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009U - 블록 완구 - Google Patents

블록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009U
KR20240000009U KR2020220001551U KR20220001551U KR20240000009U KR 20240000009 U KR20240000009 U KR 20240000009U KR 2020220001551 U KR2020220001551 U KR 2020220001551U KR 20220001551 U KR20220001551 U KR 20220001551U KR 20240000009 U KR20240000009 U KR 202400000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toy
insertion portion
block
space
t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석
Original Assignee
웨이블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이블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웨이블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20001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009U/ko
Publication of KR202400000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009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로 다양한 방향에서 결합이 가능한 블록 완구가 개시된다. 상기 블록 완구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종단들에 각기 연결된 삽입부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와 상기 삽입부들에 의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다른 블록 완구의 삽입부의 일면이 상기 블록 완구의 공간으로 삽입됨에 의해 상기 다른 블록 완구와 상기 블록 완구가 평행하게 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다른 블록 완구의 삽입부의 타면이 상기 공간으로 삽입됨에 의해 상기 다른 블록 완구와 상기 블록 완구가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여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몸체의 길이, 상기 몸체의 폭, 상기 삽입부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의 변의 길이 및 상기 삽입부의 높이는 일정 비율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 완구{BLOCK TOY}
본 고안은 'I' 형상을 가지며 다양한 방향에서 결합이 가능한 블록 완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블록 완구는 다른 블록 완구와 단편적인 방향에서만 결합되고 결합 방법이 복잡하였다.
KR 10-2021-0109398 A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다양한 방향에서 결합이 가능한 블록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완구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종단들에 각기 연결된 삽입부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와 상기 삽입부들에 의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다른 블록 완구의 삽입부의 일면이 상기 블록 완구의 공간으로 삽입됨에 의해 상기 다른 블록 완구와 상기 블록 완구가 평행하게 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다른 블록 완구의 삽입부의 타면이 상기 공간으로 삽입됨에 의해 상기 다른 블록 완구와 상기 블록 완구가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여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몸체의 길이, 상기 몸체의 폭, 상기 삽입부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의 변의 길이 및 상기 삽입부의 높이는 일정 비율을 가진다.
본 고안에 따른 블록 완구는 몸체와 삽입부들에 의해 결합을 위한 공간이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몸체와 삽입부의 구성요소들 사이가 일정 비율을 가지며, 그 결과 간단하게 블록 완구들을 결합시킬 수 있으면서 다양한 방향에서 블록 완구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블록 완구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완구들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블록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 부재없이 동일한 다른 블록 완구와 자연스럽게 결합하여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록 완구는 'I' 형상을 가지며, 삽입부가 다른 블록 완구의 몸체와 삽입부들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완구를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완구들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블록 완구는 아령 형상, 예를 들어 'I'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블록 완구는 몸체(100) 및 몸체(100)의 종단들과 연결된 삽입부들(10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102)는 몸체(100)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열된다는 점에서 수직부로 명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블록 완구는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몸체(100)는 전체적으로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구체적으로는 사각형 형상의 상면(100a) 및 하면, 사각형 형상의 측면들(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 완구들의 결합을 위하여 상면(100a) 또는 하면의 폭은 측면(100b)의 폭과 동일할 수 있으며, 탄성력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들(102)은 몸체(100)의 양 종단들에 각기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몸체(100)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대칭적인 구조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부(102)는 몸체(100)를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되는 상측 삽입부(102a), 몸체(100)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중간 삽입부(102b) 및 하측에 형성되는 하측 삽입부(102c)를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몸체(100)와 삽입부(102)는 '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측 삽입부(102a)와 하측 삽입부(102c)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중간 삽입부(102b) 또는 몸체(100)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100)와 삽입부들(102)에 의해 몸체(100)의 양측으로 공간들(200)이 형성되며, 공간(200)으로 다른 블록 완구의 삽입부가 삽입되어 블록 완구들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블록 완구의 삽입부의 일측면이 블록 완구의 공간(200)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하여 상기 삽입부가 공간(200)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블록 완구와 상기 다른 블록 완구가 평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블록 완구의 삽입부의 타측면이 블록 완구의 공간(200)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하여 상기 삽입부가 공간(200)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른 블록 완구는 상기 블록 완구에 교차하는 방향, 바람직하게는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블록 완구의 몸체가 블록 완구의 공간(200)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다른 블록 완구들이 공간(200)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서는 2단으로 블록 완구들이 결합되었지만, 3단 이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블록 완구들이 결합되어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 완구들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블록 완구의 몸체(100) 및 삽입부(102)는 일정 비율을 가질 수 있다.
몸체(100)의 길이(a)와 폭(b)은 2 : 1 비율을 가지며,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삽입부(102)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 변의 길이(d 또는 e)는 몸체(100)의 폭(b)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공간(200)의 길이와 폭은 몸체(100)이 길이(a) 및 폭(b)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상측 삽입부(102a) 또는 하측 삽입부(102c)의 높이(f)는 몸체(100)의 폭(b)과 1 : 2 비율을 가지며, 삽입부(102)의 높이(c)는 몸체(100)의 길이(a)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0)의 길이(a), 폭(b), 삽입부(102)의 높이(c), 삽입부(102)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 변의 길이(d 또는 e) 및 상측 삽입부(102a) 또는 하측 삽입부(102c)의 높이(f)는 각기 10cm, 5cm, 10cm, 5cm 및 2.5cm를 가질 수 있다.
즉, 몸체(100)의 길이(a), 몸체(100)의 폭(b), 삽입부(102)의 높이(c), 삽입부(102)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의 변의 길이(d 또는 e) 및 상측 삽입부(102a) 또는 하측 삽입부(102c)의 높이(f)는 4 : 2 : 4 : 2 : 1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비율 하에서 블록 완구가 탄성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블록 완구들이 자연스럽게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고안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몸체 102 : 삽입부
102a : 상측 삽입부 102b : 중간 삽입부
102c : 하측 삽입부

Claims (3)

  1. 블록 완구에 있어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종단들에 각기 연결된 삽입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와 상기 삽입부들에 의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다른 블록 완구의 삽입부의 일면이 상기 블록 완구의 공간으로 삽입됨에 의해 상기 다른 블록 완구와 상기 블록 완구가 평행하게 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다른 블록 완구의 삽입부의 타면이 상기 공간으로 삽입됨에 의해 상기 다른 블록 완구와 상기 블록 완구가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여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몸체의 길이, 상기 몸체의 폭, 상기 삽입부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의 변의 길이 및 상기 삽입부의 높이는 일정 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들은 상기 몸체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와 상기 삽입부들에 의해 상기 몸체의 양측면들에 동일한 사이즈의 공간들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는 상기 몸체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중간 삽입부, 상기 중간 삽입부의 상측에 배열되는 상측 삽입부 및 상기 중간 삽입부의 하측에 배열되는 하측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삽입부와 상기 하측 삽입부는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고 상기 중간 삽입부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상측 삽입부의 삽입 방향에 따라 하나의 다른 블록 완구 또는 2개의 다른 블록 완구들이 상기 공간으로 삽입 가능하고, 상기 다른 블록 완구의 몸체가 상기 블록 완구의 공간으로 삽입 가능하며, 상기 블록 완구는 탄성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길이(a), 상기 몸체의 폭(b), 상기 삽입부의 높이(c), 상기 삽입부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의 변의 길이(d 또는 e) 및 상기 상측 삽입부 또는 상기 하측 삽입부의 높이(f)는 4 : 2 : 4 : 2 : 1의 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완구.

KR2020220001551U 2022-06-24 2022-06-24 블록 완구 KR202400000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551U KR20240000009U (ko) 2022-06-24 2022-06-24 블록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551U KR20240000009U (ko) 2022-06-24 2022-06-24 블록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009U true KR20240000009U (ko) 2024-01-03

Family

ID=8951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551U KR20240000009U (ko) 2022-06-24 2022-06-24 블록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009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398A (ko) 2020-02-27 2021-09-06 이태원 조립식 블록완구 소자 및 그 소자를 이용한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398A (ko) 2020-02-27 2021-09-06 이태원 조립식 블록완구 소자 및 그 소자를 이용한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8185A (en) Building blocks
EP1894789A1 (en) Harness guide of slide door
DE20200653U1 (de) Kissen
US5163862A (en) Triangular block toy set
DE2551296C3 (de) Steckverbinder zur Anbringung auf elektrischen Schaltungsplatten
DE69822035D1 (de) Stapelstruktur
US20180256999A1 (en) Block-based construction system
US9737826B2 (en) Pairing block set and toy block thereof
WO2001067424A1 (en) Teaching aid
US3660928A (en) Modular building blocks with interfitting grooved surfaces
CN105283236A (zh) 建造组件元件(多种)
KR20240000009U (ko) 블록 완구
US5617691A (en) Fitting structure of rectangular parallelopipedal blocks
CN103080567A (zh) 固定装置
KR20190037171A (ko) 컨스트럭션 셋 엘레멘트
DE20003705U1 (de) Verbindung von zwei zumindest annähernd rechtwinklig aneinander anschließenden Holzbalken
US20060048475A1 (en) Building block
JP5543680B1 (ja) 段ボール製仕切り板キット
US20170036135A1 (en) Educational construction system using rectangular basic element and derivatives
WO2007025646A1 (en) Toy building set
US4199138A (en) Gymnastics and game apparatus
KR102662156B1 (ko) 밀집된 사면체를 포함하는 개방 코어 구조물을 가지는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US20230405450A1 (en) Pickagram three-dimensional puzzle
CN206342920U (zh) 一种板材堆叠式积木教具
JP7390766B1 (ja) 組立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