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659A -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 - Google Patents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659A
KR20230167659A KR1020220067823A KR20220067823A KR20230167659A KR 20230167659 A KR20230167659 A KR 20230167659A KR 1020220067823 A KR1020220067823 A KR 1020220067823A KR 20220067823 A KR20220067823 A KR 20220067823A KR 20230167659 A KR20230167659 A KR 20230167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tongs
direction change
guid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지호
Original Assignee
선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지호 filed Critical 선지호
Priority to KR1020220067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7659A/ko
Priority to PCT/KR2022/008054 priority patent/WO2023234453A1/ko
Publication of KR20230167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12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involving special transmission means between the handles and the jaws, e.g. toggle levers,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18Adjusting means for the operating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 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파지대상물이 회전될 수 있으며, 파지대상물 측으로 항균제 또는 방향제를 분사할 수 있는 집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는 파지되는 파지대상물의 방향을 회전 시킬 수 있어 신발과 같은 파지대상물의 정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는 파지대상물을 파지한 집게부가 회전되면서 항균제 또는 방향제가 분사되므로, 파지대상물인 신발에 서식하는 세균 등의 번식을 손쉽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Tongs with direction change function}
본 발명은 방향 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파지대상물이 회전될 수 있으며, 파지대상물 측으로 항균제 또는 방향제를 분사할 수 있는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신발을 벗고 들어가게 되는 장례식장이나 대중 음식점과 같은 공공장소의 경우, 출입자는 신발을 현관 입구에 그냥 벗어 놓고 들어가거나, 벗어서 신발장에 직접 넣어 보관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현관입구에 벗어놓은 신발을 안내자가 서로 짝을 맞추어 현관 입구의 어느 한쪽에 가지런히 보관하거나 또는 신발장에 넣어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출입자가 많은 대중음식점 또는 공공장소 등에서 많은 사람이 몰리게 되는 경우, 벗어놓은 신발을 정리 정돈하는데 쉬운 것이 아니며, 신발을 벗고 들어가는 사람 역시 이전에 벗어 놓은 많은 신발 때문에 쉽게 신발을 벗고 들어가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결국 먼저 벗어 놓여져 있는 신발들을 서로 뒤섞어 놓으면서 출입을 하게된다.
그러므로 다시 신발을 신으려고 할 때 뒤섞여진 신발들 사이에서 자신의 신발을 용이하게 찾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심어지는 신발이 바뀌게 될 수 도 있다.
그래서 사람이 많이 출입하는 대중 음식점 또는 공공장소에서는 손님이 벗어놓은 신발이 흐트러져 섞이거나, 바뀜으로 인한 낭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현관입구에서 출입자를 안내하는 사람을 배치하여 벗고 들어가는 사람의 신발을 짝을 맞춘 상태에서 정리하거나 신발장 등에 보관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 출입자가 벗어놓고 들어가는 신발을 정리하고 보관하는 사람은 손으로 직접 벗어놓은 신발을 집어 정리 보관하게 되므로 신발에 묻어 있는 무좀, 습진 등의 각종 세균 및 악취가 손에 묻게 되는바, 신발 정리 후에는 손에 묻어 있는 각종 세균,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반드시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신발 집게'가 실용신안실등록공보 20-0310757호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신발집게는 출입자의 신발을 집어서 옮겨 줄 수 는 있으나, 신발 방향을 밖으로 향하도록 돌리기 위해서 손목과 팔을 돌려서 그 신발방향을 반대로 위치시켜 정리 하여야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신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신발집게(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9718호)가 개발된 바 있다.
한편, 인체 중에서도 발은 특히 땀이 많이 나는 곳이다. 양말과 신발을 신고 생활하는 현대인들은 발에서 땀이 나더라도 즉시 건조되지 않으므로 악취가 나게 되고 곰팡이, 세균이 쉽게 번식하게 되어 무좀 등의 질병이 유발되기도 하며, 이것은 발에서 나는 악취를 더욱 심하게 만든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신발용 항균제들이 출시되어 있지만, 업소에서 많은 신발이 놓인 출입구나 신발장에 일일이 항균제를 분사하는 것은 많은 수고가 따른다.
따라서, 신발 정리 시, 신발 방향을 전환할 수 있으면서 항균제 또는 방향제를 함께 분사할 수 있는 집게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9718호 : 신발 방향을 전환하는 신발 집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4968호 : 항균탈취제가 구비된 신발 집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지된 신발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항균제 또는 방향제를 분사할 수 있는 신발 집게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는 일단부에 파지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는 집게부가 마련되며, 상기 파지대상물을 파지한 상기 집게부와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승강되어, 상기 파지대상물이 최초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 또는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방향전환봉과;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방향전환봉의 타측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진퇴가능하게 수용되며 타측에 레버가 결합된 손잡이가 연결된 고정봉과; 상기 레버의 회동위치에 따라 상기 집게부가 상기 파지대상물을 파지하거나 파지해제하도록 구동되게 상기 방향전환봉과 상기 고정봉을 관통하여 상기 레버와 상기 집게부를 연결하되 상기 레버에 의해 당겨질때 상기 방향전환봉이 함께 상승되게 상기 방향전환봉에 간섭되는 구동로드와; 상기 고정봉 내에서 상기 방향전환봉을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전환봉이 상승 및 하강 시 상기 방향전환봉이 동일방향으로 회전되게 가이드하는 회전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는 상기 방향전환봉의 내측에 관통형성된 제1중공으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방향전환봉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제1지지턱에 접하며,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내측에 상기 구동로드가 관통되는 제2중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가 일부 수용되어 접하는 제2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방향전환봉을 향하는 단부측에 상기 방향전환봉의 타단부에 접하게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방향전환봉의 직경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상승가이드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봉 내에서 회전이 제한되게 상기 고정봉의 연장방향을 따라 진퇴가능한 회전가이드부재와; 상기 고정봉의 내경이 축소되면서 형성된 제3지지턱과 상기 회전가이드부재의 타측 사이에 위치되는 제2탄성지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방향전환봉은 상기 회전가이드부재와 마주하는 타단부 중 제1직경 방향 연장선상의 타단부측이 상기 제1직경 방향에 직교하는 제2직경방향 연장선상의 타단부 측보다 상기 집게부에 이격되게 위치되게,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직경방향 연장선상의 타단부 일측에서 상기 제2직경방향 연장선상의 타단부 일측으로 갈수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감소되었다가 상기 제1직경방향 연장선상의 타단부 타측으로 갈수록 다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커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방향전환봉의 타측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인입형성되는 하강가이드홈과, 상기 고정봉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상기 방향전환봉의 타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하강가이드홈을 형성하는 제1돌출면에 접하는 하강가이드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하강가이드홈은 상기 방향전환봉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돌출면에 이격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2돌출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돌출면은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2돌출면에 대해 이격거리나 커지게 나선연장된 하강가이드면과, 일측이 상기 하강가이드면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돌출면에 대해 호형곡률를 가지며 오목하게 인입된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타측에서 상기 방향전환봉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상기 집게부 방향으로 연장된 턱 형성면을 포함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로드는 상기 레버에서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방향전환봉 내로 연장되되 상기 레버에 의해 당겨질 때 상기 방향전환봉시 상승되게 상기 방향전환봉의 내주면에 간섭되는 당김부재와, 상기 집게부에서 상기 방향전환봉 내로 연장되어 상기 방향전환봉과 함께 회전되게 상기 당김부재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는 일측에 상기 고정봉이 관통장착되며 상기 고정봉의 길이방향에 교차한 방향으로 연장된 타측에는 상기 집게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펌핑식 디스펜서의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디스펜서 지지부재와, 상기 고정봉에 대해 돌출된 상기 방향전환봉의 일측이 상대회전가능하게 관통되되 상기 방향전환봉과 함께 승강가능하여 상기 펌핑식 디스펜서의 펌핑헤드부를 가압하는 지지하는 푸쉬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는 파지되는 파지대상물의 방향을 회전 시킬 수 있어 신발과 같은 파지대상물의 정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는 파지대상물을 파지한 집게부가 회전되면서 항균제 또는 방향제가 분사되므로, 파지대상물인 신발에 서식하는 세균 등의 번식을 손쉽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에 대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의 레버가 당겨지지 않은 상태에 대한 일부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레버가 당겨질 때, 신발을 파지한 부분 측이 회전되면서 상승된 상태에 대한 일부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레버의 당김이 해제될 때,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상태에 대한 일부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방향전환봉과 회전가이드부재 측을 나타낸 집게에 대한 대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레버 당김시, 신발을 파지한 부분이 회전되면서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10)는 일단부에 신발과 같은 파지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는 집게부(11)가 마련된 방향전환봉(30)과, 일측으로 방향전환봉(30)이 승강 및 회전가능하게 부분 수용되며 타측에 집게부(11)이 파지대상물(미도시)을 파지하거나 파지해제하기 위한 조작과 방향전환봉(30)의 승강 조작을 위한 레버(94)가 마련된 손잡이(91)가 타단에 장착되는 고정봉(61)과, 레버(94)의 회동위치에 따라 집게부(11)가 파지대상물을 파지하거나 파지해제하도록 구동되게 방향전환봉(30)과 고정봉(61)을 관통하여 레버(94)와 집게부(11)를 연결하되 레버(94)에 의해 당겨질때 방향전환봉(30)이 함께 상승되게 방향전환봉(30)에 간섭되는 구동로드(101)와, 고정봉(61) 내에서 방향전환봉(30)을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지지부재(151)를 포함하며, 방향전환봉(30)이 상승 및 하강 시 방향전환봉(30)이 동일방향으로 회전되게 가이드하는 회전구동수단(150);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10)는 항균제 또는 방향제를 토출할 수 있는 펌핑식 디스펜서(88)와, 펌핑식 디스펜서(88)의 항균제 또는 방향제가 저장되는 용기부(89)가 삽입 장착되는 디스펜서 지지부재(71)와, 용기부(89) 방향으로 가압 시 용기부 내의 항균제 또는 방향제를 토출하는 펌핑식 디스펜서(88)의 펌핑헤드부(90)를 지지하는 푸쉬부재(81)를 구비한다.
방향전환봉(30)은 파지대상물을 파지한 집게부(11)와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승강되어, 파지대상물이 최초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 또는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방향전환봉(30)은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중공(32)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외주면에 일정한 폭으로 인입되며 원주방향으로 따라 연장된 상대회전지지홈(39)과, 외추면 타측에 회전구동수단(150)인 하강가이드홈(41)이 형성된 방향전환본체부(31)와; 방향전환본체부(31)의 전단측에 장착되며 내측이 관통된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방향전환본체부(31)와 함께 제1중공(32)을 형성하는 집게부 연결부(55);를 구비한다.
방향전환본체부(31)와 집게부연결부(55)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방향전환본체부(31)는 도 7을 참고하면, 후술되는 회전구동수단(150)의 회전가이드부재(161)와 마주하는 길이방향 타단부 중, 제1직경 방향 연장선상(a)의 타단부측이 제1직경 방향 연장선상(a)에 직교하는 제2직경방향 연장선상(b)의 타단부 측보다 집게부(11)에 멀리 이격되게 위치되게, 원주방향을 따라 제1직경방향 연장선상(a)의 타단부 일측에서 제2직경방향 연장선상(b)의 타단부 일측으로 갈수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감소되었다가 제1직경방향 연장선상(a)의 타단부 타측으로 갈수록 다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커지게 형성된다.
즉, 방향전환본체부(31)는 길이방향 타측에 제1직경 방향 연장선상(a)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대칭되게 집게부(11) 방향으로 인입되며 내외측이 개방된 복수의 상승가이드홈(51)이 형성된다.
하강가이드홈(41)은 회전구동수단(150)과 함께 후술한다.
방향전환본체부(31)는 내측이 집게부 연결부(55)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관통된 제1연장부(33)와, 방향전환본체부(31)의 내주면에 집게부(11) 방향을 향하는 가압턱(34)이 형성되게 제1연장부(33)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관통형성되며 제1연장부(33)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2연장부(35)와, 고정봉의 타측을 향하는 제1지지턱(36)이 돌출형성되게 제2연장부(35)의 내경보다 큰 내경으로 내측이 관통형성되며 제2연장부(35)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3연장부(37)를 구비한다.
고정봉(61)은 방향전환봉(30)의 길이방향으로 내측이 관통되되 집게부(11)를 향하는 일측보다 타단이 작은 직경으로 관통형성되어 제3지지턱(63)이 형성되며 방향전환봉(30)의 타측이 진퇴가능하게 수용되는 승강지지관(62)과, 일측이 승강지지관(62)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측에 손잡이가(91) 결합되며 후술되는 구동로드(101)가 레버(94)에서 연장되어 승강지지관(62)을 관통하여 집게부(11)로 연장되게 내측이 관통된 연결관(68)을 구비한다.
승강지지관(62)은 도시된 바와 다르게 연결관(68)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승강지지관(62)은 내주면 양측부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회전구동수단(150)인 한 쌍의 하강가이드돌기(64)와, 승강지지관(62)의 길이방향으로 하강가이드돌기(64)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승강지지관(62)의 내주면 양측부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승강지지관(6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승강가이드돌기(65)가 형성된다.
구동로드(101)는 도 3을 참조하면, 레버(94)에서 제1탄성지지부재(151)를 관통하여 방향전환봉(30) 내로 연장되되 레버(94)에 의해 당겨질 때 방향전환봉(30)이 상승되게 방향전환봉(30)의 내주면에 간섭되는 당김부재(102)와, 집게부(11)에서 방향전환봉(30) 내로 연장되어 방향전환봉(30)과 함께 회전되게 당김부재(102)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112)를 구비한다.
당김부재(102)와 회전부재(112)을 상호 상대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스위블 조인트(116)를 구비한다.
당김부재(102)는 레버(94)에서 방향전환봉(30)의 일측으로 관통연장된 와이어(103)와, 와이어(103)와 회전부재(112)를 연결하는 스위블조인트(106)와, 방향전환본체부(31)와 승강지지관(62)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내측으로는 와이어(103)가 내측으로 관통되고, 방향전환본체부(31)의 제1연장부(33) 측으로 돌출된 일단부가 타측보다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가압턱(34)에 접하는 승강유도바(109)를 구비한다.
승강유도바(109)는 내측이 스위블조인트(106)보다 작은 내경으로 관통형성되어, 레버(94)가 당겨질 때 스위블조인트(106)와 간섭되면서 방향전환봉(30)과 함께 상승될 수 있다.
회전구동수단(150)은 방향전환봉(30)의 내측에 관통형성된 제1중공으로 일부 삽입되어 제1지지턱(36)에 접하는 제1탄성지지부재(151)와, 승강지지관(62) 내에서 회전이 제한되게 승강지지관(62)의 연장방향을 따라 진퇴가능한 회전가이드부재(161)와; 승강지지관(62) 내에서 제3지지턱(63)과 회전가이드부재(161)의 타단 사이에 위치되는 제2탄성지지부재(181);를 구비한다.
회전가이드부재(161)는 내측에 승강유도바(109)가 관통되는 제2중공(162)이 형성되되 제1탄성지지부재(151)가 일부 수용되어 접하는 제2지지턱(164)이 형성되고, 방향전환봉(31)을 향하는 단부측에 방향전환봉(30)의 타단부에 접하게 각각 돌출형성되며 방향전환봉(30)의 직경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상승가이드돌기(166)와, 한 쌍의 상승가이드돌기들이 이격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부에 인입형성되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개방되어 승강가이드돌기(65)가 수용되는 승강가이드홈(168)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회전구동수단(150)인 하강가이드홈(41)은 고정봉(61)의 승강지지관(62)에 수용되는 방향전환본체부(31)의 타측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인입형성되는데, 방향전환봉의 타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하강가이드홈을 형성하는 제1돌출면(42)과, 상기 방향전환봉의 길이방향으로 제1돌출면(42)에 이격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2돌출면(47)을 구비한다.
제1돌출면(42)은 원주방향을 따라 제2돌출면에 대해 이격거리나 커지게 나선연장된 하강가이드면(44)과, 일측이 하강가이드면(44)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되 제2돌출면(47)에 대해 호형곡률를 가지며 오목하게 인입된 안착면(45)과, 안착면(45)의 타측에서 방향전환봉(31)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집게부(11) 방향으로 연장된 턱 형성면(46)을 각각 포함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43)를 구비한다.
하강가이드돌기(64)는 승강지지관(62)의 내주면에 고정되게 돌출되어 제1돌출면(42)에 접하여, 방향전환봉(30)이 하강시 상승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이드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레버(94)의 당김이 해제된 상태에서, 방향전환봉(30)의 직경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상승가이드돌기(65)는 제1직경 방향 연장선상(a)의 방향전환봉(30) 타단부와 제2직경방향 연장선상(b)의 방향전환봉(30)의 타단부 사이의 중심측에서 각각 방향전환봉(30)과 접하고, 한 쌍의 가이드부(43)의 각 오목면(45)은 한 쌍의 상승가이드돌기(65)들이 마주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전환봉(30)의 직경 선상에 위치되어 상호 마주한다.
한편, 집게부(11)는 방향전환봉(30)의 끝단의 양측부에 결합되며 방향전환봉(3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지지판(12,13)과, 제1지지판(12)에 상방에 위치되어 제1힌지핀(14)으로 결합되는 제1집게편(15)과, 제2지지판(13)의 하방에 위치되어 제2힌지핀(16)으로 결합되는 제2집게편(17)으로 구성된다. ,
제1 및 제2집게편(15,17)은 각각 제1 또는 제2힌지핀(14,16)을 중심으로 절곡되어 일측에는 방향전환봉(30)에서 돌출된 회전부재(112)의 단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19)이 형성된 작동편부(18)과, 타측에는 작동편부(18)과 절곡된 방향으로 방향전환봉(3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집게본체편부(20)를 각각 구비한다.
제1 및 제2집게편(15,17)의 작동편부(18)는 구동로드(101)의 회전부재(112)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중첩되며 회전부재(112)에 각각 축(21) 결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10)는 항균제 또는 방향제를 토출할 수 있는 펌핑식 디스펜서(88)와, 펌핑식 디스펜서(88)의 항균제 또는 방향제가 저장되는 용기부(89)가 삽입 장착되는 디스펜서 지지부재(71)와, 용기부(89) 방향으로 가압 시 용기부 내의 항균제 또는 방향제를 토출하는 펌핑식 디스펜서(88)의 펌핑헤드부(90)를 지지하는 푸쉬부재(81)를 구비한다.
디스펜서 지지부재(71)는 일측에 고정봉(61)이 관통장착되며 고정봉(61)의 길이방향에 교차한 방향으로 연장된 타측에는 집게부(11) 방향으로 개방되어 펌핑식 디스펜서의 용기부(89)가 안착되는 일정한 직경으로 인입된 안착홈(73)이 형성된다.
한편, 고정봉(61)의 승강지지관(62)의 일측은 외주면이 다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고정봉(61)의 승강지지관(62)이 관통되는 디스펜서 지지부재(71)의 일측에는 승강지지관(62)의 일측의 형상에 대응되게 관통된 슬라이딩결합공(72)이 형성되어, 디스펜서 지지부재(71)는 일측이 고정봉(61)에 대해 회전제한되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승강지지관(62)은 도 1 및 도2를 참고하면, 연결관(68)과 결합되는 타측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은 타측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부가 일정한 폭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슬라이딩결합리브(66)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지지관(62)은 슬라이딩결합리브(66)가 형성된 일측보다 연결관(68)이 연결되는 타측의 외경이 단턱지게 크게 형성되어, 이동제한턱(67)이 형성된다. 디스펜서 지지부재(71)는 승강지지관(62)의 일측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되, 이동제한턱(67)에 이동거리가 제한된다. 즉, 이동제한턱(67)은 후술되는 푸쉬부재(81)에 의해 펌핑헤드부(90)가 가압되어 상승 시, 디스펜서 지지부재(71)를 지지한다.
푸쉬부재(81)는 고정봉(61)에 대해 돌출된 방향전환본체부(31)의 일측이 상대회전가능하게 관통되되 방향전환본체부(31)와 함께 상승하면서 펌핑식 디스펜서의 펌핑헤드부(90)를 가압한다.
펌핑헤드부(90)는 용기부(89)에서 내측으로 공급된 항균제 또는 방향제를 외부로 토출하는 분사공(90a)이 방향전환본체부(31)이 길이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향하도록 내부공간과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펌핑식 디스펜서(88)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펌핑헤드부(90)로 용기부(89) 내의 액체를 펌핑하기 위한, 펌핑구조가 펌핑헤드부(90)와 용기부(89) 사이에 마련된다.
펌핑구조는 한정되지는 않으나, 용기부(89)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 측에 나사결합되며 용기부(89)의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밸브설치공이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밸브설치공에 안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하부 오리피스가 형성되며 펌핑헤드부(90)의 분사공(90a)과 연통되게 펌핑헤드부(90)와 결합되는 밸브체 및 상기 오리피스를 단속하는 밸브시트를 갖는 밸브와; 상기 밸브체의 상부가 관통 연장되고 원주면은 상기 밸브설치공에 결합되며 하부면은 상기 밸브시트의 상부에 밀착되는 이탈방지구;를 포함할 수 있다.
푸쉬부재(81)는 일측에 펌핑헤드부(90)의 일부 수용되는 헤드부 거치홈(84)과 타측에 상대회전지지홈(39)의 일측부를 덮도록 형성된 인입된 제1인입홈(85)이 형성된 상부몸체(82)와, 상대회전지지홈(39)의 타측부를 덮도록 제1인입홈(85)과 형합되는 제2인입홈(87)이 형성되며 상부몸체(82)와 결합되는 하부몸체(86)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레버(94)를 당기면 구동로드(101)가 손잡이(91) 측으로 당겨지면서, 확개된 상태의 제1 및 제2집게편(15,17)이 상호 인접하게 회동되면서 집게부(11)가 파지대상물을 신발을 1차 파지하고, 신발이 파지된 상태에서 레버(94)가 더 당겨지면서, 상승되는 구동로드(101)가 방향전환봉(30)과 함께 상승되고, 방향전환봉(30)이 상승 시 타단부에 회전가이드부재(161)의 상승가이드돌기(166)가 접하는 위치가 변동되면서 방향전환봉(30)이 약 45도 정도 회전되게 된다.
방향전환봉(30)이 상승되면서 디스펜서(88)의 펌핑헤드부(90)가 가압되면서 신발 측으로 향균제 또는 방향제가 분사된다.
사용자가 레버(94)의 당김을 해제하면, 제1 및 제2탄성지지부재가 길이 신장되면서 회전가이드부재(161)와 방향전환봉(30)이 하강되는데, 방향전환봉(30)의 제1돌출면(42)에 하강가이드돌기(64)와 접한 상태로 하강되면서, 제1돌출면(42)의 하강가이드면(43)을 따라 방향전환봉(30)이 상승 시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135도 정도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10)는 파지 시 파지대상물의 방향을 회전 시킬 수 있어 신발과 같은 파지대상물 정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는 파지대상물을 파지한 집게부(11)가 회전되면서 항균제 또는 방향제가 동시에 분사되므로, 파지대상물인 신발에 서식하는 세균 등의 번식을 손쉽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향전환기능이 있는 집게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향전환기능이 있는 집게는 구동로드(201)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게(1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구동로드(201)는 회전부재(112)와, 당김부재(202)를 구비한다.
당김부재(202)는 레버(94)에서 연결관(68)내로 연장된 와이어(203)와, 회전부재(112)의 타단에 일측이 장착되는 스위블조인트(206)와, 방향전환본체부(31)와 승강지지관(62)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일단에 스위블조인트(206)의 타측이 장착되며 타단에 와이어(203)가 연결되고 방향전환본체부(31)의 제1연장부(33) 측으로 돌출된 일단부가 타측보다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가압턱(34)에 접하는 승강유도바(209)를 구비한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향전환기능이 있는 집게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향전환기능이 있는 집게(310)는 펌핑식 디스펜서(388)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전환기능이 있는 집게(1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펌핑식 디스펜서(388)는 펌핑헤드부(30)의 분사공(30a)에 연통되게 장착되는 분기토출관(400)을 더 구비한다.
분기토출관(400)은 펌핑헤드부(30)의 분사공(30a)에 결합되는 메인토출관(401)과, 메인토출관(401)에서 집게부(11) 측으로 연장되되 메인토출관(401)에 멀어질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확장되며 집게부(11)에 인접하게 메인토츨관(401)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분기관(405)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향전환기능이 있는 집게(310)는 한 쌍의 분기관(405)을 통해 좌측발 신발과 우측발 신발에 각각 항균제 또는 방향제를 분사할 수 있어, 세균 및 냄새 제거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다르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향전환기능이 있는 집게는 분기토출관(400)이 구비되지 않고, 분사공이 좌우로 분기된 형태로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분사공은 밸브체와 연통되는 메인분사공과, 메인분사공에서 분기되되 제1집게편과 제2집게편으로 각각 향하는 한 쌍의 분기분사공을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 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 11 : 집게부
30 : 방향전환봉 41 : 하강가이드홈
61 : 고정봉 64 : 하강가이드돌기
65 : 승강가이드돌기 70 : 펌핑식 디스펜서
91 : 손잡이 101 : 구동로드
150 : 회전구동수단 151 : 제1탄성지지부재
161 : 회전가이드부재 181 : 제2탄성지지부재

Claims (6)

  1. 일단부에 파지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는 집게부가 마련되며, 상기 파지대상물을 파지한 상기 집게부와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승강되어, 상기 파지대상물이 최초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 또는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방향전환봉과,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방향전환봉의 타측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진퇴가능하게 수용되며 타측에 레버가 결합된 손잡이가 연결된 고정봉과,
    상기 레버의 회동위치에 따라 상기 집게부가 상기 파지대상물을 파지하거나 파지해제하도록 구동되게 상기 방향전환봉과 상기 고정봉을 관통하여 상기 레버와 상기 집게부를 연결하되 상기 레버에 의해 당겨질때 상기 방향전환봉이 함께 상승되게 상기 방향전환봉에 간섭되는 구동로드와,
    상기 고정봉 내에서 상기 방향전환봉을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전환봉이 상승 및 하강 시 상기 방향전환봉이 동일방향으로 회전되게 가이드하는 회전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기능이 있는 집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는
    상기 방향전환봉의 내측에 관통형성된 제1중공으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방향전환봉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된 제1지지턱에 접하며,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내측에 상기 구동로드가 관통되는 제2중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가 일부 수용되어 접하는 제2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방향전환봉을 향하는 단부측에 상기 방향전환봉의 타단부에 접하게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방향전환봉의 직경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상승가이드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봉 내에서 회전이 제한되게 상기 고정봉의 연장방향을 따라 진퇴가능한 회전가이드부재와; 상기 고정봉의 내경이 축소되면서 형성된 제3지지턱과 상기 회전가이드부재의 타측 사이에 위치되는 제2탄성지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방향전환봉은
    상기 회전가이드부재와 마주하는 타단부 중 제1직경 방향 연장선상의 타단부측이 상기 제1직경 방향에 직교하는 제2직경방향 연장선상의 타단부 측보다 상기 집게부에 이격되게 위치되게,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직경방향 연장선상의 타단부 일측에서 상기 제2직경방향 연장선상의 타단부 일측으로 갈수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감소되었다가 상기 제1직경방향 연장선상의 타단부 타측으로 갈수록 다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커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기능이 있는 집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방향전환봉의 타측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인입형성되는 하강가이드홈과, 상기 고정봉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상기 방향전환봉의 타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하강가이드홈을 형성하는 제1돌출면에 접하는 하강가이드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하강가이드홈은
    상기 방향전환봉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돌출면에 이격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2돌출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돌출면은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2돌출면에 대해 이격거리나 커지게 나선연장된 하강가이드면과, 일측이 상기 하강가이드면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돌출면에 대해 호형곡률를 가지며 오목하게 인입된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타측에서 상기 방향전환봉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상기 집게부 방향으로 연장된 턱 형성면을 포함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드는
    상기 레버에서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방향전환봉 내로 연장되되 상기 레버에 의해 당겨질 때 상기 방향전환봉시 상승되게 상기 방향전환봉의 내주면에 간섭되는 당김부재와,
    상기 집게부에서 상기 방향전환봉 내로 연장되어 상기 방향전환봉과 함께 회전되게 상기 당김부재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기능이 있는 집게.
  5.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고정봉이 관통장착되며 상기 고정봉의 길이방향에 교차한 방향으로 연장된 타측에는 상기 집게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펌핑식 디스펜서의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디스펜서 지지부재와,
    상기 고정봉에 대해 돌출된 상기 방향전환봉의 일측이 상대회전가능하게 관통되되 상기 방향전환봉과 함께 승강가능하여 상기 펌핑식 디스펜서의 펌핑헤드부를 가압하는 지지하는 푸쉬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당김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상승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직경 방향 연장선상의 상기 방향전환봉 타단부와 상기 제2직경방향 연장선상의 상기 방향전환봉의 타단부 사이의 중심측에 위치되고,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의 각 오목면은 한 쌍의 상기 상승가이드돌기들이 마주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방향전환봉의 직경 선상에 위치되어 상호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기능이 있는 집게.
KR1020220067823A 2022-06-02 2022-06-02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 KR202301676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823A KR20230167659A (ko) 2022-06-02 2022-06-02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
PCT/KR2022/008054 WO2023234453A1 (ko) 2022-06-02 2022-06-08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823A KR20230167659A (ko) 2022-06-02 2022-06-02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659A true KR20230167659A (ko) 2023-12-11

Family

ID=8902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823A KR20230167659A (ko) 2022-06-02 2022-06-02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7659A (ko)
WO (1) WO202323445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718B1 (ko) 2011-03-23 2013-04-02 김남숙 신발 방향을 전환하는 신발집게
KR20170064968A (ko) 2015-12-02 2017-06-12 오재웅 향균탈취제가 구비된 신발집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16971C2 (de) * 1992-05-22 1995-06-08 Wolf Gmbh Richard Zange zum Fassen und Halten von Gewebe oder dergleichen
KR100274613B1 (ko) * 1998-01-15 2001-03-02 송영철 구두 집게장치
EP1877644B1 (en) * 2005-05-03 2016-06-29 Noetic Technologies Inc. Gripping tool
KR20130005204U (ko) * 2012-02-24 2013-09-03 장찬희 항균제 분사 기능을 갖는 신발 운반용 집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718B1 (ko) 2011-03-23 2013-04-02 김남숙 신발 방향을 전환하는 신발집게
KR20170064968A (ko) 2015-12-02 2017-06-12 오재웅 향균탈취제가 구비된 신발집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4453A1 (ko)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1647B2 (en) Combination toilet paper dispenser, disinfecting station, and deodorizing station
CA2681485C (en) Plunger caddy assembly
US7896153B2 (en) Toilet utensil kit
US5924610A (en) Device to facilitate putting on socks and similar articles of clothing
US20050173277A1 (en) Rotating toilet tool holder
KR20230167659A (ko) 방향전환 기능이 있는 집게
KR100843864B1 (ko) 호스 권취장치
US20110209297A1 (en) Self Draining Mop System
US20220095850A1 (en) Hand sanitizer dispenser
CN103517695B (zh) 用于病人起重机/升降机的紧急停止(锁闭)系统
KR101249718B1 (ko) 신발 방향을 전환하는 신발집게
US20030205252A1 (en) In-sink dishwasher with integrated latch
JP2533362Y2 (ja) 排水栓構造
KR200277539Y1 (ko) 호스릴
US11627844B2 (en) Foot wash apparatus
US11318601B2 (en) Grip tongs apparatus
CN216150106U (zh) 清洗枪及高压清洗装置
KR200442998Y1 (ko) 양변기
KR200357205Y1 (ko) 손 소독기
KR100274613B1 (ko) 구두 집게장치
JP4871602B2 (ja)
JP3424860B2 (ja) 内視鏡先端部
CN217566185U (zh) 一种用于微创手术组织夹的耐磨型夹座
KR102115545B1 (ko) 싱크대용 2단 발판
KR200418117Y1 (ko) 스팀청소기용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