필름 소재 조성물{Composition with anti-humidity, antioxidant or antibacterial activity of Pinus rigida bark extract containing syringic acid as a standard material, and a new functional film material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링산을 표준물질로 함유하는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천연 조성물과 상기 천연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 소재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리기다 소나무(Pinus rigida)는 겉씨식물 구과목(coniferales) 소나무과(Pinaceae) 상록교목(evergreen tall-tree)으로, 북아메리카 원산지로 건조하고 척박한 야산에서 자란다. 국내에는 1900년경 종자를 들여와 심었으며 야생으로 퍼지지 않고 조림한 장소에서 살아간다.
상기 리기다 소나무는 송진이 많아 재선충에 잘 견디며 피톤치드를 많이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피톤치드는 수목이 해충이나 미생물로부터 자기를 방어하기 위하여 공기 중에 또는 땅 속에서 발산하는 살생 효능을 가지는 방향성 항생 물질을 의미하고, 인간에게는 이롭게 작용하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피톤 치드는 화학합성 물질이 아닌 천연 물질이고, 인간의 신체에 무리 없이 흡수되며, 인간에게 해로운 균들을 선택적으로 살균하여, 항균작용, 소취작용, 진정작용, 스트레스 해소 등 수많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리기다 소나무는 이런 피톤치드를 분비하기 때문에 항균효과를 지닐 뿐만 아니라 내건성이 강하여 제습에도 효과적이며, 인체내의 세포 호흡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종을 제거하여 생체내 방어시스템 역할을 하는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상술한 리기다 소나무의 효능으로 인해 최근에는 상기 리기다 소나무는 친환경 가구 및 주방용품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465831호
본 발명의 목적은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필름 소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필름 소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습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필름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필름 소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습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은 활성산소종(예를 들면, DPPH 및 ABTS 라디칼)을 직접 제거하고, 환원력 효과를 가지며,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손상된 DNA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등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고, 효과적으로 미생물을 제거하여 강력한 항균 효과를 가지고, 습기를 제거하는 항습 효과를 가짐으로써, 필름 소재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코팅 조성물 등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필름 또는 코팅 조성물은 세포 독성이 없어 인체에 무해하고, 상술한 항균 효과 및 항습 효과로 인하여 미생물 또는 습기에 영향을 받을 염려가 있는 식품의 포장재 또는 코팅재, 나아가, 가구, 전자제품, 주방용품 등의 보호 필름 또는 코팅재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추출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DNA protection activity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환원력(Reducing power)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세포독성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항균활성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습도변화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HPLC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필름의 습도변화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리기다 소나무(Pinus rigida)는 겉씨식물 구과목(coniferales) 소나무과(Pinaceae) 상록교목(evergreen tall-tree)으로, 북아메리카 원산지로 건조하고 척박한 야산에서 자란다. 상기 리기다 소나무는 피톤치드를 분비하여 항균효과를 지닐 뿐만 아니라 내건성이 강하여 제습에도 효과적이며, 인체내의 세포 호흡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종을 제거하여 생체내 방어시스템 역할을 하는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바, 최근에는 친환경 가구 및 주방용품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은 시링산(Syringic acid)을 표준물질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링산은 페놀성 화합물 중 하나로, IUPAC명은 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조산(4-hydroxy-3,5-dimethoxybenzoic acid)으로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1]
상기 시링산(syringic acid)은 시킴산 경로(shikimic acid pathway)에 의하여 합성되는 페놀 화합물로서, 항산화, 미백활성, 항균, 항암 등의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Khim P.C., 2009, 1(2):15-20.; J. Exp. Biomed. Sci., Lee et al., 2005. 11:337-341.).
본 발명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조성물은 상기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에 포함되는 시링산을 표준물질로 함유함으로써 항산화, 항균 및 항습 활성의 주요성분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extract)"은 추출 대상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은 통상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추출물일 수 있고,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및 부탄올(butan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예를 들면, 에탄올 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추출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추출과정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은 세척 후 건조시킨 리기다 소나무 수피를 분쇄하여 추출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추출된 리기다 소나무 수피를 필터를 거친 후 농축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농축된 리기다 소나무 수피를 동결 건조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는 추출공정을 통하여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1은 증류수 또는 50 % 내지 90 %, 예를 들면, 70 % 에탄올을 첨가하여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의 추출된 상층액을 감압 여과지를 이용하여 필터하고 감압 상태에서 농축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의 농축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 80 ℃ 내지 -150 ℃, 예를 들면, -100 ℃ 내지 -120 ℃, 예를 들면, - 110 ℃에서 3 일 내지 5 일간 동결 건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필름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은 시링산(Syringic acid)을 표준물질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름 소재 조성물은 수용성 고분자 및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 및 수용성 고분자는 1: 10 내지 1: 5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소제는 상기 수용성 고분자 100 wt%를 기준으로 10 wt% 내지 50 wt%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풀루란, 젤라틴, 펙틴, 저점도 펙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저점도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저점도 알긴산, 알긴산 나트륨, 카라기난, 아라비아검,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잔탄검, 겔란 검 및 아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 예를 들면, 풀루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풀루란이란, 곰팡이 같은 균주인 Aureobasidium 풀루란의 발효 매체로부터 얻어지는 비이온성 엑소폴리사카라이드로서, 항균성을 가지는 수용성 고분자로 알려져 있다. 상기 풀루란은, 접착제, 필름, 섬유로 쉽게 가공할 수 있고, 식품 내의 곰팡이 성장을 억제하고, 인체에 무해한 특성으로 인하여 생분해성으로 제약, 바이오 의료 및 식품 분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필름 소재 조성물은 상기 풀루란을 이용하여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 필름을 제조함으로써, 풀루란 자체가 가지고 있는 항균성, 생분해성 및 가공성에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이 가지는 항산화, 항균 및 항습 효과를 더하여, 종래 풀루란 필름을 활용한 제약, 바이오 의료 및 식품 분야를 넘어, 풀루란 필름의 활용을 확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소제는 솔비톨(sorbitol), 만니톨(mannitol), 글리세린(glycerin),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지방산의 글리세롤 모노 에스테르, 당 알코올(sugar alcohol), 단당류(monosaccharide), 올리고당(oligosaccharide), 트리에틸렌글리콜(triethylene glycol), 미바셋(myvacet), 트리에틸시트레이트 (triethylcitrate), 트리아세틴(triacetin), 프로필렌글리콜모노카프릴레이트(propylene glycol monocaprylate), 프로필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propylene glycol dicaprylate), 미그리올(miglyol), 글리세린-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디글리세린, 에리트리톨, 프락토오즈, 피탄트리올,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피이지-4, 피이지-8, 및 피이지-80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예를 들면, 솔비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필름은 상기 필름 소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10 내지 50 %(w/v)의 수용액 고분자, 예를 들면, 풀루란 용액에 상기 풀루란 대비 10 내지 50 %(w/w)의 가소제, 예를 들면, 솔비톨 및 1 %(w/v)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혼합하여 필름 소재 조성물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필름 소재 조성물 용액을 약 40 ℃ 내지 95 ℃, 예를 들면, 50 ℃ 내지 90 ℃의 수욕상에서 30 분 이상, 예를 들면, 약 1 시간 동안 가열하고 상온에서 식힌 후, 이를 건조시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시키는 공정은 상기 가열 후 식힌 필름 소재 조성물 수용액을 일정한 프레임에 부어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프레임의 모양, 크기 및 필름 소재 조성물 수용액의 양에 따라, 생성되는 필름의 모양, 크기 두께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의 모양, 크기, 두께 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바, 간단한 방법으로 용도에 따라 이를 다르게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필름은 항산화 효과, 항균 효과 및 항습 효과를 가지는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바, 세포 독성이 없어 인체에 무해하고, 항균 효과 및 항습 효과로 인하여 미생물 또는 습기에 영향을 받을 염려가 있는 식품의 포장재, 가구, 전자제품, 주방용품 등의 보호 필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화장품학적 유효량(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및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구성된 제형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을 만족하는 경우 부작용없이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습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항습용 코팅 조성물은 상술한 양태의 항산화, 항균 및 항습용 필름 조성물과 구성이 동일할 수 있고, 상기 필름 조성물을 필름으로 제조하지 않고, 분사, 도포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항습용 코팅 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항습용 코팅 조성물은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용제를 더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탄화수소, 할로겐화 탄화수소, 에테르, 케톤, 알콜 계열의 용제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프로판올, 톨루엔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항습용 코팅 조성물은 코팅층 경화를 위하여 경화 촉매를 더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경화 촉매로는 전이금속 또는 산 계열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이금속으로는 아연, 주석, 니켈, 크롬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산촉매로는 염산, 질산, 인산, 초산, 수산화칼륨, 아민, 불화수소(HF), 플루오르화 칼륨(KF)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항습용 코팅 조성물은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항산화, 항균 및 항습 효과를 가지고, 세포 독성이 없어 인체에 무해한 바, 미생물 또는 습기에 영향을 받을 염려가 있는 피코팅 대상, 예를 들면, 식품, 가구, 전자제품, 주방용품 등의 보호 코팅 소재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항습용 코팅 조성물은 상기 코팅 조성물 자체를 이용하여 미생물 또는 습기에 영향을 받을 염려가 있는 피코팅 대상의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고, 피코팅 대상의 코팅재로 이용되는 종래의 코팅재에 적정량 첨가되어 상기 피코팅 대상의 표면을 코팅하는 데에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제조
- 리기다 소나무 증류수 추출물(PRW)
수원 일원에서 채취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를 세척 및 건조한 후 리기다 소나무 수피 100 g에 99 % 증류수 1 L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3 시간씩 3번 추출한 후, 추출한 상층액을 감압 여과지를 이용하여 필터하고 감압 상태에서 농축한 후, - 110 ℃에서 3 내지 5 일간 동결 건조하여 리기다 소나무 증류수 추출물(PRW)을 수득하였다.
- 리기다 소나무 에탄올 추출물(PRE)
상술한 공정의 수원 일원에서 채취하고 세척 건조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100 g에 70 % 에탄올 1 L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24 시간씩 3 번 추출한 후, 추출한 상층액을 감압 여과지를 이용하여 필터하고 감압 상태에서 농축한 후, - 110 ℃에서 3 내지 5 일간 동결 건조하여 리기다 소나무 에탄올 추출물(PRE)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 필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 풀루란 및 가소제로써 솔비톨을 첨가하여 필름 소재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10 내지 50 %(w/v)의 풀루란 용액에 풀루란 대비 10 내지 50 %(w/w)의 솔비톨 및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 1 %(w/v)를 혼합하여 필름 소재 조성물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필름 소재 조성물 용액을 50 ℃ 내지 90 ℃의 수욕상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하고 상온에서 식힌 후, 페트리디쉬에 부어 건조시켜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풀루란, 솔비톨 및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의 비율 조건을 하기의 표 1에 도시하였다:
풀루란
%(w/v)
솔비톨
%(w/w)
리기다소나무 추출물
%(w/v)
실시예 2-1a 10 풀루란 대비 10 PRW 1
실시예 2-1b PRE
실시예 2-2a 풀루란 대비 30 PRW
실시예 2-2b PRE
실시예 2-3a 풀루란 대비 50 PRW
실시예 2-3b PRE
실시예 2-4a 30 풀루란 대비 10 PRW 1
실시예 2-4b PRE
실시예 2-5a 풀루란 대비 30 PRW
실시예 2-5b PRE
실시예 2-6a 풀루란 대비 50 PRW
실시예 2-6b PRE
실시예 2-7a 50 풀루란 대비 10 PRW 1
실시예 2-7b PRE
실시예 2-8a 풀루란 대비 30 PRW
실시예 2-8b PRE
실시예 2-9a 풀루란 대비 50 PRW
실시예 2-9b PRE
실험예 1. Total Phenolic, Flavonoid content 측정
Folin-Ciocalteu's의 방법(Wang et al., 1994)을 이용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gallic acid를 이용하여 standard 표준곡선을 획득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 40 μl, 1 N Folin-Ciocalteu phenol reagent 20 μl 및 20 % Na₂CO₃ 60 μl를 혼합하고, 암실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흡광도를 700 nm에서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Nieva 방법(Nieva et al., 2000)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catechin reagent을 이용하여 standard 표준곡선을 획득하였고, 상기 실시예 1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 25 μl씩 분주한 후 125 μl 증류수로 희석한 다음 5 % sodium nitrite 8 μl를 첨가하여 5 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그 후 10 % aluminum chloride 15 μl를 첨가하여 6 분간 반응시킨 후 1 M Sodium hydroxide 50 μl와 증류수 27 μl를 첨가하여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하기의 표 2에 측정된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값을 나타내었다:
sample Total Phenolic
(mg GAE??/g of extract)
Total flavonoid
(mg CE????/g of extract))
PRW 64.23±3.10 109.34±4.96
PRE 202.80±12.98 92.69±5.44
상기 표 2을 참조하면,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증류수 추출물에서 64.23 ± 3.10 mg GAE/g of extract, 에탄올 추출물에서 202.80 ± 12.98 mg GAE/g of extract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증류수 추출물에서 109.34 ± 4.96 mg CE/g of extract, 에탄올 추출물에서 92.69 ± 5.44 mg CE/g of extract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가장 보편적인 방법인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lectron donating abilities, EDA) 실험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각 시료용액 80 μl에 0.2 mM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80 μl를 넣고 교반한 후 차광하여 30 분간 방치한 다음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천연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와 비교하였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각각의 25, 50, 100, 150, 200 μg/ml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에서 증류수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46.86 %, 85.35 %, 90.79 %, 90.95 %, 93.40 % 였고, 에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38.03 %, 66.70 %, 82.59 %, 91.99 %, 93.09 %로 ascorbic acid와 비교했을 때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ABTS +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y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y 실험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ABTS+ radical cation은 7 mM ABTS와 2.45 mM potassium persulfate (K2S2O8)을 1: 1로 혼합하여 암실에서 실온으로 24 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사용 전에 ABTS+ 용액을 0.01 M PBS(pH 7.4)에 희석하여 734 nm에서 흡광도 값이 0.7 ± 0.02이 되게 하여 사용하였다.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천연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와 비교하였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 결과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각각의 5, 10, 25, 50, 100 μg/ml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에서 증류수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26.32 %, 45.16 %, 96.88 %, 99.03 %, 100.06 % 였고, 에탄올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23.71 %, 44.47 %, 96.88 %, 99.08 %, 100.98 %로 ascorbic acid와 비교했을 때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DNA protection activity
H2O2에 의한 DNA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DNA의 보호 효과는 Tian &Hua (2005)의 실험방법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0.08 mM FeSO4 2 μl, 30 % H2O2 3 μl (v / v), 플라스미드 PBR 322 DNA(0.5 μg/μl) 1 μl, 증류수 5 μl 및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서로 다른 농도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 2 μl의 혼합물을 37 ℃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6X Loading dye 2 μl를 첨가한 후 0.8 % agarose gel에 분주해 전기영동하였다. DNA 밴드(supercoiled, linear and open circular)는 ethidium bromide로 염색시켰고, DNA 산화를 억제하는 효과는 control 값을 기준으로 한 supercoiled monomer의 증가와 감소로 평가하였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DNA 산화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를 참조하면, Control 군에 비해 Negative control(NC) 군은 Supercoiled form(**S.C)의 DNA가 산화적 손상에 의해 Open circular form(*O.C)으로 변화되었으나,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은 DNA 손상에 대한 Open circular form 이 감소되었으며 Supercoiled form의 DNA는 보호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은 산화적 손상에 대하여 DNA 보호효과를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환원력 측정
환원력 측정은 Chung등에(Chung et al. 2005)의해 기술된 방법에 따라 약간 변형하여 실행하였다. 25, 50, 100, 150, 200 μg/ml의 다양한 농도의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각각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0.2 M Sodium Phosphate buffer(PBS) 500 μl와 10 mg/ml Potassium Ferricyanide을 500 μl를 각각 혼합시킨 후 50 ℃에서 20 분 동안 정치한 다음 반응이 끝난 혼합물을 각각 1 ml씩 채취하여 새 tube로 옮긴 뒤 Trichloroacetic acid(TCA) 500 μl를 첨가하여 centrifuge에서 3,000 rpm으로 4 ℃에서 10 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원심분리한 상층액 500 μl에 DW 500 μl와 염화 제 2 철(Ferric chloride) 100 μl를 첨가한 후 96 well plate에 150 μl씩 분주 해준 뒤 ELISA reader를 이용해 700 nm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증류수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환원력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세포 독성 측정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세포 생존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 대식 세포인 Raw 264.7 cell을 사용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세포생존율 측정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Raw 264.7 세포는 96 well plate에 well당 5×104 세포로 150 μl 분주하고, 37 ℃, 5 % CO2 incubator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LPS 농도가 1 ug/ml이 되도록 첨가한 후 24 시간 배양하고, 배양 후 각 well에 5 mg/ml 농도로 제조한 MTT (Sigma-Aldrich) 용액 50 μl를 첨가하여 2 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dimethyl sulfoxide 200 μl 분주하여 실온에서 10 분 동안 반응시킨 뒤 ELISA reader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6은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세포독성 결과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에탄올 추출물 1,000 μg/ml에서 약간의 세포독성이 보였으나 그 외에 다른 농도에서는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안전한 필름 소재 조성물로 활용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7. 항균 실험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이 효과적으로 미생물을 제거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Paper disc 실험법을 이용하여 항균 실험을 수행하였다.
Escherichia coli(E.coli)와 Staphylococcus aureus(S.aureus)균을 멸균수를 이용하여 625 nm에서 흡광도 값이 0.8 내지 0.13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Nutrient agar는 blue tip을 이용해 샘플을 주입할 구멍을 뚫은 후 멸균 면봉을 이용해 희석된 균을 3회 깔아주고, 다양한 농도의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50 μl씩 주입한 후 37 ℃incubator에서 18 시간 내지 20 시간 배양하였다.
도 7 및 하기의 표 3은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항균 실험 결과이다:
Bacteria Tested plant Clean zone (±SD, mm) at various concentrations (mg/ml) MIC (mg/ml)
10 30 50 70
S.aureus PRW 0 10.53±0.55 13.63±1.11 14.13±0.63 30
PRE 11 13.93±0.7 15.75±0.5 15.5±0.71 10
E.coli PRW 10 11.13±0.25 13.63±1.11 14.88±0.25 10
PRE 0 10.75±0.96 12.75±0.5 14.13±0.85 30
도 7 및 표 3을 참조하면, 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 리기다 소나무 증류수 추출물은 30 mg/ml, 리기다 소나무 에탄올 추출물은 10 mg/ml에서 균의 생장이 억제된 clean zone이 형성되었고, Escherichia coli의 경우 리기다 소나무 증류수 추출물은 10 mg/ml, 리기다 소나무 에탄올 추출물은 30 mg/ml에서 clean zone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8. 습도 변화 실험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이용하여 습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필터페이퍼를 10 cm X 10 cm의 정사각형으로 잘라 30 mg/ml 리기다 소나무 증류수 추출물(in DW) 및 30 mg/ml 리기다 소나무 에탄올 추출물(in 70% EtOH)을 각각 5 ml씩 부어 50 ℃에서 1 시간 건조시켰다.
정사각형의 아크릴 박스에 각각 100 ml의 뜨거운 물을 담은 종이컵과 습도계를 두고 상기 종이컵의 상부에 각각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건조시킨 필터페이퍼를 올려둔 후, 30 분 간격으로 습도 변화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8에 도시하였다. 이때, Control군으로 물 및 70 % 에탄올을 이용하였다.
또한, 상기 30 mg/ml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이용한 대신, 500 mg/ml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습도 변화 측정방법을 동일하게 수행하여, 습도 변화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9에 도시하였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Control군으로 이용된 물 및 70% 에탄올과 비교하여,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이 습기를 더욱 제거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도 9의 습도 변화 결과는 도 8에 비하여 더욱 확실하게 큰 습도 변화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은 방습효과를 지니는 바, 책상, 의자 등의 가구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름 또는 코팅재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9. HPLC 분석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의 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HPLC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HPLC 용매로 B : ACN, C : DW를 사용하였다. 총 55분간 0.6 ml/min의 속도로 분석하였으며 하기에 도시된 표 4의 기울기에 따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Time %B (ACN) %C (DW) Flow Max. Press
0.00 0.0 100.0 0.600 400
4.00 0.0 100.0 0.600 400
6.00 5.0 95.0 0.600 400
8.00 10.0 90.0 0.600 400
22.00 30.0 70.0 0.600 400
28.00 45.0 55.0 0.600 400
35.00 60.0 40.0 0.600 400
45.00 90.0 10.0 0.600 400
55.00 10.0 90.0 0.600 400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증류수 추출물 및 리기다 소나무 에탄올 추출물이 Syringic acid를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0. 항균 실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 필름이 효과적으로 미생물을 제거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1a 및 실시예 2-1b에서 제조된 필름과 대조군으로, 상기 실시예 2-1a 및 실시예 2-1b에서 리기다 소나무 추출물을 제외하고 제조한 필름을 사용하여, Escherichia coli(E.coli, 초기농도 3.2 x 105 CFU/ml)와 Staphylococcus aureus(S.aureus 초기농도, 2.1 x 105 CFU/ml)균을 접종하여 접종균의 초기농도가 상온을 유지하여 24 시간 후 어느 정도 변화하였는지 관찰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5에 도시하였다.
Bacteria 필름 초기농도 (CFU/ml) 24 시간 후 농도 (CFU/ml) 세균감소율 (%)
S.aureus 실시예 2-1a 2.1 x 105 < 10 99.9
실시예 2-1b 2.1 x 105 < 10 99.9
대조군 2.1 x 105 4.3 x 105 -
E.coli 실시예 2-1a 3.2 x 105 < 10 99.9
실시예 2-1b 3.2 x 105 < 10 99.9
대조군 3.2 x 105 6.5 x 105 -
표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 필름의 항균 효과는 매우 현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1. 습도 변화 실험
상기 실험예 8에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건조시킨 필터페이퍼 대신, 상기 실시예 2-1a 및 실시예 2-1b에서 제조한 필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8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습도 변화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1에 도시하였다. 이때, Control군으로 물 및 70 % 에탄올을 이용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Control군으로 이용된 물 및 70% 에탄올과 비교하여, 실시예 2에서 수득한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필름이 습기를 더욱 제거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 화장료의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화장료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화장료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료 제조예 1. 유연 화장수의 제조
추출물 10.0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1.00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중량부
알란토인 0.10 중량부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중량부
시트르산 0.01 중량부
소듐시트레이트 0.02 중량부
글리세레스-26 1.00 중량부
알부틴 2.00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중량부
에탄올 30.0 중량부
보존제 미량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화장료 제조예 2. 영양 크림의 제조
추출물 10.0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7.00 중량부
글리세린 1.00 중량부
D-판테놀 0.10 중량부
식물 추출물 3.20 중량부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0 중량부
PEG-40 스테아레이트 1.20 중량부
스테아르산 2.00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60 1.50 중량부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0 중량부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0 중량부
세테아릴알코올 3.00 중량부
미네랄오일 4.00 중량부
스쿠알란 3.80 중량부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80 중량부
식물성오일 1.80 중량부
디메치콘 0.40 중량부
디포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본 발명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은 활성산소종(예를 들면, DPPH 및 ABTS 라디칼)을 직접 제거하고, 환원력 효과를 가지며,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손상된 DNA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등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고, 효과적으로 미생물을 제거하여 강력한 항균 효과를 가지고, 습기를 제거하는 항습 효과를 가짐으로써, 필름 소재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코팅 조성물 등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필름 또는 코팅 조성물은 세포 독성이 없어 인체에 무해하고, 상술한 항균 효과 및 항습 효과로 인하여 미생물 또는 습기에 영향을 받을 염려가 있는 식품의 포장재 또는 코팅재, 나아가, 가구, 전자제품, 주방용품 등의 보호 필름 또는 코팅재로 이용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습기 억제용 조성물로서,
    상기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은 시링산(Syringic acid)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2.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 수용성 고분자 및 가소제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시링산(Syringic aci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소제는 솔비톨(sorbitol), 만니톨(mannitol), 글리세린(glycerin),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지방산의 글리세롤 모노 에스테르, 당 알코올(sugar alcohol), 단당류(monosaccharide), 올리고당(oligosaccharide), 트리에틸렌글리콜(triethylene glycol), 미바셋(myvacet), 트리에틸시트레이트 (triethylcitrate), 트리아세틴(triacetin), 프로필렌글리콜모노카프릴레이트(propylene glycol monocaprylate), 프로필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propylene glycol dicaprylate), 미그리올(miglyol), 글리세린-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디글리세린, 에리트리톨, 프락토오즈, 피탄트리올,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피이지-4, 피이지-8, 및 피이지-80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 및 수용성 고분자는 1: 10 내지 1: 5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소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상기 수용성 고분자 100 wt%를 기준으로 10 wt% 내지 50 wt%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소재 조성물.
  4. 제2항의 필름 소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필름.
KR1020240002099A 2021-02-26 2024-01-05 시링 산(Syringic acid)을 표준물질로 함유하는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기능성 필름 소재 조성물 KR20240007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2099A KR20240007313A (ko) 2021-02-26 2024-01-05 시링 산(Syringic acid)을 표준물질로 함유하는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기능성 필름 소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227A KR20220122066A (ko) 2021-02-26 2021-02-26 시링 산(Syringic acid)을 표준물질로 함유하는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기능성 필름 소재 조성물
KR1020240002099A KR20240007313A (ko) 2021-02-26 2024-01-05 시링 산(Syringic acid)을 표준물질로 함유하는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기능성 필름 소재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227A Division KR20220122066A (ko) 2021-02-26 2021-02-26 시링 산(Syringic acid)을 표준물질로 함유하는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기능성 필름 소재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313A true KR20240007313A (ko) 2024-01-16

Family

ID=832809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227A KR20220122066A (ko) 2021-02-26 2021-02-26 시링 산(Syringic acid)을 표준물질로 함유하는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기능성 필름 소재 조성물
KR1020240002099A KR20240007313A (ko) 2021-02-26 2024-01-05 시링 산(Syringic acid)을 표준물질로 함유하는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기능성 필름 소재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227A KR20220122066A (ko) 2021-02-26 2021-02-26 시링 산(Syringic acid)을 표준물질로 함유하는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기능성 필름 소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12206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831B1 (ko) 2001-08-31 2005-01-13 학교법인 영광학원 과채류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식물유래의 천연항균제 및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831B1 (ko) 2001-08-31 2005-01-13 학교법인 영광학원 과채류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식물유래의 천연항균제 및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066A (ko) 202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916B1 (ko) 보리수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1897359B1 (ko)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및 물티슈 용액
KR101653886B1 (ko) 천연 방부 조성물
KR100986249B1 (ko)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KR101780863B1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8361B1 (ko) 고삼뿌리, 소나무잎 및 쑥잎을 포함하는 자연유래 항균 보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6523684A (ja) 活性化かんきつ類果皮エキス含有組成物
KR101519234B1 (ko) 울금 및 동백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61613B1 (ko) 세신오일을 흡착시킨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20240007313A (ko) 시링 산(Syringic acid)을 표준물질로 함유하는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기능성 필름 소재 조성물
KR101495055B1 (ko) 부용 및 뚝갈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기능강화 또는 피부자극완화용 조성물
KR102448555B1 (ko) 편백, 해당화, 및 레몬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6231A (ko) 항균 및 지시기능을 가진 물티슈 조성물
KR101749593B1 (ko)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20180031119A (ko) 천연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6572B1 (ko) 비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1598194B1 (ko) 헤어 및 바디용 다기능 소취 화장료 조성물
KR20170122315A (ko) 미선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87634B1 (ko) 방부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7577A (ko) 상백피 추출물, 방울양배추 추출물, 소프넛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KR102540960B1 (ko) 무화과 효소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294241B1 (ko) 감 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20180036024A (ko) 사우로푸스 스파투리포리우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359223B1 (ko) 애플망고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35917B1 (ko) 천연물질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