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5402A - 산불 진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산불 진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5402A
KR20240005402A KR1020220082455A KR20220082455A KR20240005402A KR 20240005402 A KR20240005402 A KR 20240005402A KR 1020220082455 A KR1020220082455 A KR 1020220082455A KR 20220082455 A KR20220082455 A KR 20220082455A KR 20240005402 A KR20240005402 A KR 20240005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st fire
fire extinguishing
hose
wat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식
Original Assignee
김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식 filed Critical 김성식
Priority to KR1020220082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5402A/ko
Publication of KR20240005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9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by spraying extinguishants directly into the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71Detection of area conflagratio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5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blowing or injecting heating, cooling or other conditioning fluid inside the contain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산불 진화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산불 진화시스템은 산의 정상인 산꼭대기에 설치되며, 내부에 물(water)이 충전되는 대용량 물탱크; 일단부는 상기 대용량 물탱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산의 능선을 따라 산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대용량 물탱크 내의 물을 전달하는 복수 개의 산불 진화용 호스; 상기 산불 진화용 호스에 마련되고 상기 산불 진화용 호스 내의 물의 흐름을 단속하며, 원격 컨트롤이 가능한 호스용 전자 밸브; 및 상기 산불 진화용 호스의 단부에 결합하며, 주변 둘레를 따라 물을 비산시키는 스프링클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산불 진화시스템{FOREST FIRE EXTINGUISHING SYSTEM}
본 발명은, 산불 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헬리콥터 적용 방식에서 벗어나 산불 발생 시 초기 진화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헬리콥터의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도 적용할 수 있는, 산불 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산불 진화에는 헬리콥터가 주로 사용된다. 종래 헬리콥터를 이용한 산불 진화 방식은 도 1 내지 도 3과 같다.
우선, 도 1처럼 헬리콥터에 버킷을 로프 등으로 매달아 강이나 호수 등에서 소화용수를 버킷에 담수하여 산불지역으로 비행 이동한 후 버킷의 하면에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설치된 여닫이식 개폐판을 개방하여 버킷에 담수된 소화용수가 방수되도록 한 것이 있다.
산불을 효과적으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산불의 진행정도에 따라 시간당 방수량과 1회 담수된 소방용수의 방수면적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화염이 크게 일어나는 큰불을 진화하는 경우에는 시간당 방수량을 크게 하고 방수면적을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화초기의 작은 불이나 잔불을 진화하는 경우에는 시간당 방수량을 적게 하고 방수면적을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버킷의 밑면에 구비된 여닫이식 개폐판을 개방하였을 때 버킷에 담수된 소화용수가 일시에 폭포수처럼 방수되기 때문에 헬리콥터의 비행방향에 대한 가로방향 방수폭이 좁고 국부적으로 집중하여 방수되기 때문에 산불 진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장치에서는 버킷에 담수된 소방용수를 방수할 때 시간당 방수량이나 방수면적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발화초기, 큰불 및 잔불 여부에 무관하게 시간당 방수량과 방수면적이 모두 동일하게 되어 산불 진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버킷에 소방용수를 담수하기 위해서는 버킷을 강이나 호수 등에 완전히 잠기게 하여야 하므로 버킷의 높이보다 깊은 수심의 강이나 호수 등에서는 담수를 할 수 있으나 버킷의 높이보다 얕은 수심의 물웅덩이 외에 없을 경우에는 소방용수의 담수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산불지역에 인접하여 버킷의 높이보다 깊은 수심의 강이나 호수 등이 없는 경우에는 적합한 깊이의 수심을 가지는 강이나 호수 등에까지 이동하여 담수한 후 다시 산불지역으로 이동하여 소방용수를 방수하여야 하므로 신속한 산불 진화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 도 2처럼 헬리콥터 자체에 물탱크와 양수펌프를 구비하여 강이나 호수 등에서 소화용수를 양수펌프에 의해 물탱크에 담수하여 산불지역으로 비행 이동한 후 물탱크의 하면에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설치된 여닫이식 개폐판을 개방하여 버킷에 담수된 소화용수가 방수되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수심이 얕은 물웅덩이 등에서도 양수펌프에 의하여 담수가 가능하기는 하다. 그렇지만 주변에 수목 등의 지장물이 있는 경우에는 헬기의 하강비행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위험이 뒤따를 뿐 아니라 이로 인하여 담수가 불가능하다. 설령 담수가 가능하다할지라도 여닫이식 개폐판 방수방식이므로 시간당 방수량과 물탱크에 담수된 소화용수의 방수면적이 산불의 정도와 무관하게 일정하게 되어 산불 진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은 그대로 남게 된다.
다음, 도 3처럼 헬리콥터 자체에 물탱크와 양수펌프 및 담수/방수관을 구비하여 강이나 호수 등에서 소화용수를 양수펌프와 담수/방수관에 의해 물탱크에 담수하여 산불지역으로 비행 이동한 후 담수/방수관을 통해 방수하는 방식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수심이 얕은 물웅덩이 등에서도 담수가 가능하지만, 방수면적이 매우 좁기 때문에 산불 진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주변에 수목 등의 지장물이 있는 경우에는 헬기의 하강비행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위험이 뒤따를 뿐 아니라 이로 인하여 담수가 불가능하다.
설령 담수가 가능하다 할지라도 여닫이식 개폐판 방수방식이므로 시간당 방수량과 물탱크에 담수된 소화용수의 방수면적이 산불의 정도와 무관하게 일정하게 되어 산불 진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은 그대로 남게 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헬리콥터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 헬리콥터 방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방식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35675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헬리콥터 적용 방식에서 벗어나 산불 발생 시 초기 진화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헬리콥터의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도 적용할 수 있는, 산불 진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산의 정상인 산꼭대기에 설치되며, 내부에 물(water)이 충전되는 대용량 물탱크; 일단부는 상기 대용량 물탱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산의 능선을 따라 산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대용량 물탱크 내의 물을 전달하는 복수 개의 산불 진화용 호스; 상기 산불 진화용 호스에 마련되고 상기 산불 진화용 호스 내의 물의 흐름을 단속하며, 원격 컨트롤이 가능한 호스용 전자 밸브; 및 상기 산불 진화용 호스의 단부에 결합하며, 주변 둘레를 따라 물을 비산시키는 스프링클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산의 능선을 따라 곳곳에 배치되되 산불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및 상기 화재 감지부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용 전자 밸브를 온(on)시켜 상기 산불 진화용 호스 내로 물이 흐르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불 진화용 호스는 하단부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산불 진화용 호스는 상기 대용량 물탱크를 기준으로 해서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대용량 물탱크 내에 거름망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에 이웃한 상기 산불 진화용 호스의 단부 영역에 수동 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헬리콥터 적용 방식에서 벗어나 산불 발생 시 초기 진화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헬리콥터의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일반적인 산불 진화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시스템에서 화재 진압을 위해 물이 분사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대용량 물탱크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대용량 물탱크에 대한 산불 진화용 호스의 배치도이다.
도 8은 도 4의 A 영역의 확대 구조도이다.
도 9는 도 4의 산불 진화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 영역의 확대 구조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산불 진화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4는 대용량 물탱크 영역의 구조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산불 진화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시스템에서 화재 진압을 위해 물이 분사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대용량 물탱크 영역의 확대도, 도 7은 대용량 물탱크에 대한 산불 진화용 호스의 배치도, 도 8은 도 4의 A 영역의 확대 구조도, 도 9는 도 4의 산불 진화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시스템(100)은 기존의 헬리콥터 적용 방식에서 벗어나 산불 발생 시 초기 진화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헬리콥터의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시스템(100)은 대용량 물탱크(110), 산불 진화용 호스(120), 호스용 전자 밸브(130), 스프링클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물탱크(110)는 산의 정상인 산꼭대기에 설치되며, 내부에 물(water)이 충전되는 탱크이다. 도면에는 다소 과장되게 도시되었는데, 대용량 물탱크(110)는 여러 개일 수 있다.
대용량 물탱크(110)에는 빗물이 충전될 수도 있고 혹은 소방훈련 시 헬리콥터로 물을 미리 채워둘 수도 있다. 물론, 산이 낮거나 하천, 강 등이 가까우면 대용량 물탱크(110)에 펌프로 물을 채울 수 있다.
산불 진화용 호스(120)는 일단부는 대용량 물탱크(1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산의 능선을 따라 산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대용량 물탱크(110) 내의 물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산불 진화용 호스(120)는 복수 개로 배치된다.
산불 진화용 호스(120)는 하단부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산불 진화용 호스(120)의 단부 물 배출구 영역에서 유속이 강하고 빨라질 수 있다.
상기 산불 진화용 호스(120)는 상기 대용량 물탱크(110)를 기준으로 해서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호스용 전자 밸브(130)는 산불 진화용 호스(120)에 마련되고 산불 진화용 호스(120) 내의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호스용 전자 밸브(130)는 컨트롤러(180)에 의해 원격 컨트롤이 가능하다.
스프링클러(140)는 산불 진화용 호스(120)의 단부에 결합하며, 주변 둘레를 따라 물을 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산불 진화용 호스(120)의 물 배출구 영역에 스프링클러(140)를 설치함으로써 물 배출부 주변의 넓은 반경으로 산불 진화가 잘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클러(140)를 하향하게 배치함으로써 산불 진화 반경이 더 넓어지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시스템에는 시스템의 컨트롤을 위해 화재 감지부(170)와 컨트롤러(180)가 더 마련된다.
화재 감지부(170)는 산의 능선을 따라 곳곳에 배치되되 산불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수단이다. 화재 감지부(170)는 불꽃 감지, 열 감지, 연기 감지 혹은 카메라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화재 감지부(170)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호스용 전자 밸브(130)를 온(on)시켜 산불 진화용 호스(120) 내로 물이 흐르게 컨트롤한다. 그러면, 도 4에서 도 5처럼 산불 진화용 호스(120)를 타고 내려온 물이 스프링클러(140)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비산됨으로써 그 주변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만약, 수압이 약하면 펌프를 더 설치해서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화재 감지부(170)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호스용 전자 밸브(130)를 온(on)시켜 산불 진화용 호스(120) 내로 물이 흐르게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화재 감지부(170)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호스용 전자 밸브(130)를 온(on)시켜 산불 진화용 호스(120) 내로 물이 흐르게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산꼭대기에 대용량 물탱크(110)를 설치하고, 대용량 물탱크(110)와 연결된 복수 개의 산불 진화용 호스(120)를 능선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한 다음, 산불 진화용 호스(120)마다 원격 컨트롤이 가능한 호스용 전자 밸브(130)를 설치하는 한편, 그 단부에 스프링클러(140)를 설치함으로써 도 5처럼 산불에 즉각적으로 대처 가능하다. 때문에, 도 1 내지 도 3처럼 헬리콥터가 도착하기 전, 산불의 초기 진화에 매우 유리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헬리콥터 적용 방식에서 벗어나 산불 발생 시 초기 진화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헬리콥터의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B 영역의 확대 구조도, 도 12는 도 10의 산불 진화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시스템(200) 역시, 대용량 물탱크(110), 산불 진화용 호스(120), 호스용 전자 밸브(130), 스프링클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기능과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피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대용량 물탱크(110) 내에 거름망(115)이 배치된다. 거름망(115)은 대용량 물탱크(110) 내로 물 투입은 가능케 하면서도 낙엽이나 기타 이물질이 대용량 물탱크(110) 내에 쌓이는 것을 저지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클러(140)에 이웃한 산불 진화용 호스(120)의 단부 영역에 수동 밸브(250)가 마련된다. 겨울철 수동 밸브(250)를 약간 열어둠으로써 산불 진화용 호스(120) 내의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산불 진화용 호스(120)의 내벽에 보온부(260)가 형성된다. 보온부(260)는 보온재일 수도 있고 혹은 열선일 수도 있다. 열선인 경우에는 별도의 태양전지판을 설치하고, 태양전지판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이용해서 발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기존의 헬리콥터 적용 방식에서 벗어나 산불 발생 시 초기 진화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헬리콥터의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4는 대용량 물탱크 영역의 구조도, 도 15는 도 13의 산불 진화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산불 진화시스템(300) 역시, 대용량 물탱크(310), 산불 진화용 호스(120), 호스용 전자 밸브(130), 스프링클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기능과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피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산불 진화용 호스(120)에 지관(320)이 연결된다. 지관(320)이 연결되면 좀 더 넓은 지역에 산불을 진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지관(320)의 단부에도 스프링클러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대용량 물탱크(310)에 탱크 커버(311)가 결합한다. 탱크 커버(311)는 커버 구동부(312)로 인해 원격 개폐된다. 그리고, 대용량 물탱크(310)에는 수위 센서(313)가 마련되며, 이들은 컨트롤러(380)에 의해 컨트롤되고 무선 통신부(390)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가 적용될 경우, 수위 센서(313)의 작용으로 대용량 물탱크(310) 내의 물이 없다고 판단되면, 이의 정보가 무선 통신부(390)를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된다. 그러면, 관리자가 헬리콥터를 투입해서 대용량 물탱크(310) 내로 물을 강제 충전하게 되는데, 이때 커버 구동부(312)가 원격으로 동작함으로써 굳이 산 정상에 오르지 않더라도 탱크 커버(311)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기존의 헬리콥터 적용 방식에서 벗어나 산불 발생 시 초기 진화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헬리콥터의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산불 진화시스템 110 : 대용량 물탱크
120 : 산불 진화용 호스 130 : 호스용 전자 밸브
140 : 스프링클러 170 : 화재 감지부
180 : 컨트롤러

Claims (5)

  1. 산의 정상인 산꼭대기에 설치되며, 내부에 물(water)이 충전되는 대용량 물탱크;
    일단부는 상기 대용량 물탱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산의 능선을 따라 산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대용량 물탱크 내의 물을 전달하는 복수 개의 산불 진화용 호스;
    상기 산불 진화용 호스에 마련되고 상기 산불 진화용 호스 내의 물의 흐름을 단속하며, 원격 컨트롤이 가능한 호스용 전자 밸브; 및
    상기 산불 진화용 호스의 단부에 결합하며, 주변 둘레를 따라 물을 비산시키는 스프링클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산의 능선을 따라 곳곳에 배치되되 산불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및
    상기 화재 감지부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용 전자 밸브를 온(on)시켜 상기 산불 진화용 호스 내로 물이 흐르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불 진화용 호스는 하단부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산불 진화용 호스는 상기 대용량 물탱크를 기준으로 해서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용량 물탱크 내에 거름망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에 이웃한 상기 산불 진화용 호스의 단부 영역에 수동 밸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시스템.
KR1020220082455A 2022-07-05 2022-07-05 산불 진화시스템 KR20240005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455A KR20240005402A (ko) 2022-07-05 2022-07-05 산불 진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455A KR20240005402A (ko) 2022-07-05 2022-07-05 산불 진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402A true KR20240005402A (ko) 2024-01-12

Family

ID=89541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455A KR20240005402A (ko) 2022-07-05 2022-07-05 산불 진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540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5675A (ko) 2005-08-05 2008-04-23 레프로스 쎄라피우틱스 아이엔씨. 클로미펜을 이용하여 여성의 불임을 치료하는 방법들과조성물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5675A (ko) 2005-08-05 2008-04-23 레프로스 쎄라피우틱스 아이엔씨. 클로미펜을 이용하여 여성의 불임을 치료하는 방법들과조성물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5482A (en) Fire deterrent system for structures in a wildfire hazard area
CN104027922A (zh) 大型罐区储罐火灾水幕喷淋防护系统
KR200400410Y1 (ko) 산불 진화용 양수 장치
JP5015927B2 (ja) タンク火災消火時の突入ゾーン、重液、大型タンク、構造的障害及びタイミングに関する問題に対処するための方法
KR20240005402A (ko) 산불 진화시스템
KR102082567B1 (ko)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 시스템
CN207407069U (zh) 一种火力发电厂液氨站泄漏防护系统
CN208990108U (zh) 仓储罐灭火系统
CN204153792U (zh) 一种用于水浸式刮板捞渣机的防溢流循环系统
KR200463826Y1 (ko) 선박용 소화수 배관 동파 방지장치
CN206026921U (zh) 一种新型车载灭火系统
KR102074071B1 (ko)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설비 시스템
KR100456071B1 (ko)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
CN113230570A (zh) 一种节能的高层建筑自救消防装置
CN216824561U (zh) 一种建筑外墙自动喷水灭火系统
CN207076045U (zh) 一种仓库灭火系统
CN206934530U (zh) 用于脱硫吸收塔安装施工过程的自动消防系统
CN213589569U (zh) 一种定向防山火自动喷灭装置
JP3963221B2 (ja) 消火設備
CN218010694U (zh) 一种用于焚烧系统下料斗灭火专用装置
KR102635921B1 (ko) 화재 진화용 시스템 및 그 구축 공법
CN214485352U (zh) 一种用于高层建筑的消防系统
KR102290035B1 (ko) 소방헬기의 용수공급시스템
CN217612608U (zh) 一种用于电化学储能装置的可循环喷水灭火系统
RU2318563C2 (ru) Способ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защиты резервуаров с нефтепродукт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