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041A -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 Google Patents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041A
KR20230168041A KR1020220068470A KR20220068470A KR20230168041A KR 20230168041 A KR20230168041 A KR 20230168041A KR 1020220068470 A KR1020220068470 A KR 1020220068470A KR 20220068470 A KR20220068470 A KR 20220068470A KR 20230168041 A KR20230168041 A KR 20230168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cover
unit
extraction unit
beve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범
이정석
곽명훈
오민규
여준희
황성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8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041A/ko
Publication of KR20230168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Im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5Cartridge perforating means for creating the hot water in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47J31/0673Means to perforate the cartridge for creating the beverage out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부(20)의 추출부하우징(21) 내외부로 입출되고 내부에 착탈되게 캡슐유니트(36)가 있다. 상기 캡슐유니트(36)에는 각각의 캡슐(1)이 장착되는 캡슐장착부(50)가 일방향으로 다수개 있을 수 있다. 상기 캡슐장착부(50) 내에 캡슐(1)이 장착된 상태로 캡슐유니트(36)가 상기 추출부(2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추출부(20) 내부에서 음료의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캡슐장착부(50)를 구성하는 캡슐시트(52)와 캡슐커버(60)는 교체가 가능하여 원하는 종류의 캡슐(1)에 따라 다른 구성을 가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본 발명은 캡슐에 들어 있는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를 밀봉 포장한 캡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캡슐은 음료의 원료를 내부에 밀봉 상태로 보관하고 있는데, 사용자는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캡슐 내부로 물을 통과시켜 음료를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의 대표적인 것으로 커피머신이 있다. 최근에는 커피 뿐 아니라 다양한 음료 및 음료재료를 캡슐에 제공하여 음료를 만들어 음용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음료장치에서 한 번에 하나의 캡슐만으로 음료를 제조하지 않고, 적어도 2개 이상의 캡슐을 사용하여 음료를 만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선행문헌1인 한국 공개특허 10-2012-0117390호에는 2개의 캡슐에서 동시에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는 캡슐을 장치 내에 하나 씩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장착하고, 추출 후에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아 꺼내야 한다. 따라서, 뜨거운 음료를 추출한 경우에는 온도가 높은 상태의 캡슐을 사용자가 꺼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선행문헌2는 PCT 국제공개 WO2003/056987호이다. 여기서는 캡슐이 안착되는 하우징이 서랍식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캡슐케이지 내에 캡슐이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캡슐을 직접 꺼내지 않아도 되는데, 캡슐을 장착하고 사용 후의 캡슐을 모으는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3은 미국공개특허 US2017/0325622A1호이다. 여기서는 캡슐을 홀더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음료장치에 장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는, 상기 홀더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음료장치를 동작시켜야 한다. 즉, 홀더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유지하면서 음료장치를 수작업으로 동작시키는 불편한 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117390호 PCT 국제공개 WO2003/056987호 미국공개특허 US2017/0325622A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을 음료장치에 장착하고 꺼내는 과정에서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유니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유니트 내의 캡슐장착부를 일방향으로 다수개 두어 캡슐을 다수개 장착하여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캡슐장착부를 두고 이에 장착된 캡슐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유니트의 캡슐시트 및/또는 캡슐커버를 교체하여 종류가 다른 캡슐에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유니트를 추출부하우징 내에 장착하고 커버를 닫으면 캡슐에 물을 주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유니트에 대한 청소가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캡슐이 장착되는 캡슐유니트를 사용한다. 상기 캡슐유니트 내에 캡슐이 장착된 상태에서 캡슐유니트가 추출부에 장착되므로 사용자가 추출부에 캡슐을 장착하고 꺼낼 때 직접 캡슐을 손으로 잡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캡슐유니트 내에 캡슐장착부가 일방향으로 열을 지어 배치되므로 캡슐장착부의 열의 양측 방향으로의 공간을 줄일 수 있어서 공간활용성이 좋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캡슐장착부를 캡슐유니트에 두면서, 이들 각각의 캡슐장착부로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펌프와 밸브를 두고, 이들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어함에 의해 캡슐에서 음료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캡슐장착부를 구성하는 캡슐시트 및/또는 캡슐커버를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캡슐시트와 캡슐커버의 구조에 따라 이에 맞는 캡슐에서 음료를 추출할 수 있어서, 음료장치의 호환성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캡슐유니트에 있는 캡슐장착부의 천공레버를 추출부하우징에 있는 구동레버가 추출부커버가 닫힘에 의해 동작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별도의 구성없이 추출부커버의 폐쇄동작으로 캡슐에 물을 공급하는 통공을 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캡슐유니트가 추출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캡슐유니트를 분리한 상태에서 캡슐유니트뿐만 아니라 비어 있는 상태의 추출부하우징을 쉽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바닥에 안착되고 컵안착면을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에 위치되고 추출부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음료의 추출이 이루어지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의 공간 내에 착탈되고 내부에 캡슐이 장착되는 캡슐장착부가 일방향으로 열을 지어 다수개 배치되는 캡슐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캡슐유니트의 캡슐장착부에 캡슐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캡슐유니트를 상기 추출부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캡슐유니트는 일측으로 캡슐입출구가 형성되는 유니트하우징과, 상기 유니트하우징의 내부에 일방향으로 열을 지어 다수개가 배치되고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시트와 마주보게 소정 각도 회전가능한 캡슐커버를 가지는 캡슐장착부와, 상기 캡슐로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캡슐커버와 연결되는 공급관과, 상기 캡슐에서 추출된 음료를 컵으로 전달하는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관에는 물의 유동을 위한 유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공급관을 통한 물의 공급과 차단을 위한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추출부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캡슐유니트의 입출을 위한 유니트입출구가 있을 수 있고, 상기 유니트입출구는 추출구커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캡슐장착부는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시트 상에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여 상기 캡슐시트에 안착된 캡슐을 눌러서 천공하고 고정하는 캡슐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슐커버에는 천공레버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추출구커버에 있는 누름바아에 의해 동작되는데, 상기 추출구커버가 닫히면서 상기 천공레버를 밀어서 상기 캡슐커버가 캡슐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닥에 안착되고 컵안착면을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에 위치되고 추출부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의 공간 내에 착탈되고 외관을 구성하는 유니트하우징의 내부에 캡슐이 장착되는 캡슐장착부가 교체가능하게 일방향으로 열을 지어 다수개 배치되는 캡슐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슐장착부는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안착공간을 가지는 캡슐시트와, 상기 캡슐시트와 마주보고 상기 캡슐시트에 안착된 캡슐에 밀착되게 소정 각도 회전가능한 캡슐커버와, 상기 캡슐커버를 관통하는 관통공 내에 위치되어 캡슐을 고정하고 천공하는 천공구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시트와 캡슐커버는 캡슐의 형상에 따라 교체가능할 수 있다.
상기 캡슐커버는 상기 캡슐시트의 일측에 돌출된 돌출단에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캡슐커버에는 상기 캡슐시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반대쪽에서 연장되고 상기 추출부 내부의 공간을 개폐하는 추출부커버에 의해 구동되는 천공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슐시트는 상기 캡슐안착공간의 크기와 형상이 달리되고, 상기 캡슐커버는 상기 천공구가 있는 안착공간의 크기와 형상이 달리되어 다른 종류의 캡슐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닥에 안착되고 컵안착면을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에 위치되고 외관을 추출부하우징이 구성하며 상기 추출부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유니트입출구를 개폐하는 추출부커버를 구비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유니트입출구를 통해 입출되어 장착되고 외관을 구성하는 유니트하우징의 내부에는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시트와 상기 캡슐을 눌러주는 캡슐커버를 포함하는 캡슐장착부를 가지는 캡슐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캡슐유니트가 상기 추출부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추출부커버가 닫힘에 의해 상기 캡슐커버가 상기 캡슐을 눌러주어 캡슐을 고정함과 동시에 물공급이 가능하도록 천공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커버에는 누름바아가 설치되고, 상기 추출부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누름바아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캡슐커버를 밀어 캡슐커버가 캡슐에 밀착되게 하는 구동레버가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추출부커버에는 누름바아가 설치되고, 상기 추출부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누름바아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캡슐커버를 밀어 캡슐커버가 캡슐에 밀착되게 하는 캡슐커버가 캡슐에 밀착되게 하는 구동레버가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레버는 각각의 상기 캡슐장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레버들은 연결레버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캡슐커버에는 상기 캡슐의 대응되는 부분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에는 캡슐에의 천공을 위한 천공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천공구는 몸체판과, 상기 몸체판에서 연장되고 내부에 주입유로가 있는 유로관과, 상기 유로관의 선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천공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판에는 다수개의 고정편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캡슐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캡슐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캡슐시트에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가 있고, 상기 연결부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캡슐커버에는 상기 구동레버에 의해 동작되는 천공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슐시트에는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안착공간이 구획단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기 구획단의 폭에 따라 안착되는 캡슐의 종류가 달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캡슐유니트를 사용한다. 상기 캡슐유니트 내에는 캡슐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캡슐유니트는 추출부의 추출부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음료의 추출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캡슐을 손으로 직접 잡지 않고 캡슐유니트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취급하므로, 음료 추출 후 뜨거은 상태의 캡슐을 쉽게 취급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 캡슐이 장착될 수 있는 캡슐장착부를 일방향으로 열을 지어 다수개 배치한다. 따라서 음료장치의 추출부의 폭을 상기 캡슐장착부의 배열 방향 양측으로 줄일 수 있게 되어 공간활용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열로 다수개 배치된 캡슐장착부에 장착된 캡슐들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음료를 다수 잔 동시에 만들거나, 동일한 음료의 양을 늘여서 만들거나, 다른 종류의 음료를 동시에 만들거나, 다른 종류의 음료를 섞은 혼합음료를 만들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음료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캡슐장착부의 캡슐시트 및/또는 캡슐커버를 교체할 수 있는데, 이 캡슐시트 및/또는 캡슐커버의 종류에 따라 다른 종류의 캡슐을 캡슐장착부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음료장치의 호환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캡슐유니트를 추출부하우징에 장착하고, 추출부하우징의 추출부커버를 닫으면, 캡슐장착부에 있는 캡슐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통공이 천공된다. 따라서, 복잡한 구조없이 캡슐에 통공을 형성할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구성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캡슐유니트가 추출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캡슐유니트를 분리한 상태에서 캡슐유니트뿐만 아니라 비어 있는 상태의 추출부하우징을 쉽게 청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추출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추출부하우징과 그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캡슐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캡슐장착부의 구성을 보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캡슐장착부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캡슐장착부의 캡슐커버와 캡슐시트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캡슐커버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캡슐시트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의 캡슐장착부에 설치되는 천공구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례의 캡슐장착부에 캡슐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부와 물공급부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캡슐유니트를 추출부하우징에 장착하고 음료를 추출하는 상태까지의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캡슐장착부에 장착된 캡슐에 천공구가 통공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례의 추출부에 캡슐이 장착되고 컵이 컵안착면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례의 물공급부에서 물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이는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례의 추출부에서 물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실시례의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를 도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례에는 베이스(10)가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납작한 판상으로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베이스(10)가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다. 하지만, 상기 베이스(10)는 납작한 형태라면 원판형상, 다각판형상 등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부(1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는 동작버튼(12)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동작버튼(12)은 터치로 동작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동작버튼(12)을 포함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컵안착면(14)을 제외한 영역, 즉 컵안착면(14)에서 동작버튼(12)이 있는 베이스(10)의 앞쪽 사이의 영역은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영역에 디스플레이패널을 설치하여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패널인 경우에 상기 동작버튼(12)은 터치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의 뒤쪽 영역에는 컵이 안착되는 영역인 컵안착면(1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컵안착면(14)에 컵이 안착되어 추출부(20)에서 추출된 음료를 받을 수 있다. 상기 컵안착면(14)에 해당되는 영역에는 지지부(1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지지부(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추출부(20)가 위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6)는 지지레그(18)와 상기 지지레그(18) 사이를 연결하는 추출부안착대(19)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18)는 2개가 상기 추출부안착대(19)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18)의 사이에 상기 베이스(10)의 표면에 상기 컵안착면(14)이 위치한다.
상기 지지부(16)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높이가 고정된 형태이다. 하지만, 상기 지지부(16)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6)의 높이가 가변되면 높이가 다른 컵을 쓸 때에 배출관(44,44')의 끝부분을 컵의 높이에 맞게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6) 상에 추출부(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추출부(20)는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외관을 추출부하우징(21)이 형성한다. 상기 추출부하우징(21)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원기둥이다. 하지만, 상기 추출부하우징(21)은 사각기둥 또는 다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추출부하우징(21)은 아래에서 설명될 캡슐유니트(36)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삽입되어 내부에 설치되므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하지만,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추출부하우징(21)이 전후 또는 좌우 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상기 캡슐유니트(36)가 추출부하우징(21)의 위치에 맞게 전후 또는 좌우 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추출부하우징(21)의 상면에는 유니트입출구(2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유니트입출구(22)를 통해 상기 추출부하우징(21)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유니트입출구(22)를 추출부커버(24)가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커버(24)는 상기 추출부하우징(21)에 커버힌지(26)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커버힌지(26)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유니트입출구(22)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커버힌지(26)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면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추출부커버(24)가 항상 개방상태로 되려는 경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추출부커버(24)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유니트입출구(22)를 닫도록 회전된 경우에는, 상기 추출부하우징(21)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추출부커버(24)가 상기 추출부하우징(21)에 체결되는 구조는 편의상 생략되었다.
상기 추출부커버(24)에는 누름바아(2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누름바아(28)는 상기 커버힌지(26)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추출부커버(24)가 상기 커버힌지(26)에 의해 추출부하우징(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고려하면, 상기 추출부커버(24)의 자유단부 쪽에 상기 누름바아(2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누름바아(28)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레버(30)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상기 누름바아(28)는 상기 추출부커버(24)가 닫히는 동작에 의해 구동레버(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추출부하우징(21)의 내부에는 구동레버(30)가 다수개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구동레버(30)가 2개가 있다. 상기 구동레버(30)는 아래에서 설명될 캡슐장착부(50)의 갯수만큼 있을 수 있다. 상기 구동레버(30)는 상기 추출부하우징(21)의 내면에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레버(30)는 상기 유니트입출구(22)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되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레버(30)는 상기 누름바아(28)에 의해 눌러지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유니트입출구(22)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되도록 회전동작된다.
상기 구동레버(30)중에서 상기 유니트입출구(22)에 가장 가까이 있는 것이 상기 누름바아(28)에 의해 눌러질 수 있다. 상기 구동레버(30) 들은 연결레버(32)에 의해 서로 연동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레버(32)와 상기 구동레버(30) 들은 서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레버(32)에 의해 상기 구동레버(30)들이 동시에 같은 회전동작을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레버(32)와 구동레버(30)들은 핀에 의해 연결되어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동레버(30)가 정해진 궤적을 따라 정확하게 동작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천공레버(62)를 정확하게 구동시키도록 하기 위해 상기 구동레버(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도시되지 않음)를 둘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구동레버(30) 전체를 안내할 필요는 없고, 상기 구동레버(30)의 일부만 안내해도 된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추출부하우징(21)의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와 추출부(20)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결관(34)이 있다. 상기 연결관(34)은 Y자 관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결관(34)이 2개로 분지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2개의 캡슐장착부(50)로 각각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캡슐장착부(50)의 갯수에 따라 상기 연결관(34)에서 분지되는 수는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연결관(34)의 전부 또는 일부분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추출부(20)의 높이가 가변되는 경우에 필요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연결관(34)의 일부는 일부 구간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밸로우즈 형태의 구간이 연결관(34)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관(34)의 외면에는 단열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진 단열층(도시되지 않음)이 있을 수 있다.
캡슐유니트(36)는 상기 추출부하우징(21) 내외부로 입출가능한 것이다. 상기 캡슐유니트(36)는 그 내부에 다수개의 캡슐(1)을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캡슐유니트(36)는 내부에 캡슐(1)을 장착한 상태로, 상기 추출부하우징(21) 내에 장착되어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캡슐유니트(36)의 외관을 유니트하우징(38)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니트하우징(38)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내부에는 캡슐(1)의 장착과 물공급 및 물배출을 위한 구성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니트하우징(38)에는 캡슐입출구(40)가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캡슐입출구(40)는 다수개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캡슐입출구(40) 2개가 일방향인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캡슐입출구(40)에는 상기 유니트하우징(38) 내부와 외부 사이를 차폐하도록 개폐가능한 도어(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유니트하우징(38)의 내면이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폐동작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도어는 경첩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캡슐입출구(40)를 개폐하는 방식의 것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유니트하우징(38)의 내부에는 캡슐(1)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42,42')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공급관(42,42')은 제1공급관(42)과 제2공급관(42')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캡슐장착부(50)가 2개가 있어서, 공급관(42,42')이 2개가 있다. 하지만, 상기 캡슐장착부(50)의 갯수에 따라 상기 공급관(42,42')의 갯수는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공급관(42)에 상기 연결관(34)의 일측 분지가 연결되고, 상기 제2공급관(42')에 상기 연결관(34)의 타측 분지가 연결된다.
상기 제1공급관(42)은 상기 유니트하우징(38)의 하부를 통해 유니트하우징(38)의 내부 상부까지 연장되고 적어도 2회 이상 절곡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캡슐장착부(50)에 연결되어 상기 천공구(66)의 주입유로(72)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관(42')은 상기 유니트하우징(38)의 하부를 통해 유니트하우징(38)의 상대적으로 하부에 있는 캡슐장착부(5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유니트하우징(38)에는 제1배출관(44)과 제2배출관(4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배출관(44,44')도 상기 캡슐장착부(50)의 갯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44,44')을 통해서는 캡슐장착부(50)에서 추출된 음료가 유동되어 컵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유니트하우징(38) 내에는 제1배출관(44)과 제2배출관(44')이 배치되어, 캡슐(1)에서 추출된 음료를 상기 추출부(20) 하부에 있는 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관(44)과 제2배출관(44')의 출구는 상기 베이스(10)의 컵안착면(14)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관(44)과 제2배출관(44')의 출구는 상기 유니트하우징(38)과 추출부하우징(21)을 관통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배출관(44)과 제2배출관(44')의 출구가 반드시 상기 추출부하우징(21)을 관통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추출부하우징(21)에 별도의 호퍼와 관을 설치하여 상기 제1배출관(44)과 제2배출관(44')에서 나오는 음료를 컵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배출관(44)과 제2배출관(44')의 출구는 소정의 간격을 둘 수 있는데, 하나의 컵에 동시에 음료를 전달할 수 있는 간격으로 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컵의 입구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제1배출관(44)과 제2배출관(44')의 출구 사이의 간격이 이루어진다. 이는 하나의 컵으로 제1배출관(44)과 제2배출관(44')에서 나오는 음료를 동시에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상기 제1배출관(44)과 제2배출관(44')의 출구 사이의 간격은 컵의 벽체의 두께값의 2배 보다는 큰 값을 가져야 한다. 이는 제1배출관(44)과 제2배출관(44')에서 나오는 음료를 별도의 컵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배출관(44)과 제2배출관(44')의 끝부분이 위에서와 같은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배출관(44)이 다수회 절곡되어야 한다. 이는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배출관(44)은 상대적으로 하부에 있는 캡슐장착부(5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유니트하우징(38)의 내면을 향해 절곡되어 일정 거리 연장되고 다시 절곡되어 유니트하우징(38)의 내면을 따라 하부로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배출관(44)은 다시 상기 유니트하우징(38)의 중심쪽을 향해 절곡되고 다시 상기 제2배출관(44')과 나란히 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제1배출관(44)과 제2배출관(44')의 출구 부분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관(44)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제2배출관(44')의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제1배출관(44)을 통해 음료가 유동되면서 열방출이 일어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배출관(44)의 외면에는 단열재층(도시되지 않음)이 있을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연결관(34), 제1공급관(42), 제2공급관(42')의 외면에도 단열재층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공급관(42)에는 제1펌프(46)와 제1밸브(48)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공급관(42')에는 제2펌프(46')와 제2밸브(4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펌프(46)는 상기 제1공급관(42)으로 물이 유동하도록 가압하는 것이고, 상기 제1밸브(48)는 상기 제1공급관(42)을 통한 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제2펌프(46')는 상기 제2공급관(42')으로 물이 유동하도록 가압하는 것이고, 상기 제2밸브(48')는 상기 제2공급관(42')을 통한 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공급관(42)과 제2공급관(42') 모두를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펌프(46)를 구동하고 제1밸브(48)를 개방하며, 제2펌프(46')도 구동하고 제2밸브(48')도 개방한다. 만약, 제1공급관(42)을 통해서만 물이 공급되도록 하려면, 상기 제1펌프(46)를 구동하고 제1밸브(48)는 개방하고, 상기 제2펌프(46')는 구동하지 않고 제2밸브(48')는 폐쇄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캡슐유니트(36)가 추출부(20)에서 분리되고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캡슐유니트(36)에 있는 공급관(42,42')과 추출부(20) 쪽에 있는 연결관(34) 사이의 연결과 분리가 자주 일어나게 된다. 이 때, 연결관(34) 자체가 2부분으로 나눠져서 분리되고 연결되도록 하거나, 상기 연결관(34)과 상기 공급관(42,42') 사이가 분리되고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좋기로는 상기 연결관(34)에서 분지된 부분은 공급관(42,42')과 연결되어 있고, 연결관(34)에서 분지되지 않은 부분이 분리되고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캡슐유니트(36)의 착탈에 따라 연결되고 분리되어야 하는 부분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관(34)의 자체에서 서로 연결되고 분리되거나, 상기 연결관(34)과 공급관(42,42')이 연결되고 분리되거나 할 때, 이 들 연결되고 분리되는 양측중 적어도 어느 일측 이상에 시일을 두고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밀착되도록 하여서 누수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니트하우징(38)의 내부에는 캡슐장착부(50)가 일방향인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개의 캡슐장착부(50)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캡슐장착부(50)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캡슐장착부(50)가 2개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공급관과 배출관이 추가로 더 필요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공급관(42)과 제1배출관(44) 사이에 캡슐장착부(50)가 있고, 상기 제2공급관(42')과 제2배출관(44')사이에 또 하나의 캡슐장착부(50)가 있다. 참고로 이들 캡슐장착부(50)중에서 상기 제1공급관(42)과 제1배출관(44) 사이에 설치된 것을 제1캡슐장착부라고 하고, 제2공급관(42')과 제2배출관(44') 사이에 설치된 것을 제2캡슐장착부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캡슐장착부(50)에는 캡슐시트(52)가 있다. 상기 캡슐시트(52)에는 캡슐(1)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캡슐시트(52)의 일측에는 돌출단(53)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돌출단(5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캡슐커버(6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캡슐시트(5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구획단(5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구획단(54)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캡슐안착공간(56)이 있다. 상기 캡슐안착공간(56)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돌기(5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58)는 캡슐(1)의 일측을 관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돌기(58)의 사이에는 토출공(59)이 상기 캡슐시트(52)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공(59)을 통해서는 추출된 음료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돌기(58)와 토출공(59)은 다수개가 가로 세로로 열을 지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슐시트(52)의 저면에는 상기 토출공(59)을 통해 나온 음료가 모아지는 호퍼(6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호퍼(60)에는 상기 배출관(44,44')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호퍼(60)는 상기 배출관(44,44')으로 가면서 점차 유동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캡슐시트(52)의 캡슐안착공간(56)의 형상은 캡슐(1)의 종류에 따라 그 치수나 형상이 달리될 수 있다. 도 9에는 2가지 종류의 캡슐시트(52)가 개시되어 있다. 도 9의 (a)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캡슐(1)이 안착되는 캡슐시트(52)가 도시되어 있다. 도 9(b)에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캡슐(1)이 안착되는 캡슐시트(52)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캡슐시트(52)는 구획단(54)의 폭이 짧고 상대적으로 캡슐안착공간(56)의 면적이 넓게 되어 있다. 상기 캡슐시트(52)는 교체가능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슐시트(52)를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사용가능한 캡슐(1)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캡슐시트(52)의 상면과 마주보게 캡슐커버(60)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캡슐커버(60)는 상기 캡슐시트(52)의 돌출단(5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캡슐커버(60)의 저면에는 안착공간(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공간(60') 내에는 캡슐(1)의 대응되는 부분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공간(60')의 형상은 캡슐(1)의 대응되는 부분의 형상과 대응된다. 캡슐장착부(50)에 다른 캡슐(1)을 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캡슐커버(60)의 안착공간(60')의 형상이 다른 캡슐(1)의 대응되는 부분과 같게 되면 된다.
상기 캡슐커버(60)는 상기 캡슐시트(52)의 돌출단(53)에 설치될 수 있게 연결부(6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61)는 상기 캡슐커버(60)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61)에는 회전중심(61')이 있는데, 상기 회전중심(61')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회전중심(61')은 관통공으로 되고, 이 관통공과 상기 돌출단(53)에 회전가능하게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이 있을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회전중심(61')이 보스형상으로 돌출되고, 이 부분이 상기 돌출단(63)의 홈이나 통공에 위치되어 연결부(61)가 돌출단(53)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1)는 평상 시에는 상기 캡슐커버(60)가 상기 캡슐시트(52)로부터 멀어지려는 경향을 가지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중심(61')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회전중심(61')을 기준으로 상기 캡슐커버(60)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캡슐커버(60)에 가해지는 힘이 없어지는 경우에 상기 캡슐커버(60)가 도 4 등에 표시된 상태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캡슐커버(60)의 동작을 위해서 천공레버(6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천공레버(62)는 상기 캡슐커버(60)에서 상기 연결부(61)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천공레버(62)는 상기 구동레버(30)에 의해 눌러져서 상기 캡슐커버(60)가 캡슐(1)에 압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천공레버(62)는 상기 캡슐커버(60)에서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친공레버(62)의 형상이나 길이는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캡슐커버(60)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관통공(64)이 있다. 상기 관통공(64)은 상기 공급관(42,42')이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관통공(64)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천공구(6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천공구(66)는 캡슐(1)에 물을 주입할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천공구(66)는 캡슐(1)의 해당되는 부분을 관통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재질로 천공구(66)가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천공구(66)에는 몸체판(68)이 있다. 상기 몸체판(68)은 링형상의 판모양이다. 상기 몸체판(68)에는 유로관(70)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유로관(70)에는 상기 공급관(42,4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유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유로관(70)의 내부에는 주입유로(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관(70)의 끝부분에는 천공날(7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공날(74)은 전체적으로 타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천공날(74)의 형성을 위해 상기 유로관(70)의 끝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유로관(70)의 길이는 상기 몸체판(68)에서 시작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점차 길어졌다가 다시 타측에서 일측으로 가면서 점차 짧아진다.
상기 몸체판(68)에는 다수개의 고정편(7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편(76)은 상기 몸체판(68)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편(76)은 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76)은 캡슐(1)이 캡슐시트(52)에 장착되고, 상기 캡슐커버(60)가 캡슐(1)에 압착되었을 때, 캡슐(1)의 고정을 위해서 캡슐(1)의 대응되는 부분을 눌러주거나 파고들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76)의 선단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76)의 일측은 날카로운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76)은 캡슐(1)이 상기 캡슐시트(52)와 캡슐커버(60) 사이에 압착된 상태에서 추가로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10) 내에 있는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10) 내에는 제어부(8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음료장치의 동작을 위한 제어와 베이스(10)에 있는 디스플레이의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 내에는 물공급부(8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81)는 상기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할 때 사용되는 물을 공급한다. 상기 물공급부(81)에는 물탱크(8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물탱크(82)에는 음료추출에 필요한 물을 저장한다. 상기 물탱크(82)는 상기 베이스(10)에서 분리하여 물을 채울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음료장치를 고정식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물탱크(82)에 외부 물공급원을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물탱크(82) 없이 외부 물공급원으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물탱크(82)의 출구에는 센서(8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센서(84)는 상기 물탱크(72)에서 취출되는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84)를 통과해서 물이 유동되는 내부배관(83)에는 메인펌프(8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펌프(86)는 상기 물탱크(82)의 물을 유동시키는 원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81)에는 보일러(88)가 있다. 상기 보일러(88)는 상기 메인펌프(86)를 통과한 물에 열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보일러(88)는 내부에 히터가 있어서 전달된 물을 원하는 값으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88)에서 물을 가열하는 방식은 히터외에도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일러(88) 내부에 설치되어 물이 통과하는 관에 발열수단을 두어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88)에서 나가는 물의 온도는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일러(88)에는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있어서 상기 보일러(88)에서 가열되어 나가는 물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88)에서 배출되는 물은 연결관(34)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실시례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캡슐(1)을 바로 추출부(20)에 장착하지 않고, 상기 캡슐유니트(36)를 사용하여 추출부(20)에 장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캡슐유니트(36)의 유니트하우징(38) 내에 있는 캡슐장착부(50)에 캡슐(1)을 장착한다. 상기 유니트하우징(38)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캡슐장착부(50)에 상기 캡슐입출구(40)를 통해 캡슐(1)을 삽입한다.
상기 캡슐장착부(50)에 상기 캡슐(1)을 장착하는 것은 캡슐시트(52)의 캡슐안착공간(56)의 바닥에 캡슐(1)의 평평한 알루미늄캡 부분을 위치시키면 된다. 상기 캡슐안착공간(56)에 있는 돌기(58)들이 상기 알루미늄캡과 접촉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캡슐장착부(50)에 캡슐(1)을 장착하고 나면, 상기 캡슐유니트(36)를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출부(20)의 추출부하우징(21) 내부로 삽입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추출부커버(24)를 최대한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캡슐유니트(36)가 추출부커버(24)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캡슐유니트(36)가 상기 추출부하우징(21)의 내부에 장착되면, 상기 연결관(34)을 통해 물이 상기 제1공급관(42)과 제2공급관(42')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배출관(44)과 제2배출관(44')은 상기 추출부하우징(21)을 관통하여 컵을 향하거나 별도의 호퍼를 구비한 관의 호퍼를 향하도록 된다. 이 상태가 도 13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부커버(24)를 닫아 상기 유니트입출구(22)를 폐쇄한다. 이때, 상기 추출부커버(24)는 상기 추출부하우징(21)에 체결되어 임의로 개방되지 않게 된다. 상기 추출부커버(24)가 상기 유니트입출구(22)를 폐쇄하기 위해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누름바아(28)는 상기 구동레버(30)중에서 상대적으로 상부에 있는 것을 회전시킨다. 일측 구동레버(30)가 회전되면 나머지 구동레버(30)는 연결레버(32)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동일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레버(30)의 회전은 상기 구동레버(30)에 의해 상기 천공레버(62)가 상기 캡슐(1)을 압착시키도록 한다.
상기 천공레버(6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캡슐커버(60)가 상기 캡슐(1)을 압착시키게 되고, 상기 캡슐커버(60)에 있는 천공구(66)가 상기 캡슐(1)을 관통하여 통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캡슐(1)을 상기 캡슐커버(60)가 눌러주게 되면, 상기 고정편(76)이 상기 캡슐(1)을 눌러주거나, 캡슐(1) 내부로 파고들어 캡슐(1)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캡슐시트(52)와 캡슐커버(60) 사이에 캡슐(1)이 압착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편(68) 그리고 상기 유로관(70)에 의해 캡슐(1)이 캡슐장착부(5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4에는 상기 천공레버(62)의 동작에 따라 상기 캡슐커버(60)가 캡슐(1)의 상부에 있다가 하강하여 캡슐커버(60)의 안착공간(60')에 캡슐(1)의 대응되는 부분이 위치되면서 천공구(66)에 의해 캡슐(1)에 통공이 형성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캡슐(1)중에서 상기 캡슐시트(38)의 캡슐안착공간(42) 바닥에 안착된 부분인 알루미늄캡 부분은 상기 돌기(44)에 의해 눌러져서 찢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캡슐(1) 내부로 높은 압력으로 물이 주입되면 찢어져서 음료가 추출되어 상기 토출공(59)을 통해 호퍼(60)로 들어갈 수 있다.
도 13의 (c)에 도시된 상태는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된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작동버튼(12)을 조작하면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이 시작되어 물이 공급되면서 음료의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추출부(20)의 하부에 해당되는 상기 컵안착면(14)에는 2개의 컵이 위치될 수 있다. 이는 2개의 캡슐(1)에서 추출되는 음료를 별도로 각각의 컵에 받는 경우이다. 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캡슐(1)에서 추출되는 음료를 섞으려면 상기 컵안착면(14)의 중앙에 컵을 위치시켜 제1배출관(42)과 제2배출관(42')에서 나오는 음료를 동시에 받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상부에 있는 캡슐장착부(50)의 캡슐(1)에서 먼저 음료를 추출하고, 다음으로 상대적으로 하부에 있는 캡슐장착부(50)의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료추출에 대한 제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메인펌프(86)를 가동하여 상기 물탱크(82)의 물을 상기 보일러(88)로 공급한다. 상기 보일러(88)에서는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물온도가 소정의 값으로 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커피가 들어 있는 캡슐(1)인 경우에는, 캡슐(1) 내에서의 온도가 섭씨 80~90도 사이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일러(88)에서는 이에 맞추어 물을 가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보일러(88)에서 소정의 온도로 된 물은 상기 제1공급관(42) 및/또는 제2공급관(42')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펌프(46)와 제1밸브(48) 그리고 제2펌프(46')와 제2밸브(48')가 사용된다.
만약, 상기 제1공급관(42)과 제2공급관(42') 모두를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2개의 캡슐장착부(50)에서 동시에 음료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펌프(46)를 구동하고 제1밸브(48)를 개방하며, 제2펌프(46')도 구동하고 제2밸브(48')도 개방한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있는 캡슐장착부(50)에서만 음료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공급관(42)을 통해서만 물이 공급되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펌프(46)를 구동하고 제1밸브(48)는 개방하고, 상기 제2펌프(46')는 구동하지 않고 제2밸브(48')는 폐쇄한다.
반대로, 상대적으로 하부에 있는 캡슐장착부(50)에서만 음료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공급관(42')을 통해서만 물이 공급되도록 하면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펌프(46')를 구동하고 상기 제2밸브(48')는 개방하고, 상기 제1펌프(46)는 구동하지 않고 제1밸브(48)는 폐쇄한다.
이와 같이, 캡슐(1) 들에서 음료를 추출하는 다양한 방식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어부(80)의 제어를 통해 이루어진다.
음료의 추출이 완료되고 나면, 상기 추출부커버(24)를 개방한다. 상기 추출부커버(34)를 상기 커버힌지(26)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개방하고, 상기 유니트입출구(22)를 통해서 상기 캡슐유니트(36)를 빼낸다. 상기 추출부커버(34)를 개방하는 순간, 상기 구동레버(30)에 의해 눌러져 있던 상기 천공레버(62)가 회전되어 더 이상 상기 캡슐(1)을 상기 캡슐커버(60)가 누르지 않게 된다.
상기 캡슐유니트(36)를 상기 유니트입출구(22)를 통해서 빼낸 후에는 상기 유니트하우징(38) 내에서 상기 캡슐입출구(40)를 통해 캡슐(1)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캡슐(1)은 상기 캡슐커버(60)에 의해 더 이상 눌러지지 않는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상기 캡슐시트(52)의 캡슐안착공간(56)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의 캡슐(1)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캡슐유니트(36)에서 상기 캡슐(1)을 분리하고 나면, 상기 캡슐유니트(36)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 캡슐유니트(36)에 대한 청소가 끝나고 나면, 캡슐유니트(36)를 보관하거나, 추가의 사용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슐유니트(36)가 추출부하우징(21)에서 분리되어 있어, 상기 추출부하우징(21) 내부도 상대적으로 쉽게 청소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류의 캡슐시트(52)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더 다양한 종류의 캡슐시트(52)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캡슐안착공간(56)의 크기나 형상이 다양하게 되는 캡슐시트(52)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캡슐커버(60)도 함께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캡슐커버(60)의 안착공간(60')의 형상이 캡슐(1)의 대응되는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캡슐시트(52) 및/또는 캡슐커버(60)를 교체함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캡슐(1)로부터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캡슐유니트(36) 내에 캡슐장착부(50)가 상하방향으로 열을 지어 배치되어 있지만, 상기 캡슐장착부(50)는 다양한 방향으로 열을 지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캡슐장착부(50)는 일방향으로 열을 지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추출부하우징(21)이 도시된 도면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되고 나머지 구성은 이에 맞게 설계가 변경될 수 있다.
1: 캡슐 10: 베이스
12: 동작버튼 14: 컵안착면
16: 지지부 18: 지지레그
19: 추출부안착대 20: 추출부
21: 추출부하우징 22: 유니트입출구
24: 추출부커버 26: 커버힌지
28: 누름바아 30: 구동레버
32: 연결레버 34: 연결관
36: 캡슐유니트 38: 유니트하우징
40: 캡슐입출구 42: 제1공급관
42': 제2공급관 44: 제1배출관
44': 제2배출관 46: 제1펌프
46': 제2펌프 48: 제1밸브
48': 제2밸브 50: 캡슐장착부
52: 캡슐시트 53: 돌출단
54: 구획단 56: 캡슐안착공간
58: 돌기 59: 토출공
60: 캡슐커버 60': 안착공간
61: 연결부 61': 회전중심
62: 천공레버 64: 관통공
66: 천공구 68: 몸체판
70: 유로관 72: 주입유로
74: 천공날 76: 고정편
80: 제어부 81: 물공급부
82: 물탱크 83: 내부배관
84: 센서 86: 메인펌프
88: 보일러

Claims (20)

  1. 바닥에 안착되고 컵안착면을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에 위치되고 추출부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음료의 추출이 이루어지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의 공간 내에 착탈되고 내부에 캡슐이 장착되는 캡슐장착부가 일방향으로 열을 지어 다수개 배치되는 캡슐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유니트의 캡슐장착부에 캡슐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캡슐유니트를 상기 추출부에 장착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유니트는 일측으로 캡슐입출구가 형성되는 유니트하우징과, 상기 유니트하우징의 내부에 일방향으로 열을 지어 다수개가 배치되고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시트와 마주보게 소정 각도 회전가능한 캡슐커버를 가지는 캡슐장착부와, 상기 캡슐로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캡슐커버와 연결되는 공급관과, 상기 캡슐에서 추출된 음료를 컵으로 전달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에는 물의 유동을 위한 유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공급관을 통한 물의 공급과 차단을 위한 밸브가 구비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캡슐유니트의 입출을 위한 유니트입출구가 있고, 상기 유니트입출구는 추출구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장착부는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시트 상에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여 상기 캡슐시트에 안착된 캡슐을 눌러서 천공하고 고정하는 캡슐커버를 포함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커버에는 천공레버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추출구커버에 있는 누름바아에 의해 동작되는데, 상기 추출구커버가 닫히면서 상기 천공레버를 밀어서 상기 캡슐커버가 캡슐에 밀착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7. 바닥에 안착되고 컵안착면을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에 위치되고 추출부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의 공간 내에 착탈되고 외관을 구성하는 유니트하우징의 내부에 캡슐이 장착되는 캡슐장착부가 교체가능하게 일방향으로 열을 지어 다수개 배치되는 캡슐유니트를 포함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장착부는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안착공간을 가지는 캡슐시트와, 상기 캡슐시트와 마주보고 상기 캡슐시트에 안착된 캡슐에 밀착되게 소정 각도 회전가능한 캡슐커버와, 상기 캡슐커버를 관통하는 관통공 내에 위치되어 캡슐을 고정하고 천공하는 천공구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시트와 캡슐커버는 캡슐의 형상에 따라 교체가능한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커버는 상기 캡슐시트의 일측에 돌출된 돌출단에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커버에는 상기 캡슐시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반대쪽에서 연장되고 상기 추출부 내부의 공간을 개폐하는 추출부커버에 의해 구동되는 천공레버가 구비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시트는 상기 캡슐안착공간의 크기와 형상이 달리되고, 상기 캡슐커버는 상기 천공구가 있는 안착공간의 크기와 형상이 달리되어 다른 종류의 캡슐에 사용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12. 바닥에 안착되고 컵안착면을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에 위치되고 외관을 추출부하우징이 구성하며 상기 추출부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유니트입출구를 개폐하는 추출부커버를 구비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유니트입출구를 통해 입출되어 장착되고 외관을 구성하는 유니트하우징의 내부에는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시트와 상기 캡슐을 눌러주는 캡슐커버를 포함하는 캡슐장착부를 가지는 캡슐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유니트가 상기 추출부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추출부커버가 닫힘에 의해 상기 캡슐커버가 상기 캡슐을 눌러주어 캡슐을 고정함과 동시에 물공급이 가능하도록 천공을 수행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커버에는 누름바아가 설치되고, 상기 추출부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누름바아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캡슐커버를 밀어 캡슐커버가 캡슐에 밀착되게 하는 구동레버가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커버에는 누름바아가 설치되고, 상기 추출부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누름바아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캡슐커버를 밀어 캡슐커버가 캡슐에 밀착되게 하는 캡슐커버가 캡슐에 밀착되게 하는 구동레버가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레버는 각각의 상기 캡슐장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레버들은 연결레버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커버에는 상기 캡슐의 대응되는 부분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에는 캡슐에의 천공을 위한 천공구가 설치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구는 몸체판과, 상기 몸체판에서 연장되고 내부에 주입유로가 있는 유로관과, 상기 유로관의 선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천공날을 포함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판에는 다수개의 고정편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캡슐을 고정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캡슐시트에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가 있고, 상기 연결부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캡슐커버에는 상기 구동레버에 의해 동작되는 천공레버가 구비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시트에는 캡슐이 안착되는 캡슐안착공간이 구획단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기 구획단의 폭에 따라 안착되는 캡슐의 종류가 달리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1020220068470A 2022-06-03 2022-06-03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30168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470A KR20230168041A (ko) 2022-06-03 2022-06-03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470A KR20230168041A (ko) 2022-06-03 2022-06-03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041A true KR20230168041A (ko) 2023-12-12

Family

ID=8915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470A KR20230168041A (ko) 2022-06-03 2022-06-03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04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7390A (ko) 2011-04-15 2012-10-24 주식회사 다인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US20170325622A1 (en) 2014-12-01 2017-11-16 Cma Macchine Per Caffe' S.R.L. Device for perforating a capsule containing an infusion produ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7390A (ko) 2011-04-15 2012-10-24 주식회사 다인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US20170325622A1 (en) 2014-12-01 2017-11-16 Cma Macchine Per Caffe' S.R.L. Device for perforating a capsule containing an infusion produ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68461B (zh) 用于从料盒制备液体饮料的设备
JP4891078B2 (ja) 物質を入れたカプセルを使用して飲み物を準備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JP4658935B2 (ja) カプセルに収容された食物物質から飲料を作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4673381B2 (ja) 加圧流体の注入によってカプセルから飲料を調理するための装置
RU2610400C2 (ru) Варочный блок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BR112015002823B1 (pt) máquinas de preparação de bebidas
US20100258010A1 (en) Delivery head for espresso coffee machines
DK3079537T3 (en) Milk Skimming Device
TWI482606B (zh) 飲料機及使用飲料機調製原料的方法
EP2460449A1 (e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automatic cleaning system
DK3079536T3 (en) Milk foam apparatus,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nd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JP2013536717A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を有する人間工学的ハンドル
JP2015509802A (ja) 洗浄可能な淹出ヘッドを有する飲料調製マシン
KR20230168041A (ko)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30168042A (ko)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30168040A (ko) 캡슐유니트 및 이를 사용하는 음료장치
WO2006066622A1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KR20230168039A (ko)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40020576A (ko)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30168028A (ko)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30168029A (ko)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30168031A (ko)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30168030A (ko)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20114369A (ko) 캡슐음료추출장치용 보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추출장치
KR20220114367A (ko)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