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459A - 자동정량 계량장치, 그 배출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정량 계량장치, 그 배출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459A
KR20230174459A KR1020220075402A KR20220075402A KR20230174459A KR 20230174459 A KR20230174459 A KR 20230174459A KR 1020220075402 A KR1020220075402 A KR 1020220075402A KR 20220075402 A KR20220075402 A KR 20220075402A KR 20230174459 A KR20230174459 A KR 20230174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ing
roll
quantitative
hopper
food ingredi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진
김형찬
고정범
홍영선
오금윤
박정훈
김현범
김수완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75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4459A/ko
Publication of KR20230174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4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16Separating measured quantities from supply
    • B65B37/20Separating measured quantities from supply by volume measur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05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2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8Cleaning devices compri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1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machine
    • B65B2210/06Sterilising or cleaning machinery or condui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자동정량 계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정량 계량장치는 직립 설치되는 장치본체; 장치본체에 설치되는 호퍼; 호퍼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스프레드 롤; 스프레드 롤의 하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정량 롤; 및 스프레드 롤과 정량 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호퍼로 식자재가 투입되어 스프레드 롤에 의해 교반되며, 정량 롤에 의해 일정량씩 배출된다.

Description

자동정량 계량장치, 그 배출시스템 및 방법{AUTOMATIC WEIGHING APPRATUS, PRODUC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정량 계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자재를 교반하여 정량 배출하는 자동정량 계량장치, 그 배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자재 정량 작업은 사람의 인력으로 직접 작업해야 하므로 작업자가 감으로 식자재의 양을 조절하여 쉽게 피로하게 되고 양도 일정하게 맞추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작업을 하기 어렵다.
이러한 식자재의 정량 작업을 위한 해결하는 식품제조장치는, 식자재를 가공 또는 혼합하여 일정량씩 포장하는 기술이 구현되어 있으며, 식품의 정량 계량과 배출이 구현 기술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식품의 정량 배출관 관련된 식품제조장치의 선행기술로서, 등록번호 20-0445676에는 식품을 혼합하여 이송한 후, 정량 계량하여 배출하는 “재료 포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재료를 투입 저장하는 호퍼, 입구가 호퍼의 하부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이송 파이프, 이송 파이프 내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재료를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는 이송수단, 이송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재료를 담아서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계량 버킷, 계량 버킷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칭량수단, 및 칭량수단에서 칭량된 재료를 재료 포장부로 공급하는 공급슈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호퍼에 연결된 이송 스크류에 배출된 식품을 계량 버킷에 의해 정량 처리하는 구조이므로, 식자재의 혼합 및 정량 처리 측면에서 부정확하며, 정량 배출의 처리 효율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번호 제20-044567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자재를 혼합하여 자동으로 정량 계량하여 배출할 수 있으면서, 식자재의 혼합 및 정량 처리 측면에서 정확하며, 정량 배출의 처리 효율이 높은 자동정량 계량장치, 그 배출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스프레드 롤; 상기 스프레드 롤의 하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정량 롤; 및 상기 스프레드 롤과 정량 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호퍼로 식자재가 투입되어 상기 스프레드 롤에 의해 교반되며, 상기 정량 롤에 의해 일정량씩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정량 롤은 외주면부에 치형 요홈부들이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되되, 상기 치형 요홈부들에 식자재가 정량 수용되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드 롤은, 샤프트 뭉치; 및 상기 샤프트 뭉치의 외주면부에 일정 각도 및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교반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스프레드 롤을 구동시키는 스프레드 모터; 상기 정량 롤을 구동시키는 정량 모터; 및 상기 정량 롤에 결합되는 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정량 롤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회전감지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정량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장치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상부 투입부; 상기 상부 투입부에 연결되며 점차 좁아지도록 마련된 사면체의 각진 테이퍼부; 및 상기 각진 테이퍼부에 연결되며, 상기 스프레드 롤이 설치되는 사각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정량 롤은, 상기 식자재가 투입되어 수용되도록 상호 반대로 배치되는 계량 홈부; 및 상기 계량 홈부에서 원주 상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식자재를 절단하는 커팅날을 구비한 커팅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계량 홈부는 상기 정량 롤에 부채꼴 공간을 형성하여 마련되며, 상기 정량 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커팅 홈부의 커팅 날은 상기 계량 홈부의 부채꼴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정량 롤의 일측 외주 단부에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계량 홈부는 상기 정량 롤의 중심부를 향한 제1 계량 벽부, 및 상기 제1 계량 벽부와 일정 각도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정량 롤의 중심부를 향한 제2 계량 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계량 벽부와 제2 계량 벽부는 90도~ 120도 사이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커팅 홈부는 상기 정량 롤의 중심부를 향한 제1 커팅 벽부, 상기 제1 커팅 벽부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일정 각도로 형성된 제2 커팅 벽부, 및 상기 제2 커팅 벽부의 타단부에 일정 각도로 형성된 제3 커팅 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팅 날은 제2 커팅 벽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3 커팅 벽부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팅 벽부와 제2 커팅 벽부, 및 상기 제2 커팅 벽부와 제3 커팅 벽부는 85~95도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정량 롤의 계량 홈부는, 상기 정량 롤의 상부에 상호 대면하게 회전 배치됨으로써 상기 식자재를 일정량씩 수용하여 계량하는 계량 존을 형성하며, 상기 정량 롤의 하부에 상호 대면하게 회전 배치됨으로써 상기 계량 존으로부터 상기 식자재를 일정량씩 배출하되, 상기 커팅 홈부의 커팅 날은 상기 계량 홈부를 따라 회전됨으로써 상기 계량 존으로부터 상기 식자재가 배출되도록 상기 식자재를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호 이격되어 직립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 후판;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후판을 결합하며, 상호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프레임 박판;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박판에 교차하게 슬롯 구조로 결합되되, 상기 프레임 박판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호 거리가 조절되는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후판의 상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수평 가이드; 및 상기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수평 가이드에서 상기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의 조절된 위치를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호퍼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박판과 상기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식자재가 접촉하도록 상기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의 상호 마주하는 내측 벽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정량 계량정치가 상면부의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시스템 본체; 상기 시스템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자동정량 계량장치에서 배출되는 정량의 식자재를 배출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베이어 롤러; 상기 컨베이어 롤러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 구동수단; 상기 시스템 본체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후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정량의 식자재를 배출받는 정량 용기; 상기 시스템 본체에서 상기 정량 용기를 지지하는 거치부; 상기 시스템 본체에서 상기 정량 용기의 거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정량 용기를 감지하여 상기 정량 롤과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정량 계량 배출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본체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후단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식자재 잔류물을 제거하도록 직립 배치되는 브러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본체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후단 양측 부분에 고정되는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컨베이어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 서포트; 및 상기 시스템 본체에서 상기 지지 브라켓과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컨베이어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거치되는 거치 서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정량 계량 배출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호퍼의 상부로 식자재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프레드 롤에 의해 상기 식자재를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호퍼의 하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정량 롤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교반된 식자재를 일정량씩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정량 계량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식자재는 상기 스프레드 롤에 의해 교반되어 상기 한 쌍의 정량 롤 측으로 투입되되, 상기 정량 롤의 치형 요홈부들에 수용된 후 상기 정량 롤의 회전에 의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정량 롤의 회전 각도가 회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됨으로써 상기 정량 롤의 회전 각도 범위 내에 있는 치형 요홈부들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식자재가 정량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식자재를 교반하는 단계 이후, 상기 식자재가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한 쌍의 정량 롤의 계량 홈부로 수용되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정량 롤의 계량 홈부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상기 정량 롤이 회전되고, 상기 커팅 홈부의 커팅 날에 의해 상기 식자재가 절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배출하는 단계 이후, 상기 식자재가 상기 한 쌍의 정량 롤의 정량 홈부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투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후단부로 이송되는 단계;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정량 용기로 상기 식자재가 배출 수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상부로 식자재를 투입하는 단계 이후, 상기 시스템 제어부가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정량 용기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정량 롤과 스프레드 롤의 구동수단과 상기 컨베이어 구동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식자재를 혼합하여 자동으로 정량 계량하여 배출할 수 있으면서, 식자재의 혼합 및 정량 처리 측면에서 정확하며, 정량 배출의 처리 효율이 높은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자동정량 계량장치가 설치된 시스템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정량 계량장치의 입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좌측면도에 컨베이어 벨트가 적용된 배출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스프레드 롤의 입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정량 롤의 입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자동정량 계량장치의 입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호퍼의 분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정량 롤의 상하 방향에 따른 우측 뷰(right view)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정량 롤의 상세도이다.
도 15는 도 1의 거치부 측에 대한 부분 입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거치부에 대한 다른 방향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컨베이어 롤러와 브러쉬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의 컨베이어 롤러의 회전분리 상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우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복수의 자동정량 계량장치가 설치된 시스템의 입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좌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자동정량 계량정치의 정량 롤에 대한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자동정량 계량장치가 설치된 시스템의 입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정량 계량장치의 입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좌측면도에 컨베이어 벨트가 적용된 배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정량 계량장치는, 직립 설치되는 장치본체(100), 장치본체(100)에 설치되는 호퍼(110), 호퍼(11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스프레드 롤(120), 스프레드 롤(120)의 하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정량 롤(130), 및 스프레드 롤(120)과 정량 롤(130)을 구동시키는 장치 구동수단(141, 145)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정량 계량장치는, 고기와 채소 및 양념 등의 식자재가 호퍼(110)로 투입되어 스프레드 롤(120)에 의해 세분 및 분쇄되면서 교반된 후, 정량 롤(130)에 의해 일정량씩 배출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먼저, 호퍼(110)는 상부 투입부(111), 상부 투입부(111)에 연결되며 점차 좁아지도록 마련된 사면체의 각진 테이퍼부(112), 및 각진 테이퍼부(112)에 연결되며 스프레드 롤(120)이 설치되는 사각 배출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호퍼(110)는 상부 투입부(111)와 각진 테이퍼가 장치본체(100)에 결합되어 장치본체(100)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는 것으로서, 식자재가 용이하게 상부 투입부(111)로 투입되어 각진 테이퍼부(112)에 의해 스프레드 롤(120) 측으로 안내되며, 스프레드 롤(120)의 하부로 사각 배출부(115)에 의해 배출되어 정량 롤(130)들 사이로 정확하게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5는 도 2의 스프레드 롤의 입체도이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스프레드 롤(120)은 호퍼(110)의 최하단부를 이루는 사각 배출부(1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측에 마련되는 회전축이 사각 배출부(115)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 요소에 지지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레드 롤(120)은, 회전축이 양단에 마련되는 샤프트 뭉치(121), 및 샤프트 뭉치(121)의 외주면부에 일정 각도 및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교반 바(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뭉치(121)는 회전축이 양측 단부에 결합되며, 복수의 교반 바(122)가 일정 거리를 두고 90도 간격으로 일정하게 배치되도록 결합 홈부들이 형성된 구조로서, 사각 배출부(115)에서 회전 작동되면서 사각 배출부(115)로 안내된 식자재를 세분하면서 교반할 수 있다.
복수의 교반 바(122)는 원형 바 형태로 구현되어 샤프트 뭉치(121)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각 또는 삼각 형상으로도 마련될 수 있으며, 세분이 용이하게 판재 형상의 절단 날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정량 롤의 입체도이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정량 롤(130)은 스프레드 롤(120)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장치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주면부에 치형 요홈부(131)들이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치형 요홈부(131)들에 식자재가 정량 수용되어 배출되도록 한 쌍의 구조로 배치된다.
장치 구동수단(141, 145)은 스프레드 롤(120)을 구동시키는 스프레드 모터(141), 정량 롤(130)을 구동시키는 정량 모터(145), 및 정량 롤(130)에 결합되는 회전 기어인 피니언(146)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레드 모터(141)는 스프레드 롤(120)의 회전축에 직결되어 스프레드 롤(120)을 미리 설정된 속도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스프레드 롤(120)에 가해지는 부하에 따라 공급 전류가 조절되거나 제한될 수 있다.
정량 모터(145)는 정량 롤(130)의 피니언(146)에 연결되어 피니언(146)을 구동시키는 것으로서, 도시되진 않았으나 감속 기어를 통해 피니언(146)에 연결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속도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정량 롤(130)에 가해지는 부하에 따라 공급 전류가 조절되거나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스프레드 모터(141)와 정량 모터(145)는 미리 설정되는 식자재의 정량 배출량에 대응하여 속도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레드 모터(141)와 정량 모터(145)의 속도 제어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장치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 내부의 장치 제어부로 구현될 수 있다.
장치본체(100)에는 정량 롤(130)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150), 및 회전감지센서(150)에 연결되어 정량 모터(145)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장치 제어부(155)가 마련될 수 있다.
장치 제어부(155)는 회전감지센서(150)를 통해 정량 모터(145)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며, 정해진 기어비를 산입하여 정량 롤(130)의 회전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 제어부(155)는 PLC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호퍼(110)에 수동으로 투입한 식자재를 퍼뜨려 주는 상부에 위치한 스프레드 롤(120)에 의해 식자재가 퍼뜨려지고 혼합된 후, 두 개의 정량 롤(130)이 접촉하여 형성된 움푹 들어간 치형 요홈부(131)들의 공간으로 투입되고, 일정 간격과 사이즈로 치형 요홈부(131)들이 가공된 원형의 두 개의 정량 롤(130)과 연결된 기어인 피니언(146)이 서로 맞물려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면서, 상기 정량 롤(130)의 회전에 의해 식자재가 정량 롤(130)의 치형 요홈부(131)들의 공간으로 들어가고, 아래로 떨어져 배출된다. 이때는 스프레드 롤(120)과 연결된 스프레드 모터(141)가 먼저 일정 시간 동안 회전하고, 식자재가 두개의 정량 롤(130) 위에 떨어지면 시간차에 의해 정량 롤(130)과 연결된 정량 모터(145)가 회전하여 아래로 식자재를 떨어뜨린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정량 계량 배출시스템은, 상기 자동정량 계량장치, 및 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160)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동정량 계량 배출시스템은, 자동정량 계량장치에서 정량씩 혼합 배출된 식자재를 가공 또는 포장을 위한 작업 영역으로 연속 이송하여 배출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토록 한다.
한편, 전술한 자동정량 계량 배출시스템을 사용하는 자동정량 계량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정량 계량방법은, 자동정량 계량 배출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호퍼(110)의 상부로 식자재를 투입하는 단계, 호퍼(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프레드 롤(120)에 의해 식자재를 교반하는 단계, 및 호퍼(110)의 하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정량 롤(130)의 맞물림에 의해 교반된 식자재를 일정량씩 컨베이어 벨트(160) 상으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식자재는 스프레드 롤(120)에 의해 교반되어 한 쌍의 정량 롤(130) 측으로 투입되되, 정량 롤(130)의 치형 요홈부(131)들에 수용된 후 정량 롤(130)의 회전에 의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는 정량 롤(130)의 회전 각도와 속도가 회전감지센서(150)에 의해 감지됨으로써 정량 롤(130)의 회전 각도 범위 내에 있는 치형 요홈부(131)들의 개수에 대응하여 식자재가 정량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정량 계량방법은, 전술한 자동정량 계량장치와 배출시스템을 사용하므로, 식자재를 혼합 및 정량 배출하는 작업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정량 계량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주로 모자반과 같은 잎줄기 해초류나 채소류의 자동정량 계량 배출에 적합하게 구현 가능한 것으로서, 전술한 자동정량 계량장치와 함께 후술되는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우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1의 자동정량 계량장치의 입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호퍼의 분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정량 롤의 상하 방향에 따른 우측 뷰(right view)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정량 계량장치는, 장치본체(200), 장치본체(200)에 설치되는 호퍼(210), 호퍼(210)의 하측에 배치되며 계량 홈부(231)와 커팅 홈부(235)가 마련된 한 쌍의 정량 롤(230), 및 스프레드 롤(미도시)과 정량 롤(230)을 구동시키는 장치 구동수단(240)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정량 계량장치에도, 호퍼(210)의 하단부에 배치 가능한 상기 도 3 내지 도 5의 스프레드 롤(120)이 포함될 수 있다.
먼저, 장치본체(200)는 상호 이격되어 직립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 후판(211), 한 쌍의 프레임 후판(211)을 결합하며 상호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프레임 박판(212), 한 쌍의 프레임 박판(212)에 교차하게 슬롯 구조로 결합되는 호퍼 플레이트(213)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213)는 프레임 박판(2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호 거리가 조절된다.
또한, 장치본체(200)에는 한 쌍의 프레임 후판(211)의 상하 위치에 설치되며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213)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수평 가이드(214), 및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213)에 각각 마련되어 수평 가이드(214)에서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213)의 조절된 위치를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레버(215)가 더 포함된다.
실질적으로, 호퍼(210)는 한 쌍의 프레임 박판(212)과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213)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본체(200)는 한 쌍의 프레임 박판(212)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213)가 고정레버(215)에 의해 위치 고정됨으로써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213)에 의한 식자재의 투입 위치가 조정되어 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213)의 위치 결정에 따라 정량 롤(230)에 대해 호퍼(210)의 투입 위치와 범위 및 투입 범위에 따른 투입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213) 사이의 거리 조절로 식자재의 저장량과 투입량이 결정된다.
또한, 장치본체(200)에는 식자재에 접촉하도록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213)의 상호 마주하는 내측 벽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경사 형사의 상부 손잡이가 구비된 탈착 플레이트(21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경사 형사의 상부 손잡이는 식자재의 투입구를 확장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탈착 플레이트(216)는 호퍼(210)를 형성하는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213)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213)에 대한 식자재의 접촉을 방지하며, 분리 후 단순 세척됨으로써 간단하게 호퍼(210) 내부의 청소가 가능하게 만든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치본체(200)는, 전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본체(100)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스프레드 롤(미도시)은 상기와 같이 전반부로에서 설명한 교반 기능이 충분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부에 있는 식자재를 하부의 정량 롤(230) 측으로 강제 이송할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이러한 스프레드 롤(미도시)은 식자재의 종류에 따라 생략되거나 상기 구조에서 적절하게 변형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정량 롤(230)은 계량 홈부(231)가 식자재가 투입되어 수용되도록 상호 반대로 배치되며, 커팅 홈부(235)가 계량 홈부(231)에서 원주 상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위치하며 식자재를 절단하는 커팅날(239)을 구비할 수 있다.
계량 홈부(231)는 정량 롤(230)에 부채꼴 공간을 형성하여 마련되며, 정량 롤(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장치본체(200)의 폭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계량 홈부(231)는 정량 롤(230)의 중심부를 향한 제1 계량 벽부(232), 및 제1 계량 벽부(232)와 일정 각도 이격되어 위치하며 정량 롤(230)의 중심부를 향한 제2 계량 벽부(233)를 포함한다. 이때, 제1 계량 벽부(232)와 제2 계량 벽부(233)는 90도~ 120도 사이로 배치될 수 있으나, 90도 사이 간격을 두고 배치됨이 적절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계량 홈부(231)는 사분원 형상으로서,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정량 롤(230)의 회전된 위치에 따라 상부 또한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개방된 사각단면 형상인 직육면체의 사각 계량 존을 형성한다.
이러한 계량 홈부(231)에는 커팅 홈부(235)의 커팅 날(239)이 계량 홈부(231)의 부채꼴 공간을 형성하는 정량 롤(230)의 일측 외주 단부에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커팅 날(239)은 정량 롤(230)이 회전되어 계량 홈부(231)가 상부에서 하부로 회전되는 동안, 모자반과 같은 줄기와 잎을 갖는 식자재를 절단할 수 있다.
커팅 홈부(235)는 정량 롤(230)의 중심부를 향한 제1 커팅 벽부(236), 제1 커팅 벽부(236)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일정 각도로 형성된 제2 커팅 벽부(237), 및 제2 커팅 벽부(237)의 타단부에 일정 각도로 형성된 제3 커팅 벽부(238)를 포함한다.
이때, 커팅 날(239)은 제2 커팅 벽부(237)에 마련되어 제3 커팅 벽부(238)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커팅 날(239)은 중간부에서 끝으로 테이퍼져 예리하게 가공된 칼날로서 일자 날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곡선 또는 파형의 칼날을 구비할 수 있으며, 톱니 형상의 칼날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커팅 벽부(236)와 제2 커팅 벽부(237), 및 제2 커팅 벽부(237)와 제3 커팅 벽부(238)는 85~95도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정량 롤(230)의 계량 홈부(231)는, 정량 롤(230)의 상부에 상호 대면하게 회전 배치됨으로써 식자재를 일정량씩 수용하여 계량하는 사각 계량 존을 형성하며, 정량 롤(230)의 하부에 상호 대면하게 회전 배치됨으로써 사각 계량 존으로부터 식자재를 일정량씩 배출한다. 이때 커팅 홈부(235)의 커팅 날(239)은 계량 홈부(231)를 따라 회전됨으로써 계량 존으로부터 식자재가 배출되도록 식자재를 절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자동정량 계량정치가 설치되는 자동정량 계량 배출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는 도 1의 거치부 측에 대한 부분 입체도이며, 도 16은 도 15의 거치부에 대한 다른 방향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자동정량 계량 배출시스템은, 자동정량 계량정치가 상면부의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시스템 본체(300); 시스템 본체(3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자동정량 계량장치에서 배출되는 정량의 식자재를 배출하는 컨베이어 벨트(160, 310); 컨베이어 벨트(160, 31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베이어 롤러(311); 및 컨베이어 롤러(311)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 구동수단(320)을 포함한다.
시스템 본체(300)에는 컨베이어 벨트(310)의 후단부에 설치되되, 정량의 식자재를 배출받는 정량 용기(330); 시스템 본체(300)에서 정량 용기(330)를 지지하는 거치부(340); 시스템 본체(300)에서 정량 용기(330)의 거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50); 및 감지센서(350)에 연결되어 거치부(340)에 거치되는 정량 용기(330)를 감지하여 정량 롤(230)와 컨베이어 벨트(310)를 구동시키는 시스템 제어부(36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정량 계량 배출시스템은, 전술한 실시 예들의 자동정량 계량장치가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호퍼(210)를 통해 투입되는 식자재를 스프레드 롤(120)에 의해 정량 롤(130, 230) 측으로 이동시키고, 정량 롤(130, 230)에 의해 식자재를 정량 계량하여 컨베이어 벨트(160, 310) 측으로 투하한 후, 컨베이어 벨트(160, 310)에 의해 정량 용기(330) 측으로 이송하여 정량 용기(330)에 식자재를 정량으로 담을 수 있는 자동 공정을 수행한다.
자동 공정은 정량 용기(330)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50)를 통해 시스템 제어부(360)가 장치 구동수단(145, 240)과 컨베이어 구동수단(320)을 작동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시작되어 수행될 수 있다. 자동 공정의 수행은 시스템 제어부(36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본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옵션을 통해 수동으로 설정된 후 사용자의 시작 버튼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거치부에 대한 다른 방향 확대도이며, 도 17은 도 15의 컨베이어 롤러와 브러쉬의 정면도이다.
도 16과 도 17을 더 참조하면, 시스템 본체(300)에는 컨베이어 벨트(310)의 후단 하부에 설치되되, 컨베이어 벨트(310)에서 식자재 잔류물을 제거하도록 직립 배치되는 브러쉬(3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브러쉬(370)는 순환 작동되는 컨베이어 벨트(310)에 묻은 식자재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컨베이어 벨트(310)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는 지점에서 컨베이어 벨트(310)를 청소하게 된다.
도 18은 도 1의 컨베이어 롤러의 회전분리 상태도이며, 도 19는 도 18의 우측면도이다.
도 18과 도 19를 더 참조하면, 시스템 본체(300)에는 컨베이어 벨트(310)의 후단 양측 부분에 고정되는 지지 브라켓(381), 지지 브라켓(38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컨베이어 롤러(31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 서포트(382), 및 시스템 본체(300)에서 지지 브라켓(381)과 이격되어 위치하며 컨베이어 롤러(311)가 회전 가능하게 거치되는 거치 서포트(38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는 컨베이어 벨트(310)의 회전축(312)이 지지되는 베어링(384)이 거치 서포트(383)에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310)는 회전축(312)이 거치 서포트(383)에서 분리된 후, 롤러 서포트(382)가 지지 브라켓(381)을 기준으로 회전됨으로써 순환 작동을 위한 컨베이어 벨트(310) 자체의 장력에 의한 양단부 컨베이어 롤러(311)의 긴장 구조가 완화 해제되는 것으로서, 벨트 설치 및 정비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컨베이어 벨트(310)의 후단부에는, 식자재를 거치부(340)에 안치되는 정량 용기(330)로 안내하는 경사배출 가이드(39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복수의 자동정량 계량장치가 설치된 시스템의 입체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좌측면도이다.
도 2와 도 12 및 도 20과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자동정량 계량 배출시스템에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량 롤(130)이 적용되어 육류와 같은 식자재를 정량 배출하는 자동정량장치를 복수로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자반과 같은 해초류 또는 채소류를 자동 전달 및 정량하여 배출시키는 정량 롤(230)이 적용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정량장치를 복수로 설치할 수 있으며, 상호 다른 종류의 자동정량장치를 혼합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이처럼 자동정량 계량 배출시스템의 컨베이어 벨트(160, 310) 상에는 정량 가공 또는 포장할 대상의 식자재를 정량 배출시키는 자동정량장치를 단수 또는 복수로 적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호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자동정량 계량 배출시스템을 사용한 자동정량 계량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2는 도 20의 자동정량 계량정치의 정량 롤에 대한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도 7 내지 도 14,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정량 계량방법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정량정치가 적용된 자동정량 계량 배출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호퍼(210)의 상부로 식자재(f)를 투입하는 단계, 호퍼(2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프레드 롤(미도시)에 의해 식자재(f)를 교반하는 단계, 및 호퍼(210)의 하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정량 롤(230)의 맞물림에 의해 교반된 식자재(f)를 일정량씩 컨베이어 벨트(310) 상으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식자재(f)를 교반하는 단계 이후, 식자재(f)가 호퍼(2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정량 롤(230)의 계량 홈부(231)로 수용되는 단계, 및 한 쌍의 정량 롤(230)의 계량 홈부(231)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정량 롤(230)이 90도 더 회전되고, 커팅 홈부(235)의 커팅 날(239)에 의해 식자재(f)가 절단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 쌍의 정량 롤(230)은 한 쌍의 계량 홈부(231)가 상부를 향한 상태에서, 스프레드 롤러에 의해 식자재(f)가 투입되어 수용되며, 하부를 향한 상태에서 식자재(f)를 컨베이어 벨트(310) 측으로 쏟아 낸다.
이때, 정량 롤(230)의 회전 각도가 회전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됨으로써 정량 롤(230)의 회전 각도 범위 내에 있는 계량 홈부(231)들의 개수에 대응하여 식자재(f)가 정량 배출될 수 있다. 회전감지센서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도 2의 회전감지센서(120)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310) 상으로 배출하는 단계 이후, 식자재(f)가 한 쌍의 정량 롤(230)의 계량 홈부(231)에서 컨베이어 벨트(310) 상으로 투하되어 컨베이어 벨트(310)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310)의 후단부로 이송되는 단계, 및 컨베이어 벨트(310)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정량 용기(330)로 식자재(f)가 배출 수용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호퍼(210)의 상부로 식자재(f)를 투입하는 단계 이후에는, 시스템 제어부(360)가 감지센서(350)를 통해 거치부(340)에 거치되는 정량 용기(330)를 감지함으로써 정량 롤(230)과 스프레드 롤(미도시)의 구동수단과 컨베이어 구동수단(320)을 작동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는, 정량 용기(330)가 거치부(340)에 거치됨으로써 자동정량 계량 배출시스템이 작동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자동정량 계량방법은, 자동정량 계량 배출시스템을 사용하여 식자재(f)를 자동으로 정량 배출하여 컨베이어 벨트(310)로 이송하고, 정량 용기(330)에 수용하여 여러 정량 가공 공정이나 포장 공정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장치본체 110: 호퍼
111: 상부 투입부 112: 각진 테이퍼부
115: 사각 배출부 120: 스프레드 롤
121: 샤프트 뭉치 122: 교반 바
130: 정량 롤 131: 치형 요홈부
141: 스프레드 모터 145: 정량 모터
146: 피니언 150: 회전감지센서
160: 컨베이어 벨트
200: 장치본체 210: 호퍼
211: 프레임 후판 212: 프레임 박판
213: 호퍼 플레이트 214: 수평 가이드
215: 고정레버 216: 탈착 플레이트
230: 정량 롤
231: 계량 홈부 232: 제1 계량 벽부
233: 제2 계량 벽부 235: 커팅 홈부
236: 제1 커팅 벽부 237: 제2 커팅 벽부
238: 제3 커팅 벽부 239: 커팅날
240: 장치 구동수단 255: 장치 제어부
300: 시스템 본체 310: 컨베이어 벨트
311: 컨베이어 롤러 320: 컨베이어 구동수단
330: 정량 용기 340: 거치부
350: 감지센서
360: 시스템 제어부 370: 브러쉬
381: 지지 브라켓 382: 롤러 서포트
383: 거치 서포트 384: 베어링

Claims (22)

  1.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스프레드 롤;
    상기 스프레드 롤의 하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정량 롤; 및
    상기 스프레드 롤과 정량 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호퍼로 식자재가 투입되어 상기 스프레드 롤에 의해 교반되며, 상기 정량 롤에 의해 일정량씩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배출 계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량 롤은 외주면부에 치형 요홈부들이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되되, 상기 치형 요홈부들에 식자재가 정량 수용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배출 계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드 롤은,
    샤프트 뭉치; 및
    상기 샤프트 뭉치의 외주면부에 일정 각도 및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교반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정량 계량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스프레드 롤을 구동시키는 스프레드 모터;
    상기 정량 롤을 구동시키는 정량 모터; 및
    상기 정량 롤에 결합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정량 계량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량 롤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회전감지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정량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장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정량 계량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상부 투입부;
    상기 상부 투입부에 연결되며 점차 좁아지도록 마련된 사면체의 각진 테이퍼부; 및
    상기 각진 테이퍼부에 연결되며, 상기 스프레드 롤이 설치되는 사각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정량 계량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정량 롤은,
    상기 식자재가 투입되어 수용되도록 상호 반대로 배치되는 계량 홈부; 및
    상기 계량 홈부에서 원주 상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식자재를 절단하는 커팅날을 구비한 커팅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정량 계량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계량 홈부는 상기 정량 롤에 부채꼴 공간을 형성하여 마련되며, 상기 정량 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커팅 홈부의 커팅 날은 상기 계량 홈부의 부채꼴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정량 롤의 일측 외주 단부에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정량 계량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계량 홈부는 상기 정량 롤의 중심부를 향한 제1 계량 벽부, 및 상기 제1 계량 벽부와 일정 각도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정량 롤의 중심부를 향한 제2 계량 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계량 벽부와 제2 계량 벽부는 90도~ 120도 사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정량 계량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커팅 홈부는 상기 정량 롤의 중심부를 향한 제1 커팅 벽부, 상기 제1 커팅 벽부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일정 각도로 형성된 제2 커팅 벽부, 및 상기 제2 커팅 벽부의 타단부에 일정 각도로 형성된 제3 커팅 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팅 날은 제2 커팅 벽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3 커팅 벽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커팅 벽부와 제2 커팅 벽부, 및 상기 제2 커팅 벽부와 제3 커팅 벽부는 85~95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정량 계량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정량 롤의 계량 홈부는,
    상기 정량 롤의 상부에 상호 대면하게 회전 배치됨으로써 상기 식자재를 일정량씩 수용하여 계량하는 계량 존을 형성하며,
    상기 정량 롤의 하부에 상호 대면하게 회전 배치됨으로써 상기 계량 존으로부터 상기 식자재를 일정량씩 배출하되,
    상기 커팅 홈부의 커팅 날은 상기 계량 홈부를 따라 회전됨으로써 상기 계량 존으로부터 상기 식자재가 배출되도록 상기 식자재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정량 계량장치.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호 이격되어 직립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 후판;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후판을 결합하며, 상호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프레임 박판;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박판에 교차하게 슬롯 구조로 결합되되, 상기 프레임 박판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호 거리가 조절되는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후판의 상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수평 가이드; 및
    상기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수평 가이드에서 상기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의 조절된 위치를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호퍼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박판과 상기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정량 계량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식자재가 접촉하도록 상기 복수의 호퍼 플레이트의 상호 마주하는 내측 벽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정량 계량장치.
  14. 청구항 1 및 청구항 7 중 하나 이상에 따른 상기 자동정량 계량정치가 상면부의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시스템 본체;
    상기 시스템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자동정량 계량장치에서 배출되는 정량의 식자재를 배출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베이어 롤러;
    상기 컨베이어 롤러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 구동수단;
    상기 시스템 본체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후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정량의 식자재를 배출받는 정량 용기;
    상기 시스템 본체에서 상기 정량 용기를 지지하는 거치부;
    상기 시스템 본체에서 상기 정량 용기의 거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정량 용기를 감지하여 상기 정량 롤과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자동정량 계량 배출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본체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후단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식자재 잔류물을 제거하도록 직립 배치되는 브러쉬를 더 포함하는 것을 자동정량 계량 배출시스템.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본체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후단 양측 부분에 고정되는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컨베이어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 서포트; 및
    상기 시스템 본체에서 상기 지지 브라켓과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컨베이어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거치되는 거치 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자동정량 계량 배출시스템.
  17. 청구항 14의 자동정량 계량 배출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호퍼의 상부로 식자재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프레드 롤에 의해 상기 식자재를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호퍼의 하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정량 롤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교반된 식자재를 일정량씩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정량 계량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식자재는 상기 스프레드 롤에 의해 교반되어 상기 한 쌍의 정량 롤 측으로 투입되되, 상기 정량 롤의 치형 요홈부들에 수용된 후 상기 정량 롤의 회전에 의해 하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정량 계량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정량 롤의 회전 각도가 회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됨으로써 상기 정량 롤의 회전 각도 범위 내에 있는 치형 요홈부들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식자재가 정량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정량 계량방법.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식자재를 교반하는 단계 이후,
    상기 식자재가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한 쌍의 정량 롤의 계량 홈부로 수용되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정량 롤의 계량 홈부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상기 정량 롤이 회전되고, 상기 커팅 홈부의 커팅 날에 의해 상기 식자재가 절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정량 계량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배출하는 단계 이후,
    상기 식자재가 상기 한 쌍의 정량 롤의 정량 홈부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투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후단부로 이송되는 단계;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정량 용기로 상기 식자재가 배출 수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정량 계량방법.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상부로 식자재를 투입하는 단계 이후, 상기 시스템 제어부가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정량 용기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정량 롤과 스프레드 롤의 구동수단과 상기 컨베이어 구동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정량 계량방법.
KR1020220075402A 2022-06-21 2022-06-21 자동정량 계량장치, 그 배출시스템 및 방법 KR202301744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402A KR20230174459A (ko) 2022-06-21 2022-06-21 자동정량 계량장치, 그 배출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402A KR20230174459A (ko) 2022-06-21 2022-06-21 자동정량 계량장치, 그 배출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459A true KR20230174459A (ko) 2023-12-28

Family

ID=89385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402A KR20230174459A (ko) 2022-06-21 2022-06-21 자동정량 계량장치, 그 배출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445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676Y1 (ko) 2008-10-01 2009-08-24 김형곤 재료 포장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676Y1 (ko) 2008-10-01 2009-08-24 김형곤 재료 포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0990B2 (en) Combination weigher with peripheral annular recycling table
EP2083660B1 (en) Apparatus for preparing baby milk from instant formula
EP1588944A1 (en) Apparatus for feeding articles to a blister band
CN102046052A (zh) 分配计量粉末产品的设备以及使用该设备的饮料机
HU209987B (en) Device for mixing and homogenizating bulk materials, favourably flour and similars
KR20230174459A (ko) 자동정량 계량장치, 그 배출시스템 및 방법
RU7717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х смесей
JP2005087024A (ja) 食材盛付装置
JP7287644B2 (ja) 豆腐のパック詰め装置
JPH05304870A (ja) 製麺装置
US20070039763A1 (en) Product dispersion device for feeding control
JP3718727B2 (ja) 組合せ秤の分散供給装置
KR102476382B1 (ko) 쌀밥 성형 장치
CN216102989U (zh) 用于分送固体物料的分配设备
JPH0775522B2 (ja) 粉体定量供給装置
JP3965428B2 (ja) 混合システムおよび混合方法
JP4588743B2 (ja) 保温機能付食材供給装置
JP2024049368A (ja) 具材トッピング装置
CN220836442U (zh) 一种撒粉装置
KR200488446Y1 (ko) 그라우팅 배합기
RU2259313C1 (ru) Шнековый дозатор
CN113895700A (zh) 用于分送固体物料的分配设备
JP3424108B2 (ja) 製茶精揉機分配供給方法並びに装置
JP2838350B2 (ja) 組合せ計量装置
JPH0712626A (ja) 柔軟な線状物の自動計量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