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156B1 - 밀집된 사면체를 포함하는 개방 코어 구조물을 가지는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 Google Patents

밀집된 사면체를 포함하는 개방 코어 구조물을 가지는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156B1
KR102662156B1 KR1020187025664A KR20187025664A KR102662156B1 KR 102662156 B1 KR102662156 B1 KR 102662156B1 KR 1020187025664 A KR1020187025664 A KR 1020187025664A KR 20187025664 A KR20187025664 A KR 20187025664A KR 102662156 B1 KR102662156 B1 KR 102662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sandwich structural
parallelogram
structural element
cla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1903A (ko
Inventor
미샤일 스톡펠트
Original Assignee
니티우 아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티우 아브 filed Critical 니티우 아브
Publication of KR20180121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1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68Panellings; Lin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 E04C3/0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04C3/07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7/00Making rigid structural elements or units, e.g. honeycomb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7/00Making rigid structural elements or units, e.g. honeycomb structures
    • B21D47/01Making rigid structural elements or units, e.g. honeycomb structures beam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6Gluing; Taping; Cold-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2Driving of auxiliaries from propulsion power pla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4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profiled spacer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05Girders or columns that are rollable, collapsi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length or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6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dverse conditions, e.g. extreme climate, p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14Making other products
    • B21C23/142Making profiles
    • B21C23/145Interlocking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04Irons, steels or ferrous alloys
    • B63B2231/06Stainless st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41/00Design characteristics
    • B63B2241/02Design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hapes
    • B63B2241/10Design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hapes by particular three dimensional shapes
    • B63B2241/16Design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hapes by particular three dimensional shapes polyhed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 E04C2003/041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being built up from several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65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square- or rectangular-shap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Revetment (AREA)
  • Prosthese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Fencing (AREA)

Abstract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100)를 개시한다.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는 면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작은 높이와 두께를 가지는 제1 엘리먼트(101)와, 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엘리먼트와 같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작은 두께와 높이를 가지는 제2 엘리먼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엘리먼트는 상기 제1 엘리먼트(101)의 플랫면과 마주본다. 상기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는 제1 엘리먼트(101)와 상기 제2 엘리먼트(102) 사이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개방 코어 구조물(103)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방 코어 구조물은 복수개의 밀집된 사면체 구조물(201)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밀집된 사면체를 포함하는 개방 코어 구조물을 가지는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본 발명은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 개방 코어를 가지는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예컨대 선박 설계시의 문제는 선박의 선체가 최신 합금 및 설계로 제조되는 경우에 선체가 가볍고 강해지는 것이다. 그러나, 표준 설계가 사용된다면, 선박의 구조에 사용되는 갑판과 다양한 수직 및 수평 벽이 무겁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치수와 영역을 가지는 경량 및 견고한 패널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이러한 패널에 대한 우수한 설계는 패널의 압출 또는 부가/감산 제조 중 하나를 포함하는 해결책을 제공하는 미국 특허 제 8,650,756 B2호에 개시되어 있다. 압출이 사용되면, 구조를 위한 사용 가능한 재료는 제한적이며, 알루미나 합금(alumina alloy)과 같은 경량 합금이 가장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선박의 선체가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된다면, 알루미나 합금과 스테인리스 스틸을 결합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점이 존재한다. 부가/감산 제조를 사용하여 패널을 제조하는 대안이 있으나, 이러한 대안은 대형 패널이 요구되는 경우 다소 비싸다.
또한, 미국 특허 8,650,756 B2호에 사용된 트러스(truss) 설계는 다소 약하며, 개선의 여지가 있다. 그 장점 중 하나는 샌드위치 재료의 코어가 금속망(metal net)을 피라미드형의 격자로 벤딩하여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고체 역학에서 상기 트러스 구조물은 피라미드 격자의 기본 모서리 중 하나가 운동량을 받는 경우와 같이 구조 강도의 측면에서 최적화되지 않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의 선체를 포함하는 현대의 선박 설계와 호환 가능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시에 매우 낮은 밀도를 제공하고, 보다 튼튼하고 견고한 샌드위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식제 또는 환경에 대해서 우수한 내성을 제공하는 샌드위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 및 다른 장점은 독립항에 따른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를 구비함으로써 생성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는 면(face)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작은 높이와 두께를 가지는 제1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는 면을 가지고, 제1 엘리먼트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작은 두께와 높이를 가지는 제2 엘리먼트를 더 포함하고, 제2 엘리먼트는 제1 엘리먼트의 상기 면과 마주본다.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는 제1 엘리먼트와 제2 엘리먼트 사이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개방 코어 구조물을 더 포함한다.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는 개방 코어 구조물이 복수개의 밀집된 사면체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인 “플랫(flat)”, “밀집된(close packed)”, 및 “단위 셀(unit cell)”은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플랫(flat)”이라는 용어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밀집된(close packed)”이라는 용어는 완전하게 채워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단위 셀은 부피를 밀집하도록 즉, 단위 셀의 볼륨을 완전하게 채우는데 사용되는 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의 일 실시예에서, 개방 코어 구조물은 제1 엘리먼트와 제2 엘리먼트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플랫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플랫 엘리먼트는 제1 엘리먼트의 상기 면과 제2 엘리먼트의 상기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2개의 엘리먼트 사이의 제1 거리로 서로 마주본다.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의 일 실시예에서, 개방 코어 구조물은 적어도 2개의 플랫 엘리먼트 중 2개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단위 셀을 포함하고, 각 단위 셀은 2개의 플랫 평행 사변형을 포함하고, 2개의 플랫 평행 사변형은 2개의 플랫 평행 사변형 사이에서 각도를 가지고 2개의 플랫 평행 사변형의 대각선을 따라 겹치는 교차 관계로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 평행 사변형은 코너에서 적어도 평행 사변형의 중심까지 평행사변형의 대각선을 따르는 슬릿을 포함하고, 슬릿은 슬릿을 가지는 대응하는 평행 사변형을 수용하여, 2개의 평행 사변형이 각각의 평행 사변형의 대각선을 따라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평행 사변형과 제2 평행 사변형 사이에서 강하고 유연한 조인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위 셀의 각 평행 사변형은 대각선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치된 리세스를 포함한다. 상기 방식은 복수개의 단위 셀 사이의 개방된 연결을 허용한다. 게다가, 이는 불필요한 질량 없이 특정 하중에 대해서 치수가 정해지는 것을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대각선은 2개의 플랫 평행 사변형 중 가장 짧은 대각선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람직한 단위 셀이 생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엘리먼트의 상기 면과 제2 엘리먼트의 상기 면은 플랫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칭 구조 엘리먼트가 생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단위 셀은 2개의 플랫 어레이를 형성하고, 각각의 플랫 어레이는 제1 평행 사변형에 의해서 형성된 반복되는 삼각형 웨이브 패턴을 포함하고, 제1 평행 사변형은 중간 평행 사면형의 가장자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에지를 구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위 셀을 제조하는 효율적인 방법이 얻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샌드위치 구조는 금속 시트를 포함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금속 시트는 스테인리스 스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샌드위치 구조물은 부식제와 환경에 동시에 저항할 수 있으며, 이는 샌드위치 구조가 가볍고 우수한 구조 강도를 구비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을 완전하게 이해하는 것과 기술적 특징 및 이점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량의 선체를 포함하는 현대의 선박 설계와 호환 가능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동시에 매우 낮은 밀도를 제공하고, 보다 강력하고 견고한 샌드위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부식제 또는 환경에 대해서 우수한 내성을 제공하는 샌드위치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구조물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샌드위치 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행 사변형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플랫한 어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플랫한 어레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 및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기재된 특정 실시예로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등록 특허 및 특허 출원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참고 문헌은 그 전체가 참고 문헌으로 인용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인 "플랫(flat)", "밀집한(close packed)"및 "단위 셀(unit cell)"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플랫(flat)"이라는 용어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밀집한(close packed)"이란 용어는 볼륨이 대칭적이고 반복적인 방식으로 기본 구조로 완전히 채워 졌음을 의미한다.
"단위 셀(unit cell)"은 볼륨을 밀집되게 채우는 것에 사용되는 기본 형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100)는 플랫면을 가지는 제1 엘리먼트(101)와, 플랫면을 가지는 제2 엘리먼트(102)를 구비하며, 제2 엘리먼트(102)의 플랫면은 제1 엘리먼트(101)의 플랫면과 평행하고 대향한다.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는 제1 엘리먼트(101)와 제2 엘리먼트(102) 사이에 배치된 개방 코어 구조물(an open core structure, 103)를 더 포함한다. 개방 코어 구조물(103)은 제1 엘리먼트(101) 및 제2 엘리먼트(102)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개방 코어 구조물(103)은 복수의 밀집한 사면체 구조물(close packed tetrahedrons structures, 201)을 포함한다.
또한, 개방 코어 구조물은 제1 엘리먼트(101)와 제2 엘리먼트(102)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플랫 엘리먼트(104, 105)를 포함한다. 적어도 2개의 플랫 엘리먼트(104, 105)는 제1 엘리먼트(101)와 제2 엘리먼트(102)의 플랫면에 수직되게 배치되고, 2개의 플랫 엘리먼트(104, 105) 사이는 제1 거리로 서로 마주본다.
2개의 플랫 엘리먼트(104, 105)와 제1 엘리먼트(101) 및 제2 엘리먼트(102)는 박스 형상의 볼륨을 형성한다. 상기 볼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복되는 패턴으로 단위 셀(106)로 채워진다.
도 2a에서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100)는 단위 셀(106)이 함께 패킹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2a에서, 단위 셀들을 함께 패킹함으로써 박스형 볼륨이 사면체 구조물(201)로 채워져 밀집되어 있음이 도시된다. 상기 도면에서, 제1 엘리먼트 (101) 및 제2 엘리먼트 (102)는 사면체 구조물(201)의 사시도를 방해하기 때문에 도시되지 않았다.
도 2b에서, 추가되는 플랫 엘리먼트(202)는 제1 거리와 동일한 거리에서 적어도 2 개의 플랫 엘리먼트(104, 105)에 부가되고, 플랫 엘리먼트(105, 202)에 의해 형성된 부피는 사면체 구조물로 밀집되게 채워진다. 플랫 엘리먼트를 더 추가함으로써, 임의의 크기의 단위 셀 패널을 반복적인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서, 구조의 이해를 위해서 단위 셀(106)은 추가된 가상의 점선 박스(300)를 가지는 투시도로 도시된다. 점선 박스(300)는 임의 단위에서 폭 b, 깊이 d, 높이 h를 갖는다. 제 1 코너(307)는 좌표계이며, 박스(300)의 폭 방향의 기준선을 따라 X 축으로 정의되고, Y 축은 박스(300)의 깊이 방향의 기준선을 따라 연장되고, Z 축은 박스(300)의 높이 방향의 기준선을 따라 연장된다. 단위 셀(106)을 정의하기 위해 6개의 포인트가 필요하다. 상기 6개의 포인트는 p1=[0, 0, 0], p2=[b/2, 0, h], p3=[0, d, h], p4=[b/2, d, 0], p5=[b, d, h] 및 p6=[b, 0, 0] 이고, 여기서 [x 좌표, y 좌표, z 좌표]이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정의된 단위 셀의 6개 포인트는 대각 스파인(diagonal spine)을 공유하는 두 개의 사면체를 정의한다. 사면체는 XY 평면에 수직인 XZ 평면을 가질 수 있으므로 비대칭 사면체입니다.
도 3은 p2, p3, p4 및 p6의 포인트에 의해서 제1 평행 사변형(301)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다. 제2 평행 사변형(302)은 p1, p2, p5 및 p4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2 개의 플랫한 평행 사변형(301, 302)은 2 개의 플랫한 평행 사변형(301, 302)사이에 각도(303)를 가지는 p2 및 p4 포인트 사이의 대각선(d)을 따라 중첩하는 교차 관계로 배열된다. 상기 도면에서 삼각형은 포인트 p1, p2 및 p6 사이의 XZ 평면에서 식별되며, 고체 역학 관점에서 상기 삼각형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정삼각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셀에서, 비대칭이며 2 개의 평면이 수직인 사면체 사이에서 볼륨은 형성된다. 이는 방향을 교번하는 단위 셀을 가진 패턴이 직사각형 평행 육면체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예컨대 시트, 플레이트, 컬럼 및 빔 프로파일을 생성하는데 평행하는 양 측면을 가지는 볼륨은 유용하거나 유리하다. 이는 대칭적인 사면체를 기반으로 하는 단위 셀과 대조적이다. 대칭적인 사면체는 4개의 정삼각형 면을 가지는 것으로 정의되며, 각각의 면에서 내각은 60°이고, 각 변은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대칭적인 사면체는 편평하고 평행한 측면을 가지는 패턴으로 쉽게 조립될 수 없다.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면, 이하 평행 사변형(301, 302)의 다른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슬릿(401)은 2개의 평행 사변형이 각각의 평행 사변형의 대각선을 따라 결합되도록 슬릿(401)을 가지는 대응하는 평행 사변형(400a)을 수용하도록 구비되고, 그리하여 2개의 평행 사변형 슬릿의 단부가 중첩된다. 평행 사변형은 또한 두 변이 다른 두 변보다 길어서 비대칭이므로, 기울어진 직사각형을 형성한다. 그러한 2개의 평행 사변형이 결합될 때, 예컨대 슬릿을 통해서 다른 하나를 도입함으로써 두 개의 정사면체의 대각선 뒤를 형성하거나 그 형상을 가지는 크로스를 형성한다.
도 4b에서, 평행 사변형(400b)의 제2 실시예가 개시된다. 상기 평행 사변형(400b)은 대각선(d)로부터 이격된 리세스(404b)를 포함한다. 상기 특정 실시예에서, 리세스는 삼각형이지만 도 4c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개구(404b, 404c)와 같은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리세스의 목적은 가벼운 구조물를 제공하거나, 단위 셀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플랫 엘리먼트는 동일한 목적을 위한 리세스를 포함한다.
평행 사변형은 평행 사면형의 측면을 따라 적어도 2개의 플랫 엘리먼트를 향하는 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플랫 엘리먼트는 대응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상기의 방식으로, 단위 셀은 적어도 2개의 플랫 엘리먼트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위 셀은 예를 들어 용접 조인트나 접착제로 제1 엘리먼트 및 제2 엘리먼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5는 중간 평행 사변형(706)을 가지는 평행 사변형(702, 705)의 플랫 어레이(701)를 개시한다. 상기 플랫 어레이(701)는 중간 평행 사변형(706)의 가장자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에지(703)를 가지는 제1 평행 사변형(702)에 의해 반복되는 삼각형 웨이브 패턴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 어레이는 인접한 제1 평행 사변형과 중간 평행 사변형 사이의 공통되는 에지(703, 704)를 따라 폴딩 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중간 평행 사변형은 짧은 대각선을 따라 폴딩 선을 포함한다.
에지(703)를 따라 제1 각도로 제1 플랫 어레이와 제2 플랫 어레이의 평행 사변형을 벤딩하고, 짧은 대각선을 따라 제2 각도로 중간 평행 사변형을 벤딩시킴으로써, 단위 셀의 어레이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벤딩된 어레이가 형성된다.
도 6a에는 벤딩된 제2 어레이(602)의 반대에 배치된 벤딩된 제1 어레이(601)가 도시되어 있으며, 대응하는 리세스는 서로 정렬되어 있다. 상기 어레이(601, 602)를 결합하여 단위 셀의 어레이가 형성된다. 이는 다수의 단위 셀이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는 금속 시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금속 시트는 스테인리스 스틸이다. 상기 방식으로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가 선박의 현대식 선체와 효율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
샌드위치 구조의 일 실시예에서, 단위 셀로부터 적어도 2개의 플랫 엘리먼트에서 대응하는 홈으로 연장되는 탭에 의해서, 개방 셀 코어의 단위 셀은 적어도 2개의 플랫 엘리먼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샌드위치 구조의 일 실시예에서, 개방 셀 코어의 단위 셀은 접착제 수단에 의해서 제1 엘리먼트 및 제2 엘리먼트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의 일 실시예에서, 개방 셀 코어의 단위 셀은 용접 수단에 의해 제 1 엘리먼트 및 제 2 엘리먼트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대안예, 변형예 및 등가물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100: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101: 제1 엘리먼트
102: 제2 엘리먼트
103: 개방 코어 구조물
104, 105: 플랫 엘리먼트
106: 단위 셀

Claims (15)

  1.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100)에 있어서,
    - 면(face)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작은 높이와 두께를 가지는 제1 엘리먼트(101);
    - 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엘리먼트와 같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작은 두께와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1 엘리먼트(101)의 상기 면과 마주보는 제2 엘리먼트(102);
    - 상기 제1 엘리먼트(101)와 상기 제2 엘리먼트(102) 사이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개의 밀집된 사면체 구조물(201)을 구비하는 개방 코어 구조물(103);을 포함하고,
    상기 사면체 구조물(201)은 박스 형상의 부피(300)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단위 셀(106)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되, 단위 셀의 6개의 포인트는 대각 스파인(diagonal spine)을 공유하는 2개의 사면체를 정의하며, 상기 사면체 구조물(201)은 상기 대각 스파인에 대하여 비대칭이며,
    상기 박스 형상의 부피(300)는 수직인 측면을 가지는,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코어 구조물(103)은 상기 제1 엘리먼트(101)와 상기 제2 엘리먼트(102)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플랫 엘리먼트(104, 105)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상기 플랫 엘리먼트(104, 105)는 상기 제1 엘리먼트(101)의 상기 면과 상기 제2 엘리먼트(102)의 상기 면 사이에 배치되고, 2개의 플랫 엘리먼트(104, 105) 사이에서 제1 거리로 서로 마주보는,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코어 구조물은 적어도 2개의 상기 플랫 엘리먼트(104, 105) 중 2개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단위 셀(106)을 포함하고,
    각 단위 셀은 2개의 플랫 평행 사변형(301, 302)을 포함하고, 2개의 상기 플랫 평행 사변형(301, 302)은 2개의 상기 플랫 평행 사변형(301, 302) 사이에서 각도(303)를 가지고 2개의 상기 플랫 평행 사변형(301, 302)의 대각선을 따라 겹치는 교차 관계로 배열되는,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4. 제3 항에 있어서,
    각 평행 사변형(301, 302, 400a-c)은 코너에서 적어도 상기 평행 사변형의 중심(403)까지 상기 평행 사변형의 대각선(402)을 따르는 슬릿(401)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2개의 상기 평행 사변형이 각각의 평행 사변형의 대각선을 따라 결합되도록, 슬릿(401)을 가지는 대응하는 평행 사변형을 수용하는,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셀(106)의 상기 플랫 평행 사변형은 대각선으로부터 일정거리에 배치된 리세스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대각선은 2개의 상기 플랫 평행 사변형(301, 302)에서 가장 짧은 대각선인,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리먼트(101)의 상기 면과 상기 제2 엘리먼트(102)의 상기 면은 플랫한,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8. 제7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상기 플랫 엘리먼트(104, 105)는 상기 제1 엘리먼트(101)와 상기 제2 엘리먼트(102)의 플랫한 면에 수직되게 배치되는,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9. 제3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단위 셀은 2개의 플랫 어레이를 형성하고, 각각의 플랫 어레이(701)는 제1 평행 사변형(702)에 의해서 형성된 반복되는 삼각형 웨이브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평행 사변형은 중간 평행사면형의 가장자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에지(703)를 구비하는,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어레이(701)는 인접한 제1 평행 사변형과 중간 평행 사변형 사이에 공통된 에지(703, 704)를 따르는 폴딩 선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평행 사변형은 짧은 대각선을 따르는 폴딩 선을 포함하는,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는 금속 시트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시트는 스테인리스 스틸인,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13. 제3 항에 있어서,
    개방 코어 구조물의 상기 단위 셀은
    적어도 2개의 상기 플랫 엘리먼트에서 상기 단위 셀에서 대응하는 홈으로 연장되는 탭에 의해서, 적어도 2개의 상기 플랫 엘리먼트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14. 제3 항에 있어서,
    개방 코어 구조물의 상기 단위 셀은 접착제에 의해서 상기 제1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엘리먼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15. 제3 항에 있어서,
    개방 코어 구조물의 상기 단위 셀은 용접에 의해서 상기 제1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엘리먼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KR1020187025664A 2016-02-08 2017-02-06 밀집된 사면체를 포함하는 개방 코어 구조물을 가지는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KR102662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650152-0 2016-02-08
SE1650152A SE539953C2 (en) 2016-02-08 2016-02-08 Disposable board container and uses of board having a core structure of close packed asymmetric tetrahedrons
PCT/SE2017/050106 WO2017138864A1 (en) 2016-02-08 2017-02-06 A sandwich construction element with an open core structure composed of close packed tetrahed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903A KR20180121903A (ko) 2018-11-09
KR102662156B1 true KR102662156B1 (ko) 2024-04-30

Family

ID=5956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664A KR102662156B1 (ko) 2016-02-08 2017-02-06 밀집된 사면체를 포함하는 개방 코어 구조물을 가지는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731344B2 (ko)
EP (1) EP3414408A4 (ko)
JP (1) JP6983789B2 (ko)
KR (1) KR102662156B1 (ko)
CN (1) CN108699840B (ko)
MX (1) MX2018009549A (ko)
RU (1) RU2731609C2 (ko)
SE (1) SE539953C2 (ko)
WO (1) WO20171388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2251242A1 (en) 2022-10-27 2024-03-05 Nitiu Ab Conformable tan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7533A (en) 1988-11-02 1990-11-06 Tetrahex, Inc. Tetrahexagonal truss structure
KR100831492B1 (ko) 2000-07-28 2008-05-22 브라이엄 영 유니버시티 이소 트러스 구조물
US20120159895A1 (en) 2010-12-27 2012-06-28 David Joseph Kawecki Sheet Metal Construction Truss and its Method of Continuous Automated Manufactur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7362A (en) * 1961-07-11 1966-03-01 Howard A Fromson Structural unit for supporting loads and resisting stresses
US3296767A (en) * 1963-06-27 1967-01-10 Spatruss Inc Truss construction
US3831503A (en) * 1970-11-20 1974-08-27 G Tranquillitsky Method of making cell structure
US3849237A (en) * 1971-04-08 1974-11-19 L Zetlin Structural member of sheet material
US4020205A (en) * 1975-06-13 1977-04-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tructural cores
SU1569050A1 (ru) * 1987-01-23 1990-06-07 Опытно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техническое предприятие "Энерготехпром"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гнутых профилей
US5070673A (en) * 1988-11-02 1991-12-10 Tetrahex, Inc. Tetrahexagonal truss structure
CA2077429C (en) * 1992-09-02 1999-03-30 Ernest R. Bodnar Roll formed metal member
CN100441935C (zh) * 1996-03-19 2008-12-10 株式会社日立制作所 镶板结构体
DE102005016176A1 (de) * 2005-04-07 2006-10-12 Richter-System Gmbh & Co. Kg C-Profil und Trennwand mit C-Profil
FI20051131A0 (fi) * 2005-11-08 2005-11-08 Paxila Oy Menetelmä kennolevyn valmistamiseksi, kennolevy sekä metalliprofiilin käyttö
US8650756B2 (en) 2006-10-27 2014-02-18 University Of Virginia Patent Foundation Manufacture of lattice truss structures from monolithic materials
RU68542U1 (ru) * 2007-07-19 2007-11-27 Виктор Васильевич Сычев Стро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варианты)
US20100323181A1 (en) 2009-06-23 2010-12-23 Nutt Steven R Rigid carbon fiber cores for sandwich composite structures
KR101155267B1 (ko) * 2009-08-27 2012-06-1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다공질 경량 구조체의 제조 방법
JP2015182704A (ja) * 2014-03-26 2015-10-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バンパー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7533A (en) 1988-11-02 1990-11-06 Tetrahex, Inc. Tetrahexagonal truss structure
KR100831492B1 (ko) 2000-07-28 2008-05-22 브라이엄 영 유니버시티 이소 트러스 구조물
US20120159895A1 (en) 2010-12-27 2012-06-28 David Joseph Kawecki Sheet Metal Construction Truss and its Method of Continuous Automated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8015994A2 (pt) 2018-12-18
JP2019510655A (ja) 2019-04-18
RU2018131585A3 (ko) 2020-04-09
JP6983789B2 (ja) 2021-12-17
CN108699840A (zh) 2018-10-23
EP3414408A1 (en) 2018-12-19
SE539953C2 (en) 2018-02-06
US10731344B2 (en) 2020-08-04
RU2731609C2 (ru) 2020-09-07
WO2017138864A1 (en) 2017-08-17
RU2018131585A (ru) 2020-03-10
SE1650152A1 (en) 2017-08-09
US20190040631A1 (en) 2019-02-07
KR20180121903A (ko) 2018-11-09
EP3414408A4 (en) 2019-10-16
CN108699840B (zh) 2021-05-11
MX2018009549A (es) 201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4045A (en) Cellular core structure building component
US11192322B2 (en) 3-D honeycomb foam structure
US4247218A (en) Joint for three-dimensional framed structures
US3037592A (en) Crisscross core for laminated metal structures
US3914486A (en) Shear form structures
US3663346A (en) Honeycomb core structures of minimal surface tubule sections
KR101932040B1 (ko) 모듈형 건설 시스템
US4825620A (en) Structural support of interlocking lattice construction
KR102662156B1 (ko) 밀집된 사면체를 포함하는 개방 코어 구조물을 가지는 샌드위치 구조 엘리먼트
US20180256999A1 (en) Block-based construction system
JP2005076766A (ja) 立体トラス構造面版組立体
US3950585A (en) Sandwich panel structure
US20100218437A1 (en) n-fold Hyperbolic Paraboloids and Related Structures
JP6813979B2 (ja) 構造部材
CN206394178U (zh) 一种多层蜂窝板
BR112018015994B1 (pt) Elemento de construção em sanduíche com uma estrutura de núcleo aberto composto de tetraedros acondicionados fechados
CN113653758A (zh) 蜂窝结构
JP6655561B2 (ja) 長尺厚板材を組み立てて連結した構造物
US20140060305A1 (en) Armor with Tetrahedral Core
JP2023175176A (ja) 四角錘モジュールによる立体トラス構造およびそれに用いる単位モジュール
JP3214254U (ja) 図形等学習用具
CN106739378A (zh) 一种多层蜂窝板
EP2241694B1 (en) Building block and structures using such a block
JP6927683B2 (ja) ハニカムコア
WO2023136929A1 (en) Scutoidal sub-cell and cell arrang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