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904A - 필름 연신 유닛에서 불균일한 온도 및 기류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연신 유닛 - Google Patents

필름 연신 유닛에서 불균일한 온도 및 기류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연신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904A
KR20230166904A KR1020230063728A KR20230063728A KR20230166904A KR 20230166904 A KR20230166904 A KR 20230166904A KR 1020230063728 A KR1020230063728 A KR 1020230063728A KR 20230063728 A KR20230063728 A KR 20230063728A KR 20230166904 A KR20230166904 A KR 20230166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ensating
oven
stretching unit
ai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3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비아스 호이즐
Original Assignee
브뤼크너 마시넨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뤼크너 마시넨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브뤼크너 마시넨바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166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90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0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adapted for treating the charge in vacuum or special atmosphere
    • F27B9/045Furnaces with controlled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0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6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28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for treating continuous lengths of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29C2035/046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dri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필름을 연신하기 위한 연신 유닛(10)은 오븐(12) 및 보상 장치(16)를 포함한다. 보상 장치(16)는 공기 컨베이어(42), 제1 보상 개구(52) 및 제2 보상 개구(54)를 포함하되, 제1 보상 개구(52) 및 제2 보상 개구(54)는 수직 방향 H 및 드로잉 방향 R에서 오븐(12)의 중앙 평면(M)의 대향 측면들에 있는 오븐(12) 내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공기 컨베이어(42)는 유동 방향과 관련하여 상기 제1 보상 개구(52)와 상기 제2 보상 개구(54) 사이에 위치하고, 보상 장치(16)는 보상 개구들(52, 54) 중 하나를 통해 오븐(12)에서 일정량의 공기를 제거하고, 보상 개구들(52, 54)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제거된 일정량의 공기를 오븐(12)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신 유닛(10)에서 불균일한 온도 및 기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Description

필름 연신 유닛에서 불균일한 온도 및 기류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연신 유닛{STRETCHING UNIT AS WELL AS METHOD FOR REDUCING NON-UNIFORM TEMPERATURES AND AIR FLOWS IN A FILM STRETCHING UNIT}
본 발명은 필름 연신 유닛에서 불균일한 온도 및 기류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필름을 연신하기 위한 연신 유닛에 관한 것이다.
특히 플라스틱 필름 생산에 연신 유닛(stretching unit)이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연신될 필름은 연신 유닛 내에서 운송 시스템에 의해 드로잉 방향으로 연신 유닛의 오븐을 통해 이동된다. 연신될 필름은 연신 공정 전에 오븐에서 가열되고, 또한 연신 공정 도중 및 연신하는 중에 미리 정의된 온도로 유지된다. 이어서 연신된 필름을 오븐에서 냉각시킨다.
전체 공정 동안, 필름의 온도를 횡 방향(traverse direction), 즉 드로잉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균일하게 유지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시점에서 필름이 횡 방향으로 연신되어 필름 결함 및 불규칙한 필름 특성이 발생한다. 횡 방향의 불균일한 온도 제어는 예를 들어 드로잉 방향으로의 바람직하지 않은 기류(air flow)에 의해 야기되며, 이를 통해 차가운 공기가 불균일하게 오븐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횡 방향에서 필름의 불균일한 온도가 감소되는 연신 유닛 및 횡 방향에서 필름의 불균일한 온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오븐 및 보상 장치를 포함하는 필름을 연신하기 위한 연신 유닛, 특히 횡 방향 배향기, 기계 방향 배향기 및/또는 동시 연신 유닛에 의해 해결된다. 오븐은 수직 방향, 횡 방향 및 드로잉 방향을 포함한다. 보상 장치는 공기 컨베이어, 제1 보상 개구 및 제2 보상 개구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보상 개구 및 제2 보상 개구는 수직 방향 및 드로잉 방향으로 오븐의 중앙 평면의 대향 측면들에서 오븐으로 개방된다. 공기 컨베이어는 유동 측면에서 제1 보상 개구와 제2 보상 개구 사이에 위치하며, 보상 장치는 보상 개구들 중 하나를 통해 오븐으로부터 일정량의 공기를 제거하고, 제거된 일정량의 공기를 보상 구멍들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오븐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보상 장치를 통해, 필름의 서로 다른 측면에서 횡 방향으로 기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류는 바람직하지 않은 기류의 반대 방향으로 흐르고 따라서 이들을 정지시킨다. 동시에, 중앙 평면의 한쪽에서 빼낸 양의 공기가 다시 오븐의 다른 쪽으로 같은 정도로 공급되기 때문에 오븐의 온도나 공기 균형은 변하지 않는다.
보상 장치는 운반되는 공기에 대한 온도 제어 장치가 없을 수 있다.
그러나 열 교환기와 같은 온도 제어 장치가 보상 장치에 제공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오븐 내의 온도 차이를 상쇄하고 및/또는 보상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 손실을 보상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특히 보상 장치는 폐쇄 시스템이다.
보상 개구들은 예를 들어 오븐의 중앙 평면을 가로질러 확장되지 않는다.
기류의 균일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전제 조건은 아니지만, 제1 보상 개구 및 제2 보상 개구를 동일하게 설계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1 보상 개구 및 제2 보상 개구는 드로잉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여, 보상 장치가 자체적으로 기계 방향으로 기류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1 보상 개구 및 제2 보상 개구는 오븐으로 필름이 인피드되는 영역 또는 오븐 밖으로 필름이 아웃피드되는 영역에 위치함으로써 오븐으로부터 너무 차갑거나 너무 뜨거운 공기가 연신 유닛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제1 보상 개구 및 제2 보상 개구는 오븐의 중립 구역, 중립 구역 전 구역 및/또는 중립 구역 후 구역에 위치한다. 중립 구역은 오븐에서 예를 들어 어닐링 구역과 냉각 구역과 같이 온도가 상당히 다른 두 구역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온도 구배가 큰 기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되어, 연신 유닛을 보다 효율적으로 만든다.
일 양태에서, 필름 트랙이 오븐 내에 정의되며, 특히 여기서 제1 보상 개구 및 제2 보상 개구는 횡 방향과 관련하여 필름 트랙 외부에 위치되고 및/또는 필름 트랙의 높이에서 수직 방향에 대해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상 장치에 의해 운반되는 공기에 의해 필름이 손상되지 않는다.
필름 위로 직접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보상 개구 및 제2 보상 개구는 각각 2개의 유동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유동 개구 중 하나는 필름 트랙 위에 위치되고, 2개의 유동 개구 중 다른 하나는 필름 트랙 위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제1 보상 개구 및 제2 보상 개구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유동 영역에 복수의 유동 개구를 포함하고, 유동 영역은 수직 방향으로, 특히 필름 트랙 아래로부터 필름 트랙 위로 연장되고, 또는 유동 영역은 필름 트랙 위 또는 아래에서 횡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수의 유동 개구를 통해, 공기가 특정 지점뿐만 아니라 더 넓은 영역을 통해 제거되거나 공급됨에 따라 필름과의 상호 작용이 방지된다.
복수의 유동 영역이 가능하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처리 공간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컨베이어를 치료 공간 외부에 배치할 수도 있다.
보상 장치, 특히 보상 장치의 파이프에 필터가 제공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오븐 내 공기의 순도가 향상되어 생성된 필름의 품질이 향상된다.
공기 컨베이어는 보상 장치를 효율적으로 설계하기 위해 레이디얼 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의된 유동 경로를 유지하기 위해, 제1 보상 개구는 제1 파이프를 통해 공기 컨베이어에 유동 연결되고 제2 보상 개구는 제2 파이프를 통해 공기 컨베이어에 유동 연결된다.
특히, 오븐의 온도 차이를 초래하는 보상 장치의 열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파이프가 단열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보상 장치는 공기 컨베이어의 출구 측에 유동 연결된 제1 힌지 박스 및 공기 컨베이어의 흡입 측에 유동 연결된 제2 힌지 박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는 각각 두 개의 분기부로 분기되고 각 경우에 하나의 분기부는 제1 힌지 박스에 유동 연결되고, 대응하는 다른 분기부는 제2 힌지 박스에 유동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힌지 박스는 예를 들어 양방향 분배기이다.
예를 들어, 힌지 박스의 제1 위치에서, 제1 파이프는 공기 컨베이어의 흡입 측에 유동 연결되고, 제2 파이프는 공기 컨베이어의 출구 측에 유동 연결되며, 힌지 박스의 제2 위치에서 제1 파이프는 공기 컨베이어의 출구 측에 유동 연결되고 제2 파이프는 공기 컨베이어의 흡입 측에 유동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보상 장치 내에서 기류를 반전시킬 수 있다.
보상 장치의 자동 제어의 경우, 연신 유닛은 기류 방향을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연신 유닛은 드로잉 방향으로, 특히 필름 트랙을 따라 오븐을 통해 필름을 이송하도록 구성된 운송 시스템을 포함하여 높은 공정 신뢰성을 달성한다.
이러한 운송 시스템은 예를 들어 WO2014/09480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보상 개구는 횡 방향으로 운송 시스템의 외부에 및/또는 운송 시스템 옆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연신 유닛에서 불균일한 온도 및 공기 흐름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 연신 유닛의 오븐의 중앙 평면의 일 측면 위에서 드로잉 방향에서 기류 및/또는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 보상 장치에 의해 오븐의 중앙 평면의 일 측면에 있는 제1 보상 개구를 통해 오븐에서 일정량의 공기를 제거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제2 보상 개구를 통해 중앙 평면의 다른 측면에 있는 오븐으로 제거된 일정량의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기류 크기의 측정은 센서에 의해 자동화될 수도 있지만, 예를 들어 수동 유동 측정 장치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연신 유닛에 대해 설명된 특징과 장점은 연신 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은 참조되는 첨부된 도면뿐만 아니라 다음의 설명에서 발견된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신 유닛의 매우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 도 2는 도 1에 따른 연신 유닛에서 라인 II-II를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 3은 도 1에 따른 연신 유닛의 보상 장치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 도 4는 도 1에 따른 연신 유닛를 통한 개략적인 단축 단면도이다.
-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신 유닛의 제2, 제3 및 제4 실시형태의 단축 단면도이다.
-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신 유닛의 제5 실시형태의 단축 단면도이다.
- 도 9는 도 8에서 A-A선을 따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연신 유닛(10)이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제1 실시형태에서, 연신 유닛은 TDO라고도 하는 횡 방향 배향기(orienter)이다. 연신 유닛이 기계 방향 배향기 또는 동시 연신 유닛인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연신 유닛(10)은 오븐(12), 운송 시스템(14) 및 보상 장치(16)를 포함한다.
오븐(12)은 연신될 필름의 이동 방향인 드로잉 방향 R을 갖는다. 오븐(12)의 횡 방향 Q는 드로잉 방향 R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이어지고, 수직 방향 H는 수직으로 이어진다.
오븐(12)은 드로잉 방향 R을 따라 연신될 필름을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구역을 갖는다.
예열 구역이라고도 하는 제1 구역(22)에서, 필름이 가열된다. 후속하는 제2 구역(24)("연신 구역")에서, 필름은 횡 방향 Q로 스트레칭 되어, 제2 구역(24)의 끝에서 필름의 폭은 시작할 때의 필름 폭보다 더 커진다.
연신이 종료되면, 필름은 고온에서 필름의 이완(relaxation)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제3 구역(26)("열처리 구역", "추가 가열 구역" 및/또는 "어닐링 구역"으로 지칭됨)을 통과한다.
이어서, 필름은 제4 구역(28) 및 제5 구역(30)("냉각 구역")을 통해 진행하며, 제5 구역(30)에서 필름이 냉각된다.
제4 구역(28)은 중립 구역으로 불리며, 제3 구역(26)과 제5 구역(30)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중립 구역은 예를 들어 환기되지 않는 빈 공간이다.
운송 시스템(14)은, 공지된 방식으로, 연신 유닛(10) 및 오븐(12)의 중심 평면 M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위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오븐(12) 안으로 연장되는 2개의 운송 레일(32)을 포함한다.
연신 유닛(10)에서 연신될 필름이 공급되고 제거되는 입구 구역(34) 및 출구 구역(36)에서, 운송 레일(32)은 오븐(12) 밖으로 연장된다.
필름은 운송 레일(32)을 따라 안내되고 드로잉 방향 R로 오븐(12)을 통해 이송되는 운송 시스템(14)의 그리퍼(미도시)에 의해 공지된 방식으로 파지된다. 여기서 필름은 운송 시스템(14)에 의해 오븐(12) 내에서 정의되는 필름 트랙(F)(도 2)에서 이동한다. 필름 트랙(F)은 중앙 평면 M과 교차한다.
도 2는 II-II 선을 따라 연신 유닛(10)을 관통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오븐(12) 안에 운송 레일(32)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필름 트랙(F)은 쇄선으로 표시되고 필름은 점선으로 표시된다.
또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필름 웹(F)의 방향으로 뜨거운 공기를 운반하는 오븐(12)의 여러 노즐 박스(38)가 도시되어 있다. 뜨거운 공기에 의해 필름이 가열되거나 사전 정의된 온도로 유지된다.
중앙 평면(M)의 양 측면에 각각 하나씩인 적어도 2개의 센서(40)가 필름 트랙(F) 또는 운송 레일(32)의 영역에 선택적으로 제공된다. 센서(40)는 기류의 방향 및/또는 센서(40)에서 지배적인 공기압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센서(40) 대신에, 기류의 방향은 예를 들어 측정 지점에 위치된 수동 유동 측정 장치에 의해 수동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보상 장치(16)는 공기 컨베이어(42), 제1 힌지 박스(44), 제2 힌지 박스(46), 제1 파이프(48), 제2 파이프(50), 제1 보상 개구(52) 및 제2 보상 개구(54)를 포함한다.
공기 컨베이어(42), 힌지 박스들(44, 46) 및 파이프들(48, 50)의 일부는 오븐(12) 외부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이들은 오븐(12)의 하우징 위에 장착된다.
파이프들(48, 50)은 오븐(12) 내로 연장되고, 보상 개구들(52, 54)은 궁극적으로 오븐(12) 내부에 제공된다.
보상 개구들(52, 54)은 오븐(12)에서 중앙 평면(M)의 서로 다른 측면에 위치한다. 특히, 보상 개구들(52, 54)은 필름 트랙(F) 외측 및 운송 시스템(14) 외측에 횡 방향(Q)과 관련하여 위치된다. 즉, 보상 개구들(52, 54)은 이송 시스템(14) 옆에 제공된다.
드로잉 방향 R에서 보상 개구들(52, 54)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다. 이는 예를 들어 보상 개구들(52, 54)의 서로에 대한 오프셋이 드로잉 방향 R에서 2m 미만, 특히 1m 미만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보상 개구들(52, 54)은 동일한 구역(22, 24, 26, 28, 30) 내에 또는 구역들 사이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보상 개구들(52, 54)은 필름 인피드의 영역, 즉 입구 영역(34)에 바로 인접하는 오븐(12) 내의 영역에 제공된다. 도 1에 따른 예에서, 보상 개구들(52, 54)은 제1 구역(22)에 위치한다.
보상 개구들(52, 54)이 필름 아웃피드 영역, 즉 출구 구역(36)에 인접한 오븐 내에 제공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보상 개구들(52, 54)는 제4 구역(28) 이에 따라 중립 구역에 위치할 수 있다. 보상 개구들(52, 54)이 제3 구역(26)("열처리 구역") 또는 제5 구역(30)("냉각 구역")에 위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40)가 존재하는 경우 센서들은 드로잉 방향 R로 오프셋되어야 한다.
복수의 보상 장치(16)가 다른 구역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보상 개구(52)는 제1 파이프(48)에 의해 공기 컨베이어(42)에 유동-연결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2 보상 개구(54)는 제2 파이프(50)에 의해 공기 컨베이어(42)에 유동-연결되고, 공기 컨베이어(42)가 유동과 관련하여 양 보상 개구들(52, 54) 사이에 위치하여 보상 개구들(52, 54) 중 하나의 개구로부터 다른 보상 개구(52, 54)로 공기를 운송하게 된다.
보상 장치(16)는 따라서 보상 개구들(52, 54) 중 하나에서 오븐(12)으로부터 제거된 공기의 양이 다른 보상 개구(54, 52)에서 오븐(12)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폐쇄 시스템이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보상 장치(16)는 히터 또는 냉각기와 같은 온도 제어 장치 없이 설계된다. 그러나 파이프(48, 50)는 보상 개구들(52, 54) 사이에 온도 변동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 오븐(12) 외부에서 단열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열 교환기와 같은 온도 제어 장치(55)가 파이프들(48, 50) 중 하나 또는 파이프들 모두에 위치할 수 있다.
보상 장치(16)를 통해 흐르는 공기를 여과하는 하나 이상의 필터(57)가 파이프(48, 50) 중 하나 또는 파이프들 모두에 제공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3은 공기 컨베이어(42) 주위의 보상 장치(16)의 단면을 사시도 및 확대도로 도시한다.
공기 컨베이어(42)는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레이디얼 팬이고, 이에 따라 출구 측 및 흡입 측을 포함한다.
제1 힌지 박스(44)는 공기 컨베이어(42)의 출구 측에 직접 연결, 즉 유동 연결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2 힌지 박스(46)는 공기 컨베이어(42)의 흡입 측과 유동 연결된다.
힌지 박스(44, 46)는 예를 들어 양방향 분배기이고, 둘 다 각각 제1 파이프(48) 및 제2 파이프(50) 모두에 유동 연결된다.
이를 위해, 파이프(48, 50)는 각각 2개의 분기부(56, 58)로 분기되며, 각 경우에 제1 분기부(56), 즉 제1 파이프(48)의 제1 분기부(56) 및 제2 파이프(50)의 제1 분기부(56)는 제1 힌지 박스(44)에 유동 연결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파이프(48, 50)의 제2 분기부(58)는 각각 제2 힌지 박스(46)에 유동 연결된다.
힌지 박스(44, 46)는 2개의 위치를 채택할 수 있으며, 여기서 힌지 박스(44, 46)는 제1 힌지 박스(44)가 유동 측면에서 제2 파이프(50)를 공기 컨베이어(42)의 출구 측으로 연결하고, 제2 힌지 박스(46)는 유동 측면에서 제1 파이프(48)를 공기 컨베이어의 흡입 측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제1 위치에 연결된다.
이 제1 위치에서, 공기는 제1 보상 개구(52)에서 오븐(12)으로부터 제거되고 제2 보상 개구(54)에서 다시 오븐(12)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에서, 제1 보상 개구(52)는 공기 출구이고, 제2 보상 개구(54)는 오븐(12)에 대한 공기 흡입구이다.
힌지 박스(44, 46)의 제2 위치에서, 제1 힌지 박스(44)는 유동 측면에서 제1 파이프(48)를 공기 컨베이어(42)의 출구 측에 연결하고, 제2 힌지 박스(46)는 제2 파이프(50)를 공기 컨베이어(42)의 흡입 측에 연결한다. 이 위치에서, 제2 보상 개구(54)는 공기 배출구를 형성하고 제1 보상 개구(52)는 오븐(12)용 공기 흡입구를 형성한다. 따라서 힌지 박스(44, 46)의 제2 위치에서의 공기의 흐름 방향은 제1 위치와 비교하여 반대로 된다.
도 4는 체인 라인으로 그려진 필름 트랙(F)에 대한 보상 개구(52, 54)의 위치를 개략적인 형태로 다시 도시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 보상 개구들(52, 54)은 횡 방향으로 이송 시스템(14) 및 필름 트랙(F) 옆에 있다. 보상 개구들(52, 54)은 필름 트랙(F)의 높이에서 수직 방향(H)으로 위치된다.
보상 개구들은 예를 들어 중앙 평면(M)을 가로질러 연장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보상 개구(52)와 제2 보상 개구(54)는 동일하게 설계된다.
일반적인 연신 유닛(10)의 작동에서, 드로잉 방향으로 도 1에서 L로 지시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중앙 평면(M)의 서로 다른 측면에서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원하지 않는 기류가 형성된다. 이러한 원하지 않는 기류(L)를 줄이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음 방법이 실행된다.
먼저, 드로잉 방향 R에서 기류(L)의 크기를 측정한다. 이것은 센서(4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40) 대신에, 기류의 방향 및 크기는 예를 들어 측정 지점에 위치된 스레드에 의해 수동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중앙 평면(M)의 양쪽에서 압력 예를 들어 압력 차를 측정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경우에서, 보상 장치(16)가 작동되기 전에, 도 1과 관련하여 중앙 평면(M)의 상부 측(도 2에 대해 좌측)에 오븐(12)으로의 기류(L)가 존재하고 중앙 평면(M)의 다른 쪽에서 오븐(12) 외부로의 기류(L)(도 1 하부, 도 2 우측)가 존재한다.
수동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 기류(L)를 측정한 후, 이제 보상 장치(16)가 작동된다. 이를 위해 힌지 박스(44, 46)의 위치는 초기에, 위쪽에서 원치 않는 기류(L)가 오븐(12) 내로 유입되는 중앙 평면(M)의 측면에 위치한 보상 개구(52, 54)에서 보상 장치(16)를 통해 오븐(12)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따라서 이 보상 개구는 오븐(12)을 위한 공기 흡입구가 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이것은 힌지 박스(44, 46)가 따라서 제2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1 보상 개구(52)이다.
이어서, 공기 컨베이어(42)가 작동되고, 제2 보상 개구(54)를 통해 오븐(12)에서 제거된 공기가 제1 보상 개구(52)에서 다시 오븐(12)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하지 않는 기류(L)를 약화시키는 기류(L)에 대한 역류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공기 컨베이어(42)의 회전 속도는 바람직하지 않은 기류(L)가 최소가 되거나 정지될 때까지 증가된다. 회전 속도는 자동으로 조절하거나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당 42 내지 4000㎥(㎥/h)의 공기가 공기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된다.
이에 따라, 횡 방향(Q)으로 필름의 온도 차이를 초래할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기류(L)가 보상 장치(16)에 의해 최소화되거나 완전히 방지된다.
따라서 제작된 필름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온도 차이 및 기류가 확실하게 방지되어 제작되는 필름의 품질이 향상된다.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은 도 4의 표현에 대응한다. 이들은 제1 실시형태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연신 유닛(10)의 추가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 및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도 5에 따른 제2 실시형태에서, 제1 보상 개구(52) 및 제2 보상 개구(54)는 각각 2개의 유동 개구(6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보상 개구(52)의 유동 개구(60)는 제1 파이프(48)에 유동 연결되고, 제2 보상 개구(54)의 유동 개구(60)는 제2 파이프(50)에 유동 연결된다.
횡 방향(Q)에서 유동 개구(60)는 제1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필름 트랙(F) 옆에, 즉 외부에 위치된다.
그러나 수직 방향 H에서, 유동 개구(60)는 필름 트랙(F)의 위와 아래에 위치한다. 더 상세하게는, 제1 보상 보상 개구(52)의 유동 개구(60) 중 하나 및 제2 보상 개구(54)의 유동 개구(60) 중 하나는 필름 트랙(F)의 위쪽에 위치하며, 제1 보상 개구(52)의 유동 개구(60) 중 다른 하나와 제2 보상 개구(54)의 유동 개구(60) 중 다른 하나는 필름 트랙(F) 아래에 위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상 장치에서 나오는 공기가 필름 위에 직접 분사되지 않는다.
각 경우에서, 각각의 보상 개구(도 5에서 점선으로 표시됨)의 두 유동 영역(60) 사이에 스로틀 값(61)이 제공될 수 있다. 필름 트랙(F) 위 또는 아래에서 제거되거나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스로틀 값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도 6에는 연신 유닛(10)의 제3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보상 개구(52) 및 제2 보상 개구(54)는 각각 파이프의 유동 영역(62) 내에 제공되는 복수의 유동 개구(60)를 포함한다.
유동 개구(60)는 슬릿, 둥근 구멍, 타원형 구멍, 다각형 구멍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설계될 수 있다. 구멍의 크기도 다를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에서, 유동 영역(62)은 수직 방향(H)으로, 즉 필름 트랙(F) 위에서 필름 트랙(F) 아래로 연장되어, 유동 개구(60)가 필름 트랙(F)의 위, 아래 및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횡 방향(Q)에서, 유동 영역(62)은 필름 트랙(F) 옆에 위치한다.
도 7에 따른 제4 실시형태에서, 도 6에 따른 제3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유동 영역(62)도 제공된다.
제3 실시형태와 대조적으로, 보상 개구(52, 54) 당 복수의 유동 영역(62)이 제공되고, 유동 영역(62)은 도 7에 따른 제4 실시형태에서 횡 방향(Q)으로 연장된다.
더 구체적으로, 각 경우에서 각각의 보상 개구(52, 54)에 대해 2개의 유동 영역(62)이 제공되며, 각 보상 개구(52, 54)의 하나의 유동 영역(62)은 필름 트랙(F) 위로 연장되고, 다른 하나는 필름 트랙(F) 아래로 연장된다.
횡 방향(Q)에서, 유동 영역(62)은 중앙 평면(M)과 교차하지 않고 중앙 평면(M)을 향해 연장된다.
예를 들어, 모든 유동 영역(62)은 운송 레일(32)을 따라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필름 트랙(F)을 따라 횡 방향(Q)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유동 영역(62)은 부분적으로는 운송 시스템(32) 위로 그리고 필름 위로 횡 방향(Q)으로 돌출할 수 있다. .
유동 개구(60)는 드로잉 방향 R로 및/또는 반대 방향으로 개방된다.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신 유닛(10)의 제5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5 실시형태는 실질적으로 도 7에 따른 제4 실시형태에 대응한다.
제4 실시형태와 대조적으로, 유동 개구(60)는 수직 방향 H로 또는 그 반대로 개방된다.
도 9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동 개구(60)는 필름 트랙 F를 향하여 배향된다.
필름 트랙(F) 아래로 연장되는 유동 영역(62)의 유동 개구(60)는 대응하는 파이프의 상부 측에 구성된다. 유사하게, 필름 트랙(F) 위로 연장되는 유동 영역(62)의 유동 개구(60)는 대응하는 파이프의 하부 측에 구성된다.
따라서 유동 개구(60)를 빠져나가는 기류는 수직 방향 H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그리고 각각의 경우 실질적으로 유동 트랙 F를 향하여 흐른다.
제3, 제4 및 제5 실시형태의 유동 영역(62)을 통해, 필름과의 상호작용이 더욱 감소된다.

Claims (15)

  1. 오븐(12) 및 보상 장치(16)를 포함하는 필름을 연신하기 위한 연신 유닛(10), 특히 횡 방향 배향기, 기계 방향 배향기 및/또는 동시 연신 유닛으로,
    상기 오븐(12)은 수직 방향 H, 횡 방향 Q 및 드로잉 방향 R을 포함하고,
    보상 장치(16)는 공기 컨베이어(42), 제1 보상 개구(52) 및 제2 보상 개구(54)를 포함하되, 제1 보상 개구(52) 및 제2 보상 개구(54)는 수직 방향 H 및 드로잉 방향 R에서 오븐(12)의 중앙 평면(M)의 대향 측면들에 있는 오븐(12) 내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공기 컨베이어(42)는 유동 방향과 관련하여 상기 제1 보상 개구(52)와 상기 제2 보상 개구(54) 사이에 위치하고,
    보상 장치(16)는 보상 개구들(52, 54) 중 하나를 통해 오븐(12)에서 일정량의 공기를 제거하고, 보상 개구들(52, 54)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제거된 일정량의 공기를 오븐(12)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보상 개구(52) 및 제2 보상 개구(54)가 동일하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보상 개구(52) 및 제2 보상 개구(54)가 드로잉 방향 R으로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유닛.
  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보상 개구(52) 및 제2 보상 개구(54)가 오븐(12) 안으로 공급되는 필름 영역에 또는 오븐(12) 밖으로 배출되는 필름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유닛.
  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보상 개구(52) 및 제2 보상 개구(54)가 오븐(12)의 중립 구역(28)의 영역에, 중립 구역(28) 전의 오븐(12)의 구역(26)의 영역에 및/또는 중립 구역(28) 후의 오븐(12)의 구역(30)의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유닛.
  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 트랙(F)이 오븐(12) 내에 정의되고, 특히 제1 보상 개구(52) 및 제2 보상 개구(54)가 횡 방향 Q와 관련하여 필름 트랙(F)의 외부에 위치하고 및/또는 필름 트랙(F)의 높이에서 수직 방향 H와 관련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제1 보상 개구(52) 및 제2 보상 개구(54) 각각이 2개의 유동 개구(60)를 포함하되, 각 경우에서, 2개의 유동 개구(60) 중 하나는 필름 트랙(F) 위에 위치하고, 2개의 유동 개구(60) 중 다른 하나는 필름 트랙(F)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유닛.
  8. 제6항에 있어서, 제1 보상 개구(52) 및 제2 보상 개구(54)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유동 영역(62)에서 복수의 유동 개구(60)를 포함하고,
    유동 영역(62)은 수직 방향 H로, 특히 필름 트랙(F) 아래에서부터 필름 트랙(F) 위로 연장하거나, 또는
    유동 영역(62)이 횡 방향 Q에서 필름 트랙(F)의 위 또는 아래에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유닛.
  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 컨베이어(42)가 처리 공간(12) 외부에 위치하고 및/또는 공기 컨베이어(42)가 레이디얼 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유닛.
  1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보상 개구(52)는 제1 파이프(48)를 통해 공기 컨베이어(42)에 유동 연결되고, 제2 보상 개구(54)는 제2 파이프(50)를 통해 공기 컨베이어(42)에 유동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보상 장치(16)는 공기 컨베이어(42)의 출구 측에 유동 연결된 제1 힌지 박스(44) 및 공기 컨베이어(42)의 흡입 측에 유동 연결된 제2 힌지 박스(46)를 포함하고,
    제1 파이프(48) 및 제2 파이프(50) 각각은 2개의 분기부(56, 58)로 분기되고, 각 경우에서, 하나의 분기부(56)는 제1 힌지 박스(44)에 유동 연결되고, 대응하는 다른 분기부(58)는 제2 힌지 박스(46)에 유동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힌지 박스들(44, 46)의 제1 위치에서, 제1 파이프(48)는 공기 컨베이어(42)의 흡입 측에 유동 연결되고, 제2 파이프(50)는 공기 컨베이어(42)의 출구 측에 유동 연결되며, 힌지 박스들(44, 46)의 제2 위치에서, 제1 파이프(48)는 공기 컨베이어(42)의 출구 측에 유동 연결되고, 제2 파이프(50)는 공기 컨베이어(42)의 흡입 측에 유동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유닛.
  1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신 유닛(10)이 기류(L)의 방향을 위한 센서(40) 및/또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유닛.
  1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신 유닛(10)이 드로잉 방향 R로 오븐(12)을 관통하여 특히 필름 트랙(F)을 따라 필름을 운송하도록 구성된 운송 시스템(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유닛.
  15. 연신 유닛(10)에서 불균일한 온도 및 기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연신 유닛(10)의 오븐(12)의 중앙 평면(M)의 일 측에서 드로잉 방향 R에서 기류(L) 및/또는 압력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 보상 장치(16)의 일 측에서 제1 보상 개구(52)를 통해 오븐(12)으로부터 일정량의 공기를 제거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제거된 일정량의 공기를 제2 보상 개구(54)를 통해 중앙 평면(M)의 타 측에서 오븐 안으로 공급하는 단계.
KR1020230063728A 2022-05-30 2023-05-17 필름 연신 유닛에서 불균일한 온도 및 기류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연신 유닛 KR202301669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2113534.9A DE102022113534A1 (de) 2022-05-30 2022-05-30 Reckanlage sowie Verfahren zur Verringerung ungleichmäßiger Temperaturen und Luftströmungen in einer Folienreckanlage
DE102022113534.9 2022-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904A true KR20230166904A (ko) 2023-12-07

Family

ID=88586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3728A KR20230166904A (ko) 2022-05-30 2023-05-17 필름 연신 유닛에서 불균일한 온도 및 기류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연신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84033A1 (ko)
EP (1) EP4286138A1 (ko)
JP (1) JP2023175660A (ko)
KR (1) KR20230166904A (ko)
CN (1) CN117140932A (ko)
DE (1) DE102022113534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8970A (ja) * 2000-07-07 2002-01-22 Hirano Tecseed Co Ltd 熱処理装置
US20080193890A1 (en) 2007-02-08 2008-08-14 Rogers James H Textile Curing Oven With Active Cooling
EP2934854B1 (de) 2012-12-20 2017-08-30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Reckanlage
EP3398750B1 (en) 2015-12-28 2021-10-20 Toray Industries, Inc. Airflow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ed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86138A1 (de) 2023-12-06
US20230384033A1 (en) 2023-11-30
JP2023175660A (ja) 2023-12-12
CN117140932A (zh) 2023-12-01
DE102022113534A1 (de)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603044T3 (de) Vorbehandelte Vorformlinge im Nachwärmen einer Blasformvorrichtung
CA2896441C (en) Molding system
US11759981B2 (en) Ventilation module and associated stretching system
US57141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conditioned air to a blow-molding oven
KR102535340B1 (ko) 필름 연신 시스템
JP2003532855A (ja) 連続的に搬送される製品を乾燥させる乾燥装置および方法
JPH0362995B2 (ko)
EP2163128B1 (de) Vorrichtung zum erwärmen von vorformlingen
KR20230166904A (ko) 필름 연신 유닛에서 불균일한 온도 및 기류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연신 유닛
DE102011080833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lasformen von Behältern
JP6559794B2 (ja) フィルム延伸プラントにおける処理流体案内
KR20020048953A (ko) 반도체 회로, 인쇄 회로 기판 등의 소재들의 온도 조절에대한 방법 및 장치
US11365498B2 (en) Making spunbond from continuous filaments
KR100887409B1 (ko) 포장박스의 필름 자동 포장장치
KR101758559B1 (ko) 선재 냉각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설비
CN106660273A (zh) 用于热空气密封含塑料的包装的热空气密封装置和方法
US3544676A (en) Flatness control of thermoplastic sheets
KR101758496B1 (ko) 선재코일 냉각 장치
JP6479030B2 (ja) テクスチャリング加工機
JP3892381B2 (ja) 多層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JPH07297537A (ja) リフロー装置
JP2014218721A (ja) 焼鈍処理における急冷方法及び焼鈍炉における急冷設備
JPH0149810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