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383A - 송전 장치, 송전 장치의 송전방법, 및 비일시적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송전 장치, 송전 장치의 송전방법, 및 비일시적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383A
KR20230171383A KR1020230070668A KR20230070668A KR20230171383A KR 20230171383 A KR20230171383 A KR 20230171383A KR 1020230070668 A KR1020230070668 A KR 1020230070668A KR 20230070668 A KR20230070668 A KR 20230070668A KR 20230171383 A KR20230171383 A KR 20230171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coil
recei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키 히라마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71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24Detection or removal of foreign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복수의 송전 코일;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수전 장치에 무선으로 송전하는 송전수단;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물체의 검출 처리를 행하는 검출수단; 및 상기 수전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수전 장치로부터 송전의 정지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송전의 정지 기간에, 상기 송전에 사용되었던 송전 코일을 사용하여 물체의 검출 처리를 행하는, 송전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송전 장치, 송전 장치의 송전방법, 및 비일시적 기록 매체{POWER TRANSMISSION DEVICE, POWER TRANSMISSION METHOD OF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본 개시는, 무선전력전송에 관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표준화 단체Wireless Power Consortium이 널리 알려진 무선충전 규격(이하, "WPC규격"이라고 한다)이 확립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5-56959호 공보에서는, WPC규격에 준거한 송전 장치 및 수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WPC규격에 의하면, 송수전과 그를 위한 제어 통신은 자기유도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근거리 무선통신(NFC)은, 무선통신 방식의 일종이다. NFC태그는, 전지를 가지고 있지 않고, 오히려 통신 상대로부터 통신시에 송신되는 전자파의 에너지를 사용해서 구동된다. NFC태그에 대하여 WPC규격에 따라 무선전력전송이 행해졌을 경우, NFC태그의 안테나 소자 등이 대미지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사태를 회피하기 위해서, WPC규격에서는, 송수전을 시작할 때, 송전 장치와 수전 장치와의 사이에서 송수전 정지 기간이 제공된다. 송수전 정지 기간 동안에, 수전 장치는 NFC에 관한 규격(NFC규격)에 근거하는 통신에 의해 NFC태그를 검출한다. NFC태그의 검출 결과에 따라, 송수전 정지 기간의 종료 후에 송수전을 정지할지 재개할지가 결정된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18-186699호 공보에는, 복수의 송전 코일을 구비하고, 충전면의 대부분에 걸쳐 전자 디바이스를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와이어리스 충전 매트가 개시되어 있다.
WPC규격을 사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송전 장치는 송수전 정지 기간 동안에 어떠한 통신도 행하지 않으므로, 송전 장치에 대한 수전 장치의 적재 상태를 검출할 수 없다. 따라서, 해당 기간 동안에 수전 장치가 제거되었을 경우에도, 송전 장치는 송수전 정지 기간의 종료 시점까지 대기하게 된다.
이러한 불필요한 시간 지연을 회피하는 방법으로서, 송전 장치의 송수전 정지 기간 동안에도 물체의 적재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아날로그 핑(Analog Ping)을 송신하는 방법이 생각될 수 있다. 그렇지만, 복수의 송전 코일을 구비하는 송전 장치에 있어서, 송수전 정지 기간 동안에 아날로그 핑을 송신하는 적절한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검토되지 않고 있었다.
본 개시의 목적은, 무선전력전송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송전 코일을 구비하고, 수전 장치가 요구한 대로 무선전력전송의 정지 기간 동안에 물체를 검출하는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송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의 각종 실시 형태의 송전 장치는, 복수의 송전 코일;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수전 장치에 무선으로 송전하는 송전수단;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물체의 검출 처리를 행하는 검출수단; 및 상기 수전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수전 장치로부터 송전의 정지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송전의 정지 기간에, 상기 송전에 사용되었던 송전 코일을 사용하여 물체의 검출 처리를 행한다.
본 개시의 추가의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 형태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비접촉 충전 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송전 장치의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다.
도3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수전 장치의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다.
도4a 내지 도4e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송전 코일 군의 배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파워 로스(power loss)법을 사용한 물체의 검출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송전 장치가 행한 처리의 흐름도다.
도7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NFC태그 검출 처리 기간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도다.
도8은, 제1의 처리 예의 동작 시퀀스 도다.
도9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2의 처리 예의 동작 시퀀스 도다.
이하, 본 개시의 각종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그렇지만,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수의 특징의 모두가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복수의 특징을 그 밖의 방식으로 조합해도 좋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 번호 및 부호를 상이한 도면에서 첨부하여, 불필요하게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각종 실시 형태에서는 WPC규격에 준거한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다.
도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일례로서의 비접촉 충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시스템은, 송전 장치(101)와 수전 장치(102)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기재를 간결하게 하기 위해서, 송전 장치(101)를 TX라고 부르고, 수전 장치(102)를 RX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TX는, 충전대(103)에 적재된 RX에 대하여 무선으로 송전하는 전자기기다. RX는, 송전 장치(101)로부터 수전해서 내장 배터리에 충전을 행하는 전자기기다. 점선 프레임의 범위(104)는, RX가, TX로부터 송전되는 전력을 수전 가능한 범위를 나타낸다.
RX와 TX는 비접촉 충전이외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RX는 스마트 폰이며, TX는 그 스마트 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악세사리 기기다.
본 시스템에서는, WPC규격에 근거하여, 비접촉 충전을 위한 전자 유도방식을 사용한 무선전력전송이 행해진다. RX와 TX는, RX의 수전 코일과 TX의 송전 코일과의 사이에서, 비접촉 충전을 위한 무선전력전송을 행한다. 또한, 무선전력전송 방식(비접촉 전력전송 방식)에 대해서는, WPC규격에서 규정된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전자 유도방식, 자계공명 방식, 전계공명 방식, 마이크로파 방식, 레이저 등을 이용한 방식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전력전송이 비접촉 충전에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지만, 비접촉 충전이외의 용도로 무선전력전송이 사용되어도 좋다.
WPC규격에서는, RX가 TX로부터 수전할 때에 보증 전력의 크기가 보증된 전력(이하, "GP"라고 한다)의 값에 따라 규정된다. GP는, 예를 들면, RX와 TX와의 위치 관계가 변동해서 수전 코일과 송전 코일과의 사이의 송전 효율이 저하한 경우에도, 충전 회로 등의 RX의 부하에 출력되는 것이 보증되는 전력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GP의 값을 15(와트)로 설정한다. 이 경우, 수전 코일과 송전 코일과의 위치 관계가 변동해서 송전 효율이 저하한 경우에도, TX는, RX내의 부하에 15와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해서 RX에 송전한다.
추가로, WPC규격에서는, TX의 주위에(수전 안테나 근방에) 수전 장치가 아닌 물체가 존재하는 것을 TX가 검출하는 방법이 규정되어 있다. 해당 물체를 이물(foreign object)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방법은, TX에 있어서의 송전 안테나(송전 코일)의 품질계수(Q값)의 변화에 근거하는 이물 검출 방법이다. 제2의 방법(파워 로스법)은, TX의 송전 전력과 RX의 수전 전력과의 차분에 근거하는 이물 검출 방법이다. 제1의 방법은, 전력전송전(니고시에이션(negotiation) 페이즈 또는 리니고시에이션(renegotiation) 페이즈)에 실시된다. 또, 제2의 방법은, 후술하는 캘리브레이션 처리가 행해진 데이터에 근거하여, 전력전송중(Power Transfer페이즈)에 실시된다. 이물 검출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부수적으로, RX(및 RX가 내장된 제품) 또는 TX(및 TX가 내장된 제품)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품에는 필요 불가결한 금속부품이 존재할 수도 있다. 송전 코일이 무선 송전하는 전력에 노출되었을 경우, 의도하지 않게 열을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금속부품이 존재한다. 이러한 금속부품의 예들로서는, 송전 코일 또는 수전 코일의 주변의 금속 프레임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이물이란, 송전 코일이 무선송전하는 전력에 노출되었을 경우에 열을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도체부품 중, 상기 금속부품을 제외하는 물체다. 예를 들면, 클립, IC카드 등이 이물에 상당한다.
RX와 TX가 행한 통신의 예들로서는, WPC규격에 근거하는 송수전 제어를 위한 통신과, 기기 인증을 위한 통신이 있다. 여기에서, WPC규격에 근거하는 송수전 제어를 위한 통신에 대해서 설명한다. WPC규격에서는, 전력전송이 행해지는 전력전송 페이즈와 실제의 전력전송이 행해지기 전의 페이즈를 포함하는, 복수의 페이즈가 규정되어 있고, 각 페이즈에 있어서 필요한 송수전 제어를 위한 통신이 행해진다. 이하, 각종 페이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력전송전의 페이즈는, 핑 페이즈, 아이덴티피케이션 앤 컨피규레이션 페이즈, 니고시에이션 페이즈, 및 캘리브레이션 페이즈를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이하에서는, 아이덴티피케이션 앤드 컨피규레이션 페이즈를, I&C페이즈라고 부른다. 핑 페이즈에서는, TX가, 아날로그 핑을 간헐 송신하여, 송전 가능 범위내에 물체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TX는, 충전대(103)에 수전 장치(102)나 도체편 등이 적재된 것을 검출가능하다. 그 후, TX는 아날로그 핑보다 전력이 큰 디지털 핑(Digital Ping)을 송신한다. 디지털 핑의 크기는, TX 위에 적재된 RX의 제어부가 기동하는 데도 충분한 전력이다. RX는, 수전 전압의 크기를 신호 강도 패킷에 의해 TX에 통지한다. 이렇게, TX는, 디지털 핑을 수신한 RX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아날로그 핑에 의해 검출된 물체가 RX인 것을 인식한다.
TX가 RX로부터 수전 전압의 크기에 관한 통지를 받는 경우에, I&C페이즈로 천이한다. 또한, TX는 디지털 핑의 송신 전에, 송전 안테나(송전 코일)의 품질계수(Q-Factor)를 측정한다. 이 측정 결과는, Q값 측정법을 사용한 이물 검출 처리를 실행하는 데 사용된다. I&C페이즈에서는, TX가 RX를 식별하고, RX로부터 기기구성 정보(능력정보)를 취득한다. 그 때문에, RX는 ID 패킷 및 컨피규레이션 패킷을 TX에 송신한다. ID 패킷에는 RX의 식별정보가 포함되고, 컨피규레이션 패킷에는, RX의 기기구성 정보(능력정보)가 포함된다. ID 패킷 및 컨피규레이션 패킷을 수신한 TX는, 긍정 응답(이하, ACK라고 함)으로 응답한다. 그리고, I&C페이즈가 종료한다.
니고시에이션 페이즈에서는, RX가 요구하는 전력이나 TX의 송전 능력 등에 근거하여, 보증 전력(GP) 값이 결정된다. GP값은, 예를 들면, 수전 장치와 송전 장치의 위치 관계가 변동해서 수전 안테나와 송전 안테나와의 사이의 송전 효율이 저하한 경우에도, 수전 장치의 부하(예를 들면, 충전 회로나 배터리 등)에의 출력이 보증되는 전력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GP가 5와트의 경우, 수전 안테나와 송전 안테나의 위치 관계가 변동해서 송전 효율이 저하한 경우에도, 송전 장치는, 수전 장치내의 부하에 5와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해서 송전한다. GP값은 RX와 TX가 합의한 전력값이다. 또, TX는, RX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Q값 측정법을 사용한 이물 검출 처리를 실행한다. WPC규격에서는, 일단 전력전송 페이즈에 천이한 후, RX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다시 니고시에이션 페이즈와 같은 처리를 행하는 방법이 규정되어 있다. 전력전송 페이즈로부터 천이한 후 이것들의 처리를 행하는 페이즈를, 리니고시에이션 페이즈라고 부른다.
캘리브레이션 페이즈에서는, WPC규격에 근거하여, RX가 미리 결정된 수전 전력값을 TX에 통지하고, TX가 효율적으로 송전하기 위한 조정을 행한다. 미리 결정된 수전 전력값은, 예를 들면 경부하 상태에 있어서의 수전 전력값이나 최대 부하 상태에 있어서의 수전 전력값이다. TX는, RX로부터 통지된 수전 전력값을, 파워 로스법에 의한 이물 검출 처리에 사용할 수 있다.
전력전송 페이즈에서는, 송전의 계속, 에러 처리, 만충전으로 인한 송전 정지 등을 위한 제어가 행해진다. TX와 RX는, 송수전 제어를 위한 통신을, WPC규격에 근거해서 무선전력전송과 같은 안테나(코일)를 사용하여 신호를 중첩하는 인 밴드(In-band)통신에 의해 행한다. 또한, TX와 RX와의 사이에서, WPC규격에 근거하는 인 밴드 통신이 가능한 범위는, 송전 가능범위와 거의 일치한다. 도1에 도시된 범위(104)는, TX의 송전 안테나와 RX의 수전 안테나에 의해 무선전력전송과 인 밴드 통신이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TX에 대하여 RX가 "적재되었다"란, RX가 범위(104)에 진입한 것을 의미하고, 실제로는 충전대(103) 위에 RX가 적재되지 않는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음에,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송전 장치(101)(TX) 및 수전 장치(102)(RX)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2는 TX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TX는, 제어부(201), 전원부(202), 송전 회로(203), 통신부(204), 메모리(205), 선택부(206) 및 송전 코일(207)을 구비한다. 송전 코일 군(208)은 복수의 송전 코일(207)로 이루어진다.
제어부(201)는 TX전체를 제어하고, 중앙처리장치(CPU)나 마이크로 처리장치(MPU)등의 1개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혹은, 제어부(201)는, 후술의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특정용도 지향 집적 회로(ASIC)나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구비해도 좋다.
전원부(202)는, 적어도 제어부(201) 및 송전 회로(203)가 동작할 때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가진다. 전원부(202)는, 예를 들면, 상용전원으로부터 전력공급을 받는 유선 수전 회로나, 배터리 등을 구비한다.
송전 회로(203)는, 송전 코일 군(208)에 있어서의 임의의 송전 코일(207)의 교류 전압 및 교류 전류를 발생시킨다. 송전 회로(203)는, 예를 들면, 전원부(202)가 공급하는 직류 전압을,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를 사용한 하프 브리지 구성 또는 풀 브리지 구성의 스위칭 회로를 사용해서 교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이 경우, 송전 회로(203)는, FET의 ON/OFF를 제어하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구비한다.
통신부(204)는, 수전 장치(102)의 통신부(도3의 제1통신부 304)와의 사이에서, WPC규격에 근거한 무선전력전송의 제어 통신을 행한다. 통신부(204)가 실행하는 인 밴드 통신은, 송전 회로(203)가 발생하는 교류 전압 또는 전류를 변조하고, 무선전력에 대하여 통신 대상 데이터의 신호가 중첩되는 통신이다. 제어부(201)에 접속된 메모리(205)는, 송전 장치(101)와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각 요소 및 전체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송전 코일 군(208)을 구성하는 복수의 송전 코일(207) 중 임의의 1개 또는 복수의 송전 코일은 송전 회로(203)에 접속된다. 선택부(206)는 송전 코일 군(208)에 있어서의 임의의 1개 또는 복수의 송전 코일(207)을, 송전 회로(203)에 접속한다. 제어부(201)로부터 선택부(206)에의 제어 지령에 따라, 선택부(206)를 바꾸는 제어가 행해지는 것에 의해, 송전 회로(203)를 어느 쪽의 송전 코일에 접속할지가 결정된다.
도3은 RX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RX는, 제어부(300), 수전 코일(301), 정류부(302), 전압제어부(303) 및 제1통신부(304)를 구비한다. RX는 충전부(305), 배터리(306), 공진 커패시터(307), 스위치부(308), 메모리(309), 타이머(310) 및 제2통신부(311)를 더 구비한다.
제어부(300)는, 예를 들면 메모리(309)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RX전체를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무선전력전송이외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어부(300)는 CPU나 MPU등의 1개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혹은, 제어부(300)는, ASIC등의 특정 처리 전용의 하드웨어나, FPGA등의 어레이 회로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제어부(300)는, 각종 처리의 실행중에 기억해 두어야 할 정보를 메모리(309)에 기억시킨다. 추가로, 제어부(300)는, 타이머(310)를 사용한 시간의 계측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수전 코일(301)은, TX의 송전 코일로부터 전력을 수전한다. 추가로, 수전 코일(301)은 공진 커패시터(307)에 접속되어, 특정한 주파수F2로 공진한다. 정류부(302)는, 수전 코일(301)을 통해 수전한 송전 코일로부터의 교류 전압 및 교류 전류를, 직류 전압 및 직류 전류로 변환한다. 전압제어부(303)는, 정류부(302)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압의 레벨을 미리 결정된 레벨로 변환한다. 미리 결정된 레벨이란, 제어부(300) 및 충전부(305)등이 동작 가능한 직류 전압의 레벨이다.
제1통신부(304)는, TX와의 사이에서, 인 밴드 통신에 의해 WPC규격에 근거하는 제어 통신을 행한다. 제1통신부(304)는, 수전 코일(301)로부터 입력된 전자파를 복조하여 TX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취득하고, 그 전자파를 부하 변조하여 TX에 송신해야 할 정보의 신호를 그 전자파에 중첩하는 처리를 행한다. TX의 통신부(204)는 송전 코일(207)에 의해 생긴 송전 파형에 중첩된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배터리(306)는, RX전체에 대하여, 제어, 수전 및 통신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306)는, 수전 코일(301)을 통해 수전된 전력을 축전한다. 공진 커패시터(307)는 수전 코일(301)과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부(308)는 수전 코일(301)과 공진 커패시터(307)를 단락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제어부(300)에 의해 ON/OFF제어된다. 스위치부(308)가 온 하면, 수전 코일(301)과 공진 커패시터(307)에 의한 직렬 공진회로가 형성된다. 이 경우에, 수전 코일(301), 공진 커패시터(307) 및 스위치부(308)의 폐회로를 통해서만 전류가 흐르고, 정류부(302) 및 전압제어부(303)를 통해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또한, 스위치부(308)가 오프 하면, 수전 코일(301) 및 공진 커패시터(307)를 통하여, 정류부(302) 및 전압제어부(303)에 전류가 흐른다.
메모리(309)는 제어부(300)에 접속되어,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메모리(309)는, 제어부(300)와는 상이한 기능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다. 타이머(310)는 제어부(300)에 접속되어, 각종의 시간 측정 처리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타이머(310)는, 기동된 시간부터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는 카운터업 타이머와, 설정된 시간으로부터 계수값이 감소하는 카운트다운 타이머의 기능을 가진다.
제2통신부(311)는, NFC기능을 사용해서 그 밖의 NFC기기와 통신을 행한다. 그 밖의 NFC기기에는, NFC태그가 포함되는 것이라고 가정한다. RX는, 제2통신부(311)에 의해, NFC태그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제2통신부(311)는, 수전 코일(301)과는 상이한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또, 제2통신부(311)는,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RX를 내장하는 (도시하지 않은) 다른 장치(카메라, 스마트 폰, 타블렛PC 또는 랩탑PC등)의 제어부에 의해 제2통신부(311)가 제어되어도 좋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구성 요소는 일례이며, 그 구성 요소의 일부는 같은 기능을 행하는 그 밖의 구성요소로 대체되거나 생략되어도 좋고, 별개의 구성 요소가 추가되어도 좋다. 또, 1개의 블록 요소가 복수의 블록 요소로 분할되어도 좋거나, 복수의 블록 요소가 1개의 블록 요소에 통합되어도 좋다.
도4는, 송전 코일 군(208)의 배치 예를 도시한 모식도다. 본 실시 형태의 송전 코일 군(208)의 배치 및 각 송전 코일에 접속 가능한 송전 회로에 대해서는, 도4a 내지 도4e에 도시된 배치를 전제로서 설명하지만, 이것들은 예시이며, 특정한 배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4a는 송전 코일 군(208)의 일부의 상면도다. 송전 코일 400 내지 송전 코일 405의 6개의 원형 코일을 도시하고 있다. 송전 코일 400, 송전 코일 401 및 송전 코일 402는, 그것들의 원주의 일부가 다른 2개의 송전 코일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송전 코일 403, 송전 코일 404 및 송전 코일 405는, 그것들의 원주의 일부가 다른 2개의 코일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또, 송전 코일 402, 송전 코일 403 및 송전 코일 405는, 그것들의 원주의 일부가 다른 2개의 코일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도4b는, 송전 코일 406 내지 송전 코일 411의 6개의 원형 코일을 도시하고, 도4a의 송전 코일 400 내지 송전 코일 405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반대로 배치되어 있다. 즉, 그 배치는, 도4a를 뒤쪽에서 보았을 경우와 같은 배치다. 또한, 송전 코일 406 내지 송전 코일 411을 구비하는 송전 코일 군에 대해서는, 송전 코일 400 내지 송전 코일 405를 구별하기 위해서, 원형내에 복수의 종선을 편의상 부기하고 있다. 송전 코일 409, 송전 코일 410 및 송전 코일 411은, 그것들의 원주의 일부가 다른 2개의 코일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송전 코일 406, 송전 코일 407 및 송전 코일 408은, 그것들의 원주의 일부가 다른 2개의 코일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송전 코일 408, 송전 코일 409 및 송전 코일 411은, 그것들의 원주의 일부가 다른 2개의 코일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도4c는 송전 코일 군 전체의 상면도다. 송전 코일 군(210)에서는, 도4b에 도시된 송전 코일 406 내지 송전 코일 411의 상부에, 도4a에 도시된 송전 코일 400 내지 송전 코일 405가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4d는 송전 코일 400, 401과 송전 코일 410, 411과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다. 송전 코일 400과 송전 코일 410, 및, 송전 코일 401과 송전 코일 410이 서로 상면에서 중첩하므로, 이것들의 코일은 "중첩하고 있다"로서 표현된다. 한편, 송전 코일 400과 송전 코일 411은 상면에서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 또한, 거리(412)는, 송전 코일 400의 외형부와 송전 코일 411의 외형부와의 거리(D라고 적는다)를 나타낸다. 즉, 송전 코일 400과 송전 코일 411은 거리D만큼 떨어져 있다.
서로 인접한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제1의 코일을 A코일이라고 표기하고, 제2의 코일을 B코일이라고 표기한다. A코일이 송전하는 전력과 송전 장치 및 수전 장치의 통신부가 송수신하는 인 밴드 통신의 신호가, B코일에 의한 송전 전력 및 인 밴드 통신의 신호에 중첩되어도 된다. 이 현상을, 본 개시에서는 간섭이라고 표현한다. 복수의 송전 코일간의 간섭과 비간섭을,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A코일이 B코일에 대하여 조건(1) 또는 (2)를 충족시킬 경우, 2개의 송전 코일은 "간섭하지 않는다"라고 표현된다.
(1) A코일에서 송수신 되는 변조 신호의 전압진폭 혹은 전류진폭의 변동 또는 주파수 변동이 B코일에서 관측되지 않는 것.
(2) A코일에서 송수신 되는 변조 신호의 전압진폭 혹은 전류진폭의 변동 또는 주파수 변동이 B코일에서 관측되어, 관측 레벨이 미리 결정된 값(역치)이하이며, 또한 B코일의 변조 신호를 통신부가 복조할 때의 복조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
2개의 송전 코일이 "간섭한다"의 정의는, 조건(1), (2)에 대한 부정의 조건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조건(3)을 충족시킬 경우, 2개의 송전 코일은 "간섭한다"라고 표현된다.
(3) A코일에서 송수신 되는 변조 신호의 전압진폭 혹은 전류진폭의 변동 또는 주파수 변동이 B코일에서 관측되어, 관측 레벨이 미리 결정된 값(역치)보다 크고, 또한 B코일의 변조 신호를 통신부가 복조할 때의 복조 성능에 영향을 주는 것.
또한, 전자적으로 결합된(즉, 결합 계수가 제로가 아니다) 송전 코일 중, 제1의 송전 코일을 A코일이라고 표기하고, 제2의 송전 코일을 B코일이라고 표기한다. A코일이 B코일에 대하여 조건(4) 또는 (5)를 충족시킬 경우, 2개의 송전 코일은 "간섭하지 않는다"라고 표현된다.
(4) A코일에 인가되는 고주파 전압 혹은 고주파 전류, 또는 그 고주파 전압변동 혹은 고주파 전류변동, 또는 주파수 변동에 의한 전압이 B코일에 유기되지 않는 것.
(5) A코일에 인가되는 고주파 전압 혹은 고주파 전류, 또는 그 고주파 전압변동 혹은 고주파 전류변동, 또는 주파수 변동으로 인해 B코일에 유기되는 전압 레벨이 미리 결정된 값(역치)이하인 것.
조건(6)을 충족시킬 경우, 2개의 송전 코일은 "간섭한다"라고 표현된다.
(6) A코일에 인가되는 고주파 전압 혹은 고주파 전류, 또는 그 고주파 전압변동 혹은 고주파 전류변동, 또는 주파수 변동으로 인해 B코일에 유기되는 전압 레벨이 미리 결정된 값(역치)보다 큰 것.
2개의 송전 코일이 간섭할 경우, 그 간섭의 정도는, 2개의 송전 코일의 위치 관계에 따라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송전 코일이 미리 결정된 거리D(도4d의 412 참조)이상 떨어져 있을 경우에 간섭하지 않는 것이라고 가정한다. 예를 들면, 송전 코일 400과 송전 코일 411은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송전 코일 400과 송전 코일 410, 송전 코일 401과 송전 코일 410은 서로 중첩하고, 모두 거리D이상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송전 코일 400과 송전 코일 410은 간섭하고, 송전 코일 401과 송전 코일 410은 간섭한다. 또한, 상기 미리 결정된 값(역치)과 거리D에 대해서는 WPC규격에서 규정되어도 좋다.
도4e는 송전 회로가 전력을 공급 가능한 송전 코일 군을 도시한 개념도다. 점선의 타원 프레임(413)의 내측은, 송전 회로(203)가 선택부(206)를 통해서 접속 가능한 송전 코일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점선의 타원 프레임(413)의 내측에 중심이 포함되는 송전 코일 400∼411은 송전 회로(203)와 접속가능하다. 또한, 미리 결정된 영역(414)에 적재된 수전 장치는, 송전 회로(203)에 접속된 송전 코일을 통해 충전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미리 결정된 영역(414)에 있어서 최대 1대의 수전 장치에 송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5를 참조하여, WPC규격에서 규정되어 있는 파워 로스법에 근거하는 이물 검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5의 횡축은 TX(송전 장치)의 송전 전력을 의미하고, 종축은 RX(수전 장치)의 수전 전력을 의미한다. 점 900, 901, 903은 선분(902)상의 점이다. 점 900은 송전 전력값Pt1 및 수전 전력값Pr1에 대응하고, 점 901은 송전 전력값Pt2 및 수전 전력값Pr2에 대응한다. 점 903은 송전 전력값Pt3 및 수전 전력값Pr3에 대응한다. 선분 906은 점 900과 점 904를 잇는 선분이다. 점 904는 송전 전력값Pt2 및 수전 전력값Pr2에 대응한다. 선분 908은 점 904와 점 907을 잇는 선분이다. 점 907에 대응하는 수전 전력값은 Pr1이다.
우선, TX는, 경부하(Light Load)상태의 RX에 대하여 디지털 핑을 송전한다. TX는, RX가 수전한 수전 전력값Pr1을, 수전 패킷(mode 1)으로서 RX로부터 수신한다. 이 경우에, RX는, 수전한 전력을 부하(충전 회로와 배터리 등)에 공급하지 않는다. TX는, 수전 전력값Pr1과 그 때의 송전 전력값Pt1을 메모리에 기억한다. 점 900의 좌표를 (Pt1,Pr1)로서 표기한다. TX는, 송전 전력값Pt1에서의 송전시에 있어서의 TX와 RX와의 사이의 전력손실량(Ploss1이라고 적는다)을 산출한다. "Ploss1=Pt1-Pr1"의 관계가 성립된다.
그 다음에, TX는, 부하 접속(Connected Load)상태의 RX가 수전한 수전 전력값Pr2를, 수전 패킷(mode 2)으로서 RX로부터 수신한다. 이 경우에, RX는, 수전한 전력을 부하(충전 회로와 배터리 등)에 공급한다. TX는 수전 전력값Pr2와 그 때의 송전 전력값Pt2를 메모리에 기억한다. 점 901의 좌표를 (Pt2,Pr2)로서 표기한다. TX는, 송전 전력값Pt2에서의 송전시에 있어서의 TX와 RX와의 사이의 전력손실량(Ploss2이라고 적는다)을 산출한다. "Ploss2=Pt2-Pr2"의 관계가 성립된다.
TX는 점 900과 점 901에 근거해서 직선 보간처리를 행하여, 선분(902)을 생성한다. 선분(902)은, TX와 RX의 주변에 이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송전 전력과 수전 전력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TX는 송전 전력값과 선분(902)으로부터 이물이 없을 가능성이 높은 상태에 있어서의 수전 전력값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전 전력값이 Pt3일 경우, 송전 전력값Pt3에 대응하는 선분(902)상의 점 903으로부터, 수전 전력값이 Pr3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TX가 송전 전력값Pt3에서 RX에 대하여 송전한 경우, TX가 RX로부터 수전 전력값Pr3을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TX는 이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수전 전력값Pr3으로부터, 실제로 RX로부터 수신한 수전 전력값Pr3을 감산하여, Pr3-Pr3(=Ploss_FO)을 산출한다. Ploss_FO는, TX와 RX와의 사이에 이물이 존재할 경우에 이물에서 소비되었을 것인 전력손실량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손실량Ploss_FO가 사전에 결정된 역치를 초과했을 경우, 이물이 존재한다(또는 이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판정할 수 있다. 혹은, TX는, 사전에 이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수전 전력값Pr3으로부터, TX와 RX와의 사이의 전력손실량Pt3-Pr3(=Ploss3)을 구한다. 다음에, TX는, 이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RX로부터 수신한 수전 전력값Pr3에 근거하여, 이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의 TX와 RX와의 사이의 전력손실량Pt3-Pr3(=Ploss3)을 구한다. Ploss3-Ploss3=Pt3-Pr3-(Pt3-Pr3)=Pr3-Pr3(=Ploss_FO)로부터, Ploss_FO를 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이물로 인한 전력손실량Ploss_FO의 산출 방법에는, Pr3-Pr3로부터 산출하는 방법과, Ploss3-Ploss3으로부터 산출하는 방법이 있다.
선분(902)이 취득된 후, TX는 RX로부터 정기적으로 수전 전력값(예를 들면 Pr3)에 관련된 신호를 수신한다. RX가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수전 전력값은, 수전 패킷(mode 0)으로서 TX에 송신된다. TX는, 수전 패킷(mode 0)에 기억된 수전 전력값과, 선분(902)을 사용해서 상기 파워 로스법에 근거하는 이물 검출을 행할 수 있다.
TX와 RX의 주변에 이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송전 전력값과 수전 전력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분(902)을 취득하기 위한 점 900 및 점 901을, 캘리브레이션 데이터 포인트(이하, CP라고 적는다)라고 말한다. 또한, 2이상의 CP의 보간에 의해 취득되는 선분 또는 곡선을, 캘리브레이션 커브라고 말한다.
다음에, 도6을 참조하여, TX가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6은, TX의 처리 예를 도시한 흐름도다. 본 처리는, 예를 들면 TX의 제어부(201)가 메모리(205)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이하의 처리의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이 경우의 하드웨어는, 예를 들면, 미리 결정된 컴파일러를 사용하여, 각 처리 스텝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부터 FPGA등의 게이트 어레이 회로를 사용한 전용 회로를 자동적으로 생성한다. 또한, 본 처리는, TX의 전원이 온 조작된 것, 또는 TX의 유저가 비접촉 충전 애플리케이션의 시작 지시를 입력한 것, 또는 TX가 상용전원에 접속되어서 전력공급을 받고 있는 것에 따라서, 실행된다.
S501에서는, TX는, WPC규격의 핑 페이즈로서 규정되어 있는 처리를 실행하고, 물체가 TX상에 적재되는 것을 대기한다. TX는, 핑 페이즈에 있어서, WPC규격의 아날로그 핑을 반복해 간헐적으로 송신하고, 송전 가능 범위내에 존재하는 물체의 검출 처리를 실행한다. 이때, TX는 아날로그 핑을 각 송전 코일로부터 순차로 송신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간섭하지 않는 복수의 송전 코일 군으로부터 동시에 아날로그 핑을 송신해도 좋다. 이 경우, 간섭하지 않는 복수의 송전 코일 군의 조합마다, 순차로 아날로그 핑을 송신할 수 있다. 송전 가능 범위내에 물체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TX는 WPC규격의 디지털 핑을 송신한다. 또한, 디지털 핑은, 아날로그 핑의 송신에 의해 물체가 적재되었다고 검출한 송전 코일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TX는, 그 디지털 핑에 대한 미리 결정된 응답이 있을 경우, 검출된 물체가 RX이며, RX가 충전대(103)에 적재되었다고 판정한다. 이때, TX는 디지털 핑을 송신한 송전 코일의 식별자를, RX가 적재된 송전 코일의 식별자로서 메모리에 기억한다. 식별자는, 송전 코일 군에 있어서의 송전 코일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가진다. 또한, TX는 그 내부에 미리 기억된,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Q값(이하, 개방Q값이라고 한다)과, S501에서 아날로그 핑을 송신함으로써 계측된 Q값과의 차분값을 메모리에 기억한다. 혹은, 차분값 대신에, 계측된 Q값 자체를 메모리에 기억해도 좋다.
S501에서 RX가 적재된 것을 검출하면, TX는 S502의 처리로 진행된다. S502에서는, WPC규격에서 규정된 컨피규레이션 페이즈의 통신에 의해, 그 RX로부터 식별정보와 능력정보를 TX가 취득한다. RX의 식별정보는, 제조사 코드 및 기본 장치 ID를 포함한다. RX의 능력정보는, 이하의 정보를 포함한다.
· 지원되는 WPC규격의 버전을 특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정보.
· RX가 부하에 공급할 수 있는 최대전력을 특정하는 값인 최대 전력값.
· WPC규격의 니고시에이션 기능의 제공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그렇지만, 이 정보는 일례이며, RX의 식별정보 및 능력정보는, 다른 정보로 대체되어도 좋거나, 다른 정보를 더 포함해도 좋다. 예를 들면, 식별정보는, 무선 전력 ID등의 개개의 RX를 식별 가능한 임의의 다른 식별정보이여도 좋다. 또한, TX는, WPC규격의 컨피규레이션 페이즈의 통신이외의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RX의 식별정보와 능력정보를 취득해도 좋다. 그 다음에, S503의 처리로 진행된다.
S503에서는, TX는, WPC규격에서 규정된 니고시에이션 페이즈의 통신에 의해, RX와의 사이에서 니고시에이션을 실행하고, GP값을 결정한다. 혹은, S503에서는, WPC규격의 니고시에이션 페이즈의 통신이외의 방법으로, GP값을 결정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혹은, TX는, RX가 니고시에이션 페이즈에 대응하지 않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예를 들면 S502에서 취득했을 경우, 니고시에이션 페이즈의 통신을 행하지 않고, GP값을 미리 결정된 값으로서 결정한다. 미리 결정된 값은, 예를 들면 WPC규격에서 사전에 규정된 값이다.
S503의 니고시에이션 페이즈에서는, GP값을 결정하는 처리에 추가하여, RX에서 행한 NFC태그 검출을 행하기 위한 일시정지 기간에 관한 정보가 RX와 TX와의 사이에서 교환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RX는 일시정지 기간의 길이에 상당하는 시간을 결정하여 TX에 통지한다. 일시정지 기간의 시간정보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특정 요구 패킷에 포함시켜서 송신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TX는, RX로부터 일시정지 기간의 시간정보의 통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이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긍정 응답ACK를 송신하고, 이 통지를 거부할 경우에 부정 응답NAK를 송신할 수 있다. RX는, NAK를 수신했을 경우, 일시정지 기간의 길이에 상당하는 시간을 변경하여 다시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S503 후에, S504의 처리로 흐름이 진행된다.
S504에서는, TX는, 수전 장치에 의한 NFC태그 검출 처리 기간에 처리를 실행한다. 이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S505에서는, TX는, WPC규격의 핑 페이즈로서 규정된 처리를 다시 실행하고, RX의 적재를 재확인한다. 그때, TX는 아날로그 핑을 송신하지 않고, 디지털 핑의 송신으로부터 시작해도 좋다. 추가로, 디지털 핑은, S501에 있어서 RX의 적재를 기억하는 송전 코일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해당 송전 코일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자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TX는 RX가 적재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면, S506의 처리로 진행된다.
S506에서는, TX는, WPC규격에서 규정된 컨피규레이션 페이즈의 통신에 의해, RX로부터 식별정보와 능력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에, S507에서는, WPC규격에서 규정된 니고시에이션 페이즈의 통신에 의해, TX는, RX와의 사이에서 니고시에이션을 실행하여, GP값을 결정한다. 다음 S508에서는, 캘리브레이션 페이즈에 이행하고, TX는 RX의 수전 전력값에 근거하여 전력손실의 기준값을 산출한다. 캘리브레이션 페이즈에서, TX는, 도5를 사용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물이 없는 상태에 있어서의, 송전 전력값과 수전 전력값간의 관계를 도출한다. TX는, WPC규격에 근거하여, RX로부터 취득한 미리 결정된 수전 전력값을 사용하여, 이물이 없는 상태에서의 TX와 RX와의 사이의 전력손실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도출한다. 미리 결정된 수전 전력값은, 경부하 상태에 있어서의 수전 전력값과, 부하 접속 상태에 있어서의 수전 전력값 등이다. 도5의 선분(902)에 대응한 데이터가 취득된다. 파워 로스법에 근거하는 이물 검출 처리에서는, 캘리브레이션 커브와 송전중에 수신한 RX의 수전 전력값에 근거해서 송전중의 TX와 RX와의 사이의 전력손실량이 산출된다. 이 전력손실량이 역치와 비교되어, 역치이상일 경우에 TX는 "이물이 존재한다", 또는, "이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판정한다.
S508 후에, S509에서는, TX는, RX에의 송전을 시작한다. 송전은, 전력전송 페이즈의 처리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단,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WPC규격이외의 방법으로 송전이 행해져도 좋다. TX는, RX가 TX상에 적재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 처리를 S501의 핑 페이즈에 되돌아간다.
TX는, WPC규격의 엔드(End) 전력전송(이하, EPT패킷이라고 한다)을 RX로부터 수신했을 경우, WPC규격에 따라, 어떤 처리 페이즈에 있어서도 그 처리를 종료시킨다. TX는 송전을 정지한 후에, 처리를 S501의 핑 페이즈에 되돌아간다. 또한, RX에 있어서의 NFC태그 검출 처리의 결과, NFC태그가 검출되었을 경우나, 배터리가 만충전이 되었을 경우에, RX로부터 TX에 EPT패킷이 송신되므로, 처리가 S501의 핑 페이즈에 되돌아간다.
도7을 참조하여, 도5의 S504에서 TX가 실행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7은 NFC태그 검출 처리 기간에 있어서의 처리 예를 도시한 흐름도다. S601에서는, 처리의 시작을 계기로서, 정지 요구의 수신의 유무가 판정된다. TX는, RX로부터 처리의 일시정지를 요구하는 EPT패킷을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RX로부터 EPT패킷이 수신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S601에서 YES), 처리가 S602에 진행된다. 한편, TX는, RX로부터 EPT패킷을 수신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S601에서 NO), 일시적으로 대기한 후에 S601의 처리를 반복 실행한다.
S602에서는, TX는, RX가 NFC태그 검출을 행하기 위해서 송전 처리를 정지하고, S603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S603에서는, TX는, 타이머(310)에 의해 일시정지 기간의 길이를 카운트 하는 시간 측정 처리(일시정지 타이머)를 개시시킨다. 일시정지 기간에 대해서는, 도6의 S503의 니고시에이션 페이즈에서 결정된 시간일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WPC규격에서 규정된 범위로부터 선택되는 시간이나, 사전에 기억된 미리 결정된 시간(고정 시간)이여도 좋다. S603 후에, S604의 처리로 흐름이 진행된다.
S604에서는, TX는, 아날로그 핑을 송신한다. 아날로그 핑은, S501의 핑 페이즈에서, RX가 적재되어 있는 것이 기억되어 있는 송전 코일로부터 송신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S501의 핑 페이즈에서 RX가 적재되어 있는 것이 기억되어 있는 송전 코일을 포함하는, 간섭하지 않는 복수의 송전 코일 군으로부터 동시에 아날로그 핑의 송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RX가 적재되어 있는 것이 기억되어 있는 송전 코일이외의 송전 코일로부터, 아날로그 핑의 송신이 행해지지 않도록 제어되어도 좋다. S604 후에, S605의 처리로 흐름이 진행된다.
S605에서는, TX는, RX만이 적재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S605의 판정은, 아날로그 핑의 송신에 의해, 계측 가능한 물리량에 근거해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날로그 핑의 송신마다 Q값의 계측이 행해지고, Q값(계측값)과 개방Q값과의 차분값이 산출된다. 차분값이 역치이상인가 아닌가에 따라, RX가 적재된 것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혹은, S501의 핑 페이즈에서 RX로부터 수신한 기준Q값과, 계측된 Q값간의 차분을 사용하여 판정을 행해도 좋다. 또는, 송전 코일과 수전 코일과의 결합 계수의 변화량을 계측하고, 계측된 변화량이 역치이상인가 아닌가에 따라 판정을 행해도 좋다. 게다가, 전압이나 전류의 변화량이나, 상술한 복수의 물리량을 계측하고, 복수의 계측값 및 역치에 근거해서 판정을 행하는 방법도 사용되어도 좋다. S605에서 RX만이 적재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S606의 처리로 흐름이 진행되고, 또한, RX만이 적재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S608의 처리로 흐름이 진행된다.
S606에서는, TX는, 일시정지 타이머의 카운트 값에 근거하여, 일시정지 기간이 종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TX는, 일시정지 기간이 종료했다고 판정했을 경우(S606에서 YES), S607의 처리로 흐름이 진행되고, 일시정지 기간이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S606에서 NO), S604의 처리로 흐름이 진행된다. S607에서 그 처리를 재개하기 위해서, 도6의 S505의 핑 페이즈의 처리로 흐름이 진행된다. 추가로, S608에서는, 일시정지 기간의 종료를 기다리지 않고, 초기 상태인 S501의 핑 페이즈로 처리가 진행된다. S607 및 S608 후에, NFC태그 검출 처리 기간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그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서 실행된 처리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처리를 실행하는 동작 시퀀스에 대해서, 몇 개의 예를 아래에 도시한다. 초기 상태로서, RX는, TX에 적재되어 있지 않다. TX는, RX가 요구하는 GP에서의 송전을 실행가능한 정도의 충분한 송전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추가로, RX가 도4의 송전 코일(403)상에 적재되는 예를 설명하지만, 유저는 RX를 원하는 송전 코일상에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의 처리 예
본 처리 예에서는, 초기 상태로서 각 송전 코일로부터 순차로 아날로그 핑이 송신되고, TX는 RX가 적재된 것을 검출한다. 그 다음에, 니고시에이션을 완료하면, TX는, RX에서 행한 NFC태그 검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송전을 정지하고, 아날로그 핑의 송신을 RX가 적재된 송전 코일만으로 시작한다. 그 후, 일시정지 기간이 경과하기 전에 RX가 제거된다. TX는, RX만이 적재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 즉시 초기 상태에 되돌아가, 각 송전 코일로부터 순차로 아날로그 핑의 송신을 재개시킨다.
도8은, 제1의 처리 예에 있어서의 동작 시퀀스를 도시한다. F701에서는, TX는, 아날로그 핑을 송전 코일 401, 402,···로부터 순차로 송신하고 물체가 적재되는 것을 기다린다(도6의 S501 참조). F702에서 TX에 대하여 RX가 적재되어, F703에서 아날로그 핑에 변화가 생긴다. 이에 따라, TX는, F704에서 물체가 송전 코일 403상에 적재된 것을 검출한다.
그 다음에, F705에서 TX는 디지털 핑의 송신을 행하고, F706에서 RX는, 자신의 호스트 장치가 TX에 적재된 것을 검출한다. 한편, TX는, 디지털 핑의 응답으로부터, 적재된 물체가 RX인 것을 검출한다. F707에서는, TX는, RX가 적재된 송전 코일 403의 식별자를 메모리에 기억한다. 다음에, F708에서는, 컨피규레이션 페이즈의 통신에 의해, TX는, RX로부터 식별정보 및 능력정보를 취득한다(도6의 S502 참조).
F709에서는, TX와 RX는, 니고시에이션 페이즈의 통신을 실행한다(도6의 S503 참조). 예를 들면, 통신에 의거한 교섭으로 GP값이 5(와트)에 결정되어, 일시정지 기간의 길이가 10초에 결정되는 것이라고 가정한다. RX는, 송전의 정지 요구(EPT패킷)를 TX에 송신한다. F710에서는, TX는, RX로부터 EPT패킷을 수신한다(도7의 S601에서 YES). F711에서는 TX는 송전을 정지해(도7의 S602 참조), F712에서는 TX는 일시정지 기간의 길이에 상당하는 시간을 카운트 하는 일시정지 타이머의 동작을 개시시킨다(도7의 S603 참조).
일시정지 기간 동안에, F713에서는, RX는 NFC태그 검출을 행한다. 한편, F714에서는, TX는, RX가 적재되어 있는 송전 코일 403으로부터만 아날로그 핑을 송신한다(도7의 S604 참조). 이 시점에서는, RX는 송전 코일 403상에 적재되고(S605에서 YES), 일시정지 기간(10초)은 경과하지 않고 있다(S606에서 NO). 따라서, 송전 코일 403으로부터의 아날로그 핑의 송신이 계속된다. 그 후, F715에서 RX가 TX로부터 제거되면, F716에서는 TX에서 아날로그 핑에 일어난 변화가 없어진다(물리량의 변화가 발생한다). F717에서는, TX는 RX만이 적재되지 않은 것을 검출한다(S605에서 NO). 다음에, F718에서는, TX는, RX가 적재된 송전 코일로서 기억되어 있는 송전 코일 403의 식별자를 리셋되게 하고, 일시정지 기간의 종료를 기다리지 않고 초기 상태에 처리를 되돌린다(도7의 S608 참조). F719에서는, TX는, 각 송전 코일로부터 순차로 아날로그 핑을 송신한다(도6의 S501 참조).
제1의 처리 예에서, TX는, 일시정지 기간 동안, RX의 적재 상태가 검출된 송전 코일로부터만 아날로그 핑을 송신한다. 이에 따라, 일시정지 기간 동안에도, RX의 적재 상태를 고정밀도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추가로, 일시정지 기간 동안에, RX가 제거되었을 경우, TX는 일시정지 기간의 종료를 기다리지 않고 초기 상태에 되돌아가고, 각 송전 코일로부터 순차로 아날로그 핑을 송신한다. 이에 따라, 새로운 RX가 적재되었을 경우에 즉시 TX가 송전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시작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보다 효율적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제2의 처리 예
본 처리 예에서는, 초기 상태로서 각 송전 코일로부터 순차로 아날로그 핑이 송신되고, TX는 RX가 적재된 것을 검출한다. 그 다음에, 니고시에이션을 완료하면, TX는 수전 장치에서 행한 NFC태그 검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송전을 정지하고, 아날로그 핑을 RX가 적재된 송전 코일으로부터만 송신한다. 그 후, 일시정지 기간이 종료하고, TX는 송전 처리를 재개한다.
도9는, 제2의 처리 예에 있어서의 동작 시퀀스를 도시한다. F801∼F814에 대해서는 각각, 도8의 F701∼F714와 같기 때문에, 그것들의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점을 설명한다. F815에서는, F814에서 송신한 아날로그 핑에 변화가 있으므로(물리량에 변화는 없음), TX는, RX만이 적재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다(도7의 S605에서 YES). 그 후, 일시정지 기간이 경과하면, F816에서는, TX는, RX에서 행한 NFC태그 검출 처리를 위한 일시정지 기간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도7의 S606에서 YES).
F817에서는, TX는, RX가 적재되어 있는 송전 코일 403으로부터 디지털 핑을 송신한다. F818에서는, RX는, 디지털 핑에 의해, 자신의 호스트 장치가 TX에 적재된 것을 검출한다. F819에서는, TX는, 디지털 핑의 응답으로부터, 상기 적재된 물체가 RX인 것을 다시 검출하고, 컨피규레이션 페이즈의 통신에 의해, RX로부터 식별정보 및 능력정보를 취득한다(도6의 S506 참조).
그 다음에, F820에서는, TX와 RX는, 니고시에이션 페이즈의 통신을 실행한다(도6의 S507 참조). 예를 들면, GP값이 15(와트)로 결정되는 것이라고 가정한다. F821에서는, TX는, 캘리브레이션 페이즈의 통신에 의해, 캘리브레이션 커브의 산출 및 생성을 행하고, 전력손실의 기준값을 산출한다(도6의 S508 참조). F822에서는, TX는, RX에의 송전 처리를 시작한다(도6의 S509 참조).
제2의 처리 예에서, 일시정지 기간 동안에 RX가 제거되지 않았을 경우, 일시정지 기간의 종료 후에 TX는, RX의 적재 상태가 검출된 송전 코일로부터 디지털 핑을 송신한다. 이에 따라, 송수전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신속하게 재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보다 효율적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그 밖의 처리 예
본 실시 형태의 TX는, 일시정지 기간 동안에 아날로그 핑을 송신하고 RX만이 적재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에 한정되지 않고, RX만이 적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하기의 상태판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A) 물체가 적재되지 않고 있는 제1의 상태에 있는가 아닌가의 판정.
(B) RX가 아닌 다른 물체(이물 등)가 적재되어 있는 제2의 상태에 있는가 아닌가의 판정.
우선, 상기 (A)의 판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의 상태에 있는가 아닌가의 판정에서는, 개방Q값과 계측된 Q값과의 차분값이 산출되어, 해당 차분값이 제1의 역치와 비교된다. 해당 차분값이 제1의 역치미만일 경우, 물체가 적재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개방Q값은 물체가 적재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의 Q값이므로, 제1의 역치는 제로, 또는, 제로에 가까운 값으로 설정된다.
상기 (B)에서, 제2의 상태에 있는가 아닌가의 판정에서는, 도6의 S501에서 기억된 RX만이 적재된 상태에서의 Q값의 차분값과, 개방Q값과 계측된 Q값과의 차분값을 비교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비교 결과인 차분값이 제2의 역치이상일 경우, RX가 아닌 물체가 적재되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RX만이 적재되어 있지 않다고 TX가 판정했을 경우, 일시정지 기간의 경과를 기다리지 않고 처리를 종료하고, 초기 상태에 되돌아가서, 아날로그 핑을 각 송전 코일로부터 순차로 송신한다. 이 동작 시퀀스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A) 또는 (B)에 의해 판정된 상태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B)에서, TX는, 제2의 상태로서, RX가 아닌 물체(이물)이 적재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 일시정지 기간의 경과를 기다리지 않고 처리를 종료하고, 초기 상태에 되돌아가고, 아날로그 핑을 송신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물이 적재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을 경우, 보다 확실히 송전을 정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추가로, 다른 상태로서, TX로부터 RX의 적재 위치가 변위된 제3의 상태인가 아닌가의 판정을 행할 수 있다. 이 판정에서는, 제2의 역치에 더하여 제3의 역치가 설정된다. "제3의 역치 <제2의 역치"의 관계가 성립한다고 가정한다. 비교 결과인 상기 차분값이 제2의 역치미만이고, 또 제3의 역치이상일 경우, 제3의 상태라고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TX는, 일시정지 기간을 종료시키지 않고, 도6의 S501에서 기억된, RX가 적재된 송전 코일의 근방의 송전 코일(이하, 근방 코일이라고 한다)로부터 아날로그 핑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TX는 아날로그 핑의 송신에 의해 계측된 Q값과 개방Q값과의 차분값과, S501에서 기억된 차분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인 차분값이 역치미만일 경우, TX는 근방 코일상에 RX가 적재되어 있는 것(RX의 적재 위치가 변경된 것)을 판정하고, 일시정지 기간을 계속할 수 있다. 불필요한 처리가 행해지지 않고, 초기 상태에의 천이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보다 효율적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TX는 근방 코일상에 RX가 적재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때, 계속해서 해당 근방 코일로부터 디지털 핑을 송신하고, 응답의 유무에 따라 RX인가 아닌가를 판정해도 좋다. 추가로, TX는, 디지털 핑의 응답에 포함된 정보에 근거하여, 일시정지 기간의 시작 전에 적재되어 있었던 RX와 동일한 RX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TX에 동일한 RX가 적재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고정밀도로 판정할 수 있다.
Q값을 사용한 RX의 적재 상태에 관한 판정 방법은 일례이며, 아날로그 핑의 송신에 의해 계측가능한 물리량을 사용하는 판정 방법이나, 디지털 핑 등의 WPC규격의 통신을 사용한 판정 방법 등이 사용되어도 좋다.
일시정지 기간 동안에, TX는 아날로그 핑을, 도6의 S501에서 기억된, RX가 적재된 특정한 송전 코일로부터만 송신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TX는 해당 특정한 송전 코일을 구비하는 간섭하지 않는 복수의 송전 코일 군으로부터 송신해도 좋다. 이에 따라, 제2의 상태나 제3의 상태에 관한 판정을, 단일의 아날로그 핑의 송신에 근거해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가로, 상기 특정한 송전 코일을 구비하지 않는 복수의 송전 코일 군을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특정한 송전 코일을 구비하는 복수의 송전 코일 군과, 상기 특정한 송전 코일을 구비하지 않는 송전 코일 군과의 조합마다 TX는 순차로 아날로그 핑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의 아날로그 핑의 송신 간격은, 초기 상태(S501)에 있어서의 아날로그 핑의 송신 간격보다도 짧은 간격으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TX는 일시정지 기간 동안이여도, RX의 적재 상태의 검출을 행하면서, TX의 송전 가능범위 전체에 걸쳐 물체의 적재 상태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TX는, 상기 특정한 송전 코일의 식별자, 및, 개방Q값과 RX가 적재된 상태에 있어서의 Q값과의 차분값을 핑 페이즈(도6의 S501)에서 메모리에 기억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기억 처리를 다른 타이밍에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컨피규레이션 페이즈나 니고시에이션 페이즈에서 상기 기억 처리를 행해도 좋다. 추가로, 각각의 정보를 다른 타이밍에서 기억하는 처리가 행해져도 좋다. 이때, TX는 이물 검출 처리를 행한 후, 이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만, 상기 기억 처리를 행해도 좋다. 이에 따라, RX만이 적재되어 있는 상태인 것을, TX가 보다 고정밀도로 판정한 후, 일시정지 처리를 시작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언급한 정지 기간에 대해서는, 수전 장치에 의한 NFC태그 검출 처리를 행하기 위한 기간에 한정되지 없고, 다른 목적으로 정지 기간을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송수전중에 상기 장치의 온도가 상승했을 경우, 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일시정지 기간이여도 좋다. 이 경우, 수전 장치에서 행한 NFC태그 검출 처리를 행하기 위한 기간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TX의 처리를 적용가능하다. 목적에 따라 다른 정지 기간 동안에도 RX의 적재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TX는, 최대 1대의 RX에 송전가능하지만, TX는 복수대의 RX에 송전 가능하여도 좋다. 이 경우, TX는 복수의 송전 회로나 통신부를 구비하고, 서로 간섭하지 않는 송전 코일을 사용해서 각 RX에 대하여 송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대의 RX에 대하여 송전이 가능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RX에 대응하는 일시정지 기간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TX의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송수전의 정지 기간 동안에 수전 장치가 제거되는 타이밍 등에 따라서는, 수전 장치의 검출을 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었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송전 코일을 구비하는 송전 장치에 있어서 송수전의 정지 기간 동안에 물체의 적재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적절한 제어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 형태의 1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통해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의 1개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판독해 실행하는 처리에 의해서도 실현가능하다. 추가로, 1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면, ASIC)에 의해서도 실현가능하다.
추가로, 송전 장치(101) 및 수전 장치(102)는, 예를 들면, 촬상 장치(스틸 카메라나 비디오카메라 등)나, 스캐너 등의 화상입력장치이여도 좋고, 프린터나 카피기, 프로젝터 등의 화상출력 장치이여도 좋다. 추가로, 하드 디스크 장치나 메모리 장치 등의 기억장치이여도 좋거나, 퍼스널 컴퓨터(PC)나 스마트 폰 등의 정보처리 장치이여도 좋다.
추가로, 본 개시의 각종 실시 형태의 수전 장치는, 정보단말기기이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단말기기는, 수전 안테나로부터 받은 전력이 공급된, 정보를 유저에 표시하는 표시부(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수전 안테나로부터 받은 전력은 축전부(배터리)에 축적되고, 그 배터리로부터 표시부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 경우, 수전 장치는, 송전 장치와는 상이한 그 밖의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통신부는, NFC통신과 제5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5G)등의 통신 규격을 지원해도 좋다.
추가로, 본 개시의 각종 실시 형태의 수전 장치가 자동차등의 차량이여도 좋다. 예를 들면, 수전 장치인 자동차는, 주차장에 설치된 송전 안테나를 통해 충전기(송전 장치)로부터 전력을 받아도 좋다. 추가로, 수전 장치인 자동차는, 도로에 내장된 송전 안테나를 통해 충전기(송전 장치)로부터 전력을 받아도 좋다. 수전한 전력은 자동차 배터리에 공급된다. 배터리의 전력은, 차바퀴를 구동하는 발동부(모터, 전동부)에 공급되어도 좋거나, 운전 보조에 사용된 센서의 구동이나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의 구동에 사용되어도 좋다. 즉, 이 경우, 수전 장치는, 차바퀴의 기타, 배터리나, 수전한 전력을 사용해서 구동된 모터나 센서, 그리고 송전 장치이외의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더욱이, 수전 장치는, 사람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센서의 예로서는, 차간거리나 다른 장해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된 센서 등이 있다. 통신부는, 예를 들면, 전지구 측위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atellite, GPS)과 호환 가능하여도 좋다. 추가로, 통신부는, 제5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5G)등의 통신 규격과 호환 가능하여도 좋다. 추가로, 상기 차량은, 자전거나 자동이륜차이여도 좋다.
추가로, 본 개시의 각종 실시 형태의 수전 장치는, 전동공구, 가전제품 등이여도 좋다. 수전 장치인 이것들의 기기는, 배터리의 기타, 배터리에 축적된 수전 전력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추가로, 이것들의 기기는, 배터리의 잔량 등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추가로, 이것들의 기기는, 송전 장치와는 상이한 그 밖의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통신부는, NFC와 제5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5G)등의 통신 규격과 호환 가능하여도 좋다.
추가로, 본 개시의 각종 실시 형태의 송전 장치는, 자동차인 차량내에서, 무선전력전송을 지원하는 스마트 폰이나 타블렛 등의 휴대 정보 단말기기에 대하여 송전을 행하는 차재용 충전기이여도 좋다. 이러한 차재용 충전기는, 자동차내의 어디에 설치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차재용 충전기는, 자동차의 콘솔에 설치되어도 좋거나, 기기 패널(대시보드)이나, 승객의 좌석간의 위치, 천장 또는 도어에 설치되어도 좋다. 단,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장소에 설치되지 않아야 한다. 추가로, 송전 장치가 차재용 충전기의 예로서 설명했지만, 이러한 충전기가, 차량에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차나 항공기, 선박 등의 유송기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의 충전기도, 승객의 좌석간, 천장 또는 도어에 설치되어도 좋다.
추가로, 차재용 충전기를 구비한 자동차 등의 차량이, 송전 장치이여도 좋다. 이 경우, 송전 장치는, 차바퀴와 배터리를 가지고, 배터리의 전력을 사용하여 송전 회로부나 송전 안테나에 의해 상기 수전 장치에 전력을 공급한다.
(그 밖의 실시 형태)
또한, 본 개시의 실시 형태(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 형태(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 형태(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특정 용도 지향 집적회로(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 형태(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 형태(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개시를 예시적 실시 형태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그 개시는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 형태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본 출원은, 여기서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22년 6월 13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22-095053의 이점을 청구한다.

Claims (16)

  1. 복수의 송전 코일;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수전 장치에 무선으로 송전하는 송전수단;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물체의 검출 처리를 행하는 검출수단; 및
    상기 수전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수전 장치로부터 송전의 정지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송전의 정지 기간에, 상기 송전에 사용되었던 송전 코일을 사용하여 물체의 검출 처리를 행하는, 송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정지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에 정지 기간을 결정하는 결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송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코일에 대하여 상기 수전 장치가 적재되어 있는 상태, 상기 수전 장치와는 상이한 물체가 적재되어 있는 상태, 또는 상기 물체가 적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판정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송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정지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이고, 또한 상기 송전 코일에 대하여 상기 수전 장치가 적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 상기 정지 기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송전의 정지에 관련된 처리를 종료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송전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송전 코일에 관련된 품질계수의 변화, 상기 송전 장치의 송전 전력과 상기 수전 장치의 수전 전력과의 차분, 또는 상기 송전 코일과 상기 수전 장치가 구비한 수전 코일과의 결합 계수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상태를 판정하는, 송전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송전 코일에 대하여 상기 수전 장치와는 상이한 물체가 적재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 상기 정지 기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송전의 정지에 관련된 처리를 종료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송전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상기 수전 장치의 적재 위치가 변위된 경우에, 기억수단에 기억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1의 송전 코일의 근방의 제2의 송전 코일로부터 아날로그 핑의 송신을 행해서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물체를 검출하는 제어를 행하는, 송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2의 송전 코일에 대하여 상기 수전 장치가 적재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 상기 제2의 송전 코일로부터 디지털 핑의 송신을 행하고, 상기 수전 장치가 상기 정지 기간의 시작 전에 검출된 수전 장치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송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송전의 정지에 관련된 처리가 종료한 후, 상기 수전 장치에의 송전에 사용된 상기 송전 코일이외의 송전 코일을 사용해서 물체의 검출 처리를 행하는, 송전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정지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수전 장치에의 송전에 사용된 송전 코일을 사용해서 물체의 검출 처리를 행하는, 송전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정지 기간에 아날로그 핑을 사용해서 검출 처리를 행하는, 송전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수단은,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정지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수전 장치에의 송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행하는, 송전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바퀴와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전 코일은,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수전 장치에 무선으로 송전하는, 송전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내에 설치되는, 송전 장치.
  15. 송전 장치의 송전 방법이며,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수전 장치에 무선으로 송전하는 것;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물체의 검출 처리를 행하는 것; 및
    상기 수전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수전 장치로부터 송전의 정지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송전의 정지 기간에, 상기 송전에 사용되었던 송전 코일을 사용하여 물체의 검출 처리를 행하는, 송전 방법.
  16. 컴퓨터에 송전 장치의 송전 방법을 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기록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수전 장치에 무선으로 송전하는 것;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물체의 검출 처리를 행하는 것; 및
    상기 수전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수전 장치로부터 송전의 정지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송전의 정지 기간에, 상기 송전에 사용되었던 송전 코일을 사용하여 물체의 검출 처리를 행하는, 비일시적 기록매체.
KR1020230070668A 2022-06-13 2023-06-01 송전 장치, 송전 장치의 송전방법, 및 비일시적 기록 매체 KR202301713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95053A JP2023181742A (ja) 2022-06-13 2022-06-13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22-095053 2022-06-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383A true KR20230171383A (ko) 2023-12-20

Family

ID=8638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0668A KR20230171383A (ko) 2022-06-13 2023-06-01 송전 장치, 송전 장치의 송전방법, 및 비일시적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402880A1 (ko)
EP (1) EP4293873A1 (ko)
JP (1) JP2023181742A (ko)
KR (1) KR20230171383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8503B2 (ja) 2013-09-11 2017-10-04 ローム株式会社 ワイヤレス受電装置、その制御回路および制御方法
US10340711B2 (en) 2016-09-23 2019-07-02 Apple Inc. Faraday cage for wireless charging devices
JP7278855B2 (ja) * 2019-04-24 2023-05-22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装置、送電装置が実行する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69937B2 (ja) * 2019-04-26 2022-11-11 キヤノン株式会社 受電装置、送電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JP2022020086A (ja) * 2020-06-26 2022-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077660A (ja) * 2020-11-12 2022-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077658A (ja) * 2020-11-12 2022-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095053A (ja) 2020-12-16 2022-06-28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放射線撮影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93873A1 (en) 2023-12-20
US20230402880A1 (en) 2023-12-14
JP2023181742A (ja) 2023-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4416B2 (ja) 受電装置、及び受電方法
US20200185962A1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ntrol methods therefof, and program
TW202015308A (zh) 具有多重控制器之無線電力傳輸設備
US11804735B2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RU2603009C2 (ru)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US20160072334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US11309746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with foreign objec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the same
US20220247223A1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ontrol method executed by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30104039A1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EP3125404B1 (en) Power reception apparatus,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JP6769508B2 (ja) 送電装置、送電方法、受電装置、及び受電方法
US20210175756A1 (en) Power receiving apparatu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20230171383A (ko) 송전 장치, 송전 장치의 송전방법, 및 비일시적 기록 매체
US20230275473A1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30275472A1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22185994A1 (ja) 受電装置、受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062449A1 (en) Power feed device and power receiving device
WO2023136154A1 (ja) 送電装置、受電装置、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送電装置の制御方法、受電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3199593A1 (ja) 受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送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20230246491A1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40146121A1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power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23106030A1 (ja) 受電装置、送電装置、無線電力伝送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225984A (ja) 電子機器、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23149238A1 (ja) 送電装置および受電装置
US20230318362A1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