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720A - 통신장치,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장치,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6720A
KR20240006720A KR1020247000697A KR20247000697A KR20240006720A KR 20240006720 A KR20240006720 A KR 20240006720A KR 1020247000697 A KR1020247000697 A KR 1020247000697A KR 20247000697 A KR20247000697 A KR 20247000697A KR 20240006720 A KR20240006720 A KR 20240006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base station
setting
l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츠히코 사카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06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72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통신장치는, 마스터 기지국과 세컨더리 기지국을 이용해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있을 때에 해당 세컨더리 기지국과의 통신을 정지하고, 해당 세컨더리 기지국과의 통신을 정지할 경우에 해당 데이터 통신을 계속할 것인가 아닌가를 유저에 대하여 확인하고, 해당 데이터 통신을 계속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을 경우, 해당 마스터 기지국과의 통신을 정지한다.

Description

통신장치,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통신장치,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 12(Rel-12)사양에서는, 복수의 기지국과 동시에 통신하는 듀얼 커넥티비티(DC)가 규정되어 있다. 듀얼 커넥티비티에서는, 유저 장치(UE)는, 복수의 기지국이 제공하는 컴포넌트 캐리어(CC)를 사용해서 동시 송신함으로써, 유저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특허문헌1). 구체적으로는, UE는, 1개의 EPS(Evolved Packet System) 베어러 또는 패킷 시퀀스를 분할하고, 분할한 각 패킷 시퀀스를 복수의 기지국이 제공하는 CC에 동시 송신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UE는, 분할한 패킷 시퀀스를 마스터 노드(MN)로서의 마스터 기지국과, 세컨더리 노드(SN)로서의 세컨더리 기지국에 송신한다. 마스터 기지국 또는 세컨더리 기지국은, 패킷을 수신후, 자신이 수신한 패킷 시퀀스와, 다른쪽의 기지국에서 수신한 패킷 시퀀스를 리오더링하는 것에 의해, UE로부터의 패킷 시퀀스를 재구성한다. 마스터 기지국 또는 세컨더리 기지국은, 패킷 시퀀스의 재구성후, 재구성한 패킷 시퀀스를 코어 노드(CN)에 전송한다.
또, 현재 3GPP로 책정이 진행되고 있는 차세대 통신 규격인 5G에 있어서도, 무선방식이 상이한 5G와 LTE(Long Term Evolution)가 연계하는 논스탠드 얼론 모드로 DC가 이용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UE는 LTE통신과 5G통신을 동시에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유저 스루풋이 향상한다.
일본 특허공개2016-127383호
상기한 바와 같이, UE가 LTE통신과 5G통신을 동시에 실시할 경우, DC에 의해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한편, 복수방식을 위한 통신 회로를 동시에 사용해서 데이터 통신하는 것에 의한 소비 전력의 증대가 예상된다. 예를 들면, UE로서의 디지탈 카메라가 LTE통신과 5G통신을 동시에 실시해서 촬영 화상을 서버에 업로드할 경우, LTE통신만을 이용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조기에 배터리 떨어짐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다시 말해, 해당 디지탈 카메라가 항상 DC를 액티베이트한 상태로 있으면, 조기에 배터리 떨어짐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디지탈 카메라의 주요 기능인 촬상 기능을 이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유저의 사용 편리함이 악화한다.
이러한 경우, 디지탈 카메라는 통신을 유지하면서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해서, DC를 정지하고, LTE통신만을 계속하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그렇지만, LTE통신에 있어서의 스루풋은 5G통신에 있어서의 스루풋의 약 10분의 1정도가 되기 때문에, LTE통신만으로는 데이터 통신의 완료까지 엄청난 시간이 걸리는 것이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탈 카메라의 유저는, 자신의 의사로 데이터 통신을 종료시킬 수 없어, 사용 편리함이 나쁜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촬영 화상을 다운로드할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듀얼 커넥티비티(DC) 정지후의 통신 형태를 유저의 선택에 의해 결정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다시 말해, 상기 통신장치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규격인 5G에 준거한 통신을 행하는 5G 네트워크의 5G기지국에 접속하여 해당 5G기지국과의 통신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통신장치의 배터리 잔량의 값이 소정의 값이 된 경우에, 상기 5G기지국과의 접속을 절단하고, 상기 3GPP 규격인 LTE에 준거한 통신을 행하는 LTE 네트워크의 LTE 기지국을 경유하여 통신이 행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DC정지후의 통신 형태를 유저의 선택에 의해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유저의 사용 편리함을 종래보다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는, 동일 또는 같은 구성에는, 동일 참조 번호를 부착한다.
첨부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그의 기술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탈 카메라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탈 카메라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4]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DC정지시의 처리의 동작 플로우도.
[도5]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데이터 전송을 계속할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
[도6]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데이터 전송을 계속할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
[도7]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탈 카메라와 LTE기지국의 동작 시퀀스 도.
[도8]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DC정지시의 처리의 동작 플로우 도.
[도9]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데이터 전송을 계속할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
[도10]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탈 카메라와 LTE기지국의 동작 시퀀스 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그의 실시 형태의 일례에 근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나타내는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1의 실시 형태]
(네트워크 구성)
본 실시 형태의 네트워크 구성의 일례를 도3에 도시한다. 도3에 도시하는 네트워크 구성은, 디지탈 카메라(301), LTE기지국(302) 및 5G기지국(303)으로 구성된다. LTE기지국(302)은, 3GPP규격에 준거하는 LTE통신 방식을 따르는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5G기지국(303)은, 3GPP규격에 준거하는 5G통신 방식을 따르는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UE인 디지탈 카메라(301)는, LTE기지국(302)과 5G기지국(303) 각각의 셀내(통신가능한 권내)에 위치하고, 이것들의 기지국과 동시에 통신하는 듀얼 커넥티비티(DC)능력(Capability)을 서포트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지탈 카메라(301)는, 코어 네트워크(304)에 접속된 서버 등의 네트워크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촬상 데이터를 업로드하기 위해서, DC를 이용하여 LTE기지국(302)과 5G기지국(303)에 촬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LTE기지국(302)과 5G기지국(303)은, 디지탈 카메라(301)로부터 수신한 촬상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304)에 접속된 네트워크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LTE기지국(302)은 마스터 기지국(MN)으로서 기능하고, 5G기지국(303)은 세컨더리 기지국(SN)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한다. DC의 통신에서는, 마스터 기지국인 LTE기지국(302)이, 디지탈 카메라(301)와, LTE기지국(302) 및 5G기지국(303)과의 사이의 동시 통신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위의 코어 네트워크 (304)와의 사이의 통신을 제어한다.
(디지탈 카메라의 구성)
도1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탈 카메라(301)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디지탈 카메라는, 그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로서, 제어부(101), 기억부(102), 무선통신부(103), 표시부(104), 안테나 제어부(105), 안테나(106), 입력부(107), 및 촬상부(108)를 갖는다. 제어부(101)는, 기억부(102)에 기억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의해, 디지탈 카메라(301) 전체를 제어한다. 기억부 (102)는, 제어부(101)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과, 촬상 데이터나 통신 파라미터나 인증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해당 통신 파라미터나 인증 정보는, LTE기지국(302)이나 5G기지국(303)과의 접속시에 이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디지탈 카메라(301)의 각종 동작은, 기억부(102)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제어부(101)가 실행함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무선통신부(103)는, LTE나 5G 등에 의한 셀룰러망 통신, 또는 Wi-Fi 등에 의한 무선통신을 행한다. 표시부(104)는, LCD나 LED와 같이 시각으로 인지가능한 정보의 출력, 혹은 스피커 등의 음출력이 가능한 기능을 갖고, 각종 표시를 행한다. 안테나 제어부(105)는, 무선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안테나(106)를 제어한다. 입력부(107)는, 디지탈 카메라(30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기능을 갖고, 유저에 의한 각종 입력/조작 등을 접수한다. 이때, 입력부(107)와 표시부(104)는, 조합해서 함께 기능함에 의해 유저 인터페이스(UI)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촬상부(108)는 촬상 기능을 갖고 촬상 처리를 행하여, 촬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2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탈 카메라(301)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디지탈 카메라는, 그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의 일례로서, 송신부(201), 수신부(202), 접속 제어부(203), 판정부(204), 표시 제어부(205), 및 데이터 전송 제어부(206)를 갖는다.
송신부(201)와 수신부(202)는 각각, 무선통신부(103)를 통하여, 대향장치에 신호(예를 들면, 각종 메시지/정보나 촬상 데이터)를 송신하고, 신호(예를 들면, 각종 메시지/정보)를 수신한다. 접속 제어부(203)는, LTE기지국(302)이나 5G기지국(303)과의 접속에 관한 제어 및 관리를, 송신부(201)와 수신부(202)에 의한 소정의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서 행한다. 판정부(204)는, LTE기지국(302)과의 통신이 계속하고 있을 경우에, 소정의 조건에 근거하여, 해당 통신의 유지가 필요한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처리인, 통신 유지 판정 처리를 실시한다. 표시 제어부(205)는, 표시부(104)에의 표시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또한, 표시부(104)가 입력부(107)와 UI로서 함께 기능할 경우, 표시 제어부(205)는, 해당 UI에 대한 제어를 행해도 좋다. 데이터 전송 제어부(206)는, 기억부(102)에 격납되어 있는 촬상 데이터의 데이터 통신(데이터 전송)의 제어 및 관리를 행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데이터는 데이터 파일로서 취급되어도 좋다.
여기서, 판정부(204)에 의한 통신 유지 판정 처리의 예를 설명한다. 1개의 예로서, 판정부(204)는, 디지탈 카메라(301)가 셀룰러망 통신이 필요하다고 정해져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 예로서는, 판정부(204)는, 제어부(101)가 셀룰러망 통신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서비스)을 실행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는, 예를 들면, 셀룰러망 통신을 통해 디지탈 카메라(301)를 원격조작 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다. 이 경우, 판정부(204)는, 제어부(101)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서비스)을 실행중일 경우에, LTE기지국(302)과의 통신의 계속이 필요하다고 판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판정부(204)는, 제어부(101)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서비스)을 실행중이 아닐 경우에, LTE기지국(302)과의 통신의 계속은 필요하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 로서, 판정부(204)는, 데이터 전송 제어부(206)의 제어에 의해 촬상 데이터의 전송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 촬상 데이터의 전송에 걸리는 나머지 시간이 소정시간(소정값)이하인가 아닌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판정부(204)는, 해당 나머지 시간이 해당 소정시간 이하일 경우에, LTE기지국(302)과의 통신의 계속이 필요하다고 판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는, LTE기지국(302)과의 통신의 계속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다. 해당 나머지 시간은, 데이터 전송 제어부(206)에 의해, 전송해야 할 촬상 데이터의 나머지의 양과, LTE기지국(302)과의 통신에 있어서의 지금까지의 평균 스루풋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처리의 흐름)
계속해서, 도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탈 카메라(30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DC정지시의 처리의 흐름도다. 도4에 도시하는 처리는, 디지탈 카메라(301)가 DC통신을 실행해서 촬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을 경우에, 제어부(101)가 DC통신을 정지한다고 결정한 것을 받아서 시작될 수 있다. 해당 DC통신 정지의 결정은, 예를 들면, DC통신 중에, 제어부(101)가 디지탈 카메라(301)의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의 값보다 적어진 것을 검지한 것을 받아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1)가 촬상 데이터 전송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을 경우, 실행중의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적시의 타이밍에서, DC통신 정지를 결정해도 좋다. 또한, 입력부(107)를 통한 유저의 지시에 의해, 제어부(101)는 DC통신 정지를 결정해도 좋다.
우선, S401에 있어서, 접속 제어부(203)는, 5G기지국(303)(SN)과의 5G통신을 정지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이때, 접속 제어부(203)는, 디지탈 카메라(301)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속 제어부(203)는, 디지탈 카메라(301)의 상태를, 5G UE상태로서의 대기 상태를 의미하는 RRC Idle상태로 천이시켜도 좋다. 또한, 접속 제어부(203)는, 디지탈 카메라(301)의 상태를, 5G UE상태로서의 대기와 접속의 중간상태를 의미하는 RRC Inactive상태로 천이시켜도 좋다. 또한, 접속 제어부(203)는, 디지탈 카메라(301)에 있어서의 5G통신 기능을 완전히 정지하는 것에 의해, 디지탈 카메라(301)의 상태를, 5G UE로서의 상태를 갖지 않는 상태로 천이시켜도 좋다.
접속 제어부(203)가 5G기지국(303)과의 5G통신을 정지 후, 송신부(201)는, LTE기지국(MN)에 대하여 5G기지국(303)과의 5G통신을 정지한 취지를 통지한다(S402). 여기에서, 송신부(201)는 예를 들면, LTE기지국(302)에 대하여, 링크 장해 정보(Link Failure Information) 메시지를 송신해도 좋고, 그 외, LTE기지국(302)과의 통신 정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해도 좋다.
계속해서 S403에 있어서, 판정부(204)는, 통신 유지 판정 처리를 실시하여, LTE기지국(302)과의 통신(MN과의 통신)의 유지가 필요한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통신 유지 판정 처리는, 상기에 설명한 대로다. LTE기지국(302)과의 통신 유지가 필요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S404에서 Yes), 접속 제어부(203)는 LTE기지국(302)과의 통신을 유지한 채,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LTE기지국(302)과의 통신 유지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S404에서 No), 처리는 S405에 진행된다. S405에서는, 표시 제어부(205)가, 표시부(104)에, 촬상 데이터 전송을 계속할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유저에 대하여 촬상 데이터 전송을 계속할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한다.
도5와 도6에, 촬상 데이터 전송을 계속할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5에서는,「LTE통신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계속합니까?」라고 하는 문장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 함에 의해, 유저에 대하여 촬상 데이터를 계속할 것인가 아닌가가 확인된다. 또한, 도6에서는, 데이터 전송 제어부(206)가 상술한 수법등에 의해 계산한, 촬상 데이터의 전송에 걸리는 나머지 시간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함에 의해, 유저에 대하여 촬상 데이터를 계속할 것인가 아닌가가 확인된다. 어느쪽의 도면의 화면의 예에 있어서도, 입력부(107)를 통해 유저에 의해 「Yes」가 선택되었을 경우는, 접속 제어부(203)는 LTE기지국(302)과의 통신을 유지한 채,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No」가 선택되었을 경우는, 데이터 전송 제어부(206)는 촬상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하고, 접속 제어부(203)는 LTE기지국(302)과의 LTE통신(MN과의 통신)을 정지해서(S407), 처리를 종료한다.
S405의 LTE통신의 정지후, 접속 제어부(203)는, 디지탈 카메라(301)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속 제어부(203)는, 디지탈 카메라(301)의 상태를, LTE UE상태로서 대기 상태를 의미하는 RRC Idle상태로 천이시켜도 좋다. 또한, 접속 제어부(203)는, LTE통신 기능을 완전히 정지함에 의해, 디지탈 카메라(301)의 상태를, LTE UE로서의 상태를 갖지 않는 상태로 천이시켜도 좋다.
또, 제어부(101)가 촬상 데이터 전송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을 경우 등, 데이터 전송 제어부(206)가 복수의 종류의 촬상 데이터 전송 처리를 행하고 있을 경우는, S405에 있어서, 모든 종류의 촬상 데이터 전송 처리에 대해서 확인 처리가 행해져도 좋다. 이 경우, 계속되는 S406에 있어서, 모든 종류의 촬상 데이터 전송 처리에 대해서, LTE기지국(302)과의 통신의 계속이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에, 접속 제어부(203)가 LTE기지국(302)과의 통신을 정지해서 처리를 종료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7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DC정지시의 신호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7은, 디지탈 카메라(301)와 LTE기지국(302)과의 사이에서 실시되는 DC정지시의 처리 동작의 시퀀스를 도시한다. 또한, 도7의 설명에 있어서는, 디지탈 카메라(301)에 의한 통신은 셀룰러망 통신이 필요하다고 미리 정해져 있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디지탈 카메라(301)가 DC통신 중에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의 값보다 적어졌을 경우 등에 도4로 설명한 DC정지 처리가 기동되어, 디지탈 카메라(301)는 5G기지국(303)과의 통신을 정지한다(F701, S401). 5G기지국(303)과의 통신 정지후, 디지탈 카메라(301)는 LTE기지국(302)에 5G기지국(303)과의 통신을 정지한 취지를 통지하는 링크 장해 정보(Link Failure Information) 메시지를 송신한다(F702, S402).
LTE기지국(302)은 링크 장해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면, DC통신을 정지하는 처리를 실시하여, 기지국과의 접속 설정 갱신을 전해주는 RRC커넥션 재구성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디지탈 카메라(301)에 송신한다(F703). 디지탈 카메라(301)는 RRC커넥션 재구성 메시지의 응답으로서, RRC커넥션 재구성 완료 (Complete)메시지를 LTE기지국(302)에 송신한다(F704).
디지탈 카메라(301)는, LTE기지국(302)과의 통신 유지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S404에서 No), 유저에 대하여 촬상 데이터 전송의 계속 가부를 확인한다(F705, S405). 유저로부터 촬상 데이터의 전송을 계속하지 않는 것이 선택되었을 경우(F706, S406에서 No), 디지탈 카메라(301)는 LTE기지국(302)과의 통신을 정지한다(F707, S407).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DC통신을 정지했을 경우에, 유저의 선택에 의해, 디지탈 카메라(301)가 LTE기지국(302)(MN)과의 통신을 유지할 것인가 아닌가가 결정된다. 이에 따라, 저스루풋에서의 통신이 유저의 희망에 걸맞지 않은 경우는, 유저의 판단에 의해 LTE기지국(302)의 통신을 절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결과적으로, 유저의 편리성이 향상한다.
[제2의 실시 형태]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디지탈 카메라(301)가 LTE기지국(302)과의 통신 유지 판정 처리를 실시한 후에, 유저가 LTE기지국(302)과의 통신을 계속할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이하에서는 제2의 실시 형태로서, 유저가 LTE기지국(302)과의 통신을 유지할지를 확인한 후에, 디지탈 카메라(301)가 LTE기지국(302) 및 5G기지국(303)과의 통신 유지를 판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시작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의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처리의 흐름)
도8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탈 카메라(30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DC정지시의 처리의 흐름도다. 도8에 도시하는 처리는, 디지탈 카메라(301)가 DC통신을 실행해서 촬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을 경우에, 제어부(101)가 DC통신을 정지한다고 결정한 것을 받아서 시작될 수 있다. 해당 DC통신 정지의 결정은, 예를 들면, DC통신 중에, 제어부(101)가 디지탈 카메라(301)의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의 값보다 적어진 것을 검지한 것을 받아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1)가 촬상 데이터 전송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을 경우, 실행 중의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적시의 타이밍에서, DC통신 정지를 결정해도 좋다. 또한, 입력부(107)를 통한 유저의 지시에 의해, 제어부(101)는 DC통신 정지를 결정해도 좋다.
우선, S801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05)가, 표시부(104)에, 촬상 데이터 전송을 계속할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유저에 대하여 촬상 데이터를 계속할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한다. 도9에, 촬상 데이터 전송을 계속할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9에서는,「데이터 전송을 종료합니까?」라고 하는 문장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함에 의해, 유저에 대하여 촬상 데이터의 전송을 계속할 것인가 아닌가가 확인된다. 도9에 도시하는 화면에 있어서, 입력부(107)를 통해 유저에 의해「Yes」가 선택되었을 경우는, 접속 제어부(203)는 LTE기지국(302)과의 통신을 유지한 채,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No」가 선택되었을 경우는, 데이터 전송 제어부(206)는 촬상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하고, 접속 제어부(203)는 5G기지국(303)(SN)과의 5G통신을 정지한다(S803).
접속 제어부(203)가 5G기지국(303)과의 5G통신을 정지 후, 송신부(201)는, LTE기지국(MN)에 대하여 5G기지국(303)과의 5G통신을 정지한 취지를 통지한다(S804). 계속해서 S805에 있어서, 판정부(204)는, 통신 유지 판정 처리를 실시하여, LTE기지국(302)과의 통신의 유지가 필요한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통신 유지 판정 처리는, 상기에 설명한 대로다. 단, S803에서 촬상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하고 있기 때문에, 판정부(204)는, 예를 들면, 제어부(101)가 셀룰러망 통신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서비스)을 실행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에 근거하여, LTE기지국(302)과의 통신 유지가 필요한가 아닌가를 판정할 수 있다. LTE기지국(302)과의 통신 유지가 필요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S806에서 Yes), 접속 제어부(203)는 LTE기지국(302)과의 통신을 유지한 채,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LTE기지국(302)과의 통신 유지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S806에서 No), 접속 제어부(203)는 LTE기지국(302)과의 LTE통신(MN과의 통신)을 정지해서(S807), 처리를 종료한다.
계속해서, 도10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DC정지시의 신호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10은, 디지탈 카메라(301)와 LTE기지국(302)과의 사이에서 실시되는 DC정지시의 처리 동작의 시퀀스를 도시한다. 또한, 도10의 설명에 있어서는, 디지탈 카메라(301)는 셀룰러망 통신이 필요하다고 미리 정해져 있지 않은 것을 전제로 한다.
디지탈 카메라(301)가 DC통신 중에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의 값보다 적어졌을 경우 등에 도9로 설명한 DC정지 처리가 기동되어, 디지탈 카메라(301)는 유저에 대하여 촬상 데이터의 전송을 계속할지를 확인한다(F1OO1, S801). 유저로부터 촬상 데이터의 전송을 계속하지 않는 것이 선택되었을 경우(F1OO2, S802에서 No), 디지탈 카메라(301)는 촬상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해서 5G기지국(303)과의 통신을 정지한다(F1OO3, S803). 5G기지국(303)과의 통신 정지 후, 디지탈 카메라(301)는 LTE기지국(302)에 5G기지국(303)과의 통신을 정지한 취지를 통지하는 링크 장해 정보(Link Failure Information) 메시지를 송신한다(F1OO4). LTE기지국(302)은 링크 장해 정보 메시지를 받으면, DC통신을 정지하는 처리를 실시하여, 기지국과의 접속 설정 갱신을 전해주는 RRC커넥션 재구성 메시지를 디지탈 카메라(301)에 송신한다(F1OO5).
디지탈 카메라(301)는 RRC커넥션 재구성 메시지의 응답으로서, RRC커넥션 재구성 완료(Complete)를 LTE기지국(302)에 송신한다(F1OO6). 디지탈 카메라(301)는 LTE기지국(302)과의 통신 유지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S806에서 No), 디지탈 카메라(301)는 LTE기지국(302)과의 통신을 정지한다(F1OO7, S807).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디지탈 카메라(301)는 데이터 전송의 계속 가부를 확인한 후에 LTE기지국(302)(MN) 및 5G기지국(303)(SN)과의 통신 유지의 가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가 전력소비보다도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을 우선할 경우에는, 5G기지국과의 통신을 정지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MN이 LTE기지국, SN이 5G기지국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MN이 5G기지국, SN이 LTE기지국이여도 좋다. 그 경우, 본 실시 형태의 5G기지국과 LTE기지국을 각각 치환하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디지탈 카메라(301)가 촬상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케이스를 설명했지만, 디지탈 카메라(301)가 촬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케이스에 있어서도, 상기한 처리를 적용가능하다. 다운로드하는 데이터의 양은, 미리 디지탈 카메라(301)에 알려져 있는 등, 미리 정해져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데이터의 전송을, 촬상 데이터의 다운로드로 치환하고, 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또, 상기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5G기지국(303)(SN)과의 통신을 정지하는(DC통신을 정지하는) 타이밍에서, 유저에 대하여, 촬상 데이터 전송을 계속할 것인가 아닌가의 확인이 행해졌지만, 해당 확인의 타이밍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저가 촬상 데이터 전송을 계속할 것인가 아닌가를 디지탈 카메라(301)에 사전에 설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해당 확인은 (도5, 도6, 또는 도9에 도시하는) 화면을 통해서 행해졌지만, 이러한 화면을 사용하지 않고 임의의 방법으로 행해져도 좋다.
(기타의 실시 예)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 형태의 1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통해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의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의 1개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판독해 실행하는 처리라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면, ASIC)에 의해서도 실현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밝히기 위해서, 이하의 청구항을 첨부한다.
본원은, 2018년 10월 24일 제출의 일본국 특허출원 특원2018-200300을 기초로 하여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의 기재 내용의 모두를, 여기에 인용한다.

Claims (18)

  1. 통신장치로서,
    상기 통신장치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규격인 5G에 준거한 통신을 행하는 5G 네트워크의 5G기지국에 접속하여 해당 5G기지국과의 통신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통신장치의 배터리 잔량의 값이 소정의 값이 된 경우에, 상기 5G기지국과의 접속을 절단하고, 상기 3GPP 규격인 LTE에 준거한 통신을 행하는 LTE 네트워크의 LTE 기지국을 경유하여 통신이 행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통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의 동작 설정으로서 제1 설정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은 해당 5G기지국과의 통신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통신장치의 배터리 잔량의 값이 소정의 값 이하로 감소한 것에 따라 상기 5G기지국과의 접속을 절단하고 상기 3GPP 규격인 LTE에 준거한 통신을 행하는 LTE 네트워크의 LTE 기지국을 경유하여 통신이 행해지도록 제어하는, 통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의 동작 설정으로서 제1 설정을 행하기 위한 표시 아이템을 포함하는 설정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수단과,
    상기 표시 아이템을 선택하는 유저 조작을 접수한 것에 따라 상기 통신장치의 동작 설정으로서 제1 설정을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화면은, 상기 통신장치의 동작 설정으로서 제2 설정을 행하기 위한 제2 표시 아이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제2 표시 아이템을 선택하는 유저 조작을 접수한 것에 따라 상기 통신장치의 동작 설정으로서 상기 제2 설정을 설정하고,
    상기 통신장치의 설정 동작으로서 상기 제2 설정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수단은 해당 5G기지국과의 통신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통신장치의 배터리 잔량의 값이 소정의 값 이하로 감소한 경우라도, 상기 5G기지국과의 접속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통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의 배터리 잔량의 값이 소정의 값이 된 것에 따라 표시 아이템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5G기지국과의 통신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통신장치의 배터리 잔량의 값이 소정의 값이 된 경우이며, 또한 상기 표시 아이템을 선택하는 유저 조작이 접수된 것에 따라 상기 5G기지국과의 접속을 절단하고 상기 3GPP 규격인 LTE에 준거한 통신을 행하는 LTE 네트워크의 LTE 기지국을 경유하여 통신이 행해지도록 제어하는, 통신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수단은, 상기 설정화면과 함께 상기 통신장치의 배터리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배터리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통신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수단은, 상기 표시 아이템과 함께 상기 통신장치의 배터리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배터리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통신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촬상 데이터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 데이터를 상기 5G 네트워크 또는 상기 LTE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는, 통신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테나 및 스피커를 더 구비하는, 통신장치.
  10. 통신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통신장치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규격인 5G에 준거한 통신을 행하는 5G 네트워크의 5G기지국에 접속하여 해당 5G기지국과의 통신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통신장치의 배터리 잔량의 값이 소정의 값이 된 경우에, 상기 5G기지국과의 접속을 절단하고, 상기 3GPP 규격인 LTE에 준거한 통신을 행하는 LTE 네트워크의 LTE 기지국을 경유하여 통신이 행해지도록 상기 통신장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를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의 동작 설정으로서 제1 설정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5G기지국과의 통신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통신장치의 배터리 잔량의 값이 소정의 값 이하로 감소한 것에 따라 상기 제1 제어가 행해지는, 제어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의 동작 설정으로서 제 1 설정을 행하기 위한 표시 아이템을 포함하는 설정화면을 통신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과,
    상기 표시 아이템을 선택하는 유저 조작을 접수한 것에 따라 상기 통신장치의 동작 설정으로서 제1 설정을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화면은, 상기 통신장치의 동작 설정으로서 제2 설정을 행하기 위한 제2 표시 아이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2 표시 아이템을 선택하는 유저 조작을 접수한 것에 따라 상기 통신장치의 동작 설정으로서 상기 제2 설정을 설정하는 것과,
    상기 통신장치의 동작 설정으로서 상기 제2 설정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5G기지국과의 통신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통신장치의 배터리 잔량의 값이 소정의 값 이하로 감소한 경우라도, 상기 5G기지국과의 접속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의 배터리 잔량의 값이 소정의 값이 된 것에 따라 표시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5G기지국과의 통신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통신장치의 배터리 잔량의 값이 소정의 값이 된 경우이며, 또한 상기 표시 아이템을 선택하는 유저 조작이 접수된 것에 따라 상기 제1 제어가 행해지는, 제어방법.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상에는, 상기 설정화면과 함께 상기 통신장치의 배터리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배터리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제어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상에는, 상기 표시 아이템과 함께 상기 통신장치의 배터리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배터리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제어방법.
  17.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촬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촬상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촬상부에서 취득한 상기 촬상 데이터를 상기 5G 네트워크 또는 상기 LTE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18. 통신장치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규격인 5G에 준거한 통신을 행하는 5G 네트워크의 5G기지국에 접속하여 해당 5G기지국과의 통신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통신장치의 배터리 잔량의 값이 소정의 값이 된 경우에, 상기 5G기지국과의 접속을 절단하고, 상기 3GPP 규격인 LTE에 준거한 통신을 행하는 LTE 네트워크의 LTE 기지국을 경유하여 통신이 행해지도록 상기 통신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억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247000697A 2018-10-24 2019-10-17 통신장치,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400067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00300 2018-10-24
JP2018200300A JP7157626B2 (ja) 2018-10-24 2018-10-24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217010714A KR102624235B1 (ko) 2018-10-24 2019-10-17 통신장치,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PCT/JP2019/040798 WO2020085177A1 (ja) 2018-10-24 2019-10-17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714A Division KR102624235B1 (ko) 2018-10-24 2019-10-17 통신장치,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720A true KR20240006720A (ko) 2024-01-15

Family

ID=703320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714A KR102624235B1 (ko) 2018-10-24 2019-10-17 통신장치,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KR1020247000697A KR20240006720A (ko) 2018-10-24 2019-10-17 통신장치,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714A KR102624235B1 (ko) 2018-10-24 2019-10-17 통신장치,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405979B2 (ko)
EP (1) EP3843481A4 (ko)
JP (3) JP7157626B2 (ko)
KR (2) KR102624235B1 (ko)
CN (1) CN112913302A (ko)
WO (1) WO20200851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1991B2 (ja) * 2019-03-26 2023-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7383A (ja) 2014-12-26 2016-07-11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基地局、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機能利用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74516A1 (en) 2002-11-20 2004-06-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network resourc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JP2007184771A (ja) 2006-01-06 2007-07-19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
JP5571892B2 (ja) 2008-10-06 2014-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5127658B2 (ja) 2008-10-06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8995405B2 (en) * 2012-01-25 2015-03-31 Ofinno Technologies, Llc Pathloss reference configur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US9003055B2 (en) * 2012-07-16 2015-04-0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ontrolling third party access to network devices
EP2953393B1 (en) * 2013-01-30 2019-11-20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s control device, communications control method, program, and terminal device
JP6089366B2 (ja) 2013-03-14 2017-03-08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CN105101253B (zh) * 2014-05-09 2020-04-24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在双连接系统中使用的方法、主基站和用户设备
US9503247B2 (en) * 2014-05-21 2016-11-2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arrier aggregation management
JP2016123053A (ja) * 2014-12-25 2016-07-07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セル制御方法
US9860833B2 (en) * 2015-03-08 2018-01-02 Apple Inc. Accessory device which transitions between an autonomous mode and a companion device relay mode for cellular communication
JP6612554B2 (ja) * 2015-08-24 2019-11-27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無線通信方法
CN107634783B (zh) * 2015-11-28 2019-06-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终端的载波聚合模式设定方法及通信终端和介质产品
US20180376456A1 (en) 2015-12-15 2018-12-27 Ne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user interface, and display method
US20190045472A1 (en) * 2016-02-04 2019-02-07 Ntt Docomo, Inc.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7708104B (zh) * 2016-08-03 2022-03-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辅基站变更的方法及装置
CN107889234A (zh) * 2016-09-30 2018-04-06 夏普株式会社 一种数据转发的方法及其设备
CN109983802A (zh) * 2016-12-07 2019-07-05 华为技术有限公司 管理高频连接的方法、终端、和基站
DE102017106380B4 (de) 2017-03-24 2021-10-07 Sick Ag Optoelektronischer Sensor und Verfahren zum Erfassen von Objekten
KR102374338B1 (ko) * 2017-09-07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371810B1 (ko) * 2017-10-20 2022-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519671B2 (ja) 2018-01-18 2019-05-29 富士通コネクテッド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局および基地局
JP2019176288A (ja) 2018-03-28 2019-10-10 Kddi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86601B2 (ja) * 2018-10-18 2023-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7383A (ja) 2014-12-26 2016-07-11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基地局、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機能利用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894A (ko) 2021-05-24
EP3843481A1 (en) 2021-06-30
JP7407887B2 (ja) 2024-01-04
US20210204356A1 (en) 2021-07-01
CN112913302A (zh) 2021-06-04
KR102624235B1 (ko) 2024-01-12
EP3843481A4 (en) 2022-06-29
US11405979B2 (en) 2022-08-02
JP2020068464A (ja) 2020-04-30
US20220330379A1 (en) 2022-10-13
WO2020085177A1 (ja) 2020-04-30
JP2024023728A (ja) 2024-02-21
JP7157626B2 (ja) 2022-10-20
JP2022185078A (ja) 202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26449B (zh) 暂停核心网络中的服务
CN109246770B (zh) 一种切换的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CN111937461B (zh) 分割基站中的rrc版本处理
EP22788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inter-RAT handover
EP3537819B1 (en) Resource scheduling method and base station
CN109803279B (zh) 一种切片管理方法、基站及终端
US11540220B2 (en) Terminal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methods and integrated circuitry
JP2021531678A (ja) gNB−CU−UPにおける完全性保護のハンドリング
JP2024023728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18577A (ko)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US2021018575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3826210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ing, serving base station, and storage medium
CN114339714B (zh) 传输配置的方法、装置和设备
JP7340941B2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92886B2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12470544A (zh)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方法
CN111866963A (zh) 通信方法、通信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通信系统
CN112449389B (zh) 一种切换方法、源基站、目标基站及终端
WO2023082035A1 (en) Nr udc -flexible drb switch
CN112189358A (zh) 通信方法及网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