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591A -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591A
KR20230168591A KR1020230067633A KR20230067633A KR20230168591A KR 20230168591 A KR20230168591 A KR 20230168591A KR 1020230067633 A KR1020230067633 A KR 1020230067633A KR 20230067633 A KR20230067633 A KR 20230067633A KR 20230168591 A KR20230168591 A KR 20230168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ship
facility
data
deceased
storag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7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노부 신나카
히데키 사토
가즈야 아리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230168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59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2Altars; Religious shrines; Fonts for holy water; Crucifix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100)은, 제1 참배 대상물(A1)을 모시는 제1 설비(1)와, 제2 참배 대상물(A2)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한 제2 설비(2)와, 관리 설비(3)와, 제2 설비(2)에 병설된 참배 설비(4)를 구비하고, 관리 설비(3)는, 제1 참배 대상물(A1), 또는 제1 설비(1)에서의 제1 참배 대상물(A1)이 모셔진 장소를 촬영한 제1 데이터(D1)를, 상기 제1 참배 대상물(A1)과 동일한 고인에 관련된 제2 참배 대상물(A2)에 관련지어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31)를 구비하고, 제1 데이터(D1)는, 제1 참배 대상물(A1)에 관한 제1 촬영 데이터(D11)를 포함하고, 참배 설비(4)는 참배자의 조작에 따라, 제1 데이터(D1)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출력 장치(41)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STORAGE SYSTEM FOR OBJECT OF PAYING OF RESPECTS}
본 발명은, 참배 대상물을 보관하는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본공개특허 제2001-20561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1」이라고 함)에는, 각각이 참배 대상물{수납 용기(2)}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를 가지는 보관 선반{수납 장치(A)}와, 어느 수용부로부터 참배 대상물{수납 용기(2)}을 꺼내어 규정의 지지 위치(소정 위치 D)에 반송(搬送)하는 반송 장치{반송 장치(C)}를 구비한 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배경기술의 설명에 있어서 괄호 내에 나타내는 부재명 및 부호는 특허문헌 1의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설비에 의하면, 실제로 묘지를 소유하고 있지 않아도, 종래의 성묘와 같이 참배를 행할 수 있으므로, 대도시 등에서의 묘지의 입수 곤란을 해소할 수 있다.
그런데, 동일한 고인에 관련된 참배 대상물을 복수 개로 나누고, 이들을 상이한 설비(예를 들면, 특정 종파의 사원의 본산 및 말사)에 보관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참배자는 각 설비를 직접 방문하지 않으면, 모든 참배 대상물을 대상으로 하여 참배할 수 없다.
그래서, 동일한 고인에 관련된 참배 대상물을 복수의 설비에 나누어서 보관하고 있는 경우라도, 참배자가 각 설비를 직접 방문할 일없이, 복수 개소에서의 참배 대상물을 대상으로 하여 참배 가능한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의 실현이 기대된다.
상기를 감안한,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의 특징적 구성은,
동일한 고인에 관련된 참배 대상물을 적어도 제1 참배 대상물과 제2 참배 대상물로 나누고, 각각을 참배 가능하게 보관하는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고인에 관련된 상기 제1 참배 대상물을 모시는 제1 설비와,
복수의 고인에 관련된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을 보관하는 제2 설비와,
상기 제1 참배 대상물 및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에 대한 관리를 행하는 관리 설비와,
상기 제2 설비에 병설되고, 참배자에 의한 참배가 행해지는 참배 설비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설비는, 각각이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설비는, 상기 제1 설비에 모셔진 상기 제1 참배 대상물에 관한 제1 데이터를, 상기 제1 참배 대상물과 동일한 고인에 관련된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에 관련지어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1 참배 대상물, 또는 상기 제1 설비에서의 상기 제1 참배 대상물이 모셔진 장소를 촬영한 데이터인 제1 촬영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참배 설비는, 상기 관리 설비에 접속된 출력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장치는, 상기 참배자의 조작에 따라, 특정한 고인에 관련된 상기 제1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참배자가 제2 설비에 병설된 참배 설비를 방문하여, 제2 설비에 수용된 제2 참배 대상물을 대상으로 하여 참배할 때, 참배 설비에 설치된 출력 장치에, 제1 설비에 모셔진 제1 참배 대상물에 관한 제1 데이터를 표시시킬 수 있다. 이로써, 동일한 고인에 관련된 참배 대상물을 제1 설비와 제2 설비에 나누어 보관하고 있는 경우라도, 참배자가 1개소의 참배 설비로부터 이들 양쪽을 대상으로 하여 참배할 수 있다. 따라서, 참배자가 각 설비를 직접 방문할 일없이, 복수 개소에서의 참배 대상물을 대상으로 하여 참배할 수 있다.
[도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의 개략도
[도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에서의 제2 설비 및 참배 설비의 평면도
이하에서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100)은, 동일한 고인에 관련된 참배 대상물(A)을 적어도 제1 참배 대상물(A1)과 제2 참배 대상물(A2)로 나누고, 각각을 참배 가능하게 보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참배 대상물(A)은, 예를 들면 화장한 재, 유골, 유품 등을 포함한다. 제1 참배 대상물(A1)과 제2 참배 대상물(A2)은 동종의 것이라도 되고, 이종의 것이라도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100)은, 복수의 고인에 관련된 제1 참배 대상물(A1)을 모시는 제1 설비(1)와, 복수의 고인에 관련된 제2 참배 대상물(A2)을 보관하는 제2 설비(2)와, 제1 참배 대상물(A1) 및 제2 참배 대상물(A2)에 대한 관리를 행하는 관리 설비(3)와, 제2 설비(2)에 병설되고, 참배자(V)에 의한 참배가 행해지는 제2 참배 설비(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100)은, 제1 설비(1)에 병설되고, 참배자(V)에 의한 참배가 행해지는 제1 참배 설비(5)와, 제1 설비(1) 및 제2 설비(2)와는 떨어진 장소에 설치되고, 참배자(V)에 의한 참배가 행해지는 제3 참배 설비(6)를 더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관리 설비(3)는 어느 설비에 병설되어 있어도 되고, 어느 설비로부터 떨어져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100)에는, 1개의 제1 설비(1)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100)에는, 제1 설비(1)에 병설된 제1 참배 설비(5)가 제1 설비(1)와 같은 수, 즉, 1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100)에는, 복수의 제2 설비(2)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100)에는, 제2 설비(2)에 병설된 제2 참배 설비(4)가 제2 설비(2)와 같은 수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특정 종파의 사원의 본산에 제1 설비(1) 및 제1 참배 설비(5)가 설치되고, 말사의 각각에 제2 설비(2) 및 제2 참배 설비(4)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참배 설비(6)가 특정의 제2 참배 설비(4)에 대응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2 참배 설비(4)에는, 대응된 제3 참배 설비(6)가 존재하는 것과, 대응된 제3 참배 설비(6)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즉,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100)에는, 제2 참배 설비(4)보다 적은 수의 제3 참배 설비(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있어서, 참배 대상물(A)에 기록된 기호(X1∼X3, Y1∼Y3)는 참배 대상물(A)에 관련된 고인을 표시하고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제1 설비(1)에서의 제1 참배 대상물(A1)과 제2 설비(2)에서의 제2 참배 대상물(A2)에서 동일한 기호는 동일한 고인을 나타내고, 상이한 기호는 상이한 고인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설비(2)는, 각각이 제2 참배 대상물(A2)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21)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설비(2)는, 복수의 수용부(21)를 가지는 보관 선반(20)과, 어느 하나의 수용부(21)로부터 제2 참배 대상물(A2)을 꺼내어 규정의 지지 위치(P1)에 반송하는 반송 장치(22)를 더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보관 선반(20)이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보관 선반(20)의 각각에는, 복수의 수용부(21)가 수평면을 따르는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또한 연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한 쌍의 보관 선반(20)의 각각의 각 단(段)에 있어서 복수의 수용부(21)가 배열되는 방향을 「제1 방향 X」로 하고, 연직 방향에서 볼 때 제1 방향 X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2 방향 Y」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보관 선반(20)은, 서로 제2 방향 Y에 간극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수용부(21)의 각각은, 제2 참배 대상물(A2)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한 쌍의 완목(21a)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완목(21a)은 제2 방향 Y를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 X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참배 대상물(A2)은, 고인의 화장한 재를 포함하는 불상(A21)(예를 들면, 작은 불상) 및 위패(A22)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화장한 재를 포함한다」란, 원재료로서 화장한 재를 포함하는 경우와, 화장한 재를 수납하는 수납부(예를 들면, 서랍)을 구비하는 경우의 양쪽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예에서는, 제2 참배 대상물(A2)은 수용부(21)의 한 쌍의 완목(21a)에 탑재 가능하며, 불상(A21) 및 위패(A22)의 양쪽을 수용하는 상자체(A23)를 포함한다. 상자체(A23)는, 제2 참배 대상물(A2)이 지지 위치(P1)에 배치된 경우에, 참배자(V)가 상자체의 내부를 시인(視認)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에 개구 또는 투명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참배 대상물(A2)은 불상(A21) 자체라도 되고, 위패(A22) 자체라도 된다.
반송 장치(22)는, 반송 대상인 제2 참배 대상물(A2)을, 해당 제2 참배 대상물(A2)이 수용된 수용부(21)로부터 반송처의 지지 위치(P1)에 반송한다. 또한, 반송 장치(22)는 지지 위치(P1)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참배 대상물(A2)을 수용부(21)로 반송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장치(22)는 제1 반송부(23)와, 제2 반송부(2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반송부(23)는 반송 대상의 제2 참배 대상물(A2)을, 해당 제2 참배 대상물(A2)이 보관된 수용부(21)로부터 꺼내고, 제2 반송부(24)에 건네주도록 반송한다. 또한, 제1 반송부(23)는 제2 반송부(24)로부터 제2 참배 대상물(A2)을 수취하고, 수용부(21)에 수용하도록 반송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반송부(23)는 스태커 크레인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반송부(23)는, 제1 방향 X를 따라 한 쌍의 보관 선반(20) 사이에 설치된 주행 레일(231)과, 해당 주행 레일(231)에 안내되어 주행하는 주행체(232)와, 해당 주행체(232)에 세워 설치된 한 쌍의 마스트(233)와, 해당 한 쌍의 마스트(233)에 안내되어 연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승강체(234)와, 해당 승강체(234)에 대하여 제2 방향 Y로 출퇴(出退)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제2 참배 대상물(A2)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출퇴 지지부(235)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반송부(24)는 지지 위치(P1)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2 반송부(24)는 제1 반송부(23)로부터 제2 참배 대상물(A2)을 수취하고, 수취한 제2 참배 대상물(A2)을 지지 위치(P1)로 반송하여, 해당 지지 위치(P1)에서 지지한다. 또한, 제2 반송부(24)는 지지 위치(P1)에서 지지하고 있는 제2 참배 대상물(A2)을 제1 반송부(23)에 건네주도록 반송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반송부(24)는, 주행 레일(231)에 대하여 제2 방향 Y에 인접하는 위치와 지지 위치(P1) 사이에서, 제2 방향 Y를 따라 제2 참배 대상물(A2)을 반송하는 컨베이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보관 선반(20) 중 한쪽에, 수용부(2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고, 해당 부분을 통과하도록 제2 반송부(24)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참배 설비(4)는 지지 위치(P1)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참배 설비(4)에는, 참배자(V)가 참배를 행하는 위치인 참배 위치(P2)가 지지 위치(P1)에 대하여 제2 방향 Y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2 참배 설비(4)에는, 복수의 참배 위치(P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참배 설비(4)에서는, 1개의 지지 위치(P1)가 1개의 참배 위치(P2)에 대응하도록, 참배 위치(P2)와 같은 수의 지지 위치(P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설비(2)에서는, 1개의 제2 반송부(24)가 1개의 지지 위치(P1)에 대응하도록, 지지 위치(P1)와 같은 수의 제2 반송부(24)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설비(2)와 제2 참배 설비(4)가 벽체(W)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벽체(W)는, 지지 위치(P1)와 참배 위치(P2)를 칸막이하도록 형성된 칸막이 벽부(W1)와, 제2 참배 설비(4)에 있어서 참배실(R)을 형성하는 참배실 형성 벽부(W2)를 가지고 있다.
칸막이 벽부(W1)는 제1 방향 X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 벽부(W1)에는, 참배 위치(P2)에 있는 참배자(V)가 지지 위치(P1)에 있는 제2 참배 대상물(A2)을 시인하기 위한 참배 창문부(W1a)가 설치되어 있다. 참배 창문부(W1a)는, 칸막이 벽부(W1)에서의 지지 위치(P1)에서 지지된 제2 참배 대상물(A2)이 대향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참배 창문부(W1a)는 광투과율을 조절 가능한 조광(調光) 유리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참배 창문부(W1a)는, 해당 참배 창문부(W1a)를 통하여 참배자(V)가, 지지 위치(P1)에 지지된 제2 참배 대상물(A2)을 시인할 수 있도록 광을 투과하는 투명 상태와, 광을 투과하지 않는 불투명 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참배실 형성 벽부(W2)는 참배 위치(P2)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참배실 형성 벽부(W2)에 의해 둘러싸인, 참배 위치(P2)를 포함하는 공간이 참배실(R)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참배실 형성 벽부(W2)는, 칸막이 벽부(W1)에서의 제1 방향 X의 복수 개소로부터 참배 위치(P2) 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참배실(R)이 제1 방향 X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 참배 설비(4)는 제2 출력 장치(41)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참배실(R)의 각각에 제2 출력 장치(41)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출력 장치(41)는 관리 설비(3)(도 1 참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2 출력 장치(41)는, 참배자(V)의 조작을 접수하고, 또한 해당 접수한 조작에 따른 내용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출력 장치(41)는, 참배자(V)와 관련된 IC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IC카드 리더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므로, 임의의 참배실(R)을 방문한 참배자(V)가, 해당 참배실(R)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출력 장치(41)의 IC카드 리더에 IC카드를 판독하게 함으로써, 해당 IC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관리 설비(3)가 취득 가능하게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설비(1)는, 상기 제1 설비(1)에서 행해지고 있는 행사를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한 촬영 장치(11)를 구비하고 있다. 촬영 장치(11)는 관리 설비(3)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참배 설비(5)는 제1 출력 장치(51)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출력 장치(51)는 관리 설비(3)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1 출력 장치(51)는 참배자(V)의 조작을 접수하고, 또한 해당 접수한 조작에 따른 내용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참배 설비(5)에는, 제2 참배 설비(4)의 참배실(R)과 동일한 참배실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복수의 참배실의 각각에, 제1 출력 장치(5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참배 설비(6)는 제3 출력 장치(61)를 구비하고 있다. 제3 출력 장치(61)는 관리 설비(3)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3 출력 장치(61)는 참배자(V)의 조작을 접수하고, 또한 해당 접수한 조작에 따른 내용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참배 설비(6)에는, 제2 참배 설비(4)의 참배실(R)과 동일한 참배실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복수의 참배실의 각각에, 제3 출력 장치(6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참배 설비(6)는 「이격 참배 설비」에 상당하고, 제3 출력 장치(61)는 「이격 출력 장치」에 상당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리 설비(3)는 데이터베이스(31)를 구비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31)는, 제1 설비(1)에 모셔진 제1 참배 대상물(A1)에 관한 제1 데이터(D1)를, 해당 제1 참배 대상물(A1)과 동일한 고인에 관련된 제2 참배 대상물(A2)에 관련지어 기억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31)는, 관리 설비(3)에 설치된 시스템 내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라도 되고, 클라우드형의 데이터베이스라도 된다.
제2 참배 설비(4)의 제2 출력 장치(41)는 참배자(V)의 조작에 따라, 특정한 고인에 관련된 제1 데이터(D1)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2 출력 장치(41)는, 터치패널식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해당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특정한 항목을 참배자(V)가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항목에 따른 내용을 표시한다.
제1 데이터(D1)는 제1 참배 대상물(A1), 또는 제1 설비(1)에서의 제1 참배 대상물(A1)이 모셔진 장소{예를 들면, 본산에 설치된 합사묘(合祀墓)}를 촬영한 데이터인 제1 촬영 데이터(D11)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데이터(D1)는, 제1 설비(1)에서 행해지고 있는 행사(예를 들면, 본산에서 행해지고 있는 법요)의 라이브 영상 및 해당 행사의 예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한다. 본 예에서는, 촬영 장치(11)에 의해 촬영되는 라이브 영상이 제1 촬영 데이터(D11)에 상당한다. 그리고, 제1 촬영 데이터(D11)는 미리 촬영한 동영상 또는 화상이라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데이터베이스(31)는 제2 설비(2)에 보관된 제2 참배 대상물(A2)에 관련된 제2 데이터(D2)를, 해당 제2 참배 대상물(A2)과 동일한 고인에 관련된 제1 참배 대상물(A1)에 관련지어 기억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데이터(D1)와 제2 데이터(D2)가, 동일한 고인에 관련된 제1 참배 대상물(A1)과 제2 참배 대상물(A2)이 서로 관련된 상태로, 데이터베이스(31)에 기억된다. 그리고, 도 1에 있어서, 서로 좌우로 연결한 제1 데이터(D1)과 제2 데이터(D2)는, 동일한 고인에 관련된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제1 참배 설비(5)의 제1 출력 장치(51)는 참배자(V)의 조작에 따라, 특정한 고인에 관련된 제2 데이터(D2)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출력 장치(51)는, 터치패널식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해당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특정한 항목을 참배자(V)가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항목에 따른 내용을 표시한다.
제3 참배 설비(6)의 제3 출력 장치(61)는 참배자(V)의 조작에 따라, 특정한 고인에 관련된 제1 데이터(D1) 및 제2 데이터(D2)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3 출력 장치(61)는 터치패널식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해당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특정한 항목을 참배자(V)가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항목에 따른 내용을 표시한다.
제2 데이터(D2)는, 제2 설비(2)에서의 제2 참배 대상물(A2)이 수용되어 있는 수용부(21)의 장소를 나타낸 장소 데이터(D21)와, 제2 참배 대상물(A2)을 촬영한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참배 대상물(A2)이 수용되어 있는 수용부(21)를 촬영한 데이터인 제2 촬영 데이터(D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촬영 데이터(D22)는 미리 촬영한 동영상 또는 화상이라도 되고, 각 수용부(21)에 규정의 촬영 장치를 설치하고, 해당 촬영 장치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있는 동영상 또는 화상이라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리 설비(3)는 제2 설비(2)의 반송 장치(22)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관리 설비(3)는 제2 출력 장치(41)로부터, 해당 제2 출력 장치(41)의 IC카드 리더에 참배자(V)가 판독하게 한 정보를 취득하고, 해당 참배자(V)에 관련된 제2 참배 대상물(A2)을 특정한다. 그리고, 관리 설비(3)는, 특정한 제2 참배 대상물(A2)에 관련된 제2 데이터(D2)의 장소 데이터(D21)를 참조하고, 해당 장소 데이터(D21)가 나타내는 수용부(21)로부터 제2 참배 대상물(A2)을 꺼내어, 참배자(V)가 있는 참배 위치(P2)에 인접하는 지지 위치(P1)에 반송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리 설비(3)는 제1 설비(1)와 복수의 제2 설비(2)를 포함하는 설비군(Gf)(예를 들면, 동일 종파의 사원군)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 설비(2)의 각각에 보관된 복수의 제2 참배 대상물(A2)에 관련된 고인의 군을 「대상 고인군(G)」으로 하면, 제1 설비(1)에는, 설비군(Gf)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설비(2)에 보관된 복수의 제2 참배 대상물(A2)과 공통의 대상 고인군(G)에 관련된 복수의 제1 참배 대상물(A1)이 모셔지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설비군(Gf)에 포함되는 첫번째의 제2 설비(2)에, X1, X2, X3로 기록된 고인으로 이루어지는 대상 고인군(G)인 제1 대상 고인군(G1)에 관련된 복수의 제2 참배 대상물(A2)이 보관되어 있다. 또한, 설비군(Gf)에 포함되는 두번째의 제2 설비(2)에, Y1, Y2, Y3로 기록된 고인으로 이루어지는 대상 고인군(G)인 제2 대상 고인군(G2)에 관련된 복수의 제2 참배 대상물(A2)이 보관되어 있다. 그리고, 설비군(Gf)에 포함되는 제1 설비(1)에, 2개의 제2 설비(2)에 보관된 복수의 제2 참배 대상물(A2)과 공통의 대상 고인군(G)인 제1 대상 고인군(G1) 및 제2 대상 고인군(G2)에 관련된 복수의 제1 참배 대상물(A1)이 보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출력 장치(51)는, 설비군(Gf)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설비(2)에 보관된 복수의 제2 참배 대상물(A2)에 관련된 제2 데이터(D2)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2 출력 장치(41)는, 해당 제2 출력 장치(41)가 배치된 제2 참배 설비(4)에 병설된 제2 설비(2)를 「대상 제2 설비(2T)」로 하면, 제1 설비(1)에 보관된 모든 제1 참배 대상물(A1) 중, 대상 제2 설비(2T)에 보관된 복수의 제2 참배 대상물(A2)과 공통인 대상 고인군(G)에 관련된 복수의 제1 참배 대상물(A1)의 제1 데이터(D1)를 출력 가능하지만, 대상 제2 설비(2T)를 제외하고 제2 설비(2)에 보관된 복수의 제2 참배 대상물(A2)과 공통의 대상 고인군(G)에 관련된 복수의 제1 참배 대상물(A1)의 제1 데이터(D1)를 출력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 대상 고인군(G1)에 관련된 복수의 제2 참배 대상물(A2)이 보관되어 있는 제2 설비(2)를 대상 제2 설비(2T)로 하고 있다. 이 경우, 대상 제2 설비(2T)의 제2 출력 장치(41)는, 제1 대상 고인군(G1)에 관련된 복수의 제1 참배 대상물(A1)의 제1 데이터(D1)를 출력 가능하지만, 제2 대상 고인군(G2)에 관련된 복수의 제1 참배 대상물(A1)의 제1 데이터(D1)에 대해서는 출력 불가능하다.
[기타의 실시형태]
(1)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동일한 고인에 관련된 참배 대상물(A)을 제1 참배 대상물(A1)과 제2 참배 대상물(A2)로 나누고, 제1 참배 대상물(A1)을 모시는 제1 설비(1)와 제2 참배 대상물(A2)을 보관하는 제2 설비(2)를 구비한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고인에 관련된 참배 대상물(A)을 3개 이상으로 나누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동일한 고인에 관련된 참배 대상물(A)을 제1 참배 대상물(A1)과 제2 참배 대상물(A2)과 제3 참배 대상물로 나누고, 제3 참배 대상물을 보관하는 제3 설비를 제2 설비(2)와 마찬가지로 구성하고, 제3 참배 설비(6)에 병설시켜도 된다.
(2)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출력 장치(51)를 구비한 제1 참배 설비(5)가 제1 설비(1)에 병설된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 참배 설비(5)가 제1 출력 장치(51)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혹은, 제1 참배 설비(5)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3)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2 참배 설비(4)보다 적은 수의 제3 참배 설비(6)가 설치되고, 특정한 제2 참배 설비(4)에 제3 참배 설비(6)가 대응한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2 참배 설비(4)와 같은 수의 제3 참배 설비(6)가 설치되고, 복수의 제2 참배 설비(4)의 각각에 제3 참배 설비(6)가 대응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제3 참배 설비(6)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4)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2 설비(2)가, 어느 하나의 수용부(21)로부터 제2 참배 대상물(A2)을 꺼내어 규정의 지지 위치(P1)에 반송하는 반송 장치(22)를 구비한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반송 장치(22)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제2 설비(2)의 관리자가 수용부(21)로부터 제2 참배 대상물(A2)을 꺼내어, 지지 위치(P1)까지 운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5) 그리고,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타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각종 개변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개요]
이하에서는,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은,
동일한 고인에 관련된 참배 대상물을 적어도 제1 참배 대상물과 제2 참배 대상물로 나누고, 각각을 참배 가능하게 보관하는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고인에 관련된 상기 제1 참배 대상물을 모시는 제1 설비와,
복수의 고인에 관련된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을 보관하는 제2 설비와,
상기 제1 참배 대상물 및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에 대한 관리를 행하는 관리 설비와,
상기 제2 설비에 병설되고, 참배자에 의한 참배가 행해지는 참배 설비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설비는, 각각이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설비는, 상기 제1 설비에 모셔진 상기 제1 참배 대상물에 관한 제1 데이터를, 상기 제1 참배 대상물과 동일한 고인에 관련된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에 관련지어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1 참배 대상물, 또는 상기 제1 설비에서의 상기 제1 참배 대상물이 모셔진 장소를 촬영한 데이터인 제1 촬영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참배 설비는, 상기 관리 설비에 접속된 출력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장치는 상기 참배자의 조작에 따라, 특정 고인에 관련된 상기 제1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참배자가 제2 설비에 병설된 참배 설비를 방문하여, 제2 설비에 수용된 제2 참배 대상물을 대상으로 하여 참배할 때, 참배 설비에 설치된 출력 장치에, 제1 설비에 모셔진 제1 참배 대상물에 관한 제1 데이터를 표시시킬 수 있다. 이로써, 동일한 고인에 관련된 참배 대상물을 제1 설비와 제2 설비에 나누어 보관하고 있는 경우라도, 참배자가 1군데의 참배 설비로부터 이들의 양쪽을 대상으로 하여 참배할 수 있다. 따라서, 참배자가 각 설비를 직접 방문하는 일없이, 복수 개소에서의 참배 대상물을 대상으로 하여 참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설비 및 상기 제2 설비는 떨어진 장소에 설치되고, 상기 참배자에 의한 참배가 행해지는 이격 참배 설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제2 설비에 보관된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에 관한 제2 데이터를, 상기 제2 참배 대상물과 동일한 고인에 관련된 상기 제1 참배 대상물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2 설비에서의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이 수용되어 있는 상기 수용부의 장소를 나타내는 장소 데이터와,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을 촬영한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이 수용되어 있는 상기 수용부를 촬영한 데이터인 제2 촬영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 참배 설비는, 상기 관리 설비에 접속된 이격 출력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격 출력 장치는 상기 참배자의 조작에 따라, 특정한 고인에 관련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설비 및 제2 설비는 떨어진 장소에 설치된 이격 참배 설비에 설치된 이격 출력 장치에, 제1 설비에 모셔진 제1 참배 대상물에 관한 제1 데이터, 및 제2 설비에 보관된 제2 참배 대상물에 관한 제2 데이터를 표시시킬 수 있다. 이로써, 참배자가 이격 참배 설비를 방문함으로써, 제1 참배 대상물 및 제2 참배 대상물의 양쪽을 대상으로 하여 참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1 설비에서 행해지고 있는 행사의 라이브 영상 및 해당 행사의 예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참배자가 제1 설비에서 참배하고 있는 것 같은 현장감을 느끼기 쉽다.
또한, 상기 제2 설비는, 복수의 상기 수용부를 가지는 보관 선반과, 어느 하나의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을 꺼내어 규정의 지지 위치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참배 설비는, 상기 지지 위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에 수용된 제2 참배 대상물을 참배 설비에 포함되는 지지 위치에, 반송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반송시킬 수 있다. 이로써, 참배 설비를 방문한 참배자가, 제2 참배 대상물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참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은, 고인의 화장한 재를 포함하는 불상 및 위패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참배자가 고인의 화장한 재를 포함하는 불상 및 위패 중 적어도 한쪽을 대상으로 하여 참배를 행할 수 있으므로, 참배자의 만족감을 높이기 쉽다.
본 개시에 관련된 기술은, 참배 대상물을 보관하는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100: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
1: 제1 설비
2: 제2 설비
21: 수용부
3: 관리 설비
31: 데이터베이스
4: 제2 참배 설비(참배 설비)
41: 제2 출력 장치(출력 장치)
A: 참배 대상물
A1: 제1 참배 대상물
A2: 제2 참배 대상물
D1: 제1 데이터
D11: 제1 촬영 데이터

Claims (5)

  1. 동일한 고인에 관련된 참배 대상물을 적어도 제1 참배 대상물과 제2 참배 대상물로 나누고, 각각을 참배 가능하게 보관하는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고인에 관련된 상기 제1 참배 대상물을 모시는 제1 설비;
    복수의 고인에 관련된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을 보관하는 제2 설비;
    상기 제1 참배 대상물 및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에 대한 관리를 행하는 관리 설비; 및
    상기 제2 설비에 병설되고, 참배자에 의한 참배가 행해지는 참배 설비;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설비는, 각각이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설비는, 상기 제1 설비에 모셔진 상기 제1 참배 대상물에 관한 제1 데이터를, 상기 제1 참배 대상물과 동일한 고인에 관련된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에 관련지어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1 참배 대상물, 또는 상기 제1 설비에서의 상기 제1 참배 대상물이 모셔진 장소를 촬영한 데이터인 제1 촬영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참배 설비는, 상기 관리 설비에 접속된 출력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장치는, 상기 참배자의 조작에 따라, 특정한 고인에 관련된 상기 제1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비 및 상기 제2 설비는 떨어진 장소에 설치되고, 상기 참배자에 의한 참배가 행해지는 이격 참배 설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제2 설비에 보관된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에 관한 제2 데이터를, 상기 제2 참배 대상물과 동일한 고인에 관련된 상기 제1 참배 대상물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제2 설비에서의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이 수용되어 있는 상기 수용부의 장소를 나타내는 장소 데이터와,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을 촬영한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이 수용되어 있는 상기 수용부를 촬영한 데이터인 제2 촬영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 참배 설비는, 상기 관리 설비에 접속된 이격 출력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격 출력 장치는, 상기 참배자의 조작에 따라, 특정한 고인에 관련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1 설비에서 행해지고 있는 행사의 라이브 영상, 및 상기 행사의 예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비는, 복수의 상기 수용부를 가지는 보관 선반과, 어느 하나의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을 꺼내어 규정의 지지 위치로 반송(搬送)하는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참배 설비는, 상기 지지 위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참배 대상물은, 고인의 화장한 재를 포함하는 불상 및 위패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
KR1020230067633A 2022-06-07 2023-05-25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 KR202301685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92119A JP2023179065A (ja) 2022-06-07 2022-06-07 参拝対象物保管システム
JPJP-P-2022-092119 2022-06-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591A true KR20230168591A (ko) 2023-12-14

Family

ID=88991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7633A KR20230168591A (ko) 2022-06-07 2023-05-25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179065A (ko)
KR (1) KR20230168591A (ko)
CN (1) CN117188854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79065A (ja) 2023-12-19
CN117188854A (zh) 202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70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a status of an item
US20200327759A1 (en) Secured customer access arrangement for a container business
TWI769340B (zh) 參拜對象物的保管設備
KR101411070B1 (ko) 장례 시스템
KR20230168591A (ko) 참배 대상물 보관 시스템
KR20010064660A (ko) 사이버 영상 시스템 및 전자동 수납 시스템이 설치된 납골당
KR100303422B1 (ko) 멀티시스템을 적용한 납골용 시설물
JP6085714B1 (ja) 自動搬送式納骨システム
KR20030081707A (ko) 양방향 실시간 장례중계 및 화상조문 시스템
JPH06146663A (ja) 自動搬送霊廟礼拝堂装置
JP5967020B2 (ja) 参拝設備
JP2019035274A (ja) 納骨堂の参拝システム
KR100787377B1 (ko) 아이티-믹스트 길안내, 광고 및 보안이 가능한트래킹시스템
US11047148B2 (en) Storage facility for object of paying of respects
JP2022070501A (ja) 参拝管理装置、参拝管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端末、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71196B2 (ja) 参拝設備
KR100219114B1 (ko) 납골보관장치
JP4601147B2 (ja) 駅を利用した物流システム
JP7222367B2 (ja) 参拝対象物の保管設備
KR200376872Y1 (ko) 영상표시기능을 갖는 묘석 및 그를 이용한 납골 관리시스템
US9903127B2 (en) Funeral institution and funeral attendance assisting method
KR20040081842A (ko) 자동화 납골보관소
US20240144177A1 (en) System, method, process, and mechanism for facilitating order placement, consolidation, and fulfillment of multi-vendor orders via a drive-through complex
JP2012035999A (ja) 図書保管管理システム
JP7092949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