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353A -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 - Google Patents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353A
KR20230170353A KR1020220070737A KR20220070737A KR20230170353A KR 20230170353 A KR20230170353 A KR 20230170353A KR 1020220070737 A KR1020220070737 A KR 1020220070737A KR 20220070737 A KR20220070737 A KR 20220070737A KR 20230170353 A KR20230170353 A KR 20230170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ming
panel
processed
processin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우
Original Assignee
삼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0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0353A/ko
Publication of KR20230170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35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B21D39/021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for panels, e.g. vehicle doors
    • B21D39/023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for panels, e.g. vehicle doors us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를 갖는 피가공패널의 해당크기를 용이하게 감지한 후 피가공패널의 해당크기에 맞게 피가공패널의 단부부위의 헤밍성형을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품질이 우수한 피가공패널을 가공할 수 있는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피가공패널을 승강시키는 승강부가 구비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전측과 후측 및 상기 테이블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일정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의 승강부에 의해 높이조절된 피가공패널의 전측과 후측 및 피가공패널의 좌측과 우측을 순차적으로 각각 안착지지하는 안착몸체와, 상기 안착몸체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테이블의 전측과 후측에 전후대칭된 상태로 일정높이로 구비 및 상기 테이블의 좌측과 우측에 좌우대칭된 상태로 일정높이로 구비되어 피가공패널의 전측단부와 후측단부 및 피가공패널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를 순차적으로 각각 헤밍성형하는 헤밍성형부재와, 상기 안착몸체와 상기 헤밍성형부재를 피가공패널의 전측과 후측 및 피가공패널의 좌측과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각각 이송시키는 이송부재로 구성되는 전후헤밍부 및 좌우헤밍부를 포함하는 헤밍부와; 상기 전후헤밍부 및 상기 좌우헤밍부에 각각 일정높이로 구비되어 피가공패널의 전측과 후측 및 피가공패널의 좌측과 우측을 순차적으로 위치고정시키는 전후위치고정부 및 좌우위치고정부로 구성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A universal hemming device for processing various types of panels}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를 갖는 피가공패널의 해당크기를 용이하게 감지한 후 피가공패널의 해당크기에 맞게 피가공패널의 단부부위의 헤밍성형을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품질이 우수한 피가공패널을 가공할 수 있는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기까지는 2 내지 3만 여개의 부품을 여러 차례의 조립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차체는 자동차 제조과정의 첫 단계로서, 여러 종류의 프레스 장치를 통하여 제품패널을 생산한 후, 차체공장으로 옮겨와서 제품패널의 각 부분이 조립되어 화이트 보디(B.I.W) 상태의 차체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패널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프레스 장비를 통하여 일정한 형태로 가압 성형하는 성형공정후, 트리밍(TRIMMING)과 피어싱(PIECING) 및 플랜징(FLANGING), 헤밍(HEMMING) 등의 프레스 공정에서 절단, 홀 가공, 절곡, 휨 등의 가공작업을 거치게 된다.
이 중에서 헤밍 공정은 도어, 후드, 트렁크 리드 등에 구성되는 인너 패널에 대하여 아웃터패널을 헤밍 가공한다.
이와 같은 헤밍 공정과 관련하여 최근에는 캠 타입과 롤러 타입의 헤밍 구조를 적용하여 패널 플랜지부의 헤밍 성형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헤밍 시스템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63044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63044호의 경우, 제한된 크기의 패널의 가장자리 단부만을 헤밍성형할 수 있을 뿐 패널의 크기에 맞게 헤밍성형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6304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를 갖는 피가공패널의 해당크기를 용이하게 감지한 후 피가공패널의 해당크기에 맞게 피가공패널의 단부부위의 헤밍성형을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품질이 우수한 피가공패널을 가공할 수 있는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가공패널을 승강시키는 승강부가 구비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전측과 후측 및 상기 테이블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일정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의 승강부에 의해 높이조절된 피가공패널의 전측과 후측 및 피가공패널의 좌측과 우측을 순차적으로 각각 안착지지하는 안착몸체와, 상기 안착몸체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테이블의 전측과 후측에 전후대칭된 상태로 일정높이로 구비 및 상기 테이블의 좌측과 우측에 좌우대칭된 상태로 일정높이로 구비되어 피가공패널의 전측단부와 후측단부 및 피가공패널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를 순차적으로 각각 헤밍성형하는 헤밍성형부재와, 상기 안착몸체와 상기 헤밍성형부재를 피가공패널의 전측과 후측 및 피가공패널의 좌측과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각각 이송시키는 이송부재로 구성되는 전후헤밍부 및 좌우헤밍부를 포함하는 헤밍부와; 상기 전후헤밍부 및 상기 좌우헤밍부에 각각 일정높이로 구비되어 피가공패널의 전측과 후측 및 피가공패널의 좌측과 우측을 순차적으로 위치고정시키는 전후위치고정부 및 좌우위치고정부로 구성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테이블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전측 지지프레임 및 후측 지지프레임과, 상기 테이블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테이블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전측과 후측이 상기 전측 지지프레임의 상부 좌측과 상기 후측 지지프레임의 상부 좌측 및 상기 전측 지지프레임의 상부 우측과 상기 후측 지지프레임의 상부 우측에 각각 고정되는 좌측 가이드봉 및 우측 가이드봉과, 상기 좌측 가이드봉 및 상기 우측 가이드봉을 따라 전후이송되고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피가공패널이 각각 안착되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과 함께 피가공패널을 상기 좌측 가이드봉 및 상기 우측 가이드봉을 따라 상기 테이블의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는 피가공패널 이송부;가 구비되고, 상기 테이블의 중간부에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관통구의 상부방향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판과; 상기 피가공패널 이송부에 의해 상기 승강판의 상부방향으로 이송된 피가공패널과 함께 상기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후헤밍부 및 좌우헤밍부의 상기 헤밍성형부재는 하부가 상기 테이블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회전이동몸체와; 상기 회전이동몸체에 후측에 구비되고, 하부가 상기 회전이동몸체의 하부를 따라 회전이동하여 피가공패널의 전측단부와 후측단부 및 피가공패널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를 순차적으로 각각 헤밍성형하는 헤밍성형몸체와; 상기 회전이동몸체의 하부와 함께 상기 헤밍성형몸체의 하부가 상기 테이블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되도록 상기 회전이동몸체의 상부를 상기 테이블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후헤밍부 및 좌우헤밍부의 상기 이송부재는 상부에 상기 안착몸체와 상기 헤밍성형부재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안착몸체 및 상기 헤밍성형부재와 함께 상기 피가공패널의 전측과 후측 및 상기 피가공패널의 좌측과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이송몸체와; 상기 이송몸체를 피가공패널의 전측과 후측 및 피가공패널의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위치고정부의 전후위치고정부와 좌우위치고정부는 상기 전후헤밍부의 상부와 상기 좌우헤밍부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바와; 상기 승강바의 하부에 상기 승강바와 함께 승강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피가공패널의 전측과 후측 및 피가공패널의 좌측과 우측을 순차적으로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와; 상기 승강바와 함께 상기 위치고정부재를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피가공패널의 전후폭 및 좌우폭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헤밍부의 이송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헤밍성형몸체의 하부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홈을 제외한 나머지 홈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바와; 복수의 상기 홈과 마주보는 상기 회전이동몸체의 후측부위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고, 자력에 의해 복수의 상기 삽입바를 위치고정시키는 자력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복수의 상기 삽입바의 후측에 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검출부를 통해 다양한 크기를 갖는 피가공패널의 해당크기를 용이하게 감지한 후 전후헤밍부 및 좌우헤밍부를 통해 피가공패널의 해당크기에 맞게 피가공패널의 단부부위의 헤밍성형을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품질이 우수한 피가공패널을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피가공패널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피가공패널이 테이블의 중간부 방향으로 이송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피가공패널이 승강부에 의해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일부단면도이고,
도 5는 전후헤밍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고,
도 7은 좌우헤밍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고,
도 9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좌우헤밍부를 통해 피가공패널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를 헤밍성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전후헤밍부를 통해 피가공패널의 전측단부와 후측단부를 헤밍성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5는 헤밍성형몸체의 복수의 홈으로부터 삽입바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5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C - C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19 및 도 20은 헤밍성형몸체의 복수의 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홈에 피가공패널의 단부부위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테이블(10), 헤밍부(20) 및 위치고정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피가공패널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피가공패널이 테이블의 중간부 방향으로 이송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먼저, 상기 테이블(10)에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가공패널(3)을 상기 테이블(10)의 전후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피가공패널 이송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가공패널(3)은 차량의 도어, 후드, 트렁크 리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가공패널(3)의 전측단부, 후측단부,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는 상기 피가공패널 이송부(12)의 이송프레임(125)의 상부에 안착되기 전에 상기 피가공패널(3)의 상부방향으로 사전에 일정길이로 수직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가공패널 이송부(12)는 일예로, 크게, 전측 지지프레임(121), 후측 지지프레임(122), 좌측 가이드봉(123), 우측 가이드봉(124), 이송프레임(125) 및 액추에이터(12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지지프레임(121)은 상기 테이블(10)의 전측 중간부 외부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지지프레임(122)은 상기 테이블(10)의 후측 중간부 외부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측 가이드봉(123)은 상기 테이블(1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테이블(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상기 좌측 가이드봉(123)의 전측은 상기 전측 지지프레임(121)의 상부 좌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좌측 가이드봉(123)의 후측은 상기 후측 지지프레임(122)의 상부 좌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우측 가이드봉(124)은 상기 테이블(1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좌측 가이드봉(123)을 따라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상기 우측 가이드봉(124)의 전측은 상기 전측 지지프레임(121)의 상부 우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우측 가이드봉(124)의 후측은 상기 후측 지지프레임(122)의 상부 우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송프레임(125)의 좌측 내부와 우측 내부를 각각 상기 좌측 가이드봉(123)과 상기 우측 가이드봉(124)이 수평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프레임(125)은 상기 좌측 가이드봉(123) 및 상기 우측 가이드봉(124)을 따라 상기 테이블(10)의 전후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이송프레임(125)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상기 피가공패널(3)이 각각 수평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26)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좌측 가이드봉(123) 또는 상기 우측 가이드봉(124)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좌측 가이드봉(123)의 외측방향의 상기 후측 지지프레임(122)의 상부 좌측 또는 상기 우측 가이드봉(124)의 외측방향의 상기 후측 지지프레임(122)의 상부 우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고정되는 유압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의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26)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로드(126a)의 전측은 상기 이송프레임(125)의 좌측면 전측 또는 우측면 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후술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126)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로드(126a)의 길이가 신축됨에 따라 상기 이송프레임(125)과 함께 상기 피가공패널(3)이 상기 좌측 가이드봉(123) 및 상기 우측 가이드봉(124)을 따라 상기 테이블(10)의 전후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4는 피가공패널이 승강부에 의해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일부단면도이다.
상기 테이블(10)의 중간부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가공패널(3)을 승강시키는 승강부(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테이블(10)의 중간부에 관통구(1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11)는 일예로, 크게, 승강판(111)과 액추에이터(1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판(111)은 상기 테이블(10)의 관통구(100)의 상부방향에 승강가능하게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12)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테이블(10)의 관통구(100)에 수직구비되는 유압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의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12)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로드(112a)의 상부는 상기 승강판(111)의 하부 중간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112)를 이룰수 있는 실린더의 로드(112a)의 길이가 신축됨에 따라 상기 피가공패널 이송부(12)에 의해 상기 승강판(111)의 상부방향으로 이송된 피가공패널(3)과 함께 상기 승강판(111)이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12)에 의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가공패널(3)과 함께 상기 승강판(111)이 상승된 후 상기 이송프레임(125)은 상기 피가공패널 이송부(12)에 의해 상기 테이블(10)의 전측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5는 전후헤밍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헤밍부(20)는 크게, 전후헤밍부(210)와 좌우헤밍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헤밍부(210)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안착몸체(201), 헤밍성형부재(202) 및 이송부재(20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헤밍부(210)의 안착몸체(201)는 상기 테이블(10)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상기 테이블(10)의 전측과 후측에 일정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10)의 승강부(11)에 의해 높이조절된 피가공패널(3)의 전측과 후측을 안착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후헤밍부(210)의 헤밍성형부재(202)는 상기 전후헤밍부(210)의 안착몸체(201)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테이블(10)의 전측과 후측에 일정높이로 구비되어 피가공패널(3)의 전측단부와 후측단부가 피가공패널(3)의 상부방향으로 각각 수평으로 접혀지도록 피가공패널(3)의 전측단부와 후측단부를 헤밍성형할 수 있다.
상기 전후헤밍부(210)의 헤밍성형부재(202)는 일예로, 크게, 회전이동몸체(202a), 헤밍성형몸체(202b) 및 액추에이터(20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몸체(202a)의 하부는 상기 테이블(1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헤밍성형몸체(202b)는 상기 안착몸체(201)를 따라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상기 회전이동몸체(202a)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밍성형몸체(202b)의 하부는 상기 회전이동몸체(202a)의 하부를 따라 회전이동하면서 피가공패널(3)의 전측단부와 후측단부를 헤밍성형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202c)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202c)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로드(205)의 후측이 상기 회전이동몸체(202a)의 상부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202c)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로드(205)의 길이가 신축됨에 따라 상기 회전이동몸체(202a)의 상부가 상기 테이블(1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되면서 상기 회전이동몸체(202a)의 하부와 함께 상기 헤밍성형몸체(202b)의 하부가 상기 테이블(1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203)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안착몸체(201)와 상기 헤밍성형부재(202)를 피가공패널(3)의 전측과 후측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전후헤밍부(210)의 이송부재(203)는 일예로, 크게, 이송몸체(203a)와 액추에이터(20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몸체(203a)의 상부에는 상기 안착몸체(201)와 상기 헤밍성형부재(202)가 상기 이송몸체(203a)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몸체(201)는 상기 이송몸체(203a)의 상부 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헤밍성형부재(202)의 회전이동몸체(202a)의 좌측과 우측은 각각 이송몸체(203a)의 상부 좌측과 상부 우측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송몸체(203a)의 상부 전측에는 고정브라켓(206)이 상기 이송몸체(203a)의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206)의 상부에 상기 헤밍성형부재(202)의 액추에이터(202c)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중간부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테이블(10)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상기 테이블(10)의 전후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전후가이드레일(101)이 상기 테이블(10)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몸체(203a)의 하부는 상기 전후가이드레일(101)에 상기 테이블(10)의 전후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203b)는 일예로, 리드스크류(207), 기어박스(208) 및 구동모터(209)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송몸체(203a)를 피가공패널(3)의 전측과 후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07)는 상기 이송몸체(203a)의 하부 중간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208)의 상부에 상기 리드스크류(207)의 전측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어박스(208)는 상기 리드스크류(207)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09)는 상기 기어박스(208)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어박스(208)를 통해 상기 리드스크류(207)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리드스크류(207)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203b)는 다른예로, 상기 이송몸체(203a)의 하부 중간부에 로드가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유압실린더 등의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203b)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로드의 길이가 신축됨에 따라 상기 이송몸체(203a)를 피가공패널(3)의 전측과 후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전후헤밍부(210)의 안착몸체(201)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테이블(10)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상기 전후헤밍부(210)가 전후대칭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좌우헤밍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상기 좌우헤밍부(220)는 상기 전후헤밍부(210)와 동일하게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상기 안착몸체(201), 헤밍성형부재(202) 및 이송부재(20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헤밍부(220)의 안착몸체(201)는 상기 테이블(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상기 테이블(10)의 좌측과 우측에 일정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10)의 승강부(11)에 의해 높이조절된 피가공패널(3)의 좌측과 우측을 안착지지할 수 있다.
상기 좌우헤밍부(220)의 헤밍성형부재(202)는 상기 좌우헤밍부(220)의 안착몸체(201)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테이블(10)의 좌측과 우측에 일정높이로 구비되어 피가공패널(3)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가 피가공패널(3)의 상부방향으로 각각 수평으로 접혀지도록 피가공패널(3)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를 헤밍성형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10)의 상부 좌측과 상부 우측에 상기 테이블(10)의 좌우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좌우가이드레일(102)이 상기 테이블(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헤밍부(220)의 이송몸체(203a)의 하부는 상기 좌우가이드레일(102)에 상기 테이블(10)의 좌우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우헤밍부(220)의 액추에이터(203b)에 의해 상기 좌우헤밍부(220)의 이송몸체(203a)가 상기 좌우가이드레일(102)을 따라 피가공패널(3)의 좌측과 우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좌우헤밍부(220)의 안착몸체(201)가 서로 마주보면서 상기 좌우헤밍부(220)가 상기 전후헤밍부(210)와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테이블(10)의 상부 좌측과 상부 우측에 상기 좌우헤밍부(220)가 좌우대칭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고정부(30)는 상기 전후헤밍부(210) 및 상기 좌우헤밍부(220)에 각각 일정높이로 구비되어 피가공패널(3)의 전측과 후측 및 피가공패널(3)의 좌측과 우측을 순차적으로 위치고정시키는 전후위치고정부(310) 및 좌우위치고정부(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위치고정부(310)는 상기 전후헤밍부(210)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후위치고정부(310)는 지지프레임(301), 승강바(302), 위치고정부재(303) 및 액추에이터(30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위치고정부(310)의 지지프레임(301)의 전측 하부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헤밍부(210)의 이송몸체(203a)의 고정브라켓(206)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후헤밍부(210)의 이송몸체(203a)의 상부 중간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바(302)는 상기 지지프레임(301)의 후측 하부에 승강가능하게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303)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바(302)의 하부에 상기 승강바(302)와 함께 승강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피가공패널(3)의 전측과 후측을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303)는 일예로, 크게, 위치고정몸체(303a)와 위치고정핀(303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몸체(303a)의 상부가 상기 승강바(302)의 하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상기 승강바(302)의 하부에 상기 위치고정몸체(303a)가 상기 승강바(302)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핀(303b)은 상기 위치고정몸체(303a)의 하부에 일정길이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304)는 상기 위치고정부재(303)의 위치고정핀(303b)이 상기 위치고정핀(303b)의 하부방향의 피가공패널(3)의 전측 상부 및 후측 상부에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바(302)와 함께 상기 위치고정부재(303)를 승강시키는 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304)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는 상기 지지프레임(301)의 후측에 상기 지지프레임(301)의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304)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로드(304a)의 하부는 상기 승강바(302)의 좌측 상부와 우측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304)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로드(304a)의 길이가 신축됨에 따라 상기 승강바(302)와 함께 상기 위치고정부재(303)가 승강운동할 수 있다.
상기 전후위치고정부(310)는 상기 테이블(10)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상기 전후헤밍부(20)와 함께 전후대칭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좌우위치고정부(220)는 상기 좌우헤밍부(220)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좌우위치고정부(220)는 상기 전후위치고정부(310)와 동일하게 상기 지지프레임(301), 상기 승강바(302) 및 상기 위치고정부재(303)로 구성될 수 있다.
단, 상기 좌우위치고정부(220)의 지지프레임(301)의 좌측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헤밍부(220)의 이송몸체(203a)의 고정브라켓(206)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좌우헤밍부(220)의 이송몸체(203a)의 고정브라켓(206)의 측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위치고정부(220)는 상기 테이블(10)의 상부 좌측과 상부 우측에 상기 좌우헤밍부(220)와 함께 좌우대칭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좌우위치고정부(220)의 액추에이터(304)에 의해 상기 좌우위치고정부(220)의 위치고정핀(303b)이 승강운동하여 피가공패널(3)의 좌측 상부 및 후측 상부에 가압될 수 있다.
도 9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피가공패널(3)의 전후폭 및 좌우폭을 검출하는 검출부(40)와; 상기 검출부(40)의 검출신호에 따라 전원공급부(50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헤밍부(20)의 이송부재(203)를 제어하는 제어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40)는 일예로, 상기 전후헤밍부(210)의 이송몸체(203a) 및 상기 좌우헤밍부(220)의 이송몸체(203a)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출부(40)는 레이저 변위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검출부(40)를 통해 다양한 크기를 갖는 피가공패널(3)의 해당크기를 용이하게 감지한 후 상기 전후헤밍부(210) 및 좌우헤밍부(220)를 통해 피가공패널(3)의 해당크기에 맞게 피가공패널(3)의 단부부위의 헤밍성형을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품질이 우수한 피가공패널을 가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좌우헤밍부를 통해 피가공패널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를 헤밍성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일예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피가공패널(3)의 해당크기에 맞게 좌우헤밍부(220)가 상기 검출부(40)의 검출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피가공패널(3)의 좌측과 우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좌우헤밍부(220)의 안착몸체(201)의 상부에 각각 피가공패널(3)의 좌측과 우측이 상기 승강부(11)에 의해 각각 안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위치고정부(320)에 의해 피가공패널(3)의 좌측과 우측이 위치고정된 후 상기 좌우헤밍부(220)의 헤밍성형부재(202)가 피가공패널(3)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를 헤밍성형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전후헤밍부를 통해 피가공패널의 전측단부와 후측단부를 헤밍성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피가공패널(3)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의 헤밍성형 완료 후, 피가공패널(3)의 좌측과 우측을 각각 안착지지하는 상기 좌우헤밍부(220)의 안착몸체(201)의 지지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좌우헤밍부(220)가 상기 테이블(10)의 좌측과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가공패널(3)의 해당크기에 맞게 상기 전후헤밍부(210)가 상기 검출부(40)의 검출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피가공패널(3)의 전측과 후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전후헤밍부(210)의 안착몸체(201)의 상부에 각각 피가공패널(3)의 전측과 후측이 상기 승강부(11)에 의해 각각 안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위치고정부(310)에 의해 피가공패널(3)의 전측과 후측이 위치고정된 후 상기 전후헤밍부(210)의 헤밍성형부재(202)가 피가공패널(3)의 전측단부와 후측단부를 헤밍성형할 수 있다.
상기 피가공패널(3)의 전측단부와 후측단부의 헤밍성형 완료 후, 상기 승강부(11)에 의해 헤밍성형완료된 피가공패널(3)은 상기 피가공패널 이송부(12)의 이송프레임(125)의 상부 후측에 수평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가공패널 이송부(12)의 이송프레임(125)의 상부 전측에는 헤밍성형하고자 하는 다른 피가공패널(3)이 수평안착될 수 있다.
헤밍성형완료된 피가공패널(3)은 상기 피가공패널 이송부(12)에 의해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 지지프레임(122)의 상부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고, 상기 후측 지지프레임(122) 주변의 작업자는 상기 후측 지지프레임(122)의 상부방향으로 이송된 헤밍성형완료된 피가공패널(3)을 특정보관장소로 운반할 수 있다.
도 15는 헤밍성형몸체의 복수의 홈으로부터 삽입바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5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C - C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5 내지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헤밍성형몸체(202b)의 하부에 복수의 홈(20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전후헤밍부(210)의 헤밍성형몸체(202b)를 기준으로 복수의 상기 홈(204)은 상기 헤밍성형몸체(202b)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홈(204)의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홈(204)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홈(20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홈(204)을 제외한 나머지 홈(204)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바(60)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삽입바(60)는 복수의 상기 홈(204)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삽입바(60)는 상기 헤밍성형몸체(202b)와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헤밍성형몸체(202b)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삽입바(60)가 삽입되지 않은 상기 홈(204)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헤밍성형이 이루어질 경우, 헤밍성형과정 중 상기 홈(204)의 하부방향의 피가공패널(3)의 전측단부부위, 후측단부부위, 좌측단부부위 및 우측 단부부위에 들뜸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피가공패널(3)의 전측단부부위, 후측단부부위, 좌측단부부위 및 우측 단부부위를 들뜸현상없이 헤밍성형하기 위해, 복수의 상기 홈(20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홈(204)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홈(204)에 복수의 상기 삽입바(60)가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홈(20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홈(204)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홈(204)에 복수의 상기 삽입바(60)를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상기 삽입바(60)의 후측에 노브(6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브(610)는 복수의 상기 삽입바(60)의 후측에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기 홈(20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홈(204)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홈(204)에 삽입고정된 복수의 상기 삽입바(60)를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자력발생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력발생부(70)는 자석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삽입바(6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전후헤밍부(210)를 기준으로, 복수의 상기 홈(204)과 마주보는 상기 전후헤밍부(210)의 회전이동몸체(202a)의 하부 후측부위에 상기 자력발생부(70)가 일정깊이로 각각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자력발생부(70)의 자력에 의해 복수의 상기 삽입바(60)의 전측은 상기 자력발생부(7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헤밍성형몸체의 복수의 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홈에 피가공패널의 단부부위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일예로, 도 19 및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헤밍부(210)의 헤밍성형몸체(202b)의 복수의 상기 홈(204) 중 복수의 상기 삽입바(60)가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2개의 상기 홈(204)에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피가공패널(3)의 수직절곡형성된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전후헤밍부(210)의 헤밍성형몸체(202b)가 다양한 크기를 갖는 피가공패널(3)의 전측단부 및 후측단부를 헤밍성형과정 중 피가공패널(3)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가 방해요소로 작용 및 형태변형될 우려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좌우헤밍부(220)의 헤밍성형몸체(202b)의 복수의 상기 홈(204) 중 복수의 상기 삽입바(60)가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2개의 상기 홈(204)에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피가공패널(3)의 수직절곡형성된 전측단부 및 후측단부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좌우헤밍부(220)의 헤밍성형몸체(202b)가 다양한 크기를 갖는 피가공패널(3)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를 헤밍성형하는 과정 중 피가공패널(3)의 전측단부 및 후측단부가 방해요소로 작용 및 형태변형될 우려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3; 피가공패널, 10; 테이블,
20; 헤밍부, 30; 위치고정부.

Claims (7)

  1. 피가공패널을 승강시키는 승강부가 구비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전측과 후측 및 상기 테이블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일정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의 승강부에 의해 높이조절된 피가공패널의 전측과 후측 및 피가공패널의 좌측과 우측을 순차적으로 각각 안착지지하는 안착몸체와, 상기 안착몸체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테이블의 전측과 후측에 전후대칭된 상태로 일정높이로 구비 및 상기 테이블의 좌측과 우측에 좌우대칭된 상태로 일정높이로 구비되어 피가공패널의 전측단부와 후측단부 및 피가공패널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를 순차적으로 각각 헤밍성형하는 헤밍성형부재와, 상기 안착몸체와 상기 헤밍성형부재를 피가공패널의 전측과 후측 및 피가공패널의 좌측과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각각 이송시키는 이송부재로 구성되는 전후헤밍부 및 좌우헤밍부를 포함하는 헤밍부와;
    상기 전후헤밍부 및 상기 좌우헤밍부에 각각 일정높이로 구비되어 피가공패널의 전측과 후측 및 피가공패널의 좌측과 우측을 순차적으로 위치고정시키는 전후위치고정부 및 좌우위치고정부로 구성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전측 지지프레임 및 후측 지지프레임과, 상기 테이블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테이블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전측과 후측이 상기 전측 지지프레임의 상부 좌측과 상기 후측 지지프레임의 상부 좌측 및 상기 전측 지지프레임의 상부 우측과 상기 후측 지지프레임의 상부 우측에 각각 고정되는 좌측 가이드봉 및 우측 가이드봉과, 상기 좌측 가이드봉 및 상기 우측 가이드봉을 따라 전후이송되고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피가공패널이 각각 안착되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과 함께 피가공패널을 상기 좌측 가이드봉 및 상기 우측 가이드봉을 따라 상기 테이블의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는 피가공패널 이송부;가 구비되고,
    상기 테이블의 중간부에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관통구의 상부방향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판과;
    상기 피가공패널 이송부에 의해 상기 승강판의 상부방향으로 이송된 피가공패널과 함께 상기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헤밍부 및 좌우헤밍부의 상기 헤밍성형부재는 하부가 상기 테이블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회전이동몸체와;
    상기 회전이동몸체에 후측에 구비되고, 하부가 상기 회전이동몸체의 하부를 따라 회전이동하여 피가공패널의 전측단부와 후측단부 및 피가공패널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를 순차적으로 각각 헤밍성형하는 헤밍성형몸체와;
    상기 회전이동몸체의 하부와 함께 상기 헤밍성형몸체의 하부가 상기 테이블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되도록 상기 회전이동몸체의 상부를 상기 테이블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후헤밍부 및 좌우헤밍부의 상기 이송부재는 상부에 상기 안착몸체와 상기 헤밍성형부재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안착몸체 및 상기 헤밍성형부재와 함께 상기 피가공패널의 전측과 후측 및 상기 피가공패널의 좌측과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이송몸체와;
    상기 이송몸체를 피가공패널의 전측과 후측 및 피가공패널의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의 전후위치고정부와 좌우위치고정부는 상기 전후헤밍부의 상부와 상기 좌우헤밍부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바와;
    상기 승강바의 하부에 상기 승강바와 함께 승강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피가공패널의 전측과 후측 및 피가공패널의 좌측과 우측을 순차적으로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와;
    상기 승강바와 함께 상기 위치고정부재를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패널의 전후폭 및 좌우폭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헤밍부의 이송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헤밍성형몸체의 하부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홈을 제외한 나머지 홈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바와;
    복수의 상기 홈과 마주보는 상기 회전이동몸체의 후측부위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고, 자력에 의해 복수의 상기 삽입바를 위치고정시키는 자력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삽입바의 후측에 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
KR1020220070737A 2022-06-10 2022-06-10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 KR202301703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737A KR20230170353A (ko) 2022-06-10 2022-06-10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737A KR20230170353A (ko) 2022-06-10 2022-06-10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353A true KR20230170353A (ko) 2023-12-19

Family

ID=89385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737A KR20230170353A (ko) 2022-06-10 2022-06-10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035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044B1 (ko) 2018-08-20 2020-01-0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헤밍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044B1 (ko) 2018-08-20 2020-01-0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헤밍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3585A (en) Automated dimpling apparatus
US20050223549A1 (en) Apparatus for punching and welding or bonding workpieces
US42737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d trimming, three-dimensional work pieces
CN211588209U (zh) 一种可定距冲孔的不锈钢管冲孔机
KR870001561B1 (ko) 펀치 프레스
CN105916606A (zh) 压弯机
KR20000011868A (ko) 금속 시트를 펀칭 가공 및 굽힘 가공하는 기계
KR101892444B1 (ko) 밴딩 장치
KR100971236B1 (ko) 파이프 가공 장치
KR20230170353A (ko) 다품종 패널 가공을 위한 범용 헤밍장치
US20020133926A1 (en) Lifter and separator for stacked flexible flat workpieces
EP1099522B1 (en) Drilling-milling machine for machining panels and the like
KR101484451B1 (ko) 밴딩머신
EP2450165A1 (de) Bearbeitungswerkzeug für eine Vorrichtung zum Bearbeiten, insbesondere zum Stanzen und Verbinden eines Werkstücks
US20180133771A1 (en) Machine for bending metal including an adjustable backgauge
CA2245081A1 (en)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metal sheet panels with bent edges
JP2005066791A (ja) 可撓性部材の固定装置
US20210046531A1 (en) Press brake system
DE102016110491A1 (de) Transportvorrichtung für Pressenanlagen
EP1048373B1 (de) Orientierstation mit Stabgetriebe
KR102614927B1 (ko) 절곡 장치
KR101544399B1 (ko) 틸팅 기능을 갖춘 리프터 시스템
US20180126434A1 (en) Method and machine for bending metal including locking mechanism for adjustable die
US7971468B2 (en) Part transfer system and method
KR960004792B1 (ko) 자동차의 루프 패널(roof panel) 스폿트 용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