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296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6296A
KR20240006296A KR1020220083171A KR20220083171A KR20240006296A KR 20240006296 A KR20240006296 A KR 20240006296A KR 1020220083171 A KR1020220083171 A KR 1020220083171A KR 20220083171 A KR20220083171 A KR 20220083171A KR 20240006296 A KR20240006296 A KR 20240006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ck
coolant
connector
drai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도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220083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6296A/ko
Publication of KR20240006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28F9/0256Arrangements for coupling connectors with flow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F28F17/005Means for draining condensates from heat exchangers, e.g. from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91Radi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의 탱크에 마련된 냉각수 제2파이프와 연결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내부에는 냉각수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냉각수 유로가 마련된 커넥터 몸체, 커넥터 몸체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냉각수 유로와 연결된 내부 연결로가 마련된 탱크 연결부, 커넥터 몸체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냉각수 유로와 연결된 호스 연결로가 마련된 호스 연결부, 커넥터 몸체에 구비되며, 커넥터 몸체 외부로의 냉각수 배출 여부를 제어하는 드레인부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제2파이프에 구비되어 호스와의 연결 및 냉각수의 드레인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는 차량의 엔진 룸 전방에 설치되어 엔진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라디에이터는 차량의 엔진을 냉각하면서 가열된 냉각수를 냉각시킨 후 다시 엔진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냉각수를 엔진으로 순환시켜 엔진의 과열을 방지한다.
더불어 공조장치의 히터코어와 연결되어, 히터코어로 가열된 냉각수를 순환하도록 하여 주위 공기를 가열시키고, 상기 히터 코어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송풍팬으로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어 차량의 실내를 난방할 수 있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라디에이터(1)는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되는 냉각수 제1파이프(2a,3a)이 구비되는 한 쌍의 탱크(2,3)와, 냉각수가 통과하는 유로가 관통되며, 양단이 상기 탱크(2,3)에 결합하고, 간격을 두고 여러 개 구비되는 튜브부재(4)와, 상기 튜브부재(4) 사이에 설치되며 열전달 면적을 넓히는 방열핀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탱크(2,3)에는 내부의 불순물을 제거하거나, 교체 주기에 따른 냉각수 교체, 라디에이터 정비 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드레인관(7)과 드레인콕(8)으로 구성된 드레인 장치(6)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라디에이터(1)는, 탱크(2,3)에 드레인 장치(6)를 별도로 구비해야 함으로써, 탱크(2,3)의 설계 시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배수 구조 위치에 따른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고온용 라디에이터와 저온용 라디에이터의 일체형 라디에이터인 경우에는 냉각수 입출관(2a,3a)을 많이 구비하게 되는 바, 탱크 설계에 큰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라디에이터 관련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10-0775280호(2007.11.02)에 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의 탱크에 드레인 구조와 호스 연결 구조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라디에이터의 탱크 설계시에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라디에이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의 탱크에 마련된 냉각수 제2파이프와 연결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내부에는 냉각수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냉각수 유로가 마련된 커넥터 몸체, 상기 커넥터 몸체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냉각수 유로와 연결된 내부 연결로가 마련된 탱크 연결부, 상기 커넥터 몸체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냉각수 유로와 연결된 호스 연결로가 마련된 호스 연결부, 상기 커넥터 몸체에 구비되며, 커넥터 몸체 외부로의 냉각수 배출 여부를 제어하는 드레인부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탱크 연결부는 냉각수 제2파이프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냉각수 제2파이프의 외주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탱크 연결부의 단부에 구비되되, 냉각수 제2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삽입공간이 마련되며, 내측면에는 걸림홈에 걸림되도록 걸림대가 배치된 탱크 착탈연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대에는 탱크 착탈연결부의 내측보다 더 내측으로 삽입 배치되며,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타원형의 고리 형태를 가지는 클램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부는,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 유로와 연결된 콕 설치공간이 마련되며, 하측 외주면에는 콕 설치공간과 연결된 배수구가 구비된 콕 연결부, 상기 콕 설치공간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콕 연결부에 배치되며, 냉각수 유로와 배수구가 연결되도록 이동 배치시, 배수구를 통해 냉각수가 배출되게 하는 드레인 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콕 설치공간은 드레인 콕의 중심축선을 냉각수 유로의 중심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콕 설치공간은 드레인 콕의 중심축선을 냉각수 유로의 중심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콕 연결부의 내주면 및 드레인 콕의 외측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나사부가 마련되며, 상기 드레인 콕의 외측면에는 냉각수 유로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콕 연결부는 커넥터 몸체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콕 연결부는 커넥터 몸체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터 몸체의 냉각수 유로와 연결되도록 커넥터 몸체에 탱크 연결부와 호스 연결부 및 드레인부를 구비하고, 탱크 연결부는 라디에이터의 탱크에 마련된 냉각수 제2파이프와 연결되며, 호스 연결부는 엔진과 연결된 호스를 연결하고, 드레인부는 냉각수 유로를 통해 라디에이터 및 호스 내부의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는데, 호스의 연결과 냉각수 배출을 위한 드레인부가 커넥터 몸체에 연결되고, 이러한 커넥터 몸체를 탱크에 연결되도록 배치하는 바, 라디에이터의 탱크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어 탱크 설계 시에 제약을 최소화되게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라디에이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라디에이터에 설치된 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라디에이터(100)에는 일측 및 타측에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각각 엔진을 냉각하는 냉각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탱크(1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탱크(110)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되는 튜브부재(120)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탱크(110)에는 상기 라디에이터(100)로 냉각수의 공급 또는 외부로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냉각수 제1파이프(111)와 냉각수 제2파이프(112)가 마련된다.
상기 튜브부재(120)는 내부로 냉각수를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튜브부재(120)의 길이방향 일단 및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탱크(110)에 결합되어 냉각수를 통과시키면서 외부 공기와 접촉시켜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복수의 상기 튜브부재(120)들 사이에는 열교환되는 유체의 열전달 면적을 증대시키는 방열핀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한 탱크(110)는 각각 엔진과 연계되는 호스(140)와 연결된다. 즉, 엔진을 냉각한 고온의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 제1파이프(111)를 통해 상기 라디에이터(100)로 유입되고 다시 냉각된 후 엔진으로 유출되는 순환이 이루어진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앞서 설명한 라디에이터(100)의 냉각수 제2파이프(112)에 장착되어 상기 호스(140)를 통해 상기 라디에이터(100)에서 냉각된 냉각수를 엔진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교체 주기에 따른 냉각수 교체, 라디에이터(100) 정비 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이 필요한 경우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넥터(200)는 커넥터 몸체(210), 탱크 연결부(220), 호스 연결부(230), 드레인부(2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 몸체(210)는 이후 설명될 탱크 연결부(220)와 호스 연결부(230) 및 드레인부(240)를 연결상태로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커넥터 몸체(210)에는 탱크 연결부(220)와 호스 연결부(230) 및 드레인부(240)로 냉각수를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냉각수 유로(211)가 마련된다. 이때, 냉각수 유로(211)는 냉각수를 탱크(110)에서 배출시 냉각수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탱크 연결부(220)의 내부 연결로(221)와 동일축선 상에 배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탱크 연결부(220)는 커넥터 몸체(210)를 냉각수 제2파이프(112)와 연결되게 하는 부분이다. 즉, 탱크 연결부(220)는 커넥터 몸체(210)의 냉각수 유로(211)를 냉각수 제2파이프(112)의 내부와 연결되게 한다. 이러한, 탱크 연결부(220)는 커넥터 몸체(210)의 일측에 일체상태로 구비되며, 탱크 연결부(220)의 내부에는 냉각수 유로(211)와 연결되는 내부 연결로(221)가 마련된다. 여기서, 내부 연결로(221)는 냉각수 유로(211)를 냉각수 제2파이프(112)와 연결되게 하여, 커넥터 몸체(210) 내측의 냉각수 유로(211)로 이동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탱크 연결부(220)는 냉각수 제2파이프(112)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탱크 연결부(220)는 냉각수 제2파이프(112)의 걸림홈(113)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구조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탱크 연결부(220)의 단부에는 냉각수 제2파이프(112)에 착탈 가능하도록 탱크 착탈연결부(222)를 구비한다. 여기서, 탱크 착탈연결부(222)는 냉각수 제2파이프(112)의 끝단 부분을 일정길이로 삽입되게 할 수 있도록 삽입공간(222a)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 착탈연결부(222)의 내측면에는 냉각수 제2파이프(112)를 삽입공간(222a)으로 삽입 배치시 냉각수 제2파이프(112)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홈(113)에 삽입상태로 걸림되는 걸림대(223)가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대(223)에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타원형의 고리 형태를 가지는 클램프(224)가 마련되며, 이때, 클램프(224)는 일측 부분으로 개방된 'U'자 단면 구조를 가지며, 탱크 착탈연결부(222)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클램프(224)는 탱크 착탈연결부(222)의 내측면보다 내측으로 삽입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224)는 냉각수 제2파이프(112)를 탱크 착탈연결부(222)의 내측으로 삽입시 걸림대(223)에 삽입되기 전까지 냉각수 제2파이프(112)에 의해 밀림상태로 벌어지게 되고, 걸림대(223)의 위치까지 냉각수 제2파이프(112)가 삽입이동될 때 다시 원상태로 탄성복원되면서 걸림홈(113)에 걸림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탱크 착탈연결부(222)와 냉각수 제2파이프(112)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여기서, 탱크 착탈연결부(222)의 외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프(224)에 대응되는 탱크 착탈연결부(222)의 외주면에는 탱크 착탈연결부(222)의 내측과 연결되도록 홈부(222b)가 탱크 착탈연결부(222)의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마련되어, 클램프(224)가 탱크 착탈연결부(222)에 걸림상태로 탱크 착탈연결부(222)의 내측과 연결됨과 더불어 탱크 착탈연결부(222)의 외측으로도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게 하여 작업자가 클램프(224)를 걸림홈(113)에 걸림된 상태에서 해제시키고자 할 때 클램프(224)를 쉽게 이탈시킬 수 있게 한다. 이때, 클램프(224)의 일측에는 클램프(224)를 걸림홈(113)에서 이탈시키고자 할 때 작업자가 클램프(224)를 쉽게 손이나 별도의 수공구(미도시)를 통해 걸림상태로 파지할 수 있게 하는 파지부(223a)가 탱크 착탈연결부(222)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탱크 착탈연결부(222)의 클램프(224)가 냉각수 제2파이프(112)의 걸림홈(113)에 삽입상태로 걸림되면서 탱크 착탈연결부(222)와 냉각수 제2파이프(112)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바, 냉각수 제2파이프(112)의 외주면을 따라 탱크 착탈연결부(222)를 회전시켜 위치변경이 가능한 바, 이후 설명될 호스 연결부(230)의 위치변경도 가능하게 하여 설치환경에 따른 호스(140)를 쉽게 배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탱크 착탈연결부(222)의 내측면에는 냉각수 제2파이프(112)의 단부를 탱크 착탈연결부(222)의 내측으로 삽입 배치시킨 경우, 탱크 착탈연결부(222)의 내주면과 냉각수 제2파이프(112)의 외주면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호스 연결부(230)는 커넥터 몸체(210)를 호스(140)와 연결되게 하는 부분이다. 즉, 호스 연결부(230)는 커넥터 몸체(210)의 냉각수 유로(211)를 호스(140)와 연결되게 한다. 이러한, 호스 연결부(230)는 커넥터 몸체(21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탱크 연결부(220) 및 드레인부(240)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커넥터 몸체(210)에 일체상태로 구비되며, 호스 연결부(230)의 내부에는 냉각수 유로(211)와 연결되는 호스 연결로(231)가 마련된다. 여기서, 호스 연결로(231)는 냉각수 유로(211)를 호스(140)와 연결되게 하여, 호스(140)를 통해 냉각수가 커넥터 몸체(210)의 외측으로 이동되게 하거나, 냉각수가 커넥터 몸체(210)에서 호스(140)로 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호스 연결부(230)의 외주면에는 호스(14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호스(1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탭(미도시)과 대응되는 나사부(23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호스 연결부(230)의 외주면에는 호스(140)의 내측에 삽입상태로 나사부(232)에 의한 결합시, 호스(140)의 길이방향 끝단을 걸림시켜 호스(140) 내측으로 호스 연결부(230)의 삽입정도를 한정할 수 있도록 호스 스토퍼(233)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부(240)는 커넥터 몸체(210)의 냉각수 유로(211)로 유입되는 냉각수를 커넥터 몸체(210) 외부로의 배출여부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드레인부(240)는 커넥터 몸체(210)에 구비되며, 콕 연결부(241), 드레인 콕(24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콕 연결부(241)는 커넥터 몸체(210)에 구비되어, 이후 설명될 드레인 콕(242)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시킬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드레인 콕(242)의 이동 위치에 따라 커넥터 몸체(210)에 유입된 냉각수가 커넥터 몸체(2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냉각수를 가이드한다. 이러한, 콕 연결부(241)의 내부에는 냉각수 유로(211)와 연결되는 콕 설치공간(241a)이 마련된다. 즉, 콕 설치공간(241a)은 드레인 콕(242)을 삽입상태로 이동되게 가이드함과 더불어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되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콕 설치공간(241a)은 콕 연결부(24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을 작아지게 하도록 테이퍼 형태로 마련된 바, 드레인 콕(242)의 이동 위치에 따라 드레인 콕(242)이 콕 연결부(241) 내주면과의 밀착 또는 이탈이 이루어지면서 콕 설치공간(241a)과 냉각수 유로(211)의 연결 또는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콕 연결부(241)의 내주면에는 드레인 콕(242)을 회전방향에 따라 콕 설치공간(241a) 내측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콕 설치공간(241a) 외측으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드레인 콕(242)이 나사 결합되게 하는 나사부(241c)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콕 연결부(241)의 하측 외주면에는 콕 설치공간(241a)과 연결되는 배수구(241b)가 형성되어, 드레인 콕(242)의 외측면과 콕 연결부(241) 내주면이 이탈 배치되면서 냉각수 유로(211)에서 콕 설치공간(241a)으로 유입되는 냉각수를 콕 연결부(241)의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콕 연결부(241)는 드레인 콕(242)의 이동에 의한 냉각수 유로(211)와 콕 설치공간(241a)의 연결이 이루어질 때, 냉각수 유로(211) 내 냉각수를 콕 설치공간(241a)으로 안정적으로 유입되게 한 후, 배수구(241b)을 통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게 한다. 즉, 콕 연결부(241)는 커넥터 몸체(210)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구비되거나, 커넥터 몸체(210)의 하단에 배치되도록 구비되어 냉각수 유로(211) 내 냉각수가 드레인 콕(242)을 통해 콕 설치공간(241a)과 냉각수 유로(211)를 연결되도록 개방시 콕 설치공간(241a)으로 냉각수의 흐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냉각수 유로(21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드레인 콕(242)의 중심축선 'L'이 냉각수 유로(211)의 중심부 'C' 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콕 설치공간(241a)이 마련되게 하거나, 냉각수 유로(211)의 중심부 'C'를 기준으로 드레인 콕(242)의 중심축선 'L'이 냉각수 유로(211)의 중심부 'C'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콕 설치공간(241a)이 마련되게 한다.
상기 드레인 콕(242)은 콕 설치공간(241a)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콕 연결부(241)에 배치되어, 콕 설치공간(241a)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이동 위치에 따라 콕 연결부(241)의 콕 설치공간(241a)과 커넥터 몸체(210)의 냉각수 유로(211)를 상호 연결되게 하거나 차단되게 하면서 배수구(241b)를 통한 냉각수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드레인 콕(242)은 원형 단면의 봉 형태를 가지며, 이때, 드레인 콕(242)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같은, 드레인 콕(242)은 콕 연결부(241)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콕 설치공간(241a)을 통해 냉각수 유로(211)와 배수구(241b)가 연결되게 하면서 배수구(241b)를 통해 냉각수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콕(242)의 외측면에는 콕 연결부(241)의 내주면에 마련된 나사부에 대응되게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부(241c)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 콕(242)의 외측면에는 냉각수 유로(211)를 실링하는 실링부재(242b)를 구비한다. 즉, 실링부재(242b)는 드레인 콕(242)의 타측 외측면에 배치되어, 드레인 콕(242)이 콕 설치공간(241a)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 배치시, 드레인 콕(242)의 외측면과 콕 연결부(241)의 내주면 사이를 밀폐되도록 하면서 냉각수 유로(211) 내 냉각수가 콕 설치공간(241a)에서 배수구(241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차단되게 한다.
더불어, 상기 드레인 콕(242)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콕 연결부(241)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작업자의 손에 의한 파지를 가능하게 하면서 작업자가 드레인 콕(242)을 쉽게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손잡이부(242d)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의 커넥터(200)는, 커넥터 몸체(210)의 냉각수 유로(211)와 연결되도록 커넥터 몸체(210)에 탱크 연결부(220)와 호스 연결부(230) 및 드레인부(240)를 구비하고, 탱크 연결부(220)는 라디에이터(100)의 탱크(110)에 마련된 냉각수 제2파이프(112)와 연결되며, 호스 연결부(230)는 엔진과 연결된 호스(140)를 연결하고, 드레인부(240)는 냉각수 유로(211)를 통해 라디에이터(100) 및 호스(140) 내부의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호스(140)의 연결과 냉각수 배출을 위한 드레인부(240)가 커넥터 몸체(210)에 연결되고, 이러한 커넥터 몸체(210)를 탱크(110)에 연결되도록 배치하는 바, 라디에이터(100)의 탱크(110)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어 탱크(110) 설계 시에 제약을 최소화되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라디에이터 110: 탱크
111: 냉각수 제1파이프 112: 냉각수 제2파이프
113: 걸림홈 120: 튜브부재
140: 호스 200: 커넥터
210: 커넥터 몸체 211: 냉각수 유로
220: 탱크 연결부 221: 내부 연결로
222: 탱크 착탈연결부 222a: 삽입공간
222b: 홈부 223: 걸림대
224: 클램프 230: 호스 연결부
231: 호스 연결로 232: 나사부
233: 호스 스토퍼 240: 드레인부
241: 콕 연결부 241a: 콕 설치공간
241b: 배수구 241c: 나사부
242: 드레인 콕 242b: 실링부재
242d: 손잡이부

Claims (9)

  1. 라디에이터의 탱크에 마련된 냉각수 제2파이프와 연결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내부에는 냉각수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냉각수 유로가 마련된 커넥터 몸체;
    상기 커넥터 몸체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냉각수 유로와 연결된 내부 연결로가 마련된 탱크 연결부;
    상기 커넥터 몸체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냉각수 유로와 연결된 호스 연결로가 마련된 호스 연결부;
    상기 커넥터 몸체에 구비되며, 커넥터 몸체 외부로의 냉각수 배출 여부를 제어하는 드레인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탱크 연결부는 냉각수 제2파이프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냉각수 제2파이프의 외주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탱크 연결부의 단부에 구비되되, 냉각수 제2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삽입공간이 마련되며, 내측면에는 걸림홈에 걸림되도록 걸림대가 배치된 탱크 착탈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대에는 탱크 착탈연결부의 내측보다 더 내측으로 삽입 배치되며,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타원형의 고리 형태를 가지는 클램프를 더 구비하는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는,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 유로와 연결된 콕 설치공간이 마련되며, 하측 외주면에는 콕 설치공간과 연결된 배수구가 구비된 콕 연결부,
    상기 콕 설치공간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콕 연결부에 배치되며, 냉각수 유로와 배수구가 연결되도록 이동 배치시, 배수구를 통해 냉각수가 배출되게 하는 드레인 콕을 포함하는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콕 설치공간은 드레인 콕의 중심축선을 냉각수 유로의 중심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게 하는 커넥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콕 설치공간은 드레인 콕의 중심축선을 냉각수 유로의 중심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게 하는 커넥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콕 연결부의 내주면 및 드레인 콕의 외측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나사부가 마련되며,
    상기 드레인 콕의 외측면에는 냉각수 유로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콕 연결부는 커넥터 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커넥터.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콕 연결부는 커넥터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는 커넥터.
KR1020220083171A 2022-07-06 2022-07-06 커넥터 KR20240006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171A KR20240006296A (ko) 2022-07-06 2022-07-06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171A KR20240006296A (ko) 2022-07-06 2022-07-06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296A true KR20240006296A (ko) 2024-01-15

Family

ID=8954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171A KR20240006296A (ko) 2022-07-06 2022-07-06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62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12428A (ja) 一体型熱バイパス弁
KR101776718B1 (ko) 차량용 열교환기
CN106014591B (zh) 用于控制分流式冷却系统的冷却剂流的控制装置
JP5069746B2 (ja) 航空機用ターボジェットエンジン
KR101283591B1 (ko) 차량용 열교환기
KR101284337B1 (ko) 차량용 열교환기
JP6635747B2 (ja) 統合egrクーラー
BR112019012198A2 (pt) montagem para um motor de turbina e motor de turbina
BR112012022772B1 (pt) conjunto de válvula de controle de fluído
JP2007016651A (ja) 油温制御装置
KR20240006296A (ko) 커넥터
ES2364751T3 (es) Filtro.
KR100770410B1 (ko) 열교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 시스템
KR101990441B1 (ko) 냉수탱크
JP2018054190A (ja) 配管、温度制御装置及び車両
KR102368414B1 (ko) 에어벤트 장치 및 보일러 시스템
KR20080107024A (ko) 열교환기
KR20070021391A (ko) 라디에이터의 필러넥 결합구조
KR100680676B1 (ko)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드레인 겸용 배출장치
KR101283891B1 (ko) 차량용 열교환기
US11953273B2 (en) Heat dissipating device using turbulent flow
KR100775280B1 (ko)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
KR200163660Y1 (ko) 파이프와 고무호스의 체결구조
KR960005516Y1 (ko) 오일필터 냉각기
JP2018188994A (ja) 排熱回収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