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784A -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784A
KR20230166784A KR1020220067266A KR20220067266A KR20230166784A KR 20230166784 A KR20230166784 A KR 20230166784A KR 1020220067266 A KR1020220067266 A KR 1020220067266A KR 20220067266 A KR20220067266 A KR 20220067266A KR 20230166784 A KR20230166784 A KR 20230166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rame
sliding door
inner fram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딜리오
정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딜리오, 정용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딜리오
Priority to KR1020220067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6784A/ko
Publication of KR20230166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78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1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part of which remains vi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의 상하프레임의 배면 상하측에 "ㄱ"자 삽입턱을 형성한 상하프레임부와, 상기 상하프레임부의 상하프레임 내측단에 삽입되도록 내측프레임의 양단 외측으로 전방에 스프링삽입홈과 상측면에 마찰편을 형성한 외측삽입편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프레임 외측으로는 작동홀을 형성하며 상기 내측프레임 단부에는 삽입홀을 형성한 내측프레임부와, 상기 내측프레임부의 내측프레임과 대칭되어 상하측프레임 외측단에 삽입되도록 외측프레임의 양단 내측으로 전방에 스프링삽입홈과 상측면에 마찰편을 형성한 내측삽입편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프레임 외측으로는 작동홀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프레임 단부에는 삽입홀 형성한 외측프레임부와, 상기 외측프레임부와 내측프레임부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스프링에 의해 고정되며 배면측으로 로울러가 형성되는 로울러브라켓을 형성하고 상기 로울러브라켓의 정면에는 삽입편을 형성하여 함체 상하면 형성된 전방레일과 후방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로울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DOOR FRAME DEVICE FOR SLIDING DOOR}
본 발명은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구 없이도 상하프레임과 내외측면프레임을 삽입에 의해 연결이 가능하며 내외측면프레임의 상하부를 동일한 구조로 형성하여 하나의 프레임으로 전후방도어 내외측면프레임을 사용하고 레일과 로울러에 복수의 접촉점을 형성하여 도어의 슬라이딩을 안정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후방 레일간의 간격과 전후방 도어의 간격을 동일하게 형성하여 하나의 로울러브라켓을 사용함으로써 부품수의 감소로 원가가 절감되고 생산성 향상되며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공간을 갖으며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장이나 책장 또는 장롤 등의 가구에 도어를 설치하여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있는 물건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는 개폐방식에 따라 크게 여닫이식과 미닫이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여닫이식은 도어가 힌지나 경첩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방식이며 미닫이식은 레일을 따라 도어의 폭 만큼 개폐되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여닫이식은 도어가 회전하면서 도어의 폭 만큼에 해당하는 공간이 필요하며 미닫이식은 도어의 갯수 만큼 레일을 형성하고 각각의 도어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간의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
이와 같은 여닫이식 도어는 레일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로울러를 도어에 설치해야 함으로써 도어의 판넬을 고정하는 도어샷시를 형성하고 도어샷시에 로울러브라켓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여닫이식 도어는 도어샷시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통하여 나사체결에 의해 직각으로 연격하고 직각으로 연결된 연결부재에 로울러브라켓을 나사를 통하여 체결하였기 때문에 조립성이 저하되고 도어샷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부품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특허등록 제1558129호 미닫이용 도어프레임을 제안하였다.
상기 미닫이용 도어프레임은 도어프레임의 단부에 연결프레임을 삽입하여 조립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측에 브라켓삽입편을 삽입에 의해 고정하고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도어프레임은 각각의 도어프레임을 형성하여 연결프레임으로 연결해야 함으로써 부품수의 증가로 인하여 생산성저하 및 생산비용이 증가하였음은 물론 조립성공수가 많아져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도어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구 없이도 상하측 프레임과 내외부측면프레임을 삽입에 의해 연결이 가능하며 내외부측면 프레임을 상부와 하부로 분리하여 상하부의 내외부 측면프레임을 동일한 구조로 형성하여 하나의 프레임으로 내외부측면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수의 감소로 원가가 절감되고 생산성 향상되며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닫이용 도어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의 상하프레임의 배면 상하측에 "ㄱ"자 삽입턱을 형성한 상하프레임부와, 상기 상하프레임부의 상하프레임 내측단에 삽입되도록 내측프레임의 양단 외측으로 전방에 스프링삽입홈과 상측면에 마찰편을 형성한 외측삽입편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프레임 외측으로는 작동홀을 형성하며 상기 내측프레임 단부에는 삽입홀을 형성한 내측프레임부와, 상기 내측프레임부의 내측프레임과 대칭되어 상하측프레임 외측단에 삽입되도록 외측프레임의 양단 내측으로 전방에 스프링삽입홈과 상측면에 마찰편을 형성한 내측삽입편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프레임 외측으로는 작동홀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프레임 단부에는 삽입홀 형성한 외측프레임부와, 상기 외측프레임부와 내측프레임부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스프링에 의해 고정되며 배면측으로 로울러가 형성되는 로울러브라켓을 형성하고 상기 로울러브라켓의 정면에는 삽입편을 형성하여 함체 상하면 형성된 전방레일과 후방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로울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용 도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로울러부의 고정스프링은 일측단에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고정스프링의 일측단을 스프링삽입홈 일측에 탄력 고정하고 상기 고정스프링 타단에는 걸림턱과 삽입편을 수용하는 수용홈과 작동홀에 돌출되는 작동편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삽입편 내외측에는 걸림턱이 삽입 또는 인출되는 걸림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로울러부의 로울러 외주면 전후방은 로울러면을 형성하고 상기 로울러면 중앙으로는 로울러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전후방레일은 상기 로울러면이 구름 접촉하도록 전후방레일 전후방으로는 한 쌍의 레일로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에는 로울러돌기가 삽입되는 레일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로울러부의 로울러브라켓을 전후방도어 설치시 전후방도어에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전방레일의 중심과 후방레일의 중심 간격이 미닫이용 도어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구 없이도 상하측 프레임과 내외부측면프레임을 삽입에 의해 연결이 가능하며 내외부측면 프레임을 상부와 하부로 분리하여 상하부의 내외부 측면프레임을 동일한 구조로 형성하여 하나의 프레임으로 내외부측면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수의 감소로 원가가 절감되고 생산성 향상되며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를 나타낸 배면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의 내측프레임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의 외측프레임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의 사용상태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프레임을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프레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도어프레임을 나타낸 배면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는 미닫이용 도어(D)의 상하측을 형성하는 상하프레임부(10)와, 상기 상하프레임부(10)이 내측단에 삽입결합되는 내측프레임부(20)와, 상기 상하프레임부(10)의 외측단에 삽입결합되는 외측프레임부(30)와, 상기 외측프레임부(30)와 내측프레임부(20)가 상하프레임부(10) 양단에 삽입고정되어 조립되는 미닫이용 도어(D)를 슬라이딩시키는 로울러부(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상하프레임부(10)는 일정한 길이의 상하프레임(11)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프레임(11)의 배면 상하측에 "ㄱ"자 삽입턱(1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상하프레임부(10)의 상하프레임(11)의 일측에는 거울이나 정면판이 고정되어 걸림되도록 돌출되는 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상하프레임부(10)의 내측단에는 내측프레임부(20)를 삽입 고정한다.
상기 내측프레임부(20)는 상하프레임부(10)의 상하프레임(11) 내측단 삽입턱(12)에 삽입되도록 내측프레임(21)의 양단 외측으로 전방에 스프링삽입홈(I)을 형성한 외측삽입편(22)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프레임(21) 외측으로는 작동홀(W)을 형성하며 상기 내측프레임(21) 단부에는 삽입홀(H)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내측프레임부(20)와 대응되는 외측으로 외측프레임부(30)를 형성한다.
상기 외측프레임부(30)는 상기 내측프레임부(20)의 내측프레임(21)과 대칭되어 상하측프레임(11) 외측단 삽입턱(12)에 삽입되도록 외측프레임(31)의 양단 내측으로 전방에 스프링삽입홈(I)을 형성한 내측삽입편(32)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프레임(31) 외측으로는 작동홀(W)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프레임(31) 단부에는 삽입홀(H)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내측프레임부(20)의 외측삽입편(22)과 외측프레임부(30)의 내측삽입편(32)의 상측면에는 마찰편(50)을 형성하여 상하프레임(10) 단부에 삽입하였을 때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렇게 조립되는 상기 외측프레임부(30)와 내측프레임부(20)의 양단부에는 로울러부(40)를 형성하여 미닫이용 도어(D)가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상기의 로울러부(40)는 상기 외측프레임부(30)와 내측프레임부(20)의 삽입홀(H)에 후방측으로 로울러(41)가 형성되는 로울러브라켓(42)의 전방면에 형성된 삽입편(43)을 삽입하여 고정스프링(S)으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로울러부(40)의 고정스프링(S)은 일측단에 고정돌기(45)를 형성하여 고정스프링(S)의 일측단을 스프링삽입홈(I) 일측에 탄력 고정하고 상기 고정스프링(S) 타단에는 걸림턱(46)과 삽입편(43)을 수용하는 수용홈(47)과 작동홀(W)에 돌출되는 작동편(48)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삽입편(43) 내외측에는 걸림턱(46)이 삽입 또는 인출되는 걸림홈(49)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고정된 로울러부(40)의 로울러(41)가 함체 상하면 형성된 전방레일(44)과 후방레일(44')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의 로울러(41) 외주면 전후방은 로울러면(R1)을 형성하고 상기 로울러면(R1) 중앙으로는 로울러돌기(R2)를 형성하며 상기 전후방레일(44,44')은 상기 로울러면(R1)이 구름 접촉하도록 전후방레일(44,44') 전후방으로는 한 쌍의 레일로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에는 로울러돌기(R2)가 삽입되는 레일홈(R3)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로울러부(40)의 로울러브라켓(42)을 미닫이용 도어(D) 설치시 미닫이용 도어(D)에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전방레일(44)의 중심과 후방레일(44')의 중심 간격이 미닫이용 도어(D)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측프레임부(20)의 내측프레임(21) 상하단에 형성된 외측삽입편(22)과 외측프레임부(30)의 외측프레임(31) 상하단에 형성된 내측삽입편(32)의 정면에 형성된 스프링삽입홈(I)에 고정스프링(S)의 일측단의 고정돌기(45)를 삽입하여 고정하여 고정스프링(S)의 타측단에 형성된 작동편(48)이 외측삽입편(22)과 내측삽입편(32) 타측단에 형성된 작동홀(W)에 돌출되도록 삽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미닫이용 도어(D)의 폭에 따라 상하프레임부(10)의 상하프레임(11)을 설정된 길이로 절단한 상하프레임(11) 양단에 내측프레임(21)의 외측삽입편(22)과 외측프레임(31)의 내측삽입편(32)을 삽입하여 장방형태의 도어프레임을 조립한다.
이때 내측프레임부(20)의 내측프레임(21)의 상하 위치를 바꿔 외측프레임(31)으로 사용할 수도 있어 부품의 호환성을 증대시킨다.
이렇게 내측프레임부(20)의 내측프레임(21) 상하단에 형성된 외측삽입편(22) 또는 외측프레임부(30)의 외측프레임(31) 상하단에 형성된 내측삽입편(32)을 상하프레임(11)의 내측단과 외측단에 삽입하여 외측삽입편(22)과 내측삽입편(32)에 형성된 마찰편(50)이 삽입턱(12)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렇게 조립된 도어프레임의 내측프레임(21)과 외측프레임(31) 상하단에 로울러부(40)를 조립한다.
상기 로울러부(40)의 조립은 로울러브라켓(42) 전방에 형성된 삽입편(43)을 삽입하여 로울러브라켓(42)을 고정한다.
상기 삽입편(43)의 단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내,외측프레인(21,31) 상하단부에 형성된 삽입홀(H)에 삽입하면 스프링삽입홈(I)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스프링(S)의 수용홈(47)에 삽입되면서 고정스프링(S)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걸림턱(46)을 밀면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삽입편(43)이 삽입홀(H)에 깊게 삽입되어 고정스프링(S)의 걸림턱(46)과 삽입편(43)의 걸림홈(49)이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면 눌러져 있던 고정스프링(S)의 탄성에 의해 고정스프링(S)이 펼쳐지면서 걸림턱(46)이 걸림홈(49)에 걸림되어 쉽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로울러부(40)를 분해하기 위해서는 작동홀(W)에 돌출된 작동편(48)을 눌러서 걸림홈(49)에 걸려 있는 걸림턱(46)을 해제하여 삽입된 삽입편(43)을 삽입홀(H)에서 인출하여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조립되는 로울러부(40)는 내,외측프레임(21,31)의 상단에 로울러브라켓(42)을 조립하여 미닫이용 도어(D)를 전후방레일(44, 44')에 걸림되도록 한 후 하단을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로울러부(40)는 상기 전후방레일(44,44')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미닫이용 도어(D)가 개폐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로울러부(40)의 로울러브라켓(42) 후방에 형성된 로울러(41)의 전후방에 형성된 로울러면(R1)이 한쌍의 레일로 형성된 전,후방레일(44,44')에 구름 접촉하겨 상기 전후방 로울러면(R1) 중앙에 형성된 로울러돌기(R2)는 레일홈(R3)에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하여 미닫이용 도어(D)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레일(44)의 중심과 후방레일(44')의 중심간격이 미닫이용 도어(D)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전방레일(44)에 걸쳐지는 미닫이용 도어(D)의 폭(b)과 후방레일(44')에 걸쳐지는 미닫이용도어(D)의 폭(a)이 동일하여 미닫이용 도어(D)에 사용되는 로울러브라켓(42)을 동일한 부품으로 사용할 수 있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10 : 상하프레임부 11 : 상하프레임
12 : "ㄱ"자 삽입턱 20 : 내측프레임부
21 : 내측프레임 22 : 외측삽입편
30 : 외측프레임부 31 : 외측프레임
32 : 내측삽입편 40 : 로울러부
41 : 로울러 42 : 로울러브라켓
43 : 삽입편 44 : 전방레일
44' : 후방레일 45 : 고정돌기
46 : 걸림턱 47 : 수용홈
48 : 작동편 49 : 걸림홈
50 : 마찰편 S : 고정스프링
W : 작동홀 R1 : 로울러면
R2 : 로울러돌기 R3 : 레일홈
D : 미닫이용 도어

Claims (5)

  1. 일정한 길이의 상하프레임(11)의 배면 상하측에 "ㄱ"자 삽입턱(12)을 형성한 상하프레임부(10)와,
    상기 상하프레임부(10)의 상하프레임(11) 내측단 삽입턱(12)에 삽입되도록 내측프레임(21)의 양단 외측으로 전방에 스프링삽입홈(I)을 형성한 외측삽입편(22)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프레임(21) 외측으로는 작동홀(W)을 형성하며 상기 내측프레임(21) 단부에는 삽입홀(H)을 형성한 내측프레임부(20)와,
    상기 내측프레임부(20)의 내측프레임(21)과 대칭되어 상하측프레임(11) 외측단 삽입턱(12)에 삽입되도록 외측프레임(31)의 양단 내측으로 전방에 스프링삽입홈(I)을 형성한 내측삽입편(32)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프레임(31) 외측으로는 작동홀(W)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프레임(31) 단부에는 삽입홀(H)을 형성한 외측프레임부(30)와,
    상기 외측프레임부(30)와 내측프레임부(20)의 삽입홀(H)에 삽입되어 고정스프링(S)에 의해 고정되며 후방측으로 로울러(41)가 형성되는 로울러브라켓(42)을 형성하고 상기 로울러브라켓(42)의 전방에는 삽입편(43)을 형성하여 함체 상하면에 형성된 전방레일(44)과 후방레일(44')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로울러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부(20)의 외측삽입편(22)과 외측프레임부(30)의 내측삽입편(32)의 상측면에는 마찰편(5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부(40)의 고정스프링(S)은 일측단에 고정돌기(45)를 형성하여 고정스프링(S)의 일측단을 스프링삽입홈(I) 일측에 탄력 고정하고 상기 고정스프링(S) 타단에는 걸림턱(46)과 삽입편(43)을 수용하는 수용홈(47)과 작동홀(W)에 돌출되는 작동편(48)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삽입편(43) 내외측에는 걸림턱(46)이 삽입 또는 인출되는 걸림홈(4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부(40)의 로울러(41) 외주면 전후방은 로울러면(R1)을 형성하고 상기 로울러면(R1) 중앙으로는 로울러돌기(R2)를 형성하며 상기 전후방레일(44,44')은 상기 로울러면(R1)이 구름 접촉하도록 전후방레일(44,44') 전후방으로는 한 쌍의 레일로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에는 로울러돌기(R2)가 삽입되는 레일홈(R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부(40)의 로울러브라켓(42)을 미닫이용 도어(D) 설치시 미닫이용 도어(D)에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전방레일(44)의 중심과 후방레일(44')의 중심 간격이 미닫이용 도어(D)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
KR1020220067266A 2022-05-31 2022-05-31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 KR20230166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266A KR20230166784A (ko) 2022-05-31 2022-05-31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266A KR20230166784A (ko) 2022-05-31 2022-05-31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784A true KR20230166784A (ko) 2023-12-07

Family

ID=8916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266A KR20230166784A (ko) 2022-05-31 2022-05-31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67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129B1 (ko)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US6994410B2 (en) Pocket door slide
US5621947A (en) Hinge for an article of furniture with a frame
JP3043289B2 (ja) 閉鎖要素、特に折畳戸/引戸の扉用支持体
KR102115975B1 (ko) 미닫이용 도어프레임의 연결구조
KR102081786B1 (ko)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KR20230166784A (ko)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장치
US5355556A (en) Enclosure having reversible door and hinge therefor
KR20200044417A (ko)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브라켓 결합 장치
KR101232512B1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장치
KR20220043819A (ko) 조립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딩 도어
US20230056840A1 (en) Shutter assembly
KR20190118233A (ko) 여닫이도어의 힌지장치
WO2018026157A1 (ko) 여닫이식 경량도어의 프레임 결합장치
JP3096885B2 (ja) 連動折り戸用の走行体とヒンジの着脱装置
JP3057306B2 (ja) 連動折り戸用の走行体とヒンジの着脱装置
JP3458303B2 (ja) シャッターケース
CN213483326U (zh) 一种翻盖式广告灯箱
KR200257264Y1 (ko) 캐비닛용 경첩
KR200159404Y1 (ko) 통신기기의 랙(Rack)에 설치되는 도어 조립구조
JP2581336Y2 (ja) 一辺開閉式額縁
JP2964565B2 (ja) 収納家具
JP3462409B2 (ja) 金属製キャビネットの連結構造
JPS6115189Y2 (ko)
JP2639193B2 (ja) 収納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