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889A -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889A
KR20240000889A KR1020220077650A KR20220077650A KR20240000889A KR 20240000889 A KR20240000889 A KR 20240000889A KR 1020220077650 A KR1020220077650 A KR 1020220077650A KR 20220077650 A KR20220077650 A KR 20220077650A KR 20240000889 A KR20240000889 A KR 20240000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korean history
history learning
learning content
kor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재
Original Assignee
박명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재 filed Critical 박명재
Priority to KR1020220077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889A/ko
Publication of KR20240000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46Hist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은, 복수의 한국사 학습 콘텐츠 중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 복수의 한국사 학습 콘텐츠 각각은 역사적 순서 정보를 포함함 -,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에 대한 암기를 단계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암기 학습 팝업창을 출력하는 단계, 암기 학습 팝업창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내용을 상기시키기 위한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제1 요약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암기 학습 팝업창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역사적 순서 정보가 나타나도록, 제1 요약 콘텐츠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순서 정보에 따라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 이전 순서에 위치하는 제2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제2 요약 콘텐츠 및 순서 정보에 따라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 이후 순서에 위치하는 제3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제3 요약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및 암기 학습 팝업창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와 연관된 복수의 키워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KOREAN HISTORY LEARNING CONTENTS}
본 개시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역사적 순서 정보를 포함한 복수의 역사적 학습 콘텐츠를 통해 학습자가 한국사의 역사적 사건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암기할 수 있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사는 대한민국 역사가 형성해오고 발전해온 과정을 학습함으로써 역사적인 사건에 대한 사고력 및 현대 사회에 대한 통찰력을 함양하기 위한 과목이다. 한국사 과목의 학습을 통해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이해, 유물, 유적, 사료 등 역사적 자료에 대한 분석과 해석, 역사적 판단력과 문제 해결 능력 등을 기를 수 있다.
이러한 한국사의 과목 특성상 시간적 순서 및 공간 범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적 상황에 대한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역사적 사건의 구체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해당 역사적 사건이 한국사 전체의 시간적 흐름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 파악하면서 학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의 각종 시험을 대비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한국사 강의 콘텐츠는 이러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장문의 지문과 단순 이미지 등 일괄적인 형태로 제공되어 역사적 사건을 전체적인 시간의 흐름의 관점에서 학습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방법, 장치(시스템) 또는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은, 복수의 한국사 학습 콘텐츠 중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복수의 한국사 학습 콘텐츠 각각은 역사적 순서 정보를 포함함-,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에 대한 암기를 단계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암기 학습 팝업창을 출력하는 단계, 암기 학습 팝업창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내용을 상기시키기 위한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제1 요약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암기 학습 팝업창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역사적 순서 정보가 나타나도록, 제1 요약 콘텐츠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순서 정보에 따라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 이전 순서에 위치하는 제2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제2 요약 콘텐츠 및 순서 정보에 따라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 이후 순서에 위치하는 제3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제3 요약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및 암기 학습 팝업창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와 연관된 복수의 키워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요약 콘텐츠는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내용을 연상시키는 대표 이미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역사적 순서 정보는 역사적 사건이 발생한 시간 순서에 따라 결정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국사 학습 콘텐츠는 제1 요약 콘텐츠, 제2 요약 콘텐츠 및 제3 요약 콘텐츠를 역사적 순서 정보에 따라 차례로 재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국사 학습 콘텐츠는 복수의 키워드 중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하나의 키워드와 연관된 오디오 강의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키워드 각각은 역사적 사건이 발생한 시간 순서에 따라 결정된 세부 역사적 순서 정보를 포함하고, 복수의 키워드를 세부 역사적 순서 정보에 따라 결정된 위치에 출력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키워드는 랜덤하게 결정된 위치에 출력되고, 한국사 학습 방법은 출력된 복수의 키워드 각각의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복수의 키워드 각각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국사 학습 방법은 복수의 키워드 중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화면 중 선택된 하나의 키워드와 연관된 화면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는, 복수의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복수의 한국사 학습 콘텐츠 중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추출하여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에 대한 암기를 단계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암기 학습 팝업창을 출력하고, 암기 학습 팝업창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내용을 상기시키기 위한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제1 요약 콘텐츠를 출력하고, 암기 학습 팝업창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역사적 순서 정보가 나타나도록, 제1 요약 콘텐츠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순서 정보에 따라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 이전 순서에 위치하는 제2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제2 요약 콘텐츠 및 순서 정보에 따라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 이후 순서에 위치하는 제3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제3 요약 콘텐츠를 출력하고, 암기 학습 팝업창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와 연관된 복수의 키워드를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한국사 학습 콘텐츠 각각은 역사적 순서 정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역사적 순서 정보를 포함한 복수의 역사적 학습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한국사의 역사적 사건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암기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이 완료된 후, 팝업창을 통해 자신이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면서 암기가 잘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역사적 사건에 포함된 세부 사건들에 대한 키워드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역사적 사건에 포함된 세부 사건들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암기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랜덤한 순서로 배치된 키워드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스스로 암기한 내용을 토대로 키워드를 배치함으로써, 세부적인 내용의 시간 순서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통상의 기술자”라 함)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사용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사 학습 콘텐츠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사적 사건에 대한 포괄적인 내용을 학습하기 위한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사적 사건의 시간적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사적 사건에 포함된 세부 사건들에 대한 키워드를 제공하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사적 사건에 포함된 세부 사건들에 대한 키워드를 제공하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또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또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 또는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 또는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또는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 또는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또는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100)가 사용자 단말(110)을 이용하여 한국사 학습 콘텐츠(120)를 사용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국사 학습 콘텐츠(120)는 복수의 역사적 학습 콘텐츠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역사적 학습 콘텐츠 각각은 역사적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역사적 학습 콘텐츠는 제1 콘텐츠, 제2 콘텐츠, 제3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고, 콘텐츠 각각은, 제1 콘텐츠는 첫 번째, 제2 콘텐츠는 두 번째, 제3 콘텐츠는 세 번째임을 나타내는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콘텐츠에 대한 순서 정보는 미리 결정될 수 있으며, 역사적 사건이 발생한 시간 순서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100)는 하나의 주제와 관련된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해당 한국사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이 완료되면, 사용자(100)는 해당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암기 기능을 통해 자신이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면서 암기가 잘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학습 내용에 대한 복습 콘텐츠로서 첫 번째로, 역사적 사건에 대한 포괄적인 내용을 학습하기 위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학습 콘텐츠는 해당 역사적 사건을 설명하기 위한 대표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두 번째로, 해당 역사적 사건의 시간적 위치를 파악시키기 위하여 해당 역사적 사건 전후로 발생한 역사적 사건에 대한 요약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요약 콘텐츠는 해당 역사적 사건을 설명하기 위한 음성과 자막을 대표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자막, 로드뷰, 스카이뷰, 구글 3D 지도 등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막은 각 단어별로 ai 음성(tts) 또는 동영상 음성과 미리 싱크되어 있어, 사용자(100)는 원하는 단어를 선택하여 해당 단어부터 그 이하 단어로 계속 재생하거나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지정된 중요 용어는 싱크 과정에서 표시될 수 있으며, 다른 색으로 출력되어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고, 해당 용어를 클릭한 경우 해당 용어의 음성만 반복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세 번째로, 해당 역사적 사건에 포함된 세부 사건들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암기를 위한 키워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100)는 키워드만을 이용하여 해당 내용의 구체적인 내용을 연상해보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작위 순서로 배치된 키워드 또는 키워드와 이미지를 사용자(100) 자신이 암기한 내용을 토대로 스스로 배치하거나 자동으로 배치 및 정렬되게 하여 세부적인 내용의 시간 순서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사 학습 콘텐츠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와 대응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한국사 학습 콘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한국사 학습 콘텐츠와 관련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다운로드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 제공 및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기반의 하나 이상의 분산 컴퓨팅 장치 및/또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한국사 학습 콘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시스템(예를 들어,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의해 제공되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각각에 설치된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예를 들어, 사용자 등)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또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과 정보 처리 시스템(23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설치 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유선 홈 네트워크(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 통신 장치 및 RS-serial 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 이동통신망, WLAN(Wireless LAN), Wi-Fi, Bluetooth 및 ZigBe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22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 아니라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서 휴대폰 단말(210_1), 태블릿 단말(210_2) 및 PC 단말 (210_3)이 사용자 단말의 예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이미지 센서가 탑재된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3개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이한 수의 사용자 단말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한국사 학습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등이 실행 가능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컴퓨팅 장치를 지칭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의 휴대폰 단말(210_1), 태블릿 단말(210_2), PC 단말(210_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20), 디스플레이 장치(330) 및 데이터베이스(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는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210)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30)는 디스플레이 이외에 오디오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2의 220)를 통해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와 정보 처리 시스템(예를 들어, 도 2의 230)이 서로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 및/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 다른 사용자 단말 또는 다른 시스템(일례로 별도의 클라우드 시스템 등)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의 제어부(320)가 데이터베이스(340) 등과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요청, 이미지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는 통신부(31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는 통신부(310)를 통해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서비스와 관련된 외부 서버(예를 들어, 도 2의 230)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이나 외부 서버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외부 장치에 저장된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설치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유선 홈 네트워크(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 통신 장치 및 RS-serial 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 또는 WLAN(Wireless LAN), 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데이터베이스(340) 또는 통신부(310)에 의해 제어부(3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데이터베이스(34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해당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프로그램 코드가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의 데이터베이스(340)에 로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동안에,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의 제어부(320)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와 유선/무선으로 연결된 입출력 장치(미도시)로부터 제공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330)를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강사의 필기 입력 등)를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부(31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동안에, 제어부(320)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와 연결된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마이크로폰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330)에 한국사 학습 콘텐츠와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거나, 이미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술한 터치 스크린, 키보드 등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330)에 이미지, 텍스트 등(예를 들어, 강사의 필기 입력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40)는 비-일시적인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340)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4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예를 들어,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데이터베이스(34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이러한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에 직접 연결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부(31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34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2의 22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데이터베이스(340)에 로딩될 수 있다.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는 도 3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300)가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사적 사건에 대한 포괄적인 내용을 학습하기 위한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역사적 순서 정보를 포함한 복수의 한국사 학습 콘텐츠 중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410)가 추출되어 출력될 수 있으며,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410)에 대한 학습을 진행하면서, 암기 버튼(420)에 대해 사용자 입력을 한 경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한국사 학습 콘텐츠에 대한 암기를 단계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암기 학습 팝업창(430)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역사적 순서 정보는 역사적 사건이 발생한 시간 순서에 따라 결정되며 암기 학습 팝업창(430)은 이미지 용어, 연속 용어 학습, 한눈 학습 컨텐츠 등 요약 콘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기 학습 팝업창(430)내의 이미지 용어 버튼(440)에 대해 사용자 입력을 한 경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410)의 내용을 상기시키기 위한 제1 요약 콘텐츠(450)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요약 콘텐츠(450)는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410)의 전체적인 내용을 연상시키는 대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학 농민 운동'에 대한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410)를 학습 후 상단의 암기 버튼(420)을 클릭한다면, '동학 농민 운동'에 대한 내용을 암기를 유도하기 위한 암기 학습 팝업창(430)이 출력될 수 있으며, 암기 학습 팝업창(430) 내의 이미지 용어 버튼(440)을 클릭한 경우, '동학 농민 운동'의 한 장면을 묘사한 대표 이미지를 포함한 제1 요약 콘텐츠(450)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에서 제1 요약 콘텐츠(450)에 포함된 콘텐츠로서 대표 이미지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표 이미지 외에 해당 역사적 사건을 설명하기 위한 자막 또는 오디오 파일을 선택적으로 또는 병렬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동영상, 이미지, 구글 3D 지도, 로드뷰, 스카이뷰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사 학습 콘텐츠 사용자가 제1 요약 콘텐츠(450)의 대표 이미지를 클릭한 경우, 해당 역사적 사건을 설명하기 위한 자막 또는 오디오 파일이 동영상, 이미지, 구글 3D 지도, 로드뷰, 스카이뷰 등과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의 화면 크기를 원하는 대로 조정하여 학습할 수 있으며, 자막 파일에 대한 사용자 입력시 오디오 파일이 재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국사 학습 콘텐츠 사용자는 역사적 사건에 대한 학습을 끝내고 대표 이미지를 포함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받음으로써, 역사적 사건에 대한 포괄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사적 사건의 시간적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버튼(510)에 대해 사용자 입력을 한 경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역사적 순서 정보가 나타나도록 제1 요약 콘텐츠(52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역사적 순서 정보에 따라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 이전 순서에 위치하는 제2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제2 요약 콘텐츠(530) 및 역사적 순서 정보에 따라 제 한국사 학습 콘텐츠 이후 순서에 위치하는 제3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제3 요약 콘텐츠(540)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암기 학습 팝업창의 연속 용어 학습 버튼(510)을 클릭한 경우,'동학 농민 운동'의 요약 콘텐츠(520) 좌측 및 우측 각각에 '동학 농민 운동'을 기준으로 이전에 발생한 '임오 군란'의 요약 콘텐츠(530) '동학 농민 운동'을 기준으로 이후에 발생한 '청일 전쟁'의 요약 콘텐츠(540)를 출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내지 제3 요약 콘텐츠는 대표 이미지로 도시되어 있으나, 대표 이미지 외에 해당 역사적 사건을 설명하기 위한 자막 또는 오디오 파일이 동영상, 이미지, 구글 3D 지도, 로드뷰, 스카이뷰 등과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의 화면 크기를 원하는 대로 조정하여 학습할 수 있으며, 자막 파일에 대한 사용자 입력시 오디오 파일이 재생될 수 있다.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기 학습 팝업창의 우측 상단의 플립 어 클립(Flip-a-Clip) 버튼(550)을 클릭하는 경우, 제1 요약 콘텐츠(530), 제2 요약 콘텐츠(540) 및 제3 요약 콘텐츠에 플립 어 클립 기능을 적용하여 재출력할 수 있다. 플립 어 클립 기능이란, 역사적 사건이 발생한 시간 순서에 따라 콘텐츠를 차례로 재출력하는 기능을 말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도시된 대로, 암기 학습 팝업창의 오른쪽 상단에 있는 플립 어 클립(Flip a Clip) 버튼(550)을 클릭하는 경우, 기존 출력됐던 요약 콘텐츠들(520 내지 540)이 사라지며, 가장 빨리 발생했던 역사적 사건인 '임오 군란'의 요약 콘텐츠(530) → 그 다음 발생했던 역사적 사건인 '동학 농민 운동'의 요약 콘텐츠(520) → 가장 늦게 발생했던 역사적 사건인 '청일 전쟁'의 요약 콘텐츠(540) 순으로 재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사용자는 해당 역사적 사건의 요약 콘텐츠와 함께 해당 역사적 사건 전후로 발생한 역사적 사건의 요약 콘텐츠를 함께 제공받음으로써, 해당 역사적 사건의 시간적 흐름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암기를 도모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사적 사건에 포함된 세부 사건들에 대한 키워드를 제공하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버튼(610)에 사용자 입력을 한 경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와 연관된 복수의 키워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키워드는 역사적 사건이 발생한 시간 순서에 따라 결정된 세부적인 역사적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세부적인 역사적 순서 정보에 따라 결정된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기 학습 팝업창의 한눈 학습 버튼(610)을 클릭한 경우, '동학 농민 운동'과 관련된 복수의 키워드가 역사적 순서 정보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동학 농민 운동'과 관련하여 사건의 배경이 된 '전봉준'은 '동학 농민 운동'의 원인과 관련된 키워드를 모아 놓은 첫 번째 키워드 군집(62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동학 농민 운동'의 진행 과정에서 발생한 '금구 원평 전투와 전주성 입성'은 '동학 농민 운동'의 진행 과정과 관련된 키워드를 모아 놓은 두 번째 키워드 군집(63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동학 농민 운동' 이후에 발생한 '3.1 운동'은 '동학 농민 운동'의 결과 및 이후 영향을 준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키워드 군집(64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형, 화살표 등 시각적 객체를 통해 군집간의 관계에 대해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사용자는 복수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한국사 학습 콘텐츠에서 암기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정 키워드에 관련된 내용에 대한 암기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해당 키워드를 클릭함으로써 해당 키워드에 관련된 내용에 대해 복습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기가 이루어지지 않은 키워드 하나를 클릭한 경우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자막과 음성이 동영상, 이미지, 구글 3D 지도, 로드뷰, 스트릿 뷰, 한국사 지문 등이 출력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미처 암기하지 못한 키워드 관련 내용에 대해 학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사용자는 복수의 키워드를 보고, 역사적 사건의 세부적인 전개 순서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암기가 이루어지지 않은 키워드 관련 내용에 대해 복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사적 사건에 포함된 세부 사건들에 대한 키워드를 제공하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또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버튼에 사용자 입력을 한 경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와 연관된 복수의 키워드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 때 복수의 키워드는 랜덤하게 결정된 위치에 출력(710)될 수 있다. 이 후,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사용자는 출력된 복수의 키워드 각각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할 수 있으며, 복수의 키워드 각각의 위치를 정렬(72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학 농민 운동'과 관련된 세부 사건들에 대한 복수의 키워드인 '동학', '3.1 운동', '전봉준'등이 무작위 위치에 출력될 수 있으며,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사용자는 복수의 키워드 중 하나(712)인 '전봉준'을 '동학 농민 운동'의 원인과 관련된 키워드를 모아 놓은 첫 번째 키워드 군집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 버튼을 통해 복수의 키워드를 자동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시각적 객체 등을 통해 복수의 키워드 간 상관관계를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사용자는 복수의 키워드 중 하나의 키워드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 다시 학습하길 원하는 경우 해당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화면 중 선택된 하나의 키워드와 연관된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사용자가 복수의 키워드 중 하나(712)인 '전봉준'에 대해 다시 학습하길 원하는 경우 '전봉준' 키워드를 클릭할 수 있다. 이 경우, 태깅된 자막과 음성 및 연계된 이미지, 동영상, 로드뷰, 스트릿 뷰, 구글 3D 지도 등을 출력할 수 있으며, 미리 태깅이 되지 않은 경우 '전봉준'의 모습이 담긴 대표 이미지 등 '전봉준'과 연관된 한국사 학습 콘텐츠 화면으로 이동하여 다시 학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사용자는 랜덤한 순서로 배치된 키워드를 자신이 암기한 내용을 토대로 스스로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배치해보는 연습을 수행함으로써, 세부적인 내용의 시간 순서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사용자는 복수의 키워드 중 하나를 선택하고 이와 관련된 한국사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화면으로 이동함으로써, 키워드와 관련된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내용을 반복적으로 학습하여 암기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방법(800)은 사용자 단말(예: 사용자 단말(210), 사용자 단말(30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800)은 복수의 한국사 학습 콘텐츠 중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로 개시될 수 있으며, 복수의 한국사 학습 콘텐츠 각각은 역사적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810).
그런 다음,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에 대한 암기를 단계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암기 학습 팝업창을 출력할 수 있다(S8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사용자는 해당 한국사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이 완료되면, 암기 학습 팝업창을 통해 자신이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면서 암기가 잘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암기 학습 팝업창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내용을 상기시키기 위한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제1 요약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83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요약 콘텐츠는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내용을 연상시키는 대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대표 이미지 외에 해당 역사적 사건을 설명하기 위한 동영상, 오디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암기 학습 팝업창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역사적 순서 정보가 나타나도록, 제1 요약 콘텐츠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순서 정보에 따라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 이전 순서에 위치하는 제2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제2 요약 콘텐츠 및 순서 정보에 따라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 이후 순서에 위치하는 제3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제3 요약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8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사용자가 암기 학습 팝업창에 플립 어 클립 버튼을 클릭한 경우, 제1 요약 콘텐츠, 제2 요약 콘텐츠 및 제3 요약 콘텐츠를 시간 순서대로 재출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암기 학습 팝업창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와 연관된 복수의 키워드를 출력할 수 있다(S85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사용자가 복수의 키워드 중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하나의 키워드와 연관된 오디오 강의를 출력할 수 있으며, 오디오 강의 외에도 관련된 동영상, 이미지, 한국사 지문을 출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복수의 키워드 각각은 역사적 사건이 발생한 시간 순서에 따라 결정된 세부 역사적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키워드를 세부 역사적 순서 정보에 따라 결정된 위치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키워드는 랜덤하게 결정된 위치에 출력되고, 출력된 복수의 키워드 각각의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복수의 키워드 각각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복수의 키워드 중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화면 중 선택된 하나의 키워드와 연관된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한 흐름도 및 상술한 설명은 일 예시일 뿐이며, 일부 실시예에서는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는 각 단계의 순서가 바뀌거나, 일부 단계가 반복 수행되거나,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일부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 동작 또는 기법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의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대체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 지의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요구사항들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구현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기법들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ASIC들, 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들),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들(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컴퓨터,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나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기법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비휘발성 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시 메모리,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법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여 컴퓨터 저장 매체들 및 통신 매체들 양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또는 소망의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이송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칭해진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디스크(disk) 와 디스크(disc)는,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들(disks)은 보통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고, 반면 디스크들(discs) 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위의 조합들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ASIC은 유저 단말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유저 단말에서 개별 구성요소들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에서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태들을 활용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나 분산 컴퓨팅 환경과 같은 임의의 컴퓨팅 환경과 연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나아가, 본 개시에서 주제의 양상들은 복수의 프로세싱 칩들이나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스토리지는 복수의 장치들에 걸쳐 유사하게 영향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PC들, 네트워크 서버들, 및 휴대용 장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110: 사용자 단말
120: 한국사 학습 콘텐츠

Claims (10)

  1.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한국사 학습 콘텐츠 중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한국사 학습 콘텐츠 각각은 역사적 순서 정보를 포함함-;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에 대한 암기를 단계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암기 학습 팝업창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암기 학습 팝업창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내용을 상기시키기 위한 상기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제1 요약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암기 학습 팝업창에 대한 사용자 입력 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상기 역사적 순서 정보가 나타나도록, 상기 제1 요약 콘텐츠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상기 순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 이전 순서에 위치하는 제2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제2 요약 콘텐츠 및 상기 순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 이후 순서에 위치하는 제3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제3 요약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암기 학습 팝업창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와 연관된 복수의 키워드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약 콘텐츠는 상기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내용을 연상시키는 대표 이미지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사적 순서 정보는 역사적 사건이 발생한 시간 순서에 따라 결정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약 콘텐츠, 상기 제2 요약 콘텐츠 및 상기 제3 요약 콘텐츠를 상기 역사적 순서 정보에 따라 차례로 재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워드 중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하나의 키워드와 연관된 오디오 강의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워드 각각은 역사적 사건이 발생한 시간 순서에 따라 결정된 세부 역사적 순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키워드를 상기 세부 역사적 순서 정보에 따라 결정된 위치에 출력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워드는 랜덤하게 결정된 위치에 출력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출력된 상기 복수의 키워드 각각의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키워드 각각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워드 중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화면 중 상기 선택된 하나의 키워드와 연관된 화면으로 이동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한국사 학습 콘텐츠 중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를 추출하여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에 대한 암기를 단계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암기 학습 팝업창을 출력하고,
    상기 암기 학습 팝업창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내용을 상기시키기 위한 상기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제1 요약 콘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암기 학습 팝업창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상기 역사적 순서 정보가 나타나도록, 상기 제1 요약 콘텐츠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상기 순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 이전 순서에 위치하는 제2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제2 요약 콘텐츠 및 상기 순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 이후 순서에 위치하는 제3 한국사 학습 콘텐츠의 제3 요약 콘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암기 학습 팝업창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한국사 학습 콘텐츠와 연관된 복수의 키워드를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한국사 학습 콘텐츠 각각은 역사적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KR1020220077650A 2022-06-24 2022-06-24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40000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650A KR20240000889A (ko) 2022-06-24 2022-06-24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650A KR20240000889A (ko) 2022-06-24 2022-06-24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889A true KR20240000889A (ko) 2024-01-03

Family

ID=8953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650A KR20240000889A (ko) 2022-06-24 2022-06-24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8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1586B2 (en) Augmented physical and virtual manipulatives
US11871109B2 (en) Interactive application adapted for use by multiple users via a distributed computer-based system
CN110090444B (zh) 游戏中行为记录创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EP28518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ation based learning content
TW202105311A (zh) 教學系統及方法、電子設備和儲存介質
KR20120111235A (ko) 단어장 기능 제공 시스템, 그의 단어장 기능 제공을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JP2022534345A (ja) データ処理方法及び装置、電子機器並びに記憶媒体
JP7176806B1 (ja) プログラム学習装置
KR20240000889A (ko) 한국사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085333A (ko) 인공지능 어린이 교육 솔루션 장치
US202101341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voice-animated multimedia content
KR102614344B1 (ko) 듀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복수의 수학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618311B1 (ko) 영어 회화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40000811A (ko) 안면 인식 패턴 분석 기반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170273A (ko) 사용자 입력 분석 기반 학습 가이드라인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102565A (ko) 한국어 회화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40067224A (ko) 사용자 기반 언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Deitel et al. IOS 8 for Programmers: An App-driven Approach with Swift
KR20230175001A (ko) 사용자 입력 분석 기반 테스트 점수 산출 방법
KR20240040293A (ko) 영어 강의 메뉴 편집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60226A (ko) 수학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40018856A (ko) 사용자 입력 분석 기반 테스트 점수 산출 방법
KR20230173491A (ko) 중국어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139498A (ko) 교육 콘텐츠의 반복 사용 횟수에 대한 데이터 관리 및 부정행위 감지 방법 및 장치
Richter et al. Mastering IOS Frameworks: Beyond the Bas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