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029A -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 Google Patents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029A
KR20230168029A KR1020220068442A KR20220068442A KR20230168029A KR 20230168029 A KR20230168029 A KR 20230168029A KR 1020220068442 A KR1020220068442 A KR 1020220068442A KR 20220068442 A KR20220068442 A KR 20220068442A KR 20230168029 A KR20230168029 A KR 20230168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beverage
cover
extraction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석
이준범
곽명훈
류형곤
유그라미
오민규
황인수
여준희
황성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8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029A/ko
Priority to PCT/KR2023/007624 priority patent/WO2023234745A1/ko
Publication of KR20230168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02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Im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5Cartridge perforating means for creating the hot water in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이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베이스(10)상에 추출부(30)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추출부(30)의 위치 이동을 위해 레그구동유닛(28)이 있고,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의 구동에 의해 추출부(30)의 높이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추출부(30) 내에는 다수개의 캡슐안착공간(540)이 있고, 이에 놓여진 캡슐(1)들에 대해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음료추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추출부(30)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설치된 커버(34)가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을 개폐하는 동작에 의해 캡슐(1)에 천공구(52)에 의해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본 발명은 캡슐에 들어 있는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를 내부에 밀봉 포장한 캡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캡슐은 음료의 원료를 내부에 밀봉 상태로 보관하고 있는데, 사용자는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캡슐 내부로 물을 통과시켜 음료를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의 대표적인 것으로 커피머신이 있다. 최근에는 커피 뿐 아니라 다양한 음료 및 음료재료를 캡슐에 제공하여 음료를 만들어 음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캡슐을 사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중 하나가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17541호인 선행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1에서는 하나의 캡슐만을 사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므로, 다양한 음료의 추출이 어려운 문제가 있고, 추출된 음료가 배출되는 부분이 고정되어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컵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40026호인 선행문헌2에는 캡슐에 통공을 형성하여 물을 주입하기 위한 구성이 매우 복잡하게 되어 있고,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해서 캡슐에 통공을 천공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119263호인 선행문헌3에는 복수개의 캡슐을 장착하여 음료를 추출하지만, 복수개의 캡슐에서 동시에 음료를 추출할 수는 없고, 여기서도 추출된 음료가 배출되는 부분이 고정되어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컵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24447호인 선행문헌4에는 커피추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여기서는 커피를 추출하는 기능에만 집중되어 있어서, 캡슐을 장착한 후에 커피가 배출될 때까지 사용자가 아무런 정보없이 기다려야 하고, 컵과 배출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260504호인 선행문헌5에도 캡슐을 사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도 음료를 추출하는 기능에만 집중되어 있고, 컵과 배출구 사이의 거리조절이나 사용자에 대한 정보제공 등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00496호인 선행문헌6에는 캡슐을 사용하는 커피머신이 개시되어 있는데, 본체의 외부에 물통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커피머신의 외관이 상대적으로 미려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물통 내부의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위에 제시된 선행문헌들에서는 추출된 음료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컵 사이의 거리 조절을 할 수 없을 뿐아니라 배출구의 토출방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없어서 음료 추출을 다양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00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17541호 (선행문헌 002)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40026호 (선행문헌 003)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119263호 (선행문헌 004) 한국 등록특허 제10-0924447호 (선행문헌 005) 한국 등록특허 제10-1260504호 (선행문헌 006)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0049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부가 베이스에 대해서 위치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되는 컵의 높이에 따라 추출된 음료가 배출되는 높이를 달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부가 베이스 추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레그구동유닛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레그구동유닛의 길이가 가변됨에 의해 지지링크와 연결링크 사이의 연결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부를 지지하는 베이스에 무게중심을 두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 내부에 물공급부를 두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의 표면에 디스플레이를 두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부에 캡슐을 다수개 장착하여 캡슐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부 내에 캡슐을 장착하고 커버를 닫음에 의해 캡슐에 물을 주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의 개폐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부에 광원을 두어 동작상태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부의 위치 조절을 위한 레그구동유닛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레그구동유닛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레그구동유닛 주변의 공간활용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의 높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에서 외부로의 열전달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가 최소화된 베이스 내부에 물통을 설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통으로의 물공급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통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동작명령을 입력하면 음료장치가 자동으로 동작하여 캡슐을 이용한 음료의 추출이 가능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부가 수평인지를 확인하고 수평이 아니면 수평이 되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장치가 동작되면 추출부가 상승하여 하부에 컵이 놓일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캡슐이 안착되고 복수개의 캡슐 중 선택된 캡슐에 따른 추출 레시피에 따라 음료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부의 기울기 방향 및 각도를 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가 추출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로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안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지지레그가 베이스 상에 추출부를 지지하는데, 상기 지지레그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어서 추출부의 베이스 상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레그에 의해 베이스에 대한 추출부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어서 컵의 높이에 따라 추출된 음료가 배출되는 높이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레그는 길이가 가변되는 레그구동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레그구동유닛에 의해 추출부가 베이스 상에 지지되어 레그구동유닛의 길이가 가변됨에 의해 추출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레그에 지지링크와 연결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링크와 연결링크 사이의 연결각도가 상기 레그구동유닛에 의해 달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에 물공급부가 위치될 수 있어서 전체 장치의 무게중심이 베이스에 있을 수 있다. 특히 물통이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위치됨에 의해 베이스가 보다 안정적으로 바닥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를 둘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베이스상판에 있는 강화유리 하면에 설치된 터치디스플레이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부에 복수개의 캡슐을 장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캡슐안착공간을 둘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캡슐을 물을 별도로 공급하도록 밸브와 펌프를 둘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캡슐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부의 캡슐안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에 캡슐을 눌러주는 캡이 위치되고, 상기 캡에 캡슐에 통공을 형성하는 천공구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커버가 닫히는 동작에 의해 캡슐에 통공이 형성되어 물을 주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의 개폐동작을 위해 추출부의 프레임에 설치된 이동안내대의 랙기어에 상기 커버에 설치된 이동구의 구동기어가 연동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커버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에는 이동가이드가 있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이동가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고정가이드가 있어서 커버의 이동이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에는 광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다수개가 설치되어 음료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발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레그구동유닛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를 추출부에 장착하기 위해 다수개의 조각인 프레임몸체가 결합된 연결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레그구동유닛을 추출부에 고정되는 연결프레임에 설치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쉽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레그구동유닛의 구동원은 브라켓에 의해 고정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레그구동유닛에서 구동원을 분리하고 설치하는 작업이 간소하게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레그구동유닛을 구성하는 구동원은 이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이나 리드스크류가 관통되는 고정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이 추출부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고정프레임을 회전축이나 리드스크류와 같은 위치에 있게 되어 구동원 주변 공간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를 판형상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베이스가 판형상으로 됨에 의해 전체 장치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배관이나 연결관을 단열층이 있는 이중관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물공급부에서의 물공급을 위해 원심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판형상으로 된 베이스 내에 판형상으로 된 물통이 베이스의 측면으로 입출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물통의 상면을 구성하는 커버판에 물통 내부의 저장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통입구를 둘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판은 물통몸체에서 분리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다수개의 레그구동유닛이 추출부를 베이스에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레그구동유닛의 길이를 일정하게 가변시켜 추출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수개의 레그구동유닛의 길이를 다르게 가변시켜서 추출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캡슐이 안착되고 캡슐에 물을 공급하여 해당 캡슐에 대응하는 음료가 추출되는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는 프레임의 하부에 하우징이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는 복수개의 지지레그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지지레그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추출부를 구성하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레그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이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는 제1구동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캡슐이 안착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개폐하도록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커버가 상승하면 상기 상면을 개방되고 상기 커버가 하강하면 상기 상면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이동구에 의해 승강될 수 있고 상기 이동구는 제2구동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음료장치에 동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지지레그 및 상기 커버에 연결된 이동구가 구동되어 상기 하우징 및 커버가 상승된다. 이후에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캡슐의 안착이 감지되면 상기 이동구가 구동되어 상기 커버가 하강된다. 상기 커버가 하강된 후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컵이 인식되면 상기 지지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하우징이 상기 컵과의 설정거리까지 하강된다. 상기 하우징이 하강되면 상기 캡슐에 물을 공급하여 음료가 상기 컵으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음료의 추출이 완료되면 상기 지지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하우징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동작명령의 입력을 보면, 상기 커버의 일면에 설치된 터치센서가 터치되거나 또는 음성인식부에서 동작명령에 대한 음성이 인식되면 상기 동작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동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하우징은 설정된 최대높이까지 상승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컵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하강 후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컵이 인식되면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설치된 거리센서에서 상기 컵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되는 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지지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하우징이 하강된다. 상기 측정되는 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되면 상기 지지레그의 구동이 정지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강이 완료된다.
여기서, 만약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보다 크면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하우징은 하강되고, 반대로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보다 작으면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하우징은 상승한다.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캡슐의 안착이 감지되어 상기 커버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캡슐의 안착을 감지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커버가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캡슐을 수동으로 안착하는 경우 상기 커버의 하강시 손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설정시간은 1~3초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추출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추출부에 설치된 기울기센서에서 상기 추출부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기울기를 기초로 상기 지지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가 수평이 되도록 한다. 상기 추출부의 기울기 방향 및 기울기 각도에 따라 상기 지지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가 수평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지지레그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추출부의 기울기 방향 및 기울기 각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추출부의 하면이 향하는 방향이 설정된 패턴을 그리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부의 기울기를 조정하여 상기 추출부의 하면이 향하는 방향이 나선형 또는 원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닥에 안착되고 물공급부가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되고 내부에 구비된 캡슐시트에 있는 다수개의 캡슐안착공간에 캡슐이 장착되어 음료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추출부와, 상기 베이스 상에 상기 추출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레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물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연결관을 통해 전달받아 상기 캡슐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에는 상기 각각의 캡슐안착공간의 캡슐로 물이 공급되도록 분지관이 있을 수 있고, 상기 분지관에는 밸브와 펌프가 설치되어 각각의 캡슐로의 물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에는 제1분지관과 제2분지관이 있을 수 있고, 상기 제1분지관에는 제1밸브와 제2펌프가 있을 수 있고, 상기 제2분지관에는 제2밸브와 제2펌프가 구비될 수 잇어 상기 제1분지관에 연결되어 일측 캡슐로 물을 공급하는 제1공급관과 제2분지관에 연결되어 타측 캡슐로 물을 공급하는 제2공급관으로 물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캡슐시트의 캡슐안착공간 하부에는 추출된 음료를 모으는 호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호퍼는 상기 추출부 외부로 음료를 배출하는 배출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추출부의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캡슐안착공간을 개방하고 폐쇄하도록 개폐동작하는 커버에는 상기 캡슐안착공간에 있는 캡슐을 눌러주는 캡이 구비되는 고정판이 고정되어 상기 커버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캡에는 상기 캡슐에 통공을 형성하는 천공구가 설치되어 상기 커버가 닫히는 동작에서 상기 천공구가 상기 캡슐에 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추출부의 하부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어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에는 터치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어 상기 커버의 개폐동작 신호를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닥에 안착되고 물공급부가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구비된 캡슐시트에 있는 다수개의 캡슐안착공간에 캡슐이 장착되어 음료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추출부와, 상기 베이스 상에 상기 추출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레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추출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고 상기 캡슐안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는 랙기어가 형성된 이동안내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이동안내대를 따라 상기 커버와 체결된 이동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구에는 상기 랙기어와 연동되는 구동기어가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랙기어는 상기 이동안내대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랙기어에 상기 구동기어가 맞물려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캡슐시트에는 고정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고정가이드에 안내되는 이동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어 상기 커버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이동안내대는 상기 고정가이드와 이동가이드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 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는 상기 커버에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이동가이드와 일체로 고정판이 있을 수 있고, 상기 고정판에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캡연결관이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캡연결관에는 상기 캡슐시트의 캡슐안착공간에 안착된 캡슐을 눌러주는 캡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에는 상기 캡슐에 통공을 형성하는 천공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에서 상기 추출부로 물을 공급하는 연결관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결관에는 각각의 캡슐안착공간의 캡슐로 물이 공급되도록 분지관이 있을 수 있고, 이 상기 분지관에는 밸브와 펌프가 설치될 수 있어 각각의 캡슐로의 물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닥에 안착되고 물공급부가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되고 프레임에 설치된 캡슐시트에 있는 다수개의 캡슐안착공간에 캡슐이 장착되어 음료를 추출하고 상기 캡슐안착공간을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된 커버가 개폐하는 추출부와, 상기 베이스 상에 상기 추출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레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물공급에서 공급되는 물을 연결관을 통해 전달받아 상기 캡슐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에는 상기 캡슐안착공간의 캡슐로 물이 공급되도록 분지관이 있을 수 있고, 상기 분지관에는 밸브와 펌프가 설치되어 각각의 캡슐로의 물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캡슐안착공간 하부에는 추출된 음료를 모으는 호퍼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호퍼에는 상기 추출부 외부로 음료를 배출하는 배출관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는 랙기어가 형성된 이동안내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이동안내대를 따라 상기 커버와 체결된 이동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구에는 상기 랙기어와 연동되는 구동기어가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장치는 추출부의 위치를 지지레그를 제어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를 베이스 상에 지지하는 지지레그의 동작에 의해 상기 추출부가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대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컵의 높이를 감지하여 추출부의 베이스에 대한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서 추출된 음료가 컵으로 배출되는 위치를 컵에 따라 달리하여 컵 내부로 음료가 보다 정확하게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부를 베이스에 대해 길이가 가변되는 레그구동유닛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레그구동유닛은 길이가 가변되는 특성을 가져서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추출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레그구동유닛을 사용하고 이들 레그구동유닛의 길이를 달리 조절함에 의해 추출부의 기울기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레그구동유닛에 지지링크와 연결링크를 서로 상대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레그구동유닛의 길이가변에 따라 상기 지지링크와 연결링크의 연결각도를 달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추출부의 위치에 따라 지지링크와 연결링크의 연결상태가 달라지면서 음료장치의 외관이 보다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어 사용자의 감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에 물공급부와 제어부 등의 구성을 두었다. 특히, 베이스의 내부에 물공급부를 구성하는 물통, 메인펌프, 보일러 등을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음료장치의 무게중심이 베이스 또는 베이스에 인접한 위치에 있도록 하여 음료장치의 설치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의 상면에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을 가지므로, 상면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게 확보될 수 있고, 이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므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를 둘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많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를 터치입력이 가능한 것으로 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음료장치를 조작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부에 캡슐안착공간을 복수개 둘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슐안착공간에 안착된 캡슐들로 각각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밸브와 펌프를 사용하는데, 이에 의해 복수개의 캡슐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음료를 다양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음료를 다수 잔 동시에 만들거나, 동일한 음료의 양을 늘여서 만들거나, 다른 종류의 음료를 동시에 만들거나, 다른 종류의 음료를 섞은 혼합음료를 만들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음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부의 프레임에 대해 커버가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커버에는 천공구를 가진 캡이 있어서, 캡슐안착공간에 있는 캡슐을 커버가 닫히는 동작에서 눌러 천공구로 통공을 캡슐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캡슐에 통공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힘을 제공하지 않아도 되고, 커버가 닫히는 동작을 이용하여 캡슐에 통공을 형성할 수 있어서 별도로 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를 채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체적으로 음료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부에 캡슐을 장착하고 사용된 캡슐을 빼내기 위해서 커버가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에는 펌프와 밸브 등 물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과 캡슐을 눌러주는 캡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커버의 개폐동작을 안내하기 위해 고정가이드와 이동가이드를 두어서 서로 안내되도록 하고, 랙기어를 따라 구동기어가 연동되어 이동하면서 커버가 개폐동작을 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커버의 개폐동작이 일정한 궤적을 따라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커버 내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을 두고 있다. 상기 광원에서는 음료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추출부의 동작 시에 광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는 광을 통해 사용자가 동작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추출부를 베이스에 지지하면서 추출부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레그구동유닛을 추출부에 연결하기 위해 다수개의 프레임몸체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연결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프레임몸체와 레그구동유닛을 차례로 조립하고 분해함에 의해 레그구동유닛의 설치와 분해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레그구동유닛에서 구동원을 고정프레임에 브라켓으로 고정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레그구동유닛을 분해,조립하는 과정에서 구동원을 고정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분해하고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으로 레그구동유닛의 유지보수가 보다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부를 다수개의 레그구동유닛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데, 이 레그구동유닛에서 사용되는 구동원의 고정을 위한 구성인 고정프레임이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리드스크류가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원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성을 둘러 있어서, 구동원의 고정에 사용되는 구조가 구동원 주변공간을 최소로 차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레그구동유닛이 설치되는 추출부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를 판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를 판형상으로 구성함에 의해 베이스의 높이가 최소화되면서 베이스 상에 위치되는 지지레그와 추출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물공급부에 사용되는 내부배관이나 물공급부에서 추출부로 물을 공급하는 연결관을 내부관체와 외부관체의 사이에 단열층이 있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내부배관이나 연결관의 외부로 열이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음료의 온도를 최적화할 수 있고, 열에 의해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펌프로서 원심펌프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베이스의 물공급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판형상으로 된 베이스 내에 역시 판형상으로 된 물통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물통이 베이스 내에 위치되면서 베이스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베이스의 설계자유도가 높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판형상으로 된 물통을 베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물통입출구를 통해 입출시키고,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판에 물통 내부의 저장공간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통입구가 있다. 따라서, 물통의 저장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용이한 이점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물통몸체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내부의 저장공간으로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저장공간의 청소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레그구동유닛으로 베이스에 추출부가 지지되도록 하는데, 다수개의 레그구동유닛의 길이를 일정하게 가변시키면 상기 추출부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어, 컵의 높이에 따라 추출부의 높이를 달리하여 보다 정확하게 컵으로 음료가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다수개의 레그구동유닛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하면 상기 추출부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부의 기울기를 조절함에 의해, 예를 들어 커피추출시에 라떼 아트기능을 수행하거나 추출부 기울기에 의해 추출부 회전효과를 주어 다양한 음료 추출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터치 또는 음성인식으로 음료장치의 동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동작명령이 입력되면 음료장치가 자동으로 동작되어 음료의 추출까지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간단한 동작에 의해 음료장치에서 음료가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음료가 추출되는 추출부에 기울기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기울기센서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기초로 상기 추출부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음료장치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음료를 안전하게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지지레그를 별개로 구동시켜 상기 추출부의 기울기 방향 및 기울기 각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음료를 임의의 방향으로 추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음료에 데코레이션을 추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에서 레그구동유닛에 의해 추출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지지레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지지레그의 구성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레그구동유닛의 길이가 가장 짧은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레그구동유닛의 길이가 가장 긴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연결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레그구동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레그구동유닛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레그구동유닛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레그구동유닛에서 외측부재를 제거하고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레그구동유닛의 조립과 분해를 위한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연결프레임에 연결링크와 레그구동유닛이 동심으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보인 단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추출부의 커버를 제거하고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추출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추출부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추출부에서 고정판에 설치되는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 실시례의 추출부에서 사용되는 고정판과 캡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 실시례의 추출부를 구성하는 캡과 천공구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 실시례의 추출부에서 사용되는 천공구의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 실시례의 추출부에서 사용되는 캡슐시트를 보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커버를 개폐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커버가 개방되고, 캡슐시트에 캡슐이 안착된 후에 커버가 닫히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2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캡슐시트의 캡슐안착공간에 캡슐이 설치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2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을 보이기 위해 베이스상판을 제거하고 보인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을 베이스상판을 제거하고 보인 평면도.
도 2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물통입출구를 통해 물통이 돌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물통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물통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1은 도 29의 31-31'선 단면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내부배관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를 구성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와 연결된 구성들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35는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에서 추출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에서 추출부의 수평을 맞추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7은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에서 추출부의 기울기에 따른 음료의 배출위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8은 일례로 3개의 지지레그의 배치 및 구동에 따른 상기 추출부의 기울기 방향을 도식화한 도면.
도 39는 상기 3개의 지지레그의 구동에 의해 상기 추출부가 기울어지는 방향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도 40은 도 39에 도시된 단계별 기울기 방향과 기울기 정도를 나타낸 표.
도 41은 상기 단계별 추출부의 하면이 향하는 방향의 궤적을 도시한 도면.
도 42는 도 41의 일례로 상기 궤적이 나선형인 일례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를 도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10)는 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베이스(10)가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다. 하지만, 상기 베이스(10)는 납작한 형태라면 원판형상, 다각판형상 등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베이스몸체(12)와 베이스상판(1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몸체(12)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물공급부(82)와 제어부(80)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상판(14)은 베이스몸체(12) 내부의 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상판(14)에는 디스플레이(16)가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추출부(30) 하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1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트(16)는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을 구성하는 강화유리 내면에 OCA필름으로 터치디스플레이모듈이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강화유리는 베이스상판(14)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강화유리가 실질적으로 베이스상판(14)이 되면서 베이스(1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는 상기 베이스상판(14)의 전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일부분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16)는 상기 베이스상판(14)의 전체에 설치되고 부분적으로 출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16)는 터치 조작을 통해 화면을 터치함으로서 상기 음료장치의 설정 및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16)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이 조작부로 기능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는 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는 사용자에게 여러가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음료의 추출동작을 디스플레이(16)를 통한 터치입력에 의해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에서 추출부(30)의 동작을 위한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의 베이스상판(14) 일측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 장착영역(17)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착영역(17)의 돌기 자체나 돌기 사이에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장식물을 끼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서는 전원선(18)과 연결관(19)이 연장되어 나올 수 있다. 상기 전원선(18)은 상기 베이스(10) 내에 있는 제어부(80)에서 추출부(30) 내에 있는 구성을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관(19)은 상기 베이스(10) 내에 있는 물공급부(82)에서 추출부(3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원선(18)과 연결관(19)은 아래에서 설명될 추출부(30) 및 커버(34)의 이동을 보장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원선(18)와 연결관(19)이 베이스(10)에서 나와서 추출부(30)의 외면 일측을 통해 추출부(30)의 내부로 들어간다. 다르게는, 상기 전원선(18)과 연결관(19)은 추출부(30)의 하부를 통해 추출부(3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즉, 상기 전원선(18)과 연결관(19)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상기 지지레그(20)를 따라 전원선(18) 및/또는 연결관(19)이 연장되어 추출부(30) 내부로 들어갈 수도 있다. 이때 지지레그(20)를 통과하는 전원선(18) 및/또는 연결관(19)의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9)을 통과하는 물의 온도유지를 위해 상기 연결관(19)을 둘러 단열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9)은 베이스(10)와 추출부(3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는 것을 흡수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와 연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열층은 상기 연결관(19)의 연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층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상판(14) 상에는 지지레그(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20)는 추출부(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20)는 추출부(30)의 움직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20)는 추출부(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20)는 추출부(30)의 설치상태, 예를 들면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에는 상기 지지레그(20)에 의해 추출부(30)의 높이가 달리 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a)에는 추출부(30)가 베이스(10)에 인접하여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의 (b)에는 추출부(30)가 베이스(10)에서 상대적으로 떨어져 있는, 다시 말하면 상대적으로 상승된 위치에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지지레그(20)가 3개가 사용된다. 3개의 상기 지지레그(20)는 추출부(30)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서로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20)의 개수는 추출부(30)의 크기와 추출부(30)의 동작형태 등에 따라서 달리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레그(20)에는 지지링크(22)와 연결링크(2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20)는 상기 베이스(10) 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링크(24)를 통해 추출부(30)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링크(22)와 연결링크(24)는 링크핀(221)(도 7 참고)을 통해 서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링크(24)는 일측이 상기 지지링크(22)와 연결되고 타측은 추출부(30) 측에 연결되는데, 추출부(30) 내부에 있는 연결프레임(26)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26)은 전체적으로 대략 링형상으로 된다. 상기 연결프레임(26)은 다수개로 나누어진 프레임몸체(260)가 서로 결합되어 링형상으로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프레임몸체(260) 조각이 결합되어 링형상의 연결프레임(26)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프레임(2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프레임(31)에의 고정을 위한 고정보스(261)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보스(261)는 다수개가 상기 연결프레임(26)에 구비되어 전체 링형상의 연결프레임(26)을 프레임(31)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26)에는 레그연결부(263)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레그연결부(263)에는 각각 지지레그(20)가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레그연결부(263)에 상기 연결링크(24)와 아래에서 설명될 레그구동유닛(28)이 동시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레그연결부(263)는 링형상으로 되는 연결프레임(26)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이다.
상기 레그연결부(263)의 내부 양측에 각각 제1회전중심핀(265)이 서로 마주보게 돌출된다. 상기 제1회전중심핀(265)은 상기 연결링크(24)와 레그구동유닛(28)의 회전중심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중심핀(265)과 동심으로 제2회전중심핀(267)이 있을 수 있다.(도 8 및 도 14 참고) 상기 제2회전중심핀(267)은 아래에서 설명될 레그구동유닛(28)의 회전중심이 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몸체(260)는 상기 레그연결부(263)의 일측 끝부분에서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제1회전중심핀(265)이 각각 서로 분리된 프레임몸체(260)에 있고, 이들 프레임몸체(260)가 결합됨에 의해 제1회전중심핀(265)이 서로 마주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몸체(260)를 상기 지지레그(20)의 갯수만큼으로 분리하여 형성하게 되면, 전체 장치 조립 시에 상기 프레임몸체(260)와 지지레그(20)를 차례로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몸체(260) 하나를 프레임(31)에 설치하고, 상기 지지레그(20)와 레그구동유닛(28)을 조립하고, 다음으로 프레임몸체(260)를 조립한다. 그리고 마지막 하나의 프레임몸체(260)와 남은 2개의 지지레그(20)와 레그구동유닛(28)을 동시에 조립하면, 연결프레임(26)과 지지레그(20) 및 레그구동유닛(28)의 조립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26)의 일측에는 기울기센서(269)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울기센서(269)는 상기 연결프레임(26)의 기울기, 다시 말해 상기 추출부(30)의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지지링크(22)에서 상기 연결링크(24)와 연결된 반대쪽에는 상기 베이스(10) 상에 지지되는 조인트(27)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조인트(27)에 의해 상기 지지링크(22)가 상기 베이스(10)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27)는 일종의 유니버셜조인트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조인트(27)에는 소켓베이스(270)가 있다. 상기 소켓베이스(270)는 상기 베이스상판(14)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소켓베이스(270) 상에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소켓(272)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소켓(272) 내부의 공간에는 볼(274)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볼(274)의 직경은 상기 소켓(272)에 형성된 공간의 입구 폭보다 큰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볼(274)은 상기 소켓(272) 내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볼(275)과 일체로 연결바아(276)가 있다. 상기 연결바아(276)는 상기 지지링크(22)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소켓(272)의 입구 형상에 의해 상기 연결바아(276)의 회동궤적이 정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소켓(272)의 입구가 일방향으로 긴 슬롯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슬롯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연결바아(276)가 왕복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지지링크(22)는 상기 조인트(27)에 의해 상기 베이스(10)에 대해 직립되거나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동작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소켓(272)의 입구 형상을 달리함에 의해 상기 지지링크(22)는 보다 다양하게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20)를 구성하는 지지링크(22)와 연결링크(24)가 연결된 각도를 조절하는 것은 레그구동유닛(2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은 일측이 상기 지지링크(22)에 링크핀(222)(도 7 참고)에 의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링크(24) 및 연결프레임(26)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은 상기 지지링크(22)에 연결된 쪽과 상기 연결링크(24)에 연결된 쪽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의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지지링크(22)와 연결링크(24) 사이의 연결각도가 달라진다. 이와 같이 지지링크(22)와 연결링크(24) 사이의 연결각도가 달라짐에 의해 상기 연결프레임(26)의 위치가 이동되고, 상기 연결프레임(26)은 추출부(30)의 프레임(31)에 연결되어 있어, 추출부(30)의 위치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지지레그(20)가 3개가 있는데, 이들 지지레그(20)의 레그구동유닛(28)의 길이가 동일하게 길어지고 짧아지면, 각각의 지지링크(22)와 연결링크(24)의 연결각도가 동일하게 변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연결프레임(26)은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승강될 수 있다.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의 구성을 도 9에서 도 13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레그구동유닛(28)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지지링크(22)와 연결링크(24) 사이의 연결 각도를 변경시키면서 연결프레임(26)의 이동을 만들어 낸다.
따라서,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은 양단의 상대 위치가 달라져서, 길이가 가변되는 구성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의 다른 예로서 실린더 내에 있는 피스톤이 이동함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실린더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구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 사이의 연동에 의해 랙기어의 직선운동을 이용하는 구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구동원(280)이 있다. 상기 제1구동원(280)은 지지레그(20)의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원(280)에는 외부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축(280')이 있다. 상기 회전축(280')은 상기 제1구동원(280)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280')에는 리드스크류(281)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81)는 상기 회전축(28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원(280)은 브라켓(28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82)은 상기 제1구동원(280)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축(280')은 상기 브라켓(282)을 관통한다. 상기 브라켓(282)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83)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83)은 상기 브라켓(282)과 별개이고 조립 시에 서로 결합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83)을 상기 회전축(280')이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프레임(283)과 브라켓(282)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결프레임(26)에 설치됨에 의해, 상기 제1구동원(280)을 상기 연결프레임(26)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283)은 상기 제1구동원(280)의 장착을 위한 구조인데, 상기 제1구동원(280)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스크류(281) 쪽에 위치된다. 즉, 제1구동원(280)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스크류(281)가 고정프레임(283)과 브라켓(282)을 관통하여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구동원(280)을 장착하기 위한 구성과 제1구동원(280)에 의해 동작되는 구성이 같은 공간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원(280)을 중심으로 상기 공간 반대쪽의 공간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81)는 상기 회전축(28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81)를 둘러싸도록 내측부재(285)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내측부재(285)는 원통형상으로 되고, 내부에 상기 리드스크류(281)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81)의 외경은 상기 내측부재(285)의 내경과 같거나 약간 작을 수 있다. 상기 내측부재(285)의 일측에는 연결링(28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링(286)은 상기 지지링크(22)의 일측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링(286)이 상기 지지링크(22)에 있는 조인트(27)의 연결바아(276)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측부재(285)를 둘러싸도록 외측부재(287)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내측부재(285)와 외측부재(287)는 서로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상대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부재(285)를 기준으로 하면, 상기 외측부재(287)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전체 레그구동유닛(28)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상기 내측부재(275)에 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281)와 연동되는 연동블럭(288)이 있다. 상기 연동블럭(288)의 내면에는 상기 리드스크류(281)의 나사부와 연동되는 나사부가 있다. 상기 연동블럭(288)은 상기 내측부재(285)와 결합되어 있어 회전되거나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동블럭(288)에는 연결키이(288')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내측부재(285)에는 연결키이홈(285')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키이(288')와 상기 연결키이홈(285')은 서로 반대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동블럭(288)에 연결키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키이가 상기 내측부재(285)에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리드스크류(281)가 상기 제1구동원(280)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리드스크류(261)가 상기 연동블럭(288)에 대해 회전하고, 상기 연동블럭(288)이 상기 내측부재(285)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리드스크류(261)가 상기 연동블럭(288)에 대해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61)의 이동은 상기 리드스크류(261)가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280')을 통해 제1구동원(280)의 이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원(280)의 이동은 상기 브라켓(282), 고정프레임(283)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283)에 연결되어 있는 외측부재(287)의 이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원(280)과 고정프레임(283) 등의 이동은 상기 연결프레임(26)의 이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20)에 지지되어 추출부(3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추출부(30) 내에서는 캡슐(1)에 물을 주입하여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30)의 외관과 골격을 프레임(31), 하우징(32), 커버(34)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1)은 원형상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3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1)의 하부에는 하우징(32)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의 내부에는 추출된 음료가 전달되는 구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프레임(31)에서 상기 하우징(32)의 반대쪽에는 커버(34)가 있다. 상기 커버(34)는 상기 프레임(31)에 대해서 승강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하우징(32)과 커버(34)가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하우징(32)과 커버(34)의 형상은 다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 및 제2 배출관(57,57')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은 상기 프레임(31)에 장착된 상태이고, 상기 프레임(31)에 고정된 연결프레임(26)이 상기 지지레그(20)에 의해 지지됨에 의해 실질적으로 상기 하우징(32)은 지지레그(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커버(34)는 그 내부에 있는 부품들과 함께 상기 프레임(31)에 안착되고, 제2구동원(78)의 구동에 의해 프레임(31)에서 분리되어 소정 거리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34)는 상기 프레임(31)에 대해서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커버(34)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아래에서 설명될 캡슐시트(54)가 노출되면서 캡슐(1)을 캡슐안착공간(540)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34)는 상하로 관통된 통형상의 커버측벽(340)과 상기 커버측벽(340)의 상부를 형성하는 커버상판(3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측벽(340)과 커버상판(342)은 일체이다. 하지만, 상기 커버측벽(340)과 커버상판(342)은 별도로 만들어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측벽(340)의 일측에는 윈도우(34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윈도우(344)는 투명한 재질로 되어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34)의 내부, 보다 정확하게는 내부 천정에는 커버보스(34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커버보스(346)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판(36)을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상판(342)에는 터치센서(34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348)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터치센서(348)는 상기 커버상판(342) 외에도 다양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348)는 사용자가 상기 커버(34)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입력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34)의 내부에는 고정판(3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36)은 상기 커버(34)의 커버측벽(340)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고정판(36)은 원판형상이다. 상기 고정판(36)에는 상기 커버보스(346)와 결합되는 고정보스(36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보스(360)는 상기 커버보스(346)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갯수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판(36)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이동가이드(3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38)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가이드(58)에 대해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38)는 고정가이드(58)의 내부에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38)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상기 커버(34)의 승강동작을 위한 구성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36) 상에는 상기 연결관(19)에서 분지된 제1분지관(191)과 제2분지관(192)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분지관(191)에 연결되어서는 제1밸브(41)와 제1펌프(43)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분지관(192)에 연결되어서는 제2밸브(41')와 제2펌프(4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41)와 제1펌프(43), 제2밸브(41')와 제2펌프(43')는 상기 고정판(36)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펌프(43)에 제1공급관(45)이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공급관(4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캡연결관(48)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펌프(43')에는 제2공급관(45')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관(4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캡연결관(48')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밸브(41)는 제1분지관(191)에서 상기 제1공급관(45)으로의 물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분지관(32)에 연결된 제2밸브(41')는 제2분지관(192)에서 상기 제2공급관(45')으로의 물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펌프(43)와 제2펌프(43')는 제1공급관(45)과 제2공급관(45')으로의 물유동을 위한 원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공급관(45)과 제2공급관(45') 모두를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펌프(43)를 구동하고 제1밸브(41)를 개방하며, 제2펌프(43')도 구동하고 제2밸브(41')도 개방한다. 만약, 제1공급관(45)을 통해서만 물이 공급되도록 하려면, 상기 제1펌프(43)를 구동하고 제1밸브(41)는 개방하고, 상기 제2펌프(43')는 구동하지 않고 제2밸브(41')는 폐쇄한다.
상기 고정판(36)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광원(4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47)은 음료의 추출과정을 빛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47)은 상기 캡슐(1)에서 음료가 추출되는 과정동안 발광할 수 있다. 상기 광원(47)은 LED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판(36)에서 하부로 연장되게 제1캡연결관(48)과 제2캡연결관(48')이 있다. 상기 제1캡연결관(48)과 제2캡연결관(48')의 내부에는 연결유로(49)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49)를 통해서는 상기 공급관(45,45')을 통해 전달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캡연결관(48)과 제2캡연결관(48')의 끝부분에는 각각 캡(5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캡(50)은 상기 제1캡연결관(48)이나 제2캡연결관(48')과 별개로 만들어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50)은 캡슐(1)을 눌러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캡(50)의 형상은 상기 캡슐(1)의 종류에 따라 달리될 수 있다.
상기 캡(50)에는 천공구(5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천공구(52)는 상기 연결유로(49)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천공구(52)는 도 2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유로(49)의 출구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천공구(52)의 구조는 도 21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천공구(52)는 캡슐(1)에 물을 주입할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천공구(52)는 캡슐(1)의 해당되는 부분을 관통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재질로 천공구(52)가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천공구(52)에는 몸체판(520)이 있다. 상기 몸체판(520)은 링형상의 판모양이다. 상기 몸체판(520)에는 유로관(522)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유로관(522)에는 상기 공급관(45,45')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유로관(522)의 내부에는 주입유로(5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관(522)의 끝부분에는 천공날(5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공날(524)은 전체적으로 타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천공날(524)의 형성을 위해 상기 유로관(522)의 끝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유로관(522)의 길이는 상기 몸체판(520)에서 시작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점차 길어졌다가 다시 타측에서 일측으로 가면서 점차 짧아진다.
상기 몸체판(520)에는 다수개의 고정편(52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편(526)은 상기 몸체판(520)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편(528)은 캡슐(1)이 캡슐안착공간(540)에 장착되고 상기 캡(50)이 상기 캡슐(1)을 눌러줄 때, 캡슐(1)의 고정을 위해서 캡슐(1)의 대응되는 부분을 눌러주거나 파고들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528)의 선단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528)의 일측은 날카로운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528)은 캡슐(1)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2에는 캡슐시트(54)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캡슐시트(54)는 상기 프레임(3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캡슐시트(54)에는 다수개의 캡슐안착공간(540)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개의 캡슐안착공간(5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돌기(542)가 열을 지어 있다. 상기 돌기(542)에 인접하여서는 추출된 음료로 통과하는 토출공(5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공(543)도 다수개가 열을 지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에 상기 캡슐(1)이 안착된 것을 캡슐감지부(59)가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캡슐감지부(59)는 상기 고정가이드(5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캡슐감지부(59)는 예컨대 초음파센서, 레이저센서, 카메라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캡슐(1)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듈이나 장치라면 적용가능할 것이다. 상기 캡슐감지부(59)의 감지동작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아래에서 설명될 안내판(546)은 투명한 재질로 될 수 있다.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의 일측을 둘러서는 설치슬롯(54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슬롯(545)은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의 바닥을 통해 캡슐시트(54)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슬롯(545)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설치슬롯(545)에는 안내판(546)(도 15 참고)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판(546)은 캡슐(1)을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안내판(546)의 반대쪽에는 가드(54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드(547)는 상기 캡슐안착공간(540)들의 앞쪽 부분을 둘러서 있다. 상기 가드(547)는 상기 캡슐(1)이 설치되는 영역을 다른 영역과 구획하고, 외력이 캡슐(1)에 임의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가드(547)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1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캡슐시트(54)의 하부에는 호퍼(5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호퍼(56)는 상기 토출공(543)을 통과한 음료를 모으는 것이다. 상기 호퍼(56)는 각각의 캡슐안착공간(540)에 해당되는 위치마다 있을 수 있다. 상기 호퍼(56)에는 배출관(57,57')이 있다. 제1배출관(57)은 상기 제1공급관(45)을 통해 공급된 물에 의해 추출된 음료가 유동되는 곳이고, 제2배출관(57')은 상기 제2공급관(45')을 통해 공급된 물에 의해 추출된 음료가 유동되는 곳이다.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을 통과한 음료는 컵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의 끝부분에는 차폐판(57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은 상기 차폐판(570)을 관통한다. 상기 차폐판(570)은 상기 하우징(32)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폐하는 부분이다. 참고로, 상기 차폐판(570)없이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이 직접 상기 하우징(32)을 관통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32)에 상기 차폐판(570)에 의해 차폐되어야 할 관통부가 없다.
상기 차폐판(570)을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이 관통하여 이들의 출구가 외부로 노출되게 하거나,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이 상기 차폐판(570)을 관통하지 않고 이들의 출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고, 상기 차폐판(570)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추출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차폐판(570)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차폐판(570)이 설치되는 하우징(32)의 개구부 가장자리에는 도 1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거리센서(57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572)는 상기 추출부(30) 하부에 위치되는 컵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은 상기 하우징(32)의 하부를 관통하여 컵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의 출구는 소정의 간격을 둘 수 있다.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의 출구 사이의 간격은 하나의 컵에 동시에 음료를 전달할 수 있는 간격으로 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컵의 입구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의 출구 사이의 간격이 설정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컵으로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에서 나오는 음료를 동시에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의 출구 사이의 간격은 컵의 벽체의 두께값의 2배 보다는 더 큰 값을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에서 나오는 음료를 별도의 컵으로 받을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슐시트(54)에는 고정가이드(58)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58)는 상기 캡슐시트(54)의 표면에 직립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58)를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가이드(58) 내부의 공간에는 상기 이동가이드(38)가 이동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1)이나 상기 캡슐시트(54)의 고정가이드(58) 내에는 이동안내대(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안내대(60)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구(7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이동안내대(60)의 구성은 도 2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안내대(60)는 상기 프레임(31)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가이드(58) 내부에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안내대(60)의 일측면을 따라서는 랙기어(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랙기어(62)는 상기 이동안내대(60)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다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랙기어(62)가 상기 이동안내대(60)를 따라 2줄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안내대(60)의 하부에는 고정편(6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64)은 상기 프레임(31)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편(64)에는 결합공(6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64')에는 상기 프레임(21)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가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이동안내대(60)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관(19)이나 전원선(18)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배관간섭회피부(66)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관간섭회피부(66)를 둠에 의해 상기 분지관(191,192)과 연결관(19)의 폭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안내대(60)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구(7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이동구(70)는 상기 커버(34)와 결합되어 있어 상기 이동구(7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커버(34)와 그 내부의 부품들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구(70)가 상기 이동안내대(60)를 따라 상기 프레임(31)에 대해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프레임(31)에 대해 상기 이동구(70)가 상기 이동안내대(60)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이동구(70)의 골격을 이동구몸체(72)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구몸체(72)에는 관통부(74)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부(74)에는 상기 이동안내대(60)가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이동구몸체(72)는 상기 고정판(36)의 이동가이드(38) 일측과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구몸체(72)에는 상기 이동가이드(38) 측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7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이동구몸체(72)가 상기 이동가이드(38)와 체결되는 것은 반드시 체결공(76)을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이동구몸체(72)와 상기 이동가이드(38)가 접촉되는 부분 어디에서라도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구몸체(72)에는 구동원안착부(7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원안착부(77)에는 상기 이동구(7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원(7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원(78)으로는 기어드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원(78)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구동기어(79)가 상기 이동구몸체(72) 양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79)는 상기 제2구동원(7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랙기어(62)와 연동된다. 상기 랙기어(62)가 형성된 이동안내대(60)가 상기 프레임(3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랙기어(62)와 맞물려 회전되는 상기 구동기어(79)는 상기 랙기어(62)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79)가 상기 랙기어(62)를 따라 승강됨에 의해 상기 커버(34)가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6에서 도 32를 참고하여, 상기 베이스(10) 내에 있는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10) 내에는 제어부(8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음료장치의 동작을 위한 제어와 베이스(10)에 있는 디스플레이(16)의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각종 소자가 실장되고 회로가 구성된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 내에는 물공급부(8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82)는 상기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할 때 사용되는 물을 공급한다. 상기 물공급부(82)에는 물통(8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물통(84)에는 음료추출에 필요한 물을 저장한다. 상기 물통(84)은 상기 베이스(10)에서 분리하여 물을 채울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음료장치를 고정식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물통(84)에 외부 물공급원을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물통(84) 없이 외부 물공급원으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물통(84)은 상기 제어부(80)와 구획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몸체(12) 내에 구획벽(12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구획벽(120)에 의해 상기 물통(84)이 설치되는 영역이 주변과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의 일측면에는 물통입출구(12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물통입출구(126)를 통해서 상기 물통(84)이 베이스(10)의 내외부로 서랍식으로 입출될 수 있다.
상기 물통(84)의 골격을 물통몸체(840)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물통몸체(840)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로 될 수 있다. 상기 물통몸체(840)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840')이 있다. 상기 물통몸체(840)의 상면을 커버판(841)이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판(841)이 형성하는 상면은 납작한 육면체 모양에서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외면이다. 상기 커버판(841)은 상기 물통몸체(840)의 개방된 입구를 차폐하여 상기 저장공간(840')을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커버판(841)없이 상기 물통몸체(840) 내부의 저장공간(840')이 외부와 차폐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커버판(841)을 둠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840')에 대한 청소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판(841)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물통몸체(840)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시일(도시되지 않음)이 위치되어, 상기 커버판(841)의 가장자리와 상기 물통몸체(840)의 대응되는 위치를 통한 누수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물통몸체(840)의 일측 외면에는 물통도어(842)가 있다. 상기 물통도어(842)는 상기 물통입출구(126)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물통도어(842)는 상기 물통몸체(840)의 일측 외면보다 그 면적과 크기가 더 넓고 크게 만들어져, 상기 물통입출구(126)를 차폐한다.
상기 물통몸체(840)에는 물통입구(84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물통입구(844)는 상기 커버판(841)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물통입구(844)를 개방함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840')으로 물을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84)을 일부 베이스(10)의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물통입구(844)를 통해 저장공간(840')에 물을 주입할 수 있다.
상기 물통몸체(840)의 일측에는 배출연결구(84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배출연결구(846)는 상기 물통도어(842)의 반대쪽 외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배출연결구(84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내부배관(86)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통(84)의 저장공간(840') 바닥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배출연결구(846)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공간(840')의 바닥이 배출연결구(846)를 향해 하향 경사지면, 저장된 물이 상기 배출연결구(846)를 향해 잘 유동될 수 있고, 저장공간(840')의 바닥에 남는 물이 없이 될 수 있다.
상기 물통몸체(840)의 뒷부분에는 결합바(84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결합바(848)의 자유단부에는 결합볼(849)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결합볼(849)은 상기 결합바(848)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볼형상이다. 상기 결합볼(849)은 푸시푸시 타입(Push-Push type) 잠금/배출기구(85)와 연동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볼(849)이 상기 잠금/배출기구(85)의 내부로 삽입되어 내부의 구조를 밀어주면 상기 결합볼(849)이 상기 잠금/배출기구(85)에 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다시 상기 결합볼(849)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물통(84)을 밀어주면 상기 푸시푸시 타입 잠금/배출기구(85)가 상기 결합볼(849)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결합볼(849)을 반대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물통(84)이 상기 베이스(10)의 내부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상기 푸시푸시 타입 잠금/배출기구(65)의 구체적인 구조는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물통(84)의 배출연결구(846)에는 내부배관(86)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내부배관(86)을 통해서는 상기 베이스(10) 내에서 상기 물통(84) 내의 물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내부배관(86)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관체(860)의 내부에는 물이 유동되는 유로(861)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관체(860)의 외면을 둘러서는 단열층(862)이 형성된다. 상기 단열층(862)에 의해 상기 유로(861)를 흐르는 물은 외부로의 열전달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단열층(862)을 둘러서는 외부관체(864)가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내부배관(86)은 내부관체(860)와 외부관체(864)로 된 이중관이고, 상기 내부관체(860)와 외부관체(864)의 사이에 단열층(862)이 있어서, 물의 열을 외부로 빼앗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배관(86)에 사용자가 접촉하더라도 열에 의해 위험을 입지 않도록 된다. 참고로, 상기 연결관(19)도 상기 내부배관(86)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물통(84)의 출구에 해당되는 내부배관(86)에는 센서(8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센서(88)는 상기 물통(84)에서 취출되는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88)를 통과해서 물이 유동되는 내부배관(86)에는 메인펌프(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펌프(90)는 상기 물통(84)의 물을 유동시키는 원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펌프(90)는 소형의 원심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82)에는 보일러(92)가 있다. 상기 보일러(92)는 상기 메인펌프(90)를 통과한 물에 열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보일러(92)는 내부에 씨스히터나 카트리지히터와 같은 히터가 있어서 전달된 물을 원하는 값으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92)에서 물을 가열하는 방식은 히터 외에도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일러 내부에 설치되어 물이 통과하는 관에 발열수단을 두어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92)에서 나가는 물의 온도는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일러(92)에는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있어서 상기 보일러(92)에서 가열되어 나가는 물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92)에서 배출되는 물은 연결관(19)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의 일측면에는 외부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포트(94)와 상기 전원포트(94)로 들어온 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스위치(9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원포트(94)와 전원스위치(96)는 상기 베이스(10)의 뒷부분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9)의 연결을 위해 상기 베이스(10)에는 관연결구(124)가 있다. 상기 관연결구(124)에는 상기 연결관(19)이 연결되어 상기 물공급부(82)에서 전달되는 물을 상기 추출부(3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관연결구(124)에 인접하여 전원선연결구(122)가 있다. 상기 전원선연결구(122)에는 상기 전원선(18)이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실시례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10) 상에 설치된 지지레그(20)에 의해 추출부(30)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추출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에 대해서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도 3의 (a)에는 상기 추출부(30)가 상기 베이스(10)에 상대적으로 가까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의 (b)에는 상기 추출부(30)가 상기 베이스(10)에 대해 상대적으로 멀리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추출부(30)의 위치가 조정되는 것은 기본적으로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의 길이가 달라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지지레그(22)와 연결레그(24) 사이의 연결각도가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면서, 추출부(30)의 위치 조정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의 길이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어지면, 상기 지지링크(22)와 연결링크(24)가 거의 직각을 이루고, 상기 연결링크(24)에 연결된 연결프레임(26)의 위치가 높아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의 길이가 도 7에 비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되면 상기 지지링크(22)와 연결링크(24)는 예각을 이루게 되고, 상기 연결링크(24)에 연결된 연결프레임(26)의 위치가 낮아지게 된다.
상기 추출부(30)의 높이를 전체적으로 높이고 낮추는 것은 상기 레그구동유닛(28)들이 동일하게 길이가 조절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레그구동유닛(28)들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조절되면, 상기 연결프레임(26)의 베이스(10)에 대한 각도가 달리되면서, 상기 추출부(30)가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 질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지지링크(22)와 연결링크(24) 없이,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이 상기 조인트(26)와 연결프레임(26) 사이를 연결한 상태로 구성될 수 도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의 길이가 가변되면, 상기 연결프레임(26)의 위치, 즉 추출부(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인트(26)는 상기 베이스(10)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회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에서 캡슐(1)에 있는 음료가 추출되는 것을 설명한다. 음료 추출을 위한 캡슐(1)을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캡슐시트((54)의 캡슐안착공간(540)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커버(34)가 상기 프레임(31)에 대해 상승하면 된다.
상기 커버(34)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구동원(78)이 구동되어야 한다. 상기 제2구동원(78)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79)가 회전하고, 상기 구동기어(79)가 상기 랙기어(62)와 연동된다. 상기 구동기어(79)는 상기 랙기어(62)를 따라 이동안내대(60)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구동기어(79)에 의해 상기 이동구(70)가 함께 상기 이동안내대(60)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이동구(70)는 상기 커버(34)에 고정된 고정판(36)의 이동가이드(38)에 결합되어 있어서, 결과적으로 상기 커버(34)가 상승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커버(34)가 상승된 상태가 도 24의 (a)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버(34)가 상기 프레임(31)에 대해 상승하여 상기 캡슐시트(54)의 캡슐안착공간(540)이 노출된다. 도 25의 (a)에는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이 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에 캡슐(1)을 안착시킨 상태가 도 24의 (b)와 도 25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캡슐안착공간(540) 모두에 상기 캡슐(1)을 안착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2개의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하는 경우에는 캡슐안착공간(540) 모두에 캡슐(1)을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34)를 위에서와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2구동원(78)을 반대로 구동하면 상기 구동기어(79)와 랙기어(62)의 연동에 의해 상기 이동구(70)가 이동안내대(60)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커버(34)도 상기 프레임(31)을 향해 이동한다.
상기 커버(34)가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판(36)도 함께 이동하고, 상기 고정판(36)에 구비된 상기 캡(50)도 함께 하강한다. 도 24의 (c)에는 상기 커버(34)가 상기 프레임(31)에 안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캡(50)도 하강하여 상기 캡슐(1)을 눌러주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천공구(52)에 의해 상기 캡슐(50)에 통공이 형성된다. 도 24의 (c)의 상태는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캡슐(1)의 알루미늄캡이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의 바닥에 있는 돌기(542)에 밀착되어 있고, 물의 주입에 의한 강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알루미늄캡이 찢어져서 음료가 토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물공급부(82)에서 상기 연결관(19)을 통해 물을 공급한다. 상기 캡슐(1)로의 물공급은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물공급을 위해, 상기 메인펌프(90)를 가동하여 상기 물통(84)의 물을 상기 보일러(92)로 공급한다. 상기 보일러(92)에서는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물온도가 소정의 값으로 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커피가 들어 있는 캡슐(1)인 경우에는, 캡슐(1) 내에서의 온도가 섭씨 80~90도 사이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일러(92)에서는 이에 맞추어 물을 가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보일러(92)에서 소정의 온도로 된 물은 상기 연결관(19)의 제1분지관(191)과 제2분지관(192)을 통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분지관(191)과 제2분지관(192)을 통한 물공급은 상기 제1밸브(41)와 제1펌프(43) 그리고 제2밸브(41')와 제2펌프(43')가 사용된다.
만약, 상기 제1공급관(45)과 제2공급관(45') 모두를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2개의 캡슐(1)에서 동시에 음료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펌프(43)를 구동하고 제1밸브(41)를 개방하며, 제2펌프(43')도 구동하고 제2밸브(41')도 개방한다.
일측 캡슐(1)에서만 음료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상기 제1공급관(45)을 통해서만 물이 공급되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펌프(43)를 구동하고 제1밸브(41)는 개방하고, 상기 제2펌프(43')는 구동하지 않고 제2밸브(41')는 폐쇄한다.
반대로, 타측 캡슐(1)에서만 음료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공급관(45')을 통해서만 물이 공급되도록 하면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펌프(43')를 구동하고 상기 제2밸브(41')는 개방하고, 상기 제1펌프(43)는 구동하지 않고 제1밸브(41)는 폐쇄한다. 이와 같이, 캡슐(1) 들에서 음료를 추출하는 다양한 방식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어부(80)의 제어를 통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캡슐(1)에서 추출된 음료는 상기 호퍼(56)를 통과해서 상기 배출관(57,57')을 통해 컵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료 추출의 시작 전에 미리 컵을 상기 베이스(10)상에 위치시킨다. 2개의 캡슐(1)에서 음료를 추출하는 경우에는 2개의 컵이 위치될 수 있다. 이는 2개의 캡슐(1)에서 추출되는 음료를 별도로 각각의 컵에 받는 경우이다.
만약, 2개의 캡슐(1)에서 추출되는 음료를 섞으려면 상기 배출관(57,57')에서 나오는 음료를 동시에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컵을 두면 된다. 이때에는 컵의 입구 직경이 상기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의 출구 사이의 거리보다는 큰 것이어야 한다. 물론, 제1배출관(57)과 제2배출관(57')에서 나오는 음료를 별도의 컵에 받아서 섞어도 상관없다.
음료의 추출이 완료되고 나면, 상기 커버(34)를 개방한다. 즉, 도 24에 도시된 순서와 역순으로 진행하여, 상기 커버(34)를 개방하고, 상기 캡슐(1)을 캡슐시트(54)에서 빼낸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 실시례에 의한 음료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를 구성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와 연결된 구성들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5는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에서 추출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에서 추출부의 수평을 맞추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음료장치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을 이루는 베이스상판(14)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상판(14)에는 디스플레이(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음료장치의 동작에 대한 설정과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16)는 상기 음료장치의 동작단계에 대한 화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음료장치는 캡슐(1)에 물을 주입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부(30)와 상기 추출부(30)를 지지하며 상기 추출부(30)를 승강시키는 복수개의 지지레그(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30)는 프레임(31)을 기준으로 하부에 하우징(32)이 위치되고 상부에 커버(34)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의 상면에는 캡슐(1)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34)는 상하의 승강에 의해 상기 하우징(332)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의 상면에는 캡슐안착공간(540)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캡슐(1)은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에 안착될 수 있다.
캡슐감지부(59)는 상기 캡슐(1)이 상기 캡슐안착공간(540)에 안착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캡슐감지부(59)는 예컨대 초음파센서, 레이저센서, 카메라, 스캐너 등이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 캡슐(1)에 기재된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 분석을 통해 캡슐과 관련된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캡슐의 브랜드, 캡슐의 종류(차, 커피 등), 캡슐의 맛 등의 정보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캡슐 관련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16)에 화면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예컨대, 캡슐의 종류나 맛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애니메이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캡슐이 안착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6)에 각 캡슐별로 다른 색상이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레그(20)는 상기 하우징(32)을 지지하면서 상기 하우징(32)을 승강시킬 수 있다. 제1구동원(280)은 상기 지지레그(20)를 구동시켜 상기 하우징(32)이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구(70)는 상기 커버(34)를 승강시킬 수 있다. 제2구동원(78)은 상기 이동구(70)를 구동시켜 상기 커버(34)가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음료장치는 제어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1구동원(280)과 제2구동원(78)을 각각 제어하여 상기 지지레그(20) 및 이동구(7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34)의 일면에 설치된 터치센서(348)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348)는 상기 커버(34)의 상부면, 즉 커버상판(342)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터치센서(348)는 상기 커버(34)의 정면이나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터치센서(348)에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음료장치의 동작명령으로 인식하여 음료의 추출을 위한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30)의 내부에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3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음성인식부(350)에서 사용자로부터 동작명령에 대응하는 음성이 인식되면 상기 음료장치에서 음료의 추출을 위한 동작을 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추출부(30)의 내부에 설치된 기울기센서(269)는 상기 추출부(30)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울기센서(269)는 상기 하우징(3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32)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기울기센서(269)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기초로 상기 추출부(30)의 수평 여부를 판단하고 수평이 아닌 경우에 상기 제1구동원(280)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레그(20)가 구동되도록 하여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30)의 하면에 설치된 거리센서(572)는 상기 추출부(30)의 하부에 위치한 용기, 예컨대 컵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센서(572)는 상기 하우징(32)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거리센서(572)에서 측정된 컵까지의 측정거리를 기초로 상기 제2구동원(78)을 제어하여 상기 이동구(70)가 구동되도록 하여 상기 추출부(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부(30)에서 상기 컵까지의 거리가 설정거리가 되도록 상기 추출부(3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부(30)에서 상기 컵까지의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보다 크면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추출부(30)가 하강되도록 하고, 반대로 상기 설정거리보다 작으면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추출부(30)가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30)는 상기 설정거리에 도달하면 승강이 정지된다.
도 34를 참조하면, 상기 음료장치는 전원이 인가되면(S101), 예열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S102). 예열동작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16)에 예열중임을 알리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예열동작이 완료되면(S103) 상기 디스플레이(16)에는 예열완료임을 알리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예열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센서(348)를 터치하거나 또는 상기 음성인식부(350)에서 음성인식을 통해 상기 음료장치의 동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음료장치에서 음료의 추출과정이 시작될 수 있다.
상기 동작명령이 입력되면(S104), 상기 지지레그(20)와 이동구(70)를 구동시켜 상기 하우징(32)과 상기 커버(34)가 상승된다(S105).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32)은 설정된 최대높이까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커버(34)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캡슐(1)이 상기 하우징(32)의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캡슐감지부(59)에서 상기 캡슐(1)의 안착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캡슐감지부(59)에서 상기 캡슐(1)의 안착이 감지되면(S106), 상기 커버(34)가 하강될 수 있다(S107).
이때, 상기 캡슐감지부(59)에서 상기 캡슐(1)이 감지되면 상기 커버(34)가 바로 하강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설정시간이 경과 후 상기 커버(34)가 하강할 수도 있다. 상기 설정시간은 타이머(98)에 의해 카운트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1~3초가 바람직하다. 이로써 사용자가 캡슐(1)을 안착시킨 후 상기 커버(34)가 즉시 하강하여 사용자의 손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34)가 하강하는 도중에 일정량 이상의 저항이 발생하면 상기 커버(34)의 하강이 정지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34)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추출부(30)의 하부에 컵이 놓여지면 상기 추출부(30)의 하부에 설치된 거리센서(572)에서 하부에 놓인 상기 컵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572)에서 상기 컵이 감지되면(S108), 상기 컵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S109). 그리고, 상기 컵까지의 측정거리가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하우징(32)이 승강될 수 있다(S110). 본 실시례에서 상기 설정거리는 1~3㎝가 될 수 있다. 상기 추출부(30)를 상기 컵에 가깝게 접근한 후 음료를 추출하게 함으로써 음료 추출과정에서 음료가 컵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이 상기 설정거리에 도달하면 상기 캡슐(1)로 물을 공급하여 음료가 상기 컵으로 추출될 수 있다(S111). 상기 음료의 추출이 완료되면 상기 하우징(32)은 상승할 수 있다(S112).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컵을 빼낼 때 상기 하우징(32)과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상기 S111 단계에서, 다른 실시례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16)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료를 추출할 캡슐(1)이 선택될 수 있고, 상기 선택된 캡슐(1)에 물이 공급되어 해당 음료가 추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캡슐안착공간(540)이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캡슐(1)을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캡슐(1)이 안착되면 사용자는 추출할 음료에 대응하는 캡슐(1)을 선택하여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례에서 음료를 추출할 캡슐(1)이 선택되면 상기 캡슐(1)에 대응하는 추출 레시피대로 음료의 추출이 진행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캡슐이 감지되어 상기 커버(34)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거리센서(572)에서 상기 하우징(32)의 하부에 상기 컵을 감지하면(S201), 상기 거리센서(572)에서 상기 컵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S202).
상기 컵까지의 측정거리가 설정거리이면(S203), 상기 하우징(32)을 현재 높이로 유지한다(S204). 그러나,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아니라면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하우징(32)은 승강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보다 크면(S205), 상기 하우징(32)은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하강된다(S206). 반대로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보다 작으면(S207), 상기 하우징(32)은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될 때까지 상승된다(S208).
상기 S206 단계 및 상기 S208 단계에서 상기 측정거리가 상기 설정거리가 되면 다시 상기 S202 단계로 진행하여 이후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음료장치의 추출부(30)는 수평을 이루도록 동작될 수도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상기 추출부(30)의 내부에 설치된 기울기센서(269)에서 상기 추출부(30)의 기울기를 측정한다(S301).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측정된 기울기를 기초로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인지를 판단한다(S302). 상기 기울기센서(269)에서 측정되는 기울기는 기울어진 방향과 각도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면 상기 추출부(30)를 현재 수평상태로 유지하고(S303), 수평이 아니면 복수의 지지레그(2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켜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지지레그(20) 중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는 지지레그를 구동시켜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음료장치가 3개의 지지레그(30)를 갖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3개의 지지레그(20)의 중앙지점에서 상기 3개의 지지레그(20)의 방향을 각각 Z1,Z2,Z3라고 한다.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아닌 경우 Z1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지를 판단하여 Z1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면(S304), 3개의 지지레그(20) 중 Z1 방향의 지지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도록 한다(S305). 이때, 다른 실시례에서는 3개의 지지레그(20) 중 Z1 방향의 지지레그는 감속하여 구동되고 나머지 Z2 방향 및 Z3 방향의 지지레그는 가속하여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Z1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지 않다면 Z2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지를 판단하여 Z2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면(S306), 3개의 지지레그(20) 중 Z2 방향의 지지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도록 한다(S307). 이때, 다른 실시례에서는 3개의 지지레그(20) 중 Z2 방향의 지지레그는 감속하여 구동되고 나머지 Z1 방향 및 Z3 방향의 지지레그는 가속하여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Z2 방향으로도 기울어져 있지 않다면 Z3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지를 판단하여 Z3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면(S308), 3개의 지지레그(20) 중 Z3 방향의 지지레그가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도록 한다(S309). 이때, 다른 실시례에서는 3개의 지지레그(20) 중 Z3 방향의 지지레그는 감속하여 구동되고 나머지 Z1 방향 및 Z2 방향의 지지레그는 가속하여 구동되어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음료장치는 복수개의 지지레그(20)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상기 추출부(30)의 기울기를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지지레그(30)를 각각 구동하여 상기 추출부(30)가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지지레그(30)를 구성하는 레그구동유닛(28)의 가변 길이를 조정한다면 상기 추출부(30)의 기울기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30)의 기울기가 조정되면 상기 추출부(30)의 하면이 향하는 방향이 조정되는 것이다.
도 37은 본 발명 실시례의 음료장치에서 추출부의 기울기에 따른 음료의 배출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7의 (a)에는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어 상기 추출부(30)의 하면이 직하방을 향하는 상태가 도시된다. 도 37의 (b)에는 상기 추출부(30)가 좌측으로 기울어져 상기 추출부(30)의 하면이 좌측방향으로 향하는 상태가 도시된다. 도 37의 (c)에는 상기 추출부(30)가 우측방향으로 기울여져 상기 추출부(30)의 하면이 우측방향으로 향하는 상태가 도시된다.
도 38은 일례로 3개의 지지레그(20)의 배치 및 구동에 따른 상기 추출부(30)의 기울기 방향을 도식화한 도면이고, 도 39는 상기 3개의 지지레그(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추출부(30)가 기울어지는 방향, 즉 상기 추출부(30)의 하면이 향하는 방향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을 보면, 3개의 지지레그(20)는 각각의 제1구동원(78)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각 지지레그(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추출부(30)는 Z1,Z2,Z3 방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서 3개의 지지레그(20) 중 제1지지레그를 M1, 제2지지레그를 M2, 제3지지레그를 M3라고 하고, 이들 3개의 지지레그의 구동에 의해 기울어지는 방향을 Z1,Z2,Z3라 한다.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된 상태에서 제1지지레그(M1)이 구동하면 상기 추출부(30)는 Z1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제2지지레그(M2)가 구동되면 상기 추출부(30)는 Z2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제3지지레그(M3)가 구동되면 상기 추출부(30)는 Z3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3 지지레그 중 어느 지지레그가 구동되느냐에 따라 상기 추출부(30)는 기울어지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3 지지레그가 구동되는 길이에 따라 기울어지는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도 39를 보면, 일례로 3개의 지지레그(20)가 1단계부터 10단까지 단계별로 구동될 때 상기 추출부(20)의 기울기 방향과 기울기 정도가 도시된다.
1단계에서는 Z1,Z2,Z3 방향으로 기울기가 모두 0으로서 상기 추출부(30)는 수평상태가 된다. 이 경우, 상기 추출부(30)의 하면이 향하는 방향(D)은 중앙이 될 수 있다.
2단계에서는 Z3 방향은 기울기가 0을 유지하여 기울어지지 않으나, Z1와 Z2 방향으로 1만큼 기울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2단계에서는 D가 Z1과 Z2 방향으로 동시에 기울어지므로 Z1과 Z2 방향의 중간방향으로 기울어진 것으로 나타난다.
3단계에서는 Z1 방향의 기울기가 2가 되어 Z1 방향으로 더 기울어지게 된다. 이 경우 D는 Z1 방향에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4단계에서 10단계로 가면서 각 단계별로 Z1,Z2,Z3 방향의 기울기가 변경되면서 상기 추출부(30)의 기울기 방향과 기울기 정도가 변경되는 것이다.
상기 기울기 정도를 나타내는 숫자는 서로 상대적인 값으로 기울기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낸다.
도 39에 도시된 상기 1단계부터 10단계까지의 기울기 방향과 기울기 정도는 도 4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41은 상기 1단계부터 10단계까지 진행하는 동안 상기 추출부(30)의 하면이 향하는 방향의 궤적을 도시한다. 각각의 단계가 진행되면서 기울이의 방향과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궤적은 나선형이 될 수 있다. 물론, 기울기의 방향과 각도를 다르게 조정하여 임의의 궤적이 되도록 할 수도 있고 설정된 패턴을 그리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2는 도 41과 같이 상기 추출부(30)의 하면이 향하는 방향(D)이 나선형이 되는 일례가 도시된다. 상기 기울기센서(269)에서 상기 추출부(30)의 기울기를 측정하고(S401),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측정된 기울기를 기초로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인지를 판단한다(S402).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아니면 도 36에서 설명된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도록 한다(S403).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이 되면 상기 추출부(30)의 하면이 향하는 방향(D)은 아래 직하방이 된다.
상기 추출부(30)가 수평인 상태에서 도 41에 도시된 각 단계별 기울기의 방향 및 각도가 되도록 각 단계별로 지지레그(20)가 순차적으로 구동된다(S404). 최종단계까지 실행되면(S405), 종료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캡슐(1)이 2개가 장착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더 많은 갯수의 캡슐(1)이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캡슐시트(54)에는 캡슐안착공간(540)을 추가로 두고, 각각의 캡슐안착공간(450)으로 물을 공급하는 구성과 추출된 음료를 배출하는 구성이 캡슐안착공간(450)의 갯수에 대응하여 추가로 필요하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다수개의 지지레그(20), 즉 상기 연결링크(24)와 레그구동유닛(28)들이 연결프레임(26)에 연결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연결프레임(26) 없이 프레임(31)이나 하우징(32)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레그연결부(263)와 같은 구성이 프레임(31)이나 하우징(32)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례에서 상기 추출부(30)를 베이스(10)에 지지하는 상기 지지레그(20)가 지지링크(22), 연결링크(24) 그리고 레그구동유닛(28)을 포함하는데,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지지레그(20)는 상기 레그구동유닛(28)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레그구동유닛(28)은 상기 추출부(30)의 프레임(31)이나 하우징(32)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된 상기 조인트(27)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레그구동유닛(28)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1: 캡슐 10: 베이스
12: 베이스몸체
120: 구획벽 122: 전원선연결구
124: 관연결구 126: 물통입출구
14: 베이스상판 16: 디스플레이
17: 장식장착영역 18: 전원선
19: 연결관
191: 제1분지관 192: 제2분지관
20: 지지레그 22: 지지링크
24: 연결링크
26: 연결프레임
260: 프레임몸체 261: 고정보스
263: 레그연결부 265: 제1회전중심핀
267: 제2회전중심핀 269: 기울기센서
27: 조인트
270: 소켓베이스 272: 소켓
274: 볼 276: 연결바아
28: 레그구동유닛
280: 제1구동원 280': 회전축
281: 리드스크류 282: 브라켓
283: 고정프레임 284: 중심핀공
285: 내측부재 286: 연결링
287: 외측부재 288: 연동블럭
30: 추출부 31: 프레임
32: 하우징
34: 커버
340: 커버측벽 342: 커버상판
344: 윈도우 346: 커버보스
348: 터치센서
36: 고정판 38: 이동가이드
41: 제1밸브 41': 제2밸브
43: 제1펌프 43': 제2펌프
45: 제1공급관 45': 제2공급관
47: 광원 48: 제1캡연결관
48': 제2캡연결관 50: 캡
52: 천공구
520: 몸체판 522: 유로관
523: 주입유로 524: 천공날
526: 고정편
54: 캡슐시트
540: 캡슐안착공간 542: 돌기
543: 토출공 545: 설치슬롯
56: 호퍼 57: 제1배출관
57': 제2배출관 58: 고정가이드
60: 이동안내대 62: 랙기어
64: 고정편 64': 결합공
66: 배관간섭회피부 70: 이동구
72: 이동구몸체 74: 관통부
76: 체결공 77; 구동원장착부
78: 제2구동원 79: 구동기어
80: 제어부 82: 물공급부
84: 물통
840: 물통몸체 840': 저장공간
841: 커버판 842: 물통도어
844: 물통입구 846: 배출연결구
848: 결합바 849: 결합볼
85: 푸시푸시 잠금배출기구
86: 내부배관
860: 내부관체 861: 유로
862: 단열층 864: 외부관체
88: 센서 90: 메인펌프
92: 보일러 94: 전원연결포트
96: 전원스위치

Claims (21)

  1. 바닥에 안착되고 물공급부가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되고 내부에 구비된 캡슐시트에 있는 다수개의 캡슐안착공간에 캡슐이 장착되어 음료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추출부와,
    상기 베이스 상에 상기 추출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연결관을 통해 전달받아 상기 캡슐로 전달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는 상기 각각의 캡슐안착공간의 캡슐로 물이 공급되도록 분지관이 있고, 상기 분지관에는 밸브와 펌프가 설치되어 각각의 캡슐로의 물공급을 제어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는 제1분지관과 제2분지관이 있고, 상기 제1분지관에는 제1밸브와 제2펌프가 있고, 상기 제2분지관에는 제2밸브와 제2펌프가 구비되어 상기 제1분지관에 연결되어 일측 캡슐로 물을 공급하는 제1공급관과 제2분지관에 연결되어 타측 캡슐로 물을 공급하는 제2공급관으로 물을 전달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시트의 캡슐안착공간 하부에는 추출된 음료를 모으는 호퍼가 구비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상기 추출부 외부로 음료를 배출하는 배출관을 가지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의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캡슐안착공간을 개방하고 폐쇄하도록 개폐동작하는 커버에는 상기 캡슐안착공간에 있는 캡슐을 눌러주는 캡이 구비되는 고정판이 고정되어 상기 커버와 함께 이동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상기 캡슐에 통공을 형성하는 천공구가 설치되어 상기 커버가 닫히는 동작에서 상기 천공구가 상기 캡슐에 통공을 형성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추출부의 하부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어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터치센서가 더 설치되어 상기 커버의 개폐동작 신호를 받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10. 바닥에 안착되고 물공급부가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구비된 캡슐시트에 있는 다수개의 캡슐안착공간에 캡슐이 장착되어 음료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추출부와,
    상기 베이스 상에 상기 추출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고 상기 캡슐안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랙기어가 형성된 이동안내대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안내대를 따라 상기 커버와 체결된 이동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구에는 상기 랙기어와 연동되는 구동기어가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게 구비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는 상기 이동안내대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랙기어에 상기 구동기어가 맞물려 연동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시트에는 고정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고정가이드에 안내되는 이동가이드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대는 상기 고정가이드와 이동가이드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 측에 고정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는 상기 커버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가이드와 일체로 고정판이 있고, 상기 고정판에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캡연결관이 연장되며, 상기 캡연결관에는 상기 캡슐시트의 캡슐안착공간에 안착된 캡슐을 눌러주는 캡이 구비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상기 캡슐에 통공을 형성하는 천공구가 구비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에서 상기 추출부로 물을 공급하는 연결관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에는 각각의 캡슐안착공간의 캡슐로 물이 공급되도록 분지관이 있고, 상기 분지관에는 밸브와 펌프가 설치되어 각각의 캡슐로의 물공급을 제어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18. 바닥에 안착되고 물공급부가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되고 프레임에 설치된 캡슐시트에 있는 다수개의 캡슐안착공간에 캡슐이 장착되어 음료를 추출하고 상기 캡슐안착공간을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된 커버가 개폐하는 추출부와,
    상기 베이스 상에 상기 추출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에서 공급되는 물을 연결관을 통해 전달받아 상기 캡슐로 전달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는 상기 캡슐안착공간의 캡슐로 물이 공급되도록 분지관이 있고, 상기 분지관에는 밸브와 펌프가 설치되어 각각의 캡슐로의 물공급을 제어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안착공간 하부에는 추출된 음료를 모으는 호퍼가 구비되고, 상기 호퍼에는 상기 추출부 외부로 음료를 배출하는 배출관이 있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랙기어가 형성된 이동안내대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안내대를 따라 상기 커버와 체결된 이동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구에는 상기 랙기어와 연동되는 구동기어가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게 구비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1020220068442A 2022-06-03 2022-06-03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30168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442A KR20230168029A (ko) 2022-06-03 2022-06-03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PCT/KR2023/007624 WO2023234745A1 (ko) 2022-06-03 2023-06-02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442A KR20230168029A (ko) 2022-06-03 2022-06-03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029A true KR20230168029A (ko) 2023-12-12

Family

ID=89159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442A KR20230168029A (ko) 2022-06-03 2022-06-03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029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447B1 (ko) 2009-03-13 2009-11-03 이재한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
KR101260504B1 (ko) 2011-12-13 2013-05-06 컨벡스코리아(주)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KR20150017541A (ko) 2013-08-07 2015-02-17 컨벡스코리아(주)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
KR20170040026A (ko) 2015-10-02 2017-04-12 코웨이 주식회사 캡슐커피 추출장치
KR20180000496A (ko) 2016-06-23 2018-01-03 (주)쿠첸 캡슐 커피 머신의 물통 장착 장치
KR20180119263A (ko) 2017-04-25 2018-11-02 정우연 카트리지 교체가 편리한 음료 메이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447B1 (ko) 2009-03-13 2009-11-03 이재한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
KR101260504B1 (ko) 2011-12-13 2013-05-06 컨벡스코리아(주)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KR20150017541A (ko) 2013-08-07 2015-02-17 컨벡스코리아(주)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
KR20170040026A (ko) 2015-10-02 2017-04-12 코웨이 주식회사 캡슐커피 추출장치
KR20180000496A (ko) 2016-06-23 2018-01-03 (주)쿠첸 캡슐 커피 머신의 물통 장착 장치
KR20180119263A (ko) 2017-04-25 2018-11-02 정우연 카트리지 교체가 편리한 음료 메이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9518B1 (ko) 브루잉 모듈, 캡슐 인식 모듈, 및 음료 준비 기계
US20210002121A1 (en) Water ejecting apparatus
JP5450152B2 (ja) 飲料製造装置
TWI714630B (zh) 飲料製備系統和方法
CN107076509A (zh) 冰箱和用于打开冰箱门的方法
US20210002117A1 (en) Water ejecting apparatus
US11230468B2 (en) Water ejecting apparatus
KR102598224B1 (ko) 마이크 모듈이 구비된 냉장고
US20210001368A1 (en) Water ejecting apparatus
CN105120720A (zh) 意式浓缩咖啡牛奶发泡器
US20210001367A1 (en) Water ejecting apparatus
KR100581205B1 (ko) 소형 자동 전기밥솥시스템
KR20230168029A (ko)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102431199B1 (ko) 식기세척기
KR20230168031A (ko)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30168030A (ko)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30168028A (ko)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20230168033A (ko)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30168032A (ko)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21263B1 (ko) 게임 자판기
KR20240020576A (ko)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장치
KR101510871B1 (ko)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
JP5537987B2 (ja) ミルクフォーマー及び飲料製造装置
JP5595752B2 (ja) 飲料製造装置
KR100759998B1 (ko) 테이블형 음료 자동 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