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539A - 치아 보철물 제작용 블랭크 - Google Patents

치아 보철물 제작용 블랭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539A
KR20240002539A KR1020220079838A KR20220079838A KR20240002539A KR 20240002539 A KR20240002539 A KR 20240002539A KR 1020220079838 A KR1020220079838 A KR 1020220079838A KR 20220079838 A KR20220079838 A KR 20220079838A KR 20240002539 A KR20240002539 A KR 20240002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erial portion
contact
jig
blank
se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봉
김준형
고환순
오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스
Priority to KR1020220079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539A/ko
Priority to PCT/KR2023/008581 priority patent/WO2024005437A1/ko
Publication of KR20240002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22Blanks or green, unfinished dental restoration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장치의 가공 공구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소정의 가공 면적을 제공하며, 다수개의 측면을 형성하는 소재부; 상기 소재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을 이용하여 상기 소재부의 측면에 장착되며, 가공장치의 원형틀 형태를 가지는 지그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가드부;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아 보철물 제작용 블랭크{BLANK FOR MAKING DENTAL PROSTHESIS}
본 발명은 치과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블랭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가공 장치의 지그와 견고히 밀착되어 가공 정밀성을 유지하면서도 가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공구 응력이나 진동, 충격 등으로부터 크랙이나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치과 보철물 제작용 블랭크에 관한 것이다.
치아가 파절, 우식에 의한 손상, 결손 등에 의해 상실되면 치과용 수복 또는 보철 시술을 시행하게 된다. 치과 보철 시술은 치아의 일부 혹은 전체를 삭제한 후 자연치아와 가장 유사하게 인위적으로 치아를 만들어 붙이거나 씌우는 모든 시술을 의미한다.
치아 보철물은 환자의 치아 형태를 임프레션(impression)에 재현하고 이것에 석고를 부어서 치아 모양을 재생하거나, 구강 및 치아의 형태를 인트라 오럴 스캐닝 과정을 통해 취득한 후, 이에 근거하여 CAD 디자인 과정을 통해 원하는 치아를 화면상에서 디자인하여 자동화된 CAD/CAM 가공장치에서 가공할 수 있다.
치아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블랭크는,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이동되는 가공 공구(비트)에 가압을 받기 때문에, 가공 장치의 지그에 견고히 안착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상기 블랭크가 가공 공구에서 발생되는 힘에 의해 유동되면 설정된 형태의 보철물로 가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블랭크는, 특히 하나의 블랭크로부터 다수의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고안된 대면적 블랭크의 경우는,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가공 장치의 지그와 면접촉 상태로 배치된다. 즉, 기존의 블랭크는 그 윗면 테두리 전체가 원형틀로 제작된 상부 지그의 저면과 면접촉되고, 그 저면 테두리 전체는 원형틀로 제작된 하부 지그의 윗면과 면접촉되는 구성을 가진다.
위와 같이, 기존의 블랭크는, 그 윗면 테두리 전체와 저면 테두리 전체가 원형틀을 가지는 지그와 면접촉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가공 공구에서 발생되는 고속의 회전력이나 수직 방향의 가공 압력으로부터 유동되지 않고 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블랭크는, 윗면 테두리 전체와 저면 테두리 전체가 상부 지그와 하부 지그에 각각 직접적으로 면접촉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가공 공구에 의한 가공 면적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가공 공구의 순간적인 회전력 및 가압력으로부터 크랙 현상이 발생되어 심각하게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면적 블랭크의 경우는 보철물을 제작할 필요시기에 따라 하나의 블랭크로부터 다수의 보철물을 간헐적이거나 순차적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가공장치에의 반복적 클램핑이 불가피하며, 이와 같은 반복 클램핑에 의해 블랭크가 파절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7032호의 '치과 수복물 가공용 가공테이블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치과 수복물 가공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공 공구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소재부의 가공 면적을 가공 장치의 지그와 비접촉시킨 상태에서도 외력으로 인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치아 보철물 제작용 블랭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 공구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소재부를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하여 dead space를 최소화하고, 더불어, 치과 보철물의 생산 효율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 치아 보철물 제작용 블랭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철물로의 밀링 가공공정에 있어서 가공장치에의 반복적 클램핑에 노출되더라도 파절을 방지할 수 있는 치아 보철물 제작용 블랭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공장치의 가공 공구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소정의 가공 면적을 제공하며, 다수개의 측면을 형성하는 소재부; 상기 소재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을 이용하여 상기 소재부의 측면에 장착되며, 가공장치의 원형틀 형태를 가지는 지그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가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은, 상기 소재부가 형성하는 다수개의 측면 전체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소재부가 형성하는 다수개의 측면 중에서 일부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드부는, 상기 소재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소재부에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재부의 측면과 상기 지그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드부는, 상기 안착홈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채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내측부재; 및 상기 내측부재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소재부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가공장치의 지그와 면접촉되는 외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 상기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가드부가 장착되는 상기 소재부의 측면, 상기 가드부는 원형틀 형태를 가지는 상기 지그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부재는, 상기 내측부재의 일측에서 상향 또는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소재부의 측면과 면접촉되는 제1접촉면; 및 상기 제1접촉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원형틀 형태를 가지는 상기 지그의 저면 또는 윗면과 면접촉되는 제2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드부는 상기 소재부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접촉면에 원형틀 형태를 가지는 상기 지그가 안착되면, 상기 지그의 내주면은 상기 제1접촉면과 비접촉되는 상기 소재부의 측면과 면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철물 제작용 블랭크는, 소재부의 가공 면적(윗면)을 가공 장치의 지그와 비접촉시킨 상태에서도 소재부를 안정적으로 지그상에 고정시킬 수 있는 가드부를 제공하므로, 가공 공구의 가공 범위가 지그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재부의 가공 면적을 모두 활용할 수 있고, 소재부의 dead space를 최소화하여 치과 보철물의 생산 효율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철물 제작용 블랭크는, 가드부가 소재부의 측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소재부와 가드부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외력으로 인한 가드부의 이탈 현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철물 제작용 블랭크는, 가공 공구가 소재부의 가공 면적에 최초 접촉될 시에 그 접촉 부위에 발생되는 순간적인 응력을 외부로 분산시키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가공 공구 또는 지그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하여 소재부의 파손이나 크랙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철물 제작용 블랭크는, 가드부를 구비함으로써 해당 부위를 클램핑하여 보철물로의 밀링 가공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반복적 클램핑에 대한 파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랭크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블랭크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블랭크의 소재부에서 가드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의 가드부에 원형틀 형태의 지그가 안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블랭크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의 소재부에서 가드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부의 평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보철물 제작용 블랭크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랭크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블랭크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블랭크의 소재부에서 가드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부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의 가드부에 원형틀 형태의 지그가 안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블랭크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의 소재부에서 가드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보철물 제작용 블랭크는,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소재부를 가공 장치의 지그와 비접촉시킨 상태에서도 외력에 의한 소재부의 유동을 방지하고, 더불어, 가공 공구에서 발생되는 고속 회전력이나 수직 방향 압력으로부터 소재부에 크랙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치아 보철물 제작용 블랭크(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부(200), 안착홈(300), 가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소재부(200)는, 인공치아 가공장치를 구성하는 원형틀 형태의 지그(J1, J2, 도7참조)에 안착될 수 있다.
가공장치는, 예를 들면, CAD(computer-aided design)/CAM(computer-aided manufacturing)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가공 공구를 이용하여 그라인딩(grinding), 밀링(milling), 커팅(cutting) 방식 등으로 소재부(200)를 가공할 수 있다.
상기 소재부(200)는, 가공장치의 가공 공구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소정의 가공 면적을 제공한다.
참고로, 소재부(200)는, 유리(glass) 또는 유리-세라믹(glass-ceramic), 폴리머 침투 유리(polymer infiltrated glass), 복합 수지 또는 하이브리드 재료(composite resin or hybrid material), 세라믹재(unsintered or a partially sintered or a densely-sintered ceramic), 금속(metal) 또는 금속 합금(metal alloy)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소재부(200)는 고강도성, 열안정성 및 고내식성 등의 특성을 가지며, 백색이나 유색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백색 및 유색을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소재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다수개의 측면(210)을 가지는 다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소재부(200)는, 육각형, 팔각형, 십이각형, 십육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소재부(200)가 실질적으로 육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그 둘레에는 실질적으로 여섯 개의 변(상기 및 이하의 기재에서는 이러한 '변'을 포함한 블랭크의 면을 '측면'이라 정의한다, 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여섯 개의 측면(210) 중에서 두 개의 측면(210)이 서로 만나는 꼭지점 부위는 원형틀 형태를 가지는 지그(J1, J2)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 가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육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지는 소재부(200)의 꼭지점 부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J1, J2)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 가공되어 곡선 형태를 가지는 측면(21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측면(210')이 최초 육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지는 소재부(200)의 꼭지점 부위라 할 수 있다.
라운드 가공 처리되어 곡선 형태를 가지는 소재부(200)의 측면(210')에는 후술할 가드부(400)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곡선 형태를 가지는 소재부(200)의 측면(210')이 소재부(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서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30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부(200)가 형성하는 다수개의 측면(210)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안착홈(300)은 소재부(200)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안착홈(300)은 후술할 가드부(400)의 내측부재(41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가드부(400)는, 원형틀 형태를 가지는 지그(ji, J2)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구성요소이며, 소재부(200)가 가공 공구에 의해 가공되는 동안 외력에 의한 소재부(20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드부(400)는, 가공 장치나 가공 공구로부터 전달되는 응력, 충격 등으로부터 소재부(2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원형틀 형태를 가지는 지그(ji, J2)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지그(J1, J2) 상에서 소재부(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가드부(400)는 소재부(200)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플라스틱재나 금속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가드부(400)는, 소재부(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소재부(200)에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가드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부재(410)와 외측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부재(410)는, 소재부(200)에 형성된 안착홈(410)에 삽입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내측부재(410)는, 소재부(200)가 형성하는 다수개의 측면(210) 중에서, 곡선 형태를 가지는 측면(210')에 형성된 안착홈(300)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채 상기 안착홈(30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내측부재(410)는 안착홈(300)의 곡률 또는 상기 곡선 형태를 가지는 측면(210')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측부재(420)는, 가공장치의 지그(J1, J2)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으며, 내측부재(410)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소재부(200)의 측면(2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틀 형태를 가지는 지그(J1, J2)의 저면 또는 윗면과 면접촉될 수 있다. 이때, 외측부재(420)는 안착홈(300)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외측부재(4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촉면(421)과 제2접촉면(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촉면(421)은, 내측부재(410)의 일측에서 상향 또는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소재부(200)의 측면(210)과 면접촉될 수 있다.
제2접촉면(422)은, 상기 제1접촉면(421)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원형틀 형태를 가지는 지그(J1, J2)의 저면 또는 윗면과 면접촉될 수 있다.
한편, 가드부(400)는 소재부(20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진다. 즉,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부(400)를 구성하는 외측부재(420)의 높이는 소재부(200)의 두께보다 작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접촉면(422)에 원형틀 형태를 가지는 지그(J1, J2)가 안착되면, 상기 지그(J1, J2)의 내주면은 소재부(200)의 측면과 면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그(J1, J2)의 내주면은, 도 7에 도시된 공간(S)으로 노출된 소재부(200)의 측면(210)과 면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소재부(200)의 측면(210)은 제1접촉면(421)과 비접촉되는 면 부위라 할 수 있다.
블랭크(100)를 구성하는 가드부(400)의 외측부재(420)가 지그(J1, J2)의 저면 또는 윗면과 면접촉되고, 더불어, 소재부(200)의 측면(210)가 지그(J1, J2)의 내주면과 면접촉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외력으로 인한 소재부(200)의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소재부(200)의 가공 면적(윗면)은 상기 지그(J1, J2)와 비접촉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치과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한 소재부(200)의 가공 면적(윗면)을 온전하게 활용하여 소재부(200)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소재부(200)는 다수개의 측면(210)을 형성하는 다각형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소재부(210)의 측면과 상기 지그(J1, J2)의 내주면 사이에는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가공 공구가 소재부(200)의 가공 면적에 최초 접촉될 시에 그 접촉 부위에 발생되는 순간적인 응력이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분산될 수 있기 때문에 소재부(200)에 크랙이 발생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참고로, 가드부(400)는, 공지의 접합재를 이용하여 소재부(200)에 측면(210')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도 있고,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소재부(200)의 측면(2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띨,ㄴ 블랭크(100')가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100)와 비교하였을 때, 소재부(200)의 측면에 형성되는 안착홈(300)의 형성 위치만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홈(300)은, 소재부(200)가 형성하는 다수개의 측면(210)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일부의 측면(210')에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부(200)가 형성하는 다수개의 측면(210) 중에서 라운드 가공되어 곡선 형태를 가지는 측면(210')에만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안착홈(300)을, 소재부(200)가 형성하는 다수개의 측면(210) 중에서 일부의 측면(210')에만 형성시키는 이유는, 블랭크 자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가드부(400)를 소재부(200)에 장착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하며, 더불어, 소재부(200)에 장착된 가드부(400)가 소재부(200)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즉, 소재부(200)가 형성하는 다수개의 측면(210) 중에서 곡선 형태를 가지는 측면(210')에 장착된 가드부(400)는, 안착홈(300)이 형성되지 않은 소재부(200)의 측면(210)에 그 측부가 가로막혀 소재부(200)의 둘레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가드부(400)는 소재부(200)의 측면(210')에 견고히 장착된 상태를 이루므로, 지그(J1, J2)의 가압력에 의해 소재부(200)에서 이탈되거나 유동되지 않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블랭크
200 : 소재부 210, 210' : 측면
300 : 안착홈 400 : 가드부
410 : 내측부재 420 : 외측부재
421 : 제1접촉면 422 : 제2접촉면

Claims (9)

  1. 가공장치의 가공 공구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소정의 가공 면적을 제공하며, 다수개의 측면을 형성하는 소재부;
    상기 소재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을 이용하여 상기 소재부의 측면에 장착되며, 가공장치의 원형틀 형태를 가지는 지그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가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블랭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소재부가 형성하는 다수개의 측면 전체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소재부가 형성하는 다수개의 측면 중에서 일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블랭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부는,
    상기 소재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소재부에 다수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블랭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부의 측면과 상기 지그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블랭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부는,
    상기 안착홈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채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내측부재; 및
    상기 내측부재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소재부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가공장치의 지그와 면접촉되는 외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블랭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 상기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가드부가 장착되는 상기 소재부의 측면, 상기 가드부는 원형틀 형태를 가지는 상기 지그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블랭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재는,
    상기 내측부재의 일측에서 상향 또는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소재부의 측면과 면접촉되는 제1접촉면; 및
    상기 제1접촉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원형틀 형태를 가지는 상기 지그의 저면 또는 윗면과 면접촉되는 제2접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블랭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부는 상기 소재부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블랭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면에 원형틀 형태를 가지는 상기 지그가 안착되면,
    상기 지그의 내주면은 상기 제1접촉면과 비접촉되는 상기 소재부의 측면과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블랭크.




KR1020220079838A 2022-06-29 2022-06-29 치아 보철물 제작용 블랭크 KR20240002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838A KR20240002539A (ko) 2022-06-29 2022-06-29 치아 보철물 제작용 블랭크
PCT/KR2023/008581 WO2024005437A1 (ko) 2022-06-29 2023-06-21 치아 보철물 제작용 블랭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838A KR20240002539A (ko) 2022-06-29 2022-06-29 치아 보철물 제작용 블랭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539A true KR20240002539A (ko) 2024-01-05

Family

ID=8938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838A KR20240002539A (ko) 2022-06-29 2022-06-29 치아 보철물 제작용 블랭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02539A (ko)
WO (1) WO202400543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92B1 (ko) * 2013-05-06 2013-10-02 (주) 삼정디엠지코리아 다축 인공치아 가공장치용 고정지그
KR102464515B1 (ko) * 2015-03-19 2022-11-07 쿠라레 노리타케 덴탈 가부시키가이샤 피가공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JP6785753B2 (ja) * 2015-03-19 2020-11-18 クラレノリタケデンタル株式会社 被加工ユニット
JP2018050897A (ja) * 2016-09-28 2018-04-05 アダマンド株式会社 歯科補綴用セラミックス体
KR102432438B1 (ko) * 2020-08-21 2022-08-16 주식회사 하스 치과용 블랭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05437A1 (ko)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74994A1 (en) Device and Method of Securing Dental Material for Production of Dental Prosthesis
US200902750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Multiple Ceramic Dental Blocks for Milling
JP6004200B2 (ja) 歯科ブリッジおよび歯科上部構造物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US20110171603A1 (en) Implant abutment material for tailor-ma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utment using the same
US20120214133A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custom implant abutment
US11266485B2 (en) Method of making dental restorations from sintered preforms
CN1750797A (zh) 螺丝-胶接剂固位修补法以及螺丝-胶接剂固位修补法所采用的基台和植体
KR101553498B1 (ko) 치과용 브릿지들 및 상부 구조물들과 그 제조방법
WO2015194449A1 (ja) 人工歯
US20210128272A1 (en) Method of Making Anterior Dental Restorations from Sintered Preforms
US20230248492A1 (en) Dental blank
US20070290385A1 (en) Blank for a Tooth Replacement Part and Method of Producing a Tooth Replacement Part
WO2019153573A1 (zh) 个性化牙科种植基台的增减材复合加工成型方法
CN105555224A (zh) 利用计算机辅助设计、计算机辅助制造的定制型牙科用种植牙种植体的制造方法
KR101997044B1 (ko) 일체형 임플란트 및 그 제작방법
KR20240002539A (ko) 치아 보철물 제작용 블랭크
KR200482050Y1 (ko) 다양한 종류의 지그에 사용될 수 있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2599233B1 (ko) 임플란트 크라운 cad 전용 라이브러리 및 크라운 가공용 툴
JP2021115274A (ja) 加工用ブロック
KR101629960B1 (ko) 치과 치료용 보철물 제작을 위한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치과 치료용 보철물 제작방법
KR20240040393A (ko) 임플란트용 하이브리드 어버트먼트
CA3169892A1 (en) Dental block forming a blank for a partial prosthesis, dental partial prosthesi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artial prosth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