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902A -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 - Google Patents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902A
KR20230172902A KR1020220073640A KR20220073640A KR20230172902A KR 20230172902 A KR20230172902 A KR 20230172902A KR 1020220073640 A KR1020220073640 A KR 1020220073640A KR 20220073640 A KR20220073640 A KR 20220073640A KR 20230172902 A KR20230172902 A KR 20230172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r building
lifting structure
hole
rib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문하
김승현
이지훈
최우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20073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902A/ko
Publication of KR20230172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9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는, 모듈러 건축물의 기둥 하단에 설치된 베이스유닛; 및 상기 베이스유닛에 설치되며, 크레인의 고리부가 걸림되는 고리걸림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STRUCTURE FOR LIFTING OF MODULAR STRUCTURE}
본 발명은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모듈러 건축물은 복수 개의 단위모듈이 적층 및 조립되어 건축물로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모듈러 건축물에서 단위모듈은 기본적으로 사각형 형태로 배치된 네 개 이상의 강재로 이루어진 기둥(각형, H형, ㄷ형)과, 복수 개의 기둥 상부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강재로 이루어진 천장보(각형, H형, ㄷ형)와, 복수 개의 기둥 하부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강재 바닥보(각형, H형, ㄷ형)로 구성된다.
한편, 모듈러 건축물에 관련된 주요 기술로는, 현장공사의 최소화를 위하여 인양 시 기둥 상단부에서 연결부속을 이용하여 크레인으로 인양하는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현재의 모듈러 건축물은 인양을 위하여 기둥 상단에서 인양이 필요한 강재러그를 설치하여 인양 및 현장이동하여 최종 설치 후, 강재러그를 해체하고 해당부위를 현장에서 마감공사를 하게 된다. 즉,모듈러 건축물의 기둥 또는 보의 상단에 강재러그를 설치 후, 크레인의 고리부(샤클 등)를 강재러그에 걸어서 인양하여 운송한 다음, 현장에서 설치 및 강재러그를 해체한 이후에 현장에서 건축마감을 공사하게 된다. 따라서 모듈러 건축물의 방수 및 기밀성능 문제와 현장에서의 고소작업으로 인한 안전상의 문제 등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70526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모듈러 건축물의 방수 및 기밀성능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낮추는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는, 모듈러 건축물의 기둥 하단에 설치된 베이스유닛; 및 상기 베이스유닛에 설치되며, 크레인의 고리부가 걸림되는 고리걸림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유닛은, 상기 기둥을 받치도록 상기 기둥의 하단에 설치된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세워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기둥의 측면에 고정된 리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모듈러 건축물의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리걸림유닛은, 상기 리브부재의 양측면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모듈러 건축물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접합부재; 및 일단부가 두 개의 상기 접합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접합부재와 회전되게 연결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크레인의 고리부가 걸리는 걸림홀이 형성된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접합부재에 회전되게 연결되도록, 상기 걸림부재의 일단부에는 회전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재에서 상기 걸림부재의 일단부에 대응되는 단부에는 상기 회전홀과 대응되는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홀과 연결홀에는 연결볼트가 회전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부재는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모듈러 건축물 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모듈러 건축물을 향한 상기 걸림부재의 회전루트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걸림부재는 타단부의 테두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고리걸림유닛이 상기 베이스유닛에 착탈되도록, 상기 리브부재는 상기 모듈러 건축물의 측방향으로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리브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리브홀에 대응되는 접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리브부재와 접합부재를 체결하도록, 상기 리브홀과 상기 접합홀에는 체결볼트가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는, 모듈러 건축물의 상단이 아닌 하단에 설치됨으로써, 현장에서 건축물 상부의 방수시트를 추가로 설치하고 지붕 설치작업을 할 필요가 없게 됨에 따라, 모듈러 건축물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줄여서 생산성을 증대시키며, 고소작업이 없어서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듈러 건축물의 마감재와의 간섭이 없어 공장에서 모든 마감재의 시공이 가능한 장점을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고리부를 포함한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등과의 간섭이 없어서, 모듈러 건축물의 성능 및 품질이 확보된 범위에서 설치 및 해체가 됨으로써, 모듈러 건축물을 설치 이후 재설치 하더라도 성능 및 품질 저하가 없는 이점을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은 기능 및 성능을 위한 모든 건축마감을 공장에서 마무리 하여 현장으로 이송되고, 현장에서는 설치를 위한 최소의 공사만 진행되므로 현장공사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양구조체가 설치된 모듈러 건축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인양구조체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인양구조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인양구조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양구조체가 설치된 모듈러 건축물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인양구조체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인양구조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인양구조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1000)는 모듈러 건축물(10)을 크레인으로 인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기존에는 인양구조체로서 강재러그가 사용되는데 모듈러 건축물(10)의 상단에 설치된다. 즉 기존의 인양구조체(미도시)는 모듈러 건축물(10)에서 기둥(11)이나 보(12)의 상단에 설치된다. 이러한 경우 모듈러 건축물(10)을 공장에서 제작 시 지붕을 설치할 수 없으며, 추후 현장에서 설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모듈러 건축물(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방수시트는 인양구조체가 위치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만 설치된다. 모듈러 건축물(10)은 이후 인양되어 현장으로 운송된 다음 현장에 설치된 후, 인양구조체를 해체하여 제거한다. 그리고 인양구조체가 해체된 부분에 방수시트를 추가로 설치한 후 지붕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방수시트가 일체로 설치되지 않는 경우 방수처리가 되더라도 물이 샐 수 있는, 즉 기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붕 설치작업이 현장에 이루어짐에 따라 제작기간도 늘어나는, 즉 공기가 길어져서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고, 고소작업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커지는 한계점이 있다. 참고로, 도 1의 도면부호 13은 공장에서 모듈러 건축물(10)을 제작되는 과정에서의 외장재(13)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1000)는 모듈러 건축물(10)의 상단이 아닌 하단에 설치됨으로써, 현장에서 방수시트를 추가로 설치하고 지붕 설치작업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인양구조체(1000)가 모듈러 건축물(10)의 하단에 구성됨으로써, 모듈러 건축물(10)을 현장에 이송하기 전에 공장에서 방수시트를 부분별로 하는 것이 아닌 전체적으로 한 번에 설치작업을 완료하고, 나아가 지붕 설치작업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모듈러 건축물(10)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줄여서 생산성을 증대시키며, 고소작업이 없어서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인양구조체(1000)에 대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양구조체(1000)는 베이스유닛(100)과 고리걸림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유닛(100)은 모듈러 건축물(10)의 기둥(11) 하단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유닛(100)은 베이스부재(110)와, 리브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110)는 기둥(11)을 받치도록 기둥(11)의 하단에 설치된다. 이러한 베이스부재(110)는 모듈러 건축물(10)의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된다.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단부에는 고리부(후크, 샤클 등)가 형성 또는 장착되는데, 인양구조체(1000)에 고리부가 걸려서 크레인에 의해 인양 시 모듈러 건축물(10)에 와이어로프가 닿지 않도록, 베이스부재(110)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구조를 취한다. 이때 크레인의 와이어로프는 크레인으로부터 수직으로 하방배치된 구조를 지님으로써, 베이스부재(110)가 모듈러 건축물(10)의 외측으로 적정 길이로 연장된 경우, 와이어로프가 모듈러 건축물(10)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상기 리브부재(120)는 베이스부재(110)에 세워지도록 설치되고, 기둥(11)의 측면에 고정된다. 리브부재(120)는 베이스부재(110)의 상면에 설치고정되고 기둥(11)의 측면에 설치고정됨으로써 견고하게 위치고정된 구조를 지닌다. 일례로서 리브부재(120)는 베이스부재(110)의 상면과 기둥(11)의 측면에 용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리걸림유닛(200)은 베이스유닛(100)에 설치되며, 크레인의 고리부가 걸림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고리걸림유닛(200)은 접합부재(210)와 걸림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부재(210)는 리브부재(120)의 양측면 각각에 설치되며, 모듈러 건축물(10)의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모듈러 건축물(10)은 인양 및 운송되어 현장에 설치된 후 고리걸림유닛(200)이 제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리걸림유닛(200)은 베이스유닛(100)에 착탈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리브부재(120)는 모듈러 건축물(10)의 측방향으로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리브홀(120a)이 형성되고, 접합부재(210)는 복수 개의 리브홀(120a)에 대응되는 접합홀(2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리브부재(120)와 접합부재(210)를 체결하도록, 리브홀(120a)과 접합홀(210a)에는 체결볼트(미도시)가 체결될 수 있다. 베이스유닛(100)에 고리걸림유닛(200)이 체결될 때에는 체결볼트가 리브부재(120)의 리브홀(120a)과 접합부재(210)의 접합홀(210a)에 삽입장착되고, 베이스유닛(100)으로부터 고리걸림유닛(200)이 해체될 때에는 체결볼트가 리브부재(120)의 리브홀(120a)과 접합부재(210)의 접합홀(210a)로부터 빠져서 장착해제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체결볼트와 함께 체결너트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220)는 일단부(221)가 두 개의 접합부재(210) 사이에 배치되고 접합부재(210)와 회전되게 연결된다. 아울러 걸림부재(220)는 타단부(222)에 크레인의 고리부가 걸리는 걸림홀(220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합부재(210)에는 연결홀(210b)이 형성되고 걸림부재(220)에는 이러한 연결홀(210b)과 대응되는 회전홀(22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합부재(210)의 연결홀(210b)과 걸림부재(220)의 회전홀(220b)에 연결볼트(미도시)가 삽입장착되어 접합부재(210)에 걸림부재(220)가 회전되게 연결할 수 있다. 연결볼트는 연결홀(210b)과 회전홀(220b)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거리를 두고 삽입배치되는 구조, 즉 헐겁게 삽입배치되는 구조, 다시 말해 연결볼트가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하여, 접합부재(210)에 대해 걸림부재(220)가 회전될 수 있다. 물론 연결볼트는 연결홀(210b)과 회전홀(220b)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거리를 두더라도(헐거운 장착구조이더라도), 헤드가 연결홀(210b)과 회전홀(220b)보다 크고 단부에는 연결너트(미도시)도 조립됨으로써, 연결홀(210b)과 회전홀(220b)에 삽입장착된 상태에서 연결홀(210b)과 회전홀(220b)로부터 빠지진 않는 구조를 지닌다. 이와 같이 걸림부재(220)가 접합부재(210)에 회전되게 연결됨으로써, 작업자가 걸림홀(220a)에 크레인의 고리부를 거는 작업을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걸림홀(220a)에 크레인의 고리부를 거는 작업을 할 때에는 걸림부재(220)를 횡방향으로 배치하여 모듈러 건축물(10)로부터 안전거리를 유지한 채로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수행도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에 걸림홀(220a)에 크레인의 고리부를 걸린 상태에서 크레인에 의해 인양 시에는 걸림부재(220)가 회전하여 종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횡방향 배치 때보(12)는 걸림부재(220)에 받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어서 걸림부재(220)를 포함한 인양구조체(1000)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220)는 타단부(222)의 테두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테두리의 라운드 구조는 크레인의 고리부를 걸림홀(220a)에 거는 작업 시, 걸림홀(220a)에 대한 고리부의 걸림이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걸림부재(220) 타단부(222)의 테두리에 각진 구조가 없는 경우, 크레인의 고리부가 걸림홀(220a)에 대해 어떠한 각도로도 접근하여 용이하게 걸림될 수 있다.
한편, 리브부재(120)는 걸림부재(220)가 모듈러 건축물(10) 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모듈러 건축물(10)을 향한 걸림부재(220)의 회전루트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걸림부재(220)가 두 개의 접합부재(210) 사이에서 회전하는데, 리브부재(120)가 두 개의 접합부재(210) 사이에서 걸림부재(220)의 모듈러 건축물(10)을 향한 회전루트에 배치됨으로써, 걸림부재(220)가 모듈러 건축물(10) 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걸림부재(220)가 모듈러 건축물(10)의 반대 측으로만 회전이 자유로울 뿐 모듈러 건축물(10) 측으로 회전하는 것에 대해서는 일정정도의 각도 제한이 있음에 따라, 크레인의 와이어로프가 모듈러 건축물(10)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인양구조체(1000)는, 모듈러 건축물(10)의 상단이 아닌 하단에 설치됨으로써, 현장에서 건축물 상부의 방수시트를 추가로 설치하고 지붕 설치작업을 할 필요가 없게 됨에 따라, 모듈러 건축물(10)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줄여서 생산성을 증대시키며, 고소작업이 없어서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듈러 건축물(10)의 마감재와의 간섭이 없어 공장에서 모든 마감재의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고리부를 포함한 크레인 케이블 등과의 간섭이 없어서, 모듈러 건축물(10)의 성능 및 품질이 확보된 범위에서 설치 및 해체가 됨으로써, 모듈러 건축물(10)을 설치 이후 재설치 하더라도 성능 및 품질 저하가 없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기능 및 성능을 위한 모든 건축마감을 공장에서 마무리 하여 현장으로 이송되고, 현장에서는 설치를 위한 최소의 공사만 진행되므로 현장공사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모듈러 건축물 11 : 기둥
12 : 보 13 : 외장재
1000 : 인양구조체 100 : 베이스유닛
110 : 베이스부재 120 : 리브부재
120a : 리브홀 200 : 고리걸림유닛
210 : 접합부재 210a : 접합홀
210b : 연결홀 220 : 걸림부재
220a : 걸림홀 220b : 회전홀
221 : (걸림부재의)일단부 222 : (걸림부재의)타단부

Claims (8)

  1. 모듈러 건축물의 기둥 하단에 설치된 베이스유닛; 및
    상기 베이스유닛에 설치되며, 크레인의 고리부가 걸림되는 고리걸림유닛;
    을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은,
    상기 기둥을 받치도록 상기 기둥의 하단에 설치된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세워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기둥의 측면에 고정된 리브부재;
    를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모듈러 건축물의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걸림유닛은,
    상기 리브부재의 양측면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모듈러 건축물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접합부재; 및
    일단부가 두 개의 상기 접합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접합부재와 회전되게 연결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크레인의 고리부가 걸리는 걸림홀이 형성된 걸림부재;
    를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접합부재에 회전되게 연결되도록,
    상기 걸림부재의 일단부에는 회전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재에서 상기 걸림부재의 일단부에 대응되는 단부에는 상기 회전홀과 대응되는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홀과 연결홀에는 연결볼트가 회전되게 체결된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재는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모듈러 건축물 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모듈러 건축물을 향한 상기 걸림부재의 회전루트에 배치된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타단부의 테두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걸림유닛이 상기 베이스유닛에 착탈되도록,
    상기 리브부재는 상기 모듈러 건축물의 측방향으로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리브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리브홀에 대응되는 접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리브부재와 접합부재를 체결하도록, 상기 리브홀과 상기 접합홀에는 체결볼트가 체결된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
KR1020220073640A 2022-06-16 2022-06-16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 KR202301729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640A KR20230172902A (ko) 2022-06-16 2022-06-16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640A KR20230172902A (ko) 2022-06-16 2022-06-16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902A true KR20230172902A (ko) 2023-12-26

Family

ID=8932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640A KR20230172902A (ko) 2022-06-16 2022-06-16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290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260B1 (ko) 2016-11-17 2017-02-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듈러건축물의 코아구조물과 모듈러구조물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260B1 (ko) 2016-11-17 2017-02-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듈러건축물의 코아구조물과 모듈러구조물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746B1 (ko) 씨씨티브이용 승강식 구조물
US10012001B2 (en) Doorway lintel lift apparatus and method
KR20070005533A (ko) 갱폼
CN206233639U (zh) 活动棚
KR20230172902A (ko) 모듈러 건축물의 인양구조체
KR20200069533A (ko) 발전소 보일러 연소실 내부 코너부 작업대 및 시공방법
KR100476659B1 (ko) 안전작업대 조립체의 시공방법
JP4833187B2 (ja) ゴンドラ設置工法
JP5728379B2 (ja) 壁材の取付用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壁材の施工方法
JP6837766B2 (ja) パネルの輸送治具及びパネルの輸送方法
JPH07310460A (ja) 灯 台
JP5603805B2 (ja) 吊り治具および吊り治具の取付構造、バルコニーユニットの吊り上げ方法
EP2706167A2 (en) Wall bracket
JP7282569B2 (ja) 建物の施工方法
JP7323438B2 (ja) 雪庇防止装置
JP2014037766A (ja) 屋根用仮設手すり及び屋根用支柱の立設方法
JP4092299B2 (ja) 外部コーナ用足場
JP2020159024A (ja) 外壁ユニット、及び外壁ユニットの取付け方法
JP6949526B2 (ja) ユニット建物
KR102344978B1 (ko) 작업 리프트 설치용 구조물
JP7245645B2 (ja) パネル建起こし治具及びパネルの積載ラック
JP4691202B1 (ja) 建物の補強構造
CN211115754U (zh) 一种现场装配式屋面检修爬梯
JP2795025B2 (ja) 屋根ユニットの吊り部構造
JP5689273B2 (ja) 仮設足場、及び建物の構築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