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9697A - 접속된 네트워크에 기초한 외부 장치 제어 - Google Patents

접속된 네트워크에 기초한 외부 장치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9697A
KR20230169697A KR1020220070158A KR20220070158A KR20230169697A KR 20230169697 A KR20230169697 A KR 20230169697A KR 1020220070158 A KR1020220070158 A KR 1020220070158A KR 20220070158 A KR20220070158 A KR 20220070158A KR 20230169697 A KR20230169697 A KR 20230169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user account
application
electronic device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혜
최준영
이상민
최미경
부덕희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20070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9697A/ko
Priority to PCT/US2022/052221 priority patent/WO2023239401A1/en
Publication of KR20230169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9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38Software related arrangements, e.g. load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496Changing the task performed, e.g. reading and transmitting, receiving and reproducing, cop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1Configuring for operating with peripheral devices; Loading of device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일 예에 따르면, 방법은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 중 하나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 중 하나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것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을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는 단계와, 사용자 계정 전환에 대응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설정을, 전환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동작 설정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속된 네트워크에 기초한 외부 장치 제어{EXTERNAL DEVICE CONTROL BASED ON CONNECTED NETWORK}
사용자의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어되고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장치에는 문자 입력 장치, 광학 입력 장치, 화면 입력 장치, 영상 출력 장치, 음성 출력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등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의 종류에는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및 팩시밀리 등과 같은 개별 장치들이 있고, 또한 이러한 개별 장치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한 복합기(MFP: Multi-function Product)도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의 활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전자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서 계정을 생성하고, 외부 장치를 사용자 계정에 등록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접속된 네트워크에 기초한 외부 장치 제어 기능이 구현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식별자 저장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의 환경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계정이 로그아웃 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사용자 계정을 선택하고 해당 계정에 대응하는 외부 장치의 설정 정보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해당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다중 계정 로그인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계정 목록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예에 따른 조직 정보와 정책 정보에 따른 장치의 설정 정보의 업데이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예에 따른 접속된 네트워크에 기초한 외부 장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사용자의 전자 장치에 설치되어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외부 장치의 설정 정보, 가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하는 외부 장치의 환경 설정 정보 등을 불러올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에 복수 개의 계정을 등록하고, 필요에 따라, 예컨대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 내지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복수 개의 계정을 전환하면서 여러 외부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계정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위치한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로그인 계정을 수동으로 변경해야 한다.
이에, 일 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수동적인 개입 없이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계정을 사용자가 위치한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적합한 로그인 계정으로 자동 전환하는 것이다. 또한, 일 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하는 외부 장치의 환경 설정 값을 해당 로그인 계정과 연관된 외부 장치의 환경 설정 값으로 사용자의 수동적인 개입 없이 업데이트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는,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의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자 장치가 기존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한편, 해당 네트워크에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되는 사용자의 로그인 계정 및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환경 설정 값을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접속하는 네트워크 환경이 변경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변경된 네트워크 환경을 감지한 후 해당 네트워크와 대응하는 계정의 로그인 정보를 획득하여 애플리케이션이 해당 계정으로 사용되도록 전환하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설정을 해당 계정에 대응하는 동작 설정으로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해당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즉,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 저장, 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작업"은 인쇄, 복사, 스캔, 팩스, 저장, 전송, 코팅 등과 관련된 작업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란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2D 화상 형성 장치 또는 3D 화상 형성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복사, 인쇄 및 스캔 등과 같은 기본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란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조작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란 화상 형성 장치의 모든 기능 및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관리자"와 "사용자"는 동일한 사람일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 “전자 기기”, 또는 “사용자 장치”란 예컨대, 컴퓨터, 랩톱, 태블릿 PC, 이동 전화 단말기 등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정보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란, 전자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사용자 장치를 의미한다. 외부 장치는 예컨대 화상 형성 장치, 문자 입력 장치, 광학 입력 장치, 화면 입력 장치, 영상 출력 장치, 음성 출력 장치 등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사용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범용 프린터 드라이버(Universal Printer Driver, UPD)”란 하나의 프린터 드라이버로 하나 이상의 프린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는 드라이버를 의미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접속된 네트워크에 기초한 외부 장치 제어 기능이 구현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운영체제(130), 애플리케이션(1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110)의 구성이 도 1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 예를 들어, 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각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구성 요소를 연결하는 통신부 또는 그 밖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 개시된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가 하나의 장치로 한정될 수도 있고, 복수의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어서 구성될 수도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새로운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미 저장된 정보를 갱신할 수도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메모리(120)로부터 획득하거나 메모리(120)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100), 예컨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110)는 전자 장치(100)가 접속되는 네트워크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운영 체제(130)로부터 네트워크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이벤트는 전자 장치(100)가 접속되는 네트워크가 변경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시작하여 운영 체제(130)에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는 상황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네트워크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전자 장치(100)가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주소(예컨대, 게이트웨이 MAC 어드레스 등)를 네트워크 장치를 제어하는 운영 체제(130)에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40)은 전자 장치(100)와 연결되는 외부 장치와 연계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자 장치(100)와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기능 및 환경 설정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애플리케이션(140)은 사용자 계정에 대한 로그인 기능을 제공하며, 복수 개의 계정이 로그인 상태에 있는 다중 계정 로그인 기능도 제공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복수의 계정으로 애플리케이션(140)에 로그인할 수도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140)은 운영체제(130)로부터 네트워크 이벤트를 수신한 후, 전자 장치(100)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정보 및 이와 연관된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계정과 연관된 외부 장치의 설정 정보, 가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하는 외부 장치의 환경 설정 정보 등을 불러올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150)란, 전자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사용자 장치를 의미한다. 외부 장치(150)는 예컨대 화상 형성 장치, 문자 입력 장치, 광학 입력 장치, 화면 입력 장치, 영상 출력 장치, 음성 출력 장치 등 전자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사용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예로 외부 장치(150)가 화상 형성 장치인 경우의 구성 및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애플리케이션(140)은 전자 장치(100)에 연결할 수 있는 외부 장치(150)와 연계되는(가령,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일 예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140)은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이는 범용 프린터 드라이버(270) 및 프린터 큐(260)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40)은 로그인 관리자(141) 및 이벤트 핸들러(142)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듯이, 애플리케이션(140)은 로그인 관리자(141) 및 이벤트 핸들러(142)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모듈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모듈은 반드시 독립적으로 구별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모듈로, 또는 여러 개의 모듈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로그인 관리자(141)는 사용자 로그인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는 경우, 해당 계정의 정보, 예컨대 계정 ID를 이용하여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설정 정보(예컨대, 화상 형성 장치의 해상도, 컬러/모노 출력 모드, 사용 용지 크기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이러한 동작 설정 정보는 사용자 및 조직 관리 서버(22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이때, 조직 관리자에 따라 그룹 정책이 관리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 적용되어야 하는 그룹의 정책 정보 또한 수신할 수 있다. 이렇게 수신한 동작 설정은 화상 형성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모듈인 프린터 큐 관리 서비스(250)로 전달되며, 프린터 큐 관리 서비스(25)는 수신한 동작 설정을 프린터 큐(260)에 적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가 해당 동작 설정에 기초하여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 예컨대, 클라우드 서버에 연결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 되는 사용자 계정은, 클라우드 계정일 수도 있고, 외부 장치에 관한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령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된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일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이벤트 핸들러(142)는 전자 장치(100)에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이벤트를 받아서 처리한다. 일 예에 있어서, 특정한 이벤트는 네트워크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이벤트에는 예컨대 전자 장치(100)를 구동하여 네트워크에 새롭게 접속하는 경우, 또는 전자 장치(100)에 접속된 네트워크가 변경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작업 환경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고, 전자 장치(100)에서 관리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현재 설정 정보(가령, 네트워크 ID, 계정 ID, 자격 증명 정보 등)를 우선 저장한다. 일 예에서, 현재 설정 정보는 네트워크 식별자 및 계정 정보 저장소(2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변경된 네트워크 환경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식별자 저장소(200)에는 각 네트워크의 환경 및 그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고, 변경된 네트워크 환경이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네트워크 식별자 저장소(200)에 저장된 네트워크 환경 중 어느 하나와 변경된 네트워크 환경이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네트워크 환경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식별자(도 2에서 Env1, Env2 등으로 도시됨)를 획득할 수 있다. 로그인 관리자(141)는 이후, 획득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정보, 예컨대, 계정 ID와 자격 증명 정보를 네트워크 식별자 및 계정 정보 저장소(2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이란, 네트워크 식별자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하도록 지정된 사용자 계정으로서, 네트워크 식별자와 대응시켜 저장될 수 있다. 네트워크 식별자 및 계정 정보 저장소(210)는 각 네트워크 환경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네트워크 식별자(Env1, Env2 …)와 각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정보(계정 ID, 자격 증명 등)를 저장하고 있다. 로그인 관리자(141)는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관련된 부분을 참조한다.
일 예에서, 제 1 네트워크는 전자 장치가 이전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하지만, 제 1 네트워크가 상기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제 1 네트워크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네트워크 또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네트워크 등과 같이, 사용자, 전자 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사전 설정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환경이 고유하게 식별될 수 있고, 해당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에 사용할 것으로 설정되는 로그인 정보가 매칭될 수 있는 다른 예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식별자 저장소(200)는 제 1 네트워크가 포함된 네트워크 목록을 관리하는 저장소이다. 일 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식별자(Network ID)는 현재 전자 장치(100)가 접속한 네트워크 환경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이다. 일 예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140)의 이벤트 핸들러(142)는 현재 전자 장치(100)가 접속된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목록에 포함된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하는지 판단한 후, 해당 네트워크에 새로운 네트워크 식별자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해당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식별자를 획득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식별자 저장소에 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상세한 설명의 관련된 부분을 참조한다.
네트워크 식별자 및 계정 정보 저장소(210)는, 네트워크 식별자 저장소(200)에 저장된 네트워크 식별자와, 해당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정보를 관리하는 저장소이다. 일 예에 있어서, 로그인 정보에는 계정 ID와 자격 증명(credential)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회사 네트워크에 접속된 전자 장치에서는 비즈니스 계정만을 사용하는 경우, 회사 네트워크와 비즈니스 계정은 서로 연관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140)의 이벤트 핸들러(141)는 네트워크 식별자 저장소(200)에 저장된 회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비즈니스 계정의 로그인 정보를 대응시켜 네트워크 식별자 및 계정 정보 저장소(21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네트워크 이벤트가 발생하여 이벤트 핸들러(141)가 네트워크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현재 접속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계정의 로그인 정보를 네트워크 식별자 및 계정 정보 저장소(210)에서 획득하여 로그인 관리자(141)에 전달할 수 있다.
자격 증명(credential)은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으로서, 일 예에 있어서, 자격 증명은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자격 증명은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운영 체제(130)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사용자 및 조직 관리 서버(220)는 애플리케이션(140)의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140)에 로그인하는 경우, 로그인 된 계정과 대응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설정, 해당 계정의 조직 정보 및 해당 조직에 설정된 정책 정보 등을 사용자 관리 저장소(230) 및 조직 관리 저장소(240)에서 읽어올 수 있다.
사용자 관리 저장소(230)는 각각의 사용자 계정과, 해당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외부 장치의 환경 설정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일 예에 있어서, 외부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의 설정 정보로는 예컨대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 드라이버 설정, 즐겨찾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해당 계정이 속해 있는 조직 또한 제 1 네트워크와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다.
조직 관리 저장소(240)는 해당 사용자 계정이 속해 있는 조직에 관한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조직에 관한 정보로는 예컨대 조직의 정책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외부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인 경우, 조직의 정책 정보로는 특정 드라이버 설정에 대한 기본값 및 특정 설정 사항의 활성화/비활성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사용자 및 조직 관리 서버(220)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된 클라우드 서버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된 서버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관리 저장소(230) 및 조직 관리 저장소(240)는 전자 장치(100)와 별개의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사용자 관리 저장소(230) 및 조직 관리 저장소(240)는 사용자 및 조직 관리 서버(220)를 거칠 필요 없이, 전자 장치(100) 내의 메모리(140)에 로컬하게 저장될 수도 있으며, 전자 장치(100)가 접근할 수 있는 다른 저장소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에 있어서, 외부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인 경우, 프린터 큐 관리 서비스(250), 프린터 큐(260) 및 범용 프린터 드라이버(270)가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린터 큐 관리 서비스(250)는 로그인 관리자(141)를 통해 수신한 화상 형성 장치의 환경 설정 정보 및 조직에 관한 정보를 프린터 큐에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화상 형성 장치 정보, 즐겨찾기 정보, 조직 및 정책 등은 프린터 큐의 속성 정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렇게 설정된 값은 범용 프린터 드라이버(27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프린터 큐(260)는 화상 형성 장치에 화상 형성 작업을 송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범용 프린터 드라이버(270)에 연결된다. 프린터 큐의 속성 정보 저장소는 프린터 큐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저장소로, 예컨대 목적지 프린터의 정보, 즐겨 찾기 정보, 사용자가 포함된 조직의 정보 및 사용자가 포함된 조직에 적용된 화상 형성 장치 설정에 대한 정책을 저장할 수 있다. 범용 프린터 드라이버(270)는 하나의 프린터 드라이버로 하나 이상의 프린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는 드라이버이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식별자 저장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식별자(Network ID)는 현재 전자 장치(100)가 접속한 네트워크 환경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로서, 전자 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주소, 예컨대 게이트웨이의 MAC 어드레스와 연관되어 생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식별자는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20) 또는 전자 장치(100)가 접근할 수 있는 별도의 저장소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장치, 예컨대, NIC(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NIC를 2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NIC를 1개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NIC가 연결된 게이트웨이 MAC 어드레스를 조합함으로써 네트워크 식별자와 그 값을 고유하게 생성함으로써, 현재 전자 장치(100)가 접속된 네트워크 환경 정보를 네트워크 식별자와 대응시켜 네트워크 식별자 저장소(200)에 저장할 수도 있고, 현재 전자 장치가(100)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하는지 식별할 수도 있다.
도 3의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세 개의 NIC(NIC1, NIC2, NIC3)를 구비하고 있고, 네트워크 식별자 1은, NIC 1이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NIC 2, NIC 3은 접속된 네트워크가 없는 환경을 식별하기 위하여 NIC1의 MAC 주소 10:20:30:40:50:60을 고유값으로 하여 생성되고, 네트워크 식별자 1과 NIC1의 MAC 주소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네트워크 식별자 2는 NIC 1이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NIC 2가 또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고, NIC 3은 접속된 네트워크가 없는 환경을 식별하기 위하여 생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식별자 3은 NIC 1, NIC 2, NIC 3가 각각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된 환경을 식별할 수 있는 일 예이고, 네트워크 식별자 4는 NIC 1이 네트워크 식별자 3과는 다른 네트워크 환경에 접속된 경우를 식별하도록 생성된 식별자의 예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 식별자 저장소(200)에 저장된, 제 1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목록을 획득하여,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해당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00)가 접속한 네트워크 환경이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또한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외부 장치(150)가 화상 형성 장치인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140)에 로그인 또는 로그아웃 할 때 전자 장치가 동작하는 단계를 살펴본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의 환경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동작 S410에서, 사용자의 계정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된다.
동작 S420에서, 로그인 된 사용자 계정의 ID를 이용하여, 해당 계정과 대응되어야 할 접속 네트워크 상에서의 외부 장치에 대한 동작 설정을 요청한다. 일 예에 있어서, 외부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동작 설정은, 예컨대 해당 계정의 사용자가 해당 계정으로 사용하던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 드라이버 설정값, 즐겨찾기 정보 및 해당 계정이 속한 조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동작 설정과 함께, 해당 계정이 속한 조직의 정보를 추가로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계정의 조직 정보는 해당 계정이 속해져 있는 조직과, 해당 조직에 설정된 정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S430에서, 해당 사용자 계정과 대응되는 외부 장치에 대한 동작 설정을 수신한다.
동작 S440에서, 수신된 동작 설정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에 대한 동작 설정을 업데이트한다. 일 예에 있어서, 외부 장치(150)가 화상 형성 장치인 경우, 애플리케이션(140)은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설정을 프린터 큐 관리자(250)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프린터 큐 관리자(250)는 로그인 관리자(141)로부터 전달받은 화상 형성 장치 설정 정보 및 조직 정보를 프린터 큐에 적용하여, 해당 계정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설정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때, 일부 정보는 해당 프린터 큐의 속성 정보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렇게 적용된 값은 프린터 드라이버가 화상 형성 작업을 만들 때, 화상 형성 작업을 화상 형성 장치로 전달할 때, 또는 프린터 드라이버 설정 UI를 보여줄 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을 통해, 해당 계정에서 이전에 사용하던 외부 장치(150)의 동작 설정을 자동으로 불러와서 업데이트할 수 있으므로, 계정에 로그인하는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에서 수동으로 외부 장치(150)의 동작 설정을 변경하는 일 없이 편리하게 전자 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이 동작 설정을 제어하는 대상은 화상 형성 장치뿐만이 아니라, 전자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광학 입력 장치, 화면 입력 장치, 영상 출력 장치, 음성 출력 장치 등의 외부 장치(150)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동작 설정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장치(150)를 해당 동작 설정으로 사용하도록 동작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외부 장치(150)에 관한 동작 설정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장치(150)의 동작 설정을 전자 장치(100)에 적용하기 위한 여러 다른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계정이 로그아웃 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동작 S510에서, 계정이 애플리케이션에서 로그아웃 되는 경우, 동작 S520에서, 로그아웃 직전의 외부 장치(150)에 대한 동작 설정을 획득한다. 일 예에 있어서, 외부 장치(150)가 화상 형성 장치라면, 애플리케이션(140)의 로그인 관리자(141)는 프린터 큐 관리자(251)로부터 로그아웃 직전의 외부 장치(150)의 동작 설정을 획득할 수 있다.
동작 S530에서, 획득한 로그아웃 직전의 외부 장치(150)의 동작 설정을, 로그아웃 계정의 ID와 대응시켜 저장한다. 일 예에 있어서, 획득한 로그아웃 직전의 외부 장치(150)의 동작 설정을, 로그아웃 된 계정의 ID와 함께 사용자 및 조직 관리 서버(220)으로 송신하는 경우, 사용자 및 조직 관리 서버(220)는 로그아웃 된 계정 ID와 로그아웃 직전의 동작 설정을 대응시켜 사용자 관리 저장소(230) 및 조직 관리 저장소(24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을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을 제 1 네트워크와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는 경우, 전환 전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장치(150)의 동작 설정을, 전환 전에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 사용자 계정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특정 계정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사용했던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설정을 서버 등에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로그인 계정의 자동 선택 및 장치 설정 업데이트 동작을 살펴본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접속된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사용자 계정을 선택하고 해당 계정에 대응하는 외부 장치의 설정 정보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동작은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 모듈, 소프트웨어 등에 의해 수행되어 전자 장치(10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동작임은 자명하며, 따라서, 예시로 설명되는 전자 장치(100)의 특정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동작 S600에서,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제 1 네트워크는 전자 장치가 이전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제 1 네트워크가 상기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제 1 네트워크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네트워크 또는 사전 설정된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네트워크 등과 같이, 사용자, 전자 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사전 설정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환경이 고유하게 식별될 수 있고, 해당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에 사용할 것으로 설정되는 로그인 정보가 매칭될 수 있는 다른 예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에 따라서 제 1 네트워크가 전자 장치가 이전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네트워크인 경우의 동작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을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동작 S600의 세부 동작의 일 예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동작 S601에서, 전자 장치에 네트워크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네트워크 이벤트를 수신한다. 일 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이벤트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 환경이 변화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이벤트 핸들러는 전자 장치에 네트워크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면 운영체제로부터 네트워크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이벤트는 전자 장치가 접속되는 네트워크가 변경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기동하여 운영체제에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는 상황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이벤트를 수신하면, 동작 S602에서,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동작 S602에서는 네트워크 목록을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목록은 전자 장치가 이전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제 1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는 상기 네트워크 목록에 포함된 네트워크 식별자 중 하나에 대응한다. 즉, 일 실시예에서,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것은, 전자 장치가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가 이전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네트워크인지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목록에 포함된 네트워크가 상기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네트워크 또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네트워크 등과 같이, 사용자, 전자 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사전 설정된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동작 S602에서,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이는 접속된 네트워크가 이전에 접속한 이력이 없는 새로운 네트워크에 해당한다는 의미이므로, 동작 S603로 이어진다. 동작 S603에서는, 네트워크 식별자를 새롭게 생성한 후, 접속된 네트워크와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가 처음 접속한 네트워크를 저장함으로써, 추후 해당 네트워크에 다시 접속하는 경우, 로그인 계정의 자동 선택 및 외부 장치의 동작 설정의 자동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전자 장치가 이전에 접속한 이력이 없는 새로운 네트워크의 경우, 해당 네트워크로 사용한 계정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므로, 로그인 계정 변경 및 동작 설정의 변경 과정 없이 본 동작을 종료한다.
일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가 이전에 접속한 이력이 없는 새로운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사용자 계정으로 해당 네트워크에서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는 경우, 해당 계정의 로그인 정보는 해당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쌍으로 네트워크 식별자 및 계정 정보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이벤트를 수신(S601)한 경우에만 전자 장치가 현재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하는지 판단(S602)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S601) 대신, 일정 시간 기간마다 동작 S602가 수행될 수도 있고, 전자 장치가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마다 동작 S602가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에서, 네트워크 목록은, 이전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함께, 해당 네트워크와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정보를 쌍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네트워크와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도록 지정된 사용자 계정으로서, 해당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정보에는 계정 ID와 자격 증명이 포함될 수 있다. 자격 증명은 사용자 계정의 ID와 함께 해당 계정을 로그인하는 데 필요한 정보로서, 자격 증명에는 예컨대 비밀번호 등이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 S604에서는,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네트워크 목록에 포함된 네트워크 식별자 중 하나에 대응하는 경우, 해당 네트워크와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는 이후 제 1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도록 지정된 계정으로 전환할 때, 해당 계정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을 제 1 네트워크와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서버와 연결될 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 되는 사용자 계정은, 클라우드 계정일 수도 있고, 외부 장치에 관한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령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된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일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중인 계정이 있는 경우에, 동작 S605에서는, 획득한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정보를 바탕으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중인 계정과, 접속된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의 ID가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집에서 랩탑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뒤 로그아웃을 하지 않고 회사로 이동하여 해당 랩탑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복수의 계정이 로그인 된 상태에서 네트워크가 변경되는 경우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중인 계정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ID가 서로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중인 계정은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계정, 즉 현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계정과 동일하므로, 로그인 계정 변경 및 장치 설정 변경 과정 없이 본 동작을 종료한다. ID가 서로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이미 로그인 된 계정은 현재 네트워크에 대응하지 않는 계정이므로, 이 경우에는 현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계정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도록 전환하는 동작(S610)으로 이어진다.
한편 동작 S605는 필수적인 사항은 아니며, 가령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새롭게 기동하면서 애플리케이션에 이미 로그인 된 계정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동작을 생략하고 바로 접속된 네트워크와 연관된 계정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으로 돌아가서,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한다면, 동작 S610은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을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한다.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을 제 1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도록 지정된 계정으로 전환하는 동작의 보다 자세한 내용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해당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예에서, 이미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 된 계정이 있고,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고 있는 계정의 ID와, 제 1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도록 지정된 계정의 ID가 상이하다고 판단하여 동작 S610을 수행하는 경우, 동작 S611에서는,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의 전환 여부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S612에서, 사용자 계정의 전환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의 전환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을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본 동작은 종료된다. 사용자 계정의 전환에 동의한다는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을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계정으로 전환하기 위한 동작으로 이어진다.
상기 동작(S611, S612)은 로그인 계정 전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필수적인 동작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계정의 전환 여부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 전환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동작 없이, 곧바로 사용자 계정을 전환하기 위한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현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이 없는 상태이거나, 다중 계정 로그인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전자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와 연관된 계정이 로그인 되지 않은 경우, 상기 동작(S611, S612)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계정의 전환에 앞서, 동작 S613에서,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다중 계정 로그인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중 계정 로그인 기능은, 여러 개의 계정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한 번에 여러 개의 계정에 로그인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 경우, 사용자의 복수의 계정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동시에 로그인 되어있는 상태일 수 있으며, 별도의 로그아웃/로그인 절차 없이 계정을 전환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계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다중 로그인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현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을 로그아웃하고,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 즉 제 1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도록 지정된 계정으로 로그인해야 하므로, 동작 S614에서는, 현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을 로그아웃 한다. 애플리케이션이 다중 로그인 기능을 지원한다고 판단된 경우, 동작 S615에서는, 현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에서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한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이 다중 로그인 기능을 지원하더라도,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 되지 않았다면, 해당 계정의 로그인을 요청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로그인 이후의 처리 동작은 외부 장치의 환경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동작(400)과 동일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도 4 및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현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고 있는 계정의 로그아웃 또는 계정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동작 S616에서는, 전환 전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전자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의 동작 설정을, 전환 전에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 사용자 계정과 대응시켜 저장한다. 단계 S616은 계정 로그아웃 시의 동작(500)과 동일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도 5 및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애플리케이션에 이전에 로그인 된 계정이 로그아웃 되고, 화상 형성 장치의 현재 설정 정보를 로그아웃 된 계정의 ID와 함께 저장한 후에, 동작 S617에서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을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계정으로 전환한다. 즉, 현재 접속된 네트워크와 연관된 계정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이 다중 계정 로그인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현재 접속된 네트워크와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계정을 전환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이 다중 계정 로그인 기능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에, 동작 S617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을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는 동작은,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 된 복수 개의 계정 중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이 존재하면, 애플리케이션이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사용되도록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동시에 로그인 된 복수 개의 계정 중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을 검색한 후에, 해당 계정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도록 전환하는 것이다.
동작 S617에 이어서, 동작 S620에서는 전자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의 동작 설정을, 전환된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외부 장치에 대한 동작 설정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인 경우, 전자 장치에 설치된 화상 형성 장치 드라이버에 동작 설정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를 해당 동작 설정으로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동작은 계정 로그인 시의 동작(400)과 동일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도 4 및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본 동작에서는 일 실시예로 외부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를 예로 들었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뿐만이 아닌, 문자 입력 장치, 광학 입력 장치, 화면 입력 장치, 영상 출력 장치, 음성 출력 장치 등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사용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환경에서 본 발명을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로그인 계정의 자동 선택 및 장치 설정 업데이트 동작을 통해, 사용자가 환경 변화에 따라 수동으로 로그인 계정을 변경하는 불편함을 제거하는 한편, 사용자가 원하는 계정별, 네트워크 환경별 기본 설정을 저장 및 복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회사에서 랩탑을 사용한 후에 집으로 이동해서 랩탑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동작을 통해 회사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던 비즈니스 계정에서, 홈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개인 계정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도록 설정되는 한편, 회사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하던 비즈니스 계정에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사용했던 화상 형성 장치의 설정 정보를 연관시켜 서버 등에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된 정보는 추후 네트워크 이벤트가 발생하여 회사 네트워크에 새롭게 접속되는 경우, 예컨대 다음날 회사로 다시 이동해서 랩탑을 사용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회사 네트워크와 연관된 비즈니스 계정으로 사용하도록 설정되는 한편, 전날 회사에서 사용했던 화상 형성 장치의 설정 정보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9는 다중 계정 로그인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계정 목록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중 계정 로그인은 여러 개의 계정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한 번에 여러 개의 계정에 로그인할 수 있는 기능이다. 도 9에 따르면, personal@gmail.com 계정은 개인 계정(901)으로서 현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이다. 한편, user1@business.com 은 비즈니스 계정(902)으로서 마찬가지로 계정(901)과 동시에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 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현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고 있는 계정은 아니다. 일 예에 있어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 장치가 비즈니스 계정(902)과 연관된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계정이 비즈니스 계정(902)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사용자의 집에서 개인적인 용무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으로서 개인 계정(901)을 이용하고,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회사로 이동시켜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즈니스 계정(902)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예에 따른 조직 정보와 정책 정보에 따른 장치의 설정 정보의 업데이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외부 장치에 대한 동작 설정 정보로는, 해당 계정이 소속된 조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조직에 관한 정보로는 해당 조직에 적용되는 정책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회사에서 사용하는 비즈니스 계정은 두 개의 조직(Org1, Org2)에 속할 수 있고, Org1 조직은 Office1에 위치하고, Org2 조직은 Office2에 위치할 수 있으며, Office1과 Office2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환경을 사용한다.
도 4 내지 도 8 및 관련 설명에서는 네트워크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계정이 전환되거나 변경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일 예에 있어서는, 네트워크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로그인 된 계정은 그대로 유지된 채로, 접속된 네트워크에 따라 해당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해당 계정이 소속된 조직이 전환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도 10의 100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Office1에서 Office2로 이동한 경우에, 로그인 된 계정에 설정된 조직이 Org1(1001)에서 Org2(1002)로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Office1과 Office2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가 상이할 뿐만 아니라, Office1과 Office2에서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동작 설정 도 상이할 수 있다. Office1에서 Office2로 이동하는 경우, 네트워크 B에서 네트워크 C로 변경되는 네트워크 이벤트가 발생하는데, Office1에서 사용하도록 지정된 계정과 Office2에서 사용하도록 지정된 계정이 서로 같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을 전환하지 않는다. 한편, Office1과 Office2에서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와, 해당 장치의 동작 설정은 서로 다를 수도 있으므로, 즉 조직이 다를 수도 있으므로, 네트워크 이벤트가 발생하면 현재 접속된 네트워크 상에서 로그인 된 계정에 설정된 조직이 Org1에서 Org2로 변경되면서 해당 조직과 연관된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설정으로 업데이트 될 수도 있다.
도 10의 1010을 참조하면,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로그인 된 계정에 설정된 조직이 Org1(1011)에서 Org2(1012)로 변경되는 경우에 있어서, 해당 조직에 관한 정보에는 관리자가 지정한 정책 정보(1013, 1014)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설정을 업데이트하면서 정책 정보 또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예컨대, Org1에는 관리자가 설정한 정책 정보(1013)로서 흑백 인쇄만 가능하도록 제한하고, Org2에는 관리자가 설정한 정책 정보(1014)로서 양면 인쇄만 가능하도록 제한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네트워크 이벤트 발생에 따라 로그인 된 계정의 조직이 변경되면서 정책 정보를 포함한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설정이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일 예에 따른 접속된 네트워크에 기초한 외부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일 예에 따른 접속된 네트워크에 기초한 외부 장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예에 따른 접속된 네트워크에 기초한 외부 장치 제어 방법(1100)은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1100)은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 중 하나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1110),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 중 하나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것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을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는 단계(S1120), 사용자 계정 전환에 대응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설정을, 전환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동작 설정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S113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 중 하나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1110)를 설명한다.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단계 S1110에서는 네트워크 목록을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목록은 전자 장치가 이전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제 1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는 상기 네트워크 목록에 포함된 네트워크 식별자 중 하나에 대응한다. 즉, 일 실시예에서,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것은, 전자 장치가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가 이전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네트워크인지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네트워크 목록에 포함된 네트워크가 상기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네트워크 또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네트워크 등과 같이, 사용자, 전자 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사전 설정된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접속 환경이 고유하게 식별될 수 있고, 해당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에 사용할 것으로 설정되는 로그인 정보가 매칭될 수 있는 다른 예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에서, 네트워크 목록은, 각각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함께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정보를 쌍으로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이란, 해당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도록 지정된 사용자 계정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네트워크 목록에 포함된 네트워크 식별자 중 하나에 대응하는 경우, 해당 네트워크와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해당 정보는 이후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할 때,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을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을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는 단계(S1120)를 설명한다.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한다고 판단되어서, 계정을 전환하는 경우에, 먼저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의 전환 여부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계정의 전환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의 전환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을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본 방법은 종료된다. 사용자 계정의 전환에 동의한다는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을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기 위한 단계로 이어진다.
사용자 계정 전환 여부의 질의 및 응답에 관한 단계는, 사용자 계정 전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필수적인 단계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계정의 전환 여부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 전환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없이, 곧바로 사용자 계정을 전환하기 위한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의 전환에 앞서,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다중 계정 로그인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중 계정 로그인 기능은, 여러 개의 계정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한 번에 여러 개의 계정에 로그인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 경우, 사용자의 복수의 계정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동시에 로그인 되어있는 상태일 수 있으며, 별도의 로그아웃/로그인 절차 없이 계정을 전환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계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다중 로그인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현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을 로그아웃한 후에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 즉 제 1 네트워크와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해야 하므로 현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을 로그아웃 하는 단계로 이어지며, 애플리케이션이 다중 로그인 기능을 지원한다고 판단된 경우, 현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에서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는 단계로 이어진다.
현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고 있는 계정의 로그아웃 또는 계정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우, 전환 전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전자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의 동작 설정을, 전환 전에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 사용자 계정과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는 앞서 설명된 계정 로그아웃 시의 동작(500)에서 설명한 내용을 적용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도 5 및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애플리케이션에 이전에 로그인 된 사용자 계정이 로그아웃 되고, 외부 장치의 현재 동작 설정을 로그아웃 된 사용자 계정의 ID와 함께 대응시켜 저장한 후에,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을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S1120)한다. 즉, 현재 접속된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이 다중 계정 로그인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현재 접속된 네트워크와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계정을 전환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목록에는 제 1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함께 해당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정보가 쌍으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단계 S1120에서는, 네트워크 목록에 포함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을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이 다중 계정 로그인 기능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에,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을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는 단계(S1120)는,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 된 복수 개의 계정 중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이 존재하면, 애플리케이션이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사용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동시에 로그인 된 복수 개의 계정 중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을 검색한 후에, 해당 계정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도록 전환하는 것이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전자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의 동작 설정을, 해당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외부 장치에 대한 동작 설정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S1130)를 설명한다.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이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된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설정을, 전환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동작 설정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 S1130에 있어서, 계정 로그인 시의 동작(400)에 관한 내용이 본 단계에서도 마찬가지로 구현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도 4 및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도 12는 일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앞서 도 1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장치의 동작 또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이러한 각 단계 또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 가능하되,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다.
도 12에는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1200)에서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1200)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동작을 수행하게 하되, 동작은 컴퓨터가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1210),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것에 대응하여,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계정을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는 단계(S1220), 사용자 계정 전환에 대응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설정을, 전환된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외부 장치에 대한 동작 설정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S1230)를 포함한다.
도 12에 따른 동작의 각 단계(S1210, S1220, S1230)을 포함하여 앞서 도 1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장치의 동작 또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1200)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컴퓨터, 예컨대, 앞서 설명된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앞서 설명된 부분을 원용하기로 한다.
한편, 앞서 살펴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비일시적 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일 수 있다. 이 때, 비일시적 판독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일 예들이 비록 한정된 일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위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가 화상 형성 장치의 맥락에서 서술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지 화상 형성 장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환경에서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일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가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을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계정 전환에 대응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설정을 상기 전환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동작 설정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이전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식별자가 포함된 네트워크 목록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는 상기 네트워크 목록에 포함된 네트워크 식별자 중 하나에 대응하는,
    외부 장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목록은, 각각의 상기 네트워크 식별자와 함께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정보를 쌍으로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을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목록에 포함된 상기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을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의 계정이 동시에 로그인 상태에 있는 다중 계정 로그인 기능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을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된 복수 개의 계정 중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이 존재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사용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전의,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설정을, 상기 전환 전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 사용자 계정과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부 장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의 전환 여부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부 장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은 클라우드 계정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된 서버의 계정을 포함하는,
    외부 장치 제어 방법.
  8.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동작을 수행하게 하되, 상기 동작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컴퓨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을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계정 전환에 대응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설정을 상기 전환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동작 설정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가 이전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식별자가 포함된 네트워크 목록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는 상기 네트워크 목록에 포함된 네트워크 식별자 중 하나에 대응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목록은, 각각의 상기 네트워크 식별자와 함께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정보를 쌍으로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을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목록에 포함된 상기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을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의 계정이 동시에 로그인 상태에 있는 다중 계정 로그인 기능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을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된 복수 개의 계정 중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이 존재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사용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전환 전의,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설정을, 상기 전환 전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 사용자 계정과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의 전환 여부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4. 프로세서와,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가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가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을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고,
    상기 사용자 계정 전환에 대응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설정을 상기 전환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동작 설정으로 업데이트하도록 동작하게 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전자 장치가 이전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식별자가 포함된 네트워크 목록을 획득하도록 동작하게 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는 상기 네트워크 목록에 포함된 네트워크 식별자 중 하나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
KR1020220070158A 2022-06-09 2022-06-09 접속된 네트워크에 기초한 외부 장치 제어 KR202301696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158A KR20230169697A (ko) 2022-06-09 2022-06-09 접속된 네트워크에 기초한 외부 장치 제어
PCT/US2022/052221 WO2023239401A1 (en) 2022-06-09 2022-12-08 External device control based on connected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158A KR20230169697A (ko) 2022-06-09 2022-06-09 접속된 네트워크에 기초한 외부 장치 제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697A true KR20230169697A (ko) 2023-12-18

Family

ID=8498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158A KR20230169697A (ko) 2022-06-09 2022-06-09 접속된 네트워크에 기초한 외부 장치 제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9697A (ko)
WO (1) WO2023239401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06407B (zh) * 2014-05-29 2019-09-27 中国移动通信集团云南有限公司 用户账号登陆方法及装置
CN104780155B (zh) * 2015-03-16 2018-03-0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设备绑定方法及装置
CN111405322B (zh) * 2020-03-05 2022-08-02 青岛聚看云科技有限公司 获取登录信息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9401A1 (en)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725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275188B2 (en) Communication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for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8760679B2 (en) Cloud print service
US9164710B2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9513847B2 (en) Tools for facilitating printer installation
US20140222989A1 (en) Management of device management units
US1014250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CN104902131A (zh) 信息处理设备和控制方法
US10469709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link with a storage server
US114899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client program based on login method
JP201900604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128654B2 (en) Host apparatus connected to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
US1168148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for setting a default printing apparatus
US20230153039A1 (en) Printing system and method
US978108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10740044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for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KR20230169697A (ko) 접속된 네트워크에 기초한 외부 장치 제어
JP6237868B2 (ja) クラウド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クラウドサービス提供方法
JP6759791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CN112241525A (zh) 云系统、信息处理系统和用户注册方法
US982612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facilitating association among information items that are related to the same data
US1133008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user creation method
KR20240044644A (ko) 프린터 드라이버의 인쇄 설정 개별화
JP4946555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6440792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