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829A -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829A
KR20230168829A KR1020220069585A KR20220069585A KR20230168829A KR 20230168829 A KR20230168829 A KR 20230168829A KR 1020220069585 A KR1020220069585 A KR 1020220069585A KR 20220069585 A KR20220069585 A KR 20220069585A KR 20230168829 A KR20230168829 A KR 20230168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ing
backrest
furniture system
auxiliary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채리
Original Assignee
(주)디테크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테크게엠베하 filed Critical (주)디테크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220069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829A/ko
Publication of KR20230168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8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상부에 쿠션시트가 마련된 착석부재와, 상기 쿠션시트에 착석한 사용자가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착석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지지되는 등받이 부재와, 상기 착석부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차량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착석부재로부터 분리된 상기 등받이 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 지지면이 마련된 테이블과, 상가 차량 내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한 착석공간을 확장하거나 해당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휴게공간을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에 지지된 상기 등받이 부재를 상기 쿠션시트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해당 테이블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등받이 부재가 상기 지지면에 지지될 경우, 상기 등받이 부재에 대한 해당 테이블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제1지지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은 제1 및 제2지지유닛을 통해 등받이 부재를 테이블에 세팅시 테이블의 지지력을 보강하므로 등받이 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휴게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Variable furniture system for camper}
본 발명은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 부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공간을 확장하거나 해당 사용자가 누울수 있는 휴게공간을 생성할 수 있는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캠핑카의 수요가 늘어가고 있다. 종래의 캠핑카는 차체의 내부에 가변침대가 구비된다. 상기 가변침대는 캠핑카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된 높이조절기구의 상단에 구비된 탁자패널과, 상기 캠핑카의 내부 양측에 구비되며 상면에 쿠션부재가 구비된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캠핑카의 내부 양측에 구비된 등받이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탁자패널과 시트부재의 전후방향 길이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기구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신축되어 탁자패널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탁자패널의 높이를 상기 시트부재의 높이보다 높은 상승위치와, 상기 시트부재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인 하강높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판은 높이가 상기 탁자패널의 측방향 폭의 1/2로 구성되며, 벨크로부재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내부 양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기구를 조절하여 탁자패널의 상승높이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시트부재에 앉아서 탁자패널에 음식물이나 음료 등을 올려놓고 식사를 하거나 음료 등을 즐길 수 있다.
그리고, 취침을 할 때는 상기 높이조절기구를 조절하여 탁자패널을 하강높이로 낮춘 후, 상기 등받이판을 차량의 내부 양측면에서 때어내고, 등받이판을 상기 탁자패널에 올려놓으면, 상기 시트부재의 쿠션과 등받이판이 침대 매트의 기능을 하여, 사용자가 시트부재의 쿠션과 등받이판에 누워 잘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캠핑카용 가변 침대는 단일한 높이조절기구가 테이블의 중앙부분에만 설치되므로 테이블보다 더 큰 면적을 갖는 등받이판이 테이블에 세팅시 해당 등받이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384655호: 캠핑카용 가변침대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등받이 부재를 테이블에 세팅시 테이블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보강수단이 마련된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상부에 쿠션시트가 마련된 착석부재와, 상기 쿠션시트에 착석한 사용자가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착석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지지되는 등받이 부재와, 상기 착석부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차량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착석부재로부터 분리된 상기 등받이 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 지지면이 마련된 테이블과, 상가 차량 내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한 착석공간을 확장하거나 해당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휴게공간을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에 지지된 상기 등받이 부재를 상기 쿠션시트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해당 테이블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등받이 부재가 상기 지지면에 지지될 경우, 상기 등받이 부재에 대한 해당 테이블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제1지지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제1지지유닛은 상기 테이블이 하강시 해당 테이블을 지지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타단이 상기 테이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다리와, 상기 보조다리를 미사용시 해당 테이블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조다리의 일단을 상기 테이블에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보조다리에 설치되며, 소정의 자력을 갖는 제1자석부재와, 상기 보조다리의 일단이 상기 테이블에 인접시 해당 제1자석부재에 자력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다리의 회동중심에서 해당 제1자석부재까지의 거리에 대응되는 이격거리만큼 해당 보조다리의 회동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는 제2자석부재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은 상기 테이블에 지지되는 상기 등받이 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착석부재에 설치되는 제2지지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유닛은 상기 테이블에 대향되는 상기 착석부재의 측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 부재의 상기 테이블에 접촉된 접촉부분 외의 나머지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착석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로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착석부재는 상기 테이블에 대향되는 측면에, 상기 테이블의 승강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해당 테이블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유닛은 상기 테이블로부터 상기 결합홈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진퇴가능하게 해당 테이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진퇴부재와, 상기 진퇴부재의 단부에, 해당 진퇴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제1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일단이 상기 결합홈에 인입되어 상기 테이블에 지지된 상기 등받이 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단부에, 상기 제1중심선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제2중심선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로드를 구비한다.
상기 테이블은 상기 진퇴부재 및 회전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해당 진퇴부재의 진퇴방향으로 연장되며, 해당 결합홈에 대향되는 측면이 개방된 삽입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지지로드가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유닛은 상기 지지로드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는 팽창공간이 형성되되, 해당 팽창공간으로 에어가 주입되면 상기 지지로드에 대해 상방으로 팽창하는 팽창튜브와, 상기 팽창튜브가 상기 테이블에 지지된 상기 등받이 부재에 밀착되도록 해당 팽창튜브가 팽창될 수 있도록 상기 팽창공간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주입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지지유닛은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다리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테이블이 하강시 해당 보조다리에 인가되는 외력을 측정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서 제공되는 측정 정보를 토대로 해당 보조다리에 인가되는 외력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승강유닛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동모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은 제1 및 제2지지유닛을 통해 등받이 부재를 테이블에 세팅시 테이블의 지지력을 보강하므로 등받이 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휴게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의 테이블 하측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도 7의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의 제2지지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의 제2지지유닛에 대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100)은 차량(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상부에 쿠션시트(201)가 마련된 착석부재(200)와, 상기 쿠션시트(201)에 착석한 사용자가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착석부재(200)에 분리가능하게 지지되는 등받이 부재(300)와, 상기 착석부재(200)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차량(10)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착석부재(200)로부터 분리된 상기 등받이 부재(3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 지지면이 마련된 테이블(400)과, 상가 차량(10) 내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한 착석공간을 확장하거나 해당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휴게공간을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400)에 지지된 상기 등받이 부재(300)를 상기 쿠션시트(201)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해당 테이블(400)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500)과, 상기 등받이 부재(300)가 상기 지지면에 지지될 경우, 상기 등받이 부재(300)에 대한 해당 테이블(400)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제1지지유닛(600)과, 상기 테이블(400)에 지지되는 상기 등받이 부재(3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착석부재(200)에 설치되는 제2지지유닛(700)을 구비한다.
여기서, 차량(10)은 캠핑카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해당 차량(10)을 운전할 수 있는 핸들과 같은 조향수단이 마련된 운전석 후방으로 사용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내부공간(11)이 마련된 차량(10)이 적용된다.
착석부재(200)는 복수개가 차량(10)의 내부공간(11)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착석부재(200)는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내부에, 캠핑 관련 물품이나 장비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714)이 형성된다. 또한, 착석부재(200)는 해당 내부공간(11)으로 캠핑 관련 물품이나 장비를 용이하기 인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착석부재(200)는 상기 테이블(400)에 대향되는 측면에, 상기 테이블(400)의 승강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해당 테이블(40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결합홈(202)이 형성된다. 즉, 착석부재(200)들은 상호 대향되는 측면에 결합홈(202)들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02)은 착석부재(2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전방의 결합홈(202)과 후방의 결합홈(202)은 테이블(400)의 전후길이보다 더 먼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홈(202)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착석부재(200)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쿠션시트(201)는 개방된 착석부재(200)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착석부재(200)의 상단 가장자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쿠션시트(201)는 착석부재(200)에 대응되게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해당 쿠션시트(20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착석부재(200)의 상면을 덮도록 착석부재(2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착석시 사용자에게 소정의 쿠션감을 제공하는 소재로 형성된 쿠션체와, 상기 프레임 및 쿠션체를 덮도록 설치된 쿠션커버를 구비한다. 해당 착석부재(20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착석부재(200)의 상부를 개폐하되, 착석하는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시트 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등받이 부재(300)는 소정의 폭을 갖되, 쿠션시트(201)의 전후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소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된다. 해당 등받이 부재(300)는 직립된 상태로 하단이 쿠션부재의 가장자리에 지지되고, 상단은 차량(10)의 내벽면에 지지된다. 또한, 등받이 부재(300)는 벨크로 테이프(미도시)와 같은 탈부착 수단을 통해 해당 쿠션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등받이 부재(300)는 착석부재(200)들 사이의 이격거리의 절반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등받이 부재(30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소정의 폭을 갖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메인 플레이트와, 해당 메인 플레이트의 측면에 설치되어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재와, 메인 플레이트 및 쿠션재를 감싸도록 형성된 등받이 커버를 구비할 수도 있다.
테이블(4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착석부재(200)들 사이의 차량(10) 내부에, 승강유닛(500)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해당 테이블(400)은 착석부재(200)들 사이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되, 착석부재(20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형성된다. 해당 테이블(400)은 착석부재(200)의 중앙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유닛(500)은 상단이 테이블(400)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차량(10)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해당 테이블(400)을 승강시키며, 상하방향 길이가 신축되는 액츄에이터가 적용된다. 이때, 승강유닛(500)은 상단이 테이블(400)의 중앙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승강유닛(500)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테이블(40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작동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제1지지유닛(600)은 상기 테이블(400)이 하강시 해당 테이블(400)을 지지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차량(10)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타단이 상기 테이블(4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보조다리(610)와, 상기 보조다리(610)를 미사용시 해당 테이블(400)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조다리(610)의 일단을 상기 테이블(400)에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부(620)를 구비한다.
보조다리(610)는 테이블(400)의 하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메인판넬(611)과, 상기 메인판넬(611)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다리로드(612)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판넬(611)은 승강유닛(500)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테이블(400)의 하면에 경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해당 메인판넬(611)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다리로드(612)는 메인판넬(611)에서 승강유닛(500) 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복수개가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리로드(612)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보조다리(61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61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보조다리(610)는 메인판넬(611)의 회동축에서 다리로드(612)의 단부까지의 길이가 착석부재(200)의 상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보조다리(610) 2개가 테이블(400)에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보조다리(61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테이블(400)의 크기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이 마련될 수도 있다.
구속부(620)는 상기 보조다리(610)에 설치되며, 소정의 자력을 갖는 제1자석부재(621)와, 상기 보조다리(610)의 일단이 상기 테이블(400)에 인접시 해당 제1자석부재(621)에 자력결합될 수 있도록 해당 테이블(400)에 설치되는 제2자석부재(622)를 구비한다.
상기 제1자석부재(621)는 보조다리(610)의 다리로드(612) 측면에 설치되며, 영구자석이 적용된다. 이때, 제1자석부재(621)는 메인판넬(611)의 회동중심으로부터 승강유닛(500)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자석부재(622)는 보조다리(610) 즉, 메인판넬(611)의 회동중심에서 제1자석부재(621)까지의 거리에 대응되는 이격거리만큼 해당 메인판넬(611)의 회동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의 테이블(400)의 하면에 설치된다. 이때, 제2자석부재(622)는 제1자석부재(621)에 접할 수 있도록 테이블(400)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영구자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등받이 부재(300)를 테이블(400) 상면에 지지하지 않을 경우, 다리로드(612)가 테이블(400)의 하면에 접하도록 회동시키는데, 여기서, 제1자석부재(621)는 제2자석부재(622)에 자력결합되어 해당 보조다리(610)가 테이블(400)의 하면에 밀착된다. 구속부(62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다리(610)를 테이블(400)의 하면에 선택적으로 구속시킬 수 있는 구속부(620)재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상기 제2지지유닛(700)은 상기 테이블(400)에 대향되는 상기 착석부재(200)의 측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 부재(300)의 상기 테이블(400)에 접촉된 접촉부분 외의 나머지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착석부재(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보조로드(701)를 구비한다.
상기 보조로드(701)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되, 착석부재(200)들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더 길게 연장된다. 이때, 보조로드(701)들은 양단이 상호 대향되는 착석부재(200)들의 결합홈(202)에 각각 삽입되어 착석부재(200)들에 지지된다. 해당 보조로드(701)는 등받이 부재(3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로드(701)들은 미사용시 착석부재(20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100)의 작동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등받이 부재(300)를 착석부재(200)에 세팅하여 사용자가 착석할 경우, 제1자석부재(621)가 제2자석부재(622)에 자력결합되도록 보조다리(610)를 테이블(400)의 하면에 밀착시킨다. 보조다리(610)가 테이블(400)에 밀착된 상태에서 승강유닛(500)을 작동시켜 테이블(400)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테이블(400)은 착석부재(200) 상부의 쿠션부재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한 착석공간을 확장하거나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휴게공간을 형성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석부재(621)가 제2자석부재(622)로부터 분리되도록 보조다리(610)를 회동시킨 다음, 승강유닛(500)을 작동시켜 테이블(400)을 하강시킨다. 이때, 다리로드(612)의 단부가 차량(10)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테이블(400)을 지지할 수 있을 높이로 해당 테이블(400)을 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블(400)의 하강이 완료되면, 착석부재(200)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쿠션시트(201)를 회동시킨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되는 착석부재(200)들의 결합홈(202)에, 보조로드(701)의 양단부를 각각 삽입시켜 보조로드(701)를 세팅한다. 보조로드(701)의 세팅이 완료되면 착석부재(200)의 상부가 폐쇄되도록 쿠션시트(201)를 회동시킨다.
다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부재(300)를 착석부재(200)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등받이 부재(300)를 보조로드(701) 및 테이블(400) 상부에 세팅하여 착석부재(200)들의 사이공간을 덮어 사용자에게 누울 수 있는 휴게공간을 생성한다.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100)은 제1 및 제2지지유닛(700)을 통해 등받이 부재(300)를 테이블(400)에 세팅시 테이블(400)의 지지력을 보강하므로 등받이 부재(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휴게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지지유닛(71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2지지유닛(710)은 상기 테이블(400)로부터 상기 결합홈(202)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진퇴가능하게 해당 테이블(4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진퇴부재(711)와, 상기 진퇴부재(711)의 단부에, 해당 진퇴부재(711)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제1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712)와, 일단이 상기 결합홈(202)에 인입되어 상기 테이블(400)에 지지된 상기 등받이 부재(3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712)의 단부에, 상기 제1중심선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제2중심선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로드(713)를 구비한다.
여기서, 테이블(400)은 상기 진퇴부재(711) 및 회전부재(71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해당 진퇴부재(711)의 진퇴방향으로 연장되며, 해당 결합홈(202)에 대향되는 측면즉, 전면 또는 후면이 개방된 삽입슬롯(401)이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슬롯(401)은 테이블(400)의 전단부 가장자리 및 후단부 가장자리에서 중앙부 측으로 인입되되,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해당 삽입슬롯(401)은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테이블(400)의 전단부 가장자리 및 후단부 가장자리에 각각 2개씩,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진퇴부재(711)는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다수개가 상기 삽입슬롯(401)들에 각각 삽입되어 테이블(400)의 외측으로 진퇴가능하게 결합된다. 해당 진퇴부재(711)는 상면이 테이블(400)의 상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삽입슬롯(401)의 단면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부재(71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이 진퇴부재(711)들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상기 회전부재(712)는 지지로드(713)가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714)이 형성되어 있다. 해당 수납공간(714)은 지지로드(713)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되, 상면 및 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로드(713)는 일단이 결합홈(202)에 인입될 수 있도록 타단이 회전부재(712)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지지로드(713)는 수납공간(714)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해당 수납공간(714)으로 인입될 수 있게 회전부재(71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로드(713)는 상면이 테이블(400)의 상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회전부재(712)에 설치된다. 해당 지지로드(713)는 미사용시에 회전부재(712)의 수납공간(714)에 수납되고, 해당 회전부재(712)는 진퇴부재(711)와 함께 수납공간(714)에 인입되어 테이블(400) 내로 수납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2지지유닛(71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한 착석공간을 확장하거나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휴게공간을 형성할 경우, 제1자석부재(621)가 제2자석부재(622)로부터 분리되도록 보조다리(610)를 회동시킨 다음, 승강유닛(500)을 작동시켜 테이블(400)을 하강시킨다. 이때, 다리로드(612)의 단부가 차량(10)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테이블(400)을 지지할 수 있을 높이로 해당 테이블(400)을 하강시킨다.
테이블(400)의 하강이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400)의 삽입슬롯(401)으로부터 진퇴부재(711) 및 회전부재(712)를 인출시킨다. 여기서, 회전부재(712)의 타단에 각 결합홈(202)에 인접되는 위치까지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부재(712)의 인출이 완료되면, 지지로드(713)가 수납공간(714)에서 인출시 회전부재(712)의 상방으로 회동되도록 진퇴부재(711)에 대해 회전부재(712)를 회전시킨다.
회전부재(712)의 회전이 완료되면, 도 9와 같이 수납공간(714)으로부터 지지로드(713)를 인출시킨다. 이때, 회전부재(712)가 진퇴부재(711)로부터 회전된 상태이므로 지지로드(713)는 회전로드의 상방으로 인출되어 착석부재(200)에 간섭되지 않는다. 여기서, 결합홈(202)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쿠션시트(201)를 직립된 상태로 회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10과 같이 결합홈(202)에 지지로드(713)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각 회전부재(712)를 초기 위치로 회전시킨다. 지지로드(713)가 결합홈(202)에 인입되면, 쿠션시트(201)를 원위치로 회동시켜 결합홈(202)의 상부를 폐쇄한다.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부재(300)를 착석부재(200)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등받이 부재(300)를 지지로드(713) 및 테이블(400) 상부에 세팅하여 착석부재(200)들의 사이공간을 덮어 사용자에게 누울 수 있는 휴게공간을 생성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제2지지유닛(710)은 등받이 부재(30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로드(713)가 테이블(400)에 마련된 삽입슬롯(401)에 수납될 수 있으므로 해당 지지로드(713)의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지지유닛(72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2지지유닛(720)은 상기 지지로드(713)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는 팽창공간이 형성되되, 해당 팽창공간으로 에어가 주입되면 상기 지지로드(713)에 대해 상방으로 팽창하는 팽창튜브(721)와, 상기 팽창튜브(721)가 상기 테이블(400)에 지지된 상기 등받이 부재(300)에 밀착되도록 해당 팽창튜브(721)가 팽창될 수 있도록 상기 팽창공간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주입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지지로드(713)는 테이블(400)에 지지된 등받이 부재(300)가 접촉되는 상면에, 해당 팽창튜브(721)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입홈은 해당 지지로드(713)의 상면에 대해 내측으로 소정길이 인입되며, 지지로드(7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팽창튜브(721)는 지지로드(713)의 인입홈에 설치되며, 해당 인입홈에 대응되게 지지로드(7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해당 팽창튜브(721)는 팽창공간으로 주입된 에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 형성된다. 여기서, 팽창튜브(721)는 팽창시 지지로드(713)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지지로드(713)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팽창튜브(721)는 다수개가 지지로드(713)들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에어주입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팽창튜브(721)들에 연결된 다수의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어 해당 팽창튜브(721)의 팽창공간으로 에어를 주입하거나 팽창공간 내의 에어를 배출시키는 컴프레셔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등받이 부재(300)를 테이블(400) 상면에 지지할 경우, 인입홈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지지로드(713)를 착석부재(200)에 결합홈(202)에 설치한 다음, 에어주입부를 작동시켜 팽창튜브(721)를 팽창시킨다. 팽창하는 팽창튜브(721)는 등받이 부재(300)의 하면에 접촉되므로 지지로드(713)와 등받이 부재(300) 사이에 틈이 발생되더라도 팽창튜브(721)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해당 등받이 부재(300)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지지유닛(73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2지지유닛(730)은 상기 차량(10)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다리(610)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테이블(400)이 하강시 해당 보조다리(610)에 인가되는 외력을 측정하는 다수의 감지센서(731)와, 상기 감지센서(731)에서 제공되는 측정 정보를 토대로 해당 보조다리(610)에 인가되는 외력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승강유닛(5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동모듈(732)을 구비한다.
상기 감지센서(731)는 보조다리(610)들의 다리로드(612)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보조다리(610)가 테이블(400)의 하면에 대해 직립되도록 회동된 상태로 테이블(400)이 하강시 차량(10)의 바닥면에 접촉된다. 해당 감지센서(731)는 다리로드(612)에 인가되는 외력을 측정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로드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동모듈(732)은 감지센서(731)들에서 측정된 측정 정보를 제공받아 보조다리(610)에 인가되는 외력이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승강유닛(50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테이블(400)의 하강에 의해 보조다리(610)에 과도한 외력이 인가되어 해당 보조다리(610)가 파손되거나 테이블(400)이 보조다리(610)의 길이 즉, 설정된 높이 이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 200: 착석부재
201: 쿠션시트 202: 결합홈
300: 등받이 부재 400: 테이블
500: 승강유닛 600: 제1지지유닛
610: 보조다리 611: 메인판넬
612: 다리로드 613: 손잡이
620: 구속부 621: 제1자석부재
622: 제2자석부재 700: 제2지지유닛
701: 보조로드

Claims (9)

  1.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상부에 쿠션시트가 마련된 착석부재;
    상기 쿠션시트에 착석한 사용자가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착석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지지되는 등받이 부재;
    상기 착석부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차량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착석부재로부터 분리된 상기 등받이 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 지지면이 마련된 테이블;
    상가 차량 내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한 착석공간을 확장하거나 해당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휴게공간을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에 지지된 상기 등받이 부재를 상기 쿠션시트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해당 테이블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 및
    상기 등받이 부재가 상기 지지면에 지지될 경우, 상기 등받이 부재에 대한 해당 테이블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제1지지유닛;을 구비하는,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유닛은
    상기 테이블이 하강시 해당 테이블을 지지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타단이 상기 테이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다리; 및
    상기 보조다리를 미사용시 해당 테이블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조다리의 일단을 상기 테이블에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부;를 구비하는,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보조다리에 설치되며, 소정의 자력을 갖는 제1자석부재; 및
    상기 보조다리의 일단이 상기 테이블에 인접시 해당 제1자석부재에 자력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다리의 회동중심에서 해당 제1자석부재까지의 거리에 대응되는 이격거리만큼 해당 보조다리의 회동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는 제2자석부재;를 구비하는,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 지지되는 상기 등받이 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착석부재에 설치되는 제2지지유닛;을 더 구비하는,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유닛은 상기 테이블에 대향되는 상기 착석부재의 측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 부재의 상기 테이블에 접촉된 접촉부분 외의 나머지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착석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로드;를 더 구비하는,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재는 상기 테이블에 대향되는 측면에, 상기 테이블의 승강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해당 테이블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유닛은
    상기 테이블로부터 상기 결합홈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진퇴가능하게 해당 테이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진퇴부재;
    상기 진퇴부재의 단부에, 해당 진퇴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제1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및
    일단이 상기 결합홈에 인입되어 상기 테이블에 지지된 상기 등받이 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단부에, 상기 제1중심선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제2중심선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로드;를 구비하는,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진퇴부재 및 회전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해당 진퇴부재의 진퇴방향으로 연장되며, 해당 결합홈에 대향되는 측면이 개방된 삽입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지지로드가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된,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유닛은
    상기 지지로드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는 팽창공간이 형성되되, 해당 팽창공간으로 에어가 주입되면 상기 지지로드에 대해 상방으로 팽창하는 팽창튜브; 및
    상기 팽창튜브가 상기 테이블에 지지된 상기 등받이 부재에 밀착되도록 해당 팽창튜브가 팽창될 수 있도록 상기 팽창공간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주입부;를 구비하는,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유닛은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다리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테이블이 하강시 해당 보조다리에 인가되는 외력을 측정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서 제공되는 측정 정보를 토대로 해당 보조다리에 인가되는 외력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승강유닛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동모듈;을 더 구비하는,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
KR1020220069585A 2022-06-08 2022-06-08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 KR20230168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585A KR20230168829A (ko) 2022-06-08 2022-06-08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585A KR20230168829A (ko) 2022-06-08 2022-06-08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829A true KR20230168829A (ko) 2023-12-15

Family

ID=89124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585A KR20230168829A (ko) 2022-06-08 2022-06-08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82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655B1 (ko) 2021-11-12 2022-04-08 김상호 캠핑카용 가변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655B1 (ko) 2021-11-12 2022-04-08 김상호 캠핑카용 가변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44729T3 (es) Mueble regulable
US7014241B2 (en) Combination structure of storage box and center seat for vehicle
US2132279A (en) Vehicle seat table
US9102250B2 (en) Stadium and stowing seat
JP5566526B2 (ja) 車両用シート収納装置
JP2008520480A (ja) 航空機シート
EP1411801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djustable chairs and beds
US11419427B2 (en) Convertible furniture system
US20230016779A1 (en) Sofa bed with glide system
WO2008131055A1 (en) Inflatable two chamber bed with raised headboard
KR20230168829A (ko) 캠핑카용 가변 가구 시스템
CN109109733B (zh) 一种拖挂房车的平移床机构
KR102099710B1 (ko) 다용도 침대 및 그 프레임
KR200483447Y1 (ko) 침대 및 소파겸용 여행용 캐리어
US7073217B2 (en) Folding multimodal sofa beds for recreational vehicles
CN107672512B (zh) 一种房车用组合柜沙发及房车
KR20230031067A (ko)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RU213901U1 (ru) Диван с упором для подушки
CN217013310U (zh) 一种可收纳的沙发
KR102640633B1 (ko) 좌판 확장형 소파
CN109130970A (zh) 基于聚氨酯复合建筑材料的房车座椅
JP4622759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2501863B1 (ko) 인출 테이블을 구비한 캠핑 장치
CN209862968U (zh) 两用沙发床
CN220966819U (zh) 一种桌凳融合的床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