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698A - 팔미트산이 풍부한 아보카도 고체 오일 - Google Patents

팔미트산이 풍부한 아보카도 고체 오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698A
KR20240001698A KR1020237037548A KR20237037548A KR20240001698A KR 20240001698 A KR20240001698 A KR 20240001698A KR 1020237037548 A KR1020237037548 A KR 1020237037548A KR 20237037548 A KR20237037548 A KR 20237037548A KR 20240001698 A KR20240001698 A KR 20240001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vocado
oil
solid
solid oil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앙뚜완느 삐치힐리
Original Assignee
그린떼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떼끄 filed Critical 그린떼끄
Publication of KR2024000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23D9/04Working-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1/36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fats us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23L29/04Fatty acid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6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skin, bone, milk, cotton fibre, eggshell, oxgall or 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01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means hereaf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06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extr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08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filtration, e.g. including ultra filtration, di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2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chemical re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10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ad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12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distillation
    • C11B3/14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distillation with the use of indifferent gases or vapours, e.g. steam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7/00Separation of mixtures of fats or fatty oils into their constituents, e.g. saturated oils from unsaturated oils
    • C11B7/0075Separation of mixtures of fats or fatty oils into their constituents, e.g. saturated oils from unsaturated oils by differences of melting or solidifying poi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8Fractio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보카도 고체 오일에 관한 것으로, 이는 총 지방산 대비 팔미트산 함량이 15 내지 35%이고, 완전 융점이 20 내지 50℃의 범위이고, 아보카도의 오일이 하스, 푸에르테, 베이컨, 핑커턴, 에팅거, 룰라, 라이언, 바커 및/또는 페루아노로 구성된 목록에서 선택된 품종의 아보카도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장품학적으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 내에 본 발명에 따른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 신선하거나 탈수된 열매,
- 미정제 아보카도 오일, 또는
- 미정제 아보카도 오일의 정제 또는 탈랍으로부터 생성된 부산물에 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팔미트산이 풍부한 아보카도 고체 오일
본 발명은 기존 아보카도 오일에 비해 팔미트산 함량이 현저히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보카도 고체 오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품, 의약품 및 식품 분야에서의 상기 오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냉간 압착 또는 물 추출(소위 원심분리 방법)을 통해 얻은 버진(virgin) 또는 정제된 아보카도 오일은 이의 영양 및 피부연화(emollient) 특성 및 표피의 상층에 침투하는 이의 능력으로 인해 화장품에 흔히 사용되는 오일이다. 또한, 산화에 대한 이의 양호한 상대적 안정성과 이의 천연 비타민 E 함량으로 인해 화장품에서도 가치가 높다.(alpha-tocopherol (Woolf et al., Gourmet & Health-Promoting Specialty Oils, pp. 73-125, edited by Robert A. Moreau and Ataf Kamal-Eldin. AOCS Press 2009).
더욱 최근에는, 아보카도 오일은 특히 미국과 영국에서 인간 영양 분야에서 놀라운 발전을 이루었다. 높은 함량의 단일불포화지방산 및 항산화제와 관련된 건강상의 이점으로 인해 높이 평가되어 이제는 올리브 오일과 직접적인 경쟁을 벌이게 되었다.(Hilary S. First Report on Quality and Purity of Avocado Oil Sold in the US. Food Control 116 (2020) 107328.). 더욱이, 맛의 측면에서 아보카도 오일은 매우 약간의 버터 향을 갖고 있으며 처음 냉간 압착된 올리브 오일의 흔한 강한 향이 없다.
연간 전 세계 생산량은 현재 160,000톤으로 추산되며, 그 중 50%는 세계 최대의 아보카도 생산국인 멕시코에서 생산되며, 매년 150만 톤 이상의 열매가 수확되고 있다. (Fernandes et al.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and Single-Variety Avocado Oils. Grasa y aceites, vol. 69, no. 2 (2018)).
아보카도 오일은 실제로 열매 생산의 부산물이다. 이는 실제로 소비자 시장 기준(외관, 신선도, 크기 등)을 충족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등급이 하향된 열매로부터 얻는다. 결과적으로, 너무 작거나, 찌그러지거나, 해충이나 곰팡이의 공격과 관련된 질병에 걸린 열매는 오일 생산에 직접적으로 사용된다. (South African Avocado Growers' Association Yearbook 1987. 10: 159-162. TP Human. Proceedings of the First World Avocado Congress. Oil as a Byproduct of the Avocado).
아보카도 오일은 미리 씨를 제거한 열매의 과육(pulp)에서 추출된다. 아보카도(Persea americana Mill.)는 과육에 오일(> 15%)과 물(60%)이 매우 풍부하기 때문에 오일을 함유한 열매로 묘사된다. 분류학적으로, 우리는 멕시코, 과테말라, 및 서인도 재래종(landrace) 간을 구별한다. 이러한 재래종의 교배로 생성된 주요 품종(그리고 오늘날 가장 많이 재배되는 품종)은 하스(Hass) 아보카도와 푸에르테(Fuerte) 아보카도이다. 멕시코에서는 생산량의 90% 이상이 하스 품종이다. 이 품종은 과육 오일이 가장 많이 농축된(20% 초과)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칠레, 페루,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냐, 뉴질랜드 등)에서 재배되는 다른 품종으로는 베이컨(Bacon), 핑커턴(Pinkerton), 에팅거(Ettinger), 룰라(Lula), 라이언(Ryan), 바커(Barker) 및 페루아노(Peruano) 및 Peruano 품종이 있다.
생산 공정 측면에서, 우리는 주로 특수 영양을 위한 1차 압착 아보카도 오일과 화장품 및 일상 식품 시장을 위한 정제 오일 간을 구별한다. 압착 오일은 올리브 오일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공정을 사용하여 얻는다. 여기에는 (미리 껍질을 벗기고 씨를 제거한) 열매 과육을 뜨거운 물로 처리한 후 원심분리하여 물과 지방을 분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추출이 수반된다. (Costagli et al. Journal of Agricultural Engineering, 2015, vol. XLVI: 467, pp. 115-122).
정제된 아보카도 오일은 미정제(crude) 아보카도 오일로부터 얻어지며, 정제는 소다를 이용한 화학적 중화, 산 탈검(acid degumming), 동결방지 처리(winterization), 표백토에서의 표백, 및 최종적으로 진공 탈취로 구성된다.
그의 지방산 조성 및 모든 품종을 합친 것의 측면에서, 정제되지 않은 과육 오일은 주로 올레산(55 내지 68%), 팔미트산(13 내지 22%), 및 리놀레산(9 내지 15%)으로 구성된다. 또한 팔미톨레산이 4 내지 10% 수준으로 존재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마찬가지로 특히 화장품 및 소비식품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하스 품종에서 얻은 정제된 아보카도 오일은 올레산, 팔미트산, 및 리놀레산의 중간 수준 함량이 각각 60%, 12%, 및 10%에 육박한다. 정제의 목적은 0℃에서 5.5시간의 최소 내한성을 갖고 추위에 흐려지지 않는 투명한 오일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실제로 지방산, 특히 팔미트산이 상당히 손실된다.
화장품에서 팔미트산은 피부를 위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실제로, 팔미트산은 각질층의 세라마이드, 특히 세라마이드 1 및 2의 합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세라마이드는 표피의 온전함과 수화 및 표피 항상성 유지의 측면에서 지질막의 기능성을 보장한다. (J. McIntosh. Organization of skin stratum corneum extracellular matrix lamellae: Diffraction evidence for asymmetric distribution of cholesterol. Biophysical Journal, vol. 85, September 2003: 1675-1681).
마찬가지로, 팔미트산은 표피의 형태형성과 피부 장벽 효과 기능에 직접적으로 관여한다. (Mieremet et al. Contribution of palmitic acid to epidermal morphogenesis and lipid barrier function in human skin equivalents. International of Molecular Sciences. Int. J. Mol. Sci. 2019, 20, 6069. pp. 1-18).
팔미트산은 모발 지질을 구성하는 필수 지방산이다. 이는 실제로 모발 섬유에서 가장 풍부한 산으로 모발 1g 당 함량은 2760μg이다. (Sang-Sun Song et al. Prevention of lipids from hair by surface and internal modification. Nature Scientific Reports, (2019), 9-9834). 이러한 팔미트산 함량은 연속적인 샴푸로 인해 크게 감소되어 모발 섬유의 품질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모발 관리 제품을 통해 팔미트산을 정기적으로 공급하여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마찬가지로, 팔미트산은 모발의 필수 세라마이드의 구성 성분이기도 하다. 이 세라마이드는 UV, 오염, 화학적 착색과 같은 외부 공격으로부터 모발 섬유를 유지하고 보호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팔미트산은 탈모증 예방에 필수적인 영양소 중 하나이다.
영양학적으로, 피부의 지방조직을 구성하는 지방세포와 모발의 모낭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존재한다. 실제로, 많은 성장 인자가 지방세포-모낭 관계에서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모낭은 기본 지질로 구성된 거대 환경(macro-environment)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그 중에는 지방 세포의 에너지 비축량을 구성하는 주요 산 중 하나인 팔미트산이 풍부하다. (Schmidt et al. Unraveling hair follicle-adipocyte communication. Exp Dermatol 2012 November 21(11): 827-830). 따라서, 음식을 통해 제공되고 지방세포에 에너지 비축량으로 저장되는 지방산은 모발 섬유 합성의 중심 기관인 모낭의 발달에 기여한다. 충분하고 적절한 영양 섭취는 건강한 모발의 발달에 유리하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팔미트산은 세포벽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팔미토일화를 통해 세포 재생의 필수 단계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중요한 생물학적 측면에 개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inder, ME, "Reversible modification of proteins with thioester-linked fatty acids," Protein Lipidation, F. Tamanoi and DS Sigman, eds., pp. 215-40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000).
실제로, 탄수화물(당)은 생체 내에서 팔미트산으로 변환되어 지방세포에 저장된다. 당뇨병 예방을 위해 당 섭취를 제한하는 것을 권장하는 반면, 생물학적으로 이용가능한 팔미트산의 영양 섭취를 조절하는 것은 당 대사 경로를 활용하지 않고 비축 지질을 생성하는 흥미로운 방법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팔미트산의 주요 섭취는 팜유, 육류 및 유제품 섭취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식품은 현재 비만 문제 및 심혈관 질환의 원인으로 의심되고 있다. 게다가 식품과 화장품 모두에서 환경적 이유로 큰 비판을 받고 있는 팜유는 보다 지속가능한 오일로 대체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다 환경 친화적이고 단일불포화지방산의 공동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식물 공급원을 통한 팔미트산 공급은 현재 만족스럽지 않다.
캐나다 출원 CA 2 628 950호에는 트리글리세리드가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을 얻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은 분자 증류 공정을 통해 2가지 오일, 즉 증류물과 증류 잔류물 분획에 해당하는 중유를 생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기존의 정제 후, 중질 분획이라고 불리는 증류 잔류물 분획에서 생성된 오일은 분자 증류를 거치지 않은 오일에 비해 스테롤이 풍부하고 불검화물(예: 아세토게닌 및 푸란 지질) 및 부분적 글리세리드(모노글리세리드 및 디글리세리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발명이 관계되는 오일은 기준 오일에 비해 팔미트산이 고갈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국제출원 PCT/FR01/00814호는 아보카도 오일이 언급되는 식물성 오일에서 불검화물(unsaponifiables)을 농축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불검화물의 농축은 스테롤 및 지용성 비타민이 농축된 오일뿐만 아니라 불검화물이 고갈된 잔류 오일(중질 분획)을 생성하는 분자 증류 공정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 공정을 통해서는 팔미트산이 풍부한 오일이 생성되지는 않는다.
Yanty NAM 등의 논문: "Effect of varietal differences on composition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avocado oil,"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SPRINGER-VERLAG, BERLIN/HEIDELBERG, vol. 88, no. 12, June 17, 2011 (2011-06-17), pp. 1997-2003, XP019975762, ISSN: 1558-9331, DOI: 10.1007/S11746-011-1877-X 는 말레이시아산 아보카도 오일과 하스 품종 아보카도 오일의 비교를 설명하고 있다. 이 두 오일은 석유 에테르로 추출하여 얻는다. 말레이시아산 아보카도 오일은 하스(Hass), 푸에르테(Fuerte), 베이컨(Bacon), 핑커턴(Pinkerton), 에팅거(Ettinger), 룰라(Lula), 라이언(Ryan), 바커(Barker) 및/또는 페루아노(Peruano) 아보카도 품종으로부터는 얻어지지 않는다. 언급된 하스 품종의 아보카도 오일은 고체가 아니다.
미국 출원 US 2005/058731호는 아보카도 오일을 포함하는 항미생물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지만 특정 아보카도 오일이나 이의 팔미트산 함량 또는 융점을 개시하지 않고 있다.
유럽 출원 EP 1 139 771호에는 아보카도 오일을 포함하는 식품이 기재되어 있지만 아보카도 고체 오일이나 이의 팔미트산 함량 또는 융점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Yanty N. 등의 논문: "Effect of fractional crystallization on composition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avocado (Persea americana) butter," Journal of Thermal Analysis and Calorimetry, November 25, 2011 (2011-11-25), pp. 2203-2209, XP055863496, Dordrecht DOI: 10.1007/s10973-011-2055-y 은 말레이시아 아보카도 품종의 아보카도로부터 아보카도 오일을 추출하는 공정을 기재하고 있다. 이 공정은 석유 에테르를 이용한 추출, 아세톤과의 혼합 및 연속적인 결정화/여과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 공정은 동결 방지 처리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다. 첫 번째 결정화/여과 단계 이후, AVS라고 불리는 침전된 분획은 총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에 비해 35%를 훨씬 넘는 팔미트산 함량을 갖는다. 또한, 이들 오일은 하스(Hass), 푸에르테(Fuerte), 베이컨(Bacon), 핑커턴(Pinkerton), 에팅거(Ettinger), 룰라(Lula), 라이언(Ryan), 바커(Barker) 및/또는 페루아노(Peruano) 아보카도 품종으로부터 얻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본 출원에서는 기술적 요소, 사실, 특성 또는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특정 표현이나 단어가 사용될 수 있다. 그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
트리글리세리드는 글리세롤의 3개의 수산기가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되어 있는 글리세롤 에스테르이다.
이의 일반식은 다음과 같다:
R1,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사슬이다.
R1, R2 및/또는 R3 중 하나 이상이 탄소수 16의 포화 알킬 사슬(C16:0)인 경우, 이는 히드록시기가 팔미트산으로 에스테르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R1, R2 및/또는 R3 중 적어도 하나가 16개의 불포화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사슬(C16:1)인 경우, 이는 히드록시기가 팔미톨레산으로 에스테르화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R1, R2 및/또는 R3 중 하나 이상이 탄소수 18개의 포화 알킬 사슬(C18:0)인 경우, 이는 히드록시기가 스테아르산으로 에스테르화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R1, R2 및/또는 R3 중 하니 이상이 18개의 불포화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사슬(C18:1)인 경우, 이는 히드록시기가 올레산으로 에스테르화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R1, R2 및/또는 R3 중 하나 이상이 18개의 불포화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사슬(C18:2)인 경우, 이는 히드록시기가 리놀레산으로 에스테르화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버진 오일(virgin oil)은 열매나 열매 과육을 냉간 압착하여 얻는다.
오일은 (미리 껍질을 벗기고 씨를 제거한) 열매 과육을 뜨거운 물로 처리한 후 원심분리하여 물과 지방을 분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추출 과정을 거쳐 얻은 오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미정제 오일(crude oil)은 정제 과정을 거치지 않은 버진 오일이나 아보카도 오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정제 오일(refined oil)은 정제 과정을 거친 버진 오일이나 아보카도 오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식물성 기름을 정제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출원 CA2628950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잘 알려진 방법이다.
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산 처리
- 중화 단계
- 동결 방치 처리 또는 탈랍(dewaxing)
- 표백 단계
- 탈취 단계.
산 처리는 바람직하게는 산 컨디셔닝이며, 이는 탈검(degumming)을 수행하고 인지질을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산처리는 일반적으로 인산 또는 구연산과 같은 약산을 사용하거나, 황산 또는 염산과 같은 강산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산처리는 30 내지 7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수행된다.
콜로이드의 여과에 사용되는 저압 막 공정인 정밀 여과나 효소 탈검과 같은 생명공학을 사용하는 공정과 같은 다른 공정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산 처리 후에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화학적 중화는 유리 지방산을 제거하고, 컨디셔닝 작업을 거친 인지질의 오일을 제거하며, 금속 흔적을 제거하고, 산화성 기원의 일정 수의 색소와 유색 화합물을 파괴함으로써 표백을 촉진한다. 화학적 중화는 일반적으로 수산화나트륨, 탄산칼륨 또는 3차 아민(DMHA)과 같은 염기성 제제(agent)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지방산은 원심분리 또는 여과를 통해 비누 형태로 분리 제거되며, 비누 형태에는 이러한 처리 중에 제거된 점액질 및 다양한 불순물도 포함되어 있다.
화학적 중화 이후의 표백은 일반적으로 중화에 의해 부분적으로만 파괴되는 유색 안료를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표백은 일반적으로 표백토 및/또는 챠콜을 사용하여, 유리하게는 아보카도 오일이 연하거나 매우 연한 색상을 가질 때까지 수행된다.
사용되는 표백토는, 주로 칼슘 및 마그네슘 알루미노규산염으로 구성되고 산 처리에의해 활성화된 천연 몬모릴로나이트형 점토이다. 사용되는 활성탄은 이탄, 목재, 갈탄, 석탄 또는 코코넛 껍질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제품은 일반적으로 증기나 화학 공정을 통해 고온에서 활성화된다.
표백 후의 냉장 보관 또는 동결 방지 처리 단계는 5 내지 18℃의 온도에서, 유리하게는 1 내지 15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제된 아보카도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천천히 교반하면서 약 10 내지 12℃의 온도까지 점진적으로 냉각된다. 일반적으로, 그 오일은 이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유지된 다음 압력 하에서 여과된다. 냉장보관하면 포화지방산이 풍부한 중성지방이 침전된다.
냉장 보관 이후의 탈취는 일반적으로 휘발성 화합물 및 악취 분자는 물론 농약 및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와 같은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 및 추출하는 작업이다. 탈취는 일반적으로 150 내지 210℃의 온도에서, 유리하게는 진공 하에, 일반적으로는 포화 증기 또는 질소 스트림 하에 수행된다. 예를 들어 탈취는 2 내지 20 mmHg의 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탈취는 180 내지 200℃ 정도의 온도 및 4 내지 6 mmHg 정도의 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반정제(semi-refined) 오일은 부분적 정제(동결 방지 처리 및 탈취 단계 없음)를 거친 오일이다.
20℃에서의 고체 물질은 ASTM D 97 방법에 의해 측정된 유동점이 8℃ 내지 15℃ 사이인 오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총 지방산 대비 팔미트산 함량이 15 내지 35%의 범위이고, 완전 융점(full melting point)이 20 내지 50℃의 범위이고, 아보카도 오일이 하스(Hass), 푸에르테(Fuerte), 베이컨(Bacon), 핑커턴(Pinkerton), 에팅거(Ettinger), 룰라(Lula), 라이언(Ryan), 바커(Barker) 및/또는 페루아노(Peruano)로 구성된 목록에서 선택된 아보카도 품종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보카도 고체 오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아보카도는 하스 및/또는 푸에르테 품종 아보카도이다.
일 구현예에서, 아보카도는 하스 품종 아보카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특히 문헌[Yanty, N.A.M., Marikkar, J.M.N. & Long, K. Effect of varietal differences on composition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avocado oil. J Am Oil Chem Soc 88, 1997-2003 (2011)]에 정의된 바와 같은 말레이시아산 ++96 품종의 아보카도로부터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또한, 총지방산 대비 팔미트산 함량이 16 내지 32%의 범위이고, 완전 융점(complete melting point)이 20 내지 5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보카도 고체 오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총지방산 대비 팔미트산 함량이 20 내지 30%의 범위이고, 완전 융점이 20 내지 5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보카도 고체 오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완전 융점이 23 내지 40℃의 범위 내에 있다.
일 구현예에서, 완전 융점이 25 내지 35℃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ASTM D 97 방법에 의해 측정된 유동점이 8℃ 내지 15℃ 사이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팔미트산의 공급원(source)으로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출발 원료에 비해 25 내지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이상 증가된 팔미트산 함량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하스 품종 아보카도로부터 얻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ASTM D 97 방법에 의해 측정된 유동점이 8℃ 내지 15℃ 사이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팔미트산의 공급원(source)으로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하스 품종 아보카도로부터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하스 품종 아보카도로부터 얻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출발 원료에 비해 25 내지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이상 증가된 팔미트산 함량을 갖는다.
일 구현예에서, 팔미트산 함량은 출발 원료에 비해 적어도 40% 증가된다.
일 구현예에서, 팔미트산 함량은 출발 원료에 비해 적어도 50% 증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출발 원료"라는 용어는 특히 Yanty NAM 등의 논문, "Effect of varietal differences on composition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avocado oil,"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SPRINGER-VERLAG, BERLIN/HEIDELBERG, vol. 88, no. 12, June 17, 2011 (2011-06-17), pp. 1997-2003, XP019975762, ISSN: 1558-9331, DOI: 10.1007/S11746-011-1877-X에 설명된 바와 같은 프로토콜에 따라 석유 에테르로 추출하여 얻은 아보카도 오일, 또는 대안적으로 (미리 껍질을 벗기고 씨를 제거한) 열매 과육을 뜨거운 물로 처리한 후 원심분리하여 물과 지방을 분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추출을 통해 얻어질 수 있는 미정제(crude) 아보카도 오일, 또는 냉간 압착하여 얻은 미정제 버진 오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이 미정제 아보카도 오일, 예를 들어 동결 방지 처리 잔류물을 정제 또는 탈랍하여 생성된 부산물로부터 얻어지는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정제된 아보카도 오일에 비해 25 내지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이상 증가된 팔미트산 함량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0℃(273K)에서 2.0시간 미만의 내한성을 갖는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0℃(273K)에서 1.5 시간 미만의 내한성을 갖는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0℃(273K)에서 1.0 시간 미만의 내한성을 갖는다.
내한성은 소위 AOCS 냉간 테스트 방법(Cc 11-53)에 설명된 조건하에서 0℃의 온도로 유지했을 때 오일이 흐려지는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차 열 분석에서 30.0 내지 50.0℃ 범위에 속하는 느린 용융의 주요 피크(majority peak)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아보카도 고체 오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글리세롤의 2번 위치에 팔미트산이 있는 트리글리세리드의 함량이 총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을 기준으로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아보카도 고체 오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팔미톨레산 벡터 트리글리세리드의 상대적 함량이 총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을 기준으로 4.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아보카도 고체 오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팔미톨레산의 공급원이다.
생물학적으로, 팔미톨레산은 인간 지방 조직에 저장된 글리세리드를 구성하는 지방산이다. 이는 효소인 스테아로일-CoA 불포화효소-1(△9 불포화효소)의 작용하에 팔미트산으로부터 생합성에 의해 생성된다. 이는 이의 항염증 및 PPAR-알파 활성화 활성으로 인해 잘 알려져 있다. (Vannice GK et al. (2018). Is palmitoleic acid a plausible nonpharmacological strategy to prevent or control chronic metabolic and inflammatory disorders? Molecular Nutrition & Food Research: 62 (1), 1700504).
또한, 팔미톨레산은 피지에 존재하는 가장 풍부한 모노엔산이며 상당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다. (JJ Wille et al. Palmitoleic acid isomer (C16:1delta6) in human skin sebum is effective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Skin Pharmacol Appl Skin Physiol. May-June 2003; 16(3), 176-87).
또한, 팔미톨레산의 공급원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총 트리글리세리드 함량 대비 트리올레인 함량이 25% 이하, 바람직하게는 2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아보카도 고체 오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시차열분석에서 30.0 내지 50.0℃ 사이에서 느린 용융의 주요 피크(majority peak)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과적으로,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25℃에서 완전히 유동적이고 시차 열 분석에서 30.0 내지 50.0℃ 사이의 느린 용융의 주요 피크를 나타내지 않는 버진 또는 정제 아보카도 오일과 달리, 25℃에서 부드러운 고체 지방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유기 용매 없이, 바람직하게는 용매 없이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용어 "유기 용매"는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임의의 용매, 특히 석유 유래 용매를 의미한다.
특히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석유 에테르 없이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적어도 하나의 동결 방지 처리 단계를 통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유기 용매 없이, 바람직하게는 용매 없이 적어도 하나의 동결 방지 처리 단계를 통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하스 품종 아보카도로부터 얻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출발 식물성 원료로서 신선하거나 탈수된 열매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스 품종 아보카도로부터 얻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또한 신선하거나 탈수된 열매로부터의 미정제 아보카도 오일로부터 얻어질 수도 있다. 미정제 오일은 냉간 압착, 용매 또는 초임계 유체를 사용한 추출, 특히 소위 원심분리 방법을 사용한 수성 추출, 또는 심지어 효소 보조 수성 추출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스 품종 아보카도로부터 얻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미정제 아보카도 오일의 정제 또는 탈랍(dewaxing)으로부터 생성된 부산물, 예를 들어 동결 방지 처리의 잔류물로부터 얻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미정제 아보카도 오일, 버진 오일, 반정제 오일 또는 심지어는 정제 오일의 탈랍으로부터 생성된 동결 방지 처리 잔류물로부터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스 품종 아보카도로부터 얻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식물성 오일의 분야에서 실행되는 것과 동일한 공정에 따라 정제된다. 정제 공정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정제 공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정제는 알려진 모든 단계 또는 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물, 산을 이용하거나 효소 존재 하에서 탈검;
2) 화학적 중화(소다 또는 탄산칼륨 사용);
3) 고진공 하에서의 증류 또는 벡터(수증기, 질소, 이산화탄소) 존재 하에서 진공 탈취에 의한 물리적 중화;
4) 규산염을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고 표백토에서(활성 점토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및/또는 활성탄의 존재 하에서 표백;
5) 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냉간 결정화;
6) 벡터(수증기, 질소, 이산화탄소)를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고, 중화하거나 중화하지 않고 탈취 및/또는 진공 증류.
쉽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정제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아보카도 오일 원료의 특성 및 조성 기준에 따라 본 발명을 수행하는데 가장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팔미트산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2차 또는 다수의 연속 냉간 결정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하스 품종 아보카도로부터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얻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다음으로부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신선하거나 탈수된 열매,
- 미정제 아보카도 오일, 또는
- 미정제 아보카도 오일의 정제 또는 탈랍으로부터 얻어지는 부산물.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얻는 방법이 미정제 아보카도 오일의 정제 또는 탈랍으로부터 생성된 부산물, 바람직하게는 동결 방지 처리 잔류물에 대해 수행되는 경우, 또는 방법이 미정제 아보카도 오일의 정제 또는 탈랍으로부터의 부산물, 바람직하게는 동결 방지 처리 잔류물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우, 아보카도 오일 제조 공정의 통상적으로 가치가 없는 부산물을 사용한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얻은 고체 오일은 생태학적 및 환경적 관점에서 상당히 흥미로운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얻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 신선하거나 탈수된 열매에 대하여 수행되고,
적어도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분쇄, 미정제 오일의 추출,
- 동결 방지 처리 및 여과를 통해 유체 오일을 제거,
- 고체 지방을 얻음,
- 탈취.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얻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 미정제 아보카도 오일에 대하여 수행되고,
적어도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동결 방지 처리 및 여과를 통해 유체 오일을 제거,
- 고체 지방을 얻음,
- 탈취.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하스 품종 아보카도로부터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얻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 신선하거나 탈수된 열매에 대하여 수행되고,
적어도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분쇄, 미정제 오일의 추출
- 동결 방지 처리 및 여과를 통해 유체 오일을 제거,
- 고체 지방을 얻음,
- 탈취.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하스 품종 아보카도로부터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얻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 미정제 아보카도 오일에 대하여 수행되고,
적어도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동결 방지 처리 및 여과를 통해 유체 오일을 제거,
- 고체 지방을 얻음,
- 탈취.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얻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 미정제 아보카도 오일의 정제 또는 탈랍으로부터 생성된 부산물에 대하여 수행되고,
적어도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탈취.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바람직하게는 하스 품종 아보카도로부터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얻는 방법은:
- 미정제 아보카도 오일의 정제 또는 탈랍으로부터 생성된 부산물에 대하여 수행되고,
적어도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 탈취,
미정제 아보카도 오일의 정제 또는 탈랍으로부터 생성된 부산물은 동결 방지 처리 잔류물들로 구성된 리스트에서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탈취 단계 전에 다음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수득 방법에 관한 것이다:
- 탈검
- 화학적 중화
- 물리적 중화
- 표백
- 침전된 분획의 냉간 결정화 및 분리.
또한, 본 발명은 가수분해에 의한 분별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수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피부 연화 및 퍼짐 특성, 특히 퍼짐성(spreadability)을 갖는 20℃에서 고체인 원료의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화장품 및 식품 제조용으로 용이하게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품학적으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vehicle) 내에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유효 성분 또는 기능성 원료로서 화장품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화장료 및/또는 약효식품(nutraceutical)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오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화장료 및/또는 약효식품(nutraceutical)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바람직하게는 하스 품종 아보카도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오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의 건강한 표피 부분(건강한 표피, 건강한 모발 및 모세혈관 계통, 건강한 손톱, 건강한 입술, 건강한 외부 생식기)과 접촉, 또는 건강한 치아 및 건강한 구강 점막을 클리닝하고, 이들에 향기를 뿌리고, 이들의 외관을 바꾸고, 이들을 보호하고, 이들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거나 체취를 교정하는 것을 유일한 목적 또는 주된 목적으로 건강한 치아 및 건강한 구강 점막과 접촉되도록 의도되는 임의의 물질 또는 혼합물인 것으로 이해된다 (Article 2 Cosmetic Regulations and Article L.5131-1 Public Health Code (CSP).).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건강한 피부용 제품, 위생 제품, 헤어 제품, 제모 제품, 네일 케어 및 장식용 제품을 포함하는 다양한 범주의 화장품에 포함될 수 있다.
건강한 피부용 제품으로는 피부용 크림, 에멀젼, 로션, 젤, 오일, 뷰티 마스크, 리퀴드 파운데이션, 페이스트, 및/또는 파우더, 메이크업 파우더, 목욕 후 바르는 파우더, 개인위생용 파우더, 목욕 및 샤워용 제제(특히 소금, 폼, 오일, 및/또는 겔 중에서 선택됨), 선케어 제품, 햇빛 없는(sunless) 태닝 제품, 피부 미백용 제품, 주름 방지 제품, 면도 제품(특히 비누, 폼 및/또는 로션 중에서 선택됨), 메이크업 및 메이크업 제거 제품, 입술에 바르는 제품이 있다.
위생 제품은 비누 세면용품, 탈취 비누, 치과 및 구강 위생 제품, 외부 친밀 위생 제품, 탈취제, 및 발한 억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헤어 제품은 염색약, 모발을 웨이브, 스트레이트 및 고정하기 위한 제품, 스타일링 제품, 특히 로션, 파우더 및/또는 샴푸 중에서 선택되는 모발 세정 제품, 특히 로션, 크림, 및/또는 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모발 유지 제품, 스타일링 제품, 특히 로션, 헤어 스프레이 및/또는 포마드 중에서 선택되는 스타일링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생리학적, 미용학적 및 피부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에 포함된다. 이 조성물은 수성, 수성알코올성(hydroalcoholic)일 수 있거나, 심지어는 유상과 결합되거나 결합되지 않은 수성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피부 및 모발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리포좀, 니오좀 또는 심지어는 올레오좀을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을 수 있는 단일 또는 삼중 에멀젼일 수 있다. 액적 크기의 측면에서 에멀젼은 나노- 또는 마이크로 에멀젼일 수 있다.
피부 및 모발용 조성물은, 알파-, 베타-, 감마-히드록시산(특히 젖산, 말산, 구연산, 글리콜산, 타르타르산, 글루콘산), 나트륨-2 피롤리돈, 뮤코다당류, 프로테오글리칸, 글리코아미노글리칸, 글루칸, 글리콜(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1,3 프로판디올, 펜탄디올, 헥산디올), 히알루론산, 단백질 가수분해물, 수용성 콜라겐, 우레아, D-판테놀, 비타민 E 에스테르(리놀리에이트, 아세테이트), 라놀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비제한적으로 선택되는 보습제 및 습윤제(humectant agent)를 함유할 수 있다.
피부 및 모발용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 합성 트리글리세리드(예: 중쇄 트리글리세리드), 식물성 및 합성 버터, 경화유, 벤조산 에스테르, 미네랄 오일, 미네랄 또는 식물성 기원의 선형 및 분지형 탄화수소, 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합성 지방 알코올 및 식물성 기원의 알코올, 게르베 알코올, 글리콜 에스테르(예: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에틸렌 및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실리콘(특히 휘발성 시클로메티콘, 선형 폴리실록산(예: 디메티콘, 알킬 또는 페닐 트리메티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비제한적으로 속하는 친수성 및/또는 친유성 연화제(emollient)를 함유할 수 있다.
피부 및 모발용 조성물은 미네랄, 식물성 및 합성 왁스(예: 카르나우바, 칸데릴라, 해바라기 왁스), 수소화 글리세리드, 지방산, 지방 알코올, 셀룰로오스 유도체(특히 메틸, 에틸 및 프로필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전분 및 이의 유도체(덱스트로스, 덱스트린,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전분, 옥틸석신산알루미늄), 천연 검(아라비아, 구아, 캐롭, 트라가칸스), 펙틴, 한천, 알기네이트, 카라기난, 잔탄 검, 젤라틴, 미네랄 산화물(실리카, 벤토나이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아연 스테아레이트, 가교 또는 비가교 카보머, C10-C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폴리부텐 및 폴리데센과 같은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에톡실화 또는 프로필옥실화 알코올 및 지방산, 폴리아크릴아미드, 지방산 이량체/폴리올의 공중합체, 또는 심지어는 지방 알코올/이산 이량체로 구성된 그룹에 비제한적으로 속할 수 있는 증점제를 함유할 수 있다.
에멀젼 형태의 피부 및 모발용 조성물은 공지된 방식으로 에멀젼화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제한 없이, 이들 에멀젼화제는 양이온성, 음이온성, 비이온성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그룹에 속한다. 이들 에멀젼화제로는 특히 지방산 비누, 알킬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설포네이트, 알킬 및 올레핀 설포네이트, 설포숙시네이트, 아실 이소티오네이트, 설페이트화 알칸올아미드, 이미다졸 설페이트, 타우린 및 메틸 타우린 설포네이트, 알킬포스페이트, 4차 암모늄, 에톡실화 아민, 이미다졸린, 알킬마민, 레시틴, 에톡실화 지방 알코올 및 페닐 알코올, 수크로에스테르(소르비톨, 글루코스, 수크로스), 옥시에틸렌화 당, 알킬 폴리글루코시드(APG), 모노글리세리드,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디메티콘 코폴리올이 있다.
피부 및 모발용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제품(sun protection product)일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선 케어 조성물은 화학적 필터 및 미네랄 필터를 비제한적으로 함유한다. 이러한 필터로는 비제한적으로 옥틸 메틸 신나메이트, 메틸 벤질리덴 캄포, 페닐벤즈이미다졸 설폰산, 옥틸 트리아졸, 아보벤존, 옥틸 살리실레이트, 옥틸 디메틸 파바, 옥토크릴렌, 벤조페논, 메틸 안트랄리네이트, 및 아연 및 티타늄 산화물과 같은 UV-B 및 UV-A 필터가 있다.
마지막으로, 피부 및 모발용 조성물은 유효 성분, 방부제, 향료, 색소, 착화제, 냄새 방지제, 발한 억제제, 항산화제, 및/또는 용매(알코올, 글리콜)와 같은 통상적인 제제를 함유할 수 있다.
유효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아보카도 오일은 건강한 케라틴 섬유(건강한 피부, 건강한 모발, 건강한 손톱, 건강한 속눈썹)를 위한 미용 치료제(cosmetic treatment)로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건강한 피부 및/또는 건강한 케라틴 섬유, 특히 건강한 모발, 건강한 손톱 및/또는 건강한 속눈썹의 미용 치료를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오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건강한 피부 및/또는 건강한 케라틴 섬유, 특히 건강한 모발, 건강한 손톱 및/또는 건강한 속눈썹의 미용 치료를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하스 품종 아보카도로부터의,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오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지질을 보충하는(lipid-replenishing) 영양 공급 보습제로서, 이는 유화막(hydrolipidic film)을 구성할 뿐만 아니라 표피 지질 합성 촉진제 및/또는 성숙한 피부(mature skin), 겨울 건조증, 아토피, 습진, 탈모증, 비듬, 또는 심지어는 자외선이나 공격적인 물질(샴푸, 염색약에 사용되는 물질, 약물 등)에 의해 손상된 케라틴 섬유를 치료하기 위한 제제(agent)로서도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질을 보충하는 영양 공급 비듬 방지제로서, 및/또는 건강한 피부, 특히 건강한 두피를 위한 보습제로서, 및/또는 자외선이나 공격적인 물질, 특히 샴푸, 모발 염색에 사용되는 물질 및/또는 약물에 의해 손상된 건강한 피부 및/또는 건강한 케라틴 섬유의 미용 치료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오일의 화장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겨울철 건조증, 아토피, 습진 및/또는 탈모증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데 있어서 약학적 사용, 바람직하게는 피부과 사용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오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미네랄 오일 및 라놀린의 대체물로서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화학선 노화, 연대순 노화 및 광유발 노화의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포함된다. 또한, 이는 오염방지 및 항알레르기성 필름 형성제로 사용될 수도 있고 심지어는 피부 미생물군 보호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95.0 질량%의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90.0 질량%의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75.0 질량%의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부 관리용 에멀젼에서, 아보카도 고체 오일(CHA)은 레시틴, 알킬 베타인, 에톡실화된 지방 알코올, PEG 및 PPG의 에스테르, 수크로에스테르, 옥시에틸렌화 당, 소르비톨 에스테르, 알킬 폴리글루코시드(APG), 모노글리세리드,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알킬 황산염,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및 술포네이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식물 유래의 화학적으로 변형된 계면활성제와 결합된다(combined).
피부 관리용 에멀젼에서, 아보카도 고체 오일(CHA)은 알기네이트, 카라기난, 셀룰로오스 및 변형 전분, 펙틴, 잔탄, 구아, 및 아라비아 검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화학적으로 변형된 식물 유래의 증점제와 결합된다.
피부 관리용 에멀젼에서, 아보카도 고체 오일(CHA)은 C8-C18 지방산 에스테르 및 알칸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화학적으로 변형된 식물 유래의 연화제와 결합된다.
피부 관리용 에멀젼에서, 아보카도 고체 오일(CHA)은 코코넛, 야자, 야자핵, 올리브, 아르간, 콩, 해바라기, 유채, 쌀겨, 옥수수, 면화, 밀 배아, 스위트 아몬드, 아보카도, 홍화; 대마, 호두, 헤이즐넛, 카멜리나, 달맞이꽃, 보라지, 블랙커런트, 모링가, 안디로바, 호호바, 마카다미아, 브라질너트, 크램베, 카란자, 시계꽃, 피마자, 아마, 프라카시, 부루티, 바오밥, 금잔화, 호박씨, 참깨, 포도씨, 쿠페아, 바바수, 마룰라, 시계꽃, 살구, 치아(chia), 크랜베리, 들깨, 라즈베리, 블루베리, 시어 버터, 코코아, 망고, 일리페, 쿠푸아쿠, 무루무루, 코쿰, 살(sal)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식물성 지질 또는 이의 분획과 결합된다.
샴푸 제형에서, 아보카도 고체 오일(CHA)은 레시틴, 알킬 베타인, 에톡실화된 지방 알코올, PEG 및 PPG의 에스테르, 수크로에스테르, 옥시에틸렌화 당, 소르비톨 에스테르, 알킬 폴리글루코시드(APG), 모노글리세리드,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알킬 황산염,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및 술포네이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식물 유래의 화학적으로 변형된 계면활성제와 결합된다.
샴푸 제형에서, 아보카도 고체 오일(CHA)은 코코넛, 야자, 야자핵, 올리브, 아르간, 콩, 해바라기, 유채, 쌀겨, 옥수수, 면화, 밀 배아, 스위트 아몬드, 아보카도, 홍화; 대마, 호두, 헤이즐넛, 카멜리나, 달맞이꽃, 보라지, 블랙커런트, 모링가, 안디로바, 호호바, 마카다미아, 브라질너트, 크램베, 카란자, 시계꽃, 피마자, 아마, 프라카시, 부루티, 바오밥, 금잔화, 호박씨, 참깨, 포도씨, 쿠페아, 바바수, 마룰라, 시계꽃, 살구, 치아(chia), 크랜베리, 들깨, 라즈베리, 블루베리, 시어 버터, 코코아, 망고, 일리페, 쿠푸아쿠, 무루무루, 코쿰, 살(sal)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식물성 지질 또는 이의 분획과 결합된다.
비누 제형에서, 아보카도 고체 오일(CHA)은 코코넛, 야자, 야자핵, 올리브, 아르간, 콩, 해바라기, 유채, 쌀겨, 옥수수, 면화, 밀 배아, 스위트 아몬드, 아보카도, 홍화; 대마, 호두, 헤이즐넛, 카멜리나, 달맞이꽃, 보라지, 블랙커런트, 모링가, 안디로바, 호호바, 마카다미아, 브라질너트, 크램베, 카란자, 시계꽃, 피마자, 아마, 프라카시, 부루티, 바오밥, 금잔화, 호박씨, 참깨, 포도씨, 쿠페아, 바바수, 마룰라, 시계꽃, 살구, 치아(chia), 크랜베리, 들깨, 라즈베리, 블루베리, 시어 버터, 코코아, 망고, 일리페, 쿠푸아쿠, 무루무루, 코쿰, 살(sal)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식물성 지질 또는 이의 분획과 결합된다.
립케어용 제형에서, 아보카도 고체 오일(CHA)은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쌀겨 왁스, 해바라기 왁스, 피마자 왁스, 호호바 왁스, 밀랍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식물 또는 동물 유래 왁스와 결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유효 성분 또는 기능성 원료로서 식품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식품은 일반적으로 섭취되는 식품, 식품 보충제 및 임상 영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지질을 기반으로 하는 고체, 액체 또는 분무 가능한 식품 조성물, 특히 식용유, 튀김, 마가린, 스프레드(spreads), 페이스트리(pastries), 즉석 식품, 초콜릿 제품, 그리고 과자류에 유리하게 포함될 수 있다.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증점제, 유동성 조절제, 필름 형성제, 코팅제, 윤활제, 첨가제 지지체, 향미제 및 비타민으로서 식품 조성물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특히 수분산성 형태 또는 훨씬 더 유리하게는 연질 캡슐 형태로 고체 또는 액체 식품 보충제에 포함될 수 있다.
활성 식품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단일 불포화 지방산 섭취를 위한 재균형제(rebalancing agent)로서 또는 팔미트산 및 팔미톨레산의 공급원으로서 포함된다.
코스메토푸드(cosmetofood) 또는 약효 식품이라고도 불리는, 미용 목적의 식품 보충제의 분야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지질을 보충하는 영양 공급 수화제로서, 이는 유화막을 구성할 뿐만 아니라 표피 지질 합성 촉진제 및/또는 성숙한 피부, 겨울 건조증, 아토피, 습진, 탈모증, 비듬, 또는 심지어는 자외선이나 공격적인 물질(특히 샴푸, 염색약에 사용되는 물질, 및/또는 약물 중에서 선택됨)에 의해 손상된 케라틴 섬유를 치료하기 위한 제제로서도 사용된다.
본 발명은 지질을 보충하는 영양 공급 비듬 방지제로서, 및/또는 건강한 피부, 특히 건강한 두피를 위한 보습제로서, 및/또는 자외선이나 공격적인 물질, 특히 샴푸, 모발 염색에 사용되는 물질 및/또는 약물에 의해 손상된 건강한 피부 및/또는 건강한 케라틴 섬유의 미용 치료를 위한, 미용 목적의 식품 보충제에서 유효 성분으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오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98.0 질량%의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98.0 질량%의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90.0 질량%의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75.0 질량%의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품 제형에서, 아보카도 고체 오일(CHA)은 코코넛, 야자, 야자핵, 올리브, 대두, 해바라기, 유채, 쌀겨, 옥수수, 면화, 밀 배아, 아보카도, 홍화 오일; 대마, 호두, 헤이즐넛, 카멜리나, 달맞이꽃, 보라지, 블랙커런트, 아마, 호박씨, 참깨, 포도씨, 치아, 크랜베리, 들깨, 시어 버터, 코코아, 망고, 살(sal)의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식물성 지질 또는 이의 분획과 결합된다.
식품 보충제 제형에서, 아보카도 고체 오일(CHA)은 비타민 A, C, E, D, K, B1, B2, B3, B5, B6, B8, B9, B12, 니아신, 엽산, 판토텐산, 및 비오틴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비타민과 결합된다.
식품 보충제 제형에서, 아보카도 고체 오일(CHA)은 칼슘, 마그네슘, 철, 구리, 요오드, 아연, 망간, 칼륨, 셀레늄, 크롬, 몰리브덴, 불소, 염소, 및 인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미네랄 염과 결합된다.
실시예에서, 온도는 섭씨온도로 표현되며,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압력은 대기압이다.
도 1의 범례:
A: 침투율
B: 도포 시의 평활도(smoothness)
C: 도포시의 풍부도(richness)
D: 3분 후 영양 공급된 피부의 느낌(sensation)
E: 도포시의 라이트닝(lightening)
F: 퍼짐(spreading)
1: 에멀젼 A(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
2: 에멀젼 B(액체 파라핀)
실시예 1: 정제된 아보카도 오일 및 아보카도 고체 오일의 제조
멕시코산 하스 품종의 신선한 아보카도 20 kg을 껍질을 벗기고 씨를 제거하여 과육을 추출했다. 그런 다음, 과육을 블렌더에서 분쇄하여 균질한 퓌레(puree)를 얻었다. 교반 반응기에서, 60℃의 뜨거운 물 20 리터를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500 RPM으로 40 분간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여 물-오일 에멀젼으로 구성된 액체상을 분리했다. 이 작업은 세 번 반복하였다. 그런 다음 액체상을 10시간 동안 방치하여 경사분리에 의해 물과 오일을 분리했다. 1.81 kg의 미정제 아보카도 오일을 회수하였다. 얻어진 오일은 올레산 당량으로 1.5%의 산도를 갖는다.
교반 반응기에서, 미정제 오일을 교반하면서 500 g의 0.2% 시트르산 용액의 존재하에 75℃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2% 소다 용액 500 g을 첨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 후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하여 유상을 회수하였다. 이어서, 이 유상을 pH가 중성으로 변할 때까지 탈염수(500 ml로 3회)로 3회 세척했다. 얻어진 오일을 최종적으로 100 mbar의 진공 하에서 70℃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켰다. 이어서, 얻어지는 오일을 2% 표백토(Clariant사에 의해 공급된 Tonsil 115 점토)의 존재하에 표백했다. 표백은 교반 및 50 mbar의 진공 하에서 45분 동안 수행하였다. 표백이 끝나면, 오일을 여과하여 회수했다. 이어서, 오일을 매우 느린 교반(20 RPM) 하에 48시간 동안 10℃로 냉각시킨 후, 질소 압력 하에 여과하였다. 이어서, 유체 오일(MG 1) 1.128 g 및 여과 케이크 262 g을 고체 지방(MG 2)의 형태로 회수하였다.
유체 오일 MG 1 및 고체 지방 MG 2를 5 mbar의 진공하에 200℃에서 수증기(지방 100 g 당 증기 2 g)를 90 분간 연속 주입하여 각각 탈취하였다.
그 다음, 본 발명에 정제된 유체 오일 A1 및 본 발명에 따른 20℃에서 고체인 오일(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을 각각 얻었다.
오일 A1 및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을 분석했다(결과는 하기 표 1, 2 및 3에서 나타냄).
오일 A1 및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의 지방산 분포의 비교 분석.
분석 기준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 정제된 아보카도 오일 A1
외관 20℃에서 고체 오일 20℃에서 유체 오일
C16:0 - 팔미트산 22.1 15.3
C16:1 - 팔미톨레산 7.9 7.5
C18: 0 - 스테아르 산 0.5 0.6
C18: 1 - 올레산 56.5 64.9
C18: 2 - 리놀레산 11.2 10.6
C18:3 - 리놀렌산 1.1 0.7
총 불포화지방산 77.0 84.4
총 단일불포화지방산 64.4 72.8
총 다중불포화지방산 12.6 11.3
총 포화지방산 23.0 15.9
불검화물의 함량 0.83 0.81
설명: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은 팔미트산 함량이 기존 공정을 사용하여 얻은 정제 아보카도 오일(오일 A1)에 비해 44% 이상 증가했다.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의 팔미톨레산 함량은 오일 A1의 팔미톨레산 함량보다 매우 약간 높았다.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은 기존 아보카도 오일 A1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었다.
다중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오일 A1 및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에서 상대적으로 유사하게 유지되었다.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을 얻는 방법은 불검화물(피토스테롤 및 지용성 비타민)의 함량을 변경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은 단일불포화지방산, 다중불포화지방산, 불검화 지방산의 측면에서 기존 아보카도 오일의 영양적 특성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팔미트산이 풍부한 성분이다.
오일 A1과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의 트리글리세리드 조성의 비교 분석.
분석 기준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 정제된 아보카도 오일 A1
트리글리세리드 조성, %
OLL - ND 5.0
PLL ND 2.1
PPoO 5.0 3.4
PoOO 6.4 < 0.1)
POL 7.6 13.2
PP L 1.9 -
OOO 22.2 29.0
POO 20.7 22.4
PPO 8.9 2.8
PPP 2.3 0.6
PPS < 0.1 -
OOS 0.6 0.4
OOL + LnPP 10.8 22.9
기타 1.4 3.4
트리글리세리드의 명명법에서, 지방산의 라디칼은 다음과 같이 축약된다:
- L 리놀레산,
- O 올레산,
- P 팔미트산,
- Po 팔미톨레산, 및
- S 스테아르산.
설명: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과 오일 A1은 트리글리세리드 조성이 완전히 다르다.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은 트리글리세리드 PPoO, PoOO, PPL, PPP 및 PPL이 풍부하며, 특히 팔미트산이 글리세롤의 sn2 위치, 즉 경구적으로 가장 생물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위치에 있는 트리글리세리드가 풍부하다.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에는 팔미톨레산 벡터 트리글리세리드(PPoO 및 PoOO)도 풍부하다.
결론적으로,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은 음식을 통한 생물학적 이용가능성이 높은 팔미트산이 풍부한 성분이다.
오일 A1과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의 비교 시차 열 분석
기준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 정제된 아보카도 오일 A1
외관 20℃에서 고체 지방 20℃에서 유체 오일
용융 및 결정화가 종료되는 예상 온도, ℃
전체 결정화 종료 시 온도 - 52.5 < - 80.0
주요 용융 피크에서의 최소/최대 온도 - 36.0 내지 43.5 - 75.0 내지 22.0
주요 결정화 피크의 최소/최대 온도 - 53.1 내지 - 3.4, < - 80.0 내지 - 42.5
설명:
정제된 오일 A1과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은 각각의 결정화 최종 온도와 주요 용융 및 결정화 피크의 최소/최대 온도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완전히 다른 용융 및 결정화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다.
동일 온도에서 거의 완전히 액체 형태인 정제된 아보카도 오일 A1과 달리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은 20℃에서 고체 지방이다.
결론적으로, A1 오일과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은 이들의 용융 및 결정화 특성으로 인해 촉감 및 연화의 측면에서 근본적으로 다른 미용 특성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이들의 입안의 맛과 음식 기호성(입맛이 좋은 음식의 질감의 특징, 입안의 좋은 음식 맛을 부분적으로 담당하는 특성)은 완전히 다르다. 따라서,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은 스프레드나 마가린을 만들거나 초콜릿과 페이스트리의 지방으로 사용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실시예 2: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함유하는 "바디 케어 크림" 화장료 조성물.
성분/INCI 명칭 중량%
상(phase) A
Q.s. 100
이나트륨 EDTA 0.02
알란토인 0.1
글리세린 10.0
베타 글루칸(0.4% 용액) 2.0
상 B
호호바 에스테르 2.0
C14-C22 알코올 (및) C12-C20 알킬 글루코시드 3.0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본 발명에 따른) 6.0
실시예 3: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함유하는 데오도란트 스틱 화장료 조성물.
성분/INCI 명칭 중량%
상 A
이소도데칸 62.0
알루미늄 클로로히드레이트 21.0
세틸 알코올 5.0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본 발명에 따른) 8.0
수소화 피마자유 4.0
실시예 4: 아보카도 오일 추출물을 함유하는 연질 캡슐의 식품 보충제의 조성
성분/첨가물 함량 mg/캡슐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본 발명에 따른) 35.0
정제된 마카다미아 오일 10.0
비타민 E(알파-토코페롤) 5
실시예 5: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함유하는 초콜릿 스프레드의 식품 조성.
성분/첨가물 g/100 g
자당 (Cane sugar) 18.0
헤이즐넛 페이스트 15.0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본 발명에 따른) 7.0
해바라기 유 6.00
탈지분유 5.0
코코아 버터 6.5
대두 레시틴 3.5
바닐라 추출물 0.5
적량(100을 만드는 양)
제형예 6(비교): 화장품 크림에서 기존 아보카도 오일의 대체 / 증점제의 양에 미치는 영향
지방상과 수성상을 별도로 70℃로 가열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동일한 작업 절차에 따라 두 가지 화장료 제형을 제조했다. 이어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수성상을 지방상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여 pH를 6.5로 조정하였다. 계속 교반하면서 40%의 온도로 냉각한 후, 향료를 최종 첨가했다. 이 2가지 제형의 조성은 아래 표에 나타낸다.
성분(INCI 명칭) 제형 A
중량%
제형 B
중량%
오일 상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2.5 2.5
정제된 A1 아보카도 오일 / 페르세아 아메리카나 (아보카도) 오일 6.0 -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본 발명에 따른) - 6.0
세테아릴 알코올(및) 세테아레스-20* 2.5 -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2.5 2.5
피토스테롤 1.2 1.2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0 1.0
디메티콘** 0.5 0.5
스테아르 산* 0.5 -
수성 상
프로필렌 글리콜 2.0 2.0
Q.s. 100 Q.s. 100
첨가제
트리에탄올아민 0.2 0.2
향료 q.s. Q.s.
1 s-1 의 응력 및 25℃에서의 점도, cP 8,250 8,100
* 증점제
** 점도 200/100 Cs
설명:
정제 아보카도 오일 A1과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의 함량이 동일한 제형 A와 B는 증점 성분(유리 및 에톡실화 세테아릴 알코올, 스테아르산)의 함량만이 서로 다르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러나, 이들의 점도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이 고유의 겔화 활성을 가지며 증점제의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입증한다.
실시예 7(비교) - 마요네즈에서 기존 아보카도 오일의 대체 / 증점제의 양 및 내산화성에 미치는 영향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물, 증점제 및 향료로 구성된 첫 번째 상을 유화시키는 것으로 구성된 동일한 작업 절차에 따라 마요네즈의 두 가지 제형을 제조했다. 그런 다음, 달걀 노른자, 염화나트륨, 방부제, 식초, 및 마지막으로 아보카도 식물성 오일을 4 개의 별개의 연속적인 단계로 첨가했다. 제조는 20℃의 온도 및 400mbar의 진공 하에서 수행하였다. 두 제형을 냉장고에 5℃로 공기와 접촉시키면서 15일 동안 보관하였다. 이들 두 제형의 조성 및 특징은 아래 표에 나타낸다:
성분 제형 A
중량%
제형 B
중량%
정제된 아보카도 오일 A1 35.0 -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본 발명에 따른) - 35.0
계란 노른자 8.1 8.1
소금(NaCl) 1.4 1.4
식초 4.0 4.0
구아검(증점제) 4.0 2.5
벤조산칼륨(방부제) 0.15 0.15
시트랄(향료) 0.03 0.03
47.32 48.82
25℃에서 응력하의 점도, Pas 943 905
과산화물 지수, meq O2/kg 4.7 1.1
설명:
정제 아보카도 오일 A1과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의 함량이 동일한 제형 A와 제형 B는 증점제(구아검)의 함량이 서로 다르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러나, 제형 B의 구아검 함량은 35% 이상 감소한 반면 점도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이 고유의 증점 활성을 가지며 증점제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입증한다.
또한, 냉장 보관 15일 후 과산화물 지수가 4배 빠르게 증가하여 제형 B의 내산화성이 향상되었다.
실시예 8(비교) - 내산화성
Rancimat 방법은 가속 노화 테스트이다. 반응 용기의 온도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공기가 샘플을 통과하게 된다. 제품 산화에 필요한 시간을 측정하고 산화에 대한 저항성 또는 산화 안정성(산화 안정성 지수, OSI)을 정의한다. 정제된 아보카도 오일 A1 및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은 NF EN ISO 6886 표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아래 표에 나타낸다.
테스트된 제품 OSI 시간(Rancimat)*, h
정제된 아보카도 오일 A1 21.0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본 발명에 따른) 26.5
* 테스트는 98℃ 및 10 l/h의 주입 공기 유량에서 3g 테스트 표본에 대해 수행하였다.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은 기존 아보카도 오일 A1에 비해 유도 시간이 상당히 길기 때문에 내산화성이 더 우수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실시예 9(비교) - 고순도 팔미트산의 공급원으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
냉매가 구비된 교반 반응기에,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 200g을 3.7M 알코올성 탄산칼륨 960ml 및 유리 비드 몇 개와 함께 넣었다. 이어서, 혼합물을 4시간 동안 환류(95℃)시켰다. 실온으로 식힌 후, 매질을 4.0M 황산 450ml로 희석하고 95℃에서 6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이어서, 혼합물을 50℃로 약간 냉각시킨 다음, 온도를 50℃로 유지하면서 3시간 동안 디켄트(decant) 상태로 두었다.
그런 다음 오일상을 무거운 수성상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뜨거운 물(60℃) 100ml가 있는 교반 반응기에서 세척했다. 오일상의 경사분리 및 회수 후, 세척수가 중성이 될 때까지 작업을 반복하였다. 이어서, 오일 상을 회전 증발기에서 진공(100mbar) 하에 건조시켰다. 포화지방산을 결정화하기 위해 오일상을 12℃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Buchner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케이크를 차가운 헥산(15℃) 100ml로 3회 세척하였다. 얻어진 케이크를 최종적으로 40℃ 오븐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정제된 팜유의 경우에도 과정은 동일하다.
얻은 두 개의 케이크의 지방산 조성 분석은 아래 표에 제시한다:
분석 기준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의 지방산, % 정제된 팜유 A1의 지방산, %
C12:0 ND* 0.5
C14:0 ND* 2.1
C16:0 96.5 88.3
C16:1 ND* ND*
C18: 0 3.2 9.0
C18: 1 0.3 0.1
C18: 2 ND* ND*
C18:3 ND* ND*
* 검출되지 않음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로부터 얻은 지방산의 팔미트산 함량은 96%로 정제된 팜유로부터 얻은 지방산의 함량보다 훨씬 높다. 따라서, 아보카도 E1의 고체 오일을 사용하면 보다 순도가 높은 팔미트산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0: 미네랄 오일, 정제 아보카도 오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기반으로 한 수중유(O/W) 화장료 에멀젼의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 안정성의 비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아보카도 고체 오일 E1)로부터 에멀젼 A를 제조하였고, 에멀젼 B는 Aiglon™ 사에 의해 HUILE DE PARAFINE CODEX STANDARD L이라는 명칭으로 판매되는 파라핀 오일(INCI: Paraffinum Liquidum)을 포함하고, 에멀젼 C는 EMILE NOELTM 사의 정제된 아보카도 오일인 HUILE D'AVOCAT VIERGE 및 HUILE D'AVOCAT BIOLOGIQUETM OILTM을 포함하고, 모든 요소는 하기 프로토콜에 따라 동일하다.
적당한 크기의 유리 비이커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 또는 파라핀 오일(Paraffinum Liquidum), 또는 정제된 아보카도 오일을 카프릴산/카프르산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세테아릴 알코올과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의 혼합물과 하기 표에 나타낸 비율로 혼합하여 총 중량 300g에 도달하도록 하였다. 혼합물을 자기 교반 하에 80℃로 가열하여 상 1을 구성하였다. 한편, 적당한 크기의 유리 비이커에서, 물, 글리세린, 잔탄검, 및 페녹시에탄올과 파라벤 혼합물을 서로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자기 교반 하에 80℃로 가열하여 상 2를 구성하였다. 두 상의 온도가 80℃에 도달하면, 회전자/고정자(rotor/stator)에서 30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상 1을 상 2에 천천히 부었다. 5분 동안 교반을 유지한 후, 얻어지는 에멀젼의 온도가 30℃에 도달할 때까지 혼합물을 700 내지 1200 RPM의 교반 속도로 유성 교반(planetary stirring)하면서 차가운 물 중탕을 사용하여 냉각시켰다.
에멀젼 A와 B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성분- (INCI 명칭) 에멀젼 A
중량%
에멀젼 B
중량%
에멀젼 C
중량%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
(본 발명에 따름)
15.0 / /
파라핀 오일
(Paraffinum Liquidum)
/ 15.0 /
정제된 아보카도 오일 / / 15.0
카프릴산/카프르산
트리글리세리드
5.0 5.0 5.0
세테아릴 알코올 및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3.0 3.0 3.0
글리세린 3.0 3.0 3.0
잔탄 검 0.3 0.3 0.3
페녹시에탄올 (및) 파라벤 0.8 0.8 0.8
적량 적량 적량
에멀젼 A, B 및 C는 외관, 색상 및 냄새에 대해 D=0 및 D+1에서 관능적으로 특성 분석하였다. pH 측정은 이전에 교정된 MilwaukeeTM 브랜드 pH 측정기인 휴대용 프로브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점도 측정은 NEWTRY NDJ-1 브랜드 점도계를 사용하여 로터 No. 4 및 30 회전/초의 속도로 수행하였다.
결과는 아래 표에 제시되어 있다:
기준 / 제형 에멀젼 A 에멀젼 B 에멀젼 C
외관 (D=0) 유체 에멀젼 유체 에멀젼 유체 에멀젼
색상 (D=0) 흰색 내지 황백색 흰색 내지 황백색 녹황색
냄새 (D=0) 중성 중성 식물성
pH (D+1) 7.0 7.0 7.0
20℃에서의 점도, (D+1) 12,000 mPas 10,000 mPas 12,000 mPas
에멀젼 A와 B는 외관, pH, 색상, 냄새가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에멀젼 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에멀젼의 유동성을 변경하지 않고 점도를 약간 증가시킨다. D=0에서는, 에멀젼 C가 매우 뚜렷한 식물성 냄새를 띠고 있음에 주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포함하는 에멀젼은 정제된 아보카도 오일을 포함하는 에멀젼과 비교하여, 특히 정제된 아보카도 오일과 비교하여 화장품, 의약품 또는 식품 제형에 사용하기 위한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어서, 에멀젼 A 및 B에 대해 공기 중에서 45℃ 오븐에서 60일 동안 가속 노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외관, 색상 및 냄새를 관능적으로 평가하였다.
과산화물 지수(이하 PI)의 측정은 NM ISO 3960-2009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pH 측정은 미리 보정한 MilwaukeeTM 브랜드 pH 측정기인 휴대용 프로브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점도지수 측정은 NEWTRY NDJ-1 브랜드 점도계를 사용하여 로터 No. 4 및 30회전/초의 속도로 수행하였다.
모든 측정은 D+1, D+15, D+30 및 D+60에서 수행하였다.
결과는 아래 표에 제시되어 있다:
일(day) D+1 D+30 D+60
에멀젼 A(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 외관: 유체 에멀젼
색상: 흰색 내지 황백색
냄새: 중성
pH: 7.0
점도: 12,000 mPas
PI < 0.2 meq O2/kg
외관: 유체 에멀젼
색상: 흰색 내지 황백색
냄새: 중성
pH: 7.0
점도: 12,000 mPas
PI < 0.2 meq O2/kg
외관: 유체 에멀젼
색상: 흰색 내지 황백색
냄새: 중성
pH: 7.0
점도: 12,000 mPas
PI < 0.2 meq O2/kg
에멀젼 B(파라핀 오일) 외관: 유체 에멀젼
색상: 흰색 내지 황백색
냄새: 중성
pH: 7.0
점도: 10,000 mPas
PI < 0.2 meq O2/kg
외관: 유체 에멀젼
색상: 흰색 내지 황백색
냄새: 중성
pH: 7.0
점도: 10,000 mPas
PI < 0.2 meq O2/kg
외관: 유체 에멀젼
색상: 흰색 내지 황백색
냄새: 중성
pH: 7.0
점도: 10,000 mPas
PI < 0.2 meq O2/kg
에멀젼 A와 B의 외관, 색상, 냄새, pH 및 점도는 시간이 지나도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60일째, 에멀젼화 형태에서 미네랄 오일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과산화물 지수를 전혀 증가시키지 않았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포함하는 에멀젼의 산화적 화학적 안정성을 입증한다. 예상치 않게, 에멀션 형태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제형에 항산화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미네랄 오일과 동일한 내산화성을 갖는다.
실시예 11: 미네랄 오일 대비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기반으로 한 화장료 립밤 제형의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 안정성의 비교
두 가지 제형의 립밤(lip balm)을 제조했는데, 하나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이하 밤 A)로부터 제조하였고, 다른 하나는 AiglonTM사가 판매하는 상업용 파라핀 오일(이하 밤 B)로부터 제조하였다.
적당한 크기의 유리 비이커에서, 모든 성분을 아래 표에 나타낸 비율로 하나씩 혼합하여 총 중량이 300g이 되도록 했다. 혼합물을 자기 교반 하에 10분 동안 80℃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교반을 제거하고,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밤 A와 B의 조성은 아래와 같다.
성분 - (INCI 명칭) 밤 A
중량%
밤 B
중량%
세라 알바(밀랍) 32.0 32.0
브라시카 캄페스트리스 씨 오일 30.0 30.0
아보카도 고체 오일 E1(본 발명에 따른) 30.0 /
파라핀 오일(Paraffinum Liquidum ) / 30.0
리시누스 커뮤니스 씨 오일 8.0 8.0
밤 A와 B는 물리화학적, 시각적, 관능적 기준에 기초하여 D=0에서 특성 분석하였다. 결과는 아래 표에 나타낸다:
기준 / 제형 밤 A 밤 B
외관 (D=0)
색상 (D=0) 달걀 껍질 달걀 껍질
냄새 (D=0) 중성에서의 특징 중성에서의 특징
밤 형태로 고농도(30중량%)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아보카도 오일은 파라핀 미네랄 오일과 비교하여 외관, 냄새 또는 색상의 변화를 유발하지 않는 것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밤 A와 B는 공기 중에서 45℃ 오븐에서 60일 동안 가속 노화 테스트하였다.
외관, 색상 및 냄새는 관능적으로 평가하였다.
과산화물 지수(이하 PI)의 측정은 NM ISO 3960-2009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모든 측정은 D+1, D+30, 및 D+60에서 수행하였다.
결과는 아래 표에 제시되어 있다:
일(day) D+1 D+15 D+30 D+60
밤 A 외관: 밤
색상: 달걀 껍질
냄새: 중성에서의 특징
PI < 5.06 meq O2/kg
외관: 준수(compliant)
색상: 준수
냄새: 준수
PI < 3.1 meq O2/kg
외관: 준수
색상: 준수
냄새: 준수
PI: 5.9 meq O2/kg
외관: 준수
색상: 준수
냄새: 준수
PI: 6.4 meq O2/kg
밤 B 외관: 밤
색상: 달걀 껍질
냄새: 중성에서의 특징
PI: 5.58 meq O2/kg
외관: 준수
색상: 준수
냄새: 준수
PI: 1.6 meq O2/kg
외관: 준수
색상: 준수
냄새: 준수
PI: 5.6 meq O2/kg
외관: 준수
색상: 준수
냄새: 준수
PI: 5.9 meq O2/kg
30일과 60일에 30% 밤 형태에서 미네랄 오일과 비교했을 때,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측정된 기준 중 어떠한 변화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명백히 확인된다. 예상치 않게, 밤 형태로 고농도일 때( 30%), 그리고 다른 모든 요소가 동일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제형에 항산화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미네랄 오일과 동일한 내산화성을 갖는다.
실제로, 45℃에서 60일 후 1.6점의 과산화물 지수의 손실은 가속 노화 테스트의 급격한 조건을 고려할 때 극히 완만한 것이다. 실제로, 당업자는 과산화물 지수에서 적어도 5점의 손실은 평균 내산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했을 것이며, 이는 어떤 경우에도 파라핀 오일 기반 밤의 내산화성과 상당히 상이했다.
또한, 가장 쉽게 산화되는 오일인 유채유(INCI 명칭 브라시카 캄페스트리스 씨 오일)는 두 개의 밤 제형에서 함량이 높다(즉, 30 중량%)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내산화성이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이러한 오일은 두 개의 밤의 과산화물 지수 증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항산화제가 없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은 파라핀 오일과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제형 내에서 산화로부터 유채 오일의 보호를 강화한다.
실시예 12: 미네랄 오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기반으로 하는 수중유(O/W) 화장료 에멀젼의 관능성의 비교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포함하는 에멀젼과 파라핀 오일의 통상적인 에멀젼의 관능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예 10에서 제조된 에멀젼 A 및 B를 사용하여 20명의 여성 패널에 대해 관능 분석을 수행했다.
본 연구를 위해 모집된 사람들은 모든 피부 유형을 갖는 25 내지 45세의 성인이었다. 각각의 사람은 평가할 제형에 관한 정보를 받지 않은 채 각 기준을 1에서 5까지 평가하여 연구에 개별적으로 응답했다(단일 맹검법).
평가 기준 및 결과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패널은 퍼짐성, 침투율, 퍼짐 시의 평활도, 및 퍼짐시의 풍부도의 측면에서 두 제형 사이에 유의미한 관능 차이를 인지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4가지 기준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포함하는 에멀젼 A는 파라핀 오일을 포함하는 에멀젼 B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패널은 본 발명자들이 화장료 제형에서 피하고자 하는 도포시의 라이트닝(lightening)과 관련하여 분명한 차이를 인지했다. 이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포함하는 에멀젼 A는 파라핀 오일을 포함하는 에멀젼 B와 달리 도포 시 거품을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더 나은 결과를 나타낸다.
패널은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포함하는 에멀젼 A의 경우 3분 후 영양 공급된 피부의 느낌과 관련하여 상당한 차이를 인지했다.
따라서, 다른 모든 요소가 동일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포함하는 에멀젼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은 파라핀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특정한 관능적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16)

  1. 총 지방산을 기준으로 팔미트산 함량이 15 내지 35%이고, 완전 융점이 20 내지 50℃의 범위이고, 아보카도의 오일이 하스, 푸에르테, 베이컨, 핑커턴, 에팅거, 룰라, 라이언, 바커 및/또는 페루아노로 구성된 목록에서 선택된 품종의 아보카도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보카도 고체 오일(solid avocado oil).
  2. 제1항에 있어서,
    하스 품종 아보카도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보카도 고체 오일.
  3. 제1항에 있어서,
    말레이시아산 아보카도 품종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보카도 고체 오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STM D 97 방법에 의해 측정된 유동점이 8℃ 내지 15℃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보카도 고체 오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리세롤의 2번 위치에 팔미트산이 있는 트리글리세리드의 함량이 총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을 기준으로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보카도 고체 오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팔미톨레산 벡터 트리글리세리드의 상대적 함량이 총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을 기준으로 4.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보카도 고체 오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리올레인 상대적 함량이 총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을 기준으로 25% 이하, 바람직하게는 2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보카도 고체 오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동결 방지 처리 단계 후에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보카도 고체 오일.
  9. 화장품학적으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vehicle) 내에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획득하는 방법으로서:
    - 신선하거나 탈수된 열매에 대하여 수행되고,
    적어도 하기의 단계들:
    - 분쇄, 미정제 오일의 추출,
    - 동결 방지 처리 및 여과를 통해 유체 오일을 제거,
    - 고체 지방의 획득,
    - 탈취,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획득하는 방법으로서:
    - 미정제 아보카도 오일에 대하여 수행되고,
    적어도 하기의 단계들:
    - 동결 방지 처리 및 여과를 통해 유체 오일을 제거,
    - 고체 지방의 획득,
    - 탈취,
    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아보카도 고체 오일을 획득하는 방법으로서:
    - 미정제 아보카도 오일의 정제 또는 탈랍으로부터 생성된 부산물에 대하여 수행되고,
    적어도 하기의 단계:
    - 탈취,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탈취 단계 전에,
    하기의 단계들:
    - 탈검,
    - 화학적 중화,
    - 물리적 중화,
    - 표백,
    - 침전된 분획의 냉간 결정화 및 분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수분해에 의한 분별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37037548A 2021-03-31 2022-03-31 팔미트산이 풍부한 아보카도 고체 오일 KR202400016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103333A FR3121329A1 (fr) 2021-03-31 2021-03-31 Huile concrète d’avocat enrichie en acide palmitique
FRFR2103333 2021-03-31
PCT/EP2022/058720 WO2022207886A1 (fr) 2021-03-31 2022-03-31 Huile concrete d'avocat enrichie en acide palmiti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698A true KR20240001698A (ko) 2024-01-03

Family

ID=77519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7548A KR20240001698A (ko) 2021-03-31 2022-03-31 팔미트산이 풍부한 아보카도 고체 오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56714A1 (ko)
EP (1) EP4312575A1 (ko)
KR (1) KR20240001698A (ko)
CN (1) CN117813011A (ko)
BR (1) BR112023020246A2 (ko)
FR (1) FR3121329A1 (ko)
WO (1) WO2022207886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4725C2 (sv) * 1998-06-02 2001-04-09 Karlshamns Ab Fraktioneringsförfarande
JP4187932B2 (ja) * 1999-01-04 2008-11-26 ドクターエガー−オリーブ オイル プロダクツ インダストリー リミテッド 食品スプレッド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食品スプレッド
WO2003047537A1 (en) * 2001-11-30 2003-06-12 Almell, Ltd.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soy oil, rice bran oil and jojoba oil
FR2893628B1 (fr) 2005-11-18 2008-05-16 Expanscience Laboratoires Sa Procede d'obtention d'une huile d'avocat raffinee riche en triglycerides et huile susceptible d'etre obtenue par un tel proce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07886A1 (fr) 2022-10-06
US20240156714A1 (en) 2024-05-16
FR3121329A1 (fr) 2022-10-07
EP4312575A1 (fr) 2024-02-07
CN117813011A (zh) 2024-04-02
BR112023020246A2 (pt)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9269B2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tobacco seed-derived component
KR102348592B1 (ko) 패시플로라 종자들로부터 얻은 지질 추출물
EP0709084B1 (fr) Utilisation d&#39;une huile riche en acide pétrosélinique comme agent hydratant
US20020071852A1 (en) Products for topical applications comprising oil bodies
KR101572155B1 (ko)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천연 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18517725A (ja) 甘茶蔓から分離されたギペノシドを含有するシワ改善用の化粧料組成物
ES2469796T3 (es) Composición cosm�tica que comprende glucógeno para una aplicación cut�nea con efecto aterciopelado
FR2845287A1 (fr) Nouvelles formulations cosmetiques a base d&#39;un agent epaississant et leurs applications
US20040156817A1 (en) Natural emulsifier for cosmetics based on olive oil
JP2002370922A (ja) 梅抽出物を含む化粧品
WO2016195142A1 (ko)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천연 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45187A (ko) 오이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59818A (ko) 호박 추출물 및 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각질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US20240156714A1 (en) Solid avocado oil rich in palmitic acid
JPH0520411B2 (ko)
JP6474227B2 (ja) 植物エキスを含有するトイレタリー製品用組成物
AU757640B2 (en) Use of at least one lipid extract obtained from the fruit seed of the mirabelle tree
JP5641665B2 (ja) 皮膚外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49729A (ja) 抗酸化剤
KR20090073622A (ko) 로도크로사이트 추출물, 스미스소나이트 추출물 및피토스테릴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96500B1 (ko) 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 식물성 스쿠알란 및 천연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163489A (zh) 作为皮肤外用剂或化妆料有用的组合物
KR102281403B1 (ko) 비자 세라마이드와 울금 및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7032117B2 (ja) 油性組成物
KR100920898B1 (ko) 지실 추출물 및 hpc를 함유한 모공 수렴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