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864B1 - 호스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호스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864B1
KR100843864B1 KR1020060119578A KR20060119578A KR100843864B1 KR 100843864 B1 KR100843864 B1 KR 100843864B1 KR 1020060119578 A KR1020060119578 A KR 1020060119578A KR 20060119578 A KR20060119578 A KR 20060119578A KR 100843864 B1 KR100843864 B1 KR 100843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roller
guide
flexible hose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9229A (ko
Inventor
오승근
Original Assignee
오승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근 filed Critical 오승근
Priority to KR1020060119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864B1/ko
Publication of KR20080049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B65H2402/443Housings with openings for delivering material, e.g. for dispens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2Bearings, e.g. magnetic or hydrostatic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7Ratch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3Hollow or hose-like material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냉,온수 급수관이 설치되어 있는 베란다 및 욕실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호스 권취장치가 개시된다. 케이스는 본체와 덮개로 형성된다. 냉,온수 연결관은 본체의 연결공에 설치된다. 유로부재는 본체에 설치된 고정브라켓에 설치된다. 보빈은 유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호스 연결구는 유로부재와 플렉시블 호스를 연결시킨다. 안내부재는 보빈에 설치되어 플렉시블 호스의 이동을 안내 및 제어한다. 비틀림스프링은 유로부재에 설치되고 나선형 판스프링은 보빈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한다. 호스 지지구는 지지브라켓의 지지공에 설치되고, 수전은 지지브라켓의 수전체결공에 설치된다. 냉,온수연결호스는 수전과 냉,온수연결관을 연결한다. 공급호스는 수전과 유로부재에 연결 설치된다. 호스정렬부재는 플렉시블 호스가 풀리고 감기는 것을 안내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물분사 건이 설치된 플렉시블 호스를 보다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고, 플렉시블 호스가 베란다의 바닥이나 욕실의 바닥 등에 늘어지지 않게 되어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호스를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60119578
호스, 플렉시블, 냉,온수, 롤러, 보빈

Description

호스 권취장치{A HOSE WIND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호스 권취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은 도 1에서 보빈과 유로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보빈에 탄성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안내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 권취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5a는 플렉시블 호스를 당기기 이전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플렉시블 호스를 당기고 있는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5c는 플렉시블 호스의 당김 동작이 정지되었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5d는 플렉시블 호스가 보빈에 감겨지는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도 5에서 플렉시블 호스를 당기고 놓았을 때 차단구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6a는 플렉시블 호스의 주름홈부에 고정단이 끼워져 있는 상태의 도면이고, 도 6b는 플렉시블 호스의 주름홈부에서 고정부가 이탈되어 있는 상태의 도면;
도 7a 내지 도 7f는 도 5에서 플렉시블 호스를 당기고 놓았을 때 작동기구와 제어기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호스 권취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안내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호스 권취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10a는 플렉시블 호스를 당기기 이전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0b는 플렉시블 호스를 당기고 있는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10c는 플렉시블 호스의 당김 동작이 정지되었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10d는 플렉시블 호스가 보빈에 감겨지는 상태의 정면도;
도 11a 내지 도 11e는 도 10에서 플렉시블 호스를 당기고 놓았을 때 제 1차단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a 내지 도 12d는 도 10에서 플렉시블 호스를 당기고 놓았을 때 제 1제어기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호스 권취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서 안내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서 제 2제어기구가 롤러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호스 권취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16a는 플렉시블 호스를 당기기 이전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6b는 플렉시블 호스를 당기고 있는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16c는 플렉시블 호스의 당김 동작이 정지되었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16d는 플렉시블 호스가 보빈에 감겨지는 상태의 정면도;
도 17a 내지 도 17c는 도 16에서 플렉시블 호스를 당기고 놓았을 때 제 2제어기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제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 예에 따른 호스 권취장치의 정면도이 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 케이스 1001 : 본체
1002: 연결공 1003 : 덮개
1010 : 냉,온수 연결관 1016 : 수도꼭지 연결관
1020 : 고정브라켓 1021 : 유로설치공
1030 : 유로연결구 1031 : 스프링설치부
1033 : 제 1유로부 1036 : 제 2유로부
1040 : 고정 컨넥터 1050 : 회전 컨넥터
1060 : 패킹 1080 : 보빈
1090 : 호스 연결구 1100 : 안내판
1110 : 전방 안내롤러 1120 : 후방 안내롤러
1130 : 차단구 1140 : 지지스프링
1142 : 작동축 1143 : 회동플레이트
1145 : 보조 작동축 1146 : 제어단
1150 : 작동축스프링 1151 : 보조 작동축스프링
1152 : 래칫휠 1154 : 스프로킷
1157 : 판스프링 1158 : 래칫고정커버
1170 : 작동롤러 1180A,1180B : 보조롤러
1190 : 비틀림스프링 1196 : 나선형 판스프링
1200 : 호스 지지구 1210 : 지지브라켓
1220 : 수전 1221 : 선택밸브
1223 : 유입부 1225 : 배출부
1227 : 보조 배출부 1230 : 냉,온수 연결호스
1240 : 공급호스 1245 : 수도공급호스
1250 : 호스정렬부재 1251 : 정렬축
1255 : 정렬롤러 1257 : 호스정렬비틀림스프링
1260 : 플렉시블 호스 1261 : 주름홈부
1320 : 제 1전방 안내롤러 1330 : 제 1후방 안내롤러
1340 : 제 1차단구 1341 : 제 1지지대
1350 : 작동단 1356 : 제 1고정단
1360 : 외통 1362 : 안내캠
1367 : 버튼부 1370 : 회전캠
1371 : 녹크 1372 : 녹크경사면
1374 : 가압부 1375 : 녹크스프링
1376 : 외통커버 1377 : 제 1작동축스프링
1380 : 제1작동롤러 1390A,1390B : 제 1보조롤러
1520 : 제 2전방롤러 1530 : 제 2후방롤러
1540 : 제어작동축 1550 : 제 2제어기구
1551 : 스토퍼 1552 : 제어롤러
1553 : 제 2고정단 1554 : 걸림홈부
1560 : 제 2작동축스프링 1570 : 제 2작동롤러
1580A,1580B : 제 2보조롤러
본 발명은 호스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물분사 건이 장착된 호스가 풀리거나 감기도록 하는 호스 권취장치에 의해 물분사 건이 설치된 플렉시블 호스를 보다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관리하고, 플렉시블 호스를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호스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욕실 및 대중 목욕탕이나 가정의 베란다 및 건물의 실외에는 수전금구가 설치되는 냉,온수 급수관이 설치되어 있고. 이 수전금구에는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물분사 건(샤워기)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물분사 건은 수전금구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의 조작에 의해 온수 또는 냉수가 물분사 건의 분사구를 통해 분사됨으로써 가정의 욕실이나 대중 목욕탕에서는 사용자의 신체에 전반적으로 물이 분사되어 신체를 깨끗이 씻을 수 있고, 가정의 베란다 및 건물의 실외에서는 화분에 물을 주거나 유리창 및 바닥면의 청소 그리고 자동차를 세차하게 된다.
이때, 수전금구와 물분사 건 사이에는 자유로운 굴곡이 가능한 호스가 연결된다.
상기한 호스는 자유로운 굴곡이 가능한 플렉시블 호스로서 고압의 수압이 작용하는 한편, 고온의 온수에 대해 적절한 내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플렉시블 호스의 나선형으로 주름홈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누수방지를 위해 연질PVC나 실리콘재로 이루어진 튜브가 내설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물분사 건은 벽면의 소정높이로 설치된 홀더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물분사 건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홀더에서 물분사 건을 분리한 다음 수전금구에 구비된 밸브를 개폐하여 사용목적에 물을 분사시켜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물분사 건은 가정의 욕실이나 대중 목욕탕에서는 몸에 비누칠을 하거나 타올을 사용하여 몸을 씻으면서 샤워를 실시하거나 가정의 베란다 및 건물의 실외에서는 화분에 물을 주거나 유리창 및 바닥면의 청소 를 하는 중에 사용이 불편한 실정 즉, 물분사 건이 벽면에서 소정높이의 홀더에 걸려 있으므로 홀더에서 물분사 건을 분리하여 사용한 후에는 다시 물분사 건을 홀더에 걸어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뒤따르고, 이러한 이유에서 물분사 건을 욕실의 바닥이나 또는 욕조 안, 베란다의 바닥이나 지면에 놓고 사용해야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물분사 건을 사용중에 플렉시블 호스가 욕실의 바닥이나 욕조 안 및 베란다의 바닥 등에 늘어지게 되므로 플렉시블 호스에 각종 이물질과 부유물(때)이 달라 붙어 청결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플렉시블 호스가 청결하지 못하여 비위생적으로 관리되는 한편 욕실의 바닥이나 욕조의 내부 및 베란다의 바닥에 플렉시블 호스가 늘어져 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물분사 건이 장착된 플렉시블 호스가 풀리거나 감기도록 하는 호스 권취장치에 의해 물분사 건이 설치된 플렉시블 호스를 보다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관리하는 한편, 물분사 건이 장착된 플렉시블 호스가 욕실의 바닥이나 베란다의 바닥 등에 늘어지지 않게 되어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호스를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호스 권취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와 덮개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의 벽면에 형성된 연결공에 설치되어 냉,온수급수관에 연결되는 냉,온수 연결관;
본체의 벽면 일측에 설치된 고정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는 유로부재;
유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측부에 가이드휠이 형성되어 플렉시블 호스가 감기는 보빈;
유로부재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플렉시블 호스의 일단에 연결 설치되는 호스 연결구;
보빈의 일측에 설치되어 플렉시블 호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
유로부재에 설치될 수 있게 양단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스프링연결 부가 형성된 비틀림스프링, 스프링연결부에 연결핀에 의해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보빈에 연결되어 보빈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나선형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
본체의 벽면 타측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의 지지공에 고정 설치되는 호스 지지구;
지지브라켓의 수전체결공에 설치되며, 유입부와 배출부가 형성된 수전;
수전의 유입부와 냉,온수연결관에 연결 설치되어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 연결호스;
수전의 배출부와 유로부재에 연결 설치되어 수전에 형성된 선택밸브에 의해 급수관을 통해 유입된 냉,온수를 유로부재로 공급시키는 공급호스; 및
보빈의 외측에 설치되며 보빈에 감기고 풀리는 상기 플렉시블 호스를 안내하고 가이드휠의 외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유지시켜주는 호스정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유로부재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걸림부가 끼워질 수 있게 고정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스프링설치부, 스프링설치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고정브라켓에 끼워 고정되는 고정부, 고정부의 일단에 제 1전,후패킹홈과 제 1전,후 패킹홈 사이에 유로와 연통되는 제 1유로공이 천공된 제 1유로홈부가 형성된 제 1유로부, 스프링설치부의 타단에 제 2전,후패킹홈과 제 2전,후패킹홈 사이에 유로와 연통되는 제 2유로공이 천공된 제 2유로홈부가 형성된 제 2유로부로 이루어진 유로연결구;
제 1유로부에 끼워져 고정볼트로 고정 설치되며 외주면 일측에 공급호스의 일측에 설치된 호스연결부가 결합되고 내부에 제 1유로공과 연통되는 제 1연통공을 갖는 제 1연결부가 형성된 고정 컨넥터;
제 2유로부에 끼워져 고정볼트로 고정 설치되며 외주면 일측에 호스 연결구의 일단이 연결되고 내부에 제 2유로공과 연통되는 제 2연통공을 갖는 제 2연결부가 형성된 회전 컨넥터; 및
제 1전,후패킹홈과 제 2전,후패킹홈에 각각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시켜주는 패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안내부재는,
본체의 내부 벽면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작동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설치부가 형성되며 작동부의 후면 일측단 상부에는 설치단이 형성된 안내판;
안내판의 설치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 안내롤러;
안내판의 설치부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 안내롤러;
안내판에 설치되며 플렉시블 호스의 이동을 제어하는 차단구;
안내판의 일측에 설치되며, 플렉시블 호스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차단구를 동작시키는 작동롤러; 및
작동롤러의 일측 상하부에 설치되어 플렉시블 호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보조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호스정렬부재는,
보빈의 외측에 설치되며 일측단에는 정렬판이 돌출 형성되고 정렬판의 자유 단에 롤러설치부가 형성된 정렬축;
롤러설치부에 설치되고 플렉시블 호스와 접촉하는 정렬롤러; 및
정렬축의 타단에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정렬판의 상면에 설치되고 타단은 본체의 벽면에 설치된 고정돌기에 지지되어 정렬축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호스정렬비틀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호스 권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보빈과 유로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보빈에 탄성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서 안내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호스 권취장치는 케이스(1000), 냉,온수 연결관(1010), 유로부재, 보빈(1080), 호스 연결구(1090), 안내부재, 탄성부재, 호스 지지구(1200), 수전(1220), 냉,온수 연결호스(1230), 공급호스(1240) 및 호스정렬부재(1250)로 이루어진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케이스(1000)는 본체(1001)와 덮개(1003)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공간부(1004)가 형성된다.
냉,온수 연결관(1010)은 본체(1001)의 벽면에 형성된 연결공(1002)에 설치되고, 별도의 연결부재로 냉,온수 급수관(도시 안됨)에 연결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로부재는 본체(1001)의 벽면 일측에 설치된 고정브라켓 (1020)에 설치되고 보빈이 설치되는 것으로, 유로연결구(1030), 고정 컨넥터(1040), 회전 컨넥터(1050) 및 패킹(1060)으로 이루어진다.
유로연결구(1030)는 내부에 냉,온수가 통과될 수 있게 유로(1030A)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후술할 비틀림스프링의 걸림부가 끼워질 수 있게 고정홈(1031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스프링설치부(1031), 스프링설치부(1031)의 일단에 형성되어 고정브라켓(1020)의 유로설치공(1021)에 끼워 고정되는 고정부(1032), 고정부(1032)의 일단에 제 1전,후패킹홈(1034)과 제 1전,후 패킹홈(1034) 사이에 유로(1030A)와 연통되는 제 1유로공(1035A)이 천공된 제 1유로홈부(1035)가 형성된 제 1유로부(1033), 스프링설치부(1031)의 타단에 제 2전,후패킹홈(1037)과 제 2전,후패킹홈(1037) 사이에 유로(1030A)와 연통되는 제 2유로공(1038A)이 천공된 제 2유로홈부(1038)가 형성된 제 2유로부(1036)로 이루어진다.
고정브라켓(1020)의 유로설치공(1021)은 유로연결구(1030)의 고정부(1032)가 결합되었을 때 유로연결구(1030)가 회전될 수 없는 형상, 예컨데 원형을 제외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정부(1032)의 형상도 유로설치공(10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한다.
고정 컨넥터(1040)는 제 1유로부(1033)에 끼워져 고정볼트(B)로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외주면 일측에는 공급호스(1240)의 일측에 설치된 호스 연결부(1241)가 결합되고 내부에 제 1유로공(1035A)과 연통되는 제 1연통공(1041A)을 갖는 제 1연결부(1041)가 돌출 형성된다.
회전 컨넥터(1050)는 제 2유로부(1036)에 끼워져 고정볼트(B)로 고정 설치되 는 것으로, 외주면 일측에는 호스 연결구(1090)의 일단이 연결되고 내부에 제 2유로공(1038A)과 연통되는 제 2연통공(1051A)을 갖는 제 2연결부(1051)가 돌출 형성된다.
패킹(1060)은 제 1전,후패킹홈(1034)과 제 2전,후패킹홈(1037)에 각각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시켜준다.
그리고, 스프링설치부(1031)와 고정부(1032) 사이에 제 1베어링부(1039A)가 형성되고, 스프링설치부(1031)와 제 2연결부(1051) 사이에는 제 2베어링부(1039B)가 형성된다. 제 1,2베어링부(1039A),(1039B)에는 후술할 보빈이 회전시 보빈과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되는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1070)이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보빈(1080)은 플렉시블 호스(1260)가 감기도록 한 것으로, 제 1디스크(1081)와 제 2디스크(1086)로 구성된다.
제 1디스크(1081)의 중앙에는 유로연결구(1030)가 결합될 수 있게 축공(1082)이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후술할 탄성부재가 수납되는 수납부(1084)를 갖는 수납돌출부(1083)가 돌출 형성되며 수납돌출부(1083)의 근접 거리 일측에는 탄성부재의 나선형 판스프링(1196) 타단이 걸려 지지될 수 있는 지지단(1085)이 돌출 형성된다.
제 2디스크(1086)는 제 1디스크(1081)와 결합되는 것으로, 내면에 축공(1087)이 중앙에 형성되고 수납돌출부(1083)에 결합되어 수납부(1084)를 폐쇄시키는 수납결합부(1088)가 돌출 형성된다. 수납결합부(1088)의 일측에는 플렉시블 호스(1261)가 인출 및 수납될 수 있도록 출입공(1089)이 형성된다.
제 1디스크(1081)와 제 2디스크(1086)의 일측 단부에는 가이드흴(1081A),(1086A)가 돌출 형성된다.
호스 연결구(1090)는 냉,온수 급수관을 통해 유입된 냉,온수를 플렉시블 호스(1260)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회전 컨넥터(1050)의 제 2연결부(105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플렉시블 호스(1260)의 일단에 연결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안내부재는 보빈(1080)의 일측에 설치되어 플렉시블 호스(126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안내판(1100), 전방 안내롤러(1110), 후방 안내롤러(1120), 차단구(1130), 작동롤러(1170) 및 보조롤러(1180)로 이루어진다.
안내판(1100)은 본체(1001)의 내부 벽면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작동부(1101)가 형성되고 전면에 설치부(1106)가 형성된다. 작동부의 후면 일측단 상부에는 설치단(1108)이 형성된다. 작동부(1101)에는 후술할 작동기구의 보조 작동축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게 보조 작동축의 상부와 하부에 상,하부스토퍼(1102),(1103)가 설치된다.
전방 안내롤러(1110)는 안내판(1100)의 설치부(1106)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하부 한 쌍으로 형성된다.
후방 안내롤러(1120)는 안내판(1100)의 설치부(1106) 타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하부 한 쌍으로 형성된다.
전방 안내롤러(1110)와 후방 안내롤러(1120)는 플렉시블 호스(126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차단구(1130)는 안내판(1100)에 설치되어 플렉시블 호스(1260)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지지대(1131), 상,하부작동단(1134A,1134B), 지지스프링(1140A,1140B), 고정단(1141A,1141B) 및 작동기구로 이루어진다.
지지대(1131)는 전방 안내롤러(1110)와 후방 안내롤러(1120) 사이에 설치되며 배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삽입부(1132)가 형성되고 중앙에 호스끼움부(1133)가 형성된다.
상,하부작동단(1134A,1134B)은 지지대(1131)의 삽입부(1132)에 설치되되 호스끼움부(1133)의 상,하단에 설치되며 일단에는 플렉시블 호스(1260)의 외경을 감싸는 반원형의 지지홈부(1135A,1135B)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스프링홈(1136A,1136B)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배면에는 작동돌기(1137A,1137B)가 돌설되고 양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마찰방지돌기(1138A,1138B)가 형성된다.
지지스프링(1140A,1140B)은 상,하부작동단(1134A,1134B)의 스프링홈(1136A,1136B)에 각각 결합되어 상,하부작동단(1134A,1134B)을 탄력 지지 및 간격을 유지시켜 준다.
고정단(1141A,1141B)은 지지홈부(1135A,1135B)에 설치되어 상,하부작동단(1134A,1134B)의 상,하이동에 의해 플렉시블 호스(1260)의 주름홈부(1261)에 끼워 지지된다.
작동기구는 작동롤러(1170)와 안내판(1100)에 설치되어 상,하부작동단(1134A,1134B)을 동작시키는 것으로, 작동축(1142), 회동플레이트(1143), 연결스프링(1144), 보조 작동축(1145), 작동축스프링(1150) 및 보조 작동축스프링(1151)으 로 이루어진다.
작동축(1142)은 설치단(1108)에 중앙부가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며 일단에는 작동롤러(1170)에 결합되는 롤러결합단(1142A)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축누름단(1142B)이 형성된다.
회동플레이트(1143)는 축누름단(1142B)에 설치되고, 연결스프링(1144)은 회동플레이트(1143)와 축누름단(1142B)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플레이트(1143)에 탄력을 부여한다.
보조 작동축(1145)는 작동부(1101)에 설치되며 상,하부작동단(1134A,1134B)을 동작시켜 플렉시블 호스(126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기구가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단(1146)이 형성된다. 제어단(1146)의 외주면에 래칫설치홈(1147)이 형성되되 래칫설치홈(1147)의 일단방향으로 절개되어 래칫작동부(1147A)를 구비하고, 래칫설치홈(1147)의 일측에는 축누름단(1142B)의 저부에 위치되는 아암(1148)이 돌출 형성된다.
작동축스프링(1150)은 작동축(1142)과 설치단(1108)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작동축(1142)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단은 작동축(1142)의 일단 상면에 설치되고 타단은 설치단(1108)에 돌설된 돌출부(1109)에 걸려 지지된다.
보조 작동축스프링(1151)은 제어단(1146)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보조 작동축(1145)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단은 아암(1148)의 상면에 설치되고 타단은 하부 스토퍼(1103)에 걸려 지지된다.
제어기구는 제어단(1146)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1149)에 설치되는 래칫휠 (1152), 래칫휠(1152)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기어이(1155)의 표면에 작동돌기(1137)가 안착되는 돌기홈(1155A)이 형성된 스프로킷(1154), 제어단(1146)의 축공(1149A)을 통해 관통하여 래칫휠(1152)과 스프로킷(1154)을 고정시키는 고정축(1156), 래칫작동부(1147A)와 래칫휠(1152) 사이에 설치되고 래칫휠(1152)에 걸림되는 판스프링(1157) 및 래칫설치홈(1147)에 결합되어 판스프링(1157)을 고정시키는 래칫고정커버(1158)로 구성된다.
여기서, 래칫휠(1152)의 기어이(1153)와 스프로킷(1154)의 기어이(1155)는 2:1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판스프링(1157)은 일단은 래칫고정커버(1158)에 접촉되고 타단은 래칫휠(1152)에 걸려 지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판스프링(1157)이 래칫작동부(1147A)와 래칫휠(1152)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판스프링(1157)의 일단이 래칫고정커버(1158)에 리벳팅이나 용접으로 융착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단(1146)는 양방향으로 회전하고 래칫휠(1152)과 스프로킷(1154)은 일방향으로만 회전한다.
한편, 호스끼움부(1133)의 상,하부에 가이드홈(1133A)이 형성되고, 상,하부작동단(1134A,1134B)의 전면에는 가이드홈(1133A)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1139A,1139B)가 형성되어 플렉시블 호스(1260)를 호스끼움부(1133)로 삽입 설치한다.
작동롤러(1170)는 안내판(1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플렉시블 호스(1260)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차단구(1130)를 동작시킨다.
보조롤러(1180)는 작동롤러(1170)의 일측 상하부에 설치되어 플렉시블 호스(1260)를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탄성부재는 비틀림스프링(1190)과 나선형 판스프링(1196)으로 이루어진다. 비틀림스프링(1190)은 유로연결구(1030)에 형성된 스프링설치부(1031)의 고정홈(1031A)에 삽입 고정될 수 있게 양단에 걸림부(1191)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스프링연결부(1192)가 형성된다.
나선형 판스프링(1196)은 보빈(1080)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스프링연결부(1192)에 연결핀(1194)으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제 1디스크(1081)의 지지단(1085)에 걸려 지지된다.
나선형 판스프링(1196)은 보빈(1080)이 도 2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감기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풀러진다.
호스 지지구(1200)는 본체(1001)의 벽면 타측에 설치된 지지브라켓(1210)의 지지공(1211)에 고정 설치된다.
수전(1220)은 지지브라켓(1210)의 수전체결공(1213)에 설치되며, 선택밸브(1221)를 구비하고 유입부(1223)와 배출부(1225)가 형성된다.
냉,온수 연결호스(1230)는 수전(1220)의 유입부(1223)와 냉,온수 연결관(1010)에 연결 설치되어 냉,온수를 공급한다.
공급호스(1240)는 수전(1220)의 배출부(1225)와 고정 컨넥터(1040)의 제 1연결부(1041)에 연결 설치되어 수전(1220)의 선택밸브(1221)에 의해 냉,온수 급수관 을 통해 유입된 냉,온수를 유로부재로 공급시킨다.
호스정렬부재(1250)는 보빈(1080)의 외측에 설치되며 보빈(1080)에 감기고 풀리는 플렉시블 호스(1260)가 가이드휠(1081A),(1086A)의 외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유지시켜주는 것으로, 정렬축(1251)과 정렬롤러(1255) 및 호스정렬비틀림스프링(1257)으로 이루어진다.
정렬축(1251)은 보빈(1080)의 외측에 설치되며 일측단에는 정렬판(1252)이 돌출 형성되고 정렬판(1252)의 자유단에 롤러설치부(1253)가 형성된다.
정렬롤러(1255)는 롤러설치부(1253)에 설치되고 플렉시블 호스(1260)와 접촉하면서 플렉시블 호스(1260)가 보빈(1080)으로 부터 이탈 및 흐트러지지 않게 유지시켜준다.
호스정렬비틀림스프링(1257)은 정렬축(1251)의 타단에 설치되되 일단은 정렬판(1252)의 상면에 설치되고 타단은 본체(1001)의 벽면에 설치된 고정돌기(도시안됨)에 지지되어 정렬축(1251)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한다.
한편, 플렉시블 호스(1260)의 타단에는 물분사 건(1270)이 연결 설치된다.
본 발명 호스 권취장치는 가정의 욕실이나 대중 목욕탕에 설치되어 몸을 씻으면서 샤워를 실시하거나 가정의 베란다 및 건물의 실외에 설치하여 화분에 물을 주거나 유리창 및 바닥면의 청소를 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냉,온수급수관이 설치된 장소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정의 베란다 및 건물의 실외에 설치하여 화분에 물을 주거나 유리창 및 바닥면의 청소를 하기 위한 호스 권취장치에 대 해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의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호스 권취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로 운반한다. 즉, 가정의 베란다 및 건물의 실외로 운반 한 후, 냉,온수 급수관에 별도의 연결부재로 연결 설치한다.
플렉시블 호스(1260)는 도 5a와 같이 일단이 호스 연결구(1090)에 연결 설치되면서 보빈(1080)에 감겨지고, 한 쌍의 전방 안내롤러(1110)와 후방 안내롤러(1120) 사이를 통과함과 동시에 상,하부작동단(1134A,1134B)의 지지홈부(1135A,1135B) 사이에 끼워지고, 작동롤러(1170)에 의하여 방향이 바뀌면서 호스 지지구(1200)를 통과하여 타단에 물분사 건(1270)이 장착된다.
여기서, 플렉시블 호스(1260)가 상,하부작동단(1134A,1134B)의 지지홈부(1135A,1135B) 사이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상,하부작동단(1134A,1134B)의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139A,1139B)를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가이드돌기(1139A,1139B)는 지지대(1131)의 가이드홈(1133A)을 따라 각각 이동하게 되면서 상,하부작동단(1134A,1134B)의 간격이 멀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플렉시블 호스(1260)를 지지대(1131)의 호스끼움부(1133)를 통해 상,하부작동단(1134A,1134B)의 지지홈부(1135A,1135B) 사이로 끼워 위치시키면 된다. 플렉시블 호스(1260)가 지지홈부(1135A.1135B) 사이에 위치되면 가이드돌기(1139A,1139B)를 놓는다. 그러면, 지지스프링(1140A,1140B)에 의해 가이드돌기 (1139A,1139B)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면서 플렉시블 호스(1260)의 외경을 감싸게 되면서 플렉시블 호스(1260)의 설치가 완료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도 5a와 같은 상태에서 베란다의 청소 및 화분에 물을 주기 위해서, 플렉시블 호스(1260)에 장착된 물분사 건(1270)을 파지하여 잡아당기면, 작동롤러(1170)가 상방으로 일정 거리 이동함과 동시에 플렉시블 호스(1260)의 일단이 연결 설치된 호스 연결구(1090)에 의하여 보빈(1080)이 회전하게 되고, 보빈(1080)의 회전에 의해 플렉시블 호스(1260)는 보빈(1080)에서 풀리면서 전방 안내롤러(1110)와 후방 안내롤러(1120), 작동롤러 (1170) 및 상부 보조롤러(1180A)에 의해 안내되면서 호스 지지구(120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도 5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길이만큼 플렉시블 호스(1260)가 인출되어 플렉시블 호스(1260)를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호스(1260)를 잡아 당기는 동작을 정지시킨 후 동시에 플렉시블 호스(1260)를 다시 잡았다 놓는다. 그러면 동작이 멈추는 동시에 작동축스프링(1150)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롤러(117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고, 작동롤러(1170)에 의해 차단구(1130)가 작동하면서 고정단(1141A,1141B)이 플렉시블 호스(1260)의 주름홈부(1261)에 끼워져 지지되어 플레시블 호스(1260)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전(1220)의 선택밸브(122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냉,온수 급수관을 통해 유입된 냉,온수는 냉,온수 연결호스(1230)를 통해 수전(1220)으로 유입되고, 수전(1220)으로 유입된 냉,온수는 공급호스(1240)를 통해 유로연결구(1030)로 공급되며, 유로연결구(1030)로 유입된 냉,온수는 플렉시블 호스(1260)로 공급되면서 물분사 건(127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도 5d를 참조하면, 그리고 사용이 완료되어 인출되어진 플렉시블 호스(1260)를 보빈(1080)에 감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호스(1260)에 장착된 물분사 건(1270)을 파지하여 잡아당겼다 놓으면 작동롤러(1170)가 동작하면서 차단구(1130)를 동작시키고, 차단구(1130)의 동작에 의해 플렉시블 호스(1260)의 주름홈부(1261)에 끼워져 지지되어 있던 고정단(1141A,1141B)이 이탈되면서 플렉시블 호스(1260)가 이동하게 되면서 보빈(1080)에 감기게 된다. 이때, 보빈(1080)은 나선형 판스프링(1196)에 작용하는 회전 복원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플렉시블 호스(1260)가 출입공(1089)을 통해 감기게 된다.
여기서, 플렉시블 호스(1260)가 보빈(1080)에 감겨질 때 플렉시블 호스(1260)는 호스 지지구(1200)를 통과하면서 하부 보조롤러(1180B), 작동롤러(1170), 후방 안내롤러(1120), 전방 안내롤러(1110)에 의해 안내되면서 보빈(1080)에 감겨지게 된다.
한편, 플렉시블 호스(1260)를 당기고 놓았을 때 안내부재의 작동 과정을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와 도 7a는 플렉시블 호스(1260)를 잡아당기기 이전 상태의 도면으로서, 플렉시블 호스(1260)는 도 5a와 같이 상,하부작동단(1134A,1134B)의 지지홈부(1135A,1135B)에 설치된 고정단(1141A,1141B)에 주름홈부(1261)가 걸려 지지되어 있고, 작동돌기(1137A,1137B)는 스프로킷(1154)의 기어이(1155) 사이에 형성된 요홈(1155B)에 위치되며, 판스프링(1157)은 래칫작동부(1147A)과 래칫휠(1152) 사이 에 설치되되, 일단(1157A)은 래칫고정커버(1158)의 저면에 접촉되고 타단(1157B)은 래칫휠(1152)의 일측 기어이(1153)에 치합되어 있다.
도 5b와 도 7b를 참조하면, 도 6a와 도 7a와 같은 상태에서 베란다의 청소 및 화분에 물을 주기 위해서, 플렉시블 호스(1260)에 장착된 물분사 건(1270)을 파지하여 잡아당기면, 작동롤러(117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며, 작동롤러(1170)의 이동에 의해 작동축(1142)이 같이 회동하게 되고, 작동축(1142)의 회동에 의해 작동축(1142)의 축누름단(1142B)에 연결 설치된 회동 플레이트(1143)가 보조 작동축(1145)의 아암(1148)을 가압시켜주게 되어 아암(1148)이 하부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아암(1148)의 회동에 의해 제어단(1146)이 회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제어단(1146)의 회동에 의해 판스프링(1157)의 타단(1157B)이 일측 기어이(1153)를 가압시키고, 이 가압에 의해 래칫휠(1152)이 제어단(1146)의 회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래칫휠(1152)에 설치된 스프로킷(1154)도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동한다. 스프로킷(1154)의 회동에 의해 스프로킷(1154)의 일측 요홈(1155B)에 안착되어 있던 상,하부작동단(1134A,1134B)에 형성된 작동돌기(1137A,1137B)는 스프로킷(1147)의 일측 기어이(1155)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홈(1155A)에 안착된다. 이때, 상,하부작동단(1134A,1134B)는 도 6b와 같이 지지대(1131)의 삽입부(1132)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하부작동단(1134A,1134B)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고, 지지스프링(1140A,1140B)은 압축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호스(1260)를 잡아 당기고 있을 때 보조 자동축(1145)이 하부 스토퍼(1103)에 위치되면 축누름단(1142B)과 보조 작동축(1145)와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보조 작동축(1145)의 보조 작동축스프링(1151)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이동하고, 보조 작동축(1145)의 이동에 의해 판스프링(1157)의 타단(1157B)은 래칫휠(1152)의 타측 기어이(1153A)에 치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플렉시블 호스(1261)를 사용하고자 하는 길이만큼 잡아당기면 된다. 이때, 작동롤러(1170)는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이다.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길이만큼 플렉시블 호스(1260)가 인출되어 플렉시블 호스(1260)를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호스(1260)를 잡아 당기는 동작을 정지시킨 후 동시에 플렉시블 호스(1260)를 다시 잡았다 놓는다. 그러면 동작이 멈추는 동시에 작동축스프링(1150)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롤러(117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고, 작동롤러(1170)에 의해 차단구(1130)가 작동하면서 고정단(1141A,1141B)이 플렉시블 호스(1260)의 주름홈부(1261)에 끼워져 지지되어 플레시블 호스(1260)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d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호스(1260)를 잡아당기는 동작을 멈추고 놓으면, 동작이 멈추는 동시에 작동축스프링(1150)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롤러(117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고, 동시에 작동축(1142)도 회동하며, 작동축(1142)의 회동에 의해 축누름단(1142B)는 아암(1148)과 접촉하면서 연결스프링(1144)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회동하고, 작동축(1142)의 회동이 상부 스토퍼(1102)에 위치되면 회동이 완료되면 축누름단(1142B)은 아암(1148)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7e를 참조하면, 이러한 상태에서 플렉시블 호스(1260)를 다시 한번 잡아 당기면, 작동롤러(117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며, 작동롤러(1170)의 이동에 의해 작동축(1142)이 같이 회동하게 되고, 작동축(1142)의 회동에 의해 작동축(1142)의 축누름단(1142B)에 연결 설치된 회동 플레이트(1143)가 보조 작동축(1145)의 아암(1148)을 가압시켜주게 되어 아암(1148)이 하부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아암(1148)의 회동에 의해 제어단(1146)이 회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제어단(1146)의 회동에 의해 판스프링(1157)의 타단(1157B)은 타측 기어이(1153A)를 가압시키고, 이 가압에 의해 래칫휠(1152)이 제어단(1146)의 회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래칫휠(1152)에 설치된 스프로킷(1154)도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동한다. 스프로킷(1154)의 회동에 의해 스프로킷(1154)의 돌기홈(1155A)에 안착되어 있던 상,하부작동단(1134A,1134B)에 형성된 작동돌기(1137A,1137B)는 스프로킷(1147)의 타측 기어이(1155´)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타측 요홈(1155B’)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하부작동단(1134A,1134B)는 도 6a와 같이 작동돌기(1137A,1137B)가 타측 요홈(1155B´)에 위치하게 되면, 상,하부작동단(1134A,1134B)는 지지대(1131)의 삽입부(1132)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하부작동단(1134A,1134B)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하부작동단(1134A,1134B)의 지지홈부(1135A,1135B)에 설치된 고정단(1141A,1141B)은 플렉시블 호스(1260)의 주름홈부(1261)가 걸려 지지되어 플렉시블 호스(1260)의 이동이 정지된다.
도 7f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호스(1260)를 놓으면, 동작이 멈추는 동시에 작동축스프링(1150)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롤러(117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고, 동시 에 작동축(1142)도 회동하며, 작동축(1142)의 회동에 의해 축누름단(1142B)는 아암(1148)과 접촉하면서 연결스프링(1144)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회동하고, 작동축(1142)의 회동이 상부 스토퍼(1102)에 위치되면 회동이 완료되면 축누름단(1142B)은 아암(1148)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이 완료되어 인출되어진 플렉시블 호스(1260)를 보빈(1080)에 감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호스(1260)에 장착된 물분사 건(1270)의 손잡이(1272)를 파지하여 잡아당겼다 놓으면 작동롤러(117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차단구(1130)를 동작시키고, 차단구(1130)의 동작에 의해 플렉시블 호스(1260)의 주름홈부(1261)에 끼워져 지지되어 있던 고정단(1141A,1141B)이 이탈되면서 플렉시블 호스(1260)가 이동하게 되면서 보빈(1080)에 감기게 된다. 이때, 보빈(1080)은 나선형 판스프링(1196)에 작용하는 회전 복원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플렉시블 호스(1260)가 출입공(1089)을 통해 감기게 된다.
여기서, 작동롤러(1170)의 이동에 의해 차단구와 작동기구 및 제어기구의 동작 상태는 전술한 도 6 및 도 7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플렉시블 호스(1260)가 보빈(1080)으로 부터 감기거나 풀릴 때, 보빈(1080)의 외측에 구빈된 호스정렬부재(1250)에 의해 플렉시블 호스(1260)가 보빈(1080)에 엉킴없이 잘 풀리거나 감겨지도록 안내되어 플렉시블 호스(1260)가 용이하게 풀리거나 감겨진다. 뿐만 아니라 정렬롤러(1266)가 고무재로서 플렉시블 호스(1260)가 보빈(1080)에 풀리거나 감겨질 때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작동롤러(1170)의 이동에 의해 보조 작동축(1145)이 동작시 보조 작 동축(1145)은 안내판(1100)의 작동부(1101)에 설치된 상,하부스토퍼(1102),(1103)에 의해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상,하부작동단(1134A,1134B)이 지지대(1131)의 삽입부(1132)를 따라 상,하부로 이동시 마찰이 발생되면서 소음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소음은 상,하부작동단(1134A,1134B)에 형성된 마찰방지돌기(1138A,1138B)에 의해 지지대(1131)의 삽입부(1132) 내면과의 접촉면적이 적게 되고, 이에 따라 상,하부작동단(1134A,1134B)이 지지대(1131)의 삽입부(1132)를 따라 상,하부로 이동시 발생되는 마찰음을 최소화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물분사 건이 설치된 플렉시블 호스를 보다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고, 플렉시블 호스를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호스 권취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안내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호스 권취장치는 케이스(1000), 냉,온수 연결관(1010), 유로부재, 보빈(1080), 호스 연결구(1090), 안내부재, 탄성부재, 호스 지지구(1200), 수전(1220), 냉,온수 연결호스(1230), 공급호스(1240) 및 호스정렬부재(1250)로 이루어진다. 그 자세한 설명은 앞서 설명된 제 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외하고 나머지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도면 부호는 제 1실시 예와 일치시켜 사용하 기로 한다.
도 8 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재는 보빈(1080)의 일측에 설치되어 플렉시블 호스(126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제 1전방 안내롤러(1320), 제 1후방 안내롤러(1330), 제 1차단구(1340), 제 1작동롤러(1380) 및 제 1보조롤러(1390A,1390B)로 이루어진다.
제 1전방 안내롤러(1320)는 보빈(1080)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되, 본체(1001)의 벽면에 설치된 제 1전방 롤러설치단(1300A,1300B)에 축설되며, 상,하부 한 쌍으로 형성된다.
제 1후방 안내롤러(1330)는 제 1전방 안내롤러(1320)의 일측에 설치되며, 본체(1001)의 벽면에 설치된 제 1후방 롤러설치단(1310A,1310B)에 축설되며, 상,하부 한 쌍으로 형성된다.
제 1차단구(1340)는 플렉시블 호스(1260)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제 1후방 안내롤러(1330)가 설치된 제 1후방 롤러설치단(1310A)의 중앙부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누름단(1311)과 제 1작동축(1312)을 포함하고, 제 1지지대(1341), 작동단(1350), 제 1고정단(1356), 제 1지지스프링(1357), 제 1제어기구 및 제 1작동축스프링(1377)으로 이루어진다.
제 1지지대(1341)는 제 1전방 안내롤러(1320)와 제 1후방 안내롤러(1330) 사이에 설치되며,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제 1삽입부(1342)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제 1호스끼움부(1343)가 형성된다. 배면 상단에는 내부에 제 1작동공(1345)이 관통된 제 1작동부(1344)가 돌출 형성된다.
작동단(1350)은 제 1지지대(1341)의 제 1삽입부(1342)에 설치되며 상단에는 제 1호스끼움부(1343)를 통해 플렉시블 호스(1260)가 끼워질 수 있게 제 1호스삽입부(1351)가 형성되고 제 1호스삽입부(1351)의 하부에는 플렉시블 호스(1260)가 위치할 수 있게 제 1호스안착홈부(1352)가 형성된다. 배면 하단에는 제 1지지돌부(1353)가 돌설되고 저면에는 제 1스프링홈(1354)이 형성된다.
제 1고정단(1356)은 제 1호스안착홈부(1352)에 설치되며 작동단(1350)의 이동에 의해 플렉시블 호스(1260)의 주름홈부(1261)에 끼워져 지지된다.
제 1지지스프링(1357)은 제 1지지대(1341)의 제 1삽입부(1342) 설치하되일단은 제 1스프링설치홈(1354)에 설치되어 작동단(1350)을 탄력 지지해 준다.
제 1제어기구는 제 1작동부(1344)의 제 1작동공(1345)에 설치되며 제 1작동롤러(1380)의 동작에 의해 작동단(1350)을 이동시켜 플렉시블 호스(1260)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외통(1360), 안내캠(1362), 버튼부(1367), 회전캠(1370), 가압부(1374), 녹크스프링(1375) 및 외통커버(1376)로 이루어진다.
외통(136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안내캠(1362)은 외통(1360)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제 1녹크안내홈(1363)이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제 1녹크안내홈(1363)의 일측 단부에서 일측으로 제 1경사면(1364A)을 갖는 제 1녹크안내돌기(1364)가 형성된다. 제 1녹크안내돌기(1364)의 일측으로는 제 2경사면(1365A)을 갖는 제 2녹크안내홈(1365)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2녹크안내홈(1365)의 일측으로는 제 1녹크안내홈(1363)의 타측 단부로 제 3경사면(1366A)을 갖는 제 2녹크안내돌기(1366)가 형성된다.
버튼부(1367)는 안내캠(1362)의 내부를 통해 끼워지며 하단부에 다수의 톱니(1368)가 형성되고 톱니(1368)의 외주면에는 제 1녹크안내홈(1363)의 일측 단부에 걸려 지지되는 이탈방지돌기(1369)가 돌설된다. 이에 따라 버튼부(1367)는 외통(136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회전캠(1370)은 외통(136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면에 제 1녹크안내홈(1363)과 제 2녹크안내홈(1365)에 결합되는 다수의 녹크(1371)가 형성된다.
가압부(1374)는 회전캠(1370)의 하단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가 작동단(1350)의 제 1지지돌부(1353) 상면에 위치한다.
녹크스프링(1375)은 가압부(1374)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회전캠(1370)을 탄력 지지한다.
외통커버(1376)은 외통(1360)에 나사 결합되어 외통(1360)의 내부에 결합되는 안내캠(1362), 버튼부(1367), 회전캠(1370), 가압부(1374) 및 녹크스프링(1375)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작동축스프링(1377)은 제 1작동축(1312)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 1후방 롤러설치단(1310A)에 설치되되, 일단은 제 1작동축(1312)의 상면에 안착되고 타단은 본체(1001)의 벽면에 설치된 제 1고정돌기(1007)에 지지 된다.
제 1녹크안내홈(1363)은 제 2녹크안내홈(1365)보다 깊게 형성되고, 제 1,2녹크안내홈(1363),(1365)과 제 1,2녹크안내홈(1363),(1365)에 결합되는 녹크(1371)는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녹크(1371)의 자유단에는 제 2녹크안내홈(1365)에 형성된 제 2경사면(1365A)와 동일한 방향으로 녹크경사면(1372)이 형성된다.
제 1작동롤러(1380)는 제 1후방 안내롤러(1330)의 일측에 설치되며, 플렉시블 호스(1260)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제 1차단구(1340)를 동작시킨다.
제 1보조롤러(1390A,1390B)는 제 1작동롤러(1380)의 일측 상하부에 설치되어 플렉시블 호스(1260)가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호스 권취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로 운반한다. 즉, 가정의 베란다 및 건물의 실외로 운반 한 후, 냉,온수 급수관에 별도의 연결부재로 연결 설치한다.
플렉시블 호스(1260)는 도 12a와 같이 일단이 호스 연결구(1090)에 연결 설치되면서 보빈(1080)에 감겨지고, 한 쌍의 제 1전방 안내롤러(1320)와 제 1후방 안내롤러(1330) 사이를 통과함과 동시에 작동단(1350)의 제 1호스안착홈부(1352)에 끼워지고, 작동롤러(1170)에 의하여 방향이 바뀌면서 호스 지지구(1200)를 통과하여 타단에 물분사 건(1270)이 장착된다.
여기서, 플렉시블 호스(1260)가 작동단(1350)의 제 1호스안착홈부(1352)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제 1제어기구의 버튼부(1367)를 하방으로 눌러주면 가압에 의해 제 1제어기구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 1제어기구의 이동에 의해 제 1제어기구의 가압부(1374)는 작동단(1350)의 제 1지지돌부(1353)를 가압시켜 주고, 이 가압에 의해 제 1지지돌부(1353)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제 1호스삽입부(1351)가 제 1삽입부(1342)와 일치하게 되어 개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플렉시블 호스(1260)를 제 1지지대(1341)의 제 1삽입부(1342)와 제 1호스삽입부(1351)로 끼우고 동시에 제 1호스삽입부(1351)에 위치되어 있는 플렉시블 호스(1260)를 제 1호스안착홈부(1352)를 이동시킨 후 가압하고 있는 제 1제어기구의 가압을 해제시키면 제 1지지스프링(1357)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단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원래 위치로 복귀되면서 플렉시블 호스(1260)의 설치가 완료된다.
도 10b를 참조하면, 도 10a와 같은 상태에서 베란다의 청소 및 화분에 물을 주기 위해서, 플렉시블 호스(1260)에 장착된 물분사 건(1270)을 파지하여 잡아당기면, 제 1작동롤러(1380)가 상방으로 일정 거리 이동함과 동시에 플렉시블 호스(1260)의 일단이 연결 설치된 호스 연결구(1090)에 의하여 보빈(1080)이 회전하게 되고, 보빈(1080)의 회전에 의해 플렉시블 호스(1260)는 보빈(1080)에서 풀리면서 제 1전방 안내롤러(1320)와 제 1후방 안내롤러(1330), 제 1작동롤러 (1380) 및 제 1상부 보조롤러(1390A)에 의해 안내되면서 호스 지지구(120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도 10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길이만큼 플렉시블 호스(1260)가 인출되어 플렉시블 호스(1260)를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호스(1260)를 잡아 당기는 동작을 정지시킨 후 동시에 플렉시블 호스(1260)를 다시 잡 았다 놓는다. 그러면 동작이 멈추는 동시에 제 1작동축스프링(1377)의 복원력에 의해 제 1작동롤러(138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고, 제 1작동롤러(1380)에 의해 제 1차단구(1340)가 상방으로 작동하면서 제 1고정단(1356)이 플렉시블 호스(1260)의 주름홈부(1261)에 끼워져 지지되어 플레시블 호스(1260)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전(1220)의 선택밸브(122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냉,온수 급수관을 통해 유입된 냉,온수는 냉,온수 연결호스(1230)를 통해 수전(1220)으로 유입되고, 수전(1220)으로 유입된 냉,온수는 공급호스(1240)를 통해 유로연결구(1030)로 공급되며, 유로연결구(1030)로 유입된 냉,온수는 플렉시블 호스(1260)로 공급되면서 물분사 건(127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도 10d를 참조하면, 그리고 사용이 완료되어 인출되어진 플렉시블 호스(1260)를 보빈(1080)에 감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호스(1260)에 장착된 물분사 건(1270)의 손잡이(1272)를 파지하여 잡아당겼다 놓으면 제 1작동롤러(1380)가 동작하면서 제 1차단구(1340)를 동작시키고, 제 1차단구(1340)의 동작에 의해 플렉시블 호스(1260)의 주름홈부(1261)에 끼워져 지지되어 있던 제 1고정단(1356)이 이탈되면서 플렉시블 호스(1260)가 이동하게 되면서 보빈(1080)에 감기게 된다. 이때, 보빈(1080)은 나선형 판스프링(1196)에 작용하는 회전 복원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플렉시블 호스(1260)가 출입공(1089)을 통해 감기게 된다.
여기서, 플렉시블 호스(1260)가 보빈(1080)에 감겨질 때 플렉시블 호스(1260)는 호스 지지구(1200)를 통과하면서 제 1하부 보조롤러(1380B), 제 1작동롤러(1380), 제 1후방 안내롤러(1330), 제 1전방 안내롤러(1320)에 의해 안내되면서 보빈(1080)에 감겨지게 된다.
한편, 플렉시블 호스(1260)를 당기고 놓았을 때 안내부재의 작동 과정을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a 및 도 12a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호스(1260)를 잡아당기기 이전 상태의 도면으로서, 플렉시블 호스(1260)는 작동단(1350)의 제 1호스안착홈부(1352)에 설치된 제 1고정단(1356)에 주름홈부(1261)가 걸려 지지되고, 누름단(1311)은 버튼부(1367)의 상부에 위치되며, 녹크(1371)는 제 1녹크안내홈(1363)에 위치되어 있고, 가압부(1374)는 제 1지지돌부(1353)의 상면에 위치되어 있다.
도 11b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도 11a 및 도 12a와 같은 상태에서 베란다의 청소 및 화분에 물을 주기 위해서, 플렉시블 호스(1260)에 장착된 물분사 건(1270)의 손잡이(1272)를 파지하여 잡아당기면, 도 10b의 제 1작동롤러(1380)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제 1작동롤러(1380)의 이동에 의해 제 1작동축(1312)은 상방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제 1작동축(1312)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누름단(1311)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제 1제어기구의 버튼부(1367)를 가압시킨다. 그러면 버튼부(1367)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톱니(1368)와 접촉되어 있는 녹크경사면(1372)을 가압시키고, 이 가압에 의해 회전캠(1370)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녹크경사면(1372)이 제 1녹크안내돌기(1364)의 제 1경사면(1364A)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캠(1370)의 이동에 의해 가압부(1374)는 작동단(1350)의 제 1지지돌부(1353)를 가압시켜 작동단(1350)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작동단(1350)의 이동에 의해 플렉시블 호스(1260)의 주름홈부(1261)에 걸려 지지되어 있던 제 1고정단(1356)이 이탈된다.
계속해서, 도 11c 및 도 12c를 참조하면, 녹크경사면(1372)이 제 1녹크안내돌기(1364)의 제 1경사면(1364A)에 위치하고 작동단(1350)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녹크스프링(1375)의 탄성력에 의하여 동시에 녹크(1371)는 제 1녹크안내돌기(1364)의 제 1경사면(1364A)을 따라 안내되면서 제 2녹크안내홈(1365)에 끼워진다. 이때, 녹크경사면(1372)은 제 2경사면(1365A)에 맞춤되면서 견고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작동단(1350)은 제 1지지스프링(1357)에 의해 탄력 지지되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플렉시블 호스(1261)를 사용하고자 하는 길이만큼 잡아당기면 된다.
여기서, 회전캠(1370)이 제 1녹크안내돌기(136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은, 도면에서와 같이 회전캠(1370)의 녹크(1371)에 형성된 녹크경사면(1372)이 제 1녹크안내돌기(1364)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길이만큼 플렉시블 호스(1260)가 인출되어 플렉시블 호스(1260)를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호스(1260)를 잡아 당기는 동작을 정지시킨 후 동시에 플렉시블 호스(1260)를 다시 잡았다 놓는다. 그러면 동작이 멈추는 동시에 제 1작동축스프링(1377)의 복원력에 의해 제 1작동롤러(138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고, 제 1작동롤러(1380)에 의해 제 1차단구(1340)가 작동하면서 제 1고정단(1356)이 플렉시블 호스(1260)의 주름홈부(1261)에 끼워져 지지되어 플레시블 호스(1260)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d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호스(1260)를 잡아당기는 동작을 멈추고 놓으면, 동작이 멈추는 동시에 제 1작동축스프링(1377)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었던 제 1작동롤러(1380)은 원래 위치로 복귀되고, 제 1작동롤러(1380)의 복귀에 의해 제 1작동축(1142)은 하방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제 1작동축(1312)과 서로 대향 되는 위치에 형성된 누름단(1311)의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1e와 도 12d를 참조하면, 이러한 상태에서 플렉시블 호스(1260)를 다시 한번 잡아 당겼다 놓으면, 제 1작동롤러(1380)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제 1작동롤러(1380)의 이동에 의해 제 1작동축(1312)은 상방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제 1작동축(1312)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누름단(1311)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제 1제어기구의 버튼부(1367)를 가압시킨다. 그러면 버튼부(1367)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톱니(1368)와 접촉되어 있는 녹크경사면(1372)을 가압시키고, 이 가압에 의해 회전캠(1370)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녹크경사면(1372)이 제 2녹크안내돌기(1366)의 제 3경사면(1366A)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캠(1370)의 이동에 의해 가압부(1374)는 작동단(1350)의 제 1지지돌부(1353)를 가압시켜 작동단(1350)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계속해서, 녹크경사면(1372)이 제 2녹크안내돌기(1366)의 제 3경사면(1366A)에 위치하고 작동단(1350)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녹크스프링(1375)의 탄성력에 의하여 동시에 녹크(1371)는 제 2녹크안내돌기(1366)의 제 3경사면(1366A)을 따라 안내되면서 제 1녹크안내홈(1363)에 끼워지고, 녹크(1371)가 제 1녹크안내홈(1363)에 결합되면, 제 1작동축스프링(1377)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었던 제 1 작동롤러(1380)는 원래 위치로 복귀되고, 제 1작동롤러(1380)의 복귀에 의해 제 1작동축(1142)은 하방으로 이동하고, 제 1작동축(1312)과 서로 대향 되는 위치에 형성된 누름단(1311)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단(1350)은 제 1지지스프링(1357)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고, 작동단(1350)의 이동에 의해 제 1고정단(1356)이 플렉시블 호스(1260)의 주름홈부(1261)에 걸려 지지되고, 이에 따라 플렉시블 호스(1260)의 이동이 정지된다.(도 11a와 12a 참조)
여기서, 회전캠(1370)이 제 2녹크안내돌기(1366)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은, 도면에서와 같이 회전캠(1370)의 녹크(1371)에 형성된 녹크경사면(1372)이 제 2녹크안내돌기(1366)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용이 완료되어 인출되어진 플렉시블 호스(1260)를 보빈(1080)에 감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호스(1260)에 장착된 물분사 건(1270)을 파지하여 잡아당겼다 놓으면 제 1작동롤러(138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제 1차단구(1340)를 동작시키고, 제 1차단구(1340)의 동작에 의해 플렉시블 호스(1260)의 주름홈부(1261)에 끼워져 지지되어 있던 제 1고정단(1356)이 이탈되면서 플렉시블 호스(1260)가 이동하게 되면서 보빈(1080)에 감기게 된다. 이때, 보빈(1080)은 나선형 판스프링(1196)에 작용하는 회전 복원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플렉시블 호스(1260)가 출입공(1089)을 통해 감기게 된다.
한편, 플렉시블 호스(1260)가 보빈(1080)으로 부터 감기거나 풀릴 때, 보빈(1080)의 외측에 구빈된 호스정렬부재(1250)에 의해 플렉시블 호스(1260)가 보빈(1080)에 엉킴없이 잘 풀리거나 감겨지도록 안내되어 플렉시블 호스(1260)가 용이 하게 풀리거나 감겨진다. 뿐만 아니라 정렬롤러(1266)가 고무재로서 플렉시블 호스(1260)가 보빈(1080)에 풀리거나 감겨질 때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작동단(1350)이 제 1지지대(1341)의 제 1삽입부(1342)를 따라 이동시 마찰이 발생되면서 소음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소음은 작동단(1350)에 형성된 제 1마찰방지돌기(1355)에 의해 제 1지지대(1341)의 제 1삽입부(1342) 내면과의 접촉면적이 적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단(1350)가 제 1지지대(1341)의 제 1삽입부(1342)를 따라 상,하부로 이동시 발생되는 마찰음을 최소화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도 물분사 건이 설치된 플렉시블 호스를 보다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고, 플렉시블 호스를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호스 권취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안내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에서 제 2제어기구가 롤러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호스 권취장치는 케이스(1000), 냉,온수 연결관(1010), 유로부재, 보빈(1080), 호스 연결구(1090), 안내부재, 탄성부재, 호스 지지구(1200), 수전(1220), 냉,온수 연결호스(1230), 공급호스(1240) 및 호스정렬부재(1250)로 이루어진다. 그 자세한 설명은 앞서 설명된 제 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외하고 나머지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도면 부호는 제 1실시 예와 일치시켜 사용하 기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재는 보빈(1080)의 일측에 설치되어 플렉시블 호스(126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제 2전방 안내롤러(1520), 제 2후방 안내롤러(1530), 제어구, 제 2작동롤러(1570) 및 제 2보조롤러(1580)로 이루어 진다.
제 2전방 안내롤러(1520)는 보빈(1080)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되, 본체(1001)의 벽면에 설치된 제 2전방 롤러설치단(1500A,1500B)에 축설되며, 상,하부 한 쌍으로 형성된다.
제 2후방 안내롤러(1530)는 제 2전방 안내롤러(1520)의 일측에 설치되며, 본체(1001)의 벽면에 설치된 제 2후방 롤러설치단(1510)에 축설된다.
제어구는 제 2후방 롤러설치단(15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플렉시블 호스(1260)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제어작동축(1540), 제 2제어기구(1550) 및 제 2작동축스프링(1560)으로 이루어진다.
제어작동축(1540)은 제 2후방 롤러설치단(15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단(1541), 회전단(1541)의 선단 외주연에 형성되고 그 자유단에 제 2작동롤러(1560)와 결합부재(1590)로 고정되는 결합단(1543)이 돌출 형성된 제 1연결단(1542), 제 1연결단(1542)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며 그 자유단에는 전면에 롤러결합부(1546)를 구비한 롤러제어단(1545)이 돌출 형성된 제 2연결단(1544)으로 이루어진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 2제어기구(1550)는 롤러결합부(1546)에 결합부재 (1590)로 고정 설치되어 플렉시블 호스(1260)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롤러결합부(1546)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스토퍼(1551)와 롤러결합부(1546)에 고정축(1556)으로 고정 설치되며 외주면에 플렉시블 호스(1260)의 주름부(1261)에 걸릴 수 있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고정단(1553)이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걸림홈부(1554)가 형성되며 걸림홈부(1544) 중 하나에 스토퍼(1551)가 끼워져 회전이 방지되는 제어롤러(1552)로 이루어진다.
제 2작동축스프링(1560)은 제어작동축(1540)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회전단(1541)에 설치되되, 일단은 제 2연결단(1544)의 저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본체(1001)의 벽면에 설치된 제 2고정돌기(1008)에 지지 된다.
제 2작동롤러(1570)는 제어구의 일측에 설치되어 플렉시블 호스(1260)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제어구를 동작시킨다.
제 2보조롤러(1580A,1580B)는 제 2작동롤러(1570)의 일측 상하부에 설치되어 플렉시블 호스(1260)가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호스 권취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로 운반한다. 즉, 가정의 베란다 및 건물의 실외로 운반 한 후, 냉,온수 급수관에 별도의 연결부재로 연결 설치한다.
플렉시블 호스(1260)는 도 16a와 같이 일단이 호스 연결구(1090)에 연결 설치되면서 보빈(1080)에 감겨지고, 한 쌍의 제 2전방 안내롤러(1520) 및 제 2후방 안내롤러(1530)와 제어롤러(1552) 사이를 통과하고, 제 2작동롤러(1570)에 의하여 방향이 바뀌면서 호스 지지구(1200)를 통과하여 타단에 물분사 건(1270)이 장착된다. 그리고 17a와 같이 제 2후방 안내롤러(1530)와 제어롤러(1552)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고, 이에 따라 플렉시블 호스(1260)의 주름홈부(1261)에는 제 2고정단(1553)이 끼워지지 않은 상태다.
도 16b를 참조하면, 도 16a와 같은 상태에서 베란다의 청소 및 화분에 물을 주기 위해서, 플렉시블 호스(1260)에 장착된 물분사 건(1270)을 파지하여 잡아당긴다. 그러면, 제 2작동롤러(1570)가 상방으로 일정 거리 이동하고, 제 2작동롤러(1570)의 동작에 의해 제 1연결단(1542)이 상방으로 회동하면서 제어작동축(1540)을 회동시키게 되고, 제어작동축(1540)의 회동에 의해 제 2연결단(1544)은 하방으로 회동하며, 제 2연결단(1544)의 회동에 의해 롤러결합부(1546)에 결합되어 있는 제어롤러(1552)도 동시에 회동하고 이에 따라 제어롤러(1552)와 제 2후방 안내롤러(1530)의 간격은 도 17b와 같이 더욱 멀어지고, 플렉시블 호스(1260)의 주름홈부(1261)에는 제 2고정단(1553)이 끼워져 지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다. 그리고, 제 2작동롤러(1570)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 플렉시블 호스(1260)의 일단이 연결 설치된 호스 연결구(1090)에 의하여 보빈(1080)이 회전하게 되고, 보빈(1080)의 회전에 의해 플렉시블 호스(1260)는 보빈(1080)에서 풀리면서 제 2전방 안내롤러(1520)와 제 2후방 안내롤러(1530), 제 2작동롤러 (1570) 및 제 2상부 보조롤러(1380A)에 의해 안내되면서 호스 지지구(120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도 16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길이만큼 플렉시블 호스 (1260)가 인출되어 플렉시블 호스(1260)를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호스(1260)를 잡아당기는 동작을 정지시킨 후 동시에 플렉시블 호스(1260)를 다시 잡았다 놓는다. 그러면, 제 2작동축스프링(1560)의 복원력에 의해 제 2작동롤러(157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고, 제 2작동롤러(1570)에 의해 제 2제어기구(1550)가 작동하면서 플렉시블 호스(1260)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플렉시블 호스(1260)를 잡아당기는 동작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다시 플렉시블 호스(1260)를 잡아 당겼다 놓으면, 보빈(1080)이 나선형 판스프링(1196)의 복원력과 제 2작동축스프링(1560)의 복원력에 의해 제 2작동롤러(1570)가 하방으로 회동하면서 원래 위치로 복귀되고, 제 2작동롤러(1570)의 동작에 의해 제 1연결단(1542)이 하방으로 회동하면서 제어작동축(1540)을 회동시키게 되고, 제어작동축(1540)의 회동에 의해 제 2연결단(1544)은 상방으로 회동하며, 제 2연결단(1544)의 회동에 의해 롤러결합부(1546)에 결합되어 있는 제어롤러(1552)도 동시에 회동하고, 제어롤러(1552)의 회동에 의해 제어롤러(1552)와 제 2후방 안내롤러(1530)와의 간격은 도 17c와 같이 가까워지면서 제 2고정단(1553)이 플렉시블 호스(1260)의 주름홈부(1261)에 끼워져 지지되어 플레시블 호스(1260)의 이동이 정지된다. 여기서, 제 2작동롤러(1570)는 제 2하부 보조롤러(1580B)와 근접 거리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전(1220)의 선택밸브(122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냉,온수 급수관을 통해 유입된 냉,온수는 냉,온수 연결호스(1230)를 통해 수전(1220)으로 유입되고, 수전(1220)으로 유입된 냉,온수는 공급호스(1240)를 통 해 유로연결구(1030)로 공급되며, 유로연결구(1030)로 유입된 냉,온수는 플렉시블 호스(1260)로 공급되면서 물분사 건(127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도 16d를 참조하면, 그리고 사용이 완료되어 인출되어진 플렉시블 호스(1260)를 보빈(1080)에 감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호스(1260)에 장착된 물분사 건(1270)의 손잡이(1272)를 파지하여 잡아당겼다 놓으면 제 2작동롤러(1570)가 동작하면서 제어구를 동작시키고, 제어구의 동작에 의해 제어롤러(1552)는 도 17b와 같이 제 2후방 안내롤러(1530)로부터 이격되고, 플렉시블 호스(1260)의 주름홈부(1261)에 끼워져 지지되어 있던 제 2고정단(1553)이 이탈되면서 플렉시블 호스(1260)가 이동하게 되면서 보빈(1080)에 감기게 된다. 이때, 보빈(1080)은 나선형 판스프링(1196)에 작용하는 회전 복원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플렉시블 호스(1260)가 출입공(1089)을 통해 감기게 된다.
여기서, 플렉시블 호스(1260)가 보빈(1080)에 감겨질 때 플렉시블 호스(1260)는 호스 지지구(1200)를 통과하면서 제 2하부 보조롤러(1580B), 제 2후방 안내롤러(1530), 제 2전방 안내롤러(1520)에 의해 안내되면서 보빈(1080)에 감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도 물분사 건이 설치된 플렉시블 호스를 보다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고, 플렉시블 호스를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 예에 따른 호스 권취장치의 정면도 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호스 권취장치는 케이스(1000), 냉,온수 연결관(1010), 유로부재, 보빈(1080), 호스 연결구(1090), 안내부재, 탄성부재, 호스 지지구(1200), 수전(1220), 냉,온수 연결호스(1230), 공급호스(1240) 및 호스정렬부재(1250)로 이루어진다. 그 자세한 설명은 앞서 설명된 제 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외하고 나머지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도면 부호는 제 1실시 예와 일치시켜 사용하기로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수전(1220)에 보조 배출부(1227)가 형성된다. 케이스(1000)의 측벽에는 수도꼭지가 설치되는 수도꼭지연결관(1016)이 설치된다. 수도꼭지연결관(1016)과 보조 배출부(1227)는 수도연결호스(1245)로 연결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 4실시 예는 플렉시블 호스(1260) 뿐만 아니라 수도꼭지를 통해 냉,온수 급수관을 통해 유입된 냉,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 제 1실시 예에 적용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 및 제 3실시 예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호스 권취장치에 따르면, 물분사 건이 장착된 플렉시블 호스가 풀리거나 감기도록 하는 호스 권취장치에 의해 물분사 건이 설치된 플렉시블 호스를 보다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고, 플렉시블 호스가 베란다의 바닥 뿐만 아니라 욕실의 바닥 등에 늘어지지 않게 되어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호스를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로서 한정되지 아니하며,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삭제
  2. 본체와 덮개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본체의 벽면에 형성된 연결공에 설치되어 냉,온수급수관에 연결되는 냉,온수 연결관;
    상기 본체의 벽면 일측에 설치된 고정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는 유로부재;
    상기 유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측부에 가이드휠이 형성되어 플렉시블 호스가 감기는 보빈;
    상기 유로부재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일단에 연결 설치되는 호스 연결구;
    상기 보빈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
    상기 유로부재에 설치될 수 있게 양단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스프링연결부가 형성된 비틀림스프링, 상기 스프링연결부에 연결핀에 의해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보빈에 연결되어 상기 보빈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나선형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
    상기 본체의 벽면 타측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의 지지공에 고정 설치되는 호스 지지구;
    상기 지지브라켓의 수전체결공에 설치되며, 유입부와 배출부가 형성된 수전;
    상기 수전의 유입부와 상기 냉,온수연결관에 연결 설치되어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 연결호스;
    상기 수전의 배출부와 상기 유로부재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수전에 형성된 선택밸브에 의해 상기 급수관을 통해 유입된 냉,온수를 상기 유로부재로 공급시키는 공급호스; 및
    상기 보빈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보빈에 감기고 풀리는 상기 플렉시블 호스를 안내하고 상기 가이드휠의 외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유지시켜주는 호스정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재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가 끼워질 수 있게 고정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스프링설치부, 상기 스프링설치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에 끼워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 제 1전,후패킹홈과 상기 제 1전,후 패킹홈 사이에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제 1유로공이 천공된 제 1유로홈부가 형성된 제 1유로부, 상기 스프링설치부의 타단에 제 2전,후패킹홈과 상기 제 2전,후패킹홈 사이에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제 2유로공이 천공된 제 2유로홈부가 형성된 제 2유로부로 이루어진 유로연결구;
    상기 제 1유로부에 끼워져 고정볼트로 고정 설치되며 외주면 일측에 상기 공급호스의 일측에 설치된 호스연결부가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 1유로공과 연통되는 제 1연통공을 갖는 제 1연결부가 형성된 고정 컨넥터;
    상기 제 2유로부에 끼워져 고정볼트로 고정 설치되며 외주면 일측에 상기 호스 연결구의 일단이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제 2유로공과 연통되는 제 2연통공을 갖는 제 2연결부가 형성된 회전 컨넥터; 및
    상기 제 1전,후패킹홈과 상기 제 2전,후패킹홈에 각각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시켜주는 패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설치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제 1베어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설치부와 상기 제 2연결부 사이에는 제 2베어링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2베어링부에는 상기 보빈이 회전시 상기 보빈과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되는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부 벽면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작동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설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의 후면 일측단 상부에는 설치단이 형성된 안내판;
    상기 안내판의 설치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 안내롤러;
    상기 안내판의 설치부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 안내롤러;
    상기 안내판에 설치되며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이동을 제어하는 차단구;
    상기 안내판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차단구를 동작시키는 작동롤러; 및
    상기 작동롤러의 일측 상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보조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차단구는,
    상기 전방 안내롤러와 상기 후방 안내롤러 사이에 설치되며 배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삽입부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호스끼움부가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삽입부에 설치되되 상기 호스끼움부의 상,하단에 설치되며 각 일단에는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외경을 감싸는 반원형의 지지홈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스프링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배면에는 작동돌기가 돌설되고 양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마찰방지돌기가 형성된 상,하부작동단;
    상기 스프링홈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부작동단을 탄력 지지하는 지지스프링;
    상기 지지홈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부작동단의 이동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주름홈부에 끼워지는 고정단; 및
    상기 작동롤러와 안내판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부작동단을 동작시키는 작동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구는,
    상기 설치단에 중앙부가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며 일단에는 상기 작동롤러에 결합되는 롤러결합단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축누름단이 형성된 작동축;
    상기 축누름단에 설치되는 회동플레이트;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축누름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플레이트에 탄력을 부여하는 연결스프링;
    상기 작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작동단을 동작시켜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기구가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단의 외주면에 래칫설치홈이 형성되되 상기 래칫설치홈의 일단방향으로 절개되어 래칫작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래칫설치홈의 일측에는 상기 축누름단의 저부에 위치되는 아암이 돌출 형성된 보조 작동축;
    상기 작동축과 상기 설치단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축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작동축스프링; 및
    상기 제어단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작동축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보조 작동축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구는,
    상기 제어단의 내측 공간부에 설치되는 래칫휠;
    상기 래칫휠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기어이의 표면에 상기 작동돌기가 안착되는 돌기홈이 형성된 스프로킷;
    상기 제어단의 축공을 통해 관통하여 상기 래칫휠과 상기 스프로킷을 고정시키는 고정축;
    상기 래칫작동부와 상기 래칫휠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래칫휠에 걸림되는 판스프링;
    상기 래칫설치홈에 결합되어 상기 판스프링을 고정시키는 래칫고정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장치.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의 작동부에는 상기 보조 작동축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게 상,하부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상기 호스끼움부의 상,하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작동단의 전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플렉시블 호스를 상기 호스끼움부로 삽입 설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래칫휠의 기어이와 상기 스프로킷의 기어이는 2:1 비율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보빈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본체의 벽면에 설치된 제 1전방 롤러설치단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전방 안내롤러;
    상기 본체의 벽면에 설치된 제 1후방 롤러설치단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후방 안내롤러;
    상기 제 1전방 안내롤러와 상기 제1후방 안내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 1차단구;
    상기 제 1후방 안내롤러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차단구를 동작시키는 제 1작동롤러; 및
    상기 제 1작동롤러의 일측 상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1보조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1차단구는,
    상기 제 1후방 안내롤러가 설치된 상기 제 1후방 롤러설치단의 중앙부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누름단과 제 1작동축을 포함하고,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제 1삽입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제 1호스끼움부가 형성되며 배면 상단에는 내부에 제 1작동공이 관통된 제 1작동부가 돌출 형성된 제 1지지대;
    상기 제 1지지대의 제 1삽입부에 설치되며 상단에는 상기 제 1호스끼움부를 통해 상기 플렉시블 호스가 끼워질 수 있게 제 1호스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호스삽입부의 하부에는 상기 플렉시블 호스가 위치할 수 있게 제 1호스안착홈부가 형성되며 배면 하단에는 제 1지지돌부가 돌설되고 저면에 제 1스프링홈이 형성된 작동단;
    상기 제 1호스안착홈부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단의 이동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주름홈부에 끼워지는 제 1고정단;
    상기 제 1스프링설치홈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단을 탄력 지지하는 제 1지지스프링;
    상기 제 1작동부의 제 1작동공에 설치되며 상기 1작동롤러의 동작에 의해 상기 작동단을 이동시켜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 1제어기구; 및
    상기 제 1후방 롤러설치단에 설치되되, 일단은 제 1작동축의 상면에 안착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벽면에 설치된 제 1고정돌기에 지지되어 상기 제 1작동축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작동축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1제어기구는,
    원통형상의 외통;
    상기 외통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제 1녹크안내홈이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 1녹크안내홈의 일측 단부에서 일측으로 제 1경사면을 갖는 제 1녹크안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 1녹크안내돌기의 일측으로는 제 2경사면을 갖는 제 2녹크안내홈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녹크안내홈의 일측으로는 상기 제 1녹크안내홈의 타측 단부로 제 3경사면을 갖는 제 2녹크안내돌기가 형성된 안내캠;
    상기 안내캠의 내부를 통해 끼워지며 하단부에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톱니의 외주면에는 이탈방지돌기가 돌설된 버튼부;
    상기 외통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제 1녹크안내홈과 상기 제 2녹크 안내홈에 결합되는 다수의 녹크가 형성된 회전캠;
    상기 회전캠의 하단에 설치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녹크스프링; 및
    상기 외통에 결합되는 외통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1,2녹크안내홈과 상기 제 1,2녹크안내홈에 결합되는 상기 녹크는 12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1녹크안내홈은 상기 제 2녹크안내홈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녹크의 자유단에는 상기 제 2녹크안내홈에 형성된 제 2경사면와 동일한 방향으로 녹크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장치.
  1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보빈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본체의 벽면에 설치된 제 2전방 롤러설치단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제 2전방 안내롤러;
    상기 본체의 벽면에 설치된 제 2후방 롤러설치단에 고정 설치되는 제 2후방 안내롤러;
    상기 제 2후방 롤러설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구;
    상기 제어구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어구를 동작시키는 제 2작동롤러; 및
    상기 제 2작동롤러의 일측 상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보조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어구는,
    상기 제 2후방 롤러설치단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단, 상기 회전단의 선단 외주연에 형성되고 그 자유단에 상기 제 2작동롤러와 결합부재로 고정되는 결합단이 돌출 형성된 제 1연결단, 상기 제 1연결단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며 그 자유단에는 전면에 롤러결합부를 구비한 롤러제어단이 돌출 형성된 제 2연결단으로 이루어진 제어작동축;
    상기 롤러결합부에 결합부재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 2제어기구; 및
    상기 회전단에 설치되며 일단은 제 2연결단의 저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벽면에 설치된 제 2고정돌기에 지지되어 상기 제어작동축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작동축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 2제어기구는,
    상기 롤러결합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스토퍼; 및
    상기 롤러결합부에 고정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주름부에 걸릴 수 있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고정단이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걸림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부중 하나에 상기 스토퍼가 끼워져 회전이 방지되는 제어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장치.
  2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호스정렬부재는,
    상기 보빈의 외측에 설치되며 일측단에는 정렬판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정렬판의 자유단에 롤러설치부가 형성된 정렬축;
    상기 롤러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플렉시블 호스와 접촉하는 정렬롤러; 및
    상기 정렬축의 타단에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정렬판의 상면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벽면에 설치된 고정돌기에 지지되어 상기 정렬축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호스정렬비틀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장치.
  2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전에 보조 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수도꼭지가 설치되는 수도꼭지연결관이 설치되며, 상기 수도꼭지연결관과 상기 보조 배출부는 수도연결호스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장치.
KR1020060119578A 2006-11-30 2006-11-30 호스 권취장치 KR100843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578A KR100843864B1 (ko) 2006-11-30 2006-11-30 호스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578A KR100843864B1 (ko) 2006-11-30 2006-11-30 호스 권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229A KR20080049229A (ko) 2008-06-04
KR100843864B1 true KR100843864B1 (ko) 2008-07-04

Family

ID=3980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578A KR100843864B1 (ko) 2006-11-30 2006-11-30 호스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38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410A (ko) 2015-06-16 2016-12-26 김경수 호스 권취장치
KR20170024829A (ko) 2015-08-26 2017-03-08 김경수 호스 권취장치
KR20190001958U (ko) 2018-01-25 2019-08-02 김경수 호스 권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074426Y (es) * 2011-01-25 2011-07-29 Bujanda Angel Arbizu Dispositivo portacables
CN106829650B (zh) * 2017-03-31 2018-12-21 武汉微码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盘绕式抽吸单元
KR200491180Y1 (ko) * 2018-07-24 2020-04-24 구준림 권취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5879A (en) 1975-03-11 1976-02-03 Nomi Bosaikogyo Kabushiki Kaisha Hose reel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appliance
JPS55145968A (en) * 1979-04-23 1980-11-13 Aisin Seiki Co Ltd Wire rope winder
US4446884A (en) 1981-06-08 1984-05-08 Rader Jr Homer J Take-up reel with controlled rewind velocity
US5531246A (en) * 1994-10-26 1996-07-02 Ritter; Alex F. Hose reel for mobile service vehicles
KR200259801Y1 (ko) * 2001-09-28 2002-01-09 김용수 개별 소화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5879A (en) 1975-03-11 1976-02-03 Nomi Bosaikogyo Kabushiki Kaisha Hose reel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appliance
JPS55145968A (en) * 1979-04-23 1980-11-13 Aisin Seiki Co Ltd Wire rope winder
US4446884A (en) 1981-06-08 1984-05-08 Rader Jr Homer J Take-up reel with controlled rewind velocity
US5531246A (en) * 1994-10-26 1996-07-02 Ritter; Alex F. Hose reel for mobile service vehicles
KR200259801Y1 (ko) * 2001-09-28 2002-01-09 김용수 개별 소화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410A (ko) 2015-06-16 2016-12-26 김경수 호스 권취장치
KR20170024829A (ko) 2015-08-26 2017-03-08 김경수 호스 권취장치
KR20190001958U (ko) 2018-01-25 2019-08-02 김경수 호스 권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229A (ko) 200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864B1 (ko) 호스 권취장치
KR100787935B1 (ko) 호스 권취장치
US6618865B1 (en) Bidet with separate units for washing the anal region, pudendal region and oral cavity
KR101621906B1 (ko)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KR20060091052A (ko) 위생용기내 급속 설치용 개선된 배수관 조립체
CN101133218A (zh) 淋浴装置
US20110056007A1 (en) Toilet and Urinal Drain Unclogging Device and Method
US5452485A (en) Gliding tub and shower cleaner
KR100884189B1 (ko) 치아세정수단의 탈부착이 가능한 샤워기
KR101653379B1 (ko)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KR20060087305A (ko) 청소기능이 있는 공동주택의 발코니 창문
MX2008010907A (es) Dispositivo de limpieza.
KR102086926B1 (ko) 원터치식 체결구조를 갖춘 샤워기 헤드
KR101402653B1 (ko) 건축물의 욕실 욕조에 내장되는 바닥 세척시설
EP4026423B1 (en) Watering device
KR101006197B1 (ko) 관절형 샤워기
GB1569771A (en) Portable bidets
CN109113149B (zh) 一种智能马桶清洗器的防污结构
KR100690167B1 (ko) 공동주택용 이동식 발코니창문 청소장치
JP2018165452A (ja) 水洗大便器装置
JP2008200222A (ja) 浴室用シャワー装置
KR100836706B1 (ko)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용 흡입 호스 컨넥터 및 그 연결구
KR200209690Y1 (ko) 중앙집중식 진공청소장치
CN221321141U (zh) 一种多功能卫浴抽拉水龙头
KR100486631B1 (ko) 벽면내장형 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