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550A -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 - Google Patents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550A
KR20240003550A KR1020220081259A KR20220081259A KR20240003550A KR 20240003550 A KR20240003550 A KR 20240003550A KR 1020220081259 A KR1020220081259 A KR 1020220081259A KR 20220081259 A KR20220081259 A KR 20220081259A KR 20240003550 A KR20240003550 A KR 20240003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bridge
tempered glass
vertical member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6632B1 (ko
Inventor
박상현
안종국
박현비
Original Assignee
현컨설턴트 주식회사
박현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컨설턴트 주식회사, 박현비 filed Critical 현컨설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1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632B1/ko
Publication of KR20240003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6/00Truss-type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은 교량하부 구조의 상부에 결합하며 난간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트러스부와 상기 트러스부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보를 포함하며, 지점부가 트러스부 및 가로보의 각 부재와 일체로 마련된다.

Description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BRIDGE IN WHICH THE HANDRAIL TRUSS IS APPLIED TO}
본 발명은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관재인 난간이 구조부재인 트러스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며 경관조명 및 강화유리에 의해 수려한 미관을 갖출 수 있는,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자동차 또는 사람들의 이동을 위한 구조물으로서, 계곡이나 하천 등과 같이 자연환경에 의해 이동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이를 원만하게 소통시키기 위해 널리 시공되고 있다. 이중에서, 특히 사람들의 왕래를 위한 인도교의 경우 자연에 조금 더 다가가고 싶은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공원은 물론 산이나 해안가 근처에 생태탐방 목적으로도 많이 시공되고 있다.
현수교나 사장교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상판의 하중을 지지하거나, 트러스교와 같이 폐루프 구조로 이루어지는 강재빔을 연속 결합하여 상판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인도교로서 현수교나 사장교의 경우에는 많은 기둥이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그 외관이 수려한 장점은 있으나, 기둥과 별도로 와이어로프를 거치하고 지지하기 위한 일정높이의 주탑을 시공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복잡한 설계작업을 거쳐야 함은 물론 장시간의 시공기간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공사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트러스교의 경우에는 강재빔을 폐루프 구조로 하여 이들을 연속 결합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많은 기둥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구조적으로 안정된 교량을 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상판의 하중을 원활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강재빔을 사용하여 폐루프 구조를 연속적으로 결합해야 한다는 점에서 현수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공에 따른 공사비용이 현저히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인도교로서 공사비용이 감소될 수 있으면서도 경관적으로 수려한 트러스교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7041호(2007.03.22)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경관재인 난간이 구조부재인 트러스로 기능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지점부가 구조적으로 다른 부재와 일체화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이 제고될 수 있는,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은, 교량하부 구조의 상부에 결합하며 난간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트러스부와 상기 트러스부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보를 포함하며, 상기 트러스부는 상현재, 수직재, 경사재가 일체로 마련되고, 수직재와 경사재의 하부가 만나 지점부를 형성하면서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트러스부의 길이방향으로 각 지점부 사이에는 빔이 결합하여 하현재를 형성하고 상기 트러스부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지점부와 인접한 트러스부의 지점부에 가로보가 마련되되, 상기 지점부에 상현재, 수직재, 경사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가로보가 일체로 결합한다.
상기 상현재, 상기 하현재, 상기 수직재, 상기 경사재, 상기 지점부, 및 상기 빔 중 일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빈 공간은 강화유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재의 하단부, 상기 경사재의 하단부, 상기 빔의 일단은 단부 블럭부와 연결되어 단부 지점부를 형성하며, 한 쌍의 경사재의 하단부, 수직재의 하단부, 상기 빔의 양 단부는 중앙부 블럭부와 만나 중앙부 지점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부 블럭부는 그 종단면의 일측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타측이 경사진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가로보가 결합하기 위한 수평 이음부와 경사 이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부 블럭부는 그 종단면의 양 측이 경사진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가로보가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경사 이음부와 수평 이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부 블럭부에는 상기 가로보가 결합하기 위한 빔단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부 블럭부에는 상기 가로보가 결합하기 위한 빔단부 및 한 쌍의 경사 이음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부 블럭부와 상기 중앙부 블럭부의 양단부에는 조명부가 마련되며, 상기 경사재와 상기 수직재에 조명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화유리는 강화유리 고정부에 의해 상기 강화유리의 모서리부가 고정되며, 상기 강화유리 고정부는 상현재, 수직재 또는 경사재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화유리의 모서리부에 마련된 결합홀과 상기 강화유리 고정부의 결합부를 체결부가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강화유리는 상기 강화유리 고정부에 결합하되, 상기 결합부의 상부는 고정홀 보다 면적이 큰 판의 형태로 마련되어 체결봉과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의 하부는 직육면체의 기둥으로 마련되고 하단부에는 삽입부가 마련되어 상기 강화유리의 모서리부가 삽입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삽입부와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강화유리의 단부는 상기 상현재, 상기 수직재 또는 상기 경사재와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관재인 난간이 구조부재인 트러스로 기능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지점부가 구조적으로 다른 부재와 일체화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이 제고되고, 트러스에 경관조명과 강화유리가 마련되어 수려한 미관을 갖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트러스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점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난간 트러스와 가로보가 결합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트러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점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난간 트러스와 가로보가 결합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은, 교량하부 구조(10, 20)의 상부에 마련되는 교량상부 구조물(100)을 포함한다.
교량상부 구조물(100)은 한 쌍의 트러스부와 한 쌍의 트러스부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보, 바닥판을 포함한다.
트러스부는 상현재(110), 수직재(120a), 경사재(120b)가 일체로 마련되고, 수직재(120a)와 경사재(120b)의 하부가 만나 지점부(130)를 형성하면서 일체로 마련된다.
또한, 트러스부의 길이방향으로 각 지점부 사이에는 빔(140)이 결합하여 하현재를 형성하고 트러스부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지점부(130)와 인접한 트러스부의 지점부(130)에 가로보(170)가 마련된다.
지점부(130)에는 상현재(110), 수직재(120a), 경사재(120b) 중 적어도 하나와 가로보(170), 빔(140)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일체로 결합한다.
상현재(110), 빔(140), 수직재(120a), 경사재(120b), 지점부(130) 중 일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빈 공간은 강화유리(150)가 결합되어 빈 공간이 커버된다.
강화유리(150)는 삼각형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모서리 부분은 라운딩처리되어 상기 빈 공간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강화유리(150)는 강화유리 고정부(157, 159)에 의해 모서리부가 고정되며, 강화유리 고정부(157, 159)는 상현재(110), 수직재(120a) 또는 경사재(120b)로부터 돌출되어 강화유리(150)의 단부를 고정한다.
도 8에서 상현재(110)의 일부를 설명의 편의상 자른 것이며, 상현재(110)의 하부판에는 강화유리 고정부(157, 159)가 관통할 수 있도록 고정홀(h)이 마련되고 고정홀(h)의 둘레에는 체결봉(155)이 마련되어 강화유리 고정부(157, 159)의 상부를 고정한다.
강화유리의 모서리부에 마련된 결합홀(153)과 강화유리 고정부(157, 159)의 결합부(157)를 체결부(159)가 동시에 관통하여 강화유리는 강화유리 고정부(157, 159)에 결합한다.
결합부(157)의 상부는 고정홀(h) 보다 면적이 큰 판의 형태로 마련되어 체결봉(155)과 결합되고, 결합부(157)의 하부는 직육면체의 기둥으로 마련되고 하단부에는 삽입부가 마련되어 강화유리의 모서리부가 삽입되고 체결부(159)가 삽입부와 결합홀(153)을 관통하여 강화유리(150)의 단부는 상현재(110), 수직재(120a) 또는 경사재(120b)와 체결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직재(120a)의 하단부, 경사재(120b)의 하단부, 빔(140)의 일단은 단부 블럭부(130a)와 연결되어 단부 지점부를 형성하며,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경사재(120b)의 하단부, 수직재(120a)의 하단부, 빔(140)의 양 단부는 중앙부 블럭부(130b)와 만나 중앙부 지점부를 형성한다.
단부 블럭부(130a)는 그 종단면의 일측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타측이 경사진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된다. 단부 블럭부(130a)의 경사진 부분에는 빔(140)의 일단이 결합하되, 빔(140)의 일단과 저촉되지 않도록 단부 블럭부(130a)의 경사진 부분에 조명부(160)가 마련된다. 빔(140)의 하부 플랜지에 단부 블럭부(130a)의 하면이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명부(160)는 선형의 라인조명으로 형성될 수 있고, 원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60)는 단부 블럭부(130a)나 중앙부 블럭부(130b)에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현재(110), 수직재(120a) 또는 경사재(120b)에도 물론 마련될 수 있다.
단부 블럭부(130a)에는 가로보(170)가 결합하기 위한 수평 이음부(135a)와 경사 이음부(137a)를 포함하며, 수평 이음부(135a)와 경사 이음부(137a)는 단부 블럭부(130a)의 상부에 마련된 이음부 본체(133a)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중앙부 블럭부(130b)는 그 종단면의 양 측이 경사진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며, 가로보(170)가 결합하기 위한 다수 개의 이음부가 마련될 수 있다.
중앙부 지점부의 중앙부 블럭부(130b)의 경사진 부분의 하면은 빔(140)의 양 단부의 상면에 결합할 수 있다. 빔(140)의 양단과 저촉되지 않도록 단부 블럭부(130a)의 경사진 부분에 조명부(160)가 마련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중앙부 블럭부(130b)에는 가로보(170)가 결합하기 위한 빔단부(131b)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중앙부 블럭부(130c)에는 가로보(170)가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경사 이음부(133c, 137c)와 수평 이음부(135c)가 마련되고, 한 쌍의 경사 이음부(133c, 137c)와 수평 이음부(135c)는 이음부 본체(131c)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중앙부 블럭부(130d)에는 가로보(170)가 결합하기 위한 빔단부(133d) 및 한 쌍의 경사 이음부(131d, 135d)가 마련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중앙부 블럭부(130e)에는 가로보(170)가 결합하기 위한 평면부(135e) 및 한 쌍의 경사 이음부(131e, 137e)가 마련되며, 한 쌍의 경사 이음부(131e, 137e)는 이음부 본체(131e)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평면부(135e)의 정면에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관재인 난간이 구조부재인 트러스로 기능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지점부가 구조적으로 다른 부재와 일체화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이 제고되고, 트러스에 경관조명과 강화유리가 마련되어 수려한 미관을 갖출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상현재
120a: 수직재
120b: 경사재
130: 지점부
140: 빔
150: 강화유리
160: 조명부
170: 가로보

Claims (10)

  1. 교량하부 구조의 상부에 결합하며 난간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트러스부와 상기 트러스부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보를 포함하며,
    상기 트러스부는 상현재, 수직재, 경사재가 일체로 마련되고, 수직재와 경사재의 하부가 만나 지점부를 형성하면서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트러스부의 길이방향으로 각 지점부 사이에는 빔이 결합하여 하현재를 형성하고 상기 트러스부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지점부와 인접한 트러스부의 지점부에 가로보가 마련되되,
    상기 지점부에 상현재, 수직재, 경사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가로보가 일체로 결합하는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현재, 상기 하현재, 상기 수직재, 상기 경사재, 상기 지점부, 및 상기 빔 중 일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빈 공간은 강화유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의 하단부, 상기 경사재의 하단부, 상기 빔의 일단은 단부 블럭부와 연결되어 단부 지점부를 형성하며,
    한 쌍의 경사재의 하단부, 수직재의 하단부, 상기 빔의 양 단부는 중앙부 블럭부와 만나 중앙부 지점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블럭부는 그 종단면의 일측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타측이 경사진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가로보가 결합하기 위한 수평 이음부와 경사 이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 블럭부는 그 종단면의 양 측이 경사진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가로보가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경사 이음부와 수평 이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 블럭부에는 상기 가로보가 결합하기 위한 빔단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 블럭부에는 상기 가로보가 결합하기 위한 빔단부 및 한 쌍의 경사 이음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블럭부와 상기 중앙부 블럭부의 양단부에는 조명부가 마련되며,
    상기 경사재와 상기 수직재에 조명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는 강화유리 고정부에 의해 상기 강화유리의 모서리부가 고정되며, 상기 강화유리 고정부는 상현재, 수직재 또는 경사재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의 모서리부에 마련된 결합홀과 상기 강화유리 고정부의 결합부를 체결부가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강화유리는 상기 강화유리 고정부에 결합하되,
    상기 결합부의 상부는 고정홀 보다 면적이 큰 판의 형태로 마련되어 체결봉과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의 하부는 직육면체의 기둥으로 마련되고 하단부에는 삽입부가 마련되어 상기 강화유리의 모서리부가 삽입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삽입부와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강화유리의 단부는 상기 상현재, 상기 수직재 또는 상기 경사재와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
KR1020220081259A 2022-07-01 2022-07-01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 KR102656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259A KR102656632B1 (ko) 2022-07-01 2022-07-01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259A KR102656632B1 (ko) 2022-07-01 2022-07-01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550A true KR20240003550A (ko) 2024-01-09
KR102656632B1 KR102656632B1 (ko) 2024-04-30

Family

ID=8953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259A KR102656632B1 (ko) 2022-07-01 2022-07-01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6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3996B1 (en) * 1998-11-05 2001-06-12 James Oliver Adjustable truss for mating seam of multi-section manufactured home
US20060272110A1 (en) * 2005-05-12 2006-12-07 De La Chevrotiere Alexandre Moment-Resisting Joint and System
KR100697041B1 (ko) 2005-08-09 2007-03-22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판거더와 난간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판거더교량 및 이를이용한 교량설치방법
KR101054279B1 (ko) * 2008-09-26 2011-08-08 주식회사 고산엔지니어링 경관용 투명 구조물
KR20160108969A (ko) * 2015-03-09 2016-09-21 삼성물산 주식회사 트러스형 난간이 구비된 가설교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3996B1 (en) * 1998-11-05 2001-06-12 James Oliver Adjustable truss for mating seam of multi-section manufactured home
US20060272110A1 (en) * 2005-05-12 2006-12-07 De La Chevrotiere Alexandre Moment-Resisting Joint and System
KR100697041B1 (ko) 2005-08-09 2007-03-22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판거더와 난간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판거더교량 및 이를이용한 교량설치방법
KR101054279B1 (ko) * 2008-09-26 2011-08-08 주식회사 고산엔지니어링 경관용 투명 구조물
KR20160108969A (ko) * 2015-03-09 2016-09-21 삼성물산 주식회사 트러스형 난간이 구비된 가설교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6632B1 (ko) 202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02361A (en) Prefabricated bridge deck unit
KR101546304B1 (ko) 거더와 난간이 조립방식으로 체결되어 트러스구조를 이루는 다리
CA2187797A1 (en) Dowel strip for bent-up bars
KR102656632B1 (ko) 난간 트러스가 적용된 교량
RU2609504C1 (ru) Сталежелезобетонное пролётное строение моста
KR102230453B1 (ko) 복수 개의 지지와이어 및 단일의 윈드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CN106592751A (zh) 带栏杆的大跨钢连廊
KR102408862B1 (ko)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
JP6070781B2 (ja) 足場構造
US20020148193A1 (en) Structural wooden joist
US3591991A (en) Cantilevered roof section
CN216663757U (zh) 一种人行桥梁桥跨结构
CA1100713A (en) Unit construction steel bridges
US4506487A (en) Steel truss
JP5468878B2 (ja) トラス張弦梁
KR102641650B1 (ko) 경량모듈식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912376B1 (ko) 판형 트러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합성형교
CA2329427C (en) Truss enhanced bridge girder
CN111560834A (zh) 拱桥钢纵横梁系统
KR102408853B1 (ko) 비틀림 저항성이 우수한 박스 모듈 거더교
US1968096A (en) Roof truss
KR102553708B1 (ko) 조립식 복합 거더 및 이의 시공 방법
JP2001090240A (ja) デッキプレートおよびコンクリート床
CN211369017U (zh) 索桁架大跨度通廊结构
US20210372126A1 (en) Truss formed of folded sheet me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