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5657A -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5657A
KR20230165657A KR1020220093173A KR20220093173A KR20230165657A KR 20230165657 A KR20230165657 A KR 20230165657A KR 1020220093173 A KR1020220093173 A KR 1020220093173A KR 20220093173 A KR20220093173 A KR 20220093173A KR 20230165657 A KR20230165657 A KR 20230165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emporomandibular joint
seating portion
prevention device
joint dis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욱
장영진
Original Assignee
(주)덴탈하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덴탈하이브 filed Critical (주)덴탈하이브
Publication of KR20230165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5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를 제시하며,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를 이용하여 대략 좌우 대칭을 이루는 아치형으로 형성되면서 상악의 치열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악치아군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본체의 측면 중 뺨쪽 피부와 접하는 좌우 협측면(Buccal Surface)의 적어도 일부분에 각각 상기 본체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구강 내 좌우 빈 공간을 채우면서 저작근 중 깨물근(교근, Masseter Muscle)을 바깥쪽으로 압박하는 매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DISLOCATING TEMPOROMANDIBULAR JOINT}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턱관절 탈구 방지 장치에 대한 것이다.
습관적인 턱관절의 탈구로 인하여 불편을 겪는 환자들이 많다. 턱관절은 하악골과 측두골이 맞물려 움직이는 관절이다.
하악골의 후상방은 두 갈래로 되어있어, 후방 돌출부 끝(하악두)이 측두골의 오목(하악와)에 갇혀있다. 또한 하악와 전방에는 돌출된 부분이 있는데 이를 관절결절이라고 부른다.
턱관절의 개구 운동에는 수동적 개방과 능동적 개방 2종류가 있다.
여기서, 수동적 개구는 멍하니 입을 벌린 상태로서, 이때 하악두는 회전운동만 한다. 한편 능동적 개구는 의식적으로 입을 크게 연 상태로서, 이때 하악두는 회전운동과 함께 전방으로 미끄럼 운동을 하고, 관절결절 아래까지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능동적 개구 시, 하악두가 관절결절 아래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턱관절이 과도하게 개구되는 경우 하악두가 관절결절을 넘어 외측 인대, 교근(Masseter Muscle), 외측익돌근 등의 견인력에 의해 전방에서 고정되는 것이 대표적인 턱관절 탈구의 발생 기전이다.
턱관절은 전방, 후방 또는 측방으로 탈구될 수 있는데, 상술한 전방 탈구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며, 나아가 반복성 및 습관성 탈구로 악화되는 빈도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4692호에 개시된 턱관절 장애 균형 장치가 있다.
구체적으로, 선행기술은 치아가 맞물리는 절단면 및 교합면을 갖는 U자형의 베이스패드를 형성하면서 절단면의 두께를 교합면보다 얇게 형성하여 전치에서 가해지는 힘을 감소시킴으로써 통증해소와 함께 턱관절 장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전치에서 가해지는 힘을 감소시키는 구성일 뿐, 저작근을 직접적으로 압박할 수는 없는 구성이어서 턱관절의 탈구를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구강 내 좌우 협측면(Buccal Surface) 쪽 빈 공간을 채워 저작근 중 깨물근(교근, Masseter Muscle)을 바깥쪽으로 압박함으로써 턱관절의 전방 탈구를 방지할 수 있는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착용과정에서 교합면을 교정할 수 있는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상악에 착용된 본체가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를 이용하여 대략 좌우 대칭을 이루는 아치형으로 형성되면서 상악의 치열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악치아군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본체의 측면 중 뺨쪽 피부와 접하는 좌우 협측면(Buccal Surface)의 적어도 일부분에 각각 상기 본체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구강 내 좌우 빈 공간을 채우면서 저작근 중 깨물근(교근, Masseter Muscle)을 바깥쪽으로 압박하는 매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스는, 상기 본체의 좌우 협측면에 돌출되면서 복수 쌍을 이루는 좌우 대구치 쌍 중 적어도 한 쌍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본체의 후단까지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스는, 상기 본체의 좌우 협측면의 일부분에 돌출되면서 상기 본체의 후단 쪽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스는, 상기 본체의 좌우 협측면의 일부분에 돌출되면서 상기 본체의 후단 쪽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돌출폭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안착부의 반대쪽 면을 통해 하악과의 교합면을 제공하되, 상기 교합면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하악과의 교합 시 하악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면서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상기 안착부로 돌출되는, 걸림와이어; 및 상기 걸림와이어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상기 안착부로 돌출된 단부에 고정되고, 볼형태로 형성되어 치아들의 사이에 걸리는 걸림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와이어는,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하나의 단부가 상기 안착부의 설측면(Lingual Plane) 쪽에 매립된 상태로 상기 안착부의 협측면 쪽으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나머지 하나의 단부가 상기 안착부의 협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볼의 고정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와이어는, 상기 안착부의 설측면 쪽에 매립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연장부; 및 상기 직선연장부와 직교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안착부를 횡단하여 상기 안착부의 협측면 쪽으로 연장되는 횡단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턱관절의 전방 탈구를 방지하여 탈구의 습관화를 방지할 수 있는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체의 좌우 협측면(Buccal Surface) 쪽으로 돌출되는 매스가 구강 내 좌우 협측면 쪽 빈 공간을 일정 부피 이상 채우면서 저작근 중 깨물근(교근, Masseter Muscle)을 바깥쪽으로 압박함으로써 깨물근이 하방이 아닌 바깥쪽으로 휘어져 이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깨물근이 이완되더라고 하악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면서 과도한 개구가 방지됨으로써 턱관절의 전방 탈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매스가 본체의 후단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거나 돌출폭이 커지므로 깨물근이 원활하게 압박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체의 교합면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하악과의 교합 시 하악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므로 본체의 착용을 통해 교합면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체에 구비되는 걸림와이어 및 걸림볼이 치아들의 사이에 걸리면서 본체가 상악의 치아군에 고정되므로 본체가 치아군에서 임의로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의 교합면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의 걸림와이어 및 걸림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의 교합면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의 걸림와이어 및 걸림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10)는 상악의 치열궁에 착용되면서 저작근 중 깨물근(교근, Masseter Muscle)을 바깥쪽으로 압박함으로써 하악의 과도한 개구를 방지하여 턱관절의 전방 탈구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안착부(200) 및 매스(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10)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요소로, 후술되는 안착부(200)를 통해 상악의 치열궁을 이루는 상악치아군(1)에 착용되어 후술되는 매스(300)를 통해 깨물근을 압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본체(10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재로 성형될 수 있으며, 대략 좌우 대칭을 이루는 아치형으로 형성되면서 상악치아군(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00)는 통상의 얼라이너(투명교정장치)나 스플린트, 마우스피스와 같이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전방을 중심으로 각각 좌우 후방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후단을 가진다.
상기 안착부(200)는 본체(100)의 일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악치아군(1)이 끼워지면서 안착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안착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상 본체(100)의 상면에 상악치아군(1)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어 상악치아군(1)의 안착부위를 제공하면서 상악치아군(1)을 감쌀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200)는 예를 들어 사용자 상악치아군(1)의 인상을 채득한 후, 채득된 인상에 석고를 부어 치아 모델을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본체(1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안착부(200)는 상악치아군(1)의 인상 또는 구강 내부를 직접 3D 스캔하여 3D 치아모델을 형성한 후 이를 기반으로 본체(100)의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안착부(200)는 도 1 및 도 3에서 장홈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상악치아군(1)을 이루는 각각의 치아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상 상면에 형성된 안착부(200)를 통해 상악치아군(1)에 끼워지면서 고정될 수 있으며, 안착부(200)의 반대쪽 면인 도면 상 저면을 통해 하악과의 교합면(150)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합면(150) 부분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하악과의 교합 시 하악을 교합면 부분의 두께만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교합을 교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10)는 턱관절의 탈구를 방지하는 기능과 함께 하악의 교합을 교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매스(300)는 하악의 과도한 개구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100)의 일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저작근 중 깨물근(교근, Masseter Muscle)을 바깥쪽으로 압박함으로써 하악의 과도한 개구를 방지하면서 턱관절의 전방 탈구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깨물근은 가장 대표적인 저작근으로서, 두꺼운 사각형 모양이고, 위로는 광대뼈에 부착되고 후하방으로 연장되어 아래턱뼈의 턱뼈가지 바깥면에서 턱뼈각 부위까지 연결된다. 또한, 깨물근은 저작근 중 가장 표면에 위치하고 가장 강한 근육으로서, 전체 근육의 양측이 수축하면 하악을 들어올려 거상시키며, 하악이 벌어지면 깨물근은 이완한다. 이러한 깨물근은 개인마다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그 내측으로 상악 대구치 바깥쪽을 지나는 위치에서 수축 및 이완된다.
매스(300)는 좌우 대칭을 이루는 본체(100)의 양 측면 중 뺨쪽 피부와 접하는 좌우 협(頰)측면(Buccal Surface)의 적어도 일 부분에 본체와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된 부피만큼 구강 내 좌우 빈 공간을 채우면서 깨물근을 바깥쪽으로 압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깨물근은 매스(300)의 부피만큼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압력을 받게될 수 있으며, 이완 과정에서 매스(300)의 압박에 의해 바깥쪽으로 일정 부분 휘어져 이완될 수 있다.
즉, 매스(300)는 깨물근을 압박하여 하방이 아닌 바깥쪽으로 일정 부분 휘어져 이완되도록 함으로써, 깨물근이 같은 수준으로 이완되더라도 하악이 과도하게 개구되지 않도록 단속하게 되며, 그에 따라 하악의 회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고, 턱관절의 과도한 개구로 인한 전방 탈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매스(300)는 깨물근이 수축할 때에도 압박을 통해 과도하게 수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깨물근의 근긴장도를 낮춤으로써 턱관절의 장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스(300)는 본체(100)의 좌우 협측면의 일부분에 돌출되면서 복수 쌍을 이루는 좌우 대구치 쌍 중 적어도 한 쌍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본체(100)의 후단까지 이르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스(300)는 한 쌍의 제1 대구치가 안착되는 위치로부터 제3 대구치가 안착되는 후단까지 연장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따라 제2 대구치가 안착되는 위치로부터 제3 대구치가 안착되는 후단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한편, 매스(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좌우 협측면의 일부분에 돌출되면서 본체(100)의 후단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매스(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후단 쪽으로 갈수록 돌출폭이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즉, 매스(300)는 본체(100)의 후단 쪽으로 갈수록 부피가 상대적으로 커짐으로써 본체(100)의 후단 쪽에 위치하는 깨물근을 원활하게 압박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1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와이어(500) 및 걸림볼(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와이어(500) 및 걸림볼(600)은 안착부(200)를 통해 상악치아군(1)에 고정되는 본체(100)가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걸림와이어(5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와이어로 구성되어 본체(100)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안착부(200)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와이어(500)는 강성을 갖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와이어로 제작되어 본체(100)의 내부에 매립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안착부(200)에 안착되는 치아들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와이어(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하나의 단부가 안착부(200)의 양 측면 중 혀와 접하는 설(舌)측면 쪽에 매립된 상태로 협측면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의 양단부 중 나머지 하나의 단부가 안착부(200)의 협측면에 돌출되면서 안착부(200)에 안착되는 치아들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돌출됨으로써 후술되는 걸림볼(600)을 매개로 하여 치아의 사이에 걸릴 수 있다.
물론, 걸림와이어(500)는 본체(100)에 매립된 상태를 이루면서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각각 안착부(200)의 설측면 및 협측면에 돌출되면서 안착부(200)에 안착되는 치아들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한편, 걸림와이어(500)는 안착부(200)의 설측면 쪽에서 협측면 쪽으로 연장되면서 직선연장부(510) 및 횡단연장부(520)의 구성을 포함하여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직선연장부(510)는 걸림와이어(500)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매립된 하나의 단부를 포함하면서 안착부(300)의 설측면 쪽에 매립될 수 있으며, 안착부(3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직선연장부(510)는 안착부(300)의 후단 쪽에서 중앙 쪽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됨으로써 본체(100)의 심재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횡단연장부(520)는 걸림와이어(500)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안착부(200)로 돌출된 나머지 하나의 단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직선연장부(510)와 직교 상태를 이루면서 안착부(200)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횡단하여 설측면 쪽에서 협측면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횡단연장부(520)는 대략 반원형 단면의 홈을 이루는 안착부(200)의 바닥면을 따라 대략 반원형으로 만곡된 상태로 연장될 수 있으며, 걸림와이어(500)가 탄성력(복원력)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경우 오므라지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이를 통해 안착부(200)를 치아에 밀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걸림볼(600)은 걸림와이어(500)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안착부로 돌출된 단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안착부(200)에 안착된 치아들의 사이에 걸리면서 걸림와이어(500)를 치아 사이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볼(6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형태로 형성되어 치아들이 사이에 안착된 상태로 걸릴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다각형의 블록으로 형성되어 다각형의 모서리를 통해 치아들의 사이에 끼워져 걸릴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1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본체(100)는 사용자의 안착부(200)를 통해 상악치아군(1)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0)는 안착부(200)의 협측면에 돌출된 걸림볼(600)이 상악치아군을 이루는 일부 치아들의 사이에 걸림으로써 상악치아군에 좀 더 안정적으로 고정되면서 상악치아군에서 임의로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체(100)는 상악치아군에 고정된 상태에서 좌우 협측면에 돌출된 매스(300)를 통해 깨물근을 바깥쪽으로 압박할 수 있다.
즉, 매스(300)는 상악치아군에 착용된 본체(100)의 좌우 협측면에 돌출된 상태로 구강 내 좌우 빈 공간을 돌출된 부피만큼 채움으로써 깨물근을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압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스(300)는 압박을 통해 깨물근을 이완 과정에서 바깥쪽으로 일정 부분 휘어져 이완되도록 함으로써 하악이 과도하게 개구되는 것을 제한하면서 턱관절의 과도한 개구로 인한 전방 탈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매스(300)는 깨물근이 수축하는 과정에서도 깨물근을 바깥쪽으로 압박함으로써 깨물근의 과도한 수축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깨물근의 근긴장도를 낮춤으로써 턱관절의 장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10)는 본체(100)의 좌우 협측면 쪽으로 돌출되는 매스(300)가 구강 내 좌우 협측면 쪽 빈 공간을 일정 부피 이상 채우면서 개물근을 바깥쪽으로 압박하므로 깨물근의 과도한 이완이나 과도한 수축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깨물근의 과도한 이완 또는 과도한 수축에 의한 턱관절의 탈구 또는 장애가 예방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
100 : 본체
200 : 안착부
300 : 매스
500 : 걸림와이어
510 : 직선연장부
520 : 횡단연장부
600 : 걸림볼

Claims (8)

  1.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를 이용하여 대략 좌우 대칭을 이루는 아치형으로 형성되면서 상악의 치열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악치아군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본체의 측면 중 뺨쪽 피부와 접하는 좌우 협측면(Buccal Surface)의 적어도 일부분에 각각 상기 본체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구강 내 좌우 빈 공간을 채우면서 저작근 중 깨물근(교근, Masseter Muscle)을 바깥쪽으로 압박하는 매스를 포함하는,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스는,
    상기 본체의 좌우 협측면에 돌출되면서 복수 쌍을 이루는 좌우 대구치 쌍 중 적어도 한 쌍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본체의 후단까지 돌출되는,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스는,
    상기 본체의 좌우 협측면의 일부분에 돌출되면서 상기 본체의 후단 쪽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는,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스는,
    상기 본체의 좌우 협측면의 일부분에 돌출되면서 상기 본체의 후단 쪽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돌출폭이 커지는,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안착부의 반대쪽 면을 통해 하악과의 교합면을 제공하되, 상기 교합면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하악과의 교합 시 하악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면서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상기 안착부로 돌출되는, 걸림와이어; 및
    상기 걸림와이어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상기 안착부로 돌출된 단부에 고정되고, 볼형태로 형성되어 치아들의 사이에 걸리는 걸림볼을 더 포함하는,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와이어는,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하나의 단부가 상기 안착부의 설측면(Lingual Plane) 쪽에 매립된 상태로 상기 안착부의 협측면 쪽으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나머지 하나의 단부가 상기 안착부의 협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볼의 고정부위를 제공하는,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와이어는,
    상기 안착부의 설측면 쪽에 매립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연장부; 및
    상기 직선연장부와 직교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안착부를 횡단하여 상기 안착부의 협측면 쪽으로 연장되는 횡단연장부를 포함하는,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
KR1020220093173A 2022-05-27 2022-07-27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 KR202301656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366 2022-05-27
KR20220065366 2022-05-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657A true KR20230165657A (ko) 2023-12-05

Family

ID=8915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173A KR20230165657A (ko) 2022-05-27 2022-07-27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56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41997A1 (en) Orthodontic finishing appliance
US11833008B1 (en) Dental appliance and method for adjusting and holding the position of a user's jaw to a relaxed position of the jaw
JP2006500114A (ja) 不正咬合を治療するための歯科器具
JPH0436019B2 (ko)
EP2770940B1 (en) Orthodontic device
JP2016523665A (ja) ブラキシズムの治療のための歯科用装置
US20170007371A1 (en) Method of designing a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and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US7404404B2 (en) Anterior sextant dental bite tray apparatus
KR102058104B1 (ko)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CN113692263A (zh) 牙科器具
CN107865705B (zh) 一种口腔正畸用的多功能矫正器
JP4986699B2 (ja) マウスピース
EP3804655A1 (en) Balancing device for the temporomandibular joint
CN211156366U (zh) 一种壳状牙科器械、壳状牙科器械套组以及牙科矫治系统
US6581603B1 (en) Oral appliance
KR20230165657A (ko) 턱관절 탈구 방지장치
US11033363B2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dentistry
KR20160079302A (ko) 턱관절 교정 장치
US20160074207A1 (en) Oral appliance
JP3231788U (ja) 義歯装置
KR102432950B1 (ko)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JP3087535U (ja) かみ合わせを改善するための合成樹脂製セパレート型マウスピース
KR102663917B1 (ko)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장치
CN113058254B (zh) 一种护齿医疗器具
JP7299452B1 (ja) マウスピ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