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5404A - 기울기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기울기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5404A
KR20240005404A KR1020220082460A KR20220082460A KR20240005404A KR 20240005404 A KR20240005404 A KR 20240005404A KR 1020220082460 A KR1020220082460 A KR 1020220082460A KR 20220082460 A KR20220082460 A KR 20220082460A KR 20240005404 A KR20240005404 A KR 20240005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weight
case
building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선
Original Assignee
이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선 filed Critical 이중선
Priority to KR1020220082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5404A/ko
Publication of KR20240005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4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2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a single pendulum plumb lines G01C15/10
    • G01C9/1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a single pendulum plumb lines G01C15/10 movable in more than one dir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G01C2009/062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capaci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울기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빌딩의 골조 시공부터 준공 이후까지도 빌딩의 기울기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울기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울기 측정 장치는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단이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상단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와이어의 하부에 연결되어 중력 방향으로 늘어지는 무게추; 및, 상기 케이스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무게추의 측부 거리를 측정하되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무게추의 사방 거리를 측정하는 변위센서;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울기 측정 장치{SLOPE MEASUREMENT DEVICE}
본 발명은 기울기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빌딩의 골조 시공시부터 준공 완료 이후까지 계속적으로 빌딩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기울기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건물의 안전 진단 가운데 건물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방식은 건물이 지어지고 난 후에 검사 시기에 건물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방식인데, 이와 같은 방식은 최초에 건물 기울기에서 얼마만큼 기울기지는에 대한 기울기를 측정할 수 없어 건물 기울기 안전 진단시에 실효성이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방식이다.
그에 따라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과 연동하여 빌딩 시공시부터 지속적으로 건물의 기울기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건물 기울기 자동 진단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현재 건물 안전 진단 가운데 건물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방식은 디지털 센서인 멤스(MEMS) 센서를 이용한 기울기 진단 방법이 있으며, 건물의 준공 이후에 건물의 기둥등에 설치하여 건물의 기울기를 특정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와 같이 멤스 센서를 이용한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살펴보면, 먼저, 종래 기울기 측정을 위한 멤스 센서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적분 연산 방식으로써, 빠른 기울기 변화와 같은 동적인 움직임을 측정하는 데에는 적합하나, 건물과 같이 정적인 기울기를 측정하는 데는 적분 연산 누적으로 인하여 연산값이 발산하고 노이즈등에 의해서도 오차가 발생하는 대표적인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 문제점으로는 종래 멤스 센서는 미세한 진동까지도 측정할 수 있는 분해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미세한 진동까지도 측정하는 멤스 센서는 건물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진동등에도 반응하기 때문에 기울기값이 아닌 다른 형태의 데이터들이 검출되어 유효한 데이타값을 추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5517호(2000.09.05 공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빌딩의 골조 시공부터 준공 이후까지도 빌딩의 기울기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울기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빌딩의 기울기 측정시에 순간적인 진동이나 충격등에도 빌딩의 기울기와 대응하는 기울기 측정값으로 회귀하여 정확한 측정값을 제공할 수 있는 기울기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빌딩의 기울기 측정시에 멤스 센서를 이용하지 않도록 하여 멤스 센서의 기울기 측정시에 적분 연산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기울기 측정 데이타가 발산되지 않도록 하는 기울기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빌딩의 기울기 측정시에 동적인 기울기를 측정하는 방식이 아닌 미소 변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오랜시간 기울기가 미세하게 변화하는 정적인 기울기도 측정할 수 있는 기울기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울기 측정 장치는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단이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상단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와이어의 하부에 연결되어 중력 방향으로 늘어지는 무게추; 및, 상기 케이스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무게추의 측부 거리를 측정하되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무게추의 사방 거리를 측정하는 변위센서;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울기 측정 장치는 상기 변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변위센서가 측정한 아날로그 신호인 변위데이타를 디지털신호처리하여 디지털 변위데이타로 변환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 및,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받은 디지털 변위데이타를 빌딩 기울기정보로 변환하는 기울기정보변환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울기정보변환부는 변위센서가 측정한 상기 무게추의 이동거리에 비례하는 연산식으로 기울기를 측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울기 측정 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무게추의 유동을 감쇄시키는 오일; 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울기 측정 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와 빌딩 사이에 결합되어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기울기조정부; 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변위센서는 적어도 4개의 이상의 변위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주연을 사등분하는 위치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무게추의 외주연을 사등분하는 위치 각각과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상단에서 상기 변위센서와의 거리를 "L", 상기 무게추가 이동한 거리가 "D"인 경우, 측정된 기울기 각도는 D/L로 연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빌딩의 골조 시공부터 준공 이후까지도 빌딩의 기울기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여도 무게추가 오일에 의해 감쇄되기 때문에, 빌딩의 기울기와 대응하는 기울기 측정값으로 회귀하여 정확한 측정값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빌딩의 기울기 측정시에 멤스 센서를 이용하지 않도록 하여 멤스 센서의 기울기 측정시에 적분 연산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기울기 측정 데이타가 발산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빌딩의 기울기 측정시에 멤스센서를 이용한 동적인 기울기를 측정하는 방식이 아닌 중력을 향하는 무게추의 미소 변위를 측정하는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오랜시간 기울기가 미세하게 변화하는 정적인 기울기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측정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울기 측정 장치의 A-A선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
도 3은 빌딩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측정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울기 측정 장치의 B-B선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측정 장치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이 경우,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전자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명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고, 기계장치에 대한 설명시 하나의 부품, 기능, 용도, 지점 또는 구동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측정 장치는 케이스(11), 와이어(12), 무게추(13) 및, 변위센서(14)를 포함하며, 디지털신호처리부(15), 기울기정보변환부(16), 오일(17) 및, 기울기조정부(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1)는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케이스(11)는 상단이 개구된 원통체(11a) 및 원통체(11a)의 상부 개구부에 결합하여 원통체(11a)를 밀폐하는 덮개부(11b)가 더 구성된다. 여기서, 덮개부(11b)의 하부에는 와이어(12)가 연결되는 고리부가 더 구성되며, 덮개부(11b)는 최초 조립시나 점검시에 필요에 따라 원통체(11a)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은 케이스(11)는 와이어(12)가 결합될 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와이어(12)와 무게추(13) 및 변위센서(14)를 외부와 밀폐시켜 이물질로부터 와이어(12)와 무게추(13) 변위센서(14)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와이어(12)는 상단이 케이스(11)의 내측면 상단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와이어(12)는 상단이 케이스(11)의 덮개부(11b)에 결합되고, 하단에는 무게추(13)가 결합된다. 여기서, 와이어(12)의 길이는 길어질수록 빌딩의 기울기에 대한 분해능이 증가되므로, 도면에 도시된 비율로 한정되지 않고 분해능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설정된다.
무게추(13)는 케이스(11)의 내측에 수용되며 와이어(12)의 하부에 연결되어 중력 방향으로 늘어지게 된다. 이러한 무게추(13)는 원통형추로 형성되어 중력에 의해 빌딩의 기울기 각도에 따라 일정 기울기로 기울어짐으로써, 빌딩의 기울기와 대응하는 기울기를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무게추(13)는 철재질을 포함하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무게추(13)는 변위센서(14)가 와전류센서로 구성되는 경우에, 와전류센서 각각과 대응하는 일정 영역이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금속재질부(13a) 및, 금속재질부(13a)와 결합되어 금속재질부(13a)들을 결합시키는 비금속 재질부(1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재질부(13a)는 변위센서(14)의 갯수에 대응하는 갯수로 구성된다. 따라서, 금속재질부(13a)는 변위센서(14)가 와전류센서로 구성되어 금속재질부(13a)가 와전류센서에 의해 자화되는 경우에 비금속 재질부(13b)에 의해 각각이 고립됨으로써, 다른 와전류센서가 자화되어 검측되는 데이타에 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변위센서(14)는 케이스(11)의 주변에 설치되어 무게추(13)의 측부 거리를 측정하되 복수 개로 구성되어 무게추(13)의 사방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변위센서(14)는 와전류센서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레이저변위센서 또는 정전용량형 변위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변위센서(14)는 적어도 4개의 이상의 와전류형 변위센서(14)로 구성되어 케이스(11)의 외주연을 사등분하는 위치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무게추(13)의 외주연을 사등분하는 위치 각각과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변위센서(14)는 무게추(13)와 거리를 네방향에서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무게추(13)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중력을 기준으로 평면상에서 무게추(13)의 중앙위치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변위센서(14)는 무게추(13)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빌딩의 기울기를 연산할 수 있게 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와이어(12)의 상단에서 무게추(13)를 측정하는 변위센서(14)와의 거리를 "L"이라 하고, 무게추(13)의 이동 거리가 "D"인 경우, 측정된 기울기 각도는 D/L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변위센서(14)의 갯수를 4개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변위센서(14)의 갯수는 증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지털신호처리부(15)는 변위센서(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변위센서(14)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인 변위데이타를 디지털신호처리하여 디지털 변위데이타로 변환하게 된다.
기울기정보변환부(16)는 디지털신호처리부(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디지털신호처리부(15)로부터 입력받은 디지털 변위데이타를 빌딩 기울기정보로 변환하게 된다. 이 경우, 기울기정보변환부(16)가 연산하는 연산식은 변위센서가 측정한 무게추(13)의 이동거리에 비례하는 연산식으로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으며, 기울기의 구체적인 연산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12)의 상단에서 무게추(13)를 측정하는 변위센서(14)의 위치와의 거리를 "L"이라 하고, 무게추(13)의 이동 거리가 "D"인 경우, 측정된 기울기 각도는 D/L로 구성될 수 있다.
오일(17)은 케이스(11)의 내측에 수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오일(17)은 실리콘 오일(17)과 같은 점성이 있는 오일(17)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일(17)은 무게추(13)와 와이어(12)가 부식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특히, 외부에서 진동이나 큰 충격이 발생하여 무게추(13)가 흔들리는 경우에 무게추(13)가 크게 흔들리지 않도록 변위의 폭을 감쇄시키고, 무게추(13)가 흔들린 이후에 빠르게 정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기울기조정부(18)는 케이스(11)의 하부와 빌딩 사이에 결합되어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기울기조정부(18)는 앙카볼트나 콘크리트 타설등에 의해 빌딩에 결합되는 하부고정판(18a), 케이스(11)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고정판(18a)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는 상부고정판(18b), 서로 간에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성되며 하부고정판(18a)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고정판(18b)에 형성되어 볼트공을 통과하여 배치되는 볼트몸통부(18c), 볼트몸통부(18c)와 나사결합되고 상부고정판(18b)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고정판(18b)의 하부를 지지하고 회전하는 경우에 상부고정판(18b)을 받치면서 상부고정판(18b)의 위치를 변경하는 하부너트부(18d) 및, 볼트몸통부(18c)에 나사결합되고 상부고정판(18b)의 상부를 압박하여 상부고정판(18b)을 고정시키는 상부너트부(18e)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기울기조정부(18)는 본 실시예의 기울기 측정 장치를 빌딩에 설치하는 경우, 기울기 측정 장치의 변위센서(14)들 전체가 측정한 값이 동일한 값이 형성되도록 영점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울기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빌딩이나 구조물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빌딩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측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울기 측정 장치의 B-B선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이다.
최초, 건물 증축시에 골조 공사가 완료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측정 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기울기조정부(18)의 하부고정판(18a)을 빌딩 상부층의 바닥면에 설치하고, 볼트몸통부(18c)에 하부너트부(18d)를 나사결합시키게 된다.
다음, 작업자는 하부너트부(18d)에 상부고정판(18b)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하부너트부(18d)들을 회전시켜 상부고정판(18b)의 기울기를 조정함으로써 변위센서(14)들이 측정한 값이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상부고정판(18b)의 기울기를 조정하고, 상부너트부(18e)를 볼트몸통부(18c)에 결합시키면 설치 작업을 마무리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빌딩의 기울기가 미세하게 기울어지게 되면, 무게추(13)는 빌딩이 기울어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미세하게 기울어지게 되며, 변위센서(14)는 무게추(13)와의 거리값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값을 디지털신호처리부(15)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빌딩이 미세하게 기울어짐으로써 무게추(13)가 기울어지게 되었을 때의 무게추(13)에 대한 중심 위치를 평면상에서 살펴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13)의 중심 위치가 변하게 되고, 이때, 4개의 변위센서(14)는 무게추(13)와의 거리를 도면에 도시된 네 방향에서 측정하고, 네 방향 각각에서의 거리를 통해 무게추(13)의 중심을 예측하여 어느 방향으로 얼마 만큼 이동하였는지에 대한 변위데이타들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기울기정보변환부(16)는 변위센서(14)에서 측정한 4방향 각각에서의 변위데이타를 지속적으로 입력받고, 이때 입력받은 4방향에서의 변위데이터를 신호처리하여 디지털 변위데이타로 변환한 후, 기울기값으로 변환하게 된다.
이 경우, 기울기정보변환부(16)에서 연산된 기울기값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2)의 상단에서 변위센서(14)간의 거리를 "L"이라 하고, 무게추(13)가 이동한 거리를 "D"라 하였을 때, D/L로 연산되고, 필요에 따라, 변수를 곱하거나 더하는 연산을 설정하여 더욱 정확한 기울기값을 설정하게 된다. 이 경우, 기울값은 호도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측정 장치는 빌딩의 골조 시공부터 준공 이후까지도 빌딩의 기울기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측정 장치는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여도 무게추(13)가 오일(17)에 의해 감쇄되기 때문에,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오차값을 발생시키는 기울기 측정용 멤스센서와는 달리 빌딩의 기울기와 대응하는 기울기 측정값으로 회귀하여 정확한 측정값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측정 장치는 빌딩의 기울기 측정시에 멤스 센서를 이용하지 않도록 하여 멤스 센서의 기울기 측정시에 적분 연산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기울기 측정 데이타가 발산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측정 장치는 빌딩의 기울기 측정시에 멤스센서를 이용한 동적인 기울기를 측정하는 방식이 아닌 중력을 향하는 무게추(13)의 미소 변위를 측정하는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오랜시간 기울기가 미세하게 변화하는 정적인 기울기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측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측정 장치는 케이스(11), 와이어(12), 무게추(13) 및, 변위센서(14)를 포함하며, 디지털신호처리부(15), 기울기정보변환부(16), 오일(17) 및, 기울기조정부(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케이스(11), 와이어(12), 무게추(13), 디지털신호처리부(15), 기울기정보변환부(16) 및, 기울기조정부(18)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며, 변위센서(140)가 레이저 변위센서로 구성되고, 오일(17)이 무게추의 일부분에만 닿도록 하는 점이 다른 점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측정 장치는 레이저변위센서가 무게추(13)와의 거리를 측정시에 오일(17)에 의해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레이저 변위센서의 고분해능을 이용하여 0.05˚도까지의 미세한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빌딩 변위 측정부 11 : 케이스
12 : 와이어 13 : 무게추
13a : 금속재질부 13b : 비금속 재질부
14 : 변위센서 15 : 디지털신호처리부
16 : 기울기정보변환부 17 : 오일
18 : 기울기조정부 18a : 하부고정판
18b : 상부고정판 18c : 볼트몸통부
18d : 하부너트부 18e : 상부너트부

Claims (6)

  1.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단이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상단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와이어의 하부에 연결되어 중력 방향으로 늘어지는 무게추; 및,
    상기 케이스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무게추의 측부 거리를 측정하되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무게추의 사방 거리를 측정하는 변위센서; 를 포함하는 기울기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변위센서가 측정한 아날로그 신호인 변위데이타를 디지털신호처리하여 디지털 변위데이타로 변환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 및,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받은 디지털 변위데이타를 빌딩 기울기정보로 변환하는 기울기정보변환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울기정보변환부는 변위센서가 측정한 상기 무게추의 이동거리에 비례하는 연산식으로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무게추의 유동을 감쇄시키는 오일; 을 더 포함하는 기울기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와 빌딩 사이에 결합되어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기울기조정부; 를 더 포함하는 기울기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센서는 적어도 4개의 이상의 변위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주연을 사등분하는 위치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무게추의 외주연을 사등분하는 위치 각각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측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상단에서 상기 변위센서와의 거리를 "L", 상기 무게추가 이동한 거리가 "D"인 경우, 측정된 기울기 각도는 D/L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측정 장치.
KR1020220082460A 2022-07-05 2022-07-05 기울기 측정 장치 KR202400054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460A KR20240005404A (ko) 2022-07-05 2022-07-05 기울기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460A KR20240005404A (ko) 2022-07-05 2022-07-05 기울기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404A true KR20240005404A (ko) 2024-01-12

Family

ID=8954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460A KR20240005404A (ko) 2022-07-05 2022-07-05 기울기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540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517A (ko) 1996-04-19 2000-01-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코팅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517A (ko) 1996-04-19 2000-01-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코팅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1437B1 (en) Laser reference system for excavating machine
US11414304B2 (en) Boom slewing angle detection device for mobile crane
US5259122A (en) Touch signal probe
CN106052724A (zh) 一种机器人、旋转测量装置及方法
US20170356424A1 (en) System for Detection of Foundation Movement in a Wind Turbine
KR102078485B1 (ko) 터널의 변위측정장치
MX2015003675A (es) Medicion estructural en tiempo real (rtsm) para dispositivos de control de retroalimentacion activos y semi-activos.
KR20240005404A (ko) 기울기 측정 장치
KR100506478B1 (ko) 엘리베이터의 하중 검출장치
KR100761934B1 (ko) 교량의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
US7493702B2 (en) Tilt control method
CN103759632A (zh) 用于测量结构挠度的应变式传感器
KR20240005407A (ko) 기울기 측정 장치
CN110672059B (zh) 一种滑动测微计的检定装置及检定方法
EP3093617B1 (en) A system for detection of foundation movement in a wind turbine
US11624407B2 (en) Rolling bearing assembly
KR102504961B1 (ko) 빌딩 기울기 모니터링 시스템
JP5183914B2 (ja) エレベータの荷重検出装置
CN205679221U (zh) 钻孔斜向线应变测量仪
JPH0461929B2 (ko)
JP6496352B2 (ja) 射出成形機
JP2020003266A (ja) 変位検出装置
SU59796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параметров течени
JP7437702B2 (ja) 壁面土圧計
JP6448756B2 (ja) 測定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