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515B1 - 피가공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피가공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515B1
KR102464515B1 KR1020177029872A KR20177029872A KR102464515B1 KR 102464515 B1 KR102464515 B1 KR 102464515B1 KR 1020177029872 A KR1020177029872 A KR 1020177029872A KR 20177029872 A KR20177029872 A KR 20177029872A KR 102464515 B1 KR102464515 B1 KR 102464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ed
holding member
delete delete
unit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836A (ko
Inventor
요시히사 이토
요시히사 야마다
나오후미 무라타
Original Assignee
쿠라레 노리타케 덴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라레 노리타케 덴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쿠라레 노리타케 덴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9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22Blanks or green, unfinished dental restoration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3Porcelain or ceramic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7Artificial resin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61C5/77Methods or devices for making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6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e.g. shrinking of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66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e.g. shrinking of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using shrinking durin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3Medical equipment; Accessories therefor
    • B29L2031/7532Artificial members, protheses
    • B29L2031/7536Artifici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Adornment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피가공체 (1) 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피가공 유닛 (10)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피가공 유닛 (10) 은, 복수의 구획 (11) 을 갖는 피가공체 (1) 를 구비한다. 구획 (11) 은, 피가공체 (1) 의 피가공면을 구분한다.

Description

피가공 유닛 및 그 제조 방법{WORKPIECE UNI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관련 출원에 대한 기재]
본 발명은, 일본 특허 출원 : 특원 2015-056572호 (2015년 3월 19일 출원) 에 기초하는 것으로, 동 출원의 전체 기재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서에 삽입되어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계 가공 처리하기 위한 피가공체를 갖는 피가공 유닛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라믹, 금속 등의 피가공체를 삼차원 형상으로 기계 가공하는 경우, 피가공 유닛의 단부를 유지하여 가공 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이 피가공체는 「블랭크」 라고도 불린다. 예를 들어, 치과 업계에 있어서는, 피가공체인 원판 (디스크) 형상의 지르코니아의 외연 영역을 가공 장치로 유지하여, 보철물의 절단이 실시된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치과 보철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블랭크의 외연에 접착제로 링을 장착하고, 링을 가공 장치의 척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블랭크를 가공 장치에 고정시키고 있다.
국제 공개 WO95/30382호
이하의 분석은, 본 발명의 관점에서 부여된다.
예를 들어, 피가공체 (블랭크) 또는 피가공체로부터 제작되는 제품을 착색하는 경우에는, 피가공체의 조성은 색마다 상이한 것이 된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피가공체는, 링으로 둘러싸인 피가공체별로 1 개의 조성을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바와 같은 피가공체로부터 치과용 보철물이 제작되는 경우, 환자의 천연 치아의 색에 대응하는 색 (조성) 을 갖는 피가공체가 선택된다. 피가공체는, 가공 장치에 적합한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통상적으로, 1 개의 피가공체로부터는, 동일 조성의 치과용 보철물을 복수 제작 가능하다. 그러나, 수요가 적은 (예를 들어, 조성 내지 색의) 피가공체여도, 즉, 보철물 제작을 위해서 필요한 크기가 작아도 되는 경우에도,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바와 같은 피가공체는 소정의 크기로 제작할 수 밖에 없다. 이 때문에, 가공에 사용되지 않는 피가공체의 대부분이 낭비가 되게 된다.
그래서, 조성의 수요에 따라, 피가공체를 효율적으로 이용 가능한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시점에 의하면, 복수의 구획을 갖는 피가공체를 구비하는 피가공 유닛이 제공된다. 구획은, 피가공체의 피가공면을 구분한다.
본 발명의 제 2 시점에 의하면, 피가공체의 구성 요소가 되는 복수의 구획을 준비하는 공정과, 복수의 구획을 조합하여, 제 1 면, 제 1 면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제 2 면, 및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외주부를 갖는 피가공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링 형상을 갖는 유지 부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유지 부재를 가열하여 팽창시키는 공정과, 유지 부재의 링에 피가공체를 끼워 넣는 공정과, 유지 부재를 냉각시켜 수축시켜, 피가공체의 외주부에 유지 부재를 장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피가공 유닛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조성이나 색 등의 수요에 따라, 피가공체의 각 구획의 크기를 조정 또는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공에 사용되지 않고 낭비가 되는 부분을 삭감할 수 있고, 피가공체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 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II-II 선에 있어서의 피가공 유닛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은 구획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4 는 구획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5 는 구획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8 은 피가공체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피가공체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9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 은 피가공체를 가공한 후의 피가공 유닛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내는 피가공 유닛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4 는 본 개시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구획 유닛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5 는 다른 형태에 관련된 구획 유닛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6 은 본 개시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7 은 더미 피가공체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8 은 본 개시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9 는 본 개시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0 은 도 19 의 XX-XX 선에 있어서의 피가공 유닛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1 은 유지 부재 및 돌출부 부분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 는 유지 부재 및 돌출부 부분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 은 유지 부재 및 돌출부 부분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24 는 유지 부재 및 돌출부 부분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25 는 유지 부재 및 돌출부 부분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26 은 본 개시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27 은 본 개시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28 은 도 27 에 나타내는 피가공체 및 유지 부재의 개략 분해 단면도이다.
도 29 는 제 1 위치 결정부 및 제 2 위치 결정부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0 은 제 1 위치 결정부 및 제 2 위치 결정부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1 은 제 1 위치 결정부 및 제 2 위치 결정부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2 는 제 1 위치 결정부 및 제 2 위치 결정부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3 은 제 1 위치 결정부 및 제 2 위치 결정부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34 는 제 1 위치 결정부 및 제 2 위치 결정부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35 는 제 1 위치 결정부 및 제 2 위치 결정부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36 은 제 1 위치 결정부 및 제 2 위치 결정부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37 은 본 개시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38 은 본 개시의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39 는 본 개시의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40 은 본 개시의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41 은 본 개시의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42 는 본 개시의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43 은 도 42 의 XXXXIII-XXXXIII 선에 있어서의 피가공 유닛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 참조 부호는 발명의 이해를 위해서 부기하고 있는 것이며, 도시의 양태로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면의 치수 및 치수 비율은, 도시의 양태로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각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를 이하에 기재한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구획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구획은 각각 상이한 조성을 갖는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피가공 유닛은, 피가공체의 적어도 외주부를 둘러싸는 유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피가공체는, 구획별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구획 중, 적어도 2 개의 구획은, 상이한 조성을 갖는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구획은, 인접하는 구획과 계합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피가공 유닛은, 인접하는 구획 사이에 배치된 완충재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완충재는 수지를 함유한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유지 부재는, 복수의 구획의 조합을 유지한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유지 부재는, 복수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유지 부재의 부분은, 각각, 피가공체의 각 구획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피가공 유닛은, 구획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피복 부재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유지 부재의 부분은, 피복 부재의 적어도 일부이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피복 부재는, 인접하는 구획을 둘러싸는 피복 부재와 계합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유지 부재는, 외주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유지 부재는, 링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유지 부재의 두께는, 피가공체의 두께보다 얇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유지 부재는, 피가공체의 두께 방향의 중앙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유지 부재는, 2 이상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유지 부재의 각 부품은, 각각,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갖는다. 각 부품은, 오목부와 볼록부를 감합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유지 부재는 플라스틱이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피가공체는, 유지 부재와 대향하는 부분에, 적어도 1 개의 제 1 위치 결정부를 갖는다. 유지 부재는, 제 1 위치 결정부의 적어도 일부와 계합하는 제 2 위치 결정부를 갖는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제 1 위치 결정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 형상을 갖는다. 제 2 위치 결정부는, 제 1 위치 결정부와 감합 또는 계합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 1 위치 결정부 및 제 2 위치 결정부 중, 일방의 적어도 일부가 타방의 적어도 일부와 감합 또는 계합한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제 1 위치 결정부 및 제 2 위치 결정부 중, 일방이 오목부 형상을 갖고, 타방이 볼록부 형상을 갖는다. 볼록부 형상의 폭은, 오목부 형상의 폭 이상이다. 볼록부 형상의 일부가 오목부 형상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제 1 위치 결정부는, 피가공체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배치된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제 1 위치 결정부 또는 제 2 위치 결정부는, 홈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제 1 위치 결정부 또는 제 2 위치 결정부는, 추상 또는 기둥상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유지 부재는 피가공체에 접착재를 통하여 접합된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유지 부재와 피가공체는 직접 접하고 있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피가공체는, 피가공면이 되는 제 1 면, 제 1 면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제 2 면, 및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외주부에 배치된 돌출부를 갖는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피가공체는 판상 형상을 갖는다. 돌출부는, 피가공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돌출부는, 제 1 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면하는 제 3 면과, 제 2 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면하는 제 4 면과, 제 3 면과 제 4 면을 연결하는 제 5 면을 갖는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피가공체는, 피가공면이 되는 제 1 면, 제 1 면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제 2 면, 및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외주부에 배치된 돌출부를 갖는다. 유지 부재는, 돌출부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피가공체는 판상 형상을 갖는다. 돌출부는, 피가공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유지 부재는, 적어도 돌출부의 돌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돌출부는, 제 1 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면하는 제 3 면과, 제 2 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면하는 제 4 면과, 제 3 면과 제 4 면을 연결하는 제 5 면을 갖는다. 유지 부재는, 제 5 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유지 부재는, 돌출부의 제 3 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면하는 제 1 면과, 돌출부의 제 4 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면하는 제 2 면을 갖는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유지 부재의 제 1 면은, 돌출부의 제 3 면과 동일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돌출부의 제 3 면보다 피가공체의 제 1 면측에 존재한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유지 부재의 제 2 면은, 돌출부의 제 4 면과 동일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돌출부의 제 4 면보다 피가공체의 제 2 면측에 존재한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유지 부재는, 돌출부의 제 3 면 및 제 4 면의 적어도 일부를 추가로 덮는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돌출부의 두께와 유지 부재의 두께는 대략 동일하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돌출부의 돌출 방향의 폭은, 0.3 ㎜ ∼ 2 ㎜ 이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돌출부는, 피가공체의 두께 방향의 중앙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구획의 평면 형상은 선형 (扇形) 을 갖는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구획은 조합되어,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피가공체를 구성한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구획은,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구획 중, 1 개의 구획은, 가공 장치에 의해 가공되지 않는 부분이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1 개의 구획은, 가공 장치에 고정 가능한 크기보다 작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피가공체는 세라믹, 금속 또는 수지이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피가공체는, 지르코니아 결정 입자가 완전하게 소결하기에 이르지 않는 가소체이다.
상기 제 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피가공체는, 피가공체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피가공체의 돌출부 또는 외연부에 접속된 가공물을 갖는다.
상기 제 2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유지 부재를 팽창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유지 부재를 60 ℃ ∼ 150 ℃ 로 가열한다.
상기 제 2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유지 부재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 에, 도 1 의 II-II 선에 있어서의 피가공 유닛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피가공 유닛 (10) 은, 피가공체 (1) 와, 피가공체 (1) 의 측벽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유지 부재 (2) 를 구비한다. 피가공체 (1) 는, 예를 들어, 가공 장치에 의해 가공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치과 분야인 경우, 피가공체 (1) 로부터 치과용 제품이 제작된다. 치과용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세라믹 프레임, 풀 콘투어 크라운 등의 보철물을 들 수 있다. 치과용 보철물은, 치관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과용 제품으로서, 예를 들어, 치열 교정용 제품 (예를 들어, 치열 교정용 브래킷), 치과 임플란트용 제품 (예를 들어, 치과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을 들 수 있다. 유지 부재 (2) 는, 피가공 유닛 (10) 을 가공 장치에 유지 또는 고정시키는 것을 보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피가공 유닛을 가공 장치에 유지 또는 고정시킬 때, 피가공 유닛 (10) 중 적어도 유지 부재 (2) 가 가공 장치에 의해 유지된다.
피가공체 (1) 는, 피가공면이 되는 제 1 면 (1a) 및 제 1 면 (1a) 과는 반대측의 제 2 면 (1b) 을 갖는다. 제 1 면 (1a) 과 제 2 면 (1b) 은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가공체 (1) 는, 평판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피가공 유닛 (10) 및 피가공체 (1) 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다각형 등의 평면 형상을 가져도 된다.
피가공체 (1) 는, 복수의 구획 (11) 으로 물리적으로 분할되어 있다. 1 개의 피가공체 (1) 는, 복수의 구획 (11) 을 조합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구획 (11) 중, 적어도 2 개의 구획 (11) 은, 각각 상이한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구획 (11) 은, 각각 상이한 착색재를 함유할 수 있다. 복수의 구획 (11) 중, 적어도 2 개의 구획 (11) 은 동일한 조성을 가질 수 있고, 모든 구획 (11) 이 동일한 조성을 가져도 된다. 각 구획 (11) 의 주재료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1 개의 구획 (11) 은, 가공 장치에 유지 또는 고정 가능한 크기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구획 (11) 중, 적어도 1 개는, 가공 장치에 의해 가공되는 부분으로 할 수 있다. 복수의 구획 (11) 중, 적어도 1 개는, 가공 장치에 의해 가공되지 않는 부분으로 할 수 있다. 복수의 구획 (11) 중, 적어도 1 개는, 피가공체 (1) 의 크기를 보전하여, 피가공체 (1) 를 가공 장치에 유지 가능한 크기로 하기 위한 더미 피가공체로 할 수 있다.
피가공체 (1) 는, 피가공체 (1) 의 제 1 면 (1a) 및 제 2 면 (1b) 을 분할하도록, 각 구획 (11) 에 의해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개의 피가공체 (1) 에 대한 구획 (11) 의 수는,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1 개의 구획 (11) 의 크기는, 각 조성 등의 수요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복수의 구획 (11) 은, 각각 상이한 크기로 해도 되고, 동일한 크기로 해도 된다.
각 구획 (11) 의 형상은,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복수의 구획 (11) 은, 각각 상이한 형상을 가져도 되고, 동일한 형상을 가져도 된다. 피가공체 (1) 의 평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 구획 (11) 은 원형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피가공체 (1) 를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구획 (11) 은, 선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획 (11) 이 선형을 갖는 경우, 선형의 반경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각 원호가 연속하도록 복수의 구획 (11) 을 방사상으로 조합하여,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을 갖는 피가공체 (1) 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구획 (11) 의 중심각의 합계는 360°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선형의 중심각의 크기는 어느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45°, 60°, 90°, 120°, 180°(즉, 반원, 반타원 등), 240°, 270°, 300°, 315°등으로 할 수 있다.
복수의 구획 (11) 은, 각각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 1 면 (1a) 및 제 2 면 (1b) 의 양방을 평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피가공 유닛 (10) 을 가공 장치에 고정시킬 때의 두께 방향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진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피가공체 (1) 는, 제 1 구획 (11a), 제 2 구획 (11b), 및 제 3 구획 (11c) 을 갖는다. 제 1 구획 (11a), 제 2 구획 (11b), 및 제 3 구획 (11c) 은, 동일 형상을 갖는다. 제 1 구획 (11a), 제 2 구획 (11b), 및 제 3 구획 (11c) 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제 1 구획 (11a), 제 2 구획 (11b), 및 제 3 구획 (11c) 은, 양면이 선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선형의 중심각은 120°이다. 제 1 구획 (11a), 제 2 구획 (11b), 및 제 3 구획 (11c) 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원형의 피가공체 (1) 를 구성한다. 제 1 구획 (11a), 제 2 구획 (11b), 및 제 3 구획 (11c) 의 양면은 각각 동일면 상에 배치되고, 제 1 면 (1a) 및 제 2 면 (1b) 은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 ∼ 도 6 에, 구획의 평면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피가공체의 개략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 ∼ 도 6 은, 1 개의 피가공체를 구성하는 구획을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3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구획 (11a, 11b, 11c) 은, 중심각 120°의 선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도 4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구획 (11a, 11b) 은, 반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도 5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구획 (11a) 은 반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구획 (11b, 11c) 은 중심각 90°의 선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도 3 ∼ 도 5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 각 구획의 반경은 모두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구획 (11a ∼ f) 은 선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조합하여 원형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 에, 피가공체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피가공체의 개략 평면도를 나타낸다. 인접하는 구획 (11) 에 있어서, 구획 (11) 끼리는 직접 접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가공체 (1) 는, 인접하는 구획 (11)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완충재 (6) 를 추가로 가져도 된다. 완충재 (6) 는, 구획 (11) 의 단면의 요철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재 (6) 는, 구획 (11) 끼리를 접합하는 접착재여도 된다. 완충재 (6) 에는, 예를 들어, 수지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구획 (11) 사이에 전체적으로 배치된 완충재 (6) 를 나타냈지만, 완충재 (6) 는, 구획 (11) 사이에 부분적으로 배치해도 된다. 완충재 (6) 를 사용함으로써, 구획 (11) 의 단면의 요철에 의한 조합의 부정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착재를 완충재 (6) 로서 사용함으로써, 구획 (11) 끼리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8 에, 피가공체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피가공체의 개략 측면도를 나타낸다. 구획 (11) 은, 인접하는 구획 (11) 에 대향하는 단면에, 인접하는 구획 (11) 과 계합하는 계합부를 가질 수 있다. 계합부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구획 (11a) 의 단면에 형성된 오목부 (11g), 및 구획 (11b) 의 단면에 형성되고, 오목부 (11g) 와 감합하는 볼록부 (11h) 로 할 수 있다. 피가공체 (1) 는, 계합부에 더하여,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완충재 (6) 를 추가로 가져도 된다. 계합부를 형성함으로써, 구획 (11) 끼리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유지 부재 (2) 는, 피가공체 (1) 의 측면에 상당하는 외주부 (1c) 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유지 부재 (2) 는, 피가공체 (1) 의 외주부 (1c) 를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 (2) 는, 복수의 구획 (11) 의 조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유지 부재 (2) 의 수축력에 의해, 복수의 구획 (11) 을 피가공체 (1) 의 형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 (2) 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피가공체 (1) 의 폐기 부분 (잔존 부분) 을 적게 하여,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유지 부재 (2) 의 폭의 분만큼 피가공체를 제작하기 위한 형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피가공체 (1) 의 원료의 사용량을 삭감하여,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유지 부재 (2) 는, 외주부 (1c) 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 (2) 는, 피가공체 (1) 의 평면 형상에 따른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 (2) 는, 예를 들어, 바퀴상, 환상, 관상 또는 링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지 부재 (2) 는, 피가공체 (1) 의 측벽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 (2) 와 피가공체 (1)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해도 된다.
도 9 및 도 10 에,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 은, 유지 부재 (2) 및 피가공체 (1) 측면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9 는, 접착재를 갖지 않는 형태를 나타내고, 도 10 은, 접착재 (3) 를 갖는 형태를 나타낸다. 유지 부재 (2)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재를 개재하지 않고 피가공체 (1) 의 외주부 (1c) 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유지 부재 (2) 의 내주부 (2c) 와 피가공체 (1) 의 외주부 (1c) 는, 적어도 일부가 직접 접하고 있다. 혹은, 유지 부재 (2) 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가공체 (1) 와 유지 부재 (2) 를 접합하는 접착재 (3) 를 개재하여, 피가공체 (1) 의 외주부 (1c) 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접착재 (3) 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지 부재 (2) 의 열 팽창에 의한 힘이 접착재를 통하여 피가공체 (1) 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공 후에 고온에 노출된 경우에도, 피가공체 (1) 와 유지 부재 (2) 의 열 팽창 계수의 차에서 기인하는 문제 (예를 들어, 피가공체 (1) 나 가공물의 파손) 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공 후에 피가공체 (1) 로부터 유지 부재 (2) 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지 부재 (2) 를 피가공체 (1) 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유지 부재 (2) 는, 피가공체 (1) 의 제 1 면 (1a) 과 동일한 방향으로 면하는 제 1 면 (2a), 피가공체 (1) 의 제 2 면 (1b) 과 동일한 방향으로 면하는 제 2 면 (2b), 및 제 1 면 (2a) 과 제 2 면 (2b) 사이에 배치되고, 피가공체 (1) 의 외주부 (1c) 방향으로 면하는 내주부 (2c) 를 가질 수 있다. 유지 부재 (2) 의 제 1 면 (2a) 과 피가공체 (1) 의 제 1 면 (1a) 은,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 (2) 의 제 2 면 (2b) 과 피가공체 (1) 의 제 2 면 (1b) 은,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 (2) 의 제 1 면 (2a) 은, 피가공체 (1) 의 제 1 면 (1a) 보다 피가공체 (1) 의 제 2 면 (1b) 측에 존재할 수 있다. 동일하게, 유지 부재 (2) 의 제 2 면 (2b) 은, 피가공체 (1) 의 제 2 면 (1b) 보다 피가공체 (1) 의 제 1 면 (1a) 측에 존재할 수 있다. 즉, 피가공체 (1) 의 제 1 면 (1a) 과 유지 부재 (2) 의 제 1 면 (2a) 은 단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가공체 (1) 의 제 2 면 (1b) 과 유지 부재 (2) 의 제 2 면 (2b) 은 단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의 두께 (t2) 는, 피가공체 (1) 의 전체의 두께 (t1) 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피가공 유닛 (10) 을 가공 장치에 고정시키는 경우에, 위치 맞춤이 용이해진다.
유지 부재 (2) 는, 피가공체 (1) 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피가공체 (1) 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지 부재 (2) 의 두께 방향의 중심이 피가공체 (1) 의 두께 방향의 중심과 중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피가공 유닛 (10) 을 가공 장치에 세트한 경우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진다.
피가공 유닛 (10) 은, 피가공체 (1) 의 제 1 면 (1a) 및 제 2 면 (1b) 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피가공체 (1) 의 제 1 면 (1a) 과 제 2 면 (1b) 모두 가공 도구 (통상 상측) 를 향하여 가공 장치에 세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 (2) 의 두께 (t2) 는, 피가공체 (1) 의 가공에 지장이 없는 두께이면 어느 두께여도 된다. 유지 부재 (2) 의 두께 (t2), 피가공체 (1) 의 두께 (t1) 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피가공 유닛 (10) 을 가공 장치에 유지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유지 부재 (2) 의 두께 (t2) 는,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공 장치에 의한 유지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유지 부재 (2) 의 폭 (w1) 은, 피가공 유닛 (10) 을 가공 장치에 유지할 수 있는 폭이 있으면 된다.
피가공체 (1) 또는 구획 (11) 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세라믹, 금속,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세라믹의 예로는,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결정화 유리 중 적어도 1 개를 포함하는 재료를 들 수 있다. 금속의 예로는, 티탄, 티탄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수지의 예로는,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AB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케톤, 테플론 (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수지 중에 무기 충전재가 충전된 복합 재료 (컴포지트 레진) 도 수지의 예로서 들 수 있다.
구획 (11) 을 가공되지 않는 구획 (더미 피가공체) 으로 하는 경우에는, 가공되지 않는 구획 (11) 의 재료로는, 상기 재료 외에, 가공 장치에 피가공 유닛 (10) 을 유지 가능하게 함과 함께, 가공하는 구획 (11) 을 가공 가능하게 하는 강도를 갖는 재료이면 사용할 수 있다.
피가공체 (1) 가, 예를 들어, 치과용 제품의 절단에 사용되는 경우, 피가공체 (1) 는, 지르코니아 결정 입자가 완전하게 소결하기에 이르지 않는 상태로 소성된 지르코니아 가소체로 할 수 있다. 지르코니아 가소체는, 지르코니아 및 지르코니아의 결정상의 상 전이를 억제하는 안정화제를 함유한다. 예를 들어, 안정화제는, 소결체가 되었을 때, 소결체의 결정상이 정방정으로부터 단사정으로 상 전이하는 것을 억제한다. 안정화제로는, 예를 들어, 산화칼슘 (CaO), 산화마그네슘 (MgO), 산화이트륨 (Y2O3), 산화세륨 (CeO2) 등의 산화물을 들 수 있다. 안정화제는, 정방정계 지르코니아 입자가 부분 안정화할 수 있는 양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안정화제로서 이트리아를 사용하는 경우, 이트리아의 함유율은, 지르코니아와 이트리아의 합계 ㏖ 수에 대하여, 2 ㏖% ∼ 8 ㏖% 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 ∼ 6.5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안정화제의 함유율을 지나치게 높이면, 상 전이를 억제할 수 있어도, 굽힘 강도 및 파괴 인성이 저하하게 된다. 한편, 안정화제의 함유율이 지나치게 낮으면, 굽힘 강도 및 파괴 인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도, 상 전이의 진행의 억제가 불충분해진다. 또한, 안정화제를 첨가하여 부분적으로 안정화시킨 지르코니아는, 부분 안정화 지르코니아라고 불리고 있다. 지르코니아 소결체 중의 안정화제의 함유율은, 예를 들어, 유도 결합 플라즈마 (ICP ; Inductively Coupled Plasma) 발광 분광 분석, 형광 X 선 분석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피가공체 (1) 의 전체의 크기 (d1), 및 피가공체 (1) 의 두께 (t1) 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유지 부재 (2) 의 재료는, 가공 장치에 고정시킨 경우에, 고정시의 압력에 의해 크게 변형되지 않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지 부재 (2) 의 재료는, 이하에 있어서 설명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피가공체 (1) 에 장착 가능해지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 (2) 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아크릴 수지, AB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케톤, 테플론 (등록상표), 금속, 목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의 예에는, 수지 중에 무기 충전재가 충전된 복합 재료 (컴포지트 레진) 도 포함할 수 있다.
유지 부재 (2) 에는, 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 부재 (2) 의 시인 가능한 위치에, 인자, 각인, 시일 등에 의해, 문자나 바코드 등의 기호로 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정보에는, 예를 들어, 로트 번호, 색조 (쉐이드), 수축률 (배정 비율), 상하의 구별 등이 포함된다.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각 구획 (11) 을 제작한다.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지르코니아 입자인 부분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을 준비한다. 안정화제의 종류 및 농도는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지르코니아 결정 입자의 입경 및 입경 분포는, 적절히 바람직한 것을 선택한다. 지르코니아 입자에 대한 안정화제의 첨가 방법으로는, 가수 분해법, 중화 공침법, 알콕시드법, 고상법 등, 적절히 바람직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준비한 부분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에, 필요하면, 첨가물을 첨가하여 혼합한다. 습식 혼합을 사용한 경우에는, 조성물을 건조시킨다.
다음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조성물을 가압 성형한다. 예를 들어, 조성물을 구획 (11) 의 형상으로 가압 성형한다. 가압 성형 방법은, 적절히 바람직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가압 압력은, 예를 들어 20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가압 성형 후, 소결용 조성물에, 예를 들어 150 ㎫ 이상의 압력으로, CIP (Cold Isostatic Pressing ; 냉간정수 등방압 프레스) 를 추가로 실시해도 된다. 가압 성형 후에, 절삭이나 연삭 등에 의해, 성형체를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해도 된다.
다음으로, 성형체를, 지르코니아 입자가 소결하지 않는 온도에서 소성하여 가소체를 성형한다. 가소 조건은, 예를 들어, 가소 온도 800 ℃ ∼ 1200 ℃ 에서, 그 유지 시간을 1 시간 ∼ 12 시간으로 할 수 있다. 가소체는, 절삭이나 연삭 등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해도 된다. 예를 들어, 성형시에 구획 (11) 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아니라, 가소체를 제작 후에, 가소체를 구획 (11) 의 형상으로 성형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공정에 의해, 피가공체 (1) 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획 (11) 을 제작한다. 다음으로, 복수의 구획 (11) 을 조합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피가공체 (1) 를 제작한다. 필요에 따라, 구획 (11) 사이에 완충재 (6) 를 삽입한다. 구획 (11) 의 조합 공정은, 후술하는 유지 부재 (2) 의 장착시여도 된다.
다음으로, 유지 부재 (2) 를 준비한다. 유지 부재 (2) 의 제작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지 부재 (2) 는, 사출 성형, 압출 성형, 절삭 가공 (절단 성형) 등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링상의 유지 부재 (2) 인 경우, 예를 들어, 유지 부재 (2) 를 가열하여 팽창시킨다. 유지 부재 (2) 의 가열 온도는, 유지 부재 (2) 의 재료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 부재 (2) 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경우, 유지 부재 (2) 의 가열 온도는, 6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유지 부재 (2) 의 가열 온도는, 1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120 ℃ 이하 또는 100 ℃ 이하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지 부재 (2) 가 팽창한 상태에 있어서, 피가공체 (1) 를 유지 부재 (2) 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유지 부재 (2) 와 피가공체 (1) 를 위치 맞춤하여, 유지 부재 (2) 를 냉각시킨다. 유지 부재 (2) 는 냉각되면 수축한다. 이에 의해, 유지 부재 (2) 가 피가공체 (1) 에 장착된다 (이른바 수축 끼워 맞춤 방식). 이 방법에 의하면, 접착재를 사용하지 않고, 유지 부재 (2) 를 피가공체 (1) 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 에, 피가공체를 가공한 후의 피가공 유닛의 일례를 나타내는 피가공 유닛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 은, 제 1 구획 (11a) 을 가공하고, 제 2 구획 (11b) 은 가공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 는, 유지 부재 부분에 있어서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가공 장치는, 피가공체 (1) 중 특정한 부분 (예를 들어 특정한 구획 (11)) 을 가공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구획 (11a) 의 위치만을 가공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피가공 유닛 (10) 을 가공 장치에 장착하여 피가공체 (1) 를 절삭 등의 가공에 의해 가공물 (4) 이 형성된다. 가공물 (4) 은, 피가공체 (1) 의 외연부 (1e) 를 프레임상으로 잔존시키면서, 외연부 (1e) 에 연결시킨 상태로 절단할 수 있다. 가공물 (4) 은, 예를 들어, 상기에 기재한 것과 같은 치과용 제품이다. 가공물 (4) 의 형성에 의해, 피가공체 (1) 에는, 깎인 절삭부 (5) 가 형성된다. 외연부 (1e) 는, 가공물 (4) 및 절삭부 (5) 의 형성에 의해 외주부 (1c) 를 따라 형성된다. 외연부 (1e) 는, 가공대이며, 가공물 (4) 의 프레임으로서 작용한다. 가공물 (4) 은, 접속부 (4a) 에 의해 외연부 (1e) 에 연결된다. 후술하는 제 1 위치 결정부의 형태는, 가공 후에, 가공물 (4) 의 탈락 등의 악영향이 나오지 않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피가공체는, 상이한 조성을 갖는 복수의 구획을 구비할 수 있다. 각 구획은, 수요에 따라, 그 크기 및 형상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가공체의 이용 효율을 높여, 낭비가 되는 피가공체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구획 단위로 피가공체를 제조 판매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가공 장치에 의한 1 회의 가공으로, 상이한 조성의 가공물을 제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 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가공 유닛의 개략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4 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획 유닛의 개략 평면도를 나타낸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구획에 대하여 1 개의 유지 부재가 적용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구획별로 유지 부재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 (20) 은, 복수의 구획 유닛 (21) 을 구비한다. 각 구획 유닛 (21) 은, 구획 (11) 과, 구획 (11) 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피복 부재 (12) 를 갖는다. 구획 (11) 은, 제 1 실시형태의 구획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1 개의 구획 유닛 (21) 의 크기는, 가공 장치에 유지 가능한 크기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 14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피복 부재 (12) 는, 구획 (11) 의 외주부 (측면) 를 둘러싸고 있다. 피복 부재 (12) 는, 1 개의 구획을 둘러싸고 있는 것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지 부재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피복 부재 (12) 는, 복수의 구획 유닛 (21) 을 조합하여 피가공 유닛 (20) 을 구성했을 때에, 가공 장치에 의해 유지되는 유지 부재를 형성한다. 1 개의 피복 부재 (12) 의 일부가 유지 부재의 일부를 구성한다. 복수의 구획 유닛 (21) 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피복 부재 (12) 의 일부가 연속해서 구획 (11) 의 조합을 둘러싸는 유지 부재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구획 (11) 이 선형인 경우, 피복 부재 (12) 중 구획 (11) 의 원호 부분에 배치된 부분이 유지 부재를 구성한다. 피복 부재 (12) 중 유지 부재를 구성하지 않는 부분은, 인접하는 구획과의 접합을 순조롭게 하는 완충부로서 작용할 수 있다.
구획 유닛 (21) 끼리는 접착재 (도시 생략) 로 접합할 수 있다. 혹은, 피복 부재 (12) 끼리 대향하는 부분에 피복 부재 (12) 끼리를 계합시키는 계합부를 형성해도 된다.
도 15 에, 도 14 에 나타내는 형태와는 다른 형태의 구획 유닛의 개략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4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피복 부재는 구획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도 15 에 나타내는 형태에 관련된 구획 유닛 (22) 에 있어서는, 피복 부재 (13) 는, 구획 (11) 의 측면의 일부에만 배치되어 있다. 구획 유닛 (22) 은, 도 13 에 나타내는 조합과 동일하게 조합하는 것에 의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피가공 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피복 부재 (13) 는, 구획 유닛을 조합했을 때에, 유지 부재로서 작용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도 15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피복 부재 (13) 는, 구획 (11) 의 원호 부분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구획 (11) 의 측면 중, 구획 유닛 (22) 의 조합시에, 인접하는 구획 (11) 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피복 부재 (13) 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15 에 나타내는 구획 유닛 (22) 은, 피복 부재 (13) 의 배치 지점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14 에 나타내는 구획 유닛의 형태와 동일하다.
구획 유닛 (22) 끼리는 접착재 (도시 생략) 로 접합할 수 있다. 혹은, 구획 (11) 끼리 대향하는 부분에 구획 (11) 끼리를 계합시키는 계합부를 형성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이외의 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는, 가능한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의 적어도 1 개와 조합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획 유닛별로 제조 또는 판매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요에 따른 구획 유닛을 제조 또는 구입하여, 피가공 유닛에 있어서의 조성의 조합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 에,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가공 유닛의 개략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7 에,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더미 피가공체의 개략 평면도를 나타낸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구획 유닛을 조합하여 피가공 유닛을 구성하였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 개의 구획 유닛을 사용하여 피가공 유닛 (30) 을 구성하고 있다.
피가공 유닛 (30) 은, 구획 유닛 (21) 과 더미 피가공체 (31) 를 구비한다. 구획 유닛 (21)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구획 유닛 (21) 과 동일하다. 더미 피가공체 (31) 는, 구획 유닛 (21) 의 크기를 보전하여 구획 유닛 (21) 을 가공 장치에 유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더미 피가공체 (31) 는, 가공 장치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 (31a) 를 가질 수 있다. 유지부 (31a) 는, 유지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유지부 (31a) 는, 더미 피가공체 (31) 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되고, 별도의 부재로 구성해도 된다. 도 16 및 도 17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더미 피가공체 (31) 는, 구획 유닛 (21) 을 3 개 조합한 것과 같은 평면 형상을 갖는다. 도 16 및 도 17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더미 피가공체 (31) 는, 구획 유닛 (21) 과 조합하여 원 형상을 이루는 것과 같은 평면 형상을 갖는다.
더미 피가공체 (31) 의 형상 및 크기는, 구획 유닛 (21) 의 형상 및 크기에 맞추어 설계할 수 있다. 더미 피가공체 (31) 는, 가공 장치에 유지 가능한 두께를 갖는다. 더미 피가공체 (31) 의 재료는, 가공 장치에 유지하여, 구획의 가공이 가능해지는 것이면 어느 재료여도 된다. 더미 피가공체 (31) 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유지 부재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더미 피가공체 (31) 와 구획 유닛 (21) 은, 예를 들어, 접착재 (도시 생략) 로 접합할 수 있다. 혹은, 더미 피가공체 (31) 와 구획 유닛 (21) 이 대향하는 부분에, 더미 피가공체 (31) 와 구획 유닛 (21) 을 계합시키는 계합부를 형성해도 된다.
더미 피가공체 (31) 는, 반복 사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 유닛 (21) 은, 더미 피가공체 (31) 로부터 착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 에, 도 16 에 나타내는 형태와는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피가공 유닛 (33) 은, 구획 (피가공체) (23) 과, 구획 (23) 을 유지하는 더미 피가공체 (34) 와, 구획 (23) 과 더미 피가공체 (34) 를 접합하는 접착재 (24) 를 구비한다. 더미 피가공체 (34) 는, 구획 (23) 의 크기로 도려내진 개구를 갖는 환상 또는 관상 구조를 갖는다. 더미 피가공체 (34) 는, 가공 장치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 (34a) 를 가질 수 있다. 도 18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구획 (23) 은, 더미 피가공체 (34) 의 개구에 동심원상으로 끼워 넣어져, 접착재 (24) 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구획 (23) 의 크기 (예를 들어 반경) 는, 가공 장치에 유지 가능한 크기 (예를 들어 반경) 의 80 % 이하, 60 % 이하, 50 % 이하, 또는 40 % 이하로 할 수 있다.
더미 피가공체 (34) 는, 가공 장치에 의한 가공시에 변형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이외의 형태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는, 가능한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의 적어도 1 개와 조합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피가공체를 가공 장치에 유지 가능한 크기까지 크게 할 필요는 없다. 이에 의해, 수요가 적은 조성이어도, 다른 조성의 피가공체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가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 에,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0 에, 도 19 의 XX-XX 선에 있어서의 피가공 유닛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1 에, 유지 부재 부분의 개략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 (40) 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에 더하여, 피가공체 (41) 가 돌출부 (41c) 를 추가로 갖는다. 유지 부재 (2) 는, 돌출부 (41c) 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피가공체 (41) 는, 피가공면이 되는 제 1 면 (41a) 및 제 1 면 (41a) 과는 반대측의 제 2 면 (41b) 을 갖는다. 제 1 면 (41a) 과 제 2 면 (41b) 은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가공체 (41) 는, 평판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피가공 유닛 (40) 및 피가공체 (41) 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다각형 등의 평면 형상을 가져도 된다.
피가공체 (41) 는, 측벽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즉, 제 1 면 (41a) 및 제 2 면 (41b) 의 외연 또는 제 1 면 (41a) 및 제 2 면 (41b) 사이의 외주부 (41g) 에, 피가공 유닛 (40) 을 가공 장치로 유지하기 위한 돌출부 (41c) 를 갖는다. 돌출부 (41c) 는, 피가공체 (41) 의 외주부 (41g) 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돌출부 (41c) 는, 링상 또는 환상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 (41c) 는, 피가공체 (41) 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 (41c) 는, 피가공체 (41) 의 제 1 면 (41a) 및 제 2 면 (41b) 사이에 있어서, 제 1 면 (41a) 및 제 2 면 (41b) 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 (41c) 는, 피가공체 (41) 의 외주부 (41g) 에 있고, 피가공체 (41) 의 단부를 다른 부분보다 얇게 한 것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1 개의 구획은, 피가공체 (41) 의 돌출부 (41c) 의 적어도 일부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구획 (42a ∼ 42d) 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돌출부 (41c) 를 연속시킬 수 있다.
돌출부 (41c) 는, 제 1 면 (41a) 과 동일한 방향으로 면하는 제 3 면 (41d), 및 제 2 면 (41b) 과 동일한 방향으로 면하는 제 4 면 (41e) 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 (41c) 는, 제 3 면 (41d) 과 제 4 면 (41e) 을 연결하는 제 5 면 (41f) 을 가질 수 있다. 제 3 면 (41d) 과 제 4 면 (41e) 은,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면 (41d) 과 제 1 면 (41a) 은,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면 (41e) 과 제 2 면 (41b) 은,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면 (41d) 과 제 5 면 (41f) 은, 수직 또는 대략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면 (41e) 과 제 5 면 (41f) 은, 수직 또는 대략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면 (41a) 및 제 2 면 (41b) 과 제 5 면 (41f) 은, 수직 또는 대략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 (41c) 의 두께 (t12) 는, 피가공체 (41) 의 전체의 두께 (t11) 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면 (41a) 과 제 3 면 (41d) 은 단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면 (41b) 과 제 4 면 (41e) 은 단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피가공 유닛 (40) 을 가공 장치에 고정시키는 경우에, 위치 맞춤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 1 면 (41a) 과 제 3 면 (41d) 은 동일면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제 2 면 (41b) 과 제 4 면 (41e) 은 동일면을 형성해도 된다.
돌출부 (41c) 의 두께 (t12) 는,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공시에 피가공 유닛 (40) 을 유지하기 위해서, 및 가공 후의 피가공체 (41) 를 보강하기 위해서이다.
돌출부 (41c) 의 폭 (w11) 은, 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7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돌출부 (41c) 의 폭 (w11) 이 지나치게 크면, 피가공체 (41) 의 재료의 낭비가 많아지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돌출부 (41c) 의 폭 (w11) 은, 0.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4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6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8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돌출부 (41c) 는, 가공 후, 피가공체 (41) 를 보강하는 작용을 갖는다. 이 때문에, 가공 후의 피가공체 (41) 를 보강하기 위해서는 돌출부 (41c) 에 일정한 폭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돌출부 (41c) 는, 피가공체 (41) 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피가공체 (41) 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돌출부 (41c) 의 두께 방향의 중심이 피가공체 (41) 의 두께 방향의 중심과 중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피가공 유닛 (40) 을 가공 장치에 세트한 경우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진다.
피가공체 (41) 의 전체의 크기 (d12), 및 피가공체 (41) 의 피가공면이 되는 제 1 면 (41a) 및 제 2 면 (41b) 의 크기 (d13) 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유지 부재 (2) 는, 돌출부 (41c) 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유지 부재 (2) 는, 적어도 돌출부 (41c) 의 돌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 (2) 는, 돌출부 (41c) 의 측면에 상당하는 제 5 면 (41f) 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지 부재 (2) 는, 돌출부 (41c) 의 제 5 면 (41f) 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돌출부 (41c) 의 제 5 면 (41f) 과 유지 부재 (2) 의 내주부 (2c) 는 대향한다. 돌출부 (41c) 의 제 5 면 (41f) 과 유지 부재 (2) 의 내주부 (2c) 는 적어도 일부가 직접 접할 수 있다. 유지 부재 (2) 의 제 1 면 (2a) 과 피가공체 (41) 의 제 3 면 (41d) 은,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 (2) 의 제 2 면 (2b) 과 피가공체 (41) 의 제 4 면 (41e) 은,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 (41c) 의 제 3 면 (41d) 과 유지 부재 (2) 의 제 1 면 (2a) 은 동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동일하게, 돌출부 (41c) 의 제 4 면 (41e) 과 유지 부재 (2) 의 제 2 면 (2b) 은 동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유지 부재 (2) 와 돌출부 (41c) 가 완전하게 중복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 경우, 유지 부재 (2) 의 두께 (t13) 는, 돌출부 (41c) 의 두께 (t12) 와 동일해진다. 혹은, 유지 부재 (2) 의 제 1 면 (2a) 은, 돌출부 (41c) 의 제 3 면 (41d) 보다 피가공체 (41) 의 제 1 면 (41a) 측에 존재할 수 있다. 동일하게, 유지 부재 (2) 의 제 2 면 (2b) 은, 돌출부 (41c) 의 제 4 면 (41e) 보다 피가공체 (41) 의 제 2 면 (41b) 측에 존재할 수 있다. 피가공 유닛 (40) 을 가공 장치에 유지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 경우, 유지 부재 (2) 의 두께 (t13) 는, 돌출부 (41c) 의 두께 (t12) 보다 두꺼워진다.
유지 부재 (2) 의 두께 (t13) 는, 피가공체 (41) 의 가공에 지장이 없는 두께이면 어느 두께여도 된다. 유지 부재 (2) 의 두께 (t13) 는, 피가공체 (41) 의 두께 (t1) 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고, 돌출부 (41c) 의 두께 (t12) 와 동등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피가공 유닛을 가공 장치에 유지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유지 부재 (2) 의 두께 (t13) 는,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공 장치에 의한 유지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돌출부 (41c) 및 유지 부재 (2) 를 맞춘 부분에 의해 가공 장치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유지 부재 (2) 의 폭 (w12) 은, 돌출부 (41c) 의 폭 (w11) 과 합쳐서 가공 장치에 유지할 수 있는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가공 유닛 (40) 의 제조 방법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돌출부 및 유지 부재의 형태는, 도 19 ∼ 도 21 에 나타내는 형태와는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22 ∼ 도 25 에, 돌출부 및 유지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22 에 나타내는 피가공 유닛 (50) 에 있어서는, 유지 부재 (52) 는, 돌출부 (41c) 의 제 5 면 (41f) 뿐만 아니라, 제 3 면 (41d) 및 제 4 면 (41e) 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즉, 유지 부재 (52) 는, 피가공체 (41) 측에 돌출부 (41c) 를 수용하는 홈부를 가질 수 있다. 유지 부재 (52) 는, 홈부에 돌출부 (41c) 를 감합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돌출부 (41c) 의 폭 (w14) 은, 도 20 에 나타내는 폭 (w11) 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 (52) 의 폭 (w14 + w15) 은, 도 20 에 나타내는 폭 (w11 + w12) 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 (41c) 의 두께 (t14) 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 (52) 의 두께 (t15) 는, 가공 장치에 유지하기 위해서, 피가공체 (41) 의 두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3 에 나타내는 피가공 유닛 (60) 에 있어서는, 유지 부재 (62) 는, 돌출부 (41c) 의 제 5 면 (41f), 그리고 제 3 면 (41d) 및 제 4 면 (41e) 중 일방의 면을 덮도록 배치할 수 있다. 도 23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유지 부재 (62) 는, 돌출부 (41c) 의 제 3 면 (41d) 및 제 5 면 (41f) 을 피복하도록 배치된다.
유지 부재 (62) 는, 피가공체 (41) 의 제 2 면 (41b) 및 제 4 면 (41e) 과 동일한 방향으로 면하는 제 1 면 (62a) 을 갖는다. 유지 부재 (62) 는, 제 1 면 (62a) 이 돌출부 (41c) 의 제 4 면 (41e) 과 동일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돌출부 (41c) 의 제 4 면 (41e) 보다 제 2 면 (41b) 측에 존재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가공 유닛 (60) 의 가공 장치에 대한 장착을 안정화시키기 때문이다. 유지 부재 (62) 는, 피가공체 (41) 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돌출부 (41c) 의 위치는, 피가공체 (41) 의 두께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어긋나게 할 수 있다.
돌출부 (41c) 의 폭 (w16) 은, 도 20 에 나타내는 폭 (w11) 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 (62) 의 폭 (w16 + w17) 은, 도 20 에 나타내는 폭 (w11 + w12) 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 (41c) 의 두께 (t16) 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부재 (62) 의 두께 (t17) 는, 가공 장치에 유지하기 위해서, 피가공체 (41) 의 두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4 및 도 25 에 나타내는 피가공 유닛 (70) 에 있어서는, 유지 부재 (72) 는 2 이상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도 25 는, 유지 부재 (72) 의 측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4 및 도 25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유지 부재 (72) 는, 돌출부 (41c) 의 제 3 면 (41d) 을 덮는 제 1 부 (72a) 와, 돌출부 (41c) 의 제 4 면 (41e) 을 덮는 제 2 부 (72b) 를 갖는다. 돌출부 (41c) 의 제 5 면 (41f) 은, 제 1 부 (72a) 및 제 2 부 (72b) 로 덮인다. 제 1 부 (72a) 및 제 2 부 (72b) 는, 돌출부 (41c) 의 제 5 면 (41f) 에 면하는 측에, 각각, 적어도 1 개의 계합부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 1 부 (72a) 및 제 2 부 (72b) 는, 돌출부 (41c) 의 제 5 면 (41f) 측에 있어서, 오목부와 볼록부가 감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2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부 (72a) 와 제 2 부 (72b) 의 경계선은 미안더상으로 되어 있다.
제 1 부 (72a) 및 제 2 부 (72b) 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된 영역이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부 (72a) 및 제 2 부 (72b) 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부 (72a) 및 제 2 부 (72b) 는, 동일한 부품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지 부재 (72) 의 제조 및 관리를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 에 나타내는 형태에 의하면, 유지 부재 (72) 의 각 부에 계합부를 형성함으로써, 각 부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유지 부재 (72) 를 복수의 부품으로 함으로써, 유지 부재 (72) 의 피가공체 (41) 에 대한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4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돌출부가 존재하는 형태를 나타냈지만,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는 형태에 있어서도 유지 부재를 2 이상의 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6 에,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추가적인 형태를 나타낸다. 피가공체 (41) 와 유지 부재 (2) 는, 접착재 (43) 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합할 수도 있다. 접착재 (43) 는, 돌출부 (41c) 및 유지 부재 (2) 의 두께의 범위 내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재 (43) 의 재료는, 피가공체 (41) 와 유지 부재 (2) 의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재 (43) 로는, 예를 들어, 열 경화성 수지, 광 경화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재 (43) 는, 예를 들어, 수축 끼워 맞춤 방식으로 유지 부재를 장착할 수 없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이외의 형태는 제 1 ∼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는, 가능한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의 적어도 1 개와 조합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피가공체 (41) 의 가공 후의 형태는, 도 11 및 도 12 와 동일하지만, 가공 후의 피가공체 (41) 는 외연부 (1e) (도 11 및 도 12) 에 돌출부 (41c) 를 추가로 갖는 것이 된다. 가공물 (4) 은, 외연부 (1e) 및 돌출부 (41c) 중 적어도 일방에 연결된다. 가공 후,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가공체 (41) 의 외연부의 폭이 얇아져, 외연부만으로는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에 의하면, 돌출부 (41c) 에 의해 피가공체 (41) 의 외연부를 보강할 수 있다. 즉, 돌출부 (41c) 에 의해 피가공체 (41) 의 외연부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공 후에 피가공체 (41) 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피가공체 (41) 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 (41c) 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가공 장치에 대한 피가공 유닛 (40) 의 장착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의 허용 범위를 크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7 에,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8 에, 피가공체 및 유지 부재의 개략 분해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 (80) 에 있어서는, 피가공체 (81) 는, 외주부 (81c) 중, 유지 부재 (82) 에 대향하는 부분에, 적어도 1 개의 제 1 위치 결정부 (81d) 를 갖는다. 유지 부재 (82) 는, 내주부 (82c) 중, 피가공체 (81) 에 대향하는 부분에, 적어도 1 개의 제 2 위치 결정부 (82d) 를 갖는다. 제 1 위치 결정부 (81d) 및 제 2 위치 결정부 (82d) 는, 피가공체 (81) 에 대한 유지 부재 (82) 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제 1 위치 결정부 (81d) 및 제 2 위치 결정부 (82d) 는, 피가공체 (81) 에 대하여 유지 부재 (82) 가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적어도 1 개의 구획은, 피가공체 (81) 의 제 1 위치 결정부 (81d) 의 적어도 일부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구획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제 1 위치 결정부 (81d) 를 연속시킬 수 있다.
제 1 위치 결정부 (81d) 및 제 2 위치 결정부 (82d) 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제 1 위치 결정부 (81d) 및 제 2 위치 결정부 (82d) 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위치 결정부 (81d) 및 제 2 위치 결정부 (82d) 는, 일방의 적어도 일부가 타방에 감합하는 위치 및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7 및 도 28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위치 결정부 (81d) 는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 2 위치 결정부 (82d) 는, 제 1 위치 결정부 (81d) 의 오목부에 감합하는 볼록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위치 결정부 (81d) 및 제 2 위치 결정부 (82d) 의 위치는, 피가공체 (81) 의 외주부 (81c) 와 유지 부재 (82) 의 내주부 (82c) 가 대향하는 부분이면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볼록부는, 그 선단의 적어도 일부가 오목부에 삽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는, 오목부에 삽입했을 때에, 오목부의 개구 및/또는 내벽과 당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볼록부의 폭 (예를 들어, 피가공체 (81) 의 제 1 면 (81a) 과 제 2 면 (81b) 을 연결하는 방향 (상하 방향) 의 크기) 은, 오목부의 폭 (상하 방향의 크기)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 1 위치 결정부 (81d) 와 제 2 위치 결정부 (82d) 를 감합 또는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피가공체 (81) 에 대한 유지 부재 (82) 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9 ∼ 도 32 에, 제 1 위치 결정부 (81d) 및 제 2 위치 결정부 (82d) 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9 ∼ 도 32 에 있어서는, 제 1 위치 결정부 (81d) 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지만, 제 2 위치 결정부 (82d) 도 제 1 위치 결정부 (81d) 의 형상에 대응하는 평면 형상을 갖는다. 제 2 위치 결정부 (82d) 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위치 결정부 (81d) 는, 예를 들어, 도 29 및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적인 홈부로서 형성할 수 있다. 제 1 위치 결정부 (81d) 는,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적인 홈부여도 되고,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상 또는 미안더상의 홈부여도 된다. 제 1 위치 결정부 (81d) 는, 예를 들어, 도 31 및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1 개의 부분적인 혹은 불연속적인 점상의 오목부 (예를 들어, 추상 혹은 기둥상) 또는 단편적인 홈부로서 형성할 수 있다. 제 1 위치 결정부 (81d) 에 의한 점선은, 도 3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적이어도 되고,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상 또는 미안더상이어도 된다. 도 29 ∼ 도 32 에는 규칙적인 형상을 갖는 제 1 위치 결정부 (81d) 를 나타냈지만, 제 1 위치 결정부 (81d) 는, 불규칙적인 형상을 가져도 된다.
도 27 및 도 28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위치 결정부 (81d) 및 제 2 위치 결정부 (82d) 는 1 개의 삼각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지만, 제 1 위치 결정부 (81d) 및 제 2 위치 결정부 (82d) 는, 그 밖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3 ∼ 도 36 에, 제 1 위치 결정부 (81d) 및 제 2 위치 결정부 (82d) 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1 위치 결정부 (81d) 및 제 2 위치 결정부 (82d) 는, 도 3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형 등의 다각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3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위치 결정부 (81d) 는, 반원상, 반타원상 등의 단면 형상 (반구상) 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제 2 위치 결정부 (82d) 는, 제 1 위치 결정부 (81d) 와 동일한 반원상, 반타원상 등의 단면 형상 (반구상) 을 가져도 되고, 도 3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위치 결정부 (81d) 와는 상이한 형상 (도 34 에 있어서는 삼각형상) 을 가져도 된다. 도 3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위치 결정부 (82d) 의 일부가, 제 1 위치 결정부 (81d) 에 계합해도 된다. 도 35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위치 결정부 (82d) 의 폭 (w22) 은, 제 1 위치 결정부 (81d) 의 폭 (w21) 이상으로 되어 있다. 제 2 위치 결정부 (82d) 의 일부가, 제 1 위치 결정부 (81d) 에 삽입되고, 제 1 위치 결정부 (81d) 와 제 2 위치 결정부 (82d) 는 제 1 위치 결정부 (81d) 의 상하단에서 부분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이 경우, 피가공체 (81) 의 외주부 (81c) 와 유지 부재 (82) 의 내주부 (82c) 는 접촉하지 않아도 되다. 혹은, 도 3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 (82) 는, 예를 들어, 그 수축에 의해 변형되어, 내주부 (82c) 의 상하단에서 피가공체 (81) 의 외주부 (81c) 와 부분적으로 접촉해도 된다. 또한, 도 3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개의 단면에 있어서, 제 1 위치 결정부 (81d) 및 제 2 위치 결정부 (82d) 는,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질 수 있다.
제 1 위치 결정부 (81d) 및/또는 제 2 위치 결정부 (82d) 의 깊이 및/또는 높이는, 제 1 위치 결정부 (81d) 와 제 2 위치 결정부 (82d) 가 계합할 수 있는 깊이 및/또는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위치 결정부 (81d) 및/또는 제 2 위치 결정부 (82d) 의 깊이 및/또는 높이는, 예를 들어, 0.5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피가공 유닛 (80)의 제조 방법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이외의 형태는 제 1 ∼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는, 가능한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의 적어도 1 개와 조합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위치 결정부 (81d) 와 제 2 위치 결정부 (82d) 를 맞춤으로써, 유지 부재 (82) 를 피가공체 (81) 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유지 부재 (82) 를 피가공체 (81) 에 장착한 후에 있어서도, 제 1 위치 결정부 (81d) 및 제 2 위치 결정부 (82d) 가 미끄럼 방지의 역할을 하여, 유지 부재 (82) 의 피가공체 (81) 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7 에,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가공체의 제 1 위치 결정부가 오목부이고, 유지 부재의 제 2 위치 결정부가 볼록부였다.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 (90) 에 있어서는, 피가공체 (91) 와 유지 부재 (92) 사이에 있어서 오목부와 볼록부가 역전되어 있다. 즉, 피가공체 (91) 의 외주부 (91c) 에 배치된 제 1 위치 결정부 (91f) 는 볼록부이다. 유지 부재 (92) 의 내주부 (92c) 에 배치된 제 2 위치 결정부 (92f) 는, 제 1 위치 결정부 (91f) 에 대응하는 오목부이다.
피가공 유닛 (90)의 제조 방법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이외의 형태는 제 1 ∼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는, 가능한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의 적어도 1 개와 조합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및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5 및 제 6 실시형태와 제 4 실시형태를 조합하고 있다. 도 38 ∼ 도 41 에,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8 ∼ 도 41 은, 각각, 제 7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8 에 나타내는 피가공 유닛 (100) 에 있어서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도 21 에 나타내는 형태에, 제 5 및 제 6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제 1 위치 결정부 및 제 2 위치 결정부를 적용하고 있다. 피가공체 (101) 의 제 1 위치 결정부 (101h) 는, 돌출부 (101c) 의 제 5 면 (101f) 에 배치할 수 있다. 유지 부재 (102) 의 제 2 위치 결정부 (102d) 는, 제 1 위치 결정부 (101h) 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제 1 위치 결정부 (101h) 및 제 2 위치 결정부 (102d) 의 형태는 제 5 및 제 6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도 39 에 나타내는 피가공 유닛 (110) 에 있어서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도 22 에 나타내는 형태에, 제 5 및 제 6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제 1 위치 결정부 및 제 2 위치 결정부를 적용하고 있다. 피가공체 (101) 의 제 1 위치 결정부 (101h) 는, 돌출부 (101c) 의 제 5 면 (101f) 에 배치할 수 있다. 유지 부재 (112) 의 제 2 위치 결정부 (112a) 는, 제 1 위치 결정부 (101h) 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제 1 위치 결정부 (101h) 및 제 2 위치 결정부 (112a) 의 형태는 제 5 및 제 6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도 40 에 나타내는 피가공 유닛 (120) 에 있어서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도 23 에 나타내는 형태에, 제 5 및 제 6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제 1 위치 결정부 및 제 2 위치 결정부를 적용하고 있다. 피가공체 (101) 의 제 1 위치 결정부 (101h) 는, 돌출부 (101c) 의 제 5 면 (101f) 에 배치할 수 있다. 유지 부재 (122) 의 제 2 위치 결정부 (122b) 는, 제 1 위치 결정부 (101h) 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제 1 위치 결정부 (101h) 및 제 2 위치 결정부 (122b) 의 형태는 제 5 및 제 6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도 41 에 나타내는 피가공 유닛 (130) 에 있어서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도 24 에 나타내는 형태에, 제 5 및 제 6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제 1 위치 결정부 및 제 2 위치 결정부를 적용하고 있다. 피가공체 (101) 의 제 1 위치 결정부 (101h) 는, 돌출부 (101c) 의 제 5 면 (101f) 에 배치할 수 있다. 유지 부재 (132) 의 제 2 위치 결정부 (132c) 는, 제 1 위치 결정부 (101h) 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제 1 위치 결정부 (101h) 및 제 2 위치 결정부 (132c) 의 형태는 제 5 및 제 6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형태에 있어서는, 피가공체의 제 1 위치 결정부가 오목부이고, 유지 부재의 제 2 위치 결정부가 볼록부인 형태를 나타냈다.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형태에 있어서도, 제 6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피가공체와 유지 부재 사이에 있어서 오목부와 볼록부를 역전할 수 있다. 즉, 피가공체의 돌출부에 배치된 제 1 위치 결정부가 볼록부를 갖고, 유지 부재의 내주부에 배치된 제 2 위치 결정부가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도시는 생략한다).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형태에 있어서는, 피가공체의 제 1 위치 결정부가 돌출부의 제 5 면에 있는 형태를 나타냈지만, 제 1 위치 결정부는 돌출면의 제 3 면 및 제 4 면 중 적어도 1 개에 배치할 수도 있다. 제 2 위치 결정부는 제 1 위치 결정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제조 방법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이외의 형태는 제 1 ∼ 제 6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는, 가능한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의 적어도 1 개와 조합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 제 6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구획끼리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가공체에 있어서의 적어도 2 개의 구획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고,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가공 유닛의 개략 평면도 및 개략 단면도는, 도 1 및 도 2 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인접하는 구획 (11) 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구획 (11) 의 재료는, 소성에 의해 결합 가능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고, 주재료가 동일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인접하는 구획 (11) 은, 착색제 등의 첨가재의 종류 및/또는 함유율이 상이한 지르코니아로 할 수 있다.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구획 (11) 을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제조 방법과 동일하다. 피가공체의 성형에 대해서는, 먼저, 형으로 분리 가능한 칸막이를 형성하여, 원하는 형상의 구획의 형을 형성한다. 칸막이는 구획의 경계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각 구획의 영역에 조성물을 공급한 후, 칸막이를 분리한다. 다음으로, 조성물을 가압 성형하여, 복수의 조성이 일체가 된 성형체를 형성할 수 있다. 성형체의 소결 이후의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이외의 형태는, 제 1 ∼ 제 7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 8 실시형태는, 가능한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의 적어도 1 개와 조합할 수 있다.
제 8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 제 7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지 부재나 접착재 등, 복수의 구획을 유지하는 부재가 불필요해진다.
본 개시의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2 에,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피가공 유닛의 개략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3 에, 도 42 의 XXXXIII-XXXXIII 선에 있어서의 피가공 유닛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가공 유닛은 유지 부재를 가지고 있었지만,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가공 유닛 (140) 은 유지 부재를 가지고 있지 않다.
피가공체 (141) 는, 제 1 면 (141a), 제 2 면 (141b), 및 유지 부재의 대신이 되는 돌출부 (141c) 를 갖는다. 돌출부 (141c) 는, 피가공체 (141) 의 외주부에 배치된다. 돌출부 (141c) 는, 피가공체 (141) 의 일부로 할 수 있다. 각 구획 (151a ∼ 151c) 이 돌출부 (141c) 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 (141c) 의 기본적 형태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돌출부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돌출부 (141c) 의 폭 (w31) 은, 가공 장치에 피가공 유닛 (141) 을 유지 가능한 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 (141c) 의 형상, 크기 및 위치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지 부재 및/또는 유지 부재와 돌출부의 조합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돌출부 (141c) 는, 예를 들어, 판상체의 피가공체를 제작한 후, 외연부의 상단 및 하단을 깎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이외의 형태는, 제 1 ∼ 제 8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 9 실시형태는, 가능한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의 적어도 1 개와 조합할 수 있다.
제 9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 제 8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지 부재의 장착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의 특허문헌의 개시를, 본서에 인용에 의해 삽입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가공 유닛 및 그 제조 방법은, 상기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되어 있지만,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전체 개시 (청구의 범위 및 도면을 포함한다) 의 범위 내에 있어서, 또한 본 발명의 기본적 기술 사상에 기초하여, 다양한 개시 요소 (각 청구항의 각 요소, 각 실시형태 내지 실시예의 각 요소, 각 도면의 각 요소 등을 포함한다) 에 대하여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개량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전체 개시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개시 요소 (각 청구항의 각 요소, 각 실시형태 내지 실시예의 각 요소, 각 도면의 각 요소 등을 포함한다) 의 다양한 조합·치환 내지 선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과제, 목적 및 전개 형태는, 청구의 범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전체 개시 사항으로부터도 명확해진다.
본서에 기재한 수치 범위에 대해서는, 당해 범위 내에 포함되는 임의의 수치 내지 소범위가, 특별한 기재가 없는 경우에도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실시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는, 이하의 부기와 같이 기재될 수도 있지만, 이하의 기재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부기 1]
돌출부를 갖는 피가공체와,
상기 돌출부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피가공 유닛.
[부기 2]
상기 피가공체는 판상 형상을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피가공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적어도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으로 배치되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3]
상기 피가공체는,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의 외주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주부에 배치되어 있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4]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피가공체의 상기 외주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유지 부재는 링 형상을 갖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5]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면하는 제 3 면과, 상기 제 2 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면하는 제 4 면과, 상기 제 3 면과 상기 제 4 면을 연결하는 제 5 면을 갖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제 5 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6]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 3 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면하는 제 1 면과,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 4 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면하는 제 2 면을 갖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7]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제 1 면은,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 3 면과 동일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 3 면보다 상기 피가공체의 상기 제 1 면측에 존재하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8]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제 2 면은,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 4 면과 동일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 4 면보다 상기 피가공체의 상기 제 2 면측에 존재하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9]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 3 면 및 상기 제 4 면의 적어도 일부를 추가로 덮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10]
상기 피가공체는, 상기 돌출부 중 상기 유지 부재와 대향하는 부분에, 적어도 1 개의 제 1 위치 결정부를 갖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의 적어도 일부와 계합하는 제 2 위치 결정부를 갖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11]
피가공체와,
상기 피가공체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피가공체는, 상기 유지 부재와 대향하는 부분에, 적어도 1 개의 제 1 위치 결정부를 갖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의 적어도 일부와 계합하는 제 2 위치 결정부를 갖는, 피가공 유닛.
[부기 12]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 형상을 갖고,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와 감합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 중, 일방의 적어도 일부가 타방의 적어도 일부와 감합하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13]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는, 상기 피가공체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배치되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14]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 또는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는, 홈 형상을 갖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15]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 또는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는, 추상 또는 기둥상 형상을 갖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16]
상기 피가공체는, 상기 외주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는 상기 돌출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적어도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으로 배치되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17]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피가공체의 상기 외주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유지 부재는 링 형상을 갖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18]
상기 피가공체는,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제 2 면을 갖고,
상기 외주부는,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면하는 제 3 면과, 상기 제 2 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면하는 제 4 면과, 상기 제 3 면과 상기 제 4 면을 연결하는 제 5 면을 갖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제 5 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19]
상기 유지 부재는, 2 이상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20]
상기 유지 부재의 각 부품은, 각각,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갖고,
상기 각 부품은,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를 감합하도록 배치되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21]
상기 피가공체는 세라믹, 금속 또는 수지인,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22]
상기 피가공체는, 지르코니아 결정 입자가 완전하게 소결하기에 이르지 않는 가소체인,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23]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소체의 일부인,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24]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피가공체에 접착재를 통하여 접합되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25]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피가공체는 직접 접하고 있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26]
상기 유지 부재는 플라스틱인,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27]
상기 돌출부의 두께와 상기 유지 부재의 두께는 대략 동일한,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28]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의 폭은, 0.3 ㎜ ∼ 2 ㎜ 인,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29]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피가공체의 두께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30]
상기 피가공체는, 상기 피가공체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피가공체의 상기 돌출부 또는 외연부에 접속된 가공물을 갖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
[부기 31]
외주부에 제 1 위치 결정부를 갖는 피가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제 2 위치 결정부를 갖는 유지 부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를 대응시키도록, 상기 피가공체의 상기 외주부에 상기 유지 부재를 장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피가공 유닛의 제조 방법.
[부기 32]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이고,
상기 유지 부재를 장착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를 감합시키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의 제조 방법.
[부기 33]
외주부에 돌출부를 갖는 피가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유지 부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돌출부의 외측에 상기 유지 부재를 장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피가공 유닛의 제조 방법.
[부기 34]
상기 유지 부재를 장착하는 공정은,
링 형상을 갖는 상기 유지 부재를 가열하여 팽창시키는 공정과,
상기 유지 부재의 링에 상기 피가공체를 끼워 넣는 공정과,
상기 유지 부재를 냉각시켜 수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의 제조 방법.
[부기 35]
상기 피가공체는, 상기 외주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는 상기 돌출부에 배치되는, 부기에 기재된 피가공 유닛의 제조 방법.
본 개시는, 예를 들어, 치과용 보철물의 제작에 적용할 수 있다.
10, 20, 30, 33,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 피가공 유닛
1, 41, 81, 91, 101, 141 ; 피가공체
1a, 41a, 81a, 91a, 101a, 141a ; 제 1 면
1b, 41b, 81b, 91b, 101b, 141b ; 제 2 면
1c, 41g, 81c, 91c ; 외주부
1d, 81d, 91f, 101h ; 제 1 위치 결정부
1e ; 외연부
2, 52, 62, 72, 82, 92, 102, 112, 122, 132 ; 유지 부재
2a, 62a, 82a, 92a, 102a, 122a ; 제 1 면
2b, 82b, 92b, 102b ; 제 2 면
2c, 82c, 92c, 102c ; 내주부
82d, 92f, 102d, 112a, 122b, 132c ; 제 2 위치 결정부
3 ; 접착재
4 ; 가공물
4a ; 접속부
5 ; 절삭부
6 ; 완충재
11 ; 구획
11a ∼ 11f ; 제 1 ∼ 제 6 구획
11g ; 오목부
11h ; 볼록부
12, 13 ; 피복 부재
21, 22 ; 구획 유닛
23 ; 구획 (피가공체)
24 ; 접착재
31, 34 ; 더미 피가공체
31a, 34a ; 유지부
41c, 101c, 141c ; 돌출부
41d, 101d ; 제 3 면
41e, 101e ; 제 4 면
41f, 101f ; 제 5 면
42a ∼ 42d ; 제 1 ∼ 제 4 구획
43 ; 접착재
72a, 132a ; 제 1 부
72b, 132b ; 제 2 부
151a ∼ 151c ; 구획

Claims (54)

  1. 복수의 구획을 갖는 피가공체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은, 상기 피가공체의 피가공면을 구분하고,
    상기 피가공체는, 상기 구획별로 분할되고,
    상기 구획은, 인접하는 다른 구획과 대향하는 면에 볼록부를 갖고,
    상기 다른 구획은, 상기 구획의 상기 볼록부와 착탈 가능하게 계합하는 오목부를 갖고,
    상기 구획과 상기 다른 구획 사이에, 상기 구획 및 상기 다른 구획의 각 재료와는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완충재를 갖는, 피가공 유닛.
  2. 복수의 구획을 갖는 피가공체와,
    상기 구획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피복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은, 상기 피가공체의 피가공면을 구분하고,
    상기 피가공체는, 상기 구획별로 분할되고,
    상기 구획의 상기 외주부를 둘러싸는 상기 피복 부재는, 인접하는 다른 구획을 둘러싸는 다른 피복 부재와 대향하는 면에 볼록부를 갖고,
    상기 다른 피복 부재는, 상기 피복 부재의 상기 볼록부와 착탈 가능하게 계합하는 오목부를 갖고,
    상기 피복 부재와 상기 다른 피복 부재 사이에, 상기 피복 부재 및 상기 다른 피복 부재의 각 재료와는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완충재를 갖는, 피가공 유닛.
  3. 복수의 구획을 갖는 피가공체와,
    상기 구획의 적어도 1 개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피복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은, 상기 피가공체의 피가공면을 구분하고,
    상기 피가공체는, 상기 구획별로 분할되고,
    상기 구획의 적어도 1 개의 상기 외주부를 둘러싸는 상기 피복 부재는, 인접하는 다른 구획과 대향하는 면에 볼록부를 갖고,
    상기 다른 구획은, 상기 피복 부재의 상기 볼록부와 착탈 가능하게 계합하는 오목부를 갖고,
    상기 피복 부재와 상기 다른 구획 사이에, 상기 피복 부재 및 상기 다른 구획의 각 재료와는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완충재를 갖는, 피가공 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구획은 각각 상이한 조성을 갖는, 피가공 유닛.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체의 적어도 외주부를 둘러싸는 유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피가공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피가공체의 두께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는, 피가공 유닛.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플라스틱인, 피가공 유닛.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체는, 상기 유지 부재와 대향하는 부분에, 적어도 1 개의 제 1 위치 결정부를 갖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의 적어도 일부와 계합하는 제 2 위치 결정부를 갖는, 피가공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 또는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는, 홈 형상, 추상 또는 기둥상 형상을 갖는, 피가공 유닛.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피가공체에 접착재를 통하여 접합되거나, 또는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피가공체는 직접 접하고 있는, 피가공 유닛.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체는, 상기 피가공면이 되는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의 외주부에 배치된 돌출부를 갖는, 피가공 유닛.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의 평면 형상은 선형을 갖는, 피가공 유닛.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구획 중, 1 개의 구획은, 가공 장치에 의해 가공되지 않는 부분인, 피가공 유닛.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체는 세라믹, 금속 또는 수지인, 피가공 유닛.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체는, 지르코니아 결정 입자가 완전하게 소결하기에 이르지 않는 가소체인, 피가공 유닛.
  1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체는, 상기 피가공체의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피가공체의 상기 피가공면이 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제 2 면 사이의 외주부에 배치된 돌출부 또는 외연부에 접속된 가공물을 갖는, 피가공 유닛.
  17. 피가공체의 구성 요소가 되는 복수의 구획을 준비하는 공정과,
    복수의 상기 구획을 조합하여,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의 외주부를 갖는 상기 피가공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링 형상을 갖는 유지 부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유지 부재를 가열하여 팽창시키는 공정과,
    상기 유지 부재의 링에 상기 피가공체를 끼워 넣는 공정과,
    상기 유지 부재를 냉각시켜 수축시켜, 상기 피가공체의 상기 외주부에 상기 유지 부재를 장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피가공 유닛의 제조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KR1020177029872A 2015-03-19 2016-03-18 피가공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KR102464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56572 2015-03-19
JP2015056572 2015-03-19
PCT/JP2016/058767 WO2016148289A1 (ja) 2015-03-19 2016-03-18 被加工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836A KR20170129836A (ko) 2017-11-27
KR102464515B1 true KR102464515B1 (ko) 2022-11-07

Family

ID=56920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872A KR102464515B1 (ko) 2015-03-19 2016-03-18 피가공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85397B2 (ko)
EP (2) EP3272308A4 (ko)
JP (3) JP7029293B2 (ko)
KR (1) KR102464515B1 (ko)
CN (1) CN107405186B (ko)
WO (1) WO20161482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8287A1 (ja) * 2015-03-19 2016-09-22 クラレノリタケデンタル株式会社 被加工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32438B1 (ko) * 2020-08-21 2022-08-16 주식회사 하스 치과용 블랭크
KR102413882B1 (ko) * 2020-09-24 2022-06-28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임시 수복 보철물의 3차원 형상 가공 시스템용 지그장치
KR102387547B1 (ko) * 2021-12-06 2022-04-1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디스크 블록 조립체
KR20240002539A (ko) * 2022-06-29 2024-01-05 주식회사 하스 치아 보철물 제작용 블랭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8836A1 (en) * 2003-04-04 2010-02-04 Xawex Ag Process for producing dental prostheses
JP2010022610A (ja) * 2008-07-19 2010-02-04 Ivoclar Vivadent Ag 歯科用cad/camシステム用のアドレス可能なマトリックス/クラスターブランクおよびその最適化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1809Y2 (ja) 1989-08-16 1996-06-19 ソニー株式会社 ウエハ―保持装置
ATE158938T1 (de) 1994-05-05 1997-10-15 Joseph Hinterseh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dentalprothese
ATE281126T1 (de) 1996-05-17 2004-11-15 Brandestini Marco Verfahren zur herstellung dentaler rekonstruktionen und rohli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AU2001267551B2 (en) 2000-06-22 2005-12-15 3M Espe Ag Device for producing dental workpieces
US6482284B1 (en) 2000-08-31 2002-11-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a dental mill blank and support stub assembly
EP1339345B1 (de) 2000-12-07 2009-05-06 Eidgenössische Technische Hochschule Zürich Nichtmetallische Werkstoffe Haltevorrichtung für einen keramikrohling
DE20316004U1 (de) * 2003-10-14 2004-03-04 Stührenberg, Birgit Rohling für die Herstellung von Zahnersatz
DE102007013675B4 (de) * 2007-03-19 2011-01-13 Doceram Gmbh Halterung für keramische Rohlinge
WO2009154301A1 (ja) 2008-06-18 2009-12-23 株式会社アドバンス 歯科補綴物加工用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DE202009018693U1 (de) * 2009-09-11 2012-10-19 Pritidenta B. V. Zahnblock zur Fertigung von Zahnersatzteilen mit daran befestigtem Halter
BR112013027013B1 (pt) 2011-04-20 2021-05-25 Straumann Holding Ag processo para preparar um corpo de vidro-cerâmica, corpo de vidro-cerâmica e uso do mesmo
EP2779937B1 (de) * 2011-11-15 2019-02-20 Kronacher Werkzeugbau Klug GmbH&Co. KG Rohling für künstliche zähne mit mehreren unterschiedlichen farbschicht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11086628A1 (de) 2011-11-18 2013-05-23 Tridonic Jennersdorf Gmbh Rohrförmige LED-Lampe
DE102012201744A1 (de) * 2012-02-06 2013-08-08 Wieland Dental + Technik Gmbh & Co. Kg Werkstücksystem
US20130224454A1 (en) * 2012-02-23 2013-08-29 Yunoh Jung Non-Pre-Colored Multi-Layer Zirconia Dental Blank that has a Gradual Change in Chroma through a Thickness After Sintering
JP6108891B2 (ja) 2013-03-18 2017-04-05 大阪瓦斯株式会社 熱供給設備
JP6352593B2 (ja) 2013-05-02 2018-07-04 クラレノリタケデンタル株式会社 ジルコニア焼結体、ジルコニア組成物及びジルコニア仮焼体、並びに歯科用補綴物
CN107417274B (zh) 2013-05-10 2021-06-18 可乐丽则武齿科株式会社 氧化锆烧结体、氧化锆组合物和氧化锆煅烧体和它们的制造方法、以及牙科用修复物
DE202013103515U1 (de) 2013-08-05 2013-09-12 Ivoclar Vivadent Ag Rohlingaufnahme sowie Dental-Fräsmaschine
DE102015204174A1 (de) * 2015-03-09 2016-09-15 Precis Glashütte GmbH Haltevorrichtung für Dentalrohlinge
DE102015122865A1 (de) * 2015-12-28 2017-06-29 Degud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entalen Restau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8836A1 (en) * 2003-04-04 2010-02-04 Xawex Ag Process for producing dental prostheses
JP2010022610A (ja) * 2008-07-19 2010-02-04 Ivoclar Vivadent Ag 歯科用cad/camシステム用のアドレス可能なマトリックス/クラスターブランクおよびその最適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16780B2 (ja) 2023-02-01
EP4049616A1 (en) 2022-08-31
WO2016148289A1 (ja) 2016-09-22
KR20170129836A (ko) 2017-11-27
EP3272308A4 (en) 2018-10-17
US20180243054A1 (en) 2018-08-30
EP3272308A1 (en) 2018-01-24
EP4049616B1 (en) 2023-12-20
JPWO2016148289A1 (ja) 2018-01-18
JP7029293B2 (ja) 2022-03-03
CN107405186B (zh) 2021-06-18
JP2020179224A (ja) 2020-11-05
US11185397B2 (en) 2021-11-30
CN107405186A (zh) 2017-11-28
JP2021183283A (ja) 2021-12-02
JP7146856B2 (ja)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0766B1 (ko) 피가공 유닛
KR102464515B1 (ko) 피가공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KR102464512B1 (ko) 피가공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JP7136850B2 (ja) 被加工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