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770A - 사이드 차체 구조 - Google Patents

사이드 차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770A
KR20230166770A KR1020220067212A KR20220067212A KR20230166770A KR 20230166770 A KR20230166770 A KR 20230166770A KR 1020220067212 A KR1020220067212 A KR 1020220067212A KR 20220067212 A KR20220067212 A KR 20220067212A KR 20230166770 A KR20230166770 A KR 20230166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structure
sill
seal
car body
jo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원
박대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7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6770A/ko
Priority to US17/950,889 priority patent/US20230382459A1/en
Priority to CN202211317608.8A priority patent/CN117184238A/zh
Publication of KR20230166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사이드 차체 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는, i)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사이드 실과, ii)사이드 실의 상부에 결합되는 별물의 실 파팅 멤버를 포함하고, 실 파팅 멤버는 사이드 실의 상부 면에 따른 차체 전후 방향의 기준 선 상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이드 차체 구조{SIDE BODY STRUCTURE OF VEHICL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차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 충돌 성능이 개선된 사이드 차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는 사이드 구조체와, 사이드 구조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루프 구조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사이드 구조체는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차체의 전반적인 강성을 지지하면서 승객을 보호하도록 사이드 실에 상하 방향을 따라 연결된 복수의 필러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이드 구조체는 강성 및 강도를 확보하지 못하게 되면,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사이드 실에 충돌 하중이 집중되면서 사이드 실의 모멘트에 의한 회전 발생으로 승객의 상해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IIHS)(이하 IIHS 라고 한다)는 차량의 충돌 안전 성능 및 충돌 예방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최근 들어 IIHS는 측면 충돌 평가에 보다 강화된 안전 등급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이를 위해 IIHS는 충돌 시험을 위한 배리어의 속도 및 중량 등의 평가 조건을 상향하고 있다.
따라서, 사이드 차체의 강성 및 강도 확보는 차체 측면의 변형 최소화 및 승객 안전 성능을 확보함과 아울러 IIHS 측면 충돌 평가의 대응을 위해 반드시 요구될 수밖에 없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량의 측면 충돌에 따른 차체의 변형 최소화 및 승객 안전 성능을 확보하면서 보다 강화된 IIHS 측면 충돌 평가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사이드 차체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는, i)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사이드 실과, ii)상기 사이드 실의 상부에 결합되는 별물의 실 파팅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실 파팅 멤버는 상기 사이드 실의 상부 면에 따른 차체 전후 방향의 기준 선 상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사이드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실 파팅 멤버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센터 필러의 하부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사이드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측면 충돌 평가를 위한 배리어의 타격부와 오버랩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사이드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실 파팅 멤버는 상기 사이드 실의 상부에 노치 가공되어 있는 섹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사이드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은 서로 접합된 실 인너 멤버 및 실 아웃터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사이드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실 파팅 멤버는 상기 실 아웃터 멤버의 상부에 결합되고, 센터 필러의 필러 아웃터 멤버의 하부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사이드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실 파팅 멤버는 차체 전후 방향에 따른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 실의 하부 면에 접합되는 플랫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사이드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실 파팅 멤버는 차폭 방향에 따른 한쪽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1 플랜지부와, 다른 한쪽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사이드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는 상기 사이드 실의 상부에 접합되는 제1 접합 부분과, 센터 필러의 하부에 접합되는 제2 접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사이드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랜지부는 상기 사이드 실의 내측 면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사이드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센터 필러의 내측 면에 결합된 필러 보강 멤버와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사이드 실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차체의 변형 최소화 및 승객의 생존 공간 확보를 통한 충돌 안전 성능을 확보하면서 보다 강화된 IIHS 측면 충돌 평가에 대응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를 도시한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에 적용되는 실 파팅 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의 비교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위에서 참조된 도면들은 반드시 축적에 맞추어 도시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예시하는 다양한 선호되는 특징들의 다소 간략한 표현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치수, 방향, 위치, 및 형상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특정 설계 특징들이 특정 의도된 응용과 사용 환경에 의해 일부 결정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오직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고,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들은, 문맥상 명시적으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을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이라는 용어는 명시된 특징들, 정수, 단계들, 작동,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나타내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들, 작동,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연관되어 나열된 하나 이상의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결합된' 이라는 용어는 컴포넌트들이 용접, SPR(Self Piercing Rivet), FDS(Flow Drill Screw), 구조용 접착제 등에 의하여 상호 간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매개 컴포넌트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컴포넌트들 간의 물리적 관계를 표시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차량', '차량의', '자동차' 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다른 유사 용어는 일반적으로, 승용 차량,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 버스, 트럭, 다양한 상용 차량을 포함하는 자동차(passenger automobiles)를 포함하고,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전기차 기반의 PBV 차량(Purpose Built Vehicle), 수소 동력 차량 및 다른 대체 연료 차량(예를 들어, 석유가 아닌 다른 리소스로부터 유도된 연료)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설명의 편의 상, 사이드 실의 실 아웃터 멤버에 대한 사이드 차체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100)는 다양한 차종의 차체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기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기준 방향은 차체를 기준으로 하는 차체 전후 방향(예, 차체 길이 방향 또는 종 방향), 차폭 방향(예, 횡 방향) 및 상하 방향(예, 높이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100)는 차체의 차폭 방향에 따른 양측에 각각 구성되며, 루프 구조체(도시하지 않음)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상단부', '상부', '상단' 또는 '상부 면'은 도면에서 상대적으로 상측에 있는 구성요소의 단부, 부, 단, 또는 면을 나타내고, 구성요소의 '하단부', '하부', '하단' 또는 '하부 면'은 도면에서 상대적으로 하측에 있는 구성요소의 단부, 부, 단, 또는 면을 나타낸다.
더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단(예를 들어, 일측 단, 다른 일측 단 또는 양단 등)은 임의의 한 방향으로 구성요소의 끝을 나타내며, 구성요소의 단부(예를 들어, 일측 단부, 다른 일측 단부, 양 단부, 전방 단부, 또는 후방 단부 등)는 그 끝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의 일정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100)는 차량의 측면 충돌에 따른 차체의 변형 최소화 및 승객 안전 성능을 확보하면서 보다 강화된 IIHS 측면 충돌 평가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를 도시한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7은 설명의 편의 상, 사이드 실의 실 아웃터 멤버에 대한 사이드 차체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사이드 차체 구조(100)는 사이드 실(10), 복수의 필러(31, 33)들, 그리고 실 파팅 멤버(5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사이드 실(10)은 사이드 차체 구조(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차폭 방향에 따른 양측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양측의 사이드 실(10)에는 플로워 패널(도시하지 않음)이 접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차체의 차폭 방향을 기준으로, 사이드 실(10) 사이의 내측 영역을 '인너'라 하고, 사이드 실(10)의 외측 영역을 '아웃터'라 한다.
상기 사이드 실(10)은 서로 접합된 실 인너 멤버(11) 및 실 아웃터 멤버(1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실 인너 멤버(11)와 실 아웃터 멤버(13)는 각각의 어퍼 플랜지(12, 14) 및 각각의 로워 플랜지(15, 17)를 통해 차폭 방향을 따라 접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필러(31, 33)들은 사이드 차체 구조(100)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루프 구조체(도시하지 않음) 및 사이드 실(10)에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필러(31, 33)들은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된 프론트 필러(31), 센터 필러(33), 그리고 리어 필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필러(31, 33)들의 하부는 사이드 실(10)에 결합되며, 복수의 필러(31, 33)들의 상부는 루프 구조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 필러(33)는 서로 접합된 필러 아웃터 멤버(35) 및 필러 인너 멤버(3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실 파팅 멤버(50)는 차종에 따라 사이드 실(10)의 높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실 파팅 멤버(50)는 사이드 실(10)의 일부(예, 별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 파팅 멤버(50)는 사이드 실(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센터 필러(33)의 필러 아웃터 멤버(35)의 하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 파팅 멤버(50)는 차종에 따라 사이드 실(10)의 높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실 파팅 멤버(50)의 소재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고장력강 또는 초 고장력강일 수 있다.
이러한 실 파팅 멤버(50)는 사이드 실(10)에서, 실 아웃터 멤버(13)의 상부에 노치(notch) 가공되어 있는 섹션부(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섹션부(21)는 실 아웃터 멤버(13)의 상부의 일부가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 절개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에 적용되는 실 파팅 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실 파팅 멤버(50)는 돌출부(51), 플랫부(53), 제1 플랜지부(55), 그리고 제2 플랜지부(5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51)는 사이드 실(10)의 상부 면 즉, 실 아웃터 멤버(13)의 상부 면에 따른 차체 전후 방향의 기준 선(L1) 상에서, 실 파팅 멤버(50)의 상부 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예, 돌출)된다.
상기 돌출부(51)는 기준 선(L1)보다 높은 위치의 연장 선(L2)에 실 파팅 멤버(50)의 상부 면이 위치하는 설정된 높이(H1)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51)의 설정된 높이(H1)는 차종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정된 높이(H1)를 어느 특정한 수치로 한정하지 않는다(도 6 및 도 7 참조).
더 나아가, 상기 돌출부(51)의 높이는 하나의 예에서, IIHS 측면 충돌 평가를 위한 배리어(1)의 타격부(3)와 오버랩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51)의 상부 면은 센터 필러(33)의 필러 아웃터 멤버(35)의 내측 면에 결합된 필러 보강 멤버(39)의 하부와 접합(예, 용접)될 수 있다.
상기 플랫부(53)는 실 아웃터 멤버(13)의 상부 면에 대응하는 플랫 면을 형성하도록 돌출부(51)의 양측에서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된다. 즉, 상기 플랫부(53)는 돌출부(51)의 양측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기준 선(L1)을 따라 차체 전후 방향으로 평평하게 연장된다.
상기 양측의 플랫부(53)는 실 아웃터 멤버(13)의 섹션부(21)를 통해 돌출부(51)를 사이에 두고, 실 아웃터 멤버(13)의 하부 면 및 필러 아웃터 멤버(35)의 하부에 접합(예, 용접)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랜지부(55)는 실 파팅 멤버(50)의 상부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1 플랜지부(55)는 차폭 방향에 따른 실 파팅 멤버(50)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플랜지부(55)는 사이드 실(10)의 상부 및 센터 필러(33)의 하부에 접합된다.
이러한 제1 플랜지부(55)는 제1 접합 부분(61) 및 제2 접합 부분(6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접합 부분(61)은 실 파팅 멤버(50)의 차체 전후 방향에 따른 전방 및 후방 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 접합 부분(61)은 사이드 실(10)의 실 아웃터 멤버(13)의 어퍼 플랜지(14)에 접합(예, 용접)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접합 부분(63)은 전방 및 후방 측의 제1 접합 부분(61) 사이에서 각각의 제1 접합 부분(61)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접합 부분(63)은 센터 필러(33)의 필러 아웃터 멤버(35)의 하부에 접합(예, 용접)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접합 부분(61) 및 제2 접합 부분(63)은 실 인너 멤버(11)의 어퍼 플랜지(12)에 접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플랜지부(55)는 전방 및 후방 측의 제2 접합 부분(63) 사이에서 제2 접합 부분(63)에 연결되는 제3 접합 부분(6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3 접합 부분(65)은 실 아웃터 멤버(13)의 상부로 형성되며, 실 인너 멤버(11)의 어퍼 플랜지(12)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랜지부(57)는 실 파팅 멤버(50)의 하부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2 플랜지부(57)는 차폭 방향에 따른 실 파팅 멤버(50)의 다른 한쪽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플랜지부(57)는 사이드 실(10)의 실 아웃터 멤버(13)의 내측 면 즉, 실 아웃터 멤버(13)의 상부 면에 반대되는 면에 접합(예, 용접)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플랜지부(57)는 센터 필러(33)의 필러 아웃터 멤버(35)의 하부와 접합(예, 용접)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100)의 조립 과정 및 작용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사이드 실(10)의 실 아웃터 멤버(13)의 상부에 노치(notch) 가공되어 있는 섹션부(21)에 실 파팅 멤버(5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실 파팅 멤버(50)는 제1 플랜지부(55)의 제1 접합 부분(61)을 통해 실 아웃터 멤버(13)의 어퍼 플랜지(14)에 접합되고, 플랫부(53)를 통해 실 아웃터 멤버(13)의 하부 면에 접합되며, 제2 플랜지부(57)를 통해 실 아웃터 멤버(13)의 내측 면에 접합된다. 이때, 상기 제1 플랜지부(55)의 제3 접합 부분(65)은 실 아웃터 멤버(13)의 상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센터 필러(33)의 필러 아웃터 멤버(35)의 하부가 제1 플랜지부(55)의 제2 접합 부분(63), 실 파팅 멤버(50)의 플랫부(53), 그리고 실 아웃터 멤버(13)의 외측 면에 접합된다. 더 나아가, 상기 실 파팅 멤버(50)의 돌출부(51)는 필러 아웃터 멤버(35)의 내측 면에 결합된 필러 보강 멤버(39)의 하부와 접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실(10)의 실 인너 멤버(11)의 어퍼 플랜지(12) 및 로워 플랜지(15)가 실 아웃터 멤버(13)의 어퍼 플랜지(14) 및 로워 플랜지(17)에 접합된다. 이때, 상기 실 인너 멤버(11)의 어퍼 플랜지(12)는 실 파팅 멤버(50)의 제1 플랜지부(55)의 제1 접합 부분(61) 및 제2 접합 부분(63)에 접합된다.
그리고 나서, 센터 필러(30)의 필러 인너 멤버(37)가 필러 아웃터 멤버(35) 및 실 인너 멤버(11)의 어퍼 플랜지(12)에 차폭 방향을 따라 접합된다.
여기서, 상기 실 파팅 멤버(50)의 돌출부(51)는 실 아웃터 멤버(13)의 상부 면에 따른 차체 전후 방향의 기준 선(L1) 상에서 설정된 높이(H1)로 연장되어 기준 선(L1)보다 높은 위치의 연장 선(L2) 상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51)의 설정된 높이(H1)는 차종에 따라 서로 다르며, 사이드 실(10)의 높이를 위로 연장시키도록 되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돌출부(51)의 높이는 IIHS 측면 충돌 평가를 위한 배리어(1)의 타격부(3)와 오버랩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100)에 의하면, 실 파팅 멤버(50)의 돌출부(51)에 의하여 배리어(1)의 타격부(3)와 사이드 실(10) 간의 오버랩 단면 구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100)에 의하면, IIHS 측면 충돌 평가 시, 사이드 실(10)의 모멘트에 의한 회전을 실 파팅 멤버(50)를 통해 방지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 파팅 멤버(50)를 적용하지 않은 비교 예에서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1)의 타격부(3)와 사이드 실(110) 간의 오버랩 단면 구간을 확보하지 못한다.
이에, 비교 예에서는 IIHS 측면 충돌 평가 또는 차량의 측면 충돌 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실(110)에 충돌 하중이 집중됨에 따라, 사이드 실(110)이 모멘트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서 차체의 과다한 변형 및 이로 인한 승객의 상해치 가중을 유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100)는, 실 파팅 멤버(50)에 의하여 사이드 실(10)과 센터 필러(33) 간의 강성 및 강도를 확보하면서 보다 강화된 IIHS 측면 충돌 평가에 대응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100)는,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사이드 실(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차체의 변형 최소화 및 승객의 생존 공간 확보를 통한 충돌 안전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차체 구조(100)에 의하면, 배리어(1)의 타격부(3)와 사이드 실(10) 간의 오버랩 단면 구간을 확보하기 위한 각종 보강 멤버들의 마운팅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차체의 중량 및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배리어 3: 타격부
10: 사이드 실 11: 실 인너 멤버
12, 14: 어퍼 플랜지 13: 실 아웃터 멤버
15, 17: 로워 플랜지 21: 섹션부
31: 프론트 필러 33: 센터 필러
35: 필러 아웃터 멤버 37: 필러 인너 멤버
39: 필러 보강 멤버 50: 실 파팅 멤버
51: 돌출부 53: 플랫부
55: 제1 플랜지부 57: 제2 플랜지부
61: 제1 접합 부분 63: 제2 접합 부분
65: 제3 접합 부분 H1: 높이
L1: 기준 선 L2: 연장 선
100: 사이드 차체 구조

Claims (10)

  1.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사이드 실; 및
    상기 사이드 실의 상부에 결합되는 별물의 실 파팅 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실 파팅 멤버는 상기 사이드 실의 상부 면에 따른 차체 전후 방향의 기준 선 상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사이드 차체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파팅 멤버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센터 필러의 하부와 결합되는 사이드 차체 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측면 충돌 평가를 위한 배리어의 타격부와 오버랩 되도록 설정되는 사이드 차체 구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파팅 멤버는,
    상기 사이드 실의 상부에 노치 가공되어 있는 섹션부에 결합되는 사이드 차체 구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은 서로 접합된 실 인너 멤버 및 실 아웃터 멤버를 포함하며,
    상기 실 파팅 멤버는 상기 실 아웃터 멤버의 상부에 결합되고, 센터 필러의 필러 아웃터 멤버의 하부와 결합되는 사이드 차체 구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파팅 멤버는,
    차체 전후 방향에 따른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 실의 하부 면에 접합되는 플랫부
    를 포함하는 사이드 차체 구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파팅 멤버는,
    차폭 방향에 따른 한쪽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1 플랜지부와, 다른 한쪽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사이드 차체 구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는,
    상기 사이드 실의 상부에 접합되는 제1 접합 부분과, 센터 필러의 하부에 접합되는 제2 접합 부분을 포함하는 사이드 차체 구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랜지부는 상기 사이드 실의 내측 면에 접합되는 사이드 차체 구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센터 필러의 내측 면에 결합된 필러 보강 멤버와 접합되는 사이드 차체 구조.
KR1020220067212A 2022-05-31 2022-05-31 사이드 차체 구조 KR20230166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212A KR20230166770A (ko) 2022-05-31 2022-05-31 사이드 차체 구조
US17/950,889 US20230382459A1 (en) 2022-05-31 2022-09-22 Vehicle side body structure
CN202211317608.8A CN117184238A (zh) 2022-05-31 2022-10-26 车身侧部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212A KR20230166770A (ko) 2022-05-31 2022-05-31 사이드 차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770A true KR20230166770A (ko) 2023-12-07

Family

ID=8887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212A KR20230166770A (ko) 2022-05-31 2022-05-31 사이드 차체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82459A1 (ko)
KR (1) KR20230166770A (ko)
CN (1) CN117184238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82459A1 (en) 2023-11-30
CN117184238A (zh) 202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5878A (en) Hood structure for a vehicle
CN106541998B (zh) 车身构造
US9545950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a vehicle
KR101097018B1 (ko) 측면 충돌 성능을 강화시킨 자동차용 도어
US8960780B2 (en) Vehicle side body structure
RU2666616C2 (ru) Кузовной узе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кронштейн для защиты кромки кузо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4286884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4384206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102575806B1 (ko) 자동차용 사이드 실 부품
US20130285414A1 (en) Automatic vehicle stiffened pillar assembly
US9045166B2 (en) Short offset sheet metal reinforcement to limit rotation during crash
US7472948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20070228769A1 (en) Side impact protection device packaged between inner and outer panels
EP3386847B1 (en) Vehicle underbody structure comprising a reinforcement element between a longitudinal beam and a lowerside sill part
CN211969595U (zh) 门槛梁加强结构以及门槛梁
KR20230166770A (ko) 사이드 차체 구조
JP4471308B2 (ja) 車体下部構造
JP4431161B2 (ja) 側面衝突性能を強化させた自動車用ドア
US9580029B2 (en) Bumper assemblies including a bumper cover reinforcement and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KR20110085565A (ko) 자동차용 리어 휠아치부의 차체구조
US20240051612A1 (en) Floor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WO2023189028A1 (ja) 車体構造、および、車体構造の設計方法
KR102598951B1 (ko) 필러 보강구조
CN220701201U (zh) 汽车a柱及汽车
WO2024057407A1 (ja) 自動車サスペンションのロアアー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