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710B1 - 다용도 침대 및 그 프레임 - Google Patents

다용도 침대 및 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710B1
KR102099710B1 KR1020180051845A KR20180051845A KR102099710B1 KR 102099710 B1 KR102099710 B1 KR 102099710B1 KR 1020180051845 A KR1020180051845 A KR 1020180051845A KR 20180051845 A KR20180051845 A KR 20180051845A KR 102099710 B1 KR102099710 B1 KR 102099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pening
bed
upper fram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341A (ko
Inventor
최진우
Original Assignee
최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우 filed Critical 최진우
Priority to KR1020180051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710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anitation devices
    • B60R15/04Toilet facil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들이 결합하여 바닥에서 상기 다용도 침대 구성 요소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응하는 프레임들이 결합하여 구성된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설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도록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수직프레임, 사용자가 침대에 누웠을 때 발이 놓이는 공간에 배치되어 여분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에 결합하여 상기 상부프레임을 구획하는 구획프레임, 및 상기 구획프레임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서 침대 헤드 측으로 설정거리 이격되어 상부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는 개폐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프레임은 장변에 해당하는 양 프레임에 세웠을 때 하단에 근접하여 한 쌍의 힌지가 각각 결합하고, 상기 개폐프레임의 장변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상기 힌지를 개재하여 상기 상부프레임에 각각 결합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개폐프레임이 상부프레임에 대하여 회전하여 들어 올려져 세움 상태가 되거나 접혀져 눕힘 상태가 될 수 있는 다용도 침대의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다용도 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침대 및 그 프레임{MULTI FUNCTIONAL BED AND FRAME THEREOF}
본 발명은 화장실, 샤워실, 서재 기능을 모두 구비한 다용도 침대 및 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캠핑인구가 급격하게 증가되면서 캠핑에 필요한 용품 또한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트레일러의 내부에 조리시설 및 샤워시설, 화장실, 침대 등 생활편의 시설을 구비하여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캠핑을 즐길 수 있도록 설계된 캠핑 트레일러가 보급되고 있다. 이와 함께, 전국의 유명 관광지에는 오토 캠핑장을 갖추고서 숙박시설에 대한 부담 없이 관광과 레저를 즐길 수 있도록 하여 오토 캠핑 족들을 유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캠핑 트레일러를 이용하면 전국의 유명 관광지에서 운영하는 오토 캠핑장을 이용할 수 있고, 관광지의 숙박시설에 구애 받지 않고 어디에서든지 자유롭게 캠핑과 레저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캠핑카 또는 캠핑 트레일러는 좁은 공간에 조리시설, 샤워시설, 화장실, 침대 등의 생활 편의시설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공간 활용이 무엇보다도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64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723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캠핑카 또는 캠핑 트레일러 내에서 공간 활용을 위해 화장실, 샤워실, 서재 기능을 모두 구비한 다용도 침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용도 침대의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들이 결합하여 바닥에서 상기 다용도 침대의 구성 요소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응하는 프레임들이 결합하여 구성된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설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도록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수직프레임;
사용자가 침대에 누웠을 때 발이 놓이는 공간에 배치되어 여분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에 결합하여 상기 상부프레임을 구획하는 구획프레임; 및
상기 구획프레임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서 침대 헤드 측으로 설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는 개폐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프레임은, 장변에 해당하는 양 프레임에 세웠을 때 하단에 근접하여 한 쌍의 힌지가 각각 결합하고, 상기 개폐프레임의 장변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상기 힌지를 개재하여 상기 상부프레임에 각각 결합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개폐프레임이 상기 상부프레임에 대해 회전하여 들어 올려져 세움 상태가 되거나 접혀져 눕힘 상태가 될 수 있는 다용도 침대의 프레임을 제공한다.
일단은 상기 힌지가 결합한 장변에 해당하는 개폐프레임의 상기 힌지 하방에 근접한 위치에 결합하고, 타단은 근접한 위치의 상기 상부프레임 내측에 결합하여 상기 개폐프레임을 상기 상부프레임으로부터 지지하는 실린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메인매트; 및
상기 구획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보조매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매트는 변기 사용을 위해 개폐되는 가동부와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침대를 제공한다.
상기 보조매트의 상기 가동부 하부에 배치되는 변기와 변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프레임이 눕힘 상태일 때 상기 개폐프레임 아래에 해당하는 공간에배치되는 욕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욕조 내부에서 상기 욕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좌석, 상기 좌석 하면의 단부에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의자다리, 및 의자다리 단부에 결합되는 바퀴로 구성되어 상기 욕조 내부의 침대 헤드 위치에 배치되는 의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할 수 있다.
상기 개폐프레임은 소정두께의 각파이프로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분할프레임에 의해 공간이 나누어지며, 나누어진 공간에 테이블, 모니터, 샤워꼭지, 또는 냉온수밸브가 수납되고,
상기 개폐프레임 중 세움 상태에서 하측에 수도꼭지가 결합하며, 상기 개폐 프레임의 파이프형 통로를 통해 급수 라인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에 연결되는 컴퓨터 본체는 상기 욕조와 상기 변기 사이 공간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대 헤드 위치의 상부프레임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1 가림판, 상기 제1가림판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또는 제3 가림판, 상기 개폐프레임의 일측 또는 양측 장변에서 하방으로 수직으로 결합하는 제4가림판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또는 제3 가림판 중 일측 또는 양측 상단에서 연장 결합하는 커튼봉 및 상기 커튼봉에 설치되는 커튼을 추가로 포함하는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대는 화장실, 샤워실, 서재 기능을 모두 구비하여 캠핑카 또는 캠핑 트레일러 내의 공간 활용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대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대의 침대 기능 사용상태를 나타상면도이다.
도 3 은 도 2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대의 화장실 기능과 서재 기능이 구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은 도 4의 다용도 침대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4의 다용도 침대 내부를 투시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침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대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다용도 침대의 침실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대의 화장실 기능과 서재 기능이 구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다용도 침대 내부를 투시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100)을 뼈대로 하여 구성된다. 원형 내지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윤곽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프레임(100)은 중간에 배선과 급수 라인을 통과시킬 수 있는 각프레임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은 상부프레임(110), 하부프레임(120), 수직프레임(130), 침대 메인 매트를 접철하는 개폐프레임(150), 여분의 공간과 욕실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프레임(170) 등을 포함한다.
바닥에서 다용도 침대 구성 요소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120)은 직사각형의 장변을 이루는 제1하부프레임(121), 제1하부프레임(121)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결합하는 제2하부프레임(122)과 제4하부프레임(124), 침대의 헤드에 위치하는 제2하부프레임(122)의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제3하부프레임(123)을 포함한다. 제3하부프레임(123)은 화장실 공간을 구성하는 길이만큼 제1하부프레임(123)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부프레임(110)은 제1하부프레임(121)에 대응하는 제1상부프레임(111), 제2하부프레임(122)에 대응하는 제2상부프레임(112), 제4하부프레임(124)에 대응하는 제5상부프레임(115)을 포함하고, 제3하부프레임(123)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부프레임은 욕실 또는 서재로 사용 시 사용자의 출입을 위해 중간에 중간 프레임(163)을 낮은 높이로 결합하고 중간프레임(163)의 좌측과 우측에 제4상부프레임(114)과 제3상부프레임(113)이 결합한다. 중간프레임(163)은 제3수직프레임(133)과 제4수직프레임(134)의 중간에 양 단부가 각각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프레임(30)은 상부프레임(110)을 지지하며 침대 높이만큼 하부프레임(120)으로부터 설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도록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 사이, 및 구획프레임(171,172)과 하부프레임(126, 127) 사이에 결합된다. 상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의 각 단부에 결합하고, 필요할 경우, 지지를 위해 프레임(115,124)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1수직프레임(141), 제12수직프레임(142), 제7수직프레임(137)이 상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의 단부가 아닌 중간에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이다. 수직프레임(130)은 약 50c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프레임(170)은 사용자가 침대에 누웠을 때 발이 놓이는 공간에 배치되어 여분의 공간을 형성한다. 구획프레임(170)은 여분의 공간을 예컨대 화장실로 활용하여 화장실 변기를 수용하고, 사용자가 들어가 변기 위에 앉을 수 있는 사이즈의 길이와 폭을 가지도록 제1구획프레임(171)과 제2구획프레임(172)의 길이를 설정한다. 제1구획프레임(171)은 후술할 실린더(230)의 가동을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제1상부프레임(111) 및 제5상부프레임(115) 보다 길이가 짧게 설정된다. 제2구획프레임(172)는 사용자가 들어가 앉을 수 있는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약70cm의 길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구획프레임(171)에 상응하는 위치에 제7하부프레임(127)이 배치되고, 제1구획프레임(171)과 제7하부프레임(127)의 양 단에는 제5수직프레임(135)과 제12수직프레임(142)이 결합하여 지지한다.제7하부프레임(127)과 제4하부프레임(124) 사이에는 후술할 변기(420)를 지지하기 위해 제5하부프레임(125)이 중간에 결합할 수 있다.
개폐프레임(150)은 침대 매트를 지지하며 침대 매트를 세우거나 눕히기 위해 가동되는 프레임이다. 개폐프레임(150)은 직사각형 윤곽을 가지도록 제1 내지 4 개폐프레임(151~154)이 결합한다. 구획프레임(170)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서 침대 헤드 측으로 설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제1구획프레임(171)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4개폐프레임(154)은 상부에 놓이는 후술할 메인매트(131)의 단부가 말려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생성되도록 설정 공간 이격하여 배치된다. 개폐프레임(150)을 구성하는 직사각형의 장변에 해당하는 제1개폐프레임(151)과 제3개폐프레임(153)을 세웠을 때 하단 위치에서 설정길이 이격된 위치에 힌지(210,220)가 각각 결합한다. 힌지(210,220)는 지렛대 힘을 받기 위하여 단부보다 약 10cm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210)를 개재하여 제1상부프레임(111)이 결합하고, 제2힌지(220)를 개재하여 제4상부프레임(114)이 결합한다. 힌지(210,220)를 중심으로 제1개폐프레임(151)과 제3개폐프레임(153)이 회전하여 제2개폐프레임(152) 측이 들어올려져 개폐프레임(150)이 세워지거나 제2개폐프레임(152) 측이 제2상부프레임(112)과 수평으로 ?혀진다. 도 1은 개폐프레임(150)이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개폐프레임(151) 측에 결합된 힌지(210) 하측에 실린더(230)가 결합한다. 직사각형 개폐프레임(170)의 중간에 길이방향을 가로질러 분할하는 분할 프레임(161,162)이 2개 이상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개폐프레임(171)과 제3개폐프레임(173) 사이에 제2개페프레임(152)과 평행하게 결합한다. 분할프레임(161,162)은 개폐프레임(17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3개 이상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공간으로 전기나 냉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전선, 통신선이나 급수라인이 배치될 수 있다. 즉, 파이프 형상의 개폐, 상부, 하부, 분할 및 수직프레임의 빈공간에 전선이나 통신선, 냉온수 급수라인이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230)는 제1개폐프레임(151)을 제1상부프레임(111)으로부터 지지한다. 실린더(230)의 일단은 제1상부프레임(111) 내측에 결합하고, 타단은 제1개폐프레임(151)의 힌지(220) 하방에 근접한 위치에 결합한다. 실린더(230)에 의해 개폐프레임(150)은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진 상태와 상부프레임(110)과 수평인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 안정화되려고 한다. 실린더(230)는 유압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을 내부로 수용하는 실린더 몸체를 포함하며, 에어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1상부프레임(111)과 제2상부프레임(112)이 만나는 위치에 근접하여 양 단부가 제1상부프레임(111)과 제2상부프레임(112)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80)을 추가로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80)은 개폐프레임(150)이 눕힘 상태일 때 개폐프레임(150)을 지지한다. 제2상부프레임(112)과 제3상부프레임(113)이 만나는 위치에 제2지지프레임(도면중 미도시)을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다용도 침대의 침대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상면도이고, 도 3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대를 침대로 사용하기 위하여, 개폐프레임(150)은 눕힘 상태로 접히고, 개폐프레임(150) 상에 메인매트(310)가 배치되고, 구획프레임(170) 상에 보조매트(320)가 배치된다. 침대의 헤드에 해당하는 위치에 수직으로 가림판(330)이 배치된다.
메인매트(310)는 제1,2,3,4 상부프레임(111,112,113,114) 및 제4개폐프레임(154)를 커버할 수 있는 사이즈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개폐프레임(150)이 세움 상태로 서 있을 때 힌지(210,220)에 의해 방해되지 않도록 힌지에 상응하는 위치가 절개되고, 제1 내지 3가림판(331,332,333)이 상부프레임(111,112,113)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세워지므로 제2가림판(332) 및 제3가림판(333)에 상응하는 위치가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매트(310)는 쿠션 기능을 하면서 무게가 가벼운 고무 또는 폴리머 재질의 에어매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매트(320)는 변기 사용을 위해 개폐되는 가동부(321)와 고정부(322)로 구성된다. 침대 사용시 보조매트(320) 상에는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므로, PE폼 또는 PU 폼 재질의 매트를 사용할 수 있다. 고정부(322)에 가동부(321)가 힌지결합하여, 사용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보조매트(320)는 제5상부프레임(115)에서 제1구획프레임(171)까지를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고, 폭은 메인매트(310)와 동일하게 제5상부프레임(115)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매트(310)로 에어매트를 사용할 경우, 에어매트는 좁은 틈으로 말려 들어가기 용이하므로, 제1구획프레임(171)과 제4개폐프레임(174) 사이의 공간으로 보조매트(320)가 확장될 수 있다.
가림판(330)은 침대 공간을 구획하고, 후술할 욕실 기능으로 사용시 차단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제2상부프레임(112)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결합하는 제1가림판(331)과, 제1가림판(331)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및 3 가림판(332,333)을 포함한다. 제1가림판(331)은 상단이 상기 개폐프레임(150)이 세움 상태로 서 있을 때 높이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림판(331)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2가림판(332) 및 제3 가림판(333)이 제1가림판(331)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된다. 제1 내지 3 가림판(331,332,333)은 불투명한 판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및 3 가림판(332,333)의 폭은 제3상부프레임(113)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대가 침대 기능으로 사용할 때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폐프레임(150)은 눕힘 상태로 접철되고 프레임(100) 상면이 메인매트(310)와 보조매트(320)로 커버되므로, 사용자는 메인매트와 보조매트 상에 누워 침대로 사용할 수 있고, 침대로 사용시,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 공간에 욕조(410), 컴퓨터본체(430), 변기(420) 등이 수납된다.
이하에서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서재, 욕실 및 화장실 기능으로 사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획프레임(170)에 의해 형성된 여분의 공간은 예를 들어 화장실 기능으로 사용되기 위해 보조매트(320)의 가동부(321) 아래에 변기(420)와 변좌(421)가 배치된다. 변기(420)와 변좌(421)는 제6수직프레임(136)이 결합하는 제4하부프레임(124)의 단부에서 사용자의 발이 놓일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고정부(322) 측으로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매트(310)와 변기 위에 배치되는 보조매트(320)가 별도로 구성되고, 가동부(321)가 다른 매트와 독립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므로, 침대 사용 중에도 화장실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구획프레임(170)에 의해 형성된 여분의 공간은 화장실뿐만 아니라, 생활용품이나 공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 등 다양한 용도의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개폐프레임(170)이 눕힘 상태일때 개폐프레임(170) 아래에 해당하는 공간에는 욕조(410)가 배치된다. 즉 욕조(410)는 높이는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의 폭과 수직프레임(130)의 길이의 합보다 작게 설정되고, 길이는, 개폐프레임(170)이 세움 상태일 때 제4개폐프레임(154)에서 제2상부프레임(112)까지 거리에 상응하는 길이와 침대 폭에 상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욕조의 제3상부프레임(113), 중간프레임(163), 및 제4상부프레임(114)에 상응하는 위치의 측면에는 욕조(410) 내부로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중간프레임(163)과 동일한 높이로 높이가 낮아지는 출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욕조(410) 내부의 제2상부프레임(112) 측 위치에 의자(450)가 배치된다. 의자(450)는 욕조(410)의 제2상부프레임(112) 측 측면에서 욕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452), 레일(452)을 따라 이동하는 좌석(455), 좌석(455) 하면의 일 단부에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의자다리(451), 의자다리의 단부에 결합되는 바퀴(453), 좌석(455)의 타 단부에 접힐수 있도록 결합하는 허리받침(454)를 포함한다. 바퀴(453) 달린 다리(451)가 단부에 결합된 좌석(455)이 레일(452)을 따라 이동 가능하므로, 의자(450) 사용시 좌석(455)을 레일을 따라 제4개폐프레임(154) 측으로 이동하고, 욕실로 사용시 좌석(455)을 제2상부프레임(112) 측으로 이동시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개폐프레임(150)은 소정 두께의 각파이프로 형성되고, 분할프레임(161,162)에 의해 공간이 나뉘어지므로, 분할프레임(161,162)에 의해 나뉘어진 공간에 테이블(462), 모니터(463), 샤워꼭지(472), 냉온수밸브(473)이 수납될 수 있다. 개폐프레임(150)은 눕힘 상태에서의 상면은 커버플레이트(도면중 미도시)로 커버되고, 저면은 각 공간별로 노출이 필요한 부분에 개구가 형성된 적절한 커버로 각각 커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도꼭지(471)는 제1개폐프레임(151)의 하방에 형성되고, 프레임(151)의 통로를 통해 급수 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샤워꼭지(472)와 냉온수밸브(473)는 분할프레임(161) 위의 공간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욕조 안에 서서 샤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니터(463)는 분할프레임(161)과 분할프레임(162) 사이의 공간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의자(450)에 착석하여 컴퓨터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니터(463)는 컴퓨터 본체(461)와 연결되며 컴퓨터 본체(461)는 욕조(410)와 변기(4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블(462)은 접철식으로 분할프레임(162) 아래의 공간에 배치되고, 테이블(462)이 공간의 커버 역할을 할 수 있다. 테이블(462)에 의해 커버되는 분할프레임(162) 아래의 공간에 키보드와 마우스가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욕실 기능으로 사용시에는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차단이 필요하므로 가림판(330)과 커튼(464)이 설치된다. 제1 내지 3 가림판(331 내지 333)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1개폐프레임(151) 및/또는 제3개폐프레임(1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제4가림판(334)이 결합한다. 제2가림판(332) 및/또는 제3가림판(333) 상단에는 커튼봉(463)이 연장 결합하고 커튼봉(463)에 커튼(464)을 설치하여 욕실 사용시 시선으로부터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4 내지 6에는 제3가림판(333) 측에 커튼봉(461), 커튼(462) 및 제4가림판(334)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가림판(332) 측에도 배치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양쪽 모두 또는 일측에 제4가림판(334)과 커튼봉(461) 및 커튼(462)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용도 침대를 이용하면 캠핑카나 캠핑 트레일러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 200cm × 90cm 이하의 작은 하나의 공간에서 침실과 욕실과 서재와 화장실이 모두 구현되어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110 : 상부프레임 111 ~ 115 : 제1 ~ 5 상부프레임
120 : 하부프레임 121 ~ 126 : 제1 ~ 6 하부프레임
130 : 수직프레임 131 ~ 142 : 제1 ~ 12 수직프레임
150 : 개폐프레임 151 ~ 154 : 제1 ~ 4 개폐프레임
161, 162 : 분할프레임 163 : 중간프레임
171 ~ 173 : 제1 ~ 3 구획프레임
210, 220 : 힌지 230 : 실린더
310 : 메인 매트 320 : 보조매트
321 : 가동부 322 : 고정부
330 : 가림판 331~334 : 제1 ~ 4 가림판
410 : 욕조 420 : 변기
421 : 변좌 450 : 의자
451 : 의자다리 452 : 레일
453 : 의자바퀴 454 : 등받이
461 : 컴퓨터본체 462 : 테이블
463 : 모니터 471 : 수도꼭지
472 : 샤워꼭지 463 : 냉온수밸브

Claims (10)

  1. 다용도 침대에 있어서,
    프레임들이 결합하여 바닥에서 상기 다용도 침대의 구성 요소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응하는 프레임들이 결합하여 구성된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설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도록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수직프레임,
    사용자가 침대에 누웠을 때 발이 놓이는 공간에 배치되어 여분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에 결합하여 상기 상부프레임을 구획하는 구획프레임, 및
    상기 구획프레임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서 침대 헤드 측으로 설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어, 장변에 해당하는 양 프레임에 세웠을 때 하단에 근접하여 한 쌍의 힌지가 각각 결합하고, 장변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상기 힌지를 개재하여 상기 상부프레임에 각각 결합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프레임에 대해 회전하여 들어 올려져 세움 상태가 되거나 접혀져 눕힘 상태가 되는 개폐프레임을 포함하는 다용도 침대의 프레임;
    상기 개폐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메인매트;
    상기 구획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변기 사용을 위해 개폐되는 가동부와 고정부로 구성되는 보조매트;
    상기 개폐프레임이 눕힘 상태일 때 상기 개폐프레임 아래에 해당하는 공간에배치되는 욕조; 및
    상기 욕조 내부에서 상기 욕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좌석, 상기 좌석 하면의 단부에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의자다리, 및 의자다리 단부에 결합되는 바퀴로 구성되어 상기 욕조 내부의 침대 헤드 위치에 배치되는 의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침대의 프레임은,
    일단은 상기 힌지가 결합한 장변에 해당하는 개폐프레임의 상기 힌지 하방에 근접한 위치에 결합하고, 타단은 근접한 위치의 상기 상부프레임 내측에 결합하여 상기 개폐프레임을 상기 상부프레임으로부터 지지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침대.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매트의 상기 가동부 하부에 배치되는 변기와 변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침대.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프레임은 소정두께의 각파이프로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분할프레임에 의해 공간이 나누어지며, 나누어진 공간에 테이블, 모니터, 샤워꼭지, 또는 냉온수밸브가 수납되고,
    상기 개폐프레임 중 세움 상태에서 하측에 수도꼭지가 결합하며, 상기 개폐 프레임의 파이프형 통로를 통해 급수 라인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침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에 연결되는 컴퓨터 본체는 상기 욕조와 상기 변기 사이 공간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침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 헤드 위치의 상부프레임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1 가림판, 상기 제1가림판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또는 제3 가림판, 상기 개폐프레임의 일측 또는 양측 장변에서 하방으로 수직으로 결합하는 제4가림판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다용도 침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또는 제3 가림판 중 일측 또는 양측 상단에서 연장 결합하는 커튼봉 및 상기 커튼봉에 설치되는 커튼을 추가로 포함하는 다용도 침대.
KR1020180051845A 2018-05-04 2018-05-04 다용도 침대 및 그 프레임 KR102099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845A KR102099710B1 (ko) 2018-05-04 2018-05-04 다용도 침대 및 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845A KR102099710B1 (ko) 2018-05-04 2018-05-04 다용도 침대 및 그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341A KR20190127341A (ko) 2019-11-13
KR102099710B1 true KR102099710B1 (ko) 2020-04-10

Family

ID=6853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845A KR102099710B1 (ko) 2018-05-04 2018-05-04 다용도 침대 및 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860A (ko) 2020-07-27 2022-02-04 혜 숙 김 캠핑카용 다용도 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0002829U1 (de) * 2020-07-01 2020-10-27 Karl Robert Kranemann Sanitäreinrichtung in Kleinräumen, insbesondere von Wohnmobilen, Flugzeugen, Yachten und Tiny Hous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8786B2 (ja) * 1993-03-11 2001-02-26 科学技術振興事業団 ポリアリ−レンチオエ−テルの製造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428U (ja) * 1992-05-20 1995-11-21 訓次 真子 多機能ベッド
ES2264639B1 (es) * 2005-06-16 2007-11-16 Pedro Sanchez Amieva Equipo de cama para enfermos y discapacitados.
JP3138786U (ja) * 2007-11-02 2008-01-17 株式会社フェリオ 仮眠用ベッド
KR100917238B1 (ko) 2009-04-13 2009-09-16 백금자 공간 활용형 다용도 회전식 침대 및 책상
KR20150146420A (ko) 2014-06-20 2015-12-31 황성민 휴대용 다용도 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8786B2 (ja) * 1993-03-11 2001-02-26 科学技術振興事業団 ポリアリ−レンチオエ−テルの製造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860A (ko) 2020-07-27 2022-02-04 혜 숙 김 캠핑카용 다용도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341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8429B1 (ko) 모듈식 시트/침대 변환 조립체
KR102288969B1 (ko) 공간활용 캠핑카
KR102099710B1 (ko) 다용도 침대 및 그 프레임
GB2449322A (en) Overhead bunk-bed in a passenger cabin
US6029406A (en) In-fill stadium seating
KR102555285B1 (ko) 캠핑용 카라반
IES940998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orag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