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917B1 -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917B1
KR102663917B1 KR1020230075984A KR20230075984A KR102663917B1 KR 102663917 B1 KR102663917 B1 KR 102663917B1 KR 1020230075984 A KR1020230075984 A KR 1020230075984A KR 20230075984 A KR20230075984 A KR 20230075984A KR 102663917 B1 KR102663917 B1 KR 102663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xillary
tongue
molar
mandibular
prem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5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진
Original Assignee
서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진 filed Critical 서종진
Priority to KR1020230075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02/00Surgery: splint, brace, or bandage
    • Y10S602/902Antisnoring or mouth clos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악 치아열을 따라 연장 마련되어 하악 치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물림고정부를 가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앞니 측에 마련되어 혀의 단부가 구강 천장을 향하도록 혀의 하부를 거상하는 혀거상부;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블록상으로 좌우 대칭 돌출되어 복수의 상악 어금니와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상부에 상하악 간 응력을 상기 복수의 상악 어금니로 분산시키는 응력분산면을 가지는 한 쌍의 블록부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부에 의해 혀의 거상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혀의 후하방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블록부의 응력분산면에 접촉되는 복수의 상악 어금니을 통해 상하악 간의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턱근육이 이완되어 코골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턱근육뿐만 아니라 두개골 전반에 통증과 불편함을 최소화시켜 착용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록부를 통해 치아 간 좌우 균형과 안정적인 상하 교합이 가능하게 교정되므로 코골이가 좀더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편안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장치 {SNORING PREVENTION DEVICE FOR ORAL INSERTION TYPE}
본 발명은 구강 내에 삽입하여 원활한 수면 호흡을 유도하는 코골이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골이는 비강에서 시작되어 인후두까지 이어지는 상기도의 공간이 좁아지는 해부학적 특성을 가진 사용자에게 주로 발생한다. 상기한 해부학적 특성은 비만으로 인하여 목 부위에 지방이 축적되거나 혀, 편도 등의 조직이 비대해진 경우에 목 안의 공간이 줄어들며 나타날 수도 있다.
특히 수면을 위해 누워 있는 상태에서는 구강이 벌려지면서 연구개와 목젖이 후방으로 처지고, 혀도 후하방으로 처져서 상기도가 더욱 좁아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수면 호흡을 하면 비강과 구강으로 유입되는 공기로 인해 목젖이 떨리면서 코골이를 야기하고, 상기도가 완전히 폐쇄되면 수면 무호흡을 초래하기도 한다.
코골이를 방지하기 위해 마우스피스(Mouthpiece) 등과 같이 상하악 치아 사이에 끼우는 코골이 방지장치가 소개된 바 있다. 일 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1446675호에는 혀를 거상하는 지지체를 통해 코골이를 방지하려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코골이 방지장치는 상하악을 이격시키고 혀가 구강의 천장을 향하도록 거상하여 혀의 후하방 처짐을 저지한다. 다만 종래의 코골이 방지장치를 착용하면 혀의 거상이 충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하악 전반에 가해지는 응력으로 인해 교근, 익상근 등과 같은 턱근육이 경직되어 오히려 코골이가 심해지고, 턱근육뿐만 아니라 두개골 전반에 통증과 불편함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 시 혀의 거상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상하악 간에 발생하는 턱근육 경직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구강 삽입용 코골이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악 치아열을 따라 연장 마련되어 하악 치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물림고정부를 가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앞니 측에 마련되어 혀의 단부가 구강 천장을 향하도록 혀의 하부를 거상하는 혀거상부;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블록상으로 좌우 대칭 돌출되어 복수의 상악 어금니와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상부에 상하악 간 응력을 상기 복수의 상악 어금니로 분산시키는 응력분산면을 가지는 한 쌍의 블록부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종래의 코골이 방지장치에 의하면 혀의 거상 공간이 다소 부족할 뿐만 아니라, 상하악 간의 응력이 분산되지 않은 탓에 혀의 거상을 위해 사용되는 교근, 익상근 등과 같은 턱근육이 경직되어 오히려 코골이가 더 심해지고, 턱근육뿐만 아니라 두개골 전반에 통증과 불편함이 야기될 수 있다.
반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장치에 의하면 블록부에 의해 혀의 거상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혀의 후하방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블록부의 응력분산면에 접촉되는 복수의 상악 어금니을 통해 상하악 간의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턱근육이 이완되어 코골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턱근육뿐만 아니라 두개골 전반에 통증과 불편함을 최소화시켜 착용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록부를 통해 치아 간 좌우 균형과 안정적인 상하 교합이 가능하게 교정되므로 코골이가 좀더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편안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블록부는 상악 제2작은 어금니와 상악 제1큰 어금니는 포함되고 상악 제2큰 어금니는 제외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상하악 간의 응력은 상악 제2작은 어금니와 상악 제1큰 어금니를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분산되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블록부가 상악 제2작은 어금니와 상악 제1큰 어금니에 각각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면 상하악 간의 응력이 가장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또한 블록부가 상악 제2큰 어금니가 제외되는 영역에 형성되면 혀의 거상 공간을 좀더 마련할 수 있으므로 혀의 후하방 처짐을 좀더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상기 응력분산면은 상악 제2작은 어금니와 상악 제1큰 어금니의 6개의 교두가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상하악 간의 응력은 상악 제2작은 어금니와 제1큰 어금니의 교두가 모두 응력분산면에 접촉될 때 가장 효과적으로 분산되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응력분산면이 상악 제2작은 어금니와 상악 제1큰 어금니의 6개의 교두가 접촉되도록 형성되면 상하악 간의 응력이 가장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상기 블록부는 치아보다 낮고 변형에 의해 상기 응력을 흡수하는 소정 하한치보다 높은 경도를 가지는 경질재로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블록부의 경도가 치아의 경도보다 높을 때 발생하는 치아 손상을 방지하고, 소정 하한치보다 낮을 때 발생하는 상하악 간의 응력 분산 효과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
상기 블록부는 4 내지 6mm의 높이로 돌출된다.
이에 의하면 블록부의 높이가 4mm보다 낮을 때 발생하는 상하악 간의 응력 분산 효과 저하를 예방하고, 6mm보다 높을 때 발생하는 착용 편의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 시 혀의 거상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혀의 후하방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하악 간에 발생하는 응력 분산으로 턱근육을 이완시켜 코골이 방지 효과를 향상시키고, 턱근육뿐만 아니라 두개골 전반에 통증과 불편함을 최소화시켜 착용 편의성도 우수한 구강 삽입용 코골이 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코골이 방지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코골이 방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코골이 방지장치를 착용하기 위한 구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코골이 방지장치를 착용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코골이 방지장치에 의해 상하악의 응력이 분산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장치(100)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의 코골이 방지장치(100)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코골이 방지장치(100)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코골이 방지장치(100)를 착용하기 위한 구강(7)의 일 예를 도시하고, 도 5는 도 1의 코골이 방지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장치(100)는 구강(7)에 삽입된다. 구강(7)은 상악(P)과 하악(Q)에 의해 형성되며 상악(P)과 하악(Q)에는 상악 치아(20)와 하악 치아(30)가 각각 마련된다. 상악 치아(20)는 상악 제1작은 어금니(21), 상악 제2작은 어금니(22), 상악 제1큰 어금니(23) 및 상악 제2큰 어금니(24)뿐만 아니라, 상악 앞니(26)와 상악 송곳니(27)를 포함할 수 있다. 하악 치아(30)도 하악 제1작은 어금니(31), 하악 제2작은 어금니(32), 하악 제1큰 어금니(33) 및 하악 제2큰 어금니(34)뿐만 아니라, 하악 앞니(36)와 송곳니(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장치(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코골이 방지장치(100)는 코골이를 방지하지 위한 장치로서, 베이스(1), 혀거상부(2) 및 블록부(3)를 가진다.
베이스(1)는 하악 치아(30)의 열을 따라 연장 마련되어 하악 치아(3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물림고정부(5)를 가진다. 베이스(1)는 하악 치아(30)가 배열된 형상을 따라 마련되므로 U자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1)는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보강부재(6)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재(6)는 베이스(1)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림고정부(5)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악 치아(30) 중 하악 제2작은 어금니(32), 하악 제1큰 어금니(33) 및 하악 제2큰 어금니(34)를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물림고정부(5)는 하악 제2작은 어금니(32), 하악 제1큰 어금니(33) 및 하악 제2큰 어금니(34)에 각각 대응하는 하악 제2작은 어금니 물림고정부(12), 하악 제1큰 어금니 물림고정부(13) 및 하악 제2큰 어금니 물림고정부(14)를 가질 수 있다.
하악 제2작은 어금니 물림고정부(12), 하악 제1큰 어금니 물림고정부(13) 및 하악 제2큰 어금니 물림고정부(14)는 하악 제2작은 어금니(32), 하악 제1큰 어금니(33) 및 하악 제2큰 어금니(34) 각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물림고정부(5)는 다른 하악 치아(3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다른 하악 치아(30)를 수용할 수도 있다.
혀거상부(2)는 베이스(1)의 하악 앞니(36) 측에 마련되어 혀(9)의 단부가 구강 천장(8)을 향하도록 혀의 하부(10)를 거상한다. 혀거상부(2)는 하악 앞니(36)의 구강(7) 측에 접촉되는 하악 앞니 지지부(4)를 가질 수 있다. 하악 앞니 지지부(4)는 혀(9)의 뿌리에서 하악 앞니(36) 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므로, 혀(9)의 단부가 구강 천장(8)을 향하도록 한다.
블록부(3)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베이스(1)로부터 블록상으로 좌우 대칭 돌출되어 복수의 상악 어금니(22, 23)와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상부에 상하악(P, Q) 간 응력을 복수의 상악 어금니(22, 23)로 분산시키는 응력분산면(11)을 가진다. 복수의 상악 어금니(22, 23)는 상악 제2작은 어금니(22)와 상악 제1큰 어금니(2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블록부(3)는 베이스(1)로부터 상악 제2작은 어금니(22)와 상악 제1큰 어금니(23)를 향하여 대칭 돌출될 수 있다.
종래의 코골이 방지장치에 의하면 혀(9)를 거상하기는 하지만 거상 공간이 다소 부족하여 혀(9)의 후하방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하악(P, Q) 간의 응력이 분산되지 않은 탓에 혀(9)의 거상을 위해 사용되는 교근, 익상근 등과 같은 턱근육이 경직되어 오히려 코골이가 더 심해지고, 턱근육뿐만 아니라 두개골(60) 전반에 통증과 불편함이 야기될 수 있다.
반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장치(100)에 의하면 블록부(3)에 의해 혀(9)의 거상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혀(9)의 후하방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블록부(3)의 응력분산면(11)에 접촉되는 복수의 상악 어금니(22, 23)을 통해 상하악(P, Q) 간의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턱근육이 이완되어 코골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턱근육뿐만 아니라 두개골(60) 전반에 통증과 불편함을 최소화시켜 착용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록부(3)를 통해 치아(20, 30) 간 좌우 균형과 안정적인 상하 교합이 가능하게 교정되므로 코골이가 좀더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편안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부(3)는 상악 제2작은 어금니(32)와 상악 제1큰 어금니(33)는 포함되고 상악 제2큰 어금니(34)는 제외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상하악(P, Q) 간의 응력은 상악 제2작은 어금니(22)와 상악 제1큰 어금니(23)를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분산되므로 블록부(3)가 상악 제2작은 어금니(22)와 상악 제1큰 어금니(23)에 각각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면 상하악(P, Q) 간의 응력이 가장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또한 블록부(3)가 상악 제2큰 어금니(34)가 제외되는 영역에 형성되면 거상되는 혀(9)를 위한 공간을 좀더 마련할 수 있으므로 혀(9)의 후하방 처짐을 좀더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한편 블록부(3)는 상악 제2작은 어금니(22)와 상악 제1큰 어금니(23)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므로 하악 치아(30)의 배열 방향을 따라 블록부(3)가 형성된 영역은 하악 제2작은 어금니(32), 하악 제1큰 어금니(33) 및 하악 제2큰 어금니(34)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물림고정부(5)가 형성된 영역보다 작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응력분산면(11)은 상악 제2작은 어금니(22)의 2개의 교두(42)와 상악 제1큰 어금니(23)의 4개의 교두(43)이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상하악(P, Q) 간의 응력은 상악 제2작은 어금니(22)와 상악 제1큰 어금니(23)의 교두(42, 43)가 모두 응력분산면(11)에 접촉될 때 가장 효과적으로 분산되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응력분산면(11)이 상악 제2작은 어금니(22)와 상악 제1큰 어금니(23)의 6개의 교두(42, 43)가 접촉되도록 형성되면 상하악(P, Q) 간의 응력이 가장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부(3)는 치아보다 낮고 변형에 의해 상하악(P, Q) 간의 응력을 흡수하는 소정 하한치보다 높은 경도를 가지는 경질재로 형성된다. 일 예로 블록부(3)가 경도가 6 내지 7 VHN(Vickers Hardness Number)인 실리콘(Silicon)보다는 높고 경도가 150 내지 300 VHN인 치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레진(Resin)으로 제작될 수 있다.
만일 블록부(3)가 치아의 경도 이상이면 블록부(3)와 접촉되는 복수의 상악 어금니(22, 23) 또는 응력분산면(11)과 접촉되는 이들의 교두(42, 43)가 파절되거나 손상될 염려가 있다. 반면에 블록부(3)가 실리콘의 경도 이하이면 상하악(P, Q) 간의 응력이 블록부(3)에 저장되거나 정체되어 복수의 상악 어금니(22, 23)를 통해 분산되지 못하는 탓에 턱근육이 경직되어 코콜이가 더 심해지고, 턱근육뿐만 아니라 두개골(60) 전반에 통증과 불편함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부(30)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경도를 갖도록 제작하면 치아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상하악(P, Q) 간의 응력 분산 효과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부(3)는 4 내지 6mm의 높이(h)로 돌출된다. 이에 의하면 블록부(3)의 높이(h)가 4mm보다 낮을 때 발생하는 상하악(P, Q) 간의 응력 분산 효과 저하를 예방하고, 6mm보다 높을 때 발생하는 착용 편의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베이스(1), 혀거상부(2), 블록부(3) 등의 형상은 사용자의 상하악(P, Q), 상하악 치아(20, 30)의 형상 등과 같은 사용자의 구강(7)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마다 달라질 수 있으므로 코골이 방지장치(100)는 사용자의 구강(7)의 상태에 따라 맞춤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블록부(3)의 응력분산면(11)은 상악 제2작은 어금니(22)와 상악 제1큰 어금니(23)가 접촉되도록 평평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복수의 상악 어금니(22, 23)의 상태에 따라 상악 제2작은 어금니(22)에서 상악 제1큰 어금니(23)로 갈수록 블록부(3)의 높이(h)가 낮아지거나 굴곡지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악 제2작은 어금니(22) 측에서의 블록부(3)의 높이와 상악 제1큰 어금니(23) 측에서의 블록부(3)의 높이는 다를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코골이 방지장치(100)에 의해 상하악(P, Q)의 응력이 분산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앞서 도 1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악 제2작은 어금니(22)와 상악 제1큰 어금니(23)는 응력분산면(11)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하악(P, Q) 간 응력은 상악 제2작은 어금니(22)와 상악 제1큰 어금니(23)로 전달된다. 상악 제2작은 어금니(22)와 상악 제1큰 어금니(23)로 전달된 응력(S)는 상악(P)을 통해 비골(62)과 광골(63)로 분산된다. 물론 비골(62)과 광골(63)을 거쳐서 전두골(61) 등을 포함한 두개골(60) 전반으로 분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하악(P, Q) 간 응력은 상악 제2작은 어금니(22)와 상악 제1큰 어금니(23)에 전달되어 두개골(60) 전반으로 분산될 수 있으므로 턱근육이 이완되어 코골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턱근육뿐만 아니라 두개골(60) 전반에 통증과 불편함을 최소화시켜 착용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 베이스
2: 혀거상부
3: 블록부
4: 하악 앞니 지지부
5: 물림고정부
6: 보강부재
7: 구강
8: 구강 천장
9: 혀
10: 혀의 하부

Claims (5)

  1. 구강에 삽입되는 코골이 방지장치에 있어서,
    하악 치아열을 따라 연장 마련되어 하악 치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물림고정부를 가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앞니 측에 마련되어 혀의 단부가 구강 천장을 향하도록 혀의 하부를 거상하는 혀거상부;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블록상으로 좌우 대칭 돌출되어 복수의 상악 어금니와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상부에 상하악 간 응력을 상기 복수의 상악 어금니로 분산시키는 응력분산면을 가지는 한 쌍의 블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부는, 상악 제2작은 어금니와 상악 제1큰 어금니는 포함되고 상악 제1작은 어금니와 상악 제2큰 어금니는 제외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응력분산면은, 상기 상악 제2작은 어금니와 상악 제1큰 어금니의 6개의 교두가 모두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물림고정부는, 하악 제2작은 어금니, 하악 제1큰 어금니 및 하악 제2큰 어금니를 각각 수용하는 하악 제2작은 어금니 물림고정부, 하악 제1큰 어금니 물림고정부 및 하악 제2큰 어금니 물림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혀거상부는, 상기 앞니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앞니의 뒷부분에 접촉되고, 상기 혀의 뿌리 측에서 상기 앞니 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며, 단부가 상기 하악 제2작은 어금니 물림고정부의 일 영역에 연결되는 앞니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부는, 상기 응력분산면에 상기 6개의 교두가 모두 접촉되도록 상기 상악 제2작은 어금니 측에서 상기 상악 제1큰 어금니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4 내지 6mm의 높이를 가지고,
    상기 블록부의 경도는, 상기 응력분산면에 대한 상기 응력이 흡수되지 않고 상기 응력분산면에 접촉되는 상기 6개의 교두를 통해 두개골로 분산되도록 실리콘 경도보다 높고, 상기 응력으로 인한 상기 6개의 교두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레진의 경도를 가지는 코골이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75984A 2023-06-14 2023-06-14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장치 KR102663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984A KR102663917B1 (ko) 2023-06-14 2023-06-14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984A KR102663917B1 (ko) 2023-06-14 2023-06-14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917B1 true KR102663917B1 (ko) 2024-05-07

Family

ID=9107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5984A KR102663917B1 (ko) 2023-06-14 2023-06-14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9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675B1 (ko) * 2013-05-30 2014-10-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방지기구
KR101592421B1 (ko) * 2015-05-12 2016-02-05 남경수 상악 치열 교정 장치
KR20160079302A (ko) * 2014-12-26 2016-07-06 문형주 턱관절 교정 장치
KR101862164B1 (ko) * 2018-03-21 2018-05-29 (주)퓨쳐 라이팅 V 밸런스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675B1 (ko) * 2013-05-30 2014-10-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방지기구
KR20160079302A (ko) * 2014-12-26 2016-07-06 문형주 턱관절 교정 장치
KR101592421B1 (ko) * 2015-05-12 2016-02-05 남경수 상악 치열 교정 장치
KR101862164B1 (ko) * 2018-03-21 2018-05-29 (주)퓨쳐 라이팅 V 밸런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3979B2 (ja) 口腔周辺筋強化用マウスピース
CA2735032C (en) Intraoral apparatus for treating upper airway disorders
US9204991B1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US20060078840A1 (en) Dental orthotic for management of impaired oral functions
KR101283760B1 (ko) 하악을 전진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067743A (ko) 하악치아 고정형 구강장치
KR102029965B1 (ko)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US10799322B2 (en) Oral anterior guidance packages, systems, and components
JP3589456B2 (ja) 無呼吸症候群又はいびき症改善用のマウスピース
KR20150014624A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US20210205118A1 (en) Mandibular repositioning device
US9526590B2 (en) AGP night guard—for a bruxism patient with or without a severe malocclusion
KR101874692B1 (ko) 턱관절 장애 균형 장치
KR102663917B1 (ko) 구강 삽입형 코골이 방지장치
KR102368972B1 (ko) 턱관절 교정 및 코골이 완화기구
US20220008244A1 (en) Method and Oral Appliance for Improving Air Intake and Reducing Bruxism
US10383760B2 (en) Therapeutic dental appliance
WO2003051244A1 (en) Oral appliance
KR20160079302A (ko) 턱관절 교정 장치
JP2020137899A (ja) 下顎第一大臼歯専用マウスピース
JP7567107B2 (ja) 口腔装置
JP7299452B1 (ja) マウスピース
CN215019359U (zh) 矫正系统
KR102678951B1 (ko)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
CN221904121U (zh) 牙科器械及牙科器械套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