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484A -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및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감속기 기어간 초기 유격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및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감속기 기어간 초기 유격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484A
KR20230173484A KR1020220074296A KR20220074296A KR20230173484A KR 20230173484 A KR20230173484 A KR 20230173484A KR 1020220074296 A KR1020220074296 A KR 1020220074296A KR 20220074296 A KR20220074296 A KR 20220074296A KR 20230173484 A KR20230173484 A KR 20230173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actuator
pinion shaft
gear
holder
clearance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무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4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3484A/ko
Priority to US18/211,186 priority patent/US20230406403A1/en
Publication of KR20230173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01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21Electric motor acting on or near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4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1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 links or levers, and cams, or members of at least two of these types
    • F16H37/12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 links or levers, and cams, or members of at least two of these type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oscillating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16H57/022Adjustment of gear shafts o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9Gearboxes for accommodating worm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12Arrangements for adjusting or for taking-up backlash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 B60Y2400/702Worm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01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conveying reciprocating or limited rotary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21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with means for adjusting align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4Gearboxes combined or connected with electric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82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pplication in vehicles other than propelling, e.g. adjustment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16H57/022Adjustment of gear shafts or bearings
    • F16H2057/0222Lateral adjustment
    • F16H2057/0224Lateral adjustment using eccentric bu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12Arrangements for adjusting or for taking-up backlash not provided for elsewhere
    • F16H2057/125Adjustment of backlash during mounting or assembly of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스티어링 액츄에이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과, 상기 웜과 치합되어 회전하는 웜휠로 구성된 제1 감속부; 상기 웜휠의 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웜휠과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축; 상기 피니언축에 형성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피트먼암을 작동시키는 출력축으로 구성된 제2 감속부; 상기 웜이 수용되며 상기 모터와 결합되는 제1 기어하우징; 상기 피니언축이 수용되어 장착되는 제1 장착부와, 상기 제1 장착부와 이격되어 상기 출력축이 수용되어 장착되는 제2 장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기어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기어하우징; 및 상기 피니언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피니언축과 상기 출력축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도록 상기 피니언축의 중심축과 편심되는 회전 중심축을 갖도록 마련된 홀더;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및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감속기 기어간 초기 유격 조정 방법{Steering actuator and initial free play adjustment method between reducer gears of the steering actuator}
본 발명은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차 적용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및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감속기 기어간 초기 유격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향장치는 운전자의 스티어링 휠의 조작력을 보조하여 운전 조작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파워스티어링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고, 파워스티어링은 유압을 이용한 유압식과, 유압과 모터의 전동력을 동시에 이용하는 전동 유압식, 모터의 전동력만을 이용한 전동식 등이 개발되어 적용되었다.
최근에는 스티어링 휠과 바퀴사이의 스티어링 컬럼이나 유니버설 조인트와 같은 기계적인 연결장치를 제거하는 대신에 모터와 같은 전동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Steer By Wire; SBW)식 조향장치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는 일반적으로 모터의 회전력을 웜과 웜휠 구조를 통하여 피니언축으로 동력을 출력하여 바퀴를 조타시키거나, 출력축에 설치된 피트먼암을 통해 차량을 조향시키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가 소형차 또는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제품구조상 출력축(피니언축)의 구동범위가 작기 때문에 큰 감속비가 요구되고 있음은 물론, 감속기 기어들 간의 원활한 물림을 위해 초기 유격 조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2단 감속구조를 갖도록 마련하여 큰 감속비를 제공할 수 있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및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감속기 기어간 초기 유격 조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감속기어간 백래쉬(backlash)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및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감속기 기어간 초기 유격 조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과, 상기 웜과 치합되어 회전하는 웜휠로 구성된 제1 감속부; 상기 웜휠의 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웜휠과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축; 상기 피니언축에 형성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피트먼암을 작동시키는 출력축으로 구성된 제2 감속부; 상기 웜이 수용되며 상기 모터와 결합되는 제1 기어하우징; 상기 피니언축이 수용되어 장착되는 제1 장착부와, 상기 제1 장착부와 이격되어 상기 출력축이 수용되어 장착되는 제2 장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기어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기어하우징; 및 상기 피니언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피니언축과 상기 출력축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도록 상기 피니언축의 중심축과 편심되는 회전 중심축을 갖도록 마련된 홀더;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피니언축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의 상부측에서 조립되는 상부 베어링과, 상기 피니언축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의 하부측에서 조립되는 하부 베어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상부 베어링이 조립되는 상부 조립홈이 형성된 상부홀더와, 상기 하부 베어링이 조립되는 하부 조립홈이 형성된 하부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조립홈과 하부 조립홈은 상기 피니언축과 동일 중심축을 갖도록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조립홈과 하부 조립홈 사이에는 상기 상부 베어링의 외륜과 상기 하부 베어링의 외륜을 지지하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부홀더는 상기 피니언축의 중심축과 편심되는 중심축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홀더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니언축의 중심축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축의 축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며 상기 상부 베어링과 상기 하부 베어링을 상기 홀더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 베어링의 상측에 배치되는 웨이브 와셔와, 상기 하부 베어링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베어링의 내륜을 지지하도록 상기 피니언축에 스택킹 조립되는 락링과, 상기 피니언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웨이브 와셔를 통해 상기 상부 베어링의 내륜을 지지하도록 가압하는 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웨이브 와셔는 상기 플랜지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변형되며 공차를 흡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장착부와 제2 장착부는 서로 연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장착부에는 상기 하부홀더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안착턱이 마련되고, 상기 안착턱의 상단면에는 상기 상부홀더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상부홀더의 외측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결합편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어하우징에는 상기 복수의 결합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된 유격조정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편에는 볼트가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공은 상기 하부홀더의 원주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홀더는 상기 피니언축의 제1 기어와 출력축의 제2 기어간 백래쉬 조정 후 장공 및 체결공을 통해 상기 유격조정돌기에 볼트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와 제2 기어는 피니언 기어 또는 헬리컬 기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어하우징의 제1 장착부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소정 길이를 갖는 유격조정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1 기어하우징에는 상기 유격조정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유격조정돌기가 삽입되는 유격조정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격조정홈은 상기 유격조정돌기 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격조정돌기와 상기 유격조정홈은 상기 웜과 웜휠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기어하우징은 상기 유격조정홈과 상기 유격조정돌기를 통해 이동되며 상기 웜과 웜휠 간의 백래쉬 조정 후 볼트에 의해 제2 기어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을 상기 제2 장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 기어를 기준으로 상기 출력축의 상부측에서 조립되어 상기 출력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기어를 기준으로 상기 출력축의 하부측에서 조립되어 상기 출력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출력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니들 베어링과, 상기 니들 베어링이 중심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장착부에 압입되는 베어링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출력축의 단차부에 내륜이 지지되며 외륜이 제2 기어하우징의 장착홀에 지지되는 고정 베어링과, 상기 고정 베어링의 내륜을 지지하도록 상기 출력축에 나사결합되는 락너트와, 내측이 상기 락너트를 수용하며 외측이 상기 제2 기어하우징의 장착홀에 나사결합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의 내측과 상기 출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더스트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웜과 치합되는 웜휠의 중심에 설치되는 피니언축; 상기 피니언축에 형성된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가 형성된 출력축; 및 상기 피니언축에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축의 중심축과 편심되는 회전 중심축을 갖도록 마련된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축의 중심축이 가변되도록 상기 홀더의 회전 중심축을 회전시켜 상기 제1 기어와 제2 기어간의 백래쉬를 조정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감속기 기어간 초기 유격 조정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웜이 수용되며 상기 웜과 치합하는 웜휠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제1 기어하우징; 상기 웜휠이 배치되어 장착되는 제2 기어하우징; 상기 웜휠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기어하우징에 마련되는 복수의 유격조정돌기; 및 상기 유격조정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유격조정공기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1 기어하우징에 마련되는 유격조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유격조정홈과 유격조정돌기는 상기 웜과 웜휠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되, 상기 유격조정홈은 상기 유격조정돌기에 비해 긴 길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유격조정돌기와 상기 유격조정홈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기어하우징을 이동시켜 상기 웜과 웜휠 간의 백래쉬를 조정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감속기 기어간 초기 유격 조정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는 2단 감속구조를 갖도록 마련하여 큰 감속비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소형차에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감속기 기어간 초기 유격 조정 방법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감속기어들 간의 백래쉬(backlash)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기어들 간의 치물림 이탈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함은 물론, 안정적인 조향 구동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감속 기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제1 감속부와 홀더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제2 감속부와 고정부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홀더와 제2 기어하우징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홀더를 통해 피니언축의 중심축이 가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홀더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제1 기어하우징과 제2 기어하우징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제1 기어하우징과 제2 기어하우징의 유격조정구조를 통해 웜과 웜휠의 백래쉬를 조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감속 기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제1 감속부와 홀더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제2 감속부와 고정부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홀더와 제2 기어하우징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홀더를 통해 피니언축의 중심축이 가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홀더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제1 기어하우징과 제2 기어하우징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제1 기어하우징과 제2 기어하우징의 유격조정구조를 통해 웜과 웜휠의 백래쉬를 조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1000)는 모터(10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감속부(1100), 상기 제1 감속부(1100)와 연결되는 제2 감속부(1200), 상기 감속부들(1100, 1200)이 내부에 장착되도록 감싸는 제1 기어하우징(1400) 및 제2 기어하우징(1500)과, 제2 감속부(1200)의 기어간 백래쉬를 조정하도록 마련된 홀더(1300) 및 제1 감속부(1100)의 기어간 백래쉬를 조정하도록 마련된 유격조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액츄에이터(1000)는 2단 감속구조를 갖추어 큰 감속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소형차 또는 모빌리티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 감속부(1100)는 웜(1110)과 웜휠(1120)로 구성될 수 있다.
웜(1110)은 모터(10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웜(1110)은 모터(1010)의 회전축과 동축상으로 연결되거나, 모터(1010)의 회전축으로서 기능하도록 모터(10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웜(1110)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제1 기어하우징(1400)에 수용된다. 즉, 웜(1110)이 수용된 위치의 제1 기어하우징(1400)에 모터(1010)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그 반대편에 윔(1110)을 지지하는 베어링(1111)이 설치될 수 있다.
웜휠(1120)은 웜(1110)과 치합되어 웜(11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도록 마련된다. 이에 웜휠(1120)은 웜(1110)의 회전에 따른 동력을 감속하여 후술할 제2 감속부(1200)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웜휠(1120)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피니언축(1130)이 결합된다. 피니언축(1130)은 웜휠(1120)의 중심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에 피니언축(1130)은 웜휠(1120)과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웜휠(1120)의 하부측에 위치된 피니언축(1130)에 제2 감속부(1200)의 제1 기어(121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1210)는 피니언축(1130)의 외측면이 가공되어 피니언축(1130)과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별도로 제1 기어가 형성된 기어부가 피니언축(113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웜휠(1120)의 상부측에 위치된 피니언축(1130)에는 센싱유닛(1600)이 마련될 수 있다. 센싱유닛(1600)은 웜휠(112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피니언축(1130)에 연결된다. 센싱유닛(1600)은 모터(101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윔휠(1120)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앵글센서로 마련되거나, 토크와 회전 각도를 하나의 센서에서 감지할 수 있는 토크 앵글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센싱 유닛(1600)은 웜휠(1120)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여 검출된 측정값을 전자제어유닛(미도시)으로 송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조향휠의 작동에 따른 바퀴의 조향각을 검출하여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조향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유닛(1600)은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미설명된 참조부호 '1610'은 제1 기어하우징(1400)의 개구된 제2 수용부(1420)의 일측면을 폐쇄시키는 센싱커버이다.
제2 감속부(1200)는 피니언축(1130)에 형성된 제1 기어(1210)와, 제1 기어(1210)와 치합되는 제2 기어(1220)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출력축(120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1210)와 제2 기어(1220)는 피니언 기어(평기어) 또는 헬리컬 기어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피니언축(1130)과 출력축(1201)이 서로 평행한 축을 가지며 동력을 전달받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출력축(1201)은 고정부재(1230)에 의해 제2 기어하우징(150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출력축(1201)은 제2 기어하우징(1500)의 제2 장착부(1520)에 수용되어 장착되며, 제1 기어(12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이때, 출력축(1201)의 하단에는 피트먼암(1020)이 결합되어 출력축(1201)의 회전에 따라 피트먼암(1020)을 작동시키게 된다. 피트먼암(1020)의 단부에는 타이로드 또는 너클암과 연결되는 링크(미도시)가 결합되어 있어 피트먼암(1020)의 회전에 의해 바퀴가 조타된다.
고정부재(1230)는 제2 기어(1220)를 기준으로 출력축(1201)의 상부측에서 조립되어 출력축(1201)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 고정부(1231)와, 제2 기어(1220)를 기준으로 출력축(1201)의 하부측에서 조립되어 출력축(1201)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고정부(1235)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231)는 출력축(1201)의 상단에 결합되는 니들 베어링(1232)과, 니들 베어링(1232)이 중심에 설치되며 제2 장착부(1520)에 압입되는 베어링 커버(12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베어링 커버(1233)는 절개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어링 커버(1233)는 제1 장착부(1510)와 대향되는 면의 일부가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정부재(1230)로 제2 장착부(1520)에 출력축(1201)을 조립 시 제1 장착부(1510)에 설치되는 부품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함이다.
제2 고정부(1235)는 출력축(1201)의 하부에서 출력축(1201)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1235)는 고정 베어링(1236), 락너트(1237) 및 플러그(1238)를 포함하며, 제2 장착부(1520)의 하부측에 형성된 장착홀(1525)에 장착될 수 있다.
고정 베어링(1236)은 중심에 출력축(1201)이 결합되며, 외륜이 장착홀(1525)에 압입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베어링(1236)은 내륜의 상단이 출력축(1201)의 단차부에 지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락너트(1237)는 고정 베어링(1236)의 하측에서 내륜을 지지하도록 출력축(1201)에 나사결합된다. 이에, 락너트(1237)의 내주면과, 락너트(1237)가 결합되는 위치의 출력축(1201)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가공될 수 있다.
플러그(1238)는 내측에 락너트(1237)가 수용되도록 중심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외측이 장착홀(1525)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플러그(1238)의 상단은 고정 베어링(1236)의 외륜을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고정 베어링(1236)이 제2 기어하우징(1500)에 결실하게 고정된 상태로 출력축(1201)을 지지하고, 니들 베어링(1232)이 출력축(1201)의 상단에서 지지함으로써 출력축(1201)의 축방향이동이 방지된 상태로 원활히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플러그(1238)의 하단에는 플러그(1238)의 관통된 중심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더스트씰(1239)이 플러그(1238)의 내측과 출력축(120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니언축(11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축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홀더(1300)가 마련된다. 이 홀더(1300)는 피니언축(1130)의 축방향 움직임을 제한함은 물론, 피니언축(1130)과 출력축(1201)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홀더(1300)는 피니언축(1130)에 결합되는 상부 베어링(1330)과 하부 베어링(1340), 상부 베어링(1330)이 조립되는 상부홀더(1310) 및 하부 베어링(1340)이 조립되는 하부홀더(1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홀더(1310)에는 상부측에서 상부 베어링(1330)이 조립되도록 상부 조립홈(13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상부홀더(1310)는 제2 기어하우징(1500)의 제1 장착부(1510)에 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부홀더(1310)의 외측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결합편(1315)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상부홀더(13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결합편(1315)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결합편(1315)에는 홀더(1300)를 제2 기어하우징(1500)에 고정시키도록 볼트가 관통하는 결합공(1316)이 형성된다. 이때, 결합공(1316)은 후술할 하부홀더(1320)의 원주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부홀더(1320)에는 하부측에서 하부 베어링(1340)이 조립되도록 하부 조립홈(13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하부홀더(1320)는 상부홀더(1310)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홀더(1320)는 피니언축(1130)의 중심축(C)과 편심되는 회전 중심축(R)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홀더(1320)의 중심축(R)이 피니언축(1130)의 중심축(C)과 편심되게 형성된 것을 피니언축(1130)의 위치를 가변시켜 출력축(1201)과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피니언축(113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 조립홈(1312)과 하부 조립홈(1322)에 결합되는 상부 베어링(1330)과 하부 베어링(1340)은 각각 피니언축(1130)에 결합되어 피니언축(1130)이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상부 조립홈(1312)과 하부 조립홈(1322)은 피니언축(1130)과 동일 중심축을 갖도록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조립홈(1312)과 하부 조립홈(1322)은 피니언축(1130)이 관통되도록 서로 연통된다. 이에, 상부 조립홈(1312)과 하부 조립홈(1322) 사이에는 상부 베어링(1330)과 하부 베어링(1340)의 지지를 위하여 스토퍼(1350)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1350)는 상부 조립홈(1312)과 하부 조립홈(1322) 사이에서 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스토퍼(1350)는 상부 조립홈(1312)에 설치되는 상부 베어링(1330)의 외륜 하측 및 하부 조립홈(1322)에 설치되는 하부 베어링(1340)의 외륜 상측을 지지하며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부 베어링(1330)과 하부 베어링(1340)에 조립되는 피니언축(1130)은 축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고정수단에 의해 상부 베어링(1330)과 하부 베어링(1340)을 홀더(1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수단은 상부 베어링(13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웨이브 와셔(1361)와, 하부 베어링(1340)의 하측에 배치되는 락링(1362)과, 웨이브 와셔(1361)를 지지하는 플랜지(113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플랜지(1131)는 피니언축(1130)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피너언축(1130)을 상부 베어링(1330)에 조립시 플랜지(1131)가 웨이브 와셔(1361)를 상단으로부터 가압하며 조립된다. 이에, 웨이브 와셔(1361)는 플랜지(1131)에 의해 가압되어 상부 베어링(1330)의 내륜을 지지하도록 탄성변형되며 공차를 흡수하게 된다. 또한, 락링(1362)은 하부 베어링(1340)의 하측에서 내륜을 지지하도록 피니언축(1130)에 스택킹 조립된다. 따라서, 상부 베어링(1330)과 하부 베어링(1340)의 외륜은 홀더(1300)의 스토퍼(1350)에 의해 각각 하측과 상측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상부 베어링(1330)과 하부 베어링(1340)의 내륜이 고정수단에 의해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움직임이 제한되어 피니언축(1130)의 축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제1 기어하우징(1400)은 제1 감속부(1100)를 감싸며 제2 기어하우징(15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기어하우징(1400)은 웜(1110)이 수용되는 제1 수용부(도 11의 '1410' 참조)와, 웜휠(1120)이 수용되는 제2 수용부(1420)를 구비한다. 이때, 웜(1110)과 웜휠(1120)이 치합되도록 제1 수용부(1410)와 제2 수용부(1420)는 서로 연통되게 마련된다. 또한, 제2 수용부(1420)는 상하가 관통되도록 마련되어 제1 기어하우징(1400)의 하부측에 제2 기어하우징(1500)이 결합되고, 제2 수용부(1420)의 상부측에 센싱커버(1610)가 결합됨으로써 제2 수용부(1420)에 웜휠(1120)이 수용되게 된다.
한편, 제1 기어하우징(1400)에는 유격조정홈(1430)이 형성되고, 제2 기어하우징(1500)에는 유격조정돌기(1530)가 마련된다. 이 유격조정홈(1430)과 유격조정돌기(1530)는 웜(1110)과 웜휠(1120) 간의 백래쉬를 조정하기 위한 유격조정수단으로서, 유격을 조정하는 구조 및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실명하기로 한다.
제2 기어하우징(1500)은 피니언축(1130)이 수용되어 장착되는 제1 장착부(1510)와, 제1 장착부(1510)와 이격되어 출력축(1201)이 수용되어 장착되는 제2 장착부(1520)가 마련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기어하우징(1500)에는 제1 기어하우징(1400)이 결합된다.
제1 장착부(1510)와 제2 장착부(1520)는 제2 기어하우징(1500)에 설치되는 구성요소에 따라 구분된 것으로서, 제1 장착부(1510)와 제2 장착부(1520)에는 소정 수납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제1 장착부(1510)에 마련되는 피니언축(1130)의 제1 기어(1210)와 제2 장착부(1520)에 마련되는 출력축(1201)의 제2 기어(1220)가 치합되도록 제1 장착부(1510)와 제2 장착부(1520)는 서로 연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장착부(1510)에는 하부홀더(1320)가 안착되는 안착홈(1532)이 형성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안착턱(1531)이 마련되고, 안착홈(1532)에는 하측으로 피니언축(1130)이 삽입되는 수용홈(15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웜휠(1120)과 피니언축(1130) 및 홀더(1300)가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되어 제1 장착부(1510)에 장착되게 된다.
안착턱(1531)은 내측으로 안착홈(1532)이 형성되게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안착턱(1531)의 내경은 하부홀더(1320)의 외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거나, 하부홀더(1320)의 외경보다 조금 큰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안착홈(1532)에 하부홀더(1320)를 삽입 시 안착턱(1531)의 상단면에는 상부홀더(1310)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수용홈(1513)에는 제1 기어(1210)가 형성된 피니언축(1130)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홀더(1320)의 중심축(R)은 피니언축(1130)의 중심축(C)으로부터 편심되게 형성됨에 따라 수용홈(1513)은 안착홈(1532)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안착홈(1532)과 수용홈(1513)은 하부홀더(1320) 및 피니언축(113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기어하우징(1500) 즉, 제1 장착부(1510)에는 홀더(1300)를 고정시키도록 복수의 결합편(1315)과 대응되는 위치에 유격조정돌기(1530)가 마련된다. 유격조정돌기(1530)에는 볼트를 통해 홀더(1300)를 고정하도록 체결공(1536)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격조정돌기(1530)와 홀더(1300)의 안정적인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유격조정돌기(1530)의 높이는 안착턱(1531)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유격조정돌기(1530)와 결합편(1315)은 각각 적어도 180° 위상차를 갖도록하여 배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복수의 결합편(1315)에는 볼트가 체결공(1536)에 체결되도록 체결공(1536)과 연통하는 결합공(1316)이 형성된다. 이때 결합공(1316)은 홀더(1300)가 하부홀더(1320)의 회전 중심축(R)을 기준으로 회전시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체결공(1536)과 연통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장공(1316)은 하부홀더(1320)의 원주 방향과 대응되는 원주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격조정돌기(1530)는 제2 기어하우징(1500)의 제1 장착부(1510)에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두 개의 유격조정돌기(1530)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소정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유격조정돌기(1530)는 전술된 결합편(1315)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기어하우징(1400)에는 유격조정돌기(15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유격조정돌기(1530)가 삽입되는 유격조정홈(1430)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격조정돌기(1530)와 유격조정홈(1430)은 웜(1110)과 웜휠(1120)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격조정홈(1430)의 길이(L1)는 유격조정돌기(1530)의 길이(L2) 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제1 기어하우징(1400)은 유격조정홈(1430)과 유격조정돌기(1530)를 통해 제2 기어하우징(1500)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으며, 제1 기어하우징(1400)의 이동에 따라 웜(1110)과 웜휠(1120) 간의 백래쉬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감속기 기어간 초기 유격 조정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1 기어(1210)와 제2 기어(1220)간의 백래쉬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제2 기어하우징(1500)의 제2 장착부(1520)에 출력축(1201)이 장착되고, 웜휠(1120)과 피니언축(1130) 및 홀더(1300)가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되어 제1 장착부(1510)에 배치된다. 즉, 피니언축(1130)이 수용홈(1513)에 삽입되고, 하부홀더(1320)가 안착홈(1532)에 삽입 배치된다.
이때, 하부홀더(1320)는 피니언축(1130)의 중심축(C)과 편심되는 회전 중심축(R)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하부홀더(1320)의 회전 시 피니언축(1130)의 중심축(C) 위치가 가변된다. 예컨대, 하부홀더(1320)의 회전 중심축(R)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피니언축(1130)은 출력축(120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피니언축(1130)은 출력축(1201)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홀더(1320)의 회전 중심축(R)을 기준으로 홀더(1300)의 조립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기어(1210)와 제2 기어(1220)간의 백래쉬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제1 기어(1210)와 제2 기어(1220) 간의 백래쉬 조정이 완료되면, 상부홀더(1310)의 결합편(1315)을 통해 볼트를 체결공(1536)에 체결시켜 상부홀더(1310)를 제1 장착부(15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결합편(1315)에 형성된 결합공(1316)은 장공으로 마련됨에 따라 결합편(1315)이 홀더(1300)와 함께 회전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체결공(1536)은 결합공(1316) 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볼트가 결합공(1316)을 통해 체결공(1536)에 체결됨으로써 홀더(1300)를 유격조정돌기(153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웜(1110)과 웜휠(1120) 간의 백래쉬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펴보기로 한다. 이때, 웜(1110)과 웜휠(1120)의 백래쉬 조정은, 전술된 제1 기어(1210)와 제2 기어(1220) 간의 백래쉬가 조정된 상태에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품의 배치 구조에 의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장착부(1510)에 백래쉬가 조정된 웜휠(1120)과 피니언축(1130) 및 홀더(1300)의 조립체가 고정되면, 제1 기어하우징(1400)을 제2 기어하우징(1500)에 안착시킨다. 즉, 제1 기어하우징(1400)의 제2 수용부(1420)에 윔휠(1120)이 수용되도록 제1 기어하우징(1400)을 가조립하게 된다. 이때 제2 기어하우징(1500)의 유격조정돌기(1530)는 제1 기어하우징(1400)의 유격조정홈(1430)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1 기어하우징(1400)을 웜휠(1120)과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웜휠(1120)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웜휠(1120)과 웜(1110)의 백래쉬를 조정하게 된다. 이때, 유격조정홈(1430)의 길이(L2)는 유격조정돌기(1530)의 길이(L1)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마련됨으로써, 제1 기어하우징(1400)이 일정 구간 이동이 허용되게 된다.
웜(1110)과 웜휠(1120) 간의 백래쉬 조정이 완료되면, 볼트를 통해 제1 기어하우징(1400)을 제2 기어하우징(150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로써, 스티어링 액츄에이터(1000)의 제작 시 초기에 제1 감속부(1100)와 제2 감속부(1200)의 초기 유격을 조정하여 완성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어 제품 품질이 향상됨은 물론, 기어간 치 물림의 불량에 따른 소음, 동력전달 불안정화 등에 따른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0 :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1100 : 제1 감속부
1110 : 웜 1120 : 웜휠
1130 : 피니언축 1200 : 제2 감속부
1201 : 출력축 1210 : 제1 기어
1220 : 제2 기어 1300 : 홀더
1310 : 상부홀더 1320 : 하부홀더
1400 : 제1 기어하우징 1430 : 유격조정홈
1500 : 제2 기어하우징 1530 : 유격조정돌기

Claims (23)

  1.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과, 상기 웜과 치합되어 회전하는 웜휠로 구성된 제1 감속부;
    상기 웜휠의 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웜휠과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축;
    상기 피니언축에 형성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피트먼암을 작동시키는 출력축으로 구성된 제2 감속부;
    상기 웜이 수용되며 상기 모터와 결합되는 제1 기어하우징;
    상기 피니언축이 수용되어 장착되는 제1 장착부와, 상기 제1 장착부와 이격되어 상기 출력축이 수용되어 장착되는 제2 장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기어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기어하우징; 및
    상기 피니언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피니언축과 상기 출력축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도록 상기 피니언축의 중심축과 편심되는 회전 중심축을 갖도록 마련된 홀더;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피니언축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의 상부측에서 조립되는 상부 베어링과, 상기 피니언축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의 하부측에서 조립되는 하부 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상부 베어링이 조립되는 상부 조립홈이 형성된 상부홀더와, 상기 하부 베어링이 조립되는 하부 조립홈이 형성된 하부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조립홈과 하부 조립홈은 상기 피니언축과 동일 중심축을 갖도록 일렬로 형성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조립홈과 하부 조립홈 사이에는 상기 상부 베어링의 외륜과 상기 하부 베어링의 외륜을 지지하는 스토퍼가 마련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는 상기 피니언축의 중심축과 편심되는 중심축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홀더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니언축의 중심축 위치가 가변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축의 축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며 상기 상부 베어링과 상기 하부 베어링을 상기 홀더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 베어링의 상측에 배치되는 웨이브 와셔와,
    상기 하부 베어링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베어링의 내륜을 지지하도록 상기 피니언축에 스택킹 조립되는 락링과,
    상기 피니언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웨이브 와셔를 통해 상기 상부 베어링의 내륜을 지지하도록 가압하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브 와셔는 상기 플랜지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변형되며 공차를 흡수하도록 마련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와 제2 장착부는 서로 연통하도록 마련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에는 상기 하부홀더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안착턱이 마련되고,
    상기 안착턱의 상단면에는 상기 상부홀더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홀더의 외측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결합편이 마련되고,
    상기 제2 기어하우징에는 상기 복수의 결합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된 유격조정돌기가 마련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편에는 볼트가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공은 상기 하부홀더의 원주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마련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홀더는 상기 피니언축의 제1 기어와 출력축의 제2 기어간 백래쉬 조정 후 장공 및 체결공을 통해 상기 유격조정돌기에 볼트로 고정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와 제2 기어는 피니언 기어 또는 헬리컬 기어로 마련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하우징의 제1 장착부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소정 길이를 갖는 유격조정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1 기어하우징에는 상기 유격조정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유격조정돌기가 삽입되는 유격조정홈이 마련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정홈은 상기 유격조정돌기 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정돌기와 상기 유격조정홈은 상기 웜과 웜휠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기어하우징은 상기 유격조정홈과 상기 유격조정돌기를 통해 이동되며 상기 웜과 웜휠 간의 백래쉬 조정 후 볼트에 의해 제2 기어하우징에 고정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을 상기 제2 장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 기어를 기준으로 상기 출력축의 상부측에서 조립되어 상기 출력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기어를 기준으로 상기 출력축의 하부측에서 조립되어 상기 출력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출력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니들 베어링과,
    상기 니들 베어링이 중심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장착부에 압입되는 베어링 커버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출력축의 단차부에 내륜이 지지되며 외륜이 제2 기어하우징의 장착홀에 지지되는 고정 베어링와,
    상기 고정 베어링의 내륜을 지지하도록 상기 출력축에 나사결합되는 락너트와,
    내측이 상기 락너트를 수용하며 외측이 상기 제2 기어하우징의 장착홀에 나사결합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의 내측과 상기 출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더스트씰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22. 웜과 치합되는 웜휠의 중심에 설치되는 피니언축;
    상기 피니언축에 형성된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가 형성된 출력축; 및
    상기 피니언축에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축의 중심축과 편심되는 회전 중심축을 갖도록 마련된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축의 중심축이 가변되도록 상기 홀더의 회전 중심축을 회전시켜 상기 제1 기어와 제2 기어간의 백래쉬를 조정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감속기 기어간 초기 유격 조정 방법.
  23. 웜이 수용되며 상기 웜과 치합하는 웜휠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제1 기어하우징;
    상기 웜휠이 배치되어 장착되는 제2 기어하우징;
    상기 웜휠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기어하우징에 마련되는 복수의 유격조정돌기; 및
    상기 유격조정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유격조정공기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1 기어하우징에 마련되는 유격조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유격조정홈과 유격조정돌기는 상기 웜과 웜휠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되, 상기 유격조정홈은 상기 유격조정돌기에 비해 긴 길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유격조정돌기와 상기 유격조정홈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기어하우징을 이동시켜 상기 웜과 웜휠 간의 백래쉬를 조정하는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감속기 기어간 초기 유격 조정 방법.
KR1020220074296A 2022-06-17 2022-06-17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및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감속기 기어간 초기 유격 조정 방법 KR20230173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296A KR20230173484A (ko) 2022-06-17 2022-06-17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및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감속기 기어간 초기 유격 조정 방법
US18/211,186 US20230406403A1 (en) 2022-06-17 2023-06-16 Steering actuator and initial free play adjustment method between reducer gears of steering actu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296A KR20230173484A (ko) 2022-06-17 2022-06-17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및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감속기 기어간 초기 유격 조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484A true KR20230173484A (ko) 2023-12-27

Family

ID=89170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296A KR20230173484A (ko) 2022-06-17 2022-06-17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및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감속기 기어간 초기 유격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406403A1 (ko)
KR (1) KR20230173484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406403A1 (en)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1871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US6705176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4523721B2 (ja) 電力アシスト式ステアリングに関する改良
EP1808618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EP1065132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5418834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20050257991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3232072B2 (ja) 電気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80854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11186309B2 (en) Active steering system using planetary gear set with less tooth differ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994250B2 (en) Power steering device
US9664273B2 (en) Steering column assist system
US4865145A (en) Power steering apparatus
US20060118352A1 (en) Variable steering angle mechanism for vehicle steering control apparatus
KR20230173484A (ko) 스티어링 액츄에이터 및 스티어링 액츄에이터의 감속기 기어간 초기 유격 조정 방법
JP2000095120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におけるピニオン軸の支持構造
KR102208240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조타 보조 장치
US8336412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11124223B2 (en) Bearing for a ball nut assembly of a vehicle power steering assembly
KR20140037445A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 부재
JP4016815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10329732A (ja) 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US11292506B2 (en) Yoke support assembly for a rack and a pinion gear of a steering assembly for a vehicle
JPH07237551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590689Y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